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092B1 - 양방향 및 양면형 카드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이를 포함하는 결제 단말 장치 및 그들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및 양면형 카드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이를 포함하는 결제 단말 장치 및 그들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092B1
KR102035092B1 KR1020180016103A KR20180016103A KR102035092B1 KR 102035092 B1 KR102035092 B1 KR 102035092B1 KR 1020180016103 A KR1020180016103 A KR 1020180016103A KR 20180016103 A KR20180016103 A KR 20180016103A KR 102035092 B1 KR102035092 B1 KR 102035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header
card
magnetic signal
track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0535A (ko
Inventor
윤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6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09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0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장치는, 양방향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장치에 있어서, 삽입부의 제1 방향에 위치하여, 삽입된 카드의 제1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1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제1 헤더; 상기 삽입부의 제2 방향에 위치하여 삽입된 카드의 제2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2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제2 헤더; 및 입력부에 상기 제1 헤더 및 상기 제2 헤더가 연결되어,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가 동시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디코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및 양면형 카드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이를 포함하는 결제 단말 장치 및 그들의 동작 방법{A CARD READER SUPPORTING A BOTH WAY READING, A PAYMENT TERMINAL APPARATUS COMPRISING IT AND AN METHOD FOR OPERATING THEM}
본 발명은 카드 리더, 결제 단말 장치 및 그들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양방향 및 양면형 카드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이를 포함하는 결제 단말 장치 및 그들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카드 결제 결제 단말 장치에는 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립에 인코딩(Encoding)된 카드 정보를 리딩하기 위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리더(Magnetic stripe reader :MSR) 모듈이 구비된다. 이때,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리더를 통해 리딩된 카드 정보는 아날로그 신호 형태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MS, magnetic stripe data)로, 암호화되지 않은 평문 정보 상태이다.
또한, 통상적인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리더는 특정 방향으로 삽입된 마그네틱 카드의 마그네틱 신호를 마그네틱 리더 헤더가 검출하며, 디코더 장치는 그 마그네틱 신호로부터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카드 리더로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통상의 카드 리더 및 그 헤더-디코더 구조는 기록하려는 정보가 특정 방향의 일 면에만 구비된 카드의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것으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삽입된 카드의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헤더와, 이에 해당하는 디코더가 일대일로 각각 동작되어야 정상적인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다.
이에, 최근 제안된 양방향 리딩을 지원하기 위한 카드 리더는 이러한 카드 리더의 방향성 구조를 개선하여, 특정 방향에 마그네틱 스트라이프가 구비된 카드를, 어느 방향으로 삽입하더라도 동일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도록, 각 방향별 헤더가 복수 개 구비되어 디코더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방향 리딩 지원을 위한 구조는 특정 방향의 일면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를 독출하는 것을 전제한 것으로서, 상기 방향별 헤더가 복수 개 구비되더라도, 실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는 하나의 헤더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 디코더에서 디코딩된다.
예를 들어, 현재의 양방향 카드 리더는, A 방향 및 B 방향 헤더가 구비된 상태에서, A 방향으로 마그네틱 카드가 삽입되면 A 방향 헤더의 리딩에 따라 디코더가 상기 마그네틱 카드의 스트라이프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 B 방향 헤더는 어떤 정보도 읽을 수 없으므로 디코더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회로 구조를 포함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양면에 각각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가 구비된 양면형 마그네틱 카드가 삽입된 경우, A 방향 헤더 및 B 방향 헤더에서 동시에 마그네틱 신호가 검출되어, 디코더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최근에는 양면에 마그네틱 스트라이프가 구비되어, 제1면에는 결제 정보를 포함하고 제2면에는 개인 정보 등이 포함되는 양면형 마그네틱 카드가 제안되어 그 결제 정보 대비 개인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특히 일본의 결제 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으나, 이를 현재의 양방향 카드 리더에 적용하는 경우 디코더로 두개 헤더의 동시 검출 신호가 인가되어 디코더에서는 정상적인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의 디코더가 불가능하게 되며, 오류가 발생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현재 양방향 마그네틱 카드 리더에는 양면형 마그네틱 카드가 이용 불가능한 상황이며, 결제에 매우 불편함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결과적으로, 현재 이러한 양면형 마그네틱 카드를 지원하기 위하여는 카드 리더에 A 방향 헤더에 대응하는 A 디코더와, B 방향 헤더에 대응하는 B 디코더가 각각 구비되어야 하는 바, 이는 일본 공개특허 2016-71390 등에 개시된 복조 회로 시스템과 같이 예시될 수 있다.
하지만 카드 리더의 주요부인 디코더는 가장 가격 비중이 높은 요소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양방향 카드 리더를, 다시 양면형 마그네틱 카드를 지원하기 위해 2개의 디코더가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그 제조 단가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결제를 위해 단일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만을 독출하기 위한 종래의 양방향 카드 리더에서는 양면형 카드 리더 삽입시 양면 동시 검출에 의한 오류가 발생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2개 디코더가 구비된 양면형 카드 리더를 이용하는 경우 기존 구조의 폐기가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도 크게 상승하게 되는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방향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의 헤더-디코더 회로 구조를 개선하여, 양방향 복수 헤더가 하나의 디코더에 연결된 구조는 유지하면서도, 양면형 카드가 삽입되어 양면의 신호가 동시 검출되면 각 면의 트랙 데이터를 각각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어, 별도의 디코더 구비로 인한 제조 단가 상승 없이도 양방향 및 양면형 리딩을 모두 지원 가능한 카드 리더와, 이러한 카드 리더를 활용한 결제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양방향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장치에 있어서, 삽입부의 제1 방향에 위치하여, 삽입된 카드의 제1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1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제1 헤더; 상기 삽입부의 제2 방향에 위치하여 삽입된 카드의 제2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2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제2 헤더; 및 입력부에 상기 제1 헤더 및 상기 제2 헤더가 연결되어,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가 동시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디코더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양방향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삽입부의 제1 방향에 위치한 제1 헤더에서, 삽입된 카드의 제1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1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의 검출과 동일 시점에, 상기 삽입부의 제2 방향에 위치한 제2 헤더에서, 상기 삽입된 카드의 제2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2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입력부에 상기 제1 헤더 및 상기 제2 헤더가 연결된 디코더에서,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가 동시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결제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삽입부의 제1 방향에 위치하여, 삽입된 카드의 제1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1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제1 헤더와, 상기 삽입부의 제2 방향에 위치하여 삽입된 카드의 제2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2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제2 헤더와, 입력부에 상기 제1 헤더 및 상기 제2 헤더가 연결되어,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가 동시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 장치로부터 출력된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결제를 위한 카드 정보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카드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제 승인을 위한 결제 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결제 승인요청 전문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양방향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에 있어서,제1 방향의 제1 헤더 및 제2 방향의 제2 헤더로부터 검출된 제1 마그네틱 신호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가 동시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그 입출력 회로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기존의 양방향 리더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양면형 카드가 삽입되더라도 오류 발생 없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양방향 및 양면형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양방향 및 양면형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장치와 연결되어, 동시 입력된 양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가 존재하더라도 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단말 장치와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추가 디코더를 구비시키지 않고도, 양방향 카드 리더의 회로 구조 및 동작 프로세스 개선에 의해 양면형 카드 리딩을 지원할 수 있는 카드 리더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 제품 구조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제조 단가의 상승을 방지함에 따라, 오류 발생이 줄어듬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은 향상시키면서도 제조 비용은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더부의 리더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 동작을 나타내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간략히 정의한 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 장치"에는 POS 결제 단말 장치,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결제 단말 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사용자 입력 및 정보 표시 등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중계 서버"라 함은 카드 전자 결제를 중계하는 밴(VAN) 사 측 서버를 일례로 지칭하였으나, 신용카드 전자 결제와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서버도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특정 기능에 따라서 실제 결제 중계 기능과 다른 부가 기능을 별도의 서버 형태로 분리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결제 시스템은 결제 단말 장치(100), 카드 리더 모듈(200), 중계 서버(300) 및 카드사 서버(5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결제 단말 장치(100)는 일반적인 통신망(30)을 통해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결제와 관련된 카드 정보, 결제 정보, 기타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 멀티 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이메일 메시지 등의 각종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는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POS 결제 단말 장치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위의 결제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30)에 접속하여 인터넷 등의 IP(Internet Protocol) 망(5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서버(300)는 카드(10)를 이용하는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 결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밴(Value Added Network : VAN) 사 측의 서버를 일례로 들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중계 서버(300)가 결제를 대행하는 서버 이외에 전표 매입만을 중계하는 서버일 수도 있으며, 일반 카드사의 서버와 연결되는 단순 중계 서버 등 다양한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카드사 서버(500)는 위의 카드(10)를 발행한 카드사의 서버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카드(10)는 IC 또는 MS(마그네틱 스트라이프) 카드일 수 있으며 겸용 카드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모듈(200)에는 IC 카드 정보 또는 MS 카드 정보를 리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가이드, 수용 공간 및 홈 구조가 포함될 수 있으며, IC 카드 리더와 MS 카드 리더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리더 모듈(200)은 삽입되는 IC 카드 또는 MS 카드의 카드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카드의 카드 정보를 결제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카드(10)가 MS 카드인 경우, 단일의 면에 마그네틱 스트라이프가 구비된 단일형 MS 카드이거나, 양면에 동일 또는 상이한 각각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가 구비된 양면형 MS 카드일 수 있으며, 카드 리더 모듈(200)은 어느 카드가 삽입되더라도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와 그 카드 정보를 오류없이 독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드 리더 모듈(200)은 단면형 MS 카드가 어느 방향으로 삽입되어도 그 카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각 방향별 복수의 헤더 및 단일의 디코더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카드 리더 모듈(200)은 상기 복수의 헤더와 상기 단일의 디코더간 연결 회로부를 포함하여, 양면형 MS 카드의 경우와 같이 각 면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가 복수 헤더에서 리딩되어 동시 입력되더라도 상기 단일의 디코더가 각각 구분하여 출력될 수 있는 회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결제 단말 장치(100)는 상기 카드 리더 모듈(200)에서 리딩되는 카드 정보를 이용한 승인 프로세스 또는 취소 프로세스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판매자의 결제 단말 장치(100)는 카드 리더 모듈(200)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리더 모듈(200)은 결제 단말 장치(100)의 USB 연결 단자, 시리얼 연결 단자, 이어폰 또는 마이크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연결 포트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리더 모듈(200)은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장치와 연결가능한 단독의 카드 리더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카드 리더가 결제 단말 장치(100)와 분리되어 사용되는 것도 예시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며, 결제 단말 장치(100)에는 카드 리더 모듈(200)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카드 리더 모듈(200)을 통한 카드 결제 시 결제 단말 장치(100)는 결제 프로그램을 구비하며, 이러한 결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계 서버(300)에 거래 승인 요구 또는 취소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여 승인 요청 또는 취소 요청을 함으로써 신용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 단말 장치(100)는 이러한 결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거래 승인 또는 취소 시 구매자의 결제 단말 장치로 거래 승인 또는 취소와 관련된 영수증이 포함된 메시지와, 현금영수증의 발행 또는 취소와 관련된 영수증이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중계 서버(300)는 가맹점으로부터 결제 단말 장치(100)를 이용하는 판매자 정보를 미리 등록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판매자 정보는 판매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그 판매자의 성명, 그 판매자가 소속된 가맹점의 명칭, 사업자 등록번호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계 서버(300)는 판매자별 또는 가맹점별로 식별 ID를 부여하여 해당 판매자 또는 가맹점의 거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중계 서버(300)는 밴(VAN) 사에서 직접 관리할 수 있고 별도의 부가적인 서버를 통해 판매자 또는 가맹점의 거래 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중계 서버(300)는 판매자의 결제 단말 장치(100)에 구비되는 결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결제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VM(Virtual Machine) 다운로드 방식을 이용하여 판매자의 결제 단말 장치(100)로 제공된다. 이를 위해, 먼저 중계 서버(300)는 VM 다운로드를 위해 콜 백(call back) 타입의 메시지를 판매자의 결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에, 콜 백 타입의 메시지를 수신한 판매자의 결제 단말 장치(100)로부터 미리 약속된 비밀 번호가 수신되면, 결제 프로그램을 판매자의 결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판매자의 결제 단말 장치(100)에 결제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경우 VM 다운로드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카드(10)의 결제 시 판매자의 결제 단말 장치(100)에 구비된 터치 패드를 통해 구매자의 서명을 입력받고, 그 서명 정보를 거래 승인 요구 메시지와 함께 중계 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
결제 프로그램의 제공은 VM 다운로드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공지된 다양한 프로그램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결제 프로그램을 판매자의 결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가 인터넷상의 제휴 사이트 또는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앱 스토어와 같은 오픈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마켓에 접속하여 판매자 및 판매자 결제 단말 장치의 정보를 입력한 후 회원에 가입하고, 인증 절차를 거친 후 결제 프로그램을 웹상에서 다운받을 수도 있다.
이때, 결제 프로그램의 업로드, 업데이트 정보 또는 기타 관리는 중계 서버(300)에서 이루어지거나 기타 다른 형태의 서버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카드 리더 모듈(200)의 구조 및 카드 리딩 방향의 검출과, 결제 단말 장치(100)의 동작 등 각각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양방향 및 양면형 리딩을 위한 리더부의 구조적 형태와, 회로 블록도를 각각 도시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카드 리더 모듈(200)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30), 카드 리더 모듈(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40), 카드 정보를 리딩 및 처리하는 리더부(250) 및 저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더부(250)는 자기 스트립 리더(MSR)와 IC 카드 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IC 카드 리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리더 모듈(200)은 결제 단말 장치(100)와 연결 포트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리더 모듈(200)은 커넥터(210)를 통해 결제 단말 장치(100)의 연결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카드 리더 모듈(200)은 별도의 식별 ID를 부여하여 해당 결제 단말 장치(100)와의 거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커넥터(210)는 카드 리더 모듈(200)의 본체에 부착되어 결제 단말 장치(100)의 연결 포트(135)를 통해 IC 카드 또는 MS 카드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원부(230)는 카드 리더 모듈(200) 전체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암호화 키 생성부(245)는 카드 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한 제2 암호화 키를 생성한다. 제2 암호화 키는 랜덤 번호 생성기를 통해 미리 결정된 난수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대칭 키 방식의 암호화 키일 수 있다. 생성된 암호화 키는 메모리부(26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칭 키 방식은 3DES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DES 대칭 키 알고리즘은, 보안성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으나 처리 속도가 빠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정보와 같은 위치 정보 암호화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암호화/복호화부(246, 247)는 결제 단말 장치(100)로부터 보안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제1 암호화 키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2 암호화 키로 암호화된 카드 정보를 다시 제1 암호화 키로 암호화할 수 있다. 한편, 제2 암호화 키 또한 독립적으로 제1 암호화 키로 암호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244)는 상기 제1 암호화 키 및 상기 제2 암호화 키로 암호화된 카드 정보를 결제 단말 장치(100)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인터페이스부(244)는 단말기(100)에서 입력된 결제 금액 정보를 커넥터(2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문 생성부(243)는 IC의 카드 리딩의 경우, 리더부(250)를 통해 획득된 카드 정보,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결제 금액 정보 및 입력된 PIN번호를 이용하여, EMV 규격에 따른 거래 승인 요구 전문을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부(260)는 플래시 롬(Flash ROM)(262), SRAM(262) 등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260)는 단말기(100)에서 수신된 제1 암호화 키, 암호화 키 생성부(245)에서 생성된 제2 암호화 키, 결제 제어부(241)에서 처리된 카드(10)의 카드 정보, 결제 정보, 또는 해당 카드 리더 모듈(200)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270)는 붉은 색 LED 또는 푸른 색 LED 등을 이용해 발광하여 카드 리더 모듈(200)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거나, "삐" 소리와 같은 특정 신호음을 발생하여 결제를 해도 좋다는 신호를 인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나머지 구성요소들, 즉, 커넥터(210), 전원부(230), 리더부(250), 메모리부(260) 및 표시부(2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리더부(250)에 있어서, 카드 리더 모듈(200)은 카드(10)의 마그네틱에 기록된 카드 정보를 감지하여 리딩할 수 있도록 자기 스트립 리더(Magnetic Strip Reader; MSR)가 케이스 하우징 내에 구비된다. 또한, 카드 리더 모듈(200)에는 카드(10)의 IC 칩(11)에 기록된 카드 정보를 감지하여 리딩할 수 있도록 IC 카드 리더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특히, 케이스 하우징에는 단면형 또는 양면형 MS 카드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홈 형상의 가이드(25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253)의 제1 방향에는 제1 방향으로 삽입된 MS 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신호 검출을 위한 제1 마그네틱 헤더(251)와, 제2 방향으로 삽입된 MS 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신호 검출을 위한 제2 마그네틱 헤더(25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마그네틱 헤더(251)와, 제2 마그네틱 헤더(252)는 삽입부의 가이드(253)를 기준으로 각각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동일 높이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양면 중 어느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더라도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면형 MS 카드의 경우에는 삽입부의 상기 가이드(253)를 따라 일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동안, 리더부(250)는 단일의 디코더를 통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MS 카드 정보를 리딩하는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양면형 MS 카드로 인한 제1 마그네틱 헤더(251)와 제2 마그네틱 헤더(252)의 출력 신호가 동시 인가되는 경우, 단일의 디코더만으로는 신호의 충돌로 인한 오류가 발생될 수 밖에 없다.
도 4(A)는 통상의 양방향 리딩을 위한 리더부(250) 회로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일 면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는 통상 2개 이상의 트랙이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헤더는 2개 이상의 트랙으로부터 검출되는 각 트랙별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고, 각 트랙별 마그네틱 신호를 디코더의 각 트랙 입력부로 입력함으로써, 삽입된 카드의 2개 트랙에 대응하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신호가 디코더에서 각각 디코딩되어 출력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제1 방향 리딩시에는 제2 헤더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제1 헤더의 2개 트랙 검출 신호가 디코더의 제1 트랙 입력부와 제2 트랙 입력부로 인가된다. 또한, 제2 방향 리딩시에는 제1 헤더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제2 헤더의 2개 트랙 검출 신호가 디코더의 제1 트랙 입력부와 제2 트랙 입력부로 인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양면형 카드의 리딩시, 제1 마그네틱 헤더(251)에서 리딩된 제1 트랙 검출 신호와, 제2 마그네틱 헤더(252)에서 리딩된 제1 트랙 검출 신호가 동시에 디코더의 제1 트랙 입력부로 인가됨에 따라, 디코더는 정상적인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없어 오류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1 마그네틱 헤더(251)에서 리딩된 제2 트랙 검출 신호와, 제2 마그네틱 헤더(252)에서 리딩된 제2 트랙 검출 신호도 동시에 디코더의 제2 트랙 입력부로 인가되어 디코더는 정상적인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없어 오류를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면의 제1 트랙 정상 마그네틱 데이터열이 AAA라고 하고, 제2 면의 제1 트랙 데이터열이 BBB라고 하면, 디코더에서는 AABBABA와 같은 신호가 입력 및 디코딩되어 실제 카드 정보를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카드 정보 검증 실패로 인한 오류가 출력되게 되는 것이다.
다만, 현재 표준화된 기술에 의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트랙 데이터 중 실제 결제에 이용되는 신용 카드 데이터는 트랙 II 데이터 하나로서, 트랙 II 데이터에는 결제자의 명의 정보, 신용 카드 번호 정보, 유효 기간 정보 및 CVC 정보가 포함된다. 이외 트랙 I은 은행계좌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트랙 III에는 제휴사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나, 결제 단말 장치(100)의 결제 프로세스에서는 거의 이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모듈(200)은 양방향 리딩 구조에 있어서의 양면형 리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그네틱 헤더(251)와 제2 마그네틱 헤더(252)의 특정 트랙 출력을 디코더(255)의 각 트랙 입력부로 변경 인가하기 위한 연결 회로부(254)를 구비시킬 수 있다.
연결 회로부(254)는 제1 마그네틱 헤더(251)의 특정 트랙, 예를 들어 상기 트랙 II 데이터에 대응하는 트랙 출력을 디코더(255)의 제1 트랙 입력부와 연결하며, 제2 마그네틱 헤더(252)의 특정 트랙에 대응하는 트랙 출력을 디코더(255)의 제2 트랙 입력부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코더(255)는 입력부에 상기 제1 헤더 및 상기 제2 헤더가 연결되어,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가 동시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코더(255)는 양면형 카드가 리딩되더라도 이를 하나의 제1 카드의 복수 트랙 데이터로서 각각 인식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되며 이는 별도의 추가적인 디코더 구비 없이도 비용 절감된 형태의 양면형 카드의 인식 가능한 카드 리더 모듈(200)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면형 카드의 제1 면의 카드 정보가 12345678이고, 제2 면의 카드 정보가 25151545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회로부(254)에 의해 디코더(255)는 제1 카드의 정보로서 제1 트랙 데이터는 12345678, 제2 트랙 데이터는 25151545와 같은 형태로 구분하여, 동시 병렬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면형 MS 카드는 통상적으로 일면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에는 결제 수단을 위한 결제 수단 정보가 트랙 II 데이터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면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에는 개인 신원 정보를 증명하기 위한 신원 정보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카드 리더 모듈(200)은 상기 동시 리딩된 제1 마그네틱 헤더(251) 및 제2 마그네틱 헤더(252)의 복수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 중 결제 수단에 대응하는 카드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으며, 결제 단말 장치(100)는 식별된 결제 수단에 대응하는 카드 데이터를 이용한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드 리더 모듈(200) 또는 결제 단말 장치(100)에는 카드 리더 모듈(200)에서 동시 리딩된 복수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로부터 결제 수단에 대응하는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식별을 위한 프로세스 또는 장치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장치 모듈이 카드 리더 모듈(20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앞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제 수단 식별부(242)가 카드 리더 모듈(200)에 포함될 수 있다. 결제 수단 식별부(242)는, 2 이상의 동시 검출된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결제 수단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따라 2 이상의 동시 검출된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중 결제 수단에 대응하는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수단 식별부(242)에서 결정된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는 암호화부(246)로 전달되어 암호화 처리될 수 있으며, 커넥터(210)를 통해 결제 단말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결제 수단 식별 프로세스는 결제 단말 장치(100)의 모듈로서 포함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드 리더 모듈(200)로부터 2 이상의 동시 검출된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가 획득되는 경우, 결제 단말 장치(100)가 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이 중 결제 수단에 대응하는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를 식별하고, 결제를 위한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는 신용 카드 정보를 구성하는 카드사 식별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발행자 정보(BIN 정보)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더부(250) 회로를 도시한 것으로, 도 5에서는 제1 마그네틱 헤더(251)와 제2 마그네틱 헤더(252) 각각에 제3 트랙 헤더가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만, 현재 표준화된 기술에 의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트랙 데이터 중 실제 결제에 이용되는 신용 카드 데이터는 트랙 II 데이터이나, 결제 단말 장치(100)의 유형에 따라 트랙 I 또는 트랙 III를 위한 은행계좌 또는 제휴사 정보 처리와 같은 금융 정보 처리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중 결제 수단 트랙 데이터와는 상이한 트랙의 데이터를 보조 트랙 데이터라고 통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마그네틱 헤더(251) 및 제2 마그네틱 헤더(252)에는 상기 보조 트랙 데이터로서, 트랙 I 또는 트랙 III 데이터 등을 검출하기 위한 제3 트랙 헤더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회로부(254)는 제1 마그네틱 헤더(251) 및 제2 마그네틱 헤더(252)의 제3 트랙 헤더 입력을 연결하여 디코더(255)의 제3 트랙 입력부로 입력되는 제3 트랙 연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회로부(254)는 결제 수단과는 다른, 보조 트랙의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제3 트랙 입력 신호를 디코더(255)로 인가할 수 있으며, 디코더(255)는 제1 카드의 제3 트랙 데이터로서 11111111과 같은 금융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기 트랙 I 또는 트랙 III 데이터에 따른 금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는 단면형 카드의 제3 트랙 헤더의 리딩에 따른 상기 트랙 I 또는 트랙 III 데이터의 독출을 가능하게 하며, 양면형 카드의 경우에도 통상적으로는 결제를 위한 트랙 I, II, III데이터가 어느 하나의 면에만 구비되는 바, 어느 한 면의 제3 트랙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독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리더 모듈(200)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 단면형 카드의 양방향 카드 리딩의 경우에는 제1 마그네틱 헤더(251) 또는 제2 마그네틱 헤더(25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특정 트랙의 마그네틱 신호로부터 디코더(255)가 디코딩을 처리할 수 있으며, 결제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바, 기존의 양방향 리딩과 동일하게 결제 승인이 처리될 수 있다.
반면, 양면형 카드가 삽입된 경우에는 제1 마그네틱 헤더(251) 및 제2 마그네틱 헤더(252)로부터 동시에 마그네틱 신호가 검출된다(S101).
이에 따라, 연결 회로부(254)는 제1 마그네틱 헤더(251) 검출 신호를 디코더(255)의 제1 트랙 입력부로 인가하고, 제2 마그네틱 헤더(252)의 검출 신호를 디코더(255)의 제2 트랙 입력부로 인가한다(S103).
통상적으로 단일의 디코더(255)에는 단면 카드의 트랙 I, II, III 데이터 중 적어도 2 이상의 카드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2 이상의 입력부로서 제1 트랙 입력부 및 제2 트랙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디코더의 부가 없이도, 양면 리딩된 제1 마그네틱 헤더(251) 및 제2 마그네틱 헤더(252)의 동시 검출 신호가 분리되어 디코더(255)로 인가되도록 연결 회로부(254)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코더(255)는 제1 마그네틱 헤더(251)로부터 검출된 신호의 제1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와, 제2 마그네틱 헤더(252)로부터 검출된 신호의 제2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를 구분하여 각각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한다(S105).
그리고, 결제 수단 식별부(242)는 출력 데이터로부터 결제 수단 정보가 식별되는 어느 하나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를 결정한다(S107).
이에 따라, 결제 수단 식별부(242)는 결정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를 결제 수단으로서 출력할 수 있으며(S109), 카드 리더 모듈(200)은 이후의 결제 처리를 위한 통상의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결제 수단에 대응하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를 암호화부(246)를 통해 암호화하여 결제 단말 장치(100)로 제공하며, 결제 단말 장치(100)에서의 결제 승인요청 전문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107 및 S109 단계는 결제 단말 장치(100)의 결제 정보 처리부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더부(250)에서 동시 리딩된 복수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는, 모두 결제 단말 장치(100)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결제 단말 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 중 결제 수단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결정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를 이용한 결제 승인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시스템은 세부적으로 카드 리더 모듈(200), 결제 단말 장치(100) 및 중계 서버(300)간 동작으로 설명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카드 리더 모듈(200)과 결제 단말 장치(100)는 결합된 형태의 카드 리더 장치(200)로 구현될 수도 있다..
먼저, 결제 단말 장치(100)의 결제 프로그램이 실행되고(S50), 카드 리더 모듈(200)의 커넥터(210)가 연결 포트에 연결되면(S51), 결제 단말 장치(100)는 카드 리더를 인식하고(S52), 결제 프로그램을 대기 동작시킬 수 있다.
이후, 카드 리더 모듈(200)에는 양면형 또는 단면형 마그네틱 카드가 삽입되며(S53),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양면형 카드 또는 단면형 카드의 카드 정보 리딩이 수행된다(S57).
이후, 카드 리더 모듈(200)은 리딩에 따라 디코딩된 양면형 또는 단면형 카드 정보를 결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S58).
그리고, 결제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양면형 또는 단면형 카드 정보로부터 결제 수단 정보를 결정한다(S59).
여기서, 결제 단말 장치(100)는 양면형 카드 정보의 복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결제 수단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카드 정보의 일부 데이터 식별 및 비교 결정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카드 리더 모듈(200)에서의 결제 수단 식별부(242)에 따라 미리 수행될 수도 있으며, 미리 수행된 경우에는 상기 S59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결제 수단 정보가 결정되면, 결제 단말 장치(100)에는 결제 금액이 입력되며(S59), 결제 단말 장치(100)는 결제 수단 정보 및 결제 금액에 따른 거래 승인 요구 전문을 생성한다(S60).
이후, 결제 단말 장치(100)는 중계 서버(300)로 상기 거래 승인 요구 전문을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전송하며(S61), 승인 결과에 대응하는 승인 응답 전문을 수신하여(S62), 결제 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6)

  1. 양방향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장치에 있어서,
    삽입부의 제1 방향에 위치하여, 삽입된 카드의 제1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1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제1 헤더;
    상기 삽입부의 제2 방향에 위치하여 삽입된 카드의 제2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2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제2 헤더; 및
    입력부에 상기 제1 헤더 및 상기 제2 헤더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가 동시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디코더를 포함하고,
    상기 디코더는 상기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및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결제 단말 장치로 출력하는
    양방향 및 양면형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장치.
  2. 양방향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장치에 있어서,
    삽입부의 제1 방향에 위치하여, 삽입된 카드의 제1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1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제1 헤더;
    상기 삽입부의 제2 방향에 위치하여 삽입된 카드의 제2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2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제2 헤더; 및
    입력부에 상기 제1 헤더 및 상기 제2 헤더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가 동시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며,
    상기 디코더는
    특정 카드의 제1 트랙에 대응하는 마그네틱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1 트랙 입력부 및 상기 특정 카드의 제2 트랙에 대응하는 마그네틱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2 트랙 입력부를 포함하는 단일의 디코더이며,
    상기 제1 헤더가 상기 제1 트랙 입력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헤더가 상기 제2 트랙 입력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디코더가 제1 트랙 정보로서 상기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2 트랙 정보로서 상기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출력하게 하는 연결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및 양면형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더 및 제2 헤더는 각각 상기 카드의 보조 트랙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제3 트랙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회로부는 상기 제1 헤더 및 상기 제2 헤더의 제3 트랙 검출부와 상기 디코더의 상기 특정 카드의 제3 트랙에 대응하는 마그네틱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3 트랙 입력부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디코더가 상기 제1 헤더 또는 상기 제2 헤더 중 어느 하나로부터 검출되는 상기 보조 트랙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게 하는
    양방향 및 양면형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또는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카드의 일면에 구비된 결제를 위한 결제 수단 데이터를 포함하는
    양방향 및 양면형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또는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카드의 다른 면에 구비된 상기 결제 수단 데이터와 상이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양방향 및 양면형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장치.
  6. 양방향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장치에 있어서,
    삽입부의 제1 방향에 위치하여, 삽입된 카드의 제1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1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제1 헤더;
    상기 삽입부의 제2 방향에 위치하여 삽입된 카드의 제2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2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제2 헤더; 및
    입력부에 상기 제1 헤더 및 상기 제2 헤더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가 동시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디코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중 결제에 이용될 결제 수단에 대응하는 트랙 데이터를 식별하는 결제 수단 식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 수단에 대응하는 트랙 데이터는 결제 단말 장치로 출력되는
    양방향 및 양면형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및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결제 수단에 대응하는 트랙 데이터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트랙 데이터를 결제 처리에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인
    양방향 및 양면형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장치.
  9. 제1항, 제2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동시 입력된 제1 마그네틱 신호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로부터, 상기 제1 헤더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와 상기 제2 헤더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각각 디코딩하여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양방향 및 양면형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장치.
  10. 삭제
  11. 카드 리더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삽입부의 제1 방향에 위치한 제1 헤더에서, 삽입된 카드의 제1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1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의 검출과 동일 시점에, 상기 삽입부의 제2 방향에 위치한 제2 헤더에서, 상기 삽입된 카드의 제2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2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입력부에 상기 제1 헤더 및 상기 제2 헤더가 연결된 디코더에서,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가 동시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코더는 특정 카드의 제1 트랙에 대응하는 마그네틱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1 트랙 입력부 및 상기 특정 카드의 제2 트랙에 대응하는 마그네틱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2 트랙 입력부를 포함하는 단일의 디코더이며,
    상기 제1 헤더가 상기 제1 트랙 입력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헤더가 상기 제2 트랙 입력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 회로부에 의해, 상기 디코더가 제1 트랙 정보로서 상기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2 트랙 정보로서 상기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드 리더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또는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카드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 장치의 동작 방법.
  13. 카드 리더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삽입부의 제1 방향에 위치한 제1 헤더에서, 삽입된 카드의 제1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1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의 검출과 동일 시점에, 상기 삽입부의 제2 방향에 위치한 제2 헤더에서, 상기 삽입된 카드의 제2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2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입력부에 상기 제1 헤더 및 상기 제2 헤더가 연결된 디코더에서,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가 동시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중 결제에 이용될 결제 수단에 대응하는 트랙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수단에 대응하는 트랙 데이터를 결제 단말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드 리더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동시 입력된 제1 마그네틱 신호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로부터, 상기 제1 헤더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와 상기 제2 헤더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각각 디코딩하여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 장치의 동작 방법.
  15. 결제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삽입부의 제1 방향에 위치하여, 삽입된 카드의 제1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1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제1 헤더와, 상기 삽입부의 제2 방향에 위치하여 삽입된 카드의 제2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로부터 제2 마그네틱 신호를 검출하는 제2 헤더와, 입력부에 상기 제1 헤더 및 상기 제2 헤더가 연결되어,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가 동시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 장치로부터 출력된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및 상기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결제용 카드 정보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카드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제 승인을 위한 결제 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결제 승인요청 전문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 데이터를 각각 추출하는 단계; 및
    각 추출된 일부 데이터 중 어느 하나와 미리 저장된 결제 수단 식별 정보가 매칭된 경우, 매칭된 마그네틱 트랙 데이터를 상기 결제용 카드 정보 데이터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16. 삭제
KR1020180016103A 2018-02-09 2018-02-09 양방향 및 양면형 카드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이를 포함하는 결제 단말 장치 및 그들의 동작 방법 KR102035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103A KR102035092B1 (ko) 2018-02-09 2018-02-09 양방향 및 양면형 카드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이를 포함하는 결제 단말 장치 및 그들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103A KR102035092B1 (ko) 2018-02-09 2018-02-09 양방향 및 양면형 카드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이를 포함하는 결제 단말 장치 및 그들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535A KR20190100535A (ko) 2019-08-29
KR102035092B1 true KR102035092B1 (ko) 2019-10-22

Family

ID=6777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103A KR102035092B1 (ko) 2018-02-09 2018-02-09 양방향 및 양면형 카드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이를 포함하는 결제 단말 장치 및 그들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0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015B1 (ko) * 2012-06-19 2013-12-18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하이브리드 스마트폰 카드 리더기
KR101743120B1 (ko) * 2016-04-18 2017-06-15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멀티 카드 리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605B1 (ko) * 2005-04-19 2007-02-20 권도균 마그네틱 카드의 종류를 판별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카드 판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015B1 (ko) * 2012-06-19 2013-12-18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하이브리드 스마트폰 카드 리더기
KR101743120B1 (ko) * 2016-04-18 2017-06-15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멀티 카드 리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535A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89777A1 (en) Confirming Physical Possession of Plastic NFC Cards with a Mobile Digital Wallet Application
US9129199B2 (en) Portable E-wallet and universal card
US9734345B2 (en) Portable e-wallet and universal card
US9218598B2 (en) Portable e-wallet and universal card
US9218557B2 (en) Portable e-wallet and universal card
US10685349B2 (en) Confirming physical possession of plastic NFC cards with a mobile digital wallet application
US9177241B2 (en) Portable e-wallet and universal card
JP4885629B2 (ja) 金融カードシステム、通信デバイス、認証端末、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1793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uthenticating and encrypting card reader
US20160239835A1 (en) Method for End to End Encryption of Payment Terms for Secure Financial Transactions
US20190362341A1 (en) Binding cryptogram with protocol characteristics
EP2807600A1 (en) Portable e-wallet and universal card
WO2020122898A1 (en) Provisioning initiated from a contactless device
US20220191002A1 (en) Provisioning method and system with message conversion
US20230281289A1 (en) Credential management for mobile devices
CN114846495A (zh) 具有受限虚拟号码的卡发行
KR101743120B1 (ko) 멀티 카드 리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77803B1 (ko) 카드 리더, 단말기, 중계 서버 및 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처리 방법
KR102035092B1 (ko) 양방향 및 양면형 카드 리딩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 이를 포함하는 결제 단말 장치 및 그들의 동작 방법
KR101743116B1 (ko) 멀티 카드 리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카드 리더 장치
CA3127381C (en) Terminal type identification in interaction processing
KR102036739B1 (ko) 결제 승인을 처리하는 서버, 결제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43112B1 (ko) 멀티 카드 리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카드 리더 장치
KR101972897B1 (ko) 결제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043589A1 (en) Multiple interaction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