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027B1 - An tooth brush having tongue cleaning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n tooth brush having tongue cleaning and method thereo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027B1
KR102032027B1 KR1020170137189A KR20170137189A KR102032027B1 KR 102032027 B1 KR102032027 B1 KR 102032027B1 KR 1020170137189 A KR1020170137189 A KR 1020170137189A KR 20170137189 A KR20170137189 A KR 20170137189A KR 102032027 B1 KR102032027 B1 KR 102032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easy
user
present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4811A (en
Inventor
하지영
Original Assignee
하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지영 filed Critical 하지영
Priority to KR1020170137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027B1/en
Publication of KR20190044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8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027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3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6Grips or handles having a nonslip 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유아 등의 미취학 아동이나 반려동물의 칫솔질을 도와주는 경우에 사용자가 칫솔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가락 등이 접하는 위치를 고려하여 인체공학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치아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In case of helping preschoolers such as infants or pets brushing, ergonomic configuration considering the position where the finger touch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the toothbrush, it is easy to grasp that can be cleaned more efficiently. Toothbrushes can be provided.

Description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AN TOOTH BRUSH HAVING TONGUE CLEANING AND METHOD THEREOF}Easy-to-Grip Cleaning Toothbrush {AN TOOTH BRUSH HAVING TONGUE CLEAN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 등의 미취학 아동의 칫솔질을 도와주는 경우에 사용자가 칫솔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가락 등이 접하는 위치를 고려하여 인체공학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치아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sy-to-grip cleaning toothbrush,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helping preschoolers, such as infants, brushing by ergonomically considering the position where the user touches the toothbrush to facilitate the holding of the toothbrus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sy-to-grip cleaning toothbrush that can be cleaned more efficiently.

일반적으로 사람의 치아 구조는 상호 교합되는 상, 하부 치열로 이루어져 있고, 이 상, 하부 치열은 모두 좌우로 나란한 배열을 이루는 여러 개의 치아들로 구성된다.In general, the tooth structure of a human is composed of the upper and lower dentition, which interlock with each other, the upper and lower denti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eeth in a side by side arrangement.

일반적으로 사람은 활동을 위해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고, 섭취된 음식물은 구강 내에서 씹는 과정을 통해 침과 혼합되어 소화기관으로 이송된다.In general, a person consumes food for activity, and the food is mixed with saliva and transported to the digestive system through chewing in the oral cavity.

입안으로 들어온 음식물은 턱의 상하 운동에 따라 서로 마주보게 배열된 치열이 서로 맞닿아 잘게 분쇄된다.Food coming into the mouth is crushed finely by the teeth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jaw.

이러한 과정 중 필연적으로 음식물 조각은 치아와 치아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에 끼이게 된다.Inevitably, food fragments are caught in the gaps between the teeth and the teeth or between the teeth and the gums.

상기와 같이 틈새에 끼인 음식물의 제거가 제때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구강내의 세균에 의해 분해되며 부패가 이루어지고 각종 구강질환, 풍취 또는 구취 등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치아를 닦는 칫솔이 안출 되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removal of food in the gap is not made in a timely manner, it is decomposed by bacteria in the oral cavity, decay is made, and various oral diseases, wind or bad breath are generated.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 칫솔 모양은 일면에 치아 세정을 위한 다수의 칫솔모가 고정되어 있는 헤드 부분과 이러한 헤드 부분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파지를 가능하게 되어 있는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다.This conventional general toothbrush shape is composed of a head portion that is fixed to a plurality of bristles for cleaning teeth on one side and a handl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to enable gripping.

상기와 같은 칫솔의 사용은 치약이 묻은 칫솔모를 구강 내의 치열을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왕복시켜 틈새의 음식물을 제거하고 치아를 닦는 형태가 된다.The use of such a toothbrush is a form of brushing the toothbrush with toothpast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along the dentition in the mouth to remove food in the gap and brush the teeth.

이러한 칫솔은 칫솔모가 식모되는 헤드부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종래에는 손잡이부의 무늬나 모양만을 중요시 할 뿐 파지 시 손가락과 손바닥이 접하는 부분의 형상이나 편리함 등은 전혀 고려되지 않아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주로 손목에 힘을 의지하기 때문에 손목에 무리를 주게 된다.Such a toothbrush is composed of a head portion that is bristled with bristles, and a handle portion that is gripped by hand. In general, only the pattern or shape of the handle portion is important, and the shape and convenience of a portion where the finger and the palm contact each other when gripping is not considered at all. It is very inconvenient to use, and it relieves the wrist because it relies heavily on the wrist.

또한 양치시 칫솔이 손가락으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발생되고, 특히 치약 거품이 손잡이부에 묻을 시에는 미끄럼이 더욱 심해 환자나 노약자 및 어린이의 경우 파지하는 힘이 약해 효과적인 양치를 할 수 없으며, 잇몸이나 손목에 부상을 입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이었다.In addition, the toothbrush is separated from the finger when brushing, especially when the toothpaste foam buried in the handle portion is more severe and the gripping force is less effective for patients, the elderly and children, the gums and wrists Injuries were a frequent occurrence.

특히,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아직 양치질이 서툴고 어색할 뿐만 아니라, 제대로 습관이 이루어지지 않은 칫솔질은 오히려 치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유아들의 경우에 부모의 도움으로 양치질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In particular, infants are not only poorly brushed and awkwardly brushed in general, but poorly brushed teeth may adversely affect teeth. Therefore, most infants brush their teeth with the help of their parents.

그러나, 시중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칫솔은 모양이 일정한 두께를 가진 막대 형상을 갖는 모양으로 일률적인 뿐만 아니라, 유아용 칫솔 또는 반려 동물용 칫솔의 경우에 손잡이부의 직경이 작아서 파지가 어려워 효과적인 세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most of the toothbrushes on the market are not only uniform in shape, but have a uniform thickness, and in the case of an infant toothbrush or a companion animal toothbrush, the diameter of the handle is difficult to grip and difficult to clean effectively. There is this.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미취학 아동 또는 반려 동물용 칫솔의 치아 세정이 용이하면서도 세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칫솔에 대한 기술적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chnical improvement of the toothbrush which can be easily cleaned while the toothbrush of the toothbrush for preschool children or companion animals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is required.

실용신안공보 제20-1994-0008614호 (1994.12.26)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4-0008614 (1994.12.26)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5382호 (2001.03.16)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25382 (2001.03.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칫솔의 파지 시 손가락 등이 접하는 위치를 고려하여 인체공학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양치 시 최적의 편안함을 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아 등의 미취학 아동을 칫솔질을 도와주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치아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fter repeated in-depth studies and various experiments, as described later, by configuring the ergonomics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finger contact, such as when holding the toothbrush configured to give optimum comfort when brushing Even when helping preschoolers, such as infants to brush the user to facilitate the gripping is to provide a easy-to-grip cleaning toothbrush that can be cleaned more efficiently.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아 세정을 위하여 양치를 직접 도와줘야 하는 반려 동물용에 적용할 수 있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sy-to-grip cleaning toothbrush that can be applied to a companion animal that needs to directly help brushing teeth for tooth cleaning.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은,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Easy to grip cleaning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toothbrush comprising a head portion that is bristled with bristles and a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헤드부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판상 형으로 형성되고,The handle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head portion,

상기 손잡이부에는 사용자의 검지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도록 만곡지게 함몰된 제1 파지부;The handl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grip portion recessed to be curv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index fing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andle portion;

상기 사용자의 엄지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도록 만곡지게 함몰된 제2 파지부; 및A second gripping portion recessed to be curv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thumb is in close contact; And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 부위가 밀착되는 제3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gripping port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lm of the user.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제2 파지부는, 사용자의 엄지의 마디 부위가 밀착되는 만곡부; 및 사용자의 엄지면이 밀착되는 함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gripping portion, the curved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node of the user's thumb; And a depression in which the thumb of the us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제1 파지부, 제2 파지부 및 제3 파지부의 적어도 하나에는 밀림 방지를 위한 논 슬립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gripping portion, the second gripping portion, and the third gripp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non-slip pad for preventing rolling.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패드에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in the pad to prevent slipping.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패드는 고무, 우레탄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ad may comprise at least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ubber, urethane and silicone.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손잡이부를 중심으로 5 내지 30도 범위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por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bent in the range of 5 to 30 degrees around the handle portion.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두께는 상기 헤드부 두께에 대하여 1: 0.5 ~ 3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handl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range of 1: 0.5 to 3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제1 파지부, 제2 파지부 및 제3 파지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양면에 인쇄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ripping portion, the second gripping portion and the third gripping portion may be print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portion.

따라서, 사용자는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 여부와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파지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the grip easily regardless of whether left-handed or right-handed.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헤드부에 식모된 칫솔모는 사선으로 식모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ristles planted in the head portion may be a configuration that is planted diagonall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은칫솔의 파지 시 손가락 등이 접하는 위치를 고려하여 인체공학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양치 시 최적의 편안함을 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아 등의 미취학 아동을 칫솔질을 도와주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치아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asy-to-grip cleaning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give optimal comfort when brushing by ergonomically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finger contact, etc. when holding the toothbrush to preschool children such as infants In the case of helping brushing,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effect of cleaning the teeth more efficient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은 치아 세정을 위하여 양치를 직접 도와줘야 하는 반려 동물용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asy-to-grip cleaning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can be applied to the companion animal for helping to brush teeth for tooth clea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측면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도 4의 A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의 B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측면 사시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측면 사시도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sy gripping toothbrush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n easy gripping toothbrush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an easy gripping toothbrush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ide perspective views of an easy gripping cleaning toothbrush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4;
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portion B of FIG. 4;
8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easy to clean cleaning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0 is a state of use of the easy to clean cleaning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re side perspective views of an easy gripping cleaning toothbrush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re side perspective views of an easy gripping toothbrush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example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construed a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example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erminology used herein is a term used to properly expres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 an operator's intention, or a custom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herein. Do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칫솔은 시중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칫솔은 모양이 일정한 두께를 가진 막대 형상을 갖는 모양으로 일률적인 뿐만 아니라, 유아용 칫솔 또는 반려 동물용 칫솔의 경우에 손잡이부의 직경이 작아서 파지가 어려워 효과적인 세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 toothbrushes are not only uniform in shape, but most toothbrushes on the market have a rod-shaped shape with a constant thickness, and in the case of an infant toothbrush or a companion animal toothbrush, the grip portion is small and gripped. It has been difficult to effectively clean the problem has been continuously raised.

이에 본 발명에서는 칫솔을 칫솔의 파지 시 손가락 등이 접하는 위치를 고려하여 인체공학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양치 시 최적의 편안함을 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아 등의 미취학 아동을 칫솔질을 도와주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여 전술한 문제점의 해결을 모색하였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brush is configured to give optimum comfort when brushing by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finger contact, etc. when holding the toothbrush, even when helping the preschooler, such as infants brushing the user In order to facilitate the solu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배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easy to clean cleaning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a easy to clean cleaning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There is schematically shown a rear view of the easy-to-grip cleaning toothbrus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칫솔(100)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200)와 손잡이부(20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칫솔모(150)가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1 to 3, the cleaning toothbrush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200 and the handle portion 200 can be easily gripped by the user is formed bristle 150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head part 300 which is made up.

손잡이부(200)는 전체적으로 판상의 원형 형상을 갖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의 검지, 엄지 및 손바닥 부위가 밀착되는 제1 파지부(210), 제2 파지부(220) 및 제 3 파지부(230)가 형성되어 있다.Handle portion 200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plate-like circular shape as a whole, the first gripping portion 210, the second gripping portion 220 and the third gripping portion in which the user's index finger, thumb and palm portion is in close contact 230 is formed.

헤드부(300)는 사선모양의 칫솔모(150)가 식모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head portion 300 is an oblique bristle 150 is plant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제1 파지부(210), 제2 파지부(220) 및 제 3 파지부(230)는 밀림 방지를 위한 논 슬립 패드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 우레탄 및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미끄럼 없이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first gripping portion 210, the second gripping portion 220, and the third gripping portion 230 are formed of a non-slip pad material for preventing rolling, and are formed of, for example, rubber, urethane, and silicon. .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grip and use it without slipping.

구체적으로, 제1 파지부(210)는 사용자의 검지가 밀착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만곡지게 함몰된 함몰부(211)가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gripping portion 210 is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211 recessed to one side so that the user's index finger can be in close contact.

제2 파지부(220)는 사용자의 엄지가 세정 칫솔(100)의 일측을 감싸면서 밀착될 수 있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면서 함몰된 원형의 함몰부(221)가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gripping portion 220 is formed to be curved so that the user's thumb can be in close contact while wrapping one side of the cleaning toothbrush 100 is formed with a recessed circular portion 221.

제3 파지부(230)는 사용자의 손바닥 부위가 밀착될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세정칫솔(100)의 일측에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Since the third gripping portion 230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on one side of the cleaning toothbrush 100 so that the palm portion of the user may be in close contact, the third gripping portion 230 may be stably gripped.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파지부(210), 제2 파지부(220) 및 제 3 파지부(230)는 세정 칫솔(100)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칫솔모의 방향을 변경하여 용이하게 동일한 방법으로 파지하여 세정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holding part 210, the second holding part 220 and the third holding part 23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leaning toothbrush 100, the user can easi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brush head. The cleaning can be performed by holding in the same manner.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측면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4의 A 부분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4의 B 부분의 부분 확대도가 각각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4 and 5 are side perspective views of the easy-to-grip cleaning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4, and FIG. 7 is shown in FIG. 4. Each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B portion of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이들 도면을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칫솔(100)은 손잡이부(200)에 대해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헤드부(300)가 대략 15도 정도 절곡(θ)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아동의 치아를 세정시켜 주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세정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ogether with FIGS. 1 to 3, the cleaning toothbrush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head portion 300 bent about 1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andle portion 200 on the imaginary horizontal line (θ). It is formed. Therefore, even when the user cleans the child's teeth, it can be easily cleaned.

여기서, 칫솔모(150)는 헤드부(3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치아의 형상 고려 및 사용자가 아동의 치아를 세정하는 과정에서 세정 칫솔(100)의 전진이 보다 용이하도록 사선으로 식모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칫솔(100)은 유아의 치아를 세정시켜주는 사용자의 용이성에 특징이 있다.Here, the bristle 150 is planted diagonally to facilitate the advancement of the cleaning toothbrush 100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tooth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portion 300 and the user to clean the teeth of the child. That is, the cleaning toothbrush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ease of use of the user to clean the teeth of the infa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칫솔모(150)는 코어 및 시스로 이루어진 필라멘트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칫솔모(15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주변의 칫솔모보다 내부의 칫솔모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시킨 함몰 구조이거나 길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일부 칫솔모의 형상을 대구치의 세정에 용이하도록 원형으로 형성시킬 수 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stle 150 is formed of a filament made of a core and a sheath, and the shape of the bristle 15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The bristle structure of the inner bristle is relatively shorter or longer than the bristle of the surroundings, and the shape of some bristles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o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molar tooth.

제1 파지부(210), 제2 파지부(220) 및 제 3 파지부(230)는 논슬립 패드로 형성되어 있고, 표면에는 다수의 요철(24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요철(240)이 제1 파지부(210), 제2 파지부(220) 및 제 3 파지부(230)에서 검지, 엄지 또는 손바닥의 일부가 접촉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파지부(210), 제2 파지부(220) 및 제 3 파지부(230) 전체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gripping portion 210, the second gripping portion 220, and the third gripping portion 230 are formed of non-slip pads, and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240 ar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Herein, in the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evenness 240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a part of the index finger, the thumb or the palm contacts the first grip part 210, the second grip part 220, and the third grip part 230. Although illustrated as being present, the first gripper 210, the second gripper 220, and the third gripper 230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따라서, 사용자가 세정 칫솔(100)을 파지하고 세정하는 세정하는 과정에서 미끄러지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slipping in the cleaning process of holding and cleaning the cleaning toothbrush 100.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턴 또는 홈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unevenness is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f course, may be formed in a pattern or groove shap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a cleaning toothbrush that is easy to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사용상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easy to clean cleaning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는 유아의 치아를 세정하기 위하여, 세정 칫솔(100)의 손잡이부(200)을 파지하되, 헤드부(300)의 칫솔모(150)가 손바닥면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시킨다.First, in order to clean the teeth of the infant, the user grips the handle part 200 of the cleaning toothbrush 100, and positions the bristle head 150 of the head part 300 to face outward with respect to the palm surface.

사용자는 엄지를 제 2 파지부(220)에 밀착시키고, 손잡이부(200)를 감싸 쥐는 형상을 파지한다. The user holds the thumb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gripper 220 and grips the grip 200.

이 경우, 사용자의 손바닥 부위는 자연스럽게 제 3 파지부(230)에 밀착되면서 검지는 제 1 파지부(210)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의 엄지면은 특히, 함몰부(221)에 밀착 고정되게 되어 세정 칫솔(100)을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lm of the user is natur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gripping portion 230 and the index finger is positioned in the first gripping portion 210. At this time, the thumb of the user is particularly tightly fixed to the depression 221 can be more easily grip the cleaning toothbrush 100.

여기서, 헤드부(300)는 손잡이부(200)에 대해 대략 15도로 절곡되어 있고 칫솔모(150)는 세정 칫솔(100)의 전진이 보다 용이하도록 헤드부(300)의 바닥면에 대해 사선으로 식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세정 칫솔(100)을 파지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세정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head portion 300 is bent about 1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andle portion 200 and the bristles 150 are plant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portion 300 to facilitate the advance of the cleaning toothbrush 100.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cleaning while holding the cleaning toothbrush 100.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칫솔모(150)를 상기 손바닥면에 대해 내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시켜서 파지 하더라도 세정 치솔(100)의 양면에 동일하게 제1 파지부(210), 제2 파지부(220) 및 제 3 파지부(2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불편함 없이 용이하게 파지하여 세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Similarly, if necessary, even if a user positions the bristle 150 to face inwardly with respect to the palm surface, the first gripp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gripping portion ( 220 and the third gripping portion 230 are form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lean the gripping without inconvenience.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사용상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9 to 10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easy to grip cleaning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엄지면이 세정 칫솔(100)의 손잡이부(200)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2 파지부(220)의 함몰부(230)에 밀착된 상태로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의 일부가 제1 파지부(210)의 일부를 감싸면서 세정 칫솔(100)의 반대면의 제2 파지부(220)의 함몰부(230)에 사용자의 검지면이 밀착되는 형상으로 파지되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user's index fing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epression 230 of the second gripping portion 22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andle portion 200 of the cleaning toothbrush 100. A portion of the first gripper 210 may be gripped in a shape in which the user's index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epression 230 of the second gripper 22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leaning toothbrush 100 while covering a part of the first gripper 210. Except for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의 측면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11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n easily gripped cleaning toothbru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 칫솔(500)은 손잡이부(510)의 두께(T)가 헤드부(520)의 두께(t)보다 대략 1.5배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세정 칫솔(100)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cleaning toothbrush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ickness T of the handle part 510 to be approximately 1.5 times thick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head part 520. Except for the fact that it is the same as the cleaning toothbrush 100 described above, overlapping description is omit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 칫솔(500)은 손잡이부(510)가 헤드부(520)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더욱 용이하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e cleaning toothbrush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andle part 510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thicker thickness than the head part 520, the user can grip and use it more easily.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칫솔은 미취학 아동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인에 의한 세정이 필요한 반려동물에도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cleaning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a preschooler and used,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a pet that needs to be cleaned by another person.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100, 500: 세정 칫솔 150: 칫솔모
200, 510: 손잡이부 210: 제 1 파지부
211: 만곡부 220: 제 2 파지부
221: 함몰부 230: 제 3 파지부
240: 요철 300, 520: 헤드부
100, 500: cleaning toothbrush 150: brush head
200, 510: handle portion 210: first gripping portion
211: curved portion 220: second gripping portion
221: depression 230: third gripping portion
240: unevenness 300, 520: head portion

Claims (9)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헤드부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사용자의 검지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도록 만곡지게 함몰된 제1 파지부;
상기 사용자의 엄지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도록 만곡지게 함몰된 제2 파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 부위가 밀착되는 제3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파지부는 세정칫솔(100)의 일측에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지부는, 사용자의 엄지의 마디 부위가 밀착되는 만곡부; 및
사용자의 엄지면이 밀착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두께는 상기 헤드부 두께에 대하여 1: 0.5 ~ 3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In the toothbrush comprising a head portion that is bristled with bristles and a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head portion,
The handl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grip portion recessed to be curv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index fing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andle portion;
A second gripping portion recessed to be curv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thumb is in close contact; And
And a third gripping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palm of the user.
The third gripping portion is formed in an oval shape on one side of the cleaning toothbrush 100,
The second gripping portion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in which a node of the thumb of the user is in close contact; And
Includes a recessed portion where the thumb of the user is in close contact,
The thickness of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in the range of 1: 0.5 to 3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Easy-to-grip cleaning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 제2 파지부 및 제3 파지부의 적어도 하나에는 밀림 방지를 위한 논 슬립 패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The method of claim 1,
A non-slip pad for preventing slipping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gripper, the second gripper, and the third gripp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에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a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easy cleaning gripping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고무, 우레탄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ad is easy to grip cleaning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ubber, urethane and silic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손잡이부를 중심으로 5 내지 30도 범위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 portion,
Easy to grip cleaning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bent in the range of 5 to 30 degrees around the handl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 제2 파지부 및 제3 파지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양면에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gripping portion, the second gripping portion and the third gripping portion are print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portion easy to clean, easy to grip toothbrus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식모된 칫솔모는 사선으로 식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The method of claim 1,
Easy-to-grip cleaning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bristles planted in the head portion is implanted in an oblique line.
KR1020170137189A 2017-10-23 2017-10-23 An tooth brush having tongue cleaning and method thereof KR1020320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189A KR102032027B1 (en) 2017-10-23 2017-10-23 An tooth brush having tongue cleaning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189A KR102032027B1 (en) 2017-10-23 2017-10-23 An tooth brush having tongue cleaning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811A KR20190044811A (en) 2019-05-02
KR102032027B1 true KR102032027B1 (en) 2019-10-14

Family

ID=6658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189A KR102032027B1 (en) 2017-10-23 2017-10-23 An tooth brush having tongue cleaning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02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383Y1 (en) * 2003-01-03 2003-04-21 곽대성 Grip easy toothbrush
KR200324769Y1 (en) * 2003-05-23 2003-08-27 박진묵 A Toothbrush With Inclination Arrangement Structure Of Toothbrush Hair
JP2009000514A (en) * 2007-05-18 2009-01-08 Junko Iwami Toothbrush
CN205612044U (en) * 2016-03-24 2016-10-05 镇江洁友刷业有限公司 Safe type taste child's toothbrush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614Y1 (en) 1985-12-18 1994-12-26 코로네트베르케 하인리히 슐러프 게엠베하 Toothbrush
KR200225382Y1 (en) 2000-11-10 2001-06-01 김리선 Tooth brush
KR20090106182A (en) * 2008-04-04 2009-10-08 장영근 Toothbrush
KR102424023B1 (en) * 2014-05-21 2022-07-22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Toothbrus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383Y1 (en) * 2003-01-03 2003-04-21 곽대성 Grip easy toothbrush
KR200324769Y1 (en) * 2003-05-23 2003-08-27 박진묵 A Toothbrush With Inclination Arrangement Structure Of Toothbrush Hair
JP2009000514A (en) * 2007-05-18 2009-01-08 Junko Iwami Toothbrush
CN205612044U (en) * 2016-03-24 2016-10-05 镇江洁友刷业有限公司 Safe type taste child's tooth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811A (en)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1273A (en) Variable engagement toothbrush
US6254390B1 (en) Oral burnisher
KR102569015B1 (en) Oral care toothbrush with multiple functions
CN105722428A (en) Oral care implement
US20130333134A1 (en) Toothbrush Head and Ergonomic Toothbrush Handle
US9532641B2 (en) L-shaped toothbrush
MXPA01009771A (en) Toothbrush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KR102032027B1 (en) An tooth brush having tongue cleaning and method thereof
JP3130665U (en) toothbrush
WO2014106287A1 (en) Teething device
US20160255948A1 (en) 3-sided fingerbrush for cleansing multiple teeth surfaces
JP2007021102A (en) Mouth cleaning tool and mouth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310383Y1 (en) Grip easy toothbrush
KR101007577B1 (en) A functional toothbrush
TW201515602A (en) Toothbrush bristles fast cleaner
TW202000150A (en) Three-in-one tooth cleaning stick structure having toothpick, interdental brush and floss pick for providing all functions of toothpick, interdental brush and floss pick
KR102616822B1 (en) Toothbrush of Pen grip type
AU2014100557A4 (en) Teething Device
CN218500208U (en) Finger-stall type oral cleaning brush
KR101202105B1 (en) Toothbrush
JP2000125937A (en) Tooth brush
JP3034580U (en) toothbrush
US20180352944A1 (en) Dental hygeine device utilizing axial forces and related methods
KR20140060408A (en) A functional toothbrush
KR101384044B1 (en) Both-sided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