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377B1 -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및 방수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및 방수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377B1
KR102033377B1 KR1020170103442A KR20170103442A KR102033377B1 KR 102033377 B1 KR102033377 B1 KR 102033377B1 KR 1020170103442 A KR1020170103442 A KR 1020170103442A KR 20170103442 A KR20170103442 A KR 20170103442A KR 102033377 B1 KR102033377 B1 KR 102033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spection
waterproof
pressur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834A (ko
Inventor
최동호
김축복
양순복
Original Assignee
최동호
김축복
양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호, 김축복, 양순복 filed Critical 최동호
Priority to KR1020170103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3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8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Arrangements for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누설 부분이 있는지는 물론 어느 부분에서 누설이 있는지 판별할 수 있게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지그, 그를 포함한 방수검사 장치 및 방수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보조 방수검사 지그에 추가로 설치됨에 따라 방수검사용 공압 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지그, 그를 포함한 방수검사 장치 및 방수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및 방수검사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waterproof of terminal able to determining leak portion}
본 발명은 단말기에 누설 부분이 있는지는 물론 어느 부분에서 누설이 있는지 판별할 수 있게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및 방수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보조 방수검사 지그에 추가로 설치됨에 따라 방수검사용 공압 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및 방수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전으로 휴대폰(스마트폰), PDA, MP3, 랩 탑 컴퓨터(노트북) 및 노트 패드 등과 같은 각종의 휴대용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는 각종 편의 기능이 추가되면서 점차 고급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소지가 가능하여 물과의 접촉이 언제든 발생 될 수 있고, 내부에는 물에 취약한 전자부품들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점차 고급화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방수성이 품질을 좌우하는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사는 완전 방수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생활형 방수 성능은 갖도록 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반제품 또는 완제품 상태의 단말기에 대해 방수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한편, 방수검사를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44207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04596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406698호 등에서는 상/하지그에 의해 형성된 밀폐된 챔버 내에 단말기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누설 부위가 있는지 검사한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종래에는 제어부(70)의 제어하에 콤프레서(10)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를 고압 레귤레이터(21), 소압 레귤레이터(22) 및 전공 레귤레이터(23)를 통해 정압으로 낮추고, 메인 컨트롤 밸브(30)로 일정 시간 동안 에어블록(40)에 공기를 공급한다.
또한, 하지그(51) 위에 검사대상 단말기(T)를 올려놓은 후 실린더(53)로 가압장치(52)를 하강시켜 단말기(T)와 하지그(51) 사이에 밀폐된 챔버를 형성하고, 이때 방수검사용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내부가 일정 압력을 갖는 에어블록(40)을 챔버에 연결한다.
따라서, 단말기(T)에 누설 부위가 있는 경우에는 에어블록(40) 내의 공기가 단말기(T)의 누설 부위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압력센서(41)로 에어블록(40) 내의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검출하여 단말기의 방수성을 판단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은 단말기에 누설 부분이 있는지 검사를 할 수 있을 뿐, 단말기에 구비된 다수의 검사 부위(예: 단자, 잭, 버튼, 윈도우) 중 어느 부위에서 누설이 있는지 판단할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단말기에 누설이 있는 경우 어느 부위에서 누설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방수검사장치의 도입시 시급하며, 나아가 기존의 방수검사장치에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기 설치된 공압 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방수검사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4207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0459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0669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기에 누설 부분이 있는지는 물론 어느 부분에서 누설이 있는지 판별할 수 있게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및 방수검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보조 방수검사 지그에 추가로 설치됨에 따라 방수검사용 공압 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및 방수검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는 방수검사 대상품인 단말기가 상면에 놓이는 하지그와; 상기 하지그에 놓인 단말기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장치와; 상기 하지그와 단말기의 내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 또는 상기 단말기의 외측면과 가압장치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으로 방수 시험용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장치와; 상기 단말기에 존재하는 다수의 방수검사 부위를 각각 독립적으로 폐쇄하는 다수개의 검사선택 밀폐구; 및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다수의 방수검사 부위 중 어느 방수검사 부위를 통해 상기 주입된 공기가 누설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를 모두 개방시켜, 상기 단말기의 어느 부위에서든 누설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전체누설검사와;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를 모두 작동시켜 상기 단말기 중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에 의해 밀폐되지 않은 부위에서 누설이 있는지 판단하는 제1 선택검사; 및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단말기 중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에 의해 밀폐된 부위에서 누설이 있는지 판단하는 제2 선택검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장치는 공압 실린더와, 상기 공압 실린더에 의해 인출되는 실린더 로드 및 상기 실린더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를 가압 고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실린더 장치이고, 상기 공기주입장치는 상기 하지그와 단말기의 내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으로 상기 방수 시험용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단말기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공기가 누설되는지 판단할 수 있게 하는 내압용 공기주입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장치는 공압 실린더와, 상기 공압 실린더에 의해 인출되는 실린더 로드와, 상기 실린더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를 가압 고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와 함께 하강하여 상기 단말기를 덮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주입장치는 상기 단말기의 외측면과 상부 커버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으로 상기 방수 시험용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단말기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공기가 누설되는지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외압용 공기주입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지그가 설치되는 베이스 테이블의 상면에는 상기 단말기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돌기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는 상기 하지그의 고정돌기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단말기의 측면에 존재하는 방수검사 부위를 각각 독립적으로 폐쇄하는 측부 검사선택 밀폐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지그에는 상기 단말기의 하면(정상 검사시) 또는 상면(뒤집어 감사시)에 존재하는 방수검사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밀폐 공간을 외부와 연결시키는 선택 시험용 관통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는 상기 하지그의 하측에서 상기 선택 시험용 관통공을 각각 독립적으로 폐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단말기의 하면 또는 상면에 존재하는 방수검사 부위를 각각 독립적으로 폐쇄하는 저부 검사선택 밀폐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지그는 상기 단말기의 하면 또는 상면에 존재하는 방수검사 부위와 상기 하지그에 형성된 선택 시험용 관통공 사이에 밀착 삽입되는 안내 블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안내 블럭에는 상기 선택 시험용 관통공과 연결되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압의 공기를 압축 공급하는 컴프레서와; 상기 컴프레서에서 공급된 고압 공기를 설정된 압력으로 낮추어 공급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해 공급된 정압의 공기를 상기 공기주입장치로 공급하는 검사 배관과; 상기 검사 배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검사 배관을 설정된 시간 동안 개폐하는 메인 컨트롤 밸브; 및 상기 단말기에 누설 부위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밀폐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고, 공기가 빠져나감에 따라 압력이 변동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상기 검사 배관에 설치된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해 공급된 정압의 공기를 설정된 시간 동안 공급하는 서브 컨트롤 밸브; 및 상기 서브 컨트롤 밸브를 통해 공급된 정압의 공기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공기를 상기 검사 배관으로 공급하는 에어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컴프레서에서 공급된 고압 공기를 상기 가압장치를 승하강시키는 공압 실린더에 공급하는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컴프레서에서 공급된 고압 공기를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에 공급하는 밀폐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검사 배관은 상기 하지그와 단말기의 내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내압용 검사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 밸브는 상기 내압용 검사 배관에 연결 설치된 내압용 메인 컨트롤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내압용 검사 배관과 압력센서를 연결하는 분기배관에는 내압용 검출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검사 배관은 상기 단말기의 외측면과 가압장치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외압용 검사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 밸브는 상기 외압용 검사 배관에 연결 설치된 외압용 메인 컨트롤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외압용 검사 배관과 압력센서를 연결하는 분기배관에는 외압용 검출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방수검사 방법은 하지그의 상면에 방수검사 대상품인 단말기를 올려놓은 단계와; 가압장치로 상기 단말기를 가압 고정하여 상기 하지그와 단말기의 내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의 외측면과 가압장치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와; 공기주입장치를 통해 상기 밀폐 공간 내부로 설정된 시간 동안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와; 제어부에 의해 다수개의 검사선택 밀폐구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형성된 다수의 방수검사 부위를 각각 독립적으로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개의 검사선택 밀폐구의 작동상태별로 상기 주입된 공기에 의한 압력의 변동을 압력센서로 각각 검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다수의 방수검사 부위별로 누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를 모두 개방시켜, 상기 단말기의 어느 부위에서든 누설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전체누설검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를 모두 작동시켜 상기 단말기 중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에 의해 밀폐되지 않은 부위에서 누설이 있는지 판단하는 제1 선택검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단말기 중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에 의해 밀폐된 부위에서 누설이 있는지 판단하는 제2 선택검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수개의 검사선택 밀폐구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각 부분을 선택적으로 막아가며 누설검사를 실시한다. 따라서, 단말기에 누설 부분이 있는지는 물론 어느 부분에서 누설이 있는지 판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보조 방수검사 지그에 추가로 설치되며, 보조 방수검사 장치를 통해 바이패스된 공기를 검사에 이용한다. 따라서, 기 설치된 방수검사용 공압 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를 나타낸 공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가압장치에 의한 단말기 가압 부분을 나타낸 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를 나타낸 공압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를 나타낸 공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및 방수검사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는 하지그(110), 가압장치(120), 공기주입장치(130-I/O), 검사선택 밀폐구(140-S/B) 및 제어부(도 5a,b의 150 참조)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지그(110) 위에 놓인 단말기(방수시험 대상물)(T)를 가압장치(120)로 가압 고정한 상태에서, 공기주입장치(130-I/O)를 통해 하지그(110)와 단말기 사이에 형성된 밀폐 공간(내압식) 혹은 단말기와 가압장치(120) 사이에 형성된 밀폐 공간(외압식)으로 방수 시험용 공기를 주입한다.
나아가,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선택 작동시킴으로써 단말기(T)에 존재하는 다수의 방수검사 부위(H) 중 어느 방수검사 부위(H)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누설되는지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누설 여부는 하지그(110)와 단말기 사이에 형성된 밀폐 공간(내압식)으로 주입된 공기가 단말기의 외측으로 누설됨에 따라 그 내압식 밀폐 공간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감지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와 가압장치(120) 사이에 형성된 밀폐 공간(외압식)으로 주입된 공기가 단말기의 내측으로 누설됨에 따라 그 외압식 밀폐 공간의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감지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아래에서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별도의 공압 설비를 통해 공기주입장치(130-I/O)로 공급되는 방수 시험용 공기 및 가압장치(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용 고압 공기 등을 공급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은 아래에서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기존의 공압 설비에 추가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공압 설비를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압식(제1 실시예)에 적용되거나, 외압식(제2 실시예)에 적용되거나, 혹은 내압식 및 외압식 모두를 구비(제3 실시예)한 상태에서 내압식과 외압식을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내압식은 하지그(110)와 단말기의 내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으로 방수 시험용 공기를 주입한 후 단말기의 외측으로 공기가 누설됨에 따라 압력이 저하되는지 감시한다. 따라서, 단말기의 누설 여부를 판단한다.
내압식을 본 발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한 구성 중 하지그(110)와, 가압장치(120) 및 공기주입장치(130-I/O)를 포함한다.
이때, 가압장치(120)는 공압 실린더, 실린더 로드 및 가압부(121)를 사용(즉, 상부 커버 '122'를 제외)하고, 공기주입장치(130-I/O)는 하지그(110)의 하부에 구비된 내압용 공기주입장치(130-I)를 사용한다.
반면, 외압식은 단말기의 외측면과 가압장치(120)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으로 방수 시험용 공기를 주입한 후 단말기의 내측으로 공기가 누설됨에 따라 압력이 저하되는지 감시한다. 따라서, 단말기의 누설 여부를 판단한다.
외압식을 본 발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한 구성 중 하지그(110)와, 가압장치(120) 및 공기주입장치(130-O)를 포함한다.
이때, 가압장치(120)는 공압 실린더, 실린더 로드, 가압부(121) 및 상부 커버(122)(즉, 내압식에 비해 상부 커버 '122' 추가)를 사용하고, 공기주입장치(130-I/O)는 상부 커버(122)에 구비된 외압용 공기주입장치(130-O)를 사용한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내압식과 외압식 모두를 가능하게 구성한 상태에서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후술할 선택 밸브(도 5a,b의 SV-I/O 참조)를 이용하여 이들 중 어느 하나로 방수 시험용 공기를 주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압식 방수 검사장치에 적용되거나, 외압식 방수 검사장치에 적용되거나, 혹은 내압식 및 외압식 방수 검사장치 모두를 구비한 상태에서 이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선택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하지그(110)는 방수검사 대상품인 단말기(T)의 저면을 지지 및 고정한다. 통상적으로는 하지그(110)는 베이스 테이블(B-T) 위에 조립되며, 검사대상 단말기에 따라 서로 다른 규격(크기, 형상)의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방수검사 대상인 단말기(T)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이 대표적일 것이나 그 외 PDA, MP3, 랩 탑 컴퓨터(노트북) 및 노트 패드 등과 같이 휴대가 가능함에 따라 언제든 물과의 접촉 우려가 있으며 내부에 전자부품이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하지그(110)에 단말기가 놓인 상태에서 가압장치(120)가 하강하여 가압하면 당해 하지그(110)와 단말기와의 사이에 밀폐된 공간(내압식)이 형성되는데, 밀폐된 공간의 부피 확장을 위해 하지그(110)의 상면에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배터리 및 후면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방수검사를 하는 경우 단말기의 저면과 하지그(110) 사이에 밀폐 공간이 형성되며, 단말기에 후면 커버가 결합된 경우라도 하지그(110)에 홈을 파면 충분한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다.
다만, 하지그(110)의 상면 테두리부를 단말기의 저면 테두리부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확실히 밀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지그(110)의 상면 테두리부에는 돌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돌기부는 단말기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고유의 홈에 맞물리도록 그 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가압장치(120)는 상기 하지그(110)에 놓인 단말기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하지그(110)의 직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승하강되며, 방수 검사시 하강하여 단말기를 가압 고정한다.
가압장치(120)가 단말기를 가압 고정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하지그(110)와 단말기의 내측면 사이에 내압식 밀폐 공간이 형성되고, 단말기의 외측면과 상부 커버(122) 사이에 외압식 밀폐 공간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가압장치(120)는 일 실시예로써 공압 실린더와 실린더 로드로 이루어진 실린더 장치와, 가압부(121) 및 상부 커버(122)를 포함하며, 실린더 로드는 공압 실린더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된다. 즉, 방수 검사 진행 중에는 공압 실린더에 의해 실린더 로드가 인출되어 가압부(121) 및 상부 커버(122)를 하강시킨다.
공압 실린더는 공압 설비 중 승하강 구동부(도 5a,b의 50 참조)를 통해 그 공급이 조절되는 고압의 작동용 공기를 공급받아 실린더 로드를 작동시키고, 그에 따라 방수 시험시 가압부(121) 및 상부 커버(122)를 하측으로 하강시킨다.
가압부(121) 및 상부 커버(122)가 하강시, 가압부(121)는 실린더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단말기를 가압 고정한다. 상부 커버(122)는 가압부(121)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부(121)와 함께 하강하여 단말기를 덮는 경우 외압식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다만, 가압부(121)는 고무 재질과 같이 가압시 단말기에 충격이나 파손을 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저면이 편평한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단말기의 상면(검사 상태 기준) 전체를 가압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과 같이 가압장치(120)의 저면에는 단말기의 상면 테두리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121a)가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와 같이 가압돌기(121a)는 단말기(T)의 윈도우(W)와 프레임(F) 사이를 따라 배치(점선 패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압돌기(121a)는 단말기의 형상에 따라 설계 변경이 가능하지만 통상적으로는 4각형의 윤곽선을 따라 연속하여 돌출 형성된다. 물론, 가압돌기(121a)는 일정 간격마다 틈새를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압부(121)가 단말기의 윈도우(W)를 눌러 가압함에 따라 윈도우(W)와 프레임(F) 사이의 틈새를 막거나 그 틈새를 덮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단말기의 프레임(F)과 윈도우(W) 사이에서의 누설 여부 역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상부 커버(122)는 일 예로 단말기의 외측까지 수평 연장된 후 하측으로 굽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하측으로 굽은 선단부는 고정돌기(111)의 상단에 맞닿는다. 따라서, 상부 커버(122)가 공압 실린더에 의해 하강시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돌기(111)는 상부 커버(122)와 맞닿아 외압식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지그(110)의 외측 방향에 이격 설치된다. 고정돌기(111)는 하지그(110)에 놓인 단말기의 자세를 바로잡는 역할이나 검사선택 밀폐구(140-S/B)가 설치되는 구성으로도 사용된다.
일 예로 고정돌기(111)는 베이스 테이블(B-T)에 고정 설치되되, 단말기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에는 단말기(T)를 향해 돌출되며 탄성 지지가 가능한 지그돌기(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서 단말기가 정자세로 안착될 수 있게 한다.
공기주입장치(130-I/O)는 하지그(110)와 단말기의 내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내압식) 또는 단말기의 외측면과 가압장치(120)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외압식)으로 방수 시험용 공기를 주입한다.
즉, 공기주입장치(130-I/O)는 내압용 공기주입장치(130-I) 및 외압용 공기주입장치(130-O)를 포함하며, 본 발명이 내압식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내압용 공기주입장치(130-I)가 사용되고, 외압식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외압용 공기주입장치(130-O)가 사용된다.
나아가,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내압식 및 외압식 모두를 적용하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압용 공기주입장치(130-I) 및 외압 공기주입장치(130-I/O) 모두를 구비한 상태에서 선택 밸브(SV-I/O)에 의해 이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공기를 주입한다.
구체적으로 내압용 공기주입장치(130-I)는 하지그(110)의 바닥면 중심부에 관통 형성된 분사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압용 공기주입장치(130-I)를 통해 하지그(110)와 단말기 사이에 형성된 밀폐 공간으로 공기압이 가해진다. 따라서, 단말기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공기의 누설이 있는 경우 이를 압력센서(도 5a,b의 170)로 감지하여 누수 부분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외압용 공기주입장치(130-O)는 가압장치(120)를 구성하는 상부 커버(122)에 설치되어 단말기의 외측면과 가압장치(120) 사이에 형성된 밀폐 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한다. 이때, 외압용 공기주입장치(130-O)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커버(122)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어 가압부(121)와 겹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단말기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공기의 누설이 있는 경우 이를 압력센서(170)로 감지하여 누수 부분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게 한다.
검사선택 밀폐구(140-S/B)는 단말기(T)에 존재하는 다수의 방수검사 부위(H)를 각각 독립적으로 폐쇄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단말기에 누수 부분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 어느 부분에서 누수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검사선택 밀폐구(140-S/B)는 다수개 구비되며, 다수개의 검사선택 밀폐구(140-S/B)는 제어부(15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또한, 방수 시험 모드에 따라 작동되는 검사선택 밀폐구(140-S/B)가 선택된다.
이러한 검사선택 밀폐구(140-S/B)는 단말기 중 방수검사가 필요한 부위(H)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구조적 이유 등으로 밀폐가 어려운 부분(예: 윈도우와 프레임 경계)은 제외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T)(예: 스마트 폰)의 측면에 구비된 단자, 버튼 및 잭이나, 단말기의 후면(도면 기준 저면)에 구비된 지문인식 버튼이나 리시버 칩셋은 밀폐하기가 쉽다. 따라서 이들의 경우에는 선택된 부분만을 순차로 막아가면서 해당 부위에 누설이 있는지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단말기(T)의 윈도우(W)와 프레임(F) 사이의 틈은 승하강되는 가압장치(120)를 이용하여 막기가 힘들뿐만 아니라 범위가 넓어서 검사 신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외 다른 부분을 모두 막은 상태에서 검사를 함으로써 윈도우(W)의 누설을 우회적으로 검사한다.
한편, 다수개의 검사선택 밀폐구(140-S/B)는 단말기의 측면에서 방수검사 부위를 폐쇄하도록 측부 검사선택 밀폐구(140-S)를 포함한다. 나아가, 단말기의 하부에서 방수검사 부위를 폐쇄하는 저부 검사선택 밀폐구(140-B)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측부 검사선택 밀폐구(140-S)는 단말기의 측면에 존재하는 방수검사 부위를 폐쇄할 수만 있으면 그 설치위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측부 검사선택 밀폐구(140-S)는 고정돌기(111)에 설치된다.
고정돌기(111)는 상기 하지그(110)가 설치되는 베이스 테이블(B-T)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단말기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단말기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측부 검사선택 밀폐구(140-S)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측부 검사선택 밀폐구(140-S)는 단말기의 외측에서 단말기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예: 7개)(이어잭, USB 포트 및 버튼 등)의 방수검사 부위(H)를 각각 독립적으로 폐쇄한다.
각각의 측부 검사선택 밀폐구(140-S)는 공압식의 실린더(140a) 및 상기 실린더(140a)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마개(140b)를 포함한다. 따라서, 공압 설비(160)로부터 고압의 공기가 인가되면 마개(140b)가 인출되어 단말기의 측면에 존재하는 다수의 방수검사 부위(H)를 각각 독립적으로 막는다.
저부 검사선택 밀폐구(140-B)는 하지그(110)의 하측에서 선택 시험용 관통공(VT-H)을 각각 독립적으로 폐쇄하도록 설치되어, 단말기의 하면(정자세로 검사시) 또는 상면(뒤집어 검사시)에 존재하는 방수검사 부위를 각각 독립적으로 폐쇄한다.
이러한 저부 검사선택 밀폐구(140-B)는 일 예로 스마트폰의 후면에 구비된 지문인식 버튼이나 수신 칩셋 부분을 폐쇄하는 것으로, 선택 시험용 관통공(VT-H)은 위와 같은 방수검사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밀폐 공간을 외부와 연결시킨다. 따라서, 누설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저부 검사선택 밀폐구(14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테이블(B-T)의 저부에 설치됨에 따라 하지그(110) 및 베이스 테이블(B-T)을 관통하여 형성된 선택 시험용 관통공(VT-H)을 선택적으로 밀폐한다. 이러한 저부 검사선택 밀폐구(140-B) 역시 측부 검사선택 밀폐구(140-S)와 마찬가지로 실린더 및 마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하지그(110)는 안내 블럭(11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 블럭(112)은 단말기의 하면(정자세 검사시) 또는 상면(뒤집어 검사시)에 존재하는 방수검사 부위(예: 지문인식 버트 및 수신 칩셋)와 상기 선택 시험용 관통공(VT-H) 사이에 밀착 삽입된다.
또한, 안내 블럭(112)에는 선택 시험용 관통공(VT-H)과 연결되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누설된 공기를 선택 시험용 관통공(VT-H)까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면서도 가압장치(120)로 단말기를 가압 고정시 단말기를 지지하여 단말기의 변형을 방지한다.
한편, 위에서 설명을 생략한 배출공 및 개폐 실린더는 본 발명에 외압식을 적용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각각 다수개 구비된다. 일 예로 2개의 배출공 및 그를 개폐하는 2개의 개폐 실린더를 포함한다.
이때, 배출공은 외부에서 단말기와 하지그(110) 사이의 밀폐 공간까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공기를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개폐 실린더는 이러한 배출공을 개방(외압식 검사시)하거나 폐쇄(내압식 검사시)한다.
이를 통해 외압식 방수검사를 수행시 단말기의 외측면과 가압장치(120) 사이에 형성된 밀폐 공간으로 주입된 공기가, 단말기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입된 후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외압식 방수검사시 압력 변동의 차이를 크게 하여 방수검사를 쉽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제어부(150)는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다수의 방수검사 부위 중 어느 방수검사 부위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누설되는지 판단한다. 누설의 판단은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킨 상태에서의 압력 변화값을 제공받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에 의해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모두 개방시킨 상태에서 방수검사를 진행하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단말기의 어느 부위에서든 누설이 발생하였는지 판단(전체 누설검사 모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모두 작동시켜 단말기 중 검사선택 밀폐구(140-S/B)에 의해 밀폐되지 않은 부위에서 누설이 있는지 판단(제1 선택검사 모드)할 수 있다.
즉,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모두 작동시켜 막은 상태에서 누설이 있다면 검사선택 밀폐구(140-S/B)로 막을 수 없는 나머지 부분(예: 단말기 프레임과 윈도우 사이의 틈새)에서 누설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단말기 중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140-S/B)에 의해 밀폐된 부위에서 누설이 있는지 판단(제2 선택검사 모드)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된 검사선택 밀폐구(140-S/B)로 특정 부위를 막은 상태에서 더 이상 누설이 없다면 해당 검사선택 밀폐구(140-S/B)로 막은 부분에 문제(누설)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의 공압 설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적용될 공압 설비를 별도로 구비한 경우를 예로 든 것이고, 도 5b는 에어블록을 이용하여 방수검사를 하던 종래의 공압 설비에 본 발명을 추가로 설치한 것을 예로 든 것이다.
먼저, 도 5a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는 컴프레서(10), 레귤레이터(20), 검사 배관, 메인 컨트롤 밸브(30) 및 압력센서(170)를 포함한다. 또한, 승하강 구동부(50) 및 밀폐 구동부(140-CT)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을 위해 별도로 구비된 공압 설비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컴프레서(10)는 고압의 공기를 압축 공급한다. 일 예로 컴프레서(10)는 5.5bar~6.5bar(kgf/cm2)의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는 6.0bar의 압력으로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한다.
레귤레이터(20)는 컴프레서(10)에서 공급된 고압 공기를 설정된 압력으로 낮추어 공급하는 것으로 일 예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압 레귤레이터, 소압 레귤레이터 및 전공 레귤레이터(electro-pneumatic regu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압 레귤레이터는 일 예로 5.5bar(kgf/cm2)의 압력으로 낮추고, 소압 레귤레이터는 1.0bar(kgf/cm2)의 압력으로 낮춘다. 그 후 전공 레귤레이터를 통해서는 0.16bar(kgf/cm2)의 압력으로 낮춘다.
전공 레귤레이터는 공기 유량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기기로서 입력 전압(전류)에 비례하여 압력, 유량을 얻고 입력과 출력이 직선적으로 비례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공기압을 연속적으로 미세 제어할 수 있다.
검사 배관(160-I/O)은 레귤레이터(20)를 통해 공급된 정압의 공기를 공기주입장치(130-I/O)로 공급하는 것으로, 검사 배관(160-I/O)에는 단말기의 누설부위 존재를 판단하기 위한 압력센서(170)가 설치된다.
이러한 검사 배관(160-I/O)은 본 발명이 내압식 방수검사에 적용되는지, 외압식 방수 검사에 적용되는지 혹은 내압식 및 외압식 방수검사 모두가 가능하되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지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된다.
즉, 내압식 방수검사의 경우에는 내압용 검사 배관(160-I)을 포함하고, 외압식 방수검사의 경우에는 외압용 검사 배관(160-O)을 포함하며, 내압식 및 외압식 방수검사가 가능한 경우에는 내압용 검사 배관(160-I) 및 외압용 검사 배관(160-O) 모두를 구비한다.
이때, 내압용 검사 배관(160-I)의 입력측은 레규레이터(20)에 연결되고, 출력측은 내압용 공기주입장치(130-I)를 통해 하지그(110)와 단말기의 내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에 연결된다. 따라서 내압식 밀폐 공간에 공기를 공급한다.
유사하게 외압용 검사 배관(160-O)의 입력측은 레규레이터(20)에 연결되고, 출력측은 외압용 공기주입장치(130-O)를 통해 단말기의 외측면과 가압장치(120)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에 연결된다. 따라서 외압식 밀폐 공간에 공기를 공급한다.
메인 컨트롤 밸브(161-I/O)는 검사 배관(160-I/O)에 연결 설치되어 검사 배관(160-I/O)을 개폐하는 것으로, 메인 컨트롤 밸브(161-I/O)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레귤레이터(20)에서 공기주입장치(130-I/O)로 공기가 공급되게 한다.
예컨대,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메인 컨트롤 밸브(161-I/O)를 개방하여 밀폐 공간에 2초간 0.16bar(kgf/cm2)의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한 후 밸브를 닫는다. 나아가 밸브를 닫은 뒤 2초 후 1차로 압력센서(170)에서 압력변화를 감시한다.
그 다음 5초 후 2차로 압력변화를 감시하여 1차와 2차 사이의 압력 변화치가 5% 이상 차이가 발생하면 단말기를 통해 공기가 빠져나간 것이므로 누설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메인 컨트롤 밸브(161-I/O) 역시 검사 배관(160-I/O)과 마찬가지로 내압용 메인 컨트롤 밸브(161-I) 및 외압용 메인 컨트롤 밸브(161-O)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압용 메인 컨트롤 밸브(161-I)는 내압용 검사 배관(160-I)에 설치되어 내압용 공기주입장치(130-I)로 공급되는 공기를 단속한다. 외압용 메인 컨트롤 밸브(161-O)는 외압용 검사 배관(160-O)에 설치되어 외압용 공기주입장치(130-O)로 공급되는 공기를 단속한다.
다만, 메인 컨트롤 밸브(161-I/O)는 역-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역-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자적 밸브의 일종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에는 폐쇄(close) 상태가 된다.
따라서, 내압용 메인 컨트롤 밸브(161-I) 및 외압용 메인 컨트롤 밸브(161-O) 모두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아 이들이 모두 폐쇄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에 전원을 인가하여 개방되는 밸브를 선택한다. 즉, 내압식 검사방식 또는 외압식 검사방식을 선택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내압용 메인 컨트롤 밸브(161-I) 및 외압용 메인 컨트롤 밸브(161-O) 중 내압용 메인 컨트롤 밸브(161-I)를 오픈(개방)시키고, 외압용 메인 컨트롤 밸브(161-O)를 오프(폐쇄)시킨 상태를 일 예로 도시한 것이나, 그 외 외압용 메인 컨트롤 밸브(161-O)를 오픈시킬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압력센서(170)는 단말기에 누설 부위가 존재하는 경우 밀폐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고, 공기가 빠져나감에 따라 압력이 변동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검사 배관(160-I/O)에 설치된다.
즉, 단말기에 누설 부위가 존재하기 때문에 밀폐 공간(내압식 또는 외압식)으로 공급된 공기가 해당 밀폐 공간으로부터 누설되고, 그에 따라 밀폐 공간에 연결된 검사 배관(160-I/O) 내의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압력센서(170)로 감지한다.
이를 위해, 내압용 검사 배관(160-I)과 압력센서(170)를 연결하는 분기배관에는 내압용 검출 밸브(162-I)가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외압용 검사 배관(160-O)과 압력센서(170)를 연결하는 분기배관에는 외압용 검출 밸브(162-O)가 설치된다. 따라서, 내압용 검출 밸브(162-I) 또는 외압용 검출 밸브(162-O)를 통해 압력센서(170)로 공기가 전달된다.
한편, 승하강 구동부(50)는 상하로 승하강되는 가압장치(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컴프레서(10)에서 공급된 고압 공기를 가압장치(120)를 구성하는 공압 실린더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승하강 구동부(50)는 고압 배관 및 컨트롤 밸브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작동용 고압 공기가 공압 실린더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실린더 로드가 인입(상승) 또는 인출(하강)된다.
밀폐 구동부(140-CT)는 컴프레서(10)에서 공급된 고압 공기를 검사선택 밀폐구(140-S/B)에 공급하는 것으로, 고압의 작동용 공기를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작동시키는 실린더(140a)에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검사선택 밀폐구(140-S/B)는 일 예로 공압식의 실린더(140a) 및 상기 실린더(140a)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고무재질의 마개(140b)를 포함한다.
이때, 검사선택 밀폐구(140-S/B)가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된 방수검사 부위를 막는 측부 검사선택 밀폐구(140-S) 및 단말기의 저면(정상자세 검사) 또는 상면(뒤집어 검사)에 구비된 방수검사 부위를 막는 저부 검사선택 밀폐구(140-B)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들 각각에 고압의 작동용 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밀폐 구동부(140-CT)에 의해 다수의 검사선택 밀폐구(140-S/B)에 선택적으로 작동되고 검사선택 밀폐구(140-S/B)의 마개(140b)가 단말기 측면의 각 방수검사 부위(H)를 선택적으로 막는다.
한편, 도 5b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압 설비로써 종래의 공압 설비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은 별도의 공압 설비를 추가하지 않고도 종래의 공압 설비를 이용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종래에는 에어블록(40)에 별도의 압력센서(41)를 설치하여 에어블록(40)의 압력 변화를 통해 단말기의 누설을 판단하였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공압 설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b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도 5a의 컴프레서(10), 레귤레이터(20), 검사 배관(160-I/O), 메인 컨트롤 밸브(161-I/O), 압력센서(170), 승하강 구동부(50) 및 밀폐 구동부(140-CT)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서브 컨트롤 밸브(30) 및 에어블록(40)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선택 밸브(SV-I/O)를 더 포함하며, 이들 구성은 도 5a와 비교하여 레귤레이터와 검사 배관(160-I/O) 사이에 추가로 삽입된다.
이때, 서브 컨트롤 밸브(30)는 이상과 같은 레귤레이터(20)를 통해 공급된 정압의 공기를 에어블록(40)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 공급하는 것으로, 일 예로 전자적 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된다.
또한 서브 컨트롤 밸브(30)는 밸브를 개방하여 에어블록(40)에 공기를 공급한다. 바람직하게 서브 컨트롤 밸브(30)는 방수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밸브를 개방하여 공기를 공급하며, 내압식 또는 외압식 밀폐 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술한 메인 컨트롤 밸브(161-I/O)에서 미세 제어한다.
종래에는 에어블록(40)에서 압력 변화를 검출하므로, 서브 컨트롤 밸브(30)를 개방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에어블록(40)에 공기를 공급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밸브를 닫는다. 따라서, 에어블록(40) 내부가 일정한 압력이 되도록 하고 에어블록(40)에 구비된 종래의 압력센서(41)로 누설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검사 배관(160-I/O)에 압력센서(170)를 설치하고, 검사 배관(160-I/O)에서 단말기의 누설 여부를 판단하므로, 에어블록(40)은 가급적 방수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서브 컨트롤 밸브(30)를 열어 에어블록(40)으로 공기를 연속 공급한다.
한편, 에어블록(40)은 그 내부에 정압의 공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한 압력 탱크에 해당하는 것으로, 입력측은 서브 컨트롤 밸브(30)에 연결되고, 출력측은 검사 배관(160-I/O)에 연결된다.
이때 선택 밸브(SV-I/O)는 에어블록(40)의 일측 및 타측 출력측에 각각 설치되어 에어블록(40)의 출력을 선택한다. 즉, 에어블록(40) 내의 공기가 내압용 검사 배관(160-I) 또는 외압용 검사 배관(160-O) 중 어느 하나로 배출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방수검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과 같이, 본 발명은 하지그(110)에 단말기를 준비하는 단계(S110), 가압장치(120)를 하강시키는 단계(S120), 공기주입 단계(S130),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선택 작동시키는 단계(S140), 압력검출 단계(S150) 및 누설판단 단계(S160)를 포함한다.
이때, 하지그(110)에 단말기를 준비하는 단계(S110)에서는 하지그(110)의 상면에 방수검사 대상품인 단말기(T)를 올려놓는다.
다음, 가압장치(120)를 하강시키는 단계(S120)에서는 공압 실린더에 고압 공기를 공급하여 가압장치(120)를 하강시킴으로써 단말기를 가압한다. 따라서, 하지그(110)와 단말기의 내측면 및 단말기의 외측면과 가압장치(120) 사이에 방수검사에 필요한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다.
다음, 공기주입 단계(S130)에서는 메인 컨트롤 밸브(161-I/O)의 제어하에 검사 배관(160-I/O) 및 공기주입장치(130-I/O)를 통해 밀폐 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한다. 공기는 일 예로 2초간 주입되며 그에 의해 밀폐 공간 내에는 설정된 공기압이 가해진다.
이때, 검사원은 단말기의 방수 검사를 내압식으로 진행할지 혹은 외압식으로 진행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내압용 검사 배관(160-I) 또는 내압용 공기주입장치(130-I)를 통해 밀폐된 공간(내압식 또는 외압식)으로 방수 시험용 공기를 주입한다.
다음,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선택 작동시키는 단계(S140)에서는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다수의 방수검사 부위(H)를 각각 독립적으로 폐쇄하는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작동시킨다.
검사선택 밀폐구(140-S/B)는 단말기의 외측부에서 단말기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단말기에 형성된 방수검사 부위(H)를 폐쇄하며, 측부 검사선택 밀폐구(140-S) 및 저부 검사선택 밀폐구(140-B)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어느 것도 작동시키지 않아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는 단말기에 누수가 있다면 그 부위가 어느 곳이든 공기가 세어나가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수검사와 마찬가지로 단말기 누수 여부 자체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
반면,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단말기를 밀폐시키면 검사선택 밀폐구(140-S/B)에 의해 밀폐된 부분에 누수가 있더라도 이를 통해 누수가 될 수 없기 때문에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어느 부위에서 누수가 있는지 판별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다음, 압력검출 단계(S150)에서는 다수개의 검사선택 밀폐구(140-S/B)의 작동상태별로 단말기의 밀폐 공간에 연결된 검사 배관(160-I/O)의 압력 변동을 검사 배관(160-I/O)에 설치된 압력센서(170)로 각각 검출한다.
다음, 누설판단 단계(S160)에서는 압력 변동값을 제어부(150)에서 입력받아 단말기에 구비된 다수의 방수검사 부위별로 누수 여부를 판별한다.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특유의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방식의 검사가 가능하다.
즉, 전체 누설 검사 단계(S171a)에서는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모두 개방시켜 검사를 함으로써 단말기의 어느 부위에서든 누설이 발생하였는지 판단(S171b)한다.
판단결과 누설이 없으면 단말기의 방수 성능이 양호한 것이므로 해당 단말기에 대한 방수검사를 종료한다. 반면, 누설이 있다면 어느 부위에서 누설이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아래의 추가적인 방수검사를 진행한다.
다음, 단말기에 누설이 있는 것으로 확인 후에는 제1 선택검사(S172a)를 수행한다. 제1 선택검사(S172a)시는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모두 작동시켜 검사를 하며, 단말기 중 검사선택 밀폐구(140-S/B)에 의해 밀폐되지 않은 부위에서 누설이 있는지 판단(S172b)한다.
예컨대, 단말기에 있는 단자, 잭, 버튼 등의 검사부위(H)는 검사선택 밀폐구(140-S/B)로 모두 막고, 그 상태에서 검사선택 밀폐구(140-S/B)로 막지 못하는 단말기의 윈도우(W)와 프레임(F) 사이를 통해 누설이 있는지 판단한다.
따라서, 윈도우(W)와 프레임(F) 사이에 누설이 있다면 상기한 전체 누설 검사 단계에서의 누설이 윈도우(W)와 프레임(F) 사이의 틈새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방수검사를 종료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부위에서도 동시에 누설이 발생한 것일 수 있으므로 아래와 같은 제2 선택검사를 추가로 실행할 수도 있다. 즉, 윈도우(W)와 프레임(F) 사이에서 누설이 없거나 혹은 그 이외 부분 역시 추가 검사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선택검사(S173a)를 수행한다.
제2 선택검사(S173a)는 다수의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단말기 중 검사선택 밀폐구(140-S/B)에 의해 밀폐된 부위에서 누설이 있는지 각각 판단(S173b)한다.
다수개의 검사선택 밀폐구(140-S/B)들 중 선택된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작동시키는 방법은 선택된 검사선택 밀폐구(140-S/B)만 단말기를 개방하도록 작동시키거나 혹은 선택된 검사선택 밀폐구(140-S/B)만 단말기를 밀폐하도록 작동시키는 방식 중 어느 것이나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기는 검사선택 밀폐구(140-S/B)에 의해 막힌 부분과 개방된 부분이 있게 되며, 단말기 중 막힌 검사부위를 통해서는 누설이 불가능하므로 더 이상의 누설이 없다면 그 막힌 검사부위가 누설의 원인임을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단말기 중 개방된 검사부위를 통해서는 누설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부위에서의 누설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개방된 검사부위가 누설의 원인임을 판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다수개의 검사선택 밀폐구(140-S/B)들 중 선택된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며 각각의 경우에 대해 방수검사를 실시하고, 검사도중 누설이 발생하면 상기한 전체 누설 검사 단계에서의 누설이 그 부분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방수검사를 종료한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또 다른 부위에서도 함께 누설이 발생한 것일 수도 있으므로 다수개의 검사선택 밀폐구(140-S/B) 모두를 순차로 작동시킴에 따라 모든 부분에 대해 검사를 수행(S173c)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 누수가 있는지 여부는 물론, 어느 부분에서 누수가 있는지 역시 판별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방수검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은 하지그(110)에 단말기를 준비하는 단계(S110), 가압장치(120)를 하강시키는 단계(S120), 공기주입 단계(S130),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선택 작동시키는 단계(S140), 압력검출 단계(S150) 및 누설판단 단계(S160)를 포함한다.
이점은 위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전체 누설 검사(171a, 171b), 제1 선택검사(172a, 172b) 및 제2 선택검사(173a, 173b, 173c)를 순차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검사원의 선택(S170)에 따라 전체 누설 검사(171a, 171b), 제1 선택검사(172a, 172b) 및 제2 선택검사(173a, 173b, 173c)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순서에 상관없이 검사원에 의해 선택된 모드의 검사가 진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검사모드 선택 단계(S170) 및 상기 검사모드 선택에 따라 제어부(150)가 전체 누설 검사(171a, 171b), 제1 선택검사(172a, 172b) 및 제2 선택검사(173a, 173b, 173c)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도록 다수개의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
물론, 어느 하나의 선택된 검사를 진행한 후에는 또 다른 모드의 검사를 진행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컴프레서
20: 레귤레이터
30: 서브 컨트롤 밸브
40: 에어블록
41: 압력센서
50: 승하강 구동부
110: 하지그
120: 가압장치
130: 공기주입장치
140: 검사선택 밀폐구
140-CT: 밀폐 구동부
150: 제어부
160-I/O: 검사 배관
161-I/O: 메인 컨트롤 밸브
170: 압력센서(170)

Claims (16)

  1. 방수검사 대상품인 단말기가 상면에 놓이는 하지그(110)와;
    상기 하지그(110)에 놓인 단말기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장치(120)와;
    상기 하지그(110)와 단말기 사이 또는 상기 가압장치(120)와 단말기 사이에 형성된 밀폐공간에 상기 단말기의 방수 시험용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장치(130-I/O)와;
    상기 단말기에 존재하는 다수의 방수검사 부위를 각각 독립적으로 폐쇄하는 다수개의 검사선택 밀폐구(140-S/B); 및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다수의 방수검사 부위 중 어느 방수검사 부위를 통해 상기 주입된 공기가 누설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모두 개방시켜, 상기 단말기의 어느 부위에서든 누설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전체누설검사와;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모두 작동시켜 상기 단말기 중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140-S/B)에 의해 밀폐되지 않은 부위에서 누설이 있는지 판단하는 제1 선택검사; 및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단말기 중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140-S/B)에 의해 밀폐된 부위에서 누설이 있는지 판단하는 제2 선택검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120)는,
    공압 실린더와, 상기 공압 실린더에 의해 인출되는 실린더 로드 및 상기 실린더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를 가압 고정하는 가압부(121)를 포함하는 실린더 장치이고,
    상기 공기주입장치(130-I/O)는,
    상기 하지그(110)와 단말기의 내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으로 상기 방수 시험용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단말기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공기가 누설되는지 판단할 수 있게 하는 내압용 공기주입장치(130-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120)는,
    공압 실린더와, 상기 공압 실린더에 의해 인출되는 실린더 로드와, 상기 실린더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를 가압 고정하는 가압부(121) 및 상기 가압부(121)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121)와 함께 하강하여 상기 단말기를 덮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122)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주입장치(130-I/O)는,
    상기 단말기의 외측면과 상부 커버(122)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으로 상기 방수 시험용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단말기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공기가 누설되는지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외압용 공기주입장치(130-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그(110)가 설치되는 베이스 테이블(B-T)의 상면에는 상기 단말기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돌기(111)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140-S/B)는 상기 고정돌기(111)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단말기의 측면에 존재하는 방수검사 부위를 각각 독립적으로 폐쇄하는 측부 검사선택 밀폐구(140-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그(110)에는 상기 단말기의 하면(정상 검사시) 또는 상면(뒤집어 감사시)에 존재하는 방수검사 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밀폐 공간을 외부와 연결시키는 선택 시험용 관통공(VT-H)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140-S/B)는 상기 하지그(110)의 하측에서 상기 선택 시험용 관통공(VT-H)을 각각 독립적으로 폐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단말기의 하면 또는 상면에 존재하는 방수검사 부위를 각각 독립적으로 폐쇄하는 저부 검사선택 밀폐구(140-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그(110)는 상기 단말기의 하면 또는 상면에 존재하는 방수검사 부위와 상기 하지그(110)에 형성된 선택 시험용 관통공(VT-H) 사이에 밀착 삽입되는 안내 블럭(112)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안내 블럭(112)에는 상기 선택 시험용 관통공(VT-H)과 연결되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고압의 공기를 압축 공급하는 컴프레서(10)와;
    상기 컴프레서(10)에서 공급된 고압 공기를 설정된 압력으로 낮추어 공급하는 레귤레이터(20)와;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해 공급된 정압의 공기를 상기 공기주입장치(130-I/O)로 공급하는 검사 배관(160-I/O)과;
    상기 검사 배관(160-I/O)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검사 배관(160-I/O)을 설정된 시간 동안 개폐하는 메인 컨트롤 밸브(161-I/O); 및
    상기 단말기에 누설 부위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밀폐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고, 공기가 빠져나감에 따라 압력이 변동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상기 검사 배관(160-I/O)에 설치된 압력센서(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20)를 통해 공급된 정압의 공기를 설정된 시간 동안 공급하는 서브 컨트롤 밸브(30); 및
    상기 서브 컨트롤 밸브(30)를 통해 공급된 정압의 공기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공기를 상기 검사 배관(160-I/O)으로 공급하는 에어블록(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10)에서 공급된 고압 공기를 상기 가압장치(120)를 승하강시키는 공압 실린더에 공급하는 승하강 구동부(50); 및
    상기 컴프레서(10)에서 공급된 고압 공기를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140-S/B)에 공급하는 밀폐 구동부(140-C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배관(160-I/O)은 상기 하지그(110)와 단말기의 내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내압용 검사 배관(160-I)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 밸브(161-I/O)는 상기 내압용 검사 배관(160-I)에 연결 설치된 내압용 메인 컨트롤 밸브(161-I)를 포함하되,
    상기 내압용 검사 배관(160-I)과 압력센서(170)를 연결하는 분기배관에는 내압용 검출 밸브(162-I)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배관(160-I/O)은 상기 단말기의 외측면과 가압장치(120)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외압용 검사 배관(160-O)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 밸브(161-I/O)는 상기 외압용 검사 배관(160-O)에 연결 설치된 외압용 메인 컨트롤 밸브(161-O)를 포함하되,
    상기 외압용 검사 배관(160-O)과 압력센서(170)를 연결하는 분기배관에는 외압용 검출 밸브(162-O)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과 같은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방수검사 방법에 있어서,
    하지그(110)의 상면에 방수검사 대상품인 단말기를 올려놓은 단계(S110)와;
    가압장치(120)로 상기 단말기를 가압 고정하여 상기 하지그(110)와 단말기의 내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의 외측면과 가압장치(120)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S120)와;
    공기주입장치(130-I/O)를 통해 상기 밀폐 공간 내부로 설정된 시간 동안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S130)와;
    제어부(150)에 의해 다수개의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형성된 다수의 방수검사 부위를 각각 독립적으로 폐쇄하는 단계(S140); 및
    상기 다수개의 검사선택 밀폐구(140-S/B)의 작동상태별로 상기 주입된 공기에 의한 압력의 변동을 압력센서(170)로 각각 검출(S150)하여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다수의 방수검사 부위별로 누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모두 개방시켜, 상기 단말기의 어느 부위에서든 누설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전체누설검사 단계(S1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모두 작동시켜 상기 단말기 중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140-S/B)에 의해 밀폐되지 않은 부위에서 누설이 있는지 판단하는 제1 선택검사 단계(S1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140-S/B)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단말기 중 상기 검사선택 밀폐구(140-S/B)에 의해 밀폐된 부위에서 누설이 있는지 판단하는 제2 선택검사 단계(S1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방법.
KR1020170103442A 2017-08-16 2017-08-16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및 방수검사 방법 KR102033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442A KR102033377B1 (ko) 2017-08-16 2017-08-16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및 방수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442A KR102033377B1 (ko) 2017-08-16 2017-08-16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및 방수검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834A KR20190018834A (ko) 2019-02-26
KR102033377B1 true KR102033377B1 (ko) 2019-10-17

Family

ID=6556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442A KR102033377B1 (ko) 2017-08-16 2017-08-16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및 방수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3567A1 (zh) * 2020-01-19 2021-07-22 华为技术有限公司 手持电子设备的性能测试装置及测试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158B1 (ko) * 2019-09-11 2020-11-3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어레이형 촉각센서의 성능 평가시스템
CN111277700B (zh) * 2020-04-15 2021-01-22 深圳市信通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手机的检测装置
CN113580468B (zh) * 2021-07-27 2023-08-04 徐州市鹏宇密封件有限公司 一种便于密封件测试的生产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7445A (ja) 2010-12-28 2012-07-19 Toyota Motor Corp リーク検査装置およびリーク検査方法
JP2017133899A (ja) 2016-01-27 2017-08-03 株式会社エアレックス 気密性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596B1 (ko) * 2012-12-11 2015-03-23 주식회사 팬택 누설 테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설 테스트 방법
KR101406698B1 (ko) 2013-08-14 2014-06-11 김동언 투 챔버 방식의 단말기 방수 검사장치
KR101442072B1 (ko) 2014-06-03 2014-09-18 김동언 반제품 방수검사용 챔버유닛
KR101598849B1 (ko) * 2014-06-23 2016-03-02 김동언 반제품 방수검사 장치
KR101659589B1 (ko) * 2014-07-22 2016-09-26 이강욱 전자 제품의 리크 테스트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7445A (ja) 2010-12-28 2012-07-19 Toyota Motor Corp リーク検査装置およびリーク検査方法
JP2017133899A (ja) 2016-01-27 2017-08-03 株式会社エアレックス 気密性検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3567A1 (zh) * 2020-01-19 2021-07-22 华为技术有限公司 手持电子设备的性能测试装置及测试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834A (ko)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377B1 (ko) 누설 부위의 판단이 가능한 단말기용 방수검사 장치 및 방수검사 방법
KR101146824B1 (ko) 기기의 검사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기기의 검사시스템,휴대전화의 유지장치
KR101197704B1 (ko) 단말기 방수 검사장치
CN108489799A (zh) 一种岩石气体三轴/裸三轴压缩试验装置、系统及方法
US20100154516A1 (en) Waterproof test method and waterproof test tank
KR102092270B1 (ko) 파우치형 전지셀의 리크 검출장치 및 방법
CN111090944B (zh) 挖掘机工作装置的疲劳预测分析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EP3316561B1 (en) Apparatus for testing waterproofness of half-finished product
US20160231355A1 (en) Semiconductor chip test device
KR101504596B1 (ko) 누설 테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설 테스트 방법
KR101598849B1 (ko) 반제품 방수검사 장치
KR101588570B1 (ko) 실장부품이 탑재된 완제품의 연성회로기판(fpcb) 통합 검사장치
CN103926040B (zh) 一种用于检测防水性能的测试工装
KR101857120B1 (ko) 휴대폰 단말기의 방수 검사장치
CN110416012B (zh) 按键防水结构及电子设备
KR102034451B1 (ko) 고압 부품의 내구성능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KR102184158B1 (ko) 어레이형 촉각센서의 성능 평가시스템
CN203011650U (zh) 平面焊缝的气密检验工具
CN109443940B (zh) 检测弹性密封垫张开情况下防水失效路径的方法及系统
KR102009380B1 (ko) 단말기 방수 검사장치
KR102009422B1 (ko) 방수 대상체의 방수 검사 장치
CN207215947U (zh) 主板自动测试装置
KR101826289B1 (ko) 단말기용 방수 검사장치
KR20180066557A (ko) 다양한 크기의 펌프 메커니컬실 집합체의 성능테스터
CN205488046U (zh) 适用于晶元检测的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