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311B1 - Self-generating faucet comprising thermoelectric module - Google Patents

Self-generating faucet comprising thermoelectric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311B1
KR102029311B1 KR1020180000125A KR20180000125A KR102029311B1 KR 102029311 B1 KR102029311 B1 KR 102029311B1 KR 1020180000125 A KR1020180000125 A KR 1020180000125A KR 20180000125 A KR20180000125 A KR 20180000125A KR 102029311 B1 KR102029311 B1 KR 102029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old water
thermoelectric module
self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1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2479A (en
Inventor
이승협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00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311B1/en
Publication of KR20190082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4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3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provisions against scalding, e.g. temperature limiting devices, external covers
    • H01L35/16
    • H01L35/18
    • H01L35/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10N10/852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comprising tellurium, selenium or sulfu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10N10/853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comprising arsenic, antimony or bismuth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8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자가 발전 수전이 제공된다. 상기 자가 발전 수전은, 온수 유입구, 냉수 유입구 및 상기 냉수 및 상기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바디(body), 및 상기 바디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냉수 및 상기 온수의 혼합 비율을 제어하는 밸브 모듈(valve module)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는, 상기 온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온수가 제공되는 온수 영역, 상기 냉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수가 제공되는 냉수 영역, 및 상기 온수 영역의 상기 온수와 접촉하는 제1 면, 및 상기 냉수 영역의 상기 냉수와 접촉하는 제2 면을 갖는 열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Self-powered faucets are provided. The self-powered faucet includes a body including a hot water inlet, a cold water inlet,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mixed water mixed with the cold water and the hot water is discharged, and an upper side of the body, whereby the mixing ratio of the cold water and the hot water is mixed. It includes a valve module (valve module) for controlling, wherein the body, the hot water region is provided with the hot water introduced from the hot water inlet, the cold water region provided with the cold water introduced from the cold water inlet, and the hot water region of It may include a thermoelectric module having a firs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hot water, and a seco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ld water of the cold water region.

Description

열전 모듈을 포함하는 자가 발전 수전{Self-generating faucet comprising thermoelectric module}Self-generating faucet comprising thermoelectric module

본 발명은 자가 발전 수전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 모듈을 포함하는 자가 발전 수전에 관련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elf-powered faucets and, more particularly, to self-powered faucets including thermoelectric modules.

국내 수전 시장은 연 2500억원 규모로 추산되며, 대림 B&Co, 아이에스동서, 로얄&컴퍼니 등 다양한 업체들이 수전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능을 갖는 수전을 개발 중이다. The domestic faucet market is estimated at W250bn annually, and various companies such as Daelim B & Co, IS East-West and Royal & Company are producing and selling faucets and developing faucets with new functions.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등록 실용신안 공보 20-0481882(실용신안권자 대림통상)에는 세면대에 냉, 온수관과 작동핀이 통과하기 위한 홀이 한개만으로 형성된 원홀형 세면대에서, 냉,온수관 및 작동 핀은 냉,온수관 수용공, 작동핀 수용공, 및 스크류 삽입공이 각각 구비되어진 와셔를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서로간에 간섭을 일으키지 아니하고 컴팩트하게 정리할 수 있는 수전 고정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Specifically, for example,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20-0481882 (utility model right holder Daelim Tong) in the one-hole washbasin with only one hole for passing cold, hot water pipes and operating pins in the sink, cold, hot water pipes and Since the operation pin is fixed through a washer provided with a cold, hot water pipe accommodation hole, an operation pin accommodation hole, and a screw insertion hole, there is disclosed a faucet fixing structure that can be compactly arranged without causing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다른 예를 들어, 등록 특허공보 10-1799207(특허권자 대림통상)에는 바디부는 압출공정에 의해 제작함으로써 상판에 위치한 통공, 측판에 위치한 관통공, 내벽에 위치한 볼트 가이드를 한꺼번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커버부는 프레스 공정에 의해 제작함으로써 판형부, 아크형 사이드부, 플랜지와 같은 굴곡면을 단번에 자연스럽 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비를 절감시키면서도 큰 사이즈의 샤워수전용 바디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고급화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샤워 수전이 개시되어 있다. In another exampl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99207 (Patent holder Daelim Tong) in the body portion is produced by the extrusion process to form a through-hole located on the top plate, through-holes located on the side plate, bolt guides located on the inner wall at the same time, cover The part can be naturally formed by bending process such as plate-shaped part, arc-type side part, and flange at once,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large size shower water body while reducing manufacturing cost. Of course, there is disclosed a shower faucet that has the effect of implementing a luxur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자가 발전 수전을 제공하는 데 있다. On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powered fauce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급되는 냉수 및 온수의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열전 모듈을 포함하는 자가 발전 수전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powered faucet including a thermoelectric module for producing electric power us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upplied cold water and hot wat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냉수 및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의 온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자가 발전 수전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powered faucet that can easily check the temperature of the mixed water mixed with cold water and hot wat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의 전력 공급이 없는 자가 발전 수전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powered faucet without an external power suppl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가 발전 수전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lf-powered fauce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가 발전 수전은, 온수 유입구, 냉수 유입구 및 상기 냉수 및 상기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바디(body), 및 상기 바디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냉수 및 상기 온수의 혼합 비율을 제어하는 밸브 모듈(valve module)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는, 상기 온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온수가 제공되는 온수 영역, 상기 냉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수가 제공되는 냉수 영역, 및 상기 온수 영역의 상기 온수와 접촉하는 제1 면, 및 상기 냉수 영역의 상기 냉수와 접촉하는 제2 면을 갖는 열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lf-powered faucet includes a body including a hot water inlet, a cold water inlet,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mixed water in which the cold water and the hot water are mixed is discharged, and the cold water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body. And a valve module configured to control a mixing ratio of the hot water, wherein the body includes: a hot water region provided with the hot water introduced from the hot water inlet, and a cold water region provided with the cold water introduced from the cold water inlet And a thermoelectric module having a firs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region and a seco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ld water in the cold water reg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는, 상기 혼합수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에서 센싱된 상기 혼합수의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ody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configured to sense a temperature of the mixed water,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the mixed water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열전 모듈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display unit may operate with power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modul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E-ink를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splay unit may use an E-ink.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온수 영역 및 상기 냉수 영역은, 상기 열전 모듈을 사이에 두고, 옆으로(lateral) 이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ot water region and the cold water region may be spaced laterally with the thermoelectric module interposed therebetwee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전 모듈은, BiTe계열 열전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hermoelectric module may include a BiTe series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전 모듈은, N 타입 열전 반도체 소자들 및 P 타입 열전 반도체 소자들이,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혼합된 방식으로, 배열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hermoelectric module may include N-typ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and P-typ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arranged in a series, parallel, or series-parallel mixed mann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수전은, 온수 유입구, 냉수 유입구 및 상기 냉수 및 상기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바디(body), 및 상기 바디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냉수 및 상기 온수의 혼합 비율을 제어하는 밸브 모듈(valve module)를 포함할 수 있다. Self-powered fauc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including a hot water inlet, a cold water inlet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mixed water mixed with the cold water and the hot water, and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the cold water And it may include a valve module (valve module) for controlling the mixing ratio of the hot water.

상기 바디 내에, 상기 온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온수가 제공되는 온수 영역, 상기 냉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수가 제공되는 냉수 영역, 및 상기 온수 영역의 상기 온수와 접촉하는 제1 면, 및 상기 냉수 영역의 상기 냉수와 접촉하는 제2 면을 갖는 열전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열전 모듈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온수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냉수로 열을 방출하여, 상기 열전 모듈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온도 차이에 따라서, 상기 열전 모듈에서 기전력이 생성될 수 있고, 상기 기전력은 상기 자가 발전 수전의 온도 센서, 디스플레이부 등에 사용될 수 있다. Within the body, a hot water region provided with the hot water introduced from the hot water inlet, a cold water region provided with the cold water introduced from the cold water inlet, a firs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hot water of the hot water region, and the cold water region A thermoelectric module having a seco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ld water may be provided.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bsorbs heat from the hot water, and the second surface releases heat to the cold wat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Electromotive force may be generated in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electromotive force may be used in a temperature sensor, a display, and the like of the self-powered fauce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수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수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수전의 바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수전의 바디 내에 배치된 열전 모듈에 의한 전력 생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수전의 바디 내에 배치된 열전 모듈에 의한 전력 생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수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lf-powered fauc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lf-powered fauc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dy of a self-powered fauc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wer generation by the thermoelectric module disposed in the body of the self-powered fauc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wer generation by the thermoelectric module disposed in the body of the self-powered fauc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lf-powered fauc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ed contents ar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deliver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mentioned to be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s.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us,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s its complementary embodiment. In addition, the term 'and / or' is used herein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listed before and after.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In the specification, the singular encompasses the plural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elemen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configuration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the term "connection" is used herein to mean both in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directly connecting.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수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수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수전의 바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수전의 바디 내에 배치된 열전 모듈에 의한 전력 생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lf-powered fauc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lf-powered fauc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Figure 3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dy of a self-powered fauc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1, Figure 4 is a power generation by the thermoelectric module disposed in the body of the self-powered fauc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for explainin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수전은, 바디(100) 및 밸브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4, a self-powered fauc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100 and a valve module 200.

상기 바디(100)로 냉수 및 온수가 유입되고, 상기 바디(100)로 유입된 냉수 및 온수는 혼합되어, 혼합수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Cold water and hot water flow into the body 100, cold water and hot water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may be mixed, and mixed water may be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port.

상기 밸브 모듈(200)은 상기 바디(100)의 홀(105) 상에 제공 및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 모듈(200)은, 레버(210), 커버(220), 누름 너트(230), 카트리지(240), 및 패킹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alve module 200 may be provided and connected to the hole 105 of the body 100. In detail, the valve module 200 may include a lever 210, a cover 220, a press nut 230, a cartridge 240, and a packing part 250.

상기 패킹부(250)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250)는 상기 바디(100)의 상기 홀(105) 내에 배치 및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240)는 상기 패킹부(250) 상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 너트(230) 및 상기 커버(220)를 통해 상기 레버(21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레버(21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레버(210)와 연결된 카트리지(240) 및 상기 패킹부(250)에 의해, 상기 바디(100) 내로 제공된 상기 냉수 및 상기 온수의 혼합 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The packing part 2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and the packing part 250 may be disposed and mounted in the hole 105 of the body 100. The cartridge 240 may be disposed on the packing part 25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lever 210 through the push nut 230 and the cover 220. The user may adjust the direction of the lever 210, and the mixing ratio of the cold water and the hot water provided into the body 100 by the cartridge 240 and the packing unit 250 connected to the lever 210 This can be adjusted.

상기 바디(100)는 온수 유입구(112), 냉수 유입구(112), 온수 영역(110), 냉수 영역(120), 및 열전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100 may include a hot water inlet 112, a cold water inlet 112, a hot water region 110, a cold water region 120, and a thermoelectric module 130.

상기 온수 유입구(112)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바디(100)로 상기 온수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온수 유입구(112)가 상기 바디(100)의 바닥면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온수 유입구(112)는 상기 바디(100)의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The hot water may flow into the body 100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hot water inlet 112. Although the hot water inlet 112 is illustrated in FIG. 4 as being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ot water inlet 112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dy 100.

상기 냉수 유입구(122)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바디(100)로 상기 냉수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냉수 유입구(122)가 상기 바디(100)의 바닥면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냉수 유입구(122)는 상기 바디(100)의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The cold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ld water inlet 122. Although the cold water inlet 122 is illustrated in FIG. 4 as being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ld water inlet 122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dy 100.

상기 온수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상기 온수가 상기 온수 영역(11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 유입구(122)를 통해 유입된 상기 냉수가 상기 냉수 영역(120)에 제공될 수 있다. The hot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hot water inlet 112 may be provided to the hot water region 110. In addition, the col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cold water inlet 122 may be provided to the cold water region 1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온수 영역(110) 및 상기 냉수 영역(120)은 상기 열전 모듈(130)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수 영역(110) 및 상기 냉수 영역(120)은 상기 열전 모듈(130)을 사이에 두고 옆으로(laterally)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250)가 상기 바디(100)의 상기 홀(105)을 패킹하면서, 상기 냉수 영역(120) 및 상기 온수 영역(110)이 물리적으로, 상기 열전 모듈(130)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ot water region 110 and the cold water region 120 may be divided by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Specifically, the hot water region 110 and the cold water region 120 may be spaced laterally with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interposed therebetween. While the packing part 250 packs the hole 105 of the body 100, the cold water region 120 and the hot water region 110 may be physically separated by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have.

상기 열전 모듈(130)은 상기 온수 영역(110)의 상기 온수 및 상기 냉수 영역(120)의 상기 냉수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전 모듈(130)은, 상기 온수와 접촉하는 제1 면, 및 상기 냉수와 접촉하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 모듈(130)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온수와 접촉하여, 상기 온수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고, 상기 열전 모듈(130)의 상기 제2 면은 상기 냉수와 접촉하여, 상기 냉수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전 모듈(130)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사이에 온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온도 차이에 의한 제백효과(seebeck effect)로 상기 열전 모듈(130)에서 전력이 생성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may directly contact the hot water of the hot water region 110 and the cold water of the cold water region 120. Specifically,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hot water, and a seco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ld water.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may be in contact with the hot water to receive heat from the hot water,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ld water to heat the cold water. Can be passed. Accordingly, a temperature dif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and power may be generated in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with a Seebeck effect caus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Can b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전 모듈(130)은, BiTe계열 열전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 모듈(130)은 N 타입 열전 반도체 소자들 및 P 타입 열전 반도체 소자들이,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혼합된 방식으로, 배열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0 pair, 60 pair, 또는 100pair 이상의 N 타입 열전 반도체 소자들 및 P 타입 열전 반도체 소자들이이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may include a BiTe series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may include N-typ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and P-typ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which are arranged in a series, parallel, or series-parallel mixed manner. Specifically, N typ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s and P typ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s of 30 pairs, 60 pairs, or 100 pairs or more may be connected and used.

또한, 상기 열전 모듈(130)은 10 x 10mm2 또는 5 x 5 mm2 등 다양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may have various sizes such as 10 x 10 mm 2 or 5 x 5 mm 2 .

또한, 제1 변형 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열전 모듈(130)은 상기 바디(100)의 내벽에 대해서 비스듬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100) 내의 상기 온수 및 상기 냉수와 각각 접촉하는 상기 열전 모듈(130)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접촉 면적이 넓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열전 모듈(130)이 효율적으로 열을 흡수 및 방출하여, 상기 열전 모듈(130)에서 전력이 효율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xample, unlike in FIG. 4,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may be disposed in an oblique form with respect to an inner wall of the body 100. Accordingly, the contact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in contact with the hot water and the cold water in the body 100 may be widened, and thus, the thermoelectric module ( 130 efficiently absorbs and releases heat, such that power may be efficiently generated in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또한, 제2 변형 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열전 모듈(130)은 상기 바디(100)의 바닥면에 대해서 비스듬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100) 내의 상기 온수 및 상기 냉수와 각각 접촉하는 상기 열전 모듈(130)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접촉 면적이 넓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열전 모듈(130)이 효율적으로 열을 흡수 및 방출하여, 상기 열전 모듈(130)에서 전력이 효율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xample, unlike the illustrated in FIG. 4,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may be dispos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Accordingly, the contact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in contact with the hot water and the cold water in the body 100 may be widened, and thus, the thermoelectric module ( 130 efficiently absorbs and releases heat, such that power may be efficiently generated in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또한, 제3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열전 모듈(130)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100) 내의 상기 온수 및 상기 냉수와 각각 접촉하는 상기 열전 모듈(130)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접촉 면적이 넓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열전 모듈(130)이 효율적으로 열을 흡수 및 방출하여, 상기 열전 모듈(130)에서 전력이 효율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cation, an uneven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Accordingly, the contact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in contact with the hot water and the cold water in the body 100 may be widened, and thus, the thermoelectric module ( 130 efficiently absorbs and releases heat, such that power may be efficiently generated in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상기 바디(100)는 상기 혼합수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에서 센싱된 상기 혼합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소비 전력이 적은 E-ink를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열전 모듈(130)에서 생성된 전력은,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전력 공급 없이, 상기 혼합수의 온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The body 10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that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mixed water, and a display that displays the temperature of the mixed water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e display unit may be driven using an E-ink with low power consumption. The power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may be used in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display unit. 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mixed water can be easily confirmed without additional power supply.

상술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달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온수 영역(110) 및 상기 냉수 영역(120)은 상기 열전 모듈(130)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수전이 설명된다. Unlik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water region 110 and the cold water region 120 are stacked with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interposed therebetween. It may be provided as. Hereinafter, the self-powered fauc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수전의 바디 내에 배치된 열전 모듈에 의한 전력 생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수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power generation by a thermoelectric module disposed in a body of a self-powered fauc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shows a self-powered fauc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perspective view.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기 온수가 제공되는 상기 온수 영역(110) 및 상기 냉수가 공급되는 상기 냉수 영역(120)은, 상기 열전 모듈(130)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수 영역(110), 상기 열전 모듈(130) 및 상기 냉수 영역(1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5 and 6,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hot water region 110 in which the hot water is provided and the cold water region 120 in which the cold water is supplied are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 And may be provided in a stacked form. Specifically, the hot water region 110,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and the cold water region 120 may be sequentially stacked.

상기 열전 모듈(130)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온수로부터 열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전 모듈(130)의 상기 제1 면으로 열을 공급한 상기 온수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저하되어 하강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온수가 상승하여 상기 열전 모듈(130)의 상기 제1 면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열전 모듈(130)의 아래에 상기 온수 영역(110)이 제공됨에 따라서, 상기 열전 모듈(130)의 상기 제1 면으로 열을 전달한 상기 온수와 상기 제1 면으로 열을 전달하지 않은 상기 온수 사이에 대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열전 모듈(130)의 상기 제1 면으로 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may receive heat from the hot water. In this case, the hot water supplied with heat to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is lowered due to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d the hot water with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rises to increase the first temperatur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Heat can be supplied to the cotton. In other words, as the hot water region 110 is provided below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the hot water that has transferred heat to the first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and the first side do not transfer heat. Convection occurs between the hot water, and thus, heat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상기 열전 모듈(130)의 상기 제2 면은 상기 냉수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전 모듈(130)의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열을 공급받은 상기 냉수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아져 상승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수가 하강하여 상기 열전 모듈(130)의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열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열전 모듈(130)의 위에 상기 냉수 영역(120)이 제공됨에 따라서, 상기 열전 모듈(130)의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상기 냉수와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지 않은 상기 냉수 사이의 대류에 의해, 상기 열전 모듈(130)의 상기 제2 면으로 상기 냉수로 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The secon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may supply heat to the cold water. In this case, the cold water supplied with heat from the secon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rises due to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nd the cold water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falls, thereby lowering the secon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Heat can be supplied from In other words, as the cold water region 120 is provided on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the cold water and heat transmitted from the secon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do not receive heat from the second surface. By convection between the cold water, heat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cold water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상기 온수가 제공되는 상기 온수 영역(110) 및 상기 냉수가 공급되는 상기 냉수 영역(120)은, 상기 열전 모듈(130)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밸브 모듈(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water region 110 to which the hot water is provided and the cold water region 120 to which the cold water is supplied are interposed between the thermoelectric module 130. In addition, when provided in a stacked form, the valve module 20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100, as shown in FIG. 6.

또한, 제1 내지 제3 변형 예에서 상술된 기술적 사상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수전에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to third modified examples may be applied to the self-power generation fauc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preferable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Comprising: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ttached Claim.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바디
105: 홀
110: 온수 영역
112: 온수 유입구
120: 내수 영역
122: 냉수 유입구
130: 열전 모듈
200: 밸브 모듈
210: 레버
220: 커버
230: 누름 너트
240: 카트리지
250: 패킹부
100: body
105: hall
110: hot water zone
112: hot water inlet
120: inland zone
122: cold water inlet
130: thermoelectric module
200: valve module
210: lever
220: cover
230: push nut
240: cartridge
250: packing part

Claims (7)

온수 유입구, 냉수 유입구 및 상기 냉수 및 상기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바디(body); 및
상기 바디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냉수 및 상기 온수의 혼합 비율을 제어하는 밸브 모듈(valve module)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는,
상기 온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온수가 제공되는 온수 영역;
상기 냉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수가 제공되는 냉수 영역; 및
상기 온수 영역의 상기 온수와 접촉하는 제1 면, 및 상기 냉수 영역의 상기 냉수와 접촉하는 제2 면을 갖는 열전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온수 영역, 상기 열전 모듈, 및 상기 냉수 영역은 차례로 적층된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온수 영역 및 상기 냉수 영역은 상기 열전 모듈에 의해서만 구획되고,
상기 열전 모듈은, 상기 바디의 바닥면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자가 발전 수전.
A body including a hot water inlet, a cold water inlet,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mixed water mixed with the cold water and the hot water is discharged;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including a valve module (valve module) for controlling the mixing ratio of the cold water and the hot water,
The body,
A hot water region provided with the hot water introduced from the hot water inlet;
A cold water region provided with the cold water introduced from the cold water inlet; And
It includes a thermoelectric module having a firs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hot water of the hot water region, and a seco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ld water of the cold water region,
The hot water region,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cold water region are provided in a stacked form in turn,
The hot water region and the cold water region are partitioned only by the thermoelectric module,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a self-powered faucet comprising an oblique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혼합수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에서 센싱된 상기 혼합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자가 발전 수전.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mixed water; And
Self-powered faucet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emperature of the mixed water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열전 모듈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가 발전 수전.
The method of claim 2,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display unit, self-powered faucet comprising operating with the power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modul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E-ink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가 발전 수전.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play unit, self-powered faucet comprising using the E-ink.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모듈은, BiTe계열 열전 반도체를 포함하는 자가 발전 수전.
The method of claim 1,
The thermoelectric module includes a BiTe series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모듈은, N 타입 열전 반도체 소자들 및 P 타입 열전 반도체 소자들이,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혼합된 방식으로, 배열된 것을 포함하는 자가 발전 수전.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aid thermoelectric module comprises N typ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s and P typ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s arranged in a series, parallel, or series-parallel mixed manner.
KR1020180000125A 2018-01-02 2018-01-02 Self-generating faucet comprising thermoelectric module KR1020293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125A KR102029311B1 (en) 2018-01-02 2018-01-02 Self-generating faucet comprising thermoelectric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125A KR102029311B1 (en) 2018-01-02 2018-01-02 Self-generating faucet comprising thermoelectric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479A KR20190082479A (en) 2019-07-10
KR102029311B1 true KR102029311B1 (en) 2019-10-07

Family

ID=6725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125A KR102029311B1 (en) 2018-01-02 2018-01-02 Self-generating faucet comprising thermoelectric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31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591B1 (en) * 2019-12-13 2021-04-14 문석현 Pipe Conduit Type Ultraviolet Sterilization Device Operated By Peltier El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1090B (en) * 2020-01-09 2022-10-26 Kohler Mira Ltd Thermoelectric device
KR102523869B1 (en) * 2021-05-25 2023-04-21 퓨트로텍 주식회사 Apparatus for displaying temperature of water in fauc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9543A (en) 2004-06-25 2006-01-12 Susumu Urisawa City water heat exchanger
JP2013205392A (en) * 2012-03-29 2013-10-07 Lixil Corp Usage measurement system
JP2015128351A (en) * 2013-12-27 2015-07-09 株式会社東芝 Thermoelectric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909A (en) * 2009-07-03 2011-01-11 진승섭 A device for emitting different color light depending on water temperature
KR20110119337A (en) * 2010-04-27 2011-11-02 삼성전기주식회사 Bidet using thermoelectric module
KR20140134540A (en) * 2013-05-14 2014-11-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Temperature/flow digital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9543A (en) 2004-06-25 2006-01-12 Susumu Urisawa City water heat exchanger
JP2013205392A (en) * 2012-03-29 2013-10-07 Lixil Corp Usage measurement system
JP2015128351A (en) * 2013-12-27 2015-07-09 株式会社東芝 Thermoelectric gen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591B1 (en) * 2019-12-13 2021-04-14 문석현 Pipe Conduit Type Ultraviolet Sterilization Device Operated By Peltier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479A (en)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311B1 (en) Self-generating faucet comprising thermoelectric module
EP2131405A3 (en) Thermoelectric module device and heat exchanger used therein
US11499746B2 (en) Modular manifold for a tankless water heater
RU2154875C2 (en) Gear to heat and cool liquid
WO2006052317A3 (en) Liquid cold plate heat exchanger
WO2008042073A3 (en) Pipeline thermoelectric generator assembly
JP2008042214A5 (en)
US7938577B2 (en) Fluid temperature control device
CN201152618Y (en) Heating apparatus
RU98119358A (en) LIQUID HEATING AND COOLING DEVICE
CN202350373U (en) Thermoelectric cooler (TEC)
KR101490341B1 (en) Cooling and heating water system
WO2004102054A1 (en) Fluid control device with heater
CN108288626B (en) Imaging sensor and the method for forming imaging sensor
KR100570715B1 (en) Cabinet cooling system
TW201347370A (en) Electric power converter
KR101079668B1 (en) Cooling and heating water system for peltier
KR101712354B1 (en) High efficiency thermoelectric generation system
JP2011187669A (en) Heat transfer structure of power generation unit
KR101558053B1 (en) heat exchanger
US20130047631A1 (en) Water dispenser
KR101496880B1 (en) The apparatus of hot and cool mat with water
KR101456164B1 (en) The apparatus of hot and cool mat with water
EP3108748B1 (en) Aquarium thermostat using plurality of peltier elements and method for adjusting breeding water temperature
KR200423050Y1 (en) Warm water device the moment for irrig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