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193B1 - 터빈장치 - Google Patents

터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193B1
KR102036193B1 KR1020170174256A KR20170174256A KR102036193B1 KR 102036193 B1 KR102036193 B1 KR 102036193B1 KR 1020170174256 A KR1020170174256 A KR 1020170174256A KR 20170174256 A KR20170174256 A KR 20170174256A KR 102036193 B1 KR102036193 B1 KR 102036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turbine
retainer
roto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020A (ko
Inventor
최재형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4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1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73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30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 F01D5/32Locking, e.g. by final locking blades or k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30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 F01D5/3007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of axial insertion type
    • F01D5/3015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of axial insertion type with s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D2260/31Retaining bolts or nuts

Abstract

본 발명은 터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 상기 로터에 체결되어 상기 로터와 함께 회전 가능한 터빈; 및 상기 터빈이 상기 로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기구는, 상기 로터와 상기 터빈이 결합되는 결합부위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리테이너; 상기 결합부위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 리테이너; 및 상기 제1 리테이너와 상기 제2 리테이너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1 리테이너와 상기 제2 리테이너를 상기 결합부위에 밀착 및 고정시키도록, 일측에서 상기 제1 리테이너에 체결되고, 타측에서 상기 제2 리테이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터빈에는 복수의 터빈 블레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기구는, 상기 복수의 터빈 블레이드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이탈방지기구의 원심 하중에 의해 로터와 터빈이 결합되는 결합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빈장치{TURBINE APPARATUS}
본 발명은, 터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빈장치는 물, 가스, 증기 등과 같은 유체가 가지는 에너지를 기계적 일로 변환시키는 기계로서, 보통 회전체의 원주에 여러 개의 깃 또는 날개를 심고 거기에 증기 또는 가스를 내뿜어 충동력 또는 반동력으로 고속회전시키는 터보형의 기계를 터빈장치라고 한다.
이러한 터빈장치의 종류로는, 높은 곳의 물이 가지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수력 터빈장치, 증기가 가지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증기 터빈장치, 고압의 압축공기가 가지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공기 터빈장치, 고온 고압의 가스가 가지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가스 터빈장치 등이 있다.
이 중 가스 터빈장치를 예로 들어 터빈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터빈장치는 압축기, 연소기, 터빈 및 로터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는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의 압축기 베인과 복수의 압축기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기는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압축 공기에 대하여 연료를 공급하고 버너로 점화함으로써 고온고압의 연소 가스를 생성한다.
상기 터빈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의 터빈 베인과 복수의 터빈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로터는 상기 압축기, 상기 연소기 및 상기 터빈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양단부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부가 발전기의 구동축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는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와 체결되는 복수의 압축기 디스크, 상기 터빈 블레이와 체결되는 복수의 터빈 디스크 및 상기 터빈 디스크로부터 상기 압축기 디스크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토크 튜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터빈장치는,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가 상기 연소실에서 연료와 혼합되어 연소됨으로써 고온의 연소 가스로 변환되고, 이렇게 만들어진 연소 가스가 터빈 측으로 분사되며, 분사된 연소 가스가 상기 터빈 블레이드를 통과하면서 회전력을 생성시키고, 상기 로터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터빈장치는 4행정 기관의 피스톤과 같은 왕복운동 기구가 없기 때문에 피스톤-실린더와 같은 상호 마찰부분이 없어 윤활유의 소비가 극히 적으며 왕복운동기계의 특징인 진폭이 대폭 감소되고, 고속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터빈 블레이드와 상기 터빈 디스크 사이 결합을 위해, 상기 터빈 블레이드는 상기 터빈 디스크 측으로 연장되는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빈 디스크에는 상기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가 삽입되는 터빈 디스크 슬롯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와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이 결합되는 결합부위에는 상기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가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기구는 상기 결합부위를 복개하는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터빈 디스크에 체결하는 체결볼트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터빈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이탈방지기구의 체결볼트가 상기 터빈 디스크에 체결됨에 따라, 터빈장치가 운전될 때 상기 이탈방지기구의 원심 하중이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 및 상기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에 작용되어,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과 상기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 사이 결합부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터빈이 로터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기구의 원심 하중에 의해 로터와 터빈 사이 결합부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 등록특허 4778342호
따라서, 본 발명은, 터빈이 로터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기구의 원심 하중에 의해 로터와 터빈 사이 결합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 상기 로터에 체결되어 상기 로터와 함께 회전 가능한 터빈; 및 상기 터빈이 상기 로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기구는, 상기 로터와 상기 터빈이 결합되는 결합부위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리테이너; 상기 결합부위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 리테이너; 및 상기 제1 리테이너와 상기 제2 리테이너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1 리테이너와 상기 제2 리테이너를 상기 결합부위에 밀착 및 고정시키도록, 일측에서 상기 제1 리테이너에 체결되고, 타측에서 상기 제2 리테이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터빈에는 복수의 터빈 블레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기구는, 상기 복수의 터빈 블레이드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로터는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갖는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터빈은 상기 슬롯에 삽입 및 결합되는 루트부를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과 상기 루트부가 결합되는 부위가 상기 결합부위이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부위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과 상기 블레이드의 플랫폼부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이격공간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 상기 로터에 체결되어 상기 로터와 함께 회전 가능한 터빈; 및 상기 터빈이 상기 로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기구는, 상기 로터와 상기 터빈이 결합되는 결합부위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리테이너; 상기 결합부위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 리테이너; 및 상기 제1 리테이너와 상기 제2 리테이너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1 리테이너와 상기 제2 리테이너를 상기 결합부위에 밀착 및 고정시키도록, 일측에서 상기 제1 리테이너에 체결되고, 타측에서 상기 제2 리테이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테이너는, 회전축 방향 상 상기 결합부위의 일측을 복개하는 제1 보디부; 및 상기 제1 보디부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원심 측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테이너는, 회전축 방향 상 상기 결합부위의 타측을 복개하는 제2 보디부; 및 상기 제2 보디부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원심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에 체결되는 터빈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를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보디부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원심 측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부 제1 부위; 및 상기 제1 돌출부 제1 부위로부터 절곡되어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돌출부 측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부 제2 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보디부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원심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 제1 부위; 및 상기 제2 돌출부 제1 부위로부터 절곡되어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돌출부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 제2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 제1 부위는 회전 반경 방향 상 상기 제1 보디부와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 제1 부위는 회전 반경 방향 상 상기 제2 보디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 제1 부위에는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제1 돌출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 제1 부위에는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제2 돌출부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의 다리부는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와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에 의해 복개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와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는 서로 맞닿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 제1 부위로부터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의 선단면까지의 길이를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의 연장 길이라 하고, 상기 제2 돌출부 제1 부위로부터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의 선단면까지의 길이를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의 연장 길이라 할 때,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의 연장 길이와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의 연장 길이의 합은 상기 디스크의 회전축 방향 두께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보디부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연장되는 제1 후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상기 제2 보디부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연장되는 제2 후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는 상기 제1 후크부와 결합되는 제1 후크 홈 및 상기 제2 후크부와 결합되는 제2 후크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 상기 로터에 체결되어 상기 로터와 함께 회전 가능한 터빈; 및 상기 터빈이 상기 로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기구는 상기 로터와 상기 터빈이 결합되는 결합부위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터빈에는 복수의 터빈 블레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기구는, 상기 복수의 터빈 블레이드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터빈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 상기 로터에 체결되어 상기 로터와 함께 회전 가능한 터빈; 및 상기 터빈이 상기 로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기구는, 상기 로터와 상기 터빈이 결합되는 결합부위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리테이너; 상기 결합부위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 리테이너; 및 상기 제1 리테이너와 상기 제2 리테이너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1 리테이너와 상기 제2 리테이너를 상기 결합부위에 밀착 및 고정시키도록, 일측에서 상기 제1 리테이너에 체결되고, 타측에서 상기 제2 리테이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이탈방지기구의 원심 하중에 의해 로터와 터빈이 결합되는 결합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터빈장치에서 로터, 터빈 및 이탈방지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터빈장치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터빈장치에서 로터, 터빈 및 이탈방지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장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600), 상기 로터(6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100)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200), 상기 압축기(200)에서 압축된 공기에 연료를 혼합하고 점화하여 연소 가스를 생성하는 연소기(400), 상기 연소기(400)에서 생성된 연소 가스로부터 회전력을 얻어 상기 로터(600)를 회전시키는 터빈(500), 발전을 위해 상기 로터(600)에 연동되는 발전기 및 상기 터빈(500)을 통과한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디퓨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압축기(200)가 수용되는 압축기 하우징(110), 상기 연소기(400)가 수용되는 연소기 하우징(120) 및 상기 터빈(500)이 수용되는 터빈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 하우징(110), 상기 연소기 하우징(120) 및 상기 터빈 하우징(130)은 유체 흐름 방향 상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로터(600)는, 상기 압축기 하우징(110)에 수용되는 압축기 디스크(610), 상기 터빈 하우징(130)에 수용되는 터빈 디스크(630) 및 상기 연소기 하우징(120)에 수용되고 상기 압축기 디스크(610)와 상기 터빈 디스크(630)를 연결하는 토크 튜브(620), 상기 압축기 디스크(610), 상기 토크 튜브(620) 및 상기 터빈 디스크(630)를 체결하는 타이 로드(640)와 고정 너트(6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디스크(610)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압축기 디스크(610)는 상기 로터(600)의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 디스크(610)는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압축기 디스크(610)는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부에 후술할 압축기 블레이드(210)와 결합되는 압축기 디스크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디스크 슬롯은, 후술할 압축기 블레이드(210)가 그 압축기 디스크 슬롯으로부터 상기 로터(600)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나무(fir-tre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 디스크(610)와 후술할 압축기 블레이드(210)는 통상적으로 탄젠셜 타입(tangential type) 또는 액셜 타입(axial type)으로 결합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액셜 타입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축기 디스크 슬롯은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압축기 디스크 슬롯은 상기 압축기 디스크(6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각 압축기 디스크 슬롯은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빈 디스크(630)는 상기 압축기 디스크(610)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빈 디스크(630)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터빈 디스크(630)는 상기 로터(600)의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빈 디스크(630)는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터빈 디스크(630)는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부에 후술할 터빈 블레이드(510)와 결합되는 터빈 디스크 슬롯(63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632)은, 후술할 터빈 블레이드(510)가 그 터빈 디스크 슬롯(632)으로부터 상기 로터(600)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나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빈 디스크(630)와 후술할 터빈 블레이드(510)는 통상적으로 탄젠셜 타입(tangential type) 또는 액셜 타입(axial type)으로 결합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액셜 타입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632)은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632)은 상기 터빈 디스크(6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각 터빈 디스크 슬롯(632)은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토크 튜브(620)는 상기 터빈 디스크(630)의 회전력을 상기 압축기 디스크(610)로 전달하는 토크 전달 부재로서, 일단부가 복수의 상기 압축기 디스크(610) 중 공기의 유동 방향 상 최하류 단에 위치되는 압축기 디스크(610)와 체결되고, 타단부가 복수의 상기 터빈 디스크(630) 중 연소 가스의 유동 방향 상 최상류 단에 위치되는 터빈 디스크(630)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크 튜브(620)의 일단부와 타단부 각각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 디스크(610)와 상기 터빈 디스크(630) 각각에는 상기 돌기와 치합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토크 튜브(620)가 상기 압축기 디스크(610) 및 상기 터빈 디스크(630)에 대해 상대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크 튜브(620)는, 상기 압축기(2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그 토크 튜브(620)를 통과하여 상기 터빈(500)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중공형의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크 튜브(620)는 장기간 지속적으로 운전되는 터빈장치의 특성상 변형 및 뒤틀림 등에 강하게 형성되고, 용이한 유지 보수를 위해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이 로드(640)는 복수의 상기 압축기 디스크(610), 상기 토크 튜브(620) 및 복수의 상기 터빈 디스크(6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일단부가 복수의 상기 압축기 디스크(610) 중 공기의 유동 방향 상 최상류 단에 위치되는 압축기 디스크(610) 내에 체결되고, 타단부가 복수의 상기 터빈 디스크(630) 중 연소 가스의 유동 방향 상 최하류 단에 위치되는 터빈 디스크(630)를 기준으로 상기 압축기(200)의 반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 너트(650)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너트(650)는 상기 최하류 단에 위치되는 터빈 디스크(630)를 상기 압축기(200)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최상류 단에 위치되는 압축기 디스크(610)와 상기 최하류 단에 위치되는 터빈 디스크(630) 사이 간격이 감소됨에 따라, 복수의 상기 압축기 디스크(610), 상기 토크 튜브(620) 및 복수의 상기 터빈 디스크(630)가 상기 로터(600)의 축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상기 압축기 디스크(610), 상기 토크 튜브(620) 및 복수의 상기 터빈 디스크(630)의 축 방향 이동 및 상대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상기 타이 로드(640)가 복수의 상기 압축기 디스크(610), 상기 토크 튜브(620) 및 복수의 상기 터빈 디스크(63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압축기(200) 측과 터빈(500) 측에 각각 별도의 타이 로드(640)가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의 타이 로드(640)가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들의 혼용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상기 로터(600)는 양단부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일단부가 상기 발전기의 구동축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200)는, 상기 로터(600)와 함께 회전되는 압축기 블레이드(210) 및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210)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정렬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 설치되는 압축기 베인(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210)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210)는 상기 로터(600)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단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210)는 각 단마다 상기 로터(6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압축기 블레이드(210)는, 판형의 압축기 블레이드 플랫폼부,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 플랫폼부로부터 상기 로터(600)의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연장되는 압축기 블레이드 루트부 및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 플랫폼부로부터 상기 로터(600)의 회전 반경 방향 상 원심 측으로 연장되는 압축기 블레이드 에어포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 플랫폼부는 이웃하는 압축기 블레이드 플랫폼부와 접하며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 에어포일부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 루트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 디스크 슬롯에 상기 로터(600)의 축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소위 액셜 타입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 루트부는 상기 압축기 디스크 슬롯에 대응되도록 전나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 루트부와 상기 압축기 디스크 슬롯은 전나무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브 테일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 루트부와 상기 압축기 디스크 슬롯은,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 루트부와 상기 압축기 디스크 슬롯이 용이하게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압축기 디스크 슬롯이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 루트부보다 크게 형성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 루트부와 상기 압축기 디스크 슬롯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 루트부와 상기 압축기 디스크 슬롯은 후술할 이탈방지부재와 유사한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 루트부가 상기 압축기 디스크 슬롯으로부터 상기 로터(600)의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 에어포일부는 터빈장치 사양에 따라 최적화된 익형을 갖도록 형성되고, 공기의 유동 방향 상 상류 측에 위치되어 공기가 입사되는 압축기 블레이드 리딩 에지(leading edge) 및 공기의 유동 방향 상 하류 측에 위치되어 공기가 출사되는 압축기 블레이드 트레일링 에지(trailing ed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베인(220)은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압축기 베인(220)은 상기 로터(600)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 베인(220)과 상기 압축기 블레이드(210)는 공기 유동 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압축기 베인(220)은 각 단마다 상기 로터(6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압축기 베인(220)은, 상기 로터(6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압축기 베인 플랫폼부 및 상기 압축기 베인 플랫폼부로부터 상기 로터(600)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축기 베인 에어포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소기(400)는 상기 압축기(20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연료와 혼합 및 연소시켜 높은 에너지의 고온 고압 연소 가스를 만들어 내며, 등압 연소 과정으로 그 연소기(400) 및 상기 터빈(500)이 견딜 수 있는 내열 한도까지 연소 가스 온도를 높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빈(500)은 상기 압축기(200)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빈(500)은, 상기 로터(600)와 함께 회전되는 터빈 블레이드(510) 및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정렬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 설치되는 터빈 베인(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는 상기 로터(600)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단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는 각 단마다 상기 로터(6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각 터빈 블레이드(510)는, 판형의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부(512), 상기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부(512)로부터 상기 로터(600)의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연장되는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514) 및 상기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부(512)로부터 상기 로터(600)의 회전 반경 방향 상 원심 측으로 연장되는 터빈 블레이드 에어포일부(5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부(512)는 이웃하는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부(512)와 접하며 상기 터빈 블레이드 에어포일부(516)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5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632)에 상기 로터(600)의 축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소위 액셜 타입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514)는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632)에 대응되도록 전나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514)와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632)은 전나무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브 테일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514)와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632)은, 상기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514)와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632)이 용이하게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632)이 상기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514)보다 크게 형성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514)와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63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514)와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632)이 결합되는 결합부위(이하, 결합부위)(F)에는 상기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514)가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632)으로부터 상기 로터(600)의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하는 이탈방지기구(7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빈 블레이드 에어포일부(516)는 터빈장치 사양에 따라 최적화된 익형을 갖도록 형성되고, 연소 가스의 유동 방향 상 상류 측에 위치되어 연소 가스가 입사되는 터빈 블레이드 리딩 에지 및 연소 가스의 유동 방향 상 하류 측에 위치되어 연소 가스가 출사되는 터빈 블레이드 트레일링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빈 베인(520)은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터빈 베인(520)은 상기 로터(600)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빈 베인(520)과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는 공기 유동 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터빈 베인(520)는 각 단마다 상기 로터(6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터빈 베인(520)은, 상기 로터(6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터빈 베인 플랫폼부 및 상기 터빈 베인 플랫폼부로부터 상기 로터(600)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빈 베인 에어포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빈(500)은 상기 압축기(200)와 달리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와 접촉하므로, 열화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 수단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터빈장치는, 상기 압축기(200)의 일부 개소에서 압축된 공기를 추기하여 상기 터빈(500)으로 공급하는 냉각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로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연장되거나(외부 유로), 상기 로터(600)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고(내부 유로), 외부 유로 및 내부 유로를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 유로는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의 내부에 형성되는 터빈 블레이드 쿨링 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가 냉각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빈 블레이드 쿨링 유로는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의 표면에 형성되는 터빈 블레이드 필름 쿨링 홀과 연통되어, 냉각 공기가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의 표면에 공급됨으로써,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가 냉각 공기에 의해 소위 막 냉각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터빈 베인(520) 역시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와 유사하게 상기 냉각 유로로부터 냉각 공기를 공급받아 냉각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빈(500)은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가 원활히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의 익단과 상기 터빈 하우징(130)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을 필요로 한다.
다만, 상기 간극은 넓을수록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와 상기 터빈 하우징(130) 사이 간섭 방지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연소 가스 누설 측면에서 불리하고, 좁을수록 그 반대가 된다. 즉, 상기 연소기(400)로부터 분사되는 연소 가스의 유동은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를 관류하는 주 유동 및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와 상기 터빈 하우징(130) 사이 간극을 통과하는 누설 유동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 간극이 넓을수록, 상기 누설 유동이 증가되어 터빈장치 효율이 저하되나, 열 변형 등에 의한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와 상기 터빈 하우징(130) 사이 간섭 및 그에 따른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간극이 좁을수록, 상기 누설 유동이 감소되어 터빈장치 효율이 향상되나, 열 변형 등에 의한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와 상기 터빈 하우징(130) 사이 간섭 및 이에 따른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터빈장치는,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와 상기 터빈 하우징(130) 사이 간섭 및 이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면서 터빈장치 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정한 간극을 확보하도록, 실링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수단은,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의 익단에 위치하는 슈라우드, 상기 슈라우드로부터 상기 로터(600)의 회전 반경 방향 상 원심 측으로 돌출되는 래버린스 실 및 상기 터빈 하우징(13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허니콤 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상기 실링 수단은, 상기 래버린스 실과 상기 허니콤 실 사이에 적정의 간극이 형성됨으로써, 연소 가스 누설에 의한 터빈장치 효율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고속으로 회전되는 상기 슈라우드와 고정되어 있는 상기 허니콤 실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 및 이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터빈(500)은 상기 터빈 베인(520)과 상기 로터(600) 사이에서의 누설을 차단하기 위한 실링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는 상술한 상기 래버린스 실 외에 브러시 실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터빈장치는, 상기 하우징(100)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압축기(200)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압축기(200)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상기 연소기(400)에 의해 연료와 혼합된 뒤 연소되어 연소 가스가 되고, 상기 연소기(400)에서 생성된 연소 가스가 상기 터빈(500)으로 유입되고, 상기 터빈(500)으로 유입된 연소 가스가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를 통해 상기 로터(600)를 회전시킨 후 상기 디퓨저를 통해 대기로 배출되며, 연소 가스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로터(600)가 상기 압축기(200) 및 상기 발전기를 구동할 수 있다. 즉, 상기 터빈(500)에서 얻은 기계적 에너지 중 일부는 상기 압축기(200)에서 공기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상기 발전기로 전력을 생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터빈장치는, 터빈장치 운전 시 상기 이탈방지기구(700)의 원심 하중이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632)과 상기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514)에 작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632)과 상기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514)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탈방지기구(700)는, 상기 결합부위(F)의 일측(F1)에 위치되는 제1 리테이너(710), 상기 결합부위(F)의 타측(F2)에 위치되는 제2 리테이너(720) 및 상기 제1 리테이너(710)와 상기 제2 리테이너(720)를 상기 결합부위(F)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테이너(710)는, 회전축 방향 상 상기 결합부위(F)의 일측(F1)을 복개하는 제1 보디부(712) 및 상기 제1 보디부(712)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원심 측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부(7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714)는, 상기 제1 보디부(712)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원심 측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부 제1 부위(714a) 및 상기 제1 돌출부 제1 부위(714a)로부터 절곡되어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돌출부(724) 측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부 제2 부위(71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 제1 부위(714a)는 회전 반경 방향 상 상기 제1 보디부(712)와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714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돌출부 제1 부위(714a)에는 후술할 볼트(732)가 관통하는 제1 돌출부 관통공(714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714b)는 후술할 제2 돌출부 제2 부위(724b)와 맞닿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테이너(720)는, 회전축 방향 상 상기 결합부위(F)의 타측(F2)을 복개하는 제2 보디부(722) 및 상기 제2 보디부(722)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원심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724)는, 상기 제2 보디부(722)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원심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 제1 부위(724a) 및 상기 제2 돌출부 제1 부위(724a)로부터 절곡되어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돌출부(714)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 제2 부위(72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 제1 부위(724a)는 회전 반경 방향 상 상기 제2 보디부(722)와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724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돌출부 제1 부위(724a)에는 후술할 볼트(732)가 관통하는 제2 돌출부 관통공(724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724b)는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714b)와 맞닿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돌출부 제1 부위(714a)로부터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714b)의 선단면까지의 길이를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714b)의 연장 길이라 하고, 상기 제2 돌출부 제1 부위(724a)로부터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724b)의 선단면까지의 길이를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714b)의 연장 길이라 할 때,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714b)의 연장 길이와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714b)의 연장 길이의 합은 상기 디스크(630)의 회전축 방향 두께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714b)와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724b)가 맞닿을 때까지 후술할 볼트(732)와 너트(734)이 서로 체결 될 때, 상기 제1 보디부(712)가 상기 체결부위(F)의 일측(F1)에 밀착되고 상기 제2 보디부(722)가 상기 체결부위(F)의 타측(F2)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730)는, 상기 제1 돌출부 관통공(714c)과 상기 제2 돌출부 관통공(724c)을 관통하는 볼트(732) 및 상기 볼트(732)에 체결되는 너트(7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730)가 일측에서 상기 제1 리테이너(710)와 체결되고 타측에서 상기 제2 리테이너(720)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730)에 의해 상기 제1 리테이너(710)와 상기 제2 리테이너(720) 사이 간격이 조절(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리테이너(710)가 상기 결합부위(F)의 일측(F1)에 밀착 및 고정되고, 상기 제2 리테이너(720)가 상기 결합부위(F)의 타측(F2)에 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730)는 상기 터빈 디스크(630)의 외주면과 상기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부(512) 사이의 이격공간(S)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위(F)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재(730)가 상기 터빈 디스크(630)에 직접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체결부재(730)가 상기 터빈 디스크(630) 및 상기 터빈 블레이드(510)와 함께 회전될 때, 상기 체결부재(730)의 원심 하중이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632) 및 상기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514)에 작용되지 않아, 상기 터빈 디스크 슬롯(632)과 상기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514)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730)의 볼트(732)가 상기 이격공간(S)에 위치되고 상당히 길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볼트(732)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이 악화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714b)와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724b)가 맞닿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볼트(732)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악화가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714b)와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724b)가 상기 볼트(732)를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이물질 등에 의해 상기 볼트(732)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기구(700)는, 상기 제1 리테이너(710)와 상기 제2 리테이너(720)가 상기 결합부위(F)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상기 제1 리테이너(710)가 상기 제1 보디부(712)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연장되는 제1 후크부(7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리테이너(720)가 상기 제2 보디부(722)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연장되는 제2 후크부(726)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빈 디스크(630)가 상기 제1 후크부(716)와 결합되는 제1 후크 홈(634a) 및 상기 제2 후크부(726)와 결합되는 제2 후크 홈(634b)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가스 터빈장치를 전제로 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력 터빈장치, 증기 터빈장치, 공기 터빈장치 등에도 상기 이탈방지기구(700)가 적용될 수 있다.
100: 하우징 500: 터빈
510: 터빈 블레이드 512: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부
514: 터빈 블레이드 루트부 600: 로터
630: 터빈 디스크 632: 터빈 디스크 슬롯
634a: 제1 후크 홈 634b: 제2 후크 홈
700: 이탈방지기구 710: 제1 리테이너
712: 제1 보디부 714: 제1 돌출부
714a: 제1 돌출부 제1 부위 714b: 제1 돌출부 제2 부위
714c: 제1 돌출부 관통공 716: 제1 후크부
720: 제2 리테이너 722: 제2 보디부
724: 제2 돌출부 724a: 제2 돌출부 제1 부위
724b: 제2 돌출부 제2 부위 724c: 제2 돌출부 관통공
726: 제2 후크부 730: 체결부재
732: 볼트 734: 너트
F: 결합부위 F1 : 결합부위의 일측
F2: 결합부위의 타측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600);
    상기 로터(600)에 체결되어 상기 로터(600)와 함께 회전 가능한 터빈(500); 및
    상기 터빈(500)이 상기 로터(6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기구(700);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기구(700)는,
    상기 로터(600)와 상기 터빈(500)이 결합되는 결합부위(F)의 일측(F1)에 위치되는 제1 리테이너(710);
    상기 결합부위(F)의 타측(F2)에 위치되는 제2 리테이너(720); 및
    상기 제1 리테이너(710)와 상기 제2 리테이너(720)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1 리테이너(710)와 상기 제2 리테이너(720)를 상기 결합부위(F)에 밀착 및 고정시키도록, 일측에서 상기 제1 리테이너(710)에 체결되고, 타측에서 상기 제2 리테이너(72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7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테이너(710)는,
    회전축 방향 상 상기 결합부위(F)의 일측(F1)을 복개하는 제1 보디부(712); 및
    상기 제1 보디부(712)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원심 측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부(71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테이너(720)는,
    회전축 방향 상 상기 결합부위(F)의 타측(F2)을 복개하는 제2 보디부(722); 및
    상기 제2 보디부(722)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원심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724);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730)는 상기 제1 돌출부(714) 및 상기 제2 돌출부(724)에 체결되는 터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730)는,
    상기 제1 돌출부(714)와 상기 제2 돌출부(724)를 관통하는 볼트(732); 및
    상기 볼트(732)에 체결되는 너트(734);를 포함하는 터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714)는,
    상기 제1 보디부(712)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원심 측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부 제1 부위(714a); 및
    상기 제1 돌출부 제1 부위(714a)로부터 절곡되어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돌출부(724) 측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부 제2 부위(714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724)는,
    상기 제2 보디부(722)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원심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 제1 부위(724a); 및
    상기 제2 돌출부 제1 부위(724a)로부터 절곡되어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돌출부(714)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 제2 부위(724b);를 포함하는 터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제1 부위(714a)는 회전 반경 방향 상 상기 제1 보디부(712)와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714b)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 제1 부위(724a)는 회전 반경 방향 상 상기 제2 보디부(722)와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724b) 사이에 형성되는 터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제1 부위(714a)에는 상기 볼트(732)가 관통하는 제1 돌출부 관통공(714c)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 제1 부위(724a)에는 상기 볼트(732)가 관통하는 제2 돌출부 관통공(724c)이 형성되는 터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732)의 다리부는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714b)와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724b)에 의해 복개되는 터빈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714b)와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724b)는 서로 맞닿게 형성되는 터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600)는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632)을 갖는 디스크(6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 제1 부위(714a)로부터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714b)의 선단면까지의 길이를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714b)의 연장 길이라 하고, 상기 제2 돌출부 제1 부위(724a)로부터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724b)의 선단면까지의 길이를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714b)의 연장 길이라 할 때, 상기 제1 돌출부 제2 부위(714b)의 연장 길이와 상기 제2 돌출부 제2 부위(714b)의 연장 길이의 합은 상기 디스크(630)의 회전축 방향 두께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터빈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600)는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632)을 갖는 디스크(6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테이너(710)는 상기 제1 보디부(712)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연장되는 제1 후크부(7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리테이너(720)는 상기 제2 보디부(722)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연장되는 제2 후크부(7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630)는 상기 제1 후크부(716)와 결합되는 제1 후크 홈(634a) 및 상기 제2 후크부(726)와 결합되는 제2 후크 홈(634b)을 포함하는 터빈장치.
  13. 삭제
KR1020170174256A 2017-12-18 2017-12-18 터빈장치 KR102036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256A KR102036193B1 (ko) 2017-12-18 2017-12-18 터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256A KR102036193B1 (ko) 2017-12-18 2017-12-18 터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020A KR20190073020A (ko) 2019-06-26
KR102036193B1 true KR102036193B1 (ko) 2019-10-24

Family

ID=6710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256A KR102036193B1 (ko) 2017-12-18 2017-12-18 터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1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1954B1 (fr) * 2021-04-20 2023-07-14 Safran Aircraft Engines Dispositif de calage d’un pied d’aube dans une alveole d’un disque de rotor de turbo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6701A (ja) * 2009-02-25 2010-09-09 General Electric Co <Ge> バケットカバープレート保持のための装置
US20130323031A1 (en) * 2012-05-31 2013-12-05 Solar Turbines Incorporated Turbine damp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8342A (en) 1985-07-24 1988-10-18 Imo Delaval, Inc. Turbine blade re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6701A (ja) * 2009-02-25 2010-09-09 General Electric Co <Ge> バケットカバープレート保持のための装置
US20130323031A1 (en) * 2012-05-31 2013-12-05 Solar Turbines Incorporated Turbine dam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020A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2647B2 (en) High chord bucket with dual part span shrouds and curved dovetail
KR20180130786A (ko) 베인 링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가스터빈
US20100166562A1 (en) Turbine blade root configurations
US11028699B2 (en) Gas turbine
CN109667627B (zh) 燃气轮机的转子轮盘总成
KR20200045817A (ko) 링 세그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101985103B1 (ko) 가스 터빈
KR101985109B1 (ko) 1단 터빈 베인 지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KR101974736B1 (ko) 블레이드의 실링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로터 및 가스터빈
US11162378B2 (en) Turbine apparatus
KR102036193B1 (ko) 터빈장치
JP2009191850A (ja) 蒸気タービンエンジンとその組立方法
KR101985098B1 (ko) 가스 터빈
US20200217214A1 (en) Rim seal
KR101919249B1 (ko) 가스 터빈
US11242754B2 (en) Gas turbine disk
KR102031935B1 (ko) 씰플레이트, 이를 포함하는 터빈 및 가스터빈
KR101985099B1 (ko) 가스 터빈
US11525405B2 (en) Turbine apparatus
KR102120097B1 (ko) 가스 터빈의 고정 베인 노즐
KR102405750B1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머신
KR102440257B1 (ko) 씰링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머신
KR101931025B1 (ko) 가스 터빈
KR20190029216A (ko) 가스 터빈
KR20190133650A (ko) 터빈 블레이드 및 상기 터빈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