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054B1 - Hulahoop - Google Patents
Hulahoo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1054B1 KR102021054B1 KR1020190083385A KR20190083385A KR102021054B1 KR 102021054 B1 KR102021054 B1 KR 102021054B1 KR 1020190083385 A KR1020190083385 A KR 1020190083385A KR 20190083385 A KR20190083385 A KR 20190083385A KR 102021054 B1 KR102021054 B1 KR 1020210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s
- hula hoop
- acceleration
- connector
- cou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ement Of Distances Traversed On The Ground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시키는 횟수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정확한 카운트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운동 동기를 부여하는 기능성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la hoop,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hula hoop that enables accurate counting while simultaneously motivating exercise by outputting a number of times of rotation.
일반적으로 훌라후프는, 원형의 링 형태를 가지며 허리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운동기구로, 신체의 유연함을 기르기 위한 운동수단으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훌라후프는, 특히 유아나 아이들의 신체 발달에 유용하기 때문에 많은 가정이나 스포츠클럽에서 애용하고 있으며, 훌라후프 회전수에 따라 운동량을 측정하게 된다. In general, the hula hoop has a circular ring shape and rotates by using the waist, and is widely used as an exercise means for developing body flexibility. Since hula hoops are particularly useful for infants and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 they are used in many homes and sports clubs, and the amount of exercise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hula hoop.
그런데 훌라후프를 회전시킬때 일일이 회전수를 카운트하는데, 정신을 집중하지 않으면 회전수가 늘어남에 따라 정확한 카운트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만약 여러사람이 훌라후프 경쟁하는 상황일 경우, 카운트를 정확히 하지 않을 경우 분란의 원인이 될 수 있었다.By the way, when rotating the hula hoop counts the number of revolutions one by one, if you do not pay attention to the number of rotations increase the number of cases that could not be accurate. If several people are competing in hula hoops, not counting correctly could cause distra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훌라후프의 회전수를 자동으로 정확히 카운트할 수 있어, 회전수를 일일이 카운트하기 위한 수고를 덜 수 있고, 음성으로 카운트함으로써 호기심 유발은 물론 운동동기를 부여하는 기능성 훌라후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unt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hula hoop automatically, to reduce the effort to count the number of revolutions, by counting by voice to induce curiosity as well as exercise An object is to provide a motivating functional hula hoop.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길이의 튜브로 교체할 수 있어 다양한 체형의 사람에게 적합한 크기로 가변할 수 있는 기능성 훌라후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hula hoop that can be replaced with a tube of a certain length and that can be changed to a size suitable for people of various body typ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훌라후프는,
곡면이 형성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3 개의 튜브(10); 상기 3 개의 튜브(10)를 폐곡면을 이루게 연결하는 제1,2,3컨넥터(20)(30)(40); 상기 제1,2,3컨넥터(20)(30)(4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레디알 방향으로 인가되는 가속도 변화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제1,2,3가속도신호(S1)(S2)(S3)를 발생하는 제1,2,3가속도센서(50)(60)(70); 및 상기 제1,2,3컨넥터(20)(30)(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3가속도신호(S1)(S2)(S3)가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1 싸이클 조건마다 하나씩 카운트하여 대응되는 카운트신호를 발생하는 카운트부(8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3가속도센서(50)(60)(70)는, 상기 제1,2,3컨넥터(20)(30)(40)의 제1,2,3결합홈(23)(33)(4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단부가 폐쇄된 제1,2,3관체(51)(61)(71)와, 상기 제1,2,3관체(51)(61)(71)에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으로서 전도체 재질로 된 제1,2,3추(52)(62)(73)와. 상기 제1,2,3관체(51)(61)(71)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제1,2,3캡(53)(63)(73)과, 상기 제1,2,3관체(51)(61)(71) 내측에서 상기 제1,2,3캡(53)(63)(73)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1,2,3평단자(54)(64)(74)와, 상기 제1,2,3관체(51)(61)(71) 내측에서 상기 제1,2,3캡(53)(63)(73)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제1,2,3링단자(55)(65)(75)와, 상기 제1,2,3링단자(55)(65)(75)와 제1,2,3추(52)(62)(72) 사이에 설치되어 제1,2,3추(52)(62)(72)가 제1,2,3평단자(54)(64)(74)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제1,2,3스프링(56)(66)(7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unctional hula ho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e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3컨넥터(20)(30)(40)는, 제1,2,3컨넥터몸체(21)(31)(41)와, 상기 제1,2,3컨넥터몸체(21)(31)(41)의 양단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튜브(10)의 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끼어지는 한쌍의 제1,2,3컨넥터돌부(22)(32)(42)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cond an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3컨넥터(20)(30)(40)는, 상기 제1,2,3컨넥터몸체(21)(31)(41)에 레디알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2,3가속도센서(50)(60)(70)가 결합되는 다수의 제1,2,3결합홈(23)(33)(43)과, 상기 제1,2,3컨넥터몸체(21)(31)(41)에 결합되어 제1,2,3결합홈(23)(33)(43)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하는 제1,2,3커버(24)(34)(44)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cond an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부(80)는, 카운트를 0 으로 세팅하는 세팅스위치(85)를 더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3컨넥터(20)(30)(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카운트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개수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90)를 더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의하면, 한쌍의 제1,2,3컨넥터돌부가 형성된 제1,2,3컨넥터를 채용함으로서, 3 개의 튜브의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직경을 다양하게 할 수 있어, 다양한 체형의 사람에게 적합한 훌라후프의 구현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op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s formed with a pair of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 protrusions, the diameter of the three tubes can be varied so that the diameter can be varied, which is suitable for people of various body type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hula hoops.
또한 제1,2,3가속도센서 및 카운트부는,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훌라후프 운동을 할 경우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제1,2,3가속도신호(S1)(S2)(S3)에 연동하여 카운트를 진행하므로, 훌라후프 운동하지 않고 인위적으로 카운트 개수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econd, third acceleration sensor and the count unit, the count proceed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second, third acceleration signal (S1) (S2) (S3) sequentially generated when the user performs the hula hoop move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artificially manipulating the count number without the hula hoop movement.
그리고 카운트 개수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운동도중 카운트 개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출력되는 음성에 의하여 호기심을 유발함과 동시에 운동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And by outputting the count number by voice, the us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count number during the exercise, and also has the action and effect that can induce curiosity and motivate exercise at the same time by the output vo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훌라후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훌라후프가 3 개의 튜브 및 제1,2,3컨넥터로 분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튜브의 길이가 짧을 경우, 훌라후프의 직경이 작아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의 튜브가 조립되는 제1,2,3컨넥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1,2,3컨넥터에 튜브가 조립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제1,2,3컨넥터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제1,2,3가속도센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제1,2,3가속도센서에 레디알 방향으로 가속도가 인가되었을 때 제1,2,3추가 움직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제1,2,3가속도센서의 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hula ho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hula hoop of FIG. 1 is disassembled into three tubes and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s.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diameter of the hula hoop is small when the length of the tube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s to which the tube of FIG. 2 is assembl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ube is assembl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s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by extrac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s of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econd, third acceleration sensor of FIG.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first, second, and third additional movements when acceleration is appli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acceleration sensors of FIG. 7 in the radial direc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the operation of the first, second, third acceleration sensor of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훌라후프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unctional hula ho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hat is described as "upper" or "upper" may include not only directly over and in contact but also overlying.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which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terms "… .. part",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훌라후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훌라후프가 3 개의 튜브 및 제1,2,3컨넥터로 분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튜브의 길이가 짧을 경우, 훌라후프의 직경이 작아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튜브가 조립되는 제1,2,3컨넥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hula ho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hula hoop of FIG. 1 is disassembled into three tubes and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s, and FIG. 3 is a view of the tube of FIG. When the length is short,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diameter of the hula hoop is small,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s to which the tube of Figure 2 is assembl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훌라후프(100)는, 곡면이 형성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3 개의 튜브(10)와; 3 개의 튜브(10)를 폐곡면을 이루게 연결하는 제1,2,3컨넥터(20)(30)(40)와; 제1,2,3컨넥터(20)(30)(4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레디알 방향으로 인가되는 가속도 변화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제1,2,3가속도신호(S1)(S2)(S3)를 발생하는 제1,2,3가속도센서(50)(60)(70)와; 제1,2,3컨넥터(20)(30)(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2,3가속도신호(S1)(S2)(S3)가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조건에서 하나씩 카운트하여 대응되는 카운트신호를 발생하는 카운트부(80)와; 제1,2,3컨넥터(20)(30)(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카운트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개수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90);를 포함한다. 상기 제1,2,3가속도센서(50)(60)(70), 카운트부(80) 및 음성출력부(90)는 제1,2,3컨넥터(20)(30)(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된다. As shown, the
튜브(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을 가지는 동일 길이를 가지며, 제1,2,3컨넥터(20)(30)(40)에 폐곡선을 이루게 연결되어 원형의 훌라후프(100)가 구현되게 한다. 여기서, 훌라후프(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방향을 레디알 방향(R)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2, the
제1,2,3컨넥터(20)(30)(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길이를 가지는 3 개의 튜브(10)에 연결됨으로서 중심을 기준으로 120ㅀ각도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1,2,3컨넥터(20)(30)(40)는, 제1,2,3컨넥터몸체(21)(31)(41)와, 제1,2,3컨넥터몸체(21)(31)(41)의 양단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튜브(10)의 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끼어지는 한쌍의 제1,2,3컨넥터돌부(22)(32)(4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second, and
제1,2,3컨넥터돌부(22)(32)(42) 각각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P)이 끼어져 결합되는 제1,2,3핀홀(22a)(32a)(42a)이 형성된다. 제1,2,3핀홀(22a)(32a)(42a)에는 튜브(10)의 핀홀(10a)을 관통하는 핀(P)이 결합되고, 이 경우 튜브(10)는 제1,2,3컨넥터돌부(22)(32)(4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핀(P)을 제거할 경우, 튜브는 제1,2,3컨넥터돌부(22)(32)(42)에서 분리된다.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제1,2,3컨넥터(20)(30)(40)에 연결되는 튜브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교체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튜브를 제1,2,3컨넥터(20)(30)(40)에 결합시킬 때, 훌라후프(100)의 내직경은 작아진다. The tubes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제1,2,3컨넥터돌부(22)(32)(42)의 단부에는 경사단(22a)(32a)(42a)이 형성된다. 경사단(22a)(32a)(42a)은, 튜브(10)를 제1,2,3컨넥터돌부(22)(32)(42)에 용이하게 끼어지도록 가이드된다. Inclined ends 22a, 32a and 42a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first, second and
한편, 제1,2,3컨넥터(20)(30)(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컨넥터몸체(21)(31)(41)에 레디알 방향(R)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제1,2,3가속도센서(50)(60)(70)가 결합되는 다수의 제1,2,3결합홈(23)(33)(43)과, 제1,2,3컨넥터몸체(21)(31)(41)에 결합되어 제1,2,3결합홈(23)(33)(43)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하는 제1,2,3커버(24)(34)(44)와, 제1,2,3 컨넥터돌부(22)(32)(4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신호나 전원이 인가되는 다수의 제1,2,3돌부단자(25)(35)(45)를 포함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first, second and
제1,2,3결합홈(23)(33)(44)은 제1,2,3컨넥터몸체(21)(31)(41)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형성되며, 상기 제1,2,3가속도센서(50)(60)(70) 뿐만 아니라 후술할 카운트부(80)나 음성출력부(90)가 설치될 수 있고,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제1,2,3결합홈(23)(33)(44)을 형성함으로써, 훌라후프(100)의 회전을 센싱 및 카운트하고 출력하는 모든 구성들을 제1,2,3컨넥터(20)(30)(40)에 일체화시킬 수 있다. One, two, three
제1,2,3돌부단자(25)(35)(45)는, 제1,2,3컨넥터돌부(22)(32)(42)에 튜브(10)가 연결될 때, 튜브(10) 내주면에 형성된 튜브리드선(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2,3컨넥터(20)(30)(40)는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고, 후술할 제1,2,3가속도센서(50)(60)(70)에서 발생된 신호를 상호 공유하거나 전원을 공유할 수 있다. The first, second and
제1,2,3가속도센서(50)(60)(7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디알 방향(R)으로 인가되는 가속도 변화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As shown in FIGS. 6 to 8, the first, second and
제1가속도센서(50)는, 제1컨넥터의 제1결합홈(2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단부가 폐쇄된 제1관체(51)와, 제1관체(51)에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으로서 전도체 재질로 된 제1추(52)와. 제1관체(51)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제1캡(53)과, 제1관체(51) 내측에서 제1캡(53)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1평단자(54)와, 제1관체(51) 내측에서 제1캡(53)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제1링단자(55)와, 제1링단자(55)와 제1추(52) 사이에 설치되어 제1추(52)가 제1평단자(54)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제1스프링(56)과, 제1평단자(54)와 연결되어 제1캡(53)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컨넥터단자(57)와, 제1링단자(55)와 연결되어 제1캡(53)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4컨넥터단자(58)를 포함한다. The
제2가속도센서(60)는, 제2컨넥터의 제2결합홈(3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단부가 폐쇄된 제2관체(61)와, 제2관체(61)에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으로서 전도체 재질로 된 제2추(62)와. 제2관체(61)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제2캡(63)과, 제2관체(61) 내측에서 제2캡(63)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2평단자(64)와, 제2관체(61) 내측에서 제2캡(63)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제2링단자(65)와, 제2링단자(65)와 제2추(62) 사이에 설치되어 제2추(62)가 제2평단자(64)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제2스프링(66)과, 제2평단자(64)와 연결되어 제2캡(63)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컨넥터단자(67)와, 제2링단자(65)와 연결되어 제2캡(63)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5컨넥터단자(68)를 포함한다. The
제3가속도센서(70)는, 제3컨넥터의 제3결합홈(4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단부가 폐쇄된 제3관체(71)와, 제3관체(71)에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으로서 전도체 재질로 된 제3추(72)와. 제3관체(71)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제3캡(73)과, 제3관체(71) 내측에서 제3캡(73)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3평단자(74)와, 제3관체(71) 내측에서 제3캡(73)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제3링단자(75)와, 제3링단자(75)와 제3추(72) 사이에 설치되어 제3추(72)가 제3평단자(74)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제3스프링(76)과, 제2평단자(74)와 연결되어 제3캡(73)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컨넥터단자(77)와, 제3링단자(75)와 연결되어 제3캡(73)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6컨넥터단자(78)를 포함한다. The
제1,2,3관체(51)(61)(61)는, 제1,2,3결합홈(23)(33)(42)에 레디알 방향(R)으로 끼어져 결합되어, 제1,2,3추(52)(53)(54)가 레디알 방향(R)으로만 인가되는 가속도 변화에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second and third
제1,2,3캡(53)(63)(73)은, 제1,2,3추(52)(62)72) 및 제1,2,3스프링(56)(66)(76)이 제1,2,3관체(51)(62)(71)에 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과 동시에, 제1,2,3추(52)(62)(72)의 전방에서 제1,2,3평단자(54)(64)(74) 및 제1,2,3링단자(55)(65)(75)가 위치되게 한다. The first, second and
제1,2,3컨넥터단자(57)(67)(77) 및 제4,5,6컨넥터단자(58)(68)(78)는, 전술한 제1,2,3돌부단자(25)(35)(4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first, second and
한편, 제1,2,3추(52)(62)(72)는, 제1,2,3평단자(54)(64)(7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2,3곡면부(52a)(62a)(72a)와, 제1,2,3곡면부(52a)(62a)(72a)의 외측에 형성되어 제1,2,3스프링(56)(66)(76)이 끼어지는 제1,2,3단차끼움단(52b)(62b)(72b)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제1,2,3추(52)(62)(72)는 제1,2,3평단자(54)(64)(74)에 수직 방향으로 지지된 상태가 되어 레디아 방향(R)으로 가속도 변화가 발생될 때 제1,2,3평단자(54)(64)(74)로 움직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econd and
가속도 변화에 의하여 움직이는 제1,2,3추(52)(62)(72)는 제1,2,3관체(51)(61)(71)를 감싸는 제1,2,3,캡(53)(63)(73)에 의하여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완벽한 방수가 가능하여 빗물이나 습기등이 침투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The first, second, and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추(52)(62)(72)는 제1,2,3스프링(56)(66)(76)에 제1,2,3평단자(54)(64)(74)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제1,2,3링단자(55)(65)(75)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Due to this structure, as shown in FIG. 7, the first, second, and
그러나 레디알 방향(R)으로 가속도 변화가 발생될 경우, 제1,2,3추(52)(62)(72)는 제1,2,3스프링(56)(66)(76)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제1,2,3평단자(54)(64)(74)와 접촉되며, 이때 제1,2,3평단자(54)(64)(74)와 제1,2,3링단자(55)(65)(75)는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1,2,3가속도신호(S1)(S2)(S3)를 발생하게 된다. However, when an acceleration change occurs in the radial direction R, the first, second, and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디알 방향(R)으로 가속도 변화가 발생될 경우, 즉, 훌라후프(100)가 사용자의 신체(B)에 접한 부분과 훌라후프 중심(C)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따른 레디알 방향(R)의 반대측(-R)으로 훌라후프(100)를 후진시킬 때, 훌라후프(100)는 신체(B)에서 하방으로 움직이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9, when an acceleration change occurs in the radial direction R, that is, the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신체(B)와 훌라후프의 중심(C)을 연결하는 가상선에 제1가속도센서(50)가 위치될 때, 훌라후프(100)가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제1가속도센서(50) 측의 레디알 방향(R)과는 반대되는 - 레디알 방향(-R)으로 이동시켜야 하고, 이에 따라 제1가속도센서(50)에서는 가속도 변화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때 제1가속도센서(50)는 제1가속도신호(S1)를 발생하는 것이고, 이후 순차적으로 제2,3가속도센서(60)(70)는 제2가속도신호(S2) 및 제3가속도신호(S3)를 발생하는 것이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when the
카운트부(80)는 제1,2,3가속도신호(S1)(S2)(S3)가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1 싸이클 조건마다 1 을 카운트하여 대응되는 카운트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제1,2,3가속도센서(50)(60)(70)가 제1,2,3가속도신호(S1)(S2)(S3)가 순차적으로 발생되지 않거나, 특정한 가속도신호만 발생할 경우 카운트부(80)는 카운트하지 않는다. 이는, 사용자가 훌라후프로 운동하지 않고 단지 특정 방향으로 흔들었다라는 것을 의미하고, 이 경우 카운트하지 않는 것이다. 즉, 정상적인 훌라후프 운동할 경우에만 제1,2,3가속도신호(S1)(S2)(S3)가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것이고, 사용자가 훌라후프를 임의의 방향으로 흔들 때에는 특정한 가속도신호만 발생될 뿐이지 제1,2,3가속도신호가 순차적으로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The
한편, 카운트부(80)는, 훌라후프의 카운트를 0 으로 세팅하는 세팅스위치(85)를 구비하며, 필요에 따라 세팅스위치(85)를 눌러 훌라후프의 회전을 다시 카운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음성출력부(90)는 카운트부(80)에서 카운트되는 개수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한다. 음성출력부(90)는, 예를 들면, 카운트부(80)가 1을 인식할 때 "하나" 라는 음성을 출력하고, 이후, "둘" "셋" 등과 같은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훌라후프 개수를 일일이 세지 않고도 회전 개수를 정확히 알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카운트부(80)에서 발생되는 카운트신호에 의하여 음성이 출력되는 음성출력부(90) 만을 채용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카운트 신호에 연동되어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 LED 가 채용되거나, 카운트 개수를 숫자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채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only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쌍의 제1,2,3컨넥터돌부(22)(32)(42)가 형성된 제1,2,3컨넥터(20)(30)(40)를 채용함으로서, 3 개의 튜브(10)의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직경을 다양하게 할 수 있어, 다양한 체형의 사람에게 적합한 훌라후프의 구현이 가능하다.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mploying the first, second and
또한 제1,2,3가속도센서(50)(60)(70) 및 카운트부(80)는,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훌라후프 운동을 할 경우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제1,2,3가속도신호(S1)(S2)(S3)에 연동하여 카운트를 진행하므로, 훌라후프 운동하지 않고 인위적으로 훌라후프를 흔들어 카운트 개수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econd and
특히, 제1,2,3가속도센서(50)(60)(70)는 가속도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스위치와 같이 훌라후프(10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없고, 방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야외에서 사용하더라도 빗물이 침투될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first, second, and
그리고 카운트 개수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운동도중 카운트 개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출력되는 음성에 의하여 호기심을 유발함과 동시에 운동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outputting the count number as a voice, the us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count number during the exercise, and induces curiosity and motivates exercise by the output voic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10 ... 튜브 10a ... 핀홀
15 ... 튜브리드선 20, 30, 40 ... 제1,2,3컨넥터
21, 31, 41 ... 제1,2,3컨넥터몸체 22, 32, 42 ... 제1,2,3컨넥터돌부
23, 33, 43 ... 제1,2,3결합홈 24, 34, 44 .., 제1,2,3커버
25, 35, 45 ... 돌부단자 50, 60, 70 ... 제1,2,3가속도센서
51, 61, 71 ... 제1,2,3관체 52, 62, 72 ... 제1,2,3추
53, 63, 73 ... 제1,2,3캡 54, 64, 74 ... 제1,2,3평단자
55, 65, 75 ... 제1,2,3링단자 56, 66, 75 ... 제1,2,3스프링
57, 67, 77 ... 제1,2,3컨넥터단자 58, 68, 78 ... 제4,5,6컨넥터단자
80 ... 카운터부 85 ... 세팅스위치
90 ... 음성출력부10 ...
15 ...
21, 31, 41 ... 1, 2, 3
23, 33, 43 ... 1, 2, 3
25, 35, 45 ...
51, 61, 71 ... first, second,
53, 63, 73 ... 1,2,3
55, 65, 75 ... 1, 2, 3
57, 67, 77 ... 1, 2, 3
80 ... counter 85 ... setting switch
90 ... audio output
Claims (6)
상기 3 개의 튜브(10)를 폐곡면을 이루게 연결하는 제1,2,3컨넥터(20)(30)(40);
상기 제1,2,3컨넥터(20)(30)(4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레디알 방향으로 인가되는 가속도 변화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제1,2,3가속도신호(S1)(S2)(S3)를 발생하는 제1,2,3가속도센서(50)(60)(70); 및
상기 제1,2,3컨넥터(20)(30)(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3가속도신호(S1)(S2)(S3)가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1 싸이클 조건마다 하나씩 카운트하여 대응되는 카운트신호를 발생하는 카운트부(8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3가속도센서(50)(60)(70)는, 상기 제1,2,3컨넥터(20)(30)(40)의 제1,2,3결합홈(23)(33)(4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단부가 폐쇄된 제1,2,3관체(51)(61)(71)와, 상기 제1,2,3관체(51)(61)(71)에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으로서 전도체 재질로 된 제1,2,3추(52)(62)(73)와. 상기 제1,2,3관체(51)(61)(71)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제1,2,3캡(53)(63)(73)과, 상기 제1,2,3관체(51)(61)(71) 내측에서 상기 제1,2,3캡(53)(63)(73)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1,2,3평단자(54)(64)(74)와, 상기 제1,2,3관체(51)(61)(71) 내측에서 상기 제1,2,3캡(53)(63)(73)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제1,2,3링단자(55)(65)(75)와, 상기 제1,2,3링단자(55)(65)(75)와 제1,2,3추(52)(62)(72) 사이에 설치되어 제1,2,3추(52)(62)(72)가 제1,2,3평단자(54)(64)(74)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제1,2,3스프링(56)(66)(7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훌라후프.Three tubes 10 having the same length having curved surfaces;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s 20, 30 and 40 for connecting the three tubes 10 to a closed curved surface;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s 20, 30, and 40 are install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s 20, 40, and 40, respectively. First, second, and third acceleration sensors 50, 60, and 70 for generating (); And
1, which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s 20, 30 and 40, where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acceleration signals S1, S2 and S3 are sequentially generated. And counting unit 80 for counting one cycle for each cycle condition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count signal.
The first, second and third acceleration sensors 50, 60 and 7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and third coupling grooves 23 and 20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s 20, 30 and 40. 33, 43 is moved to the first, second, third tube (51) (61) (71), and the first, second, third tube (51) (61) (71), the ends of which are closed. First, second, third weights (52, 62, 73) of conductor material, possibly embedded therein; First, second and third caps 53, 63 and 73 provided at the inlet 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tubular bodies 51, 61 and 71,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tubular bodies ( 51, 61, and 71 inside the first, second, and third caps 53, 63, 73,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flat terminals 54, 64, 74; First, second and third ring terminals are installed at the edg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aps 53, 63 and 73 inside the first, second and third tubular bodies 51, 61 and 71. (55) (65) (75) and betwe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ring terminals (55) (65) 75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weights (52) (62) (72) The first, second and third springs 52, 62 and 72 mainta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prings 54, 64 and 7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56) (66) (76). A functional hula hoop.
제1,2,3컨넥터몸체(21)(31)(41)와,
상기 제1,2,3컨넥터몸체(21)(31)(41)의 양단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튜브(10)의 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끼어지는 한쌍의 제1,2,3컨넥터돌부(22)(32)(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훌라후프.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s 20, 30 and 40 ar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 bodies 21, 31 and 41,
A pair of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 protrusions 22 which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 bodies 21, 31 and 41 so as to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holes of the tube 10. A functional hula hoop comprising (32) and (42).
상기 제1,2,3컨넥터몸체(21)(31)(41)에 레디알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2,3가속도센서(50)(60)(70)가 결합되는 상기 제1,2,3결합홈(23)(33)(43)과,
상기 제1,2,3컨넥터몸체(21)(31)(41)에 결합되어 상기 제1,2,3결합홈(23)(33)(43)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하는 제1,2,3커버(24)(34)(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훌라후프.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s 20, 30 and 40 are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 bodies 21, 31, and 41 are formed to be opene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acceleration sensors 50, 60, and 70 are coupled to each other. , 2, 3 coupling grooves 23, 33, 43,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 bodies 21, 31, 41 are coupled to the first, second, third coupling grooves 23, 33, 43 to close the external environment. A functional hula hoop comprising three covers (24) (34) and (44).
카운트를 0 으로 세팅하는 세팅스위치(8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훌라후프.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unting unit 80,
And a setting switch 85 for setting the count to zero.
상기 제1,2,3컨넥터(20)(30)(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카운트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개수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훌라후프.
The method of claim 1,
It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s 20, 30 and 40, and further comprising a voice output unit 90 for outputting a corresponding number according to the count signal. The functional hula hoop characterized b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3385A KR102021054B1 (en) | 2019-07-10 | 2019-07-10 | Hulahoo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3385A KR102021054B1 (en) | 2019-07-10 | 2019-07-10 | Hulahoo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21054B1 true KR102021054B1 (en) | 2019-09-11 |
Family
ID=6794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3385A KR102021054B1 (en) | 2019-07-10 | 2019-07-10 | Hulahoo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1054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6560Y1 (en) * | 1999-11-05 | 2000-04-15 | 박하령 | A hula hoop have sound·er |
US20040048725A1 (en) * | 2002-09-10 | 2004-03-11 | Dong Chang Jui | Exercising hula-hoop assembly with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and receiver unit |
KR200397833Y1 (en) * | 2005-07-27 | 2005-10-07 | 김경호 | Interlinking rope-jumping hula hoop |
KR200417051Y1 (en) * | 2006-03-09 | 2006-05-22 | 주식회사 이와토즈 | Multi-Use O-Ring Type Health Device |
KR100803447B1 (en) * | 2007-03-06 | 2008-02-13 | 김동묵 | A exercise momentum checking unit of a hual hoop and method thereof |
-
2019
- 2019-07-10 KR KR1020190083385A patent/KR10202105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6560Y1 (en) * | 1999-11-05 | 2000-04-15 | 박하령 | A hula hoop have sound·er |
US20040048725A1 (en) * | 2002-09-10 | 2004-03-11 | Dong Chang Jui | Exercising hula-hoop assembly with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and receiver unit |
KR200397833Y1 (en) * | 2005-07-27 | 2005-10-07 | 김경호 | Interlinking rope-jumping hula hoop |
KR200417051Y1 (en) * | 2006-03-09 | 2006-05-22 | 주식회사 이와토즈 | Multi-Use O-Ring Type Health Device |
KR100803447B1 (en) * | 2007-03-06 | 2008-02-13 | 김동묵 | A exercise momentum checking unit of a hual hoop and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787249T3 (en) | Fitness tracker | |
US8583392B2 (en) | Inertial measurement unit calibration system | |
US8527228B2 (en) | Calibration for three dimensional motion sensor | |
KR101525226B1 (en) | Motion recognizing glove for augmented reality | |
EP2357548A2 (en) | Apparatus for screen location control of flexible display | |
EP3421106B1 (en) | Exercise management device using hula hoop having device for measuring spinning direction and exercise amount | |
US8758152B2 (en) | Swing feedback device | |
US20150260310A1 (en) | Check valve disc position indicator | |
CN107966895A (en) | Rotation input mechanism for electronic equipment | |
US20120031161A1 (en) | Electronic torque wrench calibration device and using method thereof | |
CN106225806A (en) | The calibration method of Magnetic Sensor, device and mobile terminal | |
KR102021054B1 (en) | Hulahoop | |
WO2021000579A1 (en) | Three-order pyramid magic cube and intelligent middle shaft | |
JP7182275B2 (en) | Motion judgment system | |
CN205586468U (en) | Wrist strength training ball | |
CN109521872A (en) | A kind of mobile terminal screen spinning solution and its mobile terminal | |
CN215679780U (en) | Seismograph simulation display model | |
KR20150057316A (en) | Jog shuttle | |
KR101341671B1 (en) | Device for exercise measure | |
ES2773913T3 (en) | Force measuring device | |
US20120013487A1 (en) | Revolving Control Device with a Displacement Sensor without Contact Points | |
EP3218774A1 (en) | Portable monitoring device | |
CN208876489U (en) | Wrist sensing device | |
KR101011828B1 (en) | Mobile terminal having gravity sensor and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 |
CN208140279U (en) | A kind of earphone-type thermometer Internet-base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