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074B1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074B1
KR102037074B1 KR1020180129191A KR20180129191A KR102037074B1 KR 102037074 B1 KR102037074 B1 KR 102037074B1 KR 1020180129191 A KR1020180129191 A KR 1020180129191A KR 20180129191 A KR20180129191 A KR 20180129191A KR 102037074 B1 KR102037074 B1 KR 102037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um brush
case
operating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1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1442A (en
Inventor
윤민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9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074B1/en
Publication of KR20180121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4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0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57Suction cleaners adapted for cleaning of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드럼브러쉬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업라이트 청소기를 개시한다. 업라이트 청소기는 흡입구가 마련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회전되도록 마련되어 이물질을 쓸어 상기 흡입구로 유도하는 드럼브러쉬와, 일측이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는 제1위치와 일측이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먼지제거유닛과, 상기 먼지제거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먼지제거유닛을 작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 upright cleaner configured to remove dust from a drum brush is disclosed. The upright cleaner includes a case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a drum brush provided to be rotated inside the case to sweep foreign substances into the suction port, a first position at which one side contacts the drum brush, and a second position at which one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drum brush. It comprises a dust removal unit provided inside the case to move between, and a lever connected to the dust removal unit to operate the dust removal unit.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드럼브러쉬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configured to remove dust of a drum brush.

청소기는 실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결하게 하는 기구로서, 가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가 많이 사용된다. 진공청소기는 송풍장치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빨아들인 후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 등과 같은 장치로 분리해냄으로써 실내를 청결하게 하는데,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크게 캐니스터형(canister type)과 업라이트(upright type)으로 구분된다.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cleans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room, and a vacuum cleaner is generally used at home. The vacuum cleaner uses the suction power of the blower to suck the air and separates the foreign matter from the sucked air with a device such as a filter to clean the room. The vacuum cleaner is largely canister type and upright. type).

이 중 캐니스터 청소기는 송풍장치와 집진장치 등이 내장되는 본체와, 바닥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되는 흡입체와, 본체와 흡입체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결관에 설치되는 핸들을 잡고 흡입체를 청소하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하게 된다.Among them, the canister cleaner has a main body in which a blower, a dust collector, and the like are embedded, a suction body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to suck dust from the floor,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suction body. Therefore, the user grabs the handle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ipe and moves while cleaning the suction body in the direction to be cleaned.

반면, 업라이트 청소기는 직립형의 본체와, 본체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흡입체를 가지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체 위쪽에 설치된 핸들을 잡고 업라이트 청소기 전체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right cleaner has an upright body and a suction body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whereby the user cleans the handle while moving the entire upright cleaner while holding the handle installed above the body.

특히, 업라이트 청소기는 청소효율을 높이기 위해 드럼브러쉬를 흡입체 내에 장착한다. 이러한 드럼브러쉬는 고속으로 회전하며 피청소면과 접촉함으로써 피청소면 상에 부착된 이물질을 피청소면으로부터 분리하며, 분리된 이물질은 흡입체로 흡인된 후 본체에 구비된 집진장치로 유입된다.In particular, the upright cleaner mounts a drum brush in the suction body to increase the cleaning efficiency. The drum brush rotates at a high speed and contacts the surface to be cleaned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the separated foreign matter is drawn into the suction body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이 경우, 흡입체로 흡입된 이물질의 일부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드럼브러쉬의 회전력에 의해 드럼브러쉬에 부착된 채로 드럼브러쉬를 따라 회전하고, 이는 청소 효율을 저하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part of the foreign matter sucked into the suction body rotates along the drum brush while being attached to the drum brush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um brush rotating at high speed, which may cause a deterioration of the cleaning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드럼브러쉬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One aspect of the invention discloses a vacuum cleaner configured to remove dust from a drum brush.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는 흡입구가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되도록 마련되어 이물질을 쓸어 상기 흡입구로 유도하는 드럼브러쉬;와 일측이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는 제1위치와 일측이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먼지제거유닛;과 상기 먼지제거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먼지제거유닛을 작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pright cleaner includes: a case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and a drum brush provided to rotate inside the case to sweep foreign substances into the suction port; and a first position at which one side contacts the drum brush, and one side of the drum. And a lever provided in the case to move between the second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brush, and a lever connected to the dust removal unit to operate the dust removal unit.

상기 먼지제거유닛은 막대 형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에서 이격되는 더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removing unit may include a rod-shaped body and a dusting unit extending from the body and contacting the drum brush at the first posi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drum brush at the second position.

상기 레버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ever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which protrudes to the upper part of the case and a bent part which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extension part to the front part of the case, and the lever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

상기 절곡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절곡부를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bent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to elastically bias the bent portion upward.

위와 다르게 상기 레버는 일측은 상기 케이스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Unlike the above, the lever may have an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front side of the case and extending,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 돌출되어 있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장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연장부를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art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and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art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extension part to elastically bias the extension part upward.

상기 연장부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연장부를 가압하는 작동위치와 상기 연장부를 가압하지 않고 이격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작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ng unit coupled to the case to cover the extension, and movable between the operating position for pressing the extension and the release position spaced apart without pressing the extension.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연장부의 전면에 마련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부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may include a front plat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an upper plate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and bent backwards.

상기 상부판의 상부에 상기 케이스에 힌지결합되는 록킹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에 안착되면 상기 록킹유닛이 상기 상부판을 고정하여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a locking unit hinged to the case at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wherein when the operating unit is seated in the operating position, the locking unit fixes the upper plate to fix the operating unit to the operating position. It can be characterized.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힌지축에서 하향 연장되며 배면이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는 탄성지지부와, 끝단이 상기 지지부의 끝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힌지축에서 하향 연장되는 걸림부와, 상기 힌지축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발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extends downwardly from the hinge shaft coupled to the case, the back portion is supported by the elastic support portion, the end portion is extended downward from the hinge shaft so that the end protrudes forward than the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hinge It may include a scaffold extending forward from the axis.

상기 상부판의 일단에는 상기 케이스와 이격되어 형성된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상부판을 하향으로 눌러서 고정하고,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삽입홈에 수용될 수 있다.An insertion groov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as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cking portion may be fixed by pressing the upper plate downward in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 locking port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sertion groove at the release position. .

상기 전면판의 내면에 상기 연장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연장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may be provid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portion, the operating unit is further moved to the operating 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extension portion.

상기 더스팅부는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ing unit may include a brush.

상기 더스팅부는 하나 이상의 브러쉬 다발이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어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dusting portion may include one or more brush bundles arranged at intervals.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는 흡입체, 본체 및 핸들을 포함하는 업라이트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드럼브러쉬;와 상기 드럼브러쉬의 먼지를 제거하는 작동단계와 상기 드럼브러쉬의 먼지 제거 동작이 없는 해제단계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 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먼지제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right clea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right cleaner including a suction body, a main body and a handle, a case forming an exterior of the suction body; and a drum brush rotatably provided in the case; and the drum brush. And a dust removing unit having an operating step of removing dust and a releasing step of removing the dust of the drum brush, and being movable in the case.

상기 먼지제거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단계와 상기 해제단계 중 하나의 단계로 상기 먼지제거유닛을 조절하는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lever connected to the dust removal unit to adjust the dust removal unit in one of the operation step and the release step.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는 모터, 집진장치를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에서 연장되어 마련되며, 모터를 구동하게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핸들;과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된 공기를 본체로 전달하는 배출구가 마련된 흡입체;와 상기 흡입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이물질을 쓸어 상기 흡입구로 유도하는 드럼브러쉬;와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는 제1위치와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흡입체 내부에 마련된 먼지제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right clea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including a motor, a dust collector; and extends from the main body, a handle including an operation unit for driving the motor; and an inlet for sucking air and the inhaled air. A suction body provided with an outlet for delivering to the suction body; and a drum brush provided inside the suction body and rotating by the motor to sweep foreign substances into the suction hole; and a first position contacting the drum brush and the drum brush. It may include a; dust removal unit provided in the suction body to be movable between the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상기 먼지제거유닛은 막대 현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에서 이격되는 더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removing unit may include a body of a rod phenomenon and a dusting part extending from the body and contacting the drum brush at the first posi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drum brush at the second position.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모터 및 집진장치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를 포함하는 흡입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상기 집진장치를 향해 쓸어내는 드럼브러쉬,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는 제1위치와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먼지제거유닛, 상기 먼지제거유닛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흡입체에 결합되는 작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제1 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먼지제거유닛이 상기 드럼브러쉬와 접촉하고 있는 작동위치와 상기 먼지제거유닛이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cuum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motor and a dust collector, a suction body including a case, a drum brush provided in the case so as to be rotated by the motor, and the foreign matter to be swept toward the dust collector, the drum. And a dust removal unit rotat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contacting the brush and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drum brush, a first portion extending from the dust removal unit, and an operation unit coupled to the suction body. The operation unit is configured to press the first portion, and the operation unit is moved between an operation position where the dust removal unit is in contact with the drum brush and a release position where the dust removal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drum brush. Can be configured.

상기 먼지제거유닛은 막대 형상의 바디 및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더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스팅부는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고,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The dust removing unit may include a rod-shaped body and a dusting unit extending from the body. The dusting portion may contact the drum brush in the operating position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rum brush in the release position.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제1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portion and extending from an end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may cover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상기 흡입체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록킹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작동유닛을 상기 작동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unit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body. The locking unit may fix the operating unit to the operating position when the operating unit is located at the operating position.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제1 부분을 탄성 바이어스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unit elastically biasing the first portion.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작동유닛 내에 마련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레버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unit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The press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press the lever when the operating unit moves to the operating position.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회전 가능한 드럼브러쉬,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드럼브러쉬와 접촉하는 작동동작과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해제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먼지제거유닛, 상기 작동동작 또는 상기 해제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먼지제거유닛을 제어하도록 상기 먼지제거유닛에 연결되는 레버, 및 상기 작동동작 동안 상기 레버가 가압되는 작동위치와 상기 해제동작 동안 상기 레버가 해제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작동유닛을 포함한다.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removal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rotating drum brush, an operation of contacting the drum brush to remove dust from the drum brush and a release operation spaced apart from the drum brush, the operation Between a lever connected to the dust removal unit to control the dust removal unit performing the operation or the release operation, and an operating position at which the lever is pressed during the operation operation and a release position at which the lever is released during the release operation. An actuating unit configured to move.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작동유닛을 탄성 바이어스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unit for elastically biasing the operating unit.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작동유닛의 밑에 마련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레버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unit provided under the operation unit. The press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press the lever when the operating unit moves to the operating position.

상기 먼지제거유닛은 막대 형상의 바디 및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더스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스팅부는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고,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The dust remo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rod-shaped body and a dusting unit extending from the body. The dusting portion may contact the drum brush in the operating position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rum brush in the release position.

드럼브러쉬를 분리하지 않고 드럼브러쉬에 엉킨 머리카락이나 드럼브러쉬에 부착된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You can remove hair tangled in the drum brush or dust attached to the drum brush without removing the drum brush.

드럼브러쉬의 먼지 제거작업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드럼브러쉬의 먼지 제거동작없이 일반 청소 동작만이 가능하다.If the dust removal of the drum brush is not necessary, only the normal cleaning operation is possible without the dust removal operation of the drum brus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흡입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흡입체의 각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
도 4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먼지제거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먼지제거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흡입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흡입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흡입체의 각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uprigh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ction body omitting some components of the uprigh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suction body of FIG. 2. FIG.
Figure 4a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ust removing unit of the uprigh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ust removing unit of the uprigh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removal unit does not ope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removal unit ope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uction body of the uprigh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removal unit is not opera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removal unit is opera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uction body of the uprigh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ploded view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suction body of the uprigh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removal unit operat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removal unit is not opera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uprigh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라이트 청소기는 직립형의 본체(2)와, 실내의 바닥으로부터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본체(2)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는 흡입체(1)와, 사용자가 청소하려는 방향으로 청소기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본체(2)의 상부에 마련되는 핸들(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2)의 내부에는 이물질의 흡입을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와 흡입된 이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집진장치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upright cleaner includes an upright main body 2, an inhalation body 1 installed below the main body 2 so as to suck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loor of the room, and a user to clean the upright clean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andle (3)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 to easily move the cleaner in the direc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blowe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for suctioning foreign matter and a dust collector for storing the sucked foreign matter ar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흡입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haler without omitting some components of an uprigh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흡입체의 각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다.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suction body of FIG. 2.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체(1a)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a)와, 실내의 바닥으로부터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케이스(10a)의 전방 하부에 마련된 흡입구(60)와, 케이스(10a) 내부의 전방 하단에 회전하도록 마련되어 이물질을 쓸어 흡입구(60)로 유도하는 드럼브러쉬(50)와, 드럼브러쉬(50)를 회전하게 하는 모터(501)와, 모터(501)의 구동력을 드럼브러쉬(50)로 전달하기 위한 벨트(502)와, 드럼브러쉬(50)에 존재하는 머리카락 또는 먼지 등을 제거하도록 케이스(10a) 내부에 마련된 먼지제거유닛(20)와, 먼지제거유닛(20)을 회동하게 하는 레버(3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suction body (1a) is a case 10a forming the appearance, and the suction port 60 provided in the lower front of the case 10a to suck the foreign matter from the floor of the room And a drum brush 50 provided to rotate at the front lower end inside the case 10a to sweep the foreign material to guide the suction port 60, a motor 501 to rotate the drum brush 50, and a motor 501. Belt 502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um brush 50, dust removal unit 20 provided in the case 10a to remove hair or dust present in the drum brush 50, and dust removal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lever 30a which makes the unit 20 rotate.

드럼브러쉬(50)는 긴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는 외주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브러쉬가 나선형으로 마련되어 있다.The drum brush 50 has a long cylindrical shape, and the brush is spirally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청소과정에서 브러쉬는 이물질을 바닥에서 쓸어 흡입구(60)로 유도하는데 이 과정에서 브러쉬에 머리카락 또는 먼지 등이 엉킨다.In the cleaning process, the brush sweeps foreign matters from the floor to the suction port 60. In this process, hair or dust is tangled in the brush.

케이스(10a)는 케이스본체(112a)와, 케이스본체(112a)의 상단을 덮는 상부케이스(111a)와, 드럼브러쉬(50)를 지지하며 흡입구(60)가 마련되어 있는 하부케이스(11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ase 10a includes a case body 112a, an upper case 111a covering the upper end of the case body 112a, and a lower case 113a supporting the drum brush 50 and provided with an inlet 60. It is configured by.

먼지제거유닛(20)은 먼지제거유닛(20)을 케이스(10a)에 지지하는 막대 형상의 바디(201)와, 바디(201)에서 연장되어 드럼브러쉬(50)에 접촉하는 더스팅부(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ust removal unit 20 includes a rod-shaped body 201 for supporting the dust removal unit 20 on the case 10a and a dusting unit 202 extending from the body 201 to contact the drum brush 5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레버(30a)는 일측이 상부케이스(111a)의 상부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연장부(301a)와, 연장부(301a)의 끝단에서 케이스(10a)의 전면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302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레버(30a)의 타측은 먼지제거유닛(20)의 바디(201)에 연결된다.The lever 30a has an extension part 301a, one side of which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case 111a, and a bent part 302a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extension part 301a to the front part of the case 10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other side of the lever 30a is connected to the body 201 of the dust removal unit 20.

업라이트 청소기는 상부케이스(111a)와 레버(30a)의 절곡부(302a) 사이에 마련되어 절곡부(302a)를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탄성부(40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upright cleaner further includes an elastic part 40a provided between the upper case 111a and the bent part 302a of the lever 30a to elastically bias the bent part 302a upward.

탄성부(40a)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portion 40a may include a spring.

탄성부(40a)는 스프링 외에도 탄성력을 가져 절곡부(302a)를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part 40a may include means for elastically biasing the bent part 302a upward by having an elastic force in addition to the spring.

레버(30a)의 하단에는 탄성부(40a)가 고정될 수 있게 하향으로 돌기(303a)가 마련되어 탄성부(40a)의 상단이 고정된다.The lower end of the lever 30a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303a downward to fix the elastic portion 40a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portion 40a is fixed.

탄성부(40a)의 하단은 상부케이스(111a)에 지지된다.The lower end of the elastic portion 40a is supported by the upper case 111a.

도 4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먼지제거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a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ust removing unit of the uprigh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먼지제거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b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ust removing unit of the uprigh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지제거유닛(20)은 막대형상의 바디(201)와, 바디(201)에서 연장된 더스팅부(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ust removing unit 20 includes a rod-shaped body 201 and a dusting unit 202 extending from the body 201.

도 4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더스팅부(202a)는 바디(201a) 전체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브러쉬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A, the dusting unit 202a is composed of a brush that extends over the entire body 201a.

반면에 도 4b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의 먼지제거유닛(20b)은 막대형상의 바디(201b)는 동일하나, 바디(201b)에서 연장된 더스팅부(202b)가 하나 이상의 브러쉬 다발이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어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ust removing unit 20b of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4B, the rod-shaped body 201b is the same, but the dusting unit 202b extending from the body 201b is spaced at least one brush bundle apart. It is arranged and arranged.

이하 모든 실시예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스팅부(202b)가 하나 이상의 브러쉬 다발로 구성된 먼지제거유닛(20b)으로 나타낸다.In all the embodiments below, the dusting unit 202b is represented by a dust removal unit 20b composed of one or more brush bundles as shown in FIG. 4B.

도 4a 및 도 4b의 더스팅부(202a, 202b)는 ABS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드럼브러쉬(50)의 먼지를 털어내기 위한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usting parts 202a and 202b of FIGS. 4A and 4B may be made of ABS resi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and may be characterized by having sufficient strength to shake off the dust of the drum brush 50. .

이하에서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dust re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5a and 5b.

도 5a 및 도 5b는 흡입체(1a)의 단면도로서 드럼브러쉬(50)에 마련되어 있는 브러쉬는 생략하고 도시하였다.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suction body 1a, and the brushes provided in the drum brush 50 are omitted.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5A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re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operate.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a) 상부에 마련된 탄성부(40a)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의 절곡부(302a)가 상측으로 밀려 올려지고, 절곡부(302a)에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301a)를 포함하여 레버(30a) 전체가 상향으로 회동한다.As shown in FIG. 5A, the bent portion 302a of the lever is push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40a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0a, and an extension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bent portion 302a ( The entire lever 30a is rotated upward, including 301a.

레버(30a)가 회동하면 레버(30a)의 타측에 연결된 먼지제거유닛(20b)의 바디(201b)가 회동하면서 바디(201b)에서 연장되어 마련되는 더스팅부(202b) 역시 회동하여 드럼브러쉬(50)와 분리된다.When the lever 30a is rotated, the dusting unit 202b extending from the body 201b while rotating the body 201b of the dust removing unit 20b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ever 30a is also rotated so that the drum brush ( 50).

모터(501)가 동작하면 그 회전력을 벨트(502)가 드럼브러쉬(50)에 전달하여 드럼브러쉬(50)가 회전한다.When the motor 501 operates, the belt 502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drum brush 50 so that the drum brush 50 rotates.

따라서, 드럼브러쉬(50)는 더스팅부(202b)에 의한 간섭없이 작동한다.Thus, the drum brush 50 operates without interference by the dusting section 202b.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2) 내부에 마련된 송풍장치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blow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

드럼브러쉬(50)가 실내의 바닥과 맞닿으면서 회전하여 이물질을 실내의 바닥에서 분리하고, 분리된 이물질은 송풍장치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에 의하여 공기와 함께 흡입체(1a)의 케이스(10a) 전방 하부에 마련된 흡입구(60)로 흡입된다.The drum brush 50 rotates while contacting the floor of the room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from the floor of the room, and the separated foreign matter is blown along with the air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blower 10a of the case 1a. It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60 provided in the front lower part.

흡입된 공기와 공기 내에 포함된 이물질은 배출구(70)를 통과하여 집진장치(미도시)로 유입된다.The sucked air and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pass through the outlet 70 and enter the dust collector (not shown).

집진장치에서 이물질은 집진장치에 모아지고 공기는 흡입체(1a)의 외측으로 배출된다.In the dust collector, foreign matter i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an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body 1a.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5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removal unit ope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라이트 청소기의 사용자가 발 또는 손으로 레버(30a)의 절곡부(302a)를 가압하면, 절곡부(302a)에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301a)를 포함하여 레버(302a) 전체가 하향으로 회동한다.As shown in FIG. 5B, when the user of the upright cleaner presses the bent portion 302a of the lever 30a with a foot or a hand, the lever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301a integrally formed with the bent portion 302a. 302a) The whole rotates downward.

레버(302a)가 회동하면 먼지제거유닛(20b)의 바디(201b) 및 바디(201b)에서 연장되어 마련되는 더스팅부(202b)가 회동하여 더스팅부(202b)가 드럼브러쉬(50)와 접촉한다.When the lever 302a is rotated, the dusting unit 202b extending from the body 201b and the body 201b of the dust removing unit 20b rotates so that the dusting unit 202b and the drum brush 50 are rotated. Contact.

모터(501)의 회전 및 드럼브러쉬(50)의 회전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Rotation of the motor 501 and rotation of the drum brush 50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드럼브러쉬(50)가 회전하면 드럼브러쉬(50)에 접촉된 더스팅부(202b)와 간섭에 의해 드럼브러쉬(50)에 엉킨 머리카락이나 드럼브러쉬(50)에 부착된 먼지 등이 드럼브러쉬(50)에서 분리된다.When the drum brush 50 rotates, hair entangled in the drum brush 50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dusting unit 202b in contact with the drum brush 50, or dust attached to the drum brush 50, the drum brush 50. Are separated).

송풍장치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은 흡입구(60)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분리된 머리카락과 먼지는 흡입력에 의해 공기와 함께 배출구(70)를 통과하여 집진장치로 유입된다.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blower sucks air in the suction port 60, and the separated hair and dust are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 through the discharge port 70 together with the air by the suction force.

집진장치에서 머리카락과 먼지는 집진장치에 모아지고 공기는 흡입체(1a)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In the dust collector, hair and dust are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an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body 1a as described above.

사용자가 레버(30a)의 절곡부(302a)의 가압을 해제하면 도 5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부(40a)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의 절곡부(302a)가 상측으로 밀려 올려지고, 절곡부(302a)에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301a)를 포함하여 레버(30a) 전체가 상향으로 회동한다.When the user releases the pressurization of the bent portion 302a of the lever 30a, the bent portion 302a of the lever is push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40a as described in FIG. 5A, and the bent portion 302a. The whole lever 30a rotates upwards, including the extension part 301a integrally formed in ().

레버(30a)가 회동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먼지제거유닛(20b)의 바디(201b)가 회동하면서 더스팅부(202b)가 드럼브러쉬(50)에서 분리된다.When the lever 30a is rotated, the dusting unit 202b is separated from the drum brush 50 while the body 201b of the dust removing unit 20b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흡입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uction body of the uprigh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체(1b)는 케이스(10b), 흡입구(60), 배출구(70), 드럼브러쉬(50), 모터(미도시), 벨트(미도시), 먼지제거유닛(20b) 및 레버(3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다.As shown in FIG. 6, the suction body 1b includes a case 10b, a suction port 60, an outlet 70, a drum brush 50, a motor (not shown), a belt (not shown), and a dust removing unit.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20b and the lever 30b is the sam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케이스(10b)는 케이스 상단을 구성하는 상부케이스(111b)와 드럼브러쉬(50)를 지지하여 흡입구(60)가 마련되어 있는 하부케이스(11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ase 10b includes an upper case 111b constituting the upper case and a lower case 113b supporting the drum brush 50 and having a suction port 60.

먼지제거유닛(20b)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막대형상의 바디(201b)와 하나 이상의 브러쉬 다발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형성된 더스팅부(202b)로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ust removing unit 20b includes a dusting unit 202b formed by arranging the rod-shaped body 201b and one or more brush bundles at intervals.

레버(30b)는 일측이 상부케이스(111b)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연장부(301b)를 형성하고, 타측은 먼지제거유닛(20b)의 바디(201b)에 연결된다.The lever 30b forms an extension part 301b, one side of which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upper case 111b,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body 201b of the dust removing unit 20b.

상부케이스(10)의 전면에 연장부(301b)의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부(41b)가 마련된다.A support part 41b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art 301b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case 10.

레버(30b)의 연장부(301b)와 상부케이스(11b)의 지지부(41b) 사이에 탄성부(40b)가 마련되어 연장부(301b)를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한다.An elastic portion 40b is provided between the extension portion 301b of the lever 30b and the support portion 41b of the upper case 11b to elastically bias the extension portion 301b upwards.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40b)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나, 스프링 외에도 탄성력을 가져 연장부(301b)를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할 수 있는 수단은 탄성부(40b)에 포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astic part 40b is composed of a spring, but means for elastically biasing the extension part 301b to the upper side by having elastic force in addition to the spring may be included in the elastic part 40b.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30b) 및 먼지제거유닛(20b)이 상부케이스(111b)의 전면으로 배치되어 상부케이스(111b)의 상단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ver 30b and the dust removing unit 20b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upper case 111b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case 111b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드럼브러쉬(50)를 감싸는 상부케이스(111b)의 형태가 반원 형상을 이루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이물질의 흡입 및 배출이 원활하다.If the shape of the upper case 111b surrounding the drum brush 50 forms a semi-circular shape, the suction and discharge of foreign matters are smoother than otherwise.

이하에서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ust remov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도 7a 및 도 7b는 흡입체(1b)의 단면도로서 드럼브러쉬(50)에 마련되어 있는 브러쉬는 생략하고 도시하였다.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suction body 1b, and the brushes provided in the drum brush 50 are omitted.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7A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remov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operate.

탄성부(40b)의 탄성력에 의해 연장부(301b)가 상측으로 밀려 올려지고, 그에 따라 레버(30b) 전체가 상향으로 회동한다.The extension part 301b is push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40b, and the whole lever 30b rotates upwards by it.

레버(30b)가 회동하면 레버(30b)의 타측에 연결된 먼지제거유닛(20b)의 바디(201b)가 회동하면서 더스팅부(202b)가 드럼브러쉬(50)와 분리된다.When the lever 30b is rotated, the dusting unit 202b is separated from the drum brush 50 while the body 201b of the dust removing unit 20b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ever 30b is rotated.

이 상태에서 업라이트 청소기의 작동 원리는 도 5a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upright cleaner in this state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A.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7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removal unit operat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라이트 청소기의 사용자가 발 또는 손으로 연장부(301b)를 가압하면, 레버(30b)가 하향으로 회동한다.As shown in FIG. 7B, when the user of the upright cleaner presses the extension part 301b with a foot or a hand, the lever 30b rotates downward.

레버(30b)가 회동하면 먼지제거유닛(20b)의 바디(201b)도 회동하면서 바디(201b)에서 연장되어 마련되는 더스팅부(202b)가 드럼브러쉬(50)와 접촉한다.When the lever 30b is rotated, the dusting unit 202b extending from the body 201b while rotating the body 201b of the dust removing unit 20b is in contact with the drum brush 50.

드럼브러쉬(50)에 접촉된 더스팅부(202b)와 간섭에 의해 드럼브러쉬(50)가 회전하면서 드럼브러쉬(50)에 엉킨 머리카락이나 드럼브러쉬(50)에 부착된 먼지 등이 드럼브러쉬(50)에서 분리된다.As the drum brush 50 rotates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dusting unit 202b in contact with the drum brush 50, hair tangled in the drum brush 50 or dust adhered to the drum brush 50 is transferred to the drum brush 50. Are separated).

흡입구(60)에서 공기가 흡입되고, 분리된 머리카락과 먼지는 흡입력에 의해 공기와 함께 배출구(70)를 통과하여 집진장치로 유입된다.Air is sucked from the inlet 60, and the separated hair and dust are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 through the outlet 70 together with the air by the suction force.

집진장치에서 머리카락과 먼지는 집진장치에 모아지고 공기는 흡입체(1b) 외측으로 배출된다.In the dust collector, hair and dust are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an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body 1b.

사용자가 연장부(301b)의 가압을 해제하면 도 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부(40b)의 탄성력에 의해 연장부(301b)가 상측으로 밀려 올려지고, 레버(30b) 전체가 상향으로 회동한다.When the user releases the pressurization of the extension part 301b, the extension part 301b is push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40b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A, and the entire lever 30b is rotated upward.

레버(30b)가 회동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더스팅부(202b)가 드럼브러쉬(50)에서 분리된다.When the lever 30b is rotated, the dusting unit 202b is separated from the drum brush 50 as described abov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흡입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uction body of the uprigh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흡입체의 각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다.9 is an exploded view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suction body of the uprigh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체(1c)는 케이스(10c), 흡입구(60), 드럼브러쉬(50), 먼지제거유닛(20b) 및 레버(30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suction body 1c includes a case 10c, a suction port 60, a drum brush 50, a dust removing unit 20b, and a lever 30c.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드럼브러쉬(50)의 외주면에 마련된 브러쉬에 머리카락 또는 먼지 등이 엉키는 점은 앞서 살펴본 바와 동일하다. Hair or dust is tangled in the brush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brush 5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케이스(10c)는 케이스 상단을 구성하는 상부케이스(111c)와 상부케이스(111c) 하단에 체결되며 드럼브러쉬(50)를 지지하고 흡입구(60)가 마련되어 있는 하부케이스(11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ase 10c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case 111c constituting the upper case and a lower case 113c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se 111c and supporting the drum brush 50 and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60. .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먼지제거유닛(20b)은 막대형상의 바디(201b)와 바디(201b)에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브러쉬 다발이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어 형성된 더스팅부(202b)로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ust removing unit 20b is composed of a rod-shaped body 201b and a dusting part 202b formed by arranging at least one brush bundle extending from the body 201b at intervals.

레버(30c)는 일측이 상부케이스(111c)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연장부(301c)를 형성하고, 레버(30c)의 타측은 먼지제거유닛(20b)의 바디(201b)에 연결된다.The lever 30c forms an extension part 301c, one side of which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upper case 111c, and the other side of the lever 30c is connected to the body 201b of the dust removing unit 20b.

연장부(301c)의 하단에는 상부케이스(111c)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부(41c)가 마련된다. A lower end of the extension part 301c is provided with a support part 41c protruding to the front of the upper case 111c.

연장부(301c)와 상부케이스(111c)의 지지부(41c) 사이에 탄성부(40c)가 마련되어 연장부(301c)를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한다.An elastic portion 40c is provided between the extension portion 301c and the support portion 41c of the upper case 111c to elastically bias the extension portion 301c upward.

연장부(301c)의 전면에는 연장부(301c)를 덮는 형태로 작동유닛(800)이 마련된다.An operation unit 80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301c to cover the extension part 301c.

작동유닛(800)은 전면판, 상부판 및 측면판으로 구성된다.The operation unit 800 is composed of a front plate, a top plate and a side plate.

연장부(301c)의 전면에 좌우로 긴 직사각형의 전면판이 마련되고, 상부판은 전면판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후방으로 절곡되어 마련되고, 측면판은 전면판과 상부판의 측면에 결합된다.A rectangular front plat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extension part 301c and is long left and right, the top plat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and is bent backward, and the side plate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front plate and the top plate.

작동유닛(800)의 내측으로 상기 연장부(301c)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압부(801)가 전면판의 내면에 결합된다.The pressing part 801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part 301c into the operation unit 800.

작동유닛(800)은 측면판의 일측에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부케이스(111c)의 옆면과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The operation unit 80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at one side of the side plate, has a structure that can be hinged to the side of the upper case (111c) can be rotated up and down around the hinge axis.

록킹유닛(900)은 상부판의 상부에 상부케이스(111c)와 힌지 결합된다.The locking unit 900 is hinged to the upper case 111c at the top of the upper plate.

록킹유닛(900)의 힌지축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발판부(903)가 상하로 면을 향하도록 마련되고, 힌지축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지지부(902)가 발판부(903)와 연결된다. A footrest portion 903 extending forward from the hinge shaft of the locking unit 900 is provided to face up and down,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90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inge shaft is connected to the footrest portion 903.

탄성지지부(902)는 그 배면이 상부케이스(111c)에 맞닿아 록킹유닛(900)을 정방으로 탄성 바이어스한다.The elastic support 902 is elastically biased to the locking unit 900 in the back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case (111c).

한 쌍의 걸림부(901)는 걸림부(901)의 끝단이 탄성지지부(902)의 끝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힌지축에서 하향 연장되어 마련된다.The pair of locking portions 901 extend downward from the hinge shaft such that the ends of the locking portions 901 protrude forward than the ends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902.

이하에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에 의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ust remov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A and 10B.

도 10a 및 도 10b는 흡입체(1b)의 단면도로서 드럼브러쉬(50)에 마련되어 있는 브러쉬는 생략하고 도시하였다.10A and 10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suction body 1b, and the brushes provided in the drum brush 50 are omitted.

도 10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0A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removing unit operat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작동유닛(800)을 발이나 손으로 가압하여 작동위치에 안착하게 하면, 가압부(801)가 연장부(301c)를 가압하여 하향으로 회동하게 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ng unit 800 with the foot or the hand to be seated in the operating position, the pressing unit 801 presses the extension 301c to rotate downward.

연장부(301c)가 하향으로 회동하면서 먼지제거유닛(20b)이 회동하고, 그에 따라 더스팅부(202b)가 드럼브러쉬(50)에 접촉하는 제1위치에 위치한다.The dust removal unit 20b rotates while the extension portion 301c rotates downward, and thus the dusting portion 202b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drum brush 50.

드럼브러쉬(50)가 회전하면 드럼브러쉬(50)와 더스팅부(202b)의 간섭에 의해 드럼브러쉬(50)에 엉킨 머리카락이나 드럼브러쉬(50)에 부착된 먼지 들이 드럼브러쉬(50)에서 분리된다.When the drum brush 50 rotates, hairs tangled in the drum brush 50 or dust attached to the drum brush 50 by the interference of the drum brush 50 and the dusting unit 202b are separated from the drum brush 50. do.

흡입구(60)에서 흡입된 공기와 함께 분리된 머리카락과 먼지는 흡입력에 의해 배출구(70)를 통과하여 집집장치로 유입된다.Hair and dust separated together with the air sucked from the inlet 60 passes through the outlet 70 by the suction force and enters the collecting device.

머리카락과 먼지는 집진장치에 모아지고, 공기는 흡입체(1c) 외측으로 배출된다.Hair and dust are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an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body 1c.

탄성지지부(902, 도 9참고)의 재료적 탄성에 의 록킹유닛(900) 전체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The entire locking unit 900 by the material elasticity of the elastic support 902 (see FIG. 9) rotates clockwise.

걸림부(901)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걸림부(901) 하단이 상부판의 상면을 하향으로 눌러 작동유닛(800)이 작동위치에 고정된다.The locking portion 901 protrudes forward, and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ortion 901 is pressed down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fix the operation unit 800 to the operating position.

따라서, 사용자가 작동유닛(800)의 가압을 해제하더라도, 작동유닛(800)은 작동위치를 유지하고 먼지제거유닛(20b) 역시 제1위치를 유지하여, 먼지제거유닛(20b)이 작동을 멈추지 않는다.Therefore, even if the user releases the pressurization of the operation unit 800, the operation unit 800 maintains the operation position and the dust removal unit 20b also maintains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dust removal unit 20b does not stop operation. Do not.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0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remov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operate.

사용자가 록킹유닛(900)의 발판부(903)를 가압하면, 탄성지지부(902, 도9참고)의 탄성에도 불구하고 록킹유닛(9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footrest 903 of the locking unit 900, the locking unit 900 rotates counterclockwise in spite of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support 902 (see FIG. 9).

걸림부(901)의 돌출정도는 줄어들어 끝단이 상부케이스(111c) 측으로 접근하고, 걸림부(901)의 일단은 삽입홈(804)에 수용된다.The protruding degree of the locking portion 901 is reduced so that the end approaches the upper case 111c side, and one end of the locking portion 901 is accommodated in the insertion groove 804.

걸림부(901)의 일단이 삽입홈(804)에 수용되면서, 상부판을 하향으로 누르는 힘도 제거된다.One end of the locking portion 901 is accommodated in the insertion groove 804, the force pressing down the top plate is also removed.

탄성부(40c)의 탄성력에 의해 연장부(301c)가 상측으로 밀려 올려지고, 레버(30c)전체가 상향으로 회동한다.The extension part 301c is push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40c, and the lever 30c whole rotates upwards.

연장부(301c)는 가압부(801)를 위로 밀어 올리고, 작동유닛(800) 전체가 상향으로 회동한다.The extension part 301c pushes up the press part 801 and rotates the whole operation unit 800 upward.

레버(30c)가 회동하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먼지제거유닛(20b)은 더스팅부(202b)가 드럼브러쉬에서 이격되는 제2위치로 이동한다.As described above, as the lever 30c rotates, the dust removing unit 20b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where the dusting unit 202b is spaced apart from the drum brush.

1a, 1b, 1c : 흡입체
2 : 본체 3 : 핸들
10a, 10b, 10c : 케이스 111a, 111b, 111c : 상부케이스
112a : 케이스본체 113a, 113b, 113c : 하부케이스
20, 20a, 20b : 먼지제거유닛 201, 201a, 201b : 바디
202, 202a, 202b : 더스팅부
30a, 30b, 30c :레버 301a, 301b, 301c : 연장부
302a : 절곡부 303a, 303b, 303c : 돌기
40a, 40b, 40c : 탄성부 41b, 41c : 지지부
50 : 드럼브러쉬 60 : 흡입구
70 : 배출구
800 : 작동유닛 801 : 가압부
802 : 전면판 803 : 상부판
804 : 삽입홈
900 : 록킹유닛 901 : 걸림부
902 : 탄성지지부 903 : 발판부
1a, 1b, 1c: inhaler
2: body 3: handle
10a, 10b, 10c: case 111a, 111b, 111c: upper case
112a: case body 113a, 113b, 113c: lower case
20, 20a, 20b: Dust removal unit 201, 201a, 201b: Body
202, 202a, 202b: dusting part
30a, 30b, 30c: Lever 301a, 301b, 301c: Extension part
302a: bends 303a, 303b, 303c: protrusions
40a, 40b, 40c: elastic portion 41b, 41c: support portion
50: drum brush 60: suction port
70 outlet
800: operating unit 801: pressure unit
802: front panel 803: top panel
804: Insertion Groove
900: locking unit 901: locking part
902: elastic support 903: scaffolding

Claims (11)

모터 및 집진장치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를 포함하는 흡입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상기 집진장치를 향해 쓸어내는 드럼브러쉬;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는 제1위치와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막대 형상의 바디 및 상기 바디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더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먼지제거유닛;
상기 먼지제거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을 가압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흡입체의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작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제1 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먼지제거유닛이 상기 드럼브러쉬와 접촉하고 있는 작동위치와 상기 먼지제거유닛이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작동유닛이 가압되면,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제1 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먼지제거유닛이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회동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
A main body including a motor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A suction body including a case;
A drum brush provided in the case so as to be rotated by the motor and sweeping foreign substances toward the dust collector;
Rotatably configur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drum brush and the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drum brush, and includes a rod-shaped body and a dusting portio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body, A dust removal unit provided inside;
A first portion extending from the dust removing unit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An actuating unit provided to pressurize the first portion and coupled to the case of the suction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The operation unit is configured to press the first portion, and the operation unit is moved between an operation position where the dust removal unit is in contact with the drum brush and a release position where the dust removal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drum brush. Composed,
And when the operating unit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e operating unit presses the first portion to cause the dust removing unit to rotate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팅부는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고,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ing unit is in contact with the drum brush in the operating position, the vacuum cleaner spaced apart from the drum brush in the release pos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econd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portion and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커버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said operating unit covers said first portion and said secon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체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록킹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작동유닛을 상기 작동위치에 고정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unit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body,
And the locking unit fixes the operating unit to the operating position when the operating unit is located in the operating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을 탄성 바이어스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resilient portion for elastically biasing the firs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작동유닛 내에 마련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1 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es a pressurizing portion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The pressurizing unit is configured to pressurize the first portion when the operating unit moves to the operating position.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드럼브러쉬;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드럼브러쉬와 접촉하는 작동동작과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해제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막대 형상의 바디 및 상기 바디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더스팅부를 가지는 먼지제거유닛;
상기 작동동작 또는 상기 해제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먼지제거유닛을 제어하도록 상기 먼지제거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 및
상기 작동동작 동안 상기 레버가 가압되는 작동위치와 상기 해제동작 동안 상기 레버가 해제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는 작동유닛;을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작동유닛이 가압되면,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레버를 가압하여 상기 먼지제거유닛이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와 접촉되는 위치로 회동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
case;
A drum brush rotatable inside the case;
Is provided rotatably inside the case to perform the operation operation in contact with the drum brush to remove dust from the drum brush and the release operation spaced apart from the drum brush, the rod-shaped body and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body Dust removal unit having a dusting portion extending to;
A lever extending from the dust removing unit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to control the dust removing unit performing the operation operation or the release operation; And
And an operating unit coupled to the case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to rotate between an operating position at which the lever is pressed during the operating operation and a release position at which the lever is released during the release operation.
And when the operating unit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e operating unit presses the lever to rotate the dust removing unit to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drum brush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drum brus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을 탄성 바이어스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unit for elastically biasing the operating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작동유닛의 밑에 마련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레버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es a pressurizing portion provided below the operation unit,
And the pressing unit is configured to press the lever when the operating unit moves to the operating posi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팅부는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고,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dusting unit is in contact with the drum brush in the operating position, the vacuum cleaner spaced apart from the drum brush in the release position.




KR1020180129191A 2018-10-26 2018-10-26 Vacuum cleaner KR1020370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191A KR102037074B1 (en) 2018-10-26 2018-10-26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191A KR102037074B1 (en) 2018-10-26 2018-10-26 Vacuum clea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535A Division KR20130005135A (en) 2011-07-05 2011-07-05 Upright clean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047A Division KR102228892B1 (en) 2019-10-22 2019-10-22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442A KR20180121442A (en) 2018-11-07
KR102037074B1 true KR102037074B1 (en) 2019-10-29

Family

ID=6436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191A KR102037074B1 (en) 2018-10-26 2018-10-26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0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711B1 (en) * 2019-05-07 2020-05-13 배종희 Portable vacuum clea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2066A (en) * 2006-07-11 2006-11-16 Mitsubishi Electric Corp Vacuum cleaner
JP2006334084A (en) * 2005-06-01 2006-12-14 Toshiba Tec Corp Suction port body for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4084A (en) * 2005-06-01 2006-12-14 Toshiba Tec Corp Suction port body for vacuum cleaner
JP2006312066A (en) * 2006-07-11 2006-11-16 Mitsubishi Electric Corp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442A (en)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5135A (en) Upright cleaner
KR102452480B1 (en) Vacuum cleaner
KR101119615B1 (en) Vacuum cleaner
KR20050001766A (en) A vacuum cleaner for many purposes
KR20070100895A (en) Surface treating appliance
KR20060082900A (en) Handle for vacuum cleaner
KR102228892B1 (en) Vacuum cleaner
KR102037074B1 (en) Vacuum cleaner
KR100968335B1 (en) A cleaner
JP2010500069A (en) Switch / motor assembly
KR101208556B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JP4713958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090121655A (en) Suction nozzle assembly usable with vacuum cleaner with hair collecting member,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movinng hair by using the same
KR100941426B1 (en)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JP7035446B2 (en) Suction tool and vacuum cleaner
KR100933190B1 (en)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KR20060107625A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rner
KR20110047597A (en) A vacuum cleaner
KR19980013972U (en) Suction force control switch of vacuum cleaner
KR20050108551A (en) A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KR101199662B1 (en)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KR20200145065A (en) Assembly type cleaner
KR960000913Y1 (en) Suction part for mop-type vacuum cleaner
JP2023079282A (en) Suction port body and vacuum cleaner
JP2021186552A (en) Suction port body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