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443B1 - Elevating apparatus for height control of washstand - Google Patents

Elevating apparatus for height control of wash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443B1
KR102036443B1 KR1020180034529A KR20180034529A KR102036443B1 KR 102036443 B1 KR102036443 B1 KR 102036443B1 KR 1020180034529 A KR1020180034529 A KR 1020180034529A KR 20180034529 A KR20180034529 A KR 20180034529A KR 102036443 B1 KR102036443 B1 KR 102036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ity
lifting
sink
wash basin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2489A (en
Inventor
고명묵
Original Assignee
고명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명묵 filed Critical 고명묵
Priority to KR1020180034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443B1/en
Publication of KR2019011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4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4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E03C1/32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connected to the wall only
    • E03C1/324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connected to the wall only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 승강 장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화장실 또는 세면장 벽에 설치되어 물을 받아 사용하는 세면대의 높낮이를 조정하되 안전성을 향상시켜 키가 큰 사람이나 키가 작은 사람 또는 세면대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세면대 승강장치의 수리와 이용이 용이하도록 수돗물 배출구를 수동으로 일정높이로 승강시키는 구조의 수전(131)이 설치되는 세면대(120)와; 상기 세면대의 후방측이 걸려지면서 나사 결합되는 세면대고정부(111)와 나사결합부를 구비하는 세면대장착부(110)와; 상기 세면대장착부의 상부에 거울(140)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거울장착부(100)와; 상기 세면대장착부의 배면과 연결되며 세면장 일측 벽의 전면에 부착되어 거울장착부가 설치된 세면대장착부를 일정높이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300)가 구비된 승강구동부(2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세면대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nity hoisting device technology, more specifically, the height or height of the person or wash basi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wash basin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toilet or wash basin used to receive water to improve the safety Wash basin 120 that can be used safely, the faucet 131 of the structure for manually lifting the tap water outlet to a certain height to facilitate the repair and use of the vanity lifting device; A wash basin mounting portion (110) having a wash basin fixing part (111) and a screw engaging portion which are screwed while the rear side of the wash basin is caught; A mirror mounting unit 10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anity mounting unit in such a way that the mirror 140 is vertically connected; In the vanity lifting device which is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vanity mounting portion and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wall of the vanity cabinet, lifting lifting unit 200 is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300 for elevating the vanity mounting unit equipped with a mirror mounting unit to a certain height. It is about.

Description

세면대 승강 장치{Elevating apparatus for height control of washstand}Vanity hoisting device {Elevating apparatus for height control of washstand}

본 발명은 세면대 승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화장실 또는 세면장 벽에 설치되어 물을 받아 사용하는 세면대의 높낮이를 조정하되 안전성을 향상시켜 키가 큰 사람이나 키가 작은 사람 또는 세면대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세면대 승강장치의 수리와 이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세면대 승강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nity elevat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wash basin is used in the wall of the toilet or washbasin receiving water to improve the safety to use a tall person or a short person or wash ba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vanity lifting device which can be safely used and facilitates the repair and use of the vanity lifting device.

일반적으로 화장실 또는 세면장의 일측벽에 설치되는 세면대는 보통키의 성인들이 사용하기 편리한 높이에 설치되고 있고,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키가 적은 사람이나 어린이는 세면대를 원활하게 사용하기 어렵거나 사용하는 경우에도 세면대의 물이 옷소매로 흘러들어 옷을 버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In general, washbasins installed on one side wall of a bathroom or washroom are installed at a height that is convenient for adults of ordinary height, which is why a relatively short person or a child cannot use the washbasin smoothly. Wash basin often flows into clothes sleeves and throws away clothes frequently.

또한 상기 화장실 또는 세면장의 일측벽에 보통키의 성인이 사용하기 편리한 높이로 설치되는 세면대는 상대적으로 키가 큰 사람이 사용할 때 허리를 많이 구부려야 하므로 허리 통증이 발생되거나 또는 상부 포켓에 넣어둔 물건이 세면대의 물속으로 빠져 커다란 손실이 발생되거나 매우 곤란한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In addition, a wash basin installed at a height convenient for an adult with a normal height on one side wall of the toilet or washroom has to bend a lot of waists when a relatively tall person is used, so that a back pain occurs or is placed in an upper pocket Falling into the water sink is a great loss or very difficult cas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87426호 세면대의 높이조절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세면대(120)는 중심 하부에는 가스 쇼바가 세로로 설치되어 있고, 그 좌우로는 유(U)자형의 수도호스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세면대(120)의 수도꼭지와 연결된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87426,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sink is known, which is shown in Figure 1, the vanity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as in the lower center Shobars are installed vertically, and the left and right water hoses are installed at both sides and connected to the faucets of the sink 120.

상기 수도호스는 세면대가 위아래로 이동할 경우에도 일정한 방향으로 유(U)자 형태로 접히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관이 접혀서 끊기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으며 급수가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water hose is moved even while the sink is moved up and down in a certain direction because the U (folded in the shape of the U) does not cause problems, such as folding and breaking the pipe so that the water supply is made smoothly.

상기 세면대(120)의 하부에는 세로방향의 배수관(24)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12)의 하부에는 연속적으로 연결관이 이어지며, 그 연결관의 하부에는 배수관(14)이 설치되어 바닥을 통하여 하수구로 이어지도록 되어 있다. The drainage pipe 24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ink 120, the connection pipe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pipe 12, the drain pipe 14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ipe to the floor Through the sewer.

상기 수도호스와 상기 연결관은 각각 자유자재로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는 유연성이 뛰어난 벨로스관을 사용하며, 세면대(120)의 하부에 설치된 가스쇼바(10)는 그 단부가 지지 브라켓(16)에 끼워져서 설치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16)은 그 타단이 고정볼트(17)에 의해 벽면에 고정된다.The water hose and the connection pipes each use a bellows tube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to move freely and freely, and the gas shobar 10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ink 120 is fitted to the support bracket 16 at an end thereof. Is installed, the support bracket 16 is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wall by the fixing bolt 17.

그리고 상기 세면대(120)의 우측부에는 세면대의 높이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쇼바(10)를 동작시키는 작동레버가 설치되고, 그 작동레버와 세면대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원형의 고무커버가 씌어져 있어 세면대로부터 흘러내린 물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And the right side of the washbasin 120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lever for operating the showbar 10 to facilitate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washbasin, a portion of the operating lever and the sink is connected to the circular rubber cover is covered There is a known configuration to prevent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sink to enter.

다른 종래기술에는 한국 특허 제10-129021호 '세면대의 높이조절 승강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면대(120)의 저면 양측에 세면대 지지간(20)을 설치하고, 상기 세면대 지지간 일측에 승강구(21)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구의 양단내부에 출몰 가능한 걸림편(22)을 설치하되, 상기 세면대(120)의 일측에 작동간(23)과 접설된 와이어(24)를 상기 걸림편의 일측에 고정하는 한편, 상기 승강구의 외측에는 내측에 톱니형태의 걸림돌기(25)가 형성된 승강구지지대(26)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구지지대의 하단에는 상기 승강구를 받쳐주는 스프링(27)을 설치하는 발명이다.Other prior art is known in Korea Patent No. 10-129021 'sink height adjustable lifting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the sink support bar 20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sink 120, as shown in Figure 2, A hatch 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vanity support, and a locking piece 22 that can be sunk in both ends of the hatch is installed, and the wire 24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rod 23 on one side of the vanity 120. ) Is fixed to one side of the locking piece, on the outside of the hatch is provided with an elevator support 26 having a saw-shaped locking protrusion 25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the spring supporting the hatch at the lower end of the hatch support ( 27) is the invention to install.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들의 세면대는 수돗물이 토출되는 수도밸브가 세면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세면대 승강시 세면대와 일체로 승강되는 것이어서, 세면대를 하강시켜 세면하는 자세에서 자세를 높이는 경우 세면대를 상승시켜야 하므로 세면작업 도중에 세면대를 수시로 승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wash basin is because the water valve discharged from the tap water is fixed to the sink, so that the vanity is lifted and integrated with the sink, when you raise the posture by lowering the sink to raise the washbasin The hassle has to be raised from time to time during work.

또한 도 1 종래기술의 세면대는 가스쇼바에 의해 승강되는 것으로, 세면대의 하강 동작은 작동레버를 조작하여 하강시키는 것이어서, 어린이나 노약자가 세면대를 하강시킬 때 세면대의 하부에 다리가 위치하는 경우 세면대가 다리를 가압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도 2 종래기술의 세면대는 세면대가 다리를 가압하는 안전사고를 해결하기위해 걸림돌기가 형성된 승강구의 하단에 승강구를 받쳐주는 스프링을 설치하였으나, 스프링으로 인해 세면대를 낮게 이동시킬 때에는 세면대 상부에 압력을 가해 하강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In addition, the sink in the prior art of the prior art is lifted by the gas shoba,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sink is to lower by operating the operating lever, when the child or the elderly lower the sink when the legs are located in the lower sink. There i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occurs by pressing the leg, Figure 2 prior art washbasin was installed a spring supporting the hatch on the bottom of the hatch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to solve the safety accident that the basin pressurized the leg, Due to this, when moving the sink low,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sink is appli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upper part of the sink.

한편, 승강 가능한 수도꼭지(수전)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미국 등록특허공고 제8,256,463호 '높이 조절 주둥이를 포함하는 수전'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이 배출되는 수전과 수전튜브로 구성된 상부(30)와, 수전튜브 내부에 설치되며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돌출부를 갖는 걸림부를 포함하되 걸림부를 가이드하는 보조장치(31)와, 버튼부(32), 온수조절부를 포함하여 걸림부와 연동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몸통부로 구성되어 있다.Meanwhile, US Patent Publication No. 8,256,463, "Pastation including a height adjusting spout," is known as a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d to a liftable faucet, which is a faucet and a faucet tube from which water is discharged as shown in FIG. Including the upper portion 30 and the engaging portion having a protrusion installed inside the faucet tube a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ut including the auxiliary device 31 for guiding the locking portion, the button portion 32, the hot water adjusting portion It is composed of the body part to adjust the height in conjunction with.

상기 수도꼭지에 대한 종래기술은 일정한 높이로 고정 설치되는 세면기의 수도꼭지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나 기설정된 높이로만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조건에 적합한 높이로 상승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The conventional technology for the faucet is to promote the user's convenienc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aucet of the washbasin fixedly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r because it can be raised only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raised to a suitable height for use conditions. .

그리고 세면기를 벽면에 부착하는 종래기술은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6608호 '탈부착식 벽걸이 세숫대야'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면기(40)의 후면에 고리(41)를 형성하고, 벽면에 걸이부를 형성하여 상기 고리를 걸이부에 걸어서 부착하는 것이어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세면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And the prior art for attaching the washbasin to the wall is known in the Korean Utility Model No. 20-2010-6608 'removable wall-mounted washbasin', which is shown in Figure 4 as a ring (on the back of the washbasin 40) 41) to form a hook portion on the wall to attach the hook to the hook por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adjust the height of the wash basin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장실 또는 세면장의 일측 벽면에 설치되는 세면대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건에 따라 세면대와 수전을 사용자가 각각 승강시켜 세면대의 물 사용상 편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세면대 설치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wash basin is installed on one wall of the toilet or washbasin,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s, the user lifts the basin and faucet, respectively,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using the water in the sink,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ease of installing the sink.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면대 승강 장치에 있어서, 수돗물 배출구를 일정높이로 승강시키는 수전(131)이 설치되는 세면대(120)와 상기 세면대의 후방측이 걸려지면서 나사 결합되는 세면대고정부(111)와 나사결합부를 구비하여 세면대를 장착하는 세면대장착부(110)와 상기 세면대장착부의 상부에 거울(140)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거울장착부(100)와 상기 거울장착부와 세면대장착부를 일정높이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300)가 구비된 승강구동부(2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chieve th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anity elevating device, the washbasin 120 and the rear side of the wash basin is installed, the faucet 131 for elevating the tap water outlet to a certain height is caught The mirror mounting unit 100 and the mirror mounting unit and the vanity unit in which the vanity mounting unit 110 and the mirror mounting unit are installed vertically on the upper side of the vanity unit mounting unit are equipped with the vanity fixing unit 111 and the screw coupling unit. It is formed to include a lifting drive unit 200 is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300 for lifting the mounting portion to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세면대(120)에 설치되는 수전(131)은 세면대의 배면측에 수전몸체부(130)를 관통시켜 설치하되, 수전몸체부의 외면을 탄력 밀착시켜 수동으로 승강되고 승강된 수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쌍의 고무오링(133)을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하며, 수전몸체부의 하부에 수전의 승강에 따라 구부지는 플랙시블호스(132)를 연결한다.The faucet 131 is installed on the sink 120 is installed through the faucet body 130 on the back side of the sink, the elasticity of the faucet body portion can be manually lifted and lifted the faucet can be fixed manually A pair of rubber o-rings 133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flexible hose 132 bent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aucet to the lower part of the faucet body.

상기 세면대장착부(110)는 내부에 승강구동부(200)가 내삽되도록 좌우측과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형성하되, 상기 세면대장착부 중앙부에 세면대(120)의 후방측 걸림구가 걸려져 세면대가 설치되는 세면대고정부(111)를 형성한다.The vanity mounting unit 110 is formed of an enclosur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lower part are sealed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so that the lifting driving unit 200 is interposed therein, and the rear side latch of the sink 120 is caught in the center of the vanity mounting unit. Form the wash basin station 111 is installed.

상기 승강구동부(200)는 승강판(210)에 승강장치(300)를 장착하여 형성하되, 상기 승강장치는 세면대장착부와 거울장착부를 승강시켜 세면대와 거울이 승강되도록 하는 실린더(320)를 포함하여 승강판(210)의 일측면에 장착하고, 상기 승강판(210)은 직사각형 강판의 장방향측 양단부를 일정길이로 절곡하며, 상부면에 일정크기의 사각형 구멍(230)을 천공하고, 승강판의 배면 하부에 실린더(320)의 실린더 로드(323) 및 인장스프링(350)의 하단부가 결착되는 실린더결착판(240)을 부착하여 형성한다.The lifting driving unit 200 is formed by mounting the lifting device 300 on the lifting plate 210, the lifting device includes a cylinder 320 for lifting the sink and the mirror by lifting the vanity mounting portion and the mirror mounting portion. Mounted on one side of the steel plate 210, the elevating plate 210 is bent at both ends of the long direction side of the rectangular steel sheet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punched a rectangular hole 230 of a predetermined size on the upper surface,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rod 323 and the tension spring 350 of the cylinder 32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is formed by attaching.

상기 승강장치(300)는 승강판(210) 상하보다 일정길이 길은 길이를 가지는 한쌍의 가이드봉(330)과 상기 승강장치를 승강시키는 실린더(320) 및 실린더 하강압력을 조절하는 인장스프링(350)를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승강판(210) 상단부에 상기 실린더의 상단부와 한쌍의 가이드봉(330)의 상단부 및 인장스프링(350)의 상단부가 연결되며, 화장실 또는 세면장의 벽면에 볼트로 부착하는 상부설치대(310)를 장착하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봉(330) 하단부에 화장실 또는 세면장의 밀착 고정되는 하부설치대(331)를 포함하여 형성한다.The elevating device 300 is a pair of guide rods 330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elevating plate 210 up and down, the cylinder 320 for elevating the elevating device and the tension spring 350 for adjusting the cylinder lowering pressure Formed to include,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plate 210, the upper end of the cylinder and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guide rods 330 and the tension spring 350 is connected, the upper portion to be attached to the wall of the toilet or washroom with bolts Mounting the mounting base 310, and formed by including a lower mounting stand 331 is tightly fixed to the toilet or washroom at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guide rods (330).

상기 상부설치대(310)는 ‘ㄷ’자 형의 강대로 형성하되, 중앙부에 벽면과 나사 결합되는 벽면고정판(311)과 실린더고정봉(313) 및 인장스프링고정봉(314)을 형성하고, ‘ㄷ’자 형의 양단 돌출부에는 상기 가이드봉(330)의 상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봉결착공(312)을 형성한다.The upper mount 310 is formed as a 'c' shaped steel, the wall fixing plate 311 and the cylinder fixing rod 313 and the tension spring fixing rod 314 that is screwed to the wall and the center portion, and ' At both ends of the c-shaped protrusions, guide rod binding holes 312 to which the top of the guide rods 330 are coupled are formed.

상기 가이드봉(330)은 한쌍의 상부가이더(340a)와 한쌍의 하부가이더(340b)를 상기 승강판(21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부착하고, 상기 상부가이더와 하부가이더에 가이드봉이 삽입되어 승강 작용시 가이드되도록 한다.The guide rods 330 are attached to the pair of upper guiders 340a and the pair of lower guiders 340b spaced apart from the lifting plate 2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guide rods are inserted into and lifted by the upper guiders and the lower guiders. Guide to action.

본 발명은 세면대 및 수전의 승, 하강이 용이하고, 수전의 좌, 우 회전 또한 가능므로 세면대의 편의성을 높임은 물론, 남녀노소 및 신체가 불편한 사용자 모두 본인이 익숙하거나 편한 위치에서 세면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수전의 높이 조절로 인해 머리를 감거나 손을 씻거나 경우에 따라 수분을 섭취할 때에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고, 공공기관이나 버스터미널 등 이용자가 많은 장소에 설치되는 높낮이가 어른, 아이용 세면대를 각각 설치할 필요없이 일체형으로 설치되므로 경제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raise and lower the sink and faucet,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fauce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sink, as well as users of all ages and inconvenient body users can use the sink in a familiar or comfortable position. Due to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faucet, you don't have to bend when you wash your hair, wash your hands, or take water in some cases, and the sink is installed in public places, bus terminals, etc. It is economical because it is installed in one piece without having to install each.

또한, 세면대의 승, 하강시 설치된 스프링으로 인해 세면대가 안정적으로 하강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만일 세면대의 하강시 예상하지 못한 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라도 수동으로 세면대 높이조절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동 조작시 구비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세면대를 쉽게 상승 시킬 수 있어 빠른 대처가 가능하게 되고된다.In addition, due to the spring installed when the sink is raised or lowered, the sink can be stably lower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even if an unexpected safety accident occurs when the sink is lowered, the height of the sink can be manually adjusted. The vanity can be easily lif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provided during operation, which enables quick coping.

또한, 본 발명의 승강장치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거울장착부를 손쉽게 분리하여 승강판에 구성된 사각형 구멍을 통해 고장발생 원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수리가 용이한 효과가 발생된다.In addi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elev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rror mounting portion can be easily removed to easily determine the cause of the failure through the rectangular hole formed in the elevating plate.

도 1 내지 4은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승강장치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부 및 몸체부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부의 분해도면 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구성되는 상부수평고정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에 구성되는 실린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벽면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승강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승강장치가 동작시 나타나는 실린더 로드 및 스프링부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1 to 4 illustrate the prior art.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vanity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of the housing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view of the lif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upper horizontal fixing unit config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cylinder portion config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vanity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wall.
13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cylinder rod and the spring portion appearing when the vanity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균등한 범주의 균등물은 모두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을 밝혀둔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described as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limited to this, the equival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equivalents Make sure that i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승강 장치은 도 5,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돗물 배출구를 수동으로 일정높이로 승강시키는 구조의 수전(131)이 설치되는 세면대(120)와; 상기 세면대의 후방측이 걸려지면서 나사 결합되는 세면대고정부(111)와 나사결합부를 구비하는 세면대장착부(110)와; 상기 세면대장착부의 상부에 거울(140)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거울장착부(100)와; 상기 세면대장착부의 배면과 연결되며 세면장 일측 벽의 전면에 부착되어 거울장착부가 설치된 세면대장착부를 일정높이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300)가 구비된 승강구동부(200)를 포함하여 형성한다.5 and 6, the vanity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nk 120 having a faucet 131 having a structure for manually elevating a tap water outlet to a predetermined height; A wash basin mounting portion (110) having a wash basin fixing part (111) and a screw engaging portion which are screwed while the rear side of the wash basin is caught; A mirror mounting unit 10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anity mounting unit in such a way that the mirror 140 is vertically connected; It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wash basin mounting portion and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wall of the wash basin is formed to include a lifting drive unit 200 is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300 for lifting the vanity mounting unit with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세면대(120)는 도 6 및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이 유입되는 세면조(121)와 세면조의 하부에 구성되어 세면조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122), 세면조의 일측에 세면조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수도밸브(134)를 조작하여 수전(131)을 통해 세면조로 물을 공급하는 수전몸체부(130) 및 수전몸체부의 일측 하단과 연결되어 외부의 물을 수전몸체부로 이동시키는 플랙시블호스(132)를 연결하고, 세면대장착부(110)의 정면 상부 일측에 수도밸브(134)를 형성하여 플랙시블호스로 유입된 수돗물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6 and 12, the sink 120 is configured in the basin 12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ink in which water is introduced, the drain portion 122 for discharging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basin, one side of the basin It is installed through the wash basin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aucet body 130 and the faucet body part which supplies water to the wash basin through the faucet 131 by manipulating the water valve 134 and the external water to the faucet body part. Connecting the flexible hose 132 to move, by forming a water valve 134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sink mounting portion 110 to control the tap water introduced into the flexible hose.

상기 세면대(120)에 설치되는 수전(131)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면대의 배면측에 돌출시켜 설치하되, 세면대의 배면에 수전몸체부(130)를 관통시켜 설치하고, 수전몸체부의 외면을 탄력 밀착시켜 승강된 수전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무오링(133)을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하며, 수전몸체부(130)의 하부에는 수전의 승강 작용에 따라 휘어짐이 발생되어 수전의 승강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플랙시블호스(132)를 연결한다.The faucet 131 installed in the sink 120 is installed to protrude to the rear side of the sink, as shown in Figure 12, but installed through the faucet body portion 130 through the back of the sink, faucet body portion Install a pair of rubber o-rings 133 to secure the raised faucet by elastically close the out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the lower portion of the faucet body portion 130 is bent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action of the faucet to raise and lower the faucet Connect the flexible hose 132 to enable the operation.

상술한 수전 설치 구조를 통해 세면대(120)에 설치된 수전을 사용자가 손으로 뽑아 일정높이로 상승시키면 수전은 상기 고무오링의 밀착력에 의해 상승된 위치에서 고정되고, 상승된 수전을 손으로 하강시키면 상기 고무오링에 의해 하강된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이다.When the user pulls the faucet installed in the sink 120 by the user through the above-described faucet installation structure and raises it to a certain height, the faucet is fixed at an elevated position by the adhesion force of the rubber O-ring, and the lower faucet is lowered by hand. It is fixed in the lowered position by the rubber o-ring.

상기 세면대로부터 수전을 승강시켜 세면조로 수돗물이 토출되는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토출되는 수돗물에 의해 세면조(121)로부터 물 튀김 현상을 방지하여, 세면대 사용자측으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세면조의 외부로 수돗물이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세면대가 설치된 바닥 부위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By elevating the faucet from the wash basin and adjusting the height at which tap water is discharged to the basin, the water discharge can be prevented from the basin 121 by the discharged tap water, thereby preventing water from splashing toward the sink us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ap water from splashing outside, and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cleanliness of the floor is installed sink.

상기 수전몸체부(130)는 일측 하단이 플랙시블호스(132)와 연결되고, 타측은 세면조(121)로 물을 분사, 배출하는 수전(131)을 구성하여 연결되며, 세면대장착부(110)의 정면 상부 일측에 수도밸브(134)를 구성하여 플랙시블호스로 유입된 물을 수전몸체부로 유입시키고 그 방출량을 조절한다.The faucet body portion 13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lexible hose 132, the other side by forming a faucet 131 for spraying, discharging water to the basin 121, washbasin mounting portion 110 The water valve 134 is configur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water inlet into the flexible hose to the faucet body portion and adjusts its discharge amount.

상기 세면대장착부(110)는 도 6,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승강구동부(200)가 내삽되도록 좌우측과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형성하되, 상기 세면대장착부 중앙부에 세면대(120)의 후방측 걸림구가 걸려져 세면대가 설치되는 세면대고정부(111)를 형성하고, 개방된 상단면와 거울장착부(100)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형성한다.6 and 12, the vanity mounting portion 110 is formed as a housing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bottom are sealed and the top is open so that the lifting driving unit 200 is inserted therein, the sink 120 in the center of the sink mounting portion ) Is formed by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mirror mounting portion 100 and the open upp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irror mounting portion (100).

상기 거울장착부(100)는 도 6,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승강구동부(200)의 상부측이 내삽되도록 좌우측과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함체로 형성하며, 전면에 거울(140)을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하고, 상기 거울장착부의 배면 일정 위치에 상기 승강판(210)의 상부틀과 승강판의 사각형 구멍(230) 하부틀에 각각 걸려지는 걸림구(141)를 형성하고, 걸림구를 이용하여 거울장착부가 승강판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6 and 12, the mirror mounting portion 100 is formed as a housing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upper part are sealed and the lower part is opened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elevating driving part 200 is interpolated therein, and the mirror 14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 Is mounted in a detachable structure, and forming a latch 141 which is hooked to the upper frame of the elevating plate 210 and the lower frame of the rectangular hole 230 of the elevating plate at a predetermined rear surface of the mirror mounting unit, Using the latching door, the mirror mounting unit can be mounted in a removable structure.

상기 승강구동부(200)는 도 6 내지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판(210)에 승강장치(300)를 장착하여 형성하되, 상기 승강장치는 세면대장착부와 거울장착부를 승강시켜 세면대와 거울이 승강되도록 하는 실린더(320)를 포함하여 승강판(210)의 일측면에 장착하도록 한다.6 to 11, the lifting device 200 is formed by mounting the lifting device 300 on the lifting plate 210, as shown in Figure 11, the lifting device lifts the vanity mounting unit and the mirror mounting unit to lift the vanity and mirror Including a cylinder 320 to be mounted to one side of the lifting plate (210).

상기 승강판(21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강판의 장방향측 양단부를 일정길이로 절곡하고, 중앙부에 복수개의 나사구멍(220)을 형성하며, 상부면에 일정크기의 사각형 구멍(230)을 천공하고, 승강판의 배면 하부에 이하 설명할 실린더(320)의 실린더 로드(323) 및 인장스프링(350)의 하단부가 결착되는 실린더결착판(240)을 부착하여 형성한다.As shown in FIG. 7, the elevating plate 210 is bent at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rectangular steel sheet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lurality of screw holes 220 ar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Perforations 230 are formed by attaching the cylinder rod 323 of the cylinder 320 and the lower end of the tension spring 350 to be described below attached to the lower bottom of the elevating plate.

상기 승강장치(300)는 도 8 내지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210) 상하보다 일정길이 길은 길이를 가지는 한쌍의 가이드봉(330), 상기 승강장치를 승강시키는 실린더(320) 및 실린더 하강압력을 조절하는 인장스프링(350)를 포함하여 형성한다.As shown in FIGS. 8 to 11, the elevating device 300 includes a pair of guide rods 330 having a length longer than a height of the elevating plate 210, a cylinder 320 for elevating the elevating device, and a cylinder. It is formed to include a tension spring 350 to control the falling pressure.

상기 승강판(210)에 상단부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의 상단부와 한쌍의 가이드봉(330)의 상단부 및 인장스프링(350)의 상단부가 연결되며, 화장실 또는 세면장의 벽면에 볼트로 부착하는 상부설치대(310)를 장착하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봉(330) 하단부에 화장실 또는 세면장의 벽면에 밀착 고정되는 하부설치대(331)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 11,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plate 21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ylinder and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guide rods 330 and the upper end of the tension spring 350, and bolts to the wall of the bathroom or washroom. Mounting the upper mounting bracket 310 to be attached to, and forms a lower mounting bracket 331 tightly fix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toilet or washroom at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guide rods 330.

상기 상부설치대(31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ㄷ’자 형의 강대로 형성하되, 중앙부에 벽면과 나사 결합되는 벽면고정판(311)과 실린더고정봉(313) 및 인장스프링고정봉(314)을 형성하고, ‘ㄷ’자의 양단 돌출부에는 상기 가이드봉(330)의 상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봉결착공(312)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9, the upper mount 310 is formed as a 'c' shaped steel strip, and has a wall fixing plate 311 and a cylinder fixing rod 313 and a tension spring fixing rod which are screwed to the wall at the center thereof. 314 is formed, and both ends of the 'c' protrusion guide rod binding hole 312 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rod 330 is formed.

상기 실린더(320)는 도 10,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또는 공기압을 생성하는 구동모터(321)와 실린더몸체(322) 및 실린더 로드(323)를 포함하고, 구동모터의 상부가 상부철치대(310)의 실린더고정봉(313)에 고정되며, 실린더 로드의 하부가 상기 실린더결착판(240)에 고정 설치된다.10 and 11, the cylinder 320 includes a drive motor 321, a cylinder body 322 and a cylinder rod 323 for generating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e motor is the upper iron It is fixed to the cylinder fixing rod 313 of the tooth 310,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er rod is fixed to the cylinder binding plate 240.

상기 구동모터(321)의 동작을 제어하여 세면대를 승강시키는 세면대 승강 작동스위치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동모터로부터 결선을 인출하여, 세면대 상승버튼, 하강버튼, 정지버튼을 각각 구비하거나, 하나의 스위치에서 세면대의 승강 및 정지가 이루어 지는 기능이 구현되는 스위치를 선택하거나, 상술한 기능이 구현되는 무선 원격제어 스위치를 선택하되, 상기 거울장착부(100) 또는 세면대장착부(110)의 일측 벽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not shown, the vanity elevating operation switch for elevating the wash basin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321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from the driving motor, the sink is provided with a sink button, a down button, a stop button, or a sink in one switch. Select a switch that implements the function of lifting and stopping of the switch, or select a wireless remote control switch that implements the above function, it is preferable to install on one side wall of the mirror mounting portion 100 or vanity mounting portion 110 Do.

상기 가이드봉(330)은 도 8,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봉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상부가이더(340a)와 하부가이더(340b)를 상기 승강판(21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부착한다.As illustrated in FIGS. 8 and 11, the guide rods 330 are attached to the upper guide 340a and the lower guider 340b spaced apart from the lifting plate 2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인장스프링(350)은 도 8, 11 및 13에 도시한바와 같이 실린더(320) 하강시 반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세면대(120) 하강시 세면대의 하부에 사용자의 다리 또는 발 등의 신체 일부가 끼워질 때 사용자가 세면대를 들어올리기 쉽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8, 11 and 13, the tension spring 350 generates reaction force when the cylinder 320 descends, and a body part such as a user's leg or foot is placed at the lower part of the sink when the sink 120 descends. This makes it easy for the user to lift the sink when it is fitted.

즉, 실린더 하강시 하강력에 대응하는 반력을 작용시켜 적은 힘으로 하강하는 세면대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면대의 하강압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by lowering the cylinder by the reaction force corresponding to the lowering force to lower the lowering force to raise the sink, the effect that can prevent the safety accident that can be generated by the lowering pressure of the sink is to be generated. .

상술한 바와 같이 세면대(120)와 거울이 장착되고 승강구동부(200)가 장착된 본 발명의 세면대 승강 장치는 세면대 작동스위치의 승강버튼을 동작시키면, 세면대가 서서히 승강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anity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quipped with the vanity 120 and the mirror and the lifting driving unit 200 is operated, the vanity is gradually lifted by operating the lifting button of the vanity operation switch.

이어서 세면대가 사용자가 이용하기 쉬운 위치로 승강되면 정지스위치를 동작시킨 다음 밸브를 개방하여 수전을 통해 수돗물이 공급되도록 하며, 수돗물이 토출되는 높이의 승강이 필요할 때 수동으로 수전을 승강시킨다.Subsequently, when the sink is lifted to a user-friendly position, the stop switch is operated, and then the valve is opened to allow tap water to be supplied through the faucet. When the sink is required to elevate the height at which the tap water is discharged, the faucet is manually lifted.

이러한 본 발명의 세면대 승강 장치를 통해 신체 구조에 따라 편안한 위치에서 세면대를 이용할 수 있으며, 별도로 수전의 높이를 조절하여 머리를 감거나 손을 씻거나 경우에 따라 수분을 섭취할 때에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Through the vanity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use the sink in a comfortable position according to the body structure, and separately adjust the height of the faucet to wash the head, wash hands or in some cases do not bend the waist when ingesting water Effect occurs.

또한 공공기관이나 버스터미널 등 이용자가 많은 장소에 설치되는 높낮이가 어른, 아이용 세면대를 각각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세면대의 승, 하강시 설치된 인장스프링(350)으로 인해 세면대가 안정적으로 하강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만일 세면대의 하강시 예상하지 못한 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라도 수동으로 세면대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인장스프링의 반력으로 쉽게 세면대를 상승시킬 수 있어 빠른 대처가 가능해진다. In addition, the height that is installed in many places such as public institutions or bus terminals does not need to install the sinks for adults and children respectively, and the sinks are stably lowered due to the tension springs 350 installed when the sinks are raised or lowered. In addition to preventing accidents, even if an unexpected safety accident occurs when the sink is lowered, the sink height can be manually adjusted and the vanity can be easily raised by the reaction force of the tension spring to quickly cope with it.

또한, 본 발명의 승강장치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거울장착부(100)를 손쉽게 분리하여 승강판(210)에 구성된 사각형 구멍(230)을 통해 고장발생 원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수리가 용이한 효과가 발생된다.In addi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elev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rror mounting portion 100 can be easily separated and the cause of the failure can be easily grasped through the rectangular hole 230 formed in the elevating plate 210, thereby making it easy to repair. do.

100 : 거울장착부 110 : 세면대장착부
111 : 세면대고정부 120 : 세면대
121 : 세면조 122 : 배수부
130 : 수전몸체부 131 : 수전
132 : 플랙시블호스 133 : 고무오링
134 : 수도밸브 140 : 거울
141 : 걸림구 200 : 승강구동부
210 : 승강판 220 : 나사구멍
230 : 사각형 구멍 240 : 실린더결착판
300 : 승강장치 310 : 상부설치대
311 : 벽면고정판 312 : 가이드봉결착공
313 : 실린더고정봉 314 : 스프링고정봉
320 : 실린더 321 : 구동모터
322 : 실린더몸체 323 : 실린더로드
324 : 실린더로드 걸림부 325 : 판낼
330 : 가이드봉 331 : 하부설치대
340a : 상부가이더 340b : 하부가이더
341 : 천공부 350 : 인장스프링
351 : 특수볼트
100: mirror mounting unit 110: wash basin mounting unit
111: washbasin government 120: washbasin
121: wash basin 122: drain
130: faucet body portion 131: faucet
132: flexible hose 133: rubber O-ring
134: water valve 140: mirror
141: latch 200: elevating unit
210: lifting plate 220: screw hole
230: square hole 240: cylinder binding plate
300: lifting device 310: upper mounting
311: wall fixing plate 312: guide rod binding hole
313: cylinder fixing rod 314: spring fixing rod
320: cylinder 321: drive motor
322 cylinder body 323 cylinder rod
324: cylinder rod engaging portion 325: panel
330: guide rod 331: lower mounting table
340a: Upper guider 340b: Lower guider
341: drilling part 350: tension spring
351: Special Bolt

Claims (7)

세면대 승강 장치에 있어서,
수돗물 배출구를 일정높이로 승강시키는 수전(131)이 설치되는 세면대(120)와;
상기 세면대의 후방측이 걸려지면서 나사 결합되는 세면대고정부(111)와 나사결합부를 구비하여 세면대를 장착하는 세면대장착부(110)와;
상기 세면대장착부의 상부에 거울(140)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거울장착부(100)와;
상기 거울장착부와 세면대장착부를 일정높이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300)가 구비된 승강구동부(200)를 포함하여 형성하되,
상기 세면대(120)에 설치되는 수전(131)은 세면대의 배면측에 수전몸체부(130)를 관통시켜 설치하되,
수전몸체부의 외면을 탄력 밀착시켜 수동으로 승강되고 승강된 수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쌍의 고무오링(133)을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하며,
수전몸체부의 하부에 수전의 승강에 따라 구부지는 플랙시블호스(132)를 연결하고,
상기 세면대장착부(110)는 내부에 승강구동부(200)가 내삽되도록 좌우측과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형성하되,
상기 세면대장착부 중앙부에 세면대(120)의 후방측 걸림구가 걸려져 세면대가 설치되는 세면대고정부(111)를 형성하며,
상기 승강구동부(200)는 승강판(210)에 승강장치(300)를 장착하여 형성하되,
상기 승강장치는 세면대장착부와 거울장착부를 승강시켜 세면대와 거울이 승강되도록 하는 실린더(320)를 포함하여 승강판(210)의 일측면에 장착하고,
상기 승강판(210)은 직사각형 강판의 장방향측 양단부를 일정길이로 절곡하며,
상부면에 일정크기의 사각형 구멍(230)을 천공하고,
승강판의 배면 하부에 실린더(320)의 실린더 로드(323) 및 인장스프링(350)의 하단부가 결착되는 실린더결착판(240)을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승강 장치.
In the sink lifting device,
A wash basin 120 having a faucet 131 for elevating the tap water outlet to a predetermined height;
A wash basin mounting part (110) having a wash basin fixing part (111) and a screw coupling part to be screwed while the rear side of the wash basin is hooked to mount the wash basin;
A mirror mounting unit 100 in which a mirror 140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vanity mounting unit;
It includes a lifting drive unit 200 is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300 for elevating the mirror mounting portion and the vanity mounting portion to a certain height,
The faucet 131 is installed in the sink 120 is installed through the faucet body 130 on the back side of the sink,
Elastic pairs the outer surface of the faucet body portion is manually lifted and installed by spaced apart a pair of rubber o-ring 133 that can be fixed to the raised faucet at regular intervals,
Connect the flexible hose 132 bent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of the faucet to the lower part of the faucet body,
The vanity mounting portion 110 is formed of a housing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bottom are sealed and the top is opened so that the lifting driving part 200 is interpolated therein.
The rear hook of the sink 120 is caught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wash basin mounting portion to form a sink fixing unit 111 in which the sink is installed,
The lifting driving unit 200 is formed by mounting the lifting device 300 on the lifting plate 210,
The elevating device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elevating plate 210 including a cylinder 320 for elevating the vanity mounting unit and the mirror mounting unit so that the vanity unit and the mirror are elevated.
The lifting plate 210 is bent at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rectangular steel sheet to a predetermined length,
Drill a rectangular hole 230 of a predetermined size on the upper surface,
Wash basin elev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ttaching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rod 323 and the tension spring 350 of the cylinder 320 is attached to the lower back of the lifting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300)는 승강판(210) 상하보다 일정길이 길은 길이를 가지는 한쌍의 가이드봉(330)과 상기 승강장치를 승강시키는 실린더(320) 및 실린더 하강압력을 조절하는 인장스프링(350)를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승강판(210) 상단부에 상기 실린더의 상단부와 한쌍의 가이드봉(330)의 상단부 및 인장스프링(350)의 상단부가 연결되며, 화장실 또는 세면장의 벽면에 볼트로 부착하는 상부설치대(310)를 장착하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봉(330) 하단부에 화장실 또는 세면장의 벽면에 밀착 고정되는 하부설치대(331)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승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vating device 300 is a pair of guide rods 330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elevating plate 210 up and down, the cylinder 320 for elevating the elevating device and the tension spring 350 for adjusting the cylinder lowering pressure Including including,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plate 210, the upper end of the cylinder and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guide rods 330 and the upper end of the tension spring 350 is connected, the upper mounting bracket 310 is attached to the wall of the bathroom or washroom with bolts Mounting, vanity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er mounting bracket 331 is fixed to the wall of the toilet or washbasin at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guide rods (33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설치대(310)는 ‘ㄷ’자 형의 강대로 형성하되,
중앙부에 벽면과 나사 결합되는 벽면고정판(311)과 실린더고정봉(313) 및 인장스프링고정봉(314)을 형성하고,
‘ㄷ’자 형의 양단 돌출부에는 상기 가이드봉(330)의 상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봉결착공(3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승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mounting unit 310 is formed as a 'c' shaped steel,
A wall fixing plate 311, a cylinder fixing rod 313 and a tension spring fixing rod 314, which are screwed to the wall and screwed in the central portion, are formed,
Both ends protruding portion of the 'c'-shaped vanity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guide rod binding hole (312)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rod (33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330)은 한쌍의 상부가이더(340a)와 한쌍의 하부가이더(340b)를 상기 승강판(21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부착하고,
상기 상부가이더와 하부가이더에 가이드봉이 삽입되어 승강 작용시 가이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승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guide rod 330 is attached to the pair of upper guiders 340a and a pair of lower guiders 340b spaced apart from the lifting plate 210 at regular intervals,
A vanity elev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rod is inserted into the upper guider and the lower guider to guide the lifting guide.
KR1020180034529A 2018-03-26 2018-03-26 Elevating apparatus for height control of washstand KR1020364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529A KR102036443B1 (en) 2018-03-26 2018-03-26 Elevating apparatus for height control of wash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529A KR102036443B1 (en) 2018-03-26 2018-03-26 Elevating apparatus for height control of washst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489A KR20190112489A (en) 2019-10-07
KR102036443B1 true KR102036443B1 (en) 2019-10-24

Family

ID=6842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529A KR102036443B1 (en) 2018-03-26 2018-03-26 Elevating apparatus for height control of wash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443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394Y1 (en) * 1987-06-13 1990-07-20 유경준 Water-basin apparatus adapted to man-height
JPH11164786A (en) * 1997-12-04 1999-06-22 Asahi Eito Co Ltd Rising and falling wash and dressing table
KR100420140B1 (en) * 2001-05-18 2004-03-03 주식회사 관보테크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washstand
KR101126692B1 (en) * 2009-08-07 2012-03-29 이상범 Washstand with level control device
KR101253149B1 (en) * 2010-06-28 2013-04-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Basin having an open lower part thereof and capable of being adjusted in height thereof, which can be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a wall
KR20180004926A (en) * 2016-07-05 2018-01-15 고명묵 Device for lifting a wash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489A (en)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02746A1 (en) Deep soaking tub and shower with side entry door
US3473173A (en) Adjustable lavatory
KR200250703Y1 (en) A Washstand Of Controlled Height
KR102036443B1 (en) Elevating apparatus for height control of washstand
KR200314988Y1 (en) Height Adjustment Apparatus of Sink
KR20140037620A (en) Module for shower
KR200462807Y1 (en) The washstand level control system where the establishment is easy
KR100882947B1 (en) Device for cylinder pressure opening and shutting of automatic water dropping bidet
KR20140041231A (en) The washstand level control system where the establishment is easy
KR200483305Y1 (en) folding washbowl
KR200193000Y1 (en) Height adjustable washstand
KR101071307B1 (en) Automatic cleaning device without electric power and urinal apparatus with the same
KR200328676Y1 (en) Height changeable device and washstand including thereof
KR900008465Y1 (en) Basin with adjustable height
JP2004057792A (en) Hose accommodating shower
KR101685668B1 (en) System for washstand
KR101648372B1 (en) Washstand having lifting device and footrest
US11313110B1 (en) Water output device
KR100971091B1 (en) Simple Washstand Controlled Height
KR100626153B1 (en) Washbowl facility of water closet for building
KR102637443B1 (en) Washstand for child
KR0129021B1 (en) Devices for controlling the hight of water-basins
KR100754806B1 (en) Apparatus for controlled height washstand of a water pressure type
CN212104360U (en) Children's wash basin
KR200336855Y1 (en) Bracket for Height Adjustment Washing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