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457B1 - Facilities for water supply and beforehand discharge using siphon triggering pipe - Google Patents

Facilities for water supply and beforehand discharge using siphon triggering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457B1
KR102022457B1 KR1020160063651A KR20160063651A KR102022457B1 KR 102022457 B1 KR102022457 B1 KR 102022457B1 KR 1020160063651 A KR1020160063651 A KR 1020160063651A KR 20160063651 A KR20160063651 A KR 20160063651A KR 102022457 B1 KR102022457 B1 KR 102022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pipe
siphon
wat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6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2591A (en
Inventor
한진규
Original Assignee
한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진규 filed Critical 한진규
Priority to KR1020160063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457B1/en
Publication of KR20170132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5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4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 E02B7/18Siphon wei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6Spillways; Devices for dissipation of energy, e.g. for reducing eddies also for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출구가 유입구보다 수면으로부터 깊게 설계된 사이폰 촉발관의 유출구를 사이폰 여수로의 측면에 관통 삽입한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하여, 저수량이 미리 설정해 놓은 방류기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도 사이폰 여수로를 통해 물이 하류로 방류되는 것을 촉발하는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을 개시(introduce)한다. 상기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은, 사이폰 여수로 및 사이폰 촉발관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siphon trigger pipe through which an outlet of a siphon trigger pipe designed to be deeper from the surface than an inlet through a siphon trigger pipe is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siphon channel, even when a low water quantity does not meet a predetermined discharge standard. Introduce a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y that triggers the discharge of water downstream. The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y using the siphon trigger pipe includes a siphon channel and a siphon trigger pipe.

Description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 {Facilities for water supply and beforehand discharge using siphon triggering pipe} Facility for water supply and beforehand discharge using siphon triggering pipe

본 발명은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에 대한 것으로, 특히, 유출구가 유입구보다 수면으로부터 깊게 설계된 촉발관의 유출구를 여수관의 측면에 관통 삽입함으로써, 저수량이 미리 설정해 놓은 방류기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도 사이폰 여수로를 통해 물이 하류로 방류되는 것을 촉발하는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y, in particular, by inserting the outlet of the trigger pipe designed to be deeper from the surface than the inlet through the side of the effluent pipe, even if the low water quantity does not meet the pre-set discharge standard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ies triggering the discharge of water downstream through von Yeosu.

우리나라는 강수량의 계절별·지역별로 편차가 크다. 최근에는 예전과 다른 패턴의 이상기후도 계속 나타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가장 확실한 대책은 저수지나 댐 등의 물그릇을 확보하는 일이다. 우리나라는 1인당 이용 가능한 수 자원량이 세계 평균의 1/6에 불과하지만, 물 사용량이 많은 편이다. 이로 인해 가용수자원 대비 물 사용량이 40%를 넘어 용수수급 사정이 매우 열악한 물 스트레스 국가이다. 기후변화와 국내 수자원 상황을 고려했을 대, 댐 등 기존 수자원시설에 대한 보다 실시간적 운영과 효율적인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 In Korea, there is a big variation in precipitation and seasonality. Recently, abnormal patterns of different patterns continue to appear. The most obvious countermeasure against climate change is to secure water reservoirs such as reservoirs and dams. In Korea, the amount of water available per capita is only one sixth of the world average, but water consumption is high. As a result, water use exceeds 40%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which leads to a very poor water stress.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domestic water resources situation, more real-time operation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existing water resources such as dams is very important.

댐이나 저수지에 물이 저장되는 시기는 정해져 있는데 바로 여름 장마기이다. 그러나 장마 기간 중의 홍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여름 장마가 시작되기 전, 즉 늦은 봄에는 댐이나 저수지에 저장된 물을 하류로 방류함으로써 저수용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반면에 갈수기인 늦가을, 겨울 및 초봄의 기후를 감안하면 여름 장마 때 저장해 놓은 물을 댐이나 저수지에 잘 가두어 두었다가, 가뭄에 대비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The time when water is stored in dams or reservoirs is the summer rainy season. However, to prevent flooding during the rainy seas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eservoir capacity by discharging the water stored in the dam or reservoir downstream before the summer rainy season begins, in late spring.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late autumn, winter, and early spring climates, the waters stored during the summer rainy season should be confined to dams or reservoirs, and of course, prepared for drought.

댐이나 저수지의 물은 일정한 관문을 통해 하류로 방출되는데, 관문을 열고 닫는 일은 자동관리시스템으로도 이루어지지만, 댐이나 저수지 관리자가 상황에 따라 결정하고 실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람이 댐이나 저수지의 관문을 열고 닫는 경우 한편으로는 정확할 수도 있지만, 관리인의 성향에 따라 그 시기 또는 방류하는 물의 양은 다르게 될 것이다. Water from dams or reservoirs is discharged downstream through certain gates. Opening and closing of gates is also accomplished by automatic management systems, but it is common for dams and reservoir managers to determine and implement them on a case-by-case basis. If a person opens and closes a dam or reservoir gateway, it may be accurate on the one hand, but depending on the stewardship, the timing or amount of water released will vary.

댐이 저수지에 저장된 물은 농업 등의 사용을 위해 일정량의 물이 규칙적으로 하류로 흘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관문을 어느 정도 열어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관문을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개폐를 조절하여야 하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The water stored in the dam reservoir must have a certain amount of water flowing downstream for the purpose of agriculture and so on.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management is required becaus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gate to be adjus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최근에는 사이폰의 원리를 이용하여 댐이나 저수지에 저장된 물의 일정한 기준에 도달하면, 저장된 물을 사이폰 관을 통해 스스로 방류하도록 하였다. Recently, using the principle of siphon, when a certain standard of water stored in a dam or a reservoir is reached, the stor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a siphon tube by itself.

도 1은 댐에 사이폰 여수로가 설치된 댐을 나타낸다. 1 shows a dam in which a siphon channel is installed in the dam.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사이폰 여수로 기술(등록특허공보 10-0738903호, 2007년 7월 6일)에 사용된 사이폰 여수로의 유입구(12)와 유출구(32)의 위치는 최초 설치 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사이폰관을 통해 자연 방류되는 때의 저수량, 방류 시기에 고정되어 있었다. 즉, 하류에서 물이 필요하다고 할 때에도, 방류의 조건이 되는 미리 정해놓은 저수량에 미치지 못하는 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이폰관 즉 사이폰 여수로를 통해 물이 하류로 방류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position of the inlet 12 and the outlet 32 of the siphon Yeosu channel used in the conventional siphon Yeosu channel technology (Registration No. 10-0738903, July 6, 2007) is the first installation As it was fixed, it was fixed at the low water discharge time when it was naturally discharged through the siphon pipe. In other words, even when water is required downstream,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water is not discharged downstream through a siphon tube, ie, a siphon channel, if water is stored tha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ow water quantity, which is a condition for discharg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출구가 유입구보다 수면으로부터 깊게 설계된 사이폰 촉발관의 유출구를 사이폰 여수로의 측면에 관통 삽입한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하여, 저수량이 미리 설정해 놓은 방류기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도 사이폰 여수로를 통해 물이 하류로 방류되는 것을 촉발하는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iphon trigger pipe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siphon channel to the outlet of the siphon trigger pipe designed to be deeper than the inlet water outlet, the discharge standard is set in advance It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y that triggers the discharge of water downstream through the siphon channel, even if it does not reach.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은, 사이폰 여수로 및 사이폰 촉발관을 포함한다.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y using the siphon trigg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siphon channel and siphon trigger pipe.

상기 사이폰 여수로는 일정한 크기의 제1 직경을 가지며 일단인 여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반대 단인 여수 유출구로 배출하는 여수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여수 유입구는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여수관은 상기 저수조의 제방을 타고 넘어 상기 저수조의 비탈면을 따라 하류 방향으로 설치되며, 여수 유출구는 상기 여수 유입구에 비해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사이폰 촉발관은 일정한 크기의 제2 직경을 가지며, 일단인 촉발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반대 단인 촉발 유출구로 배출하는 촉발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촉발관은 상기 저수조를 수평 또는 제1 사선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촉발 유입구가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촉발 유출구가 상기 저수조의 하류방향에 설치되고, 상기 촉발 유출구가 상기 여수관의 측면 중 상기 저수조의 비탈면을 따라 하류 방향으로 설치된 여수관 관통홀에 제2 사선방향으로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촉발 유출구는 상기 촉발 유입구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촉발 유입구는 상기 여수 유입구에 비해 수면으로부터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촉발 유출구는 상기 여수 유출구에 비해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The siphon flow channel has a first diameter of a predetermined size and consists of a drainage pipe for discharging water from one end of the inlet inlet to the opposite end of the wastewater outlet, the inlet is installed inside the reservoir, and the wastewater pipe is It is installed in the downstream direction along the slope of the reservoir beyond the bank of the reservoir, and the outlet of the water is install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inlet of the water. The siphon trigger tube has a second diameter of a predetermined size, and consists of a trigger tube for discharging water flowing from the trigger inlet port of one end to the trigger outlet port of the opposite end, wherein the trigger tube is configured to horizontally or in a first diagonal direction of the water tank. The trigger inlet is installed inside the reservoir and the trigger outlet is installed in the downstream direction of the reservoir, and the trigger outlet is installed in the downstream direction along the slope of the reservoir in the side of the reservoir; Insert into the through hole in the second diagonal direction. Here, the trigger outlet is install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trigger inlet, the trigger inlet is install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surface of the water compared to the inlet, the trigger outlet is install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outlet.

본 발명에 따른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은 사이폰 여수로만 설치되었을 때에는 하류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조건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하류로의 용수 공급할 수 있으며, 저수조의 물이 충분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하류에서는 용수의 공급을 원하는 경우, 저수조에 설치된 관문을 열지 않고도 이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y using the siphon trigg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the water to the downstream even if it is not a condition to supply the water downstream when only the siphon Yeosu is installed, the water of the reservoir is sufficient But if you still want to supply water downstream,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chieved without opening the gateway installed in the reservoir.

도 1은 댐에 사이폰 여수로가 설치된 댐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의 일 실시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의 다른 일 실시 예이다.
도 4는 사이폰 촉발관에 의해 사이폰 여수로에 물이 흐르는 과정을 설명한다.
1 shows a dam in which a siphon channel is installed in the dam.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y using the siphon trigg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y using the siphon trigg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water flows through the siphon channel by the siphon trigger tube.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의 일 실시 예이다.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y using the siphon trigg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200)은, 사이폰 여수로(220) 및 사이폰 촉발관(2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y 200 using the siphon trigg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phon filter channel 220 and a siphon trigger tube 230.

사이폰 여수로(220)는 일정한 크기의 제1 직경을 가지며 일단인 여수 유입구(221)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반대 단인 여수 유출구(223)로 배출하는 여수관(222)으로 이루어진다. 여수 유입구(221)는 저수조(2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여수관(222)은 저수조(210)의 제방(211)을 타고 넘어 저수조(210)의 비탈면(212)을 따라 하류 방향으로 설치되며, 여수 유출구(223)는 여수 유입구(221)에 비해 낮은 위치(d1)인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하류수조(240)의 내부에 위치한다. The siphon flow channel 220 has a first diameter of a predetermined size and consists of a waste water pipe 222 for discharging water flowing from the end of the water inlet 221 to the end of the water outlet 223. Yeosu inlet 221 is installed inside the reservoir 210, the yeosu pipe 222 is installed in the downstream direction along the slope 212 of the reservoir 210 over the embankment 211 of the reservoir 210. , Yeosu outlet 223 is located inside the downstream water tank 240 having a constant depth that is a lower position (d1) than the Yeosu inlet 221.

사이폰 촉발관(230)은 일정한 크기의 제2 직경을 가지며, 일단인 촉발 유입구(231)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반대 단인 촉발 유출구(233)로 배출하는 촉발관(232)으로 이루어진다. 촉발관(232)은 저수조(210)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며, 촉발 유입구(231)가 저수조(2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촉발 유출구(233)가 저수조(210)의 하류방향에 설치되고, 촉발 유출구(233)가 여수관(222)의 측면 중 저수조(210)의 비탈면(212)을 따라 하류 방향으로 설치된 여수관 관통홀(224)에 제2 사선방향으로 삽입한다. 여기서 제2 사선방향은 외부 관통홀(214)에 비해 여수관 관통홀(224)의 위치가 낮도록(d5) 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The siphon triggering pipe 230 has a second diameter of a predetermined size, and is composed of a triggering pipe 232 for discharging water flowing from the triggering inlet 231 which is one end to the triggering outlet 233 which is the opposite end. The trigger pipe 232 penetrates the reservoir 210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trigger inlet 231 is installed inside the reservoir 210, and the trigger outlet 233 is installed in the downstream direction of the reservoir 210, and triggered. The outlet 233 is inserted into the sewage pipe through hole 224 installed in the downstream direction along the inclined surface 212 of the reservoir 210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sewage pipe 222 in the second diagonal direction. Here, the second oblique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drain pipe through hole 224 is lower than that of the outer through hole 214 (d5).

촉발 유입구(231)는 여수 유입구(221)에 비해 수면으로부터 낮은 위치(d2)에 설치되고, 촉발 유출구(233)는 여수 유출구(223)에 비해 높은 위치(d4)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발 유출구(233)는 촉발 유입구(231)보다 낮은 위치(d3)에 설치된다. The trigger inlet 231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d2 lower than the water surface in comparison with the inlet 221, and the trigger outlet 233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d4 higher than the outlet 223. The trigger outlet 233 is installed at a position d3 lower than the trigger inlet 231.

제1 직경은 제2 직경에 비해서 큰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1st diameter is large compared with a 2nd diameter.

사이폰 여수로(220)의 중간 부분 중 저수조(210)의 제방(211)을 타고 넘어가는 부분에는, 사이폰 여수로(220)의 내부에 형성된 부압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사이폰 여수로(220)의 압력 및 사이폰 여수로(220)를 흐르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여수관 감압밸브(225)가 설치된다. The portion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siphon channel 220 that passes over the embankment 211 of the reservoir 210, the siphon channel 220 in a manner of reducing the negative pressure formed inside the siphon channel 220. A sewage pipe pressure reducing valve 225 is installed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water) and the amount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siphon filtration channel 220.

사이폰 촉발관(230)을 구성하는 촉발 유입구(231) 근처 및 촉발 유출구(233) 근처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촉발관(232)의 내부 기압을 감소시키는 촉발관 유량조절밸브(234, 235)가 설치된다. At least one of near the trigger inlet 231 and near the trigger outlet 233 constituting the siphon trigger tube 230, a trigger pipe flow control valve 234, 235 for reducing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trigger tube 232. Is installed.

여수 유입구(221) 및 촉발 유입구(231)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와류방지시설(226, 236)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least one of the Yeosu inlet 221 and the triggering inlet 23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vortex prevention facilities (226, 236).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의 다른 일 실시 예이다. Figure 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y using the siphon trigg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의 다른 일 실시 예(300)는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와 비교할 때, 촉발관(232)은 저수조(210)를 수평방향이 아닌 제1 사선방향으로 관통하는 것, 그리고 여수 유출구(223)의 종단부가 여수관(222)의 말단 부분이 "U자" 또는 "V자" 형태(점선원)로 형성되어, 여수관(222)의 최저 지점에 비해 높은 곳에 위치한다는 점 이외에는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Another embodiment 300 of the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y using the siphon trigg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3 is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2, the trigger pipe 232 is a reservoir 210 ) Through the first diagonal direction rather tha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Yeosu outlet 223 is formed in the "U-shaped" or "V-shaped" form (dotted circle) Since it is the same except that the position is higher than the lowest point of the yeosu pipe 222, it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here.

촉발관(232)이 저수조(210)를 수평으로 관통하거나 제1 사선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은, 제방의 형태, 재질 및 어떤 필요에 의해 선택할 수 있는 설계 옵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rigger tube 232 penetrating the reservoir 210 horizontally or in a first oblique direction may be a design option that can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shape, material and any need of the dike.

여기서 제1 사선방향은 저수조(210)의 내부 면에 형성된 내부 관통홀(213)에 비해 저수조(210)의 외부 면에 형성된 외부 관통홀(214)의 위치가 낮도록 하는 방향이다. The first oblique direction is a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outer through hole 214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reservoir 210 is lower than the inner through hole 213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reservoir 210.

도 2에는 여수 유출구(223)가 하류수조(24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었고, 도 3에는 여수관(222)과 여수 유출구(223)가 접촉하는 부분(점선원)이 "V"의 형태로 휘어진 경우를 나타낸다. 여수 유출구(223)가 하류수조(240)의 내부에 설치되어야 하는 이유 및 여수관(222)과 여수 유출구(223)가 접촉하는 부분(점선원)이 "V"의 형태로 휘어져야 하는 이유는 여수 유출구(223)가 물에 잠겨야 여수관(222)의 내부가 진공이 될 수 있으며, 여수관(222)의 내부가 진공이 되어야 사이폰 현상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shows the case where the effluent outlet 223 is installed inside the downstream water tank 240, and in FIG. 3, the portion (dotted source) where the effluent tube 222 and the effluent outlet 223 contact each other is "V." It shows the case bent in the form of ". The reason why the Yeosu outlet 223 is to be installed in the downstream water tank 240 and the reason that the portion (dotted source) where the Yeosu pipe 222 and the Yeosu outlet 223 contact each other should be bent in the form of "V". This is because the inside of the sewage pipe 222 may be a vacuum when the Yeosu outlet 223 is submerged in water, and the siphon phenomenon may be induced when the inside of the Yeosu pipe 222 is vacuum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y using the siphon trigg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사이폰 촉발관에 의해 사이폰 여수로에 물이 흐르는 과정을 설명한다. 4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water flows through the siphon channel by the siphon trigger tube.

도 4a는 저수조(210)에 저장된 물이 여수 유입구(221)는 물론 촉발 유입구(231)에도 못 미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저수조(210)에 저장된 물이 여수관(222) 및 촉발관(232)을 통해 방류될 수 없다. 또한 여수관(222)의 내부 및 촉발관(232)의 내부의 기압도 대기압과 동일하게 된다. 4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210 falls short of the inlet 231 as well as the inlet 221. In this case,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210 may not be discharged through the effluent pipe 222 and the trigger pipe 232. In addition, the air pressure inside the effluent pipe 222 and the inside of the trigger pipe 232 is equal to atmospheric pressure.

도 4b는 저수조(210)에 저장된 물이 여수 유입구(221)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촉발 유입구(231)에는 미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촉발 유입구(231)가 촉발 유출구(233)에 비해 높은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저수조(210)에 저장된 물의 수압에 의해 촉발관(232)을 통해 저수조(210)의 물이 촉발 유출구(233)을 통해 하류로 방출된다. 촉발관(232)의 직경은 가늘게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촉발관(232)를 통해 하류로 방류되는 물의 양은 많지 않을 것이다. 여수 유출구(223)이 방류되는 물에 잠기게 되지만, 방류되는 물은 하류수조(240)의 높이 정도로만 여수관(222)의 내부로 침투하게 된다. 여수 유입구(231)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여수관(222) 내부가 진공상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4B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210 does not reach the water inlet 221 but affects the trigger inlet 231. Since the trigger inlet 231 is install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trigger outlet 233, the water of the reservoir 210 opens the trigger outlet 233 through the trigger pipe 232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210. Is released downstream through. Since the diameter of the trigger tube 232 is generally designed to be thin,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downstream through the trigger tube 232 will not be large. Although the effluent outlet 223 is submerged in the discharged water, the discharged water penetrates into the inside of the effluent pipe 222 only as high as the downstream water tank 240. Since the Yeosu inlet 231 is open,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ior of the Yeosu tube 222 is not in a vacuum state.

도 4c는 저수조(210)에 저장된 물이 여수 유입구(221)는 물론 촉발 유입구(231)에도 도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에는 저수조(210)에 저장된 물이 여수관(222)을 통해 하류로 방출되지는 못하지만 여수 유입구(221)가 막히고, 촉발관(232)를 통해 들어온 물과 함께 내부의 공기가 여수 유출구(223)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됨에 따라 여수관(222)의 내부는 진공이 된다. 여수관(222)의 내부가 진공인 상태일 때에도 촉발관(232)를 통해서는 적은 양의 물이 연속하여 하류로 방출되고 있다. 촉발관(232)를 통해서 하류로 방출되는 물은 여구관(222) 내부의 공기를 여수 유출구(233)를 따라 함께 방출하도록 하기 때문에, 이전에는 여수 유출구(223)와 같은 높이로 있던 여수관(222)의 내부를 채운 물이 여수관(222)을 따라 서서히 상승하여 물기둥을 형성하기 시작하며, 이와 동시에 여수 유입구(221)에서도 저수조(210)에 저장된 물도 상승하여 여수 유출구(223) 근처에서 형성되는 물기둥과 동일한 높이의 물기둥을 형성한다. 여수 유출구(223)를 통해 여수관(222) 내부의 공기가 계속해서 외부로 빠져나감에 따라 여수관(222) 내부의 기압이 하강하고, 이에 따라 여수관(222)의 양단에 형성되는 물기둥의 높이가 늘어나게 된다. 4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210 reaches the trigger inlet 231 as well as the inlet 221. At this time,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210 is not discharged downstream through the yeosu pipe 222, but the yeosu inlet 221 is blocked, and the air inside the yeosu outlet 223 along with the water entered through the trigger pipe 232 As it exits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terior of the yeosu pipe 222 becomes a vacuum. Even when the inside of the effluent pipe 222 is in a vacuum state, a small amount of water is continuously discharged downstream through the trigger pipe 232. Since the water discharged downstream through the trigger pipe 232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yeoseo pipe 222 along the yeosu outlet 233 together, the yeosu pipe previously had the same height as the yeosu outlet 223 ( The water filling the inside of the 222 gradually rises along the yeosu pipe 222 and starts to form a water column, and at the same time,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210 also rises at the yeosu inlet 221 to form near the yeosu outlet 223. It forms a water column with the same height as the water column. As the air inside the sewage pipe 222 continues to escape through the Yeosu outlet 223, the air pressure in the sewage pipe 222 falls, and thus the water column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wage pipe 222. The height will increase.

도 4d는 여수 유입구(221) 쪽에 형성된 물기둥의 높이가 제방(211) 바로 위의 수평한 여수관(222)까지 증가함에 따라, 결국 제방(211) 위의 여수관(222)의 수평한 부분을 넘어 여수 유출구(223)까지 흐르게 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 4d의 현상이 진정한 사이폰 원리를 이용한 상태를 설명한다. 4D shows that as the height of the water column formed on the side of the inlet 221 increases to the horizontal free pipe 222 directly above the bank 211,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free pipe 222 on the bank 211 is eventually formed. The case where the flow to the Yeosu outlet 223 is described below. 4D illustrates the state using the true siphon principle.

본 발명에 따른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은 궁극적으로는 저수조(210)의 물을 여수관(222)을 통해 하류로 방류하는 것이며, 특히 사이폰 여수로(220) 만 설치되었을 때에는 하류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조건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하류로의 용수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y using the siphon trigg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harge the water of the reservoir 210 downstream through the yeosu pipe 222, in particular, only the siphon yeoseo 220 install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water downstream even if the conditions for supplying the water downstream are not met.

또한, 사이폰 촉발관(230)은 사이폰 여수로(220)의 메인 기능을 촉발하는 기능이외에도 도 4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수조(210)의 물이 충분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하류에서는 용수의 공급을 원하는 경우, 저수조(210)에 설치된 관문을 열지 않고도 이를 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phon triggering pipe 230 is not only a function of triggering the main function of the siphon channel 220, but also as shown in Figure 4b, the water in the reservoir 210 is not enough, but still supply of water from the downstream If desired, this can be achieved without opening the gateway installed in the reservoir 210.

여수관(222)의 상부에 설치된 여수관 감압밸브(225)를 이용하면, 여수관(222)을 통해 하류로 방류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촉발관(232)에 설치된 촉발관 유량조절밸브(234, 235)를 이용하면 촉발관(232)를 통해 하류로 방류되는 물의 양도 제어할 수 있다. 촉발관 유량조절밸브(234, 234)를 조절함으로써 촉발관(232)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물론, 촉발관(232)을 흐르는 물이 촉발관(232) 내부를 완전히 채운 상태로 진행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한다. 흐르는 물이 촉발관(232) 내부를 완전히 채우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는, 촉발관(232) 내에 부압이 형성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유속과 유량이 감소하게 되어, 결국 사이폰 여수로(220)에서 사이폰 현상이 지연되어 발생하거나 전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By using the sewage pipe pressure reducing valve 225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wage pipe 222,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downstream through the sewage pipe 222. Using the triggering pipe flow rate control valves 234 and 235 installed in the triggering pipe 232 may control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downstream through the triggering pipe 232. By adjusting the flow rate control valves 234 and 234, the flow rate of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triggering pipe 232 is adjusted, and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triggering pipe 232 completely fills the inside of the triggering pipe 232. Use it to proceed. When the flowing water does not completely fill the inside of the trigger pipe 232, no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trigger pipe 232, which causes a decrease in flow velocity and flow rate, and thus, in the siphon channel 220. This is because the phone phenomenon may be delayed or not occur at all.

촉발관(232)에 물이 완전히 차 있는 상태에서 촉발관(232)에 설치된 촉발관 유량조절밸브(234, 235) 중 촉발 유출구(233) 부근에 설치된 유량조절밸브(235)를 완전히 잠근다면, 촉발관(232)의 내부에 물이 완전히 차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이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저수조(210)에 물이 적게 채워져 있어 촉발 유입구(231)에 겨우 다다를 정도가 되었을 때, 잠겨있던 유량조절밸브(235)를 열게 되면, 저수조(210)의 물이 촉발관(232)을 통해 하류로 방류될 것이다. 즉, 저수조(232)에 저장된 물의 높이가 정상적인 경우라면 촉발관(232)을 통해 하류로 방류될 수 없는 정도일 경우라도, 촉발관(232)의 내부에 채워놓은 물을 이용하여 저수조(210)에 저장된 물을 하류로 방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f the flow control valve 235 installed near the trigger outlet 233 of the trigger pipe flow control valves 234 and 235 installed in the trigger pipe 232 while the water is completely filled in the trigger pipe 232, The inside of the trigger tube 232 will be completely filled with water. While maintaining this state, when the reservoir 210 is filled with less water, and only reaches the trigger inlet 231, when the flow control valve 235 is opened, the water in the reservoir 210 is opened. It will be discharged downstream through the trigger tube 232. That is, if the height of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232 is normal, even if it is not enough to be discharged downstream through the trigger tube 232, using the water filled in the inside of the trigger tube 232 to the reservoir 210 A function may be performed to allow the stored water to be discharged downstream.

여수 유입구(221) 및 촉발 유입구(231)에 설치된 와류방지시설(226, 236)은, 여수관(222) 및 촉발관(232)의 내부를 흐르는 물이 여수관(222) 및 촉발관(232)의 내부를 꽉 채운 상태로 이동하게 되도록 한다. In the vortex prevention facilities 226 and 236 installed at the inlet 221 and the trigger inlet 231,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effluent tube 222 and the trigger tube 232 is the effluent tube 222 and the trigger tube 232. ) To move in a state filled with full.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210: 저수조
211: 제방 212: 비탈면
213: 내부 관통홀 214: 외부 관통홀
220: 사이폰 여수로
221: 여수 유입구 222: 여수관
223: 여수 유출구 224: 여수관 관통홀
225: 여수관 감압밸브 226: 와류방지시설
230: 사이폰 촉발관
231: 촉발 유입구 232: 촉발관
233: 촉발 유출구 234, 235: 촉발관 유량제어밸브
236; 와류방지시설
240: 하류수조
210: reservoir
211 embankment 212 slope
213: internal through hole 214: external through hole
220: Siphon Yeosu
221: Yeosu inlet 222: Yeosu pipe
223: Yeosu outlet 224: Yeosu pipe through hole
225: pressure reducing valve 226: vortex prevention facility
230: siphon trigger tube
231: trigger inlet 232: trigger tube
233: trigger outlet 234, 235: trigger pipe flow control valve
236; Eddy current prevention facility
240: downstream tank

Claims (6)

일정한 크기의 제1 직경을 가지며 일단인 여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반대 단인 여수 유출구로 배출하는 여수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여수 유입구는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여수관은 상기 저수조의 제방을 타고 넘어 상기 저수조 제방의 비탈면을 따라 하류 방향으로 설치되며, 여수 유출구는 상기 여수 유입구에 비해 낮은 위치에 설치된 사이폰 여수로; 및
일정한 크기의 제2 직경을 가지며, 일단인 촉발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반대 단인 촉발 유출구로 배출하는 촉발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촉발관은 상기 저수조의 제방을 관통하여 상기 저수조 제방의 비탈면을 따라 하류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촉발 유입구가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촉발 유출구는 상기 여수관의 측면 중 상기 비탈면을 따라 하류 방향에 형성된 여수관 관통홀에 삽입연결되는 사이폰 촉발관; 을 포함하며,
상기 촉발 유출구는 상기 촉발 유입구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촉발 유입구는 상기 여수 유입구에 비해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촉발 유출구는 상기 여수 유출구에 비해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직경은 상기 제2 직경에 비해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
It has a first diameter of a predetermined size and consists of a sewage pipe for discharging the water flowing from one end of the inlet to the Yeosu outlet, the inlet is installed inside the reservoir, the sewage pipe is a dike of the reservoir It is installed in the downstream direction along the slope of the reservoir bank embankment, the Yeosu outlet is loca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Yeosu inlet; And
It has a second diameter of a constant size and consists of a trigger tube for discharging the water flowing from one end of the trigger inlet to the other end of the trigger outlet, the trigger tube passes through the bank of the reservoir and downstream along the slope of the reservoir bank dyke It is installed in the direction, the trigger inle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reservoir and the trigger outlet is a siphon trigger pipe is connected to the trough through hole formed in the downstream direction along the slope of the side of the effluent pipe; Including;
The trigger outlet is install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trigger inlet,
The trigger inlet is installed in a lower position than the Yeosu inlet,
The trigger outlet is install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Yeosu outlet,
The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y using a siphon trigger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iameter is formed larger than the second diam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발관은 상기 제방을 관통하되, 수평으로 관통하거나, 상기 저수조 측 내부 관통홀이 상기 비탈면 측 외부 관통홀보다 위치가 높게 형성되도록 제1 사선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외부관통홀은 상기 여수관관통홀 보다 위치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
The method of claim 1,
The trigger pipe penetrates the embankment and penetrates horizontally, or penetrates in the first diagonal direction so that the reservoir inner side through hole is formed higher than the inclined side outer through hole, and the outer through hole is the free water pipe.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y using a siphon trigger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s higher than the through-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폰 여수로의 중간 부분 중 상기 저수조의 제방을 타고 넘어가는 부분에는,
상기 여수관의 내부 기압을 조절하는 여수관 감압밸브가 설치되는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siphon channel, which crosses the dike of the reservoir,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y using a siphon trigger pipe is installed to control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wage pipe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발 유입구 근처 및 상기 촉발 유출구 근처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상기 촉발관의 내부 기압을 감소시키는 촉발관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vicinity of the trigger inlet and the vicinity of the trigger outlet is:
Water supply and pre-discharge facility using the siphon trigger pipe is installed with a trigger pipe flow control valve for reduc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rigger pipe.
KR1020160063651A 2016-05-24 2016-05-24 Facilities for water supply and beforehand discharge using siphon triggering pipe KR1020224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651A KR102022457B1 (en) 2016-05-24 2016-05-24 Facilities for water supply and beforehand discharge using siphon triggering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651A KR102022457B1 (en) 2016-05-24 2016-05-24 Facilities for water supply and beforehand discharge using siphon triggering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591A KR20170132591A (en) 2017-12-04
KR102022457B1 true KR102022457B1 (en) 2019-09-18

Family

ID=60921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651A KR102022457B1 (en) 2016-05-24 2016-05-24 Facilities for water supply and beforehand discharge using siphon triggering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45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530B1 (en) 2021-10-27 2022-08-11 주식회사 일경 Beforehand discharge apparatus for reservoir
GB2612351A (en) * 2021-10-29 2023-05-03 Vortech Water Solutions Ltd Siphon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721Y1 (en) * 2002-11-13 2003-03-26 신동호 Inundation preventing Equipment for reservoir
KR200401284Y1 (en) * 2005-08-24 2005-11-15 인정웅 V-notch type Siphon Spillwa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669A (en) * 2002-11-15 2004-05-20 장태선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water level of dam
KR20110009763U (en) * 2010-04-08 2011-10-14 코지텍 주식회사 siphon spillw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721Y1 (en) * 2002-11-13 2003-03-26 신동호 Inundation preventing Equipment for reservoir
KR200401284Y1 (en) * 2005-08-24 2005-11-15 인정웅 V-notch type Siphon Spillwa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530B1 (en) 2021-10-27 2022-08-11 주식회사 일경 Beforehand discharge apparatus for reservoir
GB2612351A (en) * 2021-10-29 2023-05-03 Vortech Water Solutions Ltd Siphon assembly
WO2023073236A1 (en) * 2021-10-29 2023-05-04 Vortech Water Solutions Ltd Siphon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591A (en)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6058B2 (en) Stormwater detention system and method
CN104612237B (en) Rainfall flood regulating system
KR102022457B1 (en) Facilities for water supply and beforehand discharge using siphon triggering pipe
KR100780743B1 (en) Siphon spillways
KR20110009781U (en) siphon spillway
CN114063659A (en) Control method of overflow weir gate and flow regulating gate of intercepting well
KR101028841B1 (en) Flood control reservoir buoyancy type floodgate
KR100781790B1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sewage with combined sewer overflow
KR101267377B1 (en) Flood protection water storage system to store water naturally
CN204493848U (en) Effluent discharge buoyancy control valve
CN207582227U (en) A kind of improved road surface drainage device
KR20110108568A (en) Siphon spillway capable water level control
CN205421516U (en) Prevent flowing backward wisdom vatch basin with block sediment and unpowered current limiting function
KR101674417B1 (en) Drainage system using siphon phenomenon
KR100420101B1 (en) flow controller for reservoir of sewage treatments
CN103334403A (en) Reservoir capable of regulating water flow of waterfall and regulating method
KR101797469B1 (en) Self-float type hydronephrosion prevention avalanche installation method
CN211773438U (en) Reservoir dam body capable of draining, dredging and automatically adjusting water level of water area outside reservoir
KR20070037275A (en) An nonfreezing valve
CN104294903A (en) Urban anti-waterlogging drainage system
KR200225139Y1 (en) flow controller for reservoir of sewage treatments
CN220100120U (en) Flow-limiting intercepting well with built-in flap valve
KR100644356B1 (en) siphon spillway
KR200380460Y1 (en) siphon spillway
KR200308721Y1 (en) Inundation preventing Equipment for reservo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