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330B1 -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 Google Patents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330B1
KR102022330B1 KR1020130097351A KR20130097351A KR102022330B1 KR 102022330 B1 KR102022330 B1 KR 102022330B1 KR 1020130097351 A KR1020130097351 A KR 1020130097351A KR 20130097351 A KR20130097351 A KR 20130097351A KR 102022330 B1 KR102022330 B1 KR 102022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wireless device
direct
web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6350A (ko
Inventor
김경재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EP14160163.3A priority Critical patent/EP2782399B1/en
Priority to US14/221,837 priority patent/US9351097B2/en
Priority to CN201480028766.9A priority patent/CN105230117B/zh
Priority to PCT/KR2014/002413 priority patent/WO2014148866A1/en
Publication of KR2014011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화상형성장치가 소프트 AP(access point)로 동작되기 위한 Wi-Fi 다이렉트 기능을 실행하고,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화상형성장치와 외부의 무선 기기가 연결된 경우 연결된 무선 기기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제공된 내장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화상형성장치는 무선 기기에 표시된 내장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화상형성장치에서 무선 연결하고자 하는 인프라 네트워크의 접속 정보를 무선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무선 기기로부터 수신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는 인프라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한다.

Description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Method for connecting network using Wi-Fi Direct i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image forming system}
본 발명은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에 관한다.
오늘날, 무선 기기들에 무선랜(Wireless LAN) 기술이 탑재됨에 따라, 무선 기기들에서 무선으로 핫스팟(hotspot) 또는 AP(Access Point) 등의 인프라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인터넷 등을 사용하는 무선랜(IEEE 802.11)의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기술이 일반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Wi-Fi Alliance에서 규정하는 IEEE 802.11 기반의 무선랜 규격인 Wi-Fi는 기본적으로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AP에 접속함으로써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애드혹(ad-hoc) 기능을 이용한 P2P(peer-to-peer) 통신의 경우 보안에 취약하고, 전송 속도가 떨어지며 설정 방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 Wi-Fi Alliance에서는 P2P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Wi-Fi 다이렉트(Wi-Fi Direct)를 제안하였다. Wi-Fi 다이렉트는 AP를 통하지 않고 무선 기기들 간의 P2P 연결이 가능하게 하며, 최대 250Mbps의 속도를 지원하고, WPA2(Wi-Fi Protected Access 2)를 이용하여 보안 설정을 함으로써 애드혹 통신의 문제점을 대폭 개선하였다. 또한, 최대 200m에 이르는 전송 범위를 지원함으로써 앞으로 P2P 통신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 Wi-Fi 다이렉트의 등장으로 인해 P2P 통신은 앞으로 그 활용도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P2P 통신 기술은 프린터, 스캐너, 팩스 또는 복합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도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안전하고 간편한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예가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소프트 AP(access point)로 동작되기 위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Wi-Fi 다이렉트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외부의 무선 기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제공된 내장 웹 페이지를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상기 내장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무선 연결하고자 하는 인프라 네트워크의 접속 정보를 상기 무선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기기로부터 수신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소프트 AP(access point)로 동작되기 위한 Wi-Fi 다이렉트 기능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외부의 무선 기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내장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생성된 내장 웹 페이지를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내장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의 접속 정보를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화상형성시스템은, 소프트 AP(access point)로 동작되기 위한 Wi-Fi 다이렉트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외부의 무선 기기에 연결된 경우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내장 웹 페이지를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제공된 상기 내장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내장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무선 연결하고자 하는 인프라 네트워크의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무선 기기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와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외부의 무선 기기와 무선 연결되기 위한 무선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무선 기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내장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생성된 내장 웹 페이지를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내장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의 접속 정보를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한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GUI 또는 키패드 등의 입력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간단한 버튼들만 구비된 화상형성장치라 할지라도, 무선 기기와의 Wi-Fi 다이렉트 기능에 의한 통신을 통해 화상형성장치가 인프라 네트워크로 무선 연결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입력 또는 설정할 수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가 보다 간편하게 인프라 네트워크에 무선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서로 무선 연결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무선랜 기기들 및 레거시 무선랜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Wi-Fi 다이렉트 기기간의 무선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Wi-Fi 다이렉트 기기에서 기기 검색(device discovery)을 수행한 결과 검색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Wi-Fi 다이렉트 기기간의 연결 과정 중 그룹 형성(group formation)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WPS 실행을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동시 연결된 Wi-Fi 다이렉트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9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910)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900) 내에서 화상형성장치(910), 무선 기기(920) 및 인프라 네트워크(930) 간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910)의 웹 리다이렉션에 의해 무선 기기(920)에 표시된 내장 웹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910)가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무선 연결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910), 무선 기기(920) 및 인프라 네트워크(930) 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910)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한 예로서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rinter, MFP)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스캐너, 팩시밀리 등의 다른 장치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므로, 본 실시예는 복합기 외의 다른 장치들에도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에 따라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우선, 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기본 연결 및 동작 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서로 무선 연결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무선 기기들 및 레거시(legacy) 무선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110)는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스마트폰(120),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노트 PC(130) 및 레거시 무선랜 노트 PC(140)와 무선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레거시 무선랜 노트 PC(140)란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지 않는 기존의 무선랜 기술이 적용된 노트 PC를 의미한다.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무선 기기(또는, Wi-Fi 다이렉트 기기)는 기존의 Wi-Fi를 지원하는 기기들과 달리, 인프라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 기기들 간의 P2P 통신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Wi-Fi 기술의 경우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미 구축된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공유기, 즉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에 Wi-Fi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해야 한다. 이 때, AP에 무선 연결된 Wi-Fi 기기들은 스테이션(station)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한다. 하지만, Wi-Fi 다이렉트 기술의 경우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자 하는 Wi-Fi 다이렉트 기기들 중의 어느 하나가 AP의 역할을 수행하고, 나머지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은 AP의 역할을 수행하는 Wi-Fi 다이렉트 기기에 무선 연결되어 스테이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AP 없이도 Wi-Fi 다이렉트 기기들간의 무선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Wi-Fi 다이렉트 기기들간에 무선 네트워크가 형성되었다면 Wi-Fi 기기와 같은 레거시 무선랜 기기들은 AP의 역할을 수행하는 Wi-Fi 다이렉트 기기를 AP로 인식하고 이에 무선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인 Wi-Fi 다이렉트 복합기(110), Wi-Fi 다이렉트 스마트폰(120) 및 Wi-Fi 다이렉트 노트 PC(130)는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AP 없이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AP 없이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들끼리 무선 연결되어 P2P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Wi-Fi 다이렉트 복합기(110)가 AP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이 Wi-Fi 다이렉트 기기들 중에서 AP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기를 P2P 그룹의 그룹 오너(Group Owner, 이하 GO)라고 한다. 그리고 Wi-Fi 다이렉트 스마트폰(120)과 Wi-Fi 다이렉트 노트 PC(130)는 GO인 Wi-Fi 다이렉트 복합기(110)에 무선 연결되어 스테이션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은 기기들을 클라이언트(client)라고 한다. 한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무선랜 노트 PC(140)는 GO인 Wi-Fi 다이렉트 복합기(110)를 AP로 인식하고 무선 연결됨으로써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이 형성한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Wi-Fi 다이렉트 기기들 중에서 복합기(110)가 GO가 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다른 Wi-Fi 다이렉트 장치인 스마트폰(120) 또는 노트 PC(130) 중 어느 하나가 GO가 되고 복합기(110)는 클라이언트가 되어 무선 연결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Wi-Fi 다이렉트 기기가 GO가 될 지의 여부는 Wi-Fi 다이렉트 연결 과정에서 협상(negotiation)을 통해 결정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해당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Wi-Fi 다이렉트 기기는 협상을 통하지 않고 연결 전에 스스로 GO가 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Wi-Fi 다이렉트 기기를 자율 그룹 오너(Autonomous Group Owner, 이하 AGO)라고 한다. 또한, AGO를 중심으로 형성된 무선 네트워크를 독립 P2P 그룹(Autonomous P2P Group)이라고 한다. 독립 P2P 그룹이 형성된 경우 레거시 무선랜 기기는 AGO를 인프라 네트워크의 AP와 같이 인식하고 접속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AP 없이 Wi-Fi 다이렉트 기기들끼리 P2P 그룹을 형성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AP가 있는 경우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은 이에 접속하여 스테이션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Wi-Fi 다이렉트 기기들간의 무선 연결 프로세스 및 Wi-Fi 다이렉트 기술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이하, Wi-Fi 다이렉트 복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프린터, 스캐너 또는 팩시밀리 등까지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P2P 통신 방법의 한 예로 Wi-Fi 다이렉트를 들고 있으나 적용이 가능한 내에서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 등의 다른 종류의 P2P 통신 방법을 이용한 경우까지 본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Wi-Fi 다이렉트 기기간의 무선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Wi-Fi 다이렉트 복합기(210)와 Wi-Fi 다이렉트 노트 PC(220)간에 Wi-Fi 다이렉트 연결을 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Wi-Fi 다이렉트 연결 과정은 크게 기기 검색(device discovery), 그룹 형성(group formation) 및 보안 연결(security connection)로 나눌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Wi-Fi 다이렉트 기기 중의 하나인 복합기(210)는 사용자로부터 기기 검색(device discovery) 요청(201)을 받고 주변에 Wi-Fi 다이렉트 기기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202). 이러한 기기 검색 요청은 복합기(2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받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합기(210)에 구비된 LCD 등의 디스플레이에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받을 수 있다. 복합기(210)에서 기기 검색을 수행한 결과 주변에 Wi-Fi 다이렉트 기기가 있다면 복합기(21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검색된 기기를 보여주고 사용자로부터 연결 요청(203)을 받는다. 연결 요청(203) 역시 복합기(2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버튼 또는 터치 패널을 누르는 형태로 입력 받을 수 있으며, 검색된 Wi-Fi 다이렉트 기기가 복수 개인 경우 복합기(210)는 디스플레이에 이를 목록으로 보여주고 사용자는 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연결 요청(203)을 받으면 연결하고자 하는 Wi-Fi 다이렉트 기기들 간에는 그룹 형성(group formation)이 수행된다(204). 그룹 형성(group formation)이란 어떤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이 서로 연결될 것이고, 이 때 어느 Wi-Fi 다이렉트 기기가 GO 또는 클라이언트가 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Wi-Fi 다이렉트 기기가 GO가 될 것인지는 Wi-Fi 다이렉트 기기간의 협상(negotiation)을 통해 결정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4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룹이 형성되었으면 그룹에 속하는 기기들은 서로 보안 연결(security connection)이 되어야 하는데, 이 때 사용되는 기술이 Wi-Fi Protected Setup(이하, WPS)이다. WPS란 Wi-Fi를 지원하는 기기들 간에 간단하게 보안 연결을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WPS에는 PIN(Personal Identificaion Number) 방식과 PBC(Push Button Configuration) 방식이 있는데 PIN 방식이란 미리 설정된 PIN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보안 연결을 하는 것이고, PBC 방식이란 Wi-Fi 다이렉트 기기에 구비된 WPS 버튼을 눌러줌으로써 보안 연결을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PBC 방식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복합기(210)에 구비된 WPS 버튼을 눌러서 보안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205). 그리고 일정 시간(일반적으로 120초) 내에 노트 PC(220)에 구비된 WPS 버튼, 또는 노트 PC(220)의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상에 구현된 WPS 버튼을 눌러서 보안 연결을 할 수 있다. 노트 PC(220)의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상에 구현된 WPS 버튼이란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노트 PC(220)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object)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는 아래의 도 5의 식별 번호 510에 나타내었다. 사용자는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노트 PC(220)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WPS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보안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WPS 버튼을 눌러서 보안 연결을 요청하면 Wi-Fi 다이렉트 기기 중에서 그룹 형성 과정에서 GO가 되도록 결정된 기기는 클라이언트가 되도록 결정된 기기에 보안 정보를 전송한다(206). Wi-Fi 다이렉트에서는 WPA2(Wi-Fi Protected Access 2)-PSK(Pre-Shared Key) 인증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보안 연결을 하므로 기존의 WEP(Wired Equivalent Privacy)나 WAP(Wi-Fi Protected Access) 방식에 비해 강력한 보안 성능을 갖는다.
WPS를 실행하면 클라이언트인 Wi-Fi 다이렉트 기기는 GO인 Wi-Fi 다이렉트 기기에 연결되며(207), 이 때 GO인 Wi-Fi 다이렉트 기기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를 이용해 클라이언트인 Wi-Fi 다이렉트 기기에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208)함으로써 Wi-Fi 다이렉트 기기간의 P2P 연결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복합기(210)에서의 Wi-Fi 다이렉트 기기간의 무선 연결 과정에는 일반적으로 PBC 방식 또는 PIN 방식에 의한 WPS 버튼을 누르는 과정(205)이 반드시 요구되었다. 하지만, 복합기(210)의 경우 대부분의 사용처가 집 또는 회사에 해당되고, 집 또는 회사에서는 거의 동일한 사용자의 무선 기기(예를 들어, 도 1의 Wi-Fi 다이렉트 스마트폰(120), Wi-Fi 다이렉트 노트 PC(130) 및 레거시 무선랜 노트 PC(140) 등)가 복합기(210)에 Wi-Fi 다이렉트의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따라서, 종래의 복합기(210)의 Wi-Fi 다이렉트 기기간의 무선 연결 과정에서 항상 PBC 방식 또는 PIN 방식에 의한 WPS 버튼을 누르는 과정(205)을 요구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WPS 버튼을 누르는 과정(205)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을 줄이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 기기간의 무선 연결 과정은 과거에 Wi-Fi 다이렉트 연결이 성공하였던 무선 기기들에 대해서는 WPS 버튼을 누르는 과정(205)을 생략하도록 제어한다.
지금까지는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의 연결을 위한 기본적인 과정을 살펴보았는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각 연결 과정의 구체적인 내용 및 Wi-Fi 다이렉트 기술의 특징을 설명한다.
도 3은 Wi-Fi 다이렉트 기기에서 기기 검색(device discovery)을 수행한 결과 검색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Wi-Fi 다이렉트 기기에서 기기 검색을 수행하면 무선랜 패킷인 탐색 요청(probe request) 및 탐색 응답(probe response)을 통해 기기의 타입(type) 및 SSID(Service Set Identifier) 등의 기기 정보를 교환하고, 기기 검색을 수행한 기기에서 수집된 정보를 표시한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변에서 검색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의 SSID(310) 및 기기 타입(320)을 텍스트 또는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한다. 이 때, 검색된 기기들을 모두 목록에 표시할 수도 있지만 기기 타입 별로 필터링하여 원하는 타입의 기기만을 포함하는 목록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Wi-Fi 다이렉트 기술에서는 기기의 타입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정의하고 있다. 기기 타입은 예를 들어, 컴퓨터, 입력 디바이스, 프린터, 스캐너, 팩스, 복사기 및 카메라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되고, 하나의 카테고리는 다시 서브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다시 PC, 서버, 노트북 등의 서브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도 4는 Wi-Fi 다이렉트 기기간의 연결 과정 중 그룹 형성(group formation)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룹 형성 과정이란 간단히 어떤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이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할 것인지 여부 및 어느 기기가 GO가 되고 어느 기기가 클라이언트가 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Wi-Fi 다이렉트 복합기(410)에서 기기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 중에서 노트 PC(420)를 선택하고 연결을 시도하면 복합기(410)는 노트 PC(420)에 GO 협상(negotiation) 요청을 전송한다(401). GO 협상 요청을 수신한 노트 PC(420)는 복합기(410)와 자신의 집중도 값(intent value)를 비교하여 복합기(410)의 집중도 값이 큰 경우 복합기(410)가 GO가 되도록 결정하고, 반대인 경우 노트 PC(420)가 GO가 되도록 결정한다. 이 때, 집중도 값이란 각 기기에 업무가 집중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제조사 정책 및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다. 복합기와 같이 항상 전원이 공급되는 기기는 비교적 높은 집중도 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집중도 값을 비교하여 어느 기기가 GO가 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였다면 노트 PC(420)는 그 결과를 GO 협상 응답으로 복합기(410)에 전송한다(402). 이를 수신한 복합기(410)는 협상 내용을 정확히 수신하였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신한 GO 협상 내용을 다시 노트 PC(420)로 전송하는 GO 협상 확인(403)을 함으로써 그룹 형성 과정을 종료된다. 그룹 형성이 완료되면 GO인 장치는 보안 정보 및 그룹에 포함된 기기들의 SSID 등을 관리한다.
그룹 형성이 완료되면 그룹에 포함된 Wi-Fi 다이렉트 기기들은 WPS(Wi-Fi Protected Setup)를 통해 보안 연결된다. 도 5는 WPS 실행을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5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면은 Wi-Fi 다이렉트 복합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WPS를 실행하기 위해 WPS 버튼(510) 또는 PIN 코드(520)를 선택할 수 있다. WPS 버튼(510)을 통해 WPS를 실행하는 경우 복합기에서 WPS 버튼(510)을 누르고, 일정 시간 내에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에서 WPS 버튼을 누르면 기기들간에는 자동으로 보안 정보가 교환되고 보안 연결이 된다. 이 때, GO인 기기에서 보안 정보를 제공하면 클라이언트인 기기는 이를 수신한다. 또한 이 때, WPA2(Wi-Fi Protected Access 2)-PSK(Pre-Shared Key) 인증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보안 연결을 하므로 강력한 보안 성능을 갖는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의 WPS 버튼(510)의 입력은 동일한 사용자가 과거에 연결하였던 동일한 무선 기기들로 집 또는 회사와 같은 동일한 Wi-Fi 다이렉트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시도할 경우에는 불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 기기간의 무선 연결 과정은 과거에 Wi-Fi 다이렉트 연결이 성공하였던 무선 기기들에 대해서는 도 5는 WPS 실행 과정이 생략될 수도 있다.
Wi-Fi 다이렉트 기기는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Wi-Fi 다이렉트와 P2P 연결이 될 수도 있는데 이를 동시 연결(Concurrent Connection)이라고 한다. 도 6은 동시 연결된 Wi-Fi 다이렉트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Wi-Fi 다이렉트 복합기(620)는 다른 Wi-Fi 다이렉트 기기인 스마트폰(610)과 P2P 연결이 되는 동시에 인프라 네트워크의 AP(630)에도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복합기(620)는 스마트폰(610)에 P2P 연결되었으므로 스마트폰(610)으로부터 직접 인쇄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고, 동시에 인프라 네트워크의 AP(630)를 통해 인프라 네트워크로부터 직접 인쇄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도 있다.
Wi-Fi 다이렉트 기기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시 연결되는 경우, 또는 인프라 네트워크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Wi-Fi 다이렉트 기기와 P2P 연결이 되는 경우 각각의 연결, 즉 인프라 네트워크에의 연결과 다른 Wi-Fi 다이렉트 기기와의 연결에 각각 다른 IP 주소 및 MAC 주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멀티호밍(multihoming) 기술을 통해 Wi-Fi 다이렉트 기기는 동시 연결된 각 인터페이스 별로 다른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는 복합기의 모든 기능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하지만 다른 Wi-Fi 다이렉트 기기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는 제한된 일부의 기능에 대한 서비스만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도 7은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unit)(710), 이더넷 인터페이스부(Ethernet interface unit)(720), 중앙처리부(Central Processing Unit, CPU)(730), 메모리부(7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unit)(750), 스캐너부(760), 팩스부(770) 및 프린트 엔진(78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부(740)는 RAM(Random Access Memory)(742) 및 ROM(Read Only Memory)(744)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무선랜만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라면 이더넷 인터페이스부(720)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가 프린터의 경우라면 스캐너부(760) 및 팩스부(770)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710)는 IEEE 802.11 b/g/n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랜(Wireless LAN)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등의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 모듈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하며,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을 통해 중앙처리부(830)가 탑재된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보드와 통신할 수 있다. 이더넷 인터페이스부(720)은 IEEE 802.3에 따라 유선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중앙처리부(730)는 화상형성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부(740)에는 제어에 필요한 정보 및 인쇄 데이터 등이 저장되고 필요할 때에 읽힌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50)는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의 정보를 확인하고 화상형성장치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하드웨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50)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LCD 또는 LED 등의 디스플레이에 2 또는 4 라인의 형태로 단순하게 구성되거나, 혹은 다양한 그래픽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그래픽 UI(GUI)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스캐너부(760), 팩스부(770) 및 프린트 엔진(780)은 각각 스캔 기능, 팩스 기능 및 프린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도 8은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소프트웨어의 각 구성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랜 동글 펌웨어(WLAN dongle firmware)(801)는 무선랜 연결을 위한 펌웨어로서 무선랜 동글 하드웨어 내에 저장되거나 또는 부팅시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보드에서 무선랜 동글 하드웨어로 전송될 수도 있다. Bus 드라이버(802) 및 STA 호스트 드라이버(803)는 무선랜 하드웨어와 통신하기 위한 저레벨(low level)의 버스 드라이버이다. 무선랜 제어 채널(804) 및 무선랜 데이터 채널(805)은 무선랜 펌웨어와 통신하기 위한 채널을 의미한다. Wi-Fi 다이렉트 모듈(807)은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수행하고 무선랜 펌웨어에 동작 명령을 내리는 모듈이다. IEEE 802.11u GAS(Generic Advertisement Service) 모듈(808)은 IEEE 802.11u GAS 기능을 수행하고, WPS 모듈(810)은 WPS 기능을 수행한다. 소프트 AP(Soft AP) 모듈(811)은 화상형성장치가 AP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TCP/IP(813)는 네트워크 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Wi-Fi 다이렉트 연결 관리자(812)는 Wi-Fi 다이렉트 연결과 관련된 제어를 하기 위한 모듈이다. Wi-Fi 다이렉트 사용자 인터페이스(815)는 사용자가 Wi-Fi 다이렉트와 관련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내장형 웹 서버(Embedded Web Server, EWS)에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814)에 포함될 수 있다. DHCP 서버(816)는 클라이언트로 연결되는 Wi-Fi 다이렉트 기기에 자동으로 IP를 할당한다. 네트워크 응용프로그램(817)은 네트워크와 관련된 각종 응용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살펴본 Wi-Fi 다이렉트 기술은 다음과 같은 특장점을 갖는다.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는 언제 어디서나 연결이 가능하여 이동성 및 휴대성이 극대화 되었으며, 새로운 Wi-Fi 다이렉트 기기가 추가되는 경우 바로 연결을 하고 즉각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을 설정하기 전에 이용 가능한 기기 또는 서비스가 있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할 수 있어 사용 용이성이 향상되었으며, WPS에 의해 연결 버튼을 누르는 등의 간단한 작업을 통해 간편하고 안정적인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하며, WPA2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강력한 보안 성능을 갖는다.
또한, Wi-Fi 다이렉트 기술은 다음과 같은 기존의 무선랜 기술이 제공하지 못하던 새로운 기능을 제공한다.
주변의 Wi-Fi 다이렉트 기기를 기기 타입(device type)별로 검색할 수 있는 기기 검색(device discovery) 기능, 주변의 Wi-Fi 다이렉트 기기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검색(service discovery) 기능, 전력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 관리(power management) 기능, 기존의 인프라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동시에 Wi-Fi 다이렉트 기기간 P2P 연결을 형성하는 동시 연결(concurrent connection) 기능, 인프라 네트워크 연결과 WiFi 다이렉트 연결 간에 보안 도메인(security domain)을 분리하는 기능, 인터넷 접속을 공유할 수 있는 교차 연결(cross connection) 기능 등이 있다.
또한, 기존 무선랜 기술인 IEEE 802.11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레거시 무선랜 기기들과도 호환이 가능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유선랜(이더넷)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도 7의 710 또는 72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유선 연결의 경우에는 유선랜(이더넷)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연결 후에 간단한 IP 설정만으로도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무선 연결의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주변의 AP를 검색하고 원하는 AP를 선택한 후에 보안 정보(예를 들어, 패스워드 등)를 입력함으로써 인프라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만약, 화상형성장치가 GUI로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도 7의 750)를 갖는다면, 화상형성장치는 GUI를 통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의 접속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무선 연결의 과정을 스탠드 얼론(Stand Alone)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화상형성장치에 GUI 또는 키패드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도 7의 750)가 갖추어 지지 않은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는 예를 들어, 별도의 USB 기기에 저장된 무선 설정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시킴으로써, 무선 설정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인프라 무선 네트워크로의 무선 연결을 위하여 번거로운 USB 연결을 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무선 설정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한 작업들로 인해 사용자의 화상형성장치의 인프라 네트워크 연결을 불편하고 번거롭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예 따르면, GUI 또는 키패드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도 7의 750)가 갖추어 지지 않은 화상형성장치에서 인프라 네트워크에 무선 연결하고자 할 때 발생되는 위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Wi-Fi 다이렉트로 연결된 일반 무선 기기(PC,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무선 기기)의 중계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연결의 접속 설정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화상형성장치가 인프라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에 대해서 도 9 내지 14를 참고하여 구체적인 기능 및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Wi-Fi 다이렉트를 위주로 설명하겠으나, 본 실시예는 Wi-Fi 다이렉트에 의해서만 제한되지 않고, Wi-Fi 다이렉트 이외의 애드혹(Ad-hoc), NFC, Bluetooth, Zigbee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방식들의 P2P 연결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9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hardware components)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화상형성시스템(900)에는 도 9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화상형성시스템(900) 내에는 화상형성장치(910), 무선 기기(920), 인프라 네트워크(930)(무선 네트워크) 및 AP(932)가 존재한다. 여기서, 무선 기기(920)는 Wi-Fi 다이렉트 기능을 지원하는 Wi-Fi 다이렉트 기기로서, 일반적인 PC,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인프라 네트워크(930)는 홈 네트워크 환경, 회사 네트워크 환경 등의 일반적으로 구축된 다양한 종류의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무선으로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AP(932)를 통하여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910)는 유선랜 인터페이스부(미도시) 또는 USB 모듈(미도시) 등을 통하여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9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P(932)와의 연결을 매개로 하여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910)가 AP(932)를 통해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무선 연결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910)에서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대한 무선 연결의 접속 설정, 예를 들어 인프라 네트워크(930)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여야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910)는 GUI 또는 키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가 갖추어 지지 않은 경우, 또는 단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예를 들어, 단순한 버튼들이나 2 또는 4 라인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가정하여, 화상형성장치(910)가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화상형성장치(910)에 GUI 또는 키패드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가 갖추어 진 경우에도, 본 실시예가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910)는 전원이 인가(Power-On)된 경우, 소프트 AP(또는 Group Owner, GO)로 동작되기 위한 Wi-Fi 다이렉트 기능을 실행한다.
화상형성장치(910)가 소프트 AP로 동작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910) 주변에 존재하는 무선 기기(920)에서는 Wi-Fi 다이렉트로 연결 가능한 장치들의 목록들 중 하나로서, 화상형성장치(910)가 검색될 수 있다.
무선 기기(920)가 화상형성장치(910)와의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한 연결을 요청한 경우, 화상형성장치(910)와 무선 기기(920)는 앞서 설명하였던 과정들, 예를 들어 도 2 또는 도 4 등에서 설명된 과정들을 거친 후, 서로 Wi-Fi 다이렉트에 의한 무선 연결이 수립된다.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화상형성장치(910)가 무선 기기(920)에 연결된 경우, 무선 기기(920)는 화상형성장치(910)로부터 제공된 내장 웹 페이지(embedded web page)(또는 Custom RUI(remote UI))를 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화상형성장치(910)로부터 제공된 내장 웹 페이지는 화상형성장치(910)의 웹 리다이렉션(web redirection)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기기(920)에 제공된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웹 리다이렉션은 화상형성장치(910)에 Wi-Fi 다이렉트에 의해 연결된 무선 기기(920)에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접속을 시도하거나 또는 무선 기기(920)에서 강제적으로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어, 무선 기기(920)에서의 모든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접속 요청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화상형성장치(910)에서 제공하는 내장 웹 페이지를 보여주는 기술이다. 따라서, 무선 기기(920)가 화상형성장치(910)에 Wi-Fi 다이렉트로 연결되었다면, 무선 기기(920)의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910)의 네트워크 주소(IP 주소)를 알지 못하더라도 화상형성장치(910)에서 제공하는 내장 웹 페이지에 쉽게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910) 및 무선 기기(920)가 Wi-Fi 다이렉트 기능이 아닌,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에 의해 연결된 경우에도, 웹 리다이렉션에 의한 내장 웹 페이지가 무선 기기(92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웹 리다이렉션은 Wi-Fi 다이렉트 이외에도, 애드혹(Ad-hoc), NFC, Bluetooth, Zigbee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방식들의 P2P 연결을 통해서도 무선 기기(920)에 내장 웹 페이지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910)의 웹 리다이렉션은 Wi-Fi 다이렉트 기능을 이용하여 내장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겠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910)의 웹 리다이렉션은 Wi-Fi 다이렉트 이외에도, 애드혹(Ad-hoc), NFC, Bluetooth, Zigbee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방식들의 P2P 연결을 이용하는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화상형성장치(910)가 웹 리다이렉션을 이용하여 무선 기기(920)에 내장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은 단지 하나의 일 실시예에 해당될 뿐이다. 즉, 화상형성장치(910)와 무선 기기(920)가 Wi-Fi 다이렉트, 또는 다른 P2P 통신 방식들에 의해 연결되었을 때 화상형성장치(910)에서 제공하는 내장 웹 페이지가 무선 기기(920)에서 표시될 수만 있다면, 화상형성장치(910)는 웹 리다이렉션 뿐만 아니라, 다른 기타의 방법을 이용하여서도 무선 기기(920)에 내장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고, 이는 본 실시예의 범위 내에 속한다는 점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다만,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웹 리다이렉션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웹 리다이렉션 기능에 의해 무선 기기(920)에서 표시된 내장 웹 페이지는, 화상형성장치(910)에서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인프라 네트워크(930))와 화상형성장치(910)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웹 페이지이다.
즉, 무선 기기(920)가 화상형성장치(910)에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연결되면, 무선 기기(920)에는 화상형성장치(910)의 웹 리다이렉션에 의해 제공된 내장 웹 페이지가 무선 기기(920)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된다.
사용자는 무선 기기(920)에서 표시된 내장 웹 페이지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910)와 인프라 네트워크(930) 간의 무선 연결을 위한 접속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연결을 위한 접속 정보는 인프라 네트워크(93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SSID) 또는 접속 패스워드 정보 등의 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모든 정보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910)는 무선 기기(920)를 이용하여 우회적으로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무선 연결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910)는 무선 기기(920)에 표시된 내장 웹 페이지를 통하여 입력된 접속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화상형성장치(910)는 수신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910)와 인프라 네트워크(930)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한다.
이로써, 화상형성장치(910), 특히 GUI 또는 키패드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화상형성장치(910) 일지라도, 무선 기기(920)와의 Wi-Fi 다이렉트 기능에 의한 통신을 이용하여 우회적으로 네트워크 연결의 접속 정보를 입력(또는, 설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간편하게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무선 연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910)의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910)는 도 7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중 본 실시예와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만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하지만, 도 10에서 생략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라 하더라도 도 7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10의 화상형성장치(91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는 화상형성장치(910)가 소프트 AP로 동작되기 위한 Wi-Fi 다이렉트 기능을 실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는 앞서 도 7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710)와 같이, IEEE 802.11 b/g/n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랜(Wireless LAN)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Bluetooth 모듈, Zigbee 모듈 등의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 모듈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중앙 처리부(913)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된 하드웨어 구성요소이다. 중앙 처리부(913)는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화상형성장치(910)가 무선 기기(920)에 연결된 경우, 화상형성장치(910)에서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내장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앙 처리부(913)는 Wi-Fi 다이렉트 연결 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 예를 들어 애드혹(Ad-hoc) 연결, NFC 연결 등의 경우에도 웹 리다이렉션을 위한 내장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는 생성된 내장 웹 페이지를 무선 기기(920)에 제공한다. 이 때 생성된 내장 웹 페이지는, 화상형성장치(910)의 웹 리다이렉션 기능을 이용하여 제공된 웹 페이지이다. 그리고, 생성된 내장 웹 페이지는, 화상형성장치(910)에서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의 목록 중 어느 하나와 화상형성장치(910)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웹 페이지이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는 무선 기기(920)에 표시된 내장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인프라 네트워크(930)의 접속 정보를 무선 기기(920)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는 무선 기기(920)로부터 수신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910)와 인프라 네트워크(930)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910)는 미리 무선 기기(920)와의 Wi-Fi 다이렉트 기능을 이용한 통신을 종료한 후에, 화상형성장치(910)와 인프라 네트워크(930)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완료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900) 내에서 화상형성장치(910), 무선 기기(920) 및 인프라 네트워크(930) 간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시스템(900) 및 화상형성시스템(900) 내의 화상형성장치(910), 무선 기기(920) 및 인프라 네트워크(930)는 도 9에 도시된 화상형성시스템(900)과 동일하다.
한편, 화상형성장치(910)는 도 7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들 중 본 실시예와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만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하지만, 도 11에서 생략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라 하더라도 도 7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11의 화상형성장치(91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910)는 도 10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910)에는 포함되지 않은 일부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하나, 이는 화상형성시스템(900) 내의 장치들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것일 뿐이다.
화상형성장치(910)는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유선랜 인터페이스부(915) 또는 USB 모듈(917)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유선랜 인터페이스부(915) 또는 USB 모듈(917)을 이용할 수 없거나 또는 유선랜 인터페이스부(915) 또는 USB 모듈(917)의 이용이 번거로울 경우,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910)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를 통해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무선 연결하고자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가정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910)에 GUI 또는 키패드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가 없는 경우 또는 단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는, USB 모듈(917)을 통해 수신한 무선 설정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야만 하고, 다른 방법으로는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무선 연결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910)는 무선 기기(920)와의 Wi-Fi 다이렉트 기능을 이용한 통신을 통하여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연결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910)의 상태가 파워-오프(power-off) 상태에서 파워-온(power-on) 상태로 변경된 경우, 화상형성장치(910)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의 Wi-Fi 다이렉트 기능은 활성화된다.
화상형성장치(910)의 중앙 처리부(913)는 유선랜 인터페이스부(915)(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또는 USB 모듈(917)을 통해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화상형성장치(910)가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화상형성장치(910)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는 소프트 AP로 동작한다.
무선 기기(920)가 화상형성장치(910)의 Wi-Fi 다이렉트의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한 경우, 무선 기기(920)에서는 Wi-Fi 다이렉트로 연결 가능한 장치들의 목록들 중 하나로서, 화상형성장치(910)가 검색된다.
무선 기기(920)로부터 화상형성장치(910)와의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한 연결이 요청된 경우, 화상형성장치(910)와 무선 기기(920)는 앞서 설명하였던 과정들, 예를 들어 도 2 또는 도 4 등에서 설명된 과정들을 거친 후, 서로 Wi-Fi 다이렉트에 의해 무선 연결이 수립된다.
이후에,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는 화상형성장치(910)와 무선 연결 가능한 주변의 인프라 네트워크들의 목록을 검색한다.
중앙 처리부(913)는 검색된 인프라 네트워크들의 목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내장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내장 웹 페이지는, 화상형성장치(910)에서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 중 어느 하나의 인프라 네트워크(930)와 화상형성장치(910)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웹 페이지이다.
저장부(919)는 위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내장 웹 페이지의 플랫폼을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고, 중앙 처리부(913)는 내장 웹 페이지의 생성시 저장부(919)에 미리 저장된 플랫폼을 독출하여(read-out) 위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하는 내장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919)는 중앙 처리부(913)에 의해 생성된 내장 웹 페이지 또는 이 밖에 화상형성장치(910) 내에서 처리된 모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91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의 Wi-Fi 다이렉트 기능을 이용하여, 생성된 내장 웹 페이지를 웹 리다이렉션을 통해 무선 기기(920)에 제공한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91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의 Wi-Fi 다이렉트 기능 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통신 기능들, 예를 들어 애드혹(Ad-hoc) 기능, NFC 기능 등을 이용하여서도, 내장 웹 페이지를 웹 리다이렉션을 통해 무선 기기(9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기기(920)는 웹 리다이렉션에 의해 제공된 내장 웹 페이지를 표시한다. 이는, 화상형성장치(910)가 유선랜 인터페이스부(915) 또는 USB 모듈(917)을 통해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유선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무선 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과정이다.
웹 리다이렉션 기능에 의해 무선 기기(920)에서 표시된 내장 웹 페이지는, 화상형성장치(910)에서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인프라 네트워크(930))와 화상형성장치(910)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웹 페이지이다.
즉, 화상형성장치(910)가 유선랜 인터페이스부(915) 또는 USB 모듈(917)을 통해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유선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무선 기기(920)가 화상형성장치(910)에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연결되면, 무선 기기(920)에는 화상형성장치(910)의 웹 리다이렉션에 의해 제공된 내장 웹 페이지가 무선 기기(920)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된다.
사용자는 무선 기기(920)에서 표시된 내장 웹 페이지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910)와 인프라 네트워크(930) 간의 무선 연결을 위한 접속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연결을 위한 접속 정보는 인프라 네트워크(93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SSID) 또는 접속 패스워드 정보 등의 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모든 정보들을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910)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는 무선 기기(920)에 표시된 내장 웹 페이지를 통하여 입력된 접속 정보를 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는 무선 기기(920)로부터 수신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930)로의 연결을 시도한다.
시도 결과, 인프라 네트워크(930)로의 연결이 가능한 경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는 화상형성장치(910)와 무선 기기(920) 간의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한 연결을 종료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910)와 무선 기기(920) 간의 연결이 종료되었는바, 화상형성장치(910)의 소프트 AP의 동작도 함께 종료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930)와 무선 기기(920) 간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는 수신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910)와 인프라 네트워크(930)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새롭게 수립한다.
이로써, 화상형성장치(910), 특히 GUI 또는 키패드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화상형성장치(910) 일지라도, 무선 기기(920)와의 Wi-Fi 다이렉트 기능에 의한 통신을 이용하여 우회적으로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대한 접속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무선 연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910)의 웹 리다이렉션에 의해 무선 기기(920)에 표시된 내장 웹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910)가 소프트 AP로 동작하는 동안, 무선 기기(920)에는 Wi-Fi 다이렉트로 연결 가능한 주변의 장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201)이 표시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201)에는, 소프트 AP로 동작 중인 화상형성장치(910)의 SSID(SAMSUNG_IFA)(1203)가 표시된다.
사용자(95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201)에 표시된 화상형성장치(910)의 SSID(SAMSUNG_IFA)(1203)를 선택한 경우, 화상형성장치(910)와 무선 기기(920)는 Wi-Fi 다이렉트로 무선 연결된다.
화상형성장치(910)와 무선 기기(920)가 무선 연결된 경우, 무선 기기(920)에는 화상형성장치(910)의 웹 리다이렉션에 의해 제공된 내장 웹 페이지(1205)가 표시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장 웹 페이지(1205)에는 화상형성장치(910)에서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950)는 내장 웹 페이지(1205)를 통하여,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 중 화상형성장치(910)와 연결하고자 하는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대한 무선 연결의 접속 정보(SSID, 패스워드 등)(1207)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인프라 네트워크(930)의 접속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없는 화상형성장치(910)인 경우에도, 사용자(950)는 무선 기기(92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화상형성장치(910)와 인프라 네트워크(930) 간의 무선 연결을 수립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910)가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무선 연결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910), 무선 기기(920) 및 인프라 네트워크(930) 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서 이하 설명될 내용은 도 9 내지 12에서 설명된 화상형성시스템(900) 내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8에서 설명되었던 일반적인 Wi-Fi 다이렉트 기술에 관한 내용과 도 9 내지 12에 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13에도 적용될 수 있다.
13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910)가 인프라 네트워크(930)에 유선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화상형성장치(910)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는 소프트 AP로 동작하도록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활성화한다.
1302 단계에서, 무선 기기(920)가 화상형성장치(910)의 Wi-Fi 다이렉트의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한 경우, 무선 기기(920)에서는 Wi-Fi 다이렉트로 연결 가능한 장치들의 목록 중 하나로서, 화상형성장치(910)가 검색된다. 무선 기기(920)로부터 화상형성장치(910)와의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한 연결이 요청된 경우, 화상형성장치(910)와 무선 기기(920)는 앞서 설명하였던 과정들, 예를 들어 도 2 또는 도 4 등의 과정들을 거친 후, 서로 Wi-Fi 다이렉트에 의해 무선 연결이 수립된다.
1303 단계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는 화상형성장치(910)와 무선 연결 가능한 주변의 인프라 네트워크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 무선 연결 가능한 주변의 인프라 네트워크들의 목록(예를 들어, 주변의 인프라 네트워크들의 SSID, 보안 정보 등)을 수집한다.
130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910)의 중앙 처리부(913)는 수집된 인프라 네트워크들의 목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내장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내장 웹 페이지는, 화상형성장치(910)에서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 중 어느 하나와 화상형성장치(910)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웹 페이지이다.
그리고 나서, 화상형성장치(910)는 생성된 내장 웹 페이지를 웹 리다이렉션을 통해 무선 기기(920)에 제공한다.
1305 단계에서, 무선 기기(920)는 웹 리다이렉션에 의해 제공된 내장 웹 페이지를 표시한다.
1306 단계에서, 사용자(950)는 무선 기기(920)에서 표시된 내장 웹 페이지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910)와 인프라 네트워크(930) 간의 무선 연결을 위한 접속 정보를 직접 입력한다. 여기서, 무선 연결을 위한 접속 정보는 인프라 네트워크(93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SSID) 또는 접속 패스워드 정보 등의 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모든 정보들을 포함한다.
1307 단계에서, 무선 기기(920)는 Wi-Fi 다이렉트를 통해 입력된 접속 정보를 화상형성장치(910)에 전송한다. 즉, 화상형성장치(910)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는 무선 기기(920)에 표시된 내장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접속 정보를 수신한다.
1308 단계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는 무선 기기(920)로부터 수신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930)로의 연결을 시도한다.
1309 단계에서, 시도 결과, 인프라 네트워크(930)로의 연결이 가능한 경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는 화상형성장치(910)와 무선 기기(920) 간의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종료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910)와 무선 기기(920) 간의 연결이 종료되었는바, 화상형성장치(910)의 소프트 AP의 동작도 함께 종료될 수 있다.
131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930)와 무선 기기(920) 간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911)는 수신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910)와 인프라 네트워크(930)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새롭게 수립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910)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910)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도 9 내지 13에서 설명된 화상형성시스템(900)의 내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이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8에서 설명되었던 일반적인 Wi-Fi 다이렉트 기술에 관한 내용과 도 9 내지 13에 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910)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14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910)는 소프트 AP로 동작되기 위한 Wi-Fi 다이렉트 기능을 실행한다.
1402 단계에서,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화상형성장치(910)가 무선 기기(920)에 연결된 경우, 무선 기기(920)는 화상형성장치(910)로부터 제공된 내장 웹 페이지를 표시한다.
140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910)는, 무선 기기(920)에 표시된 내장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화상형성장치(910)에서 무선 연결하고자 하는 인프라 네트워크의 접속 정보를 무선 기기(920)로부터 수신한다.
140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910)는, 무선 기기(920)로부터 수신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910)와 인프라 네트워크(930)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900: 화상형성시스템 910: 화상형성장치
920: 무선 기기 930: 인프라 네트워크
932: AP 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
913: 중앙 처리부(processor) 915: 유선랜 인터페이스부
917: USB 모듈 919: 저장부

Claims (23)

  1.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소프트 AP(access point)로 동작되기 위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Wi-Fi 다이렉트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외부의 무선 기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제공된 내장 웹 페이지를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상기 내장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무선 연결하고자 하는 인프라 네트워크의 접속 정보를 상기 무선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기기로부터 수신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무선 기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웹 리다이렉션(web redirection)에 의해 제공된 상기 내장 웹 페이지를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서 표시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내장 웹 페이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 중 어느 하나의 인프라 네트워크와 상기 화상형성장치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웹 페이지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USB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웹 리다이렉션에 의해 제공된 상기 내장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파워-오프(power-off) 상태의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태가 파워-온(power-on) 상태로 변경된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USB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Wi-Fi 다이렉트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접속 정보는
    상기 무선 연결하고자 하는 인프라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 및 접속 패스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무선 기기로부터 수신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시도 결과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로의 연결이 가능한 경우, 상기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한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무선 기기 간의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립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무선 기기 간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 간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립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무선 기기 간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소프트 AP의 동작을 종료 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무선 기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의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검색된 인프라 네트워크들의 목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내장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내장 웹 페이지를 웹 리다이렉션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소프트 AP(access point)로 동작되기 위한 Wi-Fi 다이렉트 기능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외부의 무선 기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내장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생성된 내장 웹 페이지를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내장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의 접속 정보를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무선 기기에 연결된 경우, 웹 리다이렉션(web redirection)을 이용하여 상기 내장 웹 페이지를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 제공하는,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 제공된 상기 내장 웹 페이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 중 어느 하나의 인프라 네트워크와 상기 화상형성장치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웹 페이지인,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유선랜 인터페이스부 및 USB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웹 리다이렉션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내장 웹 페이지를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 제공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파워-오프(power-off) 상태의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태가 파워-온(power-on)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유선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USB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웹 리다이렉션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내장 웹 페이지를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 제공하는,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무선 기기로부터 수신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시도 결과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로의 연결이 가능한 경우 상기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한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무선 기기 간의 연결을 종료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무선 기기 간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 간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무선 기기 간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소프트 AP의 동작을 종료하는,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무선 기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의 목록을 검색하고,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검색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내장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장치.
  18. 화상형성시스템에 있어서,
    소프트 AP(access point)로 동작되기 위한 Wi-Fi 다이렉트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외부의 무선 기기에 연결된 경우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내장 웹 페이지를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제공된 상기 내장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내장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무선 연결하고자 하는 인프라 네트워크의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무선 기기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와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는,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상기 무선 기기에 연결된 경우, 웹 리다이렉션(web redirection)을 이용하여 상기 내장 웹 페이지를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내장 웹 페이지는
    상기 Wi-Fi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무선 기기가 연결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 중 어느 하나의 인프라 네트워크와 상기 화상형성장치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웹 페이지인, 시스템.
  2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외부의 무선 기기와 무선 연결되기 위한 무선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무선 기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무선 연결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내장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생성된 내장 웹 페이지를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내장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의 접속 정보를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인프라 네트워크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무선 기기에 연결된 경우, 웹 리다이렉션(web redirection)을 이용하여 상기 내장 웹 페이지를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에 제공하는,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은
    Wi-Fi 다이렉트, 애드혹(ad-hoc),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130097351A 2013-03-22 2013-08-16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KR102022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60163.3A EP2782399B1 (en) 2013-03-22 2014-03-15 Method of connecting networks using Wi-Fi Direct i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image forming system
US14/221,837 US9351097B2 (en) 2013-03-22 2014-03-21 Method of connecting networks using Wi-Fi Direct i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image forming system
CN201480028766.9A CN105230117B (zh) 2013-03-22 2014-03-21 使用Wi-Fi直连来连接网络的方法、支持Wi-Fi直连的成像装置和成像系统
PCT/KR2014/002413 WO2014148866A1 (en) 2013-03-22 2014-03-21 Method of connecting networks using wi-fi direct i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image form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0993 2013-03-22
KR1020130030993 2013-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350A KR20140116350A (ko) 2014-10-02
KR102022330B1 true KR102022330B1 (ko) 2019-09-19

Family

ID=5199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351A KR102022330B1 (ko) 2013-03-22 2013-08-16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2330B1 (ko)
CN (1) CN1052301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0969B2 (ja) * 2016-05-20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180059207A (ko) 2016-11-25 2018-06-04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연결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CN109177536A (zh) * 2018-10-10 2019-01-11 安庆市睿霞机械有限公司 一种通信计算机连接的打印设备
EP4376491A1 (en) * 2021-08-30 2024-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manual search,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1596A1 (en) 2008-11-24 2010-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by using peer-to-peer portal server
US20120252516A1 (en) 2011-03-30 2012-10-04 Sony Corporation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non-transitory storing medium stor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30040576A1 (en) 2011-08-08 201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wi-fi p2p group using wi-fi direct
US20130057908A1 (en) 2011-09-02 201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peer-to-peer connection and method of managing address book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633B1 (ko) * 2008-11-24 201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P2p 통신 기반의 개인 방송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1596A1 (en) 2008-11-24 2010-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by using peer-to-peer portal server
US20120252516A1 (en) 2011-03-30 2012-10-04 Sony Corporation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non-transitory storing medium stor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30040576A1 (en) 2011-08-08 201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wi-fi p2p group using wi-fi direct
US20130057908A1 (en) 2011-09-02 201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peer-to-peer connection and method of managing address book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350A (ko) 2014-10-02
CN105230117B (zh) 2019-09-13
CN105230117A (zh)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723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주소록 관리 방법
KR101840725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p2p 연결 제어 방법
KR102020468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것의 채널 관리 방법
US9351097B2 (en) Method of connecting networks using Wi-Fi Direct i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image forming system
US93172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 support wi-fi direct and method of wi-fi direct connecting therein
KR101760349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사용자 인증을 통한 화상형성작업의 수행 방법
US882398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peer-to-peer connection and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program thereof through internet protocol address linkage
US911716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method of controlling internet access i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760350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작업 권한 제어 방법
EP256620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peer-to-peer connection and method of managing security based on signal intensity thereof
EP2713672B1 (en) Wireless slave devices configuration and communication therewith
KR102022330B1 (ko)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