KR102042105B1 -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105B1
KR102042105B1 KR1020160043452A KR20160043452A KR102042105B1 KR 102042105 B1 KR102042105 B1 KR 102042105B1 KR 1020160043452 A KR1020160043452 A KR 1020160043452A KR 20160043452 A KR20160043452 A KR 20160043452A KR 102042105 B1 KR102042105 B1 KR 102042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erence
transmitter
receiver
receiv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5804A (ko
Inventor
손호경
홍헌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43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10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5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36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 or carrier-to-interference ratio [CI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91Modelling the propag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91Modelling the propagation channel
    • H04B17/3913Predictive models, e.g. based on neural network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장치로, 지형 정보 데이터를 로딩하는 데이터 로딩부와, 간섭 영향 평가에 필요한 피간섭 수신기, 송신기 및 간섭 송신기의 위치를 설정하는 분석 위치 설정부와, 상기 피간섭 수신기에서 송신기로부터의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와 간섭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를 지형지물의 영향을 고려하여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예측 기술 제공부와, 입력받은 파라미터와 상기 제공된 예측 기술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 및 간섭 신호의 세기를 산출하는 신호 크기 예측부와, 산출한 수신 신호의 세기와 간섭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간섭 송신기가 피간섭 수신기에 미치는 간섭 영향을 평가하는 간섭 영향 평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Interference between Heterogeneous Wireless System considering Geographical Features}
본 발명은 간섭 분석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정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 정확한 간섭 영향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수한 전파 특성을 갖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 무선 서비스 시스템들에 의한 주파수 선점으로 이 대역을 사용하고자 하는 신규 무선 서비스 이용에 제약을 받고 있으며, 점점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게 되어 셀 커버리지 측면에서 무선 통신의 효율성이 저하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우수한 전파 특성을 갖는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대역을 최소화하고 이종 서비스 간 간섭을 최소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적인 제안이 제시되어야 하고, 정확한 간섭 분석 기술이 대표적인 기술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기존 무선통신 시스템 사이의 간섭 분석에 주로 이용되는 방식은 크게 MCL(Minimum Coupling Loss) 방식, 몬테카를로(Monte-Carlo) 방식이 있다.
우선, MCL 방식은 시스템 파라미터와 전파 모델을 통해서, 다수의 시스템이 상호 간섭 없이 동작하기 위해 떨어져야 하는 최소한의 거리, 즉 이격 거리 또는 이격 주파수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송수신기의 활성화율(activity factor)을 무시하고, 일정 크기의 신호가 계속 수신되는 최악의 경우를 가정하므로,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부적절할 정도의 큰 이격 거리나 이격 주파수(보호대역)을 산출한다. 실제로 시스템들은 MCL 방식을 사용하여 얻어진 결과들에 비해서 훨씬 적은 최소 주파수 이격이나 이격 거리를 가지고도 정상적으로 운용되므로, MCL 방식을 통해 얻어진 최악의 결과에 대한 적절성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음으로, 몬테카를로 방식은 간섭환경 관련 모든 파라미터 값들을 지정하고, 통계적으로 간섭 확률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복잡도가 다소 크고, 입력 파라미터 값에 따라 간섭 확률에 차이를 보이기는 하나, 모든 간섭 환경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새로운 무선 서비스 시스템에 주파수 할당 시, 해당 주파수의 동일 대역이나 인접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 기존 무선통신 시스템과의 간섭 분석을 통하여, 주파수의 공유 가능성을 판단하고, 주파수 공유를 위한 송신 마스크와 같은 기술적 파라미터를 제시하기 위해 몬테카를로 방식을 이용한 간섭 분석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이기종 무선 통신 기기 간 간섭 분석시 사용되는 MCL(Minimum Coupling Loss) 방식과 몬테카를로(Monte-Carlo) 방식은 모두 특정 지역의 지형지물에 의한 영향을 정확하게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지형지물의 영향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 간섭 영향을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장치로, 지형 정보 데이터를 로딩하는 데이터 로딩부와, 간섭 영향 평가에 필요한 피간섭 수신기, 송신기 및 간섭 송신기의 위치를 설정하는 분석 위치 설정부와, 상기 피간섭 수신기에서 송신기로부터의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와 간섭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를 지형지물의 영향을 고려하여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예측 기술 제공부와, 입력받은 파라미터와 상기 제공된 예측 기술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 및 간섭 신호의 세기를 산출하는 신호 크기 예측부와, 산출한 수신 신호의 세기와 간섭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간섭 송신기가 피간섭 수신기에 미치는 간섭 영향을 평가하는 간섭 영향 평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 로딩부는 신규로 업데이트된 지형지물을 포함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 데이터를 지도 형태로 로딩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석 위치 설정부는 상기 입력 파라미터에 따라 피간섭 수신기와 송신기의 위치가 고정되고 간섭 송신기와 피간섭 수신기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정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석 위치 설정부는 상기 피간섭 수신기가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고 간섭 송신기와 피간섭 수신기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정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석 위치 설정부는 상기 피간섭 수신기와 송신기의 위치는 고정되고, 간섭 송신기의 위치가 피간섭 수신기 또는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도록 설정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석 위치 설정부는 상기 피간섭 수신기가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고, 간섭 송신기의 위치가 피간섭 수신기 또는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도록 설정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신호 크기 예측부는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다중 안테나 개수만큼 확장하여 수신 신호 및 간섭 신호의 크기를 계산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간섭 영향 평가부는 상기 산출된 수신 신호 및 간섭 신호를 바탕으로 간섭 확률, 평균 전송 감소율 및 용량을 포함하는 간섭 영향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평가한다.
본 발명은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방법으로, 지형 정보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와, 간섭 영향 평가에 필요한 피간섭 수신기, 송신기 및 간섭 송신기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피간섭 수신기에서 송신기로부터의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와 간섭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를 지형지물의 영향을 고려하여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단계와, 입력받은 파라미터와 상기 제공된 예측 기술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 및 간섭 신호의 세기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한 수신 신호의 세기와 간섭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간섭 송신기가 피간섭 수신기에 미치는 간섭 영향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형 지물의 영향을 고려하여 동일 대역 또는 인접 대역을 사용하는 이종 무선 서비스간 간섭 영향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특정 지역 또는 지점에서 정확한 간섭 분석이 가능하여 스펙트럼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양질의 무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1은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 간섭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링크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 간섭을 분석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석 위치 설정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측 기술 제공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섭 신호의 세기(IRSS) 산출 시 사용되는 인접 대역 간섭비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 간섭을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 간섭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링크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각 상이한 무선 시스템의 네트워크들(10, 20)이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간섭 분석 시 필요한 링크는 피간섭 수신기(11), 송신기(12), 간섭 송신기(21), 수신기(22)이다. 아울러, 피간섭 수신기(11)가 송신기(12)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DRSS(Desired Receiving Signal Strength)라 정의하고, 피간섭 수신기(11)가 간섭 송신기(21)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IRSS(Interfering Receiving Signal Strength)이라 정의한다. 이때, 피간섭 수신기(11)가 간섭 송신기(21)로부터 수신한 신호는 피간섭 수신기(11)에 간섭 발생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피간섭 수신기(11)와 송신기(12)가 이루는 링크를 피간섭 링크(13)라 정의하고, 피간섭 수신기(11)와 간섭 송신기(21)가 이루는 링크를 간섭 링크(23)라 정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 간섭을 분석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 간섭을 분석하는 장치(이하 '장치'라 기재함)는 데이터 로딩부(110), 분석 위치 설정부(120), 예측 기술 제공부(130), 신호 크기 예측부(140) 및 간섭 영향 평가부(150)을 포함한다.
데이터 로딩부(110)는 신규로 업데이트된 지형지물을 포함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 데이터를 지도 형태로 로딩한다.
분석 위치 설정부(120)는 간섭 영향 평가에 필요한 피간섭 수신기, 송신기, 간섭 송신기의 위치를 설정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예측 기술 제공부(130)는 피간섭 수신기에서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 DRSS와 간섭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 IRSS 크기를 지형지물의 영향을 고려하여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예컨대, 예측 기술인 전파 특성 예측 방법으로 광선 추적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입력된 환경 데이터를 기하 광학의 법칙을 이용하여 직진, 반사, 투과, 회절 경로를 컴퓨터 계산에 의해 찾아내고 합산하는 방식이다. 또한, 예측 기술로 계산 소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전파 경로의 탐색에 공간을 분할하는 방식, 레이 튜브를 이용하는 방식 등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신호 크기 예측부(140)는 입력받은 파라미터와 제공된 예측 기술 이용하여 송신기(12)로부터 피간섭 수신기(11)로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세기(DRSS)를 산출한다. 이후, 상기 간섭 송신기(21)의 피간섭 수신기(11)로 수신되는 간섭신호의 세기(IRSS)를 산출한다. 또한, 신호 크기 예측부(140)는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다중 안테나 개수만큼 확장하여 수신 신호 및 간섭 신호의 크기를 계산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간섭 영향 평가부(150)는 산출한 수신신호의 세기와 간섭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간섭 송신기(21)가 피간섭 수신기(11)에 미치는 간섭 영향을 평가한다. 즉, 간섭 영향 평가부(150)는 산출된 수신 신호 및 간섭 신호를 바탕으로 간섭 확률, 평균 전송 감소율 및 용량을 포함하는 간섭 영향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평가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석 위치 설정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분석 위치 설정부(120)는 피간섭 수신기, 송신기, 간섭 송신기의 위치를 설정하는 4가지의 경우의 예들을 들어 도시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분석 위치 설정부(120)는 입력 파라미터에 따라 피간섭 수신기와 송신기의 위치가 고정되고 간섭 송신기와 피간섭 수신기의 위치가 고정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분석 위치 설정부(120)는 피간섭 수신기가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고 간섭 송신기와 피간섭 수신기의 위치가 고정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분석 위치 설정부(120)는 피간섭 수신기와 송신기의 위치는 고정되고, 간섭 송신기의 위치가 피간섭 수신기 또는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3의 (d)를 참조하면, 분석 위치 설정부(120)는 피간섭 수신기가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고, 간섭 송신기의 위치가 피간섭 수신기 또는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측 기술 제공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생된 피간섭 수신기, 송신기, 간섭 송신기의 위치에서 송신기에서 송신되어 전파되는 신호가 주변 지형지물에 의하여 피간섭 수신기에 수신되는 예와 간섭 송신기에서 송신되어 피간섭 수신기에 도착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도면에서는 반사파만 도식되었지만, 회절 또는 투과에 의한 신호도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섭 신호의 세기(IRSS) 산출 시 사용되는 인접 대역 간섭비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간섭 송신기의 송신 필터와 피간섭 수신기의 수신 필터의 주파수 응답에 따른 특성에 따라 인접 대역 간섭 신호 크기가 결정된다.
입력받은 파라미터와 제공된 예측 기술 이용하여 신호 크기 예측부(140)에서 송신기(12)로부터 피간섭 수신기(11)로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세기(DRSS)를 산출할 때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6034134691-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6034134691-pat00002
는 송신기의 공중선 출력이며,
Figure 112016034134691-pat00003
는 전파의 파장(wavelength)이고,
Figure 112016034134691-pat00004
는 파수(wave number)이다. 전파 경로 번호인
Figure 112016034134691-pat00005
이 0인 경우는 직접파를 의미하며, 그 외의 값들은 전부 반사파(Reflection wave) 또는 회절파를 나타낸다.
Figure 112016034134691-pat00006
Figure 112016034134691-pat00007
번째 전파경로 상에 놓인 송신기와 피간섭수신 안테나 이득곱(Gain Product)의 평방근이며, 안테나의 지향성이 고려될 때 이는 송수신 안테나간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달라진다.
Figure 112016034134691-pat00008
은 각 송신 안테나 소자에 해당되는 전파경로 상에서, 건물 또는 지면에 의해 반사된 반사파와 모서리에 의해 회절 된 각각의 반사계수와 회절계수를 반사회수 또는 회절회수만큼 곱한 경로 감쇄 계수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Figure 112016034134691-pat00009
은 각 송신 안테나소자와
Figure 112016034134691-pat00010
번째 수신 안테나간의 전파 경로 거리이다.
송신 안테나 소자의
Figure 112016034134691-pat00011
번째 전파경로 상에서 경로 감쇄계수
Figure 112016034134691-pat00012
는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16034134691-pat00013
여기서,
Figure 112016034134691-pat00014
Figure 112016034134691-pat00015
번째 전파경로에 대한 건물벽
Figure 112016034134691-pat00016
에 해당되는 반사계수이다.
Figure 112016034134691-pat00017
는 지면에 의한 반사 계수이다.
Figure 112016034134691-pat00018
은 건물에 대한 회절계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6034134691-pat00019
번째 전파경로에 대한 건물벽에 해당되는 반사계수
Figure 112016034134691-pat00020
는 <수학식 3>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6034134691-pat00021
여기서
Figure 112016034134691-pat00022
는 건물
Figure 112016034134691-pat00023
의 상대 유전율이며 입사각은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6034134691-pat00024
여기서, 지면 반사 계수
Figure 112016034134691-pat00025
는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6034134691-pat00026
여기서,
Figure 112016034134691-pat00027
는 지면의 상대 유전율이며, 지면에 대한 입사각은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6034134691-pat00028
간섭 송신기(21)의 피간섭 수신기(11)로 수신되는 간섭신호의 세기(IRSS)를 산출할 때 다음의 <수학식 7>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6034134691-pat00029
여기서,
Figure 112016034134691-pat00030
는 송신기의 공중선 출력이며,
Figure 112016034134691-pat00031
간섭 송신기의 정규화된 송신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34134691-pat00032
는 희생 수신기의 정규화된 수신 필터 특성을 나타낸다.
Figure 112016034134691-pat00033
는 피간섭 수신기와 간섭 송신기간 주파수 이격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 간섭을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장치는 신규로 업데이트된 지형지물을 포함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 데이터를 지도 형태로 로딩한다(S610). 그런 후, 장치는 간섭 영향 평가에 필요한 피간섭 수신기, 송신기, 간섭 송신기의 위치를 설정한다(S620). 분석 위치 설정부(120)는 피간섭 수신기, 송신기, 간섭 송신기의 위치를 설정하는 4가지의 경우의 예들을 들어 도시한다. 상기 4가지의 경우는 일 예로, 입력 파라미터에 따라 피간섭 수신기와 송신기의 위치가 고정되고 간섭 송신기와 피간섭 수신기의 위치가 고정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피간섭 수신기가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고 간섭 송신기와 피간섭 수신기의 위치가 고정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피간섭 수신기와 송신기의 위치는 고정되고, 간섭 송신기의 위치가 피간섭 수신기 또는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분석 위치 설정부(120)는 피간섭 수신기가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고, 간섭 송신기의 위치가 피간섭 수신기 또는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장치는 피간섭 수신기에서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 DRSS와 간섭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 IRSS 크기를 지형지물의 영향을 고려하여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S630).
장치는 입력받은 파라미터와 제공된 예측 기술 이용하여 송신기(12)로부터 피간섭 수신기(11)로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세기(DRSS)를 산출한다(S640). 이후, 상기 간섭 송신기(21)의 피간섭 수신기(11)로 수신되는 간섭신호의 세기(IRSS)를 산출한다. 또한, 신호 크기 예측부(140)는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다중 안테나 개수만큼 확장하여 수신 신호 및 간섭 신호의 크기를 계산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7>을 참조하여 전술하고 있다.
장치는 산출한 수신신호의 세기와 간섭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간섭 송신기(21)가 피간섭 수신기(11)에 미치는 간섭 영향을 평가한다(S650). 즉, 간섭 영향 평가부(150)는 산출된 수신 신호 및 간섭 신호를 바탕으로 간섭 확률, 평균 전송 감소율 및 용량을 포함하는 간섭 영향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평가한다.

Claims (16)

  1. 지형 정보 데이터를 로딩하는 데이터 로딩부와,
    간섭 영향 평가에 필요한 피간섭 수신기, 송신기 및 간섭 송신기의 위치를 설정하는 분석 위치 설정부와,
    상기 피간섭 수신기에서 송신기로부터의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와 간섭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를 지형지물의 영향을 고려하여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예측 기술 제공부와,
    입력받은 파라미터와 상기 제공된 예측 기술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 및 간섭 신호의 세기를 산출하는 신호 크기 예측부와,
    산출한 수신 신호의 세기와 간섭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간섭 송신기가 피간섭 수신기에 미치는 간섭 영향을 평가하는 간섭 영향 평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 신호의 크기는 상기 간섭 송신기의 송신 필터와 상기 피간섭 수신기의 수신 필터의 주파수 응답에 따른 특성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간섭 영향 평가부는 상기 산출한 수신 신호의 세기와 상기 산출한 간섭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간섭 확률, 평균 전송 감소율 및 용량을 포함하는 간섭 영향 요소들을 평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위치 설정부는
    상기 입력받은 파라미터에 따라 피간섭 수신기와 송신기의 위치가 고정되고 간섭 송신기와 피간섭 수신기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위치 설정부는
    상기 피간섭 수신기가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고 간섭 송신기와 피간섭 수신기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위치 설정부는
    상기 피간섭 수신기와 송신기의 위치는 고정되고, 간섭 송신기의 위치가 피간섭 수신기 또는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위치 설정부는
    상기 피간섭 수신기가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고, 간섭 송신기의 위치가 피간섭 수신기 또는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장치.
  7. 삭제
  8. 삭제
  9. 지형 정보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와,
    간섭 영향 평가에 필요한 피간섭 수신기, 송신기 및 간섭 송신기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피간섭 수신기에서 송신기로부터의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와 간섭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를 지형지물의 영향을 고려하여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단계와,
    입력받은 파라미터와 상기 제공된 예측 기술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 및 간섭 신호의 세기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한 수신 신호의 세기와 간섭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간섭 송신기가 피간섭 수신기에 미치는 간섭 영향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 신호의 크기는 상기 간섭 송신기의 송신 필터와 상기 피간섭 수신기의 수신 필터의 주파수 응답에 따른 특성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한 수신 신호의 세기와 상기 산출한 간섭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간섭 확률, 평균 전송 감소율 및 용량을 포함하는 간섭 영향 요소들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방법.
  10. 삭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파라미터에 따라 피간섭 수신기와 송신기의 위치가 고정되고 간섭 송신기와 피간섭 수신기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간섭 수신기가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고 간섭 송신기와 피간섭 수신기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간섭 수신기와 송신기의 위치는 고정되고, 간섭 송신기의 위치가 피간섭 수신기 또는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간섭 수신기가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고, 간섭 송신기의 위치가 피간섭 수신기 또는 송신기를 중심으로 셀 반경 내에 입력받은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발생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방법.
  15. 삭제
  16. 삭제
KR1020160043452A 2016-04-08 2016-04-08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042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452A KR102042105B1 (ko) 2016-04-08 2016-04-08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452A KR102042105B1 (ko) 2016-04-08 2016-04-08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804A KR20170115804A (ko) 2017-10-18
KR102042105B1 true KR102042105B1 (ko) 2019-11-07

Family

ID=6029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452A KR102042105B1 (ko) 2016-04-08 2016-04-08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1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750B1 (ko) * 2018-02-28 2020-06-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물 인지기반 셀 커버리지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2135766B1 (ko) * 2018-10-18 2020-07-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간율을 고려한 이동통신 시스템이 고정 시스템에 미치는 간섭 영향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2579056B1 (ko) * 2021-06-29 2023-09-18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링크 패스 프로파일 및 간섭 분석 시스템
KR102579062B1 (ko) * 2021-06-29 2023-09-18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링크 패스 프로파일 및 간섭 분석 방법
KR102598631B1 (ko) * 2021-12-21 2023-11-06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공간 및 주파수 영역에서 간섭분석 기반의 무선 자원 재구성 시스템 및 무선 자원 재구성 방법
CN116865817B (zh) * 2023-07-14 2024-02-09 长江水利委员会水文局 一种基于数据分析的水文通讯用电台干扰预警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7836A (ja) * 2014-04-17 2015-11-19 国立研究開発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与干渉推定システム、無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046B1 (ko) * 2010-12-23 2017-10-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통신용 단말기간 간섭 분석 방법
KR20160003501A (ko) * 2014-07-01 2016-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신기의 전파 간섭 예측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7836A (ja) * 2014-04-17 2015-11-19 国立研究開発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与干渉推定システム、無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804A (ko)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105B1 (ko) 지형지물을 고려한 이기종 무선 시스템 간의 간섭 분석 장치 및 방법
US10438468B2 (en) Motion localization in a wireless mesh network based on motion indicator values
US1061677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s in millimeter-wave networks
US201900210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f planning in a dynamic spectrum environment
Popoola et al. Outdoor path loss predictions based on extreme learning machine
EP2424293B1 (en) Radio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 estim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66400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ly predicting radio wave propagation
US20130154872A1 (en) Method and a device for locating at least one obstacl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a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Dolgopyatova et al. Analysis of Long-Range VHF Radio Waves Propagation to Specify Protection Ratios Between Coexisting DRM+, RAVIS and IBOC Systems
EP3567890B1 (e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desig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70013474A1 (en) Frequency assignment device, frequency assignment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133785B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进行网络设计的分析方法和设备
US111717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rive tes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12119778A (ja) 無線通信装置
KR1026554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포인트 및 송신 포인트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6170698A (ja) 無線局方向推定装置及び無線局方向推定・電波発射装置、並びに無線局方向推定方法
KR102584996B1 (ko) 무선 네트워크 디자인 방법, 저장매체 및 전자 장치
CN111492602B (zh) 考虑建筑物的无线电波入射单元的通信环境分析和网络设计的方法和装置
CA3076837A1 (en) Motion localization in a wireless mesh network based on time factors
KR10242410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파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Gupta Physical Channel Models for Emerg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lmezughi et al. Proposal of a probabilistic path loss model for wireless communications in indoor corridors
US11991545B2 (en) Arrival rate estimation apparatus, arrival rate estimation method and program
KR100917846B1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전파 특성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Erunkulu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Alpha-Beta-Gamma and Close-In Path Loss Models Based on Measured Data for 5G Mobile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