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224B1 -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 - Google Patents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224B1
KR102027224B1 KR1020180063298A KR20180063298A KR102027224B1 KR 102027224 B1 KR102027224 B1 KR 102027224B1 KR 1020180063298 A KR1020180063298 A KR 1020180063298A KR 20180063298 A KR20180063298 A KR 20180063298A KR 102027224 B1 KR102027224 B1 KR 102027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frame
rail
groov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성
Original Assignee
강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성 filed Critical 강민성
Priority to KR1020180063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프레임의 하단 내측면에 형성된 모헤어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홈삽입부로 이루어지는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문프레임의 하단 내측면에 형성된 모헤어홈에 수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홈삽입부와, 상기 홈삽입부에서 연장되어 문틀프레임의 레일 쪽을 향하도록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지지프레임과,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의 일측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레일의 일측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된 수직지지프레임과,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문틀프레임의 레일 쪽을 향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빗물을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문틀프레임의 레일의 일측면 상단에서 하부를 항해 경사지게 형성된 차단판유도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방풍 및 빗물 방수부재를 문(창문)의 하단에 설치하되 문틀(창틀 포함)의 바닥면에 눌리거나 마찰되지 않아 내구성을 좋게하고, 또 문과 문틀 사이의 틈새로 바람과 빗물이 들이쳐 레일을 타고 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SLIDING TYPE OF WINDOW/DOOR WITH RAINPROOF}
본 발명은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프레임의 하단 내측면에 형성된 모헤어홈을 이용한 창호와 레일 사이의 하단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서로 통하도록 하거나 차단하도록 하는 문과 문틀, 창과 창틀을 모두 통칭하여 일컷는 것으로, 대개의 창호는 문틀(창틀 포함)에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문(창문 포함)으로 구성되어 실내와 실외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창호는 창틀의 레일 위에 문이 얹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문과 레일 사이에 필연적으로 틈새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러한 틈새를 통해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또는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빠져나가게 됨으로써 심각한 열에너지의 낭비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이로인해 심각한 소음공해에 시달리기도 한다.
최근에는 창호에 기밀성, 단열성, 방음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모헤어, 고무패킹 등의 기밀부재와, 방풍틀과, 풍지판과 같은 다양한 방수부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문와 레일 사이의 틈새를 차단함으로써 단열과 방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도 가스켓과 모헤어로 시공하는 창틀용 창호 방수부재에 있어서, 길이방향 횡방향으로 창틀골조에 피스 조립하는 브이홈 피스조립라인이 형성된 바닥과 일체로 양측으로 일정 돌출되고 외방으로 사면이 형성된 사면돌턱이 좌우로 형성된 창틀골재고정부재와, 상기 창틀골재고정부재의 좌우 사면돌턱에 억지끼움 되는 부재로 착탈부재사면돌턱스톱퍼가 바닥좌우로 형성된 C형강 형상의 상면 중앙 일정높이로 좌우로 모야털홈과 가스켓홈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 착탈부재와, 상기 사면돌턱과 착탈부재사면돌턱스톱퍼로 상호 억지끼움결합되는 창틀골재고정부재의 착탈부재 사이에 충진하는 발포수지인 충전부재로 구비되는 창틀용 창호 방수부재가 공개실용 20-2013-0006939호로 안출된 바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모헤어로 시공하는 대부분의 창호는 내구성이 떨어지는 모헤어의 특성 때문에 시간이 흐를 수록 방풍과 빗물유입방지 효과가 떨어지고, 미세한 털이 날리게 되는 등의 단점을 갖는다.
또한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가스켓(바람막이판)의 경우에는 레일의 일측면에 밀착되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오랜기간동안 방풍과 빗물유입방지 효과가 우수하긴 하나 대개의 가스켓은 창호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이어서 이를 미리 창호의 일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창호틀에 끼워 맞추고자 할 때 레일에 끼이면서 가스켓이 찢어지거나 까뒤집어져서 시공되는 경우가 왕왕 발생하게 된다. 손상된 가스켓은 재시공의 사유가 되며, 또 까뒤집어져서 시공된 경우는 방풍과 빗물유입방지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창호의 바닥면에 눌리도록 설치되면 방수부재에는 큰 마찰이 작용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마모가 커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심한 비바람이 치는 경우 외측에 설치된 창호는 빗물이 레일을 넘어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도 왕왕 발생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공개실용 20-2013-0006939호([0013] 2013.12.03 공개)
2.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69183호(2013.09.16 등록)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문프레임의 하단 내측면에 형성된 모헤어홈을 이용하되 문틀(창틀 포함)의 바닥면에 쓸리지 않도록 하여 마모를 최소화하면서 외부의 빗물이 들이칠 때 이를 차단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문프레임의 하단 내측면에 형성된 모헤어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홈삽입부로 이루어지는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문프레임의 하단 내측면에 형성된 모헤어홈에 수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홈삽입부와, 상기 홈삽입부의 일측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문틀프레임의 레일 쪽을 향하도록 돌출된 수평지지프레임과,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의 일측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레일의 일측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된 수직지지프레임과,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레일 쪽을 향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빗물을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문틀프레임의 레일의 일측면 상단에서 하부를 항해 경사지게 형성된 차단판유도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의 일단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문프레임의 하단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모헤어홈에서의 방수부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편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상기 차단판의 일측면에는 가스켓이 형성되어 차단판유도수단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상기 차단판유도수단은 상기 차단판의 끝단이 삽입되는 문틀프레임의 레일 일측면에 형성된 유도지지편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차단판유도수단은 문틀프레임의 레일에 장착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되고 상부가 레일의 상단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레일장착부와, 상기 차단판의 끝단이 삽입되는 상기 레일장착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유도지지편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차단판유도수단은 문틀프레임의 레일의 측면에 장착되는 레일측면장착부와, 상기 차단판의 끝단이 삽입되는 상기 레일측면장착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유도지지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문프레임의 하단 내측면에 형성된 모헤어홈을 이용하되 문틀(창틀 포함)의 바닥면에 눌리거나 마찰되지 않아 내구성을 좋게하고, 또 문과 문틀 사이의 틈새로 빗물이 들이쳐 레일을 타고 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참고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참고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참고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참고단면도를 나타낸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는, 문(창문 포함), 엄밀하게는 문프레임(110)의 하단 내측면에 형성된 모헤어홈(111)에 끼워져 결합되는 방수부재(130)를 설치하되, 상기 방수부재(130)의 하부가 문틀(창문틀 포함), 엄밀하게는 방수부재(130)의 차단판(133)의 끝단이 문틀프레임(120) 레일의 일측면 상단에서 하부를 항해 경사지게 형성된 차단판유도수단(140)에 삽입되어 빗물을 차단함과 동시에 빗물을 문틀프레임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 방수부재(130)는 레일의 상단 높이보다 아래에 형성되는 문프레임(110) 하단의 양측 내측면 중 어느 한 곳, 또는 두 곳 모두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상기 방수부재(130)는 상기 문프레임(110)의 하단 내측면에 형성된 모헤어홈(111)에 수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홈삽입부(131)와, 상기 홈삽입부(131)에서 연장되어 문틀프레임(120)의 레일 쪽을 향하도록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지지프레임(132)과, 상기 수평지지프레임(132)의 일측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레일의 일측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된 수직지지프레임(133)과, 상기 수직지지프레임(133)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문틀프레임(120)의 레일 쪽을 향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빗물을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판(134)과, 상기 차단판(133)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문틀프레임(120)의 레일의 일측면 상단에서 하부를 항해 경사지게 형성된 차단판유도수단(1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모헤어홈(111)은 문프레임(110)의 제작시 모헤어의 삽입을 위해 형성된 홈이나, 본 발명에서는 방수부재(130)를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발명은 기존에 사용중인 문프레임에 본 발명 방수부재(130)를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모헤어홈(111)에 끼워져 있던 모헤어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본 발명 방수부재(130)를 끼워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지지프레임(132)의 일측에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편(132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지지편(132a)이 문프레임의 하단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모헤어홈(111)에서의 방수부재(130)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차단판(134)의 일측면에는 가스켓(135)이 형성되어 차단판유도수단(140)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가스켓(135)의 하부가 차단판유도수단(140)과 밀착되어 빗물유입방지 효과가 좋아지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경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상기 가스켓(135)은 밀착은 용이하면서도 마모는 최소화하는 연질의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즉 연질(軟質)의 합성수지로 제작된 가스켓(135)은 방수부재(130)의 차단판(134)에 접착, 융착되거나 다양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차단판유도수단(140)은 상기 차단판(133)의 끝단이 삽입되는 문틀프레임(120)의 레일 일측면에 형성된 유도지지편(14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판유도수단(140)은 개구부가 하단에 형성된 사각파이프 형태의 레일장착부(142)를 별도로 제조하여 상기 문틀프레임(120)의 레일에 끼워져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레일장착부(142)는 상부가 레일의 상단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고, 일측면에 유도지지편(141)을 형성하여 상기 차단판(133)의 끝단이 상기 유도지지편(141)에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차단판유도수단(140)은 문틀프레임(120)의 레일의 측면에 장착되는 레일측면장착부(143)와, 상기 차단판(133)의 끝단이 삽입되는 상기 레일측면장착부(143)의 일측면에 형성된 유도지지편(141b)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문틀프레임(12)의 레일과 레일측면장착부(143)은 나사 또는 접착제, 양면테이프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데, 그 밖에 공지된 결합수단에 의해 다양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방수부재(130)로 인해 1차적인 빗물차단효과를 가지고 상기 차단판유도수단(140)으로 인해 2차적인 빗물차단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10: 문프레임 111: 모헤어홈
120: 문틀프레임 130: 방수부재
131: 홈삽입부 132: 수평지지프레임
133: 수직지지프레임 133a: 지지편
134: 차단판 135: 가스켓
140: 차단판유도수단 141, 141a, 141b: 유도지지편
142: 레일장착부 143: 레일측면장착부

Claims (6)

  1. 문프레임(110)의 하단 내측면에 형성된 모헤어홈(111)에 끼워져 결합되는 홈삽입부(131)로 이루어지는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130)는 상기 문프레임(110)의 하단 내측면에 형성된 모헤어홈(111)에 수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홈삽입부(131)와,
    상기 홈삽입부(131)의 일측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문틀프레임(120)의 레일 쪽을 향하도록 돌출된 수평지지프레임(132)과,
    상기 수평지지프레임(132)의 일측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레일의 일측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된 수직지지프레임(133)과,
    상기 수직지지프레임(133)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문틀프레임(120)의 레일 쪽을 향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빗물을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판(134)과,
    상기 차단판(134)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문틀프레임(120)의 레일의 일측면 상단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차단판유도수단(140)과,
    상기 수평지지프레임(132)의 일단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문프레임(110)의 하단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모헤어홈(111)에서의 방수부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편(132a)과,
    상기 차단판(134)의 일측면에는 가스켓(135)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판유도수단(140)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63298A 2018-06-01 2018-06-01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 KR102027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298A KR102027224B1 (ko) 2018-06-01 2018-06-01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298A KR102027224B1 (ko) 2018-06-01 2018-06-01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224B1 true KR102027224B1 (ko) 2019-10-01

Family

ID=6820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298A KR102027224B1 (ko) 2018-06-01 2018-06-01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2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422B1 (ko) * 2021-01-29 2021-03-16 김태희 창호 어셈블리
KR102361938B1 (ko) * 2021-07-14 2022-02-14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창문 실링구조
WO2022192418A3 (en) * 2021-03-09 2022-12-29 Hni Technologies Inc. Sliding door for use in a modular wall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199A (ko) * 2015-02-26 2016-09-05 강민성 창호용 방수부재
KR20170006918A (ko) * 2015-07-10 2017-01-18 이성익 미닫이 창호의 밀폐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199A (ko) * 2015-02-26 2016-09-05 강민성 창호용 방수부재
KR20170006918A (ko) * 2015-07-10 2017-01-18 이성익 미닫이 창호의 밀폐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422B1 (ko) * 2021-01-29 2021-03-16 김태희 창호 어셈블리
WO2022192418A3 (en) * 2021-03-09 2022-12-29 Hni Technologies Inc. Sliding door for use in a modular wall system
KR102361938B1 (ko) * 2021-07-14 2022-02-14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창문 실링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224B1 (ko) 방수부재를 구비하는 창호
AU2011362732B2 (en) Hidden rail type window and door system
US20120005975A1 (en) Easy-to-construct window apparatus
US9784029B2 (en) Door jamb and sill assemblies
KR101581294B1 (ko) 수평 풍지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KR101427053B1 (ko) 창호용 방풍 방음체
CN110662880A (zh) 具有防雨水流入及防微尘功能的自然换气窗
KR102105852B1 (ko) 플레이트 연결용 고정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데크로드시스템
KR101800378B1 (ko) 창호 틈새 미세먼지 차단부재
KR101177265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우수한 창호의 구조
KR101321711B1 (ko) 미닫이문용 기밀재
EP1533436A2 (en) Covering sealing element for roof window
KR101354665B1 (ko) 방충 및 방범 기능이 동시에 부여되고, 물성성능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KR101538499B1 (ko)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KR101869411B1 (ko) 슬라이딩 창호
KR101872968B1 (ko) 창호 프레임 구조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US4457110A (en) Window conversion assembly
KR101955076B1 (ko) 창호용 방풍부재
KR101888093B1 (ko) 기밀성능과 수밀성능이 향상된 미서기창
KR101765237B1 (ko) 바람과 빗물유입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창호
KR20190136175A (ko) 외풍 차단을 겸하는 미닫이식 창호의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KR102153576B1 (ko) 유리 고정이 용이한 복합 소재 창짝프레임
US2585471A (en) Window structure
KR102085776B1 (ko) 창호의 레일 설치용 기밀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