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110B1 - 손 재활 장치 - Google Patents

손 재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110B1
KR102035110B1 KR1020180008783A KR20180008783A KR102035110B1 KR 102035110 B1 KR102035110 B1 KR 102035110B1 KR 1020180008783 A KR1020180008783 A KR 1020180008783A KR 20180008783 A KR20180008783 A KR 20180008783A KR 102035110 B1 KR102035110 B1 KR 102035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ing means
magnetic field
hand
magnetic force
forc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0206A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8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110B1/ko
Priority to PCT/KR2018/010817 priority patent/WO2019146868A1/ko
Publication of KR20190090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61H2001/027To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61H2201/1638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 재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손 재활 장치는 손가락에 착용 가능한 자력 발생 수단을 구비하는 손 착용부, 그리고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손 착용부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전자기 패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에 착용 가능한 자력 발생 수단과 전자기 패널부 간에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굴곡, 신전이나 회전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손의 움직임을 유도함으로써 수부 기능을 용이하게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손 재활 장치{Apparatus of Hand Rehabilitation}
본 발명은 손 재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수부 기능이 회복되도록 재활 치료할 수 있는 손 재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일부분이 없거나 신체의 일부를 움직이지 못하는 사람들의 신체 기능을 돕거나 신체 자체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람들에게 입히거나 장착하는 형태로 다수의 보조 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뇌졸중이나 뇌손상 후 근력 저하로 인한 수부 기능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돕기 위하여 손에 끼워서 착용할 수 있는 외골격 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외골격 장치는 이를 착용한 사람의 움직임 방향으로 힘을 증강시켜주기 위한 근력 지원 기구로서, 각 손가락의 관절마다 그 관절을 움직이는 모터를 구비하고 관절의 움직이는 변위 또는 각도를 조절하여 외골격 장치를 착용한 사람이 적은 힘으로도 무거운 물체를 들 수 있게 한다.
하지만, 모터를 이용한 외골격 장치는 모터의 크기나 배터리의 용량 등으로 인하여 부피가 커지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센서가 부착된 글로브를 착용한 상태에서 화면으로부터 제시되는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은 외골격 장치에 비해 가볍고 시각적인 과제를 제시하기 때문에 핀치(pinch) 등과 같이 목적 지향적인 과제를 제시할 수 있으나, 외부 동력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수부 근력이 3등급 이상의 기능이 좋은 사림만을 재활 대상으로 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외에 상지 근육의 근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피드백 받아 수부 재활 운동을 수행하는 방식은 외골격 장치와는 다르게 환자에게 남아있는 작은 근력을 이용하여 액티브 보조(active assisted) 운동을 수행하여 이론상으로는 더욱 목표 지향적이면서 남아 있는 수부 근력이 적어도 효과적인 수부 재활 치료를 수행할 수 있으나, 해당 장비의 부피가 크고 가격이 고가인데다, 현재까지 기술적으로는 상지 근육의 근전도 신호를 정밀하게 조절하면서 피드백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임상적인 사용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94703호 (등록일 2017. 11. 01)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손가락에 착용 가능한 자력 발생 수단과 전자기 패널부 간에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굴곡, 신전이나 회전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손의 움직임을 유도함으로써 수부 기능을 용이하게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손 재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목적 이외에도,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다른 목적도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재활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마디에 개별 착용 가능한 자력 발생 수단을 구비하는 손 착용부, 그리고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상기 손 착용부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전자기 패널부를 포함한다.
상기 손 착용부는, 상기 자력 발생 수단과 상기 전자기 패널 사이에 발생되는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움직임이 가변된다.
상기 전자기 패널부는, 복수 개의 구획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복수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자기장 발생 수단,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자기장 발생 수단에 선택적으로 상기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 인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 재활 장치는 상기 전류 인가 수단을 통해 상기 자기장 발생 수단으로 인가되는 전류 및 상기 자력 발생 수단으로 인가되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자기장의 크기 및 방향을 조절하며, 상기 전류 인가 수단을 통해 상기 자기장 발생 수단으로 인가되는 전류 및 상기 자력 발생 수단으로 인가되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자기장의 크기 및 방향을 조절하며, 상기 복수 개의 자력 발생 수단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복수 개의 자력 발생 수단을 선택적으로 동작시켜서 손가락의 굴신 움직임 및 손의 회전 움직임을 유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 착용부는, 손에 착용되는 장갑 형태의 지지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손가락 마디 부분에 설치되는 자력 발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 착용부는, 상기 손가락의 마디에 착용되는 링 형태의 지지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마다 설치되는 자력 발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력 발생 수단 및 상기 자기장 발생 수단은, 영구 자석, 전자석 및 코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 재활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 가능한 자력 발생 수단 및 전자기 패널부 간에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굴곡, 신전이나 회전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손의 움직임을 유도함으로써 수부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고가의 모터를 설치하지 않고도 저렴한 자석이나 코일 등을 에너지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손의 운동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손가락의 힘이 없어도 굽히거나 핌, 외전이나 내전 등의 재활 운동이 가능하고, 자기장의 크기 및 방향을 제어하여 손의 움직임 방향이나 손의 움직임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손 재활 장치의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손 재활 장치의 이동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전자장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재활 치료 동안 자석 사이의 전자기적 현상을 규명하여 향후 다른 재활 로봇을 개발할 경우 전자석 규격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 재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재활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 재활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재활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자력 발생 수단과 자기장 발생 수단 사이에 발생되는 인력 또는 척력을 보여주는 다양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 재활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패널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자력 발생 수단과 복수 개의 자기장 발생 수단 사이에 발생되는 인력 또는 척력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 재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재활 장치의 예시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 재활 장치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 재활 장치(1)는 손 착용부(100), 전자기 패널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손 착용부(10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 가능한 자력 발생 수단을 구비하여 손의 움직임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손 착용부(100)는 도 2와 같이, 손에 착용되는 장갑 형태의 지지부(110a) 및 지지부(110a)의 손가락 마디 부분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자기장의 자력에 의해 손가락을 움직이게 하는 자력 발생 수단(12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0a)는 사용자의 손 전체에 착용되어 손을 지지할 수 있고, 그 재질이 제한되지 않으나 손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는 손가락과 손의 움직임에 저항이 적은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자력 발생 수단(120)은 지지부(110a)의 손가락 마디 부분에 대응하는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각 손가락 마디를 지지하면서 손의 움직임을 지원할 수 있다. 자력 발생 수단(120)은 영구 자석, 전자석 또는 코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컨대, 한 손에 있는 5개의 손가락이 재활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5개의 손가락마다 설치될 수 있다.
손 착용부(100)는 도 3과 같이, 손가락의 마디에 착용되는 링 형태의 지지부(110b) 및 지지부(110b)마다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자기장의 자력에 의해 손가락을 움직이게 하는 자력 발생 수단(12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0b)는 반지 또는 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손가락의 적어도 하나의 마디에 착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 중에서 재활을 필요로 하는 손가락의 마디마다 착용될 수 있다. 자력 발생 수단(120)은 지지부(110b)의 일측에 부착되어 발생된 자기장에 따라 손가락의 움직임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장갑 형태의 손 착용부와 링 형태의 손 착용부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손 착용부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재활 장치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손 착용부(100)는 복수 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 및 복수 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 인가 수단(140)을 포함할 수 있다.
자력 발생 수단(120)이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질 경우, 영구 자석은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도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영구 자석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수단이 필요 없지만, 자력 발생 수단(120)이 전자석이나 코일로 이루어질 경우, 전자석이나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야만 전류가 흘러 그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자력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전류 인가 수단(140)을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자력 발생 수단(120)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나 방향에 따라 자기장의 크기와 방향이 가변하기 때문에 제어부(300)는 전류 인가 수단(140)을 제어하여 자력 발생 수단(120)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가변시킴으로써 자기장의 크기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게다가 자력 발생 수단(120)이 복수 개의 전자석 또는 복수 개의 코일로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300)는 복수 개의 전자석 또는 복수 개의 코일에 선택적으로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여 자력 발생 수단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한 손에 있는 5개의 손가락 중에서 3개의 손가락만 재활이 필요할 경우, 제어부(300)는 5개의 자력 발생 수단 중에서 3개의 자력 발생 수단에만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2개의 자력 발생 수단에 인가되는 전류는 차단되도록 제어함으로써 3개의 자력 발생 수단만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300)는 자력 발생 수단(120)이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손가락을 선택적으로 재활 운동시킬 수 있다.
전자기 패널부(200)는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손 착용부(100)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전자기 패널부(200)는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기장을 손 착용부(100)에 인가하는 자기장 발생 수단(220) 및 자기장 발생 수단(220)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 인가 수단(240)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 발생 수단(220)은 영구 자석, 전자석 또는 코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자기장 발생 수단이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질 경우, 영구 자석은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도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영구 자석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수단이 필요 없지만, 자기장 발생 수단(220)이 전자석이나 코일로 이루어질 경우, 전자석이나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야만 전류가 흘러 그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자력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전류 인가 수단(240)을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발생 수단(220)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나 방향에 따라 자기장의 크기와 방향이 가변하기 때문에 제어부(300)는 전류 인가 수단(240)을 제어하여 자기장 발생 수단(220)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가변시킴으로써 자기장의 크기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자력 발생 수단과 자기장 발생 수단 사이에 발생되는 인력 또는 척력을 보여주는 다양한 예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5개의 손가락이 재활을 필요로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5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a~120e)의 S극이 모두 아래를 향하고 있고, 자기장 발생 수단(220)의 N극이 위를 향하고 있을 경우, 5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a~120e)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보강하기 위한 자기장이 자기장 발생 수단(220)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5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a~120e)과 자기장 발생 수단(220)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되어 5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a~120e)을 자기장 발생 수단(220) 측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5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a~120e)의 S극이 모두 아래를 향하고 있고, 자기장 발생 수단(220)의 S극이 위를 향하고 있을 경우 5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a~120e)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상쇄하기 위한 자기장이 자기장 발생 수단(220)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5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a~120e)과 자기장 발생 수단(220) 사이에는 척력이 발생되어 5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a~120e)과 자기장 발생 수단(220)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5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a~120e) 중에서 2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a, 120d)의 S극이 아래를 향하고 있고 자기장 발생 수단(220)의 S극이 위를 향하고 있을 경우, 2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a, 120d)과 자기장 발생 수단(220) 사이에는 척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2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a, 120d)과 자기장 발생 수단(220)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고, 나머지 3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b, 120c, 120e)은 N극이 아래를 향하고 있기 때문에 나머지 3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b, 120c, 120e)과 자기장 발생 수단(220)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되어 3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b, 120c, 120e)을 자기장 발생 수단(220) 측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력 발생 수단(120)의 극성을 손가락의 운동 기능이나 운동 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각 손가락에 맞는 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에 맞는 재활 운동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손의 움직임 방향과 힘의 보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d는 전자석이나 코일로 이루어진 5개의 자력 발생 수단 중 3개의 자력 발생 수단만 동작하는 경우로서, 제어부(300)는 3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a, 120c, 120d)에만 전류를 인가하고, 나머지 2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b, 120e)에 인가되는 전류는 차단하여 3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a, 120c, 120d)에만 자기장이 발생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3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a, 120c, 120d)과 자기장 발생 수단(220) 사이에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인해 인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3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a, 120c, 120d)을 자기장 발생 수단(220) 측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복수의 손가락 중에서 일부의 손가락만 선택적으로 재활이 필요한 경우로서 사용자의 손가락 기능에 따라서 적절하게 자력 발생 수단을 동작시켜서 재활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a~120b)과 전자기 패널부(200)의 자기장 발생 수단(220) 사이에 발생되는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손가락의 움직임이 가변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자력 발생 수단(120a~120b)과 전자기 패널부(200)의 자기장 발생 수단(220) 사이에 발생되는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각 손가락 마디를 굴절(굽힘)시키거나 신전(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의 반복을 통해 근육 강화 또는 신경계의 회복 등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 방향, 자력 발생 수단(120)과 자기장 발생 수단(220) 간의 거리, 자력 발생 수단(120)의 위치 등에 따라 자기장의 방향과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300)는 자기장의 방향과 위치를 조절하여 손가락 운동의 강도, 시간이나 관절 이동 각도 등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 재활 장치의 상세 구성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패널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 패널부(200)는 복수 개의 자기장 발생 수단(220a, 220b) 및 전류 인가 수단(2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자기장 발생 수단이 2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으며, 자기장 발생 수단은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자기장 발생 수단(220a, 220b)은 복수 개의 구획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복수의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전자기 패널부(200)는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210)의 내부 공간은 복수 개로 구획되고, 각 공간마다 자기장 발생 수단(220a, 220b)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자기장 발생 수단(220a, 220b) 간의 서로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자력 발생 수단(120)만이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자력 발생 수단(120)과 자기장 발생 수단(220)이 모두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질 경우, 자력 발생 수단(120)과 자기장 발생 수단(220)의 극성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자기장 발생 수단(220)을 복수 개 설치한 후, 복수 개의 자기장 발생 수단(220)마다 적절한 극성을 부여함으로써 자력 발생 수단과 자기장 발생 수단 간에 발생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자력 발생 수단과 복수 개의 자기장 발생 수단 사이에 발생되는 인력 또는 척력을 보여주는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자력 발생 수단(120a, 120b)과 제1 자기장 발생 수단(220a) 사이에는 척력이 발생되어 제1 및 제2 자력 발생 수단(120a, 120b)과 제1 자기장 발생 수단(220a)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고, 제3 내지 제5 자력 발생 수단(120c~120e)과 제2 자기장 발생 수단(220b)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되어 제3 내지 제5 자력 발생 수단(120c~120e)을 제2 자기장 발생 수단(220b) 측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 개의 자력 발생 수단을 통해 복수의 손가락을 각기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자기장 발생 수단을 통해 복수 개의 자기장 발생 수단과 자력 발생 수단 와의 자기장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자력을 적절하게 발생시킴으로써 뇌졸중 환자와 같은 신경계 환자가 심한 근육 경직으로 인해 손이 비기능적으로 움직이는 상태를 방지하고, 손이 기능적으로 움직이기 위하여 손가락의 굽힘과 펴짐이 조화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손 재활 장치
100: 손 착용부
120: 자력 발생 수단
140, 240: 전류 인가 수단
200: 전자기 패널부
220: 자기장 발생 수단
300: 제어부

Claims (9)

  1. 삭제
  2. 사용자의 손가락 마디에 개별 착용 가능한 자력 발생 수단을 구비하는 손 착용부,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상기 손 착용부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전자기 패널부, 그리고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 착용부는,
    상기 자력 발생 수단과 상기 전자기 패널 사이에 발생되는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움직임이 가변되며,
    상기 전자기 패널부는,
    복수 개의 구획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복수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자기장 발생 수단,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자기장 발생 수단에 선택적으로 상기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 인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인가 수단을 통해 상기 자기장 발생 수단으로 인가되는 전류 및 상기 자력 발생 수단으로 인가되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자기장의 크기 및 방향을 조절하며, 상기 전류 인가 수단을 통해 상기 자기장 발생 수단으로 인가되는 전류 및 상기 자력 발생 수단으로 인가되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자기장의 크기 및 방향을 조절하며, 상기 복수 개의 자력 발생 수단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복수 개의 자력 발생 수단을 선택적으로 동작시켜서 손가락의 굴신 움직임 및 손의 회전 움직임을 유도하는 손 재활 장치.
  3. 제 2 항에서,
    상기 손 착용부는,
    손에 착용되는 장갑 형태의 지지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손가락 마디 부분에 설치되는 자력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손 재활 장치.
  4. 제 3 항에서,
    상기 손 착용부는,
    상기 손가락의 마디에 착용되는 링 형태의 지지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마다 설치되는 자력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손 재활 장치.
  5. 삭제
  6. 제 2 항에서,
    상기 자력 발생 수단 및 상기 자기장 발생 수단은,
    영구 자석, 전자석 및 코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손 재활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008783A 2018-01-24 2018-01-24 손 재활 장치 KR102035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783A KR102035110B1 (ko) 2018-01-24 2018-01-24 손 재활 장치
PCT/KR2018/010817 WO2019146868A1 (ko) 2018-01-24 2018-09-14 손 재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783A KR102035110B1 (ko) 2018-01-24 2018-01-24 손 재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206A KR20190090206A (ko) 2019-08-01
KR102035110B1 true KR102035110B1 (ko) 2019-10-22

Family

ID=6739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783A KR102035110B1 (ko) 2018-01-24 2018-01-24 손 재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5110B1 (ko)
WO (1) WO20191468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284B1 (ko) * 2019-10-24 2021-03-24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손가락 재활 훈련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342B1 (ko) * 2020-04-21 2022-02-0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손가락 재활 훈련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3736A1 (en) 2009-04-13 2011-03-03 David Gordon Bearden Hand exercise device
CN105938670A (zh) 2016-07-13 2016-09-14 罗永� 自助钢琴弹奏练习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424A (ko) * 2006-08-28 2008-03-04 장태환 자석을 이용한 반지모양의 운동기구
KR101638499B1 (ko) * 2015-01-05 2016-07-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손가락 재활 훈련 장치
KR101794703B1 (ko) 2016-01-18 2017-11-08 울산과학기술원 착용형 손 재활장치
KR101915238B1 (ko) * 2016-03-11 2018-11-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손 재활 장치 및 이를 포함한 가상현실 재활 훈련 시스템
KR101831602B1 (ko) * 2016-03-15 2018-02-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 처리를 통해 정밀 제어하는 상지 재활 로봇 모듈 및 재활 로봇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3736A1 (en) 2009-04-13 2011-03-03 David Gordon Bearden Hand exercise device
CN105938670A (zh) 2016-07-13 2016-09-14 罗永� 自助钢琴弹奏练习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6039호(2017.9.20. 공개) 1부.*
등록특허공보 제10-1638499호(2016.7.11. 공고) 1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284B1 (ko) * 2019-10-24 2021-03-24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손가락 재활 훈련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6868A1 (ko) 2019-08-01
KR20190090206A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li et al. Robotic technologies and rehabilitation: new tools for stroke patients’ therapy
EP3151914B1 (en)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cycling device for people with impaired mobility
Pietrusinski et al. Robotic gait rehabilitation trainer
Hesse et al. Upper and lower extremity robotic devices for rehabilitation and for studying motor control
US7410338B2 (en) Exoskeleton for the human arm, in particular for space applications
Ochoa et al. Treadmill vs. overground walking: different response to physical interaction
KR102035110B1 (ko) 손 재활 장치
Vercher et al. Role of sensory information in updating internal models of the effector during arm tracking
Andrikopoulos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exoskeletal wrist prototype via pneumatic artificial muscles
Mao et al. Transition from mechanical arm to human arm with CAREX: A cable driven ARm EXoskeleton (CAREX) for neural rehabilitation
NZ563921A (en) Mirror movement training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of stroke victims
CN110393895A (zh) 膝关节训练适配件、康复训练设备及其训练控制方法
KR20160031603A (ko) 근력 보조장치
Shahbazi et al. A framework for supervised robotics-assisted mirror rehabilitation therapy
KR101855359B1 (ko) 손가락 재활 시스템
KR102130886B1 (ko) 보행 훈련 장치
Munawar et al. AssistOn-Gait: An overground gait trainer with an active pelvis-hip exoskeleton
KR101849478B1 (ko) 손 및 손목 재활 로봇
Vallery et al. Hiding robot inertia using resonance
Decker et al. A hand exoskeleton device for robot assisted sensory-motor training after stroke
KR20190031936A (ko) 랜덤 에러 신호를 이용한 재활 운동 기구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JP2016073502A (ja) 上肢運動機能回復訓練器具
Kim et al. A review of robot-assisted gait training in stroke patients
Noveanu et al. Structural synthesis of the upper limb modular wearable exercisers
Ong et al. Recent developments of robotic exoskeletons for hand rehabili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