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256B1 -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 Google Patents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256B1
KR102039256B1 KR1020180056191A KR20180056191A KR102039256B1 KR 102039256 B1 KR102039256 B1 KR 102039256B1 KR 1020180056191 A KR1020180056191 A KR 1020180056191A KR 20180056191 A KR20180056191 A KR 20180056191A KR 102039256 B1 KR102039256 B1 KR 102039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bar
coupled
stop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돈
Original Assignee
이병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돈 filed Critical 이병돈
Priority to KR1020180056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alternators or dynamo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수동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웨이트트레이닝기구의,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형태에 따라 벽돌의 적층 무게를 이용하는 머신류와 원판의 무게를 가감하여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햄머형 운동기구의 손잡이 각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2운동바를 자전시켜 비틀림 각도를 조절하는 운동바 회전부;를 포함하고, 운동바 회전부는, 베이스 프레임에 양단부가 힌지 결합된 지지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이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제1,2운동바가 각기 힌지 결합되는 제1브라켓이 형성된 제1,2회전판; 제1,2회전판 사이에 형성되며 지지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연에 치차가 형성되고 하부에 풀리가 형성된 메인원판; 메인원판에 연결되는 바와, 상기 바의 단부에 결합되는 이동판 스토퍼과, 상기 이동판 스토퍼이 끼움결합되도록 다수의 각도조절공이 형성되며 메인원판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평각도조절판; 제1원판과 메인원판의 풀리를 연결하는 제1벨트와, 상기 제2회전판과 메인원판의 풀리를 연결하는 제2벨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Weight Training Equipment with Adjustable Handle Angle}
개시되는 발명은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웨이트트레이닝기구의,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형태에 따라 벽돌의 적층 무게를 이용하는 머신류와 원판의 무게를 가감하여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햄머형 운동기구의 손잡이 각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헬스 클럽에서 하는 운동은 크게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이라 불리는 기구운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구 운동은 다시 운동 목적에 따라 상체 근육운동, 하체 근육운동, 복부 근육운동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상체 근육 운동을 위한 대표적인 운동기구로서, 체스트 프레스, 인크라인 체스트프레스, 디크라인체스트프레스, 쇼울더, 롱풀 머신및 햄머류 운동기구가 있다.
현존하는 상기와 같은 운동기구는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각이 특정되어 있고, 단일 각으로 고정되어져 있어 해당 부위 근육 자극을 다양하게 하지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한국 특허출원 10-2017-0064585호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출원하여 특허 등록을 받은 바 있다.
한국 특허출원 10-2017-0064585호
개시되는 발명은 본 발명자의 선출원 발명인 한국 특허출원 10-2017-0064585호를 개량한 것으로, 중앙의 메인원판을 회전시키면 좌,우측의 제1,2운동바가 각기 상반되게 회전되도록 하여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양측 제1,2운동바가 동일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 손잡이 각도를 조정가능하도록 한 웨이트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개시되는 발명은 해당 근육을 부위별로 다양하게 자극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전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손잡이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가능 하도록 하며, 전기를 사용 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수동으로 손잡이 각도를 조정가능하도록 한 웨이트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상체의 여러 부위별 기구 가운데 흉근을 운동하는 체스트 프레스를 예를 들어 설명 하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시되는 발명에 따른 손잡이 각도 조정가능한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운동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의자의 전면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운동자가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도록 형성된 제1,2운동바; 제1,2운동바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형성되는 중량부재로 구성되어 중량을 제공하는 중량부;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로서,제1,2운동바를 자전시켜 비틀림 각도를 조절하는 운동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바 회전부는, 베이스 프레임에 양단부가 힌지 결합된 지지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이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제1,2운동바가 각기 힌지 결합되는 제1브라켓이 형성된 제1,2회전판; 제1,2회전판 사이에 형성되며 지지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연에 치차가 형성되고 하부에 풀리가 형성된 메인원판; 메인원판에 연결되는 바와, 상기 바의 단부에 결합되는 이동판 스토퍼과, 상기 이동판 스토퍼이 끼움결합되도록 다수의 각도조절공이 형성되며 메인원판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평각도조절판; 제1원판과 메인원판의 풀리를 연결하는 제1벨트와, 상기 제2회전판과 메인원판의 풀리를 연결하는 제2벨트;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자의 선출원 발명인 한국 특허출원 10-2017-0064585호를 개량함으로써, 중앙의 메인원판을 회전시키면 좌,우측의 제1,2운동바가 각기 상반되게 회전되도록 하여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양측 제1,2운동바가 동일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아울러 해당 근육을 부위별로 다양하게 자극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전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손잡이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가능 하도록 하며, 전기를 사용 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수동으로 손잡이 각도를 조정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나타낸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후방 좌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요부 확대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후방 우측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제1,2운동바'의 회전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7은 몸쪽을 향해 '제1,2운동바'를 회전시킨 것이고, 도 8은 바깥쪽을 향해 '제1,2운동바'를 회전시킨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각도변동수용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a)는 몸쪽을 향해 굴절된 상태이고, (b)는 바깥쪽을 향해 굴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자재 안전연결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나타낸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후방 좌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요부 확대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후방 우측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제1,2운동바'의 회전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7은 몸쪽을 향해 '제1,2운동바'를 회전시킨 것이고, 도 8은 바깥쪽을 향해 '제1,2운동바'를 회전시킨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각도변동수용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a)는 몸쪽을 향해 굴절된 상태이고, (b)는 바깥쪽을 향해 굴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각도 조정가능한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100);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운동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200); 의자(200)의 전면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운동자가 전방으로 밀도록 형성된 제1,2운동바(11,12); 제1,2운동바(11,12)의 일측과 커넥팅바(36)를 통해 연결되는 연결대(32)와, 연결대(32)에 형성되는 중량부재(R)로 구성되어 중량을 제공하는 중량부;를 포함하며, 제1,2운동바(11,12)를 수동 또는 전동식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비틀림 각도를 조절하는 운동바 회전부(2); 운동바 회전부(2)를 틸팅시켜 기울임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각 조절부(3); 상기 제1,2운동바의 회전각 및 상하각의 변화를 수용하여 연결대의 수직 운동을 가능케 하는 각도변동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전기적인 제어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동바 회전부(2)는, 의자(200)에 앉은 상태에서 운동자가 양측의 제1,2운동바(11,12)를 자전(自轉, rotation)(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자전'이라 함은 비틀어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것으로 정의됨.)시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흉근의 자극받는 부위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제1,2운동바(11,12)를 자전시켜 각도를 변경시킴으로써 흉근의 바깥쪽, 가운데, 안쪽 등 다양한 부위를 다이내믹하게 변경시켜 자극을 줄 수 있다.
운동바 회전부(2)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양단부가 힌지 결합된 지지프레임(110)의 상부 양측에 이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제1,2운동바(11,12)가 각기 힌지 결합되는 제1브라켓(23)이 형성된 제1,2회전판(21,22); 제1,2회전판(21,22) 사이에 형성되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연에 치차가 형성된 메인원판(24); 메인원판(24)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 제1원판(21)과 메인원판(24) 간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력전달수단과, 제2회전판(22)과 메인원판(24) 간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회전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수단은 메인원판(24)의 상부 중심부로부터 외주연까지 연결되는 바(271)와, 바(271)의 단부에 결합되는 메인 스토퍼(272)와, 메인 스토퍼(272)가 끼움결합되도록 다수의 각도조절공(273)이 형성되며 메인원판(24)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평각도조절판(27);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스토퍼(272)는 솔레노이드(미도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출몰되는 핀 등일 수 있는바, 필요한 상황에서 돌출되어 각도조절공(273)에 끼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회전력전달수단은 제1원판(21)과 메인원판(24)의 풀리(242)를 연결하는 제1벨트(T1)일 수 있고, 제2회전력전달수단은 상기 제2회전판(22)과 메인원판(24)의 풀리(242)를 연결하는 제2벨트(T2)일 수 있는데, 소망하는 대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제1벨트(T1), 제2벨트(T2)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2운동바(11,12)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1벨트(T1)와 제2벨트(T2)의 회전방향이 상반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벨트(T1)는 '8'자형으로 형성되고, 제2벨트(T2)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271)의 상면 일측에는 고정클립(275)이 힌지 결합되고, 고정클립(275)은 메인 스토퍼(272)를 상승시킨 상태로 고정시키는 작동을 하게 된다.
메인 스토퍼(272)를 상승시킨 후 고정클립(275)을 메인 스토퍼(272) 쪽으로 회전시켜 메인 스토퍼(272)를 록킹시켜, 제1,2운동바(11,12)의 각도가 자유각으로 작동되어 사용자의 의도되로 제1,2운동바(11,12)를 밀거나 당길 수 있어 아령을 갖고 운동하는 자유 운동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2운동바(11,12)의 회전 구동을 설명한다.
메인 스토퍼(272)를 상승시켜 각도조절공(273)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후 바(27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메인원판(24)이 회전된다.
메인원판(24)이 회전되면 제1,2벨트(T1,T2)의 상반되는 회전이 수행되고, 제1,2벨트(T1,T2)가 연결된 제1,2원판(21,22)이 상반되게 회전하므로, 제1,2원판(21,22)에 각기 연결된 제1,2운동바(11,12)가 서로 상반되게 회전된다. 전술한 회전은 제자리에 회전되는 자전을 의미한다.
적정한 각도로 메인원판(24)이 회전되도록 하고, 상승시켰던 메인 스토퍼(272)를 놓으면 메인 스토퍼(272)가 각도조절공(273)에 인입되어 각도가 고정된다.
이렇게 제1,2운동바(11,12)를 회전시킴으로써 각각의 손잡이(116,216)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1,2운동바(11,12)는 의자(200)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부의 손잡이(116,216)가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
제1운동바(11)는, 제1회전판(21)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부(23)와 축핀으로 힌지 결합되어 수직하게 형성되며 환봉으로 형성된 하부봉체(111)와, 상기 하부봉체(111)의 상부에 끼움결합되며 내부에 하부봉체(111)와 결합되는 베어링이 형성되어 회전될 수 있는 홀더(113)와, 상기 홀더(113)의 상부에 수직하게 끼움결합되는 상부봉체(112); 및 상기 상부봉체(112)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116)로 구성된다.
제2운동바(12)는, 제2회전판(22)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부(23)와 축핀으로 힌지 결합되어 수직하게 형성되며 환봉으로 형성된 하부봉체(211)와, 상기 하부봉체(211)의 상부에 끼움결합되며 내부에 하부봉체(211)와 결합되는 베어링이 형성되어 회전될 수 있는 홀더(213)과, 상기 홀더(213)의 상부에 수직하게 끼움결합되는 상부봉체(212); 및 상기 상부봉체(212)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216)로 구성된다.
손잡이(116,216) 각각은 수평의 상부바와 하부바 및 수직바로 구성된 'ㄷ'자 형상 또는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구부가 의자(200)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
특히 손잡이(116,216)를 손으로 파지하는 상부바의 중간점을 상부봉체(112,212)의 회전축과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제1,2운동바(11,12)가 회전되더라도 손으로 파지한 부위의 위치는 변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2운동바(11,12)를 회전시켜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흉근의 바깥쪽, 가운데, 안쪽을 의도대로 자극할 수 있다.
홀더(113,213)가 장착되어 있어 운동바 (11,12)가 오른쪽, 왼쪽 방향으로 제자리에서 회전 되더라도 연결대(32)와 커넥팅바(36)는 각도 변화 없이 원래 위치를 유지한다.
제1,2운동바(11,12)를 회전시켜 몸통의 바깥쪽 또는 안쪽을 향하도록 하여 흉근의 내측, 중간, 외측을 세분하여 운동할 수 있다.
일예로 도 8과 같이, 제1,2운동바(11,12)를 몸통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각도를 변경한 상태에서 미는 운동을 하면 흉근의 바깥쪽에 자극을 주게 된다.
또는 도 7와 같이 제1,2운동바(11,12)를 몸통의 안쪽으로 모아지도록 미는 운동을 하면 흉근의 안쪽에 자극을 주게 된다.
도 6과 같이 제1,2운동바(11,12)를 몸통의 중앙에서 미는 운동을 하면 흉근의 가운데에 자극을 주게 된다.
삭제
전술한 메인 스토퍼(272)를 이용하는 방식은 전동식으로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동식으로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실시예에서는 메인원판(24)의 회전 각도를 제1모터(264)로 자동 설정하는 전동식 각도조절부(26)를 더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각도조절부(26)는, 메인원판(24)의 외주연에 형성된 복수의 치차로 이루어진 치차부(261); 상기 치차부(261)에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기어(262)가 형성되고 지지프레임(110)에 장착된 제1모터(264); 제1모터(264)가 장착되며 슬라이드 이동되는 고정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28)는 지지프레임(110)에 연결된 받침판(281)과, 받침판(281)의 상면에 안착된 이동판(282)과, 이동판(282)에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봉(283)으로 구성되고, 수직봉(283)의 상부에 제1모터(264)가 장착된다.
이동판(282)과 받침판(281)에는 각기 조절장공(284)이 형성되고, 조절장공(284)에 결합되어 고정 또는 해제작동하는 이동판 스토퍼(28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이동판 스토퍼(285)을 풀고 이동판(282)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그에 연결된 제1모터(264)와 피니언기어(262)가 치차부(261)로부터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는 운동바 회전부(2)의 바(271)를 손으로 회전시켜 적정한 각도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이동판(282)을 전진시켜 제1모터(264)의 피니언기어가 메인원판의 치차부에 결합되도록 한 후 이동판 스토퍼(285)을 조여서 고정되도록 한 다음 제1모터(264)를 구동시키면 메인원판(24)을 전동식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사전에 제어부(400)의 신호에 따라 메인원판(24)의 회전각도를 고정하는 메인 스토퍼(272)에 장착된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가 메인 스토퍼(272)를 상승시켜 각도조절공(273)으로부터 분리시킨채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원판(24)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각도센서부(265)가 포함된다.
상기 각도센서부(265)는 메인원판(24)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치차부(261)에 근접하여 호형상으로 다수의 접점(266)과, 상기 다수의 접점(266)을 감지하도록 제1모터(264)의 상부에 형성된 센서(267);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부(400)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면 제1모터(264)가 구동되고, 피니언기어(262)가 회전되며, 피니언기어(262)가 치차부(261) 및 메인원판(2)을 일정 각도 만큼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된 각도는 각도센서부(265)에서 리딩한 후 제어부(400)에 표시하게 된다.
메인원판(24)이 회전되면 제1벨트(T1)와 제2벨트(T2)가 서로 상반되게 회전되고, 이에 각기 결합된 제1,2회전판(21,22)이 서로 상반되게 회전되며, 제1,2회전판(21,22)에 결합된 제1,2운동바(11,12)이 회전되어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운동바 회전부(2)를 상하방향으로 기울임 각도를 조절하는 상하 경사각 조절부(3)가 포함된다.
경사각 조절부(3)는 연결대(32)와 제1,2운동바(11,12)의 홀더(113)(213)을 연결하도록 양측에 형성되는 커넥팅바(36); 지지프레임(11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단에 제3스토퍼(371)가 형성된 경사바(373)와, 상기 경사바(373)의 후단에 대응되도록 베이스프레임(100)의 후방 상부에 형성되며 제3스토퍼(371)가 결합되도록 다수의 각도조절공이 종방향으로 형성된 각도판(375)으로 구성된 회동부(37); 연결대(32)와 커넥팅바(36)를 연결하며 제1,2운동바(11,12)의 상하좌우방향의 각도 변화를 수용하고 제1,2운동바(11,12)의 전후진 작동을 연결대(32)에 전달하는 각도변동수용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측 커넥팅바(36) 각각은 제1,2운동바(11,12)의 홀더(113,213)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제1파이프(361)와, 각도변동수용부(38)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제2파이프(362)가 서로 끼움결합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해진다.
제1파이프(361)에는 다수의 길이조절공(363)이 각기 형성되며, 제2파이프(362)에는 제1파이프(361)의 길이조절공(363)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고정력을 제공하는 제1스토퍼(5) 및 제2스토퍼(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3스토퍼(371), 제1스토퍼(5), 제2스토퍼(6) 각각은 원형 파이프와, 원형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길이조절공(363)에 삽입되는 핀과, 핀에 연결된 케이블유닛(5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블유닛(55)이 당겨지면 핀이 길이조절공(363)으로부터 빠지게 되고, 케이블유닛(55)를 놓으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길이조절공(363)에 핀이 인입되어 고정상태가 되어 수동으로 작동시킬수 있다.
케이블유닛(55)은 제3스토퍼(371)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제1스토퍼(5) 및 제2스토퍼(6)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3스토퍼(371)를 작동시키면 케이블유닛(55)이 당겨지고 제1스토퍼(5), 제2스토퍼(6)도 동반하여 당겨져 해제된다.
경사각 조절부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경사바(373)가 지지프레임(110)에 연결되고 경사바(373)를 올리거나 내리고 제3스토퍼(371)로 각도판(375)의 각도조절공에 각도를 고정한다.
경사바(373)를 올리거나 내릴 때 커넥팅바(36)의 길이 변화가 생긴다. 이러한 이유로 커넥팅바(36)의 제1파이프(361)와 제2파이프(362)의 결합구조이어야하면 커넥팅바(36)의 제1파이프(361)에는 장공이 제2파이프(362)에는 각각 제1, 2 스토퍼(5,6)가 장착되고 제3스토퍼(371)가 작동?? 때 동시에 제1, 2 스토퍼(5,6)가 작동되어야하기 때문에 케이블유닛(55)을 사용한다.
예를들어 커넥팅바(36)의 길이를 짧게 하면 제1,2운동바(11,12)는 사용자의 몸쪽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고, 커넥팅바(36)의 길이를 길게 하면 제1,2운동바(11,12)는 수직상태가 된다.
상기 각도변동수용부(38)는 도 2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에는 연결대(32)에 형성된 힌지브라켓(322)과 축핀(323)으로 결합되는 볼(382)과, 상기 볼(382)에 끼움결합되는 조인트(383)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는 커넥팅바(36)에 힌지 결합되는 로드(384)로 구성된다.
로드(384)와 커넥팅바(36)가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조인트(383)가 볼(382)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굴절 작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로드(384)와 커넥팅바(36)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운동시 조인트(383)가 볼(38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제1,2운동바(11,12) 및 커넥팅바(36)의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의 회전운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제3스토퍼(371)를 분리하는 작동에 동반되어 타측의 제1스토퍼(5) 및 제2스토퍼(6)도 동시에 분리될 수 있도록 제1스토퍼(5), 제2스토퍼(6), 제3스토퍼(371)를 연결하는 케이블유닛(55)이 포함된다.
제1,2운동바(11,12)에 각기 커넥팅바(36)가 양측에 구비되고, 각각의 커넥팅바(36)의 제2파이프(362)에 제1,제2스토퍼(5,6)가 각기 형성되고, 지지프레임(110)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바(373)에 제3스토퍼(371)가 형성된다.
제1스토퍼(5), 제2스토퍼(6), 제3스토퍼(371)는 케이블유닛(55)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케이블유닛(55)은 제3스토퍼(371)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제1스토퍼(5) 및 제2스토퍼(6)에 직렬로 연결된다.
제1,2,3스토퍼(5)(6)(371)를 상호 연동되도록 하는 케이블유닛(55)은 내부에 와이어가 삽입된 튜브를 포함하는 것으로, 와이어의 일단이 제3스토퍼(37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스토퍼(5)와 제2스토퍼(6)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3스토퍼(371)를 외측으로 당기면 케이블유닛(55)의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타측의 제1,제2스토퍼(5,6)도 동반하여 당겨지게 되므로 제1,2스토퍼(5,6)의 분리 작동이 동반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1,2,3스토퍼(5,6,371)는 전동식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스토퍼(371)만 솔레노이드밸브가 구비되고, 제어부(400)의 신호를 받아 제3스토퍼(371)의 솔레노이드밸브가 작동하여 핀을 분리하면서 케이블유닛(55)을 당기게 되므로, 제1,2스토퍼(5)(6)는 케이블유닛(55)에 연동되어 분리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경사각 조절부(3)의 수동 작동을 설명한다.
상하 각도조절부(4)를 해제한다.
제3스토퍼(371)를 해제작동시키면, 그에 동반하여 제1스토퍼(5) 및 제2스토퍼(6)가 해제되어 경사바(373)가 프리한 상태가 된다.
이후 경사바(373)를 올리거나 내리면, 지지프레임(110)이 회전되고, 동반하여 커넥팅바(36)의 길이가 변동된다.
각도를 결정하고 제3스토퍼(371)를 고정시키면 동시에 제1,2스토퍼(5,6)도 고정된다.
한편 상기 경사각 조절부(3)의 틸팅 각도를 제2모터(48)로 자동 설정하는 상하 각도조절부(4)를 더 포함한다.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각도조절부(4)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양단부가 힌지 결합된 지지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외주연에 치차가 형성된 부채꼴 기어(42); 부채꼴 기어(42)에 치차결합되는 피니언기어(46)가 형성되며, 베이스 프레임(100)에 결합된 플레이트(120)에 장착된 제2모터(48); 부채꼴 기어(42)의 측면에 호형으로 다수 배치되는 접점(491)과, 제2모터(48)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접점(491)을 감지하는 센서(492)로 구성되는 각도센싱부(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120)는, 길이조절공(121)이 형성되고, 베이스 프레임(100)에 형성된 연결핀(122)이 상기 길이조절공(121)에 관통되게 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절공(121)의 일단에 나사결합되며 장착프레임(143)의 상면에 압착되어 플레이트(120)의 고정력을 발휘하는 고정핸들(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공(121)을 관통하여 장착 프레임(143)에 연결핀(122)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플레이트(120)는 장착 프레임(143)의 상면을 타고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연결핀(122)은 상단에 둥근머리가 형성되어 플레이트(12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되 길이조절공(121)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고정핸들(124)을 풀고 플레이트(12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연결핀(122)이 길이조절공(12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앞뒤로 플레이트(120)가 움직일수 있어 치차결합 또는 분리 작동이 유발되어 피니언기어(46)와 부채꼴 기어(42) 간의 결합 및 분리를 제어하여 제2모터(48)의 동력 전달 또는 차단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들어 플레이트(120)를 후방(의자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부채꼴 기어(42)와 피니언기어(46) 간의 분리되므로 제2모터(48)의 동력 전달이 단락될 수 있다.
제어부(400)의 판넬에서, 전동모드로 전환하면 솔레노이드에 의해 제3스토퍼(371)과 제1스토퍼(5)와 제2스토퍼(6)가 해제되고 이후 제2모터(48)가 구동되어 피니언기어(46)가 부채꼴 기어(42)를 회전시키면 지지프레임(110)이 회전되면서 각도가 설정될 수 있다.
설정된 각도는 각도센싱부(49)에서 인식하여 제어부(400)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10)의 각도 변경에 의해 제1,2운동바(11,12) 및 손잡이(116,216)의 기울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적합한 각도로 설정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각도를 설정함에 따라 흉근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자극이 집중될 수 있다.
한편 중량원판(R)은 연결대(32)에 형성된 끼움봉(321)에 적정한 갯수를 결합시켜 무게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중량체 지지대(63)의 제2수평부재(633)의 말단부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벽돌 형상의 스택을 적층하여 운동 부하를 제공하는 이른바 “머신”의 기구에도 응용할수있다.
한편 상기 연결대(32)의 상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로터를 회전시켜 발전시키는 자가발전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가발전부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방에 장착되며 풀리(73)를 회전축에 구비한 발전기(72); 일단이 연결대(32)에 고정되고 상기 발전기(72)의 풀리(73)에 권취되는 와이어로프(74); 와이어로프(74)의 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신축작동되는 탄성부재(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76)는 코일스프링 또는 탄력밴드인 것이다.
따라서 제1,2운동바(11,12)를 전후로 밀거나 당기는 작동을 실시하면, 연결대(32)가 상하로 회전되고, 연결대(32)에 연결된 와이어로프(74)가 상하 왕복 작동되고 풀리(73)는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함으로써 발전기(72)를 구동시켜 발전을 하게 된다.
탄성부재(76)는 코일스프링이며, 신장되거나 수축되면서 와이어로프(74)의 상하 왕복 작동의 속도를 보다 증속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발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생성된 전기는 축전지(77)에 저장되어 제어부(400)의 디스플레이의 사용 전력으로 사용될 수 있고, 아울러 제1모터(264) 및 제2모터(48)의 사용 전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축전지(77)의 전력량이 적정 수준 이하일 경우 축전지(77)의 표시 램프가 켜지며,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하도록 전원콘센트가 구비되어 축전지(77)를 충전 할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 : 운동바 회전부 3 : 경사각 조절부
4 : 상하 각도조절부 5 : 제1스토퍼
6 : 제3스토퍼 7 : 자가발전부
8 : 의자조절수단 11,12 : 제1,2운동바
32 : 연결대 21,22 : 제1,2회전판
24 : 메인원판 27 : 수평각도조절판
T1 : 제1벨트 T2 : 제2벨트
26 : 전동식 각도조절부 32 : 연결대
34 : 받침대 36 : 커넥팅바
37 : 회동부 38 : 각도변동수용부
42 : 부채꼴 기어 48 : 제2모터
49 : 각도센싱부 55 : 케이블유닛
72 : 발전기 74 : 와이어로프
76 : 탄성부재 77 : 축전지
82 : 가이드봉 84 : 의자프레임
83 : 가동패널 85 : 제5스토퍼
100 : 베이스 프레임 113,213 : 홀더
116,216 : 손잡이 200 : 의자
261 : 치차부 262 : 피니언기어
264 : 제1모터 265 : 각도센서부
371 : 제3스토퍼 400 : 제어부
400 : 제어부

Claims (9)

  1.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운동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상기 의자의 전면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운동자가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도록 형성된 제1,2운동바;
    상기 제1,2운동바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형성되는 중량부재로 구성되어 중량을 제공하는 중량부;
    상기 제1,2운동바를 자전시켜 비틀림 각도를 조절하는 운동바 회전부;
    상기 운동바 회전부를 상하방향으로 기울임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경사각 조절부;
    상기 제1,2운동바의 자전각 및 상하각의 변화를 수용하여 연결대의 수직 운동을 가능케 하는 각도변동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바 회전부는,
    베이스 프레임에 양단부가 힌지 결합된 지지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이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제1,2운동바가 각기 힌지 결합되는 제1브라켓이 형성된 제1,2회전판;
    제1,2회전판 사이에 형성되며 지지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연에 치차가 형성된 메인원판;
    상기 메인원판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
    상기 제1회전판과 메인원판간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력전달수단과, 상기 제2회전판과 메인원판간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회전력력전달수단;
    을 포함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메인원판에 연결되는 바와, 상기 바의 단부에 결합되는 메인 스토퍼와, 상기 메인 스토퍼가 끼움결합되도록 다수의 각도조절공이 형성되며 메인원판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평각도조절판;
    을 포함하는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운동바 각각은
    제1,2회전판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부와 축핀으로 힌지 결합되어 수직하게 형성되며 환봉으로 형성된 하부봉체와, 상기 하부봉체의 상부에 끼움결합되며 내부에 하부봉체와 결합되는 베어링이 형성되어 회전될 수 있는 홀더;
    상기 홀더의 상부에 수직하게 끼움결합되는 상부봉체;
    상기 상부봉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및
    상기 상부봉체에 끼움결합되어 회전되는 홀더과, 상기 홀더과 결합되는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수평의 상부바와 하부바 및 수직바로 구성된 'ㄷ'자 형상 또는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구부가 의자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손잡이를 손으로 파지하는 상부바의 중간점을 상부봉체의 회전축과 일치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 조절부는
    연결대와 제1,2운동바의 홀더를 연결하도록 양측에 형성되는 커넥팅바;
    지지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단에 제3스토퍼가 형성된 경사바와, 상기 경사바의 후단에 대응되도록 베이스프레임의 후방 상부에 형성되며 제3스토퍼가 결합되도록 다수의 각도조절공이 종방향으로 형성된 각도판으로 구성된 회동부;
    연결대와 커넥팅바를 연결하며 제1,2운동바의 상하좌우방향의 각도 변화를 수용하고 제1,2운동바의 전후진 작동을 연결대에 전달하는 각도변동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측 커넥팅바 각각은
    제1,2운동바의 홀더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제1파이프와, 각도변동수용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제2파이프가 서로 끼움결합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 각도변동수용부는
    일측에는 연결대에 형성된 힌지브라켓과 축핀으로 결합되는 볼과, 상기 볼에 끼움결합되는 조인트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는 커넥팅바에 힌지 결합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에는 다수의 길이조절공이 각기 형성되며,
    상기 제2파이프에는 제1파이프의 길이조절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고정력을 제공하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스토퍼, 제2 스토퍼, 제3 스토퍼 각각은,
    솔레노이드와, 원형 파이프와, 상기 원형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공에 삽입되는 핀과, 상기 핀에 연결된 케이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가 작동되거나 케이블유닛이 당겨지면 핀이 길이조절공으로부터 빠지게 되고, 솔레노이드 작동이 멈추거나 케이블유닛를 놓으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길이조절공에 핀이 인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작동시킬수 있는 상태가 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6. 제 2항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스토퍼를 각도조절공에서 분리시킨 후 제1,2회전판의 자전 각도를 설정하는 전동식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식 각도조절부는
    메인원판의 외주연에 형성된 복수의 치차로 이루어진 치차부;
    상기 치차부에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기어가 형성되고 지지프레임에 장착된 제1모터;
    제1모터가 장착되며 슬라이드 이동되는 고정부;
    메인원판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각도센서부;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지지프레임에 연결된 받침판과, 받침판의 상면에 안착된 이동판과, 이동판에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봉으로 구성되고, 수직봉의 상부에 제1모터가 장착되며,
    상기 이동판과 받침판에는 각기 조절장공이 형성되고, 조절장공에 결합되어 고정 또는 해제작동하는 이동판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도센서부는,
    메인원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치차부에 근접하여 호형상으로 다수의 접점과,
    상기 다수의 접점을 감지하도록 제1모터의 상부에 형성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 조절부의 각도를 설정하는 상하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 각도조절부는
    베이스 프레임에 양단부가 힌지 결합된 지지프레임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외주연에 치차가 형성된 부채꼴 기어;
    상기 부채꼴 기어에 치차결합되는 피니언기어가 형성되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된 플레이트에 장착된 제2모터; 및
    상기 부채꼴 기어의 측면에 호형으로 다수 배치되는 접점과, 제2모터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접점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는 각도센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의 상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로터를 회전시켜 발전시키는 자가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가발전부는,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며 풀리를 회전축에 구비한 발전기; 일단이 상기 연결대에 고정되고 상기 발전기의 풀리에 권취되는 와이어로프; 상기 와이어로프의 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신축작동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의 상면 일측에는 고정클립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고정클립은 메인 스토퍼를 상승시킨 상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KR1020180056191A 2018-05-16 2018-05-16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KR102039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191A KR102039256B1 (ko) 2018-05-16 2018-05-16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191A KR102039256B1 (ko) 2018-05-16 2018-05-16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256B1 true KR102039256B1 (ko) 2019-11-26

Family

ID=68731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191A KR102039256B1 (ko) 2018-05-16 2018-05-16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498A (ko) 2022-02-09 2023-08-17 주식회사 론픽 능동부하 복합운동 트레이닝 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615A (ko) * 2002-05-27 2003-12-03 최윤석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US7862484B1 (en) * 2009-11-03 2011-01-04 Coffey Calvin T Folding exercise rowing machine
CN105749496A (zh) * 2016-04-26 2016-07-13 河南师范大学 拉力可调式健身发电装置
KR20160085079A (ko) *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마이크로오토메이션 액추에이터 및 그를 이용한 운동 기구
KR20170064585A (ko) 2015-12-01 2017-06-12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615A (ko) * 2002-05-27 2003-12-03 최윤석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US7862484B1 (en) * 2009-11-03 2011-01-04 Coffey Calvin T Folding exercise rowing machine
KR20160085079A (ko) *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마이크로오토메이션 액추에이터 및 그를 이용한 운동 기구
KR20170064585A (ko) 2015-12-01 2017-06-12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체결장치
CN105749496A (zh) * 2016-04-26 2016-07-13 河南师范大学 拉力可调式健身发电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498A (ko) 2022-02-09 2023-08-17 주식회사 론픽 능동부하 복합운동 트레이닝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512B1 (ko)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US5071117A (en) Electric exercise appliance
GB2170413A (en) Weight stack type exercising device
CN111437566B (zh) 一种基于体育教学用的高拉力背肌训练器
ES2278104T3 (es) Maquina de ejercicios.
KR102039256B1 (ko)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CN108905079B (zh) 基于恒转矩控制的电机配重式上肢健身器械
CN114225299A (zh) 一种组合训练体育器材
CN108095973B (zh) 一种电动扭腰机
CN108837418B (zh) 一种可调节上肢肌肉拉伸器材
US6283898B1 (en) Mechanical weightlifting machine
CN207804898U (zh) 腿屈伸发电式健身器
US20060094571A1 (en) Mechanical weightlifting machine
KR101771595B1 (ko) 무게추가 배제된 운동기구
US5470296A (en) Sport jump apparatus
CN109621314B (zh) 劈叉健身器材
KR20040083834A (ko) 웨이트 트레이닝용 운동기구
KR100582108B1 (ko) 하체 운동기구
CN109925654B (zh) 一种可智能加码的锻炼手臂肌肉的训练装置
CN207913083U (zh) 一种可调节滚筒健身装置
CN111013099A (zh) 一种全方位多模式颈肌训练器
SU1643025A1 (ru) Тренажер
KR20160075250A (ko) 괄약근 운동기구
CN109646874A (zh) 划船健身装置
JP2013031642A (ja) 体幹トレー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