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856B1 - Dust collecting device and perfor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ust collecting device and perfor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856B1
KR102028856B1 KR1020190018319A KR20190018319A KR102028856B1 KR 102028856 B1 KR102028856 B1 KR 102028856B1 KR 1020190018319 A KR1020190018319 A KR 1020190018319A KR 20190018319 A KR20190018319 A KR 20190018319A KR 102028856 B1 KR102028856 B1 KR 102028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earing
drill
cabine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3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riority to KR102019001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8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8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device and a drill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ust collecting device and a drill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suck dust created in a process of performing drilling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ing device comprises: a handle part installed on a drill shaft; and a covering part connected to an end of the handle part. The handle part includes: a first body part including a through hole penetrated by the drill shaft; a first connecting part formed on an end of the body part for connection to the covering part; and a bearing part arranged betwee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drill shaft. The covering part includes: a second body part wherein a second connecting part for connection to the first body part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opened; and a suction part which is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second body part, and includes a suction hole.

Description

집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천공장치{DUST COLLECTING DEVICE AND PERFOR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Dust collector and perfor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DUST COLLECTING DEVICE AND PERFOR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집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or and a perfor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천공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는 집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device capable of sucking dus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drilling operation, and a drill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실내에 에어컨 등의 배관작업 시 천정이나 벽을 드릴을 사용하여 천공하게 되는데, 이때 드릴로 천공작업 시 분진이 비산되어 실내 공기를 혼탁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분진이 작업자의 호흡기로 직접 유입되어 각종 호흡기질환을 유발하게 되며, 호흡기 외에도 안구에 유입되어 각종 안(眼)질환을 발병시킬 수 있다.In general, when drilling plumbing work such as air conditioner indoors, the ceiling or wall is drilled. In this case, when drilling with the drill, dust is scattered, not only to cloud the indoor air, but also dust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worker's respirator. It causes a variety of respiratory diseases, in addition to the respiratory tract can enter the eye can cause various eye diseases.

이를 방지코자 무더운 여름이라도 사용자는 반드시 별도의 마스크 또는 보호안경을 착용해야 하므로 불편함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별도로 마스크 또는 보호안경을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실정이었다.To prevent this, even in the hot summer, the user must wear a separate mask or goggles, not only to cause inconvenience, but also to have a cumbersome problem of having a separate mask or goggl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0049호[문헌 1]에서는 천공작업에 있어 분진 수집을 위해 유연성의 연질인 투명비닐로 제조되는 투명비닐 먼지필터를 천공장치에 적용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solving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No. 10-0830049 [Document 1] is a technology for applying a transparent vinyl dust filter made of a transparent soft vinyl to the drilling device for dust collection in the drilling operation Posting configuration.

그러나 문헌 1에 따른 기술에서는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는 경우 투명비닐 먼지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literature 1 has the trouble of replacing the transparent vinyl dust filter when a large amount of dust is generated.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26999호[문헌 2]에서는 드릴비트 일측에 결합되며 흡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고 회전구동력을 통해 분진과 기체를 분리하여 분진만 수용하는 집진부 및 집진부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력 및 드릴비트에 의해 발생된 분진의 확산을 방지하고 흡입구로 분진을 전달하는 방진부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As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8-0126999 [Patent 2]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ill bit and provid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and separates dust and gas through rotational driving force. It disclose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dust collecting unit for receiving dust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to prevent the spread of dust generated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and the drill bit and to transfer the dust to the suction port.

그러나 문헌 2에 따른 기술에서는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는 경우 분진을 집진부를 분리하여 분진을 제거한 이후에 다시 작업을 재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in the technique according to Document 2, when a large amount of dust is generated, it is troublesome to separate the dust to separate the dust collector and to resume work after removing the dust.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5289호[문헌 3]에서는 천공드릴용 집진장치를 벽면 등에 밀착시키고, 집진장치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드릴을 삽입하여 천공작업을 진행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In another prior ar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8-0005289 [Document 3] is to closely adhere to the dust collector for the drilling drill on the wall, and insert the drill through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dust collecto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drilling work is posted.

그러나 문헌 3에 따른 기술에서는 집진장치와 드릴 사이의 벌어진 공간으로 분진이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document 3, there is a problem that dust may leak into the gap between the dust collector and the drill.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0049호[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30049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26999호[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26999 [문헌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5289호[Document 2] 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0-2008-0005289

본 발명은 천공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효과적이면서도 연속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집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device that can effectively and continuously inhale dus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a drilling operation, and a fabric mill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천공 작업 중 혹은 천공 작업 이후에 뒤처리가 용이한 집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device and a fabric mill including the same, which is easy to post-treatment during or after drilling.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는 드릴 축(Drill Axis)에 설치되는 손잡이부(Handle Part) 및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에 연결되는 덮개부(Cover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드릴 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 1 본체(First Body Part), 상기 본체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와의 연결을 위한 제 1 연결부(First Connecting Part) 및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드릴 축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부(Bear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일측에는 상기 제 1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제 2 연결부(Second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타측은 열린(Open) 제 2 본체(Second Body Part) 및 상기 제 2 본체의 측벽(Side Wall)에 형성되며, 흡입홀(Inhalation Hole)을 포함하는 흡입부(Inhalation Part)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part installed on a drill axis and a cover part connected to an end of the handle part. The handle part penetrates through the drill axis. A first body part including a hole, formed at an end of the body, and disposed between a first connecting part for connecting to the cover part an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drill shaft; The bearing part includes a bearing part, and the cover part has a second connecting part for connection with the first body on one side thereof, and an open second body part on the other side thereof. And an inhalation part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second body and including an inhalation hole.

또한, 상기 제 1 본체의 내측에는 동심원 형태의 제 1 홈(First Hollow)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제 1 홈에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부는 내륜(Inner Race), 외륜(Outer Race) 및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배치되는 롤링부(Rolling Part)를 포함하는 베어링(Bearing), 동심원 형태를 가지며, 상기 드릴 축의 길이방향(Longitudinal Direction)으로 상기 베어링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드릴 축을 향하는 제 2 홈(Second Hollow)을 포함하는 오링 캐비닛(O-Ring Cabinet) 및 상기 오링 캐비닛의 상기 제 2 홈에 배치되고, 상기 드릴 축을 향해 상기 오링 캐비닛 보다 더 연장되는 오링(O-Ring)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groove having a concentric shape is formed inside the first body, the bearing portion is disposed in the first groove, and the bearing portion is an inner race, an outer race, and the A bearing including a rolling part disposed between an inner ring and an outer ring, the bearing having a concentric shape, disposed adjacent to the bear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ll axis, and facing the drill axis; An O-ring cabinet including a second hollow and an o-ring disposed in the second groove of the o-ring cabinet and extending more than the o-ring cabinet toward the drill axis. have.

또한, 오링 캐비닛의 측면은 상기 베어링의 상기 내륜에 대응되고, 오링 캐비닛의 직경은 상기 베어링의 상기 외륜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of the o-ring cabinet may correspond to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the diameter of the o-ring cabinet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

또한, 상기 드릴 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어링은 상기 오링 캐비닛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거나, 상기 드릴 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어링은 상기 오링 캐비닛과 상기 덮개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ll shaft, the bearings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ring cabinet, respectively, 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ll shaft, the bearing may be located between the O-ring cabinet and the cover part.

또한, 상기 드릴 축에는 동심원 형태의 제 3 홈(Third Hollow)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은 상기 제 3 홈에 대응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groove (Third Hollow) of the concentric shape is formed in the drill shaft, the O-ring may correspond to the third groove.

또한, 상기 덮개부는 상기 흡입홀을 개폐하기 위한 마개부(Cap Part)를 더 포함하고, 흡입홀에는 흡입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The cover part may further include a cap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hole, and a suc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hole.

또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 2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며, 연성을 갖는 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part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ody, and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part having ductility.

또한, 상기 제 2 본체는 상기 제 1 서브 본체(First Sub Body Part) 및 상기 제 1 서브 본체와 연결되는 제 2 서브 본체(First Sub Body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 본체는 상기 제 2 서브 본체와 상기 손잡이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흡입홀은 상기 제 1 서브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드릴 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 1 서브 본체의 길이는 상기 제 2 서브 본체의 길이보다 더 짧을 수 있다.The second main body may include a first sub body part and a first sub body part connected to the first sub body, and the first sub body may include the second sub body part. Located between the sub main body and the handle portion, the suction hole is formed in the first sub main body, the length of the first sub main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ll axis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ub main body.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 1 본체의 외측면(Outer Surface)에 형성되는 굴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 본체와 상기 제 2 서브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part may further include a bent par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 body and the second sub body.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는 드릴 축(Drill Axis)과, 상기 드릴 축의 끝단에 배치되는 드릴(Drill)을 포함하는 드릴 부(Drill Part) 및 상기 드릴 부에 연결되는 집진부(Dust Collection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드릴 축(Drill Axis)에 설치되는 손잡이부(Handle Part) 및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에 연결되는 덮개부(Cover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드릴 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 1 본체(First Body Part), 상기 본체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와의 연결을 위한 제 1 연결부(First Connecting Part), 및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드릴 축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부(Bear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일측에는 상기 제 1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제 2 연결부(Second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타측은 열린(Open) 제 2 본체(Second Body Part) 및 상기 제 2 본체의 측벽(Side Wall)에 형성되며, 흡입홀(Inhalation Hole)을 포함하는 흡입부(Inhalation Part)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bric m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ll axis, a drill part including a drill disposed at an end of the drill axis, and a dust collection part connected to the drill part. The dust collecting part may include a handle part installed on a drill axis and a covering part connected to an end of the handle part, and the handle part may includ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drill axis passes. A first body including a first body part, a first connecting part formed at an end of the main body, and a bearing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drill shaft; And a covering part, wherein the cover part has a second connecting part for connection with the first body on one side, and an open second body part on the other side; Sidewalls of the second body It may be formed in the ll, and may include an inhalation part including an inhalation hole.

본 발명에 집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천공장치는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더라도 발생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분진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or and the cloth mill including the same have an effect of effectively inhaling dust generated even when a large amount of dust is generated to prevent scattering of dus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천공장치는 천공작업 중 혹은 천공작업의 종료 후에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집진장치를 핸들링함으로써, 조작 및 뒤처리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or and the cloth mill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asy operation and post-treatment by handling the dust collector using the handle portion during or after the drilling operation.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7은 손잡이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2는 덮개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to 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ri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to 1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handle portion.
18 to 2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ver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천공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the drill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embodiments, it can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and / or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document,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to have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be interpret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may not be.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과 교차(수직)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first direction DR1 may cross (vertical) the second direction DR2.

여기서, 제 1 방향(DR1)은 길이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을 의미하고, 제 2 방향(DR2)은 폭방향(Latitudinal Direction)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first direction DR1 may mea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mean a width direction.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to 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ri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10A)는 드릴 부(Drill Part, 2A)와 집진부(Dust Collection Part, 1A)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drilling apparatus 1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ill part 2A and a dust collection part 1A.

드릴 부(2A)는 벽(Wall) 등에 구멍을 뚫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릴 부(2A)는 드릴 본체(30), 드릴 축(Drill Axis, 31) 및 드릴 축(31)의 끝단에 배치되는 드릴(Drill, 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ll portion 2A can drill a hole in a wall or the like. To this end, the drill portion 2A may include a drill body 30, a drill axis 31, and a drill 32 disposed at an end of the drill axis 31.

드릴 본체(30)에는 모터(Motor) 등의 동력수단, 배터리(Battery) 등의 전원공급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ll body 30 may include power means such as a motor, power supply means such as a battery, and the like.

드릴 축(31)은 드릴 본체(30)의 동력수단에 연결되고, 회전할 수 있다.The drill shaft 31 is connected to the power means of the drill body 30 and can rotate.

이러한 드릴 축(31)은 회전운동만 할 수도 있고, 회전운동과 전진/후퇴 운동을 함께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The drill shaft 31 may be a rotary motion only, it may be possible to perform a rotary motion and the forward / backward movement together.

드릴(32)은 드릴 축(31)의 회전에 따라 벽(Wall) 등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The drill 32 may form a hole in a wall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ll shaft 31.

작업자는,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10A)를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벽(5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구동시킬 수 있다.The operator can drive the drilling device 1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50 for forming the hole, as shown in FIG. 2.

그러면, 벽(50)에 구멍을 형성하면서도, 발생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다.Then, while forming a hole in the wall 5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llect and remove the dust generated.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드릴 부(2A)의 타입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드릴 부(2A)는 코어 드릴(Core Drill), 임팩트 드릴(Impact Drill), 해머 드릴(Hammer Drill) 등 다양한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The type of drill portion 2A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vary.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ll part 2A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such as a core drill, an impact drill, a hammer drill, and the like.

본 문서에서는 드릴 부(2A)를 코어 드릴 타입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document, it is assumed that the drill portion 2A is a core drill type.

드릴 부(2A)가 코어 드릴 타입인 경우, 드릴(32)은 코어비트일 수 있다.When the drill portion 2A is a core drill type, the drill 32 may be a core bit.

집진부(1A)는 드릴 부(2A)에 연결되고, 드릴 부(2A)의 천공 작업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분진)을 포집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part 1A is connected to the drill part 2A, and can collect the foreign matter (dust), such as dust which may arise at the time of the drilling operation of the drill part 2A.

이를 위해, 집진부(1A)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진공청소기 등의 흡입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To this end, although not shown, a suction device such as a vacuum cleaner may be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part 1A.

집진부(1A)는, 도 3과 같이, 손잡이부(Handle Part, 10) 및 덮개부(Covering Part, 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part 1A may include a handle part 10 and a cover part 20 as shown in FIG. 3.

손잡이부(10)는 드릴 축(31)에 설치될 수 있다.The handle portion 10 may be installed on the drill shaft 31.

이러한 손잡이부(10)는 천공 작업 도중 또는 천공 작업 이후에 천공장치(10A)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Such a handle portion 10 may facilitate handling of the drilling device 10A during or after the drilling operation.

예를 들면, 작업자가 천공 작업 도중 또는 천공 작업 이후에 손잡이부(10)를 잡고 집진부(1A)를 흔들어서 발생한 분진이 도시하지 않은 흡입장치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or may help the dust generated by grabbing the handle portion 10 and shaking the dust collector 1A during or after the drilling operation to be easily sucked into the suction device (not shown).

아울러, 손잡이부(10)는 천공 작업 도중에 집진부(1A)가 드릴 부(2A)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10 can prevent the dust collecting portion 1A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drill portion 2A during the drilling operation.

예를 들면, 작업자가 천공 작업 도중 또는 천공 작업 이후에 손잡이부(10)를 잡고 집진부(1A)를 흔들더라도 집진부(1A)가 드릴 부(2A)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even if the worker grasps the handle portion 10 and shakes the dust collecting portion 1A during or after the drilling operation, the dust collecting portion 1A may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drill portion 2A.

덮개부(20)는 천공 작업 시 발생하는 분진을 단속하여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cover part 20 may prevent dust from occurring during the drilling operation so as not to spread to the outside.

이를 위해, 덮개부(20)와 드릴 축(31) 또는 드릴(32)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o this end, it may be desirable to ensure sufficient space between the lid 20 and the drill shaft 31 or drill 32.

예를 들면, 폭방향(제 2 방향(DR2))으로 덮개부(20)의 폭(W2)은 손잡이부(10)의 폭(W1)보다 더 클 수 있다.For example, the width W2 of the lid 20 in the width direction (second direction DR2)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W1 of the handle 10.

아울러, 분진을 더욱 효과적으로 단속하기 위해 덮개부(20)는 드릴(32)을 덮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portion 20 may cover the drill 32 to control the dust more effectively.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려 집진부(1A)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ust collecting part 1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 내지 도 17은 손잡이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4 to 1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handle portio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parts may be omitted.

도 4의 (A), (B)를 살펴보면, 집진부(1A)의 손잡이부(10)는 제 1 본체(First Body Part, 11), 제 1 연결부(First Connecting Part, 12) 및 베어링부(Bearing Part, 1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A) and (B) of FIG. 4, the handle part 10 of the dust collecting part 1A includes a first body part 11, a first connecting part 12, and a bearing part. Part 13) may be included.

도 4의 (A)는 제 1 본체(11)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의 (B)는 제 1 본체(11)에 베어링부(13)가 배치된 상태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A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first main body 11, and FIG. 4B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in a state where the bearing portion 13 is disposed on the first main body 11. .

아울러, 손잡이부(10)는 제 1 홈(First Hollow, 14) 및 굴곡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part 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groove 14 and a bent part 15.

제 1 본체(11)는 손잡이부(10)의 전체적인 틀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body 11 may form an overall frame of the handle portion 10.

이러한 제 1 본체(11)는 드릴 축(31)이 길이방향(제 1 방향(DR1))으로 관통하는 관통홀(H1)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ody 11 may include a through hole H1 through which the drill shaft 31 penetr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제 1 연결부(12)는 본체(11)의 끝단에 형성되며, 덮개부(20)와의 연결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연결부(12)는 나사선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main body 11 and may be used for connection with the cover part 20.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for the first connection part 12 to comprise a thread.

굴곡부(15)는 제 1 본체(11)의 외측면(Outer Surface)에 형성되고, 작업자가 손잡이부(1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bent part 15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 and may allow an operator to easily grasp the handle part 10.

베어링부(13)는 드릴 축(31)이 제 1 본체(11)에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어링부(13)는 제 1 본체(11)와 드릴 축(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bearing portion 13 may allow the drill shaft 31 to rotate smoothly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first body 11. To this end, the bearing portion 1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11 and the drill shaft 31.

베어링부(13)는 제 1 본체(11)의 양쪽 끝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bearing parts 13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irst body 11, respectively.

이러한 베어링부(13)를 안정적으로 제 1 본체(11)에 배치하기 위해, 제 1 본체(11)의 내측에는 동심원 형태의 제 1 홈(14)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tably arrange the bearing part 13 in the first main body 11, a first groove 14 having a concentric shape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main body 11.

베어링부(13)는 제 1 홈(14)에 배치될 수 있다.The bearing part 13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groove 14.

이러한 베어링부(13)는, 도 5와 같이, 베어링(Bearing, 130), 오링 캐비닛(O-Ring Cabinet, 131) 및 오링(O-Ring, 1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bearing part 13 may include a bearing 130, an O-ring cabinet 131, and an O-ring 132 as shown in FIG. 5.

베어링(130)은 드릴 축(3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130)은 내륜(Inner Race, 130a), 외륜(Outer Race, 130b) 및 내륜(130a)과 외륜(130b)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롤러(Roller) 또는 볼(Ball)을 포함하는 롤링부(Rolling Part, 130c)를 포함할 수 있다.The bearing 130 may allow the drill shaft 31 to rotate smoothly. The bearing 130 is disposed between an inner race 130a, an outer race 130b and an inner race 130a and an outer race 130b and includes at least one roller or ball. It may include a rolling part (130c).

여기서, 내륜(130a)과 외륜(130b)은 롤링부(130c)를 사이에 두고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Here, the inner ring 130a and the outer ring 130b may be independently rotated with the rolling part 130c interposed therebetween.

오링 캐비닛(131)은, 도 5, 6, 7과 같이, 동심원 형태를 가지며, 드릴 축(31)의 길이방향(제 1 방향(DR1))으로 베어링(13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5, 6, and 7, the O-ring cabinet 131 has a concentric shape, an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bearing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of the drill shaft 31.

아울러, 오링 캐비닛(131)은 드릴 축(31)을 향하는 제 2 홈(Second Hollow, 131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링 캐비닛(131)의 단면은 일측은 열리고 타측은 닫힌 'ㄷ'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오링 캐비닛(131)은 자동차 타이어(Tire)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O-ring cabinet 131 may include a second hollow 131a facing the drill shaft 31. For example, the cross section of the O-ring cabinet 131 may have a 'c'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and the other side is closed. In another aspect, the O-ring cabinet 131 may have a form of a car tire.

오링(132)은 고무, 합성수지 등의 연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고, 오링 캐비닛(131)에 설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오링(132)은 오링 캐비닛(131)의 제 2 홈(131a)에 설치될 수 있다.The O-ring 132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ductility such as rubber and synthetic resin, and may be installed in the O-ring cabinet 131. In detail, the O-ring 132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groove 131a of the O-ring cabinet 131.

오링(132)은 오링 캐비닛(131)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링(132)의 회전에 따라 오링 캐비닛(131)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The O-ring 132 may be firmly fixed to the O-ring cabinet 131. Accordingly, the O-ring cabinet 131 may als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O-ring 132.

여기서, 오링 캐비닛(131)은 오링(132)의 재질보다는 더 단단한 성질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링 캐비닛(131)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링 캐비닛(131)은 오링(132)보다 마찰에 더 강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O-ring cabinet 131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 harder property than the material of the O-ring 132. For example, the O-ring cabinet 131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Accordingly, the O-ring cabinet 131 may have a stronger resistance to friction than the O-ring 132.

아울러, 도 7과 같이, 오링(132)은 드릴 축(31)을 향해 오링 캐비닛(131) 보다 소정 길이(d1)만큼 더 연장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오링(132)이 오링 캐비닛(131)의 제 2 홈(131a)에 설치된 상태에서 오링(132)은 오링 캐비닛(131)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O-ring 132 may extend further by a predetermined length d1 than the O-ring cabinet 131 toward the drill shaft 31. In other words, the O-ring 132 may protrude more than the O-ring cabinet 131 with the O-ring 132 installed in the second groove 131a of the O-ring cabinet 131.

도 8을 살펴보면, 베어링(130)과 오링 캐비닛(131)은 제 1 본체(11)의 제 1 홈(14) 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길이방향(제 1 방향(DR1))으로 베어링(130)과 오링 캐비닛(131)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bearing 130 and the O-ring cabinet 131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groove 14 of the first body 11. Accordingly, the bearing 130 and the O-ring cabinet 131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다른 관점에서 보면, 길이방향(제 1 방향(DR1))으로 오링 캐비닛(131)의 측면(Side Surface, SS1)은 베어링(130)의 내륜(130a)에 대응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side surface SS1 of the O-ring cabinet 1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may correspond to the inner ring 130a of the bearing 130.

자세하게는, 제 1 본체(11)의 관통홀(H1)에 드릴 축(31)이 설치될 상태에서, 길이방향(제 1 방향(DR1))으로 오링 캐비닛(131)의 측면(SS1)은 베어링(130)의 내륜(130a)과 중첩(Overlap)하고, 외륜(130b)과는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In detail, in the state in which the drill shaft 31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H1 of the first main body 11, the side surface SS1 of the O-ring cabinet 1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is bearing It may overlap with the inner ring 130a of 130 and may not overlap with the outer ring 130b.

이를 위해, 오링 캐비닛(131)의 직경(R1)은 베어링(130)의 외륜(130b)의 직경(R2)보다 작을 수 있다.To this end, the diameter R1 of the O-ring cabinet 131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R2 of the outer ring 130b of the bearing 130.

이러한 상태에서, 오링 캐비닛(131)에 설치된 오링(132)은 드릴 축(31)에 밀착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O-ring 132 installed in the O-ring cabinet 131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ll shaft 31.

이에 따라, 드릴 축(31)이 회전하는 경우에 오링(132)과 오링 캐비닛(131)이 회전하고, 오링 캐비닛(131)의 측면(SS1)과 베어링(130)의 내륜(130a)의 측면의 마찰에 의해 내륜(130a)이 회전할 수 있다. 반면에, 베어링(130)의 외륜(130b)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rill shaft 31 rotates, the O-ring 132 and the O-ring cabinet 131 rotate, and the side surface SS1 of the O-ring cabinet 13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inner ring 130a of the bearing 130 are rotated. The inner ring 130a may rotate by friction. On the other hand, the outer ring 130b of the bearing 130 may not rotate.

이처럼, 오링(132)과 오링 캐비닛(131)이 단단히 고정되어 있어서 드릴 축(31)의 회전 시에 오링 캐비닛(131)의 측면(SS1)과 내륜(130a)의 측면의 마찰로 인해 내륜(130a)이 회전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무른 성질을 갖는 오링(132)의 소모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링(132)의 교체 주기를 늘일 수 있어서 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uch, the O-ring 132 and the O-ring cabinet 131 are firmly fixed so that the inner ring 130a is caused by friction between the side surface SS1 of the O-ring cabinet 13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inner ring 130a when the drill shaft 31 rotates. Because of the rotation, the consumption of the O-ring 132 having a relatively soft property can be suppressed. Accordingly,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O-ring 132 can be increased, thereby reducing management costs and improving reliability.

드릴 축(31)의 회전 시 오링 캐비닛(131)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제 1 홈(14) 내에서 길이방향(제 1 방향(DR1))으로 오링 캐비닛(131)과 본체(11)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g2)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홈(14) 내에서 폭방향(제 2 방향(DR2))으로 오링 캐비닛(131)과 본체(11) 사이에도 소정의 간격(g1)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order to smoothly rotate the O-ring cabinet 131 when the drill shaft 31 is rotated, the O-ring cabinet 131 and the main body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in the first groove 14. It may be desirable to secure a predetermined interval g2 therebetween. In addition, it may be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distance g1 is also secured between the O-ring cabinet 131 and the main body 11 in the width direction (second direction DR2) in the first groove 14.

오링 캐비닛(131)보다 직경이 큰 외륜(130b)을 갖는 베어링(130)이 오링 캐비닛(131)과 함께 제 1 홈(14)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홈(14) 내에서 길이방향(제 1 방향(DR1))으로 오링 캐비닛(131)과 본체(11) 사이의 간격(g2)은 폭방향(제 2 방향(DR2))으로 오링 캐비닛(131)과 본체(11) 사이의 간격(g1)보다 더 작은 것이 가능하다.Since the bearing 130 having the outer ring 130b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O-ring cabinet 131 is disposed in the first groove 14 together with the O-ring cabinet 131, the bearing 130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The distance g2 between the O-ring cabinet 131 and the main body 11 in one direction DR1) is the distance g1 between the O-ring cabinet 131 and the main body 11 in the width direction (second direction DR2). It is possible to be smaller than).

도 9를 살펴보면, 드릴 축(31)에는 동심원 형태의 제 3 홈(Third Hollow, 31a)이 형성되고, 오링(132)은 제 3 홈(31a)에 대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drill shaft 31 may have a third concentric third groove 31a, and the O-ring 132 may correspond to the third groove 31a.

자세하게는, 오링(132)의 오링 캐비닛(131)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제 3 홈(31a)에 삽입될 수 있다.In detail, at least a part of th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ring cabinet 131 of the O-ring 132 may be inserted into the third groove 31a.

이러한 경우, 드릴 축(31) 상에서 손잡이부(10)를 보다 용이하고 정확한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다. 아울러, 드릴 축(31)과 함께 오링(132) 및 오링 캐비닛(131)을 효과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handle portion 10 on the drill shaft 31 can be more easily and accurately aligned. In addition, the O-ring 132 and the O-ring cabinet 131 may be effectively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ll shaft 31.

도 10을 살펴보면, 제 1 홈(14)은 제 1 부분(14a)과 제 2 부분(14b)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first groove 14 may include a first portion 14a and a second portion 14b.

여기서, 제 1 부분(14a)은 베어링(130)에 대응되고, 제 2 부분(14b)은 오링 캐비닛(131)에 대응될 수 있다.Here, the first portion 14a may correspond to the bearing 130, and the second portion 14b may correspond to the O-ring cabinet 131.

아울러, 제 1 부분(14a)의 깊이(h1)는 제 2 부분(14b)의 깊이(h2) 보다 더 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depth h1 of the first portion 14a may be deeper than the depth h2 of the second portion 14b.

이러한 경우, 천공 작업 시에 작업자는 주로 길이방향(제 1 방향(DR1))으로 힘을 가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제 2 부분(14a) 내에서 길이방향(제 1 방향(DR1))으로 오링 캐비닛(131)과 본체(11) 사이의 간격(g2)은 폭방향(제 2 방향(DR2))으로 오링 캐비닛(131)과 본체(11) 사이의 간격(g3)보다 더 큰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O-ring cabin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within the second portion 14a, considering that the operator mainly exerts a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during the drilling operation. The distance g2 between the 131 and the main body 11 may be larger than the distance g3 between the O-ring cabinet 131 and the main body 11 in the width direction (second direction DR2).

드릴 축(31) 상에서 오링 캐비닛(131)과 베어링(130)의 위치 관계를 살펴보면, 드릴 축(31)의 길이방향(제 1 방향(DR1))으로 베어링(130)은 오링 캐비닛(131)과 덮개부(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Looking a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O-ring cabinet 131 and the bearing 130 on the drill shaft 31, the bearing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of the drill shaft 31 and the O-ring cabinet 131 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cover portion 20.

이와는 다르게, 오링 캐비닛(131)의 양쪽에 베어링(130)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Alternatively, it may be possible to arrange the bearing 130 on both sides of the O-ring cabinet 131.

예를 들면, 도 11의 경우와 같이, 드릴 축(31)의 길이방향(제 1 방향(DR1))으로 베어링(130)은 오링 캐비닛(131)의 양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11, the bearing 130 may be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O-ring cabinet 1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of the drill shaft 31.

이러한 경우, 전/후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힘을 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may be possible to apply the force freely in either direction before or after.

본 발명에서는 오링 캐비닛(131)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O-ring cabinet 131 may be variously changed.

예를 들면, 도 12 내지 도 13과 같이, 오링 캐비닛(131)은 폭방향(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 1 수직 연장부(131b), 길이방향(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제 1 수평 연장부(131c), 폭방향(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 2 수직 연장부(131d) 및 길이방향(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제 2 수평 연장부(131e)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2 to 13, the O-ring cabinet 131 includes a first vertical extension part 131b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second direction DR2). The first horizontal extension part 131c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vertical extension part 131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second direction DR2), and the second horizontal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It may include an extension 131e.

제 1 수직 연장부(131b)의 일측 끝단은 드릴 축(31)을 향하고, 제 1 수직 연장부(131b)의 타측 끝단은 제 1 수평 연장부(131c)의 일측 끝단과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vertical extension 131b may face the drill shaft 31,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vertical extension 131b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sion 131c.

제 1 수평 연장부(131c)의 타측 끝단은 제 2 수직 연장부(131d)의 일측 끝단과 연결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sion 131c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vertical extension 131d.

제 2 수직 연장부(131d)의 타측 끝단은 드릴 축(31)을 향하고, 제 2 수평 연장부(131e)의 일측 끝단과 연결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extension 131d may face the drill shaft 31 and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extension 131e.

제 2 수평 연장부(131e)의 타측 끝단은 덮개부(20)를 향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extension part 131e may face the cover part 20.

여기서, 제 1 수직 연장부(131b), 제 1 수평 연장부(131c) 및 제 2 수직 연장부(131d)는 제 2 홈(131a)을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first vertical extension part 131b, the first horizontal extension part 131c, and the second vertical extension part 131d may form a second groove 131a.

제 2 수평 연장부(131e)는 베어링(130)의 내륜(130a)에 대응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14와 같이, 제 2 수평 연장부(131e)는 내륜(130a)과 드릴 축(3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수평 연장부(131e)는 내륜(130a)과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cond horizontal extension part 131e may correspond to the inner ring 130a of the bearing 130. In detail, as shown in FIG. 14, the second horizontal extension part 131e may be located between the inner ring 130a and the drill shaft 31. In addition, the second horizontal extension part 131e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ring 130a.

이러한 경우, 드릴 축(31)이 회전하면, 오링 캐비닛(131)이 회전하고, 아울러 제 2 수평 연장부(131e)에 의해 베어링(130)의 내륜(130a)이 회전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drill shaft 31 rotates, the O-ring cabinet 131 may rotate, and the inner ring 130a of the bearing 130 may rotate by the second horizontal extension 131e.

이처럼, 오링 캐비닛(131)은 내륜(130a)의 내측면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오링 캐비닛(131)의 제 2 수평 연장부(131e)는 베어링(130)의 내륜(130a)의 내측면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되는 것은 접촉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As such, the O-ring cabinet 131 may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ring 130a. In other words, the second horizontal extension 131e of the O-ring cabinet 131 may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ring 130a of the bearing 130. Here, corresponding may mean contact.

도 15의 (A), (B)를 살펴보면, 손잡이부(10)는 본체(11)에 연결되는 굴곡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15A and 15B, the handle part 10 may further include a bent part 15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

도 15의 (A)와 (B)를 비교하면, 굴곡부(15)의 형태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Comparing FIG. 15A and FIG. 15B, it can be seen that the shape of the bent portion 15 is different.

이러한 굴곡부(15)는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손잡이부(10)를 잡을 수 있도록 도움을 수 있다.Such a bent portion 15 may help the operator to grab the handle portion 10 more easily.

여기서, 손잡이부(10)를 잡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굴곡부(15)는 제 1 본체(11)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른 성질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굴곡부(15)는 플라스틱, 실리콘 등의 상대적으로 무른 성질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고, 제 1 본체(11)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in order to make it easy to hold the handle portion 10, the bent portion 15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soft nature compared to the first body (11). For example, the bent portion 15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relatively soft properties such as plastic and silicon, and the first body 11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손잡이부(10)에서 굴곡부(15)는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bent portion 15 in the handle portion 10 can be separated.

이를 위해, 도 16과 같이, 제 1 본체(11)에는 관통홀(H1)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제 1 본체(11)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11a)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16, the first body 11 may include a cutout portion 11a in which a portion of the first body 11 is cut so that a portion of the through hole H1 is exposed.

이러한 경우, 관통홀(H1)에 드릴 축(31)입 삽입된 상태에서, 드릴 축(31)은 절개부(11a)를 통해 그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state where the drill shaft 3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H1, a part of the drill shaft 31 may be exposed through the cutout 11a.

아울러, 제 1 본체(11)에는 스크류(Screw, SC) 등의 체결수단(SC)이 연결되는 체결홈(11b)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ain body 11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groove 11b to which fastening means SC, such as a screw and a screw.

굴곡부(15)에는 체결홈(11b)에 대응되는 체결홀(15b)이 형성될 수 있다.The bent portion 15 may have a fastening hole 15b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groove 11b.

체결수단(SC)이 굴곡부(15)의 체결홀(15b)를 관통하여 제 1 본체(11)의 체결홈(11b)에 체결됨으로써, 굴곡부(15)가 제 1 본체(11)의 절개부(11a)에 연결될 수 있다.As the fastening means SC penetrates the fastening hole 15b of the bent part 15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11b of the first body 11, the bent part 15 is cut out of the first body 11. 11a).

한편, 제 1 본체(11)에는 제 1 스프링홈(11c)이 형성되고, 굴곡부(15)에는 제 1 스프링홈(11c)에 대응되는 제 2 스프링홈(15b)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first spring groove 11c may be formed in the first body 11, and a second spring groove 15b corresponding to the first spring groove 11c may be formed in the bent portion 15.

제 1 스프링홈(11c)과 제 2 스프링홈(15b) 사이에는 스프링부(SPR)가 배치될 수 있다.The spring part SP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pring groove 11c and the second spring groove 15b.

이러한 경우, 굴곡부(15)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다.In this case, elasticity can be imparted to the bent portion 15.

예를 들면, 작업자가 손잡이부(10)를 잡고 힘을 가하는 경우, 도 17의 (A)와 같이, 굴곡부(15)가 제 1 본체(11)에 밀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perator applies the force by holding the handle portion 10, as shown in FIG. 17A, the bent portion 15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body (11).

이러한 경우, 굴곡부(15)가 제 1 본체(11)의 관통홀(H1)을 관통하는 드릴 축(31)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굴곡부(15)를 강하게 움켜준 상태에서 보다 강하게 집진부(1A)를 흔들어 분진을 털어낼 수 있다.In this case, the bent portion 15 may contact the drill shaft 31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H1 of the first body 11. Thereby, the worker can shake off dust 1A more strongly in the state which gripped the bent part 15, and shake off dust.

반면에, 작업자가 손잡이부(10)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는 경우는, 도 17의 (B)와 같이, 굴곡부(15)가 제 1 본체(11)로부터 소정 거리(d2) 이탈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or removes the force applied to the handle portion 10, as shown in FIG. 17B, the bent portion 15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2.

이러한 경우, 굴곡부(15)가 드릴 축(31)으로부터 이탈함으로써, 드릴 축(3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ent portion 15 is separated from the drill shaft 31, so that the drill shaft 31 can rotate smoothly.

도 18 내지 도 22는 덮개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18 to 2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ver portio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parts may be omitted.

도 18을 살펴보면, 덮개부(20)는 제 2 본체(Second Body Part, 21) 및 흡입부(Inhalation Part, 2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덮개부(20)는 밀착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cover part 20 may include a second body part 21 and an inhalation part 22. In addition, the cover part 20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on part 24.

제 2 본체(21)의 일측에는 손잡이부(10)의 제 1 본체(11)와의 연결을 위한 제 2 연결부(Second Connecting Part, 23)가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connecting part 23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main body 21 for connection with the first main body 11 of the handle part 10.

이러한 제 2 연결부(23)는 제 1 본체(11)의 제 1 연결부(1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연결부(12)는 제 1 나사선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제 2 연결부(23)는 제 1 나사선부에 대응되는 제 2 나사선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2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2 of the first body 11. To this e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2 may include a first threaded portion (not show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3 may include a second threaded portion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eaded portion. .

제 2 본체(21)의 타측은 열린(Open) 형태일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ody 21 may be in an open form.

이러한 제 2 본체(21)의 타측에서 드릴(32)이 노출되고, 노출된 드릴(32)이 천공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The drill 32 is ex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main body 21, and the exposed drill 32 may proceed with the drilling operation.

덮개부(20)의 밀착부(24)는 제 2 본체(21)의 열린 타측에 배치되며, 링(Ring) 형태를 갖고, 연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밀착부(24)는 고무 재질, 수지 재질, 실리콘 재질 등 연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lose contact portion 24 of the cover portion 20 is disposed on the other open side of the second body 21, may have a ring shape, and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ductility. For example, the adhesion part 24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ductility, such as a rubber material, a resin material, and a silicon material.

밀착부(24)는 제 2 본체(21)를 벽(Wall) 등의 천공작업의 대상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천공작업 시 발생하는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adhesion part 24 can make the 2nd main body 21 adhere to the object of the drilling operation | work, such as a wall.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utflow of dust generated during the drilling operation to the outside.

흡입부(22)는 제 2 본체(21)의 측벽(Side Wall)에 형성되며, 흡입홀(Inhalation Hole, 22a)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part 22 may be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second body 21 and may include an suction hole 22a.

흡입홀(22a)에는, 도 19와 같이, 진공청소기 등의 흡입장치(40)가 연결될 수 있다.19, a suction device 40 such as a vacuum cleaner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hole 22a.

흡입장치(40)는 덮개부(20) 내에 포집된 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The suction device 40 may suck and remove dust collected in the cover 20.

이에 따라,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더라도 작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10A)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연속적인 천공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a large amount of dust occurs, the worker may be able to proceed with the continuous drilling for a relatively long time using the drilling device (1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덮개부(20)의 흡입부(22)는 마개부(Cap Part, 2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개부(22b)는 흡입홀(22a)을 개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part 22 of the cover part 20 may further include a cap part 22b. The stopper portion 22b may be used to open and close the suction hole 22a.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10A)를 보관하는 경우 등 사용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도 19의 (A)와 같이, 마개부(22b)를 이용하여 흡입홀(22a)을 막을 수 있다.For example, in a situation where the puncturing apparatus 1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or the like, the suction hole 22a can be blocked using the stopper portion 22b as shown in FIG. 19A. .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10A)를 사용하여 천공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도 16의 (B)와 같이, 마개부(22b)를 흡입홀(22a)로부터 제거하고, 흡입홀(22a)에 흡입장치(40)를 연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drilling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drilling apparatus 1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6B, the plug portion 22b is removed from the suction hole 22a, and the suction hole (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suction device 40 to 22a).

도 20을 살펴보면, 덮개부(20)의 제 2 본체(21)는 제 1 서브 본체(First Sub Body Part, 21a) 및 제 1 서브 본체(21a)와 연결되는 제 2 서브 본체(First Sub Body Part, 21b)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the second main body 21 of the cover part 20 is connected to a first sub body part 21a and a first sub body part 21a. , 21b).

여기서, 제 1 서브 본체(21a)는 제 2 서브 본체(21b)와 손잡이부(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first sub main body 21a may be located between the second sub main body 21b and the handle part 10.

흡입홀(22a)은 제 1 서브 본체(21a)에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hole 22a may be formed in the first sub main body 21a.

아울러, 드릴 축(31)의 길이방향(제 1 방향(DR1))으로 제 1 서브 본체(21a)의 길이(L1)는 제 2 서브 본체(21b)의 길이(L2)보다 더 짧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L1 of the first sub main body 21a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L2 of the second sub main body 21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DR1) of the drill shaft 31.

이처럼, 제 2 본체(21)를 제 1 서브 본체(21a)와 제 2 서브 본체(21b)로 분할한 것은 천공작업 시에 벽 등의 천공대상에 드릴(32)이 충분히 깊게 진입한 경우 및 천공작업을 시작하는 경우에 각각 분진이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도 21과 같이, 제 2 본체(21)의 제 1 서브 본체(21a)와 제 2 서브 본체(21b)의 사이에 탄성부(26)가 더 배치될 수 있다.Thus, the division of the 2nd main body 21 into the 1st sub main body 21a and the 2nd sub main body 21b is the case where the drill 32 entered deeply enough in the drilling object, such as a wall, at the time of a drilling operation, This is to prevent dust from spilling when starting work. To this end, as shown in FIG. 21, an elastic part 26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 main body 21a and the second sub main body 21b of the second main body 21.

도 21을 살펴보면, 제 1 서브 본체(21a)의 끝단에는 제 2 서브 본체(21b)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본체 홈(21aH)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1은 도 20에서 제 1 영역(AR1)을 확대한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21, a body groove 21aH into which an end of the second sub body 21b may be inserted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sub body 21a. FIG. 21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area AR1 in FIG. 20.

이러한, 본체 홈(21aH)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26)가 배치될 수 있다.In the main body groove 21aH, an elastic portion 26 such as a spring may be disposed.

여기서는, 탄성부(26)가 스프링 타입인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힘이 가해지면 수축하고,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회복되는 탄성을 갖는 것이라면 어떠한 타입이라도 가능할 수 있다.Although only the case where the elastic portion 26 is a spring type is shown here, any type may be used as long as it has elasticity that contracts when a force is applied and recovers when the force is removed.

아울러, 제 2 서브 본체(21b)의 끝단에는 본체 홈(21aH)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21bP)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sion 21bP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sub main body 21b to prevent the main body groove 21aH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groove 21aH.

돌기부(21bP)는 본체 홈(21aH) 내에서 탄성부(26)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protruding portion 21bP may be disposed above the elastic portion 26 in the body groove 21aH.

탄성부(26)는 본체 홈(21aH) 내에서 돌기부(21bP)를 밀어낼 수 있다.The elastic part 26 can push the protrusion part 21bP in the main body groove 21aH.

예를 들어, 제 2 본체(21)에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22의 (A)와 같이, 드릴 축(31)의 길이방향(제 1 방향(DR1))으로 제 2 본체(21)의 길이(L3)는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탄성부(26)가 충분히 길게 확장되고, 이에 따라 돌기부(21bP)는 본체 홈(21aH)의 입구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in a state where a force is not applied to the second main body 21, as shown in FIG. 22A, the second main body 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of the drill shaft 31. L3 may be relatively long. In this case, the elastic portion 26 is extended sufficiently long, and thus the protrusion 21bP can be loca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inlet of the main body groove 21aH.

도 22의 (A)는 천공작업이 시작되는 상황이거나, 혹은 천공작업에서 형성된 구멍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FIG. 22A may correspond to a situation in which a drilling operation is started or a case where a depth of a hole formed in the drilling operation is relatively small.

반면에, 제 2 본체(21)에 화살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탄성부(26)가 압축되고, 이에 따라 돌기부(21bP)는 본체 홈(21aH)의 바닥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main body 2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elastic portion 26 is compressed, whereby the protrusion 21bP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groove 21aH. have.

이러한 경우에는, 도 22의 (B)와 같이, 드릴 축(31)의 길이방향(제 1 방향(DR1))으로 제 2 본체(21)의 길이(L4)는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2B, the length L4 of the second main body 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of the drill shaft 31 may be relatively short.

도 22의 (B)는 천공작업이 충분히 진행되어서 형성된 구멍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FIG. 22B may correspond to a case in which a depth of a hole formed by sufficiently performing the drilling operation is relatively large.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re as follow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드릴 축(Drill Axis)에 설치되는 손잡이부(Handle Part); 및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에 연결되는 덮개부(Covering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드릴 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 1 본체(First Body Part); 상기 본체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와의 연결을 위한 제 1 연결부(First Connecting Part); 및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드릴 축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부(Bear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일측에는 상기 제 1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제 2 연결부(Second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타측은 열린(Open) 제 2 본체(Second Body Part); 및 상기 제 2 본체의 측벽(Side Wall)에 형성되며, 흡입홀(Inhalation Hole)을 포함하는 흡입부(Inhalation Part);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본체의 내측에는 동심원 형태의 제 1 홈(First Hollow)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제 1 홈에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부는 내륜(Inner Race), 외륜(Outer Race) 및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배치되는 롤링부(Rolling Part)를 포함하는 베어링(Bearing); 동심원 형태를 가지며, 상기 드릴 축의 길이방향(Longitudinal Direction)으로 상기 베어링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드릴 축을 향하는 제 2 홈(Second Hollow)을 포함하는 금속재 오링 캐비닛(O-Ring Cabinet); 및 상기 오링 캐비닛의 상기 제 2 홈에 배치되고, 상기 드릴 축을 향해 상기 오링 캐비닛 보다 더 연장되는 오링(O-Ring);을 포함하며,
상기 오링 캐비닛의 측면은 상기 베어링의 상기 내륜에 대응되고,
상기 오링 캐비닛의 직경은 상기 베어링의 상기 외륜의 직경보다 작아 상기 베어링의 내륜과 중첩하고 상기 베어링의 외륜과는 중첩하지 않으며,
상기 드릴 축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오링 캐비닛은 상기 오링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오링 캐비닛의 측면과의 마찰에 의하여 상기 베어링의 내륜이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홈 내에서는 상기 오링 캐비닛과 상기 제 1 본체 사이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확보되며,
상기 드릴 축에는 동심원 형태의 제 3 홈(Third Hollow)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에서 상기 오링 캐비닛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일부는 상기 제3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A handle part installed on a drill axis; And a cover par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handle part. Including,
The handl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body includ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drill shaft passes; A first connecting part formed at an end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cover part; And a bear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drill shaft.
The cover part has a second connecting part (Second Connecting Part) for connecting to the first body on one side, the other side (Open) Second body (Second Body Part); And an inhalation part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second body and including an inhalation hole.
Concentric first grooves (First Hollow) is formed inside the first body,
The bearing portion is disposed in the first groove,
The bearing part includes a bearing including an inner race, an outer race, and a roll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races; An O-Ring cabinet having a concentric shape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bear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ll axis, the metal O-ring cabinet including a second hollow toward the drill axis; And an O-ring disposed in the second groove of the O-ring cabinet and extending more than the O-ring cabinet toward the drill axis.
The side of the o-ring cabinet corresponds to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The diameter of the o-ring cabinet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 to overlap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and do not overlap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
When the drill shaft is rotated, the O-ring cabinet rotates with the O-ring,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may rotate by friction with the side of the O-ring cabinet,
In the first groove, a predetermined distance is secu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O-ring cabinet and the first body.
The drill shaft is formed with a third hollow (Third Hollow) of concentric form,
And a part of th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ring cabinet in the O-ring is inserted into the third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어링은 상기 오링 캐비닛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거나,
상기 드릴 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어링은 상기 오링 캐비닛과 상기 덮개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earing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ll axi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ring cabinet,
A dust collecting device located between the O-ring cabinet and the cover 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ll shaf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흡입홀을 개폐하기 위한 마개부(Cap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홀에는 흡입장치가 연결되는 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part further includes a cap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hole,
Dust collecting device to which the suc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suction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 2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며, 연성을 갖는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part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part having a ductility.
삭제delete 드릴 축(Drill Axis)에 설치되는 손잡이부(Handle Part); 및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에 연결되는 덮개부(Cover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드릴 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 1 본체(First Body Part); 상기 본체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와의 연결을 위한 제 1 연결부(First Connecting Part); 및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드릴 축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부(Bear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일측에는 상기 제 1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제 2 연결부(Second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타측은 열린(Open) 제 2 본체(Second Body Part); 및 상기 제 2 본체의 측벽(Side Wall)에 형성되며, 흡입홀(Inhalation Hole)을 포함하는 흡입부(Inhalation Part);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본체는 제 1 서브 본체(First Sub Body Part); 및 상기 제 1 서브 본체와 연결되는 제 2 서브 본체(First Sub Body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 본체는 상기 제 2 서브 본체와 상기 손잡이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흡입홀은 상기 제 1 서브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드릴 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 1 서브 본체의 길이는 상기 제 2 서브 본체의 길이보다 더 짧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 1 본체의 외측면(Outer Surface)에 형성되는 굴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 본체와 상기 제 2 서브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집진장치.
A handle part installed on a drill axis; And a cover part connected to an end of the handle part.
The handl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body includ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drill shaft passes; A first connecting part formed at an end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cover part; And a bear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drill shaft.
The cover part has a second connecting part (Second Connecting Part) for connecting to the first body on one side, the other side (Open) Second body (Second Body Part); And an inhalation part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second body and including an inhalation hole.
The second body may include a first sub body part; And a first sub body part connected to the first sub body.
The first sub body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sub body and the handle portion,
The suction hole is formed in the first sub body,
The length of the first sub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ll axis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ub body,
The handle portion further includes a bent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Outer Surface),
And a resilien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 body and the second sub body.
삭제delete
KR1020190018319A 2019-02-18 2019-02-18 Dust collecting device and perfor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288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319A KR102028856B1 (en) 2019-02-18 2019-02-18 Dust collecting device and perfor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319A KR102028856B1 (en) 2019-02-18 2019-02-18 Dust collecting device and perfor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856B1 true KR102028856B1 (en) 2019-10-04

Family

ID=6820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319A KR102028856B1 (en) 2019-02-18 2019-02-18 Dust collecting device and perfor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85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0489A (en) * 2021-06-23 2021-09-17 武义县东达电器有限公司 Electric tool
KR102589888B1 (en) 2023-02-15 2023-10-16 한백건설안전 주식회사 Dust collection device for dry core drilling that facilitates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center drill bi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049B1 (en) 2008-01-24 2008-05-15 민병수 Dust filter of transparency vinyl.
KR20080005289U (en) 2007-05-07 2008-11-12 주식회사베스툴코리아 Dust collector for working drill
KR20110041631A (en) * 2009-10-16 2011-04-22 정인교 Punching apparatus for connecting drill
JP2015205491A (en) * 2014-04-23 2015-11-19 未来工業株式会社 Boring tool, boring device, and boring mechanism
KR20180126999A (en) 2017-05-19 2018-11-28 홍종주 Cyclone dust collector for working dril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289U (en) 2007-05-07 2008-11-12 주식회사베스툴코리아 Dust collector for working drill
KR100830049B1 (en) 2008-01-24 2008-05-15 민병수 Dust filter of transparency vinyl.
KR20110041631A (en) * 2009-10-16 2011-04-22 정인교 Punching apparatus for connecting drill
JP2015205491A (en) * 2014-04-23 2015-11-19 未来工業株式会社 Boring tool, boring device, and boring mechanism
KR20180126999A (en) 2017-05-19 2018-11-28 홍종주 Cyclone dust collector for working dri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0489A (en) * 2021-06-23 2021-09-17 武义县东达电器有限公司 Electric tool
KR102589888B1 (en) 2023-02-15 2023-10-16 한백건설안전 주식회사 Dust collection device for dry core drilling that facilitates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center drill bi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856B1 (en) Dust collecting device and perfor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576610B2 (en) Backing pad for a hand guided polishing or sanding tool and hand guided polishing or sanding tool with such a backing pad
WO2008096536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6794597A (en) Dust suction drill bit and cleaner unit
EP1935309A3 (en) Vacuum cleaner.
CN208358725U (en) A kind of electric drill with dust-absorbing function
KR20120020785A (en) Fabrication method of friction system blackboard eraser
CN205849380U (en) A kind of improved hand-held vacuum cleaner
CN204955867U (en) Dust -proof blackboard eraser
KR102545828B1 (en) Duct cleaning wagon system
CN213353009U (en) Dustproof device for decoration
WO2021082845A1 (en) Cleaning robot
CN107736838A (en) A kind of cleaning equipment
CN106667369B (en) Dust catcher suitable for power tool
CN206140190U (en) Boring dust absorption connects and contains its dust catcher
CN110228315A (en) A kind of turbine centrifugal negative pressure absorbent blackboard eraser using vibrating reed vibration hairbrush
CN219982779U (en) Portable dust collection device
CN101467855B (en) Suction head for vacuum cleaner and electric vacuum cleaner using the suction head
JPS59147617A (en) Sucking attachment of dust sucking device
CN206899867U (en) A kind of carton processes dust exhaust apparatus
DE102009015641A1 (en) Suction device i.e. transportable suction device, operating method, involves switching on suction engine, so that filter bag wall section is pulled by suction flow in direction of suction outlet, and partially releasing filter pie topping
JP2006230819A (en) Vacuum cleaner
JP4125326B2 (en) Air conditioner clean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CN2582527Y (en) Air duct structure for suction cleaner
KR20160064384A (en) Vacuum cleaner with Unpowered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