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567B1 - Bits for excavating - Google Patents

Bits for excava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567B1
KR102037567B1 KR1020160109296A KR20160109296A KR102037567B1 KR 102037567 B1 KR102037567 B1 KR 102037567B1 KR 1020160109296 A KR1020160109296 A KR 1020160109296A KR 20160109296 A KR20160109296 A KR 20160109296A KR 102037567 B1 KR102037567 B1 KR 102037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passage
discharge groove
bottom discharge
exca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2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6817A (en
Inventor
김철규
Original Assignee
(주)동우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우기계 filed Critical (주)동우기계
Priority to KR1020160109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567B1/en
Publication of KR20180026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8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5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36Percussion drill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Percussion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Percussion drilling
    • E21B1/12Percussion drilling with a reciprocating impulse member
    • E21B1/24Percussion drilling with a reciprocating impulse member the impulse member being a piston driven directly by fluid pressure
    • E21B1/30Percussion drilling with a reciprocating impulse member the impulse member being a piston driven directly by fluid pressure by air, steam or gas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36Percussion drill bits
    • E21B10/38Percussion drill bits characterised by conduits or nozzles for drilling fluid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00Drives for drilling, used in the borehole
    • E21B4/06Down-hole impacting means, e.g. hamm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00Drives for drilling, used in the borehole
    • E21B4/06Down-hole impacting means, e.g. hammers
    • E21B4/14Fluid operated hamm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6/00Drives for drilling with combined rotary and percussive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이 강하고 작업 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굴착용 비트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비트는, 상부에 성형되는 연결부분(102)과, 상기 연결부분의 하부에서 일체로 연장 성형되며 연결부분(10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굴착바디(104)로 구성된다. 여기서 비트의 중앙 부분에는 외부에서 공기가 공급되는 에어공급통로(110)가 성형되고, 상기 에어공급통로(110)는 비트의 저면에 출구(114)를 가지는 다수의 분기통로(112)와 연결된다. 그리고 비트의 굴착바디의 저면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성형된 다수의 저면배출홈(120)이 성형되며, 상기 저면배출홈의 내측 끝은 분기통로의 출구와 연결되고, 저면배출홈의 외측 끝은 굴착바디의 외측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내부에 성형된다. 또한 저면배출홈의 외측 끝 부분과 연결되는 내부배출통로(130)가 상기 굴착바디(104)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성형되며, 상기 내부배출통로(130)는 외측으로 상향경사지게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drilling bit that is durable and can minimize noise and vibration during operation. The b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onnecting portion 102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an excavation body 104 which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has a relatively large diameter compar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02. Here, the air supply passage 110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it is supplied air from the outside, the air supply passage 11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ranch passages 112 having an outlet 114 on the bottom of the bit. . In addition, a plurality of bottom discharge grooves 120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body of the bit, the inner end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branch passage, and the outer end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is the excavation body. It is molded in the spaced intervals at the outer side of the. In addition, the inner discharge passage 130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is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excavating body 104, the inner discharge passage 1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to the outside have.

Description

굴착기용 비트{Bits for excavating}Bits for excavators {Bits for excavating}

본 발명은 굴착기의 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착기용 비트의 내부를 통하여 슬라임 배출을 위한 배출홈을 형성하여, 비트의 마모를 최소화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음과 같이 굴착작업 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게 굴착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굴착기용 비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t of the exca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discharge groove for slime discharge through the inside of the excavator bit, to minimize the wear of the bit to extend the life, such as occurs during excavation 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cavator bit configured to safely carry out excavation work while minimizing noise.

굴착장비에 사용되는 에어햄머는 굴착면과 접촉하고 있는 비트(Bit)를 이용하여 굴착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햄머는, 케이싱의 내부에서 압축된 공기의 힘으로 상하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 설치되어 피스톤에 의하여 충격력을 받는 비트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비트는 그 상부에 설치되는 피스톤에서의 타격력과 케이싱을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실질적인 굴착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Air hammer used in the excavation equipment is a device that performs the excavation work using the bit (Bit) in contact with the excavation surface. Such an air hammer is generally composed of a piston that reciprocates up and down by the force of compressed air in the casing, and a bit which is installed under the piston to receive an impact force by the piston. And the bit is to perform a substantial excavation work by the impact force from the piston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casing.

도 1에는 굴착기에사용되는 일반적인 비트(1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비트(10)는 케이싱의 내부에서 리테이닝링(도시 생략)에 의하여 지지되기 위한 원통 형상의 연결부(10A)와, 상기 연결부(10A)의 하부에서 확대된 지름을 가지면서 실질적으로 굴착 작업을 수행하는 굴착바디(10B)로 구성된다. 그리고 비트(10)의 내부에는 에어공급통로(12)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에어공급통로(12)의 하부는 다수개로 분기된 다수의 에어분출통로(14)와 연결된다.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bit 10 used in an excavator. As shown, the general bit 10 has a cylindrical connection portion 10A for being supported by a retaining ring (not shown) inside the casing, and has an enlarged diameter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portion 10A. It consists of an excavation body 10B which performs an excavation work substantially. An air supply passage 12 is formed inside the bit 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supply passage 12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ir ejection passages 14 branched into a plurality.

상기 에어분출통로(14)는 실질적으로 비트(10)의 저면에서 중앙 부분에 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비트(10)의 저면에서 방사 방향으로 다수개 성형된 다수의 저면배출홈(15)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저면배출홈(15)은 비트(10)의 굴착바디(10B)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성형된 복수 개의 측면배출홈(16)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기통로(14)를 통하여 나오는 고압의 공기는, 굴착 작업 중에 발생하는 슬라임과 같이 상기 저면배출홈(15) 및 측면배출홈(16)을 통하여 상방으로 배출된다. The air blowing passage 14 has an outlet at a central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bit 10 an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ottom discharge grooves 15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bit 10. have.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5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ide discharge grooves 16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cavation body 10B of the bit 10. The high-pressure air exiting through the branch passage 14 is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5 and the side discharge groove 16, like the slime generated during the excavation work.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 굴착기 비트(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먼저 종래 굴착기에서는 비트(10)의 외측면에 개방된 상태의 배출홈(16)이 형성되어 있고, 이는 저면에 성형된 저면배출홈(15)과 연통하도록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공급통로(12) 및 분기통로(14)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는, 저면배출홈(15)을 통해 수평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고속으로 안내되면서 비트(10) 측면과 수직 상태의 지반을 향해 직접 분사하게 된다(도 2의 화살표). 이러한 공기의 압력은 지반교란을 일으키게 되고, 이에 기인하는 소음 및 진동이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반교란의 안정성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The following problems are pointed out in the conventional excavator bit 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First, in the conventional excavator, the discharge groove 16 in the open stat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it 10, which is molded to communicate with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5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Therefore, the high-pressur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12 and the branch passage 14 is guided at a high speed radially from the horizontal state through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5 to open the ground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bit 10. Direct injection (arrows in FIG. 2). This air pressure causes ground disturbances, resulting in noise and vibration. And it is natural that it is not desirable in terms of stability of such ground disturbances.

그리고 슬라임이 에어와 같이 배출되는 통로의 구조를 살펴보면, 저면배출홈(15)과 측면배출홈(16)이 거의 직각을 가지고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서는 예를 들면 와류의 발생 등과 같이 에어의 원활한 흐름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 자체도 소음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And when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slime is discharged like air, since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5 and the side discharge groove 16 are formed at almost right angles, in this part, the air is smooth, for example, the generation of vortices. Disruption of the flow can occur, which can also cause noise.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비트의 저면 중에서 측면배출홈이 성형되는 부분에는 실질적으로 비튼팁이 장착될 수 없어서, 굴착 작업의 효율성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실제 굴착 작업에 있어서는, 비트에 있어서 가장 외측면에서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비트의 굴착바디의 최외측 부분에서도 저면배출홈 및 측면배출홈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가장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Also, referring to Figure 2, the portion of the bottom side of the bit is formed in the side discharge groove can not be substantially equipped with the bitten tip, it is not preferable in terms of the efficiency of the excavation work. In the actual excavation work, wear occurs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bit, which occurs most severely at the bottom discharge and side discharge grooves in the outermost part of the drilling body of the bit.

그리고 이러한 외측부분이 마모되면 실질적으로 그 부분에 용접을 통하여 살을 덧대는 작업 및 버튼팁의 재설치 작업 등이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마모 및 재생 작업은 실질적으로 작업 효율은 물론이고,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실제 굴착 작업에서는, 비트의 굴착바디의 저면 및 외측에서 저면배출홈 및 측면배출홈 하단부의 일측모서리(회전 방향으로 하류측의 모서리) 부분에서 가장 심하게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불과 두세번 또는 서너번의 굴착 작업에도 재생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And when the outer part is worn out, it is necessary to add the flesh through the welding to the part and the reinstallation of the button tip. However, such wear and regenerating operations are practically unfavorable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as well as work efficiency. In the actual excavation work, the most severe wear occurs at the one side edge (the edge of the downstream si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and the lower side of the side discharge groove at the bottom and outside of the excavation body of the bit. Two or three or three or four excavations may require regener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굴착 작업에서 마모가 가장 심하게 발생하는 부분에 대한 구조적 개선을 통하여 마모의 발생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버튼팁을 충분히 넓은 부분에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실질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굴착기용 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occurrence of abrasion through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 portion where wear occurs most severely in the actual excavation work, and at the same time can be installed in a sufficiently wide button tip, for practically excellent excavator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임과 같이 배출되도록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가 직각으로 지반을 직접 타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의 측면에서 더욱 유리한 비트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t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noise and vibration by preventing the high-pressure air supplied to be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slime to hit the ground at a right ang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굴착 작업 시 발생하는 슬라임의 배출이 원활한 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ooth bit discharge of the slime generated during the excavation operation.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굴착기용 비트는, 상부에 성형되는 연결부분과, 상기 연결부분의 하부에서 일체로 연장 성형되며 연결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굴착바디로 구성된다. 여기서 비트의 중앙 부분에는 외부에서 공기가 공급되는 에어공급통로가 성형되고, 상기 에어공급통로(110)는 비트의 저면에 출구를 가지는 다수의 분기통로와 연결된다. 그리고 굴착바디의 저면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성형된 다수의 저면배출홈이 성형되며, 상기 저면배출홈의 내측 끝은 분기통로의 출구와 연결되고, 저면배출홈의 외측 끝은 굴착바디의 외측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내부에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저면배출홈의 외측 끝 부분과 연결되는 내부배출통로가 상기 굴착바디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성형되며, 상기 내부배출통로는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성형된다. Excavator b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nd i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as an excavation body having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connection portion It is composed. Here, an air supply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it, and the air supply passage 11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ranch passages having an outlet at the bottom of the bit.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bottom discharge groove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inner end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branch passage, the outer end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is fix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cavation body It is molded in spaced intervals. The inner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is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excavating body, and the inner discharge passage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to the outside.

그리고 다른 실시 예의 발명은, 저면배출홈의 상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성형되어, 굴착 과정에서 발생한 슬라임의 배출에 가장 유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outside, it may have the most advantageous shape for the discharge of slime generated during the excavation process.

또 다른 실시 예의 발명은, 저면배출홈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의 폭이 크게 성형됨으로써, 고압에 의한 저면배출홈 측면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원활한 슬라임의 안내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discharge groove is formed so as to form a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side surface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by high pressure and at the same time achieve a smooth slime guide have.

또 다른 실시 예의 발명은, 내부배출통로를 반지름 방향의 폭이 원주 방향의 폭보다 크게 성형하고 있다. In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discharge passage is molded so that its width in the radial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 다른 실시 예의 발명은, 내부 배출통로를 원주 방향의 폭이 반지름 방향의 폭보다 크게 성형하고 있다. In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discharge passage is molded so that its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larger than that in the radial direction.

또 다른 발명은, 상기 내부배출통로의 하류측 측면 모서리를 경사면으로 성형하고, 이러한 경사면에 다수의 버튼팁을 장착하고 있다. In still another aspect, the downstream side edge of the inner discharge passage is formed into an inclined surface, and a plurality of button tips are attached to the inclined surfac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비트의 굴착 작업 시 발생하는 슬라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홈을 비트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성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비트의 최외측 부분과 그에 인접한 저면 부분에는 슬라임의 배출을 위한 배출홈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모의 발생이 가장 심각한 부분에 오목하게 성형되는 배출홈을 성형하지 않음으로써, 실질적으로 비트의 외측 하단 모서리 부분의 마모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비트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이와 같이 비트의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것은 궁극적으로 길어진 수명에 의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충분한 굴착 효과를 가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이는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상당한 장점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discharge groove for discharging the slime generated during the excavation operation of the bit to the outside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bi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groove for discharging the slime can be omitted in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bit and the bottom portion adjacent thereto. In this way, by not forming a concave discharge groove that is formed concave in the most severe occurrence of wear, it is possible to substantially suppress the wear of the outer bottom edge portion of the bit, the advantage that the bit can improve the durability based on this This is expected. As such, the durability of the bit can be said to have a sufficient excavation effect even for long-term use due to the long service life, which is expected to have significant advantages in terms of economics.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비트의 저면에 성형되는 측면 배출홈이 비트 저면에서 완전히 외측면까지 성형되지 않고, 저면의 내측부분에서 오목한 단부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비트 저면의 외측부분에도 다수의 버튼팁을 장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튼팁이 비트 저면의 외측부분까지 모두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굴착 효율이 향상되는 것도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And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t turns out that the side discharge groove formed in the bottom face of a bit is not shape | molded completely from the bottom face of a bit, but has a concave end part in the inner part of a bottom fac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plurality of button tips can be mounted on the outer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bit substantially. As such, the fact that the button tip can be installed up to the outer part of the bottom of the bit may be natural that the drilling efficiency is substantially improved.

또한 저면 배출홈이 외측면까지 연장되는 것이 아니나, 비트 저면의 외측 단부 보다 내측에서 끝나기 때문에, 저면배출홈을 통하여 외측으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가 지반에 직접 직각으로 충돌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가 지반에 직접 타격함으로서 발생하는 지반 교란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반 교란이 억제되는 것은, 궁극적으로는 소음의 발생 및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반의 안정성이라는 측면에서도 충분히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ttom discharge groove does not extend to the outer side, but terminates in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bottom of the bit, high pressure air suppli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ttom discharge groove does not directly collide with the ground at right angle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ground disturbance generated by directly hitting the ground with high pressure air supplied can be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In this way, the ground disturbance can be suppressed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noise and vibration.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natural to have sufficient advantages in terms of stability of the ground.

도 1은 종래의 비트를 보인 것으로 (a)는 종단면도 (b)는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비트의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비트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비트의 저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비트의 저면 예시도.
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bit (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b) is a bottom view.
2 is a front view of a bit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illustration of the bottom of the bit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illustration of the bottom of the bi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트(100)는, 굴착기의 케이싱 내부에서 지지될 수 있는 연결부(102)와, 상기 연결부(10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굴착작업을 수행하는 굴착바디(104)로 구성되고 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s shown, the b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ortion 102 that can be supported in the casing of the excavator, and the excavation body 10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102 and substantially performs excavation work It consists of).

상기 연결부(102)와 굴착바디(104)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부(102)는 케이싱 내부에서 일정한 위치로 지지되기 위한 목부분(103)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목부분(103)은 도시하지 않은 리테이닝 링에 의하여 걸려서 비트가 케이싱 내부에서 지지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부(102)는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고 있으며, 굴착기에서 케이싱의 내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102 and the excavation body 104 is integrally molded. And the connecting portion 102 is provided with a neck portion 103 to be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casing, this neck portion 103 is caught by a retaining ring (not shown) so that the bit is supported in the casing. And this connection portion 102 has a relatively small diameter, and has a constant distance inside the casing in the excavator.

이러한 연결부(102)의 하부에는 굴착바디(104)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굴착바디(104)는 실질적으로 회전 및 타격에 의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실제 굴착이 일어나는 굴착공의 지름에 대응하는 지름을 가지는 것이고, 이는 상기 연결부(102)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가지는 대경부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굴착바디(104)의 저면에는 다수의 버튼팁(140)이 설치되어 있다. An excavation body 104 is integrally formed under the connection portion 102. This excavation body 104 has a function to excavate the ground by substantially rotating and hitting, and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excavation hole in which the actual excavation takes place, which is larger than the connection portion 102 Branches can be called large necks. And a plurality of button tips 140 a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body 104.

이러한 비트(100)의 내부 중앙에는 에어공급통로(110)이 성형되어 있고, 상기 에어공급통로(110)의 하단부는 다수 개로 분기되어 있는 분기통로(112)와 연결되도록 성형되고 있다. 이러한 분기통로(112)의 출구(114)는(도 54참조) 비트의 저면, 즉 굴착바디(104) 저면에 출구를 가지고 있어서, 공급되는 에어는 굴착면과 비트 저면 사이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분기통로(112)의 출구(114)는, 비트(110)의저면에서 상대적으로 중앙부분에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 중앙부분이라고 함은, 외측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앙점에 가까운 위치라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사용한 것이다.An air supply passage 110 is form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bit 100,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air supply passage 11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a branch passage 112 branched into a plurality. The outlet 114 of the branch passage 112 (see Fig. 54) has an outlet at the bottom of the bit, that is,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body 104, so that the air supplied is supplied between the excavation surface and the bottom of the bit. Here, the outlet 114 of the branch passage 112 is formed in a relatively central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bit 110. The central part is used here as a relative concept of a position relatively close to the center point compared to the outer part.

그리고 분기통로(112)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에어를 외측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비트(100)의 저면에는 저면배출홈(120)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저면배출홈(120)의 최내측 부분은 상술한 분기통로(112)의 출구(114)를 포함하고 있고, 저면배출홈(120)의 최외측부분은 비트의 굴착바디(104)의 외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즉, 상기 저면배출홈(120)의 최외측부분은 굴착바디(104)의 저면에서 완전히 외측 단부(끝)까지 개방되어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저면의 외측 테두리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 단부(끝)를 가지고 있다. In order to guide the air supplied via the branch passage 112 to the outside,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it 100. The innermost part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includes the outlet 114 of the branch passage 112 described above, and the outermost part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is an outer surface of the drilled body 104 of the bit. And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hat is,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does not extend to the outer end (end) completely from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body 104, but the outer end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 End).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저면배출홈(120)은 내측단부(내측 끝)에서 외측단부(외측 끝)로 갈수록 원호 간격이 커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도 4를 기준으로 볼 때, 저면배출홈(120)은 방사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분기통로(112)의 출구(114)를 통하여 배출되는 고압의 공기가, 굴착 과정에서 발생한 슬라임과 같이 보다 원활하게 외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저면배출홈(120)의 폭(저면도인 도 4을 기준으로)이 내측이나 외측이 동일하게 성형되면, 출구(114) 근처에서는 고압의 에어가 분출되기 때문에 출구(114) 근처의 저면배출홈(120)의 측면부분(122)이 고압의 에어가 슬라임과 같이 접촉하여 마모되어 손상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has a shape in which an arc space increases from an inner end (inner end) to an outer end (outer end). That is, 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has a shape that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This is to allow the high-pressur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4 of the branch passage 112 to flow outward more smoothly, such as slime generated during the excavation process. For example, when the width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based on the bottom view of FIG. 4)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r the outer side, the high pressure air is ejected near the outlet 114. The side portion 122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is damaged by contact with high pressure air, such as slim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저면배출홈(120)의 크기를, 내측부분에서는 작은 폭(원호 방향의 폭)을 가지도록 하고, 외측으로 갈수록 원호 방향의 폭이 커지도록 성형하고 있다. 이러한 저면배출홈(120)의 형상에 의하면, 고압의 공기가 내부에서 외부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되며, 비트 저면이 고압의 공기 및 슬라임에 의하여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is formed so as to have a small width (width in the arc direction) at the inner portion, and is molded so that the width in the arc direction is increased toward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it is expected that the high pressure air can flow smoothl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the bit bottom is expected to be prevented to be worn or damaged by the high pressure air and slime as much as possible. do.

또한 저면배출홈(120)을 외측으로 갈수록 크게 성형하는 것은, 슬라임의 배출이라는 측면에서도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면 비트(100)의 저면과 굴착면과의 접촉부분이 현저하게 크게 되면 생성되는 슬라임이 많아지기 때문에 정해진 크기의 저면배출홈에 의하여 원활한 슬라임의 배출이 문제 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저면배출홈의 전체 면적(저면도 상에서 볼 때)을 크게 성형함으로써, 비트 저면과 굴착면의 접촉에 의하여 생성된 슬라임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저면배출홈(120)의 형상은 굴착 지반의 재질과도 관련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In addition, forming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toward the outside is expected to be advantageous in terms of discharge of slime. For example, if the bottom portion of the bit 100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excavation surface is remarkably large, the generated slime increases, so smooth slime discharge may be a problem by the bottom discharge groove of a predetermined siz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lime generat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bottom of the bit and the excavation surface can be discharged more smoothly by forming the entire area (as viewed from the bottom view)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is also related to the material of the excavated ground will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면배출홈(120)은, 그 외측 단부 부근에서 내부배출통로(130)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의 내부배출통로(130)는, 센터비트(1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특히 저면 배출홈(120)의 출구(와측 단부) 부근에서 센터비트(100)의 외측면 상부를 향하여 외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있다. 즉 상향 내부배출통로(130)의 입구는 저면 배출홈(120)과 연결되고 출구는 비트(100)의 외측면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discharge passage 130 near the outer end thereof. The internal discharge passage 13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center bit 100, and in particular,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bit 100 near the outlet (waist end)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It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outside toward the outside. That is, the inlet of the upwardly inner discharge passage 130 is connected to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and the outlet is formed to face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bit 100.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내부배출통로(130)는, 비트의 굴착바디(104)의 저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굴착비디(104)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성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상향 내부배출통로(130)가 비트(100)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형성됨으로써, 고압의 에어가 비트 외측면의 지반을 향해 직접 분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고압의 에어가 지면에 가하여 발생하는 지면 교란 현상의 발생이 최대한 억제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nal discharge passage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excavating video 104 in a direction inclined outward from the bottom of the excavating body 104 of the bit. As such, the upward internal discharge passage 130 is formed while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bit 100, thereby preventing the high-pressure air from being directly injected toward the ground of the bit outer surfac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occurrence of ground disturbances caused by the application of high pressure air to the ground is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noise and vibration.

또한 비트(100)에서의 굴착바디(104)의 저면에서의 외측부분, 즉 테두리 부분은 정확한 원형을 성형하게 됨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종래의 측면배출홈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도 비트를 다수 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충분히 많은 수의 비트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실질적으로 굴착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임은 당연하다.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outer portion, that is, the edge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body 104 in the bit 100 forms an exact circle, and thus, a plurality of bits are also install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ntional side discharge groove portion. It can be seen that it is possible to do.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a sufficiently large number of bits can be installed to substantially improve the drilling efficiency.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비트의 저면 테두리 부분에서 배출홈이 성형되지 않기 때문에 비트 저면이 정확한 원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중간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성형되는 부분 없이 전체적으로 원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에 대한 굴착 작업 발생 시 부분적으로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을 것임을 알 수 있다.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charge groove is not formed in the bottom edge of the bit as in the prior art, the bottom of the bit forms an accurate circle. Therefore, since it is connected in a circle as a whole without a part to be concave inwardly in the middle, it can be seen that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prevent the occurrence of severe wear in the excavation work on the ground.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저면배출홈(120)의 상면(128)은,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저면배출홈(120)의 구성은, 에어 및 슬라임의 배출을 내부배출통로(130) 측으로 더욱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 예에서, 비트(100)의 굴착바디(104)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작게 성형된 상하방향홈(138)은, 슬라임의 배출과는 무관하고 원통형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될 때 케이싱과의 잼을 방지하기 위한 성형된 것이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3,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surface 128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outside.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may be configured to more smoothly guide the discharge of air and slime to the internal discharge passage 130. A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vertical groove 138, which is formed small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cavating body 104 of the bit 100, is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casing irrespective of the discharge of slime It is molded to prevent jams with the casing.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내부배출통로(130)는 방사 방향의 폭 보다는 원주 방향의 폭이 더욱 크게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기 내부배출통로(130)는 방사 방향의 폭이 원주 방향의 폭에 비하여 더욱 크게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3, it can be seen that the inner discharge passage 130 is formed in a larger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n the width in the radial direction.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 it can be seen that the inner discharge passage 130 is formed in a larger width in the radial direction than the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지름 방향의 길이(폭)를 원주 방향의 길이(폭)에 비하여 더욱 크게 성형하게 되면, 암반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지반의 교란에 더욱 유리하게 된다. 즉 반지름 방향(방사 방향)의 폭이 크게 성형되면, 비트의 회전 방향(화살표 참조)에 대하여 내부배출통로(130)의 측면 모서리(132)가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내부배출통로(130)의 측면 모서리 중에서, 회전 방향에 대하여 하류측의 측면 모서리(132)는 실질적으로 굴착면과의 접촉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분 중의 하나이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length (width) in the radial direction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length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more advantageous for the disturbance of the ground containing a lot of rock. That is, when the width of the radial direction (radiation direction) is formed large, the side edge 132 of the inner discharge passage 130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direction (see the arrow) of the bit is lengthened. Of the side edges of the internal discharge passage 130, the side edges 132 on the downstream sid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direction are one of the portions where the contact with the excavation surface is substantially generated.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모서리(132)가 길게 성형되면 암반과의 접촉 및 분쇄 길이가 더욱 길게 성형되기 때문에, 암반이 많이 포함된 지반의 굴착에 더욱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암반보다 토사가 더욱 많이 포함된 지반의 굴착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지름 방향의 길이 보다 원주 방향의 길이가 긴 형태의 내부배출통로(130)가 더욱 유리할 것이다. 즉, 토사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지반의 경우에는, 저면배출홈의 반지름 방향이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많은 양의 슬라임의 배출을 더욱 유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5, when the side edge 132 is formed to be long, the contact and grinding length of the rock are formed to be longer. . However, in the excavation of the ground containing more soil than the rock, as shown in Figure 3, the inner discharge passage 130 having a longer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n the length in the radial direction will be more advantageous. That is, in the case of the ground containing a lot of soil, it is desirable to make it possible to more advantageously discharge a large amount of slime by ensuring a sufficient length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고려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생각해 보기로 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적용되는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면, 상기 내부배출통로(130)의 모서리 중에서, 반지름 방향을 따라 성형되면서 비트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하류 측에 형성되는 하류측 측면 모서리(132)는 실질적으로 배출되는 슬라임과도 가장 많이 접촉하고, 지반과도 접촉이 가장 많은 부분이다. Here, a configuration that can be consider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onsidered. For example, through the embodiment applied to Figure 5, out of the corner of the inner discharge passage 130, while forming along the radial direction downstream side edge 132 is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bit The most contact with the slime that is actually discharged is the most with the ground.

그리고 이러한 부분에 만약 버튼팁을 설치할 수 있으면 아주 효과적인 굴착 및 슬라임의 배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내부배출통로(130)의 하류측 측면 모서리(132)를 경사면으로 성형함으로써 일정한 면적을 배당하고, 이 부분에 버튼팁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And if the button tip can be installed in this area, it is expected that the drilling and slime discharge will be very effective. Therefore, by forming the downstream side edge 132 of the inner discharge passage 130 to the inclined surface, it is expected that it is possible to allocate a certain area, and to attach the button tip to this portion.

여기서 하류측 측면 모서리(132)를 경사면으로 성형한다는 것은, 비트의 저면(수평상태)과 내부배출통로(130)의 반지름 방향 내측면(수직면 또는 이에 가까움)이 만나는 직각부분을 모따기 가공 또는 면취 가공함으로써 면적을 가지는 하류측 측면 모서리(132)의 경사면를 성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하류측 측면 모서리의 경사면에 버튼팁을 장착하게 되면, 배출되는 슬라임을 분쇄하거나 지반의 접촉면에 대한 분쇄 및 타격이 더욱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Here, forming the downstream side edge 132 into an inclined surface is to chamfer or chamfer the perpendicular por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horizontal state) of the bit and the radially inner surface (vertical surface or close to) of the inner discharge passage 130 meet each other. As a resul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downstream side edge 132 having an area may be formed. When the button tip is mount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downstream side edge having a constant area, it is expected that the discharged slime or the grinding and hitting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ground will be more advantageous.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트를 가지는 굴착기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굴착기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비트(100)는 모터에 의한 회전운동 및 그 상부에 설치된 피스톤의 타격에 의한 상하 운동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굴착 작업이 수행된다. 이러한 지반 굴착작업이 이루어지면 비트(100)의 저면에는 슬라임이 발생하게 된다. Next,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xcavator having a b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When the excavator is operated, the bit 100 is excavated while the rotary motion by the motor and the vertical movement by the stroke of the piston installed thereon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When such ground excavation is performed, slime is generated on the bottom of the bit 100.

그리고 에어공급통로(110) 및 분기통로(112)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는, 저면 배출홈(120)을 통하여 내부배출통로(130)으로 흐르게 된다. 여기서 굴착 작업에서 발생한 슬라임도 이러한 에어와 같이 내부배출통로(130)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은 당연하다. 여기서 내부배출통로(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100)의 저면에서 외측면의 상부를 향하여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더욱이 저면배출홈(120)의 외측은 비트의 외측면과 일정 간격 내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가 저면배출홈을 통하여 직각으로 지면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The high pressur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110 and the branch passage 112 flows to the internal discharge passage 130 through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Here, the slime generated in the excavation work is also discharged through the internal discharge passage 130, such as air. Here, the inner discharge passage 130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at an angle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from the bottom of the bit 100 as shown, and moreover, the outer side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is constan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it. Since it is located inside the gap, air does not contact the ground at right angles through the bottom discharge groov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에어가 직접 지반을 타격하는 것이 배제되기 때문에, 종래 압축된 고압의 에어가 지반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소음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종래에 저면 배출홈(120)과 수직방향인 지반을 향하여 에어가 바로 배출되는 것과 비교하면, 에어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상향 내부배출통로(130)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그만큼 지반을 직접 타격할 때의 소음이 줄어드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And since air is not directly hitting the groun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conventional compressed high-pressure air hits the ground. This i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irect discharge of the air toward the groun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since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upwardly inner discharge passage 130 formed to be inclined upwards, so that when hitting the ground directly Naturally, noise is reduced.

그리고 비트(100)의 저면에는 버튼 팁(14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버튼 팁(140)은 비트(100)의 저면 가장자리 부분 전체에 걸쳐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 부분은 굴착작업시 비트(100)의 마모가 가장 크게 발생하는 부분이 된다. 이처럼 마모가 크게 발생하는 영역에 많은 수의 버튼 팁(140)을 형성할 수 있어, 굴착작업시 비트(100)가 직접 지반을 타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그 비트(100)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면배출홈(120)이 외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의 폭이 커지는 구성과 저면배출홈(120)의 상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구성 등은 실질적으로 굴착 과정에서 발생한 슬라임의 보다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nd the bottom of the bit 100 is provided with a button tip 140, it can be seen that the button tip 140 is formed over the entire bottom edge portion of the bit (100). This part is the part where the wear of the bit 100 occurs the most during the excavation work. As such, a large number of button tips 140 may be formed in an area in which wear is large, and thus, the bit 100 may be minimized because the bit 100 does not have to hit the ground directly during the excavation work. Will be.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increas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and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120 inclines upward toward the outside substantially induces smoother discharge of the slime generated during the excavation process. It is expected to be possible.

100 ..... 비트
102 ..... 연결부
104 ..... 굴착바디
110 ..... 에어공급경로
112 ..... 분기통로
120 .... 저면배출홈
130 ..... 내부배출통로
100 ..... beat
102 ..... Connections
104 ..... Excavating Body
110 ..... Air Supply Path
112 ..... Branch passage
120 .... Bottom discharge groove
130 ..... Internal discharge passage

Claims (6)

상부에 성형되는 연결부분(102)과, 상기 연결부분의 하부에서 일체로 연장 성형되며 연결부분(10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굴착바디(104)를 구비하고;
중앙 부분에는 외부에서 공기가 공급되는 에어공급통로(110)가 성형되고, 상기 에어공급통로(110)는 비트의 저면에 출구(114)를 가지는 다수의 분기통로(112)와 연결되며;
굴착바디의 저면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성형된 다수의 저면배출홈(120)이 성형되며, 상기 저면배출홈의 내측 끝은 분기통로의 출구와 연결되고, 저면배출홈의 외측 끝은 굴착바디의 외측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내부에 성형되고;
상기 저면배출홈의 외측 끝 부분과 연결되는 내부배출통로(130)가 상기 굴착바디(104)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내부배출통로(130)는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성형되며;
상기 저면배출홈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의 폭이 크게 성형되고, 상기 내부배출통로는 반지름 방향의 폭이 원주 방향의 폭보다 크게 성형되는 굴착기용 비트.
A connection portion 102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n excavation body 104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s compared with the connection portion 102;
An air supply passage (110)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to supply air from the outside, and the air supply passage (110) is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branch passages (112) having an outlet (114) at the bottom of the bit;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bottom discharge grooves 120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the inner end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branch passage, the outer end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is the outer surface of the excavation body Molded in spaced spaces at intervals;
The inner discharge passage 130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outward so that the inner discharge passage 130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excavation body 104;
The bottom discharge groove is formed in the width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the inner discharge passage bit i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larger than the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부에 성형되는 연결부분(102)과, 상기 연결부분의 하부에서 일체로 연장 성형되며 연결부분(10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굴착바디(104)를 구비하고;
중앙 부분에는 외부에서 공기가 공급되는 에어공급통로(110)가 성형되고, 상기 에어공급통로(110)는 비트의 저면에 출구(114)를 가지는 다수의 분기통로(112)와 연결되며;
굴착바디의 저면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성형된 다수의 저면배출홈(120)이 성형되며, 상기 저면배출홈의 내측 끝은 분기통로의 출구와 연결되고, 저면배출홈의 외측 끝은 굴착바디의 외측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내부에 성형되고;
상기 저면배출홈의 외측 끝 부분과 연결되는 내부배출통로(130)가 상기 굴착바디(104)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내부배출통로(130)는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성형되며;
상기 저면배출홈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의 폭이 크게 성형되고, 상기 내부배출통로는 원주 방향의 폭이 반지름 방향의 폭보다 크게 성형되는 굴착기용 비트.
A connection portion 102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n excavation body 104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s compared with the connection portion 102;
An air supply passage (110)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to supply air from the outside, and the air supply passage (110) is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branch passages (112) having an outlet (114) at the bottom of the bit;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bottom discharge grooves 120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the inner end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branch passage, the outer end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is the outer surface of the excavation body Molded in spaced spaces at intervals;
The inner discharge passage 130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outward so that the inner discharge passage 130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bottom discharge groove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excavation body 104;
The bottom discharge groove is formed in the width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inner side toward the outer side, the inner discharge passage bit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larger than the width in the radial dir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배출통로의 하류측 측면 모서리를 경사면으로 성형하고, 이러한 경사면에 다수의 버튼팁을 장착하는 굴착기용 비트.





The excavator bi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ownstream side edge of the inner discharge passage is formed into an inclined surface, and a plurality of button tips are mounted on the inclined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09296A 2016-08-26 2016-08-26 Bits for excavating KR1020375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296A KR102037567B1 (en) 2016-08-26 2016-08-26 Bits for excava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296A KR102037567B1 (en) 2016-08-26 2016-08-26 Bits for excavati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356A Division KR20180023920A (en) 2018-01-25 2018-01-25 Bits for excava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817A KR20180026817A (en) 2018-03-14
KR102037567B1 true KR102037567B1 (en) 2019-10-28

Family

ID=6166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296A KR102037567B1 (en) 2016-08-26 2016-08-26 Bits for excava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56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149B1 (en) * 2020-05-08 2021-01-08 박영택 Reverse Circulation Air Hammer B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189B1 (en) * 2009-07-16 2012-05-14 (주)동우기계 Apparatus for excavation
KR101592238B1 (en) * 2015-07-20 2016-02-11 주식회사 성원중기계 Hammer bits for excavator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432U (en) * 2008-06-02 2009-12-07 유영생 Bit for bor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189B1 (en) * 2009-07-16 2012-05-14 (주)동우기계 Apparatus for excavation
KR101592238B1 (en) * 2015-07-20 2016-02-11 주식회사 성원중기계 Hammer bits for excavato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149B1 (en) * 2020-05-08 2021-01-08 박영택 Reverse Circulation Air Hammer B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817A (en)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7383C2 (en) Drilling bit
RU2351742C2 (en) Drilling bit for percussion hard rock drilling
CN106103880B (en) Digging tool
US20160002983A1 (en) Drilling tool
US3144087A (en) Drill bit with tangential jet
KR102037567B1 (en) Bits for excavating
CN105829633A (en) Percussive rock drill bit with optimized gauge buttons
RU2016111932A (en) Hydraulic cutting head
CN105317380B (en) A kind of variable-flow bores and rushes unitary nozzle
KR101592238B1 (en) Hammer bits for excavators
US20140131116A1 (en) Non-rotating drill bit for a down-the-hole drill hammer
US20040069540A1 (en) Drill bit
RU2747633C2 (en) Durable drill bit for drilling blastholes in hard rock (options)
KR101081176B1 (en) Hammer Device, Hammer Cooling Water Supply Apparatus, Silencer, Drilling Apparatus having such Caps and Water Supply Apparatus, and Drilling Method using such Apparatus
KR101145189B1 (en) Apparatus for excavation
KR102055482B1 (en) Bit for excavating
KR20180023920A (en) Bits for excavating
JP2003056271A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scattering of dust at boring time
US3096834A (en) Jetting device for rock bit
KR100777767B1 (en) Water injection device for chisel of hydraulic breaker
JP2007070912A (en) Ground boring machine having charged-type check valve body built therein
KR101258506B1 (en) Hammer bit structure of ground boring apparatus
CN218912804U (en) Pneumatic reverse circulation down-the-hole hammer drill bit for life rescue hole
KR20180019318A (en) Bit for excavating
CA2894292A1 (en) Control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06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309

Effective date: 201908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