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954B1 - Snow removal film for structure and snow removal apparatus and snow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now removal film for structure and snow removal apparatus and snow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954B1
KR102029954B1 KR1020170160876A KR20170160876A KR102029954B1 KR 102029954 B1 KR102029954 B1 KR 102029954B1 KR 1020170160876 A KR1020170160876 A KR 1020170160876A KR 20170160876 A KR20170160876 A KR 20170160876A KR 102029954 B1 KR102029954 B1 KR 102029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now removal
facility
film
hea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8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1958A (en
Inventor
윤선홍
박현호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60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954B1/en
Publication of KR2019006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9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9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0Snow traps ; Removing snow from roofs; Snow mel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2009/1492Clean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은, 필름부재, 상기 필름부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및 상기 필름부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를 포함한다.Facility snow remova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m member,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portion formed in the film member, and at least one vibration portion formed in the film member.

Description

시설물 제설 필름과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제설 장치 및 제설 방법{SNOW REMOVAL FILM FOR STRUCTURE AND SNOW REMOVAL APPARATUS AND SNOW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Facility snow removal film, facility snow removal device and snow removal method using same {SNOW REMOVAL FILM FOR STRUCTURE AND SNOW REMOVAL APPARATUS AND SNOW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설물 제설 필름과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제설 장치 및 제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lity snow removal film, a facility snow removal apparatus and a snow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온실은 원산지 이외의 한지에, 노지에서 저온사를 일으키거나 생장이 정지되는 식물의 생장이 계속될 수 있도록 하고, 혹은 화훼 또는 채소류의 속성재배를 하기 위해서 인공적으로 높은 온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설물이다. 비닐하우스는 온실의 일 형태로, 옥외에 설치되되 하우스 내부의 보온력을 높이기 위해 비닐필름을 사용한다.Greenhouses are facilities designed to provide artificially high temperatures in cold places other than the country of origin, in order to allow low-temperature deaths or stop growing plants in the open field, or to accelerate the cultivation of flowers or vegetables. to be. A plastic house is a form of greenhouse, which is installed outdoors but uses vinyl film to increase the heat retention inside the house.

이와 같은 비닐필름으로 만들어진 비닐하우스와 같은 옥외 시설물의 경우 하절기 채소 또는 화훼의 재배를 위한 온도를 유지하는 점에서 효과적이지만, 겨울철 강설에 의해 시설물에 적설됨으로써 시설물의 비닐필름이 훼손되거나 시설물 전체의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Outdoor facilities such as vinyl houses made of vinyl film are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temperature for growing vegetables or flowers in summer, but they are damaged by the winter snowfall and the vinyl film of the facility is damaged or the entire facility collapses. May cause.

적설에 따른 시설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수동으로 쌓인 눈을 털어낼 수 있으나, 강설시기를 예측하기 어려워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처하기에 제한적이다. 종래에는 프레임에 열선을 배치하거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제설을 수행하는 장치가 이용되었다.The snow accumulated manually can be brushed out to prevent damage to the facilities due to the snowfall, but it is difficult for the manager to respond quickly because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snowfall time. Conventionally, an apparatus for performing snow removal by arranging a hot wire in a frame or by blowing air is used.

KRKR 10-2016-011482610-2016-0114826 A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시설물을 구성하는 필름부재에 발열부와 진동부를 함께 형성한 시설물 제설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cility snow removal film formed with a heating unit and a vibration unit in the film member constituting the facility.

또한, 시설물 제설 필름을 포함하여 적설 여부 및 적설 정도를 판단하는 감지부, 감지부가 발생시키는 측정 신호의 세기에 따라 발열부 및 진동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facility snow removal device including a snow removal film including a facility to determine whether the snow and the degree of snow,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and the vibration unit in accordance with the intensity of the measurement signal generated by the detection unit. It is to.

또한, 감지부에서 적설 여부 및 적설 정도를 판단하고, 적설 정도에 따라 제어부에서 단계적으로 발열부 및 진동부에 공급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시설물 제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snow and the degree of snow, and provides a facility snow removal method for adjust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and the vibration unit step by step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snow.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은, 필름부재,상기 필름부재에 메쉬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발열부 및 상기 메쉬 형상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필름부재에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양 단면에 전압을 인가하면 가해지는 전압의 방향에 따라 일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는 제1 압전소자, 및 상기 프레임의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의 타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압전소자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하는 제2 압전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필름부재가 일측으로 굴곡을 형성하도록 하는 복수의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진동부 중에서 일 진동부가 상기 일 진동부의 일면과 타면 사이의 두께 일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면, 인접하는 다른 진동부는 두께 타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발열부가 형성된 상기 메쉬 형상이 있는 곳으로 눈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은, 필름부재, 상기 필름부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및 상기 필름부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를 포함한다.
Facility snow remova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m member,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portion formed to be disposed in a mesh shape on the film member and the frame formed on the film member to be disposed between the mesh shape, of the frame A first piezoelectric element which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expands or contracts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a direction of a voltage applied to both end surfaces, and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rame facing one surface of the frame and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And a plurality of vibration parts including a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that contracts or expa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evice to allow the film member to bend to one side, wherein one of the vibration parts includes one surface of the one vibration part. When the curved surface is formed in one direction of thickness between the other surfaces, another adjacent vibration part forms a curved surface in the other direction of thickness. Writing, to move the eyes to the place in which the mesh-shaped portion of the heating provided.
Facility snow remova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m member,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portion formed in the film member, and at least one vibration portion formed in the film member.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 상기 필름부재를 진동시킨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vibration unit includes a piezo actuator, vibrating the film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iezo actuator.

또한,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lm member is formed to surround the at least one heating unit and the at least one vibration unit.

또한,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 사이에 형성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장치는, 필름부재, 상기 필름부재에 메쉬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발열부, 및 상기 메쉬 형상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필름부재에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양 단면에 전압을 인가하면 가해지는 전압의 방향에 따라 일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는 제1 압전소자, 및 상기 프레임의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의 타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압전소자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하는 제2 압전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필름부재가 일측으로 굴곡을 형성하도록 하는 복수의 진동부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설 필름, 적설 여부 및 적설 정도를 측정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진동부 중에서 일 진동부가 상기 일 진동부의 일면과 타면 사이의 두께 일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면, 인접하는 다른 진동부는 두께 타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발열부가 형성된 상기 메쉬 형상이 있는 곳으로 눈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장치는, 필름부재, 상기 필름부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상기 필름부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설 필름, 적설 여부 및 적설 정도를 측정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ilm member is formed to surround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portion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separat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portion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portion.
Facility snow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m member,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portion formed to be disposed in a mesh shape on the film member, and a frame formed on the film member to be disposed between the mesh shape, the frame A first piezoelectric element which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and expands or contracts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a direction of a voltage applied to both cross-sections, and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rame facing one surface of the frame; A facility snow removing film including a plurality of vibrating parts for forming a curved portion to one side of the film member, including a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that contracts or expa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sensing unit,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heating unit and the at least one vibr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form a curved surface in one direction of thickness between one surface of the one vibration unit and the other surface among the plurality of vibration units, and the other adjacent vibration unit forms a curved surface in the other direction of thickness, thereby forming the heat generating unit. The eye moves to where the mesh shape is.
Facility snow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m snow removal facility comprising a film member,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portion formed in the film member, at least one vibration portion formed in the film member, whether or not snow and snow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measure a valu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djust operations of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or and the at least one vibrator based on a measurement signal of the detector.

삭제delet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가 측정에 따라 발생하는 측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세기 이상인 경우 단계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를 온오프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unit step by step when the measurement signal generated by the sensing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intensit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가 측정에 따라 발생하는 측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세기 이상인 경우 단계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에 공급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절한다.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magnitude of power supplied to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unit step by step when the measurement signal generated by the sensing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intensit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방법은, 감지부에서 시설물의 적설 여부 및 적설 정도를 측정하여 측정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는 측정 단계, 상기 측정 단계에 따라 측정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가 상기 측정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세기 이상인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측정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가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 단계를 포함한다.In a snow removal method of a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whether or not the snow is installed in the detection unit and transmitting a measurement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receiving the measurement signal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step is measured 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signal intens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intensity, and when the intensity of the measurement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intensity, power is supplied to operate the at least one heating unit and the at least one vibration unit. It includes an operation step.

또한, 상기 동작 단계는 상기 측정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가 함께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may include supplying power to operate one of the at least one heating unit or the at least one vibration unit when the intensity of the measurement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reference intensity set in advance, and the measurement signal. When the intensity of th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preset reference intensity, the step of supplying power to the at least one heating unit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unit to work together.

또한, 상기 동작 단계는 상기 측정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세기 이상 제2 기준 세기 미만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도록 측정 신호의 세기에 따른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가 동작하도록 측정 신호의 세기에 따른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may be performed when the intensity of the measurement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intensity and less than a second reference intensity so that any one of the at least one heating unit or the at least one vibration unit operates. And supplying power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measurement signal such that the at least one heating unit and the at least one vibration unit operate when the intensity of the measurement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econd reference intensity. Includ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their ordinary and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will be required to properly define the concepts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own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발열부와 진동부를 함께 시설물 제설 필름의 구성으로 형성함으로써 제설수단을 하나만 사용하여 제설을 수행할 때보다 더욱 효율적인 제설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heating element and the vibration unit togeth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has the advantage that more efficient snow removal than when performing snow removal using only one snow removal means.

또한, 하나의 진동부가 시설물 제설 필름의 두께 일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고 인접한 다른 진동부에서는 시설물 제설 필름의 두께 타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시설물 제설 필름의 굴곡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시설물 제설 필름에 부착된 눈을 제설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one vibrating part forms a curved surface in one dire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facility snow removing film, and another adjacent vibrating part forms a curved surface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facility snow removing film to form a large curvature of the facility snow removing film, thereby adhering to the facility snow removing film.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snow plowed.

또한, 필름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를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발열부 및 진동부를 보호하여 오작동이 방지되어 결과적으로 시설물 제설 필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lm member is formed to surround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portion and at least one vibrating portion, thereby protecting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nd the vibrating portion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and consequently, there is an advantage of extending the life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와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가 분리되도록 분리부를 포함함으로써, 발열부와 진동부 간의 전기적 간섭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including a separation unit to separate the at least one heating unit and the at least one vibration unit,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electr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heating unit and the vibration unit.

또한, 시설물 제설 필름에 발열부와 진동부를 형성하여 시설물에 사용함으로써, 시설물 전체에 대한 제설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nd the vibrating portion in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to be used in the facilit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now removal for the entire facility is possible.

또한, 감지부에 의해 측정되는 적설량에 따른 정보에 의해 시설물 제설 필름의 발열부 및 진동부의 동작을 조절함으로써, 시설물의 제설 과정을 자동화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automating the snow removal process of the facility by adjust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and the vibration unit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by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now amount measured by the detection unit.

또한, 적설량이 적을 때에는 발열부 또는 진동부 중 어느 하나만을 구동시키고, 적설량이 많을 때에는 발열부 및 진동부를 모두 구동시킴으로써 단계적으로 효과적인 제설을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snow is small, only one of the heating unit or the vibration unit is driven, when there is a large amount of snow there is an advantage to enable effective snow removal in stages by driving both.

또한, 적설량에 따라 발열부 및 진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적설 강도에 따른 단계적인 제설과 함께, 제설 시스템의 효과적인 전력 소비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and the vibration unit according to the amount of snow,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ffective power consumption of the snow removal system with the step-by-step snow removal according to the snow strength.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방법에 대한 세부적인 순서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facility snow remova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acility snow remova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facility snow removal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acility snow removal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acility snow remova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acility snow removal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acility snow removal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a facility snow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cility snow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 chart of a facility snow remov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4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snow removal method for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terms such as “one side”, “other sid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a component is limited by the terms. n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techniqu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memb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facility snow remova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10)은, 필름부재(11), 상기 필름부재(11)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상기 필름부재(11)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를 포함한다.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member 11,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portion 12 formed in the film member 11, and formed in the film member 11 At least one vibrator 13 is included.

도 1을 참조하면, 시설물 제설 필름(10)은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를 포함한다. 발열부(12)는 저항이 큰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받음에 따라 저항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발생된 열은 발열부(12)와 인접한 위치에 있는 눈에 열에너지를 전달함으로써 눈이 융해되도록 하며, 융해된 눈은 시설물의 하단으로 흘러내려 결과적으로 시설물의 적설에 따른 붕괴 위험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includes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12. The heat generating unit 1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resistance, and generates heat by the resistance as the power is supplied. The heat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causes the snow to melt by transferring heat energy to the snow adjacent to th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the melted snow flows to the bottom of the facility,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collapse due to snowfall of the facility.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발열부(12)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2 이상의 발열부(12)가 형성되는 경우 발열부(12) 간에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평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발열부(12)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됨으로써 시설물 제설 필름(10)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열을 전달한다.In addition, the heating unit 12 may be formed in one or more, when two or more heating unit 12 is formed, the heating unit 12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may be arranged in parallel. By being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2, heat is uniformly transmitted throughout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한편, 시설물 제설 필름(10)은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를 포함한다. 진동부(13)는 전원을 공급받음에 따라 시설물 제설 필름(10)을 진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진동에 따라 시설물 제설 필름(10)이 진동하게 되며, 진동에 의해 시설물 제설 필름(10)에 붙어있던 눈이 떨어지거나 발열부(12)가 형성된 위치로 눈을 이동시킨다. 결과적으로 시설물에 적설된 눈을 지면으로 떨어뜨림으로써 시설물의 적설에 따른 붕괴 위험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열부(12) 및 진동부(13)를 함께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구성으로 형성함으로써 제설수단을 하나만 사용하여 제설을 수행할 때보다 더욱 효율적인 제설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includes at least one vibration unit (13). The vibrator 13 vibrates the snow removal film 10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vibration,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vibrates, and the snow attached to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falls or moves the eye to a position where the heating part 12 is formed by the vibration. As a result, by dropping snow accumulated in the facility to the ground,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risk of collapse due to the snow. In addition, by forming th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the vibrating unit 13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more efficient snow removal than when performing snow removal using only one snow removal means.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는 피에조 액추에이터(piezo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A-A'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피에조 액추에이터는 프레임(13a), 및 제1 압전소자(13b) 및 제2 압전소자(13c)로 구성된다. 피에조 액추에이터는 액추에이터를 구성하는 제1 압전소자(13b) 및 제2 압전소자(13c)의 각 양쪽 단면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기장 내의 양이온은 음극을 향하여 이동하고, 음이온은 양극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전압의 방향에 따라 제1 압전소자(13b)는 팽창하면서 제2 압전소자(13c)는 수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소자에 물리적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역압전 효과(Converse piezoelectric effect)라 한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제1 압전소자(13b)는 수축하면서 제2 압전소자(13c)는 팽창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압전소자(13b) 및 제2 압전소자(13c)의 수축 또는 팽창 작용에 의하여 프레임(13a), 제1 압전소자(13b), 및 제2 압전소자(13c)를 포함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가 일측으로 굴곡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진동부(13)가 굴곡을 형성함으로써, 진동부(13)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설 필름(10)이 진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시설물 외부에 쌓인 눈이 진동에 의해 발열부(12)가 위치한 부분으로 움직이거나 시설물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진동부(13)에 의한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진동은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두께 방향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면 방향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vibration unit 13 may include a piezoactuator (piezoactuator). Referring to the enlarged view of AA ′ in FIG. 1, the piezo actuator is composed of a frame 13a, a first piezoelectric element 13b, and a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13c. When the piezo actuator applies a voltage to each end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13b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13c constituting the actuator, the cations in the electric field move toward the cathode, and the anions move toward the anode.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13c may contract while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13b expand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voltage applied thereto. In this way, the physical deformation of the device by applying a voltage is called a reverse piezoelectric effect. On the contrary,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13c may expand while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13b contracts. As a result, the piezo actuator including the frame 13a,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13b,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13c by the contracting or expanding action of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13b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13c. Will bend to one side. As such, the vibration part 13 including the piezo actuator forms a bend, so that the facility snow removing film 10 including the vibration part 13 may vibrate, and thus snow accumulated outside the facility generates heat due to vibration. The part 12 may move to or be away from the facility. In addition, the vibration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by the vibrator 13 may ac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or may act in the plane direction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한편, 복수개 배치된 진동부(13)에서, 서로 이웃한 진동부끼리 반대 방향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하나의 진동부가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두께 일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면 인접한 다른 진동부에서는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두께 타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굴곡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진동부가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두께 일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고 인접한 다른 진동부에서는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두께 타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굴곡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시설물 제설 필름(10)에 부착된 눈을 제설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plurality of vibrating unit 13, if one of the vibrating portion to form a curved surface in one dire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by applying a voltage in the opposite direction between the adjacent vibrating portion of the plurality of vibrating portion 13, other adjacent vibrating portion snow removal By forming the curved surface in the thickness other direction of the film 10, the curvature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as a whole can be formed large. One vibrating part forms a curved surface in one dire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facility snow removing film 10, and another adjacent vibrating part forms a curved surface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facility snow removing film 10 to form a large curvature of the facility snow removing film 10. Thereby, there exists an advantage that it becomes easy to snow snow attached to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발열부(12)가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 배치되며, 발열부(12)들 사이에 진동부(13)가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발열부(12)가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가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진동부(13)가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세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배치되었으나 이러한 도면상의 배치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설물 제설 필름(10)에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가 시설물 제설 필름(10)에 함께 형성될 수 있는 어떠한 배치라도 가능하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the heating parts 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vibration parts 13 are disposed between the heating parts 12. In FIG. 1 and FIG. 2, the heating unit 12 is disposed to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cility snow removing film 10, and the vibrating unit 13 is disposed to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length direction of the facility snow removing film 1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layout of the drawings, and any arrangement in which the facility snow removing film 10 may be formed together with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unit 13 in the facility snow removing film 10 may be used. It is possible.

또한, 시설물 제설 필름(10)은 필름부재(11)를 포함한다. 필름부재(11)는 폴리에틸렌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염화비닐필름,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강화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필름부재(11)는 내열성이 있고 진동에도 용이하게 파손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부재(11)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와 함께 시설물 제설 필름(10)을 구성하며, 시설물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필름부재(11)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필름부재(11)가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를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발열부(12) 및 진동부(13)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어 오작동이 방지되어 결과적으로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수명을 연장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includes a film member 11. The film member 11 may be a polyethylene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vinyl chloride film or a reinforcement plate formed of hard plastic may be used. On the other hand, the film member 11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heat resistant and is not easily broken even by vibration. The film member 11 forms the facility snow removing film 10 together with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unit 13, and serves to minimize the heat emitted from the inside of the facility to the outside. . Referring to FIG. 2, the film member 11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part 12 and at least one vibrating part 13. The film member 11 is formed to surround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part 12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part 13, so that the heat generating part 12 and the vibrating part 13 are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of extending the life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분해사시도이다.3 is a front view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according to FIG.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는 메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는 메쉬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열부(12)를 메쉬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시설물 제설 필름(10) 중 발열기능을 수행하는 면적을 더욱 넓히는 이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서 진동부(13)의 수를 적게 형성하더라도 발열부(12)가 형성된 위치로 눈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효과적인 제설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12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vibration unit 13 may be formed to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inside the mesh. By forming the heat generating unit 12 in a mesh shape, there is an advantage of further widening the area for performing the heat generating function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accordingly, even if a small number of the vibrating unit 13 is formed, the heat generating unit 12 Since the eye can easily move to the formed position, as a result, effective snow removal is possibl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필름부재(11)가 최하층에 위치하고, 필름부재(11)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가 동일 층에 번갈아가면서 형성되며, 다시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의 일면에 필름부재(11)가 형성된다. 이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부재(11)가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의 양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발열부(12) 및 진동부(13)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수명을 연장하는 이점이 있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film member 11 is positioned at the lowermost layer, and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portion 12 and at least one vibrating portion 13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lm member 11 while being alternately formed on the same layer. The film member 1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unit 13. Thus, as described above, the film member 11 is formed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portion 12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portion 13, so that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2 and the vibrating portion 13 are external environment. It is protected from, which in turn has the advantage of extending the life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단면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according to FI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시설물 제설 필름(10)에서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와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는 반드시 같은 층으로 형성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필름부재(11)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가 형성된 후,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를 덮도록 분리부(14)가 형성된다. 또한, 분리부(14) 상에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가 형성된 후,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를 덮도록 다시 필름부재(11)가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하나의 시설물 제설 필름(10)을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필름부재(11)가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를 감싸도록 형성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와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 사이에 분리부(14)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발열부(12)와 진동부(13)가 분리됨으로써 발열부(12)와 진동부(13) 간의 전기적 간섭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6 and 7, in the facility snow removing film 10,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unit 13 are not necessarily formed in the same layer. Therefore, after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part 12 is formed on the film member 11, the separating part 14 is formed to cover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part 12. In addition, after the at least one vibrating part 13 is formed on the separating part 14, the film member 11 is formed again to cover the at least one vibrating part 13, so that the whol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is formed. Can be formed. As a result, while the film member 11 is formed to surround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portion 12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portion 13, between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portion 12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portion 13. The separator 14 is configured to be forme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the vibrating unit 13 are separated,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electr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the vibrating unit 13.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장치(2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acility snow removal apparatus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장치(20)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장치(20)는, 필름부재(11), 필름부재(11)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필름부재(11)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설 필름(10), 적설 여부 및 적설 정도를 측정하는 감지부(21), 감지부(21)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22)를 포함한다.8 is a block diagram of a facility snow removal apparatus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y snow removal apparatus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member 11,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portion 12 formed in the film member 11, at least one formed in the film member 11 The facility snow removing film 10 including the vibrator 13, the detection unit 21 for measuring whether or not snowing,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21, at least one heating unit 12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22 for adjusting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vibration unit (13).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장치(20)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눈이 내리기 시작하면 감지부(21)에서 강설에 따른 적설 여부 및 적설 정도를 측정한다. 감지부(21)가 적설 여부 및 적설 정도의 측정은 온도 센서, 압력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의 센서의 조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감지부(21)는 측정의 신뢰성을 위해 시설물 제설 장치(20)의 상단 중앙부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부(21)에서 적설 여부 및 적설 정도를 측정하면, 측정된 정보는 감지부(21)에서 발생시키는 측정 신호를 통해 제어부(22)에 전달된다.8, there is shown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acility snow removal apparatus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when snow starts to fall, the detector 21 measures whether the snow falls and the degree of snow. Measurement of whether the detection unit 21 is snowing and the degree of snowing may be made by a combination of sensor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 pressure sensor, an infrared sensor. 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unit 21 is preferably formed outside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apparatus 20 for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When the detection unit 21 measures the amount of snow and the degree of snow, the measur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2 through a measurement signal generated by the detection unit 21.

감지부(21)에서 발생시킨 측정 신호는 제어부(22)에 송신되어, 송신된 측정 신호에 따라 제어부(22)가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를 동작시킬지 판단한다. 송신된 측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세기 이상인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를 온오프한다. 이 때, 미리 설정된 기준 세기 이상으로 측정 신호가 판단되면 전원부(25)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를 온(on) 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세기 이하로 측정 신호가 판단되면 전원부(25)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를 오프(off) 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signal generated by the sensing unit 2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2 so that the control unit 22 may operate the at least one heating unit 12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unit 13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measurement signal. To judge. When the transmitted measurement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intensity,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unit 13 are turned on and off. In this case, when the measurement signal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intensity,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unit 13 are turned on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5, and the predetermined signa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intensity. When the measurement signal is determined,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unit 13 may be turned off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5.

또한, 제어부(22)는 감지부(21)가 측정한 적설 여부 및 적설 정도에 따라 발생시키는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부(25)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에 공급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측정 신호에 따라 발열부(12) 및 진동부(13)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적설 정도에 따른 효과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 때, 전력의 크기의 조절은 연속적으로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단계적으로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21)에 의해 측정되는 적설 여부 및 적설 정도에 의해 시설물 제설 필름의 발열부 및 진동부의 동작을 조절함으로써, 시설물의 제설 과정을 자동화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2 is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generated by the detection unit 21 according to whether the snow and the degree of snow, at least one heating unit 12 and at least one vibration unit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5.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13)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the vibrating unit 13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sig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ffective power manage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snow. At this time, the adjustment of the magnitude of the power may be to continuously adjust the magnitude of the power, or may be to adjust the magnitude of the power in stages. Accordingly, by adjust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and the vibrating unit of the snow removal film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amount of snow measured by the detection unit 21, there is an advantage of automating the snow removal process of the facility.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장치(2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시설물을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이 구성되고, 그 프레임을 골조로 본 발명 시설물 제설 필름(10)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설물 제설 필름(10)은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가 형성되고, 발열부와 진동부를 감싸도록 필름부재가 형성된다. 또는, 발열부와 진동부 사이에 분리부가 형성되고, 발열부, 진동부 및 분리부를 감싸도록 필름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시설물의 외측에는 감지부(21)가 형성되어 적설 여부 및 적설 정도를 측정하게 된다. 측정에 따라 감지부(21)가 생성하는 측정 신호는 제어부(22)로 전송되어, 제어부(22)의 판단에 따라 시설물 제설 필름(10)의 발열부 및 진동부의 동작을 조절한다. 이 때, 감지부(21)와 제어부(22)의 통신은 유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별도의 송신부 및 수신부가 형성되어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름이 발열부 및 진동부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설 필름(10)으로 형성된 시설물 제설 장치(20)를 구성함으로써, 시설물 전체에 대한 제설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apparatus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9, the frame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facility,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framing the frame. As described above, the facility snow removing film 10 has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portion and at least one vibrating portion, and a film member is formed to surround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nd the vibrating portion. Alternatively, a separation unit may be formed between the heating unit and the vibration unit, and a film member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heating unit, the vibration unit, and the separation unit. 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unit 21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acility to measure whether the snow and the degree of snow. The measurement signal generated by the sensing unit 2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2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and adjusts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and the vibrating unit of the snow removal film 10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 unit 22.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ing unit 21 and the control unit 22 may be made by wire, or a separate transmitter and receiver may be formed to be wireless. Thus, by constructing the facility snow removal apparatus 20 formed with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10 containing a heat generating part and a vibration part, there exists an advantage that snow removal with respect to the whole facility is possible.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acility snow remo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방법은, 감지부(21)에서 시설물의 적설 여부 및 적설 정도를 측정하여 측정 신호를 제어부(22)에 송신하는 측정 단계(S10), 측정 단계(S10)에 따라 측정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22)가 측정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세기 이상인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S20), 및 판단 단계(S20)에서 측정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세기 이상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가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 단계(S30)를 포함한다.Facility snow remov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ing step (S10), measuring step (S10) for measuring whether the installation of the facility and the degree of snow in the detection unit 21 and transmits a measurement signal to the control unit 22 When the control unit 22 that receives the measurement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step (S20) and determines whether the intensity of the measurement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intensity, and the intensity of the measurement signal in the determination step (S20), or more And an operation step S30 of supplying power to operate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unit 13.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10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facility snow remov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측정 단계(S10)는 감지부(21)에서 적설 여부 및 적설 정도를 감지하여 측정된 정보에 따라 감지부(21)에서 생성된 측정 신호를 제어부(22)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21)는 온도 센서, 압력 센서, 적외선 센서 등 센서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는 전기적 신호(측정 신호)로 표현된다.Referring to FIG. 10, in the measuring step S10, the detection unit 21 detects whether or not snow is applied and transmits the measurement signal generated by the detection unit 21 to the control unit 22 according to the measured information. to be. As described above, the sensing unit 21 may be configured by a combination of sensor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 pressure sensor, an infrared sensor, and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is represented by an electrical signal (measurement signal).

또한, 판단 단계(S20)는 감지부(21)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된 측정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판단 단계(S20)에서는 제어부(22)가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측정 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세기와 비교한다. 이 때, 미리 설정된 기준 세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step S20 is a step of analyzing the measurement signal generated and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21. In the determination step S20, the control unit 22 receives the measurement signal and compares the received measurement signal with a preset reference intensity. In this case, the preset reference intensity may be at least one or more.

또한, 동작 단계(S30)는 전술한 판단 단계(S20)로부터 수신된 측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세기 이상인 경우, 제어부(22)가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이와 반대로 감지부(21)로부터 수신된 측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세기 이하인 경우에는, 제어부(22)가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가 작동을 정지하도록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In operation S30, when the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step S2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intensity, the controller 22 may include the at least one heating unit 12 and the at least one vibration unit 13. Powering on. On the contrary, when the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21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intensity, the control unit 22 supplies power so that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unit 13 stop operation. Control to block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제설 방법에 대한 세부적인 순서도이다.11 to 14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snow removal method for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단계(S30)는 측정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세기 이상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또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31a), 측정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세기 이상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가 함께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32a)이다. 판단 단계(S20)에서 측정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세기 이상인 경우에는 발열부(12)만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진동부(13)만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발열부(12)와 진동부(13)를 모두 동작하지 않더라도 쌓인 눈을 효과적으로 제설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판단 단계(S20)에서 측정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세기 이상인 경우에는 발열부(12)와 진동부(13)가 함께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이 때, 제2 기준 세기는 제1 기준 세기보다 그 값이 크게 설정된다.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세기보다 큰 측정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발열부(12) 또는 진동부(13) 중 어느 하나만 작동하여 제설작업을 수행하는 것보다는, 발열부(12)와 진동부(13)를 함께 작동하도록 하여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효과적인 제설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11 and 12, when the intensity of the measurement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reference intensity, any one of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12 or the at least one vibrating unit 13 may be selected. In operation S31a, when the intensity of the measurement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econd reference intensity, supplying power so that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unit 13 operate together. Step S32a. When the intensity of the measurement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reference intensity in the determination step S20, power may be supplied to operate only the heating unit 12, or may be supplied to operate only the vibrator 13. This is because in this case, even if neither the heat generating unit 12 nor the vibrating unit 13 is operated, snow accumulated can be effectively removed. On the other hand, in the determination step (S20), when the intensity of the measurement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intensity, power is supplied so that th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the vibration unit 13 operates together. At this time, the second reference intensity is set larger than the first reference intensity. When a measurement signal larger than the second reference intensity is set in advance, rather than only one of the heating unit 12 and the vibrating unit 13 performs snow removal, the heating unit 12 and the vibrating unit 13 By working toge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enables fast and effective snow removal in a short time.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동작 단계(S30)는 측정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세기 이상 제2 기준 세기 미만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또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도록 측정 신호의 세기에 따른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31a, S31b), 및 측정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세기 이상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13)가 동작하도록 측정 신호의 세기에 따른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32a, S32b)이다. 판단 단계(S20)에서 측정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세기 이상 제2 기준 세기 미만인 경우에는 발열부(12)만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진동부(13)만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S31a). 이 때, 제어부(22)는 감지부(21)에 의해 생성된 측정 신호의 세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원을 발열부(12) 또는 진동부(13)에 공급할 수 있다(S31b). 측정 신호의 세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는 단계적일 수 있거나, 또는 연속적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3 and 14, the operation step S30 may includ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12 or at least one vibrating unit 13 when the intensity of the measurement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reference intensity and less than a second reference intensity.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at least one of supplying power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measurement signal (S31a, S31b) so that any one of the In operation S32a and S32b, power is suppli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measurement signal so that the vibration unit 13 may operate. When the intensity of the measurement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intensity and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intensity in the determination step S20, the power may be supplied to operate only the heating unit 12, or may be supplied to operate only the vibrator 13. It may be (S31a).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2 may supply power having a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of the measurement signal generated by the detector 21 to the heat generating unit 12 or the vibrating unit 13 (S31b). The magnitude of the power supplied in the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of the measurement signal may be stepped or continuous.

한편, 판단 단계(S20)에서 측정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세기 이상인 경우에는 발열부(12)와 진동부(13)가 함께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한다(S32a). 이 때, 제2 기준 세기는 제1 기준 세기보다 그 값이 크게 설정된다. 이 때, 제어부(22)는 감지부(21)에 의해 생성된 측정 신호의 세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원을 발열부(12) 및 진동부(13)에 공급할 수 있다(S32b). 측정 신호의 세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는 단계적일 수 있거나, 또는 연속적일 수 있다. 측정 신호의 세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적설량에 따른 시설물 제설 장치(20)의 제설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면서 전력 소비가 자동적으로 조절되어 제설 시스템의 효과적인 전력 소비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tensity of the measurement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second reference intensity in the determination step (S20) it is supplied with power so that th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the vibrator 13 operates together (S32a). At this time, the second reference intensity is set larger than the first reference intensity. At this time, the controller 22 may supply power having a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of the measurement signal generated by the detector 21 to the heat generating unit 12 and the vibrating unit 13 (S32b). The magnitude of the power supplied in the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of the measurement signal may be stepped or continuous. By supplying a power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of the measurement signal, the power consumption is automatically adjusted while effectively performing the snow removal operation of the facility snow removal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amount of snow,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ffective power consumption of the snow removal system is possibl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제설 필름과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제설 장치 및 제설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facility snow remov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acility snow removal apparatus and snow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appended claims.

10 : 시설물 제설 필름
11 : 필름부재
12 : 발열부
13 : 진동부
13a : 프레임
13b : 압전소자
13c : 압전소자
14 : 분리부
20 : 시설물 제설 장치
21 : 감지부
22 : 제어부
25 : 전원부
S10 : 측정 단계
S20 : 판단 단계
S30 : 동작 단계
10: facility snow removal film
11 film member
12: heating unit
13: vibrator
13a: frame
13b: piezoelectric element
13c: piezoelectric element
14: separating part
20: facility snow removal device
21: detector
22: control unit
25: power supply
S10: measuring step
S20: judgment step
S30: operation step

Claims (10)

필름부재;
상기 필름부재에 메쉬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발열부; 및
상기 메쉬 형상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필름부재에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양 단면에 전압을 인가하면 가해지는 전압의 방향에 따라 일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는 제1 압전소자, 및 상기 프레임의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의 타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압전소자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하는 제2 압전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필름부재가 일측으로 굴곡을 형성하도록 하는 복수의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진동부 중에서 일 진동부가 상기 일 진동부의 일면과 타면 사이의 두께 일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면, 인접하는 다른 진동부는 두께 타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발열부가 형성된 상기 메쉬 형상이 있는 곳으로 눈을 이동시키는, 시설물 제설 필름.
Film member;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parts formed to be arranged in a mesh shape on the film member; And
A frame formed on the film member to be disposed between the mesh shapes, a first piezoelectric elemen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rame and expanding or contracting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a direction of a voltage applied when voltage is applied to both end surfaces, and the A plurality of vibration part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rame facing one surface of the frame and including a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that contracts or expa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so that the film member forms a bend to one side; Including;
If one vibrating portion forms a curved surface in one direction of thickness between one surface of the one vibrating portion and the other surface among the plurality of vibrating portions, another adjacent vibrating portion forms a curved surface in the other thickness direction, where the heat generating portion has the mesh shape formed. Facility snow removal film to move eyes to.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 사이에 형성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시설물 제설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m member is formed to surround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portion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portion, the separation unit formed between the at least one heating portion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portion; facility snow removing film further comprising.
필름부재, 상기 필름부재에 메쉬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발열부, 및 상기 메쉬 형상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필름부재에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양 단면에 전압을 인가하면 가해지는 전압의 방향에 따라 일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는 제1 압전소자, 및 상기 프레임의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의 타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압전소자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하는 제2 압전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필름부재가 일측으로 굴곡을 형성하도록 하는 복수의 진동부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설 필름;
적설 여부 및 적설 정도를 측정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측정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진동부 중에서 일 진동부가 상기 일 진동부의 일면과 타면 사이의 두께 일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면, 인접하는 다른 진동부는 두께 타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발열부가 형성된 상기 메쉬 형상이 있는 곳으로 눈을 이동시키는, 시설물 제설 장치.
A film member,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parts formed to be disposed in a mesh shape on the film member, and a frame formed on the film member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mesh shapes, and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rame and applying voltage to both end surfaces. A first piezoelectric element that expands or contracts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a direction of an applied voltage, and a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that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rame facing one surface of the frame and contracts or expa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Facility snow-removing film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including a plurality of vibrating portion to form a bent to one side the film member;
A detection unit for measuring whether or not snowing;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djust operations of the at least one heating unit and the at least one vibration unit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sensing unit.
If one vibrating portion forms a curved surface in one direction of thickness between one surface of the one vibrating portion and the other surface among the plurality of vibrating portions, another adjacent vibrating portion forms a curved surface in the other thickness direction, where the heat generating portion has the mesh shape formed. Facility snow removal device to move snow to.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측정에 따라 발생하는 측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세기 이상인 경우 단계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를 온오프하는 시설물 제설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nd the control unit turns on or off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unit step by step when the measurement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 sensing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intensit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가 측정에 따라 발생하는 측정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세기 이상인 경우 단계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에 공급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시설물 제설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nd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at least one heat generating unit and the at least one vibrating unit step by step when the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sensing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intensit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60876A 2017-11-28 2017-11-28 Snow removal film for structure and snow removal apparatus and snow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KR1020299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876A KR102029954B1 (en) 2017-11-28 2017-11-28 Snow removal film for structure and snow removal apparatus and snow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876A KR102029954B1 (en) 2017-11-28 2017-11-28 Snow removal film for structure and snow removal apparatus and snow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958A KR20190061958A (en) 2019-06-05
KR102029954B1 true KR102029954B1 (en) 2019-10-08

Family

ID=6684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876A KR102029954B1 (en) 2017-11-28 2017-11-28 Snow removal film for structure and snow removal apparatus and snow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95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5789A (en) * 2003-09-30 2005-04-21 Seratekku:Kk Snow remover using piezoelectric vibration plate
KR101278512B1 (en) 2013-04-09 2013-06-25 이승환 A snowplow apparatus of vinyl house
KR101665435B1 (en) 2015-07-14 2016-10-12 신인식 Snow removal device of vinyl-hous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057B1 (en) * 2009-10-16 2012-02-15 박진형 Installation Method for Snow Damage Prevention System of Vinyl House Using Film Heater
KR101592519B1 (en) * 2014-04-30 2016-02-05 김광영 The functional roof structure for collapse prevent on the part of snowload
KR101733425B1 (en) * 2014-07-15 2017-05-08 (주)케이비테크놀로지 Snow Removing Device for Plastic Greenhouse
KR20160083772A (en) * 2015-01-02 2016-07-12 민승기 Damage prevention system of vinyl house
KR20160114826A (en) 2015-03-25 2016-10-06 오용화 A snowplow apparatus of vinyl hou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5789A (en) * 2003-09-30 2005-04-21 Seratekku:Kk Snow remover using piezoelectric vibration plate
KR101278512B1 (en) 2013-04-09 2013-06-25 이승환 A snowplow apparatus of vinyl house
KR101665435B1 (en) 2015-07-14 2016-10-12 신인식 Snow removal device of vinyl-ho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958A (en)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48912B (en) The aircraft anti-icing optimization of input is detected based on ice
EP3684047B1 (en) Sensor system having transparent window contaminant removal using vibration
CN103282841A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JP6634728B2 (e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RU2014131607A (en)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ICEING ON AIRCRAFT AIRCRAFT
KR102029954B1 (en) Snow removal film for structure and snow removal apparatus and snow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GB0910431D0 (en) A piece of street furniture which is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surveillance apparatus
RU2005130460A (en) ROOM HEATING SYSTEM
DE60236543D1 (en) CONTROL METHOD FOR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THERMOSTAT
JP2017090409A (en)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detecting snow accretion on laser radar device
KR101822546B1 (en) Heating Glass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3031461C (en) Window system with insert for preventing glass breakage
DE60203933D1 (en) Thermally adjustable optical fiber devices with microcapillary heating elements
KR101733425B1 (en) Snow Removing Device for Plastic Greenhouse
KR101665435B1 (en) Snow removal device of vinyl-house
CN110709662B (en) Device for drying buildings
FR3057998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BATTERY BASED ON THE GRADIENT OF THE ELECTRICAL POWER DELIVERED
JP5072784B2 (en) Room pressure control device and room pressure control method
IT201800010272A1 (en) METHOD OF CONTROL OF A CONDITIONING APPARATUS
WO20200527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protecting radio network equipment in extreme environmental conditions
JP2015203685A (en)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and environment monitoring method
SE1050715A1 (en) Energy control method and device
JP6490389B2 (en) Portable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device
KR20160114826A (en) A snowplow apparatus of vinyl house
CN207959744U (en) A kind of intelligent sunshad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