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849B1 -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 - Google Patents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849B1
KR102036849B1 KR1020180018842A KR20180018842A KR102036849B1 KR 102036849 B1 KR102036849 B1 KR 102036849B1 KR 1020180018842 A KR1020180018842 A KR 1020180018842A KR 20180018842 A KR20180018842 A KR 20180018842A KR 102036849 B1 KR102036849 B1 KR 102036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or
seat frame
frame
seat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2736A (ko
Inventor
강동윤
Original Assignee
강동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백 filed Critical 강동백
Priority to KR1020180018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84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06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4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e backrest-seat unit or back-rest
    • A47C1/0347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e backrest-seat unit or back-rest characterised by the backrest-seat unit or back-rest slidingly movable in the base frame, e.g. by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7Rocker/recl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장착부재(110)와, 장착부재(110)의 상단에 굴곡 형성된 가이드 레일(111)과, 장착부재(110)에 제1 고정축(M1)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작동자(130)와, 작동자(130)의 타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가이드 레일(111)을 타고 이동하는 롤러(150)에 지지되는 시트 프레임(121)과, 시트 프레임(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가이드 레일(111)을 타고 이동하는 롤러(150)와, 타측이 시트 프레임(121)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이 작동자(130)에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1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등받이 프레임(122)에 등받이 프레임(122)을 뒤로 젖히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1 고정축(M1)을 회전축으로 하여서 작동자(1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작동자(130)가 시트 프레임(121)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며 작동자(130)가 미는 힘에 의해서 롤러(150)가 가이드 레일(111)을 타고 가면서 시트 프레임(121)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간단하고 적은수의 부품에 의해서 작은 힘으로도 이미용 의자를 작동할 수 있는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NO POWER CHAIR FOR HAIR SALONS OR BARBER SHOPS}
본 발명은 이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전동식으로 작용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하고 작은 힘만을 작용하더라도 이미용 의자를 쉽고 편리하게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용실, 피부미용실 등에서 사용되는 의자는 필요에 따라 시트 프레임(seat)를 승강시킬 수 있는 한편, 등받이나 다리받침의 각도를 변화시켜 두발 세척과 같은 작업이 착석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의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트의 승강, 등받이와 다리받침대의 각도 변화가 가능토록 하는 의자는 통상적으로 모터와 기어를 이용하여 전동으로 동작하고 있다.
이러한 전동식 이미용 의자의 문제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작된 기술이 본원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되어서 특허등록된 등록특허 제 10-1346559 호(공고일: 2014년 01월 02일)에 의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위 등록특허 제 10-1346559 호에 의한 기술은 모터나 유압 공압 실린더와 같은 원동장치가 없더라도 수동식으로 다리받침대와 등받이를 펴거나 접을 수 있어서 전동식 이미용 의자에 비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위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위 제 10-1346559 호에 의한 등록특허는 시트(즉 시트 프레임)는 고정되고 상체를 눕히는 힘으로 등받이와 다리받침대만 펼 수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등받이와 다리받침대만 펼 수 있으므로 그 용도 및 이용에 한계가 있었고, 시트가 승하강 되지 못하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시트가 승하강되지 못하는 기술이므로, 사용자의 안락함을 배가시키려면 시트가 승하강 되는 것이 필수적인데, 종래의 다른 기술에 의하면 이를 위해 전동모터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 경우에는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문헌1: 등록특허 제 10-1346559 호(공고일: 2014년 01월 02일) 문헌2: 등록특허공보 제 10-1260987 호(공고일: 2013년 05월 0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의 목적은,
첫째, 구동원(모터)을 이용하지 않고도 상체를 뒤로 젖히는 힘만으로도 시트 프레임(따라서 시트)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 즉, 무전동식으로 이용자의 몸무게를 극복하면서 시트 프레임(따라서 시트)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작동자와 롤러와 가이드 레일을 채택함으로써, 작은 힘만을 작용하더라도 등받이 프레임을 쉽고 편리하게 뒤로 젖히고 시트 프레임을 밀어올릴 수 있어있도록 하고,
셋째, 작동자와 롤러와 가이드 레일을 채택함으로써, 간단하고 적은 부품수로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을 단순화하고 부품 수 및 조립 공수를 줄여서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이미용 의자의 초기 위치에서 이미용 의자 특히 시트 프레임이 움직이거나 유동하는 것을 확실히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작동자의 작은 회전각으로도 시트 프레임을 쉽고 높이 밀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는, 바닥에 설치되는 장착부재와, 굴곡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장착부재에 제1 고정축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작동자와, 상기 작동자의 타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가이드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에 지지되는 시트 프레임과, 상기 시트 프레임에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타고 이동하며, 상기 시트 프레임을 지지하는 슬라이드 부재와, 타측이 상기 시트 프레임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작동자에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등받이 프레임을 뒤로 젖히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축을 회전축으로 하여서 상기 작동자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동자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작동자가 상기 시트 프레임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며, 상기 작동자가 미는 힘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타고 가면서 상기 시트 프레임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상기 장착부재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회전하면서 타고 이동하는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는 시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을 회전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액추에이터 또는 구동원(예컨대 모터)을 이용하지 않고도 상체를 뒤로 젖히는 힘만으로도 시트 프레임(따라서 시트)을 승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무전동식으로 앉아 있는 이용자의 몸무게를 극복하면서 시트 프레임(따라서 시트)을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작동자와 롤러와 가이드 레일을 채택함으로써 작은 힘만을 작용하더라도 등받이 프레임을 쉽고 편리하게 뒤로 젖히고 동시에 시트 프레임을 위로 밀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이미용 의자의 초기 위치에서 이미용 의자 특히 시트 프레임이 움직이거나 유동하는 것을 확실히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작동자의 작은 회전각으로도 시트 프레임을 쉽고 높이 밀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작동자와 롤러와 가이드 레일을 채택함으로써, 간단하고 적은 부품수로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를 구현할 수 있고, 그 결과 제품을 컴팩트 및 단순화 할 수 있고, 부품 수 및 조립 공수를 줄여서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가 샴푸대(10)에 설치된 사용 상태도로서, 전후방 방향에서 가운데를 잘라서 내측에서 우측(샴푸대를 보는 방향에서 우측)을 바라본 경우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등받이 프레임(122)에 반시계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등받이 프레임(122)이 뒤로 젖혀지면서 작동자(1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시트 프레임(121)이 전상방(forward and upward)으로 올라가는 동작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에 있어서, 작동자(130)와 등받이 프레임(122)의 연결 관계를 개시하기 위한 요부 배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에 있어서, 작동자(130)와 등받이 프레임(122)의 연결 관계를 개시하기 위한 요부 내부 측면 구성도이다.
도 5는 시트 프레임(121)이 하강하고 등받이 프레임(122)이 직립된 상태에서, 이미용 의자의 유동 및 움직임을 잡아주기 위해서 멈춤핀(163)이 멈춤홈(112a)에 삽입된 상태를 개시하기 위한 이미용 의자의 요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등받이 프레임(122)에 반시계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멈춤핀(163)이 멈춤홈(112a)으로부터 해제되어서 등받이 프레임(122)이 뒤로 젖혀지면서 작동자(1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시트 프레임(121)이 전상방으로 올라가는 동작도이다.
도 7은 배력 링크(173)가 부가적으로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의 초기 위치[시트 프레임(121)이 하강하고 등받이 프레임(122)이 직립된 상태의 위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등받이 프레임(122)에 반시계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등받이 프레임(122)이 뒤로 젖혀지면서 작동자(1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시트 프레임(121)이 전상방으로 올라가는 동작에서 배력 링크(173)가 시트 프레임(121)을 밀어주는 동작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의 초기 위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동작도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개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의 배면 요부 구성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기재된 시트 프레임은 쿠션 재질의 시트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시트와 동일 내지 등가의 구성이며, 등받이 프레임은 쿠션 재질의 등받이와 동일 내지 등가의 구성임을 밝혀 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는, 바닥에 직립 설치되는 판상의 한 쌍의 장착부재(110)와, 굴곡 형성된 가이드 레일(111)과, 상기 장착부재(110)에 제1 고정축(M1)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작동자(130)와, 상기 작동자(130)의 타측(도시된 그림에서는 하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가이드 레일(111)을 타고 이동하는 롤러(150)에 지지되는 이용자가 앉는 시트(S1)가 설치되는 시트 프레임(121)과, 상기 시트 프레임(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111)을 타고 이동하며, 상기 시트 프레임(121)을 회전 지지하는 롤러(150)와, 타측(도면을 기준으로 보면 하측)이 상기 시트 프레임(121)의 후단에 제1 연결핀(P1)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상측)이 상기 작동자(130)에 연결되며, 이용자가 기대는 등받이(미도시)가 설치되는 등받이 프레임(1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122)에 등받이 프레임(122)을 뒤로 젖히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예컨대 시트에 앉는 이용자가 상체를 등받이에 기대어서 뒤로 젖히는 경우), 상기 제1 고정축(M1)을 회전축으로 하여서 상기 작동자(130)가 일방향으로 회전(도시된 그림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동자(13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작동자(130)가 상기 시트 프레임(121)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며, 등받이 프레임(122)을 뒤로 젖히는 외력이 제거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121)에 하방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축(M1)을 회전축으로 하여서 상기 작동자(130)가 타방향으로 회전(도시된 그림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동자(130)의 타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122)이 전방으로 다시 복귀하여 세워지며, 상기 작동자(130)가 미는 힘에 의해서 상기 롤러(150)가 상기 가이드 레일(111)을 타고 가면서 상기 시트 프레임(121)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를 롤러(150)로 구성함으로써 이용자의 체중을 극복하면서 시트 프레임(121)을 밀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액추에이터 또는 구동원(예컨대 모터)을 이용하지 않고도 상체를 뒤로 젖히는 힘만으로도 시트 프레임(따라서 시트)을 승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앉아 있는 이용자의 몸무게를 극복하면서 무전동식으로 시트 프레임(따라서 시트)을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미용 의자의 이용자가 이미용시에 안락함을 배가시키기 위해서는 시트 프레임 자체가 승강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시트 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오직 전동장치를 이용해야만 했으나, 본원발명은 전동장치가 필요 없이 등받이로 힘을 작용 즉 상체를 뒤로 살짝 젖히는 작용만으로도 시트 프레임을 위로 밀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
즉, 모터나 유압·공압 실린더와 같은 액추에이터 내지 동력원이 없더라도 수동식으로 등받이 프레임(122)을 펴거나 접을 수 있고, 또한 시트 프레임(121)을 승강시킬 수 있어서 전동식 이미용 의자에 비하여 현격하게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작동자(130)와 롤러(150)와 가이드 레일(111)을 채택함으로써, 시트 프레임(121)을 밀어올릴 수 있어서 미세한 힘만 등받이 프레임(122)에 작용하더라도 쉽게 작동이 가능할 수 있다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상기 장착부재(110)는 판상이고 간격을 두고 바닥에 직립 설치되는 한 쌍의 장착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이드 레일(111)은 상기 장착부재(1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작동자(130)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122)에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작동자(130)와 등받이 프레임(122)은 슬라이딩 연결부재(141,142)에 의해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작동자(130)가 등받이 프레임(122)에 자유단을 연결될 수 있어서, 시트 프레임(121)을 밀어올리는 동작을 더욱더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재(141,142)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122)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일(141)과, 일측이 상기 작동자(130)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 레일(141)에 삽입되어서 슬라이딩 레일(141)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는 선형운동자(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자유단 연결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111)에는, 이미용 의자가 초기의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 즉, 하강한 상태의 시트 프레임(121)의 흔들림이나 움직임을 잡아주기 위한 안착홈(111a)과, 상기 안착홈(111a)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시트 프레임(121)의 상승 동작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경사안내부(111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작동자(130)는, 상기 시트 프레임(121)과 연결되는 타측이 시트 프레임(121)을 원활하게 밀어올리기 위해서 대략 국자 모양이 되도록 시트 프레임(121) 쪽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자(130)는 바(bar) 형상으로서 하측은 시트 프레임(121) 쪽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작동자(130)의 작은 회전각으로도 시트 프레임을 쉽고 높이 밀어올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시트 프레임(121)에 고정되고 타측이 고정체[예컨대 상기 장착부재(110)]에 고정설치고, 등받이 프레임(122)이 세워진 상태 즉, 상기 시트 프레임(121)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압축되어서 반발력(복원력)을 가지며, 상기 작동자(13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서 시트 프레임(121)이 상승하기 시작하는 경우 자체 반발력(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시트 프레임(121)을 위로 밀어올려서 시트 프레임(121)이 원활하게 상승하도록 하는 완충 복귀 부재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완충 복귀 부재(171)는 시트 프레임(121)이 하강하는 경우 시트 프레임(121)에 반발력을 작용하여서 시트 프레임이 천천히 내려오도록 하여서 이용자에게 안정감을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완충 복귀 부재(171)는 예컨대, 스프링, 스프링이 내장된 스프링 로드, 개스 스프링(gas spring), 유압 또는 공압식 쇽 업쇼버(Shock Absorber) 등으로 구현가능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완충 복귀 부재(171)로 개스 스프링이 예시적으로 구현되어 있는데, 개스 스프링은 그 자체가 본원발명의 출원 전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개스실린더 내에 예컨대 질소 개스를 주입하여 밀봉한 후에 피스톤로드의 왕복운동에 따라서 개스실린더 내부의 압력이 변화하면서 완충역할을 하면서 반발력에 의해서 시트 프레임(121)을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에 있어서, 일측(도시된 그림을 기준으로는 후측)이 상기 작동자(130)의 타측과 제5 회전핀(P5)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시트 프레임(121)이나 롤러(150)에 연결되어서, 상기 작동자(1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시트 프레임(121)을 밀어올리는 경우, 상기 작동자(130)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서 시트 프레임(121)을 밀어올리는 힘을 배가시키는 배력 부재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력 부재는 예컨대,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력 링크(173)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시트 프레임(121)을 매우 작은 힘만으로도 더욱더 쉽게 밀어올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배력 링크(173)는 작동자(130) 쪽으로 절곡되어서 낫(scythe)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적 특징에 의해서 더욱더 쉽고 효율적으로 시트 프레임(121)을 밀어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121)의 전단에 제4 연결핀(P4)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리받침대(123)와, 상기 장착부재(110)에 설치된 제2 고정축(M2)과, 일단이 상기 제2 고정축(M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다리받침대(123)에 연결핀(P9)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고정축(M2)을 축으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여서 접혀 있는 다리받침대(123)를 펴거나 펴져 있는 다리받침대(123)를 접는 작동 링크(181a,181b,181c)와, 일측이 제1 고정축(M1)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작동자(1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작동 링크(181a,181b,181c)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작동자(130)가 제1 고정축(M1)을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후방으로 젖혀지는 경우에는 그에 연동하여 상기 작동 링크(181a,181b,181c)를 펴고, 다리받침대(123)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서 작동 링크(181a,181b,181c)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혀지는 경우에는 작동 링크(181a,181b,181c)가 접히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작동자(13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등받이 프레임(122)를 타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등받이 프레임(122)를 세우고 시트 프레임(121)을 하강시키는 구동 바(18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리받침대(123)를 접거나 펴는 기능을 하는 외에 나아가 시트 프레임(121)과 등받이 프레임의 동작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작동 링크(181a,181b,181c)는, 일단이 상기 제2 고정축(M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다리받침대(123)에 연결핀(P9)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링크 마디(181a, 181b)와, 상기 복수의 링크 마디(181a,181b)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관절핀(181c)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절핀(181c)에 의해서 링크 마디(181a,181b)가 접고 펴지는 관절운동을 하며, 상기 링크 마디(181a,181b)가 펴지는 경우에는 접혀 있는 다리받침대(123)를 펴고 상기 링크 마디(181a,181b)가 접히는 경우에는 펴져 있는 다리받침대(123)를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110)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판상의 장착부재(110)에 마주보도록 호(arc)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홈(112)과, 상기 가이드홈(112)의 하측에 형성된 멈춤홈(112a)과, 상기 시트 프레임(121)에 하방으로 간격을 두고 체결되는 판상의 한 쌍의 연결판(161)과, 상기 한 쌍의 연결판(161)에 가로질러서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112)에 삽입되어서 가이드홈(112)을 따라서 이동하며, 멈춤홈(112a)에 끼워져서 시트 프레임(121)의 유동이나 움직임을 스토핑하는 멈춤핀(163)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미용 의자가 초기 위치[시트 프레임(121)이 하강하고 등받이 프레임(122)이 직립된 상태의 위치]에 있는 경우 시트 프레임(121)이 유동하거나 움직이거나 또는 오동작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에 있어서, 도 1, 도 2,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 프레임(121)은 상기 작동자(130)의 타측(하측)과 제2 연결핀(P2)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도 2,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이미용 의자는 작동자(130)와 시트 프레임(121)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에 있어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 프레임(121)에 하방으로 체결되는 판상의 연결판(161)과, 상기 연결판(161)에 체결되고 상기 롤러(150)를 설치하기 위한 체결부재(165)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작동자(130)의 타측은 상기 연결판(161)의 일측(후측)과 제3 연결핀(P3)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롤러(150)는 상기 체결부재(165)에 체결되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121)에 설치되어서 가이드 레일(111)을 타고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이미용 의자는 작동자(130)와 시트 프레임(121)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구조가 아니고 그 사이에 연결부재가 부가적으로 구성하여서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도 1, 도 2,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작동자(130)와 시트 프레임(121)의 연결 방법이나 또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작동자(130)와 시트 프레임(121)의 연결 방법 모두는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초기 위치에서, 등받이 프레임(122)에 반시계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면, 등받이 프레임(122)이 뒤로 젖혀지면서(도 9의 화살표 ①) 작동자(1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화살표 ②), 시트 프레임(121)이 전상방(forward and upward)으로 올라간다(화살표 ③).
초기 위치에서는 시트 프레임(121)이 하강하고 등받이 프레임(122)이 직립된 상태에서, 멈춤핀(163)이 멈춤홈(112a)에 삽입되어 있다(도 5 및 도 7).
그리고, 등받이 프레임(122)에 반시계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등받이 프레임(122)이 뒤로 젖혀지면서 작동자(1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시트 프레임(121)이 전상방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멈춤핀(163)이 멈춤홈(112a)으로부터 해제된다(도 6 및 도 8).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장착부재 111 : 가이드 레일
111a : 안착홈 111b : 경사안내부
112 : 가이드홈 112a : 멈춤홈
M1 : 제1 고정축 121 : 시트 프레임
122 : 등받이 프레임 123 : 다리받침대
130 : 작동자 P1,P2,P3,P4,P5,P9 : 연결핀
141 : 슬라이딩 레일 142 : 선형운동자
150 : 롤러 161 : 연결판
163 : 멈춤핀 165 : 체결부재
171 : 완충 복귀 부재 173 : 배력 링크
181a,181b,181c : 작동 링크 M2 : 제2 고정축
181a,181b : 링크 마디 181c : 관절핀
182 : 구동 바 S1 : 시트

Claims (4)

  1. 바닥에 설치되는 장착부재(110)와,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111)과,
    상기 장착부재(110)에 제1 고정축(M1)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작동자(130)와,
    상기 작동자(130)의 타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가이드 레일(111)을 타고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에 지지되는 시트 프레임(121)과,
    상기 시트 프레임(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111)을 타고 이동하며, 상기 시트 프레임(121)을 지지하는 슬라이드 부재와,
    타측이 상기 시트 프레임(121)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작동자(130)에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1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122)에 등받이 프레임(122)을 뒤로 젖히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축(M1)을 회전축으로 하여서 상기 작동자(1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동자(13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작동자(130)가 상기 시트 프레임(121)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며,
    상기 작동자(130)가 미는 힘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111)을 타고 가면서 상기 시트 프레임(121)이 상승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111)은, 상기 장착부재(1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자(130)와 등받이 프레임(122)은 슬라이딩 연결부재(141,142)에 의해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
  2. 바닥에 설치되는 장착부재(110)와,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111)과,
    상기 장착부재(110)에 제1 고정축(M1)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작동자(130)와,
    상기 작동자(130)의 타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가이드 레일(111)을 타고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에 지지되는 시트 프레임(121)과,
    상기 시트 프레임(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111)을 타고 이동하며, 상기 시트 프레임(121)을 지지하는 슬라이드 부재와,
    타측이 상기 시트 프레임(121)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작동자(130)에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1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122)에 등받이 프레임(122)을 뒤로 젖히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축(M1)을 회전축으로 하여서 상기 작동자(1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동자(13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작동자(130)가 상기 시트 프레임(121)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며,
    상기 작동자(130)가 미는 힘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111)을 타고 가면서 상기 시트 프레임(121)이 상승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111)을 따라서 회전하면서 타고 이동하는 롤러(150)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150)는, 상기 시트 프레임(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121)을 회전하면서 지지하며,
    상기 작동자(130)와 등받이 프레임(122)은 슬라이딩 연결부재(141,142)에 의해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재(141,142)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122)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일(141)과,
    일측이 상기 작동자(130)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 레일(141)에 삽입되어서 슬라이딩 레일(141)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는 선형운동자(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111)에는,
    하강한 상태의 시트 프레임(121)의 흔들림이나 움직임을 잡아주기 위한 안착홈(111a)과,
    상기 안착홈(111a)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시트 프레임(121)의 상승 동작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경사안내부(111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
KR1020180018842A 2018-02-14 2018-02-14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 KR102036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842A KR102036849B1 (ko) 2018-02-14 2018-02-14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842A KR102036849B1 (ko) 2018-02-14 2018-02-14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736A KR20180022736A (ko) 2018-03-06
KR102036849B1 true KR102036849B1 (ko) 2019-10-25

Family

ID=6172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842A KR102036849B1 (ko) 2018-02-14 2018-02-14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893B1 (ko) 2023-02-01 2023-05-15 한미희 유니트 체어를 결합한 피부 미용 통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089B1 (ko) * 2019-03-15 2020-01-03 강동백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
KR102382879B1 (ko) 2020-04-11 2022-04-04 강동백 시트 프레임 승강형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
WO2022241984A1 (en) * 2021-05-17 2022-11-24 Remacro Machinery & Technology (Wujiang) Co., Ltd. Mechanical extension apparatus for extendable seat and extendable sea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2227A1 (de) * 2001-10-20 2003-05-08 Sichelschmidt Stanzwerk Sitzmöbel
CN201388750Y (zh) * 2009-04-15 2010-01-27 孙立华 椅子框架中的座垫伸缩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987B1 (ko) 2012-09-06 2013-05-06 강동윤 샴푸 전동 의자
KR101346559B1 (ko) 2013-07-27 2014-01-02 강동윤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2227A1 (de) * 2001-10-20 2003-05-08 Sichelschmidt Stanzwerk Sitzmöbel
CN201388750Y (zh) * 2009-04-15 2010-01-27 孙立华 椅子框架中的座垫伸缩机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893B1 (ko) 2023-02-01 2023-05-15 한미희 유니트 체어를 결합한 피부 미용 통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736A (ko)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849B1 (ko) 시트 승하강이 가능한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
AU2019201565B2 (en) Furniture Member With Powered Mechanism Providing Lift And Zero Gravity Positions
CN106724220B (zh) 一种多功能折叠座椅
KR102062089B1 (ko)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
TW201600372A (zh) 能翻轉的車用座椅框架組件
JP6865477B2 (ja) チェアー
CN109288290A (zh) 一种双电机驱动助站躺椅用铁架及其工作方法
KR102028263B1 (ko) 의자의 좌판부 슬라이드 구조
US4078841A (en) TV chair with double pillow case and two-step ottoman
CN109431140B (zh) 升降折叠办公椅
KR20130090869A (ko)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
CN201840078U (zh) 办公躺椅
KR101953996B1 (ko) 소파 겸용 침대
KR101485176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
KR20200047084A (ko) 침대 겸용 전동소파
KR101931678B1 (ko) 소파 겸용 침대
KR102382879B1 (ko) 시트 프레임 승강형 무전동식 이미용 의자
CN207477254U (zh) 腿托驱动机构
CN212698294U (zh) 一种腿部支撑机构及设有该机构的沙发伸展装置
US2121456A (en) Collapsible adjustable chair
KR101557098B1 (ko) 샴프 전동의자
JP2021533956A (ja) 駆動機構
KR20080095824A (ko) 접이식 의자 및 배치 시스템
KR101440387B1 (ko) 좌식형 샴푸의자
US11304531B1 (en) Raising mechanism for sitt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