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705B1 -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705B1
KR102021705B1 KR1020180132894A KR20180132894A KR102021705B1 KR 102021705 B1 KR102021705 B1 KR 102021705B1 KR 1020180132894 A KR1020180132894 A KR 1020180132894A KR 20180132894 A KR20180132894 A KR 20180132894A KR 102021705 B1 KR102021705 B1 KR 102021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photographing
deal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매성
Original Assignee
윤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매성 filed Critical 윤매성
Priority to KR1020180132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외관을 촬영하는 차량 영상측정장치, 촬영된 차량의 외관영상을 제공받고 딜러에게 차량의 중고차 견적을 요청하는 차량 견적서버를 포함하되, 차량 영상측정장치는 차량이 놓이는 차량 촬영구역과; 상기 차량 촬영구역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차량 촬영구역에 일정 이상의 조도가 유지되도록 조명하는 조명부와; 상기 차량 촬영구역의 일측에 위치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 로드, 상기 고정 로드로부터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 로드, 상기 이동 로드에 절곡되게 구비되는 카메라 지지 로드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대와; 상기 카메라 지지대에 설치되어 차량의 종류에 따라 정확한 외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 촬영구역에 위치하는 차량의 외관을 촬영하고 촬영된 외관영상을 유무선 통신으로 제어단말기로 또는 차량 견적서버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카메라와; 상기 차량 촬영구역의 바닥에 위치하며 차량의 앞바퀴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센서와; 카메라, 조명을 제어하며 차량부대정보를 입력받아 차량 견적서버로 제공하면서 차량의 견적을 요청하고, 상기 차량 견적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견적을 표시하는 제어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Used car unattended Quote Management System Using Image}
본 발명은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영상측정장치를 통해 차량의 외관을 표준화된 영상으로 촬영하고, 차량 견적서버를 통해 딜러들에게 제공하여 차량의 중고차 견적을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상태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고차를 매매하는 경우에는 각 지역별로 배포되고 있는 생활정보지의 광고에 의해서 이루어지거나, 지방에 산재되어 있는 중고차 매매회사에 의하여 중고차 매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중고차 매입자는 광고 등의 대중매체를 이용하여 매도자 또는 매매회사에서 구입하게 되고, 매매회사는 중고차 매도자에게 중고차를 우선적으로 구매한 후 구매된 중고차를 중고차 매입자에게 전시, 판매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매매회사는 중고차를 전시하고 판매할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중고차를 매매회사가 매입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고정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원격지에 있는 매도 혹은 매입 희망자는 차량의 수송비와 시간 등의 여러 이유로 사용할 수 없는 공간적이 어려움이 있다.
또한, 차량의 중고차 가격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중고차 매매회사를 방문해야만 차량의 견적을 확인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방문을 꺼리는 의뢰인은 중고차 시세도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중고차 매매 사이트가 다수 생겨나서 활동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중고차를 매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공간에서의 중고차 매매 방법에도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45225호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중고차 가격 산정을 요청받아 딜러와 사용자에게 실시간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채팅 서비스를 통한 딜러의 지시에 따라 중고차의 영상을 전송받아 평가사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딜러가 고객 방문 없이 원격으로 중고차 평가에 필요한 정보 및 영상을 수집하고 객관적으로 중고차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45225호에서는 차량의 가격 산정시에 90% 이상을 차지하는 차량의 영상을 사용자가 단말기로 촬영하여 딜러에게 제공할 수밖에 없어 딜러가 정확하게 중고차의 가격을 산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4522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영상측정장치를 통해 차량의 외관을 표준화된 영상으로 촬영하고, 차량 견적서버를 통해 딜러들에게 제공하여 차량의 중고차 견적을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상태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차량의 영상으로 견적을 결정한 딜러에게 차량을 구매할 기회를 부여하여 간단하게 차량의 견적을 확인하면서 차량을 판매할 수 있는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의뢰인이 의뢰한 차량의 외관을 촬영하는 차량 영상측정장치(100)와, 촬영된 차량의 외관영상을 제공받고, 딜러에게 차량의 중고차 견적을 요청하는 차량 견적서버(200)를 포함하되, 차량 영상측정장치(100)는, 차량이 놓이는 사각형상의 차량 촬영구역(110)과; 차량 촬영구역(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차량 촬영구역(110)에 일정이상의 조도가 유지되도록 조명하는 조명부(120)와; 차량 촬영구역(110)의 모서리부분에 위치하거나 또는 차량 촬영구역(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지지대(130)와; 카메라 지지대(130)에 설치되어 차량의 종류에 따라 정확한 외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차량 촬영구역(110)에 위치하는 차량의 외관을 전후좌우로 촬영하고 촬영된 외관영상을 유무선 통신으로 제어단말기(160)로 또는 차량 견적서버(200)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카메라(140)와; 차량 촬영구역(110)의 바닥에 위치하며 차량의 앞바퀴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센서(150);와 카메라, 조명을 제어하며 차량부대정보를 입력받아 차량 견적서버(200)로 제공하면서 차량의 견적을 요청하고, 차량 견적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견적을 표시하는 제어단말기(16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견적서버(200)는, 차량의 중고가격을 산정하는 딜러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딜러 관리부(210)와; 네트워크 카메라(140)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외관영상을 수신하는 차량 영상수신부(220)와; 차량 영상측정장치(100)의 제어단말기(160)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부대정보를 제공받는 차량부대정보 수신부(230)와; 외부기관으로 차량의 이력을 조회하고 외부기관으로부터 차량의 이력정보를 제공받는 차량이력 조회부(240)와; 네트워크 카메라(140)에서 촬영된 차량의 외관영상과 차량부대정보를 등록된 딜러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차량정보 제공부(250)와; 딜러들로부터 차량에 대한 견적을 수신받는 차량견적 수신부(260)와; 딜러로부터 산정받은 차량의 견적을 의뢰인이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차량 견적 제공부(27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견적서버(200)는, 의뢰인으로부터 딜러의 견적을 기준으로 차량의 판매를 수신받으면 딜러에게 경매방식으로 차량판매 사실을 제공하는 차량판매 요청부(280)와; 딜러로부터 차량구매 비용을 입찰받으면, 의뢰인에게 제공하는 차량판매 관리부(29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은 차량 영상측정장치를 통해 차량의 외관을 표준화된 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고, 차량 견적서버를 통해 딜러들에게 제공하여 차량의 견적을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상태로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영상으로 견적을 결정한 딜러에게 차량을 구매할 기회를 부여하여 간단하게 차량의 견적을 확인하면서 차량을 판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 영상측정장치에서 차량의 종류에 따라 네트워크 카메라의 위치, 조도 등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차량마다 최적의 영상을 딜러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고차 판매회사를 방문하지 않더라도 언제든지 중고차 가격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측정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견적서버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측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측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측정장치의 차량 촬영구역의 상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차량 촬영구역의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중고차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과정의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측정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견적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개념은 의뢰인이 차량의 중고차 가격을 확인하는 경우에 차량을 일정조건이 유지되는 차량 영상측정장치(100)의 차량 촬영구역에서 네트워크 카메라로 차량의 외관을 촬영한 후에 차량 견적서버(200)로 제공하게 된다. 차량 견적서버(200)는 차량의 외관영상을 딜러에게 제공하고 딜러로부터 차량의 중고차 가격을 제공받아 의뢰인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영상측정장치(100)는 차량 촬영구역(110), 조명부(120), 카메라 지지대(130), 네트워크 카메라(140), 위치센서(150), 제어단말기(160)를 포함한다.
차량 촬영구역(110)은 차량이 놓이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차량 촬영구역(110)은 균일한 영상을 얻기 위하여 실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120)는 차량 촬영구역(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차량 촬영구역(110)에 일정이상의 조도가 유지되도록 조명한다. 이러한 조명부(120)에 의해서 차량 촬영구역(110)의 조도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빛에 의한 차량 외관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지지대(130)는 고정 로드(131), 이송 로드(132) 및 카메라 지지 로드(133)를 포함한다.
고정 로드(131)는 차량 촬영구역(110)과 인접한 지면에 고정되며,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 로드(132)는 하단이 고정 로드(131)의 내측에 배치되어 고정 로드(131)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송될 수 있다.
예컨대, 이송 로드(132)는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구조, 랙 앤 피니언 구조 또는 모터와 기어 구조를 통해 상하로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다.
한편, 이송 로드(132)는 제어단말기(16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단말기(160)의 제어 따라 상하로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다.
제어단말기(160)는 차량 촬영구역(110)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종류, 무게 또는 차량의 크기에 따라 이송 로드(132)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최적의 시점에서 차량의 정보를 담은 외관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단말기(160)는 차량 촬영구역(110) 내에서 차량의 외관을 촬영하는 중에도 지정된 시간 간격마다 또는 실시간으로 이송 로드(132)의 승하강을 제어하여, 네트워크 카메라(140)의 촬영 시점을 조절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다 명확한 차량의 3D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메라 지지 로드(133)는 이송 로드(132)에서 연장되거나, 일단이 이송 로드(132)가 결합할 수 있으며, 타단에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카메라(14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지지 로드(1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이 "X" 형태로 분기될 수 있으며, 각각의 분기 가지는 차량 촬영구역(110)의 모서리부분에 위치하거나 또는 차량 촬영구역(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지지 로드(133)의 각 분기 가지에는 네트워크 카메라(140)가 배치되어 사방향에서 차량의 외관을 촬영할 수 있어, 차량 외관의 왜곡을 방지한 외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차량 촬영구역(110)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외측 상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카메라 지지대(130)는 차량 촬영구역(110)의 모서리부분에 위치하거나 또는 차량 촬영구역(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트워크 카메라(140)는 지지대에 설치되어 차량 촬영구역(110)에 위치하는 차량의 외관을 촬영하고 촬영된 외관영상을 유무선 통신으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네트워크 카메라(140)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정확한 외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지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트워크 카메라(14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제어단말기(160)로 제공되거나 또는 차량 견적서버(200)로 직접 제공될 수도 있다.
위치센서(150)는 차량 촬영구역(110)의 바닥에 위치하며 차량의 앞바퀴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러한 위치센서(150)에 위해서 정확한 위치에 차량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제어단말기(160)는 카메라, 조명, 지지대 등을 제어하며, 차량 견적서버(200)에 연결되어 차량의 견적을 요청하고, 차량 견적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견적을 표시한다. 제어단말기(160)를 통해서 차량의 의뢰인, 소유자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차량 견적서버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확인된 차량의 견적을 제공받아 의뢰인이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견적서버(200)는 딜러 관리부(210), 차량 영상수신부(220), 차량부대정보 수신부(230), 차량이력 조회부(240), 차량정보 제공부(250), 차량견적 수신부(260), 차량 견적 제공부(270), 차량판매 요청부(280), 차량판매 관리부(290)를 포함한다.
딜러 관리부(210)는 차량의 중고가격을 산정하는 딜러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차량 영상수신부(220)는 네트워크 카메라(140)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외관영상을 수신한다. 차량 영상수신부(220)는 차량 영상측정장치(100)의 제어단말기(160)를 통해서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부대정보 수신부(230)는 의뢰인으로부터 차량의 운행거리, 의뢰인의 정보, 차량 소유자 등에 대한 차량의 부대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때, 차량부대정보 수신부(230)로 제공되는 차량부대정보는 차량 영상측정장치(100)에 이웃하게 설치된 제어단말기(160) 또는 의뢰인의 단말기를 통해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이력 조회부(240)는 외부기관으로 차량의 이력을 조회하고 외부기관으로부터 차량의 이력정보를 제공받는다.
차량정보 제공부(250)는 네트워크 카메라(140)에서 촬영된 차량의 외관영상과 차량부대정보를 등록된 딜러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때, 차량의 차량부대정보와, 이력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차량정보제공부(250)는 딜러의 단말기로 촬영된 차량의 외관영상과 차량부대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딜러가 로그인하면 촬영된 외관영상과 차량부대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정보 제공부(250)는 차량의 외관, 주행거리 등의 가격산정 리스트를 딜러에게 제공하여 객관적인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기준으로 가격을 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차량 견적서버(200)는 차량 거래 사이트(미도시)를 딜러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차량 견적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차량 거래 사이트는 딜러 및 의뢰인이 접속 가능할 수 있으며, 딜러 및 의뢰인에게 상이한 레벨을 부여하며 각각에 상이한 접속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 거래 사이트에서는 딜러 및 의뢰인에게 개인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거래 사이트에서 딜러의 프로필에는 판매 이력, 추천 현황 및 거래 불발 이력과 거래 불발 의뢰인의 코멘트 등이 노출될 수 있으며 의뢰인은 거래 희망 딜러의 프로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견적서버(200)는 추천 및 비추천 개수로 특정 딜러의 추천 현황을 산정할 수 있으며, 해당 딜러를 추천하거나 비추천한 사용자의 활동 내역을 역추적하여 해당 딜러의 추천 및 비추천의 정확도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차량 거래 사이트에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거래 사이트는 특정 딜러의 프로필 상에 추천 현황을 기재하고, 추천 현황과 함께 추천 정확도를 다음과 같은 비율로 기재할 수 있다.
EX) A 딜러 / 추천 수 42, 비추천 수 11
[* 추천 또는 비추천을 누른 회원 중 사이트 활동 상황이 우수한 회원의 비율은 각각 추천 : 65%, 비추천: 92% *]
이를 통해, 차량 거래 사이트에서 특정 딜러의 추천과 관련한 어뷰징(abusing) 활동을 감시하고, 이를 다른 딜러 및 거래 희망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보다 투명한 중고차 거래 시장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차량 거래 사이트에서는 해당 거래 사건에 관련된 정보를 담은 페이지로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딥링크(Deeplink)를 생성하고, 딥링크를 딜러와 의뢰인 각각에게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차량 거래 사이트에서 딜러와 의뢰인 각각에 제공되는 딥링크는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딥링크로 직접 접속된 페이지에서는 이전 절차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로그인 정보, 인증 정보, 프로필 정보, 차량의 외관, 주행거리 등의 가격산정 리스트 정보, 및/또는 추가 인증 정보 등은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딜러와 의뢰인 각각은 특정 거래 사건에 대해 접속하기 위해, 이전에 입력한 정보(로그인 정보, 인증 정보, 결제 수단 정보, 주소 정보 및/또는 추가 인증 정보 등)를 재입력할 필요가 없어, 이후에도 신속한 거래 사건 확인 및 처리가 가능하다.
차량견적 수신부(260)는 딜러들로부터 차량에 대한 견적을 수신받는다.
차량 견적 제공부(270)는 딜러로부터 산정 받은 차량의 견적을 의뢰인이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예를 들면, 차량 영상측정장치(100)에 이웃하게 설치된 제어단말기(160)로 제공하거나 또는 의뢰인의 단말기로 제공하거나 또는 의뢰인이 로그인하면 산정된 차량의 견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차량판매 요청부(280)는 의뢰인으로부터 딜러의 견적을 기준으로 차량의 판매를 수신받으면 딜러에게 차량판매 사실을 제공한다. 의뢰인은 다수의 딜러로부터 제공받은 견적 중의 하나를 선택하면 경매방식으로 차량을 판매할 수 있게 된다. 차량판매 관리부(290)는 딜러로부터 차량구매 비용을 입찰받으면, 의뢰인에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의뢰인이 딜러로부터 제공받은 입찰비용을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차량 판매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의뢰인은 차량 거래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해당 딜러 각각의 프로필을 확인하여 의사 결정에 참조할 수 있다.
한편, 차량 거래 사이트에서는 거래를 희망하는 의뢰인에게 거래 절차에 따른 복수의 미션을 제공하며, 각각의 미션과 함께 해당 미션 완료 시간을 다음과 같이 부여할 수 있다.
<1> 거래 희망 차량을 영상측정장치의 차량 촬영구역으로 이동하여, 차량의 외관 정보 업로드 [7Day]
<2> 제공된 견적 확인 후, 특정 딜러의 견적을 기준으로 차량 판매 결정 [3Day]
<3> 특정 딜러의 견적을 기준으로 진행된 입찰 가격 확인 및 최종 결정 [3Day]
여기서, 차량 거래 사이트에서는 의뢰인이 제공받은 각 미션을 제공한 시간 내에 완료한 경우, 이를 기준으로 의뢰인의 거래 수수료 혹은 차량 거래 사이트 이용 수수료를 할인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거래 사이트 내에 잔류하는 거래 건이 신속하게 처리될 수 있어, 서버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중고차 거래 사업 전반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중고차 견적을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다.
먼저, 차량의 중고차 가격을 확인하기 원하는 의뢰인은 차량을 차량 영상측정장치(100)의 차량 촬영구역(110)으로 이동시킨다(단계 S101) 이때, 차량구역에 설치된 위치센서(150)가 진입하는 차량의 앞바퀴를 감지하고 알람 신호를 발생하여 차량의 정위치를 유도하게 된다.
그 후 차량 촬영구역(110)의 소정거리 이격된 외측에 위치하는 지지대에 설치된 네트워크 카메라(140)에서 차량의 외관을 촬영하고(단계 S102), 촬영된 영상을 인근의 제어단말기(160) 또는 차량 견적서버(200)로 전송한다(단계 S103) 이때, 카메라 지지대(130)는 차량 촬영구역(110)의 모서리부분에 위치하거나 또는 차량 촬영구역(1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네트워크 카메라(140)가 차량의 전면, 후면, 양측면을 촬영하게 된다. 이때, 네트워크 카메라(140)는 차량의 종류에 알맞게 카메라 지지대(130)를 따라 이동하면서 차량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 영상측정장치(100)에 설치된 제어단말기(160) 등을 통해서 차량의 운행거리, 의뢰인이 차량 소유자인지의 여부 등을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견적서버(200)로 제공한다(단계 S104).
한편, 차량 견적서버(200)는 네트워크 카메라(140)에서 수신된 차량의 외관 영상과 차량정보를 등록된 딜러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단계 S105) 예를 들면, 딜러들은 단말기로 촬영된 차량의 외관영상과 차량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딜러가 차량 견적서버(200)에 로그인하면 촬영된 외관영상과 차량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견적서버(200)는 딜러에게 차량의 외관, 주행 거리 등의 가격산정 리스트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딜러들로부터 중고차의 견적을 제공받으면(단계 S106), 차량의 견적을 요청한 의뢰인이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단계 S107) 예를 들면, 차량 영상 측정장치(100)에 이웃하게 설치된 제어단말기(160)로 제공하거나 또는 의뢰인의 단말기로 제공하거나 또는 의뢰인이 차량 견적서버(200)에 로그인하면 견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차량 견적서버(200)는 의뢰인으로부터 딜러의 견적을 기준으로 차량의 판매를 요청받으면(단계 S108), 등록된 딜러에게 차량판매 사실을 제공하고 경매방식으로 차량을 판매할 수 있게 된다(단계 S109) 이때, 차량의 경매가격은 딜러의 견적중에서 의뢰인이 선택한 가격을 기준으로 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 견적서버(200)는 딜러들로부터 입찰받은 차량의 구매가격을 의뢰인에게 제공하게 된다(단계 S110) 이에 따라 의뢰인은 딜러로부터 제공받은 입찰비용을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차량 판매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측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측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측정장치의 차량 촬영구역의 상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차량 촬영구역의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중고차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과정의 플로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의 차량 영상측정장치를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측정장치는 차량 촬영구역(320, 330, 350), 조명부, 카메라 지지대(410, 420, 450, 460, 470, 480), 네트워크 카메라(430, 492, 494) 및 제어단말기를 포함한다.
우선, 차량 촬영구역(320, 330, 350)은 차량을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차량 지지판(320),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부(350), 지면(310)과 단차를 가지며 차량 지지판(320) 및 무게 측정부(350)를 수용하는 수용부(318) 및 수용부(318)에 배치되며 차량 지지판(320)을 지지하는 탄성부재(330)를 포함한다.
차량 지지판(320) 및 무게 측정부(350)는 차량의 각 바퀴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일반적이 4륜 차량인 경우 차량 지지판(320) 및 무게 측정부(350)는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무게 측정부(350)는 각각의 차량 지지판(320)에 대응되는 개수로 배치되며, 차량의 하중을 받는 각 바퀴 별로 무게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각 무게 측정부(350)는 각 차량 지지판(320)에서 분산된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고, 분리된 각 차량 지지판(320)에서의 무게 값을 도출하고, 제어단말기는 사전에 입력된 각 영역의 무게 값과 실시간으로 측정되어 도출된 각 영역의 무게 값을 비교하고, 비교된 각 영역의 오차 값을 도출하여, 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일반적인 차량은 차량 정보 중 차량의 무게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차량에 별도의 튜닝 또는 교체 과정이 없는 한, 측정되는 무게와 최초에 제공되는 무게 정보 범위가 차이가 없다.
하지만, 사고 이력이 있어 부품을 교체하거나 과도한 튜닝을 한 차량의 경우, 측정되는 무게는 최초에 제공되는 무게 정보와 크게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무게 측정부(350)에서 측정된 차량의 무게가 최초 제공되는 무게 정보와 소정 범위를 초과하여 차이가 나는 것을 판별하면, 제어단말기에서는 해당 차량에 관해 불량 메시지를 생성하고, 해당 차량에 대해 보다 자세한 전수 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차량의 이상 유무(사고 이력 또는 과도한 튜닝 유무)를 판별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대응하여, 더욱 투명한 중고차 거래 시장을 형성할 수 있고, 해당 차량 거래 시 참조 사항으로 추가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차량 지지판(320) 각각에는 복수의 LED 소자(380)가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어단말기는 복수의 LED 소자(380) 각각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차량 지지판(320) 각각은 판상의 지지 플레이트(322)와 지지 플레이트(322)에 형성된 복수의 홈(32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홈(324) 각각에는 복수의 LED 소자(380) 각각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홈(324)은 지지 플레이트(32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어, 차량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322)는 광 투과율이 대략 60% 이상인 재질로 구성되어, 하부에 배치된 LED 소자(380)의 광을 상부로 노출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은 차량 지지판(320)에 진입 전, 제어단말기에 차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단말기는 사전에 제공받은 차량 정보를 기초로, 또는 차량 지지판(320)에 진입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얻은 차량 정보를 기초로, 각 차량 지지판(320)에서 차량의 바퀴가 위치할 영역(A)의 LED 소자(380)를 선택적으로 점등하여, 해당 차량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최적의 위치 및/또는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기 최적의 위치로 차량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제어단말기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차량 지지판(320)에 진입하여 위치하는 해당 차량 바퀴가 위치될 최적의 영역(A)을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차량 지지판(320)에 차량을 위치 시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배치할 수 있다.
조명부는 차량 촬영구역의 상부에 위치하며 차량 촬영구역에 일정이상의 조도가 유지되도록 조명한다. 이러한 조명부에 의해서 차량 촬영구역의 조도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빛에 의한 차량 외관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지지대는 차량의 외관 영상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 지지대 및 차량의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카메라 지지대는 고정 로드(410) 및 이송 로드(420)를 포함한다.
고정 로드(410)는 차량 촬영구역과 인접한 지면에 고정되며,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 로드(420)는 하단이 고정 로드(410)의 내측에 배치되어 고정 로드(410)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송될 수 있다.
예컨대, 이송 로드(420)는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구조, 랙 앤 피니언 구조 또는 모터와 기어 구조를 통해 상하로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다.
한편, 이송 로드(420)는 제어단말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단말기의 제어 따라 상하로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다.
제어단말기는 차량 촬영구역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종류, 무게 또는 차량의 크기에 따라 이송 로드(420)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최적의 시점에서 차량의 정보를 담은 외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단말기는 차량 촬영구역 내에서 차량의 외관을 촬영하는 중에도 지정된 시간 간격마다 또는 실시간으로 이송 로드(420)의 승하강을 제어하여, 네트워크 카메라(430)의 촬영 시점을 조절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다 명확한 차량의 3D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메라 지지 로드(133)는 이송 로드(420)에서 연장되거나, 일단이 이송 로드(420)가 결합할 수 있으며, 타단에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카메라(430)를 지지할 수 있다.
차량 촬영구역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외측 상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카메라 지지대(130)는 차량 촬영구역의 모서리부분에 위치하거나 또는 차량 촬영구역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트워크 카메라(430)는 지지대에 설치되어 차량 촬영구역에 위치하는 차량의 외관을 촬영하고 촬영된 외관영상을 유무선 통신으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네트워크 카메라(430)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정확한 외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지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트워크 카메라(43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제어단말기로 제공되거나 또는 차량 견적서버(200)로 직접 제공될 수도 있다.
제2카메라 지지대는 고정 로드(450), 수직 이송 로드(460) 및 수평 이동 로드(470)를 포함한다.
고정 로드(450)는 차량 촬영구역과 인접한 지면에 고정되며,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이송 로드(460)는 하단이 고정 로드(450)의 내측에 배치되어 고정 로드(450)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송될 수 있다.
예컨대, 수직 이송 로드(450)는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구조, 랙 앤 피니언 구조 또는 모터와 기어 구조를 통해 상하로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다.
한편, 수직 이송 로드(450)는 제어단말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단말기의 제어 따라 상하로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다.
수평 이동 로드(470)는 일단이 수직 이송 로드(450)에 연결되어, 수평 방향에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송되어 차량의 앞 창문 및 뒷 창문을 통해 차량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수평 이동 로드(470)의 타단에는 네트워크 카메라(492)와 조명부(494)가 배치될 수 있어, 차량 내부를 일정이상의 조도가 유지되도록 조명하여 차량 내부의 조도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빛에 의한 차량 외관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네트워크 카메라(492)는 지지대에 설치되어 차량 내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내부 영상을 유무선 통신으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네트워크 카메라(492)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정확한 내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지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트워크 카메라(43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제어단말기로 제공되거나 또는 차량 견적서버(200)로 직접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평 이동 로드(470)에는 조작암(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어, 차량 내부에서 트렁크 열림 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암은 제어단말기를 통해 작업자의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하거나, 별도의 영상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차량 내부에서 트렁크 열림 버튼을 식별하고, 식별된 트렁크 열림 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트렁크 열림 버튼이 조작되어 트렁크가 열리면, 제2지지대는 차량의 내부에서 이탈하여 차량의 트렁크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네트워크 카메라(492)는 차량의 트렁크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제어단말기로 제공하거나 또는 차량 견적서버(200)로 직접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조작암은 트렁크 내부에서 자동 또는 수동의 트렁크 닫힘 버튼을 조작하여 트렁크를 닫을 수 있다.
여기서, 조작암은 제어단말기를 통해 작업자의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하거나, 별도의 영상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트렁크 내부에서 트렁크 닫힘 버튼을 식별하고, 식별된 트렁크 닫힘 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제어단말기는 차량 촬영구역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종류, 무게 또는 차량의 크기에 따라 이송 로드(460, 470)의 높이 및 이송 정도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최적의 시점에서 차량의 정보를 담은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단말기는 차량 촬영구역 내에서 차량의 내부를 촬영하는 중에도 지정된 시간 간격마다 또는 실시간으로 이송 로드(460, 470)의 승하강을 제어하여, 네트워크 카메라(430)의 촬영 시점을 조절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다 명확한 차량의 내부 3D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단말기는 카메라, 조명, 지지대 등을 제어하며, 차량 견적서버(200)에 연결되어 차량의 견적을 요청하고, 차량 견적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견적을 표시한다. 제어단말기를 통해서 차량의 의뢰인, 소유자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차량 견적서버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확인된 차량의 견적을 제공받아 의뢰인이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차량 영상측정장치 110: 차량 촬영구역
120: 조명부 130: 카메라 지지대
140: 네트워크 카메라 150: 위치센서
200: 차량 견적서버 210: 딜러 관리부
220: 차량 영상수신부 230: 차량부대정보 수신부
240: 차량이력 조회부 250: 차량정보 제공부
260: 차량견적 수신부 270: 차량 견적 제공부
280: 차량판매 요청부 290: 차량판매 관리부

Claims (3)

  1. 차량의 외관을 촬영하는 차량 영상측정장치, 촬영된 차량의 외관영상을 제공받고 딜러에게 차량의 중고차 견적을 요청하는 차량 견적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 영상측정장치는 차량이 놓이는 차량 촬영구역과; 상기 차량 촬영구역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차량 촬영구역에 일정 이상의 조도가 유지되도록 조명하는 차량 조명부와; 상기 차량 촬영구역에 놓이는 차량을 촬영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며 차량부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 견적서버로 제공하면서 차량의 견적을 요청하고, 상기 차량 견적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견적을 표시하는 제어단말기와; 상기 차량 촬영 구역 인접 지면에 위치되는 카메라 지지대 및 제2카메라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견적서버는 차량의 중고가격을 산정하는 딜러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딜러 관리부와;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외관영상을 수신하는 차량 영상수신부와; 상기 차량 영상측정장치의 제어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부대정보를 제공받는 차량부대정보 수신부와; 외부기관으로 차량의 이력을 조회하고 외부기관으로부터 차량의 이력정보를 제공받는 차량이력 조회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촬영구역은 차량 바퀴가 상부에 놓여지는 차량 지지판과;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부와; 지면과 단차를 가지며 상기 차량 지지판 및 상기 무게 측정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며 상기 차량 지지판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 지지판, 상기 무게 측정부, 상기 수용부 및 상기 탄성부재는 차량의 각 바퀴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분 배치되어 차량의 하중을 받는 각 바퀴 별로 무게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차량 지지판 각각에는 외부에서 점등 시 발생되는 광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복수의 LED 소자가 규칙적으로 내설되되,
    상기 차량 지지판은 판상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하부에 규칙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 홈에 외부에서 점등 시 발생되는 광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 LED 소자가 설치되고, 차량의 바퀴가 위치할 영역에 대응되는 해당 LED 소자들이 선택적으로 점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 지지대는 상기 차량 촬영구역과 인접한 지면에 고정되며,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된 고정 로드와; 상기 고정 로드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 로드와; 상기 이송 로드에 연장되게 구비되는 카메라 지지로드와; 상기 카메라 지지로드에 설치되는 네크워크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2카메라 지지대는 상기 차량 촬영구역과 인접한 지면에 고정되며,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고정로드와; 상기 고정 로드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 이송 로드와; 상기 수직 이송 로드에 연결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수평 이동 로드와; 상기 수평 이동 로드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카메라 및 조명부와; 차량 내부 트렁크 열림 버튼을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 이동 로드에 구비되는 조작암;을 포함하는,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견적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의 외관영상과 차량부대정보를 등록된 딜러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차량정보 제공부와;
    딜러들로부터 차량에 대한 견적을 수신받는 차량견적 수신부와;
    딜러로부터 산정받은 차량의 견적을 의뢰인이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차량 견적 제공부; 를 포함하는,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 시스템.
KR1020180132894A 2018-11-01 2018-11-01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 KR102021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894A KR102021705B1 (ko) 2018-11-01 2018-11-01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894A KR102021705B1 (ko) 2018-11-01 2018-11-01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705B1 true KR102021705B1 (ko) 2019-09-16

Family

ID=6806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894A KR102021705B1 (ko) 2018-11-01 2018-11-01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7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853A (ja) * 2000-03-17 2001-09-26 Kawasaki Heavy Ind Ltd 立体駐車装置用リフト
KR101408868B1 (ko) * 2014-01-28 2014-06-17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Wave 기반 차량 축중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40145225A (ko) 2013-06-12 2014-12-23 박경용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중고차 가격 산정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05863A (ko) * 2016-07-07 2018-01-17 윤매성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
KR101870215B1 (ko) * 2017-01-11 2018-06-22 주식회사 프로젝트한 차량용 촬영 업로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853A (ja) * 2000-03-17 2001-09-26 Kawasaki Heavy Ind Ltd 立体駐車装置用リフト
KR20140145225A (ko) 2013-06-12 2014-12-23 박경용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중고차 가격 산정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08868B1 (ko) * 2014-01-28 2014-06-17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Wave 기반 차량 축중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80005863A (ko) * 2016-07-07 2018-01-17 윤매성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
KR101870215B1 (ko) * 2017-01-11 2018-06-22 주식회사 프로젝트한 차량용 촬영 업로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87772A1 (en) Intelligent inventory managemen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1783428B2 (en) Agent-facilitated claims damage estimation
US92627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a claim using an inspection vehicle
US111516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ackaging quality issues
US10181104B2 (en)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of deploying resources
US20140313334A1 (en) Technique for image acquisition and management
KR102539059B1 (ko) 인테리어 모델링 제공장치 및 인테리어 모델링 제공방법
US20170286893A1 (en) Store item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US20120246036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nducting a vehicle auction, automatic vehicle condition assessment and automatic vehicle acquisition attractiveness determination
US201400400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cquisition and Delivery of Goods
US11453349B2 (en) Vehicle imaging station
US20200402178A1 (en) Processing Insured Items Hollistically with Mobile Damage Assessment and Claims Processing
KR20020062705A (ko) 차량 정보 제공 장치,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차량 정보제공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기억 매체
JP6820454B2 (ja) 車売買情報管理方法、車売買支援システム並びに車売買システム
KR20130091369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중고차 거래 시스템
KR101788812B1 (ko) 공유경제를 이용한 큐레이팅 타이어 교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5929A (ko) 네트워크를 통한 고객과 공인중개사 간의 독점중개 거래 방법 및 부동산 중개업소 간의 공동중개 이용방법 및 이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2021705B1 (ko)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
KR20180005863A (ko) 영상을 이용한 중고차 무인 견적 관리시스템
US201703232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image data
JP2007257559A (ja) 中古車販売支援システム
US11354761B2 (en) Smart realtor signs synchronized with vehicle
KR102485611B1 (ko) 주택점검 방법을 이용한 부동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344999B1 (ko) 온라인 쇼핑사이트에서의 가격 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WO2022090999A1 (en) System for pre-owned electronic device diagnostics, with sales and operation facilitation fe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