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113B1 - 메모리카드와 연동하는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메모리카드와 연동하는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113B1
KR102032113B1 KR1020140092704A KR20140092704A KR102032113B1 KR 102032113 B1 KR102032113 B1 KR 102032113B1 KR 1020140092704 A KR1020140092704 A KR 1020140092704A KR 20140092704 A KR20140092704 A KR 20140092704A KR 102032113 B1 KR102032113 B1 KR 102032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communication
message
applica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502A (ko
Inventor
박성수
유재황
정구익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2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113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카드(예 : SD카드)에 대한 접근 권한이 상이하게 제한되는 여러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에 장착되는 메모리카드의 통신기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기능을 이용한 서비스의 성능 및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메모리카드와 연동하는 연동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메모리카드와 연동하는 연동장치{INTERFACE DEVIDE COUPLED WITH MEMORY CARD}
본 발명은 메모리카드와 연동하는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리카드(예 : SD카드)에 대한 접근 권한이 상이하게 제한되는 여러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에 장착되는 메모리카드의 통신기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기능을 이용한 서비스의 성능 및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연동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RFID 기술의 산업 활성화와 다양한 서비스로의 확신을 위해, 모바일 RFID 서비스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모바일 RFID 서비스란, 휴대폰에 소형 RFID 리더기를 탑재하여 RFID 태그를 읽어오는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것으로서, 택시 안심귀가서비스, 상품정보 조회 및 결제 서비스, 전자 포스터 서비스 등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RFID 서비스를 위한 RFID 리더기로서, SD카드 타입의 RFID 리더기도 등장하였다.
즉, 단말에 장착되는 외장 스토리지로서의 SD카드에 추가적으로 RFID 리더기로서의 기능(이하, RFID기능이라 함)을 구비함으로써, SD카드를 단말에 장착하여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RFID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SD카드 내 RFID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바일 RFID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한편, 최근 단말에 적용되는 운영체제(OS)는, SD카드와 같은 외장 스토리지에 대해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방식으로, 외장 스토리지로의 접근 권한을 제한하기 시작하였다. 즉, 기존에는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외장 스토리지 내의 모든 메모리영역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었다면, 최근에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연관된 메모리영역에 대해서만 접근할 수 있도록 제한을 두기 시작한 것이다.
이로 인해, SD카드에 대한 접근 권한이 상이하게 제한되는 여러 종류의 RFID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에 장착되는 외장 스토리지의 일종인 SD카드의 RFID기능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SD카드에 대한 접근 권한이 상이하게 제한되는 여러 종류의 RFID 관련 어플리케이션에서 SD카드의 RFID기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메모리카드(예 : SD카드)에 대한 접근 권한이 상이하게 제한되는 여러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에 장착되는 메모리카드의 통신기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기능을 이용한 서비스의 성능 및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연동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연동장치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메모리카드에 대하여 저장경로가 상이한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통신기능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앱연동부; 및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통신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메시지를 상기 메모리카드에 대하여 기 결정된 특정 저장경로를 통해 상기 메모리카드로 제공하여, 상기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상기 특정 저장경로를 통해 상기 메모리카드 내 상기 통신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연동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상이한 저장경로 및 상기 연동장치의 특정 저장경로는, 상기 메모리카드와의 통신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운영체제(OS)에 의해 상이하게 결정되며, 상기 특정 저장경로가 결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메모리카드에는 상기 특정 저장경로에 포함되는 메모리영역 내에만 상기 통신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파일이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메시지는, 상기 제어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기록명령 식별자 및 상기 제어명령을 포함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통신파일에 기록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카드에서는, 상기 통신파일에 상기 제어명령을 기록하도록 명령하는 상기 제어메시지가 제공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어명령이 상기 통신기능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통신기능이 제어되고,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수행된 상기 통신기능의 수행결과가, 상기 제어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와 맵핑되어 상기 통신파일에 기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드연동부는, 상기 앱연동부를 통해 상기 통신기능의 수행결과에 대한 획득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획득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카드에서 상기 수행결과를 획득하는 획득메시지를 상기 메모리카드로 제공하며, 상기 앱연동부는, 상기 획득한 수행결과를 상기 획득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획득메시지는, 상기 획득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및 읽기명령 식별자를 포함하여, 상기 통신파일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와 맵핑 기록된 수행결과를 읽어오도록 명령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카드는, 상기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연동장치가 설치된 디바이스에 장착되는 마이크로 SD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메모리카드에 대하여 저장경로가 상이한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통신기능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통신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메시지를 상기 메모리카드에 대하여 기 결정된 특정 저장경로를 통해 상기 메모리카드로 제공하여, 상기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상기 특정 저장경로를 통해 상기 메모리카드 내 상기 통신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상이한 저장경로 및 상기 연동장치의 특정 저장경로는, 상기 메모리카드와의 통신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운영체제(OS)에 의해 상이하게 결정되며, 상기 특정 저장경로가 결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메모리카드에는 상기 특정 저장경로에 포함되는 메모리영역 내에만 상기 통신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파일이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메시지는, 상기 제어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기록명령 식별자 및 상기 제어명령을 포함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통신파일에 기록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카드에서는, 상기 통신파일에 상기 제어명령을 기록하도록 명령하는 상기 제어메시지가 제공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어명령이 상기 통신기능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통신기능이 제어되고,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수행된 상기 통신기능의 수행결과가, 상기 제어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와 맵핑되어 상기 통신파일에 기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통신기능의 수행결과에 대한 획득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획득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카드에서 상기 수행결과를 획득하는 획득메시지를 상기 메모리카드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수행결과를 상기 획득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획득메시지는, 상기 획득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및 읽기명령 식별자를 포함하여, 상기 통신파일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와 맵핑 기록된 수행결과를 읽어오도록 명령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메모리카드와 연동하는 연동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의하면, 단말에 장착되는 메모리카드(예 : SD카드)에 구비된 통신기능을, 메모리카드에 대한 접근 권한이 상이하게 제한되는 여러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기능을 이용한 서비스의 성능 및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동장치가 포함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메시지, 획득메시지 및 응답메시지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동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동장치가 포함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은,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가 설치된 디바이스(200)와, 메모리카드(300)를 포함한다.
메모리카드(300)는, 디바이스(200)에 장착되어 보조적인 외장 스토리지로서 활용되며, 특히 추가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이하, 통신기능이라 함)을 구비(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메모리카드(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스토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메모리(33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기능(320)을 구비하며, 메모리컨트롤러(31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컨트롤러(310)는, 디바이스(200) 및 메모리카드(300) 간의 통신인터페이스 예컨대 SD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메모리(330)에 대한 디바이스(200)의 기록(Write)/읽기(Read)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메모리카드(300)는, SD카드, 특히 마이크로 SD카드일 수 있다.
이때, 근거리 무선통신은, RFID 통신, NFC 통신 등의 다양한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통신기능(320)은, 기업의 생산관리, 유통관리, 재고관리 등을 위한 RFID기능일 수 있고, 대중교통 요금 결제 등 금융서비스를 위한 NFC기능일 수 있고, 개인의 출입 인증 등 기업용 보안서비스를 위한 보안칩기능일 수 있고, 공인인증서나 금융거래 시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기능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신기능(320)으로서 RFID 통신을 수행하는 RFID기능(320)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이러한, 통신기능(320) 즉 RFID기능(320)은, 예컨대 RFID리더기(미도시) 및 안테나(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RFID기능(320)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즉 RFID 통신을 수행하여 RFID태그를 리드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RFID리더기(미도시)에서 발생한 신호에 따른 전파를 안테나(미도시)가 송신하면, 이를 수신하여 활성화된 수십~수미터의 인식거리 내 RFID태그가 자신을 식별 가능하게 하는 식별신호를 발생하고, RFID리더기(미도시)가 안테나(미도시)를 통해서 RFID태그의 식별신호를 수신함으로써, RFID기능(320)에서는 RFID 통신을 수행하여 RFID태그를 리드한 정보(적어도 하나의 RFID태그 식별신호)를 수행결과로서 얻을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과 같은 모바일의 단말로서, 추가로 장착되는 메모리카드(300)를 보조적인 외장 스토리지로서 활용한다.
특히, 디바이스(200) 즉 단말(200)에는, 메모리카드(300)에 구비된 통신기능 즉 RFID기능(320)을 이용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즉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App #1, #2...#N이 설치되며,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가 설치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메모리카드(300) 내 RFID기능(320)을 이용하기 위한 방식으로서, RFID기능(320)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후술할, 제어명령, 획득명령 등)을, 단말(200) 및 메모리카드(300) 간의 통신인터페이스 즉 SD인터페이스에 따른 기록(Write)/읽기(Read) 메시지의 형태로 전달하기 위한 용도의 통신파일을 활용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고려하고 있는 통신파일을 활용한 RFID기능(320) 이용 방식을 간략하게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RFID기능(320)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App #1가 단말(200)에 설치되면, 단말(200)에 적용된 운영체제(OS, 10)는 어플리케이션 App #1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전용의 저장경로를 결정(생성)하게 된다. 이처럼 어플리케이션 App #1에 대한 전용의 저장경로가 생성되면, 메모리컨트롤러(310)는, 메모리(330)에서 어플리케이션 App #1의 저장경로에 포함되는 메모리영역 내에 통신파일을 생성한다.
이에, 어플리케이션 App #1은, OS(10)의 입출력(I/O) 인터페이스를 거쳐 OS(10)가 제공하는 SD인터페이스를 통해서, RFID기능(320)과 관련된 명령(후술할, 제어명령, 획득명령 등)을, 통신파일에 대한 기록(Write)/읽기(Read) 메시지의 형태로 메모리카드(300)에 제공하게 된다.
메모리카드(300)의 메모리컨트롤러(310)은, SD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기록(Write) 메시지가, 통신파일에 대한 것이 아니면 메시지 내의 데이터를 메모리(330)에 기록하는 일반적인 기록(Write) 처리를 수행하며, 통신파일에 대한 것이면 메시지 내의 데이터(=제어명령)를 RFID기능(320)에 전달하여 제어명령에 따라 RFID기능(320)이 제어되도록 하며, 제어명령에 따라 수행된 RFID기능(320)의 수행결과를 메모리(330) 내 통신파일에 기록(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카드(300)의 메모리컨트롤러(310)은, SD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읽기(Read) 메시지가 통신파일에 대한 것이면, 통신파일에 기록(저장)된 RFID기능(320)의 수행결과를 읽어 들여 단말(200)로 제공하여, 통신파일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App #1으로 수행결과가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파일을 활용한 RFID기능(320) 이용 방식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예 : App #1)의 저장경로에 포함된 메모리영역 즉 어플리케이션(예 : App #1)이 접근 가능한 메모리영역에 통신파일이 존재해야만, 어플리케이션(예 : App #1)이 메모리카드(300)의 통신인터페이스 즉 SD인터페이스를 통해 메모리카드(300) 내 통신기능(320)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최근 단말(200)에 적용되는 OS(10)는, 메모리카드(300)와 같은 외장 스토리지에 대해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방식으로, 메모리카드(300)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제한하고 있다.
다시 말해, OS(10)는, 단말(200)에 메모리카드(300)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예 : App #1)이 설치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예 : App #1)에 대한 전용의 저장경로를 결정(생성)하는 방식으로, 메모리카드(300)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OS(10)는,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App #1, #2...#N 각각에 대하여 전용의 저장경로를 상이하게 결정(생성)할 것이다.
따라서,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App #1, #2...#N은, 메모리카드(300)에 대하여 상이한 저장경로를 갖게 되고, 메모리카드(300)에 대한 접근 권한 즉 접근 가능한 메모리영역이 상이하게 제한될 것이다.
이와 같이, 메모리카드(300)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App #1, #2...#N 각각의 접근 권한이 상이해 지면, 이러한 환경에 대응하여 전술의 통신파일을 활용한 RFID기능(320) 이용 방식에 있어서도 추가적인 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다시 말해, 어플리케이션 App #1, #2...#N 각각의 저장경로가 상이해 지면 어플리케이션 App #1, #2...#N 각각이 접근 가능한 메모리영역이 상이할 것이기 때문에, 전술의 통신파일을 활용한 RFID기능(320) 이용 방식에서는, 메모리컨트롤러(310)가 어플리케이션 App #1, #2...#N 별로 접근 가능한 메모리영역에 각각의 통신파일을 생성해야만 한다.
그리고, 단말(200)에 메모리카드(300)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신규로 설치될 때마다, 메모리컨트롤러(310)는, OS(10)에 의해 결정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저장경로를 파악하여 통신파일을 생성해야만 한다.
결국, 메모리카드(300)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App #1, #2...#N 각각의 접근 권한이 상이해 짐에 따라, 메모리카드(300)의 메모리컨트롤러(310)은, 각 어플리케이션 App #1, #2...#N 별로 생성한 통신파일을 모두 모니터링 해야 하는 부하 부담이 있을 수 밖에 없고, 이러한 메모리컨트롤러(310)의 부하 부담으로 인해 메모리카드(300)의 RFID기능(320) 이용하는데 있어서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메모리카드(300)에 대한 접근 권한이 상이하게 제한되는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App #1, #2...#N에서 메모리카드(300)의 RFID기능(320)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특히 연동장치(100)를 제안하여 그 방안을 달성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단말(200)에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가 설치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단말(2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연동장치(100)를 브릿지 앱(100)이라 언급하고, 필요에 따라 연동장치(100) 및 브릿지 앱(100)을 혼용하여 설명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200)에는, 메모리카드(300)의 RFID기능(320)을 이용하기 위한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App #1, #2...#N이 설치되며,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App #1, #2...#N 및 메모리카드(300) 사이의 연동을 제공함으로써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App #1, #2...#N이 메모리카드(300) 내 통신기능(320)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 즉 브릿지 앱(100)이 설치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동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구성 및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동장치(100)는, 통신기능(320)을 구비한 메모리카드(300)에 대하여 저장경로가 상이한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통신기능(320)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앱연동부(110)와,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통신기능(320)을 제어하는 제어메시지를 메모리카드(300)에 대하여 기 결정된 특정 저장경로를 통해 메모리카드(300)로 제공하여, 상기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상기 특정 저장경로를 통해 메모리카드(300) 내 통신기능(32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연동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카드(300)는, 단말(200)에 장착되는 SD카드, 특히 마이크로 SD카드로서, 추가적으로 통신기능(320)을 구비(탑재)하고 있다.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App #1, #2...#N는, 메모리카드(300)에 구비된 통신기능(320) 예컨대 RFID기능(320)을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단말장치(200)에 기 설치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App #1, #2...#N는, 메모리카드(300)에 대하여 상이한 저장경로를 갖는다.
앱연동부(110)는,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즉 어플리케이션 App #1, #2...#N과 연동하는 기능부이다.
이러한 앱연동부(110)는, RFID기능(320)을 구비한 메모리카드(300)에 대하여 저장경로가 상이한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App #1, #2...#N과의 연동을 통해, RFID기능(320)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만약, 어플리케이션 App #1이 메모리카드(300)의 RFID기능(320)을 제어하고자 구동되는 경우라면, 어플리케이션 App #1은 RFID기능(3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을 송신할 것이다.
이에, 앱연동부(110)는, 연동하는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App #1, #2...#N 중에서 어플리케이션 App #1로부터 RFID기능(320)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카드연동부(120)는, 메모리카드(300)와 연동하는 기능부이다.
이러한 카드연동부(120)는, 제어명령에 따라 RFID기능(320)을 제어하는 제어메시지를, 메모리카드(300)에 대하여 기 결정된 특정 저장경로를 통해 메모리카드(300)로 제공함으로써,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App #1, #2...#N이 동일한 특정 저장경로를 통해 메모리카드(300) 내 RFID기능(32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메모리카드(300)에 대하여 기 결정된 특정 저장경로란, OS(10)에 의해 결정(생성)되는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 즉 브릿지 앱(100)의 전용 저장경로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OS(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App #1, #2...#N 별로 메모리카드(300)에 대한 전용의 저장경로를 상이하게 결정(생성)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OS(10)는,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 즉 브릿지 앱(100)이 단말(200)에 설치되면, 메모리카드(300)에 대한 브릿지 앱(100) 전용의 저장경로(특정 저장경로)를 결정(생성)하는 것이다.
이에, 카드연동부(120)는, 앱연동부(110)를 통해 수신한 제어명령에 따라 RFID기능(320)을 제어하는 제어메시지를, 특정 저장경로 즉 브릿지 앱(100) 전용의 저장경로를 통해 메모리카드(300)로 제공한다.
한편, 메모리카드(300)는, 통신기능(320) 즉 RFID기능(320)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파일을, 특정 저장경로 즉 브릿지 앱(100) 전용의 저장경로에 포함되는 메모리영역 내에만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메모리카드(300)의 메모리컨트롤러(310)는, 어플리케이션 App #1, #2...#N 각각의 전용 저장경로가 생성되더라도, 기존과 같이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통신파일을 생성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서 메모리카드(300)의 메모리컨트롤러(310)는,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 즉 브릿지 앱(100)의 전용 저장경로가 생성되면, 메모리(330)에서 브릿지 앱(100)의 저장경로에 포함되는 메모리영역 내에 통신파일을 생성한다.
이에, 메모리카드(300)의 메모리(330)에는, RFID기능(320)을 위한 통신파일이, 브릿지 앱(100)과 관련하여 하나만 생성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브릿지 앱(100)과 관련하여 생성된 통신파일을 "통신파일A" 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따라서, 전술의 카드연동부(120)가 제어메시지를 특정 저장경로 즉 브릿지 앱(100) 전용의 저장경로를 통해 메모리카드(300)로 제공하는 것은, 결국 브릿지 앱(100)의 저장경로에 포함되는 메모리영역 내에 생성된 통신파일A에 대한 제어메시지를 메모리카드(300)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드연동부(120)는, OS(10)의 입출력(I/O) 인터페이스를 거쳐 OS(10)가 제공하는 SD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통신파일A에 대한 제어메시지를 메모리카드(300)로 제공하는 것과 같다.
이때, 제어메시지는, 제어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기록명령 식별자 및 상기 제어명령을 포함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통신파일에 기록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어플리케이션 App #1로부터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이 수신된 경우를 언급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카드연동부(120)는, 어플리케이션 App #1로부터 수신한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에 따라 RFID기능(320)을 제어하는 제어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제어메시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 App #1의 식별정보 즉 어플리케이션 App #1의 App식별정보(예 : Type, ID 등)와, 기록명령 식별자(예 : Write), 기록할 데이터로서의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을 포함하여, 어플리케이션 App #1에 의한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을 통신파일A에 기록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이다.
이러한 제어메시지는, SD인터페이스 기반의 기본적인 기록(Write) 메시지 형태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어메시지를 제공받은 메모리카드(300)는, 제공되는 제어메시지가 통신파일A에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을 기록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인 경우,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을 RFID기능(320)에 전달하여,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에 따라 RFID기능(320)이 제어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카드(300)의 메모리컨트롤러(310)는, SD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기록(Write) 메시지가, 통신파일A에 대한 것이 아닌 일반적인 기록(Write) 메시지이면 기록(Write) 메시지 내의 데이터를 메모리(330)에 기록하는 일반적인 기록(Write) 처리를 수행할 것이다.
한편, 메모리컨트롤러(310)는, SD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기록(Write) 메시지가, 통신파일A에 대한 것이면 기록(Write) 메시지 즉 제어메시지 내의 데이터(=제어명령)를 RFID기능(320)에 전달하여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에 따라 RFID기능(320)이 제어되도록 한다.
그리고, 메모리카드(300) 특히 메모리컨트롤러(310)는,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에 따라 수행된 RFID기능(320)의 수행결과를, 제어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 App #1의 App식별정보(예 : Type, ID 등)와 맵핑시켜, 메모리(330) 내 통신파일A에 기록(저장)할 수 있다.
또한, 카드연동부(120)는, 앱연동부(110)를 통해 RFID기능(320)의 수행결과에 대한 획득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획득명령에 따라 메모리카드(300)에서 상기 수행결과를 획득하는 획득메시지를 메모리카드(300)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앱연동부(110)은, 어플리케이션 App #1, #2...#N과의 연동을 통해, RFID기능(320)의 수행결과에 대한 획득명령을 수신한다.
만약, 어플리케이션 App #1이 RFID기능(320)의 수행결과에 대한 획득명령을 송신한 경우라면, 앱연동부(110)는, 연동하는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App #1, #2...#N 중에서 어플리케이션 App #1로부터 획득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카드연동부(120)는, 앱연동부(1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App #1로부터 획득명령이 수신되면 획득명령에 따른 획득메시지를 생성하고, OS(10)의 입출력(I/O) 인터페이스를 거쳐 OS(10)가 제공하는 SD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통신파일A에 대한 획득메시지를 메모리카드(300)로 제공한다.
여기서, 획득메시지는, 상기 획득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및 읽기명령 식별자를 포함하여, 상기 통신파일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와 맵핑 기록된 수행결과를 읽어오도록 명령하는 메시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카드연동부(120)는, 어플리케이션 App #1로부터 수신한 획득명령에 따라 통신파일A에서 RFID기능(320)의 수행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획득메시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 App #1의 식별정보 즉 어플리케이션 App #1의 App식별정보(예 : Type, ID 등)와, 읽기명령 식별자(예 : Read)를 포함하여, 통신파일A에서 어플리케이션 App #1의 App식별정보(예 : Type, ID 등)와 맵핑 기록된 수행결과를 읽어오도록 명령하는 메시지이다.
이러한 획득메시지는, SD인터페이스 기반의 기본적인 읽기(Read) 메시지 형태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획득메시지를 제공받은 메모리카드(300) 특히 메모리컨트롤러(310)는, SD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읽기(Read) 메시지가 통신파일A에 대한 것이면, 통신파일A에 어플리케이션 App #1의 App식별정보(예 : Type, ID 등)와 맵핑 기록(저장)된 RFID기능(320)의 수행결과를 읽어 들여 단말(200)로 제공한다.
이때, 메모리컨트롤러(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 App #1의 App식별정보(예 : Type, ID 등)와, 응답 식별자와, 읽어온 데이터로서의 수행결과(예 : 적어도 하나의 RFID태그 식별신호)를 포함하는 응답메시지를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응답메시지는, SD인터페이스 기반의 기본적인 읽기(Read)응답 메시지 형태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앱연동부(110)는, 전술의 획득메시지를 메모리카드(300)로 제공함에 따라 메모리카드(300)로부터 획득한 RFID기능(320)의 수행결과를, 획득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App #1으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앱연동부(110)는, 전술의 획득메시지를 메모리카드(300)로 제공함에 따라 메모리카드(300)로부터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메시지 내의 데이터(=RFID기능(320)의 수행결과)를 응답메시지 내 App식별정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App #1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 즉 브릿지 앱(100)은, 단말(200)에서 백그라운드로 동작하여,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App #1, #2...#N이 브릿지 앱(100)의 전용 저장경로를 통해 하나의 통신파일A 기반으로 메모리카드(300) 내 통신기능(320)을 제어하고 통신기능(320)의 수행결과를 획득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App #1, #2...#N 및 메모리카드(300) 사이를 연동한다.
이에,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에 의하면,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App #1, #2...#N 및 메모리카드(300) 사이를 하나의 통신파일A 기반으로 연동 제공하여, 메모리카드(300)에 대한 접근 권한이 상이하게 제한되는 어플리케이션 App #1, #2...#N이, 메모리카드(300)의 통신기능(320)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모리카드(300)의 메모리컨트롤러(310)의 부하 부담을 줄여 통신기능(320)을 이용한 서비스의 성능 및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의해 동작하는 연동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단말(200)에는, 메모리카드(300)의 통신기능(320) 예컨대 RFID기능(320)을 이용하는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App #1, #2...#N과,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 즉 브릿지 앱(100)이 설치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단말(200)에 메모리카드(300)가 장착되면(S100), 메모리카드(300) 특히 메모리컨트롤러(310)는, 메모리(330)에서 OS(10)에 의해 결정(생성)된 연동장치(100) 즉 브릿지 앱(100)의 전용 저장경로에 포함되는 메모리영역 내에 통신파일A를 생성한다(S110).
한편,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 즉 브릿지 앱(100)은, 단말(200)에서 백그라운드로 동작한다(S120).
이에,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연동장치(100)의 전용 저장경로에 포함된 메모리영역 즉 자신이 접근 가능한 메모리영역에 통신파일A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130). S110단계에서 미리 생성한 통신파일A이 사용자나 시스템에 의해 삭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통신파일A가 존재하는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S130 No), 메모리카드(300)에 연동장치(100)와 관련된 통신파일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S135).
한편,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통신파일A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S130 Yes),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App #1, #2...#N 으로부터 제어명령이 수신되는지(S140) 또는 획득명령이 수신되는지(S180) 판단한다.
예를 들어, 연동하는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App #1, #2...#N 중에서 어플리케이션 App #1로부터 RFID기능(320)에 대한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을 수신하는 경우(S140 Yes),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수신한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에 따라 RFID기능(320)을 제어하는 제어메시지를, 메모리카드(300)에 대하여 기 결정된 특정 저장경로 즉 브릿지 앱(100) 전용의 저장경로를 통해 메모리카드(300)로 제공한다(S150).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연동장치(100)의 저장경로에 포함되는 메모리영역 내에 생성된 통신파일A에 대한 기록(Write) 메시지 형태의 제어메시지를 메모리카드(300)로 제공하는 것이다(S150).
이때, 제어메시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 App #1의 식별정보 즉 어플리케이션 App #1의 App식별정보(예 : Type, ID 등)와, 기록명령 식별자(예 : Write), 기록할 데이터로서의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을 포함하여, 어플리케이션 App #1에 의한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을 통신파일A에 기록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이다.
이와 같은 제어메시지를 제공받은 메모리카드(300) 특히 메모리컨트롤러(310)는, 제공되는 제어메시지가 통신파일A에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을 기록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인 것이 확인되면,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을 RFID기능(320)에 전달하여,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에 따라 RFID기능(320)이 제어되도록 한다(S160).
그리고, 메모리카드(300) 특히 메모리컨트롤러(310)는, 제어명령(예 : RFID 리더기능 수행)에 따라 수행된 RFID기능(320)의 수행결과를, 제어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 App #1의 App식별정보(예 : Type, ID 등)와 맵핑시켜, 메모리(330) 내 통신파일A에 기록(저장)할 수 있다(S170).
한편, 연동하는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App #1, #2...#N 중에서 어플리케이션 App #1로부터 RFID기능(320)에 대한 획득명령을 수신하는 경우(S180 Yes),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의 동작 방법은,획득명령에 따라 메모리카드(300)에서 RFID기능(320)의 수행결과를 획득하는 획득메시지를 메모리카드(300)로 제공한다(S190).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연동장치(100)의 저장경로에 포함되는 메모리영역 내에 생성된 통신파일A에 대한 읽기(Read) 메시지 형태의 획득메시지를 메모리카드(300)로 제공하는 것이다(S190).
이때, 생성되는 획득메시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 App #1의 식별정보 즉 어플리케이션 App #1의 App식별정보(예 : Type, ID 등)와, 읽기명령 식별자(예 : Read)를 포함하여, 통신파일A에서 어플리케이션 App #1의 App식별정보(예 : Type, ID 등)와 맵핑 기록된 수행결과를 읽어오도록 명령하는 메시지이다.
이와 같은 획득메시지를 제공받은 메모리카드(300) 특히 메모리컨트롤러(310)는, SD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획득메시지가 통신파일A에 대한 것이 확인되면, 통신파일A에 어플리케이션 App #1의 App식별정보(예 : Type, ID 등)와 맵핑 기록(저장)된 RFID기능(320)의 수행결과를 읽어 들인다(S200).
그리고, 메모리카드(300) 특히 메모리컨트롤러(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 App #1의 App식별정보(예 : Type, ID 등)와, 응답 식별자와, 읽어온 데이터로서의 수행결과(예 : 적어도 하나의 RFID태그 식별신호)를 포함하는 응답메시지를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S210).
이에,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획득메시지를 메모리카드(300)로 제공함에 따라 메모리카드(300)로부터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메시지 내의 데이터(=RFID기능(320)의 수행결과)를 응답메시지 내 App식별정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App #1으로 제공할 수 있다(S220).
이러한 본 발명의 연동장치(100) 즉 브릿지 앱(100)은, 단말(200)에서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는 것이 정지되지 않는 한(S230 No, ①), 전술한 S120단계 이후의 단계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즉 그에 의해 동작하는 연동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App #1, #2...#N 및 메모리카드(300) 사이를 하나의 통신파일A 기반으로 연동 제공하여, 메모리카드(300)에 대한 접근 권한이 상이하게 제한되는 어플리케이션 App #1, #2...#N이, 메모리카드(300)의 통신기능(320)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모리카드(300)의 메모리컨트롤러(310)의 부하 부담을 줄여 통신기능(320)을 이용한 서비스의 성능 및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와 연동하는 연동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따르면, 메모리카드(예 : SD카드)에 대한 접근 권한이 상이하게 제한되는 여러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에 장착되는 메모리카드의 통신기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기능을 이용한 서비스의 성능 및 편리성을 증대시킨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연동장치
110 : 앱연동부 120 : 카드연동부
200 : 단말
300 : 메모리카드

Claims (8)

  1. 통신기능을 구비한 메모리카드에 대하여 저장경로가 상이한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통신기능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앱연동부; 및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통신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메시지를 상기 메모리카드에 대하여 기 결정된 특정 저장경로를 통해 상기 메모리카드로 제공하여, 상기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상기 특정 저장경로를 통해 상기 메모리카드 내 상기 통신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와 연동하는 연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상이한 저장경로 및 상기 연동장치의 특정 저장경로는, 상기 메모리카드와의 통신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운영체제(OS)에 의해 상이하게 결정되며,
    상기 특정 저장경로가 결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메모리카드에는 상기 특정 저장경로에 포함되는 메모리영역 내에만 상기 통신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파일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와 연동하는 연동장치.
  3. 통신기능을 구비한 메모리카드에 대하여 저장경로가 상이한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통신기능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통신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메시지를 상기 메모리카드에 대하여 기 결정된 특정 저장경로를 통해 상기 메모리카드로 제공하여, 상기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상기 특정 저장경로를 통해 상기 메모리카드 내 상기 통신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상이한 저장경로 및 상기 특정 저장경로는, 상기 메모리카드와의 통신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운영체제(OS)에 의해 상이하게 결정되며,
    상기 특정 저장경로가 결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메모리카드에는 상기 특정 저장경로에 포함되는 메모리영역 내에만 상기 통신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파일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메시지는,
    상기 제어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기록명령 식별자 및 상기 제어명령을 포함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통신파일에 기록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카드에서는,
    상기 통신파일에 상기 제어명령을 기록하도록 명령하는 상기 제어메시지가 제공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어명령이 상기 통신기능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통신기능이 제어되고,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수행된 상기 통신기능의 수행결과가, 상기 제어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와 맵핑되어 상기 통신파일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통신기능의 수행결과에 대한 획득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획득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카드에서 상기 수행결과를 획득하는 획득메시지를 상기 메모리카드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수행결과를 상기 획득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메시지는,
    상기 획득명령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및 읽기명령 식별자를 포함하여, 상기 통신파일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와 맵핑 기록된 수행결과를 읽어오도록 명령하는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40092704A 2014-07-22 2014-07-22 메모리카드와 연동하는 연동장치 KR102032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704A KR102032113B1 (ko) 2014-07-22 2014-07-22 메모리카드와 연동하는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704A KR102032113B1 (ko) 2014-07-22 2014-07-22 메모리카드와 연동하는 연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502A KR20160011502A (ko) 2016-02-01
KR102032113B1 true KR102032113B1 (ko) 2019-10-15

Family

ID=5535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704A KR102032113B1 (ko) 2014-07-22 2014-07-22 메모리카드와 연동하는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11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905B1 (ko) * 2012-05-25 2014-01-03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Sd메모리 제어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sd메모리
KR101421568B1 (ko) * 2012-07-27 2014-07-22 주식회사 케이티 스마트카드, 스마트카드 서비스 단말 및 스마트카드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502A (ko)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01671B (zh) 在电池关闭模式下提供nfc安全应用支持的系统和方法
EP2487629B1 (en) Secure smart poster
CA2926206C (en) A system and method for nfc peer-to-peer authentication and secure data transfer
KR101107850B1 (ko) 전송 방법, 전송 시스템, 신뢰받는 서비스 관리자,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모바일 폰
KR101567902B1 (ko) Nfc 가능 디바이스용 다수-발급사 시큐어 엘리먼트 파티션 아키텍처
US9197312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in a local network
US20140379575A1 (en) Controlling transaction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device
US20120166337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secure payment and secure payment method using the same
US20140161258A1 (en) Authentication server,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issuing radio frequency card key using authentication server and mobile terminal
EP2406712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 nfc application and computer device
CN104700262B (zh) 一种基于nfc移动终端和pos终端的支付系统
CN105592403B (zh) 一种基于nfc的通信装置和方法
CN105723390A (zh) 用于操作无接触移动设备作为低成本安全销售点的方法
CN103559523B (zh) 基于swp se实现的非接触读写设备及方法
CN104809618A (zh) 基于电子标签的产品防伪方法
JP2016533552A (ja) 電子リソースムーブに用いられるセキュリティ情報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
Alattar et al. Host-based card emulation: Development, security, and ecosystem impact analysis
US201503637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device with a secure element used as a payment terminal
Saminger et al. An NFC ticketing system with a new approach of an inverse reader mode
JP2008504788A (ja) 装置に登録されている多数のデータセットの1つの選択方法及び対応装置
CN103955974A (zh) 一种基于nfc智能手机的atm电子锁系统和管理方法
KR20200025950A (ko) 디지털 키를 처리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2032113B1 (ko) 메모리카드와 연동하는 연동장치
US9253628B2 (en) Method of exchanging data between two electronic entities
CN105103180B (zh) 用于处理移动信用卡的发行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