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550B1 -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550B1
KR102023550B1 KR1020170184361A KR20170184361A KR102023550B1 KR 102023550 B1 KR102023550 B1 KR 102023550B1 KR 1020170184361 A KR1020170184361 A KR 1020170184361A KR 20170184361 A KR20170184361 A KR 20170184361A KR 102023550 B1 KR102023550 B1 KR 102023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coidan
methacrylated
chitosan
composite nanoparticl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659A (ko
Inventor
윤국로
곽수진
홍상은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5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2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 A61K47/692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 A61K47/692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7Sulfated polysaccharides, e.g. chondroitin sulfate, dermatan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41Organic ions forming an ion pair complex with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6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saccharide or a derivative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 나노입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후코이단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을 제조하는 단계; (b) 키토산을 산처리하여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및 상기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블렌딩하여 이온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 나노입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Preparation of Composite Nanoparticles(Fucoidan/Chitosan/Pluronic) Using Synthesized Methacrylated Fucoidan}
본 발명은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 나노입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후코이단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을 제조하는 단계; (b) 키토산을 산처리하여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및 상기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블렌딩하여 이온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 나노입자에 관한 것이다.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는 암으로서 2015년까지 계속해서 사망률 1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높은데, 이에 따라 암의 발생을 낮출 수 있는 항암물질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의 하버드 대학의 연구진은 해조류를 섭취하는 일본의 경우, 유방암 발생률이 미국의 1/6에 불과하다는 결과를 발표하였는데, 이에 따라 해조류 유래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갈조류에 속하는 다시마는 알지네이트, 라미나린, 만니톨, 후코이단 등의 다당류, 식이성 섬유질, 무기질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후코이단은 4번째 탄소에 황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복합 황산 다당류로서, 상기 황산기에 의하여 다양한 약물학적인 효과를 가진다.
후코이단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규명됨에 따라 후코이단을 활용하여 의약품, 화장품, 식품 등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8900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5592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21998호)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후코이단을 약물 또는 약물 전달체로 사용하는 경우 후코이단의 높은 수용성으로 인해 약물이 빨리 방출되어 효율적인 약물 또는 약물 전달체로 사용될 수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8900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5592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21998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이온을 갖는 키토산과 음이온을 갖는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을 반응시켜 이온 복합체를 제조함으로써, 후코이단의 용해도를 조절하여 후코이단의 서방형 방출을 유도할 수 있는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코이단의 수용성 특성을 조절함으로써, 후코이단이 서서히 방출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장품, 의약품, 식품 등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복합 나노입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후코이단과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을 제조하는 단계; (b) 키토산을 산처리하여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및 상기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블렌딩하여 이온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은 메타크릴릭 안하이드라이드(methacrylic anhydride),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및 아크릴산(acrylic acid)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후코이단과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중량비가 1:2~1: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키토산의 분자량이 3,000~5,000Da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 나노입자는 코어에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이 존재하고, 상기 코어의 표면에 양이온화 된 키토산이 존재하며, 상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및 상기 양이온화 된 키토산은 이온 결합을 통하여 이온 복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복합 나노입자의 직경은 100~300n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이온을 갖는 키토산과 음이온을 갖는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을 반응시켜 이온 복합체를 제조함으로써, 후코이단의 용해도를 조절하여 후코이단의 서방형 방출을 유도할 수 있는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코이단의 수용성 특성을 조절함으로써, 후코이단이 서서히 방출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장품, 의약품, 식품 등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복합 나노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의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a)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b) 후코이단, (c) 메타크릴릭 안하이드라이드.
도 2는 본 발명의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온 복합체의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a) 이온 복합체, (b) 플루로닉, (c)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d) 양이온화 된 키토산.
도 4는 본 발명의 이온 복합체의 UV-Vis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온 복합체의 TGA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온 복합체의 DLS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온 복합체의 TEM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온 복합체의 EDS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a) 후코이단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을 제조하는 단계; (b) 키토산을 산처리하여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및 상기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블렌딩하여 이온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이온을 갖는 키토산과 음이온을 갖는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을 반응시켜 이온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로부터 복합 나노입자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복합 나노입자는 코어에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이 존재하고, 상기 코어의 표면에 양이온화 된 키토산이 존재하며, 상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및 상기 양이온화 된 키토산은 이온 결합을 통하여 이온 복합체를 형성한다.
후코이단은 항암, 항바이러스, 항종양성, 항산화, 항염증 등의 효과를 가지므로 이를 약물 또는 약물 전달체로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후코이단은 수용성으로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높아 인체 내에서 빨리 소실되어 약물 또는 약물 전달체로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출원인은 후코이단과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을 제조하고, 상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의 표면에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이온 결합시켜 이온 복합체를 제조함으로써, 후코이단의 용해도를 조절하여 후코이단의 서방형 방출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출원인은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양이온화 된 키토산의 이온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로부터 복합 나노입자를 제조함으로써, 후코이단의 수용성 특성을 조절할 수 있고, 후코이단이 서서히 방출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장품, 의약품, 식품 등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후코이단의 분자량은 30,000~50,000Da 인 것이 바람직하며, 분자량이 30,000Da 미만인 경우 후코이단의 수용성을 저하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분자량이 50,000Da을 초과하는 경우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과 균일한 혼합을 할 수 없어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없다.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은 메타크릴릭 안하이드라이드(methacrylic anhydride),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및 아크릴산(acrylic acid)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후코이단과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을 제조하는데, 상기 후코이단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중량비는 1:2~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코이단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중량비가 1:2 미만인 경우 양이온화 된 키토산과 충분한 이온 결합을 형성할 수 없고, 중량비가 1:5를 초과하는 경우 후코이단의 수용성 특성을 쉽게 조절할 수 없다.
상기 (a) 단계는 후코이단과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30~80℃에서 2~10시간 반응시켜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을 제조하는데, 이때 반응물의 pH는 6~9의 수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물의 pH는 수산화나트륨, 아민, 암모니아 등의 염기성 화합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반응물의 pH가 상기 수치범위를 갖는 경우 수용성 특성이 조절된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키토산을 산처리하여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키토산과 염산, 황산, 질산, 아세트산 등의 산성 화합물을 20~80℃에서 2~15시간 반응시켜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제조한다.
키토산의 분자량은 3,000~5,000Da 인 바람직하며, 분자량이 3,000Da 미만인 경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의 표면에 이온 복합체를 형성하기 어렵고, 분자량이 5,000Da을 초과하는 경우 후코이단의 서방형 특성을 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키토산 및 산성 화합물의 중량비는 1:2~1:5 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비가 1:2 미만인 경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과 충분한 이온결합을 형성할 수 없고, 중량비가 1:5를 초과하는 경우 키토산의 기계적, 열적 특성이 저하된다.
키토산과 산성 화합물은 pH 3~5에서 반응을 진행한 후, pH 6~8로 중화시켜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제조한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및 상기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블렌딩하여 이온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제조된 이온 복합체로부터 복합 나노입자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복합 나노입자는 코어에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이 존재하고, 상기 코어의 표면에 양이온화 된 키토산이 존재하며, 상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및 상기 양이온화 된 키토산은 이온 결합을 통하여 이온 복합체를 형성한다.
상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및 상기 양이온화 된 키토산의 중량비는 40:60~80:2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비가 40:60 미만인 경우 복합 나노입자의 열적,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고, 중량비가 80:20을 초과하는 경우 후코이단의 서방형 특성을 발현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및 상기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블렌딩하는 동안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된 복합 나노입자는 균일한 크기를 유지할 수 있고, 후코이단의 서방형 특성이 안정적으로 발현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PPO-PEO) 블록 공중합체,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등이고,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상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후코이단의 서방형 특성이 발현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합 나노입자는 코어에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이 존재하고, 상기 코어의 표면에 양이온화 된 키토산이 존재하며, 상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및 상기 양이온화 된 키토산은 이온 결합을 통하여 이온 복합체를 형성한다.
후코이단과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을 제조하고, 상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의 표면에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이온 결합시켜 이온 복합체를 제조함으로써, 후코이단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감소시켜 후코이단이 인체 내에서 서서히 방출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복합 나노입자의 직경은 100~300nm 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수치범위 이내에서 후코이단의 서방형 특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의 합성
증류수에 분자량이 40,000Da 인 4%(W/V)의 후코이단 및 12%(V/V)의 메타크릴릭 안하이드라이드를 넣고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은 50℃에서 6시간 동안 진행하였으며, 이때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8로 조절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후 미반응 메타크릴릭 안하이드라이드를 제거하고, 10kDa의 투석막을 사용하여 투석하였다.
순도를 높이기 위해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80℃에서 동결건조를 72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수득한 파우더 형태의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은 4℃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양이온화 된 키토산의 제조
분자량이 4,000Da인 키토산 및 염산 수용액을 반응시켜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제조하였다.
키토산 및 염산의 중량비는 1:3으로 조절하였으며, 반응은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이때 반응물의 pH는 3.5로 유지하였고, 반응이 종료된 후에 pH를 7로 조절하여 중화시켰다.
(실시예 3)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및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70:30의 중량비로 블렌딩하였다.
블렌딩한 반응물을 10kDa 의 투석막을 사용하여 투석한 후, 증류수에서 12시간 동안 고체화하였다.
블렌딩 시에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100중량부에 대하여 Pluronic(PEO-PPO-PEO 블록 공중합체) 5중량부를 첨가한 후, 72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수행하였다.
합성된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과 KBr을 1:100(W/W)의 비율로 혼합한 후 얇은 필름으로 제조한 다음, 4,000~500 cm-1 범위에서 4 cm-1 간격으로 64회 반복 측정된 FT-IR 스펙트럼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은 후코이단과 메타크릴릭 안하이드라이드에서 보이는 피크를 모두 나타내고 있다. 특히, 1250-1257cm-1 부근에서 S=O asymmetric stretching 피크를 확인함으로써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이 합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합성된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을 D2O에 50℃에서 분산시켜 1H-NMR(400MHz)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합성된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은 메타크릴레이트기와 후코이단에 해당하는 피크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이온 복합체의 확인을 위해 FT-IR, UV-Vis spectrometry(자외선-가시광선 분광기)를 사용하였다.
성분분석을 위해 TGA(Thermo Gravimetric Analysis, 열 중량 분석기)와 EDS(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에너지 분산형 분석법)를 사용하였다.
제조한 이온 복합체의 형태 및 크기 분석을 위해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투과 전자현미경), DLS(Dynamic Light Scattering, 동적 광 산란)을 사용하였다.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과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반응시켜 이온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이온 복합체의 확인을 위해 이온 복합체와 KBr을 1:100(W/W)의 비율로 혼합한 후 얇은 필름으로 제조한 뒤 4,000-500cm-1 범위에서 4 cm-1 간격으로 64회 반복 측정된 FT-IR 스펙트럼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이온 복합체의 작용기를 확인함으로써 이온 복합체가 합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조한 이온 복합체를 물에 분산시켜 UV-Vis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조된 이온 복합체는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에 비해 blue shift가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도 5는 이온 복합체의 TGA 결과를 나타내며, 제조된 이온 복합체는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이 먼저 분해되고, Pluronic이 나중에 분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Pluronic으로 인해 이온 복합체의 열 안정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조한 이온 복합체를 물에 분산시켜 DLS를 측정하였으며,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조한 이온 복합체의 직경은 194.12nm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복합 나노입자의 직경은 150-250nm 사이에서 높은 밀도 값을 보였다. 또한 이온 복합체의 제조 시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을 감싸는 양이온화 된 키토산에 의하여 ζ-potential 값이 양으로 측정됨을 확인하였다.
제조한 이온 복합체를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물에 분산시켜 TEM 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조된 이온 복합체는 구 형태를 띠며, 평균 200nm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제조한 이온 복합체를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물에 분산시켜 EDS를 측정하였다.
EDS 측정을 통하여, 제조된 이온 복합체의 성분 원소로 Carbon(70.99%), Nitrogen(2.02%), Oxygen(18.97%), Sulfur(2.07%)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8).
(실시예 4)
분자량이 20,000Da 인 후코이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분자량이 60,000Da 인 후코이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후코이단 및 메타크릴릭 안하이드라이드의 중량비를 1:1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후코이단 및 메타크릴릭 안하이드라이드의 중량비를 1:6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분자량이 2,000Da 인 키토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분자량이 6,000Da 인 키토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및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30:70의 중량비로 블렌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및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90:10의 중량비로 블렌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분자량이 40,000Da 인 후코이단을 사용하였다.
(누적 방출량)
제조된 복합 나노입자 4㎎을 EP tube에 투입하고, 증류수를 첨가한 후, 37℃로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50rpm의 속도로 교반을 유지하였다.
용해검사는 침지 후 1, 3, 7, 14, 21, 28, 35일 경과 시점에서 수행하였으며, 정해진 시간마다 12,000rpm으로 3분간 원심 분리하여 고형의 복합 나노입자를 가라앉힌 다음, 전체 상층액을 채취하고 다시 새로운 증류수를 교환해주는 방법으로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증류수로 용출된 약물의 분석을 위해 UV/VIS spectrometer(Lambda 14, PERKIN ELMER, USA)를 사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누적 방출량이 80%에 도달하는 경과 시점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경과 시점(일)
실시예 3 31
실시예 4 24
실시예 5 26
실시예 6 25
실시예 7 26
실시예 8 21
실시예 9 25
실시예 10 22
실시예 11 26
비교예 1 11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3 내지 11은 후코이단의 방출이 서서히 진행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3의 경우 서방형 특성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후코이단의 방출이 빠르게 일어남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a) 후코이단과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을 제조하는 단계;
    (b) 키토산을 산처리하여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및 상기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혼합하여 이온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은 메타크릴릭 안하이드라이드(methacrylic anhydride),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및 아크릴산(acrylic acid)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a) 단계는 후코이단과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중량비가 1:2~1:5 이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및 상기 양이온화 된 키토산의 중량비는 40:60~80:20 이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및 상기 양이온화 된 키토산을 혼합하는 동안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첨가하고,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PPO-PEO) 블록 공중합체이고,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상기 메타크릴화 된 후코이단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키토산의 분자량이 3,000~5,000D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70184361A 2017-12-29 2017-12-29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102023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361A KR102023550B1 (ko) 2017-12-29 2017-12-29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361A KR102023550B1 (ko) 2017-12-29 2017-12-29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659A KR20190081659A (ko) 2019-07-09
KR102023550B1 true KR102023550B1 (ko) 2019-09-20

Family

ID=6726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361A KR102023550B1 (ko) 2017-12-29 2017-12-29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5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705B1 (ko) * 2023-08-07 2023-12-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후코이단을 담지한 나노입자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5926A (ko) 2011-11-21 2013-05-29 태림상사 (주) 고순도 후코이단의 추출 방법
KR20140089000A (ko) 2012-12-31 2014-07-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저분자화된 후코이단의 제조방법
KR101721998B1 (ko) 2016-08-16 2017-03-31 (주)한국바이오엔지니어링 이미, 이취, 및 염분 제거를 위한 반용매 정제기술이 적용된 후코이단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121(1), 73-83, 2015.07.02
Tissue Engineering Parte A, 21(S1), A204, 2015. 08.28.
한국공업학회, 21권 2호, p.307, 2017. 11. 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659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o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1-naphthylacetic acid–silica conjugated nanospheres for enhancement of controlled-release performance
Son et al. Anticancer activity of drug-loaded calcium phosphate nanocomposites against human osteosarcoma
EP2878401B1 (en) Method for preparing noble metal nanoparticles
US9624237B2 (en) Oridonin functionalized selenium nanoparticles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Zhang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elenium nanoparticles decorated by Spirulina platensis polysaccharide
Liu et al. Facile and green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in quaternized carboxymethyl chitosan solution
Hussein et al. The efficiency of blackberry loaded AgNPs, AuNPs and Ag@ AuNPs mediated pectin in the treatment of cisplatin-induced cardiotoxicity in experimental rats
KR101344051B1 (ko) 금나노입자의 제조방법
Laksee et al. New organic/inorganic nanohybrids of targeted pullulan derivative/gold nanoparticles for effective drug delivery systems
Matar et al. Antibacterial efficiency of silver nanoparticles-loaded locust bean gum/polyvinyl alcohol hydrogels
Akturk et al. Synthesis and antifungal activity of soluble starch and sodium alginate capped copper nanoparticles
CN108452317A (zh) 一种基于果胶/阿霉素结合物的载药纳米粒子及其制备方法
KR102023550B1 (ko) 후코이단을 이용한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Irshad et al. Silver nano-particles: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by using glucans extracted from Pleurotus ostreatus
Kaid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using alginate from the brown seaweed laminaria ochroleuca: structural features and antibacterial activity
Lesnichaya et al. Synthesis and comparative assessment of antiradical activity, toxicity, and biodistribution of κ‐carrageenan‐capped selenium nanoparticles of different size: in vivo and in vitro study
Zhang et al. An engineered, self-propelled nanozyme as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er
KR101958624B1 (ko) 전이금속 나노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이금속 나노 입자
KR20150080346A (ko) 키토산-은 나노 복합물의 제조방법 및 그 나노 복합물을 이용한 항균성 종이의 제조방법
Minzanova et al. New metal complexes of citrus pectin with magnesium ions: synthesis, properties,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CN113261566B (zh) 一种碱式次氯酸镁负载金属有机框架抑菌剂的制备方法
Rhim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biopolymer agar mediated gold nanoparticles
Lyalina et al. Obtaining of metal nanoparticles using reducing agents and chitosan
Shweta et al. Novel nanocomposites with selective antibacterial action and low cytotoxic effect on eukaryotic cells
Liu et al. Fabrication of self-assembled micelles based on amphiphilic oxidized sodium alginate grafted oleoamine derivatives via Schiff base reduction amination reaction for delivery of hydrophobic food active ingred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