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533B1 - Foam-type toilet structure for the aeration tank - Google Patents
Foam-type toilet structure for the aeration tan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5533B1 KR102035533B1 KR1020180105437A KR20180105437A KR102035533B1 KR 102035533 B1 KR102035533 B1 KR 102035533B1 KR 1020180105437 A KR1020180105437 A KR 1020180105437A KR 20180105437 A KR20180105437 A KR 20180105437A KR 102035533 B1 KR102035533 B1 KR 1020355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hose
- inlet pipe
- air
- aeration tank
- hose in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8—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ushing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세식 변기에 사용되는 거품을 생성 및 제공하는 폭기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폭기조로 내삽되는 에어호스가 에어호스 유입관에 각각 내장됨으로써 에어호스가 서로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에어공급 및 거품생성이 원활하게 지속될 수 있으며, 에어호스와 분산기촉의 위치를 고정시켜 생성된 거품이 에어호스 유입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에어호스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포세식 변기용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eration tank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foam for use in a toilet bowl, and more specifically, the air hoses interpolated into the aeration tank can be prevented from twisting each other by being embedded in the air hose inlet pipe, respectively. Through this, air supply and foaming can be continued smoothly, and the position of the air hose and the dispersing head can be fixed to prevent the generated bubbles from flowing back into the air hose inlet pipe, and the air hose can be easily separated as necessary. To a potty toilet.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변기의 종류는 대부분 물을 이용한 수세식 변기지만, 최근 환경보호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수세식 변기 사용시 물 소비량이 많아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며, 섬이나 고산 지대와 같이 수도 시설이 없거나 물 공급량이 저조한 곳에서는 설치 및 이용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most of the toilets used are flush toilets with water. However,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there is a lot of water consumption when using flush toilets,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rove th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stallation or use is difficult in the absence or low water supply.
따라서, 수세식 변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포세식 변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a flush toilet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the flush toilet.
포세식 양변기(bubble flushtoilet)는 물과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세정수에 공기를 제공하는 호스를 주입하여 생성된 거품을 이용하여 용변을 처리하는 변기로, 수세식 변기에 비해 현저히 적은 물이 소비되며, 포세식 양변기는 악취가 적고, 벌레가 발생하지 않으며, 오물 및 오수가 방치되지 않기 때문에 위생적이며 환경친화적이다.A bubble flushtoilet is a toilet that uses a foam generated by injecting a hose that provides air to a washing water mixed with water and a surfactant, and consumes significantly less water than a flush toilet. Porcelain toilets are hygienic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due to their low odor, no bugs, and no sewage or sewage.
이와 같은 포세식 양변기에 대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5125호에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이하, 선행문헌)"가 기재되어 있다.As a prior art for such a toilet bowl is describ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45125 "aeration tank structure for a toilet bowl (hereinafter, referred to in the prior art)".
상기 선행문헌은 폭기조의 상부 양측에 구성되는 연결관과 삽입홈이 각각 구성되어 수조의 내부에 위치하되 물의 높이 보다 높게 구성되며, 부력에 의해 폭기조가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시 물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 편리성이 부여되며, 상기 삽입홈이 구성된 폭기조를 수조의 내측과 결합하며 상기 연결관을 변기본체부와 결합하여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하는 포세식 양변기용 폭기조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ior document is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is composed of a connecting pipe and the insertion grooves are respectively configured on the upper both sides of the aeration tank is configur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wa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eration tank float by buoyancy to directly install the water Convenience is given because it does not touch, the insertion groove is configured to combine the aeration tank with the inner side of the water tank, and the connector to the toilet bowl structure for securing a strong fixing force by combining with the toilet main body portion.
그러나 변기본체부 내부에 인입되는 한 쌍의 호스는 삽입홈에 구비된 패킹을 통해 삽입홈 주변 위치에서만 위치가 고정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air of hoses introduced into the valve body part is fixed only in the position around the insertion groove through the packing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즉, 도 1과 같이 선행문헌은 내장된 호스는 패킹과 결합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별도로 고정되지 않고, 변기본체부의 내측 하부는 일정부분 물이 유입되어 호스가 담수되게 된다. 따라서, 물의 흐름에 의해 호스가 움직이게 되며, 호스를 삽입홈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도 호스가 서로 엉켜질 우려가 있어 호스가 서로 꼬이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 prior art, the built-in hose is not fixed separately except for the portion combined with the packing,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inner portion of the valve main body is a portion of the water is introduced to the hose is fresh water. Therefore, the hose is moved by the flow of water, and even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hose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hoses may be entangled with each other, causing problems that the hoses are twiste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호스가 서로 꼬이게 되면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아 거품생성능력이 저하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시 포세식 변기를 분해하여 호스의 꼬임을 직접 풀어줘야 한다는 번거로움 및 어려움이 존재한다.In this way, when the hoses are twisted with each other,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hoses is not discharged smoothly, and foaming capacity is lower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disassemble the toilet bowl and freely twist the hoses directly. exis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폭기조 내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호스가 서로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어공급 및 거품생성이 원할하게 지속될 수 있는 포세식 변기용 폭기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n aeration tank structure for the toilet bowl that can prevent the air hose for supplying air in the aeration tank is twisted with each other can be smoothly sustained air supply and foaming. There is a purpose.
또한, 에어호스와 분산기촉의 위치를 고정시켜 생성된 거품이 에어호스 유입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물때가 낀 에어호스를 청소하거나 분산기촉 교체시 에어호스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포세식 변기용 폭기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ix the position of the air hose and the dispersing head to prevent backflow of the bubbles generated by the air hose inlet pipe, and for the toilet bowl for cleaning the air hose with splatters or to easily separate the air hose when changing the dispersing head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eration tank structure.
본 발명은 포세식 변기용 폭기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eration tank for a potty toile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컨트롤러와 연결된 에어호스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거품을 생성하는 폭기조 구조는 각각의 에어호스가 내장되며, 전면측 말단이 개방되어 관통된 에어호스 말단이 노출되는 에어호스 유입관 및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의 전면측 말단 일부가 내삽되고, 물과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이 유입되며, 상기 에어호스 말단에서 배출된 에어를 통해 거품이 생성되어 연결된 변기 보울로 배출시키는 거품생성관으로 구성된다.The aeration tank structure that generates air by receiving air from the air hos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has an air hose in which each air hose is embedded, and the front end of the air hose is opened to expose the end of the penetrated air hose. A portion of the front end is interpolated, and a mixture of water and a surfactant is introduced, and bubbles are formed throug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hose end, and bubbles are discharged to the connected toilet bowl.
또한, 상기 에어호스는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과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에 내장되는 것으로 나뉠 수 있고,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에는 상기 에어호스가 유입되는 상측 말단에 원터치피팅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원터치피팅은 상하가 개방되어 양측 말단에 에어호스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에어호스가 쉽게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hose may be divided into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embedded in the air hose inlet pipe, the air hose inlet pipe is further provided with a one-touch fitting at the upper end of the air hose inlet The one-touch fitting is opened up and down, and air hoses are fitted to both ends, and the air hoses can be easily separated.
상기 원터치피팅의 외주면을 감싸는 슬리브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 상부 말단에 고정되어 상기 원터치피팅을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에 고정시키고,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과 상기 에어호스간의 빈틈을 막으며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의 개방된 상부 말단을 폐쇄할 수 있다.A sleeve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ne-touch fitting is further formed, and the sleeve is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air hose inlet pipe to fix the one-touch fitting to the air hose inlet pipe, and between the air hose inlet pipe and the air hose. Closing the gap may close the open upper end of the air hose inlet pipe.
또한, 에어호스 유입관의 상측에는 각각의 에어호스 유입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을 서로 연결하고, 포세식 변기 본체부 후면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air hose inlet pipe is formed with a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each air hose inlet pipe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bracket is connected to the air hose inlet pipe to each other, it is fixed to the back of the toilet bowl body.
또한, 에어호스 유입관의 전면측 말단에는 내경이 점차 확장되는 확장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air hose inlet pipe may be further formed with an expansion portion is gradually expanded in the inner diameter.
또한, 에어호스 유입관의 전면 말단측 일정길이는 상측으로 구부려진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거품생성관에 내삽되는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호스의 말단이 상기 거품생성관 상측을 향하도록 한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air hose inlet pipe is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bent upwards,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in the air hose inlet pipe portion interpolated into the bubble generating pipe, the end of the air hose is the foam Face up the production tube.
또한, 거품생성관의 하측 후면에는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의 전면측 말단이 내삽되는 인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인입홀은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의 개수와 동일하고, 상기 인입홀에는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이 각각 인입된다.In addition, an inlet hole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air hose inlet pipe is interposed is formed in the lower rear surface of the foam tube, the inlet hole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air hose inlet pipe, the inlet hole is the air hose inlet Each tube is introduced.
또한, 거품생성관의 상측 전면에는 상기 보울로 거품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거품생성관이 내장된 본체부의 전면과 상기 보울이 내장된 용변처리부의 후면을 관통하여 상기 보울측으로 거품을 배출하고, 상기 배출구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용변처리부에 결합고정된다.In addition,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bubbles into the bowl on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foaming tube; the outlet is formed through the front of the main body portion with the foaming tube is built-in and the rear of the toilet treatment unit with the bowl is the bowl Foam is discharged to the side,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and the toilet treatment uni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폭기조에 인입되는 에어호스를 에어호스 유입관에 각각 내장함으로써 에어호스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에어공급 및 거품생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air hose from being twisted by incorporating the air hose introduced into the aeration tank into the air hose inlet pipe, respectively, thereby obtaining an effect that the air supply and foaming can be easily made. .
또한, 에어호스 유입관에 내장된 에어호스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에어를 배출함으로써 에어호스와 분사기촉의 위치가 고정되어 생성된 거품이 에어호스 유입관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때가 낀 에어호스를 청소하거나 분산기촉 교체시 에어호스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게 된다.In addition, the air hose built into the air hose inlet pipe discharges the air in a fixed position, thereby preventing the air bubbles from flowing back toward the air hose inlet pipe by fixing the positions of the air hose and the spray tip. The effect is that the air hose can be easily removed when cleaning the stuck air hose or replacing the dispersing head.
도 1은 종래의 선행기술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2a는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의 정면사시도와 후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4a는 본 발명의 측단면을 절단한 정면사시도와 후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포세식 변기의 측단면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1 shows the prior art.
2 and 2a show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e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e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4a show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cut a side cross-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tty toile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및 2a는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의 정면사시도와 후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4 및 4a는 본 발명의 측단면을 절단한 정면사시도와 후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포세식 변기의 측단면을 나타낸 것이다.2 and 2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e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e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4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cut a side cross-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ar perspective view, Figure 5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tty toile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은 포세식 변기의 거품을 생성하는 폭기조(1)에 관한 것으로, 폭기조(1) 내부로 인입되는 에어호스(2)는 컨트롤러(3)에 내장된 에어공급부(31)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공급부(31)로부터 발생된 에어를 폭기조(1) 내부로 전달하여 거품을 생성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eration tank (1) for generating a foam of the toilet bowl, the air hose (2) drawn into the aeration tank (1) is connected to the
이러한 폭기조(1)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The structure of this
폭기조(1)는 물과 계면활성제가 섞인 혼합물에 에어를 공급하여 거품을 생성하고 생성된 거품을 변기의 보울로 전달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폭기조(1)는 거품이 생성되는 거품생성관(10)과, 각각의 에어호스(2)를 내장하여 에어호스(2)를 고정시키는 에어호스 유입관(20)으로 구성된다.The aeration tank (1) is to supply air to the mixture of water and surfactant to produce bubbles and to deliver the bubbles to the bowl of the toilet bow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eration tank (1) is a bubble production pipe (10) ), And an air
이러한 거품생성관(10)과 에어호스 유입관(20)은 연결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거품생성관(10)과 에어호스 유입관(20)이 결합되어져 측면에서 볼때 "∪"자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거품생성관(10)은 본체부의 정면에 밀접하게 결합되어 내측에 생성된 거품을 용변처리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에어호스 유입관(20)은 본체부의 후면과 결합되어 고정된다.The
먼저, 거품생성관(10)은 물과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혼합액이 유입되고, 하측에 인입된 에어호스(2)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통해 포세식 변기에 쓰이는 거품이 생성되는 곳이다.First, the
거품생성관(10)의 하측에서부터 생성된 거품들이 상승하여 상측 일단에 위치한 배출구(11)로 배출되고, 하부 후면에는 에어호스 유입관(20)이 내삽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인입홀(12)이 형성된다. 이때, 인입홀(12)은 에어호스 유입관(20)의 직경보다 커 에어호스 유입관(20) 정면측 말단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인입홀(12)과 에어호스 유입관(20) 사이의 틈새로 본체부 내 물이 유입되어 거품생성관(10)으로 혼합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Bubbles genera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또한, 거품생성관(10)의 하면에는 거품생성관(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혼합액 유입홀(13)이 형성되어 본체부 내 혼합액이 거품생성관(10)이 유입된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따라서, 에어호스(2)의 분산기촉(2a)에서 배출된 공기와 혼합액 유입홀(13)을 통해 거품생성관(10) 내부에 있는 물과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혼합액과 만나 거품을 생성하게 된다.Therefor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persing
또한, 양변기의 작동을 멈추고 장시간보관하거나 양변기 청소시에는 거품생성관(10)의 상측 후면에 형성된 후면밸브(10a)를 열어 청소용수를 공급하게 되는데 공급된 청소용수가 용수처리부의 보울로 이동함과 동시에 거품생성관(10)의 하측으로도 이동하게 되어 혼합액 유입홀(13)로 배출됨으로써 거품생성관(1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oilet is stopped and stored for a long time or when the toilet is cleaned, the rear valve (10a) formed on the upper rear of the foaming tube (10) is opened to supply the cleaning water, and the supplied cleaning water moves to the bowl of the water treatment unit. At the same time it is also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배출구(11)는 용변처리부의 후면과 연결되어 거품생성관(10)에서 생성된 거품을 보울로 공급하는 것으로, 거품생성관(10)의 전면 상측에 위치한 일측 말단에 형성되며, 이때, 용변처리부와 용이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배출구(11)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홈이 함몰되어 있어 용변처리부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다.The
이와 같이 배출구(11)는 용변처리부와 결합 및 고정되기 때문에 거품생성관(10)이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As such, the
한편, 거품생성관(10)은 "∪"자 형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절반이 절단된 형상을 가지며, 에어호스 유입관(20)과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져 거품생성관(10)과 에어호스 유입관(20)이 서로 결합되면 "∪"자 형상의 폭기조(1)가 형성된다.Meanwhile, the
이때, 거품생성관(10)의 하측에서 생성된 거품이 상승하는 부분 중 일정 상단부분에는 중력감소부(14)가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중력감소부(14)는 거품생성관(10)의 내측 너비보다 확장된 큰 원형 형상을 가짐으로써 배출구(11)측으로 상승하는 거품이 중력에 의해 상승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거품에 묻어있는 혼합액은 하중에 의해 거품의 하측으로 모여 하강하게 되고, 거품은 용이하게 상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거품생성관(10)의 하측으로 떨어진 혼합액은 다시 거품으로 재생산될 수 있도록 한다.The
에어호스 유입관(20)은 거품생성관(10)과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컨트롤러(3) 내 에어공급부(31)와 연결된 에어호스(2)가 인입되며, 타단은 일정 길이만큼이 거품생성관(10) 하부측으로 인입되어 에어호스(2)의 끝단이 거품생성관(10) 내부에 구비되도록 한다.The air
에어호스 유입관(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에어호스 유입관(20)에 하나의 에어호스(2)가 내장된다.The air
에어호스 유입관(20)은 컨트롤러(3)와 연결된 에어호스(2)와 동일한 개수를 가지며, 하나의 에어호스 유입관(20)에 하나의 에어호스(2)가 내장된다.The air
이러한 에어호스 유입관(20)의 상측 말단으로 에어호스(2)가 인입되고, 에어호스 유입관(20) 내측을 따라 인입된 에어호스(2)는 거품생성관(10) 내측으로 인입된 에어호스 유입관(20)의 전면측 말단으로 에어호스(2)의 끝단이 돌출되어 나온다. 이때, 에어호스 유입관(20)의 전면측 말단으로 나온 에어호스(2)의 끝단에는 분산기촉(2a)이 구비되어 에어호스 유입관(20) 밖으로 돌출된 분산기촉(2a)이 거품생성관(10) 내부로 용이하게 에어 배출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이때, 에어호스 유입관(20) 내경은 에어호스(2)와 분산기촉(2a)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에어호스(2)와 분산기촉(2a)의 직경보다 크게 제작된다.At this time,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원터치피팅(21)은 에어호스 유입관(20)의 상부 말단에 위치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양측 말단이 개방되어 있다.One-
이러한 원터치피팅(21)의 양측 말단에는 에어호스(2)가 끼움결합시킴으로써 쉽게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one-
이때, 원터치피팅(21)과 결합되는 에어호스(2)는 에어호스 유입관(20)에 내장된 것과 컨트롤러(3)와 연결된 것으로 나뉘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두 종류의 에어호스(2)는 원터치피팅(21)의 양 말단에 각각 내삽되어 끼움결합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원터치피팅(21)을 통해 에어호스(2)를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어 물때가 자주 끼는 에어호스 유입관(20) 내 에어호스(2)를 원터치피팅(21)을 통해 쉽게 분리교체하거나 꺼내 청소할 수 있다.Therefore, the
또한, 원터치피팅(21)은 에어호스(2)가 내삽되어 끼움결합되기 위하여 원터치피팅(21)의 내경과 에어호스(2)의 외경은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원터치피팅(21)은 에어호스(2)와 단면 너비가 유사하기 때문에 에어호스 유입관(20)보다 너비가 좁게된다.In addition, the one-
따라서, 개방된 에어호스 유입관(20)의 후면측 상부 말단을 폐쇄할 수 있고, 원터치피팅(21)이 상기 상부 말단에 고정시킬 수 있는 슬리브(21a)가 추가로 형성된다.Therefore, a
슬리브(21a)는 원터치피팅(21)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며, 슬리브(21a)의 외경은 에어호스 유입관(20)의 상측 말단의 너비보다 커 상기 상측 말단이 개방된 것을 폐쇄할 수 있다.The
또한, 슬리브(21a)를 통해 원터치피팅(21)은 에어호스 유입관(20) 상부 말단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원터치피팅(21)과 슬리브(21a)를 통해 에어호스(2)의 교체 또는 청소시 에어호스 유입관(20)으로부터 용이하게 에어호스(2)를 분리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one-
즉, 에어호스(2)의 분리를 원할 때는 별도의 해체작업없이 원터치피팅(21)과 연결된 에어호스(2)만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에어호스 유입관(20)의 전면측 말단 일부분은 거품생성관(10)에 내삽되는데 에어호스 유입관(20)의 말단으로 에어호스(2)의 분산기촉(2a)이 배출되어 구비된다. 이때, 에어호스 유입관(20)의 전면측 말단에는 말단측으로 갈수록 나팔모양과 같이 확장되는 확장부(20a)가 형성되어 있다.A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air
확장부(20a)는 분산기촉(2a)이 에어를 배출하는 동안 진동 등으로 인해 다시 에어호스 유입관(20)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분산기촉(2a)이 배출하는 에어가 거품생성관(10)측으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분산기촉(2a)이 달려있는 에어호스(2)를 에어호스 유입관(20)에서 교체시 에어호스 유입관(20)에 걸리지 않고 쉽게 분리하기 위함이다.The
또한, 에어호스 유입관(20)의 형상은 "∪" 모양이 절반정도 절단된 형상을 가지는데 이때 컨트롤러(3)와 연결된 부분은 하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며 거품생성관(10)에 인입되는 부분은 상측으로 구부러지는 경사부(22)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air
이러한 경사부(22)를 통해 분산기촉(2a)이 상측을 향한 상태로 고정되므로 에어 배출이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혼합액의 수위가 낮아질 경우에도 에어호스 유입관(20)보다 분산기촉(2a)이 들려 있는 위치가 높기 때문에 거품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dispersing
즉, 경사부(22)가 형성되지 않아 분산기촉(2a)이 거품생성관(10) 하면측으로 기울어질 경우 에어 배출이 하측으로 이루어지면 거품생성관(10)의 하면과 에어가 충돌하여 진동 및 소음 등이 발생될 수 있고, 분산기촉(2a)의 위치가 에어호스 유입관(20)의 최하부 위치와 동일할 경우 거품이 에어호스 유입관(20)측으로 역류하여 원터치피팅(21)이 위치한 상측 말단까지 역류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경사부(22)를 통해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한편, 각각의 에어호스(2)를 내장하는 에어호스 유입관(20)은 서로 연결되어있지 않으며, 에어호스 유입관(20) 또한 본체부에 직접적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 에어호스(2)의 위치는 고정할 수 있어도 에어호스 유입관(20) 자체의 위치는 고정되지 않아 불안정하다는 우려가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따라서, 에어호스 유입관(20)을 서로 연결시키고, 에어호스 유입관(20)을 본체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 브라켓(23)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Therefore, a
연결 브라켓(23)은 에어호스 유입관(20)의 일정 길이의 상측에 위치하고, 한 쌍의 에어호스 유입관(20)의 전면측과 후면측을 각각 감싼 뒤 이를 결합함으로써 에어호스 유입관(20) 외측면에 밀착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 브라켓(23)은 에어호스 유입관(20) 상측에 밀착고정됨으로써 본체부 내 물의 흐름 등으로 인해 에어호스 유입관(20)이 최초 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거품생성관(10) 내측에 인입된 에어호스 유입관(20) 말단이 거품생성관(10)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입홀(12)과 에어호스 유입관(20)이 부딪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또한, 연결 브라켓(23)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결합부재(23a)는 본체부 후면까지 연장되어 본체부 후면에 고정되도록 한다(도 5 참조).In addition, the
따라서, 거품생성관(10)은 배출구(11)가 본체부 정면과 결합되며, 에어호스 유입관(20)은 연결 브라켓(23) 및 결합부재(23a)를 통해 본체부의 후면과 결합됨으로써 폭기조(1)는 본체부 내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Therefore, the foaming
또한, 컨트롤러(3)와 연결되어 본체부로 인입되는 위치에는 에어호스(2)를 감싸는 고정구(24)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고정구(24)는 본체부 후면을 관통하여 본체부 내로 인입되는 에어호스(2)의 외측면을 보호하고, 에어호스(2)를 본체부 후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구(24)는 에어호스(2)의 외주면을 감싸며, 컨트롤러(3)에서 하면을 향하는 연장된 에어호스(2)가 본체부 후면 관통시에는 지면과 평행한 형태로 에어호스(2)의 외주면을 감싸고, 본체부 후면을 관통하여 에어호스(2)가 본체부 내부로 인입시 에어호스 유입관(20)의 상면 중앙과 대응되는 상측에서 에어호스(2)가 하부측으로 연장되도록 하측을 향하는 형상을 가진다.The
컨트롤러(3)는 에어호스(2)의 에어 배출량 등을 제어할 수 있고, 거품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의 양 또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3) 정면에 사람이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3a)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포세식 변기의 거품양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The
이와 같이 상술된 폭기조(1)는 에어호스(2)의 개수에 따라 에어호스(2)를 개별적으로 내장하는 에어호스 유입관(20)이 구비되고, 이러한 에어호스 유입관(20)이 거품생성관(10)에 인입되어 에어를 배출함으로써 에어호스(2)가 본체부 내에서 서로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에어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거품생성 또한 원활하게 지속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Therefore, the air supply is made smoothly has the effect that the foaming can be continued smoothly.
또한, 에어호스(2) 정비시 에어호스 유입관(20)에서 원터치피팅(21)을 분리하여 에어호스(2)를 에어호스 유입관(20)에서 빼낼 수 있어 용이하게 에어호스(2)를 분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기존의 양변기의 경우 벽면쪽에 붙어 설치되기 때문에 벽면과 양변기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본체부 후면에 끼어있는 호스를 탈거하고 교체하는게 어려워 에어호스 교체시 컨트롤러부터 폭기조까지 전부 분리 및 교체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Since the existing toilet is installed on the wall, the space between the wall and the toilet is so small that it is difficult to remove and replace the hose stuck in the rear of the main body.It is inconvenient to remove and replace everything from the controller to the aeration tank when replacing the air hose. exist.
또한, 에어호스가 에어를 배출함으로써 에어호스가 폭기조 내에서 계속 이동한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에어호스 유입관(20)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hose continues to move in the aeration tank by discharging the air hose can solve these problems through the air hose inlet pipe (20).
한편, 상기에서 도 2 내지 5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2 내지 5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In addition, what was described above using FIGS. 2-5 described only the main matter of this invention, As long as various desig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FIGS. Is self explanatory.
1: 폭기조 2: 에어호스
2a: 분산기촉 3: 컨트롤러
3a: 조작부
10: 거품생성관 11: 배출구
12: 인입홀 13: 혼합액 유입홀
14: 중력감소부 20: 에어호스 유입관
20a: 확장부 21: 원터치피팅
21a: 슬리브 22: 경사부
23: 연결 브라켓 24: 고정구
31: 에어공급부1: aeration tank 2: air hose
2a: Disperser 3: controller
3a: control panel
10: foaming tube 11: outlet
12: inlet hole 13: mixed liquid inlet hole
14: gravity reducing unit 20: air hose inlet pipe
20a: Extension 21: One-touch fitting
21a: sleeve 22: inclined portion
23: connection bracket 24: fixture
31: air supply unit
Claims (8)
각각의 에어호스가 내장되며, 전면측 말단이 개방되어 관통된 에어호스 말단이 노출되는 에어호스 유입관; 및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의 전면측 말단 일부가 내삽되고, 물과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이 유입되며, 상기 에어호스 말단에서 배출된 에어를 통해 거품이 생성되어 연결된 변기 보울로 배출시키는 거품생성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의 전면측 말단에는 내경이 점차 확장되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변기용 폭기조 구조.
In the aeration tank structure that generates air by receiving air from the air hos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 air hose inlet tube having each air hose embedded therein, the front end of which is open to expose the air hose end; And
A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air hose inlet pipe is interpolated, a mixture of water and a surfactant is introduced therein, and bubbles are formed throug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hose end and discharged into the connected toilet bowl; Become,
An aeration tank structure for a potty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expansion portion is formed to gradually expand the inner diameter at the front end of the air hose inlet pipe.
상기 에어호스는,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과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에 내장되는 것으로 나뉠 수 있고,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에는 상기 에어호스가 유입되는 상측 말단에 원터치피팅;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원터치피팅은 상하가 개방되어 양측 말단에 에어호스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에어호스가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변기용 폭기조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hos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embedded in the air hose inlet pipe,
The air hose inlet pipe is a one-touch fitting at the upper end of the air hose is introduced; is further provided,
The one-touch fittings are open and closed upper and lower air hoses are fitted at both ends, the air hose aeration tan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hose can be easily separated.
상기 원터치피팅의 외주면을 감싸는 슬리브;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 상부 말단에 고정되어 상기 원터치피팅을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에 고정시키고,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과 상기 에어호스간의 빈틈을 막으며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의 개방된 상부 말단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변기용 폭기조 구조.
The method of claim 2,
A sleev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ne-touch fitting; is further formed,
The sleev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air hose inlet pipe to fix the one-touch fitting to the air hose inlet pipe,
The aeration tank structure for the flushing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loses the open upper end of the air hose inlet pipe while preventing the gap between the air hose inlet pipe and the air hose.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의 상측에는 각각의 에어호스 유입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을 서로 연결하고, 포세식 변기 본체부 후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변기용 폭기조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A connection bracket connecting each air hose inlet pipe to each other above the air hose inlet pipe;
The connecting bracket connects the air hose inlet pipes with each other, and the aeration tank structure for the potty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back of the potty toilet body.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의 전면 말단측 일정길이는 상측으로 구부려진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거품생성관에 내삽되는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호스의 말단이 상기 거품생성관 상측을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변기용 폭기조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air hose inlet pipe is inclined portion bent upward;
The inclined portion,
It is formed in the air hose inlet pipe portion that is interpolated into the bubble generating pipe,
The aeration tank structure for the toilet bowl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air hose is dir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oaming tube.
상기 거품생성관의 하측 후면에는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의 전면측 말단이 내삽되는 인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인입홀은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의 개수와 동일하고, 상기 인입홀에는 상기 에어호스 유입관이 각각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변기용 폭기조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An inlet hole through which the front end of the air hose inlet pipe is interposed in the lower rear surface of the foaming tube;
The inlet hole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air hose inlet pipe, and the air hose inlet pip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air inlet pipe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상기 거품생성관의 상측 전면에는 상기 보울로 거품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거품생성관이 내장된 본체부의 전면과 상기 보울이 내장된 용변처리부의 후면을 관통하여 상기 보울측으로 거품을 배출하고,
상기 배출구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용변처리부에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변기용 폭기조 구조.The method of claim 1,
An outlet for discharging bubbles into the bowl on an upper front surface of the bubble generating pipe;
The discharge port discharges the foam to the bowl side through the front of the main body portion with the foam generating tube and the rear of the toilet treatment portion with the bowl,
Aeration tank structure for a toilet bowl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toilet treatment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5437A KR102035533B1 (en) | 2018-09-04 | 2018-09-04 | Foam-type toilet structure for the aeration tan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5437A KR102035533B1 (en) | 2018-09-04 | 2018-09-04 | Foam-type toilet structure for the aeration tan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5533B1 true KR102035533B1 (en) | 2019-10-24 |
Family
ID=6842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5437A KR102035533B1 (en) | 2018-09-04 | 2018-09-04 | Foam-type toilet structure for the aeration tan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553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2181B1 (en) * | 2021-10-07 | 2022-04-04 | 서원주 | Foam type toilet bow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12076A (en) * | 2013-07-24 | 2015-02-03 | 김아인 | Toilet Fosse-type structure for the aeration tank |
-
2018
- 2018-09-04 KR KR1020180105437A patent/KR10203553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12076A (en) * | 2013-07-24 | 2015-02-03 | 김아인 | Toilet Fosse-type structure for the aeration tank |
KR101545125B1 (en) | 2013-07-24 | 2015-08-21 | 김아인 | Toilet Fosse-type structure for the aeration tank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2181B1 (en) * | 2021-10-07 | 2022-04-04 | 서원주 | Foam type toilet bow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747323B1 (en) | Shower nozzle | |
KR100483510B1 (en) | Toilet stool having rim side water supply equipment using jet pump | |
US6779202B1 (en) | Plunger appliance for toilets | |
EP3408461A1 (en) | Line pressure-driven, tankless, siphonic toilet | |
JP2012229569A (en) | Water closet | |
KR102035533B1 (en) | Foam-type toilet structure for the aeration tank | |
CN214245980U (en) | Closestool flush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noise | |
CN207144083U (en) | A kind of low noise toilet-flushing device | |
JP2014062390A (en) | Flush toilet bowl | |
CN111779101A (en) | Siphon type wall-mounted toilet bowl with water tank | |
US7392550B2 (en) | Silencer and water supply device | |
CN205134463U (en) | Siphon bend and have closestool washing unit of this siphon bend | |
JP5569873B2 (en) | Flush toilet | |
CN106894484A (en) | A kind of foam device and toilet | |
CN206635898U (en) | A kind of foam device and toilet | |
CN216379813U (en) | Closestool foaming flushing device, intelligent closestool | |
CN212294940U (en) | Siphon type wall-mounted toilet bowl with water tank | |
JP5967872B2 (en) | Drain pipe connection structure | |
JP5484679B2 (en) | Western style flush toilet | |
KR101545125B1 (en) | Toilet Fosse-type structure for the aeration tank | |
CN202090408U (en) | Water seal water replenishing control device with muffler for flush toilet | |
CN217601605U (en) | Intelligent sanitary appliance capable of automatically cleaning water channel | |
US11202538B2 (en) | Water inlet through seat post | |
CN216920587U (en) | Toilet bowl overflow structure | |
CN211080467U (en) | Toilet bow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