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742B1 -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 Google Patents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742B1
KR102037742B1 KR1020180093257A KR20180093257A KR102037742B1 KR 102037742 B1 KR102037742 B1 KR 102037742B1 KR 1020180093257 A KR1020180093257 A KR 1020180093257A KR 20180093257 A KR20180093257 A KR 20180093257A KR 102037742 B1 KR102037742 B1 KR 102037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tructure
rubber
prepreg
pad
rubb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윤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3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7Parts immersed or impregnated in a matrix
    • B32B2305/076Prepr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12Sh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물을 지지하고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선체에 적용하는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SANDWICH PAD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물을 지지하고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선체에 적용하는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적재물은 하면과 접촉되는 선체의 면적이 한정되어 있어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할 경우, 선체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지지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보강재가 설치되면서 작업 공정이 복잡해지고, 선체의 총 무게 또한 증가함으로써 선박이 항해 시에 소모되는 연료량이 증가하며, 이로 인하여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박의 추진, 파도에 의한 영향 및 해양사고 등에 의한 적재물 간의 충돌이나 선체 구조물과의 충돌로 인하여 큰 손실을 야기할 수 있어, 이러한 충돌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용 보강재가 개발되어왔다.
종래 선박용 보강재로서 샌드위치 패드(Sandwich Pad)는 두 개의 철판 사이에 폴리우레탄 등의 발포체를 채워 샌드위치 구조로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철판은 장시간 사용 시 피로도가 증가하며, 기후 조건에 따른 부식 및 충격에 의한 휨 등에 의해 파괴가 일어나 수명이 짧을 뿐만 아니라, 철판으로 인해 과다중량 되어 상기 샌드위치 패드의 운반, 교체 및 보완 시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제작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박의 추진으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이 선체에 전달되면서 선박에 탑승한 승조원이 상당한 진동과 소음에 노출되어 피로감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는데, 상기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샌드위치 패드는 진동과 소음을 충분히 상쇄하지 못하고 통과시키며, 수분 흡수율 또한 높아 시간이 지날수록 선체의 무게를 더욱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타 선박보다 따른 속도를 요구하는 고속정의 경우, 선체의 무게 증가로 인하여 속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어 종래 샌드위치 패드를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선박 적재물의 수직하중을 지지하여 선체가 받는 힘을 줄여주며, 우수한 완충기능, 강도 및 안정성을 가지는 저중량의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리섬유 프리프레그 및 탄소섬유 프리프레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프리프레그를 적어도 두 층 이상 적층하여 일체화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코어구조체; 상기 코어구조체의 외측부를 고무로 둘러싸고 형성되는 고무층; 및 상기 코어구조체와 고무층의 계면에 형성되는 탄성 입자를 포함하는 크레졸계 수지 접착층;을 포함하는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를 제조함에 따라 우수한 기계적 물성,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을 가지며, 경량화로 인한 작업 효율이 향상된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어구조체로서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함침시켜 제조되는 유리섬유 프리프레그,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및 이들의 혼합 프리프레그가 두 층 이상 적층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특정방향으로 휘는 현상 및 외부 충격에 의한 파단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어구조체와 고무층 계면에 크레졸계 수지 용액을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함에 따라 코어구조체와 고무층 간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박리를 방지하고, 내충격성이 더욱 향상된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유리섬유 프리프레그 및 탄소섬유 프리프레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프리프레그를 적어도 두 층 이상 적층하여 일체화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코어구조체; 상기 코어구조체의 외측부를 고무로 둘러싸고 형성되는 고무층; 및 상기 코어구조체와 고무층의 계면에 형성되는 탄성 입자를 포함하는 크레졸계 수지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유리섬유 프리프레그 및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는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가 함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유리섬유 프리프레그 및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는 폴리아미드 수지가 함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접착층은 크레졸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성 입자가 1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탄성 입자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분말로서 10 내지 300 ㎛의 평균입경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고무층 내에 적어도 두 층 이상의 코어구조체가 이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의 제조방법은 a) 유리섬유 프리프레그 및 탄소섬유 프리프레그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매트에 열함침시켜 제조되는 프리프레그를 적어도 두 층 이상 적층하고 가온 및 가압하여 제조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코어구조체 제조단계; b)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표면에 탄성 입자를 포함하는 크레졸계 수지 용액을 도포하여 건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코어구조체의 양면에 고무시트를 적층한 후, 가열 및 압착하여 상기 코어구조체의 외측부를 고무층으로 감싸 일체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c) 단계는 코어구조체와 고무시트를 교대로 적층하고 외측부를 고무층으로 감싼 후, 가열 및 압착하여 일체화하는 단계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기계적 물성, 내충격성, 내마모성, 굴곡변형율 및 굴곡탄성률이 우수하며, 경량화로 인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코어구조체로서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함침시켜 제조되는 프리프레그를 사용함으로써 선체의 중량 증가를 방지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코어구조체 및 고무층을 포함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한 변형과 파단에 강하며, 특정방향으로 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화학성으로 부식 방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코어구조체와 고무층 계면에 탄성 입자를 포함하는 크레졸계 수지 접착층을 더 포함함으로써 접착력 및 강도가 더욱 향상되어, 충격에 의한 파단 및 박리를 방지하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향상된 완충성능을 가지며 선체의 변형을 방지하고 우수한 충돌 안정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종래 선박용 보강재에 비하여 선체의 총 무게를 감소시켜 항해 시 소모되는 연료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포함한 구체예 또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리프레그”는 매트릭스 수지를 강화섬유에 미리 함침시킨 반경화상태의 시트를 의미하며, 상기 “함침”은 강화섬유에 매트릭스 수지가 간극 없이 침투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유리섬유 프리프레그 및 탄소섬유 프리프레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프리프레그를 적어도 두 층 이상 적층하여 일체화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코어구조체; 상기 코어구조체의 외측부를 고무로 둘러싸고 형성되는 고무층; 및 상기 코어구조체와 고무층의 계면에 형성되는 탄성 입자를 포함하는 크레졸계 수지 접착층;을 포함하는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이다.
본 발명은 상기 코어구조체로, 비스페놀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유리섬유 프리프레그,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및 유리섬유와 탄소섬유의 혼합 프리프레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프리프레그를 적층하여 제조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유리섬유 프리프레그와 탄소섬유 프리프레그의 장점을 향상시키거나, 결합하여 시너지를 발휘하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프리프레그는 유리섬유 프리프레그의 장점인 우수한 굴곡변형율, 신율, 내화학성 및 저렴한 가격을 가지고, 탄소섬유 프리프레그의 우수한 인장강도, 모듈러스, 내화학성 및 낮은 비중을 가지며, 이를 상호보완적으로 발현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섬유강화플라스틱 자체를 코어구조체인 보강재로 사용하지 않고, 프리프레그 형태로 사용함으로써, 강화섬유인 유리섬유와 탄소섬유의 비율조절, 강화섬유 배향조정 및 재단이 용이하고, 가공시간이 단축되며, 균일한 물성을 기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리프레그를 다층으로 적층하여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제조함에 따라 굴곡강도, 굴곡변형율 및 굴곡탄성률이 현저히 향상되어 외부 환경 및 힘에 의한 변형 또는 파단에 견딜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에 사용되는 철판의 경우, 철판에 의해 한정적인 물성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내 프리프레그의 종류 및 비율을 조절함에 따라 원하는 물성을 균일하게 구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및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리프레그 내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의 함량은 20 내지 80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30 내지 6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의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는 기계적 강도 및 물성의 밸런스가 우수하고, 경화 수축이 작아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의 철판 보강재에 비하여 무게가 현저히 낮아 선체의 고중량화를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연료량 및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조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폴리아미드 수지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Nylon 6, Nylon 66, Nylon 610, Nylon 611, Nylon 612, Nylon 1010, Nylon 1011, Nylon 1012, Nylon 1111, Nylon 1112, Nylon 1212, Nylon 46 및 Nylon MXD6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리프레그 내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량은 20 내지 80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30 내지 6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의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는 기계적 강도, 내충격성 및 굴곡변형율이 우수하면서 가공, 재단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가공 시 발생하는 프리프레그 잔여물의 재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량화로 인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프리프레그는 수지를 고온에서 압출하여 유리섬유매트 및 탄소섬유매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매트에 열함침시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매트 및 탄소섬유매트는 수지를 보강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우수한 인장강도, 굴곡변형율, 내화학성 및 낮은 비중 등의 물성을 수지에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은 프리프레그를 적어도 두 층 이상 적층하고 가온 및 가압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은 두 층 이상의 유리섬유 프리프레그가 적층되거나, 탄소섬유 프리프레그가 적층되거나, 유리섬유와 탄소섬유의 혼합 프리프레그가 적층된 단독 적층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은 유리섬유 프리프레그,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및 혼합 프리프레그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의 프리프레그가 적층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적층 형태는 단독 적층하였을 때보다 굴곡강도, 굴곡변형율 및 굴곡탄성률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은 프리프레그의 인장강도 및 내화학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굴곡강도가 우수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파단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디는 힘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서 유리섬유 프리프레그와 탄소섬유 프리프레그가 순차적으로 교호 적층된 형태는 굴곡강도, 굴곡변형율 및 굴곡탄성률이 현저히 향상되어 우수한 전단계수를 가짐으로써, 외부 환경에 의한 변형 및 파단을 방지하는 효과가 증대된다.
상기 교호 적층된 섬유강화플라스틱 내 유리섬유 프리프레그 및 탄소섬유 프리프레그의 비율은 0:100 내지 100:0, 더욱 좋게는 20:80 내지 80:20의 두께비율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두께비율로 적층된 섬유강화플라스틱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 굴곡변형율이 향상되어 굴곡하중과 같은 외부 힘을 받을 때 에너지를 흡수하여 파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은 프리프레그가 세 층 이상 적층된 구조일 때, 중심부의 프리프레그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은 상부층 및 하부층이 동일한 프리프레그가 적층된 것으로, 외부 충격에 의한 특정방향으로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코어구조체는 KS F 4420에 의거한 탄성받침 제조 치수에 따라 1.5 내지 6 ㎜의 두께로 제조될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2 내지 5 ㎜의 두께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코어구조체가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기계적 강도 및 굴곡변형율이 현저히 향상되어, 외부로부터 힘을 받을 때 변형을 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파단 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코어구조체와 고무층의 계면에 형성되는 탄성 입자를 포함하는 크레졸계 수지 접착층을 형성하여 코어구조체와 고무층 간의 접착력 및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부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은 코어구조체와 고무층의 계면을 공극없이 일치시킴으로써, 코어구조체와 고무층 간의 밀착력이 우수하여 외부 충격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박리를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접착층은 유기용제에 용해된 수지 용액에 탄성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접착 조성물을 코어구조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접착층을 형성할 경우, 코어구조체와 고무층 간의 접착력 및 밀착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계면의 낮은 내충격성을 강화시켜 외부의 힘이 작용하여도 충격을 흡수하고 계면의 분리를 방지하며 더욱 우수한 전단계수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1 내지 100 ㎛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30 내지 7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층이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코어구조체와 고무층 간의 충격전달이 방해되지 않으면서 접착성 및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크레졸계 수지는 노볼락형 또는 레졸형 수지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수지를 용해시키는 유기용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인 예를 들어, 톨루엔, 크실렌,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및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용액은 일 양태에 따라 계면의 접착력 및 밀착력 향상을 위하여 크레졸계 수지 20 내지 60 중량%와 유기용제 40 내지 80 중량%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용액은 26℃에서 Brookfield LV2/12로 측정한 점도가 100 내지 1,000 cp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접착층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성 입자가 1 내지 60 중량부로 분산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6 내지 30 중량부 분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함량으로 접착층이 제조될 경우, 코어구조체에 접착층이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으며, 접착력 및 충격 흡수력이 동시에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탄성 입자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분말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부타디엔 고무, 염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반응형 올레핀계 고무(RTPO),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 에틸렌옥텐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및 스티렌-프로필렌 고무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탄성 입자는 10 내지 300 ㎛의 평균입경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10 내지 200 ㎛의 평균입경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평균입경을 가지는 탄성 입자는 크레졸계 수지 용액과의 혼화성이 향상되어 균일하게 도포됨에 따라, 향상된 내충격성 및 기계적 물성이 균일하게 발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어구조체와 고무층의 계면에서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에너지를 흡수하여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의 전단계수 및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은 충격강도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보강재는 장섬유 또는 메쉬 형태로 직조된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섬유는 50 mm 이상의 연속된 단섬유 또는 섬유다발로서, 단섬유로 이루어진 섬유다발을 단일방향으로 꼬지 않고 늘어놓은 형태의 장섬유를 사용함으로써 강도 및 탄성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 형태로 직조된 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함으로써, 취급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며 프리프레그에 등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직조된 섬유는 플레인(Plain, 0˚, 90˚)과 새틴(satin)의 형태가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의 요구되는 물성 및 특성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종래에는 표면에 요철을 가지는 보강재를 사용하여 프리프레그를 제조하고, 상기 프리프레그를 둘러싸도록 고무를 재단하여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를 제조하였다. 이는 프리프레그와 고무의 표면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을 따라 공극이 발생하는 것을 유발하여,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일부분에 충격이 가해지면 작은 충격에도 공극이 발생하여 프리프레그와 고무층의 계면이 박리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프리프레그는 평평한 표면을 가짐에 따라 고무층의 표면과 밀착력이 우수하여 균일하게 충격이 분산되어 박리를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고무층은 코어구조체의 외측부를 고무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무로서, 천연고무, 네오프렌고무, 합성고무 및 클로로프렌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무층은 코어구조체를 둘러싸며 감싸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의 외측부에서 발생하는 어떠한 충격에서도 완충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적재물에 의해 발생되는 수직하중 및 충격량을 분산시키고 충돌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상기 고무층의 두께는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의 설계 및 사용 등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KS F 4420의 규격에 맞도록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무층은 0.2 내지 50 mm, 더욱 좋게는 10 내지 30 mm의 두께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고무층은 내충격성 및 굴곡탄성률을 향상키는 효과를 부여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코어구조체는 고무층 내에 적어도 두 층 이상 이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코어구조체와 고무가 순차적으로 교호 적층된 적층체가 적어도 두 층 이상 적층되고 외측이 고무층으로 둘러싸인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교호 적층된 적층체를 포함하는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우수한 인장강도, 굴곡강도 및 굴곡변형율 등의 물성이 균일하게 발현됨에 따라 특정방향에 따른 충격에 의한 파단을 감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코어구조체가 세 층 이상 이격된 구조일 때, 중심부의 코어구조체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는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상부층 및 하부층이 동일한 코어구조체가 적층된 것으로, 외부 충격에 의한 특정방향으로의 휨 현상 및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일 양태에 따라, 단수의 상기 코어구조체의 상하면 및 외주면을 고무층으로 감싸는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두 층 이상의 코어구조체를 적층한 후 상하면 및 외주면을 고무층으로 감싸는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코어구조체와 고무를 순차적으로 교호 적층하고, 상하면 및 외주면을 고무층으로 둘러싸 적어도 두 층 이상의 코어구조체가 고무층 내에 이격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된 형태는 적어도 두 층 이상의 코어구조체가 모두 이격된 형상을 할 수 있고, 또는 일부는 적층되고, 일부는 계면에 고무가 적층되어 이격된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의 제조방법은 a) 유리섬유 프리프레그 및 탄소섬유 프리프레그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프리프레그를 적어도 두 층 이상 적층하고 가온 및 가압하여 제조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코어구조체 제조단계; b)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표면에 탄성 입자를 포함하는 크레졸계 수지 용액을 도포하여 건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코어구조체의 양면에 고무시트를 적층한 후, 가열 및 압착하여 상기 코어구조체의 외측부를 고무층으로 감싸 일체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코어구조체로서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에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함침시켜 제조되는 프리프레그를 적어도 두 층 이상 적층하여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제조함에 따라, 인장강도, 굴곡강도, 내화학성 및 굴곡변형율이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물성을 균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코어구조체 제조단계 후에 코어구조체 표면에 탄성 입자를 포함하는 크레졸계 수지 용액을 도포하여 건조하여 접착층을 제조함에 따라, 코어구조체와 고무층 간의 접착력 및 밀착력이 향상되고 계면의 분리를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충분한 강도 및 우수한 내구성을 가져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의 제조방법의 일 양태에서, a) 단계의 유리섬유 프리프레그 및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는 비스페놀계 에폭시 모노머를 20 내지 150℃, 더욱 좋게는 25 내지 70℃에서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에 함침시켜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100 내지 300℃, 더욱 좋게는 150 내지 280℃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및 토출하여 유리섬유매트 및 탄소섬유매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매트에 도포한 후, 핫 롤러 등을 사용하여 함침시켜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나, 상기 온도 및 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은 몰드에서 성형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비스페놀계 에폭시 모노머가 함침된 프리프레그를 몰드 내에 적어도 두 층 이상 적층하여 30 내지 150℃로 승온 시킨 후 5분 내지 30분간 예열하고, 0.01 내지 20톤의 압력을 가하여 1 내지 300분 동안 열성형 후 냉각시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좋게는, 몰드 내에서 60 내지 120℃로 승온 시킨 후 10분 내지 20분간 예열하고, 1 내지 10톤의 압력을 가하여 30 내지 150분 동안 열성형 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가 함침된 프리프레그를 몰드 내에 적어도 두 층 이상 적층하여 70 내지 300℃로 승온 시킨 후 5분 내지 30분간 예열하고, 0.01 내지 30톤의 압력을 가하여 1 내지 100분 동안 열성형 후 냉각시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좋게는, 몰드 내에서 200 내지 300℃로 승온 시킨 후 10분 내지 20분간 예열하고, 5 내지 25톤의 압력을 가하여 1 내지 30분 동안 열성형 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몰드에서 성형되는 것을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하부 몰드에 적층 시키고 상부 몰드를 체결 후, 상기 몰드를 오토클레이브 또는 핫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하 플레이트 면 사이에 위치시킨 후 열성형시켜 코어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 내에서 열성형시킨 코어구조체는 압력을 유지한 상태로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몰드에서 탈형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탈형을 용이하게 진행하기 위하여 일 양태에 따라 몰드 내에 테프론 코팅 처리를 한 후 성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a) 단계는 그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공정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구조체 표면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쇼트공정, 용제를 이용하여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표면 세척 공정 및 세척 후 잔여 용제 제거, 증착성 향상을 위한 열처리 공정 및 코로나 또는 플라즈마 처리공정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의 제조방법의 일 양태에서, b) 단계의 탄성 입자를 포함하는 크레졸계 수지 용액을 도포하여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섬유강화플라스틱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상기 탄성 입자를 포함하는 크레졸계 수지 용액은 유기용제에 용해된 크레졸계 수지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성 입자 1 내지 60 중량부 분산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6 내지 30 중량부 분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함량의 수지 용액은 코어구조체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으며, 접착력 및 충격 흡수력이 동시에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수지 조성물은 스프레이 분사코팅, 롤러코팅, 스크린 인쇄, 브러쉬 코팅, 플로우 코팅 및 딥 코팅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도포하여 코팅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지 용액은 코어구조체와 고무층 간의 충격전달에 방해되지 않는 두께로 도포하기 위하여, 건조 후 1 내지 100 ㎛, 더욱 좋게는 1 내지 25 ㎛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건조 조건은 본 발명에서 제한하지 않으나, 20 내지 80℃에서 30분 내지 2시간 내외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도포 및 건조 방법으로 접착층을 제조함으로써,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내 코어구조체와 고무층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고무층의 우수한 내충격성 및 탄성 효과를 향상시켜 외부 힘에 의한 변형 및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제조되는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상기 코어구조체의 외측부를 고무층으로 감싸 일체화시킴으로써,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대한 완충효과가 우수하여 선박의 추진이나 파도, 해양사고 등에 의한 충격량을 분산시키고, 적재물 간의 충돌이나 선체 구조물과의 충돌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c) 단계의 코어구조체와 고무층의 일체화 단계는 상기 코어구조체의 양면에 고무시트를 적층하고, 상기 코어구조체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고무를 재단한 후, 프레스를 사용하여 가열 및 압착하여 제조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상기 가열 및 압착 조건으로서 KS F4420에 의거하여 120 내지 250 ℃ 및 500 이하의 기압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코어구조체로서 단수의 코어구조체뿐만 아니라, 적어도 두 층 이상의 코어구조체를 적층한 후, 양면에 고무시트를 적층하여 외측부를 고무로 감싸 가열 및 압착하여 제조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c) 단계는 코어구조체와 고무시트를 순차적으로 교호 적층하고 외측부를 고무층으로 감싼 후, 가열 및 압착하여 일체화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코어구조체는 단수 및 적어도 두 층 이상이 적층된 코어구조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인장강도, 굴곡강도, 굴곡변형률, 굴곡탄성률, 내화학성, 내충격성 및 전단계수 등이 우수하여 외부 환경 및 힘에 의한 변형 또는 파단에 견딜 수 있다. 이에 따라 선체에 적용하여 적재물의 수직하중을 완충시킬 수 있으며, 선박 운항 시 파도나 해양사고에 의한 선체의 충격량을 분산시키고, 적재물 간의 충돌이나 선체 구조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물성측정방법]
ASTM D7264에 의거하여, 하기와 같이 제조된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의 굴곡강도, 굴곡탄성률 및 굴곡변형율을 측정하였다.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의 제조
[실시예 1]
에폭시 수지가 함침된 유리섬유 프리프레그(SK 케미칼, SKYFLEX UGN110B, 두께 0.1㎜)와 탄소섬유 프리프레그(SK 케미칼, SKYFLEX USN150B, 두께 0.144㎜)를 25:75 두께비로 적층하였다.
이 후, 제조된 유리섬유 프리프레그 및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를 적층하여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에폭시 수지 프리프레그의 적층구성으로서, 유리섬유 프리프레그는 nGP로 표현하고,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는 nCP로 표현하였으며, n은 각 프리프레그가 적층되어 사용된 개수를 의미한다. 또한, (nGP/nCP)이 m번 반복되어 적층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m(nCP/nGP)와 같이 표현하였다.
실제 사용된 섬유강화플라스틱의 적층구성은 하기와 같다.
적층구성: 18(1GP/1CP)/1GP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몰드의 하부면에 넣고 몰드의 상부를 결착하여 닫은 후 핫 프레스 상하 플레이트면 사이에 위치시켰다. 이 후 80℃로 승온하여 20분간 예열시킬 후, 3톤의 압력을 가한 상태로 120 분 동안 경화하였다. 이후 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온까지 냉각시켜 몰드에서 탈형하여 코어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코어구조체 표면에 톨루엔에 20 중량%로 용해된 크레졸 수지용액 100 중량부에 고무(평균입경 200 ㎛) 22 중량부 포함된 접착제(BRC(주), CILBOND 24)를 50 ㎛ 두께로 스프레이 분사한 후, 80℃에서 건조하여 20 ㎛ 두께의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접착층이 형성된 코어구조체 5 개와 KS F 4420의 규격에 맞도록 재단한 고무시트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상하 및 외주면을 고무로 둘러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구조체 5 개가 이격된 형태의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를 제조하였다.
상기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65℃에서 30 분간 예열한 후, 핫 프레스로 160℃에서 300 기압으로 가열, 가압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프리프레그를 유리섬유 프리프레그만 46GP 적층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프리프레그를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만 32GP 적층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4]
Nylon 6(분자량:25,000 ~ 40,000 g/mol)를 압출기를 이용하여 250℃에서 용융압출한 후, 핫 롤러를 사용하여 토출된 Nylon 6를 유리섬유매트 및 탄소섬유매트에 각각 도포하여 Nylon 6가 33 중량%로 함침된 두께 0.3 mm의 유리섬유 폴리아미드 프리프레그 및 두께 0.25 mm의 탄소섬유 폴리아미드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4에서 섬유강화플라스틱의 적층구성은 하기와 같다.
적층구성: 8(1GP/1CP)/1GP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몰드의 하부면에 넣고 몰드의 상부를 결착하여 닫은 후, 핫 프레스 상하 플레이트면 사이에 위치시켰다. 이 후 260℃로 승온하여 20 분간 예열시킨 후, 15 톤의 압력을 가한 상태로 5 분간 열성형하였다. 이후 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온까지 냉각시켜 몰드에서 탈형하여 코어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코어구조체 표면에 톨루엔에 20 중량%로 용해된 크레졸 수지용액 100 중량부에 고무(평균입경 200 ㎛) 22 중량부 포함된 접착제(BRC(주), CILBOND 24)를 50 ㎛ 두께로 스프레이 분사한 후, 80℃에서 건조하여 20 ㎛ 두께의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접착층이 형성된 코어구조체 5 개와 KS F 4420의 규격에 맞도록 재단한 고무시트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상하 및 외주면을 고무로 둘러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구조체 5 개가 이격된 형태의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를 제조하였다.
상기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65℃에서 30 분간 예열한 후, 핫 프레스로 160℃에서 300 기압으로 가열, 가압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에서 프리프레그를 유리섬유 프리프레그만 16GP 적층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4에서 프리프레그를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만 19GP 적층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로 제조된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를 대신하여 철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접착층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4에서 접착층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은 실시예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굴곡강도(MPa) 굴곡변형율(%) 굴곡탄성률(GPa)
실시예 1 1,920.60 0.0205 119.02
실시예 2 1,150.10 0.0340 92.04
실시예 3 1,460.30 0.0188 130.00
실시예 4 1,825.00 0.1334 114.30
실시예 5 1,510.20 0.1800 90.20
실시예 6 1,605.05 0.0305 125.50
비교예 1 1,872.30 NB 116.81
비교예 2 970.20 0.0191 91.14
비교예 3 922.24 0.0512 87.15
(NB : Non Breakable)
상기 표 1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로 제조된 코어구조체는 우수한 굴곡강도, 굴곡변형율 및 굴곡탄성률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및 4의 경우, 유리섬유 프리프레그 및 탄소섬유 프리프레그가 다층으로 적층된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서, 상기 프리프레그가 순차적으로 교호 적층되며 중심부의 프리프레그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인 구성을 가짐으로써,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이 동시에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하여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이 시너지를 발휘하여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내충격성을 가지며, 굴곡변형율 또한 우수하여 굴곡하중 등의 충격에 의한 파단이 현저히 감쇠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굴곡변형율이 균일하게 유지됨으로써, 외부 환경 및 힘에 의한 변형 또는 파단에 대한 저항력이 월등하고 경량화 또한 가능하다.
반면, 철판을 사용한 비교예 1은 고무층 계면과의 밀착성이 떨어져 쉽게 분리되는 것이 관찰되었고, 굴곡이 발생하였을 때 파단되지 않으므로 응력이 집중되어, 급격한 변형 및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경량화를 실현할 수 없다. 또한, 비교예 2 및 3은 굴곡강도, 굴곡변형율 및 굴곡탄성률의 물성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아 고무층이 쉽게 분리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조된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는 향상된 완충성능을 가지며 선체의 변형을 방지하고 우수한 충돌 안정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경량화로 인한 선체의 총 무게를 감소시켜, 항해 시 소모되는 연료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탄성받침용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코어구조체 200 : 고무층 300 : 접착층 400 :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Claims (8)

  1. 유리섬유 프리프레그 및 탄소섬유 프리프레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프리프레그를 적어도 두 층 이상 적층하여 일체화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코어구조체;
    상기 코어구조체의 외측부를 고무로 둘러싸고 형성되는 고무층; 및
    상기 코어구조체와 고무층의 계면에 형성되는 탄성 입자를 포함하는 크레졸계 수지 접착층;
    을 포함하는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 프리프레그 및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는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가 함침된 것인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 프리프레그 및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는 폴리아미드 수지가 함침된 것인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크레졸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성 입자가 1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되는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입자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분말로서 10 내지 300 ㎛의 평균입경을 가지는 것인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층 내에 적어도 두 층 이상의 코어구조체가 이격되어 있는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7. a) 유리섬유 프리프레그 및 탄소섬유 프리프레그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프리프레그를 적어도 두 층 이상 적층하고 가온 및 가압하여 제조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코어구조체 제조단계;
    b)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표면에 탄성 입자를 포함하는 크레졸계 수지 용액을 도포하여 건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코어구조체의 양면에 고무시트를 적층한 후, 가열 및 압착하여 상기 코어구조체의 외측부를 고무층으로 감싸 일체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가 코어구조체와 고무시트를 교대로 적층하고 외측부를 고무층으로 감싼 후, 가열 및 압착하여 일체화하는 단계인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의 제조방법.
KR1020180093257A 2018-08-09 2018-08-09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KR102037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257A KR102037742B1 (ko) 2018-08-09 2018-08-09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257A KR102037742B1 (ko) 2018-08-09 2018-08-09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742B1 true KR102037742B1 (ko) 2019-10-29

Family

ID=68423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257A KR102037742B1 (ko) 2018-08-09 2018-08-09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7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449A (ko) * 2015-11-30 2018-08-08 사이텍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복합 구조용 표면 재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449A (ko) * 2015-11-30 2018-08-08 사이텍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복합 구조용 표면 재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8842B2 (en) Fiber-reinforced molded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930003894B1 (ko) 신규한 프리프레그와 복합 성형체, 및 복합 성형체의 제조방법
CN1902046A (zh) 高冲击强度弹性复合纤维金属层压制品
JPH045688B2 (ko)
KR101956131B1 (ko) 보강 복합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WO2016132655A1 (ja) 制振性繊維強化樹脂成形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用部品
JP5638940B2 (ja) 繊維強化樹脂複合材料
CN107011648B (zh) 一种Kevlar纤维布增强聚脲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4869915B2 (ja) 複合防弾板
KR101923381B1 (ko) 보강 복합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JP6562153B2 (ja) 繊維強化複合材料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Xiao et al. Hybrid laminated composites molded by spray lay-up process
CN114013151B (zh) 一种梯度多层阻尼材料及其制备方法
JPS63170428A (ja) 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
KR102037742B1 (ko) 선박용 샌드위치 패드
KR101851533B1 (ko) 플라즈마처리로 접착성이 향상된 탄성받침의 제조공법
JPH0575575B2 (ko)
KR102157191B1 (ko) 탄성복합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3080B1 (ko) 섬유 보강 수지 복합재
KR20180091144A (ko) 탄성받침용 탄성복합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554821B2 (ja) 炭素繊維強化樹脂複合材料とその製造方法
JP2009019089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強化断熱複合材
KR20160022467A (ko)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6026B1 (ko) 다층 하이브리드 프리프레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7665A (ko)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