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387B1 - Buoyant work clothes - Google Patents

Buoyant work cloth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387B1
KR102025387B1 KR1020180123344A KR20180123344A KR102025387B1 KR 102025387 B1 KR102025387 B1 KR 102025387B1 KR 1020180123344 A KR1020180123344 A KR 1020180123344A KR 20180123344 A KR20180123344 A KR 20180123344A KR 102025387 B1 KR102025387 B1 KR 102025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work clothes
suspenders
buoyancy memb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3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정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23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3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3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41D13/01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with buoyancy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3/00Braces
    • A41F3/02Strips, tongues, or the like, for attaching to the 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3/00Braces
    • A41F3/04Means for joining the strips, tongues, or the like, to the body of the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A buoyant work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omprises: a body portion formed in a form wearable by a user; accommodating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suspender portions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upper end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s; a suspender connection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accommodating portions and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uspender portions; and a buoyancy member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s and the suspender portions to form a buoyancy force which can allow the work wear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The accommodating portions are detachably formed from the body portion and the suspender portions.

Description

부력 작업복{BUOYANT WORK CLOTHES}Buoyant Workwear {BUOYANT WORK CLOTHES}

본 개시내용은 작업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력소재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생존성을 높일 수 있는 부력 작업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work cloth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oyant work clothes that can increase the survivability of the user by attaching a buoyancy material.

일반적으로 선상에서 주로 작업을 하는 어부들의 어로작업복은 어류의 가시지느러미 및 조개류의 날카로운 면에 의해 작업자가 다치지 않도록 하고 물이 작업복의 내측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두터운 방수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그러나 작업복을 착용하는 어민들의 작업은 주로 선상에서 이루어짐으로 작업중에 수면으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In general, fishing suits for fishermen who work mainly on board are made of thick waterproof fabrics to prevent workers from being injured by the sharp edges of fish and the sharp surfaces of shellfish and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work clothes. However, the work of fishermen wearing work clothes is mainly done onboard, so safety accidents that fall to the surface of the work frequently occur.

그리고 추락한 작업자의 작업복의 내측으로 물이 투입되면 수중에서의 활동을 불편하게 하여 오히려 위험을 가중시키는 결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fall of the worker's work clothes,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inconvenience of underwater activities is increased and the risk is increased.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종래작업복의 결점을 개선하여 추락한 작업자가 수면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하는 부력을 가진 어로작업복이 다수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었다.Therefore, in the past, a number of fishing suits with buoyancy to improve the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coveralls such as to allow the fallen worker to float on the water have been proposed and used.

그러나 종래의 부력을 가진 작업복의 대부분은 콜크 및 스치로폴과 같은 부력이 큰 소재를 작업복의 내측에 내장한 구조로 되는 것과 작업복의 일정부위에 튜브를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공기를 불어 넣거나 압축가스를 순간적으로 폭발시켜 투입할 수 있는 어로작업용 작업복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However, most of the conventional buoyant work clothes have a structure with a buoyant material such as cork and styropol inside the work clothes, and a tube is formed in a certain part of the work clothes to blow air or pressurized gas into the inside of the work clothes. Work clothes for fishing work that can be exploded and injected into the air have been proposed and used.

그러나 상기와 같이 콜크 및 스치로폴과 같은 부력이 큰 소재를 투입하여 제작되는 작업복은 그 부피가 크게 되어 작업시에 착용하면 어로작업이 불편하게 됨으로 어민들이 기피하게 되고 어로작업복에 튜브를 형성하여 공기를 불어넣는 것은 수상에 추락한 작업자가 긴급한 상황에서 공기를 불어넣기가 쉽지 않음으로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또한, 압축공기 및 압축가스를 순간적으로 투입하여 사용하는 작업복은 사용은 편리하나 작업복이 고가로 되고 압축가스통 등을 항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압축가스는 1회 사용후에는 교환하여야 함으로 작업복의 유지비용 또한 많이 들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work clothes produced by putting high buoyancy materials such as cork and styropol have a large volume, which makes the fishing work uncomfortable when worn at work. Blowing wa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use, as it was not easy for the waterborne worker to blow air in an emergency. In addition, the work clothes that use compressed air and compressed gas instantaneously are convenient to use, but the work clothes become expensive and inconvenient to carry the compressed gas cylinder at all times, and the compressed gas must be replaced after one use. The cost of maintenance was also high.

한국등록특허 10-1585939호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585939

본 개시내용에 따른 부력 작업복은 기존의 부력소재가 없는 작업복이나, 부력소재가 있더라도 작업복 전체에 형성되어 부피가 증가하고 활동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멜빵부 및 수납부분에만 부력소재를 부착함으로써 활동성이 좋으면서도 생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작업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Buoyancy work clothe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a work clothes without the existing buoyancy material, even if there is a buoyancy material is formed throughout the work clothes to increase the volume and reduced the activity to attach the buoyancy material only to the suspenders and the receiving portion to solve the problem The purpose is to provide work clothes that are good and secure survival.

또한, 부력소재가 배치된 수납부분을 작업복 본체로부터 탈, 부착 가능하게 제작하여 사람이 익수하는 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는 작업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ork clothes that can be quickly rescued in the event of a situation where a person learns by making the storage part in which the buoyancy material is arranged to be detachable from the work clothes main body.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 양측에 형성되어 각각 상기 몸통부의 상측과 결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 상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는 멜빵부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멜빵부가 양 측면에 연결되는 멜빵연결부 및 상기 수납부 및 멜빵부 내에 배치되고 수면에 부유할 수 있는 부력을 형성하는 부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몸통부 및 상기 멜빵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body portion formed in a user wearable form, an accommodation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respectively, and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a suspender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suspender portion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suspender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uspender portion, and a buoyancy member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uspender portion to form a buoyancy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The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detachably from the body portion and the suspenders.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몸통부 하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수용하며, 다리 사이에 일정 크기의 통풍틈이 형성되는 다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ower body portion is integrally coupled to accommodate the user's leg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g portion is formed a ventilation gap of a predetermined size between the legs.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부력부재는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 1 부력부재와, 형태가 변동가능한 제 2 부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력부재는 상기 멜빵부 내에, 상기 제 2 부력부재는 상기 수납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uoyancy member includes a first buoyancy member whose shape is kept constant, and a second buoyancy member whose shape is variable, wherein the first buoyancy member is located within the suspenders;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oyancy member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부력부재는 상기 수납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cond buoyancy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through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에 연결되어 기체를 공급하여 주는 실린더부를 더 포함하고,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comprising a cylinder portion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for supplying gas,

상기 실린더부는 실린더 본체와, 손잡이, 카트리지, 인플레이터 및 커넥터로 구성되고, 방수부재 내에 봉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ylinder portion is composed of a cylinder body, a handle, a cartridge, an inflator and a connector, and is sealed and disposed in the waterproof member.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부는 수분에 노출시 내부의 기체가 배출되고, 상기 제 2 부력부재는 상기 실린더부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의 공급으로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ylind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as is discharged when exposed to moisture, the second buoyancy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pansion of the supply of gas discharged from the cylinder portion.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는 실린더부 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를 당기는 경우 상기 제 2 부력부재는 기체의 공급으로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handle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cylinder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buoyancy member is expanded by the supply of gas when pulling the handl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부력부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 내부에 구성되고, 기체를 수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uthpiec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buoyancy member is configur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can supply the gas manually.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 멜빵 연결부 및 실린더부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인식 수단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 확인 수단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suspenders connection portion and the cylinder portion is further formed with a recognition means for identifying the user,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us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erification means.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의 상, 하단에는 연결수단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부는 상기 몸통부 및 멜빵부로부터 탈착가능하게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ccommodating part is further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detachably implemented from the body portion and the suspenders by the connecting means.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의 외부 표면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결속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력부재가 팽창하는 경우 상기 결속수단을 통한 상기 수납부의 결속이 해제되어 상기 제 2 부력부재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inding means formed along the lower 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when the second buoyancy member is expanded the binding of the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binding means The second buoyancy member is releas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며, 상기 수납부를 장착한 익수자를 끌어당길 수 있는 당김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ull line that can pull the drowning equipped with the accommodating portion.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수단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부와 상기 멜빵부, 상기 수납부와 상기 몸통부 간 연결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ngth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connec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suspenders, the housing and the body.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력부재를 멜빵부 및 수납부 부분에만 한정하여 내장함으로써, 기존의 부력 작업복과 달리 작업복의 부피를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활동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limiting the buoyancy member to only the suspender portion and the storage portion, the buoyancy member may be built in, unlike the existing buoyancy coverall, there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coverall and ensuring maximum activity of the user.

또한, 위치 확인 수단 및 인식 수단 등 익수자의 구조를 보조하기 위한 부가적인 수단을 추가하여 급변하는 바다의 상황에서 빠른 구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dditional means for assisting the structure of the learner, such as positioning means and recognition means, may be added to enable a quick structure in a rapidly changing sea situation.

또한, 수분 접촉시 자동으로 부력부재가 팽창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팽창하지 않을 경우 수동으로 팽창시킬 수 있는 2중, 3중의 기체 공급 수단을 통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uoyancy member can automatically expand upon contact with moisture, as well as increase the safety through a double, triple gas supply means that can be expanded manually if not automatically expanded.

더불어, 기존의 작업복과 달리 수납부분이 탈착가능하게 작업복 본체에 부착되어 유사시 멜빵을 탈착시켜 구명튜브로 사용해 물에 빠진 익수자를 구조할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existing work clothes, the storage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work clothes body to remove the suspenders in case of use as a life tube to rescue the drowned drowned in water.

본 개시내용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부력 작업복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납부의 상세 확대도
도 3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부력 작업복의 수동 동작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납부의 수면 투하시 사용상태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buoyant work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detailed enlarged view of a hou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manual operation using state of buoyancy work clothe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 state of use of the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며, 본 개시내용에 따른 권리 범위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o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se embodiments. no.

본 개시내용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진다. 본 개시내용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unless defined otherwise, have the meanings that ar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All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more clearly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selected to limit the scope of the r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성되는", "형성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in this disclosure,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consisting", "formed", "having", and the like, shall include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the phrase or sentence in which the expression is included. It should be understood as open-ended terms that imply the possibility.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 작업복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편의상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ooks at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 of the buoyancy work cloth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However, even if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 is omitted, it is not intended that such component is not included in any embodiment.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부력 작업복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납부의 상세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부력 작업복의 수동 동작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납부의 수면 투하시 사용상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buoyancy work clothe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detailed enlarged view of a receiv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IG. 3 is a manual operation use state diagram of the buoyancy work clothe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4 Is a state of use when sleeping in the receiv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도 1, 2를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 작업복(100)은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몸통부(10)와, 몸통부(10) 양측에 형성되어 각각 몸통부(10)의 상측과 결합되고 사용자의 팔이 통과되는 수납부(20)가 형성된다.1 and 2, the buoyancy work clothe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0 and the body portion 10 is formed in a user wearable form, respectively, the body portion ( The receiving unit 2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10 and the user's arm is passed.

수납부(20)의 표면은 착용시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나일론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의 일측에는 다수의 결속수단(140)이 형성된다.Th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0 may be formed of a nylon material so as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when worn, a plurality of binding means 14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rface.

또한, 수납부(20)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는 멜빵부(22) 및 수납부(20) 사이에 배치되고 멜빵부(22)가 양 측면에 연결되는 멜빵연결부(21)가 개시된다. 멜빵연결부(21)의 하단은 몸통부(10) 상측과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suspenders 22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20 and the suspenders 21 arranged between the housing 20 and the suspenders 22 connected to both sides are disclosed. The lower end of the suspenders connection portion 21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portion 10.

이 때, 멜빵연결부(21)의 중앙부는 통풍이 용이하도록 메쉬(Mesh)형태의 격자를 가진 형태로 다수의 틈이 형성되고, 자체 부력성이 있는 소재로서 착용감과 충격 흡수력이 우수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멜빵연결부(21)는 통풍이 용이하고 수면상에 부유할 수 있는 부력성이 좋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어, 수중에 사용자가 빠지게 되면 사용자가 수면에 부유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enter portion of the suspenders connection portion 21 has a mesh-like lattice to facilitate ventilation, and a plurality of gaps are formed, and a material having excellent fit and shock absorption as a buoyant material may be used. have. Therefore, the suspenders connection portion 21 may be formed of a buoyant material that can be easily ventilated and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and may assist the user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when the user falls out of the water.

수납부(20) 상단과 하단에는 버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연결수단(80)이 각각 구비되며, 연결수단(80)에 의해 수납부(20)의 하단은 몸통부(10)와 결합되고, 상단은 멜빵부(22)와 결합된다. 몸통부(10) 하측에는 몸통부(10)와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수용하며, 다리 사이에 일정 크기의 통풍틈(90)이 형성되는 다리부(30)가 개시된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ccommodating part 20 are provided with connecting means 80 which may be formed in a buckle form, respectively, and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20 is coupled to the body part 10 by the connecting means 80, The top is coupled with the suspenders 22.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body portion 10 to accommodate the user's leg, and the leg portion 30 is formed with a ventilation gap 90 of a predetermined size between the legs is disclosed.

사용자가 물에 익수하게 되면 몸통부(10)를 벨트로 단단히 조여놓아도 물이 침투하게 되고, 다리부(30) 내부에 있는 공기로 인해 사용자의 다리부분이 물에 뜨게 되어 상체 및 머리부분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되어 호흡 및 생존 가능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다리부(30) 사이 공간에 일정 크기의 통풍틈(90)을 만들면, 사용자가 물에 익수하는 경우 몸통부(10) 상부를 통해 해수가 침투하더라도 통풍틈(90)을 통해 다리부(30)에 위치한 공기가 빠져나가므로 사용자의 머리부분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When the user is drowned in water, even if the body portion 10 is tightened tightly with a belt, the water penetrates, and the user's leg portion floats on the water due to the air inside the leg portion 30 so that the upper body and the head surface sleep. It sinks down, reducing your chances of breathing and survival. Therefore, when the ventilation gap 90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legs 30, even if the seawater penetrates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when the user learns to water the leg portion 30 through the ventilation gap 90 The air located in the) escapes to prevent the user's head from sinking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이 때, 통풍틈(90)은 물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한도 내에서 최소한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ntilation gap 90 may be formed to a minimum within the limit that the water is easily discharged.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수납부(20) 및 멜빵부(22) 내부에는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형성하는 부력부재(40)가 배치된다. 부력부재(40)는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부력을 형성하는 고형의 제 1 부력부재(41)와, 외부 기체의 공급에 의해 형태가 변동가능한 제 2 부력부재(42)를 포함한다. 제 1 부력부재(41)는 부력성이 좋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멜빵부(22) 내부에 배치되어 착용자가 물에 빠진 경우 1차적으로 사용자를 부유시키는 부력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1 and 2, the buoyancy member 40 is formed in the housing 20 and the suspenders 22 to form buoyancy to floa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buoyancy member 40 includes a solid first buoyancy member 41 that maintains a constant shape, and forms a buoyancy, and a second buoyancy member 42 whose shape is variable by supply of external gas. The first buoyancy member 41 may be formed of a rubb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good buoyancy, and is disposed inside the suspenders 22 and acts as a buoyancy means to float the user primarily when the wearer falls into water.

한편, 제 2 부력부재(42)는 수납부(20) 내에 배치되며, 고무 재질의 튜브 형태로 수납부(20)내부에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20) 내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81)와 연결되어 제 2 부력부재(42)의 수납부(20)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buoyancy member 42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0, it may be stored in a variety of forms that can minimize the volume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20 in the form of a rubber tub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buoyancy member 42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81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20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second buoyancy member 42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20. .

바람직하게는 제 2 부력부재(42)는 수납부(20) 양측 외부에 별도의 고리형태의 체결 장치로 연결되어 수납부(20)로부터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실린더부(50)와 연결될 수 있다. 기존의 경우 실린더부(50)를 수납부(20) 내부에 위치시켜 실린더부(50)의 무게와 부피 등으로 인해 활동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상기와 같이 실린더부(50)를 수납부(20) 외부의 별도의 체결 장치를 통해 결합시키고 수납부(20) 외부에 배치시킴으로써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buoyancy member 42 may be connected to the cylinder part 50 which is detachably formed from the accommodating part 20 by being connected to the out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20 by a separate ring-type fastening device. In the conventional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tivity of the cylinder 50 is lowered due to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cylinder 50 by placing the cylinder 50 inside the housing 20. 20) can be coupled through a separate external fastening device and the activity can be increased by placing the outer portion 20.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실린더부(50)는 이산화탄소가 들어있는 실린더 본체(51)와, 실린더부(50) 측면에서 연장되어 수납부(20)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손잡이(52), 카트리지(53), 카트리지(53)와 실린더 본체(51)를 상호 연결시켜주는 인플레이터(55) 및 인플레이터(55) 일측에 구비되는 커넥터(56)로 구성된다. 실린더부(50)는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바람직하게는 방수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되는 방수부재(54)내에 봉합되며, 커넥터(56)를 통해 수납부(20) 내부에 배치된 제 2 부력부재(42)와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cylinder part 50 includes a cylinder body 51 containing carbon dioxide, a handle 52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cylinder part 50, and protruding outward from the housing part 20, and a cartridge. 53, an inflator 55 connecting the cartridge 53 and the cylinder body 51 to each other, and a connector 56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flator 55. The cylinder part 50 is sealed in the waterproof member 54 formed of a material which is preferably waterproof 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from getting wet, and the second buoyancy force disposed in the receiving part 20 through the connector 56. It may be connected to the member 42.

상기 실린더부(50)의 경우 수분감지식과 수압감지식 등이 있는데, 수분감지식의 경우 카트리지(53) 내부에 물에 닿으면 녹아내리는 보빈 구성이 존재한다.In the case of the cylinder part 50, there is a moisture sensing formula and a hydraulic sensing formula, and the like, and in the case of the moisture sensing formula, there is a bobbin configuration that melts when it touches water inside the cartridge 53.

카트리지(53)는 상세하게는 보빈과, 실린더 본체(51)를 뚫어 구멍을 내는 격발침 및 보빈이 녹아내림에 따라 격발침을 밀어 올려주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납부(20)또는 실린더부(50)가 물에 닿게 되면, 보빈이 녹아 압축 스프링이 격발침을 밀어올리게 되면서 실린더 본체(51)의 헤드부를 관통하여 이산화탄소 기체가 인플레이터(55) 일측에 구비된 커넥터(56)를 통해 제 2 부력부재(42) 내부로 빠르게 주입될 수 있으며, 제 2 부력부재(42)가 팽창하게 된다. 이 때, 제 2 부력부재(42)가 팽창하게 되면서 결속수단(140)을 통한 수납부(20)의 결속이 해제되어 팽창된 제 2 부력부재(42)가 수납부(20)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작업복을 착용한 사용자의 안전성을 위해 상기 언급한 제 2 부력부재(42)는 수납부(20) 내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81)와 연결되어 제 2 부력부재(42)의 수납부(20)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In detail, the cartridge 53 is composed of a bobbin, a cock that punctures the cylinder body 51, and a compression spring that pushes the cock as the bobbin melts. Therefore, when the housing 20 or the cylinder 50 is in contact with water, the bobbin melts and the compression spring pushes up the trigger, while the carbon dioxide gas passes through the head of the cylinder body 51 to one side of the inflator 55. It can be rapidly injected into the second buoyancy member 42 through the provided connector 56, the second buoyancy member 42 is expanded. At this time, as the second buoyancy member 42 is expanded, the binding of the accommodating part 20 through the binding means 140 is released so that the expanded second buoyancy member 4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20. For the safety of the user wearing the work clothes, the above-mentioned second buoyancy member 42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r more connection members 81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20 so that the number of second buoyancy members 42 can be achieved. Departure to the outside of the payment 20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이 멜빵부(22) 내에 내장되는 고형의 제 1 부력부재(41)로 1차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고, 2차적으로 C02실린더를 이용한 기체 공급을 통해 팽창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2 부력부재(42)를 추가적으로 내장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As such, the first buoyancy member 41 embedded in the suspenders 22 secures primary stability, and the second buoyancy member 42 is formed to be expandable through gas supply using a C02 cylinder. ) Can be added to increase the user's stability.

도 3와 같이, 실린더부(50) 측면에서 연장되어 수납부(20)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손잡이(52)는 실린더부(50)가 해수에 노출된 경우에도 이산화탄소 기체가 팽창하지 않는 경우에, 비상 수단으로 사용자가 손잡이(52)를 잡아 당기게 되면 수동으로 실린더부(50)를 작동시켜 제 2 부력부재(42)에 기체를 공급시켜 팽창시키는 수단으로서 작용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handle 52, which extends from the side of the cylinder part 50 and protrudes out of the accommodating part 20, does not expand even when the cylinder part 50 is exposed to seawater. W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52 by the emergency means, the cylinder unit 50 is operated manually to act as a means for supplying gas to the second buoyancy member 42 to expand it.

도 2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수납부(20) 내부에 배치된 제 2 부력부재(42)의 표면에 형성되어 수납부(20) 내부에 구성되고, 기체를 수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70)가 더 형성된다. 마우스피스(70)는 수납부(20) 양측 내부에 형성되며, 손잡이(52)를 잡아당겨 수동으로 실린더부(50)를 작동시키려 한 경우에도 작동하지 않는 경우 비상 수단으로서 사용자가 수납부(20)의 결속수단(140)을 해제시키고, 마우스피스(70)에 직접 공기를 불어넣어 제 2 부력부재(42)를 팽창시켜 튜브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enlarged view of FIG. 2, a mouthpiec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buoyancy member 42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20 and configu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0 and capable of manually supplying gas ( 70) is further formed. The mouthpiece 70 is formed inside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0, and when the user does not operate even when the cylinder 52 is manually operated by pulling the handle 52, the user may use the accommodating portion 20 as an emergency means. Releasing means 140 of the) and by blowing air directly to the mouthpiece 70 to expand the second buoyancy member 42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tube.

도 1 및 2를 다시 참조하면, 수납부(20)와, 멜빵연결부(21) 및 실린더부(50)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인식수단(110)이 형성된다. 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2, the accommodating part 20, the suspenders connection part 21, and the cylinder part 50 are provided with recognition means 110 for identifying a user.

인식수단(110)은 반사재(111)와 점등수단(112)으로 구성되며, 반사재(111)는 수납부(20) 양 측면과, 멜빵연결부(21) 후면에 부착되고, 반사 테이프 형태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낮에 익수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Recognition means 110 is composed of a reflector 111 and the lighting means 112, the reflector 111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receiving portion 20, the suspenders connecting portion 21, the light in the form of a reflective tape Reflectable materials can be used to identify users who have mastered during the day.

또한, 야간에 익수한 사용자의 경우 발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데, 도 2과 같이 실린더부(50) 내부에 형성되는 점등수단(112)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find in the case of a user who learns at night, the lighting means 112 formed in the cylinder portion 50 as shown in FIG. 2 may be used.

점등수단(112)은 배터리를 주 동력원으로 하여, 야간에 익수자의 식별이 어려운 점을 보완할 수 있다.The lighting means 112 may compensate for the difficulty in identifying the learner at night by using the battery as the main power source.

한편, 수납부(20)의 상, 하단 및 멜빵연결부(21)의 하단에는 연결수단(80)이 형성된다. 연결수단(80)은 탈착이 용이하도록 버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수단(80)을 통해 수납부(20)와 멜빵부(22)간 탈착이 용이하고, 수납부(20)를 몸통부(10)로부터 탈착가능하게 할 수 있어 비상시 바다에 익수한 사용자에게 던져 구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means 80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ccommodating part 20 and the lower end of the suspenders connection part 21. The connecting means 80 may be formed in a buckle shape to facilitate detachment, and the detachable portion 20 and the suspenders 22 may be easily detached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80, and the housing part 20 may be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It can be detached from (10) and can be rescued by throwing it to the user who is familiar with the sea in an emergency.

또한, 부가적으로 상기 연결수단(80)의 일측에는 수납부(20)와 멜빵부(22) 또는 수납부(20)와 몸통부(10) 간 연결수단(80)에 의해 연결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 수단이 더 포함되어, 수납부(20) 내부의 제 2 부력부재(42)가 기체의 공급으로 팽창하는 경우, 길이 조절 수단을 이용해 연결 길이를 줄임으로써, 제 2 부력부재(42)의 팽창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ans 80 to adjust the length connected by the receiving means 20 and the suspenders 22 or the connecting means 80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20 and the body portion 10. It further includes a length adjustment means, when the second buoyancy member 42 inside the housing 20 is expanded by the supply of gas, by reducing the connection length using the length adjustment means, the second buoyancy member 42 Discomfort of the user due to the expansion of the) can be minimized.

빠른 조류나 파도 등에 의해 물에 빠진 익수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수납부(2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 확인수단(120)이 형성되어 익수자의 위치 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위치 확인 수단(120)은 호루라기 등의 형태로 형성되어 익수자 본인이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손목에 팔찌형태에 GPS를 착용함으로써 선박이나 경비정이 근접시 경보가 울리도록 함으로써 익수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It may be difficult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drowner drowned in the water due to rapid tide or waves, the positioning means 120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20 is formed can facilitate the position of the drowned person. have. Positioning means 1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whistle and the like so that the learner himself can be informed of his position, additionally by wearing a GPS in the form of a bracelet on the wrist alerts when a vessel or patrol boat is clos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of the learner.

그리고, 수납부(20) 외부 표면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다수의 결속수단(140)이 형성됨으로써, 제 2 부력부재(42)가 기체의 공급으로 팽창되는 경우 멜빵 자체에 손상이 가지 않고 동시에 팽창된 부피를 감당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buoyancy member 42 is expanded by supply of gas,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140 is formed along the lower end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0. It functions to handle the volume.

도 4에는 본 개시내용의 부가적인 실시예가 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부력 작업복(100)을 착용하지 않은 자가 물에 익수한 경우 연결수단(80)을 해제시켜 수납부(20)를 탈착시켜 수면에 던질 수 있다. 이 때, 수납부(2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어 수납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당김줄(150)이 구비되는데, 물에 빠진 익수자가 조류에 의해 표류하더라도 물에 빠진 익수자를 당김줄(150)을 통해 끌어당김으로써 인명구조를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4,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disclosed. Referring to FIG. 4, when a person who does not wear the buoyant work clothes 100 learns to water, the connection unit 80 may be released to detach the storage unit 20 and to throw i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t this time, the pulling line 150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portion 2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portion, even if the drowned drowned drowned by the algae pulls the drowned drowned water ( It can be made easier to save lives by attracting them through 150).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력부재를 수납부 부분에만 한정하여 내장함으로써, 기존의 부력 작업복과 달리 작업복의 부피를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활동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limiting the buoyancy member to only the housing portion, the buoyancy member may be built in, unlike the existing buoyancy coveralls, there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coveralls and ensuring maximum activity of the user.

또한, 위치 확인 수단 및 인식 수단 등 익수자의 구조를 보조하기 위한 부가적인 수단을 추가하여 급변하는 바다의 상황에서 빠른 구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dditional means for assisting the structure of the learner, such as positioning means and recognition means, may be added to enable a quick structure in a rapidly changing sea situation.

또한, 수분 접촉시 자동으로 부력부재가 팽창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팽창하지 않을 경우 수동으로 팽창시킬 수 있는 2중, 3중의 기체 공급 수단을 통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uoyancy member can automatically expand upon contact with moisture, as well as increase the safety through a double, triple gas supply means that can be expanded manually if not automatically expanded.

더불어, 기존의 작업복과 달리 수납부분이 탈착가능하게 작업복 본체에 부착되어 유사시 멜빵을 탈착시켜 구명튜브로 사용해 물에 빠진 익수자를 구조할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existing work clothes, the storage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work clothes body to remove the suspenders in case of use as a life tube to rescue the drowned drowned in wat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내용의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The cont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0 : 부력 작업복 10 : 몸통부
20 : 수납부 21 : 멜빵연결부
22 : 멜빵부 30 : 다리부
40 : 부력부재 41 : 제 1 부력부재
42 : 제 2 부력부재 50 : 실린더부
51 : 실린더 본체 52 : 손잡이
53 : 카트리지 54 : 방수부재
55 : 인플레이터 56 : 커넥터
70 : 마우스 피스 80 : 연결수단
81 : 연결부재 90 : 통풍틈
110 : 인식수단 111 : 반사재
112 : 점등수단 120 : 위치 확인 수단 140 : 결속수단 150 : 당김줄
100: buoyant work clothes 10: torso
20: housing 21: suspenders connection
22: suspenders 30: leg
40: buoyancy member 41: first buoyancy member
42: second buoyancy member 50: cylinder portion
51: cylinder body 52: handle
53: cartridge 54: waterproof member
55: Inflator 56: Connector
70: mouthpiece 80: connecting means
81: connecting member 90: ventilation gap
110: recognition means 111: reflector
112: lighting means 120: positioning means 140: binding means 150: pull string

Claims (13)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 양측에 형성되어 각각 상기 몸통부의 상측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 상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납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멜빵부;
상기 수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멜빵부가 양 측면에 연결되는 멜빵연결부; 를 구비한 부력 작업복에 있어서,
상기 멜빵부 내에 배치되고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1부력부재와, 상기 수납부 내에 배치되고 형태가 변동가능한 제2부력부재로 구성되어, 수면에 부유할 수 있는 부력을 형성하는 부력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작업복.
A body portion formed in a form wearable by a user;
Receiving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respectively;
Suspenders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A suspender connection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accommodating portions and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uspenders; In buoyant work clothes provided with,
A buoyancy member disposed in the suspenders and having a constant shape, and a second buoyancy member disposed in the housing and variable in shape, to form a buoyancy force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Buoyant work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하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수용하며, 다리 사이에 일정 크기의 통풍틈이 형성되는 다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작업복.
The method of claim 1,
Buoyant work clothes, which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body portion to accommodate the user's legs, and further comprising a le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ventilation gap between the leg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력부재는 상기 수납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작업복.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buoyancy member is buoyant work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through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부력부재에 기체를 공급하여 주는 실린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는 실린더 본체와, 손잡이, 카트리지, 인플레이터 및 커넥터로 구성되고, 방수부재 내에 봉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작업복.
The method of claim 1,
A cylinder part connected to the accommodation part to supply gas to the second buoyancy member;
The cylinder portion is composed of a cylinder body, a handle, a cartridge, an inflator and a connector, buoyant work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waterproof memb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수분에 노출시 내부의 기체가 배출되고, 상기 제 2 부력부재는 상기 실린더부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의 공급으로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작업복.
The method of claim 5,
Buoyant work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ylinder portion is exposed to moisture gas is discharged, the second buoyancy member is expanded by the supply of the gas discharged from the cylinder por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실린더부 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를 당기는 경우 상기 제 2 부력부재는 기체의 공급으로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작업복.
The method of claim 5,
The handle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cylinder portion, buoyancy coverall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buoyancy member is expanded by the supply of gas when pulling the handl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력부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 내부에 구성되고, 기체를 수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작업복.
The method of claim 5,
Buoyancy work cloth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buoyancy member is configured in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which can supply the gas manually buoyancy work cloth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멜빵 연결부 및 실린더부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인식 수단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 확인 수단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작업복
The method of claim 5,
The accommodating part, the suspenders connection part and the cylinder part is further formed with a recognition means for identifying the user,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further comprising a positioning means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user Buoyancy workwear featur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상, 하단에는 연결수단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부는 상기 몸통부 및 멜빵부로부터 탈착가능하게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작업복.
The method of claim 1,
Buoyancy coverall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ceiving portion is further formed, by the connecting means the housing is detachable from the body portion and suspend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외부 표면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결속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력부재가 팽창하는 경우 상기 결속수단을 통한 상기 수납부의 결속이 해제되어 상기 제 2 부력부재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작업복.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inding means formed along the lower 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when the second buoyancy member is expanded, the binding of the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binding means is released to the second buoyancy member is external Buoyant work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discharged to.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며, 상기 수납부를 장착한 익수자를 끌어당길 수 있는 당김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작업복.
The method of claim 1,
Buoyant work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pull string that can pull the drowning body equipped with the accommodating port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부와 상기 멜빵부, 상기 수납부와 상기 몸통부 간 연결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작업복.

The method of claim 10,
One side of the connection means buoyancy work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length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connec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suspenders, the housing and the body.

KR1020180123344A 2018-10-16 2018-10-16 Buoyant work clothes KR1020253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344A KR102025387B1 (en) 2018-10-16 2018-10-16 Buoyant work cloth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344A KR102025387B1 (en) 2018-10-16 2018-10-16 Buoyant work cloth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387B1 true KR102025387B1 (en) 2019-09-25

Family

ID=6806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344A KR102025387B1 (en) 2018-10-16 2018-10-16 Buoyant work cloth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38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649B1 (en) 2020-04-08 2020-09-03 대한민국 Marine workwear having safety fun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0060A (en) * 2002-03-13 2005-07-07 アクアセーフ・オーストラレーシア・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Buoyancy clothing
JP3135804U (en) * 2007-07-19 2007-09-27 株式会社ワイズギア Life tie pants
KR20100114948A (en) * 2009-04-17 2010-10-27 허재용 Safety vest
KR20120129857A (en) * 2012-11-10 2012-11-28 윤종식 Flight Suit
KR101585939B1 (en) 2015-06-26 2016-01-18 (주)새마 Attachable floating clot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0060A (en) * 2002-03-13 2005-07-07 アクアセーフ・オーストラレーシア・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Buoyancy clothing
JP3135804U (en) * 2007-07-19 2007-09-27 株式会社ワイズギア Life tie pants
KR20100114948A (en) * 2009-04-17 2010-10-27 허재용 Safety vest
KR20120129857A (en) * 2012-11-10 2012-11-28 윤종식 Flight Suit
KR101585939B1 (en) 2015-06-26 2016-01-18 (주)새마 Attachable floating clo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649B1 (en) 2020-04-08 2020-09-03 대한민국 Marine workwear having safety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1411B1 (en) Fashionable emergency flotation aid
US4645465A (en) Scuba gear with combined flotation and transport device
CN206679225U (en) Heating life vest based on galvanic principles
US876360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scuing a distressed diver
WO2017202182A1 (en) Lifesaving rope apparatus and life jacket, water lifesaving apparatus
CA2805051A1 (en) Manual/automatic inflatable water survival device
EP1196324B1 (en) Hands free signal device
US5887585A (en) Air supply life vest
KR102025387B1 (en) Buoyant work clothes
KR101919954B1 (en) Compact life jacket with water sensinig sensor and timer
US20210403132A1 (en) Personal aquatic safety device
CN205022831U (en) Portable automatic charging prevents excessive hand ring
JP7222931B2 (en) Color life preserver for water sports
US4701145A (en) Life-saving device
CN206141795U (en) Wearable life belt
CN213535064U (en) Life jacket convenient to search for and rescue location
KR101810429B1 (en) A Belt Type life buoy
GB2581015A (en) A personal water safety device
KR20180015946A (en) Life jacket
EP2826705A1 (en) Self-contained diving system having an automatic alarm
CA2720574C (en) Electronic aquatic survival device
IE20190206A2 (en) A personal water safety device
CN220391500U (en) Automatic inflatable neck hanging life jacket
KR200385153Y1 (en) Integral life jacket
KR20120125977A (en) Lifesaving suit equipment and the usage by a life bu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