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684B1 - 풍력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684B1
KR102032684B1 KR1020190087735A KR20190087735A KR102032684B1 KR 102032684 B1 KR102032684 B1 KR 102032684B1 KR 1020190087735 A KR1020190087735 A KR 1020190087735A KR 20190087735 A KR20190087735 A KR 20190087735A KR 102032684 B1 KR102032684 B1 KR 102032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opening
air inlet
blade
in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관
Original Assignee
김민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관 filed Critical 김민관
Priority to KR102019008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F03D3/0436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for shielding one side of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2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03D3/066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the wind engaging parts being movable relative to the rotor
    • F03D3/067Cyclic movements
    • F03D3/068Cyclic movements mechanically controlled by the rotor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2Win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27Rotor or generator spe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체의 허브에 고정되는 블레이드 날개부의 표면에 형성된 공기 유입공을 개폐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계폐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바람세기에 따라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풍압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어 블레이드의 파손을 선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강풍이 불더라도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풍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블레이드의 파손 방지는 물론 블레이드가 지지되는 허브가 안정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풍력 발전시 발전 효율이 저하되거나 발전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풍력 발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풍력 발전 장치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풍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바람세기에 따라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풍압을 조절할 수 있어 강풍이 불더라도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풍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블레이드의 파손 방지는 물론 블레이드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어 풍력 발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풍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화석에너지 자원은 점차 고갈 되어갈 뿐만 아니라 지구환경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인류는 고갈되지 않고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청정대체에너지 이용장치 개발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러한 청정대체에너지로는 태양에너지(solar energy), 풍력에너지(wind energy), 조류에너지(current energy), 조력에너지(tidal energy), 지열에너지(geo-thermal energy), 생화학에너지(bio-thermal energy) 등이 있다.
한편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 나라는 바람의 힘을 이용한 풍력 발전에 유리한 지형이며, 이러한 지형에서 적용하는 풍력발전기는 통상 회전축의 방향에 따라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평축 풍력발전기와,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직축 풍력발전기로 구분된다.
수평축 풍력발전기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높은 발전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바람의 방향이 자주 바뀌는 지역에서는 원활한 전기 발전이 어려운 반면, 수직축 풍력발전기는 소형으로 제작 가능한 것으로 바람의 방향에 관계없이 전기 발전이 가능하며 증속기 및 발전기 등의 주요부품들이 지상에 설치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으로 인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수직축 풍력발전기는 수직하게 배치된 회전축이나 원통형 구조물의 주위에 다수개의 블레이드들이 설치되며, 이때 각각의 블레이드는 바람이 부는 방향에 따른 상대적인 위치나 바람의 세기에 따라 접혀지거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제한된 조건에서 풍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직축 풍력발전기의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468913호(참고문헌 1)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전단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내측으로 안내된 바람이 모이는 바람막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람막이부(110)의 후단에는 외부의 바람이 유입되면 상기 바람막이부로 안내하는 날개부(120)가 연장 형성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에는 공기 유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공기 유입공으로 유입되는 바람을 상기 바람막이부로 안내하는 안내판부가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안내판부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날개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안내판부가 상기 날개부의 내측면에서 설정각도 이내로 회동되도록 상기 안내판부의 타단부 상단을 지지하는 제1 스토퍼부와, 상기 안내판부의 타단부 하단을 지지하는 제2 스토퍼부가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안내판부가 구비되어 공기 유입공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 안내판부에 의해 바람막이부로 안내되어 다음 블레이드의 외면에 가해지는 풍압을 낮추어 블레이드를 원활히 회전시킬 수 있지만, 이는 공기 유입공의 임의 개폐가 가능한 구조여서 강풍이 아닌 경우에도 블레이드의 회전중에 안내판부가 공기 유입공을 개방하는 경우 블레이드의 회전력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구조는 태풍 등으로 인한 강풍이 불어 물리적인 풍압이 블레이드에 직접 가해지기 전에 공기 유입공을 개방하여 블레이드의 파손을 선제적으로 방어할 수도 없다. 아울러 강한 풍압이 가해지는 경우 안내판부가 급격하게 개폐되면서 충격이 블레이드에 가해지게 되어 블레이드의 파손우려 역시 크다.
참고문헌 1 : 등록특허 제10-1468913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람세기에 따라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풍압을 조절할 수 있어 블레이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풍력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전단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바람이 모이는 바람막이부의 후단에 연장 구비되어 외부의 바람을 바람막이부로 안내하는 날개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공을 개폐가 가능한 개폐판을 바람세기에 따라 제어할 수 있어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풍압을 조절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허브를 중심으로 복수의 블레이드가 대칭으로 구비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람을 안내하는 날개부의 일단에 상기 날개부의 전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되어 바람이 모이는 바람막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표면에는 공기 유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전면에는 상기 공기 유입공을 개폐하도록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개폐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날개부의 공기 유입공의 상단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슬라이드레일과,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상단이 고정되어 상기 공기 유입공을 슬라이딩되며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날개부의 공기 유입공의 하단에 상기 슬라이드레일와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폐판의 하단이 지지되어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이탈방지용 가이드와, 상기 날개부의 일측에 고정되어 제어기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되 상기 슬라이드레일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개폐판에 고정되어 상기 리드스크류가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기는 개폐판이 슬라이딩되며 공기 유입공을 개폐하도록 풍속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바람세기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개폐판이 슬라이딩되며 공기 유입공을 개폐하도록 원격지의 관제서버로부터 바람세기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체의 블레이드 날개부 표면에 형성된 공기 유입공을 개폐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계폐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바람세기에 따라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풍압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어 블레이드의 파손을 선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강풍이 불더라도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풍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블레이드의 파손 방지는 물론 블레이드가 지지되는 허브가 안정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풍력 발전시 발전 효율이 저하되거나 발전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의 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의 개폐판의 닫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의 개폐판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풍력 발전 장치(1)는 허브(11)를 중심으로 복수의 블레이드(100)가 대칭으로 구비되는 회전체(10)와,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에 따라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회전체(10)는 허브(11)를 중심으로 복수의 블레이드(100)가 대칭으로 구비되는 구조로서, 일 예로 상기 허브(11)는 상측 및 하측 허브(11a,11b)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및 하측 허브(11a,11b) 사이에 발전기(2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측 및 하측허브(11a,11b)에는 블레이드(100)의 상단과 하단이 상측 및 하측 지지대(30,40)에 의해 연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상측 허브(11a)의 상단과 블레이드(100)의 상단이 하나 이상의 상측 지지대(30)로 연결되고, 상기 하측 허브(11b)의 하단과 블레이드(100)의 하단이 하나 이상의 하측 지지대(40)로 연결된다. 이때 상측 및 하측 지지대(30,40)의 양단은 볼트 등의 등의 체결수단(32,42)으로 블레이드(100)와 허브(1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100)는 단면이 전체적으로 익형(翼型)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람을 안내하는 날개부(110)와, 상기 날개부(110)의 일단에는 상기 날개부(110)의 전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110)의 전면으로 안내된 바람이 모이는 바람막이부(1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날개부(110)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날개부(110)의 표면에는 공기 유입공(11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110)의 전면에는 상기 공기 유입공(112)을 개폐하는 개폐장치(130)가 구비된다.
이러한 개폐장치(130)는 유입공(112)을 개방시 날개부(110)의 후면에서 바람이 유입되므로 강풍이 부는 경우 블레이드(100)에 가해지는 풍압을 낮출 수 있다.
이러한 날개부(110)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공(112)은 상하로 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정사각형이나 그 이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100)는 다양한 금속 재질로 제작 가능하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알루미늄재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람막이부(120)는 상기 날개부(110)의 전단에 날개부(110)의 전면 방향으로 단면이 반원 형태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전면으로 안내된 바람이 모인다.
아울러, 상기 바람막이부(120)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부 및 하부 마감판부(140,142)가 일체로 결합된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 마감판부(140,142)는 전방 바람막이부(120)의 상단과 하단 테두리를 따라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한다.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 마감판부(140,142)에 제1 및 제2 관통공(140a,142a)이 형성됨에 따라, 블레이드(100)가 회전된 이후 공기가 신속하게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140a,142a)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바람막이부(122) 내에서의 와류 발생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며, 겨울철에 눈이 쌓이는 것을 최소화하여 눈 무게로 인해 블레이드(120)의 회전이 더뎌지는 것을 막고, 눈녹은 물이나 빗물의 신속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마감판부(140)에는 상측 지지대(30)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상측 지지대(30)의 타단부는 상기 상측 허브(11a)의 상부에 형성된 상측 플랜지(111a)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 마감판부(142)에는 하측 지지대(40)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하측 지지대(40)의 타단부는 상기 하측 허브(11b)의 하부에 형성된 하측 플랜지(111b)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상측 지지대(30)의 양단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32)으로 상기 상부 마감판부(140)와 상측 허브(11a)의 상측 플랜지(111a)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하측 지지대(40)의 양단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42)으로 하부 마감판부(142)와 하측 허브(11b)의 하측 플랜지(111b)에 결합 고정된다.
이러한 블레이드(100)는 상하로 긴 형태의 제작이 가능하다. 이때 블레이드(100)와 허브(11) 사이에는 복수의 중간 지지대(150)를 더 연결함으로서 더욱 견고한 블레이드(100)와 허브(11)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간 지지대(150)는 각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함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마감판부(140,142) 사이에는 제3 관통공(144a)을 갖는 하나 이상의 중간판부(144)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중간판부(144)는 상부 및 하부 마감판부(140,14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함도 가능하다. 그에 따라 날개부(110)에는 복수의 공기 유입공(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공기 유입공(112)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복수의 개폐장치(130)가 날개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장치(130)는 날개부(110)의 공기 유입공(112)의 상단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슬라이드레일(131)과, 상기 슬라이드레일(131)에 상단이 고정되어 상기 공기 유입공(112)을 슬라이딩되며 개폐하는 개폐판(132)과, 상기 날개부(110)의 공기 유입공(112)의 하단에 상기 슬라이드레일(132)와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폐판(132)의 하단이 지지되어 안내하는 가이드홈(133a)이 형성되는 이탈방지용 가이드(133)와, 상기 날개부(110)의 일측에 고정되는 모터(134)와, 상기 모터(134)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되 상기 슬라이드레일(131)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리드스크류(135)와, 상기 개폐판(132)에 고정되어 상기 리드스크류(135)가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13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레일(131)은 동일한 구조로서, 날개부(110)에 고정되는 고정레일(131a)(또는 아우터레일)과, 상기 고정레일(131a)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동레일(131b)(또는 인너레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레일(131a)과 가동레일(131b)은 볼(131c)을 매개로 구름저항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레일(131)은 공지의 구성으로 1개의 가동레일을 갖는 2단 레일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함도 가능하나 슬라이딩 거리를 확장할 수 있도록 3단 레일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용 가이드(133)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날개부(110)에 고정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용 가이드(133)는 상기 슬라이드레일과 동일한 형태의 레일을 사용하여 개폐판의 하단을 고정함도 가능하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개폐장치(130)의 모터(134)는 일 예로 리니어 스테핑모터로 구성되며 이 역시 상기 날개부(110)의 일측에 나사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모터(134)는 제어기(140)에 의해 그 회전이 제어된다. 이때 모터(134)가 일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고정너트(136)가 바람막이부(120) 방향으로 당겨지며 고정너트(136)가 고정된 개폐판(132)이 미닫이식으로 슬라이딩되며 공기 유입공(112)을 폐쇄하고, 모터(134)가 타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고정너트(136)가 바람막이부(120)에서 멀어지게 되며 고정너트(136)가 고정된 개폐판(132)이 미닫이식으로 슬라이딩되며 공기 유입공(112)을 개방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140)는 풍력 발전 장치(1)의 발전기(20) 또는 회전체(10)에 구비하거나 풍력 발전 장치(1)가 설치되는 지주에 구비함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어기(140)는 발전기(20)에서 생성되는 발전전력을 공급받거나 별도의 구동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체(10)의 상단에는 바람세기를 측정하는 풍속센서(150)도 구비한다. 이에 상기 제어기(140)는 풍속센서(150)로부터 실시간으로 바람세기정보를 입력받아 모터(134)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제어를 하여 개폐판(132)을 슬라이딩시켜 공기 유입공(112)을 개폐한다. 이 경우 공기 유입공(112)의 부분개폐가 가능하며 이는 바람세기에 비례하여 공기 유입공(112)의 개방면적이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바람세기가 세면 공기 유입공(112)의 개방면적도 커지도록 모터(134)를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기(140)는 원격지의 관제센터의 관제서버(200)로부터 바람세기정보를 수신하여 모터(134)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제어를 하여 개폐판(132)을 슬라이딩시켜 공기 유입공(112)을 개폐한다. 이 경우에도 풍속센서에 의한 제어와마찬가지로 공기 유입공(112)의 부분개폐가 가능하며 이는 바람세기에 비례하여 공기 유입공(112)의 개방면적이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바람세기가 세면 공기 유입공(112)의 개방면적도 커지도록 모터(134)를 제어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 풍력 발전 장치 10: 회전체
11: 허브 20: 발전기
100: 블레이드 110: 날개부
112: 공기 유입공 120: 바람막이부
130: 개폐장치 131: 슬라이드레일
132: 개폐판 133: 이탈방지용 가이드
134: 모터 135: 리드스크류
136: 고정너트 140: 제어기
150: 풍속센서 200: 관제서버

Claims (4)

  1. 허브(11)를 중심으로 복수의 블레이드(100)가 대칭으로 구비되는 회전체(10)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장치(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00)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람을 안내하는 날개부(110)의 일단에 상기 날개부(110)의 전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되어 바람이 모이는 바람막이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110)의 표면에는 공기 유입공(11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110)의 전면에는 상기 공기 유입공(112)을 개폐하도록 제어기(140)에 의해 제어되는 개폐장치(130)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장치(130)는 상기 날개부(110)의 공기 유입공(112)의 상단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슬라이드레일(131)과, 상기 슬라이드레일(131)에 상단이 고정되어 상기 공기 유입공(112)을 슬라이딩되며 개폐하는 개폐판(132)과, 상기 날개부(110)의 공기 유입공(112)의 하단에 상기 슬라이드레일(131)와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폐판(132)의 하단이 지지되어 안내하는 가이드홈(133a)이 형성되는 이탈방지용 가이드(133)와, 상기 날개부(1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제어기(140)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는 모터(134)와, 상기 모터(134)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되 상기 슬라이드레일(131)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리드스크류(135)와, 상기 개폐판(132)에 고정되어 상기 리드스크류(135)가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13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40)는 개폐판(132)이 슬라이딩되며 공기 유입공(112)을 개폐하도록 풍속센서(150)로부터 실시간으로 바람세기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모터(134)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40)는 개폐판(132)이 슬라이딩되며 공기 유입공(112)을 개폐하도록 원격지의 관제서버(200)로부터 바람세기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모터(134)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4. 삭제
KR1020190087735A 2019-07-19 2019-07-19 풍력 발전 장치 KR102032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735A KR102032684B1 (ko) 2019-07-19 2019-07-19 풍력 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735A KR102032684B1 (ko) 2019-07-19 2019-07-19 풍력 발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684B1 true KR102032684B1 (ko) 2019-11-08

Family

ID=6854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735A KR102032684B1 (ko) 2019-07-19 2019-07-19 풍력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6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830B1 (ko) * 2020-05-14 2020-11-02 김민관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KR102280913B1 (ko) * 2021-01-13 2021-07-23 김민관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KR102308972B1 (ko) * 2021-01-26 2021-10-06 김민관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KR102334528B1 (ko) * 2021-07-19 2021-12-03 김민관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280A (ko) * 2007-11-30 2009-06-03 이준열 가변형 날개를 구비하는 풍력발전기용 풍차
CN202040025U (zh) * 2011-04-12 2011-11-16 上海鑫永电机科技有限公司 具有风量调节功能的外转垂直式风力发电机
KR20110135461A (ko) * 2010-06-11 2011-12-19 (주) 이알파워 풍력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68913B1 (ko) 2014-05-07 2014-12-04 김민관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280A (ko) * 2007-11-30 2009-06-03 이준열 가변형 날개를 구비하는 풍력발전기용 풍차
KR20110135461A (ko) * 2010-06-11 2011-12-19 (주) 이알파워 풍력 모니터링 시스템
CN202040025U (zh) * 2011-04-12 2011-11-16 上海鑫永电机科技有限公司 具有风量调节功能的外转垂直式风力发电机
KR101468913B1 (ko) 2014-05-07 2014-12-04 김민관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830B1 (ko) * 2020-05-14 2020-11-02 김민관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KR102280913B1 (ko) * 2021-01-13 2021-07-23 김민관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KR102308972B1 (ko) * 2021-01-26 2021-10-06 김민관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KR102334528B1 (ko) * 2021-07-19 2021-12-03 김민관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684B1 (ko) 풍력 발전 장치
JP5963146B2 (ja) 風切羽開閉翼システムを用いた垂直軸式水風車原動機
US4408958A (en) Wind turbine blade
US20120051914A1 (en) Cable-stayed rotor for wind and water turbines
EP2587051A2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s
US20050263057A1 (en) Cyclosail wind turbine
US20140140846A1 (en) Power generation apparatus
KR20130129179A (ko) 수직 축 풍력 터빈
KR102172830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JP2007085182A (ja) 空力的調速機構を備える縦軸型直線翼風車
KR101468913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KR101138525B1 (ko) 풍력발전기
EP1828597B1 (en) Vertical axis turbine apparatus
DE102013101725A1 (de) Kombinierte Windanlage "AeroGreen"
US20150267679A1 (en) Wind turbine blade and methods of operating it
US20150361953A1 (en) Horizontally channeled vertical axis wind turbine
EP3597900A1 (en) Wind turbine
EP1626176A2 (de) Windkraftanlage mit einem Solarwandler
KR102308972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EP1010891A1 (en) Wind turbine with wind channeling means
KR102172890B1 (ko) 풍력 발전 장치
US9970416B2 (en) Energy conversion device driven by wind power
RU161935U1 (ru) Ветровая силовая установка карусельного типа балоч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с вертикальной осью вращения
KR102280913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KR101642567B1 (ko) 풍량조절 방향키를 갖는 터보팬 및 이를 이용하는 풍력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