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770B1 - Bottom of shoe having trampoline structure and sho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ottom of shoe having trampoline structure and sho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770B1
KR102024770B1 KR1020180036801A KR20180036801A KR102024770B1 KR 102024770 B1 KR102024770 B1 KR 102024770B1 KR 1020180036801 A KR1020180036801 A KR 1020180036801A KR 20180036801 A KR20180036801 A KR 20180036801A KR 102024770 B1 KR102024770 B1 KR 102024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rface
deformation
ground
sho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8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앤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앤에프
Priority to KR1020180036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7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7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Abstract

Disclosed are a bottom of a sho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and the shoe comprising the same. The bottom of the shoe having the trampoline structure, in a process that a deformation cell is compressed and deformed in an insertion groove to absorb a ground reaction force, is characterized to have a body which absorbs the ground reaction force by bending de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cell, and a reinforcement resists bending deformation of the body to induc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bottom of the shoe having the trampoline structure that forms a simple structure while efficiently dispersing and absorbing the impact of the ground, while allowing flexible bending of the bottom of the shoe as a foot is bent while walking, and thus improving ground adaptability and grip force; and the shoe comprising the same.

Description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BOTTOM OF SHOE HAVING TRAMPOLINE STRUCTURE AND SHOE HAVING THE SAME}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and a shoe comprising the same {BOTTOM OF SHOE HAVING TRAMPOLINE STRUCTURE AND SHO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형성하면서도 지면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분산흡수하는 한편, 워킹시 발의 구부러짐에 따라 밑창의 유연한 구부러짐이 가능하고, 지면 적응력과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는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and a sho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simple structure while efficiently absorbing and absorbing the impact of the ground, while flexing the sole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foot during walk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 ground adaptability and the grounding force and a shoe including the same.

과학문명의 발달로 신발은 신발이 없던 시대에 비해, 그리고 단순히 보호를 위해 발을 감싸는 수준의 기능을 하던 시대보다는 해야 할 기능과 역할이 훨씬 더 많아 졌다.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ivilization, shoes have far more functions and roles to play than they did without shoes, and more than simply did it to protect their feet.

즉, 신발이 단순히 보호의 기능을 넘어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그 기능이 더 다양화되고 첨단화되고 있다. 그로 인해 많은 이점도 잇지만 신발이 발의 대부분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발은 점점 약해지고 부드러워져서 이제는 신발을 신지 않으면 흙이나 아스팔트, 시멘트 등의 지면을 딛고 서는데 고통이 따르게 되었다. 이제는 신발이 도구가 아니라 신체의 한 일부라고 해야 할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shoe is not just a function of protection, but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its function is becoming more diversified and advanced. This has many benefits, but as shoes perform most of their functions and roles, their feet have become weaker and softer, and now they have to suffer from standing on the ground, such as dirt, asphalt, or cement, unless they wear them. Now you should say that shoes are part of the body, not tools.

최근에는 걷기운동이 워킹, 러닝, 트레킹 등으로 세분화되고 있는 만큼 일반 운동화 대신 안전한 중창 설계, 쿠셔닝, 접지력, 착화감 등 기능적 요소가 탄탄하게 갖춰진 다목적 기능성 운동화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Recently, as walking movements are subdivided into walking, running, and trekking, demand for multi-purpose functional sneakers equipped with functional elements such as safe midsole design, cushioning, grip, and wearing comfort is increasing instead of general sneakers.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67892호에는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67892호는 인솔과, 인솔 하측에 형성되고, 하측부에 발의 아치부위에서 뒷꿈치까지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미드솔과; 미드솔의 수용공간부에 결합되고, 미드솔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경도로 형성되며, 하측으로 굴곡되어 뒷꿈치를 상측으로 들리게 하여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생크부와; 미드솔의 수용공간부에 생크부 하측에 결합되고, 미드솔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경도로 형성되며, 발의 뒷꿈치 부위에 형성되는 힐스폰지부와; 힐스폰지부 하측에 결합되는 아웃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지면에의 접지시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 형성된 생크부 및 힐스폰지부에 의해 충격을 다중으로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regar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67892 discloses a multi-shock absorbing shoe sole due to different hardness. Korean Patent No. 1067892 includes an insole, a midsole formed under the insole,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from the arch portion of the foot to the heel at the lower portion; A shank portion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portion of the midsole and formed at a relatively high hardness compared to the midsole, and formed to bend downward to lift the heel upwards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A hill sponge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hank portion of the midsole and formed at a lower hardness than the midsole and formed at the heel portion of the foot; An outsol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hill sponge por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ck absorbing multiple by the shank portion and the hill sponge portion formed between the midsole and the outsole when grounded to the ground.

등록특허공보 제1067892호는, 신발 밑창이 이종(異種) 경도로 형성되어 접지시 지면으로부터 충격량을 완전히 흡수하여 발목관절이나 무릎관절을 보호하고, 고경도로 형성된 생크부 및 저경도로 형성된 힐스폰지부에 의해 접지시 가장 많은 충격을 받는 뒷꿈치 부위에서의 충격 흡수 및 분산이 다중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뒷꿈치 부위에서의 충격량을 최소화하고, 재료를 절감시키고 경량의 신발 밑창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Patent No. 1067892 shows that the sole of a shoe is formed with different hardness to completely absorb an impact amount from the ground when grounding, thereby protecting the ankle joint or knee joint, and the shank portion formed at high hardness and the hill sponge formed at low hardness. By this, the impact absorption and dispersion in the heel area that is most impacted at the time of grounding is made to be multiple, thereby minimizing the impact amount at the heel area, saving material, and providing a lightweight shoe sole.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제1067892호는, 힐스폰지부가 수직방향으로 압축되면서 지면으로부터 인가되는 지면반력을 흡수하는 구조를 형성하므로, 지면반력을 충분히 흡수하려면 힐스폰지부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Patent Publication No. 1067892 forms a structure that absorbs the ground reaction force applied from the ground while the hill sponge portion is com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thickness of the hill sponge portion must be increased to sufficiently absorb the ground reaction force.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9139호에는 신발창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89139호는 아웃솔; 아웃솔과 접합되는 하부면에 테두리부를 제외하고 함몰되는 후방챔버와 전방챔버가 형성되되, 후방챔버와 전방챔버는 병목부에 의해 연결되고, 후방챔버와 전방챔버의 내부에는 아웃솔과 접합되는 다수의 지지기둥이 형성되고, 지지기둥 사이 및 지지기둥과 테두리부의 상단은 볼록한 브릿지로 연결되는 제1미드솔; 제1미드솔보다 경도가 낮으며, 제1미드솔의 상단 가장자리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형태로 삽입되되, 하부면에 제1미드솔의 상면 형상에 대응하는 홈부와 돌부가 형성되어 제1미드솔의 상면에 밀착 결합되는 제2미드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89139 discloses a shoe sole. Korean Patent No. 1089139 discloses an outsole; A rear chamber and a front chamber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joined with the outsole except for the rim, and the rear chamber and the front chamber are connected by a bottleneck, and a plurality of supports are joined to the outsole inside the rear chamber and the front chamber. A first midsole is formed, the first midsole is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pillar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and the rim convex bridge; The hardness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midsole, and is inserted in the form surrounded by the upper edge surface of the first midsole, and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top shape of the first midsole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mids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등록특허공보 제1089139호는, 경도가 다른 제1미드솔과 제2미드솔이 결합되며, 제1미드솔의 중심부에 전방챔버와 후방챔버가 형성되기 때문에 보행시 흔들림이 감소되어 보다 안정적인 보행을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이 있다. Patent No. 1089139 discloses that the first midsole and the second midsole having different hardness are combined, and the front chamber and the rear chamber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midsole, thereby reducing the shaking during walking, thereby enabling more stable walking. There is an advantage.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제1089139호는, 밑창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지면반력에 의해 미드솔이나 아웃솔에 미세한 크랙이 생기게 되고, 전방챔버와 후방챔버에 있는 공기가 크랙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충격흡수력이 쉽게 소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Patent Publication No. 1089139 discloses a minute crack in the midsole or outsole due to the ground reaction force applied continuously to the sole, and the air in the front chamber and the rear chamb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rack, so that the shock absorbing power is easily lost. There was a problem.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47352호에는 충격흡수와 반발탄성력을 강화시킨 신발창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47352호는, 발바닥의 중앙부에 해당하는 위치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중지지부가 배치되도록 하는 한편, 하나의 하중지지부를 기준으로 발바닥의 양측 방향에 걸쳐 총 4개의 분산접지부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하며, 이러한 형상의 쿠션부재 2개를 상,하방향을 따라 지그재그식으로 엇갈리게 설치하여 각각의 쿠션부재 사이에 육각완충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47352 discloses a shoe sole reinforced shock absorption and resilience. Patent No. 1047352 allows the load supporting portions to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sole, while a total of four distributed ground portions are radially distributed over both sides of the sole based on one load supporting portion. The two cushion members of such a shape are staggered in a zigzag manner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s to provide hexagonal buffer spaces between the cushion members.

등록특허공보 제1047352호는, 발뒤꿈치로부터 발끝으로 갈수록 완충공간이 점차 축소되게 함으로써, 하중지지부와 분산접지부에 의하여 착용자의 체중이 신발창 전체에 걸쳐 골고루 분산되어 충격흡수를 극대화되도록 하는 한편, 육각완충공간이 착용자의 보행경로를 따라 압축 및 복원되는 반발탄성력을 높여 추진식의 구름보행이 가능토록 하며, 신발을 착용한 사람들로 하여금 한층 더 편안하고 자연스러우며 능률적인 구름보행을 수행하여, 발바닥의 피로를 경감시키고 발목과 무릎 부위의 관절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이점이 있다. Patent No. 1047352 allows the buffer space to gradually decrease from the heel to the toe, so that the weight of the wearer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sole by the load supporting portion and the distributed grounding portion, thereby maximizing the shock absorption, The cushioning space increases the resilient elasticity that is compressed and restored along the wearer's walking path, enabling propelled walking of the cloud, and allowing the wearer to perform more comfortable, natural and efficient cloud walking. There is an advantage in reducing the joint and ankle and knee joint safety.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제1047352호는, 2개의 쿠션부재를 상하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식으로 엇갈리게 배치되어야 하므로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산길에서는 2개의 쿠션부재 사이에 눈, 흙, 자갈 등 이물질이 끼기가 쉬우며, 이물질이 낀 상태에서는 밑창이 충분한 쿠션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Patent Publication No. 1047352, because the two cushion members must be arranged in a staggered staggered manner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foreign matters such as snow, soil, gravel, etc. between the two cushion members are easily caught between mountain roads. And, in the state of foreign matter was wor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ole does not exhibit sufficient cushioning.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67892호 (등록일: 2011.09.20)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67892 (Registration date: September 20, 20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9139호 (등록일: 2011.11.2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89139 (Registration Date: 2011.11.2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47352호 (등록일: 2011.07.0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47352 (Registration Date: 2011.07.01)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형성하면서도 지면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분산흡수하는 한편, 워킹시 발의 구부러짐에 따라 밑창의 유연한 구부러짐이 가능하고, 지면 적응력과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는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forming a simple structure, while efficiently absorbing the shock of the ground, while the foot is bent when the foot is flexible, the sole of the sho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is made to improve the adaptability and grounding force And to provide a shoe comprising the sam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바닥면이 지면과 강성접촉면과 연성접촉면을 형성하는 신발바닥으로서, 상기 강성접촉면은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연성접촉면은 상기 강성접촉면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강성접촉면을 형성하고, 삽입홈이 형성된 미드솔; 및 상기 미드솔보다 경도(hardness)가 낮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연성접촉면을 형성하는 아웃솔을 포함하며, 상기 강성접촉면은, 상기 연성접촉면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각각 둘러싸는 한 쌍의 보강접촉면; 및 상기 보강접촉면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기본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미드솔은, 상기 기본접촉면 및 상기 기본접촉면보다 높은 단차면을 형성하고, 갑피가 결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보다 경도가 높고, 상기 단차면에 결합되어 상기 보강접촉면을 형성하는 보강체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솔은, 상기 미드솔과 연속적인 접합면을 형성하는 접합패드; 및 상기 접합패드로부터 지면반력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변형셀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셀이 상기 삽입홈 내에서 압축변형되면서 지면반력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는 상기 변형셀의 압축변형과 연동하여 휨 변형되면서 지면반력을 흡수하고, 상기 보강체는 상기 몸체의 휨 변형에 저항하여 상기 몸체의 압축변형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le bottom, wherein the sole surface forms a rigid contact surface and a flexible contact surface, wherein the rigid contact surface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is surrounded by the rigid contact surface. A midsole forming the rigid contact surface and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med therein; And an outsole having a lower hardness than the midsole and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o form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wherein the rigid contact surface surrounds a front end portion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respectively. ; And a pair of basic contact surfaces connecting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s, respectively, wherein the midsole includes: a body having a higher stepped surface than the basic contact surface and the basic contact surface and having an upper coupled thereto; And a reinforcement having a higher hardness than the body and coupled to the step surface to form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 wherein the outsole includes: a bonding pad forming a continuous bonding surface with the midsole; And a plurality of deformation cells protruding in a direction facing the ground reaction force from the bonding pads. In the process of absorbing the ground reaction force while the deformation cell is compressively de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the body compresses the deformation cell. Absorption of ground reaction force by bending de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deformation, the reinforcement is achieved by a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which induces compressive deformation of the body to resist bending deformation of the body.

상기 강성접촉면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접촉면 및 상기 기본접촉면과 상기 연성접촉면 사이에 개재되는 확대접촉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보강접촉면 및 상기 기본접촉면과 상기 확대접촉면 사이에 분리홈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rigid contact surface further includes an enlarged contact surface formed in the body and interposed between the reinforcement contact surface and the basic contact surface and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wherein the body has a separation groove between the reinforcement contact surface and the basic contact surface and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It can be made to be formed.

상기 연성접촉면에는, 상기 확대접촉면에 가해진 지면반력이 증가하는 과정에서 지면에 접촉하는 이격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영역과 접한 위치에서 상기 몸체의 휨 변형이 억제되도록, 상기 이격영역과 접한 위치에서 상기 분리홈의 깊이가 감소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a spaced area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formed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the ground reaction force applied to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and in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spaced space so that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body at the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spaced space is suppressed. It may be made to reduce the depth of the separation groove.

상기 변형셀은 하중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육각 기둥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연성접촉면은, 상기 변형셀의 저면을 형성하고, 지면반력의 작용방향과 수직한 표면접촉면; 및 상기 변형셀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변형셀의 변형시 지면에 밀착되는 경사접촉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formation cell forms a hexagonal column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load direction, and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orms a bottom surface of the deformation cell, the surface contact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ground reaction force; And an inclined contact surface which forms a side surface of the deformation cell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he deformation cell is deformed.

상기 변형셀은 하중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기둥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연성접촉면은, 상기 변형셀의 저면을 형성하고, 지면반력의 작용방향과 수직한 표면접촉면; 상기 변형셀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변형셀의 변형시 지면에 밀착되는 경사접촉면; 및 상기 표면접촉면과 상기 경사접촉면을 계단형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단차접촉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formation cell may have a columnar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load direction, and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of the deformation cell, the surface contact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ground reaction force; An inclined contact surface which forms a side surface of the deformation cell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he deformation cell is deformed; And a plurality of stepped contact surfaces connecting the surface contact surface and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in a stepped manner.

아울러,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신발바닥; 및 상기 신발바닥에 결합되는 갑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의하여 달성된다.In addition, the objec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hoe sole; And an upper coupled to the sole of the shoe.

본 발명에 의하면, 변형셀이 삽입홈 내에서 압축변형되면서 지면반력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몸체는 아웃솔의 압축변형과 연동하여 휨 변형되면서 지면반력을 흡수하고, 보강체는 몸체의 휨 변형에 저항하여 몸체의 압축변형을 유도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형성하면서도 지면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분산흡수하는 한편, 워킹시 발의 구부러짐에 따라 밑창의 유연한 구부러짐이 가능하고, 지면 적응력과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는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absorbing the ground reaction while the deformation cell is compressively de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the body absorbs the ground reaction while bending de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outsole, the reinforcement resists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body By inducing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body, while absorbing the impact of the ground efficiently while forming a simple structure, the flexible bend of the sole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foot during walking, and the trampoline structure is made to improve the ground adaptability and grounding for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oe sole having and a shoe comprising the sam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저면도 및 평면도.
도 5(a)는 도 4(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A-A 단면도.
도 5(b)는 도 1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측면도.
도 6(a)는 도 4(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B-B 단면도.
도 6(b)는 도 4(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C-C 단면도.
도 7(a)는 도 4(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D-D 단면도.
도 7(b)는 도 4(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E-E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저면도 및 평면도.
도 9(a)는 도 8(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A-A 단면도.
도 9(b)는 도 8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측면도.
도 10(a)은 도 8(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B-B 단면도.
도 10(b)은 도 8(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C-C 단면도.
도 11(a)은 도 8(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D-D 단면도.
도 11(b)은 도 8(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E-E 단면도.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1;
4 is a bottom view and a plan view of a shoe sole having the trampoline structure of FIG.
Figure 5 (a)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the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4 (a).
Figure 5 (b) is a side view of a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1;
Figure 6 (a) is a BB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4 (a).
Figure 6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4 (a).
Figure 7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4 (a).
Figure 7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e E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4 (a).
8 is a bottom view and a plan view of a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a)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the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8 (a).
Figure 9 (b) is a side view of the shoe sole having the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8;
Figure 10 (a) is a BB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8 (a).
Figure 10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8 (a).
Figure 11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8 (a).
Figure 11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8 (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은, 간단한 구조를 형성하면서도 지면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분산흡수하는 한편, 워킹시 발의 구부러짐에 따라 밑창의 유연한 구부러짐이 가능하고, 지면 적응력과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이루어진다.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hoe including the same, while efficiently absorbing the impact of the ground while forming a simple structure, the flexible bend of the sole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foot during walking, ground adaptability and grounding force This is done to improv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저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5(a)는 도 4(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A-A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1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측면도이고, 도 6(a)는 도 4(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B-B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4(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C-C 단면도이고, 도 7(a)는 도 4(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D-D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4(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E-E 단면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1, Figure 4 is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1 Figure 5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4 (a), Figure 5 (b) is a side view of the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1 6 (a) is a cross-sectional view BB of the shoe sole having the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4 (a), Figure 6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C of the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4 (a), Figure 7 (a) is DD sectional drawing of the shoe sole which has the trampoline structure of FIG. 4 (a), and FIG. 7 (b) is EE sectional drawing of the shoe sole which has the trampoline structure of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10)은, 갑피(2)와 함께 신발(1)을 구성한다. 상술한 신발(1)은 기능성 구두와 기능성 운동화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shoe sole 10 having the trampolin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the shoe 1 together with the upper 2. The shoe 1 described above may include functional shoes and functional sneakers.

본 발명의 신발바닥(10)이 형성하는 트램펄린 구조는, 아스팔트 길과 같은 평평한 지면은 물론, 가벼운 등산길이나 올레길과 같이 비교적 평탄한 비포장길을 걸을 때 지면반력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The trampoline structure formed by the shoe so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tructure that efficiently absorbs ground reaction force when walking on a relatively flat unpaved road such as a light trail or an ole road as well as a flat ground such as an asphalt road. .

따라서 본 발명의 신발바닥(10)이 형성하는 트램펄린 구조는, 기능성 워킹화나 기능성 트레킹화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신발(1)은 기능성 트레킹화로 도시되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신발(1)은 기능성 워킹화로 도시되었다. Therefore, the trampoline structure formed by the shoe so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inly applied to functional walking shoes or functional trekking shoes.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hoe 1 is shown as a functional trekking shoe, 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hoe 1 is shown as a functional walking shoe.

상술한 지면반력(ground reaction force)은 물체가 지구에 가해진 힘에 대한 반작용력을 의미한다. 즉, 지면반력은 워킹시 신발바닥(10)에서 지면으로 전달되는 힘(운동에너지)과 크기는 동일하고 방향은 반대인 힘을 의미한다. The above-mentioned ground reaction force means a reaction force against the force exerted on the earth by the object. That is, the ground reaction force means the force (kinetic energy) and the same magnitude and opposite direction to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shoe sole 10 to the ground during walkin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10)은, 간단한 구조를 형성하면서도 지면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분산흡수하는 한편, 워킹 및 트레킹시 발의 구부러짐에 따라 밑창의 유연한 구부러짐이 가능하고, 지면 적응력과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며, 미드솔(100) 및 아웃솔(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shoe sole 10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bsorbing the impact of the ground efficiently while forming a simple structure, while walking and trekking As the foot is bent, the flexible bend of the sole is possible, and the ground adaptation force and the grounding force are improved, and the midsole 100 and the outsole 200 are configured to include the same.

본 발명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10)은, 미드솔(100) 및 아웃솔(200)의 결합구조및 이들의 경도(hardness) 차이에 의해 종래 신발바닥보다 향상된 충격흡수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Shoe sole 10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shock absorbing structure improved than the conventional shoe sole by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midsole 100 and the outsole 200 and their hardness (hardness), the Achieve your purpose.

미드솔(100) 및 아웃솔(200)은 후술할 결합구조 및 경도 조건을 만족하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미드솔(100) 및 아웃솔(200)은 각종 탄성 중합체(elastomer), 각종 혼성 중합체(copolymer), 각종 합성 고무(synthetic rubber)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 midsole 100 and the outsole 200 should be understood to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rubber material that satisfies the bonding structure and hardness conditions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midsole 100 and the outsole 200 may be made of various elastomers, various copolymers, various synthetic rubbers, and the like.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드솔(100)은 탄성 변형을 통해 지면반력을 흡수하는 구성으로서, 몸체(110) 및 보강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 5를 기준으로 왼쪽은 신발(1)의 앞쪽, 오른쪽은 신발(1)의 뒤쪽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1 to 4, the midsole 100 is a configuration that absorbs the ground reaction force through the elastic deformation, and comprises a body 110 and a reinforcement (120). Hereinafter, for the sake of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side is referred to as the front side of the shoe 1 and the right side as the rear side of the shoe 1.

이하에서 '바닥면'은 지면에 접촉하는 신발바닥(10)의 밑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신발바닥(10)에서 미드솔(100) 및 아웃솔(200)은 지면반력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압축 변형하거나 휨 변형하면서 지면반력을 흡수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닥면은 워킹시 미드솔(100) 및 아웃솔(200)의 탄성 변형량에 의해 지면을 디딜 때마다 그 형태 및 면적이 변화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bottom surface' means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10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e shoe so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dsole 100 and the outsole 200 absorb the ground reaction force by compressive deformation or bending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ground reaction force.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bottom surface should be understood as the shape and area of the floor change every time the ground is touched by the amount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midsole 100 and the outsole 200 during walking.

도 2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바닥(10)은, 바닥면이 지면과 강성접촉면(F1)과 연성접촉면(F2)을 형성한다. As shown in Figure 2 and 4 (a), the shoe so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forms the ground, the rigid contact surface (F1) and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강성접촉면(F1)은 미드솔(100)이 지면과 형성하는 접촉면으로서,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연성접촉면(F2)은 아웃솔(200)이 지면과 형성하는 접촉면으로서, 강성접촉면(F1)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를 형성한다. 강성접촉면(F1)은 기본접촉면(F1A) 및 보강접촉면(F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rigid contact surface F1 is a contact surface formed by the midsole 100 with the ground, and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is a contact surface formed by the outsole 200 with the ground, and forms a shape surrounded by the rigid contact surface F1. The rigid contact surface F1 comprises a basic contact surface F1A and a reinforcement contact surface F1B.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는 압축 및 휨 변형을 통해 지면반력을 흡수하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트레킹화나 워킹화의 중창구조와 마찬가지로 앞쪽과 뒤쪽 바닥이 비스듬하게 위로 경사진 형태를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5, the body 110 is configured to absorb ground reaction force through compression and bending deformation, and forms a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bottoms are inclined upwardly as in the midsole structure of a general trekking or walking shoe. .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는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소폭 증가하는 형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몸체(110)는 등록특허공보 제1067892호에 개시된 중창보다 작은 두께를 형성하면서도 더 큰 지면반력을 흡수할 수 있다. 이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ure 5 (a), the body 110 forms a form in which the thickness slightly in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body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bsorb a greater ground reaction force while forming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midsol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67892.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윗면은 발바닥과 유사한 형태의 곡면(이하 '안착면')을 형성한다. 안착면에는 발바닥(또는 깔창)이 안착된다. 그리고 안착면의 가장자리 부분은 위쪽을 향해 완만한 경사면을 형성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위에는 갑피(2)가 결합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forms a curved su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itting surface') of the sole shape. The sole (or insole)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And the edge of the seating surface forms a gentle slope upwards. As shown in Figure 5 (a), the upper (2)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body (11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바닥에는 삽입홈(111) 및 단차면(112)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3, an insertion groove 111 and a stepped surface 112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dy 110.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11)은 아웃솔(200)이 삽입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몸체(110) 바닥의 가장자리 안쪽에 형성된다. 단차면(112)은 보강체(12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몸체(110)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insertion groove 111 is a portion in which the outsole 200 is inserted, is formed inside the edge of the bottom of the body (110). The stepped surface 112 is a portion to which the reinforcement 120 is coupled, and is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body 110, respectively.

보강체(120)는 몸체(110)의 휨 변형에 저항하여 몸체(110)의 압축변형을 유도하는 구성으로서, 단차면(112)에 결합되어 아웃솔(200)의 전단부 및 후단부 둘레를 각각 감싸는 형태를 형성한다. The reinforcement body 120 is configured to induce compressive deformation of the body 110 by resisting bending deformation of the body 110. The reinforcement body 120 is coupled to the step surface 112 to surroun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outsole 200, respectively. Form a wrapping form.

보강체(120)는 몸체(110)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보강체(120)의 경도는 55이고, 몸체(110)는 보강체(120)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다. 예외적으로, 몸체(110)는 보강체(120)와 동일한 경도 55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reinforcement body 12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hardness than the body 110. The hardness of the reinforcement 120 is 55, and the body 110 has a lower hardness than the reinforcement 120. Exceptionally, the body 110 may be formed with the same hardness 55 as the reinforcement 120.

상술한 경도는 Vickers hardness test, Brinell hardness test, Knoop hardess test, Janka hardness test, Meyer hardness test, Rockwell hardness test, Shore hardness test, and Barcol hardness test로 측정된 값일 수 있다. The hardness may be measured by Vickers hardness test, Brinell hardness test, Knoop hardess test, Janka hardness test, Meyer hardness test, Rockwell hardness test, Shore hardness test, and Barcol hardness test.

도 2 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체(120)의 바닥면은 보강접촉면(F1B)을 형성하고, 몸체(110)의 바닥면은 기본접촉면(F1A)을 형성한다. 즉, 몸체(110)의 바닥면과 보강체(120)의 바닥면은 함께 강성접촉면(F1)을 형성한다. As shown in Figure 2 to 4 (a),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body 120 forms a reinforcing contact surface (F1B),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10 forms a basic contact surface (F1A).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body 120 together form a rigid contact surface (F1).

보강접촉면(F1B)은 보강체(120)가 지면과 형성하는 접촉면으로서, 몸체(110)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다. 기본접촉면(F1A)은 몸체(110)가 지면과 형성하는 접촉면으로서, 아웃솔(200)의 양측에서 보강접촉면(F1B)을 각각 연결하는 형태를 형성한다.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 F1B is a contact surface that the reinforcing body 120 forms with the ground, and is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body 110, respectively. The basic contact surface F1A is a contact surface formed by the body 110 with the ground, and forms a form in which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s F1B are respectively connected at both sides of the outsole 2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면(112)은 기본접촉면(F1A)보다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체(120)가 단차면(112)에 결합되면, 기본접촉면(F1A)과 보강접촉면(F1B)은 신발(1)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바닥면을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3, the stepped surface 112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from the ground than the basic contact surface F1A. As shown in FIG. 5 (b), when the reinforcement body 120 is coupled to the stepped surface 112, the base contact surface F1A and the reinforcement contact surface F1B are continuous bottom surfa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e 1. To form.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솔(200)은 탄성 변형을 통해 지면반력을 흡수하는 구성으로서, 접합패드(210) 및 변형셀(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outsole 200 is a configuration that absorbs the ground reaction force through the elastic deformation, it comprises a bonding pad 210 and the deformation cell 220.

도 3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패드(210)는 삽입홈(111) 안쪽에서 몸체(110)와 연속적인 접합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글자 그대로 패드 형태로 형성된다. 접합패드(210)는 삽입홈(111) 안쪽에서 몸체(110)와 연속적인 접합면을 형성하여 워킹시 미드솔(100)과 일체로 구부러지거나 펴지면서 지면반력을 흡수하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3 and 5 (a), the bonding pad 210 is formed to form a continuous bonding surface with the body 110 inside the insertion groove 111, it is formed literally in the form of a pad. Bonding pad 210 forms a continuous bonding surface with the body 110 in the insertion groove 111 to absorb the ground reaction while bending or unfolding integrally with the midsole 100 during walking.

변형셀(220)은 그 표면에 연성접촉면(F2)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접합패드(210)로부터 지면반력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변형셀(220)은 다수로 구비되어, 각각 하중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기둥형태를 형성한다. 도 4(a)에서 각각의 변형셀(220)은 대략 '〈'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deformation cell 220 is configured to form a flexible contact surface F2 on the surface thereof, and protrudes from the bonding pad 210 in a direction facing the ground reaction force. The deformable cells 220 are provided in plural, and form a pillar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load direction, respectively. In FIG. 4A, each of the modified cells 220 is illustrated in a substantially '<' shape, but may have various shapes.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접촉면(F2)은 변형셀(220)이 지면과 형성하는 접촉면으로서, 표면접촉면(F2A), 경사접촉면(F2B) 및 단차접촉면(F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5 to 7,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is a contact surface formed by the deformation cell 220 with the ground, and includes a surface contact surface F2A, an inclined contact surface F2B, and a stepped contact surface F2C. It is composed.

상술한 바와 같이, 변형셀(220)은 그 표면에 연성접촉면(F2)을 형성한다. 즉, 변형셀(220)의 저면은 표면접촉면(F2A)을 형성하고, 변형셀(220)의 측면은 경사접촉면(F2B)을 형성하며, 변형셀(220)의 저면과 측면 사이에는 단차접촉면(F2C)을 형성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deformation cell 220 forms a flexible contact surface F2 on the surface thereof.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deformation cell 220 forms a surface contact surface F2A, the side surface of the deformation cell 220 forms an inclined contact surface F2B, and a stepped contact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deformation cell 220. F2C).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접촉면(F2A)은 지면반력의 작용방향과 수직한 변형셀(220)의 저면으로, 신발바닥(10)이 지면을 디딜 때 경사접촉면(F2B)과 단차접촉면(F2C)보다 지면에 먼저 접촉된다.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surface contact surface F2A is a bottom surface of the deformation cell 220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ground reaction force, and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F2B when the shoe sole 10 treads the ground. It contacts the ground earlier than the step contact surface F2C.

경사접촉면(F2B)은 변형셀(220)의 경사진 측면으로, 변형셀(220)의 압축 및 휨 변형시 지면에 밀착된다. 또한, 경사접촉면(F2B)은 지면의 돌출된 부분이 표면접촉면(F2A) 사이로 인입됨으로써 지면에 밀착될 수 있다.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F2B is an inclined side surface of the deformation cell 22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during compression and bending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cell 220. Also,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F2B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by protruding portions of the ground into the surface contact surface F2A.

단차접촉면(F2C)은 표면접촉면(F2A)과 경사접촉면(F2B)을 계단형으로 연결하는 부분으로, 표면접촉면(F2A)과 경사접촉면(F2B)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단차부를 가리킨다. 단차접촉면(F2C)은 변형셀(220)의 압축 및 휨 변형시 경사접촉면(F2B)보다 먼저 지면에 밀착될 수 있다. The step contact surface F2C is a portion connecting the surface contact surface F2A and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F2B in a stepped manner, and refers to a plurality of step portions formed between the surface contact surface F2A and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F2B. The stepped contact surface F2C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before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F2B during compression and bending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cell 220.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변형셀(220) 각각은 그 표면에 입체적인 복수의 접촉면 즉, 표면접촉면(F2A), 경사접촉면(F2B) 및 단차접촉면(F2C)을 형성한다. 따라서 각각의 변형셀(220)은 워킹시 지면의 굴곡진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 및 각도로 압축 및 휨 변형하여 지면반력을 흡수하는 넓은 바닥면을 형성한다.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plurality of deformation cells 220 forms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contact surfaces, that is, a surface contact surface F2A, an inclined contact surface F2B, and a stepped contact surface F2C on its surface. Therefore, each deformable cell 220 is compressed and flexurally deformed at different shapes and angles according to the curved shape of the ground to form a wide bottom surface to absorb ground reaction force.

아웃솔(200)은 몸체(110)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아웃솔(200)의 경도는 45이고, 몸체(110)는 아웃솔(200)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다. The outsole 20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hardness than the body 110. The hardness of the outsole 200 is 45, and the body 110 has a higher hardness than the outsole 200.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보강접촉면(F1B)은 연성접촉면(F2)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각각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한 쌍의 기본접촉면(F1A)은 연성접촉면(F2)의 양측에서 보강접촉면(F1B)을 각각 연결하는 형태를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4 (a), the pair of reinforcing contact surfaces F1B are arranged to surroun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respectively, and the pair of basic contact surfaces F1A are the flexible contact surfaces. Forms of connecting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s (F1B) on both sides of (F2), respectively.

도 6 및 도 7은 신발바닥(10)의 바닥면이 지면과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도 4(a)의 B-B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4(a)의 C-C 단면도이고, 도 7(a)는 도 4(a)의 D-D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4(a)의 E-E 단면도이다. 6 and 7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1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6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a), FIG. 6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4 (a), and FIG. 7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b) is EE sectional drawing of FIG.

워킹시 신발바닥(10)은 발뒤꿈치부터 시작하여 발바닥 전체가 바닥에 고르게 닿는다. 워킹시 신발바닥(10)은 뒤쪽 바닥면을 시작으로 다리와 발목의 회전에 의해 앞쪽 바닥면이 바닥에 닿은 후 지면으로부터 떨어진다. When walking, the shoe sole 10 starts from the heel and evenly reaches the entire sole of the sole. When walking, the sole 10 falls from the ground after the front bottom reaches the floor by the rotation of the legs and ankles, starting with the rear bottom.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10)은, 워킹시 신발(1) 뒤쪽의 보강접촉면(F1B)이 지면에 먼저 닿고 나서, 보강접촉면(F1B)과 함께 연성접촉면(F2)이 지면에 닿고(도 7(b) 참조), 그 다음엔 기본접촉면(F1A)과 함께 연성접촉면(F2)이 닿고(도 7(a) 참조) 나서, 도 7(b)와 도 7(a)의 순서대로 신발(1) 앞쪽의 보강접촉면(F1B)과 연성접촉면(F2)이 지면에 닿게 된다. That is, in the shoe sole 10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 F1B at the rear of the shoe 1 first touches the ground when walking, and then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 F1B. (F2) touches the ground (see FIG. 7 (b)), and then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touches with the basic contact surface F1A (see FIG. 7 (a)), then FIG. 7 (b) and FIG. In the order of (a),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 F1B and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on the front of the shoe 1 touch the ground.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도면부호 3은 착용자의 발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P는 워킹시 발에 의해 바닥면에 가해지는 힘(운동에너지)을 의미하고, 도면부호 R1은 지면으로부터 연성접촉면(F2)에 가해지는 지면반력을 의미하고, 도면부호 R2는 지면으로부터 양쪽 강성접촉면(F1)에 가해지는 지면반력을 의미하며, 도면부호 M은 미드솔(100)에 형성되는 모멘트를 의미한다. 6 and 7 denotes the foot of the wearer, P denotes a force (kinetic energy)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by the foot when walking, and R1 denotes a flexible contact surface (from the ground) F2) means the ground reaction force applied to, and the reference numeral R2 means the ground reaction force applied to both rigid contact surface (F1) from the ground, and the reference numeral M means a moment formed in the midsole (100).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110)는 아웃솔(200)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다. 따라서 P가 연성접촉면(F2) 위에서 신발바닥(10)에 가해지더라도 R2의 합은 R1보다 크다. As described above, the body 110 has a higher hardness than the outsole 200. Therefore, even if P is applied to the shoe sole 10 on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the sum of R2 is larger than R1.

몸체(110)는 P와 R1 및 R2에 의한 모멘트 M에 의해 휨 변형하면서 P를 지탱한다. 이때 아웃솔(200)은 삽입홈(111) 내에서 압축변형되면서 지면반력(R1)을 흡수하게 된다. 즉, 아웃솔(200)이 삽입홈(111) 내에서 압축변형되면서 지면반력(R1)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미드솔(100)은 지면으로부터 P를 지지하는 동시에 아웃솔(200)의 압축변형과 연동하여 휨 변형하며 지면반력(R2)을 흡수하게 된다. The body 110 supports P while flexurally deforming by moments M by P and R1 and R2. At this time, the outsole 200 absorbs the ground reaction force R1 while compressing the deformation in the insertion groove 111. That is, in the process of absorbing the ground reaction force R1 while the outsole 200 is compressively de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111, the midsole 100 supports P from the ground and in conjunction with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outsole 200. It flexes and deforms and absorbs ground reaction force (R2).

이때 몸체(110)보다 높은 경도의 재질로 형성된 보강체(120)는 몸체(110)의 휨 변형에 저항하여 몸체(110)의 압축변형을 유도한다. 즉, 몸체(110)는 보강체(120)의 구속력에 의해 휨 변형이 감소하는 대신 하중 방향(지면반력 방향)으로의 압축 변형이 증가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reinforcement body 120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hardness than the body 110 induces a compressive deformation of the body 110 to resist bending deformation of the body 110. That is, the body 110 increases the compressive deformation in the load direction (ground reaction force direction) instead of reducing the bending deformation due to the restraining force of the reinforcing body (120).

아웃솔(200)은 미드솔(100)보다 경도가 낮으므로 지면의 다양한 굴곡에 따라 변형하면서 지면과 넓은 밀착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다수의 변형셀(220)에는 압축 및 휨 변형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Since the outsole 200 has a lower hardness than the midsole 100, the outsole 200 deforms according to various bendings of the ground, thereby forming a wide contact surface with the ground. In this case, compression and bending deformation may simultaneously occur in the plurality of deformation cells 220.

상술한 미드솔(100)과 아웃솔(200)의 연동 탄성 변형에 의한 충격흡수는 트램펄린의 충격흡수와 동일한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트램펄린(trampoline)은 스프링이 연결되어 탄력 있는 그물망으로 구성된 기구로서, 틀, 안전판, 그물망 및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hock absorption due to the interlocking elastic deformation of the midsole 100 and the outsole 200 forms the same mechanism as the shock absorption of the trampoline. A trampoline is a mechanism consisting of a resilient mesh with a spring connected to it, which comprises a frame, a safety plate, a mesh and a spring.

틀(frame)은 스프링이 연결되어 그물망을 지탱하는 금속 몸체를 가리키고, 안전판(safety pad) 체조선수의 부상을 방지하고자 틀을 감싼 쿠션이 있는 매트를 가리킨다. 틀은 금속 구조물인 다리(leg)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지탱된다. The frame refers to a metal body on which the spring is connected to support the net, and a mat with a cushion wrapped around the frame to prevent injury to the safety pad gymnast. The frame is supported from the ground by a leg, a metal structure.

그물망(bed)은 흔히 나일론으로 제작하는 직물로 체조선수는 그물망 위에서 뛰어오르며 공중곡예와 같은 자유연기를 펼친다. 스프링(spring)은 그물망에 탄력을 주는 탄성 있는 금속 코일로서 트램펄린에는 대개 120개의 스프링이 있다. A bed is a fabric usually made of nylon. Gymnasts jump on the net and perform free acting, such as aerial acrobatics. A spring is an elastic metal coil that gives elasticity to the mesh. There are usually 120 springs in the trampoline.

즉, 본 발명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10)에서, 아웃솔(200)은 체조선수의 운동에너지가 직접 인가되는 그물망(bed)으로 작용하여 지면 굴곡에 따라 변형하면서 지면반력을 직접 흡수하고, 몸체(110)는 그물망의 운동에너지를 자체 탄성 변형에 의해 흡수하는 스프링(spring)으로 작용하여 아웃솔(200)의 압축변형과 연동한 휨 변형에 의해 지면반력을 흡수하며, 보강체(120)는 스프링이 연결되어 그물망을 지탱하는 틀(frame)로서 작용하여 몸체(110)의 과도한 휨 변형을 억제하게 된다. That is, in the shoe sole 10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sole 200 directly acts as a net to which the kinetic energy of the gymnast is applied, and directly absorbs the ground reaction force while deforming according to the ground curvature. The body 110 acts as a spring to absorb the kinetic energy of the mesh by its elastic deformation to absorb the ground reaction force by the bending de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outsole 200, the reinforcement body 120 is The spring is connected to act as a frame (bearing) for supporting the mesh to suppress excessive bending deformation of the body (110).

따라서 본 발명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10)은, 등록특허공보 제1067892호의 신발 밑창보다 얇은 두께를 형성하더라도 더 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hoe sole 10 having the trampolin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bsorb a greater impact even if it forms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sole of the shoe of Patent No. 1067892.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저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9(a)는 도 8(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A-A 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8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측면도이고, 도 10(a)은 도 8(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B-B 단면도이고, 도 10(b)은 도 8(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C-C 단면도이고, 도 11(a)은 도 8(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D-D 단면도이고, 도 11(b)은 도 8(a)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의 E-E 단면도이다.FIG. 8 is a bottom view and a plan view of a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e sole having the trampoline structure of FIG. 8 (a), and FIG. b) is a side view of the sole of the shoe having the trampoline structure of FIG. 8, FIG. 10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le of the shoe having the trampoline structure of FIG. 8 (a), and FIG. 10 (b) is of FIG. CC sectional view of the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 11 (a) is a DD sectional view of the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8 (a), Figure 11 (b) is a trampoline structure of Figure 8 (a) It is EE sectional drawing of the sole of shoes having.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20)은, 미드솔(100) 및 아웃솔(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As illustrated in FIGS. 8 to 11, the shoe sole 20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dsole 100 and an outsole 200. Hereinafter,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for easy understanding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미드솔(100) 및 아웃솔(200)은 후술할 결합구조 및 경도 조건을 만족하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미드솔(100) 및 아웃솔(200)은 각종 탄성 중합체(elastomer), 각종 혼성 중합체(copolymer), 각종 합성 고무(synthetic rubber)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 midsole 100 and the outsole 200 should be understood to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rubber material that satisfies the bonding structure and hardness conditions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midsole 100 and the outsole 200 may be made of various elastomers, various copolymers, various synthetic rubbers, and the like.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드솔(100)은 탄성 변형을 통해 지면반력을 흡수하는 구성으로서, 몸체(110) 및 보강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 8을 기준으로 왼쪽은 신발(1)의 앞쪽, 오른쪽은 신발(1)의 뒤쪽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 8 and FIG. 9, the midsole 100 is a configuration for absorbing ground reaction force through elastic deformation, and includes a body 110 and a reinforcement body 120. Hereinafter, for the sake of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side is referred to as the front side of the shoe 1 and the right side as the rear side of the shoe 1 based on FIG. 8.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바닥(20)은, 바닥면이 지면과 강성접촉면(F1)과 연성접촉면(F2)을 형성한다. As shown in Figure 8 (a), the shoe so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forms the ground, the rigid contact surface (F1) and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강성접촉면(F1)은 미드솔(100)이 지면과 형성하는 접촉면으로서,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연성접촉면(F2)은 아웃솔(200)이 지면과 형성하는 접촉면으로서, 강성접촉면(F1)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를 형성한다. 강성접촉면(F1)은 기본접촉면(F1A), 보강접촉면(F1B) 및 확대접촉면(F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rigid contact surface F1 is a contact surface formed by the midsole 100 with the ground, and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is a contact surface formed by the outsole 200 with the ground, and forms a shape surrounded by the rigid contact surface F1. The rigid contact surface F1 comprises a basic contact surface F1A, a reinforcement contact surface F1B, and an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는 압축 및 휨 변형을 통해 지면반력을 흡수하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트레킹화나 워킹화의 중창구조와 마찬가지로 앞쪽과 뒤쪽 바닥이 비스듬하게 위로 경사진 형태를 형성한다. 몸체(110)의 위에는 갑피(2)가 결합된다. As shown in Figure 9, the body 110 is a configuration that absorbs the ground reaction force through the compression and bending deformation, as in the midsole structure of the general trekking or walking shoes, the front and rear bottom forms an inclined upward obliquely. . The upper 2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body 110.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는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소폭 증가하는 형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몸체(110)는 등록특허공보 제1067892호에 개시된 중창보다 작은 두께를 형성하면서도 더 큰 지면반력을 흡수할 수 있다. 이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ure 9 (a), the body 110 forms a form in which the thickness slightly in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body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bsorb a greater ground reaction force while forming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midsol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67892.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몸체(110)의 바닥에는 삽입홈(111) 및 단차면(112)이 형성된다.(도 2 및 도 3 참조) Although not shown, an insertion groove 111 and a stepped surface 112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dy 110 (see FIGS. 2 and 3).

삽입홈(111)은 아웃솔(200)이 삽입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몸체(110) 바닥의 가장자리 안쪽에 형성된다. 단차면(112)은 보강체(12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몸체(110)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다. The insertion groove 111 is a portion into which the outsole 200 is inserted and coupled, and is formed inside the edge of the bottom of the body 110. The stepped surface 112 is a portion to which the reinforcement 120 is coupled, and is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body 110, respectively.

보강체(120)는 몸체(110)의 휨 변형에 저항하여 몸체(110)의 압축변형을 유도하는 구성으로서, 단차면(112)에 결합되어 아웃솔(200)의 전단부 및 후단부 둘레를 각각 감싸는 형태를 형성한다. The reinforcement body 120 is configured to induce compressive deformation of the body 110 by resisting bending deformation of the body 110. The reinforcement body 120 is coupled to the step surface 112 to surroun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outsole 200, respectively. Form a wrapping form.

보강체(120)는 몸체(110)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보강체(120)의 경도는 55이고, 몸체(110)는 보강체(120)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다. 예외적으로, 몸체(110)는 보강체(120)와 동일한 경도 55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reinforcement body 12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hardness than the body 110. The hardness of the reinforcement 120 is 55, and the body 110 has a lower hardness than the reinforcement 120. Exceptionally, the body 110 may be formed with the same hardness 55 as the reinforcement 120.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체(120)의 바닥면은 보강접촉면(F1B)을 형성하고, 몸체(110)의 바닥면은 기본접촉면(F1A) 및 확대접촉면(F1C)을 형성한다. 즉, 몸체(110)의 바닥면과 보강체(120)의 바닥면은 함께 강성접촉면(F1)을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8A,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body 120 forms a reinforcing contact surface F1B,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10 forms a basic contact surface F1A and an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do.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body 120 together form a rigid contact surface (F1).

보강접촉면(F1B)은 보강체(120)가 지면과 형성하는 접촉면으로서, 몸체(110)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다. 기본접촉면(F1A)은 몸체(110)가 지면과 형성하는 접촉면으로서, 아웃솔(200)의 양측에서 보강접촉면(F1B)을 각각 연결하는 형태를 형성한다.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 F1B is a contact surface that the reinforcing body 120 forms with the ground, and is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body 110, respectively. The basic contact surface F1A is a contact surface formed by the body 110 with the ground, and forms a form in which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s F1B are respectively connected at both sides of the outsole 200.

확대접촉면(F1C)도 몸체(110)가 지면과 형성하는 접촉면으로서, 연성접촉면(F2)과 보강접촉면(F1B) 및 기본접촉면(F1A) 사이에 개재된다. 즉, 확대접촉면(F1C)은 연성접촉면(F2)을 둘러싸는 형태를 형성한다.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is also a contact surface formed by the body 110 with the ground,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 F1B, and the basic contact surface F1A. That is,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forms a shape surrounding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단차면(112)은 기본접촉면(F1A)보다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보강체(120)가 단차면(112)에 결합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접촉면(F1A), 보강접촉면(F1B) 및 확대접촉면(F1C)은 신발(1)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바닥면을 형성한다.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stepped surface 112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from the ground than the basic contact surface F1A. When the reinforcement body 120 is coupled to the stepped surface 112, as shown in FIG. 9B, the basic contact surface F1A, the reinforcement contact surface F1B, and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are the length of the shoe 1. To form a continuous bottom surface.

몸체(110)에는 확대접촉면(F1C)과 보강접촉면(F1B) 및 기본접촉면(F1A) 사이에 분리홈(H)이 형성된다. 분리홈(H)이 형성되면, 몸체(110)는 보강접촉면(F1B) 위쪽보다 확대접촉면(F1C) 위쪽에서 휨 변형량이 커진다. 따라서 분리홈(H)의 깊이가 증가하면, 보강접촉면(F1B) 위쪽을 제외한 몸체(110)의 휨 변형량이 증가하게 된다. Th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groove H between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the reinforcement contact surface F1B, and the basic contact surface F1A. When the separation groove H is formed, the body 110 has a greater amount of bending deformation at the upper side of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than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 F1B. Therefore, when the depth of the separation groove (H) increases, the amount of bending deformation of the body 110, except for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 (F1B) increases.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20)은, 확대접촉면(F1C)이 형성되어 연성접촉면(F2)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더라도, 분리홈(H)의 형성에 의해 확대접촉면(F1C) 위쪽에서 몸체(110)의 휨 변형량이 증가함으로써, 아웃솔(200)이 삽입홈(111) 내에서 충분히 압축변형되면서 지면반력을 흡수하게 된다. That is, in the shoe sole 20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is formed and the area of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is relatively reduc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bending deformation of the body 110 above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the outsole 200 absorbs the ground reaction force while sufficiently compressive deformation in the insertion groove (111).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솔(200)은 탄성 변형을 통해 지면반력을 흡수하는 구성으로서, 접합패드(210) 및 변형셀(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8 and FIG. 9, the outsole 200 absorbs ground reaction force through elastic deformation, and includes a bonding pad 210 and a deformation cell 220.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패드(210)는 삽입홈(111) 안쪽에서 몸체(110)와 연속적인 접합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글자 그대로 패드 형태로 형성된다. 접합패드(210)는 삽입홈(111) 안쪽에서 몸체(110)와 연속적인 접합면을 형성하여 워킹시 미드솔(100)과 일체로 구부러지거나 펴지면서 지면반력을 흡수하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9 (a), the bonding pad 210 is a configuration that forms a continuous bonding surface with the body 110 inside the insertion groove 111, it is formed literally in the form of a pad. Bonding pad 210 forms a continuous bonding surface with the body 110 in the insertion groove 111 to absorb the ground reaction while bending or unfolding integrally with the midsole 100 during walking.

변형셀(220)은 그 표면에 연성접촉면(F2)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접합패드(210)로부터 지면반력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변형셀(220)은 다수로 구비되어, 각각 하중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육각 기둥형태를 형성한다. The deformation cell 220 is configured to form a flexible contact surface F2 on the surface thereof, and protrudes from the bonding pad 210 in a direction facing the ground reaction force. The deformable cells 220 are provided in plural and form hexagonal pillar shapes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load direction, respectively.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접촉면(F2)은 변형셀(220)이 지면과 형성하는 접촉면으로서, 표면접촉면(F2A) 및 경사접촉면(F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9 to 11,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is a contact surface formed by the deformation cell 220 with the ground, and includes a surface contact surface F2A and an inclined contact surface F2B.

상술한 바와 같이, 변형셀(220)은 그 표면에 연성접촉면(F2)을 형성한다. 즉, 변형셀(220)의 저면은 표면접촉면(F2A)을 형성하고, 변형셀(220)의 측면은 경사접촉면(F2B)을 형성하며, 변형셀(220)의 저면과 측면 사이에는 단차접촉면(F2C)을 형성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deformation cell 220 forms a flexible contact surface F2 on the surface thereof.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deformation cell 220 forms a surface contact surface F2A, the side surface of the deformation cell 220 forms an inclined contact surface F2B, and a stepped contact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deformation cell 220. F2C).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접촉면(F2A)은 지면반력의 작용방향과 수직한 변형셀(220)의 저면으로, 신발바닥(20)이 지면을 디딜 때 경사접촉면(F2B)과 단차접촉면(F2C)보다 지면에 먼저 접촉된다. 표면접촉면(F2A)은 육각형 평면을 형성한다. 표면접촉면(F2A)에는 육각형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surface contact surface F2A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deformation cell 220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ground reaction force, and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F2B when the shoe sole 20 treads the ground. It contacts the ground earlier than the step contact surface F2C. The surface contact surface F2A forms a hexagonal plane. A hexagonal groove may be formed in the surface contact surface F2A.

경사접촉면(F2B)은 변형셀(220)의 경사진 측면으로, 변형셀(220)의 압축 및 휨 변형시 지면에 밀착된다. 또한, 경사접촉면(F2B)은 지면의 돌출된 부분이 표면접촉면(F2A) 사이로 인입됨으로써 지면에 밀착될 수 있다.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F2B is an inclined side surface of the deformation cell 22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during compression and bending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cell 220. Also,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F2B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by protruding portions of the ground into the surface contact surface F2A.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변형셀(220) 각각은 그 표면에 입체적인 복수의 접촉면 즉, 표면접촉면(F2A) 및 경사접촉면(F2B)을 형성한다. 따라서 각각의 변형셀(220)은 워킹시 지면의 굴곡진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 및 각도로 압축 및 휨 변형하여 지면반력을 흡수하는 넓은 바닥면을 형성한다.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plurality of deformation cells 220 forms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contact surfaces, that is, surface contact surfaces F2A and inclined contact surfaces F2B, on the surface thereof. Therefore, each deformable cell 220 is compressed and flexurally deformed at different shapes and angles according to the curved shape of the ground to form a wide bottom surface to absorb ground reaction forc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접촉면(F2)에는, 확대접촉면(F1C)에 가해진 지면반력이 증가하는 과정에서 지면에 접촉하는 이격영역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1,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is provided with a spaced area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ground reaction force applied to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이격영역은 도면부호로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11(a) 및 도 11(b)와 같이, 워킹시 확대접촉면(F1C)이 지면에 접촉한 순간에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연성접촉면(F2)의 영역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도 10(a) 및 도 10(b)와 같이, 워킹시 확대접촉면(F1C)과 함께 지면에 접촉하는 연성접촉면(F2)은 이격영역에 포함되지 않는다. Although the spaced area is not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as shown in FIGS. 11A and 11B, the area of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when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contacts the ground during walking. It should be understood as indicating.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S. 10A and 10B,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contacting the ground together with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during walking is not included in the separation region.

분리홈(H)은 이격영역과 접한 위치에서 깊이가 감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110)에는 확대접촉면(F1C)과 보강접촉면(F1B) 및 기본접촉면(F1A) 사이에 분리홈(H)이 형성된다. 분리홈(H)이 형성되면, 몸체(110)는 보강접촉면(F1B) 위쪽보다 확대접촉면(F1C) 위쪽에서 휨 변형량이 커진다. 따라서 분리홈(H)의 깊이가 증가하면, 보강접촉면(F1B) 위쪽을 제외한 몸체(110)의 휨 변형량이 증가하게 된다. Separation groove (H) is reduced in depth in the contact with the separation area. 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ion groove H is formed in the body 110 between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the reinforcement contact surface F1B, and the basic contact surface F1A. When the separation groove H is formed, the body 110 has a greater amount of bending deformation at the upper side of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than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 F1B. Therefore, when the depth of the separation groove (H) increases, the amount of bending deformation of the body 110, except for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 (F1B) increases.

아웃솔(200)은 몸체(110)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아웃솔(200)의 경도는 45이고, 몸체(110)는 아웃솔(200)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다. The outsole 20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hardness than the body 110. The hardness of the outsole 200 is 45, and the body 110 has a higher hardness than the outsole 200.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보강접촉면(F1B)은 연성접촉면(F2)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각각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한 쌍의 기본접촉면(F1A)은 연성접촉면(F2)의 양측에서 보강접촉면(F1B)을 각각 연결하는 형태를 형성한다. 그리고 확대접촉면(F1C)은 연성접촉면(F2)과 기본접촉면(F1A) 및 보강접촉면(F1B) 사이에 개재된다. As shown in FIG. 8A, the pair of reinforcing contact surfaces F1B are disposed to surroun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respectively, and the pair of basic contact surfaces F1A are the flexible contact surfaces. Forms of connecting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s (F1B) on both sides of (F2), respectively.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is interposed between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and the basic contact surface F1A and the reinforcement contact surface F1B.

도 10 및 도 11은 신발바닥(20)의 바닥면이 지면과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는 도 8(a)의 B-B 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8(a)의 C-C 단면도이고, 도 11(a)는 도 8(a)의 D-D 단면도이고, 도 11(b)는 도 8(a)의 E-E 단면도이다. 10 and 11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2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FIG. 10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8 (a), FIG. 10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8 (a), and FIG. 11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b) is EE sectional drawing of FIG.

워킹시 신발바닥(20)은 발뒤꿈치부터 시작하여 발바닥 전체가 바닥에 고르게 닿는다. 워킹시 신발바닥(20)은 뒤쪽 바닥면을 시작으로 다리와 발목의 회전에 의해 앞쪽 바닥면이 바닥에 닿은 후 지면으로부터 떨어진다. When walking, the shoe sole 20 starts from the heel and evenly reaches the entire sole of the sole. When walking, the shoe sole 20 falls from the ground after the front bottom reaches the floor by the rotation of the legs and ankles, starting with the rear bottom.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20)은, 워킹시 신발(1) 뒤쪽의 보강접촉면(F1B)이 지면에 먼저 닿고 나서, 이격영역에서 보강접촉면(F1B)과 함께 확대접촉면(F1C)이 지면에 닿고(도 11(b) 참조), 그 다음엔 이격영역에서 기본접촉면(F1A)과 함께 확대접촉면(F1C)이 지면에 닿고(도 11(a) 참조) 나서, 도 11(b)와 도 11(a)의 순서대로 신발(1) 앞쪽의 보강접촉면(F1B), 확대접촉면(F1C) 및 연성접촉면(F2)이 지면에 닿게 된다. That is, in the shoe sole 20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 F1B at the rear of the shoe 1 first touches the ground when walking, and then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 F1B is separated from the space. Together,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touches the ground (see FIG. 11 (b)), and then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touches the ground with the basic contact surface F1A in the spaced apart region (see FIG. 11 (a)), 11 (b) and 11 (a),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 F1B,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and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on the front of the shoe 1 touch the ground.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도면부호 3은 착용자의 발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P는 워킹시 발에 의해 바닥면에 가해지는 힘(운동에너지)을 의미하고, 도면부호 R1은 지면으로부터 연성접촉면(F2)에 가해지는 지면반력을 의미하고, 도면부호 R2는 지면으로부터 양쪽 강성접촉면(F1)에 가해지는 지면반력을 의미하며, 도면부호 M은 미드솔(100)에 형성되는 모멘트를 의미한다. 10 and 11 denotes a foot of the wearer, P denotes a force (kinetic energy)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by the foot when walking, and R1 denotes a flexible contact surface (from the ground). F2) means the ground reaction force applied to, and the reference numeral R2 means the ground reaction force applied to both rigid contact surface (F1) from the ground, and the reference numeral M means a moment formed in the midsole (100).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영역에서는 강성접촉면(F1)이 지면에 닿는 순간 연성접촉면(F2)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즉, 몸체(110)는 R1이 형성되기 전까지 P와 R2에 의한 모멘트 M에 의해 휨 변형하면서 P를 지탱한다. R1은 몸체(110)의 압축 및 휨 변형이 진행하여 연성접촉면(F2)이 지면에 닿는 순간 지면으로부터 연성접촉면(F2)에 전달된다. As shown in FIG. 11 (b), in the separation area,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t the moment when the rigid contact surface F1 touches the ground. That is, the body 110 supports P while bending deformation by the moment M by P and R2 until R1 is formed. R1 is transmitted from the ground to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at the moment when the compression and bending deformation of the body 110 proceeds to contact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홈(H)은 이격영역과 접한 위치에서 깊이가 감소한다. 분리홈(H)의 깊이가 감소하면, 확대접촉면(F1C) 위에서 몸체(110)의 휨 변형량이 감소하고 몸체(110)의 압축 변형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격영역과 접한 위치에서 분리홈(H)의 깊이가 감소하면, 연성접촉면(F2)이 지면에 닿기 전까지 몸체(110)의 과도한 휨 변형이 억제된다. As shown in FIG. 11, the separation groove H decreases in depth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separation region. When the depth of the separation groove (H) is reduced, the amount of bending deformation of the body 110 on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F1C) is reduced and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body 110 is increased. Therefore, when the depth of the separation groove (H) in the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separation area is reduced, excessive bending deformation of the body 110 is suppressed until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touches the ground.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110)는 아웃솔(200)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다. 따라서 P가 연성접촉면(F2) 위에서 신발바닥(20)에 가해지더라도 R2의 합은 R1보다 크다. As described above, the body 110 has a higher hardness than the outsole 200. Therefore, even if P is applied to the shoe sole 20 on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F2, the sum of R2 is larger than R1.

몸체(110)는 P와 R1 및 R2에 의한 모멘트 M에 의해 휨 변형하면서 P를 지탱한다. 이때 아웃솔(200)은 삽입홈(111) 내에서 압축변형되면서 지면반력(R1)을 흡수하게 된다. 즉, 아웃솔(200)이 삽입홈(111) 내에서 압축변형되면서 지면반력(R1)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미드솔(100)은 지면으로부터 P를 지지하는 동시에 아웃솔(200)의 압축변형과 연동하여 휨 변형하며 지면반력(R2)을 흡수하게 된다. The body 110 supports P while flexurally deforming by moments M by P and R1 and R2. At this time, the outsole 200 absorbs the ground reaction force R1 while compressing the deformation in the insertion groove 111. That is, in the process of absorbing the ground reaction force R1 while the outsole 200 is compressively de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111, the midsole 100 supports P from the ground and in conjunction with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outsole 200. It flexes and deforms and absorbs ground reaction force (R2).

이때 몸체(110)보다 높은 경도의 재질로 형성된 보강체(120)는 몸체(110)의 휨 변형에 저항하여 몸체(110)의 압축변형을 유도한다. 즉, 몸체(110)는 보강체(120)의 구속력에 의해 휨 변형이 감소하는 대신 하중 방향(지면반력 방향)으로의 압축 변형이 증가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reinforcement body 120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hardness than the body 110 induces a compressive deformation of the body 110 to resist bending deformation of the body 110. That is, the body 110 increases the compressive deformation in the load direction (ground reaction force direction) instead of reducing the bending deformation due to the restraining force of the reinforcing body (120).

아웃솔(200)은 미드솔(100)보다 경도가 낮으므로 지면의 다양한 굴곡에 따라 변형하면서 지면과 넓은 밀착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다수의 변형셀(220)에는 압축 및 휨 변형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Since the outsole 200 has a lower hardness than the midsole 100, the outsole 200 deforms according to various bendings of the ground, thereby forming a wide contact surface with the ground. In this case, compression and bending deformation may simultaneously occur in the plurality of deformation cells 220.

상술한 미드솔(100)과 아웃솔(200)의 연동 탄성 변형에 의한 충격흡수는 트램펄린의 충격흡수와 동일한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트램펄린(trampoline)은 스프링이 연결되어 탄력 있는 그물망으로 구성된 기구로서, 틀, 안전판, 그물망 및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hock absorption due to the interlocking elastic deformation of the midsole 100 and the outsole 200 forms the same mechanism as the shock absorption of the trampoline. A trampoline is a mechanism consisting of a resilient mesh with a spring connected to it, which comprises a frame, a safety plate, a mesh and a spring.

틀(frame)은 스프링이 연결되어 그물망을 지탱하는 금속 몸체를 가리키고, 안전판(safety pad) 체조선수의 부상을 방지하고자 틀을 감싼 쿠션이 있는 매트를 가리킨다. 틀은 금속 구조물인 다리(leg)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지탱된다. The frame refers to a metal body on which the spring is connected to support the net, and a mat with a cushion wrapped around the frame to prevent injury to the safety pad gymnast. The frame is supported from the ground by a leg, a metal structure.

그물망(bed)은 흔히 나일론으로 제작하는 직물로 체조선수는 그물망 위에서 뛰어오르며 공중곡예와 같은 자유연기를 펼친다. 스프링(spring)은 그물망에 탄력을 주는 탄성 있는 금속 코일로서 트램펄린에는 대개 120개의 스프링이 있다. A bed is a fabric usually made of nylon. Gymnasts jump on the net and perform free acting, such as aerial acrobatics. A spring is an elastic metal coil that gives elasticity to the mesh. There are usually 120 springs in the trampoline.

즉, 본 발명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20)에서, 아웃솔(200)은 체조선수의 운동에너지가 직접 인가되는 그물망(bed)으로 작용하여 지면 굴곡에 따라 변형하면서 지면반력을 직접 흡수하고, 몸체(110)는 그물망의 운동에너지를 자체 탄성 변형에 의해 흡수하는 스프링(spring)으로 작용하여 아웃솔(200)의 압축변형과 연동한 휨 변형에 의해 지면반력을 흡수하며, 보강체(120)는 스프링이 연결되어 그물망을 지탱하는 틀(frame)로서 작용하여 몸체(110)의 과도한 휨 변형을 억제하게 된다. That is, in the shoe sole 20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sole 200 directly acts as a bed to which the kinetic energy of the gymnast is directly applied, and directly absorbs ground reaction force while deforming according to the ground curvature. The body 110 acts as a spring to absorb the kinetic energy of the mesh by its elastic deformation to absorb the ground reaction force by the bending de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outsole 200, the reinforcement body 120 is The spring is connected to act as a frame (bearing) for supporting the mesh to suppress excessive bending deformation of the body (110).

따라서 본 발명의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20)은, 등록특허공보 제1067892호의 신발 밑창보다 얇은 두께를 형성하더라도 더 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hoe sole 20 having the trampolin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bsorb a larger impact even if it forms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sole of the patent No. 1067892.

본 발명에 의하면, 변형셀이 삽입홈 내에서 압축변형되면서 지면반력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몸체는 아웃솔의 압축변형과 연동하여 휨 변형되면서 지면반력을 흡수하고, 보강체는 몸체의 휨 변형에 저항하여 몸체의 압축변형을 유도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형성하면서도 지면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분산흡수하는 한편, 워킹시 발의 구부러짐에 따라 밑창의 유연한 구부러짐이 가능하고, 지면 적응력과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는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absorbing the ground reaction while the deformation cell is compressively de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the body absorbs the ground reaction while bending de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outsole, the reinforcement resists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body By inducing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body, while absorbing the impact of the ground efficiently while forming a simple structure, the flexible bend of the sole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foot during walking, and the trampoline structure is made to improve the ground adaptability and grounding for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oe sole having and a shoe comprising the sam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not to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ified embodiments will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신발 2 : 갑피
10,20 : 신발바닥
100 : 미드솔 200 : 아웃솔
110 : 몸체 210 : 접합패드
111 : 삽입홈 220 : 변형셀
112 : 단차면 F2 : 연성접촉면
H : 분리홈 F2A : 표면접촉면
120 : 보강체 F2B : 경사접촉면
F1 : 강성접촉면 F2C : 단차접촉면
F1A : 기본접촉면
F1B : 보강접촉면
F1C : 확대접촉면
1: shoes 2: upper
10,20: Shoe sole
100: midsole 200: outsole
110: body 210: bonding pad
111: insertion groove 220: deformation cell
112: stepped surface F2: flexible contact surface
H: Separation groove F2A: Surface contact surface
120: reinforcing body F2B: inclined contact surface
F1: Rigid Contact Surface F2C: Step Contact Surface
F1A: basic contact surface
F1B: Reinforcement contact surface
F1C: Enlarged Contact Surface

Claims (6)

바닥면이 지면과 강성접촉면과 연성접촉면을 형성하는 신발바닥으로서,
상기 강성접촉면은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연성접촉면은 상기 강성접촉면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강성접촉면을 형성하고, 삽입홈이 형성된 미드솔; 및 상기 미드솔보다 경도(hardness)가 낮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연성접촉면을 형성하는 아웃솔을 포함하며,
상기 강성접촉면은, 상기 연성접촉면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각각 둘러싸는 한 쌍의 보강접촉면; 및 상기 보강접촉면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기본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미드솔은, 상기 기본접촉면 및 상기 기본접촉면보다 높은 단차면을 형성하고, 갑피가 결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보다 경도가 높고, 상기 단차면에 결합되어 상기 보강접촉면을 형성하는 보강체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솔은, 상기 미드솔과 연속적인 접합면을 형성하는 접합패드; 및 상기 접합패드로부터 지면반력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변형셀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셀이 상기 삽입홈 내에서 압축변형되면서 지면반력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는 상기 변형셀의 압축변형과 연동하여 휨 변형되면서 지면반력을 흡수하고, 상기 보강체는 상기 몸체의 휨 변형에 저항하여 상기 몸체의 압축변형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Shoe sole with bottom surface forming rigid contact surface and flexible contact surface,
The rigid contact surface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is surrounded by the rigid contact surface,
A midsole forming the rigid contact surface and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med therein; And an outsole having a lower hardness than the midsole and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o form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The rigid contact surface includes a pair of reinforcing contact surfaces surrounding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respectively; And a pair of basic contact surfaces respectively connecting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s,
The midsole has a body having a stepped surface higher than the basic contact surface and the basic contact surface, the upper is coupled; And a reinforcement having a higher hardness than the body and coupled to the step surface to form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
The outsole may include: a bonding pad forming a continuous bonding surface with the midsole; And a plurality of deformation cells protruding from the bonding pad in a direction facing ground reaction force.
In the process of absorbing the ground reaction force while the deformation cell is compressively de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the body absorbs ground reaction force by bending de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cell, the reinforcement is bending deformation of the body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nduces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body in response 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접촉면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접촉면 및 상기 기본접촉면과 상기 연성접촉면 사이에 개재되는 확대접촉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보강접촉면 및 상기 기본접촉면과 상기 확대접촉면 사이에 분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The method of claim 1,
The rigid contact surface further includes an enlarged contact surface formed in the body and interposed between the reinforcement contact surface and the basic contact surface and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The body of the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contact surface and the basic contact surface and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셀은 하중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육각 기둥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연성접촉면은,
상기 변형셀의 저면을 형성하고, 지면반력의 작용방향과 수직한 표면접촉면; 및
상기 변형셀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변형셀의 변형시 지면에 밀착되는 경사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The method of claim 1,
The deformation cell forms a hexagonal column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load direction,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A surface contact surface which forms a bottom surface of the deformation cell and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ground reaction force; And
A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deforming cell and including an inclined contact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he deforming cell is de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셀은 하중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기둥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연성접촉면은,
상기 변형셀의 저면을 형성하고, 지면반력의 작용방향과 수직한 표면접촉면;
상기 변형셀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변형셀의 변형시 지면에 밀착되는 경사접촉면; 및
상기 표면접촉면과 상기 경사접촉면을 계단형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단차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The method of claim 1,
The deformation cell forms a columnar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load direction,
The flexible contact surface,
A surface contact surface which forms a bottom surface of the deformation cell and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ground reaction force;
An inclined contact surface which forms a side surface of the deformation cell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he deformation cell is deformed; And
Shoe sole having a trampoli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tepped contact surface for connecting the surface contact surface and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in a step.
제1항의 신발바닥; 및
상기 신발바닥에 결합되는 갑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The sole of claim 1; And
Shoes comprising an upper coupled to the sole of the shoe.
KR1020180036801A 2018-03-29 2018-03-29 Bottom of shoe having trampoline structure and shoe having the same KR1020247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801A KR102024770B1 (en) 2018-03-29 2018-03-29 Bottom of shoe having trampoline structure and sho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801A KR102024770B1 (en) 2018-03-29 2018-03-29 Bottom of shoe having trampoline structure and sho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770B1 true KR102024770B1 (en) 2019-09-24

Family

ID=6806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801A KR102024770B1 (en) 2018-03-29 2018-03-29 Bottom of shoe having trampoline structure and sho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770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8003U (en) * 1983-09-28 1985-04-23 株式会社クラレ Shoe sole
KR950024262U (en) * 1994-02-25 1995-09-13 장인수 Golf shoe sole
JP2000198149A (en) * 1999-01-07 2000-07-18 Asahi Corp Injection molded sole of shoe and its manufacture
KR100770564B1 (en) * 2007-05-07 2007-10-26 (주) 디유티코리아 Construction of multi-elastic shoe insole
KR101047352B1 (en) 2010-12-07 2011-07-07 (주)지원에프알에스 Shoe sole with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resilience
KR101067892B1 (en) 2011-02-25 2011-09-27 김영호 Multiplex shock absorbing shoe-sole
KR101089139B1 (en) 2011-06-24 2011-12-05 배효용 Footwear sole
US20120036740A1 (en) * 2010-08-13 2012-02-16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traction elements
JP5844952B1 (en) * 2015-03-23 2016-01-20 株式会社アシックス Sole with improved grip performanc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8003U (en) * 1983-09-28 1985-04-23 株式会社クラレ Shoe sole
KR950024262U (en) * 1994-02-25 1995-09-13 장인수 Golf shoe sole
JP2000198149A (en) * 1999-01-07 2000-07-18 Asahi Corp Injection molded sole of shoe and its manufacture
KR100770564B1 (en) * 2007-05-07 2007-10-26 (주) 디유티코리아 Construction of multi-elastic shoe insole
US20120036740A1 (en) * 2010-08-13 2012-02-16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traction elements
KR101047352B1 (en) 2010-12-07 2011-07-07 (주)지원에프알에스 Shoe sole with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resilience
KR101067892B1 (en) 2011-02-25 2011-09-27 김영호 Multiplex shock absorbing shoe-sole
KR101089139B1 (en) 2011-06-24 2011-12-05 배효용 Footwear sole
JP5844952B1 (en) * 2015-03-23 2016-01-20 株式会社アシックス Sole with improved grip performance
US20180035754A1 (en) * 2015-03-23 2018-02-08 Asics Corporation Shoe sole with improved grip capac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7353B2 (en) Energy return sole
US6860034B2 (en) Energy return sole for footwear
EP2410886B1 (en) Shoe sole for increasing instability
US7484317B2 (en) Sole structure for a shoe
US6763611B1 (en) Footwear sole incorporating a lattice structure
US9125453B2 (en) Shoe outsole having tubes
US6487796B1 (en) Footwear with lateral stabilizing sole
CA2609635C (en) Sole structure for a shoe
KR100902651B1 (en) The shoes having a heel having the other elastic force and abrasion resistance
US8732984B2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KR20180127844A (en) Shoes soles
KR101047352B1 (en) Shoe sole with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resilience
KR101166466B1 (en) Durability shoes for absorbing sock
JP5298130B2 (en) Elastic sole having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resilience and shoes thereof
KR100872865B1 (en) Elastic shoes for cushioning against impact
KR101251572B1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a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KR102024770B1 (en) Bottom of shoe having trampoline structure and shoe having the same
KR101208487B1 (en) Shoes having device for aid of walking
KR20190114305A (en) Bottom of shoe having trampoline structure and shoe having the same
KR200412015Y1 (en) The sole of functional shoes
KR101452162B1 (en) Insole installed support pads shape body pressure distributed and reduction of foot fatigue
KR101088459B1 (en) Shoe sole with shock absorption and function of propulsion walking by multiple hardness
KR101451377B1 (en) Shoes having shock absorb function
KR101288036B1 (en) Customized shoe sole having multi-level cushion column
JP7115860B2 (en) Shoe sole shock absorbing member and shoe provided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