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702B1 - 방전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방전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702B1
KR102029702B1 KR1020120123561A KR20120123561A KR102029702B1 KR 102029702 B1 KR102029702 B1 KR 102029702B1 KR 1020120123561 A KR1020120123561 A KR 1020120123561A KR 20120123561 A KR20120123561 A KR 20120123561A KR 102029702 B1 KR102029702 B1 KR 102029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detection signal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6994A (ko
Inventor
이기선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3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702B1/ko
Publication of KR2014005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2Means for rapidly discharging a capacitor of the converter for protecting electrical components or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방전 회로는, 교류 전원 검출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교류 전원의 검출 상태에 따른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다이오드; 멀티 전압의 출력 라인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 상기 다이오드의 출력단에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상기 방전 저항의 출력단에 이미터단이 연결되며, 접지에 콜렉터단이 연결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검출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되어 상기 방전 저항을 통해 인가되는 멀티 전압을 접지로 방전시킨다.

Description

방전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DISCHARGE CIRCUIT AND POWER SUPPLY WITH THE SAME}
실시 예는, 방전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공급 장치는 멀티 전압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레귤레이션 기능 및 빠른 방전 기능을 제공하는 방전 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제 1 동작 상태에서의 상기 방전 회로는, 상기 멀티 전압의 출력단에 형성되며, 항상 일정한 멀티 전압이 출력되도록 출력 전압을 조절한다.
또한, 제 2 동작 상태에서의 상기 방전 회로는, 상기 출력되는 멀티 전압을 접지로 방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방전 회로는, 제품의 오프 타임 시퀀스 스펙(Off time sequence spec.)을 맞추기 위해, 교류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시점에, 상기 멀티 전압의 출력단에 남아있는 멀티 전압을 접지로 방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전 회로를 설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전 회로는 멀티 전원 출력부(10)에 연결되어, 상기 멀티 전원 출력부(10)를 통해 출력되는 멀티 전압을 선택적으로 접지로 방전시키는 방전 저항(20)을 포함한다.
상기 방전 저항(20)은, 단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오프 타임의 조절 여부에 따라 복수 개의 저항이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전 저항(20)은 멀티 전압이 출력되는 도중에도 항상 동작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방전 저항(20)으로 전류가 흐름에 따라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멀티 전압의 로드 변화에 따라 상기 방전 저항(20)에서 열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열이 발생하지 않는 저항을 선택해야 하며, 이로 인한 제품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 예에서는, 교류 전원 상태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는 방전 회로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전력 사용 효율을 증대시키면서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방전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방전 회로는, 교류 전원 검출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교류 전원의 검출 상태에 따른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다이오드; 멀티 전압의 출력 라인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 상기 다이오드의 출력단에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상기 방전 저항의 출력단에 이미터단이 연결되며, 접지에 콜렉터단이 연결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검출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되어 상기 방전 저항을 통해 인가되는 멀티 전압을 접지로 방전시킨다.
또한, 상기 방전 회로는, 상기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검출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 1 저항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전 저항은, 상기 멀티 전압의 출력 라인에 형성되고, 상호 병렬로 연결된 제 2 저항 및 제 3 저항을 포함한다.
또한, 일단이 상기 제 1 저항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방전 저항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저항의 출력단과 상기 방전 저항의 출력단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제 4 저항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저항을 통해 조절된 검출 신호의 세기에 비례하여, 상기 멀티 전압의 방전 속도를 증감시킨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수신하는 교류 전원 입력부; 상기 입력된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입력 정류부; 상기 출력되는 직류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는 역률 보정부; 상기 역률이 보정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부; 상기 인버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변환된 교류 전원을 1차 측에서 2차 측으로 전달하는 트랜스포머; 상기 전달되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 정류부; 상기 출력 정류부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멀티 전압을 출력하는 멀티 전압 출력부; 및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멀티 전압 출력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교류 전원의 입력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멀티 전압을 접지로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에 연결되며, 상기 교류 전원의 입력 상태에 따른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다이오드와, 상기 멀티 전압 출력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과, 상기 다이오드의 출력단에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상기 방전 저항의 출력단에 이미터단이 연결되며, 접지에 콜렉터단이 연결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인가되는 검출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되어 상기 방전 저항을 통해 인가되는 멀티 전압을 접지로 방전시킨다.
또한, 상기 방전부는, 상기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검출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 1 저항을 더 포함한다.
또한,상기 방전 저항은, 상기 멀티 전압의 출력 라인에 형성되고, 상호 병렬로 연결된 제 2 저항 및 제 3 저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전부는, 일단이 상기 제 1 저항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방전 저항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저항의 출력단과 상기 방전 저항의 출력단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제 4 저항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저항을 통해 조절된 검출 신호의 세기에 비례하여, 상기 멀티 전압의 방전 속도를 증감시킨다.
실시 예에 따르면, 교류 전원의 검출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멀티 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부를 동작시킴으로써, 전력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의 증폭 기능을 이용하여 기존 회로보다 보다 빠르게 멀티 전압을 방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전 회로를 설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원 공급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방전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는 교류 전원 입력부(110), 입력 정류부(120), PFC부(130), 인버터부(140), 출력 정류부(150), 멀티 전압 출력부(160) 및 방전부(170)를 포함한다.
교류 전원 입력부(110)는 계통 등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수신한다.
입력 정류부(120)는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교류 전원을 정류한다.
즉, 입력 정류부(120)는 풀-브리지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한다.
특히, 입력 정류부(120)는 PFC부(130)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Q1)의 턴-오프(turn-off) 시, 인덕터 코일(L1)의 역기 전력에 의한 전류를 상기 PFC부(130)의 출력 측으로 흐르게 하여 전력 변환 효율을 높여준다.
PFC부(130)는 일명 역률 보정부로도 부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입력 정류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승압하고, 상기 승압한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승압 기능 외에 출력 전압 및 입력 전압과 같은 위상의 입력 전류를 만들어 역률을 보정(향상)하는 기능을 가진다.
PFC부(130)는 입력 정류부(120)를 통해 정류된 직류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직류 전원으로부터의 전압을 승압하여 제공하기 위해, 스위칭 소자(Q1)와 인덕터 코일(Inductor coil)(L1)과 전해 콘덴서(C1)를 포함한다.
상기 PFC부(130)의 출력 전압 및 입력 전압과 같은 위상의 입력 전류를 만드는 것은 상기 스위칭 소자(Q1)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해서, 즉 상기 제어부를 통해 출력되는 PWM 신호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전해 콘덴서(C1)는 그의 충전 전압에 의해 PFC부(130)의 직류 출력 전원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정전압 출력용 커패시터이다.
PFC부(130)의 스위칭 소자(Q1)에는 역전 방지용 다이오드가 접속되고, 별도의 다이오드(D5)도 전해 콘덴서(C1) 측으로의 전류 흐름만 허용하고, 그 반대의 전류의 전류 흐름은 불허하기 위해 상기 스위칭 소자(Q1)의 출력단에 접속된다.
인버터부(140)는 상기 PFC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이를 위해 다수의 스위칭 소자를 갖는다.
상기 다수의 스위칭 소자는, 게이트(gate) 제어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 제어되는 반도체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SCR(Silcon Coupled Rectifie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버터부(140)를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들 각각에 병렬로 접속된 바디 다이오드는 인버터부(140)의 출력 측으로부터 스위칭 소자 측으로 역전하여 흘러 들어오는 전류 흐름을 불허하기 위한 역전 방지용 다이오드이다.
트랜스포머(Tr)는 인버터부(130)에 접속되어 교류 전원을 출력 정류부(124)로 전달한다.
출력 정류부(150)는 트랜스포머(Tr)의 출력단(즉, 2차측 권선)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포머(Tr)를 통해 전달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한다.
출력 정류부(150)는 상기 입력 정류부(1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입력 정류부(12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멀티 전압 출력부(160)는 상기 출력 정류부(150)를 통해 정류되는 직류 전원을 수신하고, 이를 부하에 맞게 변환하여 멀티 전압을 출력한다.
방전부(170)는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110)와 상기 멀티 전압 출력부(160)에 연결되며,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교류 전원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멀티 전압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되는 멀티 전원을 접지로 방전시킨다.
이를 위해, 방전부(170)는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교류 전원의 존재 여부에 따름 검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검출 신호는, 상기 교류 전원이 입력되고 있는 경우에 하이 레벨의 신호를 가질 수 있고, 상기 교류 전원이 입력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로우 레벨의 신호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상기와 반대로 상기 교류 전원이 입력되고 있는 경우에 하이 레벨, 상기 교류 전원이 입력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로우 레벨을 가지는 검출 신호가 수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방전부(170) 내에는 스위칭 소자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입력되는 검출 신호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상기 방전부(170)가 동작 수행 및 동작 정지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는 폐쇄되어 상기 멀티 전압의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는 개방되어, 상기 멀티 전압의 방전 동작을 정지하게 된다.
이하에서, 상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원 공급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입력 정류부(120)는 복수 개의 다이오드(D1, D2, D3, D4)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입력 정류부(120)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다이오드(D1) 및 제 3 다이오드(D3)와, 상기 제 1 및 3 다이오드(D1, D3)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 2 다이오드(D2) 및 제 4 다이오드(D4)를 포함한다.
PFC부(130)는 상기 입력 정류부(12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 1 인덕터(L1)와, 상기 제 1 인덕터(L1)와 연결되는 제 5 다이오드(D5)와, 제 1 스위칭 소자(Q1)를 포함한다.
인버터부(140)는 제 2 스위칭 소자(Q2),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Q2)와 병렬로 연결된 제 3 스위칭 소자(Q3)와,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Q2)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 3 스위칭 소자(Q3)와 병렬로 연결된 제 4 스위칭 소자(Q4)와, 상기 제 2 및 4 스위칭 소자(Q2, Q4)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 3 스위칭 소자(Q3)와 병렬로 연결된 제 5 스위칭 소자(Q5)를 포함한다.
출력 정류부(150)는 복수 개의 다이오드(D6, D7, D8, D9)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출력 정류부(150)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 6 다이오드(D6) 및 제 8 다이오드(D8)와, 상기 제 6 및 8 다이오드(D6, D8)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 7 다이오드(D7) 및 제 9 다이오드(D9)를 포함한다.
멀티 전압 출력부(160)는 상기 출력 정류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의 안정화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방전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전부(170)는 교류 전원 검출 라인에 연결되며, 교류 전원의 검출 상태에 따른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제 10 다이오드(D10)와, 상기 제 10 다이오드(D10)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 1 저항(R1)과, 상기 멀티 전압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로 연결된 제 2 저항(R2) 및 제 3 저항(R3)과, 상기 제 1 저항(R1)의 출력단에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저항(R2) 및 제 3 저항(R3)의 출력단에 이미터단이 연결되며, 접지에 콜렉터단이 연결된 트랜지스터(TR1)와, 상기 제 1 저항(R1)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저항(R2) 및 제 3 저항(R3)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 4 저항(R4)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방전부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0 다이오드(D10)는 교류 전원 검출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교류 전원의 검출 상태에 따른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 10 다이오드(D10)는 역 흐름 방지용 다이오드이다.
제 1 저항(R1)은 상기 제 10 다이오드(D1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출력되는 검출 신호의 세기를 조절한다.
상기 검출 신호의 세기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의 기준이 된다. 즉, 상기 제 1 저항(R1)은 상기 트랜지스터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TR1)는 입력되는 검출 신호의 세기가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폐쇄 동작이 수행되는데, 이때 상기 기준 값의 초과 정도에 따라 상기 멀티 전압의 방전 속도가 가변된다.
즉, 상기 기준 값의 초과 정도가 크면, 상기 트랜지스터(TR1)는 제 1 시간 내에 상기 콜렉터단에 연결된 접지로 상기 멀티 전압을 방전시킨다.
이와 반대로, 상기 기준 값의 초과 정도가 작으면, 상기 트랜지스터(TR1)는 제 2 시간 내에 상기 콜렉터단에 연결된 접지로 상기 멀티 전압을 방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시간은 제 2 시간보다 작으며, 이에 따라 상기 초과 정도가 크면 클수록 상기 멀티 전압의 방전 시간을 줄어들게 된다.
이는,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에 인가되는 검출 신호의 세기가 클수록 상기 트랜지스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커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저항(R1)이 가지는 용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검출 신호의 세기를 적절히 조절하여, 상기 멀티 전압의 방전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제 2 저항(R2) 및 제 3 저항(R3)은 상기 멀티 전압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멀티 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 저항이다.
제 4 저항(R4)은 상기 방전 저항의 출력단과, 상기 제 1 저항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며, 그에 따라 상기 방전 저항의 출력단과 상기 제 1 저항의 출력단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도록 한다.
즉, 상기 방전 저항의 출력단과 상기 제 1 저항의 출력단 사이에 전위차가 존재해야만, 상기 트랜지스터를 동작시킬 수 있는 검출 신호가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준 값은 0.7V이며,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검출 신호가 0.7V를 초과하는 시점에 폐쇄되며, 상기 0.7V의 초과 정도에 따라 상기 방전 저항을 통해 인가되는 멀티 전압의 방전 시간을 조절하게 된다.
트랜지스터(TR1)는 상기 제 1 저항을 통해 인가되는 검출 신호가 0.7V를 초과하는 시점에 폐쇄되어, 상기 제 2 저항 및 제 3 저항을 통해 인가되는 멀티 전압을 접지로 방전시킨다.
즉, 트랜지스터(TR1)는 교류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시점에만 선택적으로 폐쇄되어, 상기 멀티 전압을 방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멀티 전압의 방전 시간은 상기 제 1 저항의 값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으로 인가되는 검출 신호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실시 예에 따르면, 교류 전원의 검출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멀티 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부를 동작시킴으로써, 전력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의 증폭 기능을 이용하여 기존 회로보다 보다 빠르게 멀티 전압을 방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교류 전원 입력부
120: 입력 정류부
130: PFC부
140: 인버터부
150: 출력 정류부
160: 멀티 전압 출력부
170: 방전부

Claims (11)

  1. 교류 전원의 입력단에 배치되고, 상기 교류 전원의 입력 상태에 따른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수신부;
    부하에서 필요로 하는 직류 전원에 대응하는 멀티 전압의 출력단에 배치되고, 상기 멀티 전압을 접지로 방전시키며, 상호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저항을 포함하는 저항부;
    상기 수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신부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검출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며, 저항을 포함하는 조절부;
    베이스단이 상기 조절부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이 상기 저항부에 연결되며, 콜렉터단이 접지에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교류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며,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조절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단으로 상기 하이 레벨의 검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폐쇄 동작하고,
    상기 조절부를 통해 크기가 조절된 상기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를 상기 베이스 단으로 입력받고,
    상기 베이스 단으로 입력되는 상기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는 속도로 상기 멀티 전압을 상기 콜렉터단에 연결된 접지로 방전시키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 단으로 입력되는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의 세기가 커지는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커짐에 따라 상기 멀티 전압의 방전 속도가 증가하는
    방전 회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저항부의 출력단 및 상기 스위칭 소자의 이미터 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부의 출력단 및 상기 스위칭 소자의 이미터단에 연결되며, 상기 조절부의 출력단과 상기 저항부의 출력단 사이의 전위차를 발생하는 전위차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방전 회로.
  5. 삭제
  6.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수신하는 교류 전원 입력부;
    상기 입력된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입력 정류부;
    상기 출력되는 직류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는 역률 보정부;
    상기 역률이 보정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부;
    상기 인버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변환된 교류 전원을 1차 측에서 2차 측으로 전달하는 트랜스포머;
    상기 전달되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 정류부;
    상기 출력 정류부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부하에서 필요로 하는 멀티 전압을 출력하는 멀티 전압 출력부; 및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멀티 전압 출력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교류 전원의 입력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멀티 전압을 접지로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전부는,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와 연결되고, 상기 교류 전원의 입력 상태에 따른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수신부;
    상기 멀티 전압 출력부의 출력 단에 연결되어 상기 멀티 전압을 접지로 방전시키며, 상호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저항을 포함하는 저항부;
    상기 수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신부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검출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며, 저항을 포함하는 조절부;
    베이스단이 상기 조절부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이 상기 저항부에 연결되며, 콜렉터단이 접지에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교류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며,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조절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단으로 상기 하이 레벨의 검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폐쇄 동작하고,
    상기 조절부를 통해 크기가 조절된 상기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를 상기 베이스 단으로 입력받고,
    상기 베이스 단으로 입력되는 상기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는 속도로 상기 멀티 전원을 상기 콜렉터단에 연결된 접지로 방전시키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 단으로 입력되는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의 세기가 커지는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커짐에 따라 상기 멀티 전원의 방전 속도가 증가하는
    전원 공급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일단이 상기 저항부의 출력단 및 상기 스위칭 소자의 이미터 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부의 출력단 및 상기 스위칭 소자의 이미터단에 연결되며, 상기 조절부의 출력단과 상기 저항부의 출력단 사이의 전위차를 발생하는 전위차 발생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1. 삭제
KR1020120123561A 2012-11-02 2012-11-02 방전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29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561A KR102029702B1 (ko) 2012-11-02 2012-11-02 방전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561A KR102029702B1 (ko) 2012-11-02 2012-11-02 방전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994A KR20140056994A (ko) 2014-05-12
KR102029702B1 true KR102029702B1 (ko) 2019-10-08

Family

ID=5088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561A KR102029702B1 (ko) 2012-11-02 2012-11-02 방전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366B1 (ko) * 2018-12-10 2020-01-28 최용한 에쓰시알(scr) 제어형 충방전식 저항용접기에서의 방전시간 단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0341A (ja) * 2009-12-01 2011-06-16 Nec Lighting Ltd 電源回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029B1 (ko) * 2002-06-12 2004-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스위치모드 파워 서플라이의에너지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94208A (ko) * 2009-02-18 2010-08-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역률 보상 회로
KR20120059129A (ko) * 2010-11-30 2012-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Ac 방전 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0341A (ja) * 2009-12-01 2011-06-16 Nec Lighting Ltd 電源回路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H. Hellen. "Verifying the diode-capacitor circuit voltage decay". 20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994A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60022B (zh) 为电源变换器提供过流保护的系统和方法
US9246404B2 (en) Power converter with active bleeding and ramp up-down delay and the method thereof
US10819222B2 (en) Circuitry for power factor correction and methods of operation
US8310845B2 (en) Power supply circuit with a control terminal for different functional modes of operation
US8339055B2 (en) Inrush current limiter for an LED driver
US9502963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switching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9787204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KR101422948B1 (ko) 역률 보정 회로
US20130057167A1 (en) Damper circuit for switched dimming
US9025348B2 (en) Drive circuit
US9504105B2 (en) On-time control for switched mode power supplies
KR20180095503A (ko) Igbt 단락 검출 및 보호 회로 및 igbt-기반 제어 가능한 정류 회로
JP2009081992A (ja) ソリッドステート・スイッチ用の高効率ドライバ回路
US20100033992A1 (en) Switching power supply controller and semiconductor device used for the same
US10483869B1 (en) Power conversion circuit having inrush current limiting resistor bypass
CN212486401U (zh) 电源和用于电源的外围电路
US9036387B2 (en) Alternating-current/direct-current converter
US8456872B2 (en) Switching power supply
KR101367954B1 (ko)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이의 스위칭 제어 회로
KR102029702B1 (ko) 방전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US8891263B2 (en) Inverter apparatus having power supply circuit
KR101422947B1 (ko) 역률 보정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
US20150188404A1 (en) Power supply and gate driver therein
KR102047826B1 (ko) 과전압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JP2019194974A (ja) 発光素子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