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173B1 -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 - Google Patents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173B1
KR102023173B1 KR1020170096875A KR20170096875A KR102023173B1 KR 102023173 B1 KR102023173 B1 KR 102023173B1 KR 1020170096875 A KR1020170096875 A KR 1020170096875A KR 20170096875 A KR20170096875 A KR 20170096875A KR 102023173 B1 KR102023173 B1 KR 102023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mall
ticket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000A (ko
Inventor
김진섭
정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찹스틱스와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찹스틱스와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찹스틱스와이드
Priority to KR1020170096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173B1/ko
Publication of KR20190013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몰에 가입한 회원들에게 QR코드를 자동 발급함으로써, 회원들은 단순히 플랫폼이 제공하는 QR코드를 스캔함에 따라 쇼핑몰의 접속부터 상품의 정보, 결제, 배송, 판매 등 전자상거래를 위한 일련의 행위를 쉽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들에게 가입신청서를 제공하며 가입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에 한하여 가입을 승인함과 동시에 개인정보 QR티켓을 제공하는 회원 관리서버(S10);와, 개인정보 QR티켓을 바탕으로 사용자를 판매자와 구매자로 구분하고, 판매자에게 입점몰과 판매상품에 관련된 판매자용 QR티켓을 발권하고, 구매자에게 구매한 상품에 대한 구매자용 QR티켓을 발권하는 매매몰 관리서버(S20);와, 회원 관리서버 및 매매몰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판매자의 판매정보와 구매자의 구매정보 및 발권한 QR티켓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정보와 QR티켓들을 일괄적으로 보관하여 빅데이터화 하는 QR코드 관리서버(S30);로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QR티켓을 QR리더기로 스캔함으로써 플랫폼에 접속하여 상품을 거래하는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QR Code Integration Platform}
본 발명은 특정업체 또는 특정 이용자들에게 전자 상거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몰에 가입한 회원들에게 QR코드를 자동 발급함으로써, 회원들은 단순히 플랫폼이 제공하는 QR코드를 스캔함에 따라 쇼핑몰의 접속부터 상품의 정보, 결제, 배송, 판매 등 전자상거래를 위한 일련의 행위를 쉽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오프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비해 중간 유통단계, 점포 임대료, 기타 매장 유지비용 등이 적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가격이 더욱 저렴하다. 특히, 근래에는 하나의 쇼핑 포털 사이트에 다양한 브랜드가 참가하여 서로 가격을 비교함으로써 가장 저렴하게 상품을 판매하는 방식의 소셜 커머스가 유행이다.
한편, 위의 소셜 커머스는 이용자들에게 더욱 많은 혜택과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65933호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서비스 제휴방법"이 게재되어 있으며, 위 종래기술은 통합쇼핑몰 도메인의 메인 홈페이지를 통해 제품 공급몰을 분양받은 기업회원이나 클라이언트 쇼핑몰을 분양받은 도매몰 또는 소매몰의 정회원이 기부회원으로 등록 가능하고, 등록된 기부회원이 피 기부회원들에게 상품 판매 대금의 일부를 기부금으로 기부하거나 물품 일부를 기부상품으로 기부할 수 있도록 구현하며 필요에 따라 유통기한이 경과하지 않도록 콜센터 서버에 의해 통제받는 배송차량을 지원도 받는다. 그리고 기부에 따른 댓가로 통합쇼핑몰에서의 공유 수익을 받거나 제휴 웹사이트 또는 통합쇼핑몰 솔루션을 지원받을 수 있고 나아가 회원관리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사상이다.
하지만, 위 종래기술은 피 기부 회원의 자격을 부여받은 특정 회원에 한해서 기부 혜택이 주어지며, 또한 기부금 또는 기부상품과 대비하여 통합쇼핑몰에서 기업회원에게 부담하는 보상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기업회원의 유치가 매우 어렵고 번거롭다. 더불어, 위 온라인 쇼핑몰은 사용법이 미숙한 이용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매우 부적절한 콘텐츠다.
이에 따라 쇼핑몰을 더욱 쉽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으며, 일례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48644호 "스마트 큐알코드를 이용한 문화관광 콘텐츠 통합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이 게재되어 있다.
위 종래기술은 이용자가 여행 중에 촬영한 동영상, 사진, 텍스트 등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을 자신이 원하는 스마트 QR코드로 생성하여 지인들에게 직접 전달하여 홍보하거나, 다수의 이용자가 생성한 스마트 QR코드를 일괄적으로 관리하는 문화관광 콘텐츠 통합 플랫폼을 형성하여 불특정 다수가 해당 콘텐츠에 참여하여 QR코드를 스캔함으로써 해당 여행지의 정보를 제공받는 기술사상이다.
하지만, 위 종래기술은 여행 중에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을 촬영한 이용자가 스마트 QR코드를 직접 생성하고 지인들에게 직접 배포하며 문화관광 콘텐츠 통합 플랫폼에 직접 등록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방식은 플랫폼의 이용능력이 뛰어남은 물론, 한국어의 이해와 구사가 능숙한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며, 위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서비스 제휴방법"과 마찬가지로 사용법이 미숙한 이용자들이나 한국어 구사가 미흡한 외국인 관광객 또는 주한 외국인이 이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또한, 위 종래기술은 문화 관광 콘텐츠에 한정된 것으로, 상품의 거래를 목적으로 하는 쇼핑몰의 기능은 찾을 수가 없다.
예컨대 우리나라에는 3개월 이상 거주하는 주한 외국인이 약 200만 명에 달하며, 이들은 잠시 방문하고 떠나는 1천만 외국인 관광객보다 더 많은 소비를 한다. 하지만, 주한 외국인들은 한국어가 미숙하여 가입이나 판매 또는 구매 절차가 까다로운 국내의 온라인 쇼핑몰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외국인과 외국인 관광객이 보다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쇼핑몰 통합 관리 플랫폼의 개발이 매우 시급하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65933호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서비스 제휴방법"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48644호 "스마트 큐알코드를 이용한 문화관광 콘텐츠 통합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되, 상품의 검색, 상품의 소개, 상품의 구매, 구매 상품의 관리 절차를 모두 간소화하여 한국어 구사능력이 미숙한 주한 외국인을 비롯해 외국인 관광객들이 보다 간편하게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하는 것이 해결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특정 조건을 갖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기능을 수렴하고 그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몰 기반의 통합 관리 플랫폼은 사용자들에게 가입신청서를 제공하며 가입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에 한하여 가입을 승인함과 동시에 개인정보 QR티켓을 제공하는 회원 관리서버(S10);와, 개인정보 QR티켓을 바탕으로 사용자를 판매자와 구매자로 구분하고, 판매자에게 입점몰과 판매상품에 관련된 판매자용 QR티켓을 발권하고, 구매자에게 구매한 상품에 대한 구매자용 QR티켓을 발권하는 매매몰 관리서버(S20);와, 회원 관리서버 및 매매몰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판매자의 판매정보와 구매자의 구매정보 및 발권한 QR티켓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정보와 QR티켓들을 일괄적으로 보관하여 빅데이터화 하는 QR코드 관리서버(S30);로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QR티켓을 QR리더기로 스캔함으로써 플랫폼에 접속하여 상품을 거래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위 회원 관리서버(S10)와 매매몰 관리서버(S20)는 QR(Quick Response)코드 기반의 OTP(One Time Password) 방식으로 개인정보 QR티켓과 판매자용 QR티켓 및 구매자용 QR티켓을 생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위 QR코드 관리서버(S30)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개인정보 및 거래정보를 암호화된 채널을 통해 전송함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가 향상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위 QR코드 관리서버(S30)에서 QR(Quick Response)코드 기반의 OTP(One Time Password)는 쇼핑, 여행, 액티비티, 커뮤니티, 관광지의 전용로고가 포함된 온라인 몰의 로고로 구성된 백그라운드에 QR(Quick Response)코드가 결합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위 OTP(One Time Password)는 사용자가 QR코드를 스캔할 때마다 온라인 몰의 로고에 포함된 쇼핑, 여행, 액티비티, 커뮤니티, 관광지 전용로고의 위치가 수시로 가변되어 개인정보 보완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비롯해 가입자의 식별 정보를 통합한 이미지 파일 스킴(Scheme)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별도의 과정없이 손쉽게 제공받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입 승인된 사용자마다 발권한 개인정보 QR티켓을 통하여 가입자가 온라인으로 구매한 상품 정보나 서비스를 스마트 단말장치와 연동하여 인증함으로써 위조나 변조에 따른 피해를 원천 방지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통합 플랫폼이 제공하는 전용 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시하는 QR코드를 식별하게 함으로써 온라인 몰의 전문성과 희귀성을 강화하고, 이로부터 이용자의 브랜드 충성도가 향상됨에 따라 입점 업체의 만족도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국어의 구사가 미숙한 주한 외국인 및 외국인 관광객이 오프라인으로 회원정보를 증빙할 필요없이 온라인으로 쉽고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어 온라인 몰 가입 시스템의 획기적인 전환이 가능한 원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전용 앱을 통해 QR코드로 이루어진 QR티켓을 자동으로 발권받고, 이를 QR리더기로 손쉽게 스캔하게 함으로써 개인정보 보안성 강화의 새로운 기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의 플로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의 전체 프로세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매자 입장에서의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 사용 프로세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판매자 입장에서의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 사용 프로세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특정업체 또는 특정 이용자들에게 전자 상거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몰에 관한 것이다.
무엇보다, 온라인 몰에 가입한 회원들에게 QR코드를 자동 발급함으로써, 회원들은 단순히 플랫폼이 제공하는 QR코드를 스캔함에 따라 쇼핑몰의 접속부터 상품의 정보, 결제, 배송, 판매 등 전자상거래를 위한 일련의 행위를 쉽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요즘 들어 장소와 시간을 불문하고 쇼핑을 간편하게 시도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몰이 성행하고 있으며, 더욱이 다양한 브랜드와 제휴 맺어 하나의 플랫폼에 다수의 기업들이 참가하여 서로 가격경쟁을 하면서 구매자들에게 더욱 값싼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콘텐츠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우리나라는 3개월 이상 거주하는 주한 외국인이 약 200만 명에 달하며, 이들은 잠시 방문하고 떠나는 1천만 외국인 관광객보다 더 많은 소비를 한다. 하지만, 주한 외국인들은 한국어가 미숙하여 가입이나 판매 또는 구매 절차가 까다로워 위와 같이 우수한 혜택을 갖는 국내의 온라인 쇼핑몰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타개하여 주한 외국인은 물론, 외국인 관광객이 국내의 온라인 쇼핑몰을 더욱 쉽게 다가올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다양한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며, 이로부터 주한 외국인과 외국인 관광객들로 하여금 더욱 많을 소비를 촉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예컨대 본 발명은 특정 조건을 갖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기능을 수렴하고 그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한다.
위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사용자들에게 가입신청서를 제공하며 가입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에 한하여 가입을 승인함과 동시에 개인정보 QR티켓을 제공하는 회원 관리서버(S10);와, 개인정보 QR티켓을 바탕으로 판매자와 구매자로 구분하고, 판매자에게 입점몰의 개설과 상품 진열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매매몰 관리서버(S20);와, 개인정보 QR티켓과, 판매자가 개설한 입점몰 및 입점몰에 등록한 상품리스트에 관련과 판매자용 QR티켓과, 판매자의 입점몰에서 상품을 결제한 구매 내역에 따른 구매자용 QR티켓을 발급하고 관리하는 QR코드 관리서버(S30); 로 구성된다.
위 회원 관리서버(S10)는 플랫폼을 대외적으로 홍보하며 회원을 유치하는 홍보단계(S11)와, 플랫폼에 접속한 이용자들에게 플랫폼 가입을 권유하는 가입 신청단계(S12)와, 가입이 완료된 회원들의 정보를 토대로 판매자 또는 구매자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회원 관리단계(S13)와, 가입된 회원들 전원에게 각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개인정보 QR티켓을 자동으로 발권하는 QR티켓 발권단계(S14)로 구성된다.
위 홍보단계(S11)는 TV, 인터넷 등의 전자매체를 더불어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 본 플랫폼을 광고하여 회원을 유치하는 것은 물론, 플랫폼에 최초 접속한 이용자들에게 본 플랫폼의 규정 및 방침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가입 신청단계(S12)은 홍보단계에서 플랫폼의 규정과 방침에 동의한 이용자에 한해서 가입신청서를 제공하여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가입 동기를 요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회원 관리단계(S13)는 가입신청서에 기재된 개인정보와 가입 동기를 바탕으로 구매자와 판매자, 개인과 기업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에 해당 회원의 정보를 저장한다.
위 QR티켓 발권단계(S14)는 회원이 가입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하고, 가입신청모듈의 판단하에 가입 승인이 인정되면 자동으로 판매자에게 판매자용 QR티켓을 발권하고, 구매자에게 구매자용 QR티켓을 각각 발권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위와 같은 과정으로 발권받은 개인정보 QR티켓은 이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 앱에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자동 배치된다.
위 매매몰 관리서버(S20)는 판매자가 개인업체와 기업업체로 구분하여 입점몰을 제공하는 입점몰 생성모듈(S21)과,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의 규모에 따라 상품 진열 공간을 제공하는 QR티켓 공급모듈(S22)을 더 포함한다.
위 입점몰 생성모듈(S21)은 판매자의 오프라인 입점몰과 해당 입점몰의 홈페이지 그리고 본 발명의 통합 플랫폼이 제공하는 온라인 입점몰을 모두 연동하여 일괄적으로 관리한다.
위 입점몰 생성모듈(S21)은 판매자에게 오프라인 입점몰 관리 QR티켓과, 홈페이지 QR티켓 그리고 통합 플랫폼이 제공하는 온라인 입점몰 QR티켓을 각각 자동 생성하여 발급하고, 판매자의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본 발명의 통합 플랫폼이 제공하는 전용 앱(이하 '전용 앱'이라 통칭함.)의 QR티켓 저장공간에 카테고리별로 저장 배치된다. 판매자는 전용 앱에 저장된 각각의 QR티켓을 선택하여 QR리더기에 스캔하면 별도의 진행 과정없이 바로 해당 사이트 또는 페이지로 이동 연결된다.
위 QR티켓공급모듈(S22)은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정보를 일괄적으로 등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판매자가 해당 공간에 등록한 각 상품에 대해 QR티켓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품별 QR티켓은 판매자의 스마트 단말기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위 상품별 QR티켓은 하나의 상품에 판매자용 QR티켓을 제공하고, 해당 상품을 구매결정한 구매자에게 구매자용 QR티켓을 제공함으로써 서로 거래의 진행에 대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다수의 상품에 일일이 QR코드를 삽입하여 관리하는 서비스는 금전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지만, 다수 브랜드의 판매기업이 참여하여 일괄적으로 관리하는 본 발명의 통합 플랫폼에서는 영세한 판매기업에서도 부담없이 해당 콘텐츠를 누릴 수 있다.
위 QR티켓 관리모듈(S22)은 각 상품의 QR코드를 생성하여 판매자에게 QR티켓을 발권하고, 생성된 QR코드를 바탕으로 해당 상품의 판매, 결제, 통계 관리를 시도할 수 있다. 더불어, 온라인은 물론 오프라인에서도 생성된 QR코드를 스캔하는 작업만으로도 손쉽게 해당 상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정보를 토대로 결제를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결제한 상품에 대해 실시간으로 배송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위 QR코드 관리서버(S30)는 회원 관리서버 및 매매몰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판매자의 판매정보와 구매자의 구매정보 및 발권한 QR티켓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메뉴별 분류모듈(S31)과, 분류된 정보와 QR티켓들을 일괄적으로 보관하여 빅데이터화 함과 더불어 사용자가 지시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 처리모듈(S32)로 구성된다.
위 메뉴별 분류모듈(S31)은 회원 관리서버 및 매매몰 관리서버와 연동함에 따라 판매자와 구매자의 개인정보를 모두 인계받아 저장하는 개인정보 관리와, 판매자의 취급 품목 및 입점몰의 상세 정보와 상품별 상세정보를 인계받아 저장하는 판매상품 관리와,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의 정보 및 결재내역을 인계받아 저장하는 구매상품 관리를 수행하고, 수집한 정보를 세분화된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관리한다.
위 명령 처리모듈(S32)은 매매몰 관리서버(S20)에서 QR티켓 공급모듈(S22)이 발권한 QR티켓을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에서 실행하여 QR리더기로 스캔함에 따라, 메뉴별 분류모듈의 빅데이터에서 해당 QR티켓의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위 명령 처리모듈(S32)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플랫폼의 전용 앱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 파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 암호화된 채널이란 QR티켓을 OTP방식으로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 OTP란 (One Time Password)의 줄임말로써 명칭 그대로 일회용 암호를 뜻하며, 통상적으로 OTP는 개인정보 보안과 본인 확인을 위해 본인 명의의 단말기나 공인 인증서를 통해서 본인을 인증하는 방식으로써, 한번 생성된 인증번호는 주어진 시간이 경과하거나 인증 어플을 재실행하면 인증 어플에서 새로 생성된 인증번호를 제공한다.
위 OTP는 본인 명의의 단말기나 공인인증서를 통해 제공되는 일련번호, 알파벳, 한글로 이루어진 문장 내지 단어 등을 사이트의 인증확인란에 정확히 기재함으로써 인증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위 방식은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법이 미숙하거나 한국어가 서툰 사용자가 이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QR코드 기반의 OTP를 개발하였다. 위 QR코드 기반 OTP란 QR코드의 백그라운드에 통합 플랫폼의 로고가 삽입되고, 삽입된 로고의 주위에 쇼핑, 여행, 액티비티, 커뮤니티, 관광지 전용로고 등의 이모티콘이 포함된다.
위와 같이 QR코드 기반의 OTP로 생성된 QR티켓은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와 동일한 QR티켓 정보가 명령 처리모듈(S32)의 QR리더기에 저장됨에 따라, 사용자가 QR리더기에 QR티켓을 인식하면 명령 처리모듈이 QR리더기로부터 전송된 QR티켓의 정보를 착출하여 QR티켓이 내포하고 있는 정보페이지를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여기에서 QR티켓은 정보의 보안을 더욱 향상하기 위해 사용자가 QR티켓 인증을 시도하거나 제한된 시간 내에 QR코드를 인식하지 않을 시 플랫폼 로고의 주위에 포함된 다수의 이모티콘 위치가 지속적으로 가변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하는 본 발명의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은 다음과 같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해 작동한다.
먼저, 회원 관리서버(S10)를 통해 플랫폼이 추구하는 조건을 갖는 회원들을 유치한다. 가입이 승인된 회원은 오프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가 적용된 QR-Code 카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QR티켓을 발권한다.
위 QR-Code 카드와 QR티켓은 각 회원의 개인정보를 내포하고 있으며, 주로 본인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개인정보 QR-Code나 개인정보 QR티켓으로 활용한다.
위와 같이 가입이 승인된 회원은 매매몰 관리서버(S20)가 가입신청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판매자와 구매자로 구분하고, 판매자에게는 입점몰의 개설 여부를 파악한 뒤, 입점몰의 개설을 요청한 판매자에 한해서 입점몰의 개설권한과 해당 입점몰에 대한 QR티켓을 발권함과 더불어 입점몰의 정보와 QR티켓의 코드값을 QR코드 관리서버(S30)에 수집하여 일괄적으로 관리한다. 또한, 입점몰에 등록한 상품마다 자동으로 QR코드를 생성한 뒤 QR코드 값은 QR코드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보관하고, QR코드는 판매자에게 제공한다.
위와 같이 형성된 입점몰에 구매자가 접속하여 원하는 상품의 QR코드를 스캔하면 암호화된 QR코드가 QR코드 관리 서버로 전송된 후 코드 해독장치로 전송하며, 해독장치가 암호화된 QR코드를 해석하여 QR코드 관리 서버로 해독된 값을 재전송한다.
그리고 QR코드 관리 서버(S30)는 해독된 값을 산출하여 정상으로 등록된 정보 여부를 파악한 뒤 구매자의 스마트 단말기에 해당 상품의 구매의사 또는 결제 안내를 실시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 구축방법에 의하면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비롯해 가입자의 식별 정보를 통합한 이미지 파일 스킴(Scheme)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별도의 과정없이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가입 승인된 사용자마다 발권한 개인정보 QR티켓을 통하여 가입자가 온라인으로 구매한 상품 정보나 서비스를 스마트 단말장치와 연동하여 인증함으로써 위조나 변조에 따른 피해를 원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합 플랫폼이 제공하는 전용 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시하는 QR코드를 식별하게 함으로써 온라인 몰의 전문성과 희귀성을 강화하고, 이로부터 이용자의 브랜드 충성도가 향상됨에 따라 입점 업체의 만족도가 극대화되며, 한국어의 구사가 미숙한 주한 외국인 및 외국인 관광객이 오프라인으로 회원정보를 증빙할 필요없이 온라인으로 쉽고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어 온라인 몰 가입 시스템을 획기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전용 앱을 통해 QR코드로 이루어진 QR티켓을 자동으로 발권받고, 이를 QR리더기로 손쉽게 스캔하게 함으로써 개인정보 보안성 강화의 새로운 기준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 회원 관리서버 S20. 매매몰 관리서버
S30. QR코드 관리서버

Claims (3)

  1. 사용자들에게 가입신청서를 제공하며 가입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에 한하여 가입을 승인함과 동시에 개인정보 QR티켓을 제공하는 회원 관리서버(S10);와, 개인정보 QR티켓을 바탕으로 사용자를 판매자와 구매자로 분류하여 판매자에게 입점몰과 판매상품에 관련된 판매자용 QR티켓을 발권하고, 구매자에게 구매한 상품에 대한 구매자용 QR티켓을 발권하는 매매몰 관리서버(S20);와, 회원 관리서버 및 매매몰 관리서버와 연동되어 판매자의 판매정보와 구매자의 구매정보 및 발권한 QR티켓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정보와 QR티켓들을 일괄적으로 보관하여 빅데이터화 하는 QR코드 관리서버(S30);로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QR리더기로 QR티켓을 스캔함으로써 플랫폼에 접속하여 상품을 거래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에 있어서,
    위 회원 관리서버(S10)는 플랫폼을 대외적으로 홍보하여 회원을 유치하는 홍보단계(S11)와, 플랫폼이 요구하는 조건과 일치하는 사용자들에 한하여 가입을 권유하는 가입 신청단계(S12)와, 사용자들의 가입정보를 토대로 판매자와 구매자로 분류하는 회원 관리단계(S13)와, 분류된 정보에 따라 개인정보 QR티켓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QR티켓 발권단계(S14)를 거쳐 개인정보 QR티켓을 생성하고,
    위 매매몰 관리서버(S20)는 판매자의 오프라인 입점몰 홈페이지와 통합 플랫폼이 제공하는 온라인 입점몰을 상호 연동시키고, QR리더기로 판매자용 QR티켓을 스캔하여 연동된 입점몰들을 일괄 관리하게 하는 입점몰 생성모듈(S21)과, 판매자의 상품을 온라인 입점몰에 등록함과 동시에 해당 상품의 QR코드를 부여하고, 부여된 QR코드를 복수의 기업과 공유하여 동일 상품에 대한 금액 설정과 결제방식을 통계내어 업체별 가격편차를 최소화하는 QR티켓 공급모듈(S22)을 포함하고,
    위 QR코드 관리서버(S30)는 쇼핑, 여행, 액티비티, 커뮤니티, 관광지의 전용로고와 통합 관리 플랫폼의 대표 로고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백그라운드 이미지를 QR(Quick Response)코드 기반의 OTP(One Time Password)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QR코드를 스캔할 때마다 백그라운드 이미지나 위치가 수시로 가변되어 개인정보를 보안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
  2. 삭제
  3. 삭제
KR1020170096875A 2017-07-31 2017-07-31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 KR102023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75A KR102023173B1 (ko) 2017-07-31 2017-07-31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75A KR102023173B1 (ko) 2017-07-31 2017-07-31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000A KR20190013000A (ko) 2019-02-11
KR102023173B1 true KR102023173B1 (ko) 2019-09-19

Family

ID=6537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875A KR102023173B1 (ko) 2017-07-31 2017-07-31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874B1 (ko) * 2020-09-18 2021-05-28 주식회사 팀즈아이앤씨 맞춤형 o4o 서비스 구축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417B1 (ko) * 2021-08-10 2022-10-14 컨시 주식회사 소상공인간 물품 거래 및 안전 거래를 위한 에스크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933B1 (ko) 2008-05-30 2008-10-29 권영춘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서비스 제휴 방법
KR20100036502A (ko) * 2008-09-30 2010-04-08 주식회사 신한은행 상품고유정보를 이용한 금융상품 투자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048644B1 (ko) 2010-11-04 2011-07-13 한국문화관광콘텐츠개발(주) 스마트 큐알코드를 이용한 문화관광 콘텐츠 통합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GB201119375D0 (en) * 2011-11-10 2011-12-21 Merburn Ltd Financial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874B1 (ko) * 2020-09-18 2021-05-28 주식회사 팀즈아이앤씨 맞춤형 o4o 서비스 구축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000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1695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network based on uniform code issuance, method therefor, and sensing access device
US201503481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etplace software platform
US20200219152A1 (en) Systems for Integrating Online Reviews with Point of Sale (POS) OR EPOS (Electronic Point of Sale) System
US201501274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dynamic prices
CN114757793A (zh) 一种基于场景接入的信息处理方法、服务器及设备
US20210133790A1 (en) Marketing Based Privacy Credits Using Conventional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US20160005012A1 (en) Consolidated platform for selling tickets
US9508093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gifting
WO2015042470A9 (en) System and method for purchasing by social network status update or post
US2017028701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n advertisement-based electronic transaction
Alqahtani et al. Exploratory Study of M‐Transaction: User's Perspectives
CA295929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transactions based on a reply message
Tu et al. Cross-border E-commerce: A new driver of global trade
KR102023173B1 (ko)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
Romagnoli et al. Why Promoting Online in a Global Electronic Marketplace Is a Successful Strategy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The Alibaba Group Holding Business Model
CN111819826B (zh) 地址交换系统和方法
Bhattacharya et al. Determinants of consumer perceptions of the ethics of online retailers: an investigation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JP2012141997A (ja) ネットシステム
Hendrian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Fashion Store “Demi Outfits” Based on Android
Boczko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Virtual World
Rajesh et al. E-commerce websites/blogs-hassles and predicaments
GARAYEV et al. Ministry of Education of Azerbaijan Republic
Trauboth Platform Business Models of Online Marketplaces
Jia Analyzing the Chinese online-to-offline business dynamics: Case: Alibaba Group's Alipay
Meghe Benefits and Barriers of E-commerce Dr Kulbhushan Megh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