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316B1 - 에너지절감을 위한 저전력 고효율의 부화장 - Google Patents

에너지절감을 위한 저전력 고효율의 부화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316B1
KR102024316B1 KR1020190047460A KR20190047460A KR102024316B1 KR 102024316 B1 KR102024316 B1 KR 102024316B1 KR 1020190047460 A KR1020190047460 A KR 1020190047460A KR 20190047460 A KR20190047460 A KR 20190047460A KR 102024316 B1 KR102024316 B1 KR 102024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hatchery
temperatur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석인
Original Assignee
서석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석인 filed Critical 서석인
Priority to KR1020190047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316B1/ko
Priority to CN202080006456.2A priority patent/CN113163735B/zh
Priority to PCT/KR2020/005003 priority patent/WO20202187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2Heating arrangements
    • A01K41/023Devices for regulating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2Heating arrangements
    • A01K41/026Heating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4Controlling humidity in incub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50Livestock or poultry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부화장이 개시된다. 부화장은 부화장 내외부의 다양한 상태정보를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부, 내부에 온수 또는 냉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물저장부, 복수개의 알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부화부, 부화부에서 배출되는 배기의 공기열을 회수하여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기열회수부,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부화부로 보내도록 구성되는 제1펌프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부화부 내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물저장부에서 온수 또는 냉수가 상기 부화부로 제공되도록 상기 제1펌프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을 사용하여 물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는 보일러와 칠러가 사용되지 않거나 사용되는 개수가 줄어들어 오랜 기간 부화장을 가동하더라도 소모비용의 부담이 덜어진다.

Description

에너지절감을 위한 저전력 고효율의 부화장{Low Power High Efficient Hatchery for sabving energy}
본 발명은 부화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버려지는 배기와 순환수로부터 열을 회수하고 재활용함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킨 저전력 고효율의 부화장에 관한 것이다.
부화장은 알을 키워 병아리를 생산하는 장소를 의미한다. 알은 부화기 내부에서 키워져 병아리로 나오게 되는데 부화과정 전체가 살아있는 생명체이므로 부화장은 최적의 온도와 습도를 알에게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화장에서는 알이 하루에도 수만에서 수십만개씩 투입되며 일정한 과정을 거쳐 병아리로 생산된다. 부화장은 알들이 제대로 자라나고 부화하기 위한 조건을 맞추어 준다. 조건은 예컨대 신선한 공기, 온도와 습도 등을 포함한다. 부화장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알들이 죽는다.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제대로 부화하지 못하거나 기형의 병아리가 태어난다. 습도가 맞지 않는 경우에도 알 폐기율이 높아진다. 이에, 전문 부화장의 경우 대형화된 부화시설을 갖추고 부화기에 필요한 조건을 맞추어 공급한다.
종래에는 이런 수십만개의 알에 알맞은 조건을 맞추어 주기 위해 전기를 사용하여 주변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기 위한 보일러(boiler)와 칠러(chiller)를 이용해왔다. 그러나 이런 보일러와 칠러는 전력효율이 높지 않다. 이에 따라 보일러와 칠러를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되면 전기요금이 많이 부과되어 농가의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사용된 에너지는 버려지고, 버려진 만큼 새로 열과 냉기를 생성하여 공급해야 하므로 생산성을 떨어뜨리며 효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수십만개의 알이 여러 개의 랙(rack)에 위치하여 있을 때 각 랙마다 필요로 하는 온습도 조건이 다를 수 있다. 종래기술의 경우 랙마다 필요로 하는 온습도 조건을 맞추지 못해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축산농가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하여 폐기율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17-0046884 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기와 순환수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사용함으로써 전력 효율을 극대화하고, 부화장에 마련된 복수개의 랙마다 필요한 온습도 조건을 파악하고, 적절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하여 폐기율을 줄인 저전력 고효율의 부화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화장에 있어서, 상기 부화장 내외부의 다양한 상태정보를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부; 내부에 온수 또는 냉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물저장부; 복수개의 알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부화부; 상기 부화부에서 배출되는 배기의 공기열을 회수하여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기열회수부;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부화부로 보내도록 구성되는 제1펌프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부화부 내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물저장부에서 온수 또는 냉수가 상기 부화부로 제공되도록 상기 제1펌프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부화장이 제공된다.
상기 부화부는 물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부화부 내부에서 물이 순환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제1물순환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화부로 외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기에 습도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습부가 마련되는 공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부화장 내부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습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공조기로 제공하기 위한 제2펌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기는 상기 물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순환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제2물순환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외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물저장부에서 온수 또는 냉수가 상기 제2물순환통로로 제공하도록 상기 제2펌프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저장부 및 상기 부화부와 연결되며, 상기 부화부에서 배출되는 물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상기 물저장부로 전달하도록 수열회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저장부, 상기 부화부 및 상기 수열회수부는 물의 흐르는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밸브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부화부에서 배출되는 물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부화부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물저장부 또는 상기 수열회수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밸브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부화장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 상기 공기열 회수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배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부는
배기통로; 상기 배출구 상측에 상기 배출구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 마련되며, 상기 부화장에서 배출되는 배기가 상기 배기통로로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배기인입부; 외기가 상기 배기통로로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외기인입부; 및 선택적으로 상기 배기인입부와 상기 외기인입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부화장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화장 내부의 온도가 제1온도를 초과할 때 상기 차단부가 상기 배기인입부를 개방하고 상기 외기인입부를 폐쇄하며, 상기 제1온도보다 낮은 상기 제2온도를 초과할 때 상기 차단부가 상기 배기인입부를 일부 개방하고 상기 외기인입부를 일부개방하고, 상기 제2온도 미만일 때 상기 차단부가 상기 배기인입부를 폐쇄하고, 상기 외기인입부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인입부는 상기 배기인입부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부화장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길이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부화장 내외부의 온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온습도 지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을 사용하여 물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는 보일러와 칠러가 사용되지 않거나 사용되는 개수가 줄어들어 오랜 기간 부화장을 가동하더라도 소모비용의 부담이 덜어진다.
나아가, 랙마다 필요한 온습도 조건을 맞춰줌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폐기되는 계란의 수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매출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장을 도시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장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장 시스템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장 시스템의 물 순환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장 시스템의 공기 순환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가 적용된 부화장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장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장(30)은 오리나 닭의 알에 적절한 조건을 만족시켜 부화시키는 장소를 제공한다. 부화장(30)에는 복수개의 부화부(300)가 마련된다. 각 부화부(300)에는 달걀을 수용하기 위한 랙이 마련된다.
부화장(30)의 상부에는 부화장(3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301)가 마련된다.
부화장(30)으로는 온수, 냉수 및 신선한 외기가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된 온냉수와 외기는 부화부(300)로 전달된다. 각 부화부(300)는 내부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온수 또는 냉수를 외부로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화부(300)에는 통신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화장 시스템은 이러한 부화장(30)에 도입되기 위한 것으로서, 부화장(30)에서 부화되는 알에게 요구되는 온습도 등 다양한 조건을 보다 효율적으로 맞추기 위해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장 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장 시스템(1)은 부화장(30)내부의 부화부(300) 내부의 온습도를 유지하고, 알들이 정상적으로 부화되기 위해 구성된다.
부화장 시스템(1)은 부화장(30), 제어부(100), 물저장부(107), 열회수부(105), 공조기(102), 배기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부화장(30)은 알을 부화하기 위한 시설이다. 부화장(30)은 내부에 알의 부화를 위해 알맞은 조건을 갖추도록 구성된다. 부화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화부(300), 각 부화부(300)를 연결하는 통로(320) 및 부화장(3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301)를 포함한다.
부화부(300)는 부화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알을 수용한다. 부화부(300)는 알의 부화에 필요한 온습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부화부(300)는 제어부(1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부화부(300)는 물저장부(107) 및 공조기(102)가 온습도 유지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제어부(100)에 요청할 수 있다.
부화부(300)는 부화장 내부에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부화부(300)는 랙(311), 제1물순환통로(310), 팬(313), 외기인입구(315), 내기배출구(317)를 포함한다.
랙(311)은 복수개의 알을 정렬하여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물순환통로(310)는 물저장부(107)로부터 전달된 물이 부화부(300) 내부에서 흐르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제1물순환통로(310)는 온수가 흐르기 위한 제1온수코일(310a)과 냉수가 흐르기 위한 제1냉수코일(3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물순환통로(310)를 순환하는 온수는 열을 발산하여 부화부(300) 내부의 온도를 올리고, 냉수는 열을 흡수하여 부화부(300) 내부의 온도를 내리도록 구성된다. 제1온수코일(310a)을 거친 온수는 수열회수부(105b)를 거치지 않고 물저장부(107)의 온수탱크(107a)로 바로 전달된다. 냉수가 제1냉수코일(310b)을 거치게 되면 부화부(300)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승한 온도의 물을 다시 식히기 위해 칠러를 사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제1냉수코일(310b)을 거쳐 온도가 상승된 물이 수열회수부(105b)로 전달되도록 배관이 연결된다. 수열회수부(105b)는 온도가 상승된 물의 열을 회수하여 온수탱크(107a)로 전달한다. 제1냉수코일(310b)을 거친 물의 온도가 소정 온도가 되지 않았다면 밸브부(106)를 거쳐 바로 물저장부(107)의 냉수탱크(107b)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물순환통로(310) 제1냉수코일(310b) 출구단의 물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센서에서 측정된 물온도에 기초하여 제1냉수코일(310b)에서 배출되는 물이 수열회수부(105b) 또는 냉수탱크(107b)로 전달되도록 밸브부(10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팬(313)은 랙(311) 향하는 방향으로 바람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팬(313)은 부화부(30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팬(313)은 제1물순환통로(310)와 랙(3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팬(313)이 동작함에 따라 제1물순환통로(310)를 순환하는 물의 열 또는 냉기를 부화부(300) 내부로 효율적으로 전파할 수 있다.
외기인입구(315)는 통로(320)로부터 신선한 외기가 인입되는 통로이다.
내기배출구(317)는 부화부(3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이다.
통로(320)는 복수개의 부화부(300)들과 외기인입구(315)를 통해 연결된다. 통로(320)로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인입되며, 이는 각 부화부(300)로 외기인입구(315)를 통해 전달된다.
배출구(301)는 부화장(3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배출구(301)에는 배출팬(3010)이 마련될 수 있다. 배출팬(3010)은 내부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물저장부(107)는 물을 저장하고, 이를 부화장(30)과 공조기(102)로 제공한다. 물저장부(107)는 온수탱크(107a)와 냉수탱크(107b)를 포함한다. 온수탱크(107a)와 냉수탱크(107b)는 서로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물저장부(107)의 온수탱크(107a)와 냉수탱크(107b)는 다양한 온도의 물을 나누어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물저장부(107)는 부화부(300) 내부의 온도를 급격히 올리거나 내려야할 필요가 있을 때 가장 높은 온도의 온수 또는 가장 낮은 온도의 냉수를 부화부(300)로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부화장(30) 및 부화부(300) 내외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어떤 온도의 물을 사용할지 분석하고, 적절한 온도의 물을 공급하기 위하 물저장부(107)와 펌프부(109)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물저장부(107)에 저장된 물은 펌프부(109)의 동작에 의해 부화부(300)의 제1물순환통로(310) 또는 공조기(102)의 제2물순환통로(1021)로 제공된다. 펌프부(109)는 제1물순환통로(310)와 연결된 제1펌프부(109a) 제2물순환통로(1021)와 연결된 제2펌프부(109b)를 포함한다. 펌프부(109)의 동작은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냉수탱크(107b)는 제1물순환통로(310) 및 제2물순환통로(1021)로부터 전달된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냉수탱크(107b)로는 수열회수부(105b)로부터 열이 흡수된 냉수가 전달된다. 냉수탱크(107b), 수열회수부(105b), 제1물순환통로(310) 및 제2물순환통로(1021)는 밸브부(106)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1물순환통로(310) 및 제2물순환통로(1021)로부터 출수된 물의 온도에 따라 밸브부(10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00)는 물의 온도가 소정 레벨 이상이면 수열회수부(105b)로 물이 전달되도록 밸브부(106)를 제어하고, 물의 온도가 소정 레벨 이하이면 바로 냉수탱크(107b)로 물이 전달되도록 밸브부(106)를 제어할 수 있다.
열회수부(105)는 물 또는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온수탱크(107a)로 전달한다. 열회수부(105)는 배출구(30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서 열을 회수하는 공기열회수부(105a)와 순환되는 물에서 열을 회수하는 수열회수부(105b)를 포함한다. 공기열회수부(105a)와 수열회수부(105b)는 그 효율이 일반 보일러 또는 칠러의 2.5배가 된다. 이를 위해 열회수부(105)는 히트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펌프는 냉매의 발열 또는 응축열을 이용해 고온의 열원을 저온으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히트펌프는 부화장(30)의 배출구(301)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의 열을 흡수하거나 부화장(30)의 제1물순환통로(310)를 통과한 순환수의 열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히트펌프는 흡수한 열을 온수탱크(107a)로 전달한다. 열이 흡수된 순환수는 냉수탱크(107b)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 열회수부(105)는 배출구(301), 물저장부(107)와 배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공조기(102)는 실내의 공기를 외부의 새 공기로 환기시켜주도록 구성된다. 공조기(102)는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서 통로(320)로 공급한다. 공조기는 공기를 정화, 냉각, 감습, 가열, 가습을 하기 위해 구성된다. 공조기는 공조 방식에 따라 중앙식 공조기, 공장조립형 공조기, 멀티존 공조기 등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102)는 내부에 제2물순환통로(10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물순환통로(1021)는 물저장부(107)로부터 공급된 물이 흐르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제2물순환통로(1021)는 온수가 흐르기 위한 제2온수코일(1021a)과 냉수가 흐르기 위한 제2냉수코일(1021b)을 포함한다. 부화부(300)로 공급되는 외기의 온도가 지나치게 차갑거나 뜨거울 때 제어부(100)는 물저장부(107)와 제2펌프부(109b)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2물순환통로(1021)로 온수 또는 냉수가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물순환통로(1021)를 거친 물은 다시 물저장부(107)로 전달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물순환통로(1021)의 제2냉수코일(1021b)을 거친 물의 온도가 소정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수열회수부(105b)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물순환통로(1021) 또한 밸브부(106) 및 수열회수부(105b)와 연결될 수 있다.
공조기(102) 내부에는 가습부(102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습부(1020)는 소정의 물을 저장하고 있다가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물을 무화하거나 미립화하여 통로(320)로 공급되는 공기에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되는 물은 물저장부(107)로부터 전달받을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부화부(300) 내부의 습도가 떨어졌다고 판단되면 가습부(10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배기부(104)는 배출구(301)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와 외기를 공기열회수부(105a)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배기부(104)는 배기인입부(1041), 외기인입부(1042), 차단부(1043), 배기통로(104)를 포함한다.
배기인입부(1041)는 배출구(301)에서 배출되는 배기를 인입하여 배기통로(104)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배기인입부(1041)는 배출구(301)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배기인입부(1041)는 슬라이딩 형태로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기인입부(1041)에는 배기인입부(1041)의 길이를 상하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길이조절부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는 배기인입부(1041)가 적절한 길이를 갖도록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는 롤러와 롤러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부화장(30) 내부의 온도에 따라 길이조절부를 제어하여 배기인입부(1041)가 적당한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부화장(30) 내부의 온도가 소정 온도를 초과하여 올라갈 때 배기인입부(1041)의 길이를 늘리고, 부화장(30) 내부의 온도가 소정 온도 미만으로 내려갈 때 배기인입부(1041)의 길이를 줄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기인입부(1042)는 외기를 인입하여 배기통로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배기인입부(1041)와 외기인입부(1042)에는 각각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1043)가 마련될 수 있다. 차단부(1043)는 댐퍼(damper)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부화장(30)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차단부(104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00)는 부화장(30) 내부의 온도가 제1레벨일 때 배기인입부(1041)를 개방하고, 외기인입부(1042)를 폐쇄한다. 제어부(100)는 부화장(30) 내부의 온도가 제1레벨보다 낮은 제2레벨일 때 배기인입부(1041)를 반정도 개방하고, 외기인입부(1042)를 반정도 개방한다. 제어부(100)는 부화장(30) 내부의 온도가 제2레벨보다 낮은 제3레벨일 때 배기인입부(1041)를 폐쇄하고, 외기인입부(1042)를 개방한다.
제어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부화장 시스템(1)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100)는 제어서버일 수도 있다. 제어부(100)에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제어부(100)의 제조 시에 제어부(1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제어부(100)로 다운로드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는 외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부화장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00)는 하나의 장치인 것처럼 도시되나 각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들의 집합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00)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장 시스템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화장 시스템(1)은 센서부(101), 공조기(102), 차단부(1043), 열회수부(105), 밸브부(106), 물저장부(107), 펌프부(109)를 포함한다. 본 도면에서는 제어부(100)가 제어하는 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시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부화장 시스템(1)에서 제외하고자 함이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00)는 센서부(101)로부터 전달되는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구성을 제어한다.
센서부(101)는 부화장(30) 내외부 온습도, 각 부화부(300)의 내외부 온습도, 부화부(300)의 각 랙(311)별 온습도, 제1물순환통로(310) 및/또는 제2물순환통로(1021)를 흐르고 배출되는 물의 온도,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 배기통로를 흐르는 공기의 온도, 통로(320)의 온습도 등 다양한 정보를 센싱하도록 구성된다. 센서부(101)는 이들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센서의 집합을 의미한다.
제어부(100)는 센서부(101)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부화부(300)의 온습도를 적절한 온도로 맞추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어부(100)는 부화부(300) 내부의 온도를 올리기 위해서 물저장부(107)에서 온수를 제1물순환통로(310)로 제공하도록 물저장부(107)와 제1펌프부(109a)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로(320)로 제공될 외기의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온수가 제2물순환통로(1021)로 제공되도록 물저장부(107)와 제2펌프부(109b)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부화부(300) 내부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배출구(301)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를 더 많이 흡입하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100)는 배기부(104)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차단부(1043)와 배기인입부(1041)의 길이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부화부(300) 내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물저장부(107)에서 냉수를 제1물순환통로(310)로 제공하도록 물저장부(107)와 제1펌프부(109a)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외기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냉수가 제2물순환통로(1021)로 제공되도록 물저장부(107)와 제2펌프부(109b)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내부의 온도가 소정 레벨 이하가 되면 배출구(301)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를 적게 흡입하기 위해 배기부(104)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차단부(1043)와 배기인입부(1041)의 길이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냉수는 제1냉수코일(310b)을 따라 흐르며 부화부(300) 내부의 열기를 뺏는다. 제1냉수코일(310b)에서 배출되는 냉수의 온도는 인입될때보다 다소 상승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제1냉수코일(310b)을 통과한 물이 열회수부(105)로 전달되도록 밸브부(106)의 동작을 제어한다. 열회수부(105)는 제1냉수코일(310b)에서 배출된 온도가 상승된 물의 열과 배출구(301)를 통해 배출된 배기의 열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00)는 부화부(300) 내부의 습도가 낮다고 판단되면 부화부(300) 또는 통로(320) 내부로 무화 또는 미립화된 물이 전달되도록 가습부(10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01)는 각 부화부(300)마다 부화부(300)의 각 랙(311)마다 또는 부화부(300)의 소정 지역마다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센서부(101)를 통해 수신되는 온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온습도 지도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온습도 지도를 이용하여 지역별로 온습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물순환통로(310)는 각 부화부(300)의 각 랙(311)마다 또는 부화부(300)의 소정 지역마다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펌프부(109a) 또한 제1물순환통로(310)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온습도 지도를 참조하여 온도 조절이 필요한 지역에 필요한 온도의 물이 제공되도록 물저장부(107)와 복수개의 제1펌프부(109a)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팬(313)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이러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100)는 제1물순환통로(310)를 흐르는 물의 온도를 원하는 지역에 전달하기 위해 팬(313)이 해당지역으로 바람을 공급하도록 팬(31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습도 또한 지역별로 분할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부화부(300)의 소정 지역만 습도가 부족한 경우 각 부화부(300)의 외기인입구(315)를 일시적으로 차단하고, 가습부(1020)를 제어하여 통로(320)로 습도 높은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각 부화부(300) 내부에 지역별로 수분공급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00)가 각 수분공급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습도가 부족한 지역에만 습도가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수분공급장치는 제공되는 물을 소정크기 이하로 미립화하여 분사함으로써 내부의 습도를 효율적으로 상승시키고, 필요한 경우 주변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장 시스템의 물 순환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물저장부(107)는 물을 저장한다. 물저장부(107)에는 온수탱크(107a)와 냉수탱크(107b)가 마련될 수 있다. 온수탱크(107a)는 저장되는 물의 온도를 60~65℃로 유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온수탱크(107a)는 온수의 온도를 95~100℃, 80~90℃, 60~65℃ 로 나누어 저장할 수 있다. 냉수탱크(107b)는 저장되는 물의 온도가 12~15℃로 유지된다. 필요에 따라서 냉수탱크(107b)는 냉수의 온도를 5~8℃, 9~10℃, 12~15℃로 나누어 저장할 수도 있다. 열회수부(105)의 동작을 온수탱크(107a)와 냉수탱크(107b)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 부가로 연결된 보일러와 칠러의 동작을 통해 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저장된 물은 부화부(300)의 제1물순환통로(310)와 공조기(102)의 제2물순환통로(1021)로 제공될 수 있다. 물저장부(107)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제1물순환통로(310)로 공급하기 위한 제1펌프부(109a)와 제2물순환통로(1021)로 공급하기 위한 제2펌프부(109b)가 물저장부(107)에 연결된다. 제1펌프부(109a)와 제2펌프부(109b)는 제어부(100)의 동작에 따라 물을 펌핑하여 전달한다.
이때, 제1물순환통로(310)와 제2물순환통로(1021)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는 60~64℃이고, 환수되는 온수의 온도는 50~54℃일 수 있다. 제1물순환통로(310)와 제2물순환통로(1021)로 공급되는 냉수의 온도는 10~14℃이고, 수열회수부(105b)를 통해 환수되는 냉수의 온도 또한 10~14℃일 수 있다. 수열회수부(105b)를 통하지 않고 환수되는 냉수의 온도는 17~22℃일 수 있다.
제1물순환통로(310)는 부화부(300) 내부에 마련된다. 제1물순환통로(310)는 부화부(300) 내부의 랙(311)이나 지역별로 복수개가 배관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물순환통로(310)는 냉수가 흐르기 위한 제1냉수코일(310b) 온수가 흐르기 위한 제1온수코일(31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온수코일(310a)에서 배출된 물은 온수탱크(107a)로 다시 전달된다.
제1냉수코일(310b)에서 배출된 물은 수열회수부(105b)를 거쳐 냉수탱크(107b)로 전달된다. 밸브부(106)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제1냉수코일(310b)에서 배출된 물이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 바로 냉수탱크(107b)로 전달되기위해 길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일례로서, 밸브부(106)의 동작에 대한 소정 온도는 18~22℃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106)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3웨이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밸브부(106)의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수열회수부(105b)로 항상 소정온도 이상의 물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수열회수부(105b)는 제1냉수코일(310b)에서 배출된 물의 열을 회수하여 온수탱크(107a)로 전달하여 물에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물순환통로(1021)는 공조기(102) 내부에 마련된다. 제2물순환통로(1021)는 냉수가 흐르기 위한 제2냉수코일(1021b) 온수가 흐르기 위한 제2온수코일(102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물순환통로(1021)를 흐른 물은 다시 물저장부(107)로 전달된다. 만약 제2냉수코일(1021b)로 배출되는 물이 소정 온도 이상이 되었다면 수열회수부(105b)로 전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장 시스템의 공기 순환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외기는 공조기(102)를 통해 부화장(30) 내부의 통로(320)로 전달된다. 제어부(100)는 통로(320) 공기의 온도를 약 23~27℃로 유지하기 위해 공조기(102)와 제2펌프부(109b)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로(320)로 인입된 공기는 외기인입구(315)를 통해 부화부(300)로 전달된다. 부화부(300)로 인입된 공기는 내기배출구(317)를 통해 부화장(30)으로 배출된다. 부화장(30) 내부 공기는 배출구(301)를 통해 부화장(30)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되는 배기의 온도는 약 30~36℃가 된다.
배출구(301)에서 배출된 배기는 배기인입부(1041)로 인입되고, 외기는 외기인입부(1042)로 인입되어 배기통로(104)를 지나 공기열회수부(105a)로 전달된다. 공기열회수부(105a)는 배기의 열을 회수하여 회수된 열을 물저장부(107)의 온수탱크(107a)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보조공기열회수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공기열회수부는 온수탱크(107a)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소정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열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조공기열회수부는 저장하고 있는 열을 온수탱크(107a)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열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예로서, 온수탱크(107a)의 물의 온도를 높이기에 열이 부족한 경우 보조적으로 마련되는 보일러가 온수탱크(107a)를 데우도록 구성된다. 온수탱크(107a)의 물의 온도가 이미 적절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중이라면, 남는 열은 보조온수탱크로 전달될 수 있다. 보조온수탱크는 남는 열을 받아들여 저장된 물을 항시 뜨겁게 유지하고, 물저장부(107)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급히 올려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물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남는 열은 연결된 터빈을 돌려 발전을 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온수탱크(107a)의 물의 온도가 소정 온도를 초과할 때 배기통로(104)의 일부가 자동으로 개구되거나 배기인입부(1041)가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물저장부(107), 보조온수탱크, 등에 마련된 센서에 기초하여 일련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가 적용된 부화장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가 적용된 부화장 시스템(1)은 제어부(100), 사용자단말(200) 및 부화장(30)을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측정되는 부화장(30) 내외부의 상태에 기초하여 부화장(30)과 부화장 시스템(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00)는 제어서버라고도 한다. 제어부(10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부화장 시스템(1)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00)는 부화장(30)의 상태와 이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조치내용들을 기록하고, 보고서형태로 작성하여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는 등 다양한 동작을 취할 수 있다. 보고서는 소모전력량, 제어부(100)가 취한 조치, 시간에 따른 부화부(300) 내부 온습도 지도의 변경점, 부화한 병아리 숫자, 온수 및 냉수 사용량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부화장(30) 및/또는 제어부(100)로부터 수신되는 부화장(30)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제공되는 부화장(30)의 상태는 부화장(30) 내부의 온습도 지도, 온습도 임계점에 달한 부화부(300) 등 센서부(101)가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내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물저장부(107), 펌프부(109), 밸브부(106), 배기부(104) 등 다양한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부(100) 및/또는 부화장(30)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부화장(30)은 내부에 달걀을 수용하며, 센싱된 부화장(30) 내부의 다양한 상태를 제어부(100) 및/또는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200)은 제어모듈(210), 통신모듈(211), 디스플레이모듈(215) 및 입력수신모듈(217)을 포함한다.
제어모듈(210)은 사용자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단말(200)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단말(200)은 제어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사용자단말(200)의 제조 시에 사용자단말(2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사용자단말(200)로 다운로드 될 수도 있다.
통신모듈(211)은 사용자단말(200)이 외부로 통신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모듈(211)은 제어모듈(2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단말(200)이 제어부(100) 및 부화장(30)과 통신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예로서, 제어부(100)가 생성한 보고서, 제어부(100)로부터 수신되는 부화장(30) 상태정보가 있으나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는 상기 설명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200)은 외부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유선통신을 위한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한다. 사용자단말(200)은 유선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복수의 서버들과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또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RF(radio frequency)신호를 송수신하는 RF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UWM(Ultra-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15)은 사용자단말(200)에 컨테츠가 표시되도록 한다. 컨텐츠의 예로서, 제어부(100)로부터 수신되는 부화장(30)의 상태, 보고서 등이 있으며, 추가로서 제어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단말(200)의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이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는 액정 표시패널과 액정 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는, 백라이트유닛없이, 자발광 소자인 OLED 표시패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수신모듈(217)은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한다. 일례로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200)의 입력수신부를 조작하여 명령을 입력하면 수신하여 제어모듈(21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단말(200)은 사용자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수신부를 포함한다. 입력수신부는 사용자입력의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서, 사용자단말(200)의 외측에 설치된 메뉴버튼,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의 리모컨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신호수신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입력수신부, 제스처입력을 감지하는 카메라, 음성입력을 인식하는 마이크, 외부장치와 통신하여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감지부는 사용자의 터치펜 또는 손가락 등의 터치수단으로부터 표시패널로의 터치를 감지한다. 터치감지부는 디스플레이의 영상이 표시되는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터치감지부의 구조는 표시패널상에 매트릭스로 배치된 투명전극과 정전용량 감지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감지부는 ITO나, Metal Ash, Ag Nano wire 등과 같이 투명한 전극을 이용한, 이른바 GFF 또는 G2구조이거나, 불투명하고 유연한 필름과 같은 물질을 기판으로 하여 도전성 물질을 배향한 구조로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러한 정전용량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통신망
100 - 제어부
101 - 센서부
102 - 공조기
1020 - 가습부
104 - 배기부
1043 - 차단부
105 - 열회수부
106 - 밸브부
107 - 물저장부

Claims (10)

  1. 부화장에 있어서,
    상기 부화장 내외부의 다양한 상태정보를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부;
    내부에 온수 또는 냉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물저장부;
    복수개의 알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부화부;
    상기 부화부에서 배출되는 배기의 공기열을 회수하여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기열회수부;
    상기 물저장부 및 상기 부화부와 연결되며, 상기 부화부에서 배출되는 물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상기 물저장부로 전달하도록 수열회수부;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부화부로 보내도록 구성되는 제1펌프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부화부 내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물저장부에서 온수 또는 냉수가 상기 부화부로 제공되도록 상기 제1펌프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부화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부는
    물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부화부 내부에서 물이 순환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제1물순환통로를 포함하는 부화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부로 외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기에 습도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습부가 마련되는 공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부화장 내부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화장.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공조기로 제공하기 위한 제2펌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기는 상기 물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순환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제2물순환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외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물저장부에서 온수 또는 냉수가 상기 제2물순환통로로 제공하도록 상기 제2펌프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부화장.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부, 상기 부화부 및 상기 수열회수부는 물의 흐르는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밸브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부화부에서 배출되는 물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부화부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물저장부 또는 상기 수열회수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밸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화장.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장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 상기 공기열 회수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배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부는
    배기통로;
    상기 배출구 상측에 상기 배출구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 마련되며, 상기 부화장에서 배출되는 배기가 상기 배기통로로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배기인입부;
    외기가 상기 배기통로로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외기인입부; 및
    선택적으로 상기 배기인입부와 상기 외기인입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부화장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부화장.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화장 내부의 온도가 제1온도를 초과할 때 상기 차단부가 상기 배기인입부를 개방하고 상기 외기인입부를 폐쇄하며, 상기 부화장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1온도보다 낮은 제2온도를 초과할 때 상기 차단부가 상기 배기인입부를 일부 개방하고 상기 외기인입부를 일부개방하고, 상기 부화장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2온도 미만일 때 상기 차단부가 상기 배기인입부를 폐쇄하고, 상기 외기인입부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부화장.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인입부는 상기 배기인입부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부화장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길이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부화장.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부화장 내외부의 온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온습도 지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부화장.
KR1020190047460A 2019-04-23 2019-04-23 에너지절감을 위한 저전력 고효율의 부화장 KR102024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460A KR102024316B1 (ko) 2019-04-23 2019-04-23 에너지절감을 위한 저전력 고효율의 부화장
CN202080006456.2A CN113163735B (zh) 2019-04-23 2020-04-14 低电耗、高效率的孵化场
PCT/KR2020/005003 WO2020218767A1 (ko) 2019-04-23 2020-04-14 저전력 고효율의 부화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460A KR102024316B1 (ko) 2019-04-23 2019-04-23 에너지절감을 위한 저전력 고효율의 부화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316B1 true KR102024316B1 (ko) 2019-09-23

Family

ID=6806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460A KR102024316B1 (ko) 2019-04-23 2019-04-23 에너지절감을 위한 저전력 고효율의 부화장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24316B1 (ko)
CN (1) CN113163735B (ko)
WO (1) WO20202187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8767A1 (ko) * 2019-04-23 2020-10-29 서석인 저전력 고효율의 부화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7826A (ja) * 1991-02-21 1992-09-24 Sanki Eng Co Ltd 動物実験施設の空調システム
KR20170046884A (ko) 2015-10-22 2017-05-0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축사 냉난방 및 냉온음용수 급수 병행 시스템
CN106857314A (zh) * 2015-12-11 2017-06-20 陕西山泽农业科技有限公司 智能鸡鸭鹅通用型孵化机
KR20190055527A (ko) * 2017-11-15 2019-05-2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수냉식 라디에이터를 이용한 축사 환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8423A (en) * 1979-11-27 1981-07-14 Siccardi Frank J Heating and ventilating system for poultry houses
DE3320815C2 (de) * 1983-06-09 1985-10-03 A.J. Wormgoor B.V., Diepenhei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Kükenbrutanlage
FR2622083B1 (fr) * 1987-10-27 1990-12-07 Bohardiere Sarl Elevage Avicol Groupe de ventilation pour une enceinte d'incubation d'oeufs ou une enceinte d'eclosoir
US5025619A (en) * 1989-03-16 1991-06-25 Robert W. Cann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ubating and hatching eggs
CN1732765A (zh) * 2004-08-12 2006-02-15 韩其勋 孵化机自动变温凉蛋控制系统
WO2006078773A2 (en) * 2005-01-19 2006-07-27 Chick Master International, Inc. Heat recovery system for hatcheries
WO2010050797A1 (en) * 2008-10-29 2010-05-06 Hatchtech Group B.V. Method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a climate chamber, and a climate chamber
CN205389979U (zh) * 2016-03-10 2016-07-27 上海罗克环控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热回收的大箱体孵化系统
CN205756470U (zh) * 2016-05-29 2016-12-07 罗平县九龙生态农业专业合作社 一种节能型鸡蛋孵化装置
KR102024316B1 (ko) * 2019-04-23 2019-09-23 서석인 에너지절감을 위한 저전력 고효율의 부화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7826A (ja) * 1991-02-21 1992-09-24 Sanki Eng Co Ltd 動物実験施設の空調システム
KR20170046884A (ko) 2015-10-22 2017-05-0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축사 냉난방 및 냉온음용수 급수 병행 시스템
CN106857314A (zh) * 2015-12-11 2017-06-20 陕西山泽农业科技有限公司 智能鸡鸭鹅通用型孵化机
KR20190055527A (ko) * 2017-11-15 2019-05-2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수냉식 라디에이터를 이용한 축사 환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8767A1 (ko) * 2019-04-23 2020-10-29 서석인 저전력 고효율의 부화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63735A (zh) 2021-07-23
CN113163735B (zh) 2023-09-05
WO2020218767A1 (ko)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6075B1 (ko)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US20150362206A1 (en) System and method to manage energy consumption in an hvac system
CN105571046A (zh) 空调出风状态调节方法及室内机
KR102024316B1 (ko) 에너지절감을 위한 저전력 고효율의 부화장
CN105371422A (zh) 一种空调器及其室温控制方法和系统
CN105607680A (zh) 储粮通风控制实验系统及其控制方法
CN107166674A (zh) 全屋空气检测控制系统
CN107328032A (zh) 一种动物房双风机式空调智能控制系统
CN112346348A (zh) 一种室内环境调整系统
KR20190048709A (ko) 사물인터넷 기반 곤충사육 시스템
CN104429603A (zh) 一种食用菌养殖实验箱
CN106595767A (zh) 一种智能调节空气温湿度的方法及系统
CN105660192A (zh) 食用菌栽培控制装置
CN106556093A (zh) 一种移动式智能加湿系统
US20070114294A1 (en)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environment of multiple animal cages
CN210142273U (zh) 一种家禽圈舍监测系统
CN101546201A (zh) 一种温度控制的方法
CN112070621B (zh) 一种生猪饲养管理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051537B1 (ko) 에너지절감을 위한 저전력 고효율의 식물공장
CN208891458U (zh) 一种禽用疫苗生产用胚蛋后孵化装置及孵化系统
CN205158191U (zh) 带有智能通风装置的粮库监测系统
KR101187473B1 (ko) 축사 환기부 제어용 콘트롤러
CN105404229A (zh) 一种基于Zigbee技术的温室环境测控系统
CN110887203A (zh) 生态毛细管辐射空调用iot集控系统
CN203893337U (zh) Cit高精度恒温恒湿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