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066B1 -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066B1
KR102039066B1 KR1020190042244A KR20190042244A KR102039066B1 KR 102039066 B1 KR102039066 B1 KR 102039066B1 KR 1020190042244 A KR1020190042244 A KR 1020190042244A KR 20190042244 A KR20190042244 A KR 20190042244A KR 102039066 B1 KR102039066 B1 KR 102039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measurement
alcohol
access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관
Original Assignee
김동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관 filed Critical 김동관
Priority to KR1020190042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066B1/ko
Priority to PCT/KR2020/004497 priority patent/WO20202095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통해 현장 근로자들의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게이트마다 설치된 생체신호 인식기 및 음주측정기, 상기 생체신호 인식기에서 인식된 생체신호로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되, 출입 가능한 근로자 중 랜덤으로 선택되거나 관리대상으로 선택된 특정 근로자에 대해 음주측정을 추가수행하여 게이트별 근로자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Access and management system using bio-signal and drinking measurement signal}
본 발명은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통해 현장 근로자들의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게이트마다 설치된 생체신호 인식기 및 음주측정기, 상기 생체신호 인식기에서 인식된 생체신호로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되, 출입 가능한 근로자 중 랜덤으로 선택되거나 관리대상으로 선택된 특정 근로자에 대해 음주측정을 추가수행하여 게이트별 근로자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공사 현장, 건물 및 사무실 등과 같이 특정인만 출입이 허가되는 지역(장소)에는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건설 공사 현장은 일일 근로자를 채용하여 공사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고 안전이 요구되는 장소로, 근로자의 출입을 인증하고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관한 선행특허문헌으로 한국공개특허 제2015-0096251호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근로자나 작업자의 현장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로 카드(card) 등의 물리적인 도구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물리적인 출입 통제 시스템은 분실, 파손 및 소지에 따른 불편함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도난 및 복제 등에 따른 부정 출입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건설 현장의 경우, 고된 작업 등으로 인해 점심시간 및 작업종료 후 음주를 즐기는 현장 근로자들이 종종 있다. 이러한 음주의 영향으로 작업시 안전사고에 따른 산업재해가 발생되고 있어, 이에 대한 관리도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본 출원원인은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근로자 정보의 보안을 강화하면서 음주측정도 함께 수행하여 작업에 지장을 주는 근로자의 현장 출입을 제한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출입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15-0096251호(2015.08.24.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통해 현장 근로자들의 출입을 제어함으로써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면서 음주로 인한 위험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음주측정을 랜덤 및 관리대상 근로자에 대해 수행함으로써 출입인증에 따른 시간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은,
게이트마다 설치된 생체신호 인식기 및 음주측정기, 생체신호 인식기에서 인식된 생체신호로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되, 출입 가능한 근로자 중 랜덤으로 선택되거나 관리대상으로 선택된 특정 근로자에 대해 음주측정을 추가수행하여 게이트별 근로자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제어기는,
상기 음주측정기를 구동시키는 음주측정 구동신호를 기설정된 횟수(n) 발생시키되, 상기 관리대상 근로자의 음주측정을 위한 조건 음주측정 구동신호의 발생횟수(m)를 제외한 랜덤 음주측정 구동신호의 발생횟수(x)만큼 랜덤으로 음주측정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제어기는,
게이트별 음주측정 구동신호 발생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조건 음주측정 구동신호에 의해 특정 게이트에서 카운팅 횟수가 다른 게이트 대비 증가되면, 증가된 특정 게이트 외의 다른 게이트에 설치된 음주측정기로 랜덤 음주측정 구동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제어기는,
상기 음주측정 구동신호의 미발생시 상기 생체신호 판단에 따라 해당 게이트를 개방시키고, 상기 음주측정 구동신호가 발생되면 음주측정결과 미음주 판단시 해당 게이트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제어기로부터 음주적발 근로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주적발 근로자정보를 이용해 일정기간별 근로자들의 음주적발횟수 패턴을 추출하여 음주발생 요일 및 시간대를 예측하고, 상기 일정기간별 누적 음주적발횟수 변동에 따라 음주측정 구동신호 발생횟수를 설정하여 상기 예측된 요일 및 시간대에 랜덤 음주측정이 수행되도록 상기 출입제어기로 설정정보를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기저장된 근로자 정보로부터 음주적발횟수가 기설정 횟수 이상인 근로자, 최근 음주적발된 근로자, 안전이 요구되는 특정 업무직종 근로자를 추출하여 관리대상 근로자로 판단하고, 판단된 관리대상 근로자의 정보를 상기 출입제어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출입관리시스템은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통해 현장 근로자들의 출입을 제어함으로써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면서 음주로 인한 위험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근로자 정보의 보안도 강화할 수 있다.
특히, 음주측정을 랜덤 및 관리대상 근로자에 대해 수행하되, 관리대상 근로자에 의한 음주측정횟수 및 측정 게이트 위치에 따라, 랜덤 음주측정횟수 및 측정게이트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출입인증에 따른 시간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해당 현장별로 음주발생횟수를 분석하여 현장별 음주 요일 및 시간을 예측하고, 기설정 주기별 누적 음주발생횟수의 증감에 따른 랜덤 음주측정횟수를 설정하여 현장상황에 따른 음주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출입제어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관리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이하, 출입관리시스템이라 함)은 생체신호 인식기(100), 음주측정기(200), 출입제어기(300), 게이트(400) 및 관리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400)는 복수 개가 될 수 있고, 생체신호인식(100) 및 음주측정기(200)는 게이트(400)마다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은 건설현장 등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출입을 허가하고, 근로자의 음주에 따른 안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음주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의 2차 측정은 출입시간의 지연이 발생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생체신호로 1차 허가된 근로자 중 랜덤하게 선택된 근로자 및 관리대상인 근로자에 대해 음주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생체신호 인식기(100)는 건설현장 등에 출입을 요청하는 근로자의 생체신호를 스캔하는 생체신호 스캐너가 될 수 있다. 이때, 생체신호는 근로자의 혈관, 홍채, 지문, 음성 및 얼굴 등이 될 수 있고, 근로자별로 다른 신체부위의 생체신호로 등록되어 출입 가능 여부 판단시 이용될 수 있다.
음주측정기(200)는 출입제어기(3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특정 근로자의 음주측정을 요청하고, 특정 근로자의 혈중알코올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음주측정기(200)는 전기화학식센서 등을 이용하여 정밀 측정을 할 수 있으며, 음주측정은 LED 점멸 또는 음성 등으로 요청할 수 있다.
출입제어기(300)는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음주측정에 따라 게이트(400)의 개방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입제어기(300)는 생체신호 인식기(100)에서 인식된 생체신호와 기저장된 출입 가능한 근로자의 생체신호를 비교하여 출입을 요청한 근로자의 출입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출입제어기(300)는 1차적으로 출입 허가된 근로자를 대상으로, 랜덤 또는 근로자 조건에 따라 음주측정기(200)의 구동을 제어하여 음주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출입제어기(300)는 음주측정을 통해 근로자의 음주 여부를 판단하여 특정 근로자의 최종적 출입을 허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출입제어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출입제어기(300)는 생체신호 판단부(310), 음주측정 발생부(320), 카운팅부(330) 및 게이트 제어부(340)를 포함하고, 음주측정 발생부(320)는 랜덤 발생부(321) 및 조건발생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신호 판단부(310)는 생체신호 인식기(100)에서 인식된 생체신호와 기저장된 출입 가능한 근로자의 생체신호를 비교하여 출입을 요청한 근로자의 출입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음주 측정 발생부(320)는 음주측정기(120)로 음주측정 구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음주측정 구동신호는 랜덤 또는 관리대상 근로자의 출입요청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음주 특정 발생부(320)는 조건 발생부(322)의 음주측정 횟수(m) 및 발생 게이트 위치에 따라 랜덤 발생부(321)의 음주측정 구동신호 발생횟수(x) 및 발생 게이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랜덤 발생부(321)는 관리서버(500)로부터 수신된 기설정 횟수(n회)만큼 음주측정 구동신호를 발생하되, 랜덤으로 특정 게이트(400)에 음주측정 구동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이하, 랜덤 발생부(321)에서 발생되는 음주측정 구동신호는 랜덤 음주측정 구동신호라 함).
일 예로, 랜덤 발생부(321)는 관리서버(500)에 의해 설정된 횟수가 100회이면, 1번 게이트 5번째 근로자(1회), 3번 게이트 10번째 근로자(2회) … 2번 게이트 300번째 근로자(100회) 발생시 음주측정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조건 발생부(322)는 관리서버(500)에서 분석한 음주 측정 관리대상인 근로자의 생체신호 인식시, 해당 게이트로 음주측정 구동신호(이하, 조건 발생부(322)에서 발생되는 음주측정 구동신호는 조건 음주측정 구동신호라 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조건 발생부(322)에 의한 음주측정 횟수의 증가로 출입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건 발생부(322)에서 발생된 조건 음주측정 구동신호의 발생횟수(m)만큼 랜덤 발생부(321)의 기설정 횟수(n)를 차감시켜 랜덤 음주측정 구동신호의 발생횟수(x)를 조절할 수 있다. 즉, x는 m-n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특정 게이트(400)에서 음주측정 구동신호가 연속발생하여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운팅부(330)는 게이트(400)별 음주측정 구동신호 발생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카운팅부(330)는 조건 발생부(322)의 조건 음주측정 구동신호에 의해 특정 게이트의 카운팅 횟수가 다른 게이트 대비 증가되면 해당 특정 게이트 외의 게이트에서 남은 랜덤 음주측정 구동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4개의 게이트가 구비되고, 1번 게이트에서 조건 음주측정 구동신호가 a번 연속 발생되어 다른 게이트와의 발생횟수 차가 기준 횟수 이상이 되면, 발생횟수 차만큼 2번 내지 4번 게이트에서 랜덤 음주측정 구동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하여 조건 음주측정 구동신호 발생에 의해 특정 게이트에서 음주측정 횟수가 증가하지 않게 할 수 있다.
게이트 제어부(340)는 음주측정 구동신호가 미발생시 생체신호 판단부(310)의 1차적 출입허가 판단시 해당 게이트(4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제어부(340)는 음주측정 구동신호 발생시 음주측정결과 미음주 판단시 해당 게이트(4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게이트 제어부(340)는 게이트 개방시 해당 근로자의 출입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여 근태관리를 할 수 있게 하고, 음주판단시 해당 근로자의 음주적발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여 관리대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도 1의 관리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관리서버(500)는 관리부(510), 음주측정 분석부(520) 및 관리대상 근로자 판단부(53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부(510)는 현장별 근로자 정보(이름, 생체정보, 근태정보, 업무직종, 음주적발정보, 스케줄 등)을 관리할 수 있다. 관리부(510)는 게이트 제어부(340)로부터 근로자의 출입정보 및 음주적발정보를 수신하면, 기설정주기로 근로자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음주측정 분석부(520)는 일정기간별 근로자들의 음주적발횟수 패턴을 분석하여 음주 발생이 예측되는 요일 및 시간대를 분석하고, 기간별 음주적발횟수 변동(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랜덤 발생부(321)의 기설정 횟수(n)를 설정하여 랜덤 발생부(32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주적발횟수가 이전 기간대비 증가한 경우 기설정횟수를 증가시키고, 감소한 경우 차감시킬 수 있다.
관리대상 근로자 판단부(530)는 관리부(510)의 근로자 정보로부터 음주적발횟수가 기설정 횟수 이상인 근로자, 최근 음주 적발된 근로자, 안전이 요구되는 특정 업무직종 근로자(일 예로, 용접공, 장비운전자 등)를 추출하여 관리대상 근로자로 판단하고, 해당 현장에 따라 관리대상 근로자 정보를 조건 발생부(322)로 제공하여 음주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에, 관리대상 근로자 정보는 근로자 정보의 업데이트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거나, 현장 근무일(근무시작 전)마다 업데이트될 수 있게 한다.
한편,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작업현장에서 관리자가 안전순찰시 랜덤으로 음주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음주적발시 해당 근로자의 정보도 관리서버(500)로 전송될 수 있다. 음주측정 분석부(520) 및 관리대상 근로자 판단부(530)는 전송된 음주적발 근로자의 정보를 분석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3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 생체신호 인식기 200 : 음주측정기
300 : 출입제어기 400 : 게이트
500 : 관리서버 310 : 생체신호 판단부
320 : 음주측정 발생부 321 : 랜덤 발생부
322 : 조건 발생부 330 : 카운팅부
340 : 게이트 제어부 510 : 관리부
520 : 음주측정 분석부 530 : 관리대상 근로자 판단부

Claims (6)

  1. 건설현장의 출입제어를 위한 게이트마다 설치된 생체신호 인식기 및 음주측정기;
    상기 생체신호 인식기에서 인식된 생체신호로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되, 출입 가능한 근로자 중 랜덤으로 선택되거나 관리대상으로 선택된 특정 근로자에 대해 음주측정을 추가수행하여 게이트별 근로자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제어기; 및
    건설현장별 음주측정횟수(n)를 설정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제어기는,
    상기 음주측정기를 구동시키는 음주측정 구동신호를 해당 건설현장에 설정된 음주측정횟수(n)만큼 발생시키되, 상기 관리대상 근로자의 음주측정을 위한 조건 음주측정 구동신호의 발생횟수(m)를 제외한 랜덤 음주측정 구동신호의 발생횟수(x)만큼 랜덤으로 음주측정기를 구동시키고, 게이트별 음주측정 구동신호 발생횟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조건 음주측정 구동신호에 의해 특정 게이트에서 카운팅 횟수가 다른 게이트 대비 증가되면, 증가된 특정 게이트 외의 다른 게이트에 설치된 음주측정기로 랜덤 음주측정 구동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출입제어기로부터 음주적발 근로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주적발 근로자정보를 이용해 일정기간별 근로자들의 음주적발횟수 패턴을 추출하여 음주발생 요일 및 시간대를 예측하고, 상기 일정기간별 누적 음주적발횟수 변동에 따라 상기 음주측정횟수(n)를 설정하여 상기 예측된 요일 및 시간대에 랜덤 음주측정이 수행되도록 상기 출입제어기로 설정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제어기는,
    상기 음주측정 구동신호의 미발생시 상기 생체신호 판단에 따라 해당 게이트를 개방시키고, 상기 음주측정 구동신호가 발생되면 음주측정결과 미음주 판단시 해당 게이트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기저장된 근로자 정보로부터 음주적발횟수가 기설정 횟수 이상인 근로자, 최근 음주적발된 근로자, 안전이 요구되는 특정 업무직종 근로자를 추출하여 관리대상 근로자로 판단하고, 판단된 관리대상 근로자의 정보를 상기 출입제어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
KR1020190042244A 2019-04-11 2019-04-11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 KR102039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244A KR102039066B1 (ko) 2019-04-11 2019-04-11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
PCT/KR2020/004497 WO2020209543A1 (ko) 2019-04-11 2020-04-02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244A KR102039066B1 (ko) 2019-04-11 2019-04-11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066B1 true KR102039066B1 (ko) 2019-10-31

Family

ID=6842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244A KR102039066B1 (ko) 2019-04-11 2019-04-11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9066B1 (ko)
WO (1) WO202020954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543A1 (ko) * 2019-04-11 2020-10-15 김동관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
CN113112654A (zh) * 2021-03-30 2021-07-13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门禁服务主机切换方法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8051A (ko) * 2009-04-23 2010-11-04 배선배 산업재해예방 근태관리장치
KR101396411B1 (ko) * 2013-11-20 2014-05-19 김동관 핀과 생체인식을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50096251A1 (en) 2011-12-21 2015-04-09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Facade
KR20160129970A (ko) * 2015-04-30 2016-11-10 (주)한국크레딕라이프 자동 근태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이에 관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2975A (ja) * 2000-03-29 2001-10-12 Japan Nuclear Security System Co Ltd 従業者管理システム
KR102039066B1 (ko) * 2019-04-11 2019-10-31 김동관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8051A (ko) * 2009-04-23 2010-11-04 배선배 산업재해예방 근태관리장치
US20150096251A1 (en) 2011-12-21 2015-04-09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Facade
KR101396411B1 (ko) * 2013-11-20 2014-05-19 김동관 핀과 생체인식을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9970A (ko) * 2015-04-30 2016-11-10 (주)한국크레딕라이프 자동 근태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이에 관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543A1 (ko) * 2019-04-11 2020-10-15 김동관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
CN113112654A (zh) * 2021-03-30 2021-07-13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门禁服务主机切换方法和装置
CN113112654B (zh) * 2021-03-30 2022-10-25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门禁服务主机切换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9543A1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saak et al. The attentional blink reflects retrieval competition among multiple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items: tests of an interference model.
KR102039066B1 (ko) 생체신호 및 음주측정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
US8065529B2 (en) Methods for using a biometric parameter in the identification of persons
EP1160721A2 (en) Biometric score normalizer and method therefor
DE59903204D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iometrischen identifikation einer person
JP2010092122A (ja) 認証システム、生体認証装置、及び生体認証方法
ATE521023T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verhinderung der unbefugten benutzung einer einrichtung
KR101011414B1 (ko) 보안 관리 시스템
CN115240264B (zh) 访客风险值评估方法及系统
CN208705952U (zh) 一种权限管理设备
Ahmed et al. Dynamic sample size detection in continuous authentication using sequential sampling
EP3965078A1 (en) Enhanced entry authorization
JP6962248B2 (ja) 生体認証システム、生体認証装置、自動改札機、生体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96944B1 (ko) 출입 및 관리 시스템
KR101395675B1 (ko)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US202003120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 access
KR100774029B1 (ko) 보안구역의 출입 통제 장치
KR101926709B1 (ko) 생체 인증 및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0044619A (ja) アクセス対象に対する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およびアクセス制御方法
CN110084947A (zh) 门禁信息更新方法、装置
DE10201501018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einer Personenkontrolle
KR102549944B1 (ko) 인공지능 기술기반의 의료기관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2926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gnition-dependent access control
KR20190001488A (ko) 생체신호 셀프 자동등록기
JP2001282975A (ja) 従業者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