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507B1 -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507B1
KR102024507B1 KR1020190043547A KR20190043547A KR102024507B1 KR 102024507 B1 KR102024507 B1 KR 102024507B1 KR 1020190043547 A KR1020190043547 A KR 1020190043547A KR 20190043547 A KR20190043547 A KR 20190043547A KR 102024507 B1 KR102024507 B1 KR 102024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reservoir
water
pipe
aber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욱
Original Assignee
김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욱 filed Critical 김대욱
Priority to KR1020190043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6Stations or aggregates of water-storage type, e.g. comprising a turbine and a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03B11/004Valv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03B11/02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03B13/083The generator rotor being mounted as turbine rotor ri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10Purpose of the control system
    • F05B2270/107Purpose of the control system to cope with emerg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02E10/223
    • Y02E10/22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우수(雨水)를 활용한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를 저장하는 우수 저장고(400); 상기 우수 저장고(400)가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우수 저장고(400) 지지하는 우수 저장고 지지 구조물(500); 상기 우수 저장고(400)의 주변에 소정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내리는 빗물을 포집하여 상기 우수 저장고(400)로 전달하는 우수 수집 경사부(100); 상기 우수 수집 경사부(100)를 지지하는 우수 수집 경사부지지 구조물(200); 및 상기 우수 저장고(400)에 저장된 물을 낙하시켜 수차를 돌려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712)를 포함하되, 상기 우수 수집 경사부(100)는 상기 우수 저장고(400)를 향하여 경사져 있되, 일단이 상기 우수 저장고(400)에 연결되고, 우수 수집 경사부(100)의 타단에는 상기 우수 수집 경사부 지지 구조물(200)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Rainwater Electric Generator}
본 발명은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넓은영역에서 우수(雨水)를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전력 생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수차를 돌림으로써 전력을 생산하는 수력 발전은 화력 발전이나 원자력 발전 등과 비교하여 안전하며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는 전력 생산 방식으로서, 전기가 산업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한 초창기부터 이용되어왔다.
그렇지만 종래의 수력 발전은 댐을 건설하고, 댐에 의하여 저수된 물의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므로, 발전소 건설에 천문학적인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넓은 영역이 수몰되는 문제점이 있다.
수력 발전의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되, 건설 비용을 절감하고 수몰되는 영역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써,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빗물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고가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조물을 형성하고, 저장고에 저장된 물을 낙하시켜 수차를 돌림으로써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그렇지만, 종래에 제시된 방식에서는 단순히 물의 위치 에너지를 높이기 위해서 저장고를 소정 높이에 두기 위한 구조물을 형성하는데 그칠 뿐, 효율적으로 우수(雨水)를 수집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고민이 결여되어 있었다. 더 나아가, 저수고에 저장된 우수의 양에 따라서 효과적인 발전이 가능한 수차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는데, 종래에는 수차의 종류에 따른 발전 효율에 대해서 아무런 인식이 없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98578호 (공고일: 2011.12.26.)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5047호 (공개일; 2010.02.12.) 등록특허공보 제10-1338950호 (공고일; 2013.12.0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넓은 유역에서 우수를 수집하여 발전에 이용할 수 있는 우수의 양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수집된 우수가 햇볕에 의하여 증발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가급적 많은 양의 우수를 발전에 이용할 수 있는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저장고에 저장된 우수의 양에 따라, 수차의 방식을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최적의 발전 효율을 가져오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겨울철 결빙의 문제를 해결하여, 겨울철에도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우수(雨水)를 활용한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를 저장하는 우수 저장고(400); 상기 우수 저장고(400)가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우수 저장고(400) 지지하는 우수 저장고 지지 구조물(500); 상기 우수 저장고(400)의 주변에 소정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내리는 빗물을 포집하여 상기 우수 저장고(400)로 전달하는 우수 수집 경사부(100); 상기 우수 수집 경사부(100)를 지지하는 우수 수집 경사부지지 구조물(200); 및 상기 우수 저장고(400)에 저장된 물을 낙하시켜 수차를 돌려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712)를 포함하되, 상기 우수 수집 경사부(100)는 상기 우수 저장고(400)를 향하여 경사져 있되, 일단이 상기 우수 저장고(400)에 연결되고, 우수 수집 경사부(100)의 타단에는 상기 우수 수집 경사부 지지 구조물(200)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수 수집 경사부(100)는 복수 개의 사각 경사부 패널(101a)과, 복수 개의 삼각 경사부 패널(101b)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수 저장고(400) 상부에는 우수 저장고(400)에 저장된 우수가 햇볕에 의하여 증발하는 것을 막기 위한 우수 증발 방지 수단(3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우수 저장고(400)의 하부에는, 상기 우수 저장고(400)에 저장된 물을 낙하시키는 제1 낙수 배관(411) 및 제2 낙수 배관(431)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되, 상기 제1 낙수 배관(411)의 타단에는 반동형 수차(711)가, 그리고 상기 제2 낙수 배관(431)의 타단에는 충동형 수차(731)가 설치되고, 우수 저장고(400)에 저장된 우수의 양에 따라 상기 제1 낙수 배관(411)을 통하여 물을 낙하시켜 상기 반동형 수차(711)를 작동시키거나 혹은 제2 낙수 배관(431)을 통하여 물을 낙하시켜 충동형 수차(731)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낙수 배관(411) 및 상기 제2 낙수 배관(431)에는 각각 밸브(412,432)가 설치되어, 제1 낙수 배관(411)의 밸브(412)가 열려 있을 경우에는 제2 낙수 배관(431)의 밸브(432)는 닫혀 있고, 반대로 제2 낙수 배관(431)의 밸브(432)가 열려 있을 경우에는 제1 낙수 배관(411)의 밸브(412)는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반동형 수차(711) 또는 상기 충동형 수차(731)를 작동시키고 운동 에너지를 잃어버린 우수는 폐우수 배관(750)으로 흘러들어가되, 상기 폐우수 배관(750)을 따라 흐르는 우수는 우수의 수질에 따라 각각 다른 폐우수 저장고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상기 폐우수 배관(750)은 각각 분기관 밸브(771,772,773)가 설치된 다수의 폐우수 분기관(750)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폐우수 분기관들(750)의 타단은 각각 다른 폐우수 저장고(761,762,763)와 연결된다.
더 나아가, 상기 우수 저장고(400)에 저장된 물의 일부를 취수하여 따로 저장하는 보조 물탱크(910); 및 상기 보조 물탱크(91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온수기(9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온수기(920)를 통하여 가열된 물은, 우수 저장고용 온수 분사기(930)를 통하여 우수 저장고(400) 내에 분사되거나, 우수 수집 경사부용 온수 분사기(940)를 통하여 우수 수집 경사부(100)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를 통하여, 최소의 구조물로 넓은 유역의 우수를 수집함과 아울러, 수집된 우수를 손실 없이 보관할 수 있게 되어 발전에 이용할 수 있는 우수의 양을 극대화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에서는 충동형 수차와 반동형 수차를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저장고의 우수가 결빙되어 전력 생산이 불가능해지는 상황을 막아 겨울철에도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력 발전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 장치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우수 저장부와 우수 수집 경사부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우수 수집 경사부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판넬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우수 수집 저장부의 측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충동형 수차와 반동형 수차가 동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우수 저장고 지지 구조을 생략한 상태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발전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폐우수 저장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다른 발전 장치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결빙 예방 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활용한 발전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발전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도록 한다. 중앙에 위치하는 우수 저장고(400)를 중심으로, 우수 저장고(400) 주변에는 우수 수집 경사부(100)가 형성된다. 우수 수집 경사부(100)는 우수 저장고(400)를 향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패널 형태의 구조물로서, 바람직하게는 다수 개의 삼각 경사부 패널(101a)과 다수 개의 사각 경사부 패널(101b)의 조합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다. 우수 수집 경사부(100)는 우수를 수집할 수 있는 유역을 넓히기 위한 것으로서, 우수 수집 경사부(100)에 떨어지는 우수는 바로 우수 저장고(400)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큰 하중을 견딜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수 수집 경사부 패널(101a,101b)은 금속 또는 목재로 프레임(105)을 형성하고, 위 프레임 위에 방수포(106)를 감싸서 만든 패널을 이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우수 수집 경사부(100)는 경량의 방수 재질의 천으로만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 우수 저장고(400)는 우수 수집 경사부(100)를 통하여 넓은 유역에서 포집된 우수를 모아서 저장하게 되므로, 큰 하중을 받을 수 있는 구조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수 저장고(400)를 지지하는 우수 저장고 지지 구조물(500)은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많은 수의 빔이 사용되어 견고한 구조물로 형성되는 반면, 우수 수집 경사부(100)를 지지하는 우수 수집 경사부 지지 구조물(200)은 우수 수집 경사부(100)의 소정 영역, 바람직하게는 모서리 부분에서만 우수 수집 경사부(100)를 지지하게 되므로, 우수 수집 경사부(100)의 아래에는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많이 형성된다. 우수 수집 경사부 지지 구조물(200) 또는 우수 저장고 지지 구조물(500)은 일반적인 트러스 구조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수 저장고(400)의 상부에는 지붕 형태의 우수 증발 방지 수단(300)이 형성되어, 한 낮 햇볕에 의하여 우수 저장고(400)의 물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우수 저장고(400)의 하단에는 우수를 취수할 수 있는 홀들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홀들은 전력 생산에 사용될 물을 취수하기 위한 제1 낙수구(410) 및 제2 낙수구(430), 그리고 우수 저장고(400)에 저장된 물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수질검사용 취수구(420)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는 우수 저장고(400)의 하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우수 저장고(400)에 형성되 제1 낙수구(410) 및 제2 낙수구(430)는 각각 제1 낙수 배관(411) 및 제2 낙수 배관(431)과 연결된다. 제1 낙수 배관(411)과 제2 낙수 배관(431)에는 밸브(432,412)가 형성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낙수 배관(411) 또는 제2 낙수 배관(431)을 통하여 물을 흘려보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낙수 배관(411)은 반동형 수차(711)와 연결되고, 제2 낙수 배관(431)은 충동형 수차(731)와 연결된다. 그리고, 반동형 수차(711)와 충동형 수차(731)는 각각 발전기(712)와 연결되어 수차의 회전에 의하여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여기서 충동형 수차(731)는 우수를 노즐로부터 분출시켜서 우수의 위치 에너지를 전부 운동 에너지로 바꾸는 수차로서, 펠톤 수차(Pelton Turbine)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반동형 수차(711)는 우수의 위치 에너지를 압력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것을 런너에 유입시켜 빠져나갈 때의 반작용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수차로서, 프란시스 수차(Fransis Turbine), 카플란 수차(Kaplan Turbine)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충동형 수차(731)가 저유량에 적합하고, 반동형 수차(711)는 고유량에 적합하므로, 우수 저장고(400)에 저장된 우수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밸브(432)는 잠그고 밸브(412)를 열어서 제1 낙수 배관(411)을 통하여 우수를 반동형 수차(711)로 공급하게 된다(최대 저장량의 70% 이상). 반면 우수 저장고(400)에 저장된 우수의 양이 적을 경우(최대 저장량의 70% 미만)에는 밸브(412)는 잠그고 밸브(432)를 열어서 제2 낙수 배관(431)을 통하여 우수를 충동형 수차(731)로 공급하게 된다. 제1 낙수 배관(411)의 직경은 제2 낙수 배관(4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동형 수차(731) 또는 반동형 수차(711)를 작동시키고 위치 에너지를 잃어버린 우수는 폐우수 배관(750)을 통하여 흐르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폐우수 배관(750)을 흐르는 우수는 폐우수 저장부(760)에 저장된다. 도 8은 폐우수 저장부(76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폐우수 배관(750)은 다수 개의 폐우수 분기관(750)으로 분기되고, 각각의 폐우수 분기관(750)에는 분기관 밸브(711,772,773)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분기관(750)으로 분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분기되는 개수는 필요에 따라서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다.
분기관 밸브(711,772,773)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열리고 닫히게 되어, 폐우수 배관(750)을 흐르는 우수가 필요에 따라 제1 폐우수 저장고(761), 제2 폐우수 저장고(762), 그리고 제3 폐우수 저장고(763) 중 하나에 모이게 된다. 제1 폐우수 저장고(761), 제2 폐우수 저장고(762), 그리고 제3 폐우수 저장고(763)는 각각 우수의 수질에 따라 분리된 우수를 저장하게 되는데, 우수는 수질에 따라 상급수(생활용수로 이용 가능), 중급수(농업용수로 이용 가능), 하급수(공업 용수로 이용 가능)로 분류된다.
우수 저장고(400)에 담겨 있는 우수의 수질은 수질 검사용 취수구(420)를 통하여 수질검사용 취수통(421)에 모아진 우수를 검사하게 된다. 수질은 주로 수질 오염 물질의 포함 정도,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용존산소, 수소이온농도, 색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수질에 따라 분리되어 수집된 우수는 취수구(781,782,783)를 통하여 물탱크 또는 물 운반용 차량에 적재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우수 수집 경사부(100)는 큰 하중을 받지 아니하므로, 그 하부 공간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9에서는 우수를 저장한 다수의 보관용 우수탱크(800)가 우수 수집 경사부(100)의 하부 공간에 적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더 나아가,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우수 저장고(400)와 우수 수집 경사부(100)에 결빙 예방 수단(900)이 구비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결빙 예방 수단(900)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우수 저장고(400)에서 우수의 일부를 취소하여 보조 물탱크(910)에 저장하게 된다. 우수 저장고(400)의 물이 얼더라도 보조 물탱크(910)의 물은 얼지 않도록하기 위하여 단열 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 물탱크(910) 주위에 열선을 설치할 수 있다.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서 우수 저장고(400)에 저장된 우수가 얼게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보조 물탱크(910)에 저장된 물을 온수기(920)로 가열하고, 가열된 물을 우수 저장고용 온수 분사기(930)를 통하여 우수 저장고(400)에 뿌려서 우수 저장고(400) 내의 물이 얼어서 발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막게 된다.
더 아나가, 우수 수집 경사부(100)에 눈이 많이 쌓이게 될 경우, 우수 수집 경사부(100)의 구조물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온수 분사기(930)를 통하여 가열된 물을 우수 수집 경사부용 온수 분사기(940)를 통하여 분사함으로써, 우수 수집 경사부(100)에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우수 수집 경사부
101a: 사각 경사부 패널
101b: 삼각 경사부 패널
200: 우수 수집 경사부 지지 구조물
300: 우수 증발 방지 수단
400: 우수 저장고
410: 제1 낙수구
420: 수질검사용 취수구
430: 제2 낙수구
412, 422, 432: 밸브
411; 제1 낙수 배관
421: 수질 검사용 취수통
431: 제2 낙수 배관
500: 우수 저장고 지지 구조물
731: 충동형 수차
711: 반동형 수차
712, 732: 발전기
750: 폐우수 배관
750: 폐우수 분기관
771,772,773: 분기관 밸브
760: 폐우수 저장부
761: 제1 폐우수 저장고
762: 제2 폐우수 저장고
763: 제3 폐우수 저장고
781,782,783: 취수구
800: 보관용 우수탱크
900: 결빙 예방 수단
910: 보조 물탱크
920: 온수기
930: 우수 저장고용 온수 분사기
940: 우수 수집 경사부용 온수 분사기

Claims (8)

  1. 우수(雨水)를 활용한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를 저장하는 우수 저장고(400);
    상기 우수 저장고(400)가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우수 저장고(400) 지지하는 우수 저장고 지지 구조물(500);
    상기 우수 저장고(400)의 주변에 소정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내리는 빗물을 포집하여 상기 우수 저장고(400)로 전달하는 우수 수집 경사부(100);
    상기 우수 수집 경사부(100)를 지지하는 우수 수집 경사부지지 구조물(200); 및
    상기 우수 저장고(400)에 저장된 물을 낙하시켜 수차를 돌려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712)를 포함하되,
    상기 우수 수집 경사부(100)는 상기 우수 저장고(400)를 향하여 경사져 있되, 일단이 상기 우수 저장고(400)에 연결되고, 우수 수집 경사부(100)의 타단에는 상기 우수 수집 경사부 지지 구조물(200)이 결합되며,
    상기 우수 수집 경사부는 복수 개의 사각 경사부 패널(101a)과, 복수 개의 삼각 경사부 패널(101b)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수 저장고(400) 상부에는 우수 저장고(400)에 저장된 우수가 햇볕에 의하여 증발하는 것을 막기 위한 우수 증발 방지 수단(3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수 저장고(400)의 하부에는, 상기 우수 저장고(400)에 저장된 물을 낙하시키는 제1 낙수 배관(411) 및 제2 낙수 배관(431)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되,
    상기 제1 낙수 배관(411)의 타단에는 반동형 수차(711)가, 그리고 상기 제2 낙수 배관(431)의 타단에는 충동형 수차(731)가 설치되고,
    우수 저장고(400)에 저장된 우수의 양에 따라 상기 제1 낙수 배관(411)을 통하여 물을 낙하시켜 상기 반동형 수차(711)를 작동시키거나 혹은 제2 낙수 배관(431)을 통하여 물을 낙하시켜 충동형 수차(731)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낙수 배관(411) 및 상기 제2 낙수 배관(431)에는 각각 밸브(412,432)가 설치되어, 제1 낙수 배관(411)의 밸브(412)가 열려 있을 경우에는 제2 낙수 배관(431)의 밸브(432)는 닫혀 있고, 반대로 제2 낙수 배관(431)의 밸브(432)가 열려 있을 경우에는 제1 낙수 배관(411)의 밸브(412)는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반동형 수차(711) 또는 상기 충동형 수차(731)를 작동시키고 운동 에너지를 잃어버린 우수는 폐우수 배관(750)으로 흘러들어가되,
    상기 폐우수 배관(750)을 따라 흐르는 우수는 우수의 수질에 따라 각각 다른 폐우수 저장고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폐우수 배관(750)은 각각 분기관 밸브(771,772,773)가 설치된 다수의 폐우수 분기관(750)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폐우수 분기관들(750)의 타단은 각각 다른 폐우수 저장고(761,762,763)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
  8. 청구항 1, 그리고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 저장고(400)에 저장된 물의 일부를 취수하여 따로 저장하는 보조 물탱크(910); 및 상기 보조 물탱크(91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온수기(9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온수기(920)를 통하여 가열된 물은, 우수 저장고용 온수 분사기(930)를 통하여 우수 저장고(400) 내에 분사되거나, 우수 수집 경사부용 온수 분사기(940)를 통하여 우수 수집 경사부(100)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
KR1020190043547A 2019-04-15 2019-04-15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 KR102024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547A KR102024507B1 (ko) 2019-04-15 2019-04-15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547A KR102024507B1 (ko) 2019-04-15 2019-04-15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507B1 true KR102024507B1 (ko) 2019-09-23

Family

ID=6806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547A KR102024507B1 (ko) 2019-04-15 2019-04-15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5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5047A (ko) 2008-08-04 2010-02-12 김상훈 빗물 발전기
KR20100094877A (ko) * 2009-02-19 2010-08-27 박재홍 빗물과 지열을 이용한 물과 에너지절약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098578B1 (ko) 2009-06-26 2011-12-26 김현재 발전장치
KR200464350Y1 (ko) * 2012-08-20 2013-01-02 대명Pmc(주) 집수 발전장치
KR101338950B1 (ko) 2011-12-28 2013-12-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보완 우수활용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5047A (ko) 2008-08-04 2010-02-12 김상훈 빗물 발전기
KR20100094877A (ko) * 2009-02-19 2010-08-27 박재홍 빗물과 지열을 이용한 물과 에너지절약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098578B1 (ko) 2009-06-26 2011-12-26 김현재 발전장치
KR101338950B1 (ko) 2011-12-28 2013-12-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보완 우수활용 발전장치
KR200464350Y1 (ko) * 2012-08-20 2013-01-02 대명Pmc(주) 집수 발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1121B1 (fr) Procédé et installation de production d'énergie électrique d'appoint
US73486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fresh water and generating electricity by collected rainwater
US5675938A (en) Desert envitalization system with variable volume pneumatic polydome enclosure
US20210197934A1 (en) Tracking-typ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US5160214A (en) Irrigation system and irrigation method
EA022605B1 (ru) Система камер ячеистой структуры для хранения сжатого газа
US8393553B2 (en) Floating ice sheet based renewable thermal energy harvesting system
DE102005020257A1 (de) Wind-Wasserkraftanlage zur Erzeugung elektrischer Energie
KR102024507B1 (ko) 우수를 활용한 발전 장치
KR20190090128A (ko) 우수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WO2009093256A1 (en) Hydro-power mechanism
CN115520925A (zh) 基于蓄能发电的近乎零耗能的海水淡化方法及系统
KR102464775B1 (ko) 용수공급을 위한 태양광 및 풍력발전장치
WO2012007705A1 (en) Phase change turbine incorporating carrier fluid
CN104204359B (zh) 高空空气水力发电站
US201301997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large energy storage mass using renewable energy
RU2344354C1 (ru) Гелиотепло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водного базирования для гелиотеплоэлектростанций
RU2200915C2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мощных гелиоэнергоустановок
CN210195932U (zh) 基于下沉气流的发电装置
CN208669033U (zh) 一种绿植拼装式立体停车棚
RU2182288C1 (ru) Гелиоустановка
JP2009074794A (ja) ヒートアイランド防止システム
FI127129B (fi) Monitoimivoimala
RU2344353C1 (ru) Гелиотепло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с текучим теплоносителем для гелиотеплоэлектростанций
DE19648322A1 (de) Schwimmdock mit biologischer Meerwasserentsalzungsanl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