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102B1 - 내시경 시술 기구 - Google Patents

내시경 시술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102B1
KR102035102B1 KR1020170149009A KR20170149009A KR102035102B1 KR 102035102 B1 KR102035102 B1 KR 102035102B1 KR 1020170149009 A KR1020170149009 A KR 1020170149009A KR 20170149009 A KR20170149009 A KR 20170149009A KR 102035102 B1 KR102035102 B1 KR 102035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nare
wire
main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3041A (ko
Inventor
석재일
Original Assignee
석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재일 filed Critical 석재일
Priority to KR1020170149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1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2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 closed distal end, e.g. a loo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기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단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제1 삽입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에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삽입부가 형성된 슬라이더; 상기 본체의 전단에 고정되고 체내로 삽입되는 가요성의 튜브 유닛; 및 상기 튜브 유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며 타단에는 용종을 포획하기 위한 올가미형 스네어가 형성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단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튜브 유닛은, 메인 튜브와, 상기 메인 튜브의 외측에서 상기 메인 튜브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외측 튜브와, 상기 메인 튜브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싸는 내측 튜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시경 시술 기구{ENDOSCOPIC TOOL}
본 발명은 내시경 시술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튜브 안에 와이어를 지지하는 내측 튜브를 더 구비함으로써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지탱하는 내시경 시술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Endoscope)은 위나 식도와 같이 그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성장기의 내면이나 흉강 또는 복강 등과 같이 신체의 내부를 직접 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그 사용용도에 따라 기관지경, 후두경, 식도경, 위/장 내시경, 자궁경, 요도경, 관절경, 방광경, 복강경 등과 같은 매우 다양한 종류가 세분되어지며, 해당 인체내부의 상태를 관찰함과 동시에 조직의 절제와 분비물의 채취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병의 발견 및 진단과 그 치료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의료용 기구이다.
상기와 같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대장 내시경 검사시 용종이 발견되는 경우 복수의 시술기구를 내시경과 함께 인체의 내부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내시경으로 환부를 관찰하면서 용종을 제거하는 시술을 하게 된다. 즉, 기존의 용종을 제거하는 방법은, 먼저 용종절제 도구인 스네어(Snare)를 내시경을 통해 인체의 내부로 삽입하여 발견된 용종에 근접시키고 스네어의 와이어를 튜브로부터 돌출시켜 고주파 전류가 공급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용종을 절제한 다음, 내시경으로부터 스네어를 분리하고 별도의 시술기구를 내시경을 통해 삽입하여 절제된 용종을 체내로부터 꺼내어 수거하는 시술방식이 행해지고 있다.
하지만, 용종 제거에 사용되는 종래의 내시경 도구는 스네어가 수축된 상태로 튜브 안쪽에 끼워져 있을 때에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스네어가 튜브 밖으로 돌출된 이후에는 스네어에 연결된 와이어가 튜브에 고정된다. 그런데, 종래의 내시경 도구는 튜브의 내경이 와이어의 단면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와이어가 흔들릴 우려가 있었고 실제로 스네어가 튜브에서 빠져나올때 위치가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스네어가 전방으로 이동시 스네어의 위치가 대상 용종의 위치에서 크게 이탈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용종 제거용 내시경 시술 기구에 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종 제거를 위해 스네어를 돌출시킬 때 스네어의 위치가 대상 용종의 위치에서 크게 이탈하지 않도록 지탱되는 내시경 시술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기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단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제1 삽입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에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삽입부가 형성된 슬라이더; 상기 본체의 전단에 고정되고 체내로 삽입되는 가요성의 튜브 유닛; 및 상기 튜브 유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며 타단에는 용종을 포획하기 위한 올가미형 스네어가 형성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단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튜브 유닛은, 메인 튜브와, 상기 메인 튜브의 외측에서 상기 메인 튜브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외측 튜브와, 상기 메인 튜브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싸는 내측 튜브를 포함한다.
또한, 내측 튜브의 선단은 상기 메인 튜브의 선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스네어는 상기 내측 튜브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 튜브의 내부에 수축된 상태로 끼워지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된 와이어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네어가 상기 메인 튜브의 선단 밖으로 돌출되면서 벌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네어에는 고상(固相)의 항균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튜브의 내경은 상기 와이어의 두께보다 크되, 수축 상태의 상기 스네어가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기구에 따르면, 용종 제거를 위해 스네어를 돌출시킬 때 와이어가 내부 튜브에 고정됨으로써 스네어가 외부 튜브 밖으로 돌출 시에 위치가 크게 이탈하지 않도록 지탱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스네어에는 고상(固相)의 항균성 물질이 도포되어 있으므로, 스네어가 신체 기관에 접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세균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기구의 분리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기구를 구성하는 튜브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튜브 유닛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기구의 분리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 기구를 구성하는 튜브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튜브 유닛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내시경 시술 기구(100)는 본체(110), 슬라이더(130), 튜브 유닛(151,153,155) 및 와이어(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10)는 내시경 시술자가 파지하는 구성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단에 시술자의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링 형태의 제1 삽입부(111)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외표면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드의 이동 거리를 확인하기 위한 눈금이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더(130)는 본체(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본체(110)의 외면에서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슬라이더(130)에는 시술자의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링 형태의 제2 삽입부(131)가 형성된다. 제2 삽입부(131)는 예컨대, 시술자의 검지손가락과 중지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130)의 양측에 상호 대칭 구조로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삽입부(111)에 엄지손가락을 끼우고 제2 삽입부(131)에 검지 및 중지 손가락을 끼운 후, 제2 삽입부(131)를 제1 삽입부(111)에서 멀어지도록 힘을 인가함으로써 슬라이더(1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와이어(170)는 튜브 유닛(151,153,155)의 내부에 배치되어 튜브 유닛(151,153,15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부재로서, 와이어(170)의 일단이 슬라이더(130)에 고정되어 있어 슬라이더(1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와이어(170)도 슬라이더(130)와 함께 이동한다. 이때, 와이어(170)는 단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170)의 타단에는 용종을 포획하기 위한 올가미형 스네어(171)가 형성되는데, 스네어(171)는 단선의 와이어(170)의 타단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부착되고 양측으로 벌어진 타원 형상으로 구성된다. 스네어(171)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바, 튜브 유닛(메인 튜브; 151)으로부터 노출될 때 원래의 타원 형상으로 형태 복원이 가능하다. 한편, 슬라이더(130)는 본체(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와이어(170)는 그 일단이 슬라이더(130)에 고정되어 있는바, 슬라이더(130)를 본체(110) 주위에서 회전시키면 와이어(170)는 스네어(171)와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용종 절제시 용종의 모양과 위치에 따라 스네어(171)를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
튜브 유닛(151,153,155)은 가요성을 갖는 중공의 부재로서, 본체(110)의 전단에 고정되고 내시경을 통해 인체 내부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튜브 유닛(151,153,155)은 3중 구조로서, 구체적으로는 메인 튜브(151)와, 메인 튜브(151)의 외측에서 메인 튜브(151)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외측 튜브(153)와, 메인 튜브(151)의 내측에 배치되고 와이어(170)를 감싸는 내측 튜브(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내시경 도구는 메인 튜브(151)의 단일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고, 메인 튜브(151) 이외에 본 발명의 내측 튜브(155)나 외측 튜브(153)를 구비한 3중 구조는 아니다. 먼저, 외측 튜브(15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튜브(151)의 본체(110) 측 외면 일부를 감싸는데, 메인 튜브(151)가 본체(110)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지점에서 메인 튜브(151)를 지지함으로써 메인 튜브(151)의 연장 방향을 미리 결정된 범위 이내로 지지한다. 이에 따라 메인 튜브(151)가 방향성 없이 흐느적거리지 않도록 지탱하는 것이다. 한편, 메인 튜브(151)의 내측에는 와이어(170)가 배치되는데, 메인 튜브(151)의 내경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내측 튜브(155)가 메인 튜브(151) 내측에 배치되어 그 내부에 와이어(170)를 감싼다. 와이어(170)는 그 두께가 매우 작은 반면에 메인 튜브(151)의 내경은 와이어(170)의 두께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메인 튜브(151) 내부에 와이어(170)만 배치되어 있을 경우 와이어(170)가 메인 튜브(151)에 대해서 위치 고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메인 튜브(151)의 내경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내측 튜브(155)를 이용하여 와이어(170)를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내측 튜브(155)의 선단은 메인 튜브(151)의 선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메인 튜브(151)의 선단 측의 일부 영역에는 스네어(171)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내측 튜브(155)의 내경은 와이어(170)의 두께보다 크되, 수축 상태의 스네어(171)가 삽입되지 않는 사이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시경 시술 기구(100)는 미사용시에는 슬라이더(130)가 본체(110) 후방으로 후퇴하고 있으며, 스네어(171)는 내측 튜브(155)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되 메인 튜브(151)의 선단측 내부에 수축된 상태로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시술자가 제1 삽입구와 제2 삽입구에 손가락을 끼워 본체(110)와 슬라이더(130)를 손에 착용한 후, 튜브 유닛(151,153,155)을 신체 내부로 삽입시켜 내시경 시술을 진행한다. 용종 근처에 와이어(170)의 스네어(171)가 위치하면 시술자가 힘을 인가하여 슬라이더(130)를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슬라이더(130)와 연결된 와이어(170)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메인 튜브(151)의 내부에 수용된 스네어(171)가 메인 튜브(151)의 선단 밖으로 돌출되고,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타원 형상으로 벌어진다. 시술자는 벌어진 스네어(171)의 내에 용종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더(130)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30)와 연결된 와이어(170)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용종을 내포하는 스네어(171)가 다시 메인 튜브(151)의 선단 내측으로 빨려들어오면서 메인 튜브(151)의 선단에 걸려 타원 형상이 다시 좁아지고 점점 더 강하게 용종을 조이면서 용종을 조직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여 출혈을 최소화하면서 용종을 절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네어(171)에는 고상(固相)의 항균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인체 내부에 삽입된 후에 스네어(171)가 신체 기관에 접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세균 감염을 미리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네어(171)는 체내에 삽입되어 용종 근처에 이를때까지 메인 튜브(151) 내측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스네어(171)에 도포된 항균성 물질은 용종에 도달하기까지 메인 튜브(151)에 의해 보호된다. 항균성 물질로는 대표적으로 프로폴리스(propolis)를 채용할 수 있고, 프로폴리스를 스네어(171)에 도포한 후 건조시켜 고형화할 수 있다. 그 밖의 널리 알려진 천연 항균성 물질을 고형화하여 스네어(171)에 도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내시경 시술 기구 110: 본체
111: 제1 삽입부 130: 슬라이더
131: 제2 삽입부 151: 메인 튜브
153: 외측 튜브 155: 내측 튜브
170: 와이어 171: 스네어

Claims (4)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단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제1 삽입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에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삽입부가 형성된 슬라이더;
    상기 본체의 전단에 고정되고 체내로 삽입되는 가요성의 튜브 유닛; 및
    상기 튜브 유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며 타단에는 용종을 포획하기 위한 올가미형 스네어가 형성되는 와이어;
    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단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튜브 유닛은,
    메인 튜브와, 상기 메인 튜브의 외측에서 상기 메인 튜브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외측 튜브와, 상기 메인 튜브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싸는 내측 튜브를 포함하되,
    내측 튜브의 선단은 상기 메인 튜브의 선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스네어는 상기 내측 튜브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 튜브의 내부에 수축된 상태로 끼워지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된 와이어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네어가 상기 메인 튜브의 선단 밖으로 돌출되면서 벌어지고,
    상기 내측 튜브의 내경은 상기 와이어의 두께보다 크되, 수축 상태의 상기 스네어가 삽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술 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네어에는 고상(固相)의 항균성 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술 기구.
  4. 삭제
KR1020170149009A 2017-11-09 2017-11-09 내시경 시술 기구 KR102035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009A KR102035102B1 (ko) 2017-11-09 2017-11-09 내시경 시술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009A KR102035102B1 (ko) 2017-11-09 2017-11-09 내시경 시술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041A KR20190053041A (ko) 2019-05-17
KR102035102B1 true KR102035102B1 (ko) 2019-10-22

Family

ID=6667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009A KR102035102B1 (ko) 2017-11-09 2017-11-09 내시경 시술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1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210B1 (ko) 2021-09-15 2022-06-02 김창보 스네어 연결방식이 개선된 내시경용 시술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76810A1 (en) * 2013-03-14 2014-09-1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evices for tissue resec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418368D0 (en) * 2014-10-16 2014-12-03 Creo Medical Ltd Surgical snare
KR101768660B1 (ko) * 2016-01-21 2017-08-18 (주)비엠에이 의료용 스네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76810A1 (en) * 2013-03-14 2014-09-1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evices for tissue res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210B1 (ko) 2021-09-15 2022-06-02 김창보 스네어 연결방식이 개선된 내시경용 시술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041A (ko)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1401B2 (ja) 内視鏡用切断器具
US8579802B2 (en) Flexible endoscope with modifiable stiffness
ES2748654T3 (es) Un endoscopio con un instrumento de agarre
US5921915A (en) Directional surgical device for use with endoscope, gastroscope, colonoscope or the like
KR102252846B1 (ko) 가요성 내시경 지원 시스템
US8945153B2 (en) Endoscopic apparatus having a clip device
JP2008067725A (ja) 内視鏡の外部鉗子チャンネル装置
JP2006334398A (ja) 内視鏡用の医療器具
JP7252894B2 (ja) 関節運動する針
US10932763B2 (en) Tissue collecting tool and tissue collecting system
KR101656836B1 (ko) 다수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및 이와 연결되는 캡
US9782197B2 (en) Tissue grasping device
JP2007289703A (ja) 医療用カニューレおよび医療用カニューレシステム
US8480658B1 (en) Actuation handle for a surgical device with multiple end effectors
US20140257321A1 (en) Resec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1649279B1 (ko) 용종 제거용 내시경 시술기구
US9549661B2 (en) Medical device actu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10219678B2 (en) Insertion portion mounted tool of insertion instrument and insertion system
KR102035102B1 (ko) 내시경 시술 기구
US20070249903A1 (en) Endoscopic treatment tool
CA2285743C (en) Directional endoscopic surgical device
EP2948076B1 (en) A coupling mechanism for a medical device
US9844649B2 (en) Telescopic wire guide
US20140276774A1 (en) Tissue dissec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20160206177A1 (en)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