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562B1 - Portable Art Box - Google Patents

Portable Art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562B1
KR102028562B1 KR1020170154463A KR20170154463A KR102028562B1 KR 102028562 B1 KR102028562 B1 KR 102028562B1 KR 1020170154463 A KR1020170154463 A KR 1020170154463A KR 20170154463 A KR20170154463 A KR 20170154463A KR 102028562 B1 KR102028562 B1 KR 102028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accommodating
palle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4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7495A (en
Inventor
유정민
Original Assignee
유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민 filed Critical 유정민
Priority to KR1020170154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562B1/en
Publication of KR20190057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4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5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6Cases for drawing or like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미술도구들을 일체(一體)로 휴대할 수 있으며, 사용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아트 박스를 위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형상으로 일측에 개구를 갖는, 중심 연결부; 양측에 개구를 갖는 중공의 형상으로 일 개구가 상기 중심 연결부의 일측에 결합하는, 보조 연결부; 일측에 개구를 갖는 중공의 형상으로 상기 개구가 상기 중심 연결부의 타측에 결합하는, 지지 연결부; 상기 보조 연결부의 타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보조 연결부에 결합하는, 마개부; 및 상기 중심 연결부 및 상기 보조 연결부 내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수납되는, 제1 수납부재 및 제2 수납부재를 포함하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아트 박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art box that can carry a variety of art tools integrally, the length adjustable according to the use, having a opening in one side in a hollow shape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the center connection portion; An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having one opening coupled to one side of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in a hollow shape having openings on both sides; A support connecting portion for coupling the opening to the other side of the center connecting portion in a hollow shape having an opening on one side; A plug portion coupled to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to seal the other opening of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And an accommodating part including a first accommodating member and a second accommodating member, which are accommodated along the first direction in the center connecting part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part.

Description

휴대용 아트 박스{Portable Art Box}Portable Art Box {Portable Art Box}

은 휴대용 미술 용품 수납함 로서, 하게는 다양한 미술도구들을 일체(一體)로 휴대할 수 있으며, 사용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아트 박스 다. Is a portable art supplies holder, which is a portable art box that can carry various art tools in one piece and its leng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use.

일반적으로 미술 작업을 하는 데는 많은 준비물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미술 작업 시 필요한 필수 준비물로서, 도화지, 스케치 연필, 물통, 이젤, 물감, 파레트, 다양한 모양을 표현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붓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준비물 외에도 물감 보관함, 붓 보관 구멍, 도화지 보관함 등 부수적인 준비물이 필요하다.In general, a lot of preparation is required to work on art. Among them, the necessary preparations for art work include drawing paper, sketch pencil, bucket, easel, paint, palette, and various kinds of brushes to express various shapes. In addition to the above preparations, additional preparations such as a paint storage box, a brush storage hole, and a drawing paper storage box are required.

이와 같은 미술도구 및 물품을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해서 시중에는 상자 형태의 크고 작은 아트 박스들이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큰 부피의 아트 박스의 경우 많은 부피를 차지하고 무거울 뿐만 아니라, 멀리 갈 때 휴대성과 편리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큰 부피로 인해 펼치고 접는데 공간과 시간이 비효율적이다. 다른 예로, 작은 부피의 아트 박스의 경우 부피가 작아 휴대성이 좋으나 한번에 많은 종류의 도구들을 담기 어렵고, 아트 박스의 명칭을 갖지만 내부 공간이 작아 기존의 완제품으로 된 형태의 팔레트와 물통 등이 담기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결국 각각의 미술 도구들을 아트 박스에 수납하지 못하고 따로 들고 다녀야 하는 수고로움이 발생한다.In order to transport and store these art tools and articles, box-shaped large and small art boxes are used. For example, a large volume art box is not only heavy and heavy, but also often loses portability and convenience when going away. In addition, the large volume makes space and time inefficient for unfolding and folding. As another example, a small volume art box is small in size and portable, but it is difficult to hold many kinds of tools at one time. In many cases, it is difficult to store each art tool in the art box and carry it separately.

이와 같이 종래의 아트 박스들은 완제품 형태의 미술 도구들을 담기에는 적당하지 않거나, 부피와 무게가 상당히 부담스럽다. 특히 전문가가 아닌 그림을 그리려고 시도하는 비전문가들에게는 큰 부피의 아트 박스나 수납 효율이 떨어지는 작은 부피의 아트 박스들로는 미술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을 초래하였다.As such, conventional art boxes are not suitable for containing art tools in the form of a finished product, or are quite burdensome in volume and weight. Especially for non-professionals who are trying to draw non-professional paintings, large volume art boxes or small volume art boxes with low storage efficiency caused inconvenience in art activiti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미술도구들을 일체(一體)로 휴대할 수 있으며, 사용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아트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various problems including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art box which can carry various art tools in one body and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use. 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형상으로 일측에 개구를 갖는, 중심 연결부; 양측에 개구를 갖는 중공의 형상으로 일 개구가 상기 중심 연결부의 일측에 결합하는, 보조 연결부; 일측에 개구를 갖는 중공의 형상으로 상기 개구가 상기 중심 연결부의 타측에 결합하는, 지지 연결부; 상기 보조 연결부의 타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보조 연결부에 결합하는, 마개부; 및 상기 중심 연결부 및 상기 보조 연결부 내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수납되는, 제1 수납부재 및 제2 수납부재를 포함하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아트 박스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enter connecting portion having an opening on one side in a hollow shape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An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having one opening coupled to one side of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in a hollow shape having openings on both sides; A support connecting portion for coupling the opening to the other side of the center connecting portion in a hollow shape having an opening on one side; A plug portion coupled to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to seal the other opening of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And an accommodating part including a first accommodating member and a second accommodating member, which are accommodated along the first direction in the center connecting part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part.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연결부 내에 수납되는 복수개의 팔레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llet members accommodated in the support connecting por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팔레트부재는 제1 팔레트부재, 제2 팔레트부재 및 제3 팔레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팔레트부재 내지 상기 제3 팔레트부재 각각은 내부에 구획되어 있는 영역의 개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allet members includes a first pallet member, a second pallet member, and a third pallet member, wherein each of the first pallet member to the third pallet member has an area partitioned therein. The numbe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팔레트부재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팔레트부재들은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pallet members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coupling member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pallet members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심 연결부와 상기 보조 연결부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제1 수납부재와 상기 제2 수납부재 각각의 단면은 반원형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cross section of the center connecting portion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may be circular, and cross sections of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may be semicircular.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심 연결부 및 상기 보조 연결부 내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수납되는 제3 수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수납부재는 상기 제1 수납부재 및 상기 제2 수납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urther comprising a third accommodating member accommodated along the first direction in the center connecting portion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faces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Can be arranged to view.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수납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1 수납부재 및 상기 제2 수납부재의 높이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may be equal to the sum of the heights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는 상기 제1 수납부재, 상기 제2 수납부재 및 상기 제3 수납부재 각각을 밀폐하도록 결합하는 제1 마개부재, 제2 마개부재 및 제3 마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accommodat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lug member, a second plug member, and a third plug member configured to seal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and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Can b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개부재들 각각의 상면에 끼움턱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재들 각각의 하면에 결합턱을 포함하며, 상기 끼움턱은 상기 결합턱과 결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fitting jaw is included on an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closure members, a coupling jaw is included on a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receiving members, and the fitting jaw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jaw.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연결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 연결부 내부의 단면의 일부 영역을 설정하여 개폐(開閉)할 수 있는 영역 구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n area divider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to set and open a partial region of the cross section inside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연결부는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 구분부는 상기 턱부에 걸쳐지도록 상기 보조 연결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jaw portion protruding inwardly therein, and the area separator may be disposed inside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so as to span the jaw por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역 구분부는 상기 보조 연결부의 단면에 대응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과 수직으로 결합하는 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ea divider may include a bottom plat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and a connection plate vertically coupled to the bottom plat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판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결합된 중심각이 둔각인 고정판 및 이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 및 상기 이동판은 상기 제1 방향을 회전축으로 이동판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보조 연결부 내부의 단면의 일부 영역을 개폐(開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 plate includes a fixed plate and a moving plate having an obtuse angle of the center angle coupl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and the fixed plate and the moving plate rotate the moving plate with the rotation axis in the first direction.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a part of the cross section inside the connecting por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심 연결부와 상기 보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며 제1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제1 링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first r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center connection part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and including a first ring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끈 형상으로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제1 고리부재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a string shape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irst ring member,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심 연결와 상기 지지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며 제2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제2 링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econd r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center connection and the support connection part and including a second ring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끈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1 고리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고리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ring member and fixed in a string shape, and the other end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ortion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econd ring member.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미술도구들을 일체(一體)로 휴대할 수 있으며, 사용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아트 박스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arry a variety of art tools integrally, and to implement a portable art box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according to use.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아트 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의 일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의 일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의 일부 구성요소의 사용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의 일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 도 8의 휴대용 아트 박스의 일부의 결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휴대용 아트 박스의 일부의 결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휴대용 아트 박스의 일부의 사용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13은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휴대용 아트 박스의 일부 결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의 일부의 사용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16은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의 일부의 사용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17은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의 일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의 사용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able art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portable art box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ortable art box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some components of the portable art box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some components of the portable art box of FIG. 1.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use of some components of the portable art box of FIG. 1.
FIG. 7 is a perspective, sectional and bottom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some components of the portable art box of FIG. 1. FIG.
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portable art box of FIG. 1.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joining a portion of the portable art box of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portable art box of FIG. 1.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joining a portion of the portable art box of FIG. 10.
12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use of a portion of the portable art box of FIG. 10.
1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portable art box of FIG. 1.
FIG. 1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ombining some of the portable art boxes of FIG. 13.
1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use of a portion of the portable art box of FIG. 1.
1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use of a portion of the portable art box of FIG. 1.
1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some components of the portable art box of FIG. 1.
1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embodiments of use of the portable art box of FIG. 1.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a restrictive meaning. Also,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한편,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erms including or have, etc. means that there is a feature or componen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will be added. In addition, when a part of a film, an area, a component, or the like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art, as well as being "on" or "on" another part, other films in the middle, I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an area | region, a component, etc. are interposed.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not limited to three axes on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nd may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 same.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specific process order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order.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in the reverse order of the described or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아트 박스(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able art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portable art box 100 of FIG. 1, and FI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ortable art box 100 of FIG.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트 박스(100)는 중심 연결부(110), 중심 연결부(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보조 연결부(120), 중심 연결부(110)의 타측에 결합되는 지지 연결부(130), 보조 연결부(120)의 개구를 밀폐하도록 보조 연결부(120)에 결합하는 마개부(140) 및 제1 수납부재(152), 제2 수납부재(154), 제3 수납부재(156)를 포함하는 수납부(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용 아트 박스(100)는 지지 연결부(130) 내에 수납되는 복수개의 팔레트부재(160), 제1 링부(170), 제2 링부(180) 및 영역 구분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portable art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connection part 110, an auxiliary connection part 1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center connection part 110, and a center connection part 110. Support connector 130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the plug 140 and the first receiving member 152, the second receiving member 154 coupled to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120 to seal the opening of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120 ), And an accommodating part 150 including a third accommodating member 156. The portable art box 1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allet members 160, a first ring part 170, a second ring part 180, and an area separator 190 accommodated in the support connection part 130.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트 박스(100)는 제1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전체적인 외관이 원통형 형상을 가지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의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외곽은 중심 연결부(110), 보조 연결부(120), 지지 연결부(130) 및 마개부(14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링부(170) 및/또는 제2 링부(18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밖에 다른 구성요소들은 대체로 중심 연결부(110), 보조 연결부(120), 지지 연결부(130) 내에 수납되는 것으로 외관으로는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 1 to 3, the portable art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hape extending along a first direction (Z-axis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ortable art box 100 has a cylindrical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1 shows an exterior of a cylindrical portable art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ne of the portable art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defined by the central connector 110, the auxiliary connector 120, the support connector 130, and the stopper 140. In some cases, as shown in FIG. 1, the first ring part 170 and / or the second ring part 180 may be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he other components are generally housed in the central connection unit 110, the auxiliary connection unit 120, and the support connection unit 130, and may not be apparent.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트 박스(100)는 상술한 중심 연결부(110), 보조 연결부(120), 지지 연결부(130) 및 이들 내부에 수납되는 다른 구성요소들과는 별개로, 영역 구분부(19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15 및 도 16에서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art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 from the center connection unit 110, the auxiliary connection unit 120, the support connection unit 130 and other components housed therein, the area divider 190 may be further provid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5 and 16.

도 2에서는 중심 연결부(110), 보조 연결부(120), 지지 연결부(130) 및 마개부(140)를 제거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중심 연결부(110), 보조 연결부(120), 지지 연결부(130) 및 마개부(140)를 제거한 내부에는 제1 수납부재(152), 제2 수납부재(154), 제3 수납부재(156)를 포함하는 수납부(150) 및 복수개의 팔레트부재(160)가 구비될 수 있다.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enter connector 110, the auxiliary connector 120, the support connector 130, and the stopper 140 are removed.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and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156 are disposed inside the center connecting part 110, the auxiliary connecting part 120, the support connecting part 130, and the stopper 140. An accommodating part 150 and a plurality of pallet members 160 may be provided.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트 박스(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아트 박스(100)는 그림을 그리는데 필요한 복수개의 미술도구들을 최소한의 부피에 최대한으로 많이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휴대성, 간편성 및 도구의 다양성을 충족할 수 있다.The portable art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mbined or separated as shown in FIGS. 1 to 3. The portable art box 10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art tools necessary to draw as much as possible in the minimum volume, can meet the user's portability, simplicity and variety of tools.

이하의 도면에서는 상기 구성요소 각각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drawings,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중심 연결부(1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a) 및 단면도(b)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a) and a cross-sectional view (b) schematically showing the center connection 110 of the portable art box 100 of FIG.

도 4를 참조하면, 중심 연결부(110)는 제1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형상으로 도 1 내지 도 3에서 전술한 것과 같이 일측에는 보조 연결부(120)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지지 연결부(130)가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enter connector 110 has a hollow shape extending along a first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 the auxiliary connector 120 is connected to one sid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The support connection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중심 연결부(110)는 일측에 개구(110a)를 가질 수 있다. 중심 연결부(110)의 일측 외벽에는 보조 연결부(120)를 결합할 수 있는 홈(110h)이 구비될 수 있다. 개구(110a)의 타측은 바닥면(112)이 구비되어 밀폐되어 있으며, 바닥면(112)의 하부로 연장된 연장부(11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연장부(114)에는 지지 연결부(130)가 결합될 수 있는 홈(114h)이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114)는 소정의 깊이를 가질 수 있으나, 이는 지지 연결부(130)가 중심 연결부(110)에 결합될 수 있을 정도면 족하다. 일 실시예로, 상기 홈들(110h, 114h)은 돌려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결합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entral connector 110 may have an opening 110a at one side. One outer wall of the center connector 110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110h for coupling the auxiliary connector 120.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110a) is provided with a bottom surface 112 is sealed, it may be provided with an extension portion 114 extending to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112, the extension portion 114 is a support connecting portion 130 )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114h to be coupled. The extension 114 may have a predetermined depth, but this is sufficient enough that the support connection 130 can be coupled to the central connection 110. In one embodiment, the grooves (110h, 114h) may be coupled in a screw-in manner, but the coupl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중심 연결부(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트 박스(100) 결합 시에는 내부에 수납부(150)가 수납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트 박스(100) 분리 시에는 내부에 붓 또는 연필 등을 꽂아주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The center connection unit 110 is accommodated therein when the portable art box 100 is coupled to the portable art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when removing the portable art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 brush or It can be used to insert a pencil.

도 5는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보조 연결부(1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a) 및 단면도(b)이고,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보조 연결부(120)의 사용 실시예들((a), (b), (c), (d))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a) and a cross-sectional view (b)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120 of the portable art box 100 of FIG. 1, and FIG. 6 is an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of the portable art box 100 of FIG. Figures schematically show the use embodiments (a), (b), (c), (d) of 120.

도 3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보조 연결부(120)는 양측에 개구를 갖는 중공의 형상으로, 양측 개구 중 일 개구가 중심 연결부(110)와 결합할 수 있다. 보조 연결부(120)는 양측에 제1, 2 홈(121h, 122h)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연결부(120)의 일측에 구비된 제1 홈(121h)은 외벽에 형성되고, 보조 연결부(120)의 타측에 구비된 제2 홈(122h)은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121h)은 마개부(140)의 홈(미도시)과 돌려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홈(122h)은 중심 연결부(110)의 홈(110h)과 돌려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nd FIG. 5, the auxiliary connector 120 has a hollow shape having openings at both sides thereof, and one of the openings may be coupled to the central connector 110.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120 may have first and second grooves 121h and 122h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The first groove 121h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120 may be formed at the outer wall, and the second groove 122h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120 may be formed at the inner wall. The first groove 121h may be coupled to the groove (not shown) of the stopper 140 by turning, and the second groove 122h may be coupled to the groove 110h of the center connecting part 110 by the fitting. Can be combined.

이러한 보조 연결부(120)는 양측이 모두 개방된 중공의 형상으로 중심 연결부(110)를 기준으로 두고 중심 연결부(110)의 상부를 연장하기 위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 연결부(120)는 1개 만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들((a), (b), (c), (d))과 같이 보조 연결부(120)는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보조 연결부(120)의 결합 개수는 내부에 수납되는 붓 또는 연필 등과 같은 미술 도구들의 길이에 따라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The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120 may be provided to extend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connection portion 110 with respect to the center connection portion 110 in a hollow shape in which both sides are open.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one auxiliary connection unit 120 is illustrated, but the auxiliary connection unit ((a), (b), (c), (d)) shown in FIG. 12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at is, the number of coupling of the auxiliary connection unit 120 may be adjustable according to the length of art tools such as a brush or a pencil stored therein.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 연결부(110)가 1개 구비되어 있으나, 중심 연결부(110)는 상술한 보조 연결부(120)와 같이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심 연결부(110) 역시 일단 및 타단에 타 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홈들(110h, 114h)이 구비되어 있는바, 이러한 홈들(110h, 114h)을 통해 복수개의 중심 연결부(110)들이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one center connecting unit 110 is provided, but the center connecting unit 110 may be provided in plural as in the above-described auxiliary connecting unit 120. As shown in FIG. 4, the center connection unit 110 is also provided with grooves 110h and 114h that may be coupled to the other member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reof, and through the grooves 110h and 114h, a plurality of center connection units ( 110 may be provided.

도 7은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지지 연결부(13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a), 단면도(b) 및 저면도(c)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a), a sectional view (b), and a bottom view (c) schematically showing the support connecting portion 130 of the portable art box 100 of FIG. 1.

도 7을 참조하면, 지지 연결부(130)는 일측에 개구(130a)를 갖는 중공의 형상으로 개구(130a)가 중심 연결부(110)의 타측에 결합할 수 있다. 지지 연결부(130)의 일측 외벽에는 홈(130h)이 구비되고, 홈(130h)은 중심 연결부(110)의 연장부(114) 내측에 위치한 홈(114h)과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지지 연결부(130)의 홈(130h)과 중심 연결부(110)의 홈(114h)은 돌려 끼움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나 다른 결합 방식도 물론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7, the support connecting portion 130 may have a hollow shape having an opening 130a at one side thereof, and the opening 130a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enter connecting portion 110. A groove 130h may be provided at one outer wall of the support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groove 130h may be coupled to the groove 114h positioned inside the extension 114 of the center connecting portion 110. As described above, the groove 130h of the support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groove 114h of the center connecting portion 110 may be fastened by screwing, but other coupling methods may be possible as well.

지지 연결부(130)의 타측은 바닥면(132)으로 밀폐되어 있어, 물통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지지 연결부(130)를 물통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바닥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중요한바, 바닥면(132)의 외측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턱(134)이 구비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connecting portion 130 is sealed by the bottom surface 132, it can be used as a bucket. In order to use the support connecting portion 130 as a bucket, it is important to be stably fixed to the bottom, and the jaw 134 for preventing slipping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ottom surface 132.

지지 연결부(130)는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트 박스(100)가 분리되었을 때는 물통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트 박스(100)가 결합되었을 때는 내부에 복수개의 팔레트부재(160)를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복수개의 팔레트부재(160)에 대하여는 도 13 및 도 14에서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connection unit 130 may be used as a bucket when the portable art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eparated, and when the portable art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bined, a plurality of internal parts are provided. I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housing the two pallet members 160. The plurality of pallet members 16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도 8은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마개부재(15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a) 및 단면도(b)이고, 도 9 도 8의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마개부재(151)의 결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a) and a cross-sectional view (b)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losure member 151 of the portable art box 100 of FIG. 1, and FIG. 9. The closure member 151 of the portable art box 100 of FIG. 8. )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nding method.

도 3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제1 마개부재(151)는 제1 수납부재(152)의 개구를 막아 밀폐시킬 수 있다. 도 8에서는 대표적으로 제1 마개부재(151)를 도시하였으나, 제2 마개부재(153) 및 제3 마개부재(155)의 형상 역시 제1 마개부재(151)와 동일하다. 즉, 제1 마개부재(151) 내지 제3 마개부재(155)는 서로 호환이 가능하다. 제1 마개부재(151) 내지 제3 마개부재(155) 각각은 제1 수납부재(152) 내지 제3 수납부재(156)와 대응되어 구비되며, 제1 수납부재(152) 내지 제3 수납부재(156)의 단면 형상이 변형되면 제1 마개부재(151) 내지 제3 마개부재(155)의 형상 역시 이에 맞춰 변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수납부재(152) 내지 제3 수납부재(156)의 단면 형상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바, 제1 마개부재(151) 내지 제3 마개부재(155) 역시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3 and 8 together, the first closure member 151 may be closed by closing the opening of the first receiving member 152. In FIG. 8, the first closure member 151 is representatively illustrated, but the shapes of the second closure member 153 and the third closure member 155 are also the same as the first closure member 151. That is, the first plug member 151 to the third plug member 155 are compatible with each other. Each of the first plug member 151 to the third plug member 155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housing member 152 to the third housing member 156, and the first housing member 152 to the third housing member.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156 is deformed, the shape of the first plug member 151 to the third plug member 155 is also modified 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to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156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the first plug member 151 to the third plug member 155 may also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hav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마개부재(151)의 일단에는 끼움턱(151a)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턱(151a)을 통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마개부재(151)와 제2 수납부재(154)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1 수납부재(152) 내지 제3 수납부재(156)는 휴대용 아트 박스(100) 분리 후에는 물통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납부재(152) 내지 제3 수납부재(156)는 도 12와 같이 원통형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 마개부재(151)의 끼움턱(151a)에 의해 제1 수납부재(152)와 제2 수납부재(154)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제2 수납부재(154)의 밑면에도 결합턱(154d)이 구비되어 제1 마개부재(151)의 끼움턱(151a)과 결합할 수 있다.8 and 9, the fitting jaw 151a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plug member 151. As shown in FIG. 9, the first plug member 151 and the second housing member 154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tting jaw 151a.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to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156 may be used as a bucket after the portable art box 100 is separated. At this time,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to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156 may be coupl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12, in this case,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by the fitting jaw 151a of the first plug member 151. The 152 and the second receiving member 154 may be firmly coupled. Of course, the coupling jaw 154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to be coupled to the fitting jaw 151a of the first plug member 151.

도 10은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수납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수납부재의 결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수납부재의 사용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ousing member of the portable art box 100 of FIG. 1,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oupling the housing member of the portable art box 100 of FIG. 10. 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use of the housing member of the portable art box 100 of FIG.

도 10 및 도 11를 참조하면, 제2 수납부재(154) 및 제3 수납부재(156)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수납부재(152)의 구조는 제2 수납부재(154)의 구조와 유사한바, 제2 수납부재(154)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10 and 11,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and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156 are illustrated. The structure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is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and thus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is used.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중심 연결부(110)와 보조 연결부(120)의 단면은 원형이며, 중심 연결부(110) 및 보조 연결부(120) 내부에 수납되는 제1 수납부재(152), 제2 수납부재(154) 및 제3 수납부재(156) 각각의 단면은 반원형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수납부재(152), 제2 수납부재(154) 및 제3 수납부재(156) 각각의 단면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수납부재(152) 및 제3 수납부재(156), 또는 제2 수납부재(154) 및 제3 수납부재(156)의 단면의 합이 서로 동일하면 족하다.Referring to FIG. 3, the cross section of the center connector 110 and the auxiliary connector 120 is circular, and includes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and the second housing accommodated in the center connector 110 and the auxiliary connector 120. Cross sections of each of the member 154 and the third receiving member 156 may be semicircula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ross section of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and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156 may be modified in various shapes. In this case, the sum of the cross sections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and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156 or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and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156 is sufficient.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수납부재(152) 및 제2 수납부재(154)는 제1 방향(Z축 방향)으로 결합되며, 제1 수납부재(152) 및 제2 수납부재(154)와 제3 수납부재(156)는 제1 방향(Z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결합된다. 즉, 제3 수납부재(156)는 제1 수납부재(152) 및 제2 수납부재(154)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수납부재(152) 및 제2 수납부재(154)의 높이의 합은 제3 수납부재(156)의 높이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re coupled in a first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are provided. And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156 are coup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Z-axis direction). That is,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156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In an embodiment, the sum of the heights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may be equal to the sum of the heights of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156.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수납부재(154)는 제2 곡측면(154a) 및 제2 곡측면(154a)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2 평측면(154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수납부재(156)는 제3 곡측면(156a) 및 제3 곡측면(156a)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3 평측면(156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1 수납부재(152) 역시 제1 곡측면 및 제1 곡측면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 평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10 and 11,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may include a second flat surface 154b connecting the ends of the second curved surface 154a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154a to each other.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156 may include a third flat side surface 156b connecting the ends of the third curved side surface 156a and the third curved side surface 156a to each other. Although not shown in FIG. 10,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may also include a first planar surface connecting the first curved side and the ends of the first curved side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수납부재(152) 및 제2 수납부재(154)는 제1 방향(Z축 방향)으로 결합되며, 제1 수납부재(152) 및 제2 수납부재(154)와 제3 수납부재(156)는 제1 방향(Z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결합된다. 즉, 제1 수납부재(152)의 제1 평측면과 제3 수납부재(156)의 제3 평측면(156b)의 일부는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2 수납부재(154)의 제2 평측면(154b)과 제3 수납부재(156)의 제3 평측면(156b)의 나머지 일부는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re coupled in a first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and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three housing members 156 are coup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Z-axis direction). That is, a part of the first flat side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and the third flat side surface 156b of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156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flat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is provided. The other side of the side surface 154b and the third flat surface 156b of the third receiving member 156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술한 것과 같이 제3 수납부재(156)는 제1 수납부재(152) 및 제2 수납부재(154)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수납부재(152)의 제1 평측면과 제3 수납부재(156)의 제3 평측면(156b)에는 각각 체결부재(152b, 156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52b, 156b)는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수납부재(152), 제2 수납부재(154) 및 제3 수납부재(156)의 체결이 완료된 수납부(150)의 형상은 도 12와 같다. 수납부(150)는 제1 수납부재(152), 제2 수납부재(154) 및 제3 수납부재(156) 이외에도 제1 마개부재(151), 제2 마개부재(153) 및 제3 마개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156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11, fastening members 152b and 156b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first flat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and the third flat surface 156b of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156. It may be provided. The fastening members 152b and 156b are form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may be fitted in a sliding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accommodating part 150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and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156 is completed is as shown in FIG. 12. The accommodating part 150 includes the first closure member 151, the second closure member 153, and the third closure member in addition to the first accommodation member 152, the second accommodation member 154, and the third accommodation member 156. 155 may include.

한편 도 3과 함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예컨대 수납부재들 중 높이가 가장 높은 제3 수납부재(156)는 붓통으로 활용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제1 수납부재(152) 및 제2 수납부재(154)는 물통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1 수납부재(152) 및 제2 수납부재(154)가 물통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제1 수납부재(152) 및 제2 수납부재(154)가 도 11과 같이 결합할 수도 있다. 즉, 제1 수납부재(152)의 제1 평측면과 제2 수납부재(154)의 제2 평측면이 서로 맞물리도록 끼워짐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제1 수납부재(152) 및 제2 수납부재(154) 각각의 형상이 반원형으로 구성되어, 각각을 별도로 사용할 경우 물통이 기울어지거나 넘어질 위험성이 크다. 따라서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수납부재(152) 및 제2 수납부재(154)를 결합함으로써 2개의 구분된 공간을 갖는 원통형의 물통으로 활용이 가능하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0 and 11 together with FIG. 3, for example, the third storage member 156 having the highest height among the storage members may be used as a brush, and the first storage member 152 having a relatively low height may be used. And the second receiving member 154 may be utilized as a bucket. In order for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to be utilized as a bucket,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may be combined as shown in FIG. 11. That is, the first flat side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and the second flat side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may be coupl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is is because the shape of each of the first receiving member 152 and the second receiving member 154 is semi-circular,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water tank is inclined or fall when used separately.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by combining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it is possible to utilize a cylindrical bucket having two separate spaces.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6과 같이 보조 연결부(120)가 복수개 결합되는 경우에는 보조 연결부(120)가 늘어난 만큼 내부 공간에 제1 수납부재(152) 또는 제2 수납부재(154)를 더 수납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a plurality of auxiliary connecting parts 120 are coupled as shown in FIG. 6,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152 or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154 is further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s the auxiliary connecting parts 120 are extended. can do.

도 13은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일부 결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FIG. 1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rt of the portable art box 100 of FIG. 1, and FIG. 1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partially combining the portable art box 100 of FIG. 13.

도 3 및 도 13을 함께 참조하면, 복수개의 팔레트부재(160)는 지지 연결부(130)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복수개의 팔레트부재(160)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원판형으로, 복수개의 팔레트부재(160)가 제1 방향(Z축 방향)으로 적재되어 지지 연결부(130)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팔레트부재(160)는 제1 팔레트부재(162), 제2 팔레트부재(164) 및 제3 팔레트부재(1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팔레트부재(162), 제2 팔레트부재(164) 및 제3 팔레트부재(166) 각각은 내부에 구획되어 있는 영역의 개수가 서로 상이한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13, the plurality of pallet members 16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upport connecting portion 130. The plurality of pallet members 160 may have a dis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plurality of pallet members 160 may be loaded in the first direction (Z-axis direction) to be accommodated in the support connection part 130. The plurality of pallet members 160 may include a first pallet member 162, a second pallet member 164, and a third pallet member 166. Each of the first pallet member 162, the second pallet member 164, and the third pallet member 166 may be divided into different numbers of regions partitioned therein.

예컨대, 제1 팔레트부재(162)는 중앙부가 구획되어 있어 물감을 담는 용도 및 물감을 섞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제2 팔레트부재(164)는 영역이 별도로 구획되어 있지 않아 자유롭게 물감을 섞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제3 팔레트부재(166)는 전체적으로 영역이 구획되어 있어 액체 물감 또는 고체 물감을 담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allet member 162 is partitioned in the center portion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containing the paint and mixing the paint. Since the second pallet member 164 is not separately partitioned, the second pallet member 164 may be used for freely mixing the paints. The third pallet member 166 may be divided into regions and may be used to contain liquid paint or solid paint.

한편, 복수개의 팔레트부재(160)들 각각의 외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복수개의 팔레트부재(160)들은 도 14와 같이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peripher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allet members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coupling member. A plurality of pallet members 160 through the coupling member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제1 팔레트부재(162)는 제1 결합부재(162a, 162b)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팔레트부재(164)는 제2 결합부재(164a, 164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팔레트부재(166)는 제3 결합부재(166a, 16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들은 외부로 돌출된 형상의 돌출결합부재(162a, 164a, 166a)를 포함할 수도 있고, 내부로 인입된 형상의 인입결합부재(162b, 164b, 166b)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돌출결합부재(162a, 164a, 166a)와 인입결합부재(162b, 164b, 166b)는 서로 맞물리도록 체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pallet member 162 may include first coupling members 162a and 162b, and the second pallet member 164 may include second coupling members 164a and 164b. The three pallet members 166 may include third coupling members 166a and 166b. Such coupling members may include protruding coupling members 162a, 164a, and 166a having a protruding shape to the outside, and may include inductive coupling members 162b, 164b, and 166b having an inwardly inserted shape. Each of the protrusion coupling members 162a, 164a, and 166a and the inlet coupling members 162b, 164b, and 166b may be fastened to engage each other.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팔레트부재(162)의 제1 인입결합부재(162b)와 제2 팔레트부재(164)의 제2 돌출결합부재(164a)는 서로 맞물려 체결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복수개의 팔레트부재(160) 전부를 한 평면(X-Y 평면) 상에서 서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평면(X-Y 평면) 상에서 복수개의 팔레트부재(160)를 연결하면 일체(一體)형으로 형성된 하나의 큰 팔레트로써 활용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 the first inlet coupling member 162b of the first pallet member 162 and the second protruding coupling member 164a of the second pallet member 164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same manner, all of the plurality of pallet members 160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on one plane (X-Y plane). Thu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allet members 160 on one plane (X-Y plane) can be utilized as one large pallet formed in one piece.

본 실시예에서는 제1, 2, 3 팔레트부재들(162, 164, 166)이 각각 2개씩 구비되어 총 6개의 팔레트부재들이 구비되어 있으나, 몰론 복수개의 팔레트부재(160)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first, second, and third pallet members 162, 164, and 166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six pallet members are provided, but the number of pallet members 160 is not limited thereto. Do not.

도 15는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일부의 사용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들이고, 도 16은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일부의 사용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use embodiment of a part of the portable art box 100 of FIG. 1, and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use embodiment of a part of the portable art box 100 of FIG. 1. admit.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아트 박스(100)는 영역 구분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역 구분부(190)는 보조 연결부(120) 내부에 배치되어 보조 연결부(120) 내부의 단면의 일부 영역을 설정하여 개폐(開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연결부(120)의 내벽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턱부(123)가 위치하고, 영역 구분부(190)는 이러한 턱부(123)에 걸쳐지도록 보조 연결부(1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portable art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rea separator 190. The area separator 190 may be disposed in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120 to set and open a partial area of the cross section inside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120. Referring to FIG. 5, a jaw portion 123 protruding inwardly is positioned on an inner wall of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region separator 190 may be disposed inside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120 to cover the jaw portion 123. have.

영역 구분부(190)는 보조 연결부(120) 단면에 대응하는 바닥판(196)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닥판(196)은 고정판(192) 및 이동판(194)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192)과 이동판(194)은 회전 중심(193)을 기준으로 결합되어 고정판(192)을 중심으로 이동판(194)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판(192) 및 이동판(194)은 제1 방향(Z축 방향)을 회전축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보조 연결부(120) 내부의 단면의 일부 영역을 개폐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판(192)을 중심으로 이동판(194)의 회전 정도에 따라 개폐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연결부(120) 내부에 수용되는 붓 등이 다수개인 경우에는 영역 구분부(190)에 있어서 이동판(194)을 크게 회전시켜 보조 연결부(120) 내부 영역을 상당 부분 오픈할 수 있고, 반대로 보조 연결부(120) 내부에 수용되는 붓 등의 개수가 적은 경우에는 영역 구분부(190)에 있어서 이동판(194)을 작게 회전시켜 보조 연결부(120) 내부 영역의 오픈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area separator 190 may include a bottom plate 196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auxiliary connection unit 120, and the bottom plate 196 may include a fixing plate 192 and a moving plate 194. The fixed plate 192 and the movable plate 194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center 193 so that the movable plate 194 may rotate around the fixed plate 192. That is, the fixed plate 192 and the moving plate 194 may open and close a partial region of the cross section inside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120 by moving the first direction (Z-axis direction) to the rotation axis. As shown in FIG. 15,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movable plate 194 about the fixed plate 192. For example,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brushes or the like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connector 120, the moving plate 194 may be greatly rotated in the area separator 190 to open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internal area of the auxiliary connector 120. On the contrary, when the number of brushes or the like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connection unit 120 is small, the moving plate 194 may be rotated small in the area separator 190 to adjus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internal area of the auxiliary connection unit 120.

한편 도 16을 참조하면, 영역 구분부(190)는 바닥판(196)에 결합되는 연결판(19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6, the area separator 19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late 198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96.

연결판(198)은 바닥판(196)과 수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바닥판(196)에 위치한 턱부(192a)와 연결판(198)의 일단에 위치한 홈부(198a)를 결합함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닥판(196)은 제1 평면(X-Y 평면)의 영역을 구획하는 반면, 결합하는 제1 평면(X-Y 평면)에 수직한 평면의 영역을 구획할 수 있다. 연결판(198)은 바닥판(196)과 수직으로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분리함으로써, 내부에 수납되는 붓에 다른 물체들이 접촉하여 붓이 망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late 198 may be vertically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96, and may be fixed by combining the jaw portion 192a positioned at the bottom plate 196 and the groove portion 198a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late 198. have. The above-described bottom plate 196 may partition an area of the first plane (X-Y plane), while partitioning an area of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joining first plane (X-Y plane). The connecting plate 198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96 to separate the internal space, thereby preventing the brush from being broken by contacting other objects with the brush stored therein.

이러한 영역 구분부(190)는 각각의 요소를 분해하여 휴대용 아트 박스(100) 내에 넣어 보관할 수도 있고, 별도로 외부에 보관할 수도 있다.The area separator 190 may be stored in the portable art box 100 by disassembling each element, or may be separately stored outside.

한편 일 실시예로서, 바닥판(196)과 연결판(198)을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바닥판(196)을 완전히 닫으면 연결판(198)이 위치한 바닥판(196) 위의 공간이 연결판(198)에 의해 다른 공간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bottom plate 196 and the connecting plate 198 are used in combination, when the bottom plate 196 is completely closed, the space on the bottom plate 196 where the connecting plate 198 is located is the connecting plate 198. It can be used completely separated into other space by).

도 17은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일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18은 도 1의 휴대용 아트 박스(100)의 사용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이다.FIG. 1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some components of the portable art box 100 of FIG. 1, and FIG. 1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embodiments of use of the portable art box 100 of FIG. 1.

도 1, 도 3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1 링부(170)는 중심 연결부(110)와 보조 연결부(12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링부(180)는 중심 연결부(110)와 지지 연결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7에서는 제1 링부(170)를 도시하였으며, 제2 링부(180)의 구조는 제1 링부(170)와 동일한바 이를 원용한다. 제1 링부(170)는 제1 고리부재(17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고리부재(172)는 2개가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3, and 17, the first ring part 170 is disposed between the center connection part 110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120, and the second ring part 180 is the center connection part 110 and the support connection part. May be disposed between 130. In FIG. 17, the first ring part 170 is illustrated, and the structure of the second ring part 18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ring part 170. The first ring portion 170 may include a first ring member 172.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first ring members 172 are provided symmetricall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18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트 박스(100')는 제1 링부(170)의 제1 고리부재(172) 및 제2 링부(180)의 제2 고리부재(182)에 연결되는 손잡이부(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트 박스(100')에서는 손잡이부(185)의 일단은 제1 링부(170)의 제1 고리부재(172)에 삽입되고, 타단은 제2 링부(180)의 제2 고리부재(182)에 삽입될 수 있다. 손잡이부(185)는 끝단에 위치한 결합부재(18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85)의 체결 방식을 통해 사용자는 휴대용 아트 박스(100')를 세로로 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A, the portable art box 100 ′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cond ring member 172 and a second ring unit 180 of the first ring unit 170. It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ortion 185 connected to the ring member 182. In the portable art box 100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e end of the handle part 185 is inserted into the first ring member 172 of the first ring part 17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the second of the second ring part 180. It may be inserted into the ring member 182. The handle 185 may be fixed by the coupling member 186 located at the end. Through the fastening method of the handle unit 185, the user can vertically tie the portable art box 100 '.

도 18의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트 박스(100'')는 제1 링부(170)의 제1 고리부재(172)에 연결되는 손잡이부(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트 박스(100'')에서는 손잡이부(185)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제1 링부(170)의 제1 고리부재(17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손잡이부(185)는 끝단에 위치한 결합부재(18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85)의 체결 방식을 통해 사용자는 휴대용 아트 박스(100'')를 가로로 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B, the portable art box 100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185 connected to the first ring member 172 of the first ring portion 170. Can be. That is, in the portable art box 100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handle part 185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ring member 172 of the first ring part 170, respectively. The handle 185 may be fixed by the coupling member 186 located at the end. Through the fastening method of the handle 185, the user can horizontally tie the portable art box 100 ''.

한편, 도 18의 (a)와 (b)에서 공통적으로, 중심 연결부(110)의 둘레에 배치되는 고정끈(18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끈(187)은 끝단에 구비된 결합부재(188)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끈(187) 안쪽으로 종이 팔레트나 미술 종이 등을 말아서 고정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Figure 18 (a) and (b), in common, a fixing strap 187 disposed around the center connecting portion 110 may be further provided. The fixing strap 187 may be fixed through the coupling member 188 provided at the end. The fixing strap 187 can be fixed by rolling a paper palette or art paper.

종래의 아트 박스들은 완제품 형태의 미술 도구들을 담기에는 적당하지 않거나, 부피와 무게가 상당히 부담스럽다. 특히 전문가가 아닌 그림을 그리려고 시도하는 비전문가들에게는 큰 부피의 아트 박스나 수납 효율이 떨어지는 작은 부피의 아트 박스들로는 미술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을 초래하였다.Conventional art boxes are not suitable for containing art tools in the form of finished products or are quite burdensome in volume and weight. Especially for non-professionals who are trying to draw non-professional paintings, large volume art boxes or small volume art boxes with low storage efficiency caused inconvenience in art activities.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트 박스(100, 100', 100'')는 다양한 미술도구들을 일체(一體)로 휴대할 수 있으며, 사용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그림을 그리는데 필요한 복수개의 미술도구들을 최소한의 부피에 최대한으로 많이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휴대성, 간편성 및 도구의 다양성을 충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rtable art boxes 100, 100 ′, 1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rry various art tools in one body and can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use. Through this, a plurality of art tools necessary for drawing can be accommodated as much as possible in a minimum volume, thereby satisfying user's portability, convenience and variety of tool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100', 100'': 휴대용 아트 박스
110: 중심 연결부
112: 바닥면
114: 연장부
120: 보조 연결부
123: 턱부
130: 지지 연결부
132: 바닥면
140: 마개부
150: 수납부
152: 제1 수납부재
154: 제2 수납부재
156: 제3 수납부재
160: 복수개의 팔레트부재
170: 제1 링부
172: 제1 고리부재
180: 제2 링부
182: 제2 고리부재
185: 손잡이부
190: 영역 구분부
192: 고정판
198: 연결판
100, 100 ', 100'': Portable Art Box
110: center connection
112: bottom
114: extension
120: auxiliary connection
123: jaw
130: support connection
132: bottom surface
140: stopper
150: storage
152: first receiving member
154: second receiving member
156: third receiving member
160: a plurality of pallet members
170: first ring portion
172: first ring member
180: second ring portion
182: second ring member
185: handle portion
190: region separator
192: fixed plate
198: connecting plate

Claims (17)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형상으로 일측에 개구를 갖는, 중심 연결부;
양측에 개구를 갖는 중공의 형상으로 일 개구가 상기 중심 연결부의 일측에 결합하는, 보조 연결부;
일측에 개구를 갖는 중공의 형상으로 상기 개구가 상기 중심 연결부의 타측에 결합하는, 지지 연결부;
상기 보조 연결부의 타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보조 연결부에 결합하는, 마개부;
상기 중심 연결부 및 상기 보조 연결부 내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수납되는, 제1 수납부재 및 제2 수납부재를 포함하는, 수납부; 및
상기 지지 연결부 내에 수납되고, 제1 팔레트부재, 제2 팔레트부재 및 제3 팔레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팔레트부재 내지 상기 제3 팔레트부재 각각은 내부에 구획되어 있는 영역의 개수가 서로 상이한, 복수개의 팔레트 부재;
를 구비하는 휴대용 아트 박스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팔레트부재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팔레트부재들은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결합되며,
상기 보조 연결부는 1개 이상 구비되어, 내부에 수납되는 도구들의 길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아트 박스 전체의 높이를 조절가능한, 휴대용 아트 박스.
A center connecting portion having an opening at one side in a hollow shape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An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having one opening coupled to one side of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in a hollow shape having openings on both sides;
A support connecting portion for coupling the opening to the other side of the center connecting portion in a hollow shape having an opening on one side;
A plug portion coupled to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to seal the other opening of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An accommodating part including a first accommodating member and a second accommodating member, which are accommodated along the first direction in the center connecting part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part; And
The first pallet member, the second pallet member and the third pallet member are accommodated in the support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pallet member to the third pallet member are each different in the number of regions partitioned therein. A plurality of pallet members;
In the portable art box having:
Each of the plurality of pallet members includes at least one coupling member, and the plurality of pallet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through the coupling member.
The at least one auxiliary connection unit is provided, and the height of the entire portable art box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tools stored therein, the portable art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연결부와 상기 보조 연결부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제1 수납부재와 상기 제2 수납부재 각각의 단면은 반원형인, 휴대용 아트 박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cross section of said center connection part and said auxiliary connection part is circular, and the cross section of each of said first accommodating member and said second accommodating member is semicircula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연결부 및 상기 보조 연결부 내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수납되는 제3 수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수납부재는 상기 제1 수납부재 및 상기 제2 수납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휴대용 아트 박스.
The method of claim 2,
And a third accommodating member accommodated along the first direction in the center connecting portion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box.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납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1 수납부재 및 상기 제2 수납부재의 높이의 합과 동일한, 휴대용 아트 박스.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height of the third housing member is equal to the sum of the heights of the first housing member and the second housing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제1 수납부재, 상기 제2 수납부재 및 상기 제3 수납부재 각각을 밀폐하도록 결합하는 제1 마개부재, 제2 마개부재 및 제3 마개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아트 박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accommodat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losure member, a second closure member, and a third closure member which are coupled to seal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on member, the second accommodation member, and the third accommodation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들 각각의 상면에 끼움턱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재들 각각의 하면에 결합턱을 포함하며, 상기 끼움턱은 상기 결합턱과 결합하는, 휴대용 아트 박스.
The method of claim 5,
And a fitting jaw on an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closure members, and a coupling jaw on a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receiving members, wherein the fitting jaw is coupled to the coupling ja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연결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 연결부 내부의 단면의 일부 영역을 설정하여 개폐(開閉)할 수 있는 영역 구분부를 더 구비하는, 휴대용 아트 박스.
The method of claim 1,
And a region divider disposed inside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the region dividing portion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 partial region of a cross section inside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연결부는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 구분부는 상기 턱부에 걸쳐지도록 상기 보조 연결부 내부에 배치되는, 휴대용 아트 박스.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includes a jaw portion protruding inwardly therein, and the area divider is disposed inside the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so as to span the jaw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구분부는 상기 보조 연결부의 단면에 대응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과 수직으로 결합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아트 박스.
The method of claim 8,
The area divider may include a bottom plate corresponding to a cross section of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and a connection plate vertically coupled to the bottom pla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결합된 중심각이 둔각인 고정판 및 이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 및 상기 이동판은 상기 제1 방향을 회전축으로 이동판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보조 연결부 내부의 단면의 일부 영역을 개폐(開閉)하는, 휴대용 아트 박스.
The method of claim 9,
The bottom plate includes a fixed plate and a moving plate having an obtuse angle of the center angle coupled to the rotational center, and the fixed plate and the moving plate are a part of a cross section inside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by rotating the moving plate with the rotation axis in the first direction. The portable art box which opens and closes an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연결부와 상기 보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며 제1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제1 링부를 더 구비하는, 휴대용 아트 박스.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irst r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center connecting portion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and including a first ring member.
제11항에 있어서,
끈 형상으로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제1 고리부재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아트 박스.
The method of claim 11,
The portable art box further comprises a handle portion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ring member in a string shap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연결와 상기 지지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며 제2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제2 링부를 더 구비하는, 휴대용 아트 박스.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second r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center connection and the support connection portion and including a second ring member.
제13항에 있어서,
끈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1 고리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고리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아트 박스.
The method of claim 13,
The portable art box further comprises a handle portion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ring member in a string shape,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econd ring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54463A 2017-11-20 2017-11-20 Portable Art Box KR1020285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463A KR102028562B1 (en) 2017-11-20 2017-11-20 Portable Art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463A KR102028562B1 (en) 2017-11-20 2017-11-20 Portable Art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495A KR20190057495A (en) 2019-05-29
KR102028562B1 true KR102028562B1 (en) 2019-10-04

Family

ID=6667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463A KR102028562B1 (en) 2017-11-20 2017-11-20 Portable Art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56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287B1 (en) * 2021-04-13 2022-08-25 이성민 All-in-one brush holder with pall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5457A (en) * 2005-12-26 2007-07-12 Reiko Ichikawa Portable brush case
KR200469300Y1 (en) * 2012-01-09 2013-10-1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purpose collection box for art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6956B2 (en) * 1998-05-17 2002-10-21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Insulated lunch box
KR20110051501A (en) * 2009-11-10 2011-05-18 이현석 Handiness book prop
KR101376694B1 (en) * 2012-07-30 2014-03-25 최은강 Incorporated painting tool set
KR20140060705A (en) * 2012-11-12 2014-05-21 최현민 A brush case which is tied to an eas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5457A (en) * 2005-12-26 2007-07-12 Reiko Ichikawa Portable brush case
KR200469300Y1 (en) * 2012-01-09 2013-10-1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purpose collection box for art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495A (en)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1019B2 (en) Tool container storage system
US11192235B2 (en) Tool bit case with modular components
US10843852B2 (en) Lid with pylons for supporting cross beams
US9156156B2 (en) Tool box with storage members
US20130186795A1 (en) Tray Case
TWM478591U (en) Tool box structure
CA2076223C (en) Modular packaging and holder for tool bits
CA3115228C (en) Modular storage container
KR102028562B1 (en) Portable Art Box
JPS60161921U (en) cosmetic containers
US9156157B2 (en) Tool box with storage members
US8286792B2 (en) Router bit kit
CN213562479U (en) Stacking type container
US5950828A (en) Tooling utility system
US6112896A (en) Tooling utility system
TWI606905B (en) Tool frame structure
KR101376694B1 (en) Incorporated painting tool set
JP2509086Y2 (en) toolbox
KR20190000893U (en) Makeup tool
CN209904412U (en) Portable fine arts toolbox
CN215795278U (en) Cellular-type cavity board case
CN219383346U (en) Unscrewing type implant protection packaging device
TWI594853B (en) Tool frame structure
JPS6310946Y2 (en)
CN208391993U (en) A kind of group of set overlay tool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