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614B1 - 산성배수 발생 개연성이 있는 현장 굴착토 가적치 처리를 통한 재이용방법 - Google Patents

산성배수 발생 개연성이 있는 현장 굴착토 가적치 처리를 통한 재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614B1
KR102030614B1 KR1020190005898A KR20190005898A KR102030614B1 KR 102030614 B1 KR102030614 B1 KR 102030614B1 KR 1020190005898 A KR1020190005898 A KR 1020190005898A KR 20190005898 A KR20190005898 A KR 20190005898A KR 102030614 B1 KR102030614 B1 KR 102030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excavated soil
drainage
excavated
fil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곤
권석현
남인현
류정호
송영석
이정화
전철민
조용찬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주)디엠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주)디엠씨엠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05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2101/00In situ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굴착토가 산성 배수 발생 개연성이 있는 경우, 굴착토를 현장의 일측에 가적치한 후 원위치에서 정화처리를 수행한 후, 그 자리에서 직접 굴착토를 재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건설 공사 현장에서 굴착된 토사의 산성 배수 발생 여부를 평가하여 위험성이 있는 경우 굴착토를 건설 공사 현장 부지의 일측에 가적치하여 성토체를 만든다. 그리고 성토체에 토양복원 처리시설을 설치하여 굴착토를 중화처리한 후, 토양복원 처리시설을 해체하고 복원완료된 굴착토를 재이용한다.

Description

산성배수 발생 개연성이 있는 현장 굴착토 가적치 처리를 통한 재이용방법{ACID DRAINAGE PRODUCIBLE SOIL REUSING METHOD AFTER TEMPORARY PILING UP AND TREATING THE SOIL}
본 발명은 토목 및 환경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장에서 굴착된 산성 배수 발생 토양을 환경적으로 무해하게 처리한 후 다시 재이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건설 현장에서 산성 배수가 문제되고 있다. 예컨대, 도로 건설을 위해서는 구간별로 산을 절개하거나 터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토사 및 암반을 굴착하게 된다. 이렇게 굴착된 토사 및 암버럭(이하 '굴착토'라 함)는 도로의 성토부 등에 재활용되는 것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다.
굴착토를 재이용하는데 문제가 되는 것은 굴착토가 환경적으로 위해한 경우인데, 다양한 오염 형태가 있지만 굴착토로부터 산성 배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산성 배수는 황화광물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화광물은 암석과 퇴적물에서 흔히 산출되는 광물로서 퇴적물의 속성작용, 열수로부터의 침전, 열수와 암석의 반응 등 다양한 지질작용에 의하여 생성된다. 생성조건에 따라 argentite(Ag2S), chalcocite(CuS), galena(PbS), sphalerite[(Zn,Fe)S], chalcopyrite(CuFeS2), covellite(CuS), cinnabar(HgS), pyrite(FeS2), arsenopyrite(FeAsS) 등 다양한 광물로 존재하며, 특히 황철석(pyrite)이 대표적인 광물로 알려져 있다.
황화광물은 지하에서 대기와 차단된 상태로 존재하면 안정하지만, 지반굴착, 배수, 지하수 수위 변동, 준설 등에 의하여 지표환경에 노출되면 (용존)산소와 반응하여 황산을 생성하고 산성배수를 발생시킨다.
산성배수는 황화광물로부터 용출된 철, 알루미늄, 망간 등의 중금속 이온, 황산 이온은 물론, 조암광물의 용해과정에서 용출된 다양한 종류의 이온이 높은 농도로 포함되어 있다. 이에 산성배수는 주변지역의 환경오염원으로 작용하여, 구조물 부식, 식생 고사, 경관 훼손, 암석풍화촉진, 사면안정성 저해, 생태계 교란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이렇게 산성 배수가 발생할 개연성이 있는 굴착토를 재이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처리가 필요하다. 기존에는 산성 배수 발생 굴착토에 대해서 아무런 제한없이 사용하다가 문제가 발생될 때 후처리를 수행하여 문제가 되었다. 미리 산성 배수 발생 개연성을 인지하고 있는 경우라고 해도, 굴착토를 환경처리플랜트까지 이송하여 처리 후 다시 현장으로 반입하여 이용하는 것은 물류비용 및 처리비용을 고려할 때 경제적이지 않기 때문에 재이용을 포기하고 폐기물로 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설 공사 현장에 산성배수 발생 개연성이 있는 굴착토를 가적치한 후, 현장 적용성이 높은 처리시설을 통해 굴착토사를 환경적으로 복원한 후 재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장 굴착토 가적치 처리방법은, (a)건설 공사 현장에서 굴착된 토사의 산성 배수 발생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 (b)굴착토가 산성 배수를 발생시킬 개연성이 있는 경우 상기 굴착토를 건설 공사 현장 부지에 가적치하여 성토체를 만드는 단계; (c)상기 성토체에 토양복원 처리시설을 설치하여 상기 굴착토를 중화처리하는 단계; 및 (d)상기 토양복원 처리시설을 해체하고 복원완료된 상기 굴착토를 재이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굴착토가 적치될 영역에 복수의 pH 센서를 설치한 후, 상기 pH 센서가 상기 성토체에 매설되도록 상기 굴착토를 적치한다. 또는 성토체를 만든 후 상기 pH 센서를 성토체 내에 별도로 매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토양복원 처리시설의 설치단계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성토체를 하방으로 천공하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주입관을 삽입설치하는 단계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주입관을 상기 성토체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평하게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수직주입관 및 수평주입관에 중화제 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중화제 탱크로부터 중화제를 상기 수직주입관 및 수평주입관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수평주입관은 수평방향을 따라 가로, 세로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굴착토가 적치될 영역에 석회석 자갈층을 포설한 후, 상기 자갈층 상부에 상기 굴착토를 적치하여, 상기 굴착토로부터 발생되는 배수를 1차 중화처리한다. 더 나아가, 상기 성토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배수 트렌치를 형성한 후 석회석을 충진하여 상기 굴착토로부터 발생되는 배수를 2차 중화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배수 트렌치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성토체 일측에 마련된 집수정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수 트렌치로 유입된 물은 상기 집수정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굴착토의 NAG pH(Net Acid Generation pH)가 3.5 이하인 경우, 상기 성토체를 형성하는 중에 일정 두께로 상기 굴착토를 쌓아 올릴때마다 중화제를 살포하면서 성토체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토양복원 처리시설은 토양 코팅제 탱크를 더 구비하여, 토양 코팅제를 상기 성토체에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토양 코팅제는 액상의 K2HPO4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성 배수 발생 개연성이있는 굴착토를 건설 현장의 일측에 가적치하여 윈위치에서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정화처리하고, 그 현장에서 굴착토를 바로 재이용한다.
기존에 굴착토를 정화처리시설까지 이송한 후 복원처리를 수행하고 다시 원위치로 되돌려야 하는 과정의 번거로움과 경제적 불이익이 모두 제거된다. 기존에는 산성배수 발생 개연성이 있는 토양은 복원처리의 비경제성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굴착토를 재이용하지 하지 못하고 모두 사토처리 하였던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토사를 재이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경제성이 획기적으로 증가한다.
본 발명에서는 산성배수 발생 개연성이 있는 굴착토에 대하여 중화제로 중화처리하며, 코팅제를 황화광물에 코팅함으로써 산성배수 발생 자체를 억제하는 바 굴착토의 재이용시 산성배수 발생 위험이 획기적으로 감소한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대한민국의 지질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산성배수에 대한 피해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현장 굴착토 가적치 처리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굴착토를 가적치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는 성토체 적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6은 수직주입관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7은 수직주입관과 수평주입관의 배치 상황을 설명하기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가적치 성토체의 실제 사진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굴착된 토사가 산성 배수 발생 개연성이 있는 경우 이를 현장부지 내에 가적치하고, 적치 성토체에 토양복원 처리시설을 임시적으로 설치하여 토양복원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현장 굴착토를 다시 재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앞에서도 설명하였지만,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굴착토는 사토나 객토로 처리하지 않고 건설 현장에서 재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토사를 재이용하는 것을 토량배분계획이라 한다. 합리적인 토량배분계획은 건설 공사의 경제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1은 대한민국의 지질도로서, 도면에 컬러로 표시된 평안층군, 중생대 백악기 화산암류, 옥천층군 및 제3기 화산암 및 퇴적암으로 형성된 지층은 모두 황화광물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이 지중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기 및 우수와의 접촉이 차단되므로 산성배수의 문제가 크지 않지만, 건설 공사에서 절취, 굴착 등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면 산성 배수를 발생시킨다. 대표적 황화광물인 황철석(FeS2)의 산성 배수 발생 반응은 아래와 같다.
FeS2 + 3.5O2 + H2O ---> Fe2+ + 2SO4 2- + 2H+ ... (1)
Fe2+ + 0.25O2 + H+ ---> Fe3+ + 0.5H2O ... (2)
Fe3+ + 3H2O ---> Fe(OH)3 + 3H+ ... (3)
FeS2 + 14Fe3+ + 8H2O ---> 15Fe2+ + 2SO4 2- + 16H+ ... (4)
위의 (1)~(4)와 같은 반응을 거쳐 황철석으로부터 철과 황산염 이온이 용출되며 수소 이온이 발생함으로써 배수는 산성을 띠며 금속 이온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산성 배수는 주변의 지반으로부터 중금속을 용출시킬 수 있어 초기 생성시보다 더 높은 중금속 농도를 보인다. 도 2 및 도 3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성 배수가 발생하면 주변 생태계에 안좋은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더욱이 산성배수가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고 해도 주변의 민원으로 인하여 건설 공사가 중단되는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굴착토를 재이용하기에 앞서 완벽하게 중화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산성 배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매우 경제적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현장 굴착토 가적치 처리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현장 굴착토 가적치 처리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는 건설 현장에서 굴착된 토사(이하 '굴착토'라 함)를 수집한 후 산성배수 발생 개연성에 대하여 평가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산성 배수 발생 개연성에 대한 평가는 순산발생가능성에 대한 NAG pH 평가방법을 사용하지만, NAG pH - NAPP 4분면 평가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굴착토의 NAG pH에 대한 기준은 3.5 이하, 3.5~4.5, 4.5 초과의 3개로 나뉜다. 3.5 이하인 경우 산발생 개연성이 매우 높으므로 가장 높은 수준의 중화처리가 수행되어야 하며, 3.5~4.5 범위라면 보통 수준의 중화처리, 4.5 를 초과한다면 별도의 중화처리가 필요하지 않다. 본 예에서는 4.5 이하인 2가지 경우, 특히 3.5 이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중화처리가 필요한 굴착토는 외부로 반출하는 것이 아니라 건설 현장 부지의 일측에 마련된 가적치장에 적치하고, 적치 더미에 토양복원 처리시설을 설치하여 중화처리를 수행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먼저 굴착토가 적치될 영역의 바닥에 소정 두께로 석회석 자갈층(10)을 포설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석회석 자갈층(10)은 적치 영역을 대략 0.2~0.5m, 본 실시예에서는 0.3m 두께로 파낸 후에 석회석 자갈을 포설하여 형성한다.
석회석 자갈층(10)을 포설한 후에는 굴착토를 자갈층(10) 위에 적층하여 성토체(20)를 만든다. 본 실시예에서 성토체는 가로와 세로가 각각 수십 m 정도이며, 높이도 대략 수 m 정도이다. 굴착토를 쌓는 중간에 복수의 pH 센서(s)가 성토체(20)의 하부에 매설되도록 한다. pH 센서(s)를 연결한 전선(c)은 성토체(20) 외부로 연장, 인출시킨다.
굴착토의 산성배수 발생 개연성 등급에 따라 성토체(20)를 쌓을 때 2가지 사항이 고려된다. 즉 굴착토의 NAG pH가 3.5 이하인 경우, 일정 두께로 굴착토를 쌓은 후 중화제를 살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중화제는 액상으로 NaOH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산성배수 발생 개연성이 높은 굴착토는 슬래그와 혼합하여 중화처리를 강화할 수 있다. 굴착토와 슬래그를 혼합한 전체 중에서 슬래그의 비율은 대략 5~15%(중량비) 정도가 적정하다. 슬래그는 염기성을 띠므로 굴착토를 중화시킬 수 있으므로, 굴착토와 혼합처리하면 산성배수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다.
성토가 완료되면, 성토체(20)의 둘레를 따라 배수 트렌치(30)를 형성하고, 트렌치(30) 내에 석회암 자갈(35)을 충진한다. 배수 트렌치(30)는 대략 0.5~1m 깊이로 설치하는데, 그 상면이 석회석 자갈층(10)의 상면과 대략 일치시킨다. 배수 트렌치(30)는 일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성토체(20)로부터 유출된 배수가 석회석 자갈층(10)을 통해 배수 트렌치(30)로 유입되도록 한다. 배수 트렌치(30)의 일측에는 집수정(40)을 만들고, 배수 트렌치(30)와 배관(45)을 통해 연결한다.
성토 및 배수시설이 완비되면, 이제 토양복원 처리시설(90)을 설치한다. 토양복원 처리시설(90)은 수직주입관(50)과 수평주입관(60)을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기(b)를 이용하여 일정 간격으로 성토체(20)를 하방으로 천공하며, 성토체의 붕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싱(미도시)을 설치할 수 있다. 천공된 수직공에는 수직주입관(50)을 삽입설치한 후, 케이싱은 인발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주입관(60)을 설치한다. 수평주입관(60)은 성토체(20)의 상면에 가로 및 세로방향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정착시킨다. 수집주입관(50)과 수평주입관(60)은 모두 관통공(h)이 형성되어 있는 유공관으로서 중화제가 주입관(50,60)을 통해 성토체(20)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공관은 PVC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수직주입관(60)은 성토체(20)의 깊이방향을 따라 중화제를 주입하며, 수평주입관(60)은 평면방향에서 성토체의 전체 면적에 걸쳐 중화제를 공급한다. 수평주입관을 통해 공급된 중화제는 성토체(2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침투된다.
수직주입관(50)과 수평주입관(60)은 모두 중화제 탱크(70)와 배관(75)을 통해 연결되며, 배관(75)에는 중화제를 이송하기 위한 펌프(80)가 설치된다. 도 7은 성토체(20)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인데, 일측과 타측에 중화제 탱크(70)가 각각 설치되고, 중화제 탱크(70)와 연결된 배관(75)에는 펌프(80)가 설치된다. 배관(75)은 성토체(20) 상부까지 이어지며, 배관(75)으로부터 일정 간격마다 가로방향 수평주입관(60)이 분기되어 나간다. 가로방향 수평주입관(60)으로부터 다시 세로방향 수평주입관(70)이 양갈래로 분기되어 수평주입관은 전체적으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세로방향 주평주입관(70)이 분기되는 지점에서는 하방으로 수직주입관(50)이 분기된다. 이에 따라 양측의 중화제 탱크로부터 공급된 중화제는 성토체(20) 전체 영역에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코팅제 탱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황화광물을 포함하는 굴착토에 대하여 중화제를 이용하여 중화처리함과 동시에, 코팅제로 황화광물을 코팅하여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산성배수의 발생을 억제한다. 코팅제 탱크로부터 공급된 코팅제는 수직주입관(50) 및 수평주입관(60)을 통해 성토체(20) 전체 영역으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코팅제는 인산염 용액, 예컨대 K2HPO4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인산염 용액 내 인산은 황화광물(황철석 등)에 결합함으로써 산성배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중화제는 이미 발생한 산성배수를 중화시키는 반면 코팅제는 산성배수의 발생 자체를 억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자갈층(10) 위에 굴착토를 쌓아 성토체(20)를 구축하고, 성토체(20)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을 따라 중화제와 코팅제를 주입하여 굴착토로부터 산성배수의 발생을 억제하고, 산성배수를 중화시킨다. 성토체 내에서 발생된 산성배수는 성토체(20) 하부의 석회석 자갈층(10)에서 1차적으로 중화되고, 트렌치(30)로 유입된 후 석회석(35)에 의하여 2차적으로 중화된 후, 집수정(40)에 모여서 배출되므로, 굴착토를 정화하는 과정에서도 산성배수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성토체(20) 내에 매설된 복수의 pH센서(s)가 굴착토의 pH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목표 pH에 다다르면 굴착토에 대한 정화처리를 완료하게 된다. 집수정(40)에도 pH센서가 마련되어 굴착토 정화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수의 pH를 조절하여 방류함으로써 산성배수에 따른 피해를 방지한다.
굴착토에 대한 중화처리가 완료되면, 토양복원 처리시설을 해체하고, 가적치한 굴착토를 현장에서 다시 재이용할 수 있다. 기존에 굴착토를 정화처리시설까지 이송한 후 복원처리를 수행하고 다시 원위치로 되돌려야 하는 과정의 번거로움과 경제적 불이익이 모두 제거되고, 굴착토를 현장에서 직접 복원하여 그 자리에서 바로 재이용하므로 정화처리에 들어가는 시간, 비용이 모두 절감되고, 효과적으로 굴착토를 재이용할 수 있다. 보다 실질적인 의미로 보면, 기존에는 산성배수 발생 개연성이 있는 토양을 상기한 문제로 인해 재이용하지 못하고 모두 사토처리 하였던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굴착토를 재이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경제성이 획기적으로 증가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 ... 자갈층 20 ... 성토체
30 ... 트렌치 35 ... 석회암자갈
40 ... 집수정 50 ... 수직주입관
60 ... 수평주입관 70 ... 중화제 탱크
75 ... 배관 80 ... 펌프
90 ... 토양복원 처리시설 s ... pH 센서
b ... 천공기 c ... 전선

Claims (11)

  1. (a)건설 공사 현장에서 굴착된 토사의 산성 배수 발생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
    (b)굴착토가 산성 배수를 발생시킬 개연성이 있는 경우 상기 굴착토를 건설 공사 현장 부지에 가적치하여 성토체를 만드는 단계;
    (c)상기 성토체에 토양복원 처리시설을 설치하여 상기 굴착토를 중화처리하는 단계; 및
    (d)상기 토양복원 처리시설을 해체하고 복원완료된 상기 굴착토를 재이용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굴착토가 적치될 영역에 복수의 pH 센서를 설치한 후, 상기 pH 센서가 상기 성토체에 매설되도록 상기 굴착토를 적치하고,
    상기 토양복원 처리시설의 설치단계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성토체를 하방으로 천공하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주입관을 삽입설치하는 단계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주입관을 상기 성토체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평하게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수직주입관 및 수평주입관에 중화제 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중화제 탱크로부터 중화제를 상기 수직주입관 및 수평주입관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토양복원 처리시설은 토양 코팅제 탱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토양 코팅제를 상기 성토체 내부로 주입하며,
    상기 굴착토가 적치될 영역에 석회석 자갈층을 포설한 후, 상기 자갈층 상부에 상기 굴착토를 적치하여, 상기 굴착토로부터 발생되는 배수를 1차 중화처리하며, 상기 성토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배수 트렌치를 형성한 후 석회석을 충진하여 상기 굴착토로부터 발생되는 배수를 2차 중화처리하며,
    상기 굴착토의 NAG pH(Net Acid Generation pH)가 3.5 이하인 경우, 상기 성토체를 형성하는 중에 일정 두께로 상기 굴착토를 쌓아 올릴때마다 중화제를 살포하면서 성토체를 만들며,
    상기 굴착토에 슬래그를 혼합하여 적치하되, 상기 굴착토와 슬래그 혼합된 전체 중에서 상기 슬래그는 5~15%(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굴착토 가적치 처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주입관은 수평방향을 따라 가로, 세로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굴착토 가적치 처리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트렌치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성토체 일측에 마련된 집수정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수 트렌치로 유입된 물은 상기 집수정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굴착토 가적치 처리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코팅제는 액상의 K2HPO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굴착토 가적치 처리방법.
KR1020190005898A 2019-01-16 2019-01-16 산성배수 발생 개연성이 있는 현장 굴착토 가적치 처리를 통한 재이용방법 KR102030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98A KR102030614B1 (ko) 2019-01-16 2019-01-16 산성배수 발생 개연성이 있는 현장 굴착토 가적치 처리를 통한 재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98A KR102030614B1 (ko) 2019-01-16 2019-01-16 산성배수 발생 개연성이 있는 현장 굴착토 가적치 처리를 통한 재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614B1 true KR102030614B1 (ko) 2019-10-10

Family

ID=68206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898A KR102030614B1 (ko) 2019-01-16 2019-01-16 산성배수 발생 개연성이 있는 현장 굴착토 가적치 처리를 통한 재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6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9395A (ja) * 2004-03-29 2005-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浄化方法
KR100693809B1 (ko) * 2006-05-25 2007-03-12 손효상 황철석을 함유한 암버럭 쌓기 시 알칼리성 차수제를 이용한유출수의 중화 및 토양의 안정화장치 및 방법
JP2009112969A (ja) * 2007-11-08 2009-05-28 Taisei Corp 酸性土壌の処理方法
KR20090072049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오염 토양 및 지하수의 정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1828057B1 (ko) * 2017-05-08 2018-02-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산성배수 발생 암석 및 토양 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탈면 식생피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9395A (ja) * 2004-03-29 2005-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浄化方法
KR100693809B1 (ko) * 2006-05-25 2007-03-12 손효상 황철석을 함유한 암버럭 쌓기 시 알칼리성 차수제를 이용한유출수의 중화 및 토양의 안정화장치 및 방법
JP2009112969A (ja) * 2007-11-08 2009-05-28 Taisei Corp 酸性土壌の処理方法
KR20090072049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오염 토양 및 지하수의 정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1828057B1 (ko) * 2017-05-08 2018-02-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산성배수 발생 암석 및 토양 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탈면 식생피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Engineering issues on karst
CN103031837A (zh) 井点降水联合堆载预压加固深厚软土地基方法
Zhou et al. Management and mitigation of sinkholes on karst lands: an overview of practical applications
KR101350201B1 (ko) 산성배수 발생 암 버럭을 이용한 성토구조체
KR100693809B1 (ko) 황철석을 함유한 암버럭 쌓기 시 알칼리성 차수제를 이용한유출수의 중화 및 토양의 안정화장치 및 방법
KR102030614B1 (ko) 산성배수 발생 개연성이 있는 현장 굴착토 가적치 처리를 통한 재이용방법
Kalybekov et al. The study of rational technology of reclamation of the mine-out quarry space
Beck et al. Geotechnical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s of karst geology and hydrology
CN104707846B (zh) 以建材资源开发解决城镇垃圾填埋的方法
RU2611075C1 (ru) Способ рекультивации хвостохранилища в горных котловинах
CN108570979A (zh) 一种在白云岩层上修筑防渗复合地基的施工方法
Wesely et al. Durango disposal cell–UMTRA Case History
CN105064384A (zh) 特殊地质条件下的真空管井降水系统
KR100493240B1 (ko) 절개 사면의 산성배수 처리방법
Schmall et al. Ground freezing—a viable and versatile construction technique
RU2798370C1 (ru) Способ реконструкции обводненного рудника, отрабатываемого открыто-подземным способом
Černoch et al. Preparations for remediation of a former surface mine–a technical reclamation area
Coleman et al. Prediction of how different management options will affect drainage water quality and quantity in the Mpumalanga coal mines up to 2080
Cashman et al. Other Dewatering Systems
Newbery et al. Middle East—sewerage projects for coastal towns of the Libyan Arab Republic
Mohd Najib et al. A review of ex-mining land reclamation as construction project activities: focusing in City of Ipoh/Mohd Najib Abd Rashid...[et al.]
RU2588644C2 (ru) Способ захоронения буровых отходов в траншейном резервуаре
Carter Geology of Port Elizabeth, Republic of South Africa
Spotts et al. Case study: Geomorphic reclamation of abandoned coal mines near Raton, New Mexico design and construction oversight
Andromalos et al. Current state of the art installation techniques for the in-situ reactive wall groundwater treatment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