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840B1 - 해양 설비의 파력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해양 설비의 파력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840B1
KR102027840B1 KR1020180010076A KR20180010076A KR102027840B1 KR 102027840 B1 KR102027840 B1 KR 102027840B1 KR 1020180010076 A KR1020180010076 A KR 1020180010076A KR 20180010076 A KR20180010076 A KR 20180010076A KR 102027840 B1 KR102027840 B1 KR 102027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pressure line
small space
fluid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082A (ko
Inventor
김명기
윤효원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0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8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1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1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 F03B13/18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 F03B13/1805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and the wom is hinged to the rem
    • F03B13/181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and the wom is hinged to the rem for limited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ate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e.g. from tidal flows, waves or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4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energy generated by movement of the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 Y02E10/38

Abstract

해양 설비의 파력 발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해양 설비에 구비되는 파력 발전 장치는, 선체 외부에 설치되는 부유체; 일단이 부유체에 결합되는 연결로드; 상기 선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로드의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연결로드의 움직임에 따라 내부 소공간에 있는 유체의 유압이 가변되는 가변 유압 장치; 및 상기 가변 유압 장치로부터 고압의 유체를 공급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유압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양 설비의 파력 발전 장치{Wave power generating system of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양 설비의 파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양 설비는 통상 친환경 에너지가 사용되지 않고 연료를 소모시켜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주력으로 사용한다. 이로 인해 OPEX(Operating Expenditure)가 증가되고 각종 환경 규제에 취약하다. 또한, 전기에너지 생산 설비에 설치되는 냉각 설비의 배출수로 인해 평균 수온이 올라가는 등 주변 해양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방식으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파력 발전(wave power generation)은 파도의 상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동력을 얻어 발전하는 방법이며,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다.
예를 들면, 발전기, 진자, 전구 등을 내장한 부표를 만들고 이를 물에 띄워 파도가 치는 대로 동요시켜서 부표 속에 장치한 진자의 움직임을 포착하여 회전운동으로 바꾸고 기어를 통해서 속도를 올려 발전기를 회전시키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에 의하면 전구를 밝혀 안전 항로의 안내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파력 발전된 전기를 자체적으로 소모할 뿐이며, 선박 혹은 기타 해양 부유 설비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기존에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선박 혹은 부유식 해양 설비 등에도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고, 파도 혹은 조수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127818호 (2011.11.28 공개) - 파고를 이용한 파력발전시스템
본 발명은 해양 설비의 둘레에 설치된 부유체가 파력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전환하고, 유압 설비를 이용하여 운동 에너지를 유압 에너지로 전환하여 최종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해양 설비의 파력 발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양 설비에 구비되는 파력 발전 장치로서, 선체 외부에 설치되는 부유체; 일단이 부유체에 결합되는 연결로드; 상기 선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로드의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연결로드의 움직임에 따라 내부 소공간에 있는 유체의 유압이 가변되는 가변 유압 장치; 및 상기 가변 유압 장치로부터 고압의 유체를 공급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유압 발전기를 포함하는 파력 발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변 유압 장치는, 내부가 비어 있고, 수평 상태로 놓여진 기둥 형상의 기본 구조물; 상기 기본 구조물을 가로질러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분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과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판은 상기 연결로드의 타단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연결로드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공간은 상기 회전판에 의해 제1 상부 소공간과 제2 상부 소공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상부 소공간과 상기 유압 발전기 사이에는 제1 고압 라인과 제1 저압 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상부 소공간과 상기 유압 발전기 사이에는 제2 고압 라인과 제2 저압 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파도에 의해 상기 부유체가 상하 운동을 하면 상기 연결로드가 움직여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상부 소공간과 상기 제2 상부 소공간의 부피가 가변되고, 부피가 줄어든 소공간의 유체가 가압되어 상기 제1 고압 라인 혹은 상기 제2 고압 라인을 통해 상기 유압 발전기에 공급되며, 부피가 늘어난 소공간으로는 상기 제1 저압 라인 혹은 상기 제2 저압 라인을 통해 상기 유압 발전기로부터 저압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기본 구조물의 표면에는 상기 연결로드가 관통하며 상기 연결로드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드와 상기 회전판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 홈의 크기에 상응하는 커버가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통한 상기 유체의 외부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작동유(hydraulic oil)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양 설비의 둘레에 설치된 부유체가 파력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전환하고, 유압 설비를 이용하여 운동 에너지를 유압 에너지로 전환하여 최종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장치가 설치된 해양 설비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장치에서의 발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장치가 설치된 해양 설비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장치에서의 발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는 선체(1), 터렛(5), 파력 발전 장치(100), 부유체(110), 연결로드(115), 가변 유압 장치(120), 고정판(122), 회전판(123), 중심축(124), 가이드 홈(125), 커버(126), 유압 발전기(130), 제1 및 제2 고압 라인(141, 142), 제1 및 제2 저압 라인(143, 144)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장치(100)는 선박에 설치되며, 파력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하고 이를 다시 유압에너지로 전환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파력 발전 장치(100)가 설치되는 선박은 선체(1)에 터렛(5)이 구비되어 있는 부유식 해양 설비로서, 예를 들어 해저 원유를 시추하는 드릴쉽, 사람이나 화물을 이송하는 선박,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저장설비(LNG-FPSO: 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부유식 원유 저장 설비(FSU: Floating Storage Unit) 등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장치(100)는 선체(1)의 주변에 일렬 배치되는 부유체(110)를 포함한다. 부유체(110)는 부력을 가지고 있어 해수면 상에 부유할 수 있는 구성으로, 예컨대 내부가 빈 구(sphere), 기둥, 다면체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부유체(110)는 연결로드(115)를 통해 선체(1), 특히 선체(1) 내에 설치된 가변 유압 장치(120)에 연결된다. 즉, 연결로드(115)의 일단은 부유체(110)에 결합되고, 타단은 가변 유압 장치(120)에 결합된다.
선체(1)는 터렛(5)에 의해 회동 가능한 상태에 있어, 선수가 바람 혹은 파도가 오는 방향을 향하도록 회동한다. 따라서, 부유체(110)의 입장에서는 터렛(5)에서 터렛 반대 방향으로 파도가 오게 된다. 따라서, 부유체(110)는 파도에 의해 아래 위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로 인해 파력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전환된다.
연결로드(115)는 부유체(110)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서 부유체(110)에 의해 전환된 운동에너지를 선체(1), 특히 가변 유압 장치(120)로 전달한다.
가변 유압 장치(120)는 길이가 긴 기둥 형상의 기본 구조물(121)이 수평하게 놓여진 배치를 갖는다. 도면에는 원통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변 유압 장치(120)에는 기본 구조물(121)의 내부공간을 반으로 나누는 고정판(122)이 설치된다. 고정판(122)에 의해 가변 유압 장치(120)는 상부 공간(A11 및 A12)과 하부 공간(A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체가 상부 공간에만 채워지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하부 공간에만 유체가 채워질 수도 있고,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에 모두 유체가 채워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 공간에 채워지는 유체는 작동유(hydraulic oil)일 수 있다. 작동유는 후술할 유압 발전기(130)에 동력을 전달하는 매체로서 이용되는 기름이다.
가변 유압 장치(120) 내에는 연결로드(115)의 타단과 결합되어 중심축(12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판(123)이 설치된다.
회전판(123)은 고정판(122)과는 중심축(12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판(122)에 의해 구획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2개의 소공간으로 구획한다.
회전판(123)에 의해 상부 공간은 제1 상부 소공간(A11)과 제2 상부 소공간(A12)으로 구획된다. 제1 상부 소공간(A11)과 제2 상부 소공간(A12) 사이에는 회전판(123)이 존재하여, 상호 간에 유체 교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제1 상부 소공간(A11)에는 제1 고압 라인(141)과 제1 저압 라인(143)이 연결된다. 제1 고압 라인(141)의 연결지점과 제1 저압 라인(143)의 연결지점은 제1 상부 소공간(A11) 중에서 고정판(122)이 가변 유압 장치(120)의 내벽과 만나는 지점(B1) 부근일 수 있다.
제2 상부 소공간(A12)에는 제2 고압 라인(142)과 제2 저압 라인(144)이 연결된다. 제2 고압 라인(142)의 연결지점과 제2 저압 라인(144)의 연결지점은 제2 상부 소공간(A12) 중에서 고정판(122)이 가변 유압 장치(120)의 내벽과 만나는 지점(B2) 부근일 수 있다.
이는 회전판(123)의 회전 이동에 최대한 간섭받지 않고, 회전판(123)의 회전 이동에 의한 공간 부피의 변화에도 연결 관계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기본 구조물(121)의 표면, 특히 상부 공간 쪽에는 가이드 홈(125)이 형성된다.
연결로드(115)는 가이드 홈(125)을 통해 회전판(123)과 결합되며, 가이드 홈(12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연결로드(115)가 가이드 홈(125)을 따라 이동하면, 일체로 결합된 회전판(123) 역시 중심축(12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가이드 홈(125)에는 상부 공간의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26)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126)는 연결로드(115)와 일체로 결합되어, 연결로드(115)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여 연결로드(115)의 움직임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커버(126)는 연결로드(115)가 이동 가능한 허용 범위 내에서는 가이드 홈(125)이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커버(126)는 가이드 홈(125)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가이드 홈(125)보다 2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덮개일 수 있다.
기본 구조물(121)에는 커버(126)가 이동하는 공간이 별도 마련될 수 있다. 기본 구조물(121)의 내벽이 이중 구조로 되어, 그 중간층에서 커버(126)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본 구조물(121)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이 차단되어 내부공간의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유체(110)가 파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 연결로드(115)가 가이드 홈(125)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연결로드(115)와 일체로 결합된 회전판(123)이 중심축(12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부 공간의 2개의 소공간 크기(A11, A12)가 가변된다.
예컨대, 부유체(110)가 제2 위치(P2)에서 제1 위치(P1)로 이동한 경우, 회전판(12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소공간(A11)의 부피가 줄어들고 제2 소공간(A12)의 부피가 늘어나게 된다.
제1 소공간(A11)은 부피가 감소함에 따라 압력이 높아져 내부 유체의 유압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고압의 작동유가 되어 제1 고압 라인(141)을 통해 유압 발전기(130)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소공간(A12)은 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압력이 낮아져 내부 유체의 유압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저압 라인(144)을 통해 유압 발전기(130)로부터 저압의 작동유가 유입될 수 있다.
이번에는 반대로 부유체(110)가 제1 위치(P1)에서 제2 위치(P2)로 이동한 경우, 회전판(12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소공간(A12)의 부피가 줄어들고 제1 소공간(A11)의 부피가 늘어나게 된다.
제2 소공간(A12)은 부피가 감소함에 따라 압력이 높아져 내부 유체의 유압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고압의 작동유가 되어 제2 고압 라인(142)을 통해 유압 발전기(130)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소공간(A11)은 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압력이 낮아져 내부 유체의 유압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저압 라인(143)을 통해 유압 발전기(130)로부터 저압의 작동유가 유입될 수 있다.
유압 발전기(130)는 제1 고압 라인(141) 혹은 제2 고압 라인(142)을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작동유를 이용하여 내부의 유압 모터(hydraulic motor)를 회전시켜 발전을 수행한다. 발전에 이용된 작동유는 압력이 낮아져 저압이 되며, 이는 추후 제1 저압 라인(143) 혹은 제2 저압 라인(144)을 통해 가변 유압 장치(120)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유가 유압 발전기(130)와 가변 유압 장치(120) 사이에서 폐루프(closed loop) 순환을 하면서 가변 유압 장치(120)에서 파도에 의한 부유체(1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고압이 되어 유압 발전기(130)로 공급되어 유압 모터를 회전시켜 발전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와 같은 충전 유닛(미도시)을 추가하여, 유압 발전기(130)에서 생산된 전력을 충전하고, 피크 타입(peak time) 때 충전된 전력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선체 5: 터렛
100: 파력 발전 장치 110: 부유체
115: 연결로드 120: 가변 유압 장치
121: 기본 구조물 122: 고정판
123: 회전판 124: 중심축
125: 가이드 홈 126: 커버
130: 유압 발전기 141, 142: 고압 라인
143, 144: 저압 라인

Claims (5)

  1. 해양 설비에 구비되는 파력 발전 장치로서,
    선체 외부에 설치되는 부유체;
    일단이 부유체에 결합되는 연결로드;
    상기 선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로드의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연결로드의 움직임에 따라 내부 소공간에 있는 유체의 유압이 가변되는 가변 유압 장치; 및
    상기 가변 유압 장치로부터 고압의 유체를 공급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유압 발전기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 유압 장치는,
    내부가 비어 있고, 수평 상태로 놓여진 기둥 형상의 기본 구조물;
    상기 기본 구조물을 가로질러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분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과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연결로드의 타단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연결로드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파력 발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공간은 상기 회전판에 의해 제1 상부 소공간과 제2 상부 소공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상부 소공간과 상기 유압 발전기 사이에는 제1 고압 라인과 제1 저압 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상부 소공간과 상기 유압 발전기 사이에는 제2 고압 라인과 제2 저압 라인이 연결되는, 파력 발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파도에 의해 상기 부유체가 상하 운동을 하면 상기 연결로드가 움직여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상부 소공간과 상기 제2 상부 소공간의 부피가 가변되고,
    부피가 줄어든 소공간의 유체가 가압되어 상기 제1 고압 라인 혹은 상기 제2 고압 라인을 통해 상기 유압 발전기에 공급되며,
    부피가 늘어난 소공간으로는 상기 제1 저압 라인 혹은 상기 제2 저압 라인을 통해 상기 유압 발전기로부터 저압의 유체가 유입되는, 파력 발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구조물의 표면에는 상기 연결로드가 관통하며 상기 연결로드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드와 상기 회전판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 홈의 크기에 상응하는 커버가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통한 상기 유체의 외부 유출이 방지되는, 파력 발전 장치.
KR1020180010076A 2018-01-26 2018-01-26 해양 설비의 파력 발전 장치 KR102027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076A KR102027840B1 (ko) 2018-01-26 2018-01-26 해양 설비의 파력 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076A KR102027840B1 (ko) 2018-01-26 2018-01-26 해양 설비의 파력 발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082A KR20190091082A (ko) 2019-08-05
KR102027840B1 true KR102027840B1 (ko) 2019-10-04

Family

ID=6761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076A KR102027840B1 (ko) 2018-01-26 2018-01-26 해양 설비의 파력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84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1075A (ko) * 2010-04-30 2011-11-07 김석민 파고를 이용한 파력발전시스템
KR101088882B1 (ko) * 2010-05-03 2011-12-07 (주)인사이드밸류 물결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KR20110127818A (ko) 2010-05-20 2011-11-28 김석민 파고를 이용한 파력발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082A (ko) 201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72416B2 (en) Wave powered generator
US9822767B2 (en) Floating-body type wind turbine power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porting components of the same
KR102191770B1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CN105059489B (zh) 一种恒稳式海上核电平台
ES2776454T3 (es) Estación de energía undimotriz
KR101548433B1 (ko) 진동 수주형 파력 발전 장치
KR101392282B1 (ko) 파력 발전장치
CA3136417A1 (en) A single-column semi-submersible platform
CN105756848B (zh) 一种超大型浮体调谐透空减振发电装置
KR20150052486A (ko) 해양 라이져 와류진동유발 감쇠 및 발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TWI500556B (zh) Wave power generation devices and mooring systems for power generation
KR20170113793A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KR20110121075A (ko) 파고를 이용한 파력발전시스템
KR102027840B1 (ko) 해양 설비의 파력 발전 장치
CN101139969A (zh) 锥形螺旋波浪能和海流能通用发电装置
KR101259089B1 (ko)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CN111878318B (zh) 一种可伸缩式风机基础及风机
US20230220825A1 (en) Independent wave energy power generation buoyancy tank based on principle of liquid sloshing
KR20150047194A (ko) 반 잠수형 시추선의 예비 부력장치
CA3220793A1 (en) Combined wave energy converter and grid storage
KR102101833B1 (ko) 조류 또는 해류와 수압의 차이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
RU2732359C1 (ru) Приливная гэс
US20140217733A1 (en) Waves Weight Based Energy Power Generation System
KR20160088473A (ko) 발명의 명칭 파력 발전용 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파력발전장치
KR20150023133A (ko) 냉각수를 이용한 fpso 선박용 발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fpso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