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166B1 - Device for fixing grinding stone - Google Patents

Device for fixing grinding st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166B1
KR102028166B1 KR1020180090711A KR20180090711A KR102028166B1 KR 102028166 B1 KR102028166 B1 KR 102028166B1 KR 1020180090711 A KR1020180090711 A KR 1020180090711A KR 20180090711 A KR20180090711 A KR 20180090711A KR 102028166 B1 KR102028166 B1 KR 102028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support unit
fixing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7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길수
Original Assignee
이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수 filed Critical 이길수
Priority to KR1020180090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1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1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5/00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 B24D15/06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specially designed for sharpening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2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shear blades or sci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hand or table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device for fixing grinding stones, which can easily grind different sizes of grinding stones, and can be installed at the most suitable angle for grinding blades of knives and scissors. The device for fixing grinding stones comprises: fixing units having an interval adjusted while leaving the grinding stones therebetween to fix the grinding stones; a support unit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o enable the fixing units to be mounted on the support unit, and having a length adjus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angle adjustment unit fixed to one end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unit and having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 coupling units to adjust an inclination of the support unit.

Description

숫돌 고정장치{Device for fixing grinding stone}Whetstone fixing device {Device for fixing grinding stone}

본 발명은 숫돌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기 다른 크기를 갖는 숫돌을 용이하게 파지하고, 칼이나 가위 등의 칼날을 연마하기 가장 적절한 각도로 설치 가능한 숫돌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tstone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etstone fixing device which can be easily gripped by grinding wheels having different sizes and installed at an angle most suitable for grinding a blade such as a knife or scissors.

칼날을 포함하는 칼, 가위, 낫, 도끼 등의 도구는 장시간 사용 시 칼날이 무디어지게 되어 숫돌 등에 연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 빈도에 따라 주기적으로 연마된다. 이와 같은 도구는 가정용, 업소용, 농업용 등에서 사용됨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진 칼날을 포함하며, 칼날에 따라 형상, 치수, 입자의 종류와 그 크기 및 기공률이 서로 다른 숫돌이 사용되고 있다.Knives, scissors, sickle, axes, etc., including blades, are used after being sharpened and sharpened by grinding wheels for prolonged use, and are periodically polish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Such tools include blades having different sizes and shapes as they are used in household, commercial, agricultural, and the like, and grinding wheels having different shapes, dimensions, types of particles, and sizes and porosities are used according to the blades.

이에 따라, 숫돌에 따라 그에 맞는 고정장치(받침대)가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숫돌 고정장치는 특정 종류의 숫돌을 단순 고정하는 기능만 있을 뿐,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 숫돌은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숫돌은 날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뉘어지거나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사용되나, 이와 같이, 배치될 경우 안정적으로 고정 또는 거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고정 배치되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없어 편의성과 연삭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숫돌을 연마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grinding wheel according to the fixing device (stand) is used, the conventional grinding wheel fixing device only has a function of simply fixing a specific type of grinding wheel, the grinding wheel of various sizes and shapes can not be stably fixed there is a problem. In particular, the grindstone is arranged and used to be divided or inclin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blade.However, when the grinding wheel is disposed, not only can not be stably fixed or mounted, but also it cannot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fixed arrangement so that convenience and grinding rate are reduced. There is a problem.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to install the grindstone in the position to be polished.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숫돌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싱크대뿐만 아니라 대야 등과 같이 크고 넓적한 그릇에도 거치 가능한 동시에, 칼날을 연마하기에 가장 적절한 기울기로 조절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필요로 하였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ably fix the grinding wheels of various sizes, and to be able to mount not only the sink but also a large and wide bowl such as a basin, and at the same time, a fixing device that can be adjusted to the most appropriate inclination for grinding the blade.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1505호, (2012.06.06)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0-2012-0001505, (2012.06.0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기 다른 크기를 갖는 숫돌을 용이하게 파지하고, 칼이나 가위 등의 칼날을 연마하기 가장 적절한 각도로 설치 가능한 숫돌 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tstone fixing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at the most appropriate angle to easily grip the grindstone having a different size, and to polish the blade, such as a knife or scissor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i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숫돌 고정장치는, 숫돌을 사이에 두고 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숫돌을 고정하는 고정유닛과,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상기 고정유닛이 안착되며,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의 상기 길이방향 일단부가 고정되며, 복수 개의 단차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유닛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한다.Whetston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unit for fixing the whetstone with the grindstone interposed between, and is formed in a flat shape, the fixing uni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he length is adjus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pport unit is fixed, and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unit is fixed, a plurality of stepped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include an angle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unit.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이 안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부로 각각 연장되는 제1 연장판과 제2 연장판을 포함한다.The support unit includes a support plate on which the fixing unit is seated, and first and second extension plates extending from the support plate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상기 제1 연장판과 상기 제2 연장판은 상기 지지판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plate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may be slidably moved into the support plate.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숫돌을 양단에서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블록과, 상기 파지블록을 관통하여 연결하며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파지블록의 이동을 제한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한다.The fixing unit includes a pair of gripping blocks that grip the grindstone at both ends, a connecting rod that passes through the gripping block and has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thereof, and is screwed to the connecting rod to limit movement of the gripping block. Includes adjustment screw to make.

한 쌍의 상기 파지블록은 상면이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숫돌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ir of gripping blocks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on which an upper surface is stepped downward from the outside toward the inside to seat the grindstone.

한 쌍의 상기 파지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부로부터 상기 연결봉을 따라 연장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air of gripping blocks may include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one end along the connecting rod.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연결봉이 관통하며 한 쌍의 상기 파지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숫돌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단차부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xing unit further includes a support block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rod penetrates and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gripping blocks to support the whetstone, and the support block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한 쌍의 상기 파지블록은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유닛과 서로 요철결합되어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The pair of gripping blocks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 fixing unit is concave and convex with each other and the support unit may be limited in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지지유닛은 상면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길이방향 또는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하면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unit may protrude to an upper surface and include a protrus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xing unit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상기 삽입홈은 한 쌍의 상기 파지블록에 각각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s may be symmetrically formed in the pair of gripping blocks, respectively.

상기 단차결합부는 상기 각도조절부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유닛을 향하여 돌출형성되거나 상기 각도조절부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단차결합부는 상기 각도조절부의 적어도 일부가 절곡형성되며, 복수 개가 수직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step coupling portion may have one end of the angle adjuster protruding toward the support unit or the angle adjuster may be penetrated to fix one end of the support unit. At least a part of the step coupling part may be bent to form the angle adjusting part, and a plurality may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한 숫돌 고정장치는, 숫돌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의 길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싱크대, 대야 이외에도 폭이 서로 다른 곳에 용이하게 거치 가능하며,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고 있는 숫돌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특히, 본원 발명의 숫돌 고정장치는 지지유닛이 배치될 때의 기울기를 조절 가능하여 칼이나 가위 등의 칼날을 연마하기 가장 적절한 기울기로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각 구성요소의 분리 및 결합 가능하여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며, 구성요소 사이사이 세척이 가능하여 녹이 끼거나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whetston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whetstone, so that it can be easily mounted at different widths in addition to the sink and the basin, and can stably hold the whetstone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Can be. In particular, the whetston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t the most suitable inclination to sharpen the blade, such as a knife or scissors by adjusting the tilt when the support unit is disposed. In addition,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f each component is easy to carry and store, and can be washed between the components to prevent rust or occur phenomen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숫돌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숫돌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숫돌 고정장치의 고정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고정유닛의 작동도이다.
도 5는 도 3의 고정유닛이 숫돌을 파지하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숫돌 고정장치의 지지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지지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지지유닛의 작동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숫돌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tston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whetstone fixing device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unit of the whetstone fixing device of FIG.
4 is an operation of the fixing unit of FIG.
5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xing unit of FIG. 3 grips a whetston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unit of the whetstone fixing device of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unit of FIG. 5.
8 is an operation of the support unit of FIG.
9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grinding whe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have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숫돌 고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grinding wheel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본 발명의 숫돌 고정장치(1)는 다양한 길이와 폭을 가지고 있는 숫돌(W)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싱크대(S), 대야 등과 같은 곳의 폭에 맞도록 길이를 손쉽게 조절하여 거치할 수 있다. 특히, 숫돌 고정장치(1)는 숫돌(W)이 고정된 고정유닛(10)을 지지하는 지지유닛(20)이 설치되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칼이나 가위 등과 같은 각종 칼날을 연마하기 가장 적절한 각도로 설치할 수 있다.Whetstone fix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hold the grindstone (W) having a variety of lengths and widths, at the same time easy to adjust the length to fit the width of the sink (S), basin, etc. can do. In particular, the whetstone fixing device 1 can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unit 20 for supporting the fixed unit 10 to which the whetstone (W) is fixed, and is most suitable for polishing various blades such as knives or scissors. Can be installed at an angle.

한편, 본 명세서 상에서의 칼날은 칼, 가위, 낫, 도끼 등의 도구에 형성된 얇고 날카로운 날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숫돌 고정장치(1)는 위와 같은 칼날을 날카롭게 연마하는 숫돌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씽크대(S), 대야 등 다양한 곳에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지만, 본 명세서 상에서는 싱크대(S)에 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lade in this specification means the thin and sharp blade formed in tools, such as a knife, scissors, a sickle, an axe. In addition, the whetstone fix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fix the whetstone sharpening the blades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installed and used in various places such as a sink (S), a basin, but is mounted on the sink (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i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숫돌 고정장치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설명하고,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숫돌 고정장치의 고정유닛과 지지유닛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후에,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숫돌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grinding whe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s a whole, and with reference to FIGS. After the description, the use state diagram of the whetstone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숫돌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숫돌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tston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whetstone fixing device of FIG.

본 발명의 숫돌 고정장치(1)는, 상면에 안착되는 숫돌(도 5의 W참조)을 파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유닛(10)과, 싱크대(도 8의 S참조)의 상단에 거치되어 고정유닛(10)과 결합되어 고정유닛(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20)과, 서로 결합된 고정유닛(10) 및 지지유닛(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30)를 포함한다.The whetstone fix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fixing unit 10 for holding and fixing a whetstone (see W in FIG. 5) seated on an upper surface, and mounted on an upper end of a sink (see S in FIG. 8). The support unit 20 is coupled to the unit 10 to support the fixed unit 10, and the angle adjusting unit 30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fixed unit 10 and the support unit 20 coupled to each other Includ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숫돌 고정장치(1)는, 숫돌(W)을 사이에 두고 간격이 조절되어 숫돌(W)을 고정하는 고정유닛(10)과,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고정유닛(10)이 안착되며,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유닛(20)과, 지지유닛(20)의 길이방향 일단부가 고정되며, 복수 개의 단차결합부(32)가 형성되어 지지유닛(20)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각도조절부(3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grindstone fix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unit 10 for fixing the grindstone (W) by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the grindstone (W), and is formed in a flat shape fixed unit ( 10 is seated, the support unit 20 and the length of the support unit 20 is adjus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unit 20 is fixed, a plurality of step coupling portion 32 is formed of the support unit 20 It includes an angle adjuster 30, the tilt is adjusted.

고정유닛(10)은 숫돌(W)을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로, 숫돌(W)을 양 방향에서 파지하기 위한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을 포함한다. The fixing unit 10 is a fixing device for stably holding and fixing the grindstone W, and includes a pair of gripping blocks 11a and 11b for gripping the grindstone W in both directions.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은 서로 이격된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숫돌(W)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유닛(10)은 지지유닛(20)의 상단에 요철결합되어 싱크대(S)의 지지유닛(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어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pair of gripping blocks 11a and 11b can adjust the distan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tably hold the grinding wheel W of various sizes. The fixed unit 10 is uneven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unit 20 is restri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unit 20 of the sink (S) can be used stably mounted.

지지유닛(20)은 숫돌(W)을 파지하고 있는 고정유닛(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싱크대(S)의 상단에 거치될 수 있다. 지지유닛(20)은 양 끝단부에 특정 위치에 거치될 수 있는 걸림부(25)가 형성되어 싱크대(S)의 상단이나 각도조절부(30)에 거치될 수 있다. 지지유닛(20)은 일단부가 싱크대(S)의 상단에 거치되고 타단부가 각도조절부(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단차결합부(32)에 거치 가능하여 경사지도록 배치 가능하며, 양단부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여 싱크대(S)의 다양한 폭에 맞도록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support unit 20 is for supporting the fixed unit 10 holding the grindstone (W), it can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sink (S). The support unit 20 is formed with a catching portion 25 that can be mounted at both ends at a specific position can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sink (S) or the angle adjuster (30). The support unit 20 may be disposed such that one end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sink S and the other end is inclined by being mounted on the plurality of step coupling portions 32 formed in the angle adjusting part 30. Adjustable so that it can be used to adjust the length to fit the various width of the sink (S).

한편, 각도조절부(30)는 일단부가 싱크대(S)의 상단에 거치되고 일측면에 지지유닛(20)의 일단부가 거치 가능한 단차결합부(32)가 형성된다. 단차결합부(32)는 복수 개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지지유닛(20)의 기울기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배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30)의 일단부와 지지유닛(20)의 일단부는 각각 싱크대(S)의 상단에 배치되고, 지지유닛(20)의 타단부는 복수 개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단차결합부(32) 중 적어도 하나에 거치되어 숫돌(W)이 배치되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ngle adjustment portion 30 is one end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ink (S) and one step is coupled to the stepped portion 32 that can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unit 20. A plurality of step coupling portions 32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arranged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unit 20 in various ways. As shown in FIG. 2, one end of the angle adjuster 30 and one end of the support unit 20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sink S, and a plurality of other ends of the support unit 20 are vertically disposed. Can be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stepped coupling portion 32 disposed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whetstone (W) is disposed.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고정유닛, 지지유닛 및 각도조절부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fixing unit, the supporting unit, and the angle adjust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도 3은 도 1의 숫돌 고정장치의 고정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고정유닛의 작동도이고, 도 5는 도 3의 고정유닛이 숫을 파지하는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숫돌 고정장의 지지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지지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지지유닛의 작동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unit of the whetstone fixing device of FIG. 1, FIG. 4 is an operation view of the fixing unit of FIG. 3, FIG. 5 is a side view of the fixing unit of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unit of the whetstone fixed length of FIG. 1,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unit of FIG. 5, and FIG. 8 is an operation view of the support unit of FIG. 5.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고정유닛(10)은 숫돌(W)을 사이에 두고 간격이 조절되어 숫돌(W)을 고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유닛(10)은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과, 연결봉(12)과, 조절나사(13)를 포함하고,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 사이에 숫돌(W)을 배치하여 숫돌(W)의 크기에 맞도록 파지블록(11a, 11b)을 이동시켜 숫돌(W)에 밀착 배치시킴으로써, 숫돌(W)을 파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유닛(10)은 숫돌(W)을 양단에서 파지하는 파지블록(11a, 11b)과, 파지블록(11a, 11b)을 관통하여 연결하며 일단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12)과, 연결봉(12)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파지블록(11a, 11b)의 이동을 제한하는 조절나사(13)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S. 3 to 5, the fixing unit 10 may fix the grindstone W by adjusting a gap therebetween the grindstone W therebetween. In other words, the fixing unit 10 includes a pair of gripping blocks 11a and 11b, a connecting rod 12, and an adjustment screw 13, and a grindstone between the pair of gripping blocks 11a and 11b. By arranging W), the holding blocks 11a and 11b are moved in close contact with the grindstone W so as to fit the size of the grindstone W, so that the grindstone W can be gripped and fixed.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unit 10 is connected to the holding blocks (11a, 11b) holding the grinding wheel (W) at both ends, and through the holding blocks (11a, 11b) and the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The connecting rod 12 may include an adjusting screw 13 screwed to the thread of the connecting rod 12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gripping blocks 11a and 11b.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은 숫돌(W)을 양단에서 파지하기 위한 고정장치로, 네모난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블록(11a, 11b)은 한 쌍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사이에 숫돌(W)이 배치되어 적어도 일부 면으로부터 숫돌(W)과 밀착 배치되어 숫돌(W)을 양 방향에서 파지할 수 있다. 파지블록(11a, 11b)은 숫돌(W)의 양단부를 각각 밀착 배치하기 위한 제1 파지블록(11a)과 제2 파지블록(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지블록(11a)과 제2 파지블록(11b)은 후술할 연결봉(12)의 양단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각각 결합되어 숫돌(W)을 파지할 수 있다. 제1 파지블록(11a)과 제2 파지블록(11b)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 상에서의 제1 파지블록(11a)과 제2 파지블록(11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제1 파지블록(11a)은 일단부로부터 연결봉(12)을 따라 연장형성된 연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10)는 파지블록(11a, 11b)이 숫돌(W)과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 더욱 숫돌(W)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파지블록(11a)이 제2 파지블록(11b)과 마주하고 있는 일단부로부터 제2 파지블록(11b)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연결봉(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110)는 상면이 제1 파지블록(11a)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제1 파지블록(11a)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10)는 내부에 연결봉(12)이 삽입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연장부(110)는 명세서 상에서 제1 파지블록(11a)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지지블록(14) 또는 제2 파지블록(11b)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연장부(110)는 파지블록(11a, 11b)과 마주하고 있는 지지블록(14)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로부터 연결봉(12)을 향하여 연장형성되거나, 제2 파지블록(11b)의 일단부로부터 연결봉(12)을 향하여 연장형성되어 상부에 안착되는 숫돌(W)과 지지면적을 넓혀 숫돌(W)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연장부(110)는 제1 파지블록(11a)과 제2 파지블록(11b)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파지블록(11a, 11b)은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숫돌(W)이 안착되는 안착부(111)를 형성할 수 있다. A pair of holding blocks (11a, 11b) is a fixing device for holding the grinding wheel (W) at both ends, it may be formed in a square block shape. The gripping blocks 11a and 11b are disposed so that the pair face each other, and the grindstones W are disposed between the grip blocks 11a and 11b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indstones W from at least some of the surfaces, so that the grindstones W may be gripped in both directions. The gripping blocks 11a and 11b may include a first gripping block 11a and a second gripping block 11b for closely arranging both ends of the grindstone W, respectively. The first gripping block 11a and the second gripping block 11b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 12 to be described later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to grip the grindstone (W). The first gripping block 11a and the second gripping block 11b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arranged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but the first gripping block 11a and the second gripping block 11b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1 to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med in different shapes as shown in FIG. The first gripping block 11a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110 extending along the connecting rod 12 from one end thereof. Extension portion 110 is to support the grindstone (W) more stably by expanding the area in which the gripping blocks (11a, 11b) contact the grindstone (W), the first gripping block (11a) is a second gripping block It may be formed to extend toward the second gripping block 11b from one end facing the 11b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12. The extension 110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rst gripping block 11a such that the top surface thereof is coplanar with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gripping block 11a. 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110 may be stably fixed by inserting the connecting rod 12 therein. However, the extension unit 110 is described as an example formed extending from the first gripping block (11a) in the specification, but is not limited to this will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support block 14 or the second gripping block (11b)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More specifically, the extension part 110 extends from one or both ends of the support block 14 facing the gripping blocks 11a and 11b toward the connecting rod 12, or the second gripping block 11b. It extends from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12 toward the whetstone (W) and the support area to be seated on the upper side may also stably support the whetstone (W). In addition, the extension 110 may be formed in both the first gripping block 11a and the second gripping block 11b. On the other hand, the holding blocks (11a, 11b) may form a seating portion 111 on which the grindstone (W) is se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안착부(111)는 숫돌(W)이 안착되는 파지블록(11a, 11b)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면으로, 파지블록(11a, 11b)의 상면이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면을 이룰 수 있다. 다시 말해, 안착부(111)는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마주하고 있는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 상면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단차 형성되어 각각의 파지블록(11a, 11b)에 ‘┖’, ‘┚’형상의 안착부(11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은 적어도 일부에 단차 형성된 안착부(111)가 형성되어 숫돌(W)이 배치되고,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이 양 방향에서 숫돌(W)을 파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안착부(111)는 숫돌(W)과 밀착되도록 접하여 숫돌(W)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블록(11a, 11b)의 어느 면에라도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숫돌(W)은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 사이에 배치되고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이 마주하는 내측면에 안착부(111)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숫돌(W)과 밀착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일부를 이룰 수도 있다.The seating part 111 is a surface that forms at least a part of the gripping blocks 11a and 11b on which the grindstone W is seated, and the top surface of the gripping blocks 11a and 11b is stepped downwar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Can be achieved. In other words, the seating part 111 is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and is formed step by step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and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pair of holding blocks 11a and 11b facing each other. , 11b) may form seating portions 111 having '┖' and '┚' shapes. As shown in FIG. 5, the pair of gripping blocks 11a and 11b have at least a portion of a seating portion 111 formed with a step, and the grindstone W is disposed, and the pair of gripping blocks 11a and 11b. The grindstones W can be gripped and fixed in both direction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ating part 111 may be formed on any surface of the gripping blocks 11a and 11b tha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indstone W to grip the grindstone W. For example, the grinding wheel (W)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holding blocks (11a, 11b) and the mounting portion 11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pair of holding blocks (11a, 11b), It may be at least a part that can be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hetstone (W).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은 측면에 연결봉(12)이 관통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봉(12)은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을 관통하여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늘고 기다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봉(12)은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의 측면을 수평하게 관통하여 일단부와 타단부에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 중 적어도 하나의 파지블록(11a, 11b)은 연결봉(12)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파지블록(11b)은 연결봉(12)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파지블록(11a)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연결봉(12)은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나사산에 제2 파지블록(11b)의 이동을 제한하는 조절나사(13)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봉(12)은 제2 파지블록(11b)이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시, 조절나사(13)가 나사산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2 파지블록(11b)의 이동을 제한하고 제2 파지블록(11b)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3, the pair of gripping blocks 11a and 11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rod 12 penetrating to a side surface thereof. Connecting rod 12 is for connecting through a pair of holding blocks (11a, 11b), it may be formed in a thin elongated rod shape. The connecting rod 12 may horizontally penetrate the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gripping blocks 11a and 11b so that a pair of gripping blocks 11a and 11b may be dispos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respectively. At least one gripping block 11a, 11b of the pair of gripping blocks 11a, 11b may slid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12 to adjust an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gripping blocks 11a, 11b. . Specifically, the second gripping block 11b may slid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12 to adjust an interval with the first gripping block 11a. At this time, the connecting rod 12 has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the adjustment screw 13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gripping block (11b) may be coupled to the thread. The connecting rod 12 has an adjustment screw 13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ead when the second gripping block 11b slid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econd gripping block 11b and to the second gripping block 11b. ) Position can be fixed stably.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 중 적어도 하나의 파지블록(11a, 11b)은 연결봉(12)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결합되어 파지블록(11a, 11b)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지블록(11a, 11b)은 안착부(111)에 안착되는 숫돌(W)의 길이에 맞도록 연결봉(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숫돌(W)과 밀착 배치됨으로써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4 in more detail, at least one of the holding blocks (11a, 11b) of the pair of holding blocks (11a, 11b) is coupled to the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12 The spaced distances of the gripping blocks 11a and 11b may be adjusted. Accordingly, the holding blocks 11a and 11b are slidab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12 to fit the length of the grinding wheel W seated on the seating part 111, thereby stably placing the grip blocks W in close contact with the grinding wheel W. Can be gripped.

특히, 고정유닛(10)은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블록(14)을 더 포함하여 상면에 배치되는 숫돌(W)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블록(14)은 벽돌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지지블록(14) 사이에 이격 배치된다. 지지블록(14)은 연결봉(12)이 측면을 관통하여 배치됨으로써, 연결봉(12)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블록(14)은 파지블록(11a, 11b)이 숫돌(W)의 크기 및 길이에 따라 위치가 변화할 때, 이격된 거리 사이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이동하여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특히, 지지블록(14)의 상면은 안착부(111)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안착부(111)에 배치되는 숫돌(W)에 밀착 배치되어 숫돌(W)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블록(14)은 파지블록(11a, 11b)이 이격된 거리의 가운데 배치되어, 칼날이 상부에 배치된 숫돌(W)에 연마될 때, 숫돌(W)의 중심부가 외력에 의해 하부로 쳐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지지블록(14)은 칼날에 의해 숫돌(W)의 중심부가 양단부에 비해 두께가 얇아지게 될 때, 숫돌(W)의 중심부를 지지함으로써 숫돌(W)이 연마중에 절단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큰 사고로 이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ixing unit 1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block 14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holding blocks 11a and 11b to stably support the grindstone W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The support block 14 is formed in a brick shape and is spaced apart between the pair of support blocks 14. The support block 1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12 through the side, thereby slid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12 can be adjusted in position. The support block 14 may be slid and moved so that the holding blocks 11a and 11b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between the spaced distances when the posi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and length of the grindstone (W). . In particular,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14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11, i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indstone (W) dispos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can support the grindstone (W). . The support block 14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holding blocks 11a and 11b so that when the blade is polished on the grinding wheel W disposed above, the center of the grinding wheel W is lowered by external force. Minimize the loss or damage. In addition, the support block 14 prevents the phenomenon that the grinding wheel W is cut during polishing by suppor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grinding wheel W wh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grinding wheel W becomes thinner than both ends by the blade. As a result, the phenomenon leading to a big accident can be prevented.

한편, 고정유닛(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11)에 숫돌(W)이 밀착 배치될 수 있도록 제2 파지블록(11b)의 위치를 조절하여 숫돌(W)을 안정적으로 파지하고, 숫돌(W)이 지지블록(14)에 의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파지블록(11b)과 지지블록(14)은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예를 들어, 고무 등) 숫돌(W)에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유닛(10)은 하면에 지지유닛(20)의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211)와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fixing unit 1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second gripping block 11b so that the grindstone W may be closely attached to the seating part 111, thereby stably stabilizing the grindstone W. The grindstone W can be stably disposed by the support block 14. At this time, the gripping block 11b and the support block 14 are made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for example, rubber), and can be more firmly fixed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whetstone (W). The fixing unit 10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112 that can be coupled to the protrusion 211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unit 20 on the lower surface.

삽입홈(112)은 파지블록(11a, 11b)의 하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만입 형성되어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으로, 파지블록(11a, 11b)의 하면에 ‘凹’와 같은 형상으로 만입되어 고정유닛(10)의 길이방향 또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삽입홈(112)은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의 하면에 각각 대칭을 이루도록 만입 형성되어 돌출부(211)와 요철 결합되는 홈으로, x축과 z축 방향으로 복수 개가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파지블록(11a, 11b)은 하면에 삽입홈(112)이 형성되어 고정유닛(10)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Insertion groove 112 is a groove formed indented toward the top from the bottom of the gripping blocks (11a, 11b) is a groove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indented in the shape of '凹' on the bottom of the gripping blocks (11a, 11b) fixed unit It may be formed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0). In other words, the insertion groove 112 is a groove which is formed to be symmetrical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pair of holding blocks 11a and 11b, respectively, to be combined with the protrusions 211 and the concave-convex, and a plurality of grooves are provided in the x-axis and z-axis directions, respectively. It may be extended. The gripping blocks 11a and 11b may have an insertion groove 112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to be easily coupled to the fixing unit 1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지지유닛(20)은 전술한 고정유닛(10)을 싱크대(S), 대야 등과 같이 특정 위치에 거치하기 위한 지지구조로, 상면에 고정유닛(10)이 안착될 수 있다. 지지유닛(20)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고정유닛(10)이 안착되며,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6 to 8, the support unit 20 is a support structure for mounting the above-mentioned fixing unit 10 at a specific position such as a sink S, a basin, etc., and the fixing unit 10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Can be. The support unit 2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he fixing unit 1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he length can be adjus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지지유닛(20)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 끝단부가 싱크대(S)의 상단에 각각 거치되어, 고정유닛(10)을 싱크대(S)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구조이다. 지지유닛(20)은 상면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211)를 포함하여 고정유닛(10)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support unit 2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both ends thereof are mounted on top of the sink S, respectively, to install the fixing unit 10 in the sink S. It is a supporting structure. The support unit 20 may be easily coupled to the fixed unit 10 including a protrusion 211 at least partially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지지유닛(20)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유닛(10)이 안착되는 지지판(21)과, 지지판(21)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부로 각각 연장되는 제1 연장판(22a)과 제2 연장판(22b)을 포함한다.The support unit 2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he support plate 21 on which the fixing unit 10 is seated, and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and the second extension, respectively extending from the support plate 21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late 22b.

지지판(21)은 고정유닛(10)이 안착되는 금속재질의 평평한 판으로 이루어져, 고정유닛(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11)는 지지판(21)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즉,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凸’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11)는 지지유닛(20)의 길이방향 또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돌출부(211)는 x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거나, 동일한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돌출부(211)는 파지블록(11a, 11b)의 하면에 x축과 z축 방향으로 만입 형성된 삽입홈(112)에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211)와 삽입홈(112)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고정유닛(10)을 지지유닛(20)에 다양한 방면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돌출부(211)와 삽입홈(112)은 ‘凸’과, ‘凹’와 같은 형상으로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과 지지판(21)에 각각 x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고정유닛(10)이 지지유닛(20)의 어느 축을 향하여 배치되더라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삽입홈(112)은 한 쌍의 파지블록(11a, 11b)에 각각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고정유닛(10)이 일단부가 지지유닛(20)의 z축과 -z축 중 어느 방향을 향하더라도 돌출부(211)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21 may include a flat plate made of a metal material on which the fixing unit 10 is seated, and may include a protrusion 211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to stably support the fixing unit 10. The protrusion 211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constitu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21, that is, extend in the y-axis direction. As illustrated in FIG. 6, the protrusions 211 may protrude upward, and may have a shape such as '凸'. The protrusion 211 may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unit 20. In other words, the protrusions 211 may extend in the x-axis direction or the z-axis direction,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ame direction. The protrusion 211 may be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112 indented in the x-axis and z-axis directions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gripping blocks 11a and 11b. Protruding portion 211 and the insertion groove 112 is formed in a variety of directions in a position tha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couple the fixing unit 10 to the support unit 20 in various ways. In other words, the protrusion 211 and the insertion groove 112 have a shape such as '凸' and '凹'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respectively, in the pair of holding blocks 11a and 11b and the support plate 21. Is formed to extend, so that the fixing unit 10 can be easily coupled to any axis of the support unit 20 is disposed toward. In particular, the insertion groove 112 is formed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f the pair of holding blocks (11a, 11b), so that the fixed unit 10 has one end of the z-axis and -z axis of the support unit 20 Even when facing, it can be easily coupled with the protrusion 211.

한편, 돌출부(211)는 지지유닛(20)에 형성되고, 삽입홈(112)은 고정유닛(10)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211)가 고정유닛(10)에 형성되고, 삽입홈(112)이 지지유닛(20)에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 211 is formed in the support unit 20, the insertion groove 112 is described with an example formed in the fixed unit 10, but is not limited to this, the protrusion 211 is a fixed unit 10 ), The insertion groove 112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unit (20).

계속해서, 지지판(21)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장측부의 양끝단부가 하부를 향하여 굴절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판(21)은 z축 방향의 측부가 하부로 굴절되어 측벽부(211)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판(21)은 측벽부(211)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제1 연장판(22a)과 제2 연장판(22b)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support plate 21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both ends of the long side part may be deflected downward. In other words, the side of the support plate 21 may be bent downward to form the sidewall part 211. The support plate 21 may have a sidewall portion 211 formed therein, and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may slide inwardly.

제1 연장판(22a) 및 제2 연장판(22b)은 지지판(21) 양단부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일종의 연장부로, 지지판(21)의 내측에 결합되어 지지판(21)의 양단부로부터 연장 또는 수축되어 지지유닛(20)의 z축 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연장판(22a)과 제2 연장판(22b)은 지지판(2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x축과 y축 방향의 길이가 지지판(21)보다 작게 형성되어, 지지판(21)의 내측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장판(22a) 및 제2 연장판(22b)은 측벽부(221)에는 이동홈(23)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are a kind of extension part for extending the length of both ends of the support plate 21.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ar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plate 21 to extend or contract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plate 21. The length of the support unit 20 in the z-axis direction can be adjusted.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are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smaller than the support plate 21 so that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can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plate 21. I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Moving grooves 23 may be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221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이동홈(23)은 제1 연장판(22a)과 제2 연장판(22b)의 측벽부(221)를 관통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장판(22a)과 제2 연장판(22b)은 지지판(21)의 내측에 배치되고, 지지판(21)의 외측과 제1 연장판(22a) 및 제2 연장판(22b)의 내측에 제1 고정나사(24a)와 제2 고정나사(24b)가 각각 배치되어 지지판(21)의 측벽부(211)를 관통하여 이동홈(23)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연장판(22a) 및 제2 연장판(22b)은 지지판(21)의 장측부 즉, 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판(21)의 외측과 내측에서 이동홈(23)에 결합되는 제1 고정나사(24a)와 제2 고정나사(24b)에 의해 완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나사(24a)와 제2 고정나사(24b)는 완전하게 조이게 될 경우 제1 연장판(22a)과 제2 연장판(22b)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고, 조임을 풀게 될 경우, z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지지유닛(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moving groove 23 may pass through the side wall portion 221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are disposed inside the support plate 21, the outside of the support plate 21, and the inside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The first fixing screw 24a and the second fixing screw 24b may be disposed at each other to penetrate the side wall 211 of the support plate 21 and be coupled to the moving groove 23. In other words,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may be coupled to slide in the long side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21, that is, in the z-axis direction, and move in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support plate 21. It can be completely fixed by the first fixing screw 24a and the second fixing screw 24b coupled to the groove 23. When the first fixing screw 24a and the second fixing screw 24b are completely tightened,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are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and when the tightening screw is released, z The length of the support unit 20 can be adjusted by sli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계속해서, 도 8을 참조하면, 지지유닛(20)은 지지판(21)의 양단부에 제1 연장판(22a)과 제2 연장판(22b)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연장판(22a)과 제2 연장판(22b)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다양한 크기의 싱크대(S)의 폭에 맞도록 전체적인 길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지지유닛(20)은 제1 연장판(22a)과 제2 연장판(22b)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숫돌(W)을 지지하는 지지판(21)의 위치를 조절하여, 싱크대(S)의 상부에 숫돌(W)이 배치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먼저, 도 8의 (a)를 참조하면, 지지유닛(20)의 양단부가 싱크대(S)의 상단에 거치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지지유닛(20)은 양단부에서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지지판(21)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장판(22a)이 지지판(21)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줄이고, 제2 연장판(22b)이 지지판(21)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늘어나도록 조절하여 숫돌(W)을 싱크대(S)의 왼쪽에 치우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판(22a)이 지지판(21)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늘리고, 제2 연장판(22b)이 지지판(21)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줄이도록 조절하여,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돌(W)이 배치되는 지지판(21)을 싱크대(S)의 오른쪽에 치우치도록 배치할 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연장판(22a)과 제2 연장판(22b)이 돌출되는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지지판(21)이 싱크대(S)의 가운데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지지유닛(20)은 양단부로부터 연장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싱크대(S)의 폭에 맞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싱크대(S)에 배치되는 숫돌(W)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형성되는 지지유닛(20)은 양단부에 싱크대(S)의 상단부 또는 후술할 단차결합부(32)에 결합되는 걸림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5)는 제1 연장판(22a)과 제2 연장판(22b)의 상판이 양 방향을 향하여 측벽부(221)보다 더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걸림부(25)는 이와 같이 싱크대(S)의 상단부나 단차결합부(32)에 거치되고, 측벽부(221)의 양끝단부가 싱크대(S)의 내측면이나 단차결합부(32)의 절곡된 측면에 밀착 배치되어 숫돌을 연마할 때 지지유닛(20)이 밀리거나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유닛(20)은 일단부가 싱크대(S)의 상단에 거치될 수 있으며, 타단부가 각도조절부(30)의 단차결합부(32)에 거치될 수 있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8, in the support unit 20,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are slid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plate 21, and the first extension plate ( By sliding the 22a)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the overall length can be easily adjusted to fit the width of the sink S of various sizes. In particular, the support unit 2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21 for supporting the grindstone (W)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of the sink (S) The position where the whetstone (W) is disposed in the upper portion can be adjusted. First, referring to FIG. 8 (a), it shows a view in which both ends of the support unit 20 are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ink S. At this time, the support unit 20 can adjust the length at both ends to se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21.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late 21 is shortened, and the length of the length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late 21 is increased so that the grindstone W is sinked. It can be arranged to be biased to the left of (S).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late 21 is increased,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late 21 is adjusted to reduce the length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upport plate 21 on which the whetstone W is disposed may be disposed to be biased to the right side of the sink S.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length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may be properly adjusted to adjust the support plate 21 to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ink S. That is, in this way, the support unit 2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extended from both ends can not only adjust the length to fit the width of the sink (S), but also adjust the position of the grindstone (W) disposed in the sink (S) There is also a feature that can be adjusted.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unit 20 is formed in this way may be formed on both ends of the engaging portion 25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ink (S) or step coupling portion 32 to be described later. The locking portion 25 is formed to extend so that the upper plates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protrude more than the side wall portion 221 in both directions. The locking portion 25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ink S or the step coupling portion 32, and both ends of the side wall 221 are bent at the inner side of the sink S or the step coupling portion 32. Closely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can prevent the support unit 20 from pushing or shaking when grinding the grindstone. The support unit 20 may have one end mounted on the top of the sink S, and the other end mounted on the step coupling portion 32 of the angle adjuster 30.

각도조절부(30)는 일단부가 싱크대(S)의 상단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싱크대(S)의 내측으로 연장 배치되어 싱크대(S)에 거치되는 지지유닛(20)의 거치되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3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적어도 한번 굴절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30)는 일단부가 대략 90°정도 굴절되어 굴절부(31)를 형성하고, 타단부가 하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도조절부(30)는 일단부가 굴절 형성된 굴절부(31)가 싱크대(S)의 상단에 거치되고, 타단부는 하부로 연장되어 싱크대(S)의 내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부(30)는 하부로 연장되어 싱크대(S)의 내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단차결합부(32)가 형성되어 지지유닛(2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angle adjusting unit 30 may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unit 20 mounted on one end of the sink S and the other end of the sink S is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sink S. have. The angle adjusting unit 30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so that one end thereof is refracted at least once. One end of the angle adjuster 30 may be refracted by about 90 ° to form the refracting part 31, and the other end may extend downward. In other words, the angle adjuster 30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refraction portion 31 having one end refracted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ink S, and the other end extends downward to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sink S. have. At this time, the angle adjusting unit 30 is extended to the lower sid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ep coupling portion 32 is formed to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sink (S) can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unit 20.

단차결합부(32)는 지지판(21)의 걸림부(25)를 지지하기 위하여, 각도조절부(30)에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결합부(32)는 각도조절부(30)의 평판에 복수 개가 수직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각기 다른 높이에서 걸림부(25)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차결합부(32)는 각도조절부(30)의 평판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각도조절부(30)의 평판이 싱크대(S)의 공간을 향하는 면 즉,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결합부(32)는 각도조절부(30)의 일단부가 지지유닛을 향하여 돌출형성되거나, 각도조절부(30)의 적어도 일부가 굴절부(31)와 반대 방향을 향하여 절곡형성되어 복수 개가 수직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단차결합부(32)는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유닛(20)의 일단부를 각기 높이에 거치하여 지지유닛(2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상에서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In order to support the locking portion 25 of the support plate 21, the step coupling portion 32 may be formed in plural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angle adjusting portion 30. Step difference coupling portion 32 is formed in the plurality of vertically spaced apart in the flat plate of the angle adjusting portion 30, it can support the locking portion 25 at different heights. The step coupling portion 32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flat plate of the angle adjusting portion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surface of the angle adjusting portion 30 toward the space of the sink S, that i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Indented grooves can be formed. 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step coupling portion 3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angle adjusting portion 30 protrudes toward the support unit,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angle adjusting portion 30 is opposite to the refraction portion 31 It may be bent toward the direction and a plurality may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the stepped coupling portion 32 is not limited to such a shape,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at can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unit 20 by mounting one end of the support unit 20 at each height. In the specifica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that is formed by bending.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숫돌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사용상태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9,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use state diagram that the whetston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us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숫돌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9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grinding whe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숫돌 고정장치(1)는 싱크대(S)에 거치되는 지지유닛(20)에 결합되는 고정유닛(10)에 숫돌(W)을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정유닛(10)은 숫돌(W)에 밀착되어 탄성력을 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숫돌(W) 형상 및 크기에 맞도록 밀착 배치하여 숫돌(W)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지지유닛(20)은 싱크대(S)의 폭에 맞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도조절부(30)에 의해 숫돌(W)이 배치되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칼날을 연마하기 가장 적절한 각도로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지지유닛(20)은 다양한 기울기로 배치되더라도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으며, 걸림부(25)가 측벽부와 단턱지게 형성되어 연마 중 싱크대(S) 또는 각도조절부(3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9, the whetstone fix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fixing the whetstone (W) to the fixing unit 10 is coupled to the support unit 20 mounted on the sink (S). The fixing unit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indstone (W) and can be stably fixed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The fixing unit 10 has a feature of stably holding the grindstone (W) by placing it in close contact with the shape and size of the grindstone (W). . In particular, the support unit 20 is not only adjustable in length to fit the width of the sink (S), but also can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grinding wheel (W) is disposed by the angle adjuster 30 is most suitable for polishing the bla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laced at an angle. In particular, the support unit 20 can be mounted stably even if it is arranged at various inclinations, and the catching portion 25 is formed to be stepped with the side wall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sink (S) or the angle adjusting portion 30 during polishing Can be prevented.

또한, 고정유닛(10)은 파지블록(11a, 11b), 연결봉(12), 조절나사(13)가 각각 분리 가능하고, 지지유닛(20)은 지지판(21), 제1 연장판(22a), 제2 연장판(22b)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세척이 용이하여 녹이 끼거나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휴대와 보관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unit 10, the holding block (11a, 11b), the connecting rod 12, the adjustment screw 13 is removable, respectively, the support unit 20 is the support plate 21, the first extension plate (22a) As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is form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b can be easily cleaned to prevent rust or occurrence, and is easy to carry and stor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숫돌 고정장치
10: 고정유닛 11a: 제1 파지블록
11b: 제2 파지블록 12: 연결봉
13: 조절나사 14: 지지블록
20: 지지유닛 21: 지지판
22a: 제1 연장판 22b: 제2 연장판
23: 이동홈 24a: 제1 고정나사
24b: 제2 고정나사 25: 걸림부
30: 각도조절부 31: 굴절부
32: 단차결합부 110: 연장부
111: 안착부 112: 삽입홈
211: 돌출부 212, 221: 측벽부
W: 숫돌 S: 싱크대
1: whetstone fixture
10: fixed unit 11a: first gripping block
11b: second gripping block 12: connecting rod
13: adjusting screw 14: support block
20: support unit 21: support plate
22a: first extension plate 22b: second extension plate
23: moving groove 24a: first fixing screw
24b: 2nd set screw 25: engaging part
30: angle adjuster 31: refraction
32: step coupling portion 110: extension portion
111: seating portion 112: insertion groove
211: protrusion 212, 221: side wall portion
W: Burr S: Countertop

Claims (13)

숫돌을 사이에 두고 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숫돌을 고정하는 고정유닛;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상기 고정유닛이 안착되며,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의 상기 길이방향 일단부가 고정되며, 복수 개의 단차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유닛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숫돌을 양단에서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블록과, 상기 파지블록을 관통하여 연결하며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파지블록의 이동을 제한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과 서로 요철결합되어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면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길이방향 또는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하면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단차결합부는 상기 각도조절부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유닛을 향하여 돌출형성되거나 상기 각도조절부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숫돌 고정장치.
A fixed unit for fixing the whetstone by adjusting a gap between the whetstones;
A support unit formed in a flat shape an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unit and having a length adjus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engthwise one end of the support unit is fixed, a plurality of stepped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include an angle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unit,
The fixing unit includes a pair of gripping blocks that grip the grindstone at both ends, a connecting rod that passes through the gripping block and has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thereof, and is screwed to the connecting rod to limit movement of the gripping block. It includes an adjustment screw to be unevenly coupled with the support unit is limited to th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pport unit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upper surface and includes a protrus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xing unit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The step engaging portion is a grindstone fixing device that one end of the angle adjustment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upport unit or the angle adjustment portion is formed through, one end of the support unit is f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이 안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부로 각각 연장되는 제1 연장판과 제2 연장판을 포함하는 숫돌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unit, the whetstone fixing device comprising a support plate on which the fixing unit is seated, and a first extension plate and a second extension plate respectively extending from the support plate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판과 상기 제2 연장판은 상기 지지판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숫돌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lates, the whetstone fixing device which is slidingly moved into the support pl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파지블록은 상면이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숫돌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숫돌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ir of holding blocks is a grinding wheel fixing device including a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is stepped downward from the outside toward the inner side is seated.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파지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부로부터 상기 연결봉을 따라 연장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숫돌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holding block of the pair of grindstone fixing device comprising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one end along the connecting r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연결봉이 관통하며 한 쌍의 상기 파지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숫돌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안착부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숫돌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fixing unit further includes a support block penetrating the connecting rod and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gripping blocks to support the whetstone,
The support block is a grindstone fixing device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파지블록은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숫돌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ir of gripping blocks are grindstone fixing device made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한 쌍의 상기 파지블록에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는 숫돌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ertion groove is a grindstone fixing device which is formed symmetrically to each of the pair of holding block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결합부는 상기 각도조절부의 적어도 일부가 절곡형성되며, 복수 개가 수직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숫돌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coupling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angle adjusting portion is bent, the whetstone fixing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KR1020180090711A 2018-08-03 2018-08-03 Device for fixing grinding stone KR1020281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711A KR102028166B1 (en) 2018-08-03 2018-08-03 Device for fixing grinding st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711A KR102028166B1 (en) 2018-08-03 2018-08-03 Device for fixing grinding st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166B1 true KR102028166B1 (en) 2019-10-02

Family

ID=6842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711A KR102028166B1 (en) 2018-08-03 2018-08-03 Device for fixing grinding st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16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113B1 (en) * 2023-02-17 2024-04-26 김영현 Cnc sliding chu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671Y1 (en) * 2003-01-02 2003-03-28 박복순 Supporter of a grindstone
KR20030090227A (en) * 2002-05-21 2003-11-28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Supporting structure of inclined shelf for showcase
KR20120001505U (en) 2010-08-25 2012-03-06 손영규 A knife sharpener equipped with removavle polishing st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227A (en) * 2002-05-21 2003-11-28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Supporting structure of inclined shelf for showcase
KR200308671Y1 (en) * 2003-01-02 2003-03-28 박복순 Supporter of a grindstone
KR20120001505U (en) 2010-08-25 2012-03-06 손영규 A knife sharpener equipped with removavle polishing st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113B1 (en) * 2023-02-17 2024-04-26 김영현 Cnc sliding chu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8186B2 (en) Sharpener with precise adjustment capabilities
US20140342644A1 (en) Blade Sharpening Stand
KR102028166B1 (en) Device for fixing grinding stone
US9168640B2 (en) Holder for sharpening and faceting
KR102028158B1 (en) Device for fixing grinding stone
JP6639213B2 (en) Manual sharpener
WO2021031690A1 (en) Knife sharpening plate and knife sharpener using same
JP5021355B2 (en) Kitchen knife sharpener
KR200442762Y1 (en) supporter of a grindstone
US1675981A (en) Graver-sharpening and facet-cutting machine
CN105290993B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convenient knife board of polishing
KR101786193B1 (en) Blade polishing apparatus of the reciprocating type
CN211347615U (en) Clamping structure and rock slice grinding device
KR101906224B1 (en) Griding device for exchanging giriding element
KR101896172B1 (en) Horizontal adjustment device and adjustment method of planar grinding stone
KR101876722B1 (en) Control device of grinding angle for blade
CN218556750U (en) Fly bomb knife sharpener
CN213380991U (en) Clamping mechanism for blade grinding machine
CN212600855U (en) Glass lens equipment of polishing
CN220575639U (en) Cutter fixing seat, knife sharpening device and cutter set
CN214559565U (en) Sheet metal part grinding device
CN214771090U (en) Novel screwdriver sharpening device
JP3245135U (en) knife sharpener
KR102232687B1 (en) Honing Angle Control Guide
KR101572094B1 (en) Apparatus for dressing grinding wh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