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392B1 -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 - Google Patents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392B1
KR102033392B1 KR1020170181922A KR20170181922A KR102033392B1 KR 102033392 B1 KR102033392 B1 KR 102033392B1 KR 1020170181922 A KR1020170181922 A KR 1020170181922A KR 20170181922 A KR20170181922 A KR 20170181922A KR 102033392 B1 KR102033392 B1 KR 102033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algae
wastewater
dyeing wastewater
microalgal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864A (ko
Inventor
김상현
쿠말 고팔라
멩후어 후이
강신영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1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3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2Photo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6Nozzles; Sprayers; Spargers;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06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illum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26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p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3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 C12M41/34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of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염색폐수를 영양공급원으로 하여 미세조류의 배양에 이용함과 동시에 염색폐수의 정화처리가 가능한 미세조류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장치는 염색폐수가 저장되는 염색폐수 저장조;와 내부 또는 외부에 광원이 구비되며, 미세조류와 상기 염색폐수 저장조로부터 이송된 염색폐수를 광반응시켜 미세조류 군집을 배양하는 광생물 반응기;와 상기 광원과 연결되어 광도와 광주기를 제어하기 위한 광조사제어부;와 상기 광생물 반응기의 하부에 구비되며,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스파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Apparatus for Cultivation of Microalgae using Textile Wastewater and Cultiv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염색폐수를 영양공급원으로 하여 미세조류의 배양에 이용함과 동시에 염색폐수의 정화처리가 가능한 미세조류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를 바탕으로 한 산업부문의 발달이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증가하여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었고 대기오염에 따른 환경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친환경 연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주로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바이오 매스를 이용하여 바이오연료를 생산하는 기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생산 가능한 바이오연료로는 바이오 디젤, 바이오 에탄올, 바이오가스 등이 상용 플랜트로 가동되고 있다.
해수나 담수에 널리 분포하는 광합성 생물인 조류(Algae)로부터 생산되는 바이오연료는 소위 곡물 자원을 사용한 1세대 바이오연료, 작물의 줄기나 폐목재 등을 사용하는 2세대 바이오연료에 이어 미래의 3세대 바이오연료(3rd generation biofuel)로 인식되고 있다.
조류는 대기나 수중의 이산화탄소와 물을 원료로 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물질을 합성하고 산소를 생산하는 광합성 생물로써 지구상에서 육상식물과 대등한 수준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전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특히, 미세조류는 거대조류에 비하여 에너지 전환 효율이 좋아 바이오매스로 각광받고 있다.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매스의 생산과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372298호는 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오일을 추출함에 있어, 미세조류내 포함된 기름방울(oil drop)을 바이오디젤을 포함하는 용매를 사용하여 팽윤(swelling)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디젤의 제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194942호는 유기성폐기물을 발효하여 유기성폐수와 바이오가스를 생산한 후, 생산된 유기성폐수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배양함으로써, 유기성폐수를 정화하는 것은 물론, 배양된 미세조류로부터 세포비파괴 방법으로 지용성물질을 생산하고 살아있는 미세조류를 고밀도 재배양하여 미세조류 바이오매스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에 제시하고 있다.
한편, 다양한 산업폐수 및 유기폐수 중 염색 가공시 발생하는 염색폐수에는 호제 및 염료 등이 피가공물에 전량 결합되지 못하고 상당량이 물에 혼합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생물학적으로 분해가 어려운 유기오염물질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다양한 색상의 염료로 인해 제거하기 어려운 색도까지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염색폐수는 염색폐수처리장에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후 생활하수 등을 처리하는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져 배출허용기준 이내까지 재차 처리되어 하천에 방류되고 있으나 염색폐수로 인해 발생한 색도는 하수종말처리장의 처리공정을 거친 후에도 충분히 제거가 되지 않기 때문에 하천에 유입될 경우 경관에 영향을 주어 심미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염색용수나 기타 공업용수로도 재이용할 수 없어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발명자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바이오매스 생산 및 폐수의 처리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다양한 산업폐수 및 유기폐수 중 염색폐수를 배지로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배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더 나아가 더욱 효율적으로 미세조류를 배양하고 동시에 폐수 정화 처리가 가능한 방법 및 장치를 개발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2298호(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디젤을 제조하는 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1194942호(유기성폐기물의 미세조류배양에 의한 바이오가스, 지용성물질 및 미세조류의 생산 방법 및 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염색폐수를 영양공급원으로 하여 미세조류의 배양에 이용함과 동시에 염색폐수의 정화처리가 가능한 미세조류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장치는 염색폐수가 저장되는 염색폐수 저장조;와 내부 또는 외부에 광원이 구비되며, 미세조류와 상기 염색폐수 저장조로부터 이송된 염색폐수를 광반응시켜 미세조류 군집을 배양하는 광생물 반응기;와 상기 광원과 연결되어 광도와 광주기를 제어하기 위한 광조사제어부;와 상기 광생물 반응기의 하부에 구비되며,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스파저;를 포함한다.
상기 광조사제어부는 150 내지 250 mol.m- 2.s-1의 광도로 1일당 10 내지 14시간 광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생물 반응기는 pH 센서;와 용존산소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하며, 상기 광생물 반응기 내부의 pH 값, 용존산소량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미세조류 성장지표가 기설정된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광생물 반응기 내 배양액 전체 100 부피% 중 30 내지 60부피%를 배출시키고, 30 내지 60부피%의 염색폐수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방법은 내부 또는 외부에 광원이 구비되며, 미세조류 군집을 배양하는 광생물 반응기에 염색폐수와 미세조류를 투입하고, 상기 광원과 연결되어 광도와 광주기를 제어하기 위한 광조사제어부에 의해 광도와 조사주기를 제어하며 광원을 조사하며, 공기스퍼저를 이용하여 공기를 공급하면서 광반응시켜 미세조류 군집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조류는 클로렐라 속(Chlorella sp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조류와 염색폐수를 1:8~10의 부피비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도는 150 내지 250 mol.m- 2.s-1, 광조사주기는 1일당 10 내지 14시간 광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방법은 회분식 배양, 유가배양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방법은 광생물 반응기 내부의 pH 값, 용존산소량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미세조류성장지표가 기설정된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광생물 반응기 내 배양액 전체 100 부피% 중 30 내지 60부피%를 배출시키고, 30 내지 60부피%의 염색폐수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에 의하면, 염색폐수를 영양공급원으로 하여 미세조류의 배양에 이용함과 동시에 염색폐수의 정화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장치를 보여주는 구조도.
도 2(A)는 배양전 미세조류샘플의 현미경 사진이며, (B)는 배양 15일후 미세조류샘플의 현미경 사진.
도 3은 미세조류샘플의 계대배양 실시 사진.
도 4는 계대배양 후 미세조류배양물의 현미경 사진.
도 5는 미세조류샘플의 Pilot-scale 배양 실시 사진.
도 6은 3종의 폐수를 사용하여 미세조류 배양하기 위한 광생물반응 장치 설치 구성도.
도 7은 680nm와 750nm에서 측정된 염색폐수(TW, textile wastewater), 가축분뇨(AM, animal manure), 소화잔류물(D, digestate)의 OD(Optical density)값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8는 TW, AM 및 D에서 배양된 미세조류의 유기물 제거효율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9은 배양시간에 따른 부유물질농도(TSS, VSS)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0는 배양시간에 따른 고형물 농도(TS, VS)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1는 배양된 혼합 미세조류군집의 단백질, 탄수화물 축적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2은 유가 배양시 OD(Optical Density)와 성장 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3은 유가 배양시 Solid 고형물 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4는 유가 배양시 SS(Suspended Soild) 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5는 유가 배양시 유기물 제거효율을 보여주는 그래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염색폐수를 영양공급원으로 하여 미세조류의 배양에 이용함과 동시에 염색폐수의 정화처리가 가능한 미세조류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장치를 보여주는 구조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장치는 염색폐수가 저장되는 염색폐수 저장조(50)와 내부 또는 외부에 광원(110)이 구비되며, 미세조류와 상기 염색폐수 저장조로부터 이송된 염색폐수를 광반응시켜 미세조류 군집을 배양하는 광생물 반응기(100)와 상기 광원과 연결되어 광도와 광주기를 제어하기 위한 광조사제어부(120)와 상기 광생물 반응기의 하부에 구비되며,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스파저(13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스파저(130)는 광생물반응기 내부에 수용된 미세조류의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상기 공기스파저의 형성위치는 이산화탄소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위치라면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광생물반응기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생물 반응기(100)는 내부 또는 외부에 광원(110)이 구비되며, 미세조류와 상기 염색폐수 저장조로부터 이송된 염색폐수를 광반응시켜 미세조류 군집을 배양하게 된다.
상기 광원은 상기 광생물 반응기 수조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광생물 반응기 수조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광생물 반응기 수조의 외부에 광원을 구비하고, 광원이 구비된 광생물 반응기에 격벽을 형성하여 광도 및 광조사 주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원으로는, 발광다이오드(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및 능동형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백열등, 형광등, 수은등, 나트륨등, 할로겐등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광원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광원으로서 LED를 사용한다.
상기 광원은 광조사제어부(12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광조사제어부는 광측정기 및 타이머 등을 구비하여, 광생물 반응기 내부에 공급되는 광도 및 광주기 등을 제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광생물 반응기 내부의 광도는 150 내지 250 mol m-2 s-1로 제어되며, 1일당 10 내지 14시간 광조사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미세조류는 클로렐라 속(Chlorella sp .), 세네데스무스 속(Scenedesmus sp.) 스피루리나(Spirulina)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클로렐라 속의 미세조류를 사용한다.
이때, 미세조류와 염색폐수는 1:8~10의 부피비로 광생물 반응기에 주입 및 혼합된다.
상기 광생물 반응기는 염색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배양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및 염색폐수와 미세조류를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한 교반수단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염색폐수의 주입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유량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생물 반응기(100)에서는 회분식 배양 및 유가 배양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배양방법을 이용하여 미세조류 군집의 배양이 이뤄질 수 있다.
유가 배양을 이용할 경우, 초기에 상기 광생물 반응기에 미세조류와 염색폐수를 1:8~10의 부피비로 주입 및 혼합시켜 미세조류 군집을 형성하다가, 미세조류 군집의 성장이 정체된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광생물 반응기 내부의 배양액의 일부를유출시키고, 유출시킨 배양액에 상응하는 양의 염색폐수를 염색폐수 저장조로부터 유입시키는 방식으로 배양액의 기질 농도를 제어하여 미세조류의 성장의 저해를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높은 농도의 미세조류 군집을 수득할 수 있게 된다.
미세조류 군집의 성장의 정체는 pH 와 용존산소량의 변화와 같은 미세조류 성장지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미세조류 군집의 성장시 필요한 탄소원이 고갈될 경우 pH가 급격히 증가하거나 용존산소량의 급격한 증가가 이루어지면서 미세조류 군집의 성장 속도가 저하되게 되며, pH 및 용존산소량이 기설정된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광생물 반응기 내 배양액 전체 100 부피% 중 30 내지 60부피%를 배출시키고, 염색폐수저장조로부터 30 내지 60부피%의 염색폐수를 유입시키도록 제어하여 고농도로 미세조류를 배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생물 반응기는 pH 센서(미도시)와 용존산소센서(미도시) 및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하여, pH 및 용존산소량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할 경우, 광생물 반응기 내의 배양액의 유출 여부 및 유출량과 염색폐수저장조로부터 유입되는 염색폐수의 유입량을 제어한다. 염색폐수의 주입은 유량제어기에 의해 100 내지 1000ml/hr의 주입속도로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방법은 상술된 배양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방법은 회분식 배양, 유가배양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방법은 회분식 배양을 이용한 것으로서, 광원이 구비된 광생물 반응기에 염색폐수와 미세조류를 투입한 후 광조사제어부에 의해 광도와 광조사주기를 제어하며 광원을 조사하고, 공기스퍼저를 이용하여 공기를 공급하면서 광반응시켜 미세조류 군집을 배양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생물 반응기에 미세조류와 염색폐수를 1:8~10의 부피비로 투입한 후, 광원을 조사하여 미세조류 군집을 형성하고, 공기 스파저를 통하여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공급받는다. 초기 투입된 미세조류와 염색폐수의 균일한 혼합을 위하여 교반수단을 이용하여 교반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광조사제어부(12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광조사제어부는 광측정기 및 타이머 등을 구비하여, 광생물 반응기 내부에 공급되는 광도 및 광주기 등을 제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광생물 반응기 내부의 광도는 150 내지 250 mol m-2 s-1로 제어되며, 1일당 10 내지 14시간 광조사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미세조류는 클로렐라 속(Chlorella sp .), 세네데스무스 속(Scenedesmus sp.) 스피루리나(Spirulina)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클롤렐라 속의 미세조류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방법은 유가식 배양을 이용한 것으로서, 초기에 상기 광생물 반응기에 미세조류와 염색폐수를 1:8~10의 부피비로 주입 및 혼합시키고, 광조사제어부에 의해 광도와 광조사주기를 제어하며 광원을 조사하고, 공기스퍼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면서 광반응시키되, 미세조류 군집의 성장이 정체된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광생물 반응기 내부의 배양액의 일부를 유출시키고, 유출시킨 배양액에 상응하는 양의 염색폐수를 염색폐수 저장조로부터 유입시키는 방식으로 배양액의 기질 농도를 제어하여 미세조류의 성장의 저해를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높은 농도의 미세조류 군집을 수득할 수 있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조류 군집의 성장시 필요한 탄소원이 고갈될 경우 pH가 급격히 증가하거나 용존산소량의 급격한 증가가 이루어지면서 미세조류 군집의 성장 속도가 저하되게 되며, pH 및 용존산소량이 기설정된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광생물 반응기 내 배양액 전체 100 부피% 중 30 내지 60부피%를 배출시키고, 염색폐수저장조로부터 30 내지 60부피%의 염색폐수를 유입시키도록 제어하여 고농도로 미세조류를 배양할 수 있다. 이때, 염색폐수의 주입은 유량제어기에 의해 100 내지 1000ml/hr의 주입속도로 제어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양시, 광조사제어부에 의한 광도, 광조사주기 제어 방법은 상술된 제1실시예에 의한 방법과 동일하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미세조류의 준비
1-1. 미세조류의 수득 및 배양
미세조류샘플로서 대구대학교 내의 A 호수에서 물을 채취하여 배양시까지 4℃에서 보관하여 미세조류를 안정화시켰다. 250ml 삼각플라스크에 Bold Basal's medium를 배지로 하여 미세조류샘플을 넣고 30℃의 생장 챔버에서 광주기 12h: 12h(light: dark)로 배양하였다. 미세조류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폭기 장치(AMAZONPET, model SH-A2, china)가 세라믹 스파저와 함께 설치되었으며, pH는 8~9로 유지되었다.
도 2(A)는 배양전 미세조류샘플의 현미경 사진을 보여주며, (B)는 배양 15일후 미세조류샘플의 현미경사진을 보여준다.
1-2. 계대배양
상기와 같은 조건 하에서 4차의 계대배양이 수행되어졌으며, LED(SS light 50W, model KFL 50 white color)광을 212.77 mol.m- 2.s- 1 의 세기로 가하였다. 최종 계대배양 이후 미생물 분석을 통해 Chlorella sp.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Scenedesmus sp .가 소량 포함되어 있었다. 도 3은 미세조류의 계대 배양 실시 모습을 보여주며, 도 4는 계대배양 후 미세조류
1-3. Pilot-scale 배양
Pilot-scale 배양은 50L 유효부피의 광생물반응기에서 수행되어졌으며, 광생물반응기의 주변을 판지로 둘러싸고, 판지에 LED 광원을 고정하여 광원을 공급하였다. 배양 조건은 상기와 동일하며, 34일간 배양되어졌다. 도 5는 미세조류샘플의 Pilot-scale 배양 실시 사진을 보여준다.
표 1은 Pilot-scale 배양 후 미세조류배양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보여준다.
Figure 112017130230012-pat00001
2. 미세조류 군집의 배양
투명한 샘플링 백(가로 25cm×세로 11.8cm×높이 24cm)에 폐수 2700ml와 준비된 미세조류 배양물 300ml를 투입하여 3L의 최종 유효부피를 갖도록 하였으며, 미세조류군집의 성장속도 및 유기물질제거효율 등을 확인하였다.
3종의 폐수(염색폐수(Textile Wastewater, TW), 가축분뇨(Animal Manure, AM), 소화슬러지(Digested sludge, D))를 폐수의 종류에 따른 미세조류군집의 성장 속도 및 유기물질제거효율을 확인하였다. (이하, 3종의 폐수를 TW, AM, D로 축약 기재)
높은 유기물 함량을 갖는 AM 와 D 의 경우, TSS 와 TCOD의 초기 농도(양)을 낮추기 위하여 증류수를 이용하여 희석하였다.
표 2는 3종의 폐수의 물리/화학적 특징을 보여준다.
Figure 112017130230012-pat00002
LED (SS light 50 W, model KFL 50 white color)를 광원으로 하였으며, 광주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타이머를 설치하였다. 광주기는 (Light : Dark Cycle) = 12h : 12h로 하였다.
또한, 빛의 강도는 광생물반응기의 외부 표면에 설치된 digital portable light lux meter (UYIGAO, model UA1010B, Chin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광도값은 212.77 ±22.22 mol.m-2.s-1로 측정되었다.
미세조류의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Aeration pump (AMAZONPET, model SH-A2, China) 및 stone sparger 가 설치되었다. pH는 8.0-9.5 범위로 측정되었다.
도 6은 3종의 폐수를 사용하여 미세조류 배양하기 위한 광생물반응 장치 설치 구성도를 보여준다.
3. 통계 및 데이터 분석
실험은 3회 수행되어졌으며, 통계 분석은 Microsoft Office (Excel 2013)을 이용하였다. 결과값은 평균값 ± 표준 편차로 나타내어졌다.
3-1. SD와 표준값
Figure 112017130230012-pat00003
3-2. 성장속도
Figure 112017130230012-pat00004
ABS0은 실험 시작시 680nm 에서 흡광도를 이며, ABSexp는 증식기에서 680nm에서 흡광도이고, Text는 증식기간(days), T0는 시작일(days)을 나타낸다.
3-3. 유기물질제거효율
Figure 112017130230012-pat00005
Ci는 최초농도, Cf는 최종농도를 나타낸다.
3-4. 분석절차와 계산
TS(Total sold), VS(volatilized solid), TSS(total suspended solid), VSS(violated suspended solid) 및 COD는 Standard Methods APHA/AWWA/WEF, 1998. 에 의해 분석되어졌다.
TN(Total Nitrogen)과 TP(Total Phosphorous)는분광측광기가 구비된 Humas test kit(Humas, HS3300, Republic of Korea)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OD(Optical Density)는 680 nm 와 750 nm에서 UV-Spectrophotometer (SHIMADZU, UV-VIS mini 1240, Japan)를 이용하여 측정되어졌으며, 분석전에 폐수는 2000 rpm에서 2분간 원심분리 처리되었다.
총 당(Total sugar)은 Phenol-sulfuric acid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Figure 112017130230012-pat00006
ABS480nm는 480nm에서 흡광도이며, CHO 는 탄수화물 농도(mg/l)를 나타낸다.
총 단백질은 Lowry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Figure 112017130230012-pat00007
ABS660nm 는 660nm에서 흡광도이며, PROTEIN 은 단백질 농도(mg/L)를 나타낸다.
4. 실험 결과
4-1. 미세조류군집( microalgae consortia)의 광독립영양성장 거동(Photoautotrophic growth kinetics)
도 7은 680nm와 750nm에서 측정된 염색폐수(TW, Textile Wastewater), 가축분뇨(AM, Animal Manure), 소화잔류물(D, Digestate)의 OD(Optical Density)를 보여준다. AM과 D의 경우, 전반적으로 유기입자로 구성되어 있고, 어두운 색으로 관측되어 배양물의 생성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배양 말기(13일경) TW, AM, D의 OD 값에서 각각 0.40, 0.26, 0.20을 나타내었다. 초기에는 TW, AM, D에서 각각 0.419 day-1, 0.19 day-1, 0.16 day-1로 측정되어 빠른 성장속도를 보였지만, 배양 2일 이후에는, TW, AM, D에서 각각 0.10 day-1, 0.004 day-1, 0.003 day-1로 떨어졌다. 증식기에서 평균성장속도는 TW, AM, D에서 각각 0.28 day-1, 0.12 day-1, 0.10 day-1 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미세조류의 성장은 증식기 초기에 월등히 빠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 속도 증가 폭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중 TW(염색폐수)는 다른 영양원에 비하여 높은 바이오 매스 성장을 보여주었다. 가축분뇨와 소화잔류물을 투입한 샘플의 경우, 많은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어서 미세조류의 성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하였다.
4-2. 유기물질 제거효율
도 8은 TW, AM 및 D에서 배양된 미세조류의 유기물 제거효율을 보여준다.
유기물질제거효율은 증식기의 초기 3일간 증가되었으며, 대부분의 영양원은 이 기간에 소비되었다. 염색폐수에서 총인은 낮은 농도로 인하여 대부분이 소비되었다. 그러나 총질소와 총 COD는 초기 높은 농도로 인하여 각각 70.13%, 38.85%을 보여주었다. 총인, 총질소, 총 COD는 각각 100%, 93.3%, 78.7%로 높은 유기물질제거효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가축분뇨의 유기물질제거효율은 매우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초기 샘플의 유기물질의 축적과 많은 중금속의 존재로 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가축분뇨의 경우 총질소와 총 COD는 각각 16.7%, 19.2%을 나타내어 낮은 유기물질 제거 효율을 보여주었다.
표 3은 각각의 growth medium에서 영양염류 제거 및 효율을 보여준다.
Figure 112017130230012-pat00008
상기 결과를 통해 총 유기물질 제거효율은 증식기 동안 급격하게 증가하며, 혼합 미세조류의 빠른 성장에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3. mixed microalgae consortia 의 성분분석
도 9는 배양시간에 따른 부유물질농도(TSS, VSS) 변화를 보여주며, 도 10은 배양시간에 따른 고형물 농도(TS, VS)를 보여준다.
증식기 2일에 TW, AM 및 D에서 각각 1.77 ±0.04, 1.66 ±0.06, 1.04 ±0.03 g/L의 TS를 보여주었다. 9일 이후에는 축적률이 매우 낮아졌고, TW, AM 및 D에 대하여 각각 1.96 ±0.11, 1.84 ±0.01, 1.53 ±0.02 g/L 을 보여주었다. TW, AM, D 에 대한 VS 농도는 각각 1.16 ±0.02, 1.32 ±0.03, 1.25 ±0.03 g/L를 보여주었다.
TSS, VSS에 관한 부유 고형물은, TSS에 대하여 TW, AM, D에서 각각 510 ±8, 301 ±2, 298 ±4를 보여주었고, VSS에 대하여 460 ±16, 230 ±27, 230 ±26 mg/L를 보였다.
도 11은 배양된 혼합 미세조류군집의 단백질, 탄수화물 축적을 보여준다.
배양초기(1일)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축적은 TW, AM, D에 각각 358 ±3.7, 290 ±47, 183 ±4, 175 ±3, 102 ±4, 146 ±2 mg/L을 보였다.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최종 축적은 TW, AM 과 D에 각각 2533 ±11, 2466 ±47, 2143 ±14, 2141 ±2, 1925 ±20, 1989 ±21 mg/L를 보였다.
4-4. 미세조류 군집의 대량 생산 가능성
염색폐수, 가축분뇨 및 소화잔류물에서 각각 0.49 d-1, 0.187 d-1, 0.167 d-1의 높은 성장 속도를 보였으며, 특히 염색폐수에서 높은 성장 속도를 보여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생산 및 바이오매스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미세 조류 배양에 있어서, 별도의 영양 배지를 사용하지 않고, 염색폐수를 이용함으로써 경제적으로 바이오 매스를 생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염색 폐수 정화 처리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염색폐수를 이용한 유가 배양
염색폐수를 이용한 조류 배양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유가 배양을
실시하였다.
5-1. 실험 준비 및 방법
미세조류 군집은 유효부피 4.5 L의 투명한 아크릴 원통(지름 14cm,
유효 높이 43cm)에서 배양하였다. 초기에는 0.5 L의 혼합 균주와 4 L의
염색폐수를 주입하였고, 조류 성장이 정체된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배양액 2
L를 유출시키고 염색폐수 2 L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유가 배양을
실시하였다.
광원은 LED (SS light 50W, model KFL 50 white color)로 광주기(Light : Dark Cycle)는 12h : 12h이었으며, 광도는 170 mol.m- 2.s-1이었다. 공기는 배양기 하단에서 stone sparger로 주입되었다. pH는 8.4-9.5에서 유지되었으며 별도의 제어는 하지 않았다. 염색폐수는 95일간 총 5회 주입되었다(1차 배양: 1-30일, 2차 배양: 31-52일, 3차 배양 53-72일, 4차 배양 73-85일, 5차 배양 86-95).
5-2. 미세조류 성장 거동
도 1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가 배양 시 각 배양 주기별 최종 OD 680/750은 2.661/1.476, 2.716/1.556, 3.073/1.589, 3.108/1.649, 2.574/1.950 였다. 각 배양 주기 별 초기, 최종 고형물 농도는 TS, VS, TSS, VSS는 표 4와 같으며, 배양 시간 별 결과는 도 13, 도 14에 도시하였다. 유가 배양을 통해 회분식 배양에 비해 높은 농도의 조류를 배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7130230012-pat00009
5-3. 유기물, 질소, 인 제거
각 배양 주기별 유기물(COD), 질소, 인 제거율을 표 5와 도 15에 도시하였다. 모든 주기에서 유기물의 50% 이상, 질소의 81% 이상, 인의 88% 이상이 제거되어 조류에 의한 염색폐수의 처리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Figure 112017130230012-pat0001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50 : 염색폐수 저장조
100 : 광생물 반응기
110 : 광원
120 : 광조사제어부
130 : 공기스파저

Claims (9)

  1.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장치에 있어서,
    염색폐수가 저장되는 염색폐수 저장조;와
    내부 또는 외부에 광원이 구비되며, 미세조류와 상기 염색폐수 저장조로부터 이송된 염색폐수를 광반응시켜 미세조류 군집을 배양하는 광생물 반응기;와
    상기 광원과 연결되어 광도와 광주기를 제어하기 위한 광조사제어부;와
    상기 광생물 반응기의 하부에 구비되며,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스파저;와
    상기 광생물 반응기는 염색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배양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와 염색폐수의 주입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유량제어기;와 pH 센서;와 용존산소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광생물 반응기 내부의 pH 값, 용존산소량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미세조류 성장지표가 기설정된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배출부에서 상기 광생물 반응기 내 배양액 전체 100 부피% 중 30 내지 60부피%를 배출시키고, 상기 유입부에서 30 내지 60부피%의 염색폐수를 유입시키며,
    상기 광조사제어부는 150 내지 250 mol.m-2.s-1의 광도로 1일당 10 내지 14시간 광조사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유량제어기는 염색폐수의 주입을 100 내지 1000ml/hr의 주입속도로 제어하며,
    상기 미세조류는 클로렐라 속(Chlorella sp.)이며,
    반응 초기에 상기 광생물 반응기에 미세조류와 염색폐수를 1:8~10의 부피비를 갖도록 주입 및 혼합시켜 미세조류 군집을 형성하다가, 미세조류 군집의 성장이 정체된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광생물 반응기 내부의 배양액의 일부를 유출시키고, 유출시킨 배양액에 상응하는 양의 염색폐수를 염색폐수 저장조로부터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장치.
  2. 삭제
  3. 삭제
  4.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방법에 있어서,
    내부 또는 외부에 광원이 구비되며, 미세조류 군집을 배양하는 광생물 반응기에 염색폐수와 미세조류를 투입하고, 상기 광원과 연결되어 광도와 광주기를 제어하기 위한 광조사제어부에 의해 광도와 조사주기를 제어하며 광원을 조사하며, 공기스퍼저를 이용하여 공기를 공급하면서 광반응시켜 미세조류 군집을 배양하며,
    상기 광생물 반응기는 염색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배양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와 염색폐수의 주입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유량제어기;와 pH 센서;와 용존산소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광생물 반응기 내부의 pH 값, 용존산소량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미세조류 성장지표가 기설정된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배출부에서 상기 광생물 반응기 내 배양액 전체 100 부피% 중 30 내지 60부피%를 배출시키고, 상기 유입부에서 30 내지 60부피%의 염색폐수를 유입시키며,
    상기 광조사제어부는 150 내지 250 mol.m-2.s-1의 광도로 1일당 10 내지 14시간 광조사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유량제어기는 염색폐수의 주입을 100 내지 1000ml/hr의 주입속도로 제어하며,
    상기 미세조류는 클로렐라 속(Chlorella sp.)이며,
    반응 초기에 상기 광생물 반응기에 미세조류와 염색폐수를 1:8~10의 부피비를 갖도록 주입 및 혼합시켜 미세조류 군집을 형성하다가, 미세조류 군집의 성장이 정체된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광생물 반응기 내부의 배양액의 일부를 유출시키고, 유출시킨 배양액에 상응하는 양의 염색폐수를 염색폐수 저장조로부터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181922A 2017-12-28 2017-12-28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 KR102033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922A KR102033392B1 (ko) 2017-12-28 2017-12-28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922A KR102033392B1 (ko) 2017-12-28 2017-12-28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864A KR20190079864A (ko) 2019-07-08
KR102033392B1 true KR102033392B1 (ko) 2019-10-17

Family

ID=6725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922A KR102033392B1 (ko) 2017-12-28 2017-12-28 염색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3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942B1 (ko) 2010-12-17 2012-10-25 김성천 유기성폐기물의 미세조류배양에 의한 바이오가스, 지용성물질 및 미세조류의 생산 방법 및 장치
KR101372298B1 (ko) 2012-06-27 2014-03-10 한국과학기술원 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디젤을 제조하는 방법
KR101823866B1 (ko) * 2016-05-23 2018-03-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양한 배양 환경 실험을 위한 미세조류 배양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pp. 1-20 (2017.11.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864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 et al. Bio-conversion of photosynthetic bacteria from non-toxic wastewater to realize wastewater treatment and bioresource recovery: a review
Nie et al. Current progress, challenges and perspectives in microalgae-based nutrient removal for aquaculture waste: a comprehensive review
Gao et al. Removal of nutrients, organic matter, and metal from domestic secondary effluent through microalgae cultivation in a membrane photobioreactor
Tang et al. Enhanced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from domestic wastewater via algae-assisted sequencing batch biofilm reactor
Peng et al. Simultaneous removal of nutrient and sulfonamides from marine aquaculture wastewater by concentrated and attached cultivation of Chlorella vulgaris in an algal biofilm membrane photobioreactor (BF-MPBR)
Gao et al. Simultaneous nutrient removal and biomass/lipid production by Chlorella sp. in seafood processing wastewater
Gao et al. Continuous microalgae cultivation in aquaculture wastewater by a membrane photobioreactor for biomass production and nutrients removal
Wang et al. Removal of nutrients from undiluted anaerobically treated piggery wastewater by improved microalgae
Posadas et al. Influence of pH and CO2 source on the performance of microalgae-based secondary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in outdoors pilot raceways
Ramos Tercero et al. Cultivation of Chlorella protothecoides with urban wastewater in continuous photobioreactor: biomass productivity and nutrient removal
Xu et al. The impact of seasonal variations about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the treatment of municipal wastewater by algae-bacteria system in lab-scale
Meixner et al. Processing recommendations for using low-solids digestate as nutrient solution for poly-ß-hydroxybutyrate production with Synechocystis salina
Nguyen et al. Microalgae cultivation using biogas and digestate carbon sources
Tan et al. Nutrients recycling and biomass production from Chlorella pyrenoidosa culture using anaerobic food processing wastewater in a pilot-scale tubular photobioreactor
WO2009134114A1 (en) An apparatus for mass cultivation of micro algae and a method for cultivating the same
Abu Hajar et al. Cultivation of Scenedesmus dimorphus using anaerobic digestate as a nutrient medium
Liu et al. Material biosynthesis, mechanism regulation and resource recycling of biomass and high-value substances from wastewater treatment by photosynthetic bacteria: a review
CN105776745A (zh) 一种高氨氮养猪沼液的生物处理方法
WO2018053071A1 (en) Methods of treating wastewater with microalgae cultures supplemented with organic carbon
Shao et al. Towards biomass production and wastewater treatment by enhancing the microalgae-based nutrients recovery from liquid digestate in an innovative photobioreactor integrated with dialysis bag
CN102816687A (zh) 一种简易升流式光生物反应器体系培养微藻的装置和方法
CN105600942B (zh) 一种利用蓝藻水华形成生物絮团的方法
Lu et al. Production of photosynthetic bacteria using organic wastewater in photobioreactors in lieu of a culture medium in fermenters: From lab to pilot scale
Gao et al. Optimization of light intensity and photoperiod for growing Chlorella sorokiniana on cooking cocoon wastewater in a bubble-column bioreactor
Xue et al. Cultivation of Chlorella sorokiniana in a bubble-column bioreactor coupled with cooking cocoon wastewater treatment: effects of initial cell density and aeration 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