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022B1 - 체인 장력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체인 장력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022B1
KR102033022B1 KR1020180012171A KR20180012171A KR102033022B1 KR 102033022 B1 KR102033022 B1 KR 102033022B1 KR 1020180012171 A KR1020180012171 A KR 1020180012171A KR 20180012171 A KR20180012171 A KR 20180012171A KR 102033022 B1 KR102033022 B1 KR 102033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tension
chain
sprocket
tension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890A (ko
Inventor
조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Priority to KR1020180012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0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1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cylinder-like, i.e.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61H2201/0169Noise 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인 장력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체인이 감기는 메인 스프라켓; 상기 메인 스프라켓에 감긴 상기 체인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체인과 맞물리는 장력유지 스프라켓; 상기 체인에 장력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장력유지 스프라켓에 힘을 가하는 장력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체인의 오랜 사용으로 인한 늘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음의 발생을 막을 수 있으며, 체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체인 장력 유지 장치{CHAIN TENSION MAINTAINING DEVICE}
본 발명은 체인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체인 장력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어깨 결림, 요통, 좌골 신경통, 척추 측만증, 목 디스크, 허리 디스크 등과 같은 척추 변위와 척추 질환,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물리치료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물리치료 기구 중에서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척추교정 및 척추질환 통증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물리치료기구는 사용자의 허리(척추), 목(경추), 척추를 정상적인 'S'자 형상으로 유지하기가 불가능하므로 베개 등과 같은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여야만 하며, 베개를 목에 사용할 경우 목이 일자 목이 되어 척추 질환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또한, 대퇴부나 허벅지의 치료를 위해서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각각의 물리치료 기구나 장치들은 사용방법과 절차에 따라 사용자가 각각 조작하여 별로로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이용상 많은 불편함이 있으며, 사용자에게 시간적, 경제적 부담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1716호('전신 마사지기', 2015. 5.13)에 개시되어 있는 전신마사지기는, 사용자가 침대형 매트에 누운 상태로 경추에서 흉추를 거쳐 요추까지 독립적으로 마사지를 수행하고, 종아리에 저주파 온열치료까지 동시에 수행하며, 베개, 종아리 마사지기 등을 포함한 별도의 기구가 필요없이 사용자가 하나의 침대형 매트에 누운 상태로 경추와 흉추에서 요추까지 독립적으로 동시에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고, 종아리부에 온열 저주파 치료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전신 마사지기의 내부에는 척추 마사지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체인이 구비되는데, 전신 마사지기의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체인의 늘어짐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체인의 오랜 사용에 따른 늘어짐 현상으로 인하여 구동음이 발생하고, 체인의 이탈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체인의 오랜 사용으로 인한 늘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음의 발생을 막을 수 있으며, 체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체인 장력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체인이 감기는 메인 스프라켓; 상기 메인 스프라켓에 감긴 상기 체인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체인과 맞물리는 장력유지 스프라켓; 상기 체인에 장력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장력유지 스프라켓에 힘을 가하는 장력유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력유지부는, 일단을 기준으로 하여 장착되는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고, 타단에는 상기 장력유지 스프라켓의 장력유지 회전축이 마련되어 있는 장력유지 브라켓과, 상기 장력유지 브라켓에 장착되되, 상기 체인에 장력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장력유지 브라켓에 힘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력유지부는, 상기 장력유지 브라켓의 일단이 탈착 가능한 장착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력유지 브라켓은, 어느 일면에 상기 장력유지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고, 반대 면에 상기 토션 스프링이 안착되는 토션암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션암 회전축은 상기 장력유지 브라켓이 상기 장착 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토션 스프링은, 일단은 상기 장착 브라켓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장력유지 브라켓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력유지브라켓과 상기 장착 브라켓에는 암 스토퍼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장력유지브라켓과 상기 장착 브라켓에 상기 암 스토퍼가 장착되면, 상기 토션 스프링이 상기 장력유지 브라켓에 힘을 가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장력유지 브라켓의 장착각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체인 장력 유지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모터가 마련된 모터 브라켓과, 장력유지 브라켓과 토션 스프링이 마련된 장착 브라켓은 탈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있어, 좁은 공간 내에서도 체인에 장력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토션 스프링에 의해 체인에 장력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장력유지 스프라켓에 힘을 가함으로써, 체인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인의 오랜 사용으로 인한 늘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음의 발생을 막을 수 있으며, 체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 장력 유지 장치가 적용된 전신 마사지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척추 마사지 유닛(70)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체인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 장력 유지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모터 브라켓으로부터 장착 브라켓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암 스토퍼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모터 브라켓에 장착 브라켓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체인이 장착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8에서 암 스토퍼를 제거하여 체인에 장력이 부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체인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장력 유지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전신 마사지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반드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전신 마사지기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체인을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에 두루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장력 유지 장치(500)가 적용된 전신 마사지기의 일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장력 유지 장치(500)가 적용된 전신 마사지기의 일례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합판(10) 내에는 전원트랜스(12), 베이스 프레임(60), 척추 마사지 유닛(70), 경추 마사지 유닛(80)이 내장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60)의 양측에는 가이드 레일(61)이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60)의 일단에는 보조 스프라켓(64)과 제2지지 스프라켓(63)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베이스 프레임(60)이 타단에는 메인 스프라켓(200)과 제1지지 스프라켓(250)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척추 마사지 유닛(7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추에서 대퇴부에 걸쳐 마사지를 수행하는 척추 마사지 롤러(71)와, 척추 마사지 롤러(7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척추 마사지 롤러 브라켓(72)과, 척추 마사지 롤러 브라켓(72)이 시소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 척추 마사지 유닛 몸체(73)과, 척추 마사지 유닛 몸체(73)의 양측에 구비되며 가이드 레일(61)을 따라 이동 가능한 척추 마사지 유닛 휠(74)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척추 마사지 유닛 몸체(73)는 도 3과 같이 체인(65) 사이에 연결되어 있어, 체인(65)이 구동함에 따라 척추 마사지 유닛 몸체(73)는 베이스 프레임(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한다.
경추 마사지 유닛(8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추 마사지 유닛 구동 휠(81)과 경추 마사지 링크암(82)과 경추 마사지 롤러(83)와 경추 마사지 롤러 브라켓(84)과 경추 마사지 롤러 브라켓 고정부(85)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회전 가능한 경추 마사지 유닛 구동 휠(81)의 일측에 경추 마사지 링크암(82)이 마련되어 있고, 경추 마사지 롤러 브라켓(84)은 경추 마사지 링크암(82)의 일단에 경추 마사지 롤러 브라켓 고정부(85)에 의해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원호 반복 운동이 가능하며, 경추 마사지 롤러 브라켓(84)에는 경추 마사지 롤러(8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사용자가 누운 상태로 상기의 전신 마사지기를 작동하면, 베이스 프레임(60)을 따라 척추 마사지 유닛(70)이 상하 운동하고, 경추 마사지 롤러 브라켓(84)이 시소 운동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척추를 따라 척추 마사지 유닛(70)이 이동하면서척추 마사지 롤러(71)가 척추를 마사지하고, 사용자의 경추 부분에는 경추 마사지 롤러 브라켓(84)이 시소 운동하여 경추 마사지 롤러(83)가 경추를 마사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신 마사지기의 체인(65)은, 도 4와 같이 일단과 타단이 척추 마사지 유닛 몸체(73)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체인(65)의 일측은, 보조 스프라켓(64)에 감겨 지지되어 있고, 체인(65)의 타측은 메인 스프라켓(200)에 감겨 지지되어 있다. 이때, 보조 스프라켓(64)에 감겨진 체인(65)의 외측에 배치된 제2지지 스프라켓(63)에, 체인(65)의 외측이 맞물려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메인 스프라켓(200)에 감겨진 체인(65)의 외측에 배치된 제1지지 스프라켓(250)에, 체인(65)의 외측이 맞물려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하기에서 설명할 모터(110)의 구동축(111) 상에 결합된 메인 스프라켓(200)이 회전함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인(65)이 왕복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체인(65)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본 발명과 같은 체인 장력 유지 장치(5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체인(65)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체인 장력 유지 장치(5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체인 장력 유지 장치(500)의 바람직한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 장력 유지 장치(500)를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 장력 유지 장치(500)는 구동수단(100)과 메인 스프라켓(200)과 장력유지 스프라켓(300)과 장력유지부(400)를 포함한다.
구동수단(100)은 회전력을 발생하는 수단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110)와 모터브라켓(150)을 포함한다.
모터(110)를 지지하는 모터브라켓(150)은, 도 5와 같이 수평브라켓(151)과 수직브라켓(153)을 포함한다.
수평브라켓(151)은 모터(110)를 설치하고자 하는 곳에 장착되고, 수직브라켓(153)에는 모터(110)의 구동축(111)이 관통한다.
메인 스프라켓(200)은, 도 8과 같이 모터(110)의 구동축(111)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다. 즉, 수직브라켓(153)으로 관통한 구동축(111) 상에는 메인 스프라켓(200)이 결합됨으로써, 구동축(111)이 회전함에 따라 메인 스프라켓(200)도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 가능한 메인 스프라켓(200)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있어, 도 4와 같이 메인 스프라켓(200)의 치형에 체인(65)이 감길 수 있으며, 메인 스프라켓(200)에 감긴 체인(65)은 메인 스프라켓(200)이 회전함에 따라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스프라켓(200)에 감겨진 체인(65)을 외측에서 지지하는 제1지지 스프라켓(250)이 도 4와 같이 마련되어 있다. 제1지지 스프라켓(250)에는 체인(65)이 감길 수 있도록 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제1지지 스프라켓(25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이 메인 스프라켓(200)의 회전축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되, 메인 스프라켓(200)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제1지지 스프라켓(25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브라켓(153)에 아이들 핀(idle pin, 25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장력유지 스프라켓(300)은, 도 4와 같이 메인 스프라켓(200)에 감겨진 체인(65)의 내측에 위치하며, 장력유지 스프라켓(300)에는 체인(65)과 맞물릴 수 있도록 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장력유지 스프라켓(300)은 하기에서 설명할 장력유지부(400)의 장력유지 브라켓(4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력유지 스프라켓(300)이 설치되는 구조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장력유지 스프라켓(300)과 제1지지 스프라켓(250)은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장력유지 스프라켓(300)과 제1지지 스프라켓(250)의 지름은 메인 스프라켓(20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스프라켓(200)의 지름이 장력유지 스프라켓(300)과 제1지지 스프라켓(250)의 지름보다 2.5배 내지 3배 정도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체인(65)에 장력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장력유지 스프라켓(300)에 힘을 가하는 장력유지부(4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브라켓(410)과 장력유지 브라켓(430)과 토션 스프링(45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 브라켓(410)에는 장력유지 브라켓(430)의 일단이 탈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 브라켓(410)은 장착부(411)와 장력유지 브라켓 장착부(413)와 베어링 장착부(415)를 포함한다.
장착부(41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브라켓(150)의 수평브라켓(151)에 볼트 등 체결수단(412)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장착 브라켓(410)은 모터브라켓(15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이러한 장착부(411)에는, 도 6과 같이 토션 스프링(450)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토션 스프링 삽입홀(411a)이 형성되어 있다. 제1토션 스프링 삽입홀(411a)은 일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부(411)의 양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토션 스프링(450)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토션 스프링 삽입홀(411a)이 일방향으로 긴 형태의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어, 토션 스프링(450)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다.
장력유지 브라켓 장착부(413)와 베어링 장착부(415)는, 도 5와 같이 장착부(411)의 일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마련되어 있다.
장력유지 브라켓 장착부(413)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장력유지 브라켓(430)의 일단이 탈착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장력유지 브라켓 장착부(413)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토션 핀(440)이 관통하는 토션 핀 관통공(413a)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장착부(415)에는 베어링 노출부(415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베어링 장착부(415)에 장착되는 베어링(416)은 베어링 노출부(415a)를 통하여 본 명세서의 도 5에서 후방이 노출된다. 이렇게, 베어링 노출부(415a)를 통하여 후방이 노출되는 베어링(416)에는 도 8과 같이 모터(110)의 구동축(111)이 결합되고, 모터(110)의 구동축(111)은 베어링(416)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장착 브라켓(410)의 베어링 장착부(415)가 위치한 부분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12)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베어링 장착부(415)의 베어링 노출부(415a)가 위치한 부분의 장착 브라켓(410)에는 본 명세서의 도 5 상에서 후방으로 돌출부(412)가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412)는 메인 스프라켓(200)의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메인 스프라켓(200)과 체인(65) 간의 조립 틈새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스프라켓(200)에 감긴 체인(65)의 처짐에 의해 체인(65)이 메인 스프라켓(200)의 치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력유지 브라켓(43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을 기준으로 하여 장력유지 브라켓(430)이 장착되는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고, 타단에는 장력유지 스프라켓(300)이 장착되는 장력유지 회전축(431)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력유지 브라켓(430)은, 도 5와 같이 어느 일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력유지 브라켓(430)의 어느 일면에는 장력유지 스프라켓(300)이 장착되는 장력유지 회전축(431)이 형성되어 있고, 반대 면에는 토션 스프링(450)이 안착되는 토션암 회전축(4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력유지 회전축(431)과 토션암 회전축(433)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력유지 브라켓(430)의 후면 일측에는 장력유지 회전축(431)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장력유지 브라켓(430)의 전면 타측에는 토션암 회전축(433)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특히, 토션암 회전축(433)은, 장력유지 브라켓(430)이 장착 브라켓(410)에 장착되는 지점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토션암 회전축(433)에는 토션암 회전축(433)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토션 핀 관통공(43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토션암 회전축(433)에 형성된 토션 핀 관통공(433a)과, 장력유지 브라켓 장착부(413)에 형성된 토션 핀 관통공(413a)에 토션 핀(torsion pin, 440)이 차례로 관통함으로써, 토션암 회전축(433)의 외측을 감싸며 토션 스프링(450)이 장착된 상태에서 장력유지 브라켓(430)이 토션암 회전축(433)을 기준으로 하여 장착 브라켓(410)에 장착된다.
나아가, 장력유지 브라켓(430)의 일측에는 토션 스프링(450)의 끝단이 삽입되는 제2토션 스프링 삽입홀(43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력유지 브라켓(430)의 토션암 회전축(433)이 형성된 부분의 반대측에 제2토션 스프링 삽입홀(435)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장력유지 회전축(431)이 형성된 부분의 외측 상단에 제2토션 스프링 삽입홀(435)이 형성되어 있다. 제2토션 스프링 삽입홀(435)은 일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장력유지 브라켓(430)의 양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토션 스프링(450)의 끝단이 삽입되는 제2토션 스프링 삽입홀(435)이 일방향으로 긴 형태의 장공으로 형성됨으로써, 토션 스프링(450)의 끝단이 삽입될 때 이동이 가능하여 체인(65)에 유격이 발생하여 늘어지더라도 체인(65)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450)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65)에 장력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장력유지 브라켓(430)에 힘을 가하며 장력유지 브라켓(430)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토션 스프링(450)은 도 6과 같이 장력유지 브라켓(430)에 형성된 토션암 회전축(433)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장착된다. 이때, 토션 스프링(450)의 일단은 장착 브라켓(410)에 지지되고, 타단은 장력유지 브라켓(430)에 지지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토션 스프링(450)의 일단은 장착 브라켓(410)에 형성된 제1토션 스프링 삽입홀(411a)에 삽입되고, 토션 스프링(450)의 타단은 장력유지 브라켓(430)의 제2토션 스프링 삽입홀(435)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토션 스프링(450)이 장력유지 브라켓(430)에 힘을 가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장력유지 브라켓(430)을 장착 브라켓(410)에 고정시키는 암 스토퍼(470)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력유지 브라켓(430)과 장착 브라켓(410)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력유지 브라켓(430)의 일측에는 제1암 스토퍼 삽입홀(436)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 브라켓(410)에는 제2암 스토퍼 삽입홀(413b)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암 스토퍼 삽입홀(436)은, 장력유지 브라켓(430)에 토션암 회전축(433)이 형성된 부분의 외측 상단에 위치한다. 또한, 제2암 스토퍼 삽입홀(413b)은, 장착 브라켓(410)의 장력유지 브라켓 장착부(413) 핀 관통공(413a)과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토션 스프링(450)이 토션암 회전축(433) 외측에 장착될 때 토션 스프링(450)이 장력유지 브라켓(430)에 힘을 가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장력유지 브라켓(430)을 장착 브라켓(410)에 고정하도록, 도 7과 같이 암 스토퍼(470)의 일단이 제1암 스토퍼 삽입홀(436) 및 제2암 스토퍼 삽입홀(413b)에 차례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1암 스토퍼 삽입홀(436) 및 제2암 스토퍼 삽입홀(413b)에 암 스토퍼(470)를 삽입함으로써, 장력유지 브라켓(430)이 장착 브라켓(410)에 장착되는 장착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암 스토퍼(470)에 의해 장력유지 브라켓(430)이 장착 브라켓(410)에 장착되는 장착 각도를 고정하면, 장력유지 브라켓(430)에 힘을 가하도록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450)을 반대방향으로 잡아줌으로써, 토션 스프링(450)이 장력유지 브라켓(430)에 가하는 힘을 막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암 스토퍼(470)는 일측으로 절곡된 '기역자' 형상이며, 길이가 짧은 쪽의 일단이 제1암 스토퍼 삽입홀(436) 및 제2암 스토퍼 삽입홀(413b)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 장력 유지 장치(500)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 전의 체인 장력 유지 장치(500)는 도 6과 같은 상태이다.
즉, 장착 브라켓(410)이 모터 브라켓(15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메인 스프라켓이 장착된 모터(110)의 구동축(111)은 장착 브라켓(410) 상에 고정되어 있는 베어링(416)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또한, 장착 브라켓(410)과 장력유지 브라켓(430)에 장착되어 있는 토션 스프링(450)의 일단은 제1토션 스프링 삽입홀(411a)에 삽입되어 있고, 토션 스프링(450)의 타단은 제2토션 스프링 삽입홀(435)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암 스토퍼(470)를 장착하여 장력유지 브라켓(430)이 장착 브라켓(410) 상에 고정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장력유지 브라켓(430)에 힘을 가하여 제1암 스토퍼 삽입홀(436)과 제2암 스토퍼 삽입홀(413b)이 연통하도록 한 다음, 도 7과 같이 제1암 스토퍼 삽입홀(436)과 제2암 스토퍼 삽입홀(413b)에 차례로 암 스토퍼(470) 일단을 삽입한다. 이렇게, 암 스토퍼(470)를 제1암 스토퍼 삽입홀(436)과 제2암 스토퍼 삽입홀(413b)에 끼우면, 토션 스프링(450)이 장력유지 브라켓(430)에 힘을 가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장력유지 브라켓(430)을 장착 브라켓(410)에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과 같이 장착 브라켓(410)을 모터 브라켓(150) 상에 위치시킨 다음, 장착 브라켓(410)과 모터 브라켓(150)을 결합시킨다.
즉, 베어링(416)에 모터(110)의 구동축(111)이 결합되도록 수평브라켓(151)의 상면에 장착부(411)를 놓고, 체결수단(412)으로 수평브라켓(151)과 장착부(411)를 결합시킨다. 이때, 장력유지 스프라켓(300)은 제1지지 스프라켓(250)과 메인 스프라켓(20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장착 브라켓(410)과 모터 브라켓(150)을 조립한 다음, 도 9와 같이 체인(65)을 메인 스프라켓(200)에 감는다. 이때, 메인 스프라켓(200)에 감겨진 체인(65)의 외측은 제1지지 스프라켓(250)의 치형과 맞물린다.
도 9의 상태에서는, 암 스토퍼(470)에 의해, 토션 스프링(450)이 장력유지 브라켓(430)에 힘을 가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장력유지 브라켓(430)이 장착 브라켓(410) 상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장력유지 스프라켓(300)은 체인(65)과 맞닿지 않고, 체인(65)에는 장력이 부가되지 않는 상태에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 스토퍼(470)를 제1암 스토퍼 삽입홀(436) 및 제2암 스토퍼 삽입홀(413b)로부터 제거하면, 도 11과 같이 토션 스프링(450)에 의해 장력유지 브라켓(430)이 체인(65)에 장력을 부가하는 방향(본 명세서의 도 11 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장력유지 브라켓(430)이 도 11 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장력유지 스프라켓(300)이 체인(65)의 내측과 맞물림으로써, 결국 체인(65)에 장력이 부가된다.
본 발명의 체인 장력 유지 장치(500)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모터(110)가 마련된 모터 브라켓(150)과, 장력유지 브라켓(430)과 토션 스프링(450)이 각각 마련된 장착 브라켓(410)은 탈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있어, 좁은 공간 내에서도 체인(65)에 장력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토션 스프링(450)에 의해 체인(65)에 장력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장력유지 스프라켓(300)에 힘을 가함으로써, 체인(65)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인(65)의 오랜 사용으로 인한 늘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음의 발생을 막을 수 있으며, 체인(6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구동수단 110 : 모터
111 : 구동축 150 : 모터브라켓
200 : 메인 스프라켓 300 : 장력유지 스프라켓
400 : 장력유지부 410 : 장착 브라켓
430 : 장력유지 브라켓 431 : 장력유지 회전축
433 : 토션암 회전축 450 : 토션 스프링
470 : 암 스토퍼

Claims (4)

  1. 모터와,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모터 브라켓을 포함하는 구동수단;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체인이 감기는 메인 스프라켓;
    상기 메인 스프라켓에 감긴 상기 체인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체인과 맞물리는 장력유지 스프라켓;
    장착 브라켓과,
    상기 장착 브라켓에 일단이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일단을 기준으로 하여 장착되는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고, 타단에는 상기 장력유지 스프라켓이 장착되는 장력유지 회전축이 마련되어 있는 장력유지 브라켓과,
    상기 장력유지 브라켓에 장착되되, 상기 체인에 장력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장력유지 브라켓에 힘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장력유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장력유지 브라켓은, 어느 일면에 상기 장력유지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고, 반대 면에 상기 토션 스프링이 안착되는 토션암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션암 회전축은 상기 장력유지 브라켓이 상기 장착 브라켓에 장착되는 지점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은, 일단은 상기 장착 브라켓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장력유지 브라켓에 지지되며,
    상기 장력유지브라켓과 상기 장착 브라켓에는 암 스토퍼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장력유지브라켓과 상기 장착 브라켓에 상기 암 스토퍼가 장착되면, 상기 토션 스프링이 상기 장력유지 브라켓에 힘을 가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장력유지 브라켓의 장착각도가 고정되며,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모터 브라켓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서로 분리된 상기 장착 브라켓과 상기 모터 브라켓을 결합시킨 후 상기 체인을 상기 메인 스프라켓에 감으며, 이때, 상기 암 스토퍼에 의해 상기 장력유지 스프라켓은 상기 체인과 맞닿지 않은 상태이며,
    상기 암 스토퍼를 제거하면, 상기 토션 스프링에 의해 상기 장력유지 브라켓이 상기 체인에 장력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장력유지 스프라켓이 상기 체인과 맞물려 상기 체인에 장력이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장력 유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12171A 2018-01-31 2018-01-31 체인 장력 유지 장치 KR102033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171A KR102033022B1 (ko) 2018-01-31 2018-01-31 체인 장력 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171A KR102033022B1 (ko) 2018-01-31 2018-01-31 체인 장력 유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890A KR20190092890A (ko) 2019-08-08
KR102033022B1 true KR102033022B1 (ko) 2019-10-16

Family

ID=67613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171A KR102033022B1 (ko) 2018-01-31 2018-01-31 체인 장력 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0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289B1 (ko) * 2019-12-12 2020-06-01 장세동 탑승형 도로 절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923Y1 (ko) 2001-02-09 2001-07-03 (주)비겐의료기 물리치료침대
KR200298656Y1 (ko) 2002-09-10 2002-12-26 이재언 체인 구동형 온열 치료기
KR100698787B1 (ko) 2006-04-11 2007-03-23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체인의 안정화 장치 및 그 작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361B1 (ko) * 2013-04-09 2015-01-27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자동 장력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923Y1 (ko) 2001-02-09 2001-07-03 (주)비겐의료기 물리치료침대
KR200298656Y1 (ko) 2002-09-10 2002-12-26 이재언 체인 구동형 온열 치료기
KR100698787B1 (ko) 2006-04-11 2007-03-23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체인의 안정화 장치 및 그 작동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2367호(2014.10.20. 공개)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890A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519B1 (ko) 경부 교정 장치
US3420229A (en) Osteopathic device
US11413182B2 (en) Cervical brace
JP2011512890A (ja) 頸部用マッサージ装置
KR102033022B1 (ko) 체인 장력 유지 장치
US6866644B1 (en) Myotherapy massage device
KR20180042048A (ko) 기능성 침대
JP2003210504A (ja) 自重整体牽引装置と牽引方法
KR20000053760A (ko) 경추교정기
KR101606202B1 (ko) 요추 견인용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신체 교정 장치
US3464406A (en) Therapeutic couch
KR20210129365A (ko) 경추 마사지 장치
US3880150A (en) Therapeutic treatment machine
KR102183835B1 (ko) 음파 진동을 이용한 척추교정기
KR101607427B1 (ko) 척추 견인 운동장치
JP2004180863A (ja) マッサージ装置
KR200404521Y1 (ko) 경추 교정장치
KR200454691Y1 (ko) 복합안마기
KR101366533B1 (ko)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하체 고정장치
KR200361702Y1 (ko) 척추 교정장치
KR200238944Y1 (ko) 온열물리치료침대용 온열물리치료장치시트
JP2009082420A (ja) マッサージ機
WO2010048738A1 (es) Estimulador de vibraciones de alta frecuencia y baja intensidad para tratamiento y prevención de la osteoporosis
KR200320011Y1 (ko) 척추 의료기
KR200490517Y1 (ko) 척추 교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