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489B1 -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489B1
KR102033489B1 KR1020180134266A KR20180134266A KR102033489B1 KR 102033489 B1 KR102033489 B1 KR 102033489B1 KR 1020180134266 A KR1020180134266 A KR 1020180134266A KR 20180134266 A KR20180134266 A KR 20180134266A KR 102033489 B1 KR102033489 B1 KR 102033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servers
cluster
service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석
국주영
김유정
문혜성
서경석
심상식
이승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8013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6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network management agents or mobile ag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73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web services for network management, e.g.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에서, 복수의 서버로 구성된 서버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b)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설정 불일치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중 일부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SERVER CLUSTER}
본 발명은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복수의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복수의 서버 중 일부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도록 관리하는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활성화로 데이터 처리량이 급증하면서, 멀티 서버를 연동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있는데, 멀티 서버에 대한 설정을 관리하는데 있어, 서버 간의 설정이 동일한지는 개별 서버 별로 각각 확인해야만 한다.
종래에는 서버 간의 설정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과정이 수작업으로 수행되어, 휴먼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템플릿(template) 기반의 서버 설치로 인해, 실제 운영 환경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다시 서버 설정의 수정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 오류 감소를 통해 멀티 서버 관리에 대한 편의성과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실제 운영 환경을 반영하기 전에 서버 설정을 테스트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복수의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복수의 서버 중 일부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도록 관리하는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복수의 서버 간의 설정을 일치시키는 동기화 과정에 있어, 전체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일치하지 않은 설정만 선별적으로 변경되도록 전파하는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를 복제한 클론 서버를 추가하여,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클론 서버를 통해 서버의 확장이 수행되도록 처리하는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서버 그룹 단위로, 복수의 서버가 순차적으로 종료되다가 순차적으로 시작되는 단계적 재시작(Graceful Restart)이 수행되도록 처리하는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테스트 수행 시 테스트 전용 포트를 통해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실제 운영 환경에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스테이징 모드(Staging Mode)를 별도로 제공하는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에서, 복수의 서버로 구성된 서버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b)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설정 불일치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중 일부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마스터 서버로 지정된 제1 서버의 설정을 기준으로,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제2 서버의 설정과 비교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서버의 설정과 일치하지 않은 설정만 상기 제2 서버에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복수의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더라도, 상기 마스터 서버로 지정된 제1 서버의 설정을 통해 상기 제2 서버의 설정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복수의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서버의 설정이 변경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복수의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마스터 서버로 지정된 제1 서버의 설정을 통해 변경된 상기 제2 서버의 설정이 변경 전 상태로 복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은,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확장 대상 서버로 지정된 제1 서버의 구성과 동일하도록 복제된 제2 서버를,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 포함되도록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은,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대한 재시작이 요청되면,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별로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는지 확인하여,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지 않은 서버부터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에 대한 동작이 모두 종료되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된 서버부터 동작이 시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동작 시작 제어 단계는,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된 제1 서버에 대한 테스트 수행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서버가 테스트 전용 포트를 통해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서버에서 서비스 제공에 대한 테스트가 수행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수행 결과, 상기 제1 서버에서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1 서버가 미리 지정된 기본 포트를 통해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서버의 동작이 시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서버로 구성된 서버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서버 설정 확인부;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설정 불일치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설정 불일치 알림부; 및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중 일부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도록 관리하는 서버 설정 관리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서버 설정 확인부는,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마스터 서버로 지정된 제1 서버의 설정을 기준으로,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제2 서버의 설정과 비교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서버 설정 관리부는, 상기 제1 서버의 설정과 일치하지 않은 설정만 상기 제2 서버에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설정 관리부는, 상기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복수의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더라도, 상기 마스터 서버로 지정된 제1 서버의 설정을 통해 상기 제2 서버의 설정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설정 관리부는, 상기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복수의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서버의 설정이 변경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설정 관리부는, 상기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복수의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마스터 서버로 지정된 제1 서버의 설정을 통해 변경된 상기 제2 서버의 설정이 변경 전 상태로 복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확장 대상 서버로 지정된 제1 서버의 구성과 동일하도록 복제된 제2 서버를,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 포함되도록 등록하는 서버 확장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대한 재시작이 요청되면,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별로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는지 확인하여,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지 않은 서버부터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에 대한 동작이 모두 종료되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된 서버부터 동작이 시작되도록 제어하는 서버 재시작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된 제1 서버에 대한 테스트 수행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서버가 테스트 전용 포트를 통해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서버에서 서비스 제공에 대한 테스트가 수행되도록 지원하는 테스트 수행 지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 재시작 관리부는, 상기 테스트 수행 결과, 상기 제1 서버에서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1 서버가 미리 지정된 기본 포트를 통해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서버의 동작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웹 서버, WAS, 세션 서버에 대해 업무 관점에서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그룹 별로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지 않으면,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도록 자동으로 관리함으로써, 멀티 서버 관리에 대한 편의성 및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설정을 동기화하는데 있어, 전체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일치하지 않은 설정만 선별적으로 변경되도록 전파함으로써, 자원 사용이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클론 서버를 통해 실시간으로 서버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량 증가 등으로 인해 서버 클러스터의 확장이 필요한 경우, 클론 서버를 추가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서버 그룹 단위로, 복수의 서버가 순차적으로 종료되다가 순차적으로 시작되는 단계적 재시작(Graceful Restart)이 수행되도록 처리하여, 서버 재시작 시 서버에서 기 수행중인 업무의 처리 완료를 보장할 수 있으며, 테스트 수행 시 테스트 전용 포트를 통해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실제 운영 환경에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스테이징 모드(Staging mode)를 별도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클러스터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클러스터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서버 간의 설정을 동기화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도록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마스터 서버의 설정 전파 시 오류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서버를 복제하여 확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서버 재시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클러스터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 클러스터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서버로 구성된 서버 클러스터(100)와,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클러스터 관리 시스템은 논리적인 서버 구분인 노드(Node)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웹 서버(Web Server)로 구성된 노드 1 및 노드 2, 관리 서버(200)로 구성된 노드 3, 애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및 세션 서버(Session Server)로 구성된 노드 4 및 노드 5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 1 및 노드 2를 통해 웹(Web) 영역을 구성하고, 노드 3을 통해 매니저(Manager)를 구성하고, 노드 4 및 노드 5를 통해 WAS(Web Application Server)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웹(Web) 영역은 웹 서버(Web Server)가 설치된 노드들로 구성되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영역을 의미하며, 웹 서버(Web Server)가 포함된 하나의 노드 또는 복수의 노드를 통해 웹(Web) 영역이 구성될 수 있다.
WAS 영역은 애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및 세션 서버(Session Server)가 설치된 노드들로 구성되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영역을 의미하며, 애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만 포함된 하나의 노드 또는 복수의 노드를 통해 WAS 영역이 구성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및 세션 서버(Session Server)가 포함된 하나의 노드 또는 복수의 노드를 통해 WAS 영역이 구성될 수도 있다.
매니저(Manager)에 등록된 노드(Node) 또는 서버(Server)에는 각각의 에이전트(Agent)가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노드 1, 노드 2, 노드 4 및 노드 5는 각각의 에이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매니저는 에이전트를 통한 제어와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매니저를 구성하고 있는 관리 서버(200)는 매니저 운영을 위한 저장소(Repository)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에 포함된 각각의 에이전트는 서버의 제어 요청, 예를 들면, 시작(Start), 종료(Stop), 리로드(Reload) 등을 처리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정보를 매니저로 전송할 수 있다.
노드에 포함된 노드 에이전트는 웹 서버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서버의 설치, 패치, 업데이트 등의 기능도 제공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어, 서버 설정 관리 등의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에는 어드버타이저(Advertiser)가 포함될 수 있으며, 어드버타이저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취합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매니저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복수의 세션 서버(Session Server) 간에는 세션 클러스터링(Session Clustering)을 통해 세션 정보가 동기화될 수 있으며, 서버 클러스터링(Server Clustering)을 통해 세션 서버(Session Server)의 구성 정보가 동기화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클러스터(100)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 클러스터(100)는 웹 서버(Web Server), WAS(Web Application Server), 세션 서버(Session Sev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웹 서버, WAS 및 세션 서버를 업무 단위로 구분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할 수 있다.
세션 서버(Session Sever)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WAS 영역에 포함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WAS 영역에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서버 클러스터(100)는 동일한 설정으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서버를 논리적인 하나의 집합체로 구성한 것으로, 여러 개의 웹 서버, WAS, 세션 서버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서버 클러스터(100)는 각각의 서버가 설치된 물리적인 장비의 위치와 무관하게, 업무를 기준으로 웹 서버, WAS 및 세션 서버를 구성할 수 있다.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웹 서버, WAS 및 세션 서버 각각은 부하 분산, 장애 대응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중화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동일 업무를 제공하기 위한 용도이므로, 서버의 유형 별로 동일한 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300)은 관리 서버(200)를 통해 서버 클러스터(100)에 접속하여, 서버 클러스터(100)를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개별 서버를 관리하기 위해 각각의 물리 장비(400)에 에이전트(5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물리 장비(400) 및 에이전트(500)는 서버 클러스터(100)의 구성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200)는 서버 설정 확인부(210), 설정 불일치 알림부(220), 서버 설정 관리부(230), 서버 확장 등록부(240), 서버 재시작 관리부(250) 및 테스트 수행 지원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서버 설정 확인부(210)는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중 제1 서버가 마스터 서버(Master Server)로 지정되면,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중 제1 서버 이외의 나머지 서버인 제2 서버가 슬레이브 서버(Slave Server)로 자동 지정될 수 있으며, 서버 설정 확인부(210)는 제1 서버의 설정을 기준으로, 제2 서버의 설정과 비교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 설정 확인부(210)는 슬레이브 서버인 제2 서버가 복수인 경우, 마스터 서버인 제1 서버의 설정을 기준으로, 슬레이브 서버인 제2 서버의 설정을 각각 비교하여, 제1 서버와 설정이 일치하지 않은 서버가 제2 서버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웹 서버, WAS 및 세션 서버가 업무 단위로 구분되어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되고 있으면, 서버 설정 확인부(210)는 그룹 별로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서버 설정에 대한 동기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설정 불일치 알림부(220)는 서버 설정 확인부(210)에서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설정 불일치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설정 불일치 알림부(220)는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서버 설정의 불일치 발생을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서버 설정 관리부(230)는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중 일부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서버로 지정된 제1 서버와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제2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지 않으면, 서버 설정 관리부(230)는 제2 서버의 설정을 변경하여, 제1 서버와 제2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서버 설정 관리부(230)는 제2 서버의 설정 변경 시, 제2 서버의 설정을 전부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서버의 설정과 일치하지 않은 설정만 제2 서버에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에는 A 설정, B 설정, C 설정 등이 설정되어 있는데, 제1 서버와 제2 서버의 설정을 비교한 결과, A 설정과 C 설정은 일치하고, B 설정만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서버에서 A 설정과 C 설정은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B 설정만 제1 서버와 동일하게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버 설정 관리부(230)는 제2 서버의 설정을 제1 서버의 설정과 일치하도록 변경하여,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도록 관리하는 동기화 작업과 관련하여, 서버 설정 확인부(210)는 서버 클러스터(100) 내 서버 간의 설정에 대한 동기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설정 불일치 알림부(220)는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지 않으면, 설정 불일치에 대해 실시간으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 설정 관리부(230)는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서버 간의 설정이 전파되도록 제어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도록 연동시킬 수 있다.
즉, 서버 클러스터(100) 내 업무 단위로 구분된 그룹 별로, 그룹 내 서버 간의 설정에 대한 동기화 상태 확인, 그룹 내 서버 간의 설정 불일치 발생 시 실시간 알림, 그룹 내 서버 간의 설정 불일치 시 설정 전파를 통해 서버 간의 설정에 대한 동일성을 보장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서버 설정 관리부(230)는 마스터 서버로 지정된 제1 서버의 설정을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복수의 제2 서버로 전파하여, 제1 서버의 설정을 통해 제2 서버의 설정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설정 전파 과정에서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복수의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오류 처리 방식에 따라, 오류를 무시하고 설정 전파 과정을 계속 진행하거나, 오류 확인에 따라 설정 전파 과정을 중단하거나, 오류 검출로 인해 변경된 설정을 원상 복구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설정 관리부(230)는 복수의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더라도, 확인된 오류를 무시하고 제1 서버의 설정을 통해 제2 서버의 설정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설정 관리부(230)는 복수의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서버의 설정이 더 이상 변경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설정 관리부(230)는 복수의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서버의 설정을 통해 변경된 제2 서버의 설정이 변경 전 상태로 복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슬레이브 서버에 마스터 서버의 설정이 전파될 때, 오류 처리 방식에 따라 설정 전파 과정이 다양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서버 확장 등록부(240)는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제1 서버가 확장 대상 서버로 지정되면, 제1 서버의 구성과 동일하도록 제2 서버를 복제하여, 제1 서버의 구성을 복제하여 생성된 제2 서버가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 새로 포함되도록 등록할 수 있다.
서버 확장 등록부(240)는 기동 중인 제1 서버를 실시간으로 동일하게 복제하여, 복제된 제2 서버를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 포함되도록 등록함으로써,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되는 서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즉,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서버 확장을 통해 확장되어 새로 추가된 서버의 동일성까지 보장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서버 재시작 관리부(250)는 서버 클러스터(100)에 대한 재시작이 요청되면,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별로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는지 확인하여,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지 않은 서버부터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에 대한 동작이 모두 종료되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된 서버부터 동작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버 재시작 관리부(250)는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복수의 서버가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지 않은 서버부터 순차적으로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한 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된 서버부터 순차적으로 동작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에 대한 동작이 모두 종료된 후,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가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준비 상태로 기동될 수 있으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된 서버 중 제1 서버에 대한 테스트 수행이 선택되면, 테스트 수행 지원부(260)는 제1 서버가 테스트 전용 포트를 통해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제1 서버에서 서비스 제공에 대한 테스트가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테스트 수행 결과, 제1 서버에서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확인되면, 서버 재시작 관리부(250)는 제1 서버가 미리 지정된 기본 포트를 통해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제1 서버의 동작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서버 그룹 단위로, 복수의 서버가 순차적으로 종료되다가 순차적으로 시작되는 단계적 재시작(Graceful Restart)이 수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테스트 수행 시 테스트 전용 포트를 통해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스테이징 모드(Staging mode)를 별도로 제공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서버 간의 설정을 동기화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동기화 체크 단계(S401)에서, 관리자 단말(300)은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버 클러스터(100)에 대한 동기화 체크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마스터 서버 설정 조회 단계(S402)에서, 관리 서버(200)는 서버 간의 설정 비교 시, 기준이 되는 서버인 마스터 서버에 대한 설정을 조회하여 확인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탬플릿이나 별도 저장소에서 관리하는 설정값이 아니라, 실제 운영중인 서버의 설정값을 기준으로 하여, 마스터 서버의 설정을 조회할 수 있다.
이후, 비교 대상 설정 목록 조회 단계(S403)에서, 관리 서버(200)는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중 마스터 서버 이외의 나머지 서버인 슬레이브 서버에서, 비교 대상으로 설정된 목록을 조회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마스터 서버와 슬레이브 서버의 설정 비교 단계(S404)에서, 관리 서버(200)는 마스터 서버와 슬레이브 서버 각각의 설정을 비교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슬레이브 서버가 복수인 경우, 마스터 서버와 복수의 슬레이브 서버를 각각 비교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마스터 서버와 슬레이브 서버 간의 설정 비교 시, S403 단계에서 비교 대상으로 설정된 목록에 대해서만 설정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동일하지 않은 설정 확인 단계(S405)에서, 관리 서버(200)는 마스터 서버와 슬레이브 서버 간의 설정을 비교한 결과, 동일하지 않은 설정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동일하지 않은 설정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서버 간의 설정이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서버의 동기화 수행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관리 서버(200)는 서버 설정 동기화 수행 없이 동기화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동일하지 않은 설정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서버 간의 설정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서버의 동기화 수행이 필요하므로, 설정 불일치 알림 단계(S406)에서, 관리 서버(200)는 설정 불일치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지 않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다.
이후, 동기화 수행 단계(S407)에서, 관리자 단말(300)은 설정 불일치 알림 메시지의 응답으로, 서버의 동기화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가 선택되면, 동기화 수행 여부 응답 메시지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서버 간의 동기화를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응답 메시지가 전송되면, 관리 서버(200)는 서버 간의 설정이 동일하지 않더라도, 관리자가 서버의 동기화 수행을 원하지 않으므로, 관리 서버(200)는 서버 설정 동기화 수행 동기화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서버 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응답 메시지가 전송되면, 동기화 대상 설정 목록 구성 단계(S408)에서, 관리 서버(200)는 슬레이브 서버 별로 동기화시켜야 하는 대상에 대한 설정 목록을 구성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서버인 제1 서버와 슬레이브 서버로 2-1 서버, 2-2 서버, 2-3 등을 비교한 결과, 2-1 서버 및 2-2 서버만 제1 서버와 설정이 동일하지 않으며, 2-1 서버는 A 설정이 동일하지 않고, 2-2 서버는 B 설정이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관리 서버(200)는 동기화 대상 서버로 2-1 서버 및 2-1 서버를 선별하고, 동기화 대상 설정으로 2-1 서버엔 A 설정, 2-2 서버엔 B 설정을 선별하여, 동기화 대상 설정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대상 설정 목록을 마스터 서버에서 생성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200)는 마스터 서버로부터 동기화 대상 설정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동기화 대상 설정 전파 단계(S409)에서, 관리 서버(200)는 동기화 대상 설정 목록을 기초로, 동기화 대상 서버 별로 마스터 서버의 설정과 일치하지 않은 설정만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마스터 서버의 설정이 동기화 대상 서버로 전파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서버 간의 설정을 일치시켜 서버 설정의 동기화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설정을 동기화하는데 있어, 전체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일치하지 않은 설정만 선별적으로 변경되도록 전파함으로써, 자원 사용이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도록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클러스터(100)는 마스터 서버와 슬레이브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300)은 관리 서버(200)를 통해 서버 클러스터(100)에 접속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300)은 서버 클러스터(100)에 접속하여, 서버 및 동기화 대상을 설정할 수 있으며, 접근 제어 권한이 있는 서버 클러스터(100)에만 접속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300)은 마스터 서버 변경 요청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200)는 변경 요청된 서버를 검증하여,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마스터 서버로 지정하여 등록할 수 있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300)은 서버 동기화 요청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200)는 마스터 서버의 설정을 기준으로, 슬레이브 서버의 설정과 각각 비교하여,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서버 간의 동기화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300)의 요청으로, 슬레이브 서버 중 개별 서버의 설정이 수정될 수 있으며,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200)는 서버 간의 설정을 비교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서버 설정이 일치하지 않아 비동기화 상태라는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300)은 서버 동기화 요청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200)는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도록 변경함으로써,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마스터 서버의 설정 전파 시 오류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 클러스터(100)는 마스터 서버와 복수의 슬레이브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스터 서버의 설정이 복수의 슬레이브 서버로 전파되어, 슬레이브 서버 각각의 설정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설정 전파 시, 마스터 서버의 설정은 복수의 슬레이브 서버 각각에 순차적으로 전파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스터 서버, 제1 슬레이브 서버, 제2 슬레이브 서버, 제3 슬레이브 서버, 제4 슬레이스 서버 등의 순서로 마스터 서버의 설정이 전파될 수 있다.
설정 전파 시, 복수의 슬레이브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다양한 방식을 통해 오류를 처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오류가 있다고 하더라도 무시하고 설정을 전파하는 포스(Force) 방식, 오류가 있으면 설정 전파를 중단하는 스탑(Stop) 방식, 오류가 있으면 기 변경된 설정을 원상 복구시키는 롤백(Rollback) 방식 등을 통해, 설정 전파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서버, 제1 슬레이브 서버, 제2 슬레이브 서버, 제3 슬레이브 서버 및 제4 슬레이스 서버의 순으로 설정을 전파하는 과정에서, 제3 슬레이브 서버에 오류가 있다고 확인되는 경우, 포스(Force) 방식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슬레이브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더라도 오류를 무시하고, 제3 슬레이브 서버의 다음 순서인 제4 슬레이브 서버에 설정이 전파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스탑(Stop) 방식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슬레이브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설정 전파 과정을 중단하여, 제3 슬레이브 서버의 다음 순서인 제4 슬레이브 서버에는 설정이 전파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롤백(Rollback) 방식은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슬레이브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3 슬레이브 서버의 앞 순서인 제2 슬레이브 서버 및 제1 슬레이브 서버의 설정을 변경 전 상태로 원상 복구시키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마스터 서버의 설정을 복수의 슬레이브 서버로 전파하는 과정에 있어, 복수의 슬레이브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에서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포스(Force) 방식, 스탑(Stop) 방식 및 롤백(Rollback)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설정 전파에 대한 오류를 처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서버를 복제하여 확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300)은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확장 대상 서버로 제1 서버(110)를 지정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200)는 제1 서버(110)의 구성과 동일하도록 복제된 클론 서버인 제2 서버(120)를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 포함되도록 등록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확장 대상 서버인 제1 서버(110)와 IP 및 포트 이외의 구성이 모두 동일한 제2 서버(120)를 신규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템플릿이나 저장소에서 관리하는 설정값 기반이 아니라, 실제 운영중인 서버를 실시간으로 복제하여 제2 서버(120)를 생성할 수 있다.
클론 서버인 제2 서버(120)는 동일 장비 내에서 확장될 수 있고, 다른 장비로 확장될 수도 있다.
관리 서버(200)는 동일 장비 내에서 서버 확장하는 경우, 동일 장비에 대해서는 대상 서버의 복제, 설치 및 등록의 절차를 자동화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다른 장비로 서버 확장하는 경우, 원격 장비에 대해서는 대상 서버 압축, 전송, 압축 해제, 설치 및 등록의 절차를 자동화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웹 서버와 WAS는 클론 서버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량 증가 등으로 인해 서버 클러스터(100)의 확장이 필요한 경우, 클론 서버를 추가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서버 재시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서버 클러스터 재시작 요청 단계(S701)에서, 관리자 단말(300)은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버 클러스터(100)에 대한 단계적 재시작(Graceful Restart)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처리중인 서비스 확인 단계(S702)에서, 관리 서버(200)는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각각의 개별 웹 서버에 대해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지 않은 웹 서버가 확인되면, 웹 서버별 종료 수행 단계(S703)에서, 관리 서버(200)는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지 않은 웹 서버에 대해서만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웹 서버에 대해서는, 일정 시간 대기 이후, 다시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어야만, S703 단계에서, 웹 서버에 대한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모든 웹 서버에 대한 동작이 종료되면, WAS별 종료 수행 단계(S704)에서, 관리 서버(200)는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각각의 개별 WAS에 대해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모든 WAS 종료 확인 단계(S705)에서, 관리 서버(200)는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모든 WAS에 대한 동작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모든 WAS에 대한 동작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일정 시간 대기 이후, 다시 S704 단계를 수행하여, 개별 WAS에 대한 동작이 더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모든 WAS에 대한 동작이 종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WAS별 시작 수행 단계(S706)에서, 관리 서버(200)는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각각의 개별 WAS에 대한 동작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WAS 기동 확인 단계(S707)에서, 관리 서버(200)는 동작이 시작되어 기동중인 상태인 WAS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7 단계에서, 기동중인 상태의 WAS가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일정 시간 대기 이후, 다시 706 단계를 수행하여, 개별 WAS에 대한 동작이 더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707 단계에서, 기동중인 상태의 WAS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 상태 확인 단계(S708)에서, 관리 서버(200)는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인 WAS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WAS가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인지 확인하는 절차에서,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은 WAS가 기동되었는가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WAS에 배치된 서비스가 업무를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WAS의 상태 뿐만 아니라 특정 업무를 수행해서 정상적인 응답이 오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각 WAS 별로 업무의 정상 수행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방법이 미리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S708 단계에서,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의 WAS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테스트 수행 확인 단계(S709)에서,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에게 서버를 오픈하기 전에 테스트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을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테스트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9 단계에서,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테스트 전용 포트로 접속 단계(S710)에서, 관리 서버(200)는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스테이징 모드(Staging mode)로 웹 서버의 동작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스테이징 포트(Staging port)인 테스트 전용 포트로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테스트 전용 포트로 서비스에 대한 테스트가 수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기본 포트가 아니라, 테스트 전용 포트인 스테이징 포트로 웹 서버를 기동할 수 있으며, 스테이징 포트는 외부 사용자에게 오픈되지 않고 시스템 관리자 계정으로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테스트 전용 포트로 접속되더라도, 기본 포트로 접속되는 것과 포트 번호만 상이할 뿐, 서비스의 제공은 동일하기 때문에, 시스템 관리자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오픈하기 전에 운영 환경에서 업무를 테스트할 수 있다.
스테이징 모드(Staging mode)에서 수행된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에 대해서는 업무 단위로 롤백(rollback)을 수행하여, 테스트에 의한 데이터베이스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정상 동작 확인 단계(S711)에서, 관리 서버(200)는 테스트 수행 결과 서비스가 정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11 단계에서, 서비스가 정상으로 동작한 것으로 확인되면, 웹 서버 재시작 수행 단계(S712)에서, 관리 서버(200)는 테스트 수행을 완료한 웹 서버에 대한 동작이 다시 시작되도록 제어하여, 서버 클러스터(100)에 대한 단계적 재시작(Graceful Restart) 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될 수 있다.
S711 단계에서, 서비스가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서버 클러스터(100)에 대한 단계적 재시작(Graceful Restart) 과정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될 수 있으며, S708 단계에서,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의 WAS가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도, 서버 클러스터(100)에 대한 단계적 재시작 과정(Graceful Restart)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될 수 있다.
한편, S709 단계에서, 테스트를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기본 포트로 접속 단계(S713)에서, 관리 서버(200)는 웹 서버가 기본 포트로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서버 클러스터(100)에 대한 단계적 재시작(Graceful Restart) 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 단말(300)에서 매니저(Manager)를 통해 서버 클러스터(100)에 대한 단계적 재시작(Graceful Restart)을 요청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200)에서 서버 클러스터(100)에 대한 단계적 재시작(Graceful Restart) 절차가 수행될 수 있는데, 이때, 관리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매니저(Manager)가 에이전트(Agent)를 통해 서버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클러스터(100) 내에서 서버 그룹 단위로, 복수의 서버가 순차적으로 종료되다가 순차적으로 시작되는 단계적 재시작(Graceful Restart)이 수행되도록 처리하여, 서버 재시작 시 서버에서 기 수행중인 업무의 처리 완료를 보장할 수 있으며, 테스트 수행 시 테스트 전용 포트를 통해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실제 운영 환경에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스테이징 모드(Staging mode)를 별도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서버 클러스터
110 : 제1 서버
120 : 제2 서버
200 : 관리 서버
210 : 서버 설정 확인부
220 : 설정 불일치 알림부
230 : 서버 설정 관리부
240 : 서버 확장 등록부
250 : 서버 재시작 관리부
260 : 테스트 수행 지원부
300 : 관리자 단말
400 : 물리 장비
500 : 에이전트

Claims (17)

  1. 관리 서버에서, 복수의 서버로 구성된 서버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b)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설정 불일치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중 일부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대한 재시작이 요청되면,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별로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는지 확인하여,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지 않은 서버부터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에 대한 동작이 모두 종료되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된 서버부터 동작이 시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 동작 시작 제어 단계는,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된 제1 서버에 대한 테스트 수행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서버가 테스트 전용 포트를 통해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서버에서 서비스 제공에 대한 테스트가 수행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수행 결과, 상기 제1 서버에서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1 서버가 미리 지정된 기본 포트를 통해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서버의 동작이 시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매니저를 통해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대한 단계적 재시작을 요청하면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서버 그룹 단위로, 복수의 서버가 순차적으로 종료되다가 순차적으로 시작되는 단계적 재시작이 수행되도록 처리하는,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마스터 서버로 지정된 제1 서버의 설정을 기준으로,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제2 서버의 설정과 비교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서버의 설정과 일치하지 않은 설정만 상기 제2 서버에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복수의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더라도, 상기 마스터 서버로 지정된 제1 서버의 설정을 통해 상기 제2 서버의 설정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복수의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서버의 설정이 변경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복수의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마스터 서버로 지정된 제1 서버의 설정을 통해 변경된 상기 제2 서버의 설정이 변경 전 상태로 복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확장 대상 서버로 지정된 제1 서버의 구성과 동일하도록 복제된 제2 서버를,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 포함되도록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7. 삭제
  8. 삭제
  9. 복수의 서버로 구성된 서버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서버 설정 확인부;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설정 불일치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설정 불일치 알림부; 및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중 일부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도록 관리하는 서버 설정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대한 재시작이 요청되면,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별로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는지 확인하여,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지 않은 서버부터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에 대한 동작이 모두 종료되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된 서버부터 동작이 시작되도록 제어하는 서버 재시작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된 제1 서버에 대한 테스트 수행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서버가 테스트 전용 포트를 통해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서버에서 서비스 제공에 대한 테스트가 수행되도록 지원하는 테스트 수행 지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 재시작 관리부는,
    상기 테스트 수행 결과, 상기 제1 서버에서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1 서버가 미리 지정된 기본 포트를 통해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서버의 동작이 시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매니저를 통해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대한 단계적 재시작을 요청하면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서버 그룹 단위로, 복수의 서버가 순차적으로 종료되다가 순차적으로 시작되는 단계적 재시작이 수행되도록 처리하는, 관리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설정 확인부는,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마스터 서버로 지정된 제1 서버의 설정을 기준으로,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제2 서버의 설정과 비교하여, 서버 간의 설정이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서버 설정 관리부는,
    상기 제1 서버의 설정과 일치하지 않은 설정만 상기 제2 서버에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관리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설정 관리부는,
    상기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복수의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더라도, 상기 마스터 서버로 지정된 제1 서버의 설정을 통해 상기 제2 서버의 설정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관리 서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설정 관리부는,
    상기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복수의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서버의 설정이 변경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관리 서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설정 관리부는,
    상기 슬레이브 서버로 지정된 복수의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마스터 서버로 지정된 제1 서버의 설정을 통해 변경된 상기 제2 서버의 설정이 변경 전 상태로 복구되도록 제어하는, 관리 서버.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서 확장 대상 서버로 지정된 제1 서버의 구성과 동일하도록 복제된 제2 서버를, 상기 서버 클러스터 내에 포함되도록 등록하는 서버 확장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관리 서버.
  15. 삭제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클러스터 재시작 요청 단계에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 클러스터에 대한 단계적 재시작(Graceful Restart)을 요청하는 서버 클러스터 재시작 요청 단계(S701);
    이후, 처리중인 서비스 확인 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각각의 개별 웹 서버에 대해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처리중인 서비스 확인 단계(S702);
    상기 S702 단계에서,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지 않은 웹 서버가 확인되면, 웹 서버별 종료 수행 단계(S703)에서, 상기 관리 서버(200)는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지 않은 웹 서버에 대해서만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S702 단계에서,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웹 서버에 대해서는, 일정 시간 대기 이후, 다시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처리중인 서비스가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어야만, 상기 S703 단계에서, 웹 서버에 대한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모든 웹 서버에 대한 동작이 종료되면, WAS별 종료 수행 단계(S704)에서, 관리 서버(200)는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각각의 개별 WAS에 대해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 모든 WAS 종료 확인 단계(S705)에서,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모든 WAS에 대한 동작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S705 단계에서, 상기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모든 WAS에 대한 동작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일정 시간 대기 이후, 다시 S704 단계를 수행하여, 개별 WAS에 대한 동작이 더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S705 단계에서, 상기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모든 WAS에 대한 동작이 종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WAS별 시작 수행 단계(S706)에서,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서버 클러스터(100)에 포함된 각각의 개별 WAS에 대한 동작이 시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 WAS 기동 확인 단계(S707)에서, 상기 관리 서버(200)는 동작이 시작되어 기동중인 상태인 WAS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S707 단계에서, 기동중인 상태의 WAS가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일정 시간 대기 이후, 다시 706 단계를 수행하여, 개별 WAS에 대한 동작이 더 시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S707 단계에서, 기동중인 상태의 WAS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 상태 확인 단계(S708)에서, 상기 관리 서버(200)는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인 WAS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S708 단계에서,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의 WAS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테스트 수행 확인 단계(S709)에서, 상기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에게 서버를 오픈하기 전에 테스트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을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테스트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S709 단계에서,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테스트 전용 포트로 접속 단계(S710)에서, 상기 관리 서버(200)는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스테이징 모드(Staging mode)로 웹 서버의 동작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스테이징 포트(Staging port)인 테스트 전용 포트로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테스트 전용 포트로 서비스에 대한 테스트가 수행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이후, 서비스 정상 동작 확인 단계(S711)에서, 상기 관리 서버(200)는 테스트 수행 결과 서비스가 정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S711 단계에서, 서비스가 정상으로 동작한 것으로 확인되면, 웹 서버 재시작 수행 단계(S712)에서, 상기 관리 서버(200)는 테스트 수행을 완료한 웹 서버에 대한 동작이 다시 시작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서버 클러스터(100)에 대한 단계적 재시작(Graceful Restart) 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되는 단계;
    상기 S711 단계에서, 서비스가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서버 클러스터(100)에 대한 단계적 재시작(Graceful Restart) 과정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될 수 있으며, 상기 S708 단계에서,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의 WAS가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도, 상기 서버 클러스터(100)에 대한 단계적 재시작 과정(Graceful Restart)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단계;
    한편, 상기 S709 단계에서, 테스트를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기본 포트로 접속 단계(S713)에서, 상기 관리 서버(200)는 웹 서버가 기본 포트로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서버 클러스터(100)에 대한 단계적 재시작(Graceful Restart) 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KR1020180134266A 2018-11-05 2018-11-05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및 서버 KR102033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266A KR102033489B1 (ko) 2018-11-05 2018-11-05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266A KR102033489B1 (ko) 2018-11-05 2018-11-05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489B1 true KR102033489B1 (ko) 2019-10-17

Family

ID=68424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266A KR102033489B1 (ko) 2018-11-05 2018-11-05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4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66428A (zh) * 2023-01-06 2023-05-26 菲尼思信息技术(苏州)有限公司 高并发高流量系统负载资源处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8169A (ja) * 1998-09-01 2000-03-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サーバ設定装置
CN104468734A (zh) * 2014-11-18 2015-03-25 国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克隆的虚拟集群扩展方法
JP5828348B2 (ja) * 2011-12-21 2015-12-02 富士通株式会社 試験サーバ、情報処理システム、試験プログラムおよび試験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8169A (ja) * 1998-09-01 2000-03-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サーバ設定装置
JP5828348B2 (ja) * 2011-12-21 2015-12-02 富士通株式会社 試験サーバ、情報処理システム、試験プログラムおよび試験方法
CN104468734A (zh) * 2014-11-18 2015-03-25 国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克隆的虚拟集群扩展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66428A (zh) * 2023-01-06 2023-05-26 菲尼思信息技术(苏州)有限公司 高并发高流量系统负载资源处理方法
CN116166428B (zh) * 2023-01-06 2023-12-12 菲尼思信息技术(苏州)有限公司 高并发高流量系统负载资源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7254B2 (en) Provisioning and managing replicated data instances
US116151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node resiliency for blockchain peers
US115208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data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in a networked environment without a central server
KR101970839B1 (ko) 서비스의 2차 위치에서의 작업의 재생 기법
TW497071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lustered computer systems
WO2017162173A1 (zh) 云服务器集群建立连接的方法和装置
CN106657167B (zh) 管理服务器、服务器集群、以及管理方法
US201001748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figuration synchronicity
US8533525B2 (en) Data management apparatus, monitoring apparatus, replica apparatus, cluster system,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W200805941A (en) High-availability network systems
CN106960060B (zh) 一种数据库集群的管理方法及装置
CN106936623A (zh) 分布式缓存系统及缓存集群的管理方法
WO2016070651A1 (zh) 软件中心系统
CN110069365B (zh) 管理数据库的方法和相应的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33489B1 (ko) 서버 클러스터 관리 방법 및 서버
US20240106708A1 (en) Fabric availability and synchronization
CN107645396B (zh) 一种集群扩容方法及装置
WO2022227719A1 (zh) 数据备份方法、系统及相关设备
WO2016090938A1 (zh) 一种数据通信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16346834A (zh) 一种会话同步方法、装置、计算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WO2016183735A1 (zh) 一种同步虚拟网络功能vnf状态的方法、装置和设备
WO2017088525A1 (zh) 一种文件分发系统、文件分发系统的管理方法和管理装置
KR100604593B1 (ko) 구성정보 공유를 통한 클러스터 시스템 동적 재구성 방법
WO2023241466A1 (zh) 容灾系统控制方法、容灾系统、电子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6414915A (zh) 分布式数据库集群的管控方法、装置和数据库管控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