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712B1 -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712B1
KR102023712B1 KR1020170172522A KR20170172522A KR102023712B1 KR 102023712 B1 KR102023712 B1 KR 102023712B1 KR 1020170172522 A KR1020170172522 A KR 1020170172522A KR 20170172522 A KR20170172522 A KR 20170172522A KR 102023712 B1 KR102023712 B1 KR 102023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information
digital signage
visible ligh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892A (ko
Inventor
이계산
서효덕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068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9Arrangements for indoor wireless networking of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이 개시된다.
이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각각 가시광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가시광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조명 시스템의 복수의 조명 장치 모두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서버는 각각 하나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서버 각각은, 상기 조명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와 각각 가시광 통신을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와 가시광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각 서버가 설치된 상점과 관련된 서비스를 상기 조명 장치 또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CONVERGENCE PLATFORM APPARATUS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DIGITAL SIGNAGE AND LIGHT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가든 파이브, 코엑스 몰과 같이 쇼핑 멀티플렉스 홀의 등장은 새로운 쇼핑 문화와 광고 문화를 생성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들에서 소비자들은 많은 상점과 넓은 면적 때문에 가고자 하는 곳을 힘들게 찾아 가게 된다. 그리고, 많은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관계로 푸드 코너 같은 곳은 많은 사람들로 인해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지는 등 시간을 허비하는 경우도 많다.
한편, 종래 조명으로 사용되던 형광등이나 백열등 대신에 주로 LED(Light Emitting Diode)가 대체되어 사용되고, 또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를 이용한 옥외 광고로, 관제 센터에서 통신망을 통해 광고 내용을 제어할 수 있는 광고판을 의미하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가 다수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공공장소나 상업 공간에 설치되어 다양한 정보와 광고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LED를 이용한 옥외 광고판 및 전광판을 설치하는 등 그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대형 쇼핑몰 등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과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하여 대형 쇼핑몰에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형 쇼핑몰 등의 대형 공간 내 어디에 있든 실내 조명이나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하여 상점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융합 플랫폼 장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융합 플랫폼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각각 가시광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가시광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조명 시스템의 복수의 조명 장치 모두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버는 각각 하나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서버 각각은, 상기 조명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와 각각 가시광 통신을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와 가시광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각 서버가 설치된 상점과 관련된 서비스를 상기 조명 장치 또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조명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여 하나의 조명 장치 또는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융합 플랫폼 장치는, 상기 상점 내에 배치되어,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테이블의 상태를 가시광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 가능한 복수의 테이블; 및 상기 상점 내에 배치되어, 가시광 통신을 통해 상기 복수의 테이블 각각의 테이블 상태를 전달받아서 상기 서버에게 전달하는 내부 조명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하나의 조명 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식별자와 상기 하나의 조명 장치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응하는 연결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와 각각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 중 상기 서버에 연결된 디지털 사이니지와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상기 내부 조명 시스템과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제3 통신부;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의 위치로부터 상기 서버가 설치된 상점까지의 위치 안내 정보, 상기 상점 관련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 또는 상기 제2 통신부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서버에 연결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통신부 또는 제2 통신부를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 또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서버와 각각 연결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과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가시광 통신부; 상기 조명 장치에게 고유하게 할당되는 식별자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가시광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서버 사이의 정보 전송을 중계하여 상호간에 서비스를 위한 상호 정보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조명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을 전달하는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위치 안내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상점까지의 위치 안내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조명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내부 조명 시스템을 통해 상기 복수의 테이블의 상태를 수집하여 테이블 현황을 파악하고, 파악된 테이블 현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서비스제공 방법은,
대형 공간 내에 설치된 복수의 조명 장치와 복수의 상점 내에 각각 설치된 서버 및 상기 서버에 연결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융합 플랫폼 장치가 사용자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가 상기 조명 장치 또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는 단계 ― 상기 조명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가시광 통신을 통해 정보 송수신을 수행함 ―; 상기 서버가 상기 상점과 관련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수집된 정보를 상기 조명 장치 또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명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여 하나의 조명 장치 또는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대형 공간에서의 복수의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의 위치로부터 상기 서버가 설치된 상점까지의 위치 안내 정보, 상기 상점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하고,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조명 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및 파악된 상기 조명 장치의 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 안내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상점까지의 위치 안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상점 내에 배치된 복수의 테이블과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내부 조명 시스템을 통해 상기 복수의 테이블의 상태를 수집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테이블 각각은 센서를 통해 테이블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테이블의 상태를 가시광 통신을 통해 상기 내부 조명 시스템으로 전송 가능함 ―; 및 수집되는 상기 복수의 테이블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상점 내 테이블 현황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하나의 조명 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식별자와 상기 하나의 조명 장치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응하는 연결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서버는,
대형 공간에 위치한 복수의 상점 각각에 설치된 서버로서, 통신기,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기는, 상기 대형 공간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과 각각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조명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대형 공간 내에서의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의 위치, 상기 서버가 설치된 상점의 위치, 상기 대형 공간의 지도 정보 및 상기 상점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코드의 집합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코드는, 상기 통신기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조명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상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획득된 정보를 상기 통신기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조명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점 내에 배치된 복수의 테이블과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내부 조명 시스템을 통해 상기 복수의 테이블의 상태를 수집하는 동작 ― 상기 복수의 테이블 각각은 센서를 통해 테이블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테이블의 상태를 가시광 통신을 통해 상기 내부 조명 시스템으로 전송 가능함 ―; 및 수집되는 상기 복수의 테이블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상점 내 테이블 현황을 파악하는 동작을 더 실행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를 통해 상기 조명 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동작; 파악된 상기 조명 장치의 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설정하는 동작단계;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상점의 위치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상점까지의 위치 안내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을 더 실행한다.
또한, 상기 조명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여 하나의 조명 장치 또는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의 조명 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식별자와 상기 하나의 조명 장치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응하는 연결 경로를 형성하는 동작; 및 상기 연결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더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형 쇼핑몰 등의 대형 공간 내 어디에 있든 실내 조명이나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하여 상점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점의 서버를 통해 송수신간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점까지 가는 소요 시간, 사전 주문 등의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에게 딜레이 없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아래에서 초고속 모바일 인터넷을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가로등과 같이 공공 조명 시설을 이용한 광범위 모바일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박물관 등에서 관람객 위치에 맞춰 가이드 정보 전송 및 관람객이 요구하는 작품의 위치정보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쇼핑객의 방문 장소에 맞춘 타깃 광고제공도 가능하다.
또한, 병원, 비행기 등 전자파에 민감한 영역에서도 조명 기반 모바일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점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사이니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융합 플랫폼 장치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융합 플랫폼 장치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상점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10)는 상점 서버(100), 조명 시스템(200) 및 디지털 사이니지(300)를 포함한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융합 플랫폼 장치(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융합 플랫폼 장치(10)는 복수의 조명이 설치되어 조명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쇼핑 멀티플렉스 홀 등의 대형 쇼핑몰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점(11)은 대형 쇼핑몰 내에 입점한 복수의 상점의 구성이 서로 유사하므로 복수의 상점 준 하나의 상점을 예로 든 것이다.
먼저, 상점(11) 내의 상점 서버(100)는 상점(11)과 관련된 서비스를 조명 시스템(200)과 디지털 사이니지(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점 서버(100)는 상점(11)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에게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400)이 상점(11)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예약, 사전 주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점(11)과 관련된 정보로는 대형 쇼핑몰 내에서의 상점의 위치, 사용자 단말(400)이 위치한 곳으로부터 상점(11)까지 찾아 올 수 있는 약도를 포함하는 경로 정보, 상점의 메뉴, 할인 정보 및 쿠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조명 시스템(200)은 대형 쇼핑몰 내의 조명을 제공하며, 상점(11)의 상점 서버(10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상점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가시광 통신(210)을 통해 사용자 단말(400)에게 제공하고, 또한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가시광 통신(210)을 통해 수신하여 상점 서버(100)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 중 유선 통신은 랜(Local Area Networ, LAN)이나 전기성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등일 수 있고, 무선 통신은 가시광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일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300)는 상점(11)에 대한 광고를 제공하며, 상점 서버(100)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점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가시광 통신(310)을 통해 사용자 단말(400)에게 제공하고, 또한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가시광 통신(310)을 통해 수신하여 상점 서버(100)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 중 유선 통신은 랜(Local Area Networ, LAN)이나 전기성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등일 수 있고, 무선 통신은 가시광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일 수 있다.
융합 플랫폼 장치(10)는 테이블(500) 및 조명 시스템(600)을 더 포함한다.
테이블(500)은 조명 시스템(600)과의 가시광 통신이 가능하며, 테이블(500) 내에 설치된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테이블(500) 내의 손님의 수용 상태를 감지하여 가시광 통신을 통해 조명 시스템(6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조명 시스템(600)은 상점(11) 내의 조명을 제공하며, 상점 서버(10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테이블(500)과 가시광 통신을 통해 정보 전송이 가능하여, 테이블(500)로부터 가시광 통신을 통해 테이블(5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점 서버(1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 중 유선 통신은 랜(Local Area Networ, LAN)이나 전기성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등일 수 있고, 무선 통신은 가시광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상점 서버(100)는 테이블(500)의 상태에 의해 판단되는 상점(11)의 수용 상태, 손님 대기 시간 등의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가시광 통신이 가능하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설치 가능한 단말이다. 이러한 단말은 3G, 4G, 5G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 단말, 태블릿, 개인 정보 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ce, PDA), 노트북 컴퓨터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조명 시스템(200)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300)와의 가시광 통신을 통해 상점(11) 내 상점 서버(100)와 연결되어, 상점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상점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정보를 상점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된 가시광 통신은 가시광선(400~700nm)을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는 무선통신 기술로서, 조명에서 발산되는 빛이나 표시 기기 등에서 사용되는 발광 다이오드(LED)의 가시광선을 눈에 보이지 않는 속도로 점멸시켜 정보를 보내는 기술이며, 이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점 서버(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점 서버(100)는 제1 통신부(110), 제2 통신부(120), 제3 통신부(130), 데이터베이스(DB)(140) 및 정보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이때,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 없는 상점 서버(100)의 일반적인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제1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조명 시스템(200)과 정보 전송을 수행한다.
제2 통신부(12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300)와 정보 전송을 수행한다.
제3 통신부(13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조명 시스템(600)과 정보 전송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140)는 대형 쇼핑몰 내에서 조명 시스템(200) 내에 포함된 복수의 조명들의 위치, 상점(11)의 위치, 대형 쇼핑몰의 지도 정보, 상점(11)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정보 처리부(150)는 제3 통신부(130)를 통해 조명 시스템(600)으로부터 테이블(500)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점(11)의 수용 상태를 파악하고, 미리 설정된 평균 서비스 시간과 상점(11)의 수용 상태에 기초하여 대기 시간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렇게 파악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정보 처리부(150)는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연결되는 조명 시스템(200) 또는 제2 통신부(120)를 통해 연결되는 디지털 사이니지(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에 대한 상점(11)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부(150)는 사용자 단말(400)이 제1 통신부(110)에 연결되는 조명 시스템(200)을 통해 접속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0)의 위치를 조명 시스템(200)에서 사용자 단말(400)과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조명의 위치로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와 데이터베이스(130) 내에 저장된 지도 정보에 의해 사용자가 상점(11)으로 찾아 올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약도 정보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부(150)는 사용자 단말(400)에게 상점(11)의 메뉴, 상점(11)의 수용 상태, 대기 시간, 할인 정보, 쿠폰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부(150)는 사용자 단말(400)에 대해 예약 서비스, 주문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시스템(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시스템(200)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복수의 상점 서버(11)에 연결되는 복수의 조명 장치(210)를 포함한다. 이때,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 없는 조명 시스템(200)의 일반적인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또한, 복수의 조명 장치(210)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하나의 조명 장치(210)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210)는 통신부(211), 가시광 통신부(212), 저장부(213) 및 정보 처리부(214)를 포함한다.
통신부(211)는 네트워크(220)를 통해 복수의 상점 내에 포함된 상점 서버(100)와 연결된다. 이 때의 네트워크(2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에 의해 형성되는 네트워크이다.
가시광 통신부(212)는 사용자 단말(400)과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부(212)는 파장분할다중(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 방식에 따른 가시광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가시광 통신에서의 파장분할다중 방식은 광원의 빛의 세기(intensity) 차이로 신호를 변조시키는 기법으로, 파장분할다중 방식에서의 변조 방식은 심벌을 3차원 R G B 공간에 직접 매팽하고, 심벌 판정은 R, G, B의 빛의 세기 차이를 기준으로 한다. 이러한 파장분할다중 방식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가시광 통신부(212)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에 의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400)과 동시에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조명 장치(210)의 FOV(Field of View) 내에 있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400), 예를 들어 두 개의 사용자 단말(400)에 대해 서로 다른 상점(100)에 대한 서비스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213)는 조명 장치(210)에 고유하게 할당된 식별자를 저장한다. 이러한 식별자는 상점 서버(11)와의 정보 송수신시 정보를 송신 주체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정보 처리부(214)는 가시광 통신(212)을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400)과 통신부(211)를 통해 연결되는 상점 서버(100) 사이의 정보 전송을 중계하여 상호간에 서비스를 위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정보 처리부(214)는 가시광 통신부(212)의 파장다중분할 방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0)과 연결되는 경우 각 사용자 단말(400)의 식별자와 저장부(213) 내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점 서버(100)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결 경로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상점 서버(100)의 정보 처리부(150)는 네트워크(22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 경로를 확인하여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사이니지(3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300)는 통신부(310), 가시광 통신부(320) 및 정보 처리부(330)를 포함한다. 이때,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 없는 디지털 사이니지(300)의 일반적인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통신부(310)는 상점 서버(10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가시광 통신부(320)는 사용자 단말(400)과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부(320)는 조명 장치(210)에서의 가시광 통신부(212)와 마찬가지로 파장분할다중 방식에 따른 가시광 통신을 수행한다. 즉, 가시광 통신부(320)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에 의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400)과 동시에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다.
정보 처리부(330)는 가시광 통신(320)을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400)과 통신부(310)를 통해 연결되는 상점 서버(100) 사이의 정보 전송을 중계하여 상호간에 서비스를 위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정보 처리부(330)는 가시광 통신부(320)의 파장다중분할 방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0)과 연결되는 경우 각 사용자 단말(400)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점 서버(100)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결 경로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점 서버(100)의 정보 처리부(150)는 디지털 사이니지(30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 경로를 확인하여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4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400)은 입력부(410), 표시부(420), 저장부(430), 통신부(440), 가시광 통신부(450) 및 제어부(460)를 포함한다.
입력부(410)는 사용자로부터의 정보 및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410)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 터치 패드, 마우스 등일 수 있다.
표시부(42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420)는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저장부(430)는 사용자 단말(400)에서 사용될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데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즉 앱(App)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400)에게 고유하게 할당된 단말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440)는 이동통신 모듈로 구성되며, 이동통신사의 기지국과 이동통신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부(440)는 이동통신을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데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가시광 통신부(450)는 조명 시스템(200)의 조명 장치(210)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300)와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부(450)는 조명 장치(210)에서의 가시광 통신부(212) 및 디지털 사이니지(300)의 가시광 통신부(320)와 서로 파장분할다중 방식에 따른 가시광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460)는 입력부(410), 표시부(420), 저장부(430), 통신부(440) 및 가시광 통신부(450)를 제어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60)는 입력부(410)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서, 통신부(440)를 통해 외부 사이트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데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서 저장부(430)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저장부(43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가시광 통신부(450)를 통해 연결되는 조명 시스템(200)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300)를 통해 상점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점 서버(10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융합 플랫폼 장치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상점 위치 안내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설명 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융합 플랫폼 장치(10)의 상점 서버(100)에는 대형 쇼핑몰에 설치된 조명 시스템(200) 내의 복수의 조명 장치(210)의 위치, 복수의 상점(11)의 위치, 대형 쇼핑몰의 내부 지도 등의 정보가 미리 정의되어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40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융합 플랫폼 장치에서의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400)이 조명 시스템(200)의 복수의 조명 장치(210) 중 어느 하나의 조명 밑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S100). 이러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예를 들어, 도 7과 같은 표시가 사용자 단말(400)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본 서비스는 상점(11)까지의 안내를 하는 서비스이므로, 사용자가 상점 이름 및 위치 서비스를 선택하고, 찾아가고자 하는 상점(11)의 이름을 찾아서 선택하면(S110), 선택된 상점(11)의 식별자 정보 및 사용자 단말(400)의 식별자와 함께 상점 이름 및 위치 서비스 정보가 조명 시스템(200)을 통해 상점(11)의 상점 서버(100)로 전달된다. 이 때, 조명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400)과 가시광 통신을 수행한 조명 장치(210)의 식별자를 상점 서버(100)에게 함께 전달한다.
조명 시스템(200)을 통해 전달되는 상점(11)의 식별자 정보에 해당하는 상점(11)의 상점 서버(100)는 상점 이름 및 위치 서비스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조명 시스템(200)을 통해 사용자 단말(400)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400)은 자신이 선택한 상점(11)의 위치를 알 수 있다(S120).
그 후, 사용자 단말(400)이 선택한 상점(11)으로의 안내를 요청하면(S130), 이를 수신한 상점 서버(100)는 조명 장치(210)의 식별자를 통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정보에 의해 파악되는 조명 장치(210)의 위치를 사용자 단말(400)의 위치로 보고, 사용자 단말(400)의 위치로부터 상점(11)으로 찾아오는 안내 정보를 조명 시스템(200)을 통해 사용자 단말(400)에게 전달한다(S140).
따라서, 사용자 단말(400)은 상점(11)으로부터 전달되는 안내 정보를 표시부(420)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00)에 표시되는 안내 정보에 따라 자신이 선택한 상점(11)을 찾아갈 수 있게 된다(S150).
한편, 상기에서는 사용자 단말(400)의 소유자인 사용자가 상점(11)으로 찾아가는 정보를 안내하는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서비스는 상점(11)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점(11)의 메뉴 및 추천 메뉴 안내, 할인 정보 및 쿠폰 정보 안내, 상점(11)까지의 도착 소요 시간 안내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도착 소요 시간 안내의 경우, 사용자가 상점(11)에 대해 시간 예약을 했을 경우, 예약한 시간까지의 남은 시간 정보, 예를 들어 10분전, 5분전 등의 시간 정보를 푸쉬 알람 서비스로 사용자 단말(400)을 통헤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융합 플랫폼 장치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상점(11)의 테이블 현황, 즉 상점(11)의 수용 상태 또는 손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00)이 조명 시스템(200)의 복수의 조명 장치(210) 중 어느 하나의 조명 밑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점(11) 앞에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300)의 앞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한 도 7에서와 같은 표시가 사용자 단말(400)에 표시된다(S200).
본 서비스는 상점(11)의 테이블 현황을 알기 위한 서비스이므로, 사용자가 상점 테이블 현황을 선택한 후 원하는 상점(11)의 이름을 찾아서 선택하면(S210), 선택된 상점(11)의 식별자 정보 및 사용자 단말(400)의 식별자와 함께 테이블 현황 서비스 정보가 조명 시스템(200)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300)를 통해 상점(11)의 상점 서버(100)로 전달된다. 이 때, 조명 시스템(200)을 통해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조명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400)과 가시광 통신을 수행한 조명 장치(210)의 식별자를 상점 서버(100)에게 함께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상점(11)의 이름 및 위치 서비스가 먼저 수행된 후 본 서비스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점(11)이 지정되어 있으므로, 상점 테이블 현황 선택 후에 상점(11)의 이름을 찾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 조명 시스템(200)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300)를 통해 전달되는 상점(11)의 식별자 정보에 해당하는 상점(11)의 상점 서버(100)는 상점(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 시스템(600)을 통해 테이블(500)의 상태를 수집한다(S220). 여기서, 테이블(500)의 상태는 조명 시스템(600)이 테이블(500)과의 가시광 통신을 통해 테이블(500)에 설치된 센서(도시되지 않은) 등을 통해 감지되는 테이블(500)의 수용 상태, 즉 손님이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손님 상태를 전달받아서 수집할 수 있다.
상점 서버(100)는 상점(11) 내의 모든 테이블의 상태가 수집되면, 수집된 상태 정보를 통합하여 파악되는 상점(11)의 테이블 현황을 조명 시스템(200)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400)은 자신이 선택한 상점(11)의 테이블 현황을 알 수 있다(S230). 이 때, 상점 서버(100)는 자신의 상점(11)에서 테이블(500)의 회전 시간, 즉 손님이 테이블(500)을 차지하고 있는 시간 등에 대해 평균 시간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하여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점 서버(100)는 상점(11)의 테이블 현황이 만석인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미리 설정한 테이블(500)의 회전 시간등 고려하여 상점(11)에 대기하고 있는 손님이 테이블(500)에 앉을 수 있는 대기 시간을 산출하여 테이블 현황과 함께 사용자 단말(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점(11)의 테이블 현황을 사용자 단말(400)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서비스는 상점(11)의 테이블 현황에 따른 테이블 예약, 제공된 메뉴에 대한 사전 주문 등의 서비스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형 쇼핑몰에서 조명 시스템(200)의 복수의 조명 장치(210) 중 어느 하나의 조명 장치(210)에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0)이 위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0)과 조명 시스템(200) 사이의 파장분할다중 방식에 의해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0)에 대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점(11)은 사용자 단말(400)의 식별자, 조명 장치(210)의 식별자를 연결하는 연결 경로를 통해 각 사용자 단말(400)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동일한 조명 장치(210)에 의해 서비스되는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0)에 대해 상점(11)이 사용자 단말(400)의 식별자에 의해 서로 달라지는 연결 경로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400)에게 각각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점 서버(7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상점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점 서버(700)는 통신기(710), 메모리(720), 프로세서(730) 및 버스(740)를 포함한다.
통신기(710)는 외부 구성요소와의 신호 전송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기(71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가시광 통신 시스템(200) 및 디지털 사이니지(300)와 신호를 전송하고, 또한, 가시광 통신을 통해 조명 시스템(600)과 신호 전송을 수행한다. 여기서, 가시광 통신 시스템(200) 및 디지털 사이니지(300)는 사용자 단말(400)과 가시광 통신을 통해 신호 전송을 수행한다. 이 때의 가시광 통신은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가시광 통신일 수 있다.
메모리(720)는 조명 시스템(200) 내에 포함된 복수 조명 장치들의 위치, 상점 서버(100)가 설치된 상점(11)의 위치, 대형 쇼핑몰의 지도 정보, 상점(11)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점(11)과 관련된 정보로는 대형 쇼핑몰 내에서의 상점의 위치, 사용자 단말(400)이 위치한 곳으로부터 상점(11)까지 찾아 올 수 있는 약도를 포함하는 경로 정보, 상점의 메뉴, 할인 정보 및 쿠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720)는 코드의 집합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그 코드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프로세서(640)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동작은, 통신기(710)를 통해 조명 시스템(200) 및 디지털 사이니지(300)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메모리(720)에 저장된 상점(11) 관련 정보로부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통신기(710)를 통해 조명 시스템(600)으로부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획득된 정보를 통신기(710)를 통해 조명 시스템(200) 및 디지털 사이니지(300)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통신기(710)를 통해 조명 시스템(600)으로부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은, 조명 시스템(600)으로부터 상점(11)의 테이블(500)의 상태를 수집하는 동작, 수집되는 테이블(500)의 상태에 기초하여 테이블(500) 현황을 파악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한 동작은, 조명 시스템(200)을 통해 수신되는 서비스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400)에 대응되는 연결 경로를 설정하는 동작, 설정된 연결 경로에 따라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통신기(710)를 통해 조명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720)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 NV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3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4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버스(740)는 상점 서버(700)의 모든 구성요소뜰, 즉 통신기(710), 메모리(720) 및 프로세서(730)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8)

  1. 사용자 단말과 각각 가시광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가시광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조명 시스템의 복수의 조명 장치 모두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버는 각각 하나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서버 각각은, 상기 조명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와 각각 가시광 통신을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와 가시광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각 서버가 설치된 상점과 관련된 서비스를 상기 조명 장치 또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며,
    하나의 조명 장치 또는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가시광 통신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동시에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고, 이 경우, 상기 하나의 조명 장치 또는 상기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자신의 식별자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한 연결 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복수의 서버는 상기 연결 경로를 사용하여 상기 하나의 조명 장치 또는 상기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동시에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융합 플랫폼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플랫폼 장치는,
    상기 상점 내에 배치되어,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테이블의 상태를 가시광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 가능한 복수의 테이블; 및
    상기 상점 내에 배치되어, 가시광 통신을 통해 상기 복수의 테이블 각각의 테이블 상태를 전달받아서 상기 서버에게 전달하는 내부 조명 시스템
    을 더 포함하는, 융합 플랫폼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와 각각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 중 상기 서버에 연결된 디지털 사이니지와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상기 내부 조명 시스템과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제3 통신부;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의 위치로부터 상기 서버가 설치된 상점까지의 위치 안내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 또는 상기 제2 통신부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서버에 연결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통신부 또는 제2 통신부를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 또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정보 처리부
    를 포함하는, 융합 플랫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서버와 각각 연결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과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가시광 통신부;
    상기 조명 장치에게 고유하게 할당되는 식별자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가시광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서버 사이의 정보 전송을 중계하여 상호간에 서비스를 위한 상호 정보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보 처리부
    를 포함하는, 융합 플랫폼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조명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을 전달하는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위치 안내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상점까지의 위치 안내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융합 플랫폼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조명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내부 조명 시스템을 통해 상기 복수의 테이블의 상태를 수집하여 테이블 현황을 파악하고, 파악된 테이블 현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융합 플랫폼 장치.
  9. 대형 공간 내에 설치된 복수의 조명 장치와 복수의 상점 내에 각각 설치된 서버 및 상기 서버에 연결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융합 플랫폼 장치가 사용자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가 상기 조명 장치 또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는 단계 ― 상기 조명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가시광 통신을 통해 정보 송수신을 수행함 ―;
    상기 서버가 상기 상점과 관련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수집된 정보를 상기 조명 장치 또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하나의 조명 장치 또는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가시광 통신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동시에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고, 이 경우, 상기 하나의 조명 장치 또는 상기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자신의 식별자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한 연결 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복수의 서버는 상기 연결 경로를 사용하여 상기 하나의 조명 장치 또는 상기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동시에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대형 공간에서의 복수의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의 위치로부터 상기 서버가 설치된 상점까지의 위치 안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하고,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조명 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및
    파악된 상기 조명 장치의 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 안내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상점까지의 위치 안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상점 내에 배치된 복수의 테이블과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내부 조명 시스템을 통해 상기 복수의 테이블의 상태를 수집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테이블 각각은 센서를 통해 테이블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테이블의 상태를 가시광 통신을 통해 상기 내부 조명 시스템으로 전송 가능함 ―; 및
    수집되는 상기 복수의 테이블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상점 내 테이블 현황을 파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3. 삭제
  14. 대형 공간에 위치한 복수의 상점 각각에 설치된 서버로서,
    통신기,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기는, 상기 대형 공간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과 각각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조명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대형 공간 내에서의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의 위치, 상기 서버가 설치된 상점의 위치 및 상기 대형 공간의 지도 정보를 저장하고, 코드의 집합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코드는,
    상기 통신기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조명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획득된 정보를 상기 통신기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조명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며,
    하나의 조명 장치 또는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가시광 통신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동시에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고, 이 경우, 상기 하나의 조명 장치 또는 상기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자신의 식별자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한 연결 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복수의 서버는 상기 연결 경로를 사용하여 상기 하나의 조명 장치 또는 상기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동시에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점 내에 배치된 복수의 테이블과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내부 조명 시스템을 통해 상기 복수의 테이블의 상태를 수집하는 동작 ― 상기 복수의 테이블 각각은 센서를 통해 테이블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테이블의 상태를 가시광 통신을 통해 상기 내부 조명 시스템으로 전송 가능함 ―; 및
    수집되는 상기 복수의 테이블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상점 내 테이블 현황을 파악하는 동작
    을 더 실행하는, 서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를 통해 상기 조명 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동작;
    파악된 상기 조명 장치의 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설정하는 동작단계;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상점의 위치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상점까지의 위치 안내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
    을 더 실행하는, 서버.
  17. 삭제
  18.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의 조명 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식별자와 상기 하나의 조명 장치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응하는 연결 경로를 형성하는 동작; 및
    상기 연결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
    을 더 실행하는, 서버.
KR1020170172522A 2016-12-14 2017-12-14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2023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70601 2016-12-14
KR1020160170601 2016-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892A KR20180068892A (ko) 2018-06-22
KR102023712B1 true KR102023712B1 (ko) 2019-09-20

Family

ID=6276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522A KR102023712B1 (ko) 2016-12-14 2017-12-14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7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1765A (ja) * 2007-11-01 2008-03-27 Sharp Corp 光伝送機構を備えた照明装置
KR101488571B1 (ko) * 2012-12-31 2015-02-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가시광 무선 통신을 이용한 주차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안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075B1 (ko) * 2009-10-06 2013-07-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명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서비스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KR101558060B1 (ko) * 2013-12-15 2015-10-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 통신 기반 실내 위치 인식 시스템, 실내 네비게이션 방법,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 실내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는 서버 및 전자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1765A (ja) * 2007-11-01 2008-03-27 Sharp Corp 光伝送機構を備えた照明装置
KR101488571B1 (ko) * 2012-12-31 2015-02-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가시광 무선 통신을 이용한 주차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안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892A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00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door navigation and information push using LED lighting devices
US9491586B2 (en) Wireless beacon and methods
TW201407568A (zh) 智慧路燈及廣告投放伺服器和系統
KR101694119B1 (ko) 가시광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장치,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KR101286183B1 (ko) 푸쉬 광고 시스템 및 그 광고 방법
CN101983314A (zh) 在公共区域中引导用户从初始位置到目的地的方法
CN104885439A (zh) 位置信息服务系统、利用电子标签的位置信息服务方法、便携式信息终端以及终端程序
JP2014157498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買い物用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US10156446B2 (en) Facility wayfinding system
KR20120122217A (ko) 원격지 대기순번 발급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279475A1 (en) Customer Interaction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101645728B1 (ko) 위치 기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50139763A (ko)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
KR20120076610A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배달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7667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90230473A1 (en) Beacon device for real-time presence and position tracking in facilities
KR101117615B1 (ko) 실내 측위기술이 탑재된 스마트 폰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KR102023712B1 (ko) 디지털 사이니지와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기반 융합 플랫폼 장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2146948B1 (ko) 매장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6730A (ko) 위치 정보를 코드화하여 저장하는 위치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KR101651346B1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238139B1 (ko) 스마트앱 기반의 주문 처리방법
KR20140011157A (ko) 큐알코드를 통한 실시간 주문방법
KR20170063138A (ko) 비콘을 이용한 관광 안내 시스템
JP2014056548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管理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