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680B1 -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680B1
KR102031680B1 KR1020180034667A KR20180034667A KR102031680B1 KR 102031680 B1 KR102031680 B1 KR 102031680B1 KR 1020180034667 A KR1020180034667 A KR 1020180034667A KR 20180034667 A KR20180034667 A KR 20180034667A KR 102031680 B1 KR102031680 B1 KR 102031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t
water tank
hot water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2881A (ko
Inventor
조휴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로
Priority to KR1020180034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680B1/ko
Priority to CN201810908636.4A priority patent/CN110360645B/zh
Publication of KR20190112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가스가 채워진 가스통; 상기 가스통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스통에 채워진 가스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 상기 버너에서 발생되는 화염으로 물이 가열되며 그 가열된 물을 매트에 순환 유동시키는 지능형 온수공급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트 전체가 균일하게 따뜻하도록 열원을 공급하고, 매트에서 순환 유동하는 온수를 가열하면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켜 휴대용 전자기기 등을 충전할 수 있고 가스통에 채워진 가스로 매트에 열을 공급하는 시간을 극대화한다.

Description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HEAT IN HOT-WATER MAT}
본 발명은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판은 방바닥이나 침대 등에 펼쳐놓은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전기장판의 내부에 배열된 코일에서 발생되는 전기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전기장판을 따뜻하게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전기장판은 비교적 저렴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국부적인 영역을 신속히 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기장판은 그 코일에서 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기가 사용되므로, 그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의 감전사고 및 화재의 위험이 상존하며,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다량 방출하여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자파 차폐 기능의 전기장판 제품들이 제공되고 있지만, 유해 전자파의 차단에 한계가 있고 그 효과 역시 검증되지 않은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로, 유체를 가열시켜 매트를 따뜻하게 하는 온수매트가 제공되고 있으며, 온수매트는 매트 내부에 열선 대신 순환관을 삽입하고, 물을 가열하여 관 내부에 순환시키는 방식이다. 즉, 온수매트는 전기 발열선을 이용하는 형태가 아니므로, 그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의 감전사고 및 화재의 위험이 없고, 유해 전자파를 발생시키지 않아 인체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5069호(2016. 06. 30. 공고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복합매트의 내부에 온수유로가 구비되고 복합매트와 분리되게 보일러가 구비되고 그 보일러와 복합매트의 온수유로를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보일러에서 가열되는 온수가 연결관과 복합매트의 온수유로를 순환 유동하면서 복합매트를 따뜻하게 유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보일러에서 가열되는 온수의 대류에 의해 온수가 복합매트의 전체에 걸쳐 순환 유동하게 되므로 온수의 순환 유동 속도가 느려져 복합매트의 온수 유입부분과 온수 유출부분의 온도 차가 크게 되어 복합매트에 온도편차가 크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트 전체가 균일하게 따뜻하도록 열원을 공급하는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트에서 순환 유동하는 온수를 가열하면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켜 휴대용 전자기기 등을 충전할 수 있는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스통에 채워진 가스로 매트에 열을 공급하는 시간을 극대화하는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스가 채워진 가스통; 상기 가스통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스통에 채워진 가스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 상기 버너에서 발생되는 화염으로 물이 가열되며 그 가열된 물을 매트에 순환 유동시키는 지능형 온수공급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버너는 상기 가스통의 가스를 버너헤드에 정량으로 공급시키는 가스정량배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능형 온수공급유닛은 내부에 물이 채워지며 상기 버너의 화염이 전달되어 물이 가열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상단을 복개하는 뚜껑; 상기 물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버너의 화염으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 내부에 채워진 물을 펌핑하여 상기 매트 쪽으로 순환시키는 펌프; 상기 뚜껑에 결합되며, 외부에 전기출력단자가 구비된 모듈박스;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열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상기 펌프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출력단자에 공급하는 제어유닛; 상기 모듈박스에 구비되며, 상기 매트로 온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매트를 순환 유동한 온수가 유출되는 유출관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펌프에서 펌핑되는 온수가 상기 유입관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펌프의 토출측과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토출연결관; 상기 물탱크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유출관으로 유출되는 온수를 상기 물탱크 내부로 순환 유입시키는 출수관; 상기 제어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 상기 제어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수위감지센서와 온도감지센서에서 각각 감지되는 수위값과 온도값이 설정된 설정값 이상이 되면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신호를 전송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박스는 상기 뚜껑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소자는 물탱크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열전소자는 복수 개가 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와 뚜껑에는 각각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물탱크에 채워진 물을 버너로 지속적으로 가열하고 그 가열된 온수를 물탱크의 온수 속에 위치한 펌프가 펌핑하여 매트 내부의 순환관을 통해 순환 유동시키게 되므로 물탱크에서 가열된 온수가 매트 내부의 순환관으로 빠르게 순환 유동하면서 매트에 열을 전달하게 되어 매트 전체가 균일하게 따뜻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버너의 화염이 물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하면서 동시에 물탱크에 구비된 열전소자를 가열하여 열전소자에서 전기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열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전기로 펌프를 구동하게 되고 아울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등을 충전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의 내부에 구비된 온도감지센서와 수위감지센서가 물탱크 내부의 물 온도와 수위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설정값 이상이 되면 사용자에게 알람을 주게 되므로 물탱크 내부의 물이 과열되거나 물이 없어서 발생될 수 있는 부품의 파손이나 안전 사고를 방지하고 또한 사용의 편리성을 높여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를 복개하는 뚜껑에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그 연결부재의 일측에 토출연결관과 출수관이 각각 연결되어 물탱크 내부에 위치하고 연결부재의 타측에 매트의 순환관과 연결되는 유입관과 유출관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물탱크 내부에 펌프가 위치하여 토출연결관에 연결되므로 배관 구조가 간단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품이 컴팩트하게 되어 휴대가 간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버너에 가스정량배출유닛이 구비되어 가스통에서 배출되는 연료가스가 설정된 균일한 압력으로 분사되면서 화염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가스통에 채워진 가스로 매트에 열을 공급하는 시간을 극대화하여 매트를 따뜻하게 유지하는 시간을 증대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열공급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온수매트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지능형 온수공급유닛과 버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연결부재 및 그 연결부품들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연결부재 및 그 연결부품들을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열공급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온수매트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효율 열공급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온수매트는, 내부에 온수가 순환하는 순환관(T)이 내장된 매트(100)와, 그 매트(100)의 관으로 온수를 순환 유동시키는 고효율 열공급장치(200)와, 그 고효율 열공급장치(200)를 지지하는 지지대(300)를 포함한다. 순환관(T)은 매트 전체에 걸쳐 온수의 열이 전달되도록 매트 전체에 걸쳐 놓여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열공급장치의 일실시예는 가스통(210)과, 그 가스통(21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가스통(210)에서 공급되는 가스연료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220)와, 그 버너(220)에서 발생되는 화염으로 물이 가열되며 그 가열된 물을 매트(100)에 순환 유동시키는 지능형 온수공급유닛(230)을 포함한다.
버너(220)의 일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너(220)는 하부케이스(221)와, 그 하부케이스(221)의 내부에 구비되어 가스통(210)에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헤드(222)와, 그 버너헤드(222)에 불꽃을 점화시키는 점화유닛(223)과, 가스통(210)의 가스를 버너헤드(222)에 정량으로 공급시키는 가스정량배출유닛(224)과, 상단에 요철홈들이 구비되며 하부케이스(22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중간케이스(225)를 포함한다. 가스정량배출유닛(224)은 버너헤드(222)에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레귤레이터 방식이다. 이와 같은 버너(220)는, 가스통(210)이 버너(220)의 하부케이스(221)에 장착되고 가스정량배출유닛(224)을 온(on)시킨 상태에서 점화유닛(223)이 버너헤드(222)에 불꽃을 발생시키면 버너헤드(222)로 분사되는 가스에 점화된다.
지능형 온수공급유닛(230)의 일예로, 지능형 온수공급유닛(230)은, 물탱크(231), 뚜껑(232), 열전소자(233), 펌프(234), 모듈박스(235), 제어유닛(236), 연결부재(237), 토출연결관(238), 출수관(239), 수위감지센서(S1), 온도감지센서(S2)를 포함한다.
물탱크(231)는 내부에 물이 채워지며 버너(220)의 화염이 전달되어 물이 가열된다. 물탱크(231)는 하단이 막히고 상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물탱크(231)는 원통체와, 그 원통체의 하단을 막는 하면판을 포함한다.
뚜껑(232)은 물탱크(231)의 상단을 복개한다.
열전소자(233)는 물탱크(231)에 구비되어 버너(220)의 화염으로 전기를 발생시킨다. 열전소자(233)는 열이 가해지면 자유전자가 에너지를 얻게 되고 그 에너지로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열전소자의 일예로, 열전소자는 TEG(Thermoelectric Generator)모듈을 포함한다. 이는 공지된 기술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열전소자(233)는 물탱크(231)의 하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소자(233)는 복수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234)는 물탱크(231)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탱크(231) 내부에 채워진 물을 펌핑하여 매트(100) 쪽으로 순환시킨다.
모듈박스(235)는 뚜껑(232)에 결합되며, 외부에 전기출력단자(10)가 구비된다. 모듈박스(235)는 뚜껑(232)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유닛(236)은 모듈박스(235)의 내부에 구비되며, 열전소자(233)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펌프(234)에 공급함과 아울러 전기출력단자(10)에 공급한다. 모듈박스(235)의 내부에 열전소자(233)에서 생산하는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전기출력단자(10)에 휴대용 전자기기 등을 연결하여 열전소자(233)에서 생산하는 전기로 충전할 수 있다.
연결부재(237)는 모듈박스(235)에 구비되며, 매트(100)로 온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0)과 매트(100)를 순환 유동한 온수가 유출되는 유출관(120)이 연결된다. 연결부재(237)은, 도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237)는 내부에 절곡 형성된 두 개의 내부유로(20)들이 구비되며, 그 두 개의 내부유로(20)들은 각각 절곡 형성된다. 두 개의 내부유로(20)들의 각 한쪽 끝은 연결부재(237)의 하면에 위치하고 다른 한쪽 끝은 연결부재(237)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두 개의 내부유로(20)들의 각 절곡 각도는 9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237)의 그 두 개의 내부유로(20)들 중 한 개의 내부유로(20)의 한쪽에 토출연결관(238)이 연결되고 다른 한쪽에 유입관(110)이 연결되고, 다른 내부유로(20)의 한쪽에 출수관(239)이 연결되고 다른 한쪽에 유출관(120)이 연결된다. 연결부재(237)의 하면에 위치한 두 개의 내부유로(20)들의 각 끝에 제1,2 연결부(31)(32)가 구비되고 그 제1,2 연결부(31)(32)에 의해 토출연결관(238)과 출수관(239)이 각각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237)와 유입관(110) 및 유출관(120)은 연결유닛에 의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연결유닛(D)은 연결부재(237)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연결부재(237)의 내부유로(20)들과 연통되는 유로들이 구비된 제1 커플러(40)와, 유입관(110)과 유출관(120)이 연결되며 제1 커플러(4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입관(110)과 유출관(120)을 내부유로(20)들에 각각 연통시키는 제2 커플러(50)를 포함한다. 연결유닛(D)이 구비된 경우 유입관(110)과 유출관(120)을 연결부재(237)에 연결하고 분리하는 것이 수월하게 된다.
토출연결관(238)은 물탱크(231)의 내부에 위치하여 펌프(234)에서 펌핑되는 온수가 매트(100)의 유입관(110)으로 공급되도록 펌프(234)의 토출측과 연결부재(237)를 연결한다. 즉, 토출연결관(233)의 한쪽 단부는 연결부재(237)의 제1 연결부(31)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펌프(234)의 토출측에 연결된다.
출수관(239)은 물탱크(231) 내부에 위치하도록 연결부재(237)에 연결되어 유출관(120)으로 유출되는 온수를 물탱크(231) 내부로 순환 유입시킨다. 즉, 출수관(239)의 한쪽 단부는 연결부재(237)의 제2 연결부(32)에 연결된다.
수위감지센서(S1)는 제어유닛(236)과 연결되어 물탱크(231)의 수위를 감지한다. 즉, 수위감지센서(S1)의 하부는 물탱크(231)에 채워진 물에 잠겨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제어유닛(236)으로 전송한다.
온도감지센서(S2)는 제어유닛(236)과 연결되어 물탱크(231)의 물의 온도를 감지한다. 즉, 온도감지센서(S2)는 물탱크(231)에 채워진 물에 잠겨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유닛(236)으로 전송한다.
제어유닛(236)은 수위감지센서(S1)에서 감지되는 수위값과, 온도감지센서(S2)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이 각각 설정된 값 이상이 되면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신호를 전송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수위감지센서(S1)에서 감지되는 수위값과, 온도감지센서(S2)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을 각각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전송하여 휴대단말기에 표시하고 그 감지되는 온도값과 수위값이 각각 설정된 값 이상이 되면 제어유닛에 설치된 부저가 울리고 아울러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알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제어유닛(236)에서 사용자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에 의해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탱크(231)와 뚜껑(232)에는 각각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물탱크(231)에 물을 적당량 채우고 뚜껑으로 물탱크(231)를 덮은 상태에서 버너(220)의 가스정량배출유닛(224)으로 버너헤드(222)에 가스통(210)의 연료가스를 분사시키면서 점화유닛(223)으로 버너헤드(222)를 통해 분사되는 연료가스에 불꽃을 점화시켜 버너헤드(222)에 화염을 발생시킨다. 버너(220)의 버너헤드(222)에서 발생되는 화염에 의해 물탱크(231)에 채워진 물이 가열되고 이와 함께 버너헤드(222)의 화염에 의한 열에너지에 의해 열전소자(233)에서 전기를 발생시킨다. 열전소자(233)에서 발생되는 전기가 물탱크(231) 내부의 물속에 위치한 펌프(234)를 구동시켜 펌프(234)가 물탱크(231) 내부에서 가열되는 물, 즉 온수를 펌핑하게 된다. 펌프(234)에 의해 펌핑된 온수는 토출연결관(238)과 연결부재(237)의 내부유로(20)와 매트(100)에 연결된 유입관(110)을 통해 매트(100)의 전체에 걸쳐 매트(100) 내부에 놓여진 순환관(T)으로 순환하면서 매트(100)에 열을 전달한다. 순환관(T)을 순환한 온수는 유출관(120)과 연결부재(237)의 내부유로(20)와 출수관(239)을 통해 물탱크(231) 내부로 순환 유입된다. 매트(100)의 순환관(T)을 거쳐 물탱크(231) 내부로 유입된 물은 버너헤드(222)의 화염에 의해 가열되고 그 가열된 온수는 펌프(234)에 의해 펌핑되어 매트(100)의 순환관(T)으로 순환 유동하면서 매트(100)에 열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매트(100)를 따뜻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모듈박스(235)에 구비된 전기출력단자(10)에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하게 되면 열전소자(233)에서 발생되는 전기가 펌프(234)로 공급되어 펌프(234)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전기출력단자(10)에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시키게 된다. 물탱크(231) 내부의 물 온도를 온도감지센서(S2)가 감지하게 되고 또한 물탱크(231) 내부의 물의 수위를 수위감지센서(S1)가 감지하게 된다. 물탱크(231) 내부의 물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거나 물탱크(231) 내부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하가 되면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를 보내어 알려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물탱크(231)에 채워진 물을 버너(220)로 지속적으로 가열하고 그 가열된 온수를 물탱크(231)의 온수 속에 위치한 펌프(234)가 펌핑하여 매트(100) 내부의 순환관(T)을 통해 순환 유동시키게 되므로 물탱크(231)에서 가열된 온수가 매트(100) 내부의 순환관(T)으로 빠르게 순환 유동하면서 매트(100)에 열을 전달하게 되어 매트(100) 전체가 균일하게 따뜻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버너(220)의 화염이 물탱크(231) 내부의 물을 가열하면서 동시에 물탱크(231)에 구비된 열전소자(233)를 가열하여 열전소자(233)에서 전기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열전소자(233)에서 발생되는 전기로 펌프(234)를 구동하게 되고 아울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등을 충전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231)의 내부에 구비된 온도감지센서(S2)와 수위감지센서(S1)가 물탱크(231) 내부의 물 온도와 수위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설정값 이상이 되면 사용자에게 알람을 주게 되므로 물탱크(231) 내부의 물이 과열되거나 물이 없어서 발생될 수 있는 부품의 파손이나 안전 사고를 방지하게 되고 또한 사용의 편리성을 높여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231)를 복개하는 뚜껑(232)에 연결부재(237)가 구비되고 그 연결부재(237)의 일측에 토출연결관(238)과 출수관(239)이 각각 연결되어 물탱크(231) 내부에 위치하고 연결부재(237)의 타측에 매트(100)의 순환관(T)과 연결되는 유입관(110)과 유출관(120)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물탱크(231) 내부에 펌프(234)가 위치하여 토출연결관(238)에 연결되므로 배관 구조가 간단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품이 컴팩트하게 되어 휴대가 간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버너(220)에 가스정량배출유닛(224)이 구비되어 가스통(210)에서 배출되는 연료가스가 설정된 균일한 압력으로 분사되면서 화염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가스통(210)에 채워진 가스로 매트(100)에 열을 공급하는 시간을 극대화하여 매트(100)를 따뜻하게 유지하는 시간을 증가시키게 된다.
210; 가스통 220; 버너
230; 지능형 온수공급유닛 231; 물탱크
232; 뚜껑 233; 열전소자
234; 펌프 235; 모듈박스
236; 제어유닛 237; 연결부재
238; 토출연결관 239; 출수관
S1; 수위감지센서 S2; 온도감지센서

Claims (4)

  1. 가스가 채워진 가스통;
    상기 가스통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스통에 채워진 가스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
    상기 버너에서 발생되는 화염으로 물이 가열되며 그 가열된 물을 매트에 순환 유동시키는 지능형 온수공급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버너는 상기 가스통의 가스를 버너헤드에 정량으로 공급시키는 가스정량배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능형 온수공급유닛은 내부에 물이 채워지며 상기 버너의 화염이 전달되어 물이 가열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상단을 복개하는 뚜껑;
    상기 물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버너의 화염으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 내부에 채워진 물을 펌핑하여 상기 매트 쪽으로 순환시키는 펌프;
    상기 뚜껑에 결합되며, 외부에 전기출력단자가 구비된 모듈박스;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열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상기 펌프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출력단자에 공급하는 제어유닛;
    상기 모듈박스에 구비되며, 상기 매트로 온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매트를 순환 유동한 온수가 유출되는 유출관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펌프에서 펌핑되는 온수가 상기 유입관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펌프의 토출측과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토출연결관;
    상기 물탱크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유출관으로 유출되는 온수를 상기 물탱크 내부로 순환 유입시키는 출수관;
    상기 제어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
    상기 제어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수위감지센서와 온도감지센서에서 각각 감지되는 수위값과 온도값이 설정된 설정값 이상이 되면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신호를 전송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박스는 상기 뚜껑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와 뚜껑에는 각각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
KR1020180034667A 2018-03-26 2018-03-26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 KR102031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667A KR102031680B1 (ko) 2018-03-26 2018-03-26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
CN201810908636.4A CN110360645B (zh) 2018-03-26 2018-08-10 热水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667A KR102031680B1 (ko) 2018-03-26 2018-03-26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881A KR20190112881A (ko) 2019-10-08
KR102031680B1 true KR102031680B1 (ko) 2019-10-15

Family

ID=68208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667A KR102031680B1 (ko) 2018-03-26 2018-03-26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68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292B1 (ko) * 2013-03-27 2014-11-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일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881A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5747C2 (ru) Накопительный котел
EP3094773B1 (en) Portable garment steamer
KR102137154B1 (ko) 온수 매트리스
WO2009014386A2 (en) Heating apparatus using hot water and steam
US20110315252A1 (en) Powerless hot water pumping apparatus
KR102031680B1 (ko) 온수매트의 고효율 열공급장치
KR20120057007A (ko) 소형 온수보일러의 온수 가열장치
KR100725250B1 (ko)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CN110360645B (zh) 热水垫
KR101354786B1 (ko) 음식조리용 찜기
KR100838814B1 (ko) 온수보료 및 이를 이용한 침대
KR101552345B1 (ko) 발열체를 이용한 축열식 무동력 유체순환장치
KR100700313B1 (ko) 휴대용스팀난방장치
KR101432196B1 (ko) 소음 감소 수단을 구비한 온수 매트용 온수 가열 장치
KR200294627Y1 (ko) 열에너지를 이용한 무동력 강제순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온수매트
KR200467215Y1 (ko) 온수 보일러용 물통
KR101981070B1 (ko) 직수형 온수공급장치
KR102141530B1 (ko) 강제순환 방식의 휴대형 온수매트 어셈블리
KR101432195B1 (ko) 온수 보일러를 이용한 온열 매트
CN213514399U (zh) 一种自循环的半导体电加热器
CN210154074U (zh) 一种快速热水器
KR101991373B1 (ko) 전기 스팀 보일러
KR200480396Y1 (ko) 휴대용 온수보일러
KR100505458B1 (ko) 열에너지를 이용한 무동력 강제순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온수매트
EP3880040B1 (en) A two-stage water boiler for a hot beverage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