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615B1 - Dinner set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 Google Patents

Dinner set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615B1
KR102036615B1 KR1020180112515A KR20180112515A KR102036615B1 KR 102036615 B1 KR102036615 B1 KR 102036615B1 KR 1020180112515 A KR1020180112515 A KR 1020180112515A KR 20180112515 A KR20180112515 A KR 20180112515A KR 102036615 B1 KR102036615 B1 KR 102036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ware
magnetic force
magnet
senso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5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6615B9 (en
Inventor
박주연
강소윤
Original Assignee
강소윤
석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소윤, 석진희 filed Critical 강소윤
Priority to KR1020180112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6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615B1/en
Publication of KR10203661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615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5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7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3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pyrometers
    • G01J5/1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 A47G2200/042For person with a handicap of s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 A47G2200/166Temperature sens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A dinnerware set for the visually impaired includes dinnerware and cutlery. Moreover, the dinnerware set for the visually impaired comprises: a magnet provided to one of the dinnerware and the cutlery; a magnetic sensor provided to the other one of the dinnerware and the cutlery and sensing a size of the magnet; and an output device outputting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value sensed by the magnetic sensor.

Description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 {DINNER SET FOR THE VISUALLY HANDICAPPED}Tableware set for the visually impaired {DINNER SET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본 발명은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ware set for the blind.

시각 장애우는 앞에 있는 사물을 정확히 볼 수 없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불편이 있다. 특히 시각 장애우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에는 음식물이 보이지 않으므로 어떤 음식이 있는지 알 수 없고, 음식물의 위치도 파악할 수 없어 혼자 음식물을 섭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re inconvenient in their daily lives because they cannot see exactly what is in front of them. In particular, the visually impaired may not know what foods are present because the food is invisible, and the location of the food may not be grasp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서 RFID 기술을 이용하여 음식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device for delivering food information using RFID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a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그러나, RFID 태그의 유효 통신 거리는 수십 센티미터 이상이므로, 여러 개의 식기가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식탁에서는 RFID 수신부가 한번에 여러 식기의 신호를 동신에 수신하므로, 종래 기술은 실제로 실 생활에서는 사용되기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effective communication distance of the RFID tag is several tens of centimeters or more, since the RFID receiver receives the signals of several dishes at once in the dining table where several dishes are located in close proximity,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s very difficult to actually use in real life. have.

특허문헌: 한국등록 특허 10-1772991 (2017.08.24 공개)Patent Document: Korean Registered Patent 10-1772991 (August 24, 201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식기에 담겨져 있는 음식 정보를 파악 할 수 있는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table set for the visually impaired can grasp the food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tablewa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와 식기구를 포함하는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는, 상기 식기와 상기 식기구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자석; 상기 식기와 상기 식기구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자석의 자력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자력 센서; 및 상기 자력 센서에서 감지한 값에 대응되는 음식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ablewar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including a tableware and a tableware includes: a magnet provided in any one of the tableware and the tableware; A magnetic force sensor provided to the other of the tableware and the tableware and capable of sensing a magnetic force magnitude of the magnet; And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alue detected by the magnetic force senso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의 상기 식기는 복수 개 제공되고, 복수 개의 상기 식기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자력을 갖는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dishes of the visually impaired tablewar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magnets having different sizes of magnetic force may be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dish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의 상기 식기는 식판이고, 상기 식판에 형성된 음식물을 담는 복수 개의 수용 공간 둘레로 서로 다른 크기의 자력을 갖는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ableware of the visually impaired tablewar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 and magnets having different sizes of magnetic force may be arranged around a plurality of accommodation spaces containing food formed on the pl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의 상기 자력 센서는 상기 식기구에 제공되고, 상기 식기구는 상기 자력 센서에서 감지된 자력 정보를 상기 출력 장치로 송신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gnetic force sensor of the visually-impaired tablewar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the tableware, the tableware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magnetic forc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agnetic force sensor to the output device.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의 상기 출력 장치는, 상기 제1 통신부에서 송신된 자력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식기에 제공된 자석의 자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2 통신부에 수신된 자력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자력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자력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를 판별하는 제어부; 판별된 상기 음식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put device of the visually impaired tablewar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magnetic for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 memory for storing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provided in the tableware; A control unit which compares the magnetic for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ith the magnetic forc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and determines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magnetic force; It may include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determined food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의 상기 식기구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장치는 상기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음식의 온도를 알려주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경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ableware of the visually impaired tablewar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rared sensor, the output device informs the temperature of the food detected by the infrared sensor or warns when the temperature is above a preset temperature can d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의 상기 식기구는 상기 자력 센서 또는 상기 적외선 센서의 작동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ableware of the visually impaired tablewar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witch for selecting whether to operate the magnetic sensor or the infrared senso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의 상기 자석은 상기 식기와 착탈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gnet of the visually impaired tablewar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tachable from the tablewar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는 상기 출력 장치와 상기 식기구는 통합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blind set table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device and the tableware may be integra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는 상기 자석은 상기 식기구에 제공되고, 상기 식기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각각의 상기 식기에는 상기 자력 센서 및 음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상기 출력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식기는 상기 자력 센서로부터 얻어진 상기 자력의 크기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음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visually impaired tablewar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 is provided on the tableware, the tablewar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and each of the tableware may output the magnetic force sensor and food information. An output device is provided, and the tableware may output the food information when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obtained from the magnetic force sensor i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는 식기구에 제공되는 통신 칩; 상기 식기 또는 상기 식기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통신 칩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3개 이상의 안테나; 및 상기 신호의 세기의 변화에 따른 식기구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위치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sually impaired tablewar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ion chip provided in the tableware; Three or more antennas arranged around the tableware or the tableware to measure the strength of a signal of the communication chip; And an output device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tablewar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ntensity of the signal and outputting the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의 상기 식기구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의 세기의 변화와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반영하여 상기 식기구의 위치 변화를 보정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bleware of the visually impaired tablewar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and corrects the position change of the tableware by reflecting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the signal and the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Can b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식기에 담겨져 있는 음식 정보를 파악 할 수 있는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tableware set for the visually impaired that can grasp the food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tablewa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와 착탈 식으로 제공되는 자석 밴드를 타나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ableware set for the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ableware set for the bli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 table and a magnetic band provided in a removable m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ableware set for the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는 음식을 담는 식기(10), 상기 식기의 일 부분에 제공되는 자석(20),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 센서가 제공되는 식기구(30) 및 자력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자력 정보와 대응하는 음식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tableware set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h 10 for holding food, a magnet 20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dish, and a magnetic force sensor for detecting magnetic force. And an output device 40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for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strument 30 and the magnetic force sensor.

식기(10)는 음식이 담길 수 있는 구성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그릇 및 높이가 낮은 접시 등 공지된 모든 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기는 그릇, 식판, 냄비, 컵 등 공지된 모든 구성을 포함하며, 그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tableware 10 may be configured to contain food, and may include all known tableware such as a bow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plate having a low height. In addition, the tableware includes all known configurations such as a bowl, a plate, a pot, a cup, and the like,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식기(10)는 지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평면을 포함하는 바닥부(12), 음식물이 담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중간부(14) 및 중간부(14) 상부에 제공되어 개방된 공간을 제공하는 입구부(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tableware 10 is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12 including a plane parallel to the ground so as to contact the ground, the middle portion 14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iddle portion 14 to provide a space for food. It may include an inlet 16 that provides an open space.

식기(10)는 자력을 갖는 자석을 구비할 수 있으며, 자석(20)은 식기에 탈착 식으로 제공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을 바닥부(12)에 위치 시키는 경우, 바닥부(12)와 중간부(14)를 탈착 식으로 구성하여, 자석을 바닥부(12)에 위치 시킨 후, 바닥부(12)를 중간부(14)에 부착 할 수 있다.Tableware 10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 having a magnetic force, the magnet 20 may be provided detachably to the tableware. For example, when the magnet is located on the bottom part 12, the bottom part 12 and the middle part 14 are configured to be removable, and after the magnet is located on the bottom part 12, the bottom part 12 is placed. ) Can be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14.

자석(20)이 입구부(16)에 배치되는 경우, 입구부(16)를 중간부(14)와 착탈 가능하게 형성하고, 입구부(16)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여 자석(20)을 입구부(16) 내부의 중공부에 채울 수 있다. 또한, 자석(20)을 입구부(16)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When the magnet 20 is disposed at the inlet 16, the inlet 16 is detachably formed with the intermediate portion 14, and a hollow is formed in the inlet 16 to form the magnet 20. It may fill in the hollow part inside the part 16. In addition, the magnet 20 may be disposed to be located outside the inlet 16.

또한, 자석(20)을 입구부(16) 둘레에 배치시켜 후술하는 식기부의 자력센서가 자석(20)의 자력을 감지하여, 출력부를 통해 음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lacing the magnet 20 around the inlet 16, the magnetic force sensor of the tableware to be described later to detect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20, it is possible to output food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하나의 식기(10)에 배치되는 자석(20)은 동일한 자력을 갖는 자석을 배치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식기(10)마다 동일한 자력을 갖는 자석(20)을 배치하고, 자력에 대응하는 음식정보를 저장하여 음식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magnet 20 disposed in one dish 10 arranges a magnet having the same magnetic forc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agnets 20 having the same magnetic force may be disposed for each dish 10, and the food information may be output by storing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force.

마찬가지로, 자석을 바닥부(12)에 위치 시키는 경우, 바닥부(12)와 중간부(14)를 탈착 식으로 구성하여, 자석을 바닥부(12)에 위치 시킨 후, 바닥부(12)를 중간부(14)에 부착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부(12)의 중심부에 나사선을 갖는 홈를 형성하고, 식기의 중간부(14) 하단을 이에 대응하는 돌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바닥부(12)와 중간부(14)를 탈착 할 수 있다. Similarly, in the case where the magnet is placed on the bottom 12, the bottom 12 and the middle 14 are configured to be removable, the magnet is placed on the bottom 12, and then the bottom 12 is placed. It can be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14. For example, the bottom portion 12 and the middle portion 14 are detached by forming a groove having a threa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12 and forming the lower end of the middle portion 14 of the tableware to have a corresponding protrusion. can do.

또한, 식기는 복수 개 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식기에는 서로 다른 자력을 갖는 자석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자력을 갖는 자석을 식기에 배치하고, 음식 정보를 자력의 크기에 대응하게 설정함으로써, 자력의 크기에 따른 음식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In addition, there may be a plurality of dishes. Magnets having different magnetic forces are arranged in the plurality of dishes. In this way, by placing magnets having different magnetic forces on the tableware and setting the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the foo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can be displayed.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식기와 분리되어 있는 받침대를 구비하고, 받침대를 상술한 자석을 포함하도록 구성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석을 포함하는 받침대를 음식물을 담고 있는 식기를 받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음식의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it may be provided with a pedestal separate from the tableware, and the pedestal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magnet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by placing the pedestal containing the magnet to support the tableware containing the food, it is possible to know the information of the food.

또한, 도 2는 식기(10)는 식판(10b)인 경우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b)를 참조하면, 식기(10)는 식판(1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판(10b)은 식판 본체(18), 식판 본체(18)에 형성된 음식물을 담는 복수 개의 수용 공간(16b, 16c, 16d, 16f, 16g)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수용 공간(16b, 16c, 16d, 16f, 16g) 둘레로 복수 개의 자석(20b, 20c, 20d, 20e, 20f)을 배치 할 수 있다.2 show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case where the tableware 10 is a plate 10b. Referring to FIG. 2B, the tableware 10 may include a plate 10b. The plate 10b includes a plate body 18 and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16b, 16c, 16d, 16f, and 16g containing food formed in the plate body 18,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16b, 16c, A plurality of magnets 20b, 20c, 20d, 20e, and 20f can be arranged around 16d, 16f, and 16g.

상기 복수 개의 자석, 즉 제1 자석(20b), 제2 자석(20c), 제3 자석(20d), 제4 자석(20e), 제5 자석(20f)는 서로 다른 자력을 갖는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자력을 갖는 자석을 배치함으로써, 후술하는 자력 센서에 의해 자력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magnets, that is, the first magnet 20b, the second magnet 20c, the third magnet 20d, the fourth magnet 20e, and the fifth magnet 20f have different magnetic forces. In this way, by arranging magnets having different magnetic forces, magnetic force information can be received by a magnetic force sensor described later, and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can be output.

또한, 복수개의 자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수용 공간(16b, 16c, 16d, 16f, 16g)과 착탈 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magnets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accommodation spaces 16b, 16c, 16d, 16f, and 16g as described above.

또한, 도 2의 식기(10) 또는 식기 주위에는 후술하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안테나(18a, 18b, 18c, 18d)가 배치되어, 식기구(30)의 위치를 파악 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antennas 18a, 18b, 18c, and 18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around the tableware 10 or the tableware of FIG. 2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tableware 30.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식기구(30)의 형태는 숟가락, 젓가락, 포크, 나이프, 포크 젓가락 등 음식을 자르거나 집을 수 있는 공지의 형태를 포함 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젓가락 형태를 갖는 식기구를 도시하여 설명한다.The shape of the tableware 30 may include a well-known form for cutting or picking up food such as spoons, chopsticks, forks, knives, and fork chopstick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tableware having a chopstick shape will be described.

식기구(3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한 쌍의 몸체(33a, 33b)를 갖는다.  Tableware 30 has a pair of bodies (33a, 33b) formed so that the user can hold and use.

식기구(30)는 한 쌍의 몸체(33a, 33b) 중 하나에 자력 센서(31a), 다른 하나에 적외선 센서(31b)를 포함하고, 후술하는 출력 장치로 감지된 정보를 송신하는 제1 통신부(34a, 34b)를 포함한다. The tableware 30 includes a magnetic force sensor 31a in one of the pair of bodies 33a and 33b and an infrared sensor 31b in the other, and transmits the detected information to an output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34a, 34b.

자력 센서(31a) 및 적외선 센서(31b)는 몸체(33)에서 음식물과 접촉하는 측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통신부(34a, 34b)는 음식물과 접촉하는 측의 반대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magnetic force sensor 31a and the infrared sensor 31b may be disposed at an end portion of the body 33 in contact with food,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s 34a and 34b may be disposed at opposite ends of the side in contact with food. Can be.

자력 센서(31a)는 식기에 배치된 자석(20)의 자력을 검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식기는 다른 자력을 갖는 자석이 배치되는바, 자력 센서(31a)는 이들의 자력을 감지하여 자력 정보를 검출 할 수 있다.  The magnetic force sensor 31a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20 arranged on the tableware. As described above, each dish is provided with a magnet having a different magnetic force, the magnetic force sensor 31a may detect the magnetic force to detect the magnetic force information.

상기 자력 센서(31a)가 식기에 배치된 자석의 자력을 검출하면, 검출된 자력을 제1 통신부(34)를 통하여 출력 장치(40)에 구비된 후술하는 제2 통신부(42)에 송신한다. When the magnetic force sensor 31a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placed on the tableware, the detected magnetic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2 described later provided in the output device 40 via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4.

적외선 센서(31b)는 음식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온도 정보를 출력부(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화상 위험을 방지 할 수 있다. The infrared sensor 31b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food and may notify the user of the temperature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40. Therefore, the burn risk of the user can be prevented.

또한, 식기구(30)는 몸체(33)의 일 측에 스위치(35a, 35b)를 형성 할 수 있다. 스위치(35a, 35b)는 자력 센서, 적외선 센서의 작동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온/오프 스위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ableware 30 may form switches 35a and 35b on one side of the body 33. The switches 35a and 35b may be on / off switches for selecting whether to operate the magnetic force sensor and the infrared sensor.

따라서, 스위치(35a, 35b)에 의해 자력 센서, 적외선 센서등의 작동 여부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따라 식기 세트를 작동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the magnetic force sensor, the infrared sensor, or the like is operated by the switches 35a and 35b, so that the tableware set can be operated only when the user desires.

또한, 식기구(30)에 후술하는 출력장치(40)가 통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몸체(33a)에는 음성이 출력되는 출력 장치(40a)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의 몸체(33b)에는 진동이 출력되는 출력 장치(40b)가 제공 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이 출력되는 출력 장치(40a)에는 음식물 정보가 출력되고, 진동이 출력되는 출력 장치(40b)는 일정 온도 이상일 때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진동이 울릴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출력 장치(40)만을 식기구(30)에 배치 시킬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출력 장치(40)에서 음성 또는 진동으로 음식 정보, 경고, 음식의 위치 정보가 출력 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output device 4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tegrated into the tableware 30. For example, one body 33a may be provided with an output device 40a for outputting voices, and the other body 33b may be provided with an output device 40b for outputting vibrations. In this case, food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output device 40a through which the voice is output, and the output device 40b through which the vibration is output may vibrate to warn the user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addition, only one output device 40 may be arranged on the tableware 30, and in this case, one information device 40 may output food information, a warning, and food location information by voice or vibration.

또한, 식기구(30)에 후술하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식기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가속도 센서(32) 및 제1 제어부(3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In addition, the acceleration sensor 32 and the first control unit 33 may be formed in the tableware 30 to identify the tableware posi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두 개의 제1 통신부(34a, 34b)는 자력 센서(31a) 및 적외선 센서(31b), 가속도 센서(32a, 32b)에서 측정한 정보를 서로 교환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wo first communication units 34a and 34b may exchang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agnetic force sensor 31a, the infrared sensor 31b, and the acceleration sensors 32a and 32b.

또한, 각 몸체(31a, 31b)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들을 작동시킬 수 있는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each body (31a, 31b)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that can operate them.

도 3(b)는 한 쌍의 몸체(31a, 31b)가 일체로 형성된 식기구(30)를 나타낸다. 한 쌍의 몸체(31a, 31b)의 단부는 서로 연결되되, 음식을 집을 수 있도록 각 몸체가 회전 가능한 회전부(35)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35)에는 제1 통신부(34) 및 배터리(도면 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3 (b) shows the tableware 30 in which a pair of bodies 31a and 31b are integrally formed. Ends of the pair of bodies 31a and 31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rotatable portion 35 is rotatable so that each body is rotatable to pick up food. The rotating unit 35 may have a first communication unit 34 and a battery (not show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출력 장치(40)는 상기 제1 통신부(34)에서 송신된 자력 정보, 온도 정보, 가속도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42), 상기 식기에 구비된 자석의 자력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44), 상기 제1 통신부에서 송신된 자력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음식 정보를 비교하는 제2 제어부(46), 상기 음식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48) 및 출력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9)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output device 40 corresponds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provid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2 and the tableware for receiving magnetic force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accel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4. Memory 44 for storing food information, the second control unit 46 for comparing the magnetic for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foo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the output unit 48 for outputting the food information And a power supply unit 49 for supplying power to the output device.

제2 통신부(42)는 제1 통신부로부터 식기에 배치된 자석의 자력 정보, 음식의 온도 정보, 식기구의 가속도 정보를 수신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2 receives the magnetic force information of the magnet disposed in the tableware,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food, and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tableware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메모리(44)는 자석의 자력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식기 중 하나인 제1 식기는 제1 자력을 갖는 제1 자석이 배치되고, 제1 식기에는 제1 음식(예: 밥)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제1 자석이 배치된 제1 식기는 제1 음식(예: 밥)이 담겨져 있음을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44 stores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For example, the first tableware,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tableware,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magnet having a first magnetic force, and the first tableware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food (eg, rice). In this case, the first tableware on which the first magnet is disposed may store that the first food (eg, rice) is contained therein.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석은 식기와 착탈 가능하므로, 자석의 자력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를 메모리(44)에 저장해 두고, 음식을 담은 후 자석을 식기에 결합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식기에 음식을 다 담은 후 자석을 결합 시킴으로써, 음식물을 섭취 할 때 마다 다시 음식물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수고를 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일 먹는 밥, 국, 김치를 각각 제1 자력, 제2 자력, 제3 자력에 대응되게 메모리(44)에 미리 저장시킨 후, 각 식기에 밥, 국 김치를 담은 후, 밥이 담긴 식기에 제1 자력을 갖는 자석, 국이 담긴 식기에 제2 자력을 갖는 자석, 김치가 담긴 식기에 제3 자력을 갖는 자석을 배치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gnet is detachable from the tableware,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may be stored in the memory 44, and the magnet may be coupled to the tableware after the food is contained. In this way, by combining the magnet after the food in the tableware, you can avoid the trouble of having to enter the food information again each time you eat food. For example, after storing the rice, soup, and kimchi that is eaten every day in the memory 44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magnetic force, the second magnetic force, and the third magnetic force, respectively, the rice and the soup kimchi are put in each dish, and then the rice is A magnet having a first magnetic force on the dishware, a magnet having a second magnetic force on the dishware, and a magnet having a third magnetic force on the dishware containing kimchi may be disposed.

또한, 메모리(44)에 음식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은 출력 장치에 구비할 수도 있고, 공지의 사물 인터넷을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식을 복수 개의 식기(10)에 담은 후, 각 음식 정보를 입력 수단을 통해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means for storing food information in the memory 44 in advance may be provided in the output device, or may use a known IoT. For example, after the food is contained in the plurality of dishes 10, each food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through the input means.

또한, 메모리(44)는 후술하는 제3 실시예에 따라 식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 할 수도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In addition, the memory 44 may store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tablewa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제2 제어부(46)는 제2 통신부(42)에 수신된 자력, 즉 자력 센서에서 측정된 자력과 메모리에 저장된 자력을 비교하고, 일치하는 자력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를 출력부(48)에 의해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The second controller 46 compares the magnetic force receiv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2, that is, the magnetic force measured by the magnetic force sensor and the magnetic force stored in the memory, and outputs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magnetic force by the output unit 48. Control the output.

또한, 출력부(48)는 음식 정보, 식기 위치, 경고 등을 출력하는 수단으로, 음성, 진동 등의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output unit 48 is a means for outputting food information, tableware position, warning, and the like, and includes output means such as voice and vibration.

또한, 출력부(48)는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진동기, 온도변화 기기 중 하나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48 may be one of a speaker, earphone, headphone, vibrator, and temperature change device.

또한, 출력부(48)를 식기(10) 또는 식기구(30)의 일 부분에 배치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put unit 48 may be arranged on a portion of the tableware 10 or the tableware 3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는 식기구(30)에 자석(20)을 배치시키고, 식기(10)에 자력센서(31c) 및 출력장치(40)을 배치시킨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이며, 상술한 실시예에 비교하여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tableware set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 20 is placed on the tableware 30 and the magnetic sensor 31c and the output device 40 are arranged on the tableware 10. The explanation focuses on the differences compared to the examples.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자석(20)은 식기구(30)에 제공되고, 식기(10)에는 자력 센서(31c) 및 음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장치(40c)가 제공되며, 상기 식기(10)는 상기 자력 센서로부터 얻어진 상기 자력의 크기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음식 정보를 출력한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 20 is provided in the tableware 30, the tableware 10 is provided with a magnetic force sensor 31c and an output device 40c capable of outputting food information. The tableware 10 outputs the food information when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obtained from the magnetic force sensor is larger than a preset valu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는 자석(20)이 부착된 식기구(30)가 자력 센서(31c)가 부착된 식기(10)에 근접하여, 미리 설정된 자력의 크기보다 큰 경우 출력부(40c)에서 음식 정보가 출력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자석이 사용될 필요는 없다. In the visually impaired tableware s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ware 30 with the magnet 20 is larger than the preset magnetic force in proximity to the tableware 10 with the magnetic force sensor 31c. In this case, the food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output unit 40c. In the second embodiment, magnets having different sizes need not be us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출력 장치의 메모리에 자력 크기를 설정 저장하고,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자력 크기보다 큰 자력이 측정된 경우, 식기에서 해당 음식 정보를 출력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gnetic force is set and stored in the memory of the output device, and the magnetic force larger than the magnetic force set by the controller is measured, the corresponding food information may be output from the tableware.

또한, 자석(20)은 식기구(30)와 착탈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agnet 20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tableware 3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tableware set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식기의 위치를 상술한 메모리에 저장하고, 식기구의 위치를 파악하여, 식기구를 식기 또는 식기에 담긴 음식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식기구에 제공되는 통신 칩; 상기 식기 또는 식기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통신 칩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3개 이상의 안테나; 및 상기 신호의 세기의 변화에 따른 식기구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위치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of tableware may be stored in the above-described memory, the location of the tableware may be determined, and the tableware may be guided to the tableware or the food contained in the tableware.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chip provided in the tableware; Three or more antennas arranged around the tableware or dishes to measure the strength of the signal of the communication chip; And an output device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tablewar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ntensity of the signal and outputting the position.

또한, 식기구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의 세기의 변화와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반영하여 상기 식기구의 위치 변화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식기구(30)의 위치를 파악하여, 식기(10) 또는 식기에 담긴 음식으로 안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ableware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and may correct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tableware by reflecting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the signal and the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osition of the tableware 30 can be detected and guided to the tableware 10 or the food contained in the tableware.

제3 실시예의 식기구(30)에 제공되는 통신칩은 제1 통신부(34a, 34b)의 일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도 3 참조).The communication chip provided in the tableware 30 of the third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on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s 34a and 34b (see FIG. 3).

제3 실시예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안테나(18a, 18b, 18c, 18d)는 식기 또는 식기 주위에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도 2 참조). The plurality of antennas 18a, 18b, 18c, and 18d provided in the third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plural or around the dishes (see FIG. 2).

또한, 식기(10)의 위치 연산은 식기구(30)에 제공된 제1 제어부 또는 출력장치(40)에 제공된 제2 제어부에 의해 실행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ition calculation of the tableware 10 may be performed by the first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tableware 30 or the second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output device 40.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식기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bleware is as follows.

복수 개의 안테나를 식기 또는 식기 주위에 배치한다. 그 후, 복수 개의 안테나와 상대적 위치에 있는 식기(10)의 위치 정보를 출력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 후, 사용자가 식기구(30)를 움직이면, 식기구에 내장된 통신칩의 신호를 복수 개의 안테나에서 수신한다. 그 후, 복수 개의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식기구(30)의 위치를 제어부에서 계산한다. 또한, 식기구(30)에 부착된 가속도 센서에서 식기구(30)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가속도 값을 반영하여, 식기구(30)의 위치를 보정한다. 식기구(30)의 위치와 메모리에 저장한 식기(10) 위치를 비교하여, 출력부를 통해 식기(10)의 위치를 안내한다. Place a plurality of antennas around the tableware or dishes. Thereafter,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tableware 10 in relative positions with the plurality of antennas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output device. Thereafter, when the user moves the tableware 30, the plurality of antennas receive signals from the communication chip embedded in the tableware. Thereafter,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tableware 30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by the plurality of antennas. In addition, the acceleration sensor attached to the tableware 30 measures the acceleration of the tableware 30 to correct the position of the tableware 30 by reflecting the intensity and the acceleration value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The position of the tableware 30 and the position of the tableware 10 stored in the memory are compared, and the position of the tableware 10 is guided through the output unit.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식기 세트가 식기의 위치를 안내함으로써, 앞을 볼 수 없는 시각 장애우도 스스로 식사를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ware set guides the position of the tableware,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who cannot see the front can eat by themselves.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식기와 착탈 식으로 제공될 수 있는 자석 밴드에 대하여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예는 상술한 자석을 밴드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ic band that can be provided detachably with a tablewa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magne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and.

도 6(a)는 원형 형태의 자석 밴드이고, 도 6(b)는 직선 형태의 자석 밴드이다.FIG. 6 (a) shows a circular magnet band, and FIG. 6 (b) shows a straight magnet band.

도 6를 참조하면, 식기와 착탈 식으로 제공되는 자석은 자석 밴드(50)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magnet provided in a removable manner with a tablewar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agnet band 50.

자석 밴드(50)는 탄성 소재를 갖는 밴드부(52), 밴드부(52) 둘레를 따라 제공되는 복수 개의 자석(54), 자석과 자석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gnet band 50 may include a band part 52 having an elastic material, a plurality of magnets 54 provided along the band part 52, and a gap part 56 disposed between the magnet and the magnet.

자석 밴드(50)는 탄성 소재를 갖는 밴드부(52) 내부에 복수 개의 자석(54)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된 형태를 가진다.The magnet band 50 has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magnets 54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band portion 52 having an elastic material.

자석 밴드(50)는 상술한 식기(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 소재를 갖는 밴드부(52)에 의해 다양한 크기를 갖는 식기 둘레에 제공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식기를 그대로 사용하고, 자석 밴드(50)만을 식기 둘레에 배치시켜, 별도의 식기 구매를 줄 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magnet band 50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above-described tableware 10, and may be provided around the tableware having various sizes by the band part 52 having an elastic material. 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tableware used in the general home as it 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reduced to buy a separate tableware by placing only the magnetic band 50 around the tableware.

밴드부(5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자석(54)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자력을 갖는다. 다만, 자석 밴드(50)는 복수 개 제공 될 수 있으며, 각 자석 밴드(5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자력을 갖는 자석을 배치시킨다. The magnet 54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and portion 52 has the same magnetic force as described above. However, a plurality of magnet bands 50 may be provided, and magnets having different magnetic forces are disposed in the magnet bands 50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자석 밴드(50)의 자력을 검출하여, 상술한 음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band 50 can be detected, and the above-described food information can be output.

또한, 간격부(56)의 길이를 식기구(30) 중 가장 작은 길이 보다 작은 길이로 제공 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석 밴드(50)는 복수 개의 자석(54)이 간격을 갖고 배치되더라도, 식기구(30)가 자석 밴드 중 어느 부분에 접촉하더라도 동일한 자력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pacer 56 may be provided in a length smaller than the smallest length of the tableware 30. The magnet band 50 may display the same magnetic force even when the tableware 30 is in contact with any part of the magnet band even when the plurality of magnets 54 are disposed at intervals.

이하에서는, 상술한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visually impaired tableware set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자력을 갖는 자석을 식기에 배치하고, 음식 정보를 자력의 크기에 대응하게 설정함으로써, 자력의 크기에 따른 음식 정보를 출력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magnets having different magnetic forces on the tableware and setting the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the foo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may be out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음식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온도 정보를 출력부(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화상 위험을 방지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food may be measured using an infrared sensor, and temperature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40. Therefore, the burn risk of the user can be prevented.

또한, 식기구는 몸체의 일 측에 스위치를 형성 할 수 있으며, 스위치에 의해 자력 센서, 적외선 센서등의 작동 여부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따라 식기 세트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tableware can form a switch on one side of the body, by the switch can be selected whether the magnetic sensor, infrared sensor, or the like, the user can operate the table set only according to the desire.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자석이 사용될 필요가 없으며, 식기에 출력장치를 통합하여 간편하게 구성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magnet having a different size, it can be configured simply by integrating the output device in the tableware.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식기구의 위치를 파악하여, 식기 또는 식기에 담긴 음식으로 식기구를 안내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tableware can be grasped to guide the tableware to the tableware or the food contained in the tableware.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자석 밴드(50)를 식기에 탈 부착하여 별도의 식기의 구매가 불 필요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purchase a separate tableware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magnetic band 50 to the tablewar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As described above, the visually-impaired tableware s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 specific embodiment,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rpreted as having the broadest range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idea disclosed herein. Should be. One skilled in the art can combine and substitute the disclosed embodiments to implement a pattern of a shape that is not indicated, but this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or modify the disclosed embodiments based o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apparent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식기 20: 자석
30: 식기구 31a: 자력 센서
31b: 적외선 센서 32: 가속도 센서
33: 제1 제어부 34: 제1 통신부
40: 출력 장치 42: 제2 통신부
44: 메모리 46: 제어부
48: 출력부 49: 전원부
10: tableware 20: magnet
30: tableware 31a: magnetic sensor
31b: infrared sensor 32: acceleration sensor
33: first control unit 34: first communication unit
40: output device 42: second communication unit
44: memory 46: control unit
48: output section 49: power supply section

Claims (12)

식기와 식기구를 포함하는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에 있어서,
상기 식기와 상기 식기구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자석;
상기 식기와 상기 식기구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자석의 자력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자력 센서;
상기 식기구에 제공되는 통신 칩;
상기 식기 또는 상기 식기의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통신 칩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3개 이상의 안테나; 및
상기 자력 센서에서 감지한 값에 대응되는 음식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신호의 세기의 변화에 따른 식기구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위치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식기구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장치는 상기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음식의 온도를 알려주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경고를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식기구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의 세기의 변화와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반영하여 상기 식기구의 위치 변화를 보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식기와 착탈 가능하도록 자석 밴드로 제공되고,
상기 자석 밴드는,
탄성 소재를 갖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 둘레를 따라 제공되는 복수 개의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식기구는 상기 자력 센서 및 상기 적외선 센서의 작동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
In the visually impaired tableware set including a tableware and a tableware,
A magnet provided in one of the tableware and the tableware;
A magnetic force sensor provided to the other of the tableware and the tableware and capable of sensing a magnetic force magnitude of the magnet;
A communication chip provided in the tableware;
Three or more antennas arranged around the tableware or the tableware to measure the strength of a signal of the communication chip; And
And outputting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alue detected by the magnetic force sensor, grasping the position of the tablewar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the signal, and outputting the position.
The tableware,
Including an infrared sensor,
The output device includes a notifica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food detected by the infrared sensor or a warning when the temperature is above a preset temperature,
The tableware,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Correcting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tableware by reflecting the change in intensity of the signal and the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The magnet is provided as a magnetic band to be detachable from the tableware,
The magnetic band,
Band portion having an elastic material;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magnet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and portion,
The tableware is a visually impaired tableware set including a switch for selecting whether or not to operate the magnetic sensor and the infrared sens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는 복수 개 제공되고, 복수 개의 상기 식기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자력을 갖는 자석이 배치된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tablewar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the tableware is a visually-impaired tableware set is arranged with a magnet having a different magnetic for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는 식판이고,
상기 식판에 형성된 음식물을 담는 복수 개의 수용 공간 둘레로 서로 다른 크기의 자력을 갖는 자석이 배치된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tableware is a plate,
And a set of magnets having visually impaired magnets having different sizes of magnetic force around a plurality of accommodation spaces containing foods formed on the plate.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센서는 상기 식기구에 제공되고,
상기 식기구는 상기 자력 센서에서 감지된 자력 정보를 상기 출력 장치로 송신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magnetic force sensor is provided in the tableware,
The tableware compris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magnetic forc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agnetic force sensor to the output devic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는,
상기 제1 통신부에서 송신된 자력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식기에 제공된 자석의 자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2 통신부에 수신된 자력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자력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자력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를 판별하는 제어부;
판별된 상기 음식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utput devic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magnetic for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 memory for storing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provided in the tableware;
A control unit which compares the magnetic for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ith the magnetic forc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and determines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magnetic force;
And a visually-impaired tableware set includ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determined food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와 상기 식기구는 통합되어 있는 시각 장애우 식기 세트.
The method of claim 1,
And said output device and said tableware are integr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12515A 2018-09-19 2018-09-19 Dinner set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KR1020366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515A KR102036615B1 (en) 2018-09-19 2018-09-19 Dinner set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515A KR102036615B1 (en) 2018-09-19 2018-09-19 Dinner set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615B1 true KR102036615B1 (en) 2019-10-25
KR102036615B9 KR102036615B9 (en) 2022-01-24

Family

ID=6842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515A KR102036615B1 (en) 2018-09-19 2018-09-19 Dinner set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6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7132A (en) * 2020-03-25 2020-07-14 常州金葵智能技术有限公司 Embedded RFID chip tablewa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991B1 (en) 2016-03-29 2017-08-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ood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for blind people
KR20170110851A (en) * 2016-03-24 2017-10-12 한명석 Smart block assembl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information and smar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rewith
KR101871815B1 (en) * 2016-02-03 2018-06-2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ork spoon indicating the distance of the food for a person who is visually impaire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815B1 (en) * 2016-02-03 2018-06-2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ork spoon indicating the distance of the food for a person who is visually impaired
KR20170110851A (en) * 2016-03-24 2017-10-12 한명석 Smart block assembl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information and smar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rewith
KR101772991B1 (en) 2016-03-29 2017-08-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ood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for blind peop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7132A (en) * 2020-03-25 2020-07-14 常州金葵智能技术有限公司 Embedded RFID chip tablewa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615B9 (en)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1099B2 (en)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food
US90088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feeding device
GB2499829A (en) Drinking aid for reminding a user to take a drink
JP6894437B2 (en) Beverage cup capacity adjuster
KR102036615B1 (en) Dinner set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EP2256495A3 (en) System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user biological state
US9149914B2 (en) Knife block systems
CN111757694A (en) Actively heated or cooled infant bottle system
EP2892401B1 (en) Capsule storage
US201602705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od capture
US20130137490A1 (en)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filling level of a drinking vessel
KR102083756B1 (en) Spoon and chopsticks supporter
KR200481706Y1 (en) Food tray for a child
NL2009277B1 (en) Device for preparing a mixture in a container.
CN107438384A (en) A kind of Intelligent cup and detection method
JPH0956563A (en) Dish and dish receiver
JP7155589B2 (en) dining table
KR20160069284A (en) Table having functions of side dish storage and serving
KR101871815B1 (en) Fork spoon indicating the distance of the food for a person who is visually impaired
KR101772991B1 (en) Food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for blind people
US20180146903A1 (en) Sensor module and biological information displaying system
KR20240041138A (en) Dietary induction system for preventing picky eating
JP2000146664A (en) Electronic measuring spoon and electronic measuring apparatus
CN214964284U (en) Health management tableware
KR20180118897A (en) Lactation lamp interconnectable with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