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914B1 -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냉각 컵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지방 분해 장치 - Google Patents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냉각 컵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지방 분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914B1
KR102040914B1 KR1020170157645A KR20170157645A KR102040914B1 KR 102040914 B1 KR102040914 B1 KR 102040914B1 KR 1020170157645 A KR1020170157645 A KR 1020170157645A KR 20170157645 A KR20170157645 A KR 20170157645A KR 102040914 B1 KR102040914 B1 KR 102040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suction
main body
cup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9741A (ko
Inventor
김동석
박시형
최준현
Original Assignee
(주)클래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래시스 filed Critical (주)클래시스
Priority to KR1020170157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914B1/ko
Priority to PCT/KR2018/010553 priority patent/WO2019066302A1/ko
Publication of KR20190059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58Deeper parts of the skin, e.g. treatment of vascular disorders or port wine stains
    • A61B2018/00464Subcutaneous fat, e.g. liposuction, lipo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 A61B2018/0231Characteristics of handpieces or probes

Abstract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냉각 컵은 몸체, 상기 몸체 중 피시술자의 피부를 향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함몰 형태의 흡입 냉각 캐비티, 상기 흡입 냉각 캐비티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 통로, 그리고 상기 흡입 냉각 캐비티의 입구의 둘레에 구비되며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냉각 면을 포함한다. 냉동 컵이 흡입 냉동 캐비티 뿐만 아니라 흡입 냉동 캐비티 주위에 배치되는 냉동 면을 동시에 구비하기 때문에, 냉각 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위에 적용될 수 있고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냉각 컵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지방 분해 장치{COOLING CUP FOR CRYOLIPOLYSIS DEVICE AND CRYOLIPOLYSIS DEVICE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지방 분해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을 이용하는 지방을 분해하는 냉동 지방 분해 장치 및 그 냉각 컵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만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는 바로 신체에 과도하게 쌓인 지방이다. 이 지방이 비만으로 이어지면서, 간이나 혈관, 혈액에 고이게 되어 지방간, 동맥경화, 고지혈증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비만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다이어트 방법 및 수술과 같은 외과적 치료 방법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다이어트는 성공하기 쉽지 않으며, 수술적 방법은 위험 부담이 있다.
현재까지 소개된 피하 지방층 또는 지방 조직을 줄이는 비침습적 방법으로는 고주파, 광선 등을 이용하여 피하 지질 과다 세포 영역에 열을 가하는 방법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직접 냉각(Direct Cooling)을 통해 표피나 신경 등의 조직에는 손상을 주지 않고 지방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원리, 즉 세포 사멸(apoptosis) 원리에 의해 지방 세포가 자연 괴사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 있다. 이를 냉동 지방 분해술(Cryolipolysis)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냉동 지방 분해술을 이용한 냉동 지방 분해 장치는 하나의 핸드피스에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컵이 장착되어 사용된다. 냉각 컵은 피시술자의 피부를 흡입하여 냉각시키는 흡입형과 그렇지 않은 비흡입형으로 나뉘며, 냉각 컵에 부착되는 열전소자의 종류 및 수량에 따라 성능이 달라진다.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비만 상태나 시술 부위에 따라 여러 종류의 냉각 컵 중에서 피시술자에게 가장 적합한 냉각 컵을 선택하여 시술함으로써 냉동 지방 분해 시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흡입형 냉각 컵은 피시술자의 피부를 마주하는 부분에 피부 흡입을 위한 함몰 형태의 흡입 캐비티가 구비되며 이 흡입 캐비티에 공기 배출 통로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냉각 컵을 피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공기 배출 통로를 통해 흡입 캐비티 내의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피시술자의 피부가 흡입 캐비티 내로 흡입된다. 반면, 비흡입형 냉각 컵은 피시술자의 피부를 마주하는 부분에 흡입 캐비티가 구비되지 않고 평면 또는 곡면 형태의 피부 접촉면이 구비된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흡입형 냉각 컵은 흡입 캐비티가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가지며, 비흡입형 냉각 컵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흡입형 냉각 컵은 흡입 캐비티의 주위 경계를 형성하는 테두리가 매우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시술 시에 피부에 접촉하는 부분이 매우 작기 때문에 냉각 작용은 흡입 캐비티 내에서 이루어지는 한계를 가지며, 비흡입형 냉각 컵은 피부 접촉면을 통해 냉각 작용이 이루어지는 피부를 흡입하지 않기 때문에 복부 지방 분해 등에 사용되기 어렵고 냉각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한계를 가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8779호(공개일: 2012년03월05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흡입형 및 비흡입형 냉각 컵의 한계를 극복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향상된 냉각 성능을 가지고 다양한 시술 부위에 사용될 수 있는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냉각 컵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지방 분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냉각 컵은 몸체, 상기 몸체 중 피시술자의 피부를 향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함몰 형태의 흡입 냉각 캐비티, 상기 흡입 냉각 캐비티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 통로, 그리고 상기 흡입 냉각 캐비티의 입구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냉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냉각 면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 냉각 캐비티의 바닥면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냉각 캐비티의 옆면은 경사진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냉각 캐비티의 바닥면에는 함몰 공간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공기 배출 통로는 상기 함몰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냉각 캐비티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흡입 냉각 캐비티는 연결 공간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고, 상기 공기 배출 통로는 상기 연결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흡입 냉각 캐비티는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메인 몸체, 그리고 상기 메인 몸체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조 몸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흡입 냉각 캐비티는 상기 보조 몸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 통로는 상기 메인 몸체에 형성되는 제1 통로 및 상기 보조 몸체에 형성되는 제2 통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통로는 상기 보조 몸체가 상기 메인 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몸체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거동하여 상기 메인 몸체에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몸체는 상기 보조 몸체의 수용을 위한 수용 공간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보조 몸체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몸체는 끼움-분리 방식으로 상기 메인 몸체에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몸체는 상기 보조 몸체의 수용을 위한 수용 공간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보조 몸체는 상기 수용 공간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면에는 진공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 통로는 상기 메인 몸체에 형성되는 제1 통로 및 상기 보조 몸체에 형성되는 제2 통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통로는 상기 보조 몸체가 상기 메인 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통로는 상기 진공 그루브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지방 분해 장치는 피술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냉각 기능을 수행하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드피스, 그리고 연결관을 통해서 상기 핸드피스에 연결되는 본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냉각부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냉동 컵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 컵이 흡입 냉동 캐비티 뿐만 아니라 흡입 냉동 캐비티 주위에 배치되는 냉동 면을 동시에 구비하기 때문에, 냉각 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위에 적용될 수 있으며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를 서로 분리 가능한 메인 몸체와 보조 몸체로 구성하고 보조 몸체에 흡입 냉동 캐비티를 형성하기 때문에, 더욱 다양한 종류의 부위에서 다양한 방식의 시술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핸드피스와 냉각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냉각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흡입형 냉각 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비흡입형 냉각 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냉각 컵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냉각 컵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냉각 컵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냉각 컵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냉각 컵에서 메인 몸체와 보조 몸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냉각 컵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핸드피스와 냉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지방 분해 장치(1)는 본체(100), 케이블(200), 핸드피스(300) 및 냉각부(400)를 포함한다.
케이블(200)은 급수관, 환수관, 신호선 및 흡입관 등을 내장할 수 있고, 본체(100)와 핸드피스(300)를 연결시킨다. 급수관, 환수관, 신호선 및 흡입관 등은 핸드피스(300)를 통하여 냉각부(400)에 연결된다.
냉각부(400)는 핸드피스(3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냉각부(400)는 컵 형태로 형성되어 냉각 기능을 수행하는 냉각 컵(420)을 포함하며, 냉각 컵(420)은 치료 부위를 흡착한 후 소정 온도로 냉각하여 피하 지방을 파괴한다. 시술 전에 피시술자의 치료 부위에 동결 방지제를 바르고 기밀을 유지하여 흡착이 유지되도록 패드, 필름 등을 부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냉각 컵(420)이 치료 부위에 맞닿으면 흡입관을 통한 흡인력으로 치료 부위의 피부를 냉각 컵(420) 내부로 끌어당기며, 냉각 컵(420)에 부착된 열전소자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열전소자를 냉각시켜서 치료 부위의 지방을 파괴하도록 동작시킨다.
그리고 본체(100)는 급수관을 통해 냉각수를 핸드피스(300)로 공급하고, 냉각부(400)를 냉각시킨 냉각수를 환수관을 통해 환수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체(100)는 표시부(110), 제어부(120), 압력 센서(130), 탱크(140), 냉각 시스템(150), 밸브(160) 및 흡입 펌프(17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10)는 터치 패널(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은 입력 수단과 함께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흡입 펌프(170)는 흡입관을 통하여 밸브(160) 및 탱크(140)와 차례로 연결되어 있고, 밸브(140)를 거친 흡입관이 분기되면서 압력 센서(130)와 연결된다. 압력 센서(130)는 탱크(140)의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탱크(140)는 흡입관을 통해 흡인된 동결 방지제를 저장함과 아울러 압력을 버퍼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흡입 펌프(170)는 냉각 컵(420)으로 치료 부위를 흡착시키기 위한 흡인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흡입관을 통해 냉각 컵(420)과 치료 부위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밸브(160)는 흡입 펌프(170)와 탱크(140) 사이를 연결하는 흡입관을 통해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20)는 압력 센서(130)에서 감지된 압력을 기초로 흡입 펌프(170)와 밸브(160)의 동작을 제어하여 냉각 컵(420)에 적절한 흡인력을 생성시킨다.
냉각부(400)는 열교환기(414), 열전소자(427) 및 냉각 컵(420)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시스템(150)은 냉각부(400)에 냉각수를 급수 및 환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냉각 시스템(150)에서 공급된 냉각수는 열교환기(414)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열전소자(427)에서 발생하는 열을 수냉식으로 냉각시킨다.
냉각 컵(420)은 피시술자의 치료 부위에 부착된 상태에서, 흡입관을 통해 내부의 공기가 탱크(140)로 흡입되면 치료 부위를 흡착한다. 그리고 냉각 컵(420)은 열전소자(427)의 냉각면을 통해 소정 온도로 냉각되어 치료 부위의 피하 지방질을 파괴시킬 수 있다. 냉각 컵(420)은 원활한 냉각 기능을 위해 양호한 열 전달 특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열전소자(427)은 펠티에 소자(Peltier effect device)로 구현되어, 냉각면은 냉각 컵(420)에 부착되고, 발열면은 열교환기(414)에 부착된다.
열전소자(427)은 본체(100)에서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냉각면에서 흡열 현상이 발생하여 냉각 컵(420)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이때 열전소자(427)의 발열면은 열교환기(414)를 순환하는 냉각수를 통해 냉각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열전소자(427)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기초로 냉각 컵(420)의 온도를 계산하여, 냉각 컵(420)을 목표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20)는 케이블(200)에 내장된 신호선을 통해 냉각부(400)로부터 열전소자(427)의 역기전력과 열전소자(427)의 구동 전압이 혼재된 전압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핸드피스 및 냉각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핸드피스(300)는 상부 몸체(350)를 포함하고, 냉각부(400)는 하부 몸체(410)와 냉각 컵(420)을 포함하며 이 둘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하부 몸체(410)는 흡입관 연결부(415), 급수관 연결부(416), 환수관 연결부(417), 그리고 신호선 커넥터(418)를 구비하고 있으며, 네 모서리에서 냉각 컵(420)과의 결합을 위해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411, 412, 413)를 가지고, 열전소자(427)의 냉각을 위하여 열전소자(427)와 맞닿도록 열교환기(414)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몸체(350)도 그 하단에 흡입관 연결부, 급수관 연결부, 환수관 연결부, 그리고 신호선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은 하부 몸체(410)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흡입관 연결부(415), 급수관 연결부(416), 환수관 연결부(417), 그리고 신호선 커넥터(418)에 각각 체결된다. 케이블(200)에 내장되어 핸드피스(300)로 연장된 흡입관, 급수관, 환수관 및 신호선은 상부 몸체(350) 상단에 연결된다.
냉각부(400)는 핸드피스(3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하부 몸체(410)의 흡입관 연결부(415), 급수관 연결부(416), 환수관 연결부(417) 및 신호선 커넥터(418)를 상부 몸체(350)의 흡입관 연결부, 급수관 연결부, 환수관 연결부 및 신호선 커넥터에 각각 끼워 맞춰 체결함으로써 핸드피스(300)에 냉각부(400)를 장착할 수 있다.
상부 몸체(350)에는 하부 몸체(410)의 흡입관 연결부(415), 급수관 연결부(416) 및 환수관 연결부(417)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으며, 고정부로 인하여 핸드피스(300)에 냉각부(400)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몸체(350)에는 탈착용 버튼(352)이 구비되어 있어 고정부를 해제하여 상부 몸체(350)에서 하부 몸체(410)를 탈착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핸드피스(300) 하단에 냉각부(400) 상단을 끼워 맞춰 체결함으로써 핸드피스(300)에 냉각부(400)를 장착시킬 수 있으며, 탈착용 버튼(352)을 누른 채로 핸드피스(300)에서 냉각부(400)를 잡아 빼내어 핸드피스(300)와 냉각부(4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냉각부를 핸드피스(300)에 장착하여 사용하다가 다른 종류의 냉각부로 교체하여 사용하기를 원할 때 전자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으며, 후자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흡입관 연결부(415), 급수관 연결부(416), 환수관 연결부(417)에는 탄성 소재의 오링이 구비되어 있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핸드피스(300)와 냉각부(400)를 체결할 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몸체(410)와 열교환기(414) 사이 공간에 열교환기(414)의 네 모서리 부분과 수직 방향으로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핸드피스(300)와 냉각부(400)를 체결할 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냉각 컵(420)은 상부에 열전소자(427)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 가장자리 양쪽에 완충 부재(428)가 구비되어 있다. 완충 부재(428)는 연장부(411, 412, 413)의 하단과 냉각 컵(420) 사이에 개입되어 완충 작용을 한다. 즉, 완충 부재(428)가 없으면 상단 몸체(350)가 하단 몸체(410)에 체결될 때 충격이 열전소자(427)에 직접 전면적으로 가해져 충격에 약한 열전소자(427)가 고장 날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완충 부재(428)가 있으면 그 충격이 완충 부재(428)로 분산되므로 고장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완충 부재(428)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완충 부재(428)의 상하 두께는 열전소자(427)의 상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부 몸체(350)와 하부 몸체(410)가 체결되면, 흡입관 연결부, 급수관 연결부, 환수관 연결부 및 신호선 커넥터가 서로 연결되어 냉동 지방 분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냉각 컵(42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핸드피스(300)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면 다양한 종류의 냉각 컵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각 컵은 도 5에 도시한 흡입형 냉각 컵과 도 6에 도시한 비흡입형 냉각 컵으로 나뉠 수 있다.
흡입형 냉각 컵(431, 433, 435)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 피부를 냉각 컵 안으로 흡인하여 흡인된 시술 부위를 전방향에서 냉각하여 지방을 분해할 수 있다. 흡입형 냉각 컵(431, 433, 435)은 주로 복부, 허리, 둔부와 같이 시술 부위의 지방이 넓고 두꺼운 곳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5(a)의 냉각 컵(431)은 지방이 상대적으로 넓고 두꺼운 부위에 사용될 수 있으며, 도 5(b)의 냉각 컵(433) 또는 도 5(c)의 냉각 컵(435)은 다양한 부위에 적용 가능하도록 냉각 컵의 입구 모양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비흡입형 냉각 컵(441, 443)은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를 흡입하지 않고 접촉함으로써 냉동 지방 분해술을 시술하는 데 사용된다. 비흡입형 냉각 컵(441, 443)은 주로 팔이나 다리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지방층이 좁고 두껍지 않은 곳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6(a)의 냉각 컵(441)은 팔뚝과 같이 시술 부위가 좁은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도 6(b)의 냉각 컵(443)은 도 6(a)의 냉각 컵(441)에 비하여 시술 부위가 상대적으로 넓은 허벅지와 같은 곳에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시술자의 상태 및 시술 부위의 지방 분포에 따라 도 5(a) 내지 도 6(b)의 냉각 컵을 선택하여 냉동 지방 분해술을 시술할 수 있다.
흡입형 및 비흡입형 냉각 컵(431, 433, 435, 441, 443) 상면에는 열전소자가 장착된다. 도 5(a)의 냉각 컵(431) 및 도 6(b)의 냉각 컵(443)에는 열전소자가 2개 구비될 수 있고, 도 5(b)와 도 5(c)의 냉각 컵(433, 435) 및 도 6(a)의 냉각 컵(441)에는 열전소자가 1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들 냉각 컵(431, 433, 435, 441, 443)에 장착되는 열전소자의 종류, 형식, 규격, 크기, 소비전류 등은 서로 다를 수 있다.
흡입형 냉각 컵(431, 433, 435)에는 흡입압을 유지시키기 위한 흡입 관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열전소자 중심 부위에도 흡입 관로를 위한 관통 홀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와 반대로 비흡입형 냉각 컵(441, 443)에는 흡입 관로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이에 장착되는 열전소자에도 관통 홀이 필요 없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냉각 컵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냉각 컵(420)은 몸체(421)를 포함한다. 몸체(421)의 전면(422)은 사람의 피부에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뒤에서 설명하는 흡입 냉각 캐비티(423)와 냉각 면(425)이 몸체(421)의 전면(422)에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몸체(421)의 후면부는 핸드피스(300)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 열전소자 및 열교환기가 몸체(421)의 후방에 차례로 연결될 수 있다.
흡입 냉각 캐비티(423)는 몸체(421) 중 피시술자의 피부를 향하는 부분, 즉 전면(422)에 구비되며 함몰 형태를 가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21)의 전면(422)이 오목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흡입 냉각 캐비티(423)가 전면(422)에서 후방으로 함몰되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 배출 통로(424)가 흡입 냉각 캐비티(423)와 연통되도록 몸체(421)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 통로(424)는 위에서 설명한 흡입관에 연결되며, 그에 의해 흡입 펌프의 작동에 의해 흡입 냉각 캐비티(423) 내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흡입 냉각 캐비티(423) 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흡입 냉각 캐비티(423) 내의 압력 감소로 인해 피시술자의 피부가 흡입 냉각 캐비티(423) 내로 흡입될 수 있다.
한편 냉각 면(425)이 흡입 냉각 캐비티(423)의 입구의 둘레에 구비된다. 즉, 몸체(421)의 전면 중 흡입 냉각 캐비티(423)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냉각 면(425)이 될 수 있다. 이때 흡입 냉각 캐비티(423)는 몸체(421)의 전면(422)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냉각 면(425)는 흡입 냉각 캐비티(423)의 입구를 둘러싸는 폐도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 면(425)은 피부와의 밀착에 의해 원하는 범위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 폭 이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흡입 냉각 캐비티(423) 및 냉각 면(425)의 형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흡입 냉각 캐비티(423) 및 냉각 면(425)의 형태 및 상대적인 크기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의 흡입에 의한 냉각 기능을 수행하는 흡입 냉각 캐비티(423) 뿐만 아니라 흡입 냉각 캐비티(423) 주위에 피부와의 접촉에 의한 냉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냉각 면(425)이 동시에 구비되기 때문에, 냉각 효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시술 부위에 적용되어 다양한 냉각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냉각 캐비티(423)의 바닥면(4231)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냉각 컵(420)의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컵에 대해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냉각 컵(520)은 흡입 냉각 캐비티(523)를 형성하는 몸체(521)를 포함한다. 흡입 냉각 캐비티(523)에 연통되는 공기 배출 통로(524)가 흡입 냉각 캐비티(523)의 바닥면(5231)에 형성되며, 냉각 면(525)이 흡입 냉각 캐비티(523) 주위에 형성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냉각 캐비티(523)를 형성하는 옆면(5232)은 몸체(521)의 두께 방향에 대해 경사진 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흡입 냉각 캐비티(523)의 바닥면(5231)에는 함몰 공간(5234)이 형성되고, 공기 배출 통로(524)가 이 함몰 공간(5234)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흡입 냉각 캐비티(523)가 이중 공간 구조로 형성되며, 이에 의해 피부가 흡입된 상태에서 공기 배출 통로(524)의 입구가 막히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공기 배출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컵에 대해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냉각 컵(620)은 흡입 냉각 캐비티(623)를 형성하는 몸체(621)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냉각 캐비티(623)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한 쌍의 흡입 냉각 캐비티(623)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한 쌍의 흡입 냉각 캐비티(623)는 연결 공간(62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 공간(626)은 흡입 냉각 캐비티(623)와 마찬가지로 몸체(621)의 전면에서 함몰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런 점에서 흡입 냉각 캐비티(623)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흡입 냉각 캐비티(623)에 연통되는 공기 배출 통로(624)가 연결 공간(626)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냉각 면(625)이 흡입 냉각 캐비티(623) 주위에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 공간(626)의 바닥면은 흡입 냉각 캐비티(623)의 바닥면(6231)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흡입 냉각 캐비티의 개수는 도 9에 도시된 두 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세 개, 네 개 또는 그 보다 많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흡입 냉각 캐비티는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흡입 냉각 캐비티의 구조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냉각 특성의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컵에 대해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냉각 컵(720)의 몸체(721)가 두 부분, 즉 메인 몸체(7211) 및 보조 몸체(7212)로 이루어진다. 이때, 보조 몸체(7212)는 메인 몸체(7211)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흡입 냉각 캐비티(723)는 보조 몸체(7212)에 형성된다. 도 10에는 메인 몸체(7211)와 보조 몸체(7212)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보조 몸체(7212)가 메인 몸체(7211)에서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공기 배출 통로는 메인 몸체(7211)에 형성되는 제1 통로(7241) 및 보조 몸체(7212)에 형성되는 제2 통로(7242)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통로(7241, 7242)는 보조 몸체(7212)가 메인 몸체(7211)에 결합된 상태(즉, 도 10의 상태)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도 10의 상태로 피부에 밀착된 경우 제1 및 제2 통로(7241, 7242)를 통해서 흡입 냉각 캐비티(723)의 공기가 배출되면서 피부의 흡입이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 몸체(7211)의 전면(7251) 및 보조 몸체(7212)의 전면(7252)의 조합에 의해 흡입 냉각 캐비티(723)의 둘레에 구비되는 냉각 면(72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몸체(7212)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거동하여 메인 몸체(7211)에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몸체(7211)의 전면에는 보조 몸체(721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7213)이 구비되고, 보조 몸체(7212)는 이 수용 공간(7213)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공간(7213)을 형성하는 메인 몸체(7211)의 양 측면에 가이드 레일(7214)이 각각 구비되고, 보조 몸체(7212)의 양 측면의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 턱(7215)이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걸림 턱(7215)이 가이드 레일(7214)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몸체(7212)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메인 몸체(7211)의 수용 공간(7213)이 흡입 냉각 캐비티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보조 몸체(7212)의 흡입 냉각 캐비티(723) 및 메인 몸체(7211)의 수용 공간(7213)이 피부 흡입을 위한 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보조 몸체(721)가 제거된 경우 별도의 결합 부재를 메인 몸체(7211)의 수용 공간(7213)의 개방된 측면에 결합시켜 흡입 냉각 캐비티로 작용하는 수용 공간(7213)의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컵에 대해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냉각 컵(820)의 몸체(821)가 두 부분, 즉 메인 몸체(8211) 및 보조 몸체(8212)로 이루어진다. 이때, 보조 몸체(8212)는 메인 몸체(8211)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흡입 냉각 캐비티(823)는 보조 몸체(8212)에 형성된다.
공기 배출 통로는 메인 몸체(8211)에 형성되는 제1 통로(8241) 및 보조 몸체(8212)에 형성되는 제2 통로(8242)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통로(8241, 8242)는 보조 몸체(8212)가 메인 몸체(82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보조 몸체(8212)가 메인 몸체(8211)에 결합된 상태로 피부에 밀착된 경우 제1 및 제2 통로(8241, 8242)를 통해서 흡입 냉각 캐비티(823)의 공기가 배출되면서 피부의 흡입이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 몸체(8211)의 전면(8251) 및 보조 몸체(8212)의 전면(8252)의 조합에 의해 흡입 냉각 캐비티(823)의 둘레에 구비되는 냉각 면(82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몸체(8212)가 끼움-분리 방식으로 거동하여 메인 몸체(8211)에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몸체(8211)의 전면에는 보조 몸체(821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8213)이 구비되고, 보조 몸체(8212)는 이 수용 공간(8213)에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메인 몸체(8211)의 수용 공간(8213)의 바닥면(8215)에는 보조 몸체(8212)의 고정을 위한 진공 그루브(8216)가 형성된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배출을 위한 제1 통로(8241)가 진공 그루브(8216)에 형성된다. 보조 몸체(8212)가 메인 몸체(82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통로(8241)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 진공 그루브(8216)의 공기도 함께 배출되며, 그에 따른 압력에 의해 보조 몸체(8212)가 메인 몸체(8211)에 더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몸체(8212)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메인 몸체(8211)의 수용 공간(8213)이 흡입 냉각 캐비티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보조 몸체(8212)의 흡입 냉각 캐비티(823) 및 메인 몸체(8211)의 수용 공간(8213)이 피부 흡입을 위한 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한 다양한 종류의 냉각 컵은 이에 적합한 하부 몸체가 해당 냉각 컵에 결합함으로써 각각의 냉각부가 완성된다. 즉, 하부 몸체의 하단은 하나의 냉각 컵의 상단에 체결될 수 있도록 그 크기, 열교환기, 연장부 등이 변형되어 준비된다.
그러나 이렇게 준비된 하부 몸체의 상단에 위치한 흡입관 연결부, 급수관 연결부, 환수관 연결부 및 신호선 커넥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하부 몸체(410)의 상단의 흡입관 연결부(415), 급수관 연결부(416), 환수관 연결부(417) 및 신호선 커넥터(418)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비흡입형 냉각 컵(441, 443)에 체결되는 하부 몸체라도 그 상단에 흡입관 연결부가 구비될 필요가 있으며, 이때의 흡입관 연결부는 흡입압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핸드피스(300)와의 장착 편의성과 견고성을 위한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변형되어 준비된 하부 몸체의 상단과 하단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부 몸체의 중간 부위의 변형이 또한 요구되지만,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국 다양한 시술 부위를 위한 여러 종류의 냉각부는 냉각 컵 부분은 서로 다르나, 핸드피스(300)와 결합하는 부위는 어느 냉각부라도 동일하다. 따라서 시술자는 여러 종류의 냉각부를 구비해 두고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에 적합한 냉각부를 선택하고 이를 단일 규격의 핸드피스(300)에 장착함으로써 냉동 지방 분해술을 적절하게 시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술 중에 다른 시술 부위를 시술할 필요가 있을 때 이미 장착되어 시술 중이던 기존 냉각부를 탈착하고, 새로운 냉각부를 교체 장착하여 시술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핸드피스와 냉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도 1과 함께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지방 분해 장치는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냉각부(400), 냉각부(4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드피스(300), 그리고 냉각부(400)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핸드피스(300)에 결합되면 냉각부(400)와 관련된 냉각부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본체(100)를 포함한다.
냉각부(400)는 열전소자(427), 신호선 커넥터(418), 그리고 냉각부(400)의 종류 및 특성을 구분할 수 있는 냉각부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정보 매체(426)를 포함한다. 냉각부 정보는 냉각부 타입, 즉 흡입형/비흡입형 여부, 냉각부(400)의 크기, 냉각부(400)에 요구되는 흡입압 및 전류량, 냉각부(400)에 결합되어 있는 열전소자 정보 등을 포함한다. 열전소자 정보는 열전소자의 종류, 개수, 냉각 성능 등을 포함한다.
정보 매체(426)는 냉각부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일 수 있으며, 메모리는 PCB 등에 실장되어 장착될 수 있다.
핸드피스(300)는 신호선 커넥터(318) 및 보조 제어부(326)를 포함한다. 핸드피스(300)는 시술 시작/정지 버튼(도시하지 않음) 및 시술 상태 표시부(도시하지 않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조 제어부(326)는 이들 장치를 제어하거나 간단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핸드피스(300)에 냉각부(400)가 장착되면 냉각부(400)의 신호선 커넥터(418)와 핸드피스(300)의 신호선 커넥터(318)가 물리적으로 결합되며(S110), 두 신호선 커넥터(318, 418)를 통하여 핸드피스(300)로부터 냉각부(400)로 전원과 제어 전류가 제공되고, 냉각부(400)로부터 핸드피스(300)로 냉각부 정보 관련 신호가 제공된다.
즉, 두 신호선 커넥터(318, 418)가 연결되어 핸드피스(300)로부터 전원이 냉각부(400)로 제공되면 정보 매체(426)가 활성화되고, 보조 제어부(326)가 정보 매체(426)로부터 냉각부 정보를 읽어낼 수 있다. 그러고 나서 보조 제어부(326)는 읽어낸 정보를 본체(100)의 제어부(120)로 전송한다(S120).
이와 같이 시술자가 냉각부(400)를 핸드피스(300)에 장착하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냉각부 정보가 제어부(120)로 전달되므로 시술자는 별도의 냉각부 정보의 입력 없이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으므로 시술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되고, 숙련되지 않아도 되며, 잘못된 냉각부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의료사고의 위험을 없앨 수 있다.
한편 보조 제어부(326)가 냉각부 정보를 정보 매체(426)로부터 읽어내 제어부(120)에 전달하지 않고, 제어부(120)가 직접 냉각부 정보를 정보 매체(426)로부터 읽어낼 수도 있으며, 이때 핸드피스(300)는 제어부(120)와 정보 매체(426)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로서 기능한다.
제어부(120)는 냉각부 정보를 인식한 후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냉각부(400)에 적합한 시술 알고리즘을 산출한다(S130). 즉, 제어부(120)는 냉각부 정보에 기초하여 냉각부(400)가 흡입형인지 비흡입형인지 여부, 냉각부(400)의 크기, 냉각부(400)에 요구되는 흡입압 및 전류량, 냉각부(400)에 결합되어 있는 열전소자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들을 이용하여 시술 시간별 흡입압 및 열전소자(427)에 제공되는 전류량, 열전소자 냉각 제어 등을 포함하는 시술 알고리즘을 산출하고, 시술 시작 버튼이 눌러지면 시술 알고리즘에 따라 시술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 냉동 지방 분해 장치
100: 본체
200: 케이블
300: 핸드피스
400: 냉각부
420, 520, 620, 720, 820: 냉각 컵
421, 521, 621, 721, 821: 몸체
423, 523, 623, 723, 823: 흡입 냉각 캐비티
424, 524, 624, 7241, 7242, 8241, 8242: 공기 배출 통로
425, 525, 625, 725, 825: 냉각 면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냉각 컵으로서,
    몸체,
    상기 몸체 중 피시술자의 피부를 향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함몰 형태의 흡입 냉각 캐비티,
    상기 흡입 냉각 캐비티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 통로, 그리고
    상기 흡입 냉각 캐비티의 입구의 둘레에 구비되며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냉각 면
    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메인 몸체, 그리고 상기 메인 몸체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조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냉각 캐비티는 상기 보조 몸체에 형성되는 냉각 컵.
  9. 제8항에서,
    상기 공기 배출 통로는 상기 메인 몸체에 형성되는 제1 통로 및 상기 보조 몸체에 형성되는 제2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통로는 상기 보조 몸체가 상기 메인 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냉각 컵.
  10. 제8항에서,
    상기 보조 몸체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거동하여 상기 메인 몸체에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각 컵.
  11. 제10항에서,
    상기 메인 몸체는 상기 보조 몸체의 수용을 위한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몸체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냉각 컵.
  12. 제8항에서,
    상기 보조 몸체는 끼움-분리 방식으로 상기 메인 몸체에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각 컵.
  13. 제12항에서,
    상기 메인 몸체는 상기 보조 몸체의 수용을 위한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몸체는 상기 수용 공간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각 컵.
  14. 제13항에서,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면에는 진공 그루브가 형성되는 냉각 컵.
  15. 제14항에서,
    상기 공기 배출 통로는 상기 메인 몸체에 형성되는 제1 통로 및 상기 보조 몸체에 형성되는 제2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통로는 상기 보조 몸체가 상기 메인 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통로는 상기 진공 그루브에 형성되는 냉각 컵.
  16. 피술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냉각 기능을 수행하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드피스, 그리고
    연결관을 통해서 상기 핸드피스에 연결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냉각 컵을 포함하는 냉동 지방 분해 장치.
KR1020170157645A 2017-09-27 2017-11-23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냉각 컵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지방 분해 장치 KR102040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645A KR102040914B1 (ko) 2017-11-23 2017-11-23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냉각 컵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지방 분해 장치
PCT/KR2018/010553 WO2019066302A1 (ko) 2017-09-27 2018-09-10 냉동 지방 분해 장치, 그 핸드피스 조립체, 그 냉각 컵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645A KR102040914B1 (ko) 2017-11-23 2017-11-23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냉각 컵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지방 분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741A KR20190059741A (ko) 2019-05-31
KR102040914B1 true KR102040914B1 (ko) 2019-11-05

Family

ID=6665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645A KR102040914B1 (ko) 2017-09-27 2017-11-23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냉각 컵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지방 분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9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2234A (ja) 2002-03-15 2008-12-18 General Hospital Corp:The 制御冷却による脂肪組織の選択的破壊方法と装置
KR101227286B1 (ko) 2006-02-16 2013-01-30 시네론 메디컬 리미티드 지방 조직의 치료 방법 및 장치
KR101677325B1 (ko) 2013-05-30 2016-11-29 주식회사 하이로닉 냉동 지방 분해 장치
KR101723211B1 (ko) * 2014-12-11 2017-04-05 주식회사 엔씨바이오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각지방분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1014623B1 (pt) 2009-04-30 2020-01-07 Zeltiq Aesthetics, Inc. Sistema para tratamento de celulas subcutâneas ricas em lipídeos em uma área alvo
DE202012002278U1 (de) * 2012-03-08 2012-06-26 Friedemann Lotsch Gerät für die Kryolipolyse
KR102174509B1 (ko) * 2016-09-05 2020-11-04 주식회사 하이로닉 냉동 지방 분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2234A (ja) 2002-03-15 2008-12-18 General Hospital Corp:The 制御冷却による脂肪組織の選択的破壊方法と装置
KR101227286B1 (ko) 2006-02-16 2013-01-30 시네론 메디컬 리미티드 지방 조직의 치료 방법 및 장치
KR101677325B1 (ko) 2013-05-30 2016-11-29 주식회사 하이로닉 냉동 지방 분해 장치
KR101723211B1 (ko) * 2014-12-11 2017-04-05 주식회사 엔씨바이오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각지방분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741A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22866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removing heat from subcutaneous lipid-rich cells
KR101677325B1 (ko) 냉동 지방 분해 장치
US20090048649A1 (en) Heat transfer device: seal and thermal energy contact units
JP2015512677A (ja) 低温脂肪分解用機器
AU2014203094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removing heat from subcutaneous lipid-rich cells
US20220047315A1 (en) Multi-applicator system and method for body contouring
KR101907107B1 (ko) 지방 분해 장치
KR102040914B1 (ko)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의 냉각 컵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지방 분해 장치
KR102174509B1 (ko) 냉동 지방 분해 장치
GB2422769A (en) Heat therapy garment
KR101648178B1 (ko) 고주파 온열 치료기 및 그 방법
KR20190071666A (ko) 냉동 지방 분해 장치, 그 핸드피스 조립체 및 그 구동 방법
KR101722256B1 (ko) 고주파 온열 치료기
KR20190036406A (ko) 냉동 지방 분해 장치, 그 핸드피스 조립체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134122A (ko) 지방 분해 장치
KR20150105274A (ko) 지방 분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