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465B1 -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for implant drilling training - Google Patents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for implant drilling trai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465B1
KR102022465B1 KR1020180009195A KR20180009195A KR102022465B1 KR 102022465 B1 KR102022465 B1 KR 102022465B1 KR 1020180009195 A KR1020180009195 A KR 1020180009195A KR 20180009195 A KR20180009195 A KR 20180009195A KR 102022465 B1 KR102022465 B1 KR 102022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ness
block
alveolar bone
anterior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1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0477A (en
Inventor
권순성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9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465B1/en
Priority to CN201980009363.2A priority patent/CN111630581B/en
Priority to PCT/KR2019/001078 priority patent/WO2019147062A1/en
Publication of KR2019009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4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4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dentistry or oral 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임플란트용 홀의 드릴링 실습에 이용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에 있어서, 하악 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1 경도 범위를 가지는 제1 블록; 하악 후방의 경도 및 상악 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2 경도 범위를 가지며, 제1 블록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2 블록; 그리고, 상악 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3 경도 범위를 가지며, 제2 블록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3 블록;을 포함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set of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s, which are used for drilling practice of an implant hole, comprising: a first block having a first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mandible anterior; A second block having a second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lower back and the hardness of the maxillary anterior, and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block; And a third block having a third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maxillary posterior region and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block.

Description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을 위한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FOR IMPLANT DRILLING TRAINING}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for implant drilling practice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FOR IMPLANT DRILLING TRAINING}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을 위한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조골의 해부학적 구조에 부합하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을 위한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generally relates to a set of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s for implant drilling pract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t of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s for implant drilling practice that conforms to the anatomy of the alveolar bone.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뼈 밀도(Bone Density) 내지 치조골 밀도의 분류와 관련하여, Lekholm & Zarb Classification, Misch Bone Density Classification 등이 알려져 있다(Reference and Techniques used in Alveolar Bone Classification; JBR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Medicine and Dental Science, Seriwatanachai D, et al., J Interdiscipl Med Dent Sci 2015, 3:2).Regarding the classification of bone density to alveolar bone density, Lekholm & Zarb Classification, Misch Bone Density Classification, etc. are known (Reference and Techniques used in Alveolar Bone Classification; JBR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Medicine and Dental Science, Seriwatanachai D, et al., J Interdiscipl Med Dent Sci 2015, 3: 2).

도 1은 종래의 뼈 밀도 분류의 예를 나타내는 표로서, Lekholm & Zarb 분류에 따르면, 뼈 밀도는 4개의 그룹으로 나뉘며, Type 1은 균질한 골피질(Cortical bone)로 이루어진 뼈를 나타내고, Type 2는 두꺼운 골피질과 해면골(Trabecular bone)로 이루어진 뼈를 나타내며, Type 3은 얇은 골피질과 조밀한 해면골로 이루어진 뼈를 나타내고, Type 4는 매우 얇은 골피질과 밀도가 낮은 해면골로 이루어진 뼈를 나타낸다. Misch 분류는 Lekholm & Zarb 분류에 비해 감각적이고 직관적인 분류이며, D1은 떡갈나무나 단풍나무 정도의 밀도 내지 경도를 나타내고, D2는 소나무나 가문비나무 정도의 밀도 내지 경도를 나타내고, D3은 발사목 정도의 밀도 내지 경도를 나타내며, D4는 스티로폼 정도의 밀도 내지 경도를 나타낸다. 1 is a table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one density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Lekholm & Zarb classification, the bone density is divided into four groups, Type 1 represents a bone consisting of a homogeneous cortical bone, Type 2 Represents a bone consisting of thick cortical and trabecular bones, Type 3 represents a bone consisting of a thin cortical and dense spongy bone, Type 4 represents a bone consisting of a very thin cortical and a low density of spongy bone. The Misch classification is sensory and intuitive compared to the Lekholm & Zarb classification, where D1 represents the density or hardness of oak or maple, D2 represents the density or hardness of pine or spruce, and D3 represents the balsa. The density to the hardness of, and D4 represents the density to the hardness of the styrofoam.

도 2는 해당 Misch 분류를 표시한 턱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악 전방(11)은 주로 D3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며, 드물게 D2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악 후방(12)은 주로 D4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며, Sinus grafting 등의 경우에 D3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악 전방(21)은 주로 D2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며, resorbed anterior mandible에서는 25% 정도가 D1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악 후방(22)은 주로 D3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며, 드물게 D2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와 같이, 4개의 그룹(D1,D2,D3,D4)으로 분류되고 나무로 된 블록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드릴링을 실습하는 경우에, 턱뼈 내지 치조골의 실제 상태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는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D2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는 블록(예: 소나무 블록 또는 가문비나무 블록)에 드릴링을 행하는 경우에, D2의 밀도 내지 경도는 주로 하악 전방(21)에 해당하지만, 하악 후방(22)과 상악 전방(11)의 턱뼈의 일부도 여기에 해당하므로, 실습자가 이 블록을 턱뼈의 해당 부분 내지 치조골의 해부학적 구조와 매칭을 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또 D3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는 블록(예: 발사목 블록)에 드릴링을 행하는 경우에, D3의 밀도 내지 경도는 주로 상악 전방(11)과 하악 후방(22)에 해당하지만, 상악 후방(12)의 턱뼈의 일부도 여기에 해당하므로, 마찬가지로 실습자가 이 블록을 턱뼈의 해당 부분 내지 치조골의 해부학적 구조와 직관적으로 매칭을 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Misch 분류는 나무를 기준으로 뼈의 밀도 내지는 경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나무의 나이, 나무의 건조 상태, 나무의 부위(중심부냐 외측부냐) 등에 따라 일관된 특성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아, 실제 치조골에 드릴링할 때의 느낌을 실습의 과정에 느끼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을 가진다. 즉, 지나치게 세분화되고, 또 이렇게 세분된 블록들이 재현성 내지 일관성을 갖지 않아, 실습의 과정에서 치조골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이들의 밀도 내지 경도를 느끼면서 드릴링을 실습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을 가진다.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jawbone indicating the Misch classification, wherein the maxillary anterior 11 mainly has a density to hardness of D3, and is rarely known to have a density to hardness of D2. The maxillary posterior 12 is mainly known to have a density to hardness of D4, and in the case of Sinus grafting or the like, it is known to have a density to hardness of D3. The mandibular anterior 21 is mainly known to have a density or hardness of D2, and 25% of the resorbed anterior mandible is known to have a density or hardness of D1. The mandibular posterior 22 is primarily known to have a density to hardness of D3, and rarely a density to hardness of D2. As conventionally, when practicing implant drilling using wooden block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D1, D2, D3, and D4), problems arise in intuitively understand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jaw or alveolar bone. It can be seen that. That is, when drilling to a block having a density or hardness of D2 (for example, a pine block or a spruce block), the density or hardness of D2 mainly corresponds to the mandibular anterior 21, but the mandibular posterior 22 and the maxilla Since a part of the jawbone of the anterior 11 corresponds to this, it is difficult for the practitioner to match this block with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jawbone or the alveolar bone. In addition, when drilling to a block having a density or hardness of D3 (for example, a balsa wood block), the density or hardness of D3 mainly corresponds to the maxillary anterior 11 and the mandibular posterior 22, but the maxillary posterior 12 Since the part of the jaw bone of this also corresponds, it is difficult for the practitioner to intuitively match this block with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jaw bone or alveolar bone. In addition, the Misch classification represents bone density or hardness based on the tree, which is not easy to maintain consist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age of the tree, the dryness of the tree, and the area of the tree (center or outside). It is difficult to feel the feeling when drilling in the course of practice. That is, the blocks that are too subdivided and subdivided in this way do not have reproducibility or consistency, and thus, it is difficult to practice drilling while feeling their density or hardness according to the anatomy of the alveolar bone during the course of practice.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This is described later in the section titled 'Details of the Invention.'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provided that this is a summary of the disclosure.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임플란트용 홀의 드릴링 실습에 이용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에 있어서, 하악 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1 경도 범위를 가지는 제1 블록; 하악 후방의 경도 및 상악 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2 경도 범위를 가지며, 제1 블록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2 블록; 그리고, 상악 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3 경도 범위를 가지며, 제2 블록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3 블록;을 포함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set of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s, which is used for drilling practice of an implant hole, a first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mandible anterior block; A second block having a second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lower back and the hardness of the maxillary anterior, and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block; And, there is provided a set of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including a third block having a third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maxillary rear, and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e hardness of the second block.

본 개시에 따른 다른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임플란트용 홀의 드릴링 실습에 이용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에 있어서, 하악 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1 경도 범위를 가지며, 밀도와 경도가 동일한 제1 블록; 하악 후방의 경도 및 상악 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2 경도 범위를 가지며, 제1 블록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고, 밀도와 경도가 동일한 제2 블록; 그리고, 상악 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3 경도 범위를 가지며, 제2 블록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3 블록;을 포함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set of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s, used for drilling practice of an implant hole, having a first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mandible anterior, A first block having the same hardness as the first block; A second block having a second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lower back and the hardness of the maxillary anterior,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block, and having the same density and hardness; And, there is provided a set of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including a third block having a third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maxillary rear, and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e hardness of the second block.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This is described later in the section titled 'Details of the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뼈 밀도 분류의 예를 나타내는 표,
도 2는 해당 Misch 분류를 표시한 턱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table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one density classifica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jawbone showing the Misch classification,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는 하악 전방(21)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1 경도 범위를 가지는 제1 블록(10), 하악 후방(22)의 경도 및 상악 전방(11)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2 경도 범위를 가지며, 제1 블록(10)의 경도(H; 예: 85, 75)보다 낮은 경도(N; 예: 65, 50)를 가지는 제2 블록(20) 그리고, 상악 후방(12)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3 경도 범위를 가지며, 제2 블록(20)의 경도(N)보다 낮은 경도(S; ; 제2 경도범위의 하한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족함)를 가지는 제3 블록(30)을 포함한다. 밀도 내지 경도에 따른 치조골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응하도록 블록 세트를 3개의 블록(10,20,30)으로 구성하였다. 예를 들어, 블록은 (30mmx85mmx19mm)의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has a first block 10, a mandible having a first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mandible anterior 21 Have a second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posterior 22 and the hardness of the maxillary anterior 11 and have a hardness lower than the hardness H of the first block 10 (e.g. 85, 75) (e.g. 65). And a second block 20 having a 50 and a third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maxillary posterior 12 and having a hardness S lower than the hardness N of the second block 20; And a third block 30 having a value smaller than the lower limit of the hardness range. The block set was composed of three blocks (10, 20, 30) to correspond to the anatomy of the alveolar bone according to the density to hardness. For example, the block may be manufactured in the size of (30 mm x 85 mm x 19 mm).

제1 블록(10)은 치조골 내에서 가장 높은 경도를 가지는 하악 전방(21)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며, 제2 블록(20)은 중간 정도의 경도를 가지는 하악 후방(22) 및 상악 전방(11)에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제3 블록(30)은 가장 낮은 경도를 가지는 상악 후방(12)에 대응하는 경도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실습자가 실제 치조골의 위치와 그에 따른 밀도 내지 경도를 매칭한 상태에서 임플란트 드릴링을 실습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block 10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mandibular anterior 21 having the highest hardness in the alveolar bone, and the second block 20 has the mandibular rear 22 and the maxillary anterior 11 having a medium hardness. And the third block 30 is configured to have a hardness corresponding to the maxillary posterior 12 having the lowest hardness.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practitioner can practice implant drilling while matching the actual alveolar bone position and the density or hardness thereof.

바람직하게는, 블록 세트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합성수지를 통해 치조골의 경도를 안정적으로 재현함으로써, 나무와 달리 재현성이 우수한 블록 세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합성수지를 이용함으로써, 각 블록(10,20,30)의 색을 달리할 수 있으며, 별도의 표지 없이도 해당 블록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제시된 경도를 가진다면 그 소재와 제조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합성수지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첨가제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경도를 달리할 수 있다(경도 75의 합성수지: 폴리우레탄(70~75%), 소다라임 보로실리케이트 글라스(10~12%), 수산화알루미늄의(15~18%); 경도 50의 합성수지: 폴리우레탄(80~88%), 소다라임 보로실리케이트 글라스(12~20%)). 다만, 제3 블록(30)의 경우에, 경도 범위를 고려할 때, 합성수지 재료만으로 이러한 경도를 갖게 하고, 치조골 드릴링시의 질감과 유사하게 하는 한편, 경제적으로 적절한 재질을 찾기가 쉽지 않으므로, 기존에 사용되던 합성수지와 나무 재질을 조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3 블록(30)은 발사목으로 된 본체(31; body)와, 피질골 느낌을 주기 위해 그 위에 형성된 코팅 막(3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악 후방(12)에 대응하는 드릴링 질감을 구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막(32)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첨가제를 조절함으로써 경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팅 막(32)이 본체(31)보다 높은 경도를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제3 블록(30) 전체의 경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코팅 막 또는 합성수지 막(32)은 코팅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나, 성막 후 본체(31)에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를 경도 보강 막이라 칭한다. 부수적으로 이러한 방식을 통해, 실제 치조골의 상악 후방(11)에 드릴링을 행할 때 느낄 수 있는, 드릴의 치조골에 대한 초기 진입감을 실습자가 느끼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Preferably, the block set is made of synthetic resin. By stably reproducing the hardness of the alveolar bone through synthetic resi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lock set having excellent reproducibility unlike trees. In addition, by using a synthetic resin, the color of each block (10, 20, 30) can be different,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block without a separate cover. If the hardness is given, there are no particular restrictions on th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example, the synthetic resin may be made of polyurethane, and b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additive, the hardness may be different (synthetic resin of hardness 75: polyurethane (70-75%), soda-lime borosilicate glass (10-12) %), (15-18%) of aluminum hydroxide; synthetic resins of hardness 50: polyurethane (80-88%), soda-lime borosilicate glass (12-20%). However, in the case of the third block 30, when considering the hardness range, it is possible to have such hardness only with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to make it similar to the texture when drilling the alveolar bone, and to find an economically suitable material. By combining the synthetic resin and wood material used, it is desirable to solve this problem. For example, the third block 30 may consist of a body 31 of balsa wood and a coating film 32 formed thereon to give a cortical bone feel, and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maxillary posterior 12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drilling texture corresponding to. Similarly, the synthetic resin forming the film 32 may be made of a polyurethane material,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hardness by adjusting the additive. By configuring the coating film 32 to have a higher hardness than the main body 31,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ardness of the entire third block 30. The coating film or the synthetic resin film 32 may be formed through coating, but may also be adhered to the main body 31 after film formation. Therefore, this is called a hardness reinforcing film. Incidentally, in this manner, it becomes possible for the practitioner to feel the initial entry into the alveolar bone of the drill, which can be felt when drilling in the maxillary rear 11 of the actual alveolar bone.

제1 경도 범위는 85, 75를 포함하는 범위로서, 하악 전방(21)의 경도에 대응하는 범위이다. 제2 경도 범위는 65, 50을 포함하는 범위로서, 하악 후방(22)의 경도 및 상악 전방(11)의 경도에 대응하는 범위이다. 제3 경도 범위는 상악 후방(12)의 경도에 대응하는 범위이며, 제2 경도범위의 하한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족하다(발사목과 같이 소프트한 재질의 경우에, 경도를 특정 값으로 표현하기가 어려움) 경도 값은 Shore D 타입 경도계를 적용한 값이다. 경도 보강 막은 우레탄 재질 코팅, UV 코팅, 도료 스프레이, 린스 등등 재질 보호 목적으로 표면에 코팅시 사용되는 다양한 재질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hardness range is a range including 85 and 75 and corresponds to the hardness of the mandibular anterior 21. The second hardness range includes 65 and 50, and corresponds to the hardness of the mandibular posterior 22 and the hardness of the upper anterior 11. The third hardness range corresponds to the hardness of the maxillary posterior 12, and is sufficient to have a value smaller than the lower limit of the second hardness range (in the case of a soft material such as an ankle, it is difficult to express the hardness as a specific value). Difficulty) Hardness value is obtained by applying Shore D type hardness tester. The hardness reinforcing film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used for coating the surface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material, such as urethane coating, UV coating, paint spray, rinse, and the like.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1) 임플란트용 홀의 드릴링 실습에 이용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에 있어서, 하악 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1 경도 범위를 가지는 제1 블록; 하악 후방의 경도 및 상악 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2 경도 범위를 가지며, 제1 블록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2 블록; 그리고, 상악 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3 경도 범위를 가지며, 제2 블록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3 블록;을 포함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 여기서 제3 블록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경도는 평균 경도를 의미한다.(1) A set of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s, used for drilling practice of an implant hole, comprising: a first block having a first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mandible anterior; A second block having a second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lower back and the hardness of the maxillary anterior, and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block; And a third block having a third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maxillary posterior and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e hardness of the second block. Here, when a 3rd block consists of several layers, hardness means an average hardness.

(2) 제1 경도 범위는 경도 75를 포함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 테스트 결과, 치과의사들이 경도 85보다 경도 75를 선호하였다. (2) A set of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s in which the first hardness range comprises hardness 75. In the test, dentists preferred hardness 75 to hardness 85.

(3) 제2 경도 범위는 경도 50을 포함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 테스트 결과, 치과의사들이 경도 65보다 경도 50을 선호하였다. (3) A set of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s in which the second hardness range comprises hardness 50. In the test, dentists preferred hardness 50 over hardness 65.

(4) 제3 블록은 드릴이 삽입되는 측에 경도 보강 막을 구비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4) The third block is an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having a hardness reinforcing film on the side where the drill is inserted.

(5) 임플란트용 홀의 드릴링 실습에 이용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에 있어서, 하악 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1 경도 범위를 가지며, 밀도와 경도가 동일한 제1 블록; 하악 후방의 경도 및 상악 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2 경도 범위를 가지며, 제1 블록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고, 밀도와 경도가 동일한 제2 블록; 그리고, 상악 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3 경도 범위를 가지며, 제2 블록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3 블록;을 포함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밀도와 경도의 동일성은 통상 합성수지를 제조할 때의 밀도와 경도의 경도를 의미하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5) An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used for drilling practice of an implant hole, comprising: a first block having a first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mandible anterior, and having the same density and hardness; A second block having a second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lower back and the hardness of the maxillary anterior,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block, and having the same density and hardness; And, there is provided a set of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including a third block having a third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maxillary rear, and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e hardness of the second block. He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identity between the density and the hardness means the hardness of the density and the hardness when preparing the synthetic resin.

(6)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 제3 블록 또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6) A set of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s, wherein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re made of synthetic resin. The third block may also be made of synthetic resin.

(7) 제1 블록, 제2 블록 및 제3 블록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합성수지로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7) Each of the first block, the second block, and the third block is a synthetic alveolar bone block set of at least a portion of synthetic resin.

(8) 제3 블록은 나무 재질을 포함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8) The third block is an artificial alveolar block set comprising a wood material.

(9) 제3 블록은 나무 재질의 본체에 경도 보강 막이 결합되어 있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9) The third block is an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in which a hardness reinforcing film is coupled to a main body made of wood.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에 의하면, 실제 치조골의 해부학적 구조에 부합하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one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actice implant drilling that conforms to the anatomy of an actual alveolar bone.

본 개시에 따른 다른 하나의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에 의하면, 일관된 경도를 가지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another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n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having a consistent hardness.

제1 블록(10), 제2 블록(20), 제3 블록(30), 본체(31), 코팅 막 또는 합성수지 막(32)The first block 10, the second block 20, the third block 30, the main body 31, the coating film or the synthetic resin film 32

Claims (4)

임플란트용 홀의 드릴링 실습에 이용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에 있어서,
하악 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1 경도 범위를 가지는 제1 블록;
하악 후방의 경도 및 상악 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2 경도 범위를 가지며, 제1 블록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2 블록; 그리고,
상악 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3 경도 범위를 가지며, 제2 블록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3 블록;을 포함하며
3 개의 블록으로 하악 전방, 하악 후방, 상악 전방 및 상악 후방으로 구성되는 치조골의 경도를 매칭(matching)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
In the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used for the drilling practice of the implant hole,
A first block having a first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mandible anterior;
A second block having a second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lower back and the hardness of the maxillary anterior, and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block; And,
And a third block having a third hardness rang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of the posterior maxilla and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block.
A set of artificial alveolar block matching the hardness of the alveolar bone consisting of three blocks: mandible anterior, mandible posterior, maxillary anterior and maxillary posterior.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경도 범위는 경도 75를 포함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t of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s, wherein the first hardness range comprises a hardness 7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경도 범위는 경도 50을 포함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altitude range comprises an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comprising a hardness of 5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 블록은 드릴이 삽입되는 측에 경도 보강 막을 구비하는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block is an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having a hardness reinforcing film on the side where the drill is inserted.
KR1020180009195A 2018-01-25 2018-01-25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for implant drilling training KR1020224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195A KR102022465B1 (en) 2018-01-25 2018-01-25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for implant drilling training
CN201980009363.2A CN111630581B (en) 2018-01-25 2019-01-25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group for implant drilling training
PCT/KR2019/001078 WO2019147062A1 (en) 2018-01-25 2019-01-25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for implant drilling trai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195A KR102022465B1 (en) 2018-01-25 2018-01-25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for implant drilling trai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477A KR20190090477A (en) 2019-08-02
KR102022465B1 true KR102022465B1 (en) 2019-09-18

Family

ID=6761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195A KR102022465B1 (en) 2018-01-25 2018-01-25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for implant drilling trai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46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2424B2 (en) * 1996-01-18 2000-11-27 矢崎総業株式会社 Cable holding structure
JP2010262119A (en) * 2009-05-04 2010-11-18 Hitoo Okano Bone mode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861U (en) * 1992-09-03 1994-04-08 須弥也 保母 Dental Education and Training Jaw Model
JP3112424U (en) * 2005-05-12 2005-08-11 浩志 浜田 Train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2424B2 (en) * 1996-01-18 2000-11-27 矢崎総業株式会社 Cable holding structure
JP2010262119A (en) * 2009-05-04 2010-11-18 Hitoo Okano Bone mo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477A (en)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zos et al. Bio-emulation: biomimetically emulating nature utilizing a histo-anatomic approach; structural analysis.
CN111630581B (en)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group for implant drilling training
Kong et al. Customizing palatal contours of a denture to improve speech intelligibility
US2750670A (en) Dental model
US20100028826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Guiding Template For Dental Implantology, Guiding Template Manufactured Thereby and Reference Device For The Execution Of Such Method
KR101256655B1 (en) Tooth model for hands-on education of implant, regenerative surgeries and basic surgical techniques
CN108245268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ower jaw half-mouth false tooth by silicon rubber pressure impression
Newton VII. On some new reptiles from the Elgin sandstones
KR102022465B1 (en)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for implant drilling training
KR102051473B1 (en) Artificial alveolar bone block set for implant drilling training
US20100015588A1 (en) Multilayered model tooth for dental training
Haug et al. An in vitro comparison of the effect of number and pattern of positional screws on load resistance
Mahesh Verma 19th century denture base materials revisited
KR102051475B1 (en) Tooth model for implant drill training
Gilmore Leidyosuchus sternbergii, a new species of crocodile from the Ceratops Beds of Wyoming
Clapp Prosthetic articulation
US11881118B2 (en) Complete denture patient simul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oudel et al. Lateral throat form classification using a customized gauge and Neil’s method–a comparative study
Nii et al. Evaluation of the optimal hardness and thickness of music splints for wind instrument players
CN108742901A (en) A kind of saddle type dental implant
Goyal et al. History of impression, impression materials and impression techniques in complete dentures
Neelakantan et al. Rugae Duplication–different techniques of customizing palatal rugae in maxillary complete denture to enhance phonetics
RU2275176C1 (en) Mammary gland exoprosthesis
Parr A combination obturator
Rathee et al. PROSTHETIC MANAGEMENT OF PROMINENT PREMAXILLA WITH FLANGELESS COMPLETE DENTURE: A Case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