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180B1 -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180B1
KR102032180B1 KR1020170103826A KR20170103826A KR102032180B1 KR 102032180 B1 KR102032180 B1 KR 102032180B1 KR 1020170103826 A KR1020170103826 A KR 1020170103826A KR 20170103826 A KR20170103826 A KR 20170103826A KR 102032180 B1 KR102032180 B1 KR 102032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information exchange
data
test procedure
tr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983A (ko
Inventor
이남호
김남대
김석곤
안용호
이유진
장병태
최종기
한정열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103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1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6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는, 디지털변전시스템의 정보교환을 모사(simulate)하는 정보교환 처리기와의 정보교환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하는 시험대상 장치에 대한 시험절차를 생성하는 시험절차 생성기와, 시험절차에 따라 시험대상 장치와 정보교환 처리기 간의 통신트래픽을 수집하는 시험실행기와, 시험실행기에 의해 수집된 통신트래픽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기와, 시험대상 장치와 정보교환 처리기 간의 정보교환을 추적하고 추적결과와 시험절차를 서로 비교하는 추적 비교검출기와, 데이터 분석기의 분석결과와 추적 비교검출기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시험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시험절차 판독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 {Apparatus for testing information exchange function of digital substation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변전소는 국제표준 IEC 61850와 같은 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변전자동화시스템에 포함되는 지능형전자장치(IED)와 운영장치가 데이터와 통신서비스를 주고받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최근의 디지털변전소는 기존 변전시스템과 달리 사용하는 장치의 제작사가 다양하더라도 규격화된 국제표준을 준수하여 상호운용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39456호
디지털변전소가 사용하는 운영장치는 제작사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 순서나 데이터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변전소가 사용하는 운영장치의 다양한 서비스 순서나 데이터 구성에 맞춰서 정보교환 서비스의 검증을 위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는, 디지털변전시스템의 정보교환을 모사(simulate)하는 정보교환 처리기와의 정보교환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하는 시험대상 장치에 대한 시험절차를 생성하는 시험절차 생성기; 상기 시험절차에 따라 상기 시험대상 장치와 상기 정보교환 처리기 간의 통신트래픽을 수집하는 시험실행기; 상기 시험실행기에 의해 수집된 통신트래픽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기; 상기 시험대상 장치와 상기 정보교환 처리기 간의 정보교환을 추적하고 추적결과와 상기 시험절차를 서로 비교하는 추적 비교검출기; 및 상기 데이터 분석기의 분석결과와 상기 추적 비교검출기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시험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시험절차 판독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는, 상기 시험대상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 간의 통신트래픽이 상기 시험실행기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제1 포트; 상기 정보교환 처리기와 상기 네트워크 간의 통신트래픽이 상기 시험실행기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제2 포트; 및 상기 추적 비교검출기의 정보교환 추적의 경로를 제공하는 제3 포트;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분석기는, 상기 시험실행기에 의해 수집된 통신트래픽 중 데이터의 변수가 단수인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수 데이터 분석기; 및 상기 시험실행기에 의해 수집된 통신트래픽 중 데이터의 변수가 복수인 데이터를 분석하는 복수 데이터 분석기;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험절차 생성기는 복수의 시험모델을 저장하고, 배치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시험모델 중 적어도 일부가 병렬적으로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상기 시험절차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험절차 생성기는 상기 복수의 시험모델 중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된 시험모델의 and 조건 정보 또는 or 조건 정보를 더 입력 받고, 상기 and 조건 정보 또는 or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시험모델 중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된 시험모델의 and관계 또는 or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험절차 생성기는 상기 추적 비교검출기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시험절차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험절차 판독부는 상기 시험실행기에 의해 수집된 통신트래픽의 데이터의 규격이 소정의 규격과 동일하고 상기 추적 비교검출기의 추적결과가 상기 시험절차에 대응될 경우에 소정의 시험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교환 처리기는 상기 디지털변전시스템의 지능형전자장치(IED)와 상기 시험대상 장치 간의 정보교환을 모사(simulate)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는, 디지털변전소가 사용하는 운영장치의 다양한 서비스 순서나 데이터 구성에 맞춰서 정보교환 서비스의 검증을 위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는, 각각 데이터의 변수의 단수 여부 또는 복수 여부에 맞춰서 데이터 분석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공하는 시험절차의 다양성을 확대할 수 있으며, 시험절차의 다양성을 확대하면서도 다양한 시험절차에 따른 오류유발을 예방할 수 있으며, 미시적 관점(예: 데이터 검증)과 거시적 관점(예: 시험절차 검증)으로 정보교환 서비스를 검증하여 검증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시험절차 생성기의 시험모델 배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의 검증시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100)는, 시험절차 생성기(110), 시험실행기(120), 단수 데이터 분석기(131), 복수 데이터 분석기(132), 추적 비교 검출기(140), 시험절차 판독부(150), 시험결과 저장소(161), 시험트래픽 저장소(162), 데이터 수집기(170), 제1 포트(171), 제2 포트(172) 및 제3 포트(173)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시험절차 생성기(11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정보교환 처리기(180)와 정보교환하는 시험대상 장치(200)에 대한 시험절차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시험절차 생성기(110)가 시험대상 장치(200)에 따라 다양한 시험절차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100)는 시험대상 장치(200)의 다양한 서비스 순서나 데이터 구성에 맞춰서 정보교환 서비스의 검증을 위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시험절차의 다양화에 관한 사항을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정보교환 처리기(180)는 디지털변전시스템의 정보교환을 모사(simulate)할 수 있으며, 지능형전자장치(IED)의 정보교환을 모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교환 처리기(180)는 시험대상 장치(200)와의 정보교환 과정을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교환 과정은 시험대상 장치(200)가 내보내는 서비스의 종류와 대상 객체와 서비스를 받은 정보교환 처리기(180)의 응답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설계에 따라, 상기 정보교환 처리기(180)는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
시험실행기(120)는 상기 시험절차에 따라 시험대상 장치(200)와 정보교환 처리기(180) 간의 통신트래픽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험실행기(120)는 수집된 통신트레픽의 데이터의 변수의 단수 여부 또는 복수 여부를 식별할 수 있으며, 수집된 통신트레픽 중 데이터의 변수가 단수인 데이터를 단수 데이터 분석기(131)로 전달하고, 수집된 통신트레픽 중 데이터의 변수가 복수인 데이터를 복수 데이터 분석기(131)로 전달할 수 있다.
단수 데이터 분석기(131)는 시험실행기(120)에 의해 수집된 통신트래픽 중 데이터의 변수가 단수인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복수 데이터 분석기(132)는 시험실행기(120)에 의해 수집된 통신트래픽 중 데이터의 변수가 복수인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데이터의 변수가 단수인 데이터의 분석과정과 데이터의 변수가 복수인 데이터의 분석과정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수 데이터 분석기(131)와 복수 데이터 분석기(132)는 각각 데이터의 변수의 단수 여부 또는 복수 여부에 맞춰서 데이터 분석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100)가 제공하는 시험절차의 다양성은 확대될 수 있다.
추적 비교 검출기(140)는 시험대상 장치(200)와 정보교환 처리기(180) 간의 정보교환을 추적하고 추적결과와 상기 시험절차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추적결과는 시험대상 장치(200)가 내보내는 서비스의 종류와 대상 객체와 서비스를 받은 정보교환 처리기(180)의 응답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100)는 시험절차의 다양성을 확대하면서도 다양한 시험절차에 따른 오류유발을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적 비교검출기(140)의 비교결과는 시험절차 생성기(110)에 피드백될 수 있다. 이후, 시험절차 생성기(110)는 추적 비교검출기(140)의 비교결과에 따라 기생성된 시험절차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100)는 다양한 시험절차 각각을 최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적 비교 검출기(140)는 정보교환 처리기(180)에 저장된 정보교환 과정의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정보교환 처리기(18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정보교환 과정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시험절차 판독부(150)는 단수 데이터 분석기(131) 및/또는 복수 데이터 분석기(132)의 분석결과와 추적 비교검출기(140)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시험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100)는 미시적 관점(예: 데이터 검증)과 거시적 관점(예: 시험절차 검증)으로 정보교환 서비스를 검증하여 검증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험절차 판독부(150)는 수집된 통신트래픽의 데이터의 규격이 소정의 규격과 동일하고 추적 비교검출기(140)의 추적결과가 시험절차에 대응될 경우에 소정의 시험결과 정보(예: 적합함)를 생성할 수 있다.
시험결과 저장소(161)는 시험절차 판독부(150)의 시험결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험결과 저장소(161)는 상기 시험결과 정보와 시험케이스이름 정보와 생성일 정보를 로그형식으로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시험트래픽 저장소(162)는 시험결과 저장소(161)에 저장되는 시험결과 정보의 생성에 사용된 통신트래픽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기(170)는 제1 내지 제3 포트(171, 172, 173)를 통해 통신트레픽을 1차적으로 수집하고 수집한 통신트래픽을 시험실행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포트(171)는 시험대상 장치(200)와 네트워크(300) 간의 통신트래픽이 시험실행기(120) 또는 데이터 수집기(170)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포트(172)는 정보교환 처리기(180)와 네트워크(300) 간의 통신트래픽이 시험실행기(120) 또는 데이터 수집기(170)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포트(173)는 추적 비교검출기(140)의 정보교환 추적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포트(171, 172, 173)는 시험실행기(120) 또는 데이터 수집기(170)가 통신트래픽을 체계적으로 수집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포트(171, 172, 173)는 네트워크(300)에 연결된 통신케이블을 미러링(mirroring)하여 통신트래픽을 수집할 수 있다.
도 2는 시험절차 생성기의 시험모델 배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의 좌측 순서도를 참조하면, 시험절차에 포함된 복수의 시험모델(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중 적어도 일부(213, 214, 215, 216)는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의 우측 순서도를 참조하면, 시험절차에 포함된 복수의 시험모델(925, 926, 927, 928, 929, 930, 931, 949, 950, 951) 중 적어도 일부(928, 929, 930)는 서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 다른 일부(949, 950, 951) 각각에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시험절차 생성기는 복수의 시험모델을 저장하고, 배치 정보를 입력 받은 경우에 상기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시험모델 중 적어도 일부가 병렬적으로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시험절차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의 좌측 순서도를 참조하면, 시험절차에 포함된 복수의 시험모델(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중 적어도 일부(213, 214, 215, 216)는 서로 and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도 2의 우측 순서도를 참조하면, 시험절차에 포함된 복수의 시험모델(925, 926, 927, 928, 929, 930, 931, 949, 950, 951) 중 적어도 일부(928, 929, 930)는 각각 다른 일부(949, 950, 951) 각각과 or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시험절차 생성기는 상기 복수의 시험모델 중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된 시험모델의 and 조건 정보 또는 or 조건 정보를 더 입력 받고, 상기 and 조건 정보 또는 or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시험모델 중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된 시험모델의 and관계 또는 or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배치 정보, and 조건 정보 또는 or 조건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예: 컴퓨터의 마우스 드래그 등)을 통해 시험절차 생성기에 전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의 검증시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의 병렬처리기반 시험절차 모델링(S110)에 따라, 시험대상장치는 정보교환 처리기와 정보교환을 실행(22)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는 시험대상장치가 보내는 정보교환서비스와 이에 대한 정보교환 처리기의 응답에 대한 통신트래픽을 수집(S150)하고, 수집된 통신트래픽 중 병렬로 설계된 시험절차 모델링이 기다리는 정보교환서비스 중 한 개라도 인식이 되면 정보교환서비스의 변수 리스트가 단수 또는 복수인지를 구분(S160)하고, 변수가 단수이면 단수형 데이터 요청 및 응답확인 과정(S170)을 통해 해당 단수변수가 시험절차 모델링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와 일치하고 응답이 기대하는 동작과 동일한지 확인하고, 변수가 복수이면 복수형 데이터 요청 및 응답확인(S180) 과정을 통해 시험대상장치가 요청하는 변수 중 시험절차 모델링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와 일치하는 지 확인하고 각 변수에 대한 정보교환 처리기의 응답이 기대하는 동작과 동일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는, 정보교환 처리기로부터 서비스 추적 데이터를 IEC 61850에서 지원하는 Report 서비스 또는 Read 서비스를 통해 전송(S130)받고, 확보된 서비스 추적데이터와 통신 트래픽을 통해 분석한 서비스와 응답이 동일함을 확인(S140)하여 판정정확성을 자동으로 재확인할 수 있다.
통신트래픽을 통해 분석한 내용과 서비스 추적 데이터 내용은 시험절차 모델링의 판정조건에 따라 성공과 실패로 판단(S190)되고, 이에 대한 판정결과는 시험결과 저장소와 시험트래픽 저장소에 시험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저장(S200)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증시험 과정이 반영된 방법(또는 알고리즘)은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프로그램 형식으로 기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는, 프로세서(예: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 메모리(예: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 입력 디바이스(예: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등), 출력 디바이스(예: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등) 및 통신접속(예: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등)이 서로 상호접속(예: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네트워크 등)된 컴퓨팅 환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환경은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 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
110: 시험절차 생성기
120: 시험실행기
131: 단수 데이터 분석기
132: 복수 데이터 분석기
140: 추적 비교 검출기
150: 시험절차 판독부
161: 시험결과 저장소
162: 시험트래픽 저장소
170: 데이터 수집기
171: 제1 포트
172: 제2 포트
173: 제3 포트
180: 정보교환 처리기
200: 시험대상 장치
300: 네트워크

Claims (9)

  1. 디지털변전시스템의 정보교환을 모사(simulate)하는 정보교환 처리기와의 정보교환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하는 시험대상 장치에 대한 시험절차를 생성하는 시험절차 생성기;
    상기 시험절차에 따라 상기 시험대상 장치와 상기 정보교환 처리기 간의 통신트래픽을 수집하는 시험실행기;
    상기 시험실행기에 의해 수집된 통신트래픽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기;
    상기 시험대상 장치와 상기 정보교환 처리기 간의 정보교환을 추적하고 추적결과와 상기 시험절차를 서로 비교하는 추적 비교검출기;
    상기 시험대상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 간의 통신트래픽이 상기 시험실행기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제1 포트;
    상기 정보교환 처리기와 상기 네트워크 간의 통신트래픽이 상기 시험실행기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제2 포트; 및
    상기 추적 비교검출기의 정보교환 추적의 경로를 제공하는 제3 포트; 및
    상기 데이터 분석기의 분석결과와 상기 추적 비교검출기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시험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시험절차 판독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
  2. 삭제
  3. 디지털변전시스템의 정보교환을 모사(simulate)하는 정보교환 처리기와의 정보교환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하는 시험대상 장치에 대한 시험절차를 생성하는 시험절차 생성기;
    상기 시험절차에 따라 상기 시험대상 장치와 상기 정보교환 처리기 간의 통신트래픽을 수집하는 시험실행기;
    상기 시험실행기에 의해 수집된 통신트래픽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기;
    상기 시험대상 장치와 상기 정보교환 처리기 간의 정보교환을 추적하고 추적결과와 상기 시험절차를 서로 비교하는 추적 비교검출기; 및
    상기 데이터 분석기의 분석결과와 상기 추적 비교검출기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시험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시험절차 판독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기는,
    상기 시험실행기에 의해 수집된 통신트래픽 중 데이터의 변수가 단수인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수 데이터 분석기; 및
    상기 시험실행기에 의해 수집된 통신트래픽 중 데이터의 변수가 복수인 데이터를 분석하는 복수 데이터 분석기; 를 포함하는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절차 생성기는 복수의 시험모델을 저장하고, 배치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시험모델 중 적어도 일부가 병렬적으로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상기 시험절차를 생성하는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절차 생성기는 상기 복수의 시험모델 중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된 시험모델의 and 조건 정보 또는 or 조건 정보를 더 입력 받고, 상기 and 조건 정보 또는 or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시험모델 중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된 시험모델의 and관계 또는 or 관계를 설정하는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절차 생성기는 상기 추적 비교검출기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시험절차를 변경하는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절차 판독부는 상기 시험실행기에 의해 수집된 통신트래픽의 데이터의 규격이 소정의 규격과 동일하고 상기 추적 비교검출기의 추적결과가 상기 시험절차에 대응될 경우에 소정의 시험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교환 처리기는 상기 디지털변전시스템의 지능형전자장치(IED)와 상기 시험대상 장치 간의 정보교환을 모사(simulate)하는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
  9. 삭제
KR1020170103826A 2017-08-16 2017-08-16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 KR102032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826A KR102032180B1 (ko) 2017-08-16 2017-08-16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826A KR102032180B1 (ko) 2017-08-16 2017-08-16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983A KR20190018983A (ko) 2019-02-26
KR102032180B1 true KR102032180B1 (ko) 2019-10-15

Family

ID=6556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826A KR102032180B1 (ko) 2017-08-16 2017-08-16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195B1 (ko) * 2021-06-10 2024-05-03 한국전력공사 디지털 변전소의 샘플링 값 자동 시험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456B1 (ko) * 2010-07-28 2011-06-07 한국전력공사 변전자동화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적합성 시험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959B1 (ko) * 2013-11-29 2015-08-03 한국전기연구원 Iec61850 기반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의 ied 기능 시험을 위한 모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456B1 (ko) * 2010-07-28 2011-06-07 한국전력공사 변전자동화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적합성 시험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983A (ko)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83562B (zh) 异常检测定位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8984389B (zh) 一种应用程序测试方法及终端设备
CN109117518B (zh) 一种寄存器读写访问验证系统及方法
US8892493B2 (en) Compatibility testing using traces, linear temporal rules, and behavioral models
US1020337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functional test patterns for manufacture test
CN112417798B (zh) 一种时序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111364B (zh) 一种业务系统的测试方法及装置
CN114116496A (zh) 自动化测试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9101412B (zh) 测试文件生成、测试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11654495B (zh) 用于确定流量产生来源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630036A (zh) 报错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CN112286750A (zh) 一种gpio验证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KR102032180B1 (ko) 디지털변전시스템 정보교환 서비스 검증시험 장치
CN112860587B (zh) Ui自动测试方法和装置
CN115022201B (zh) 一种数据处理功能测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422865B (zh) 仿真方法及装置、计算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794016B1 (ko) 분산 컴퓨팅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객체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객체 분석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N106919748B (zh) 提高fpga原型验证效率的装置及方法
CN111800790B (zh) 基于云计算和5g互联的信息解析方法及人机协同云平台
CN108984386A (zh) 应用程序搜索的测试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7597669A (zh) 一种测试方法、系统及装置
US9928328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debugging of a device under test
US104967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characterization for system identification of non-linear systems
CN107679266A (zh) 闪存电路的仿真方法及仿真装置
CN114969759B (zh) 工业机器人系统的资产安全评估方法、装置、终端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