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320B1 - Wearable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Wearable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4320B1 KR102034320B1 KR1020140188713A KR20140188713A KR102034320B1 KR 102034320 B1 KR102034320 B1 KR 102034320B1 KR 1020140188713 A KR1020140188713 A KR 1020140188713A KR 20140188713 A KR20140188713 A KR 20140188713A KR 102034320 B1 KR102034320 B1 KR 1020343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touch
- sensor
- region
- electronic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기기는 또 디스플레이부(display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에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매커니즘을 제공하는 밴드영역(band portion); 상기 밴드영역에 배치되며, 외부의 오브젝트에 의해 한 지점에 가해지는 접촉(contact)의 쉬어포스(shear force)를 검출하는 힘방향 센서부를 구비하는 밴드터치센서(band touch sensor); 및 상기 밴드터치센서에 대한 밴드터치입력의 쉬어포스를 상기 밴드터치센서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쉬어포스의 속성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display portion; A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and providing a mechanism for allowin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o be worn on a user's wrist; A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band region and having a force direction sensor unit detecting a shear force of a contact applied to a point by an external object; And a control unit for acquiring a shear force of a band touch input to the band touch sensor from the band touch sensor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based on any one of the obtained attributes of the shear force. It can inclu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s a more convenient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최근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스마트 와치, 스마트 안경 등의 스마트 기기의 발전이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어 일상 생활에서 대중에게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와치가 가장 대중화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Recently, the development of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smart watches and smart glasses has made a remarkable growth, providing a convenient environment for the public in daily life. In particular, smart watches are one of the most popular wearable devices.
그런데, 스마트 와치의 경우, 기존의 스마트폰과 유사하게,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는데, 스마트 와치의 경우, 스마트폰 혹은 태블릿 PC등과는 달리, 디스플레이 화면이 작기 때문에, 단순히 터치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되면 사용자의 손가락 혹은 터치 펜 등에 의하여 그 화면이 가려지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을 느끼게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By the way, the smart watch is developed to provide a user interface with a touch screen similar to the existing smart phone, the smart watch, unlike a smartphone or tablet PC, because the display screen is small When a user interface is simply provided using a touch input through a touch screen, the screen is covered by a user's finger or a touch pen, and thus, the user is very likely to feel uncomfortable.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 와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는 보다 더 편리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urgent to develop a more convenient and intuitive user interface that can be applied to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 watch.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s a more convenient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display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에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매커니즘을 제공하는 밴드영역(band portion); 상기 밴드영역에 배치되며, 외부의 오브젝트에 의해 한 지점에 가해지는 접촉(contact)의 쉬어포스(shear force)를 검출하는 힘방향 센서부를 구비하는 밴드터치센서(band touch sensor); 및 상기 밴드터치센서에 대한 밴드터치입력의 쉬어포스를 상기 밴드터치센서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쉬어포스의 속성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display portion (display portion); A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and providing a mechanism for allowin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o be worn on a user's wrist; A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band region and having a force direction sensor unit detecting a shear force of a contact applied to a point by an external object; And a control unit for acquiring a shear force of a band touch input to the band touch sensor from the band touch sensor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based on any one of the obtained attributes of the shear force. Wear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display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측에 연결되는 제1 밴드영역(first band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측에 연결되는 제2 밴드영역(second band portion); 상기 제1 밴드영역에 배치되며, 제1 밴드터치를 입력받는 제1 밴드터치센서(first band touch sensor); 상기 제2 밴드영역에 배치되며, 제2 밴드터치를 입력받는 제2 밴드터치센서(second band touch sensor); 및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밴드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거나, 혹은 상기 제2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거나, 혹은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의 조합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display portion (first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ide of the display portion; A second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of the display unit; A first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first band region and receiving a first band touch; A second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second band region and receiving a second band touch;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when determining that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Based on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sensor,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nd touch, or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and touch, or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combination of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olutions, and the solution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Could be.
본 발명에 의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가리는 일 없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더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고 보다 더 직관성이 증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input can be received without covering the display of the wearable devic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interface with increased user convenience and more intuitiveness. Can be.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서, 힘의 세기를 이용하여 힘의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detecting a direction of a force by using the strength of the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referenc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clearly expla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a general term that has been widely used as far as possible in view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ustom or the emergence of a new technology. Can be. In contrast, when a specific term is defined and used in any meaning, the meaning of the term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rather than simple names of the terms.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provided to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displayed as necessary to help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necessary.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display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에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매커니즘을 제공하는 밴드영역(band portion); 상기 밴드영역에 배치되며, 외부의 오브젝트에 의해 한 지점에 가해지는 접촉(contact)의 쉬어포스(shear force)를 검출하는 힘방향 센서부를 구비하는 밴드터치센서(band touch sensor); 및 상기 밴드터치센서에 대한 밴드터치입력의 쉬어포스를 상기 밴드터치센서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쉬어포스의 속성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display portion (display portion); A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and providing a mechanism for allowin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o be worn on a user's wrist; A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band region and having a force direction sensor unit detecting a shear force of a contact applied to a point by an external object; And a control unit for acquiring a shear force of a band touch input to the band touch sensor from the band touch sensor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based on any one of the obtained attributes of the shear force. Wear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may be provided.
또 상기 쉬어포스의 속성들은, 쉬어포스방향 및 쉬어포스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operties of the shear for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hear force direction and shear force strength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밴드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측에 연결되는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측에 연결되는 제2 밴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밴드터치센서는, 상기 제1 밴드영역에 배치되는 제1 밴드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에 배치되는 제2 밴드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nd region may include a first band region connected to a first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a second band region connected to a second side of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band touch sensor is disposed in the first band region. It may include a first band touch sensor and a second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second band reg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밴드터치센서를 통해 제1 밴드터치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밴드터치센서를 통해 제2 밴드터치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밴드터치의 쉬어포스 속성들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의 쉬어포스 속성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receive a first band touch through the first band touch sensor, receive a second band touch through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any one of the shear force properties of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any one of the shear force properties of the second band touch.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display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측에 연결되는 제1 밴드영역(first band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측에 연결되는 제2 밴드영역(second band portion); 상기 제1 밴드영역에 배치되며, 제1 밴드터치를 입력받는 제1 밴드터치센서(first band touch sensor); 상기 제2 밴드영역에 배치되며, 제2 밴드터치를 입력받는 제2 밴드터치센서(second band touch sensor); 및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밴드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거나, 혹은 상기 제2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거나, 혹은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의 조합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display portion (first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ide of the display portion; A second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of the display unit; A first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first band region and receiving a first band touch; A second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second band region and receiving a second band touch;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when determining that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Based on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sensor,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nd touch, or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and touch, or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combination of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밴드영역과 연결되는 상기 제1 밴드영역의 일단 및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연결되는 상기 제2 밴드영역의 일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연결감지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sensed through a connection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at least one of one end of the first band region connected to the second band region and one end of the second band region connected to the first band region. Based on the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1 밴드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플랫 상태(flat state)인지 벤딩 상태(bending state)인지를 센싱할 수 있는 벤딩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may sense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band area and the second band area is a flat state or a bending state. It may b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bending sens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플랫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은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connect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is in a flat state based on the sensing value received from the bending sensor. It may b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did no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벤딩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은 연결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connected when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in a bending state based on the sensing value received from the bending sensor. It can be characteriz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밴드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input through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It can be characterized by ignoring the band touch.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밴드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센서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eactivate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band area and the second band area do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또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는 밴드터치 위치(position), 밴드터치 지속시간(duration time), 밴드터치 이동방향(moving direction), 밴드터치 압력(pressure) 및 밴드터치 쉬어포스방향(shear force direction)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속성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may be a band touch position, a band touch duration time, a band touch moving direction, a band touch pressure, and a band touch shear force direction. It may have an attribute including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밴드터치의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use at least one of the attributes of the first band touch to identify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nd touch.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밴드터치의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use at least one of the attributes of the second band touch to identify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and touch.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제2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밴드터치의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의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use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attributes of the first band touch and at least one of the attributes of the second band touch to identify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It may be characterized b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과 관련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을 먼저하고,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chematic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n,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구성><Configuration of Wearable Electronic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wearabl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와 웨어러블 전자기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HD, WiGig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위치정보 모듈(115)은 전자기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The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웨어러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터치(touch) 및/또는 접촉(contact)의 힘방향(force direction)을 감지할 수 있는 힘방향 센서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는 일반적인 터치 스크린 및/또는 터치 패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터치 및/또는 접촉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에 더하여, 특히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force direction)을 더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다. Meanwhile,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언급하는 힘방향이라 함은, 종래의 터치 센서에 의해서는 검출될 수 없었던, 터치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력(shear force)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힘방향 센서부(131)는, 단순히 터치면에 대한 수직방향의 힘 방향 뿐만이 아니라, 터치면에 대해 평행하게 작용하고 있는 전단력의 방향까지 감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force direction" refers to a concept that includes a shear force ac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ouch surface, which cannot be detected by a conventional touch sensor. That is, the force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는 종래의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일체형 형태로 제작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및/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151)를 감싸는 외곽의 림(rim)의 전체 또는 일부에 별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림에 대한 터치 및/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나중에 후술하기로 한다.The force
센싱부(140)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전자기기의 방위,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자세감지센서(141) 및/또는 근접센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생체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어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는 연결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밴드영역(BP1,BP2)이 벤딩 상태인지 플랫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벤딩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할 힘방향 센서가 밴드영역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힘방향 센서가 벤딩센서로써 기능할 수 있다.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웨어러블 전자기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논리적으로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Two or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전자기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14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142)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142)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Referring to FIG. 1, a
상기 근접센서(142)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When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the touch screen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터치를 근접 터치와 접촉 터치로 구별하여 설명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터치' 또는 '터치 입력'이라 함은, 근접 터치에 의한 입력 및 접촉 터치에 의한 입력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recogniz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a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The position where the proximity touch is performed by the pointer on the touch screen refers to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erpendicular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in proximity proximity. However, when the touch does not ne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ouch, the term “touch” or “touch input” includes both an input by a proximity touch and an input by a touch touch.
상기 근접센서(142)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알람부(153)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전자기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웨어러블 전자기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웨어러블 전자기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식별 모듈은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wearable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전자기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wearable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전자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the lik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180).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In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allow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o be performed.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사시도이다.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와치헤드(WH), 와치헤드(WH)의 제1 측에 연결되는 제1 밴드영역(BP1), 와치헤드(WH)의 제2 측에 연결되는 제2 밴드영역(BP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wearable
상기 와치헤드(WH)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다양한 각종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와치헤드(WH)는, 터치디스플레이 영역(TD) 및 림 영역(R)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터치디스플레이 영역(TD)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The watch head WH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of the wearable
상기 제1 밴드영역(BP1) 및 상기 제2 밴드영역(BP2)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가 사용자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손목, 팔뚝, 발목, 허벅지 등)에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써 기능한다.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are means for allowing the wearable
예를 들어, 상기 제1 밴드영역(BP1)의 타단(즉, 상기 와치헤드(WH)와 연결되어 있는 일단이 아닌 다른 일단)과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의 타단(즉, 상기 와치헤드(WH)와 연결되어 있는 일단이 아닌 다른 일단)이 서로 연결되어, 사용자 신체의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other end of the first band region BP1 (that is, one end other than the one connected to the watch head WH)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and region BP2 (that is, the watchhead One end other than the one connected to the WH)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fixed to a part of the user's body.
몇몇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제1 밴드영역(BP1)과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지 않고, 서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밴드영역(BP1)과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ome embodiments, as illustrated in FIG. 2,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may not b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bu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상기 밴드영역(BP1,BP2)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사용자 입력부(130), 특히 터치 패드 혹은 힘방향 센서부(131)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에는 상기 밴드영역(BP1,BP2) 이외의 부분(예를 들어, 상기 림 영역)에도 상기 터치 패드 혹은 힘방향 센서부(131)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상기 밴드 영역(BP1,BP2)에 제공되어 있는 터치 패드 혹은 힘방향 센서부(131)를 밴드터치센서(Band Touch Sensor)라고 부르기로 한다.
The band regions BP1 and BP2 may include the
<힘방향 센서부><Force direction sensor par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기기(100)에 적용될 수 있는 힘방향 센서부(131)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orce
이미 설명한 바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언급하는 힘방향이라 함은, 종래의 터치 센서에 의해서는 검출될 수 없었던, 터치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력(shear force)을 포함한다. 즉,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는,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및/또는 접촉 시, 상기 터치 및/또는 접촉에 의해 터치면에 발생하는 전단력까지 감지할 수 있다.Although already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ce direction referred to includes shear force ac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ouch surface, which could not be detected by a conventional touch sensor. That is, the force
본 발명에 의한 힘방향 센서부(131)는 힘방향을 센싱하기 위한 단위 센서(Unit Sensor)로 구성된 센서 어레이(sensor array, SA)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orce
예를 들어, 힘방향 센서부(131)는, 힘방향을 센싱하고자 하는 영역에 센서 어레이(SA)들을 배치함으로써, 센서 어레이(SA)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대한 터치 및/또는 접촉이 발생한 경우, 상기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즉, 전단력의 방향)을 감지해낼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the force
즉, 상기 센서 어레이(SA)는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을 센싱하고자 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종래의 터치 입력과 해당 터치의 힘방향을 결합하여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동작에 사용하고자 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센서 어레이(SA)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151) 영역(즉, 터치 스크린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센서 어레이(SA)의 집합체인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로부터 도출되는 힘방향 정보를 함께 결합하여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에 동작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That is, the sensor array SA may be disposed in an area to sense the force direction of touch and / or contact. For example, when the wearable
한편, 다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상기 밴드 영역(BP1,BP2)에 상기 센서 어레이(SA)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밴드 영역(BP1,BP2)에 대한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에 대해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동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by arranging the sensor array SA in the band areas BP1 and BP2 of the wearable
한편, 또 다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상기 림 영역(R)에 센서 어레이(SA)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림 영역(R)에 대한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에 대해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동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by placing the sensor array (SA) in the rim area (R) of the wearable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는, 상기 센서 어레이(SA)가 제공된 영역에 의하여 결정되는 힘방향 센싱영역(force direction detecting area, FDDA)에 대한 터치 및/또는 접촉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는, 상기 힘방향 센싱영역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접촉 여부, 접촉 위치, 접촉 시의 힘의 세기(즉,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세기(force intensity) 및 힘의 방향(즉,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 중에서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The force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에 포함된 상기 센서 어레이(SA)의 센서 각각은, 해당 센서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접촉 여부, 접촉 위치, 접촉 시의 힘의 세기 및 힘의 방향 중에서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Each sensor of the sensor array SA included in the force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에 의해 검출된 터치 영역의 일 지점에 대한 접촉 여부, 접촉 위치, 접촉 시의 힘의 세기 및 힘의 방향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정보는 제어부(180) 및/또는 별도로 제공되는 터치 이벤트 처리 모듈(도면 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of whether the touch point is detected by the force
상기 제어부(180) 및/또는 상기 터치 이벤트 처리 모듈은, 상기 힘방향 센싱 영역 내의 터치 및/또는 접촉을 감지한 지점에 대하여 일정 면적을 갖는 접촉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접촉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 감지점(예를 들어, 상기 센서 어레이(SA)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센서가 배치된 지점)의 힘의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지점에 대하여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이벤트 처리 모듈에 의한 힘의 방향 결정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서, 힘의 세기를 이용하여 힘의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The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 및/또는 상기 터치 이벤트 처리 모듈은 상기 접촉 영역(TA)에 포함된 다수의 감지점에서 검출된 힘의 세기 분포에 따라서 힘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접촉 영역(Touch Area, TA)의 중앙(O)을 기준으로 가장 큰 힘의 세기가 검출된 감지점의 방향을 상기 힘의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예를 들어, 상기 힘방향 센싱 영역(FDDA)의 일 지점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OB)의 터치 및/또는 접촉이 이루어지면, 상기 힘방향 센싱 영역(FDDA)의 표면과 외부 오브젝트(OB)가 접촉한 지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는 접촉 영역(TA)이 설정되거나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영역(TA)은 상기 일 지점의 특정 좌표(예를 들어, 중심 좌표)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면적의 범위로 설정되거나, 상기 힘방향 센싱 영역(FDDA)에 포함된 다수의 감지점 중에서 사용자 접촉을 감지한 다수의 인접한 감지점을 연결하여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touch and / or contact of the external object OB is made with respect to a point of the force direction sensing region FDDA, the surface of the force direction sensing region FDDA and the external object OB contact. Based on one point, the contact area TA having a predetermined area may be set or extracted. The contact area TA is set to a range of a predetermined area based on a specific coordinate (for example, a center coordinate) of the one point, or a user among a plurality of detection points included in the force direction sensing area FDDA. It can be set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adjacent sensing points that detected a contact.
그리고, 상기 설정 또는 추출된 접촉 영역(TA)의 다수 감지점에서 검출된 힘의 세기(F1~F5)를 검출한다. 사용자가 접촉 영역(TA) 중 힘을 가하는 방향의 감지점에서 더 힘의 세기가 크게 검출될 수 있다.Then, the strengths F1 to F5 of the force detected at the plurality of detection points of the set or extracted contact area TA are detected. The strength of the force may be more detected at the sensing point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applies the force in the contact area TA.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접촉 영역(TA)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감지점 중에서 가장 힘의 세기가 큰 감지점의 방향을 상기 접촉 영역(TA)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FD)으로 검출한다.Therefore, the wearable
따라서,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를 이용하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힘방향 센싱 영역(FDDA)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OB)의 터치 및/또는 접촉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상기 터치 및/또는 접촉의 위치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및/또는 접촉 위치에서 어느 방향으로 전단력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인지까지 감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force
한편, 이하에서 설명하는 전단력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접촉 영역(TA)의 중심점으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다수의 감지점 중에서 가장 힘의 세기가 큰 감지점에서의 힘의 크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의 세기가 가장 큰 감지점에서의 힘의 크기를 전단력의 세기로 간주할 수 있으며, 다른 예를 들어, 힘의 세기가 가장 큰 감지점에서의 힘의 크기와 힘의 세기가 가장 작은 감지점에서의 힘의 크기의 차이를 해당 포인트에서의 전단력의 세기로 간주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easure the strength of the shear force to be described below, it can be measured by using the magnitude of the force at the sensing point of the largest strength of the plurality of sensing points detected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contact area (TA). . For example, the magnitude of the force at the point where the strength of the force is greatest can be regarded as the strength of the shear force. For example, the magnitude of the force and the strength of the force at the point where the strength is greatest The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the force at the smallest sensing point can be regarded as the strength of the shear force at that point.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wearable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에 대해서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반대로,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구성요소 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embodiments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wearable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힘방향을 센싱하는 방식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 이외에도 다른 방식으로 힘방향을 센싱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에도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터치면에 대한 전단력을 센싱할 수 있는 방법 이외의 방법으로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가 채택된 전자기기에 대해서도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sensing the direction of force in addition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control method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appli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lso applies to an electronic device adopting a sensor capable of sensing the direction of force of touch and / or contact by a method other than the method of sensing the shear force on the touch surfa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control method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applied.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 -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Operation of Wearable Electronics-Control Method of Wearable Electronic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즉,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a control method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제1 실시예#First Example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referenc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밴드영역에 배치되며, 외부의 오브젝트에 의해 한 지점에 가해지는 접촉(contact)의 쉬어포스(shear force)를 검출하는 힘방향 센서부를 구비하는 밴드터치센서(band touch sensor)를 통해 밴드터치의 쉬어포스를 획득하고(S100), 상기 획득된 쉬어포스의 속성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10).Referring to FIG. 4, the wearable
상기 쉬어포스의 속성들은, 쉬어포스방향 및 쉬어포스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perties of the shear force may include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shear force direction and shear force strength.
쉬어포스방향이라 함은, 터치가 이루어질 때, 터치면에 대해서, 터치가 이루어지는 포인트(혹은 영역)에서 발생하는 전단력의 방향을 의미한다. 전단력의 방향을 센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 바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shear force direction means a direction of shear force generated at a point (or region) where a touch is made with respect to the touch surface when a touch is made. Since a method of sensing the direction of the shear forc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쉬어포스세기라 함은, 터치가 이루어질 때, 터치면에 대해서, 터치가 이루어지는 포인트에서 발생하는 전단력의 힘의 세기를 의미한다. 전단력의 세기를 센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hear force strength refers to the strength of the force of the shear force generated at the point where the touch is made with respect to the touch surface when the touch is made. Since a method of sensing the strength of the shear forc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전술한 밴드터치의 쉬어포스 속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그에 대응되는 동작 혹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쉬어포스의 속성들과 그들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 혹은 기능을 미리 메모리(160)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The wearable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쉬어포스방향을 밴드의 길이방향으로 와치헤드(WH)를 향하는 방향(제1방향, D1), 밴드의 길이방향으로 와치헤드(WH)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제2방향, D2), 밴드의 폭방향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왼팔의 손목에 착용하였다고 가정하였을 때, 사용자의 팔꿈치를 향하는 방향(제3방향, D3) 밴드의 폭방향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손목에 착용하였다고 가정하였을 때, 사용자의 손을 향하는 방향(제4방향, D4)으로 나누어 각 방향마다 대응되는 동작 혹은 기능을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도 5 참조). 물론, 네가지의 방향으로 대응되는 동작을 정의하여 사용하지 않고, 두 가지의 방향, 혹은 여섯 가지의 방향 등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을 정의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wearable
이때,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터치입력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로, 해당 위치에 대한 전단력의 방향을 획득하고, 각각의 방향에 대응되는 기능을 선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받을 수 있는 면적(예를 들어, 터치 패드 혹은 터치 스크린의 면적)이 작은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 혹은 기능을 실행시키기에 매우 적합하다 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wearable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술한 쉬어포스방향을 이용하여 동작시키기에 가장 직관적이고 유용한 기능들은, 화면 스크롤 업다운, 페이지 전환, 좌우 화면이동, 커서의 상하좌우 이동, 설정하고자 하는 입력값의 증감입력, 화면의 확대축소, 볼륨조절 등이 있을 것이다.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most intuitive and useful functions for operating using the aforementioned shear force direction include screen scrolling up and down, page switching, left and right scrolling, moving the cursor up, down, left and right, and increasing or decreasing input values. There will be zoom in and zoom out of the screen.
이때,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쉬어포스의 세기 속성을 고려하여, 상기 쉬어포스방향에 대응되는 기능에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wearable
에를 들어, 쉬어포스방향을 이용하여 화면 스크롤 업다운 기능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쉬어포스세기가 클수록 화면 스크롤 업다운의 속도를 더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쉬어포스세기가 작을수록 화면 스크롤 업다운의 속도를 더 느리게 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f you want to execute the screen scroll up and down function using the shear force direction, the larger the shear force, the faster the screen scroll up and down, and the smaller the shear force, the slower the screen scroll up and down You can do it.
다른 예를 들어, 쉬어포스방향을 이용하여 입력값의 증감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쉬어포스 세기가 클수록 입력값의 증감 속도가 더 빠를 수 있으며, 쉬어포스세기가 작을수록 입력값의 증감 속도가 더 느릴 수 있을 것이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input value is to be controlled using the shear force direction, the larger the shear strength, the faster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input value, and the smaller the shear force strength, the faster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input value It may be slow.
이와 유사하게, 쉬어포스방향을 이용하여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들에 대하여 적절하게 쉬어포스 세기가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Similarly, shear force may be considered as appropriate for functions to be executed using the shear direction.
한편, 밴드터치는 제1 밴드영역(BP1)에 배치된 제1 밴드터치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제1 밴드터치와 제2 밴드영역(BP2)에 배치된 제2 밴드터치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제2 밴드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band touch is sensed by the first band touch sensor sensed through the first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second band region BP2. It may include a band touch.
이때, 동일한 쉬어포스 속성을 가지고 있어도, 제1 밴드터치와 제2 밴드터치는 다른 동작 혹은 다른 기능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밴드영역(BP1)에 대한 제1 밴드터치의 쉬어포스방향이 제1 방향(즉, 와치헤드(WH)를 향하는 방향)인 경우에는, 화면 스크롤 업 기능이 동작되는 경우에, 제2 밴드영역(BP2)에 대한 제2 밴드터치의 쉬어포스 방향이 제1 방향(즉, 와치헤드(WH)를 향하는 방향)인 경우에는, 화면 스크롤 다운 기능이 동작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may correspond to different operations or different functions even though they have the same shear force property. That is, when the shear force direction of the first band touch with respect to the first band region BP1 is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toward the watch head WH), when the screen scroll up function is operated, When the shear force direction of the second band touch with respect to the two band regions BP2 is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toward the watch head WH), the screen scroll down function may be operated.
또는, 제1 방향의 쉬어포스방향을 가지는 제1 밴드터치의 경우, 화면 스크롤 업 기능에 대응되고 있을 때, 제1 방향의 쉬어포스방향을 가지는 제2 밴드터치의 경우, 불륨 다운 기능에 대응되고 있을 수 있다.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the first band touch having the shear force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band touch having the shear force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first band touch corresponds to the screen scroll up function. There may be.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밴드터치와 제2 밴드터치는 서로 실질적으로 거의 동시에 입력될 수 있다. 즉, 멀티밴드터치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may be input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with each other. That is, multiband touch input may be possible.
이와 같은 경우에, 제1 밴드터치와 제2 밴드터치의 쉬어포스속성을 모두 고려하여, 상기 제1 밴드터치의 쉬어포스속성 및 제2 밴드터치의 쉬어포스 속성의 쌍(pair)에 각각의 동작 혹은 기능이 대응될 수 있다.
In such a case, each operation is performed on a pair of the shear force property of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hear force property of the second band touch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shear force properties of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Or the function may correspond.
#제2 실시예# 2 Example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S200),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밴드터치 및/또는 제2 밴드터치에 대한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S210).Referring to FIG. 7, the wearable
즉,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밴드영역(BP1)에만 제1 밴드터치가 입력되었다면, 제1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wearable
또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제1 밴드영역(BP1)과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이 서로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밴드영역(BP2)에만 제2 밴드터치가 입력되었다면, 제2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wearable
또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제1 밴드영역(BP1) 및 상기 제2 밴드영역(BP2)에 각각 제1 밴드터치 및 제2 밴드터치가 실질적으로 거의 동시에 입력된 경우(즉, 멀티밴드터치입력이 있었던 경우),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are respectively input to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ie, multi When there is a band touch input),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제1 밴드영역(BP1)과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이 연결되었는지를 센싱할 수 있는 별도의 연결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감지센서는 상기 제1 밴드영역(BP1)의 타단(즉, 상기 제1 밴드영역(BP1)의 두 개의 단부 중 상기 와치헤드(WH)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제2 밴드영역(BP2)과 연결되는 일단), 혹은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의 타단(즉,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의 두 개의 단부 중 상기 와치헤드(WH)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제1 밴드영역(BP1)과 연결되는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밴드영역(BP1)과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이 서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wearable
한편, 상기 연결감지센서는 그 일부만 상기 제1 밴드영역(BP1)의 타단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밴드영역(BP2)의 타단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only a part of the connection detection sensor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other part thereof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and region BP2.
상기 연결감지센서의 센싱방식은 전기식(예를 들어, 두 밴드영역이 연결되는 경우에만 통전되는 방식), 압력식(예를 들어, 두 밴드영역이 연결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압력을 감지하는 방식)과 같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sensing method of the connection detection sensor is an electric type (for example, a method of energizing only when two band regions are connected), a pressure type (for example, a method of sensing pressure that may occur when the two band regions are connected) and Likewise, various methods may be applied.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연결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값에 따라서, 제1 밴드영역(BP1) 및 제2 밴드영역(BP2)이 서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wearable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제1 밴드영역(BP1) 및 제2 밴드영역(BP2)이 서로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100)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wearable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제1 밴드영역(BP1)과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이 연결되었는지를 센싱할 수 있는 별도의 벤딩센서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Meanwhile, the wearable
상기 벤딩센서는 상기 제1 밴드영역(BP1) 및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의 어느 한편 혹은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The bending sensor may be provided in one or both of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벤딩센서는 상기 제1 밴드영역(BP1) 및/또는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이 '벤딩 상태(bending state)'인지 '플랫 상태(flat state)'인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The bending sensor may sense whether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 or the second band region BP2 are in a 'bending state' or a 'flat state'.
본 명세서에서, '벤딩 상태'라 함은, 밴드영역(BP1,BP2)이 사용자에게 완전히 착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을 만큼 밴드영역(BP1,BP2)이 구부러져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도 8의 (c)). 또한, '플랫 상태'라 함은, 밴드영역(BP1,BP2)이 완전히 펴져있는 상태(도 8의 (a))를 포함하여, 상기 밴드영역들(BP1,BP2)이, 사용자에게 완전히 착용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을 정도로, 약간 구부러져 있는 상태(도 8의 (b))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ending state" means that the band regions BP1 and BP2 are in a bent state so that the band regions BP1 and BP2 are completely worn by the user (FIG. 8). (c)). In addition, the term 'flat state' includes a state in which the band regions BP1 and BP2 are completely extended (FIG. 8A), and the band regions BP1 and BP2 are completely worn by the user. It means that it is slightly bent (FIG. 8 (b)) so that it may be judged that it is not.
즉, 본 발명에 의한 벤딩센서는 밴드영역들이 구부러져 있는 정도를 센싱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져 있는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밴드영역들이 '벤딩 상태'인지 '플랫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bend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nse the degree to which the band regions are bent, and can determine whether the band regions are 'bending state' or 'flat state' based on a predetermined criterion.
한편, 전술한 벤딩센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힘방향 센서(131)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힘방향 센서(131)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표면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데, 힘방향 센서(131)를 밴드영역(BP1,BP2)에 배치하게 되면, 밴드영역(BP1,BP2)이 벤드되는 정도에 따라, 밴드영역(BP1,BP2)의 표면에 가해지는 스트레인을, 힘방향 센서(131)를 통해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힘방향 센서(131)를 활용하여, 밴드영역(BP1,BP2)이 '벤딩 상태'인지 '플랫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aforementioned bending sensor may be implemented by the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벤딩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영역(BP1) 및 상기 제2 밴드영역(BP2) 중 적어도 하나가 플랫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밴드영역(BP1) 및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은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wearable
반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벤딩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영역(BP1) 및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이 벤딩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밴드영역(BP1) 및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은 연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are in a bent state, the wearable
한편,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만약 제1 밴드영역(BP1)과 제2 밴드영역(BP2)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제1 밴드영역(BP1)에 입력되는 제1 밴드터치 및 제2 밴드영역(BP2)에 입력되는 제2 밴드터치를 무시할 수 있다(S220). 즉, 제1 밴드영역(BP1)과 제2 밴드영역(BP2)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 혹은 기능을 실행하지 않고, 그냥 무시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밴드터치입력에 의하여 웨어러블 전자기기(100)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again to Figure 7,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are not connected, the wearable
다만, 도 7에는, 제1 밴드영역(BP1) 및 제2 밴드영역(BP2)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입력되고 있는 밴드터치를 무시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제1 밴드영역(BP1) 및 제2 밴드영역(BP2)이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제1 밴드영역(BP1)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밴드터치센서와 제2 밴드영역(BP2)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밴드터치센서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제1 밴드영역(BP1)과 제2 밴드영역(BP2)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만, 제1 밴드터치센서 및 제2 밴드터치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FIG. 7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put band touch is ignor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e wearable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제1 밴드터치 및 제2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밴드터치 위치(position), 밴드터치 지속시간(duration time), 밴드터치 이동방향(moving direction), 밴드터치 압력(pressure) 및 밴드터치 쉬어포스방향(shear force direction)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밴드터치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The wearable
밴드터치 위치라 함은, 상기 밴드영역(BP1,BP2)에 대한 사용자의 밴드터치가 입력된 지점을 의미한다. 밴드터치의 위치는 제1 밴드영역(BP1) 및 제2 밴드영역(BP2) 중 어느 밴드영역에 대한 터치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1 밴드영역(BP1) 및/또는 제2 밴드영역(BP2) 내에서 어느 위치에 대한 밴드터치인지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The band touch position means a point at which a user's band touch is input to the band areas BP1 and BP2. The position of the band touch may include which band region of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is a touch, and furthermore,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 or the second band region. It may be a concept including which position the band touch is within (BP2).
밴드터치 지속시간이라 함은, 상기 밴드영역(BP1,BP2)에 대한 사용자의 밴드터치가 지속된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밴드터치가 제1 시점(T1)에 시작되어서 제2 시점(T2)에 종료되었다면, 상기 밴드터치 지속시간은 T2-T1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band touch duration means the time duration of the band touch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band regions BP1 and BP2. For example, if the band touch starts at the first time point T1 and ends at the second time point T2, the band touch duration may be defined as T2-T1.
밴드터치 이동방향이라 함은, 상기 밴드터치가 지속되고 있는 동안 상기 밴드터치의 위치가 밴드영역(BP1,BP2) 상에서 변경될 때, 그 이동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밴드영역(BP1,BP2)으로부터 와치헤드(WH)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 와치헤드(WH)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제2 방향,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를 왼팔 손목에 착용하였다고 가정할 경우, 사용자의 팔꿈치를 향하는 방향을 제3 방향, 그리고 사용자의 손을 향하는 방향을 제4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The band touch movement direction may mean the movement direc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band touch is changed on the band areas BP1 and BP2 while the band touch is continu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irection toward the watch head WH from the band regions BP1 and BP2 is the first directio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watch head WH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user wears the wearable
밴드터치 압력은, 특히, 상기 밴드터치센서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힘방향 센서(131)와 같이 터치의 압력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정의될 수 있는 속성으로써, 밴드터치의 위치에서 터치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힘의 크기를 의미한다. The band touch pressure is an attribute that can be defined, in particular, when the band touch sensor is configured as a sensor capable of sensing a pressure of a touch, such as the
밴드터치 쉬어포스방향이라 함은, 특히, 상기 밴드터치센서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힘방향 센서(131)와 같이 터치의 터치면에 대한 전단력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정의될 수 있는 속성으로써,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듯이, 밴드터치가 하나의 지점에서 유지되고 있는 동안 밴드터치 위치에서 측정되는 전단력의 방향을 의미한다.
The band touch shear force direction is defined in particular when the band touch sensor is configured as a sensor capable of sensing a shear force on a touch surface of a touch, such as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별개로 또는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display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에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매커니즘을 제공하는 밴드영역(band portion); 상기 밴드영역에 배치되며, 외부의 오브젝트에 의해 한 지점에 가해지는 접촉(contact)의 쉬어포스(shear force)를 검출하는 힘방향 센서부를 구비하는 밴드터치센서(band touch sensor); 및 상기 밴드터치센서에 대한 밴드터치입력의 쉬어포스를 상기 밴드터치센서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쉬어포스의 속성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쉬어포스의 속성들은, 쉬어포스방향 및 쉬어포스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밴드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측에 연결되는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측에 연결되는 제2 밴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밴드터치센서는, 상기 제1 밴드영역에 배치되는 제1 밴드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에 배치되는 제2 밴드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밴드터치센서를 통해 제1 밴드터치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밴드터치센서를 통해 제2 밴드터치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밴드터치의 쉬어포스 속성들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의 쉬어포스 속성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display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측에 연결되는 제1 밴드영역(first band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측에 연결되는 제2 밴드영역(second band portion); 상기 제1 밴드영역에 배치되며, 제1 밴드터치를 입력받는 제1 밴드터치센서(first band touch sensor); 상기 제2 밴드영역에 배치되며, 제2 밴드터치를 입력받는 제2 밴드터치센서(second band touch sensor); 및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밴드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거나, 혹은 상기 제2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거나, 혹은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의 조합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밴드영역과 연결되는 상기 제1 밴드영역의 일단 및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연결되는 상기 제2 밴드영역의 일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연결감지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밴드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플랫 상태(flat state)인지 벤딩 상태(bending state)인지를 센싱할 수 있는 벤딩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플랫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은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벤딩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은 연결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밴드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밴드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센서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는 밴드터치 위치(position), 밴드터치 지속시간(duration time), 밴드터치 이동방향(moving direction), 밴드터치 압력(pressure) 및 밴드터치 쉬어포스방향(shear force direction)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밴드터치의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밴드터치의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제2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밴드터치의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의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과 관련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을 먼저하고,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와 웨어러블 전자기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HD, WiGig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전자기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웨어러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터치(touch) 및/또는 접촉(contact)의 힘방향(force direction)을 감지할 수 있는 힘방향 센서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는 일반적인 터치 스크린 및/또는 터치 패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터치 및/또는 접촉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에 더하여, 특히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force direction)을 더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언급하는 힘방향이라 함은, 종래의 터치 센서에 의해서는 검출될 수 없었던, 터치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력(shear force)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힘방향 센서부(131)는, 단순히 터치면에 대한 수직방향의 힘 방향 뿐만이 아니라, 터치면에 대해 평행하게 작용하고 있는 전단력의 방향까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는 종래의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일체형 형태로 제작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및/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151)를 감싸는 외곽의 림(rim)의 전체 또는 일부에 별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림에 대한 터치 및/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나중에 후술하기로 한다.
센싱부(140)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전자기기의 방위,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자세감지센서(141) 및/또는 근접센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생체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어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는 연결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밴드영역(BP1,BP2)이 벤딩 상태인지 플랫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벤딩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할 힘방향 센서가 밴드영역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힘방향 센서가 벤딩센서로써 기능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웨어러블 전자기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논리적으로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전자기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14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142)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142)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142)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터치를 근접 터치와 접촉 터치로 구별하여 설명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터치' 또는 '터치 입력'이라 함은, 근접 터치에 의한 입력 및 접촉 터치에 의한 입력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근접센서(142)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전자기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웨어러블 전자기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웨어러블 전자기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전자기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전자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와치헤드(WH), 와치헤드(WH)의 제1 측에 연결되는 제1 밴드영역(BP1), 와치헤드(WH)의 제2 측에 연결되는 제2 밴드영역(BP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치헤드(WH)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다양한 각종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와치헤드(WH)는, 터치디스플레이 영역(TD) 및 림 영역(R)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터치디스플레이 영역(TD)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밴드영역(BP1) 및 상기 제2 밴드영역(BP2)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가 사용자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손목, 팔뚝, 발목, 허벅지 등)에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써 기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밴드영역(BP1)의 타단(즉, 상기 와치헤드(WH)와 연결되어 있는 일단이 아닌 다른 일단)과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의 타단(즉, 상기 와치헤드(WH)와 연결되어 있는 일단이 아닌 다른 일단)이 서로 연결되어, 사용자 신체의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제1 밴드영역(BP1)과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지 않고, 서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밴드영역(BP1)과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영역(BP1,BP2)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사용자 입력부(130), 특히 터치 패드 혹은 힘방향 센서부(131)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에는 상기 밴드영역(BP1,BP2) 이외의 부분(예를 들어, 상기 림 영역)에도 상기 터치 패드 혹은 힘방향 센서부(131)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상기 밴드 영역(BP1,BP2)에 제공되어 있는 터치 패드 혹은 힘방향 센서부(131)를 밴드터치센서(Band Touch Sensor)라고 부르기로 한다.
<힘방향 센서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기기(100)에 적용될 수 있는 힘방향 센서부(131)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바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언급하는 힘방향이라 함은, 종래의 터치 센서에 의해서는 검출될 수 없었던, 터치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력(shear force)을 포함한다. 즉,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는,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및/또는 접촉 시, 상기 터치 및/또는 접촉에 의해 터치면에 발생하는 전단력까지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힘방향 센서부(131)는 힘방향을 센싱하기 위한 단위 센서(Unit Sensor)로 구성된 센서 어레이(sensor array, S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방향 센서부(131)는, 힘방향을 센싱하고자 하는 영역에 센서 어레이(SA)들을 배치함으로써, 센서 어레이(SA)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대한 터치 및/또는 접촉이 발생한 경우, 상기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즉, 전단력의 방향)을 감지해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센서 어레이(SA)는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을 센싱하고자 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종래의 터치 입력과 해당 터치의 힘방향을 결합하여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동작에 사용하고자 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센서 어레이(SA)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151) 영역(즉, 터치 스크린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센서 어레이(SA)의 집합체인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로부터 도출되는 힘방향 정보를 함께 결합하여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에 동작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다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상기 밴드 영역(BP1,BP2)에 상기 센서 어레이(SA)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밴드 영역(BP1,BP2)에 대한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에 대해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동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또 다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상기 림 영역(R)에 센서 어레이(SA)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림 영역(R)에 대한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에 대해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동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는, 상기 센서 어레이(SA)가 제공된 영역에 의하여 결정되는 힘방향 센싱영역(force direction detecting area, FDDA)에 대한 터치 및/또는 접촉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는, 상기 힘방향 센싱영역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접촉 여부, 접촉 위치, 접촉 시의 힘의 세기(즉,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세기(force intensity) 및 힘의 방향(즉,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 중에서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에 포함된 상기 센서 어레이(SA)의 센서 각각은, 해당 센서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접촉 여부, 접촉 위치, 접촉 시의 힘의 세기 및 힘의 방향 중에서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에 의해 검출된 터치 영역의 일 지점에 대한 접촉 여부, 접촉 위치, 접촉 시의 힘의 세기 및 힘의 방향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정보는 제어부(180) 및/또는 별도로 제공되는 터치 이벤트 처리 모듈(도면 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 및/또는 상기 터치 이벤트 처리 모듈은, 상기 힘방향 센싱 영역 내의 터치 및/또는 접촉을 감지한 지점에 대하여 일정 면적을 갖는 접촉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접촉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 감지점(예를 들어, 상기 센서 어레이(SA)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센서가 배치된 지점)의 힘의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지점에 대하여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이벤트 처리 모듈에 의한 힘의 방향 결정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서, 힘의 세기를 이용하여 힘의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 및/또는 상기 터치 이벤트 처리 모듈은 상기 접촉 영역(TA)에 포함된 다수의 감지점에서 검출된 힘의 세기 분포에 따라서 힘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접촉 영역(Touch Area, TA)의 중앙(O)을 기준으로 가장 큰 힘의 세기가 검출된 감지점의 방향을 상기 힘의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힘방향 센싱 영역(FDDA)의 일 지점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OB)의 터치 및/또는 접촉이 이루어지면, 상기 힘방향 센싱 영역(FDDA)의 표면과 외부 오브젝트(OB)가 접촉한 지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는 접촉 영역(TA)이 설정되거나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영역(TA)은 상기 일 지점의 특정 좌표(예를 들어, 중심 좌표)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면적의 범위로 설정되거나, 상기 힘방향 센싱 영역(FDDA)에 포함된 다수의 감지점 중에서 사용자 접촉을 감지한 다수의 인접한 감지점을 연결하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 또는 추출된 접촉 영역(TA)의 다수 감지점에서 검출된 힘의 세기(F1~F5)를 검출한다. 사용자가 접촉 영역(TA) 중 힘을 가하는 방향의 감지점에서 더 힘의 세기가 크게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접촉 영역(TA)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감지점 중에서 가장 힘의 세기가 큰 감지점의 방향을 상기 접촉 영역(TA)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FD)으로 검출한다.
따라서,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를 이용하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힘방향 센싱 영역(FDDA)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OB)의 터치 및/또는 접촉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상기 터치 및/또는 접촉의 위치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및/또는 접촉 위치에서 어느 방향으로 전단력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인지까지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하는 전단력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접촉 영역(TA)의 중심점으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다수의 감지점 중에서 가장 힘의 세기가 큰 감지점에서의 힘의 크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의 세기가 가장 큰 감지점에서의 힘의 크기를 전단력의 세기로 간주할 수 있으며, 다른 예를 들어, 힘의 세기가 가장 큰 감지점에서의 힘의 크기와 힘의 세기가 가장 작은 감지점에서의 힘의 크기의 차이를 해당 포인트에서의 전단력의 세기로 간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에 대해서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반대로,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100)의 구성요소 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힘방향을 센싱하는 방식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 이외에도 다른 방식으로 힘방향을 센싱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에도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터치면에 대한 전단력을 센싱할 수 있는 방법 이외의 방법으로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가 채택된 전자기기에 대해서도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 -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즉,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밴드영역에 배치되며, 외부의 오브젝트에 의해 한 지점에 가해지는 접촉(contact)의 쉬어포스(shear force)를 검출하는 힘방향 센서부를 구비하는 밴드터치센서(band touch sensor)를 통해 밴드터치의 쉬어포스를 획득하고(S100), 상기 획득된 쉬어포스의 속성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10).
상기 쉬어포스의 속성들은, 쉬어포스방향 및 쉬어포스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쉬어포스방향이라 함은, 터치가 이루어질 때, 터치면에 대해서, 터치가 이루어지는 포인트(혹은 영역)에서 발생하는 전단력의 방향을 의미한다. 전단력의 방향을 센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 바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쉬어포스세기라 함은, 터치가 이루어질 때, 터치면에 대해서, 터치가 이루어지는 포인트에서 발생하는 전단력의 힘의 세기를 의미한다. 전단력의 세기를 센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전술한 밴드터치의 쉬어포스 속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그에 대응되는 동작 혹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쉬어포스의 속성들과 그들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 혹은 기능을 미리 메모리(160)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쉬어포스방향을 밴드의 길이방향으로 와치헤드(WH)를 향하는 방향(제1방향, D1), 밴드의 길이방향으로 와치헤드(WH)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제2방향, D2), 밴드의 폭방향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왼팔의 손목에 착용하였다고 가정하였을 때, 사용자의 팔꿈치를 향하는 방향(제3방향, D3) 밴드의 폭방향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손목에 착용하였다고 가정하였을 때, 사용자의 손을 향하는 방향(제4방향, D4)으로 나누어 각 방향마다 대응되는 동작 혹은 기능을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도 5 참조). 물론, 네가지의 방향으로 대응되는 동작을 정의하여 사용하지 않고, 두 가지의 방향, 혹은 여섯 가지의 방향 등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을 정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터치입력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로, 해당 위치에 대한 전단력의 방향을 획득하고, 각각의 방향에 대응되는 기능을 선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받을 수 있는 면적(예를 들어, 터치 패드 혹은 터치 스크린의 면적)이 작은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 혹은 기능을 실행시키기에 매우 적합하다 할 것이다.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술한 쉬어포스방향을 이용하여 동작시키기에 가장 직관적이고 유용한 기능들은, 화면 스크롤 업다운, 페이지 전환, 좌우 화면이동, 커서의 상하좌우 이동, 설정하고자 하는 입력값의 증감입력, 화면의 확대축소, 볼륨조절 등이 있을 것이다.
이때,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쉬어포스의 세기 속성을 고려하여, 상기 쉬어포스방향에 대응되는 기능에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에를 들어, 쉬어포스방향을 이용하여 화면 스크롤 업다운 기능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쉬어포스세기가 클수록 화면 스크롤 업다운의 속도를 더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쉬어포스세기가 작을수록 화면 스크롤 업다운의 속도를 더 느리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를 들어, 쉬어포스방향을 이용하여 입력값의 증감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쉬어포스 세기가 클수록 입력값의 증감 속도가 더 빠를 수 있으며, 쉬어포스세기가 작을수록 입력값의 증감 속도가 더 느릴 수 있을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쉬어포스방향을 이용하여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들에 대하여 적절하게 쉬어포스 세기가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밴드터치는 제1 밴드영역(BP1)에 배치된 제1 밴드터치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제1 밴드터치와 제2 밴드영역(BP2)에 배치된 제2 밴드터치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제2 밴드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쉬어포스 속성을 가지고 있어도, 제1 밴드터치와 제2 밴드터치는 다른 동작 혹은 다른 기능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밴드영역(BP1)에 대한 제1 밴드터치의 쉬어포스방향이 제1 방향(즉, 와치헤드(WH)를 향하는 방향)인 경우에는, 화면 스크롤 업 기능이 동작되는 경우에, 제2 밴드영역(BP2)에 대한 제2 밴드터치의 쉬어포스 방향이 제1 방향(즉, 와치헤드(WH)를 향하는 방향)인 경우에는, 화면 스크롤 다운 기능이 동작될 수 있다.
또는, 제1 방향의 쉬어포스방향을 가지는 제1 밴드터치의 경우, 화면 스크롤 업 기능에 대응되고 있을 때, 제1 방향의 쉬어포스방향을 가지는 제2 밴드터치의 경우, 불륨 다운 기능에 대응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밴드터치와 제2 밴드터치는 서로 실질적으로 거의 동시에 입력될 수 있다. 즉, 멀티밴드터치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1 밴드터치와 제2 밴드터치의 쉬어포스속성을 모두 고려하여, 상기 제1 밴드터치의 쉬어포스속성 및 제2 밴드터치의 쉬어포스 속성의 쌍(pair)에 각각의 동작 혹은 기능이 대응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S200),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밴드터치 및/또는 제2 밴드터치에 대한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S210).
즉,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밴드영역(BP1)에만 제1 밴드터치가 입력되었다면, 제1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제1 밴드영역(BP1)과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이 서로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밴드영역(BP2)에만 제2 밴드터치가 입력되었다면, 제2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제1 밴드영역(BP1) 및 상기 제2 밴드영역(BP2)에 각각 제1 밴드터치 및 제2 밴드터치가 실질적으로 거의 동시에 입력된 경우(즉, 멀티밴드터치입력이 있었던 경우),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제1 밴드영역(BP1)과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이 연결되었는지를 센싱할 수 있는 별도의 연결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감지센서는 상기 제1 밴드영역(BP1)의 타단(즉, 상기 제1 밴드영역(BP1)의 두 개의 단부 중 상기 와치헤드(WH)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제2 밴드영역(BP2)과 연결되는 일단), 혹은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의 타단(즉,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의 두 개의 단부 중 상기 와치헤드(WH)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제1 밴드영역(BP1)과 연결되는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밴드영역(BP1)과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이 서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감지센서는 그 일부만 상기 제1 밴드영역(BP1)의 타단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밴드영역(BP2)의 타단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연결감지센서의 센싱방식은 전기식(예를 들어, 두 밴드영역이 연결되는 경우에만 통전되는 방식), 압력식(예를 들어, 두 밴드영역이 연결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압력을 감지하는 방식)과 같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연결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값에 따라서, 제1 밴드영역(BP1) 및 제2 밴드영역(BP2)이 서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제1 밴드영역(BP1) 및 제2 밴드영역(BP2)이 서로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100)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제1 밴드영역(BP1)과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이 연결되었는지를 센싱할 수 있는 별도의 벤딩센서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벤딩센서는 상기 제1 밴드영역(BP1) 및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의 어느 한편 혹은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벤딩센서는 상기 제1 밴드영역(BP1) 및/또는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이 '벤딩 상태(bending state)'인지 '플랫 상태(flat state)'인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벤딩 상태'라 함은, 밴드영역(BP1,BP2)이 사용자에게 완전히 착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을 만큼 밴드영역(BP1,BP2)이 구부러져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도 8의 (c)). 또한, '플랫 상태'라 함은, 밴드영역(BP1,BP2)이 완전히 펴져있는 상태(도 8의 (a))를 포함하여, 상기 밴드영역들(BP1,BP2)이, 사용자에게 완전히 착용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을 정도로, 약간 구부러져 있는 상태(도 8의 (b))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벤딩센서는 밴드영역들이 구부러져 있는 정도를 센싱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져 있는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밴드영역들이 '벤딩 상태'인지 '플랫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벤딩센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힘방향 센서(131)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힘방향 센서(131)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표면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데, 힘방향 센서(131)를 밴드영역(BP1,BP2)에 배치하게 되면, 밴드영역(BP1,BP2)이 벤드되는 정도에 따라, 밴드영역(BP1,BP2)의 표면에 가해지는 스트레인을, 힘방향 센서(131)를 통해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힘방향 센서(131)를 활용하여, 밴드영역(BP1,BP2)이 '벤딩 상태'인지 '플랫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벤딩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영역(BP1) 및 상기 제2 밴드영역(BP2) 중 적어도 하나가 플랫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밴드영역(BP1) 및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은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상기 벤딩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영역(BP1) 및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이 벤딩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밴드영역(BP1) 및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은 연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만약 제1 밴드영역(BP1)과 제2 밴드영역(BP2)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제1 밴드영역(BP1)에 입력되는 제1 밴드터치 및 제2 밴드영역(BP2)에 입력되는 제2 밴드터치를 무시할 수 있다(S220). 즉, 제1 밴드영역(BP1)과 제2 밴드영역(BP2)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 혹은 기능을 실행하지 않고, 그냥 무시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밴드터치입력에 의하여 웨어러블 전자기기(100)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7에는, 제1 밴드영역(BP1) 및 제2 밴드영역(BP2)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입력되고 있는 밴드터치를 무시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제1 밴드영역(BP1) 및 제2 밴드영역(BP2)이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제1 밴드영역(BP1)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밴드터치센서와 제2 밴드영역(BP2)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밴드터치센서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제1 밴드영역(BP1)과 제2 밴드영역(BP2)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만, 제1 밴드터치센서 및 제2 밴드터치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는, 제1 밴드터치 및 제2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밴드터치 위치(position), 밴드터치 지속시간(duration time), 밴드터치 이동방향(moving direction), 밴드터치 압력(pressure) 및 밴드터치 쉬어포스방향(shear force direction)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밴드터치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밴드터치 위치라 함은, 상기 밴드영역(BP1,BP2)에 대한 사용자의 밴드터치가 입력된 지점을 의미한다. 밴드터치의 위치는 제1 밴드영역(BP1) 및 제2 밴드영역(BP2) 중 어느 밴드영역에 대한 터치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1 밴드영역(BP1) 및/또는 제2 밴드영역(BP2) 내에서 어느 위치에 대한 밴드터치인지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밴드터치 지속시간이라 함은, 상기 밴드영역(BP1,BP2)에 대한 사용자의 밴드터치가 지속된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밴드터치가 제1 시점(T1)에 시작되어서 제2 시점(T2)에 종료되었다면, 상기 밴드터치 지속시간은 T2-T1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밴드터치 이동방향이라 함은, 상기 밴드터치가 지속되고 있는 동안 상기 밴드터치의 위치가 밴드영역(BP1,BP2) 상에서 변경될 때, 그 이동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밴드영역(BP1,BP2)으로부터 와치헤드(WH)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 와치헤드(WH)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제2 방향,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기기(100)를 왼팔 손목에 착용하였다고 가정할 경우, 사용자의 팔꿈치를 향하는 방향을 제3 방향, 그리고 사용자의 손을 향하는 방향을 제4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밴드터치 압력은, 특히, 상기 밴드터치센서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힘방향 센서(131)와 같이 터치의 압력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정의될 수 있는 속성으로써, 밴드터치의 위치에서 터치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힘의 크기를 의미한다.
밴드터치 쉬어포스방향이라 함은, 특히, 상기 밴드터치센서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힘방향 센서(131)와 같이 터치의 터치면에 대한 전단력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정의될 수 있는 속성으로써,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듯이, 밴드터치가 하나의 지점에서 유지되고 있는 동안 밴드터치 위치에서 측정되는 전단력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별개로 또는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clearly expla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a general term that has been widely used as far as possible in view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ustom or the emergence of a new technology. Can be. In contrast, when a specific term is defined and used in any meaning, the meaning of the term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rather than simple names of the term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provided to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displayed as necessary to help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necessar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display portion (display portion); A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and providing a mechanism for allowin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o be worn on a user's wrist; A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band region and having a force direction sensor unit detecting a shear force of a contact applied to a point by an external object; And a control unit for acquiring a shear force of a band touch input to the band touch sensor from the band touch sensor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based on any one of the obtained attributes of the shear force. Wear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may be provided.
The properties of the shear for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hear force direction and shear force strength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band region may include a first band region connected to a first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a second band region connected to a second side of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band touch sensor is disposed in the first band region. It may include a first band touch sensor and a second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second band region.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a first band touch through the first band touch sensor, receive a second band touch through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any one of the shear force properties of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any one of the shear force properties of the second band touch.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display portion (first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ide of the display portion; A second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of the display unit; A first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first band region and receiving a first band touch; A second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second band region and receiving a second band touch;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when determining that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Based on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sensor,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nd touch, or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and touch, or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combination of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The control unit may be sensed through a connection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at least one of one end of the first band region connected to the second band region and one end of the second band region connected to the first band region. Based on the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may sense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band area and the second band area is a flat state or a bending state. It may b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bending sensor.
The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connect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is in a flat state based on the sensing value received from the bending sensor. It may b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did not.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connected when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in a bending state based on the sensing value received from the bending sensor. It can be characterized.
The controll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input through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It can be characterized by ignoring the band touch.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eactivate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band area and the second band area do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may be a band touch position, a band touch duration time, a band touch moving direction, a band touch pressure, and a band touch shear force direction. It may have an attribute including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controller may use at least one of the attributes of the first band touch to identify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nd touch.
The controller may use at least one of the attributes of the second band touch to identify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and touch.
The controller may use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attributes of the first band touch and at least one of the attributes of the second band touch to identify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It may be characterized by.
Hereinafter, a schematic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n,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Configuration of Wearable Electronics>
1 i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The
The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The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The
The
The short
The
Referring to FIG. 1, the A /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The
The
Meanwhile, th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force direction" refers to a concept that includes a shear force ac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ouch surface, which cannot be detected by a conventional touch sensor. That is, the force
The force
The
The
The
The
Two or
When the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Referring to FIG. 1, a
Examples of the
When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the touch screen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recogniz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a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The position where the proximity touch is performed by the pointer on the touch screen refers to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erpendicular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in proximity proximity. However, when the touch does not ne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ouch, the term “touch” or “touch input” includes both an input by a proximity touch and an input by a touch touch.
The
The
The
The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The
The
The
Th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wearable
When the wearable
The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the lik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180).
In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allow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o be performed.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wearable
The watch head WH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of the wearable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are means for allowing the wearable
For example, the other end of the first band region BP1 (that is, one end other than the one connected to the watch head WH)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and region BP2 (that is, the watchhead One end other than the one connected to the WH)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fixed to a part of the user's body.
In some embodiments, as illustrated in FIG. 2,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may not b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bu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The band regions BP1 and BP2 may include the
<Force direction sensor part>
Hereinafter, the force
Although already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ce direction referred to includes shear force ac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ouch surface, which could not be detected by a conventional touch sensor. That is, the force
The force
For example, the force
That is, the sensor array SA may be disposed in an area to sense the force direction of touch and / or contact. For example, when the wearable
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by arranging the sensor array SA in the band areas BP1 and BP2 of the wearable
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by placing the sensor array (SA) in the rim area (R) of the wearable
The force
Each sensor of the sensor array SA included in the force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of whether the touch point is detected by the force
The
Referring to FIG. 3, the
For example, when a touch and / or contact of the external object OB is made with respect to a point of the force direction sensing region FDDA, the surface of the force direction sensing region FDDA and the external object OB contact. A contact area TA having a predetermined area may be set or extracted based on a point. The contact area TA is set to a range of a predetermined area based on a specific coordinate (for example, a center coordinate) of the one point, or a user among a plurality of detection points included in the force direction sensing area FDDA. It can be set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adjacent sensing points that detected a contact.
Then, the strengths F1 to F5 of the force detected at the plurality of detection points of the set or extracted contact area TA are detected. The strength of the force may be more detected at the sensing point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applies the force in the contact area TA.
Therefore, the wearable
Accordingly, when the force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easure the strength of the shear force to be described below, it can be measured by using the magnitude of the force at the sensing point of the largest strength of the plurality of sensing points detected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contact area (TA). . For example, the magnitude of the force at the point where the strength of the force is greatest can be regarded as the strength of the shear force. For example, the magnitude of the force and the strength of the force at the point where the strength is greatest The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the force at the smallest sensing point can be regarded as the strength of the shear force at that point.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wearable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embodiments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wearable
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sensing the direction of force in addition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control method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appli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lso applies to an electronic device adopting a sensor capable of sensing the direction of force of touch and / or contact by a method other than the method of sensing the shear force on the touch surfa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control method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applied.
<Operation of Wearable Electronics-Control Method of Wearable Electronics>
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a control method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First Exampl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referenc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wearable
The properties of the shear force may include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shear force direction and shear force strength.
The shear force direction means a direction of shear force generated at a point (or region) where a touch is made with respect to the touch surface when a touch is made. Since a method of sensing the direction of the shear forc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hear force strength refers to the strength of the force of the shear force generated at the point where the touch is made with respect to the touch surface when the touch is made. Since a method of sensing the strength of the shear forc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The wearable
For example, the wearable
At this time, the wearable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most intuitive and useful functions for operating using the aforementioned shear force direction include screen scrolling up and down, page switching, left and right scrolling, moving the cursor up, down, left and right, and increasing or decreasing input values. There will be zoom in and zoom out of the screen.
In this case, the wearable
For example, if you want to execute the screen scroll up and down function using the shear force direction, the larger the shear force, the faster the screen scroll up and down, and the smaller the shear force, the slower the screen scroll up and down You can do it.
As another example, when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input value is to be controlled using the shear force direction, the larger the shear strength, the faster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input value, and the smaller the shear force strength, the faster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input value It may be slow.
Similarly, shear force may be considered as appropriate for functions to be executed using the shear direction.
Meanwhile, the band touch is sensed by the first band touch sensor sensed through the first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second band region BP2. It may include a band touch.
In this case,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may correspond to different operations or different functions even though they have the same shear force property. That is, when the shear force direction of the first band touch with respect to the first band region BP1 is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toward the watch head WH), when the screen scroll up function is operated, When the shear force direction of the second band touch with respect to the two band regions BP2 is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toward the watch head WH), the screen scroll down function may be operated.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the first band touch having the shear force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band touch having the shear force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first band touch corresponds to the screen scroll up function. There may be.
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may be input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with each other. That is, multiband touch input may be possible.
In such a case, each operation is performed on a pair of the shear force property of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hear force property of the second band touch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shear force properties of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Or the function may correspond.
# 2 Example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wearable
That is, when the wearable
Alternatively, when the wearable
Alternatively, when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are respectively input to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ie, multi When there is a band touch input),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can be performed.
The wearable
Meanwhile, only a part of the connection detection sensor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other part thereof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and region BP2.
The sensing method of the connection sensor is electric (for example, a method of energizing only when the two band region is connected), pressure (for example, a method for sensing the pressure that can occur when the two band region is connected) and Likewise, various methods may be applied.
The wearab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wearable
Meanwhile, the wearable
The bending sensor may be provided in one or both of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The bending sensor may sense whether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 or the second band region BP2 are in a 'bending state' or a 'flat stat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ending state" means that the band areas BP1 and BP2 are in a bent state so that the band areas BP1 and BP2 are completely worn by the user (FIG. 8). (c)). In addition, the term 'flat state' includes a state in which the band regions BP1 and BP2 are completely extended (FIG. 8A), and the band regions BP1 and BP2 are completely worn by the user. It means that it is slightly bent (FIG. 8 (b)) so that it may be judged that it is not.
That is, the bend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nse the degree to which the band regions are bent, and can determine whether the band regions are 'bending state' or 'flat state' based on a predetermined criterion.
Meanwhile, the aforementioned bending sensor may be implemented by the
The wearable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are in a bent state, the wearable
On the other hand, referring again to Figure 7,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are not connected, the wearable
FIG. 7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put band touch is ignor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e wearable
The wearable
The band touch position means a point at which a user's band touch is input to the band areas BP1 and BP2. The position of the band touch may include which band region of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the second band region BP2 is a touch, and furthermore, the first band region BP1 and / or the second band region. It may be a concept including which position is a band touch within (BP2).
The band touch duration means the time duration of the band touch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band regions BP1 and BP2. For example, if the band touch starts at the first time point T1 and ends at the second time point T2, the band touch duration may be defined as T2-T1.
The band touch movement direction may mean the movement direc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band touch is changed on the band areas BP1 and BP2 while the band touch is continu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irection toward the watch head WH from the band regions BP1 and BP2 is the first directio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watch head WH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user wears the wearable
Band touch pressure is an attribute that can be defined, in particular, when the band touch sensor is configured as a sensor capable of sensing the pressure of a touch, such as the
The band touch shear force direction is defined in particular when the band touch sensor is configured as a sensor capable of sensing a shear force on a touch surface of a touch, such as the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디스플레이부(display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에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매커니즘을 제공하는 밴드영역(band portion);
상기 밴드영역에 배치되며, 접촉면에 인가된 제1 지점에서의 제1 벡터 및 제2 지점에서의 제2 벡터를 센싱하는 힘방향 센서부를 구비하는 밴드터치센서(band touch sensor); 및
상기 밴드터치센서에 대한 밴드터치입력의 쉬어포스를 상기 밴드터치센서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쉬어포스의 속성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벡터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면에 대한 수직방향의 힘이고,
상기 제2 벡터는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면에 대한 수직방향의 힘이고,
상기 힘방향 센서부는,
상기 제1 벡터와 상기 제2 벡터의 크기차인 쉬어포스세기를 센싱하고,
상기 접촉면의 중앙에서 상기 제2 벡터와 수직이 되는 방향인 쉬어포스방향을 센싱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I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worn on the user's wrist,
A display portion;
A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and providing a mechanism for allowin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o be worn on a user's wrist;
A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band region and having a force direction sensor unit configured to sense a first vector at a first point and a second vector at a second point applied to a contact surface; And
Obtaining a shear force of a band touch input to the band touch sensor from the band touch senso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based on any one of the obtained properties of the shear force.
The first vector is a for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tact surface from the first point,
The second vector is a for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tact surface from the second point,
The force direction sensor unit,
Sensing a shear force intensity that is a magnitud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vector and the second vector,
Sensing a shear force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vector at the center of the contact surface.
Wearable electronics.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접촉면에서 가장 작은 압력을 받는 지점이고,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접촉면에서 가장 큰 압력을 받는 지점인
웨어러블 전자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oint is the point under the smallest pressure at the contact surface,
The second point is the point under the greatest pressure at the contact surface
Wearable electronics.
상기 밴드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측에 연결되는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측에 연결되는 제2 밴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밴드터치센서는, 상기 제1 밴드영역에 배치되는 제1 밴드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에 배치되는 제2 밴드터치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and region may include a first band region connected to a first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a second band region connected to a second side of the display unit.
The band touch sensor may include a first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first band region and a second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second band region.
Wearable electronics.
상기 제1 밴드터치센서를 통해 제1 밴드터치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밴드터치센서를 통해 제2 밴드터치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밴드터치의 쉬어포스 속성들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의 쉬어포스 속성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ing a first band touch through the first band touch sensor,
Receiving a second band touch through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based on any one of the shear force properties of the first band touch and one of the shear force properties of the second band touch.
Wearable electronics.
디스플레이부(display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측에 연결되는 제1 밴드영역(first band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측에 연결되는 제2 밴드영역(second band portion);
상기 제1 밴드영역에 배치되며, 제1 밴드터치를 입력받는 제1 밴드터치센서(first band touch sensor);
상기 제2 밴드영역에 배치되며, 제2 밴드터치를 입력받는 제2 밴드터치센서(second band touch sensor); 및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밴드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거나, 혹은 상기 제2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거나, 혹은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의 조합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I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worn on the user's wrist,
Display portion
A first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ide of the display unit;
A second band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of the display unit;
A first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first band region and receiving a first band touch;
A second band touch sensor disposed in the second band region and receiving a second band touch;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input through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nd touch,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and touch, or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combination of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Wearable electronics.
상기 제2 밴드영역과 연결되는 상기 제1 밴드영역의 일단 및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연결되는 상기 제2 밴드영역의 일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연결감지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영역과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Based on a sensing value received through a connection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at least one of one end of the first band region connected to the second band region and one end of the second band region connected to the first band region. And determining that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earable electronics.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플랫 상태(flat state)인지 벤딩 상태(bending state)인지를 센싱할 수 있는 벤딩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And a bending sensor capable of sens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is in a flat state or a bending state.
Wearable electronics.
상기 벤딩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플랫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은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On the basis of the sensing value received from the bending sensor,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is in a flat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not connected. Characterized
Wearable electronics.
상기 벤딩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벤딩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은 연결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On the basis of the sensing value received from the bending sensor, when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in a bent state,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determined to be connected.
Wearable electronics.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밴드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input through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are ignored. Characterized by
Wearable electronics.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밴드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센서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band region and the second band region are not mutually,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are deactivated.
Wearable electronics.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는 밴드터치 위치(position), 밴드터치 지속시간(duration time), 밴드터치 이동방향(moving direction), 밴드터치 압력(pressure) 및 밴드터치 쉬어포스방향(shear force direction)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속성을 가지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are a band touch position, a band touch duration time, a band touch moving direction, a band touch pressure, and a band touch shear force direction ( shear force direction) having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thereof
Wearable electronics.
상기 제1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밴드터치의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In order to confi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nd touch, at least one of the attributes of the first band touch is used.
Wearable electronics.
상기 제2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밴드터치의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In order to confi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and touch, at least one of the attributes of the second band touch is used.
Wearable electronics.
상기 제1 밴드터치 및 제2 밴드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밴드터치의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2 밴드터치의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In order to identify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nd touch and the second band touch,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attributes of the first band touch and at least one of the attributes of the second band touch is used.
Wearable electronics.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8713A KR102034320B1 (en) | 2014-12-24 | 2014-12-24 | Wearable electronic device |
US15/535,868 US10599327B2 (en) | 2014-12-24 | 2015-10-08 | Wearable electronic device |
PCT/KR2015/010648 WO2016104922A1 (en) | 2014-12-24 | 2015-10-08 | Wearable electronic device |
CN201580071142.XA CN107111339A (en) | 2014-12-24 | 2015-10-08 | Wearable electronic |
US16/789,326 US10996848B2 (en) | 2014-12-24 | 2020-02-12 | Wearable electronic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8713A KR102034320B1 (en) | 2014-12-24 | 2014-12-24 | Wearable electronic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8710A KR20160078710A (en) | 2016-07-05 |
KR102034320B1 true KR102034320B1 (en) | 2019-10-21 |
Family
ID=5650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88713A KR102034320B1 (en) | 2014-12-24 | 2014-12-24 | Wearable electronic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4320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39320A1 (en) | 2001-01-31 | 2006-06-29 | Microsoft Corporation | Bezel interface for small computing devices |
US20100219943A1 (en) * | 2009-02-27 | 2010-09-02 | Nokia Corporation | Touch Sensitive Wearable Band Apparatus and Method |
WO2012061136A2 (en) | 2010-10-25 | 2012-05-10 | Advance Watch Company, Ltd. D/B/A Geneva Watch Group | Touch screen watch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262002B2 (en) * | 2010-11-03 | 2016-02-16 | Qualcomm Incorporated | Force sensing touch screen |
-
2014
- 2014-12-24 KR KR1020140188713A patent/KR10203432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39320A1 (en) | 2001-01-31 | 2006-06-29 | Microsoft Corporation | Bezel interface for small computing devices |
US20100219943A1 (en) * | 2009-02-27 | 2010-09-02 | Nokia Corporation | Touch Sensitive Wearable Band Apparatus and Method |
WO2012061136A2 (en) | 2010-10-25 | 2012-05-10 | Advance Watch Company, Ltd. D/B/A Geneva Watch Group | Touch screen watc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8710A (en) | 2016-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96848B2 (en) | Wearable electronic device | |
KR102036783B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
KR102018378B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EP2987244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KR20130102834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70021159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10462441B2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US20150234586A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2064618B1 (en) | Wearable electronic device | |
KR20150032011A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712666B1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s shar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 |
KR20150011246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967765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
KR20160122119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2050600B1 (en) | Wearable electronic device | |
KR20150025445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20150057037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
KR102034320B1 (en) | Wearable electronic device | |
KR101604814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40094277A (en) | Method and terminal for recognizing jesture using muti-channel electrodes approach sensor | |
KR101582426B1 (en) | Watch-typ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1496623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750896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 |
KR20170025270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40146939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