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654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mission loss factor based on power system component modeling and big data processing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mission loss factor based on power system component modeling and big data proces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654B1
KR102020654B1 KR1020180001584A KR20180001584A KR102020654B1 KR 102020654 B1 KR102020654 B1 KR 102020654B1 KR 1020180001584 A KR1020180001584 A KR 1020180001584A KR 20180001584 A KR20180001584 A KR 20180001584A KR 102020654 B1 KR102020654 B1 KR 102020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us
data
transmission loss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5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8127A (en
Inventor
박래용
엄태선
김민영
장동환
김성은
전영환
이하림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역난방공사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역난방공사,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to KR1020180001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654B1/en
Publication of KR20190088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1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6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8Data format conversion from or to a database
    • H02J2003/00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송전손실계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송전손실계수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송전손실계수 제공 방법으로서, 입력받은 전력 계통 데이터로부터 송전손실계수 계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전력 계통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발전모선 중에서 임의의 발전모선에 대하여 미소 단위부하 만큼 유효전력 부하량을 가변하는 단계, 전력조류계산을 수행하여, 상기 가변된 유효전력 부하를 공급하는데 필요하고 상기 임의의 발전모선의 유효전력 부하의 가변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슬랙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발전모선의 단위부하 유효전력의 변화량 및 상기 슬랙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임의의 발전모선의 송전손실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송전손실계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Provided are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providing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This method is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providing method performed in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providing apparatus opera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the step of extracting data for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from the input power system data, the extracted power system data Varying the effective power load by a minute unit load among a plurality of power generation buses included, and performing a power current calculation to supply the variable effective power load and the validity of the arbitrary power generation buses Calculating an amount of change in the effectiv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slack bus caused by the change of the power load, us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unit load effective power of the arbitrary generation bus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effectiv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slack bus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of the bus bar, and The total loss factor and a step for outputting via the user interface.

Description

전력계통 구성요소 모델링 및 빅데이터 처리를 통한 송전손실계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MISSION LOSS FACTOR BASED ON POWER SYSTEM COMPONENT MODELING AND BIG DATA PROCESSING}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MISSION LOSS FACTOR BASED ON POWER SYSTEM COMPONENT MODELING AND BIG DATA PROCESSING}

본 발명은 전력계통 구성요소 모델링 및 빅데이터 처리를 통한 송전손실계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providing method through power system component modeling and big data processing.

최근 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문제와 송전망 건설을 위한 입지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친환경, 고효율이면서 수요지에 인접한 분산전원에 대한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분산전원 중 하나이면서 에너지 이용 효율이 높은 열병합발전소(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이하, 'CHP'라 통칭함)는 수요지에 인접하여 있어, 지리적 편익이 발생한다. 이러한 지리적 편익은 송전망 건설에 따른 사회적 비용 최소화, 초고압 대전력의 신규 송전선로 건설 회피, 낮은 송전손실률로 인한 국가 전체의 에너지 이용 효율 증대, 송전혼잡 등 송전망 운영에 따른 편익 등이다.Recently,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and difficulty in securing a location for transmission network construction, demands for eco-friendly, high-efficiency, distributed power sources adjacent to demand are expanding. The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HP'), which is one of the distributed power sources and has high energy use efficiency, is located adjacent to the demand site, resulting in geographical benefits. Such geographic benefits include minimizing social costs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grid, avoiding the construction of new high-voltage power transmission lines, increasing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country due to low transmission losses, and the benefits of operating the grid such as transmission congestion.

CHP는 지리적 편익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측면이나 계통안정화 측면에서의 장점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정당한 가치를 제도적으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Although CHP has advantages not only in geographical benefits but also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and system stability, its fair value has not been systematically evaluated.

또한, 전력시장에서의 발전비용 경쟁이 심화되면서 CHP의 송전손실계수(Transmission Loss Factor, TLF)가 높음에도 급전순위가 뒤로 밀리고 있다. 이에 따라 송전손실계수(TLF) 중장기 전망을 통한 CHP의 투자 및 운용 대책 수립 기반 조성이 필요하다.In addition, as competition for power generation costs intensifies in the power market, the ranking of feeds is being pushed back despite the high transmission loss factor (TLF) of CHP.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lay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investment and management measures for CHP through mid / long-term projections of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발전기의 급전순위 및 수익은 송전손실계수(TLF)에 영향을 받는다. 송전손실계수(TLF)의 사전적 정의는 발전기의 송전단에서 계량기 설치위치까지의 송전선로상에서 발생한 송전손실률을 말한다. 송전손실계수(TLF)는 발전기의 한계손실계수(Marginal Loss Factor, MLF)로서 임의모선의 단위부하 공급에 필요한 기준모선의 발전량을 말한다.The feeder ranking and revenue of the generator are affected by the transmission loss factor (TLF).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the transmission loss factor (TLF) refers to the transmission loss rate occurring on the transmission line from the generator end to the meter installation position. The transmission loss factor (TLF) is the marginal loss factor (MLF) of the generator and refers to the amount of generation of the reference bus required to supply the unit load of arbitrary buses.

송전손실계수(TLF)는 전력계통의 상태에 따라 그 값이 변하게 되는데, 전력계통은 발전기 진입 및 송전망 건설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송전손실계수(TLF) 역시 매년 변화하고 있으나, 관련 소프트웨어의 부재로 발전사들은 그 값을 예측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The value of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changes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power system. The power system is continuously changing due to generator entry and transmission network construction.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is also changing every year, but it is difficult for power generation companies to predict the value due to the lack of related software.

송전손실계수(TLF)는 송전손실지수 중 페널티계수(Penalty Factor, PF)에서 도출되었다. 페널티계수(PF)는 계통 전체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발전기의 연료비를 최소로 하는 경제급전 문제에서 유도된다(Allen J. Wood, Bruce F. Wollenberg, POWER GENERATION, OPERATION, AND CONTROL, JOHN WILEY & SONS. INC., 1984, p.114-116). The transmission loss factor (TLF) was derived from the Penalty Factor (PF) of the transmission loss index. The penalty factor (PF) is derived from the economic problem of power supply, which minimizes the fuel costs of the generator while powering the load across the system (Allen J. Wood, Bruce F. Wollenberg, POWER GENERATION, OPERATION, AND CONTROL, JOHN WILEY & SONS INC., 1984, p. 114-116).

종래의 한국형 계통운영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이하, 'EMS'라 통칭함)용 송전손실계수(TLF) 산정 및 관리 프로그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은 EMS 내부에서 계산하고, 실시간 계통의 계산 프로그램으로 특정 시점의 전망을 위한 송전손실계수(TLF) 계산은 불가능하다.Disclosed is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calculation and management program for a conventional Korean energy management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EMS'). However, these programs are calculated inside the EMS, and it is not possible to calculate the transmission loss factor (TLF) for the point-in-time calculation by the real-time calculation progra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력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전력계통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력계통 데이터에 포함된 구성요소 모델링을 통해 전력조류계산 및 송전손실계수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ower system data provided by a power exchange and calculating and providing power current calculation and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hrough component modeling included in the power system data. will be.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송전손실계수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송전손실계수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송전손실계수 제공 방법으로서, 입력받은 전력 계통 데이터로부터 송전손실계수 계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전력 계통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발전모선 중에서 임의의 발전모선에 대하여 미소 단위부하 만큼 유효전력 부하량을 가변하는 단계, 전력조류계산을 수행하여, 상기 가변된 유효전력 부하를 공급하는데 필요하고 상기 임의의 발전모선의 유효전력 부하의 가변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슬랙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발전모선의 단위부하 유효전력의 변화량 및 상기 슬랙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임의의 발전모선의 송전손실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송전손실계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providing method is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providing method performed in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providing apparatus opera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which is required for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from the input power system data Extracting data, varying an effective power load by a minute unit load with respect to an arbitrary power generation bus among the plurality of power generation buses included in the extracted power system data, and performing a power current calculation to perform the variable active power load Calculating an amount of change in the effectiv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slack bus, which is required to supply the power generation and is generated due to the change in the effective power load of the arbitrary generation bu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unit load effective power of the arbitrary generation bus and the slack bus Any of the above generation models using the change amount of the effective power generation amount Step of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loss factor, and a step for outputting via the user interface, the transmission loss factor.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PSS/E(Power System Simulator for Engineering)의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포맷의 전력 조류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력 조류 데이터로부터 상기 송전손실계수 계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추출한 데이터를 버스 데이터(BUS DATA), 브랜치 데이터(BRANCH DATA) 및 버스 네임 데이터(BUS NAME DATA)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하는 단계는, 상기 분류한 데이터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The extracting may include receiving power flow data in 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format of PSS / E (Power System Simulator for Engineering), and extracting data necessary for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from the power flow data. Extracting and classifying the extracted data into bus data, branch data, and bus name data; and the varying step includes: classifying the classified data. Can be performed on a basic basis.

상기 분류하는 단계 이후, 상기 분류한 데이터를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classifying,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verting the classified data into a text format.

상기 산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PSS/E에 따른 구성요소로 모델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PSS/E에 따른 모델링을 적용하여 상기 전력조류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Before the calculating,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odeling the component according to the PSS / E, and the calculating may include applying the modeling according to the PSS / E to perform 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상기 모델링하는 단계는, 스위치드 션트 커패시터(Switched Shunt Capacitor)를 최종 용량 데이터가 고정된 형태의 픽스드 션트커패시터(Fixed Shunt Capacitor)로 모델링할 수 있다.In the modeling step, the switched shunt capacitor may be modeled as a fixed shunt capacitor having a fixed final capacitance data.

상기 모델링하는 단계는,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설비를 무효전력만 소비하는 부하로 모델링할 수 있다.The modeling may include modeling a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FACTS) facility as a load consuming only reactive power.

상기 모델링하는 단계는, 2 Winding Transformer를 PSS/E의 전력조류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2개의 션트 커패시터(Shunt Capacitor)와 1개의 선로 어드미턴스로 모델링할 수 있다.In the modeling, the 2 Winding Transformer may be modeled as two shunt capacitors and one line admittance for inputting power current data of the PSS / E.

상기 모델링하는 단계는, 가상의 모선인 Star Point Bus를 이용하여 2 Winding Transformer 3개로 모델링된 3 Winding Transformer를 PSS/E의 전력조류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어드미턴스로 모델링할 수 있다.In the modeling step, a 3 Winding Transformer modeled as 3 2 Winding Transformers may be modeled as an admittance using PSS / E power current data using a Star Point Bus which is a virtual bus.

상기 모델링하는 단계는,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를 PSS/E의 전력조류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가상부하로 모델링할 수 있다.In the modeling, the 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may be modeled as a virtual load using power current data of the PSS / E as an input.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송전손실계수 제공 장치는 PSS/E(Power System Simulator for Engineering)의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포맷의 전력 조류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전력 계통의 발전모선의 송전손실계수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전력 조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송전손실계수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입력받은 전력 계통 데이터로부터 필터링된 송전손실계수 계산에 필요한 전력 계통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발전모선 중에서 임의의 발전모선의 단위부하만큼의 유효전력부하를 가변한 후, 전력조류계산을 수행하여, 상기 가변된 유효전력부하를 공급하는데 필요하고 상기 유효전력부하의 가변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슬랙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임의의 발전모선의 단위부하 유효전력의 변화량 및 상기 슬랙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임의의 발전모선의 송전손실계수를 계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providing apparatus i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power flow data of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format of the PSS / E (Power System Simulator for Engineering), the power generation bus of the power system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power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of the screen,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for calculating and outputting the power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based on the power flow data, and at least one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After changing the effective power load by the unit load of any power generation bus among the plurality of power generation buses included in the power system data necessary for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filtered from the input power system data, 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is performed. Is required to supply the variable active power load and to the variable of the active power load. Calculate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effectiv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slack bus generated by using the change amount of the unit load effective power of the arbitrary power generation bus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effectiv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slack bus, It includes instructions to calculate and out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송전손실계수 계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버스 데이터(BUS DATA), 브랜치 데이터(BRANCH DATA) 및 버스 네임 데이터(BUS NAME DATA)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한 데이터를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gram classifies the data necessary for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into bus data, branch data, and bus name data, and converts the classified data into a text format and stores the data. It may include instructions to.

상기 전력조류계산은, PSS/E에 따른 구성요소 모델링을 기초로 수행되고, 상기 구성요소 모델링은, 고정된 용량을 가지는 어드미턴스 형태로 모델링된 스위치드 션트 커패시터(Switched Shunt Capacitor)와 픽스드 션트 커패시터(Fixed Shunt Capacitor), 무효전력만 소비하는 부하로 모델링된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설비, 그리고 PSS/E의 전력조류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가상부하로 모델링된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is performed based on component modeling according to PSS / E, and the component modeling includes a switched shunt capacitor and a fixed shunt capacitor modeled in an admittance form having a fixed capacitance. At least one of Fixed Shunt Capacitor),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FACTS) facility modeled as a load consuming only reactive power, and 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modeled as a virtual load that takes power current data of PSS / E.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전기의 수익에 영향을 주는 송전손실계수(TLF)를 계산하여 송전손실계수(TLF)의 중장기 전망을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발전기의 투자 및 운용계획과 대책수립의 기반을 조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that affects the profit of the generator to enable the medium and long term projection of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and further, the basis of the investment and operation plan and the countermeasures of the generator. Can be formul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손실계수(TLF)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송전손실계수(TLF)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추출 및 분류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스드 션트커패시터(Fixed Shunt Capacitor) 및 스위치드 션트 커패시터(Switched Shunt Capacitor) 모델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설비 모델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모델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 Winding Transformer 모델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 Winding Transformer 모델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손실계수(TLF)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providing apparatus of FIG. 1.
3 illustrates a data extraction and class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modeling of a fixed shunt capacitor and a switched shunt capac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FACTS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facility mode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mode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diagrams illustrating 2 Winding Transformer mode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3 Winding Transformer mode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an be.

본 명세서에서, 전력계통 또는 계통은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전기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물리적으로 상호 연결된 전기설비, 즉, 발전설비, 송변전설비, 배전설비, 기타 부대설비 등을 말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wer system or system refers to electrical equipment physically interconnected, that is, power generation equipment, power transmission equipment,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and other auxiliary equipment for supplying electricity generated by a power plant to an electric user.

송전손실계수(Transmission Loss Factor, TLF)는 발전기의 송전손실계수를 의미한다. 송전손실계수(TLF)는 송전손실지수 중에서 한계손실계수(Marginal Loss Factor, MLF)이다. 송전손실계수(TLF)는 임의모선의 단위부하 공급에 필요한 기준모선의 발전량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모선은 송·배전선, 발전기, 변압기, 조상설비 등이 접속되어 있는 공동도체를 말한다.Transmission Loss Factor (TLF) is the transmission loss factor of the generator. The transmission loss factor (TLF) is the marginal loss factor (MLF) of the transmission loss index. The transmission loss factor (TLF) is defined as the generation of the reference bus required to supply the unit load of any bus. Here, the bus refers to a common conductor to which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s, generators, transformers, and ancestor facilities are connected.

송전손실계수(TLF)는 한계손실계수(MLF)이므로, 페널티계수(PF)의 역수로 나타내며,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Since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is the limit loss coefficient (MLF), it is represented by the inverse of the penalty coefficient (PF), and is defined as in Equation (1).

Figure 112018001553399-pat00001
Figure 112018001553399-pat00001

여기서, TLFi는 i 발전기 또는 i 모선(이하, i 모선으로 통칭하여 기재함)의 송전손실계수이다. PFi는 i 모선의 페널티계수이다. Pi는 i 모선이 출력하는 유효전력이다. Ploss는 계통의 총 손실전력(이하, '손실'로 통칭하여 기재함)이다. 계통에는 총 N개(i =1, …, N)의 모선이 존재한다. Here, TLF i is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of i generator or i bus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i bus). PF i is the penalty coefficient of the i bus. P i is the active power output by the i bus. P loss is the total loss power of the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ss'). There are a total of N busbars in the line (i = 1, ..., N).

TLFi를 계산하려면,

Figure 112018001553399-pat00002
의 값을 계산해야 한다.
Figure 112018001553399-pat00003
는 i 모선의 유효전력 변화량에 따른 계통 전체의 손실변화량이다. To calculate TLF i
Figure 112018001553399-pat00002
We need to calculate the value of.
Figure 112018001553399-pat00003
Is the loss change of the whole system according to the active power change of i bus.

Figure 112018001553399-pat00004
의 계산을 위해서는 계통의 손실에 관한 함수인 Ploss를 알아야 한다. 비선형성이 큰 전력계통의 특성상 Ploss 함수를 알기 어렵다. 그러나, 계통 해석 방법 중 하나인 전력조류계산을 수행하면, Ploss의 함수는 알 수 없어도, Ploss의 값은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8001553399-pat00004
To calculate, we need to know P loss which is a function of system loss. It is difficult to know the P loss func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power system with large nonlinearity. However, if we perform power flow calculation, one of the system analysis methods, the value of P loss can be obtained even though the function of P loss is unknown.

전력조류계산을 통해 구한 Ploss를 이용할 수 있도록, 수학식 1을 변형하여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낸다. In order to use the P loss obtained through 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Equation 1 is modified and expressed as Equation 2.

Figure 112018001553399-pat00005
Figure 112018001553399-pat00005

i 모선의 유효전력은 i 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에서 i 모선의 유효전력 부하를 뺀값이다. 그러므로, i 모선의 유효전력 변화량은 i 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의 변화량(ΔPG,i) 또는 i 모선의 유효전력 부하의 변화량(ΔPl,i)이 될 것이다. i 모선의 유효전력 변화량을 발전량 변화량으로 보는 경우와 부하 변화량으로 보는 경우, 변화량 크기는 같으나 부호가 반대이다.The active power of the i bus is the active power generation of the i bus minus the active power load of the i bus. Therefore, the change amount of the active power of the i bus will be the change amount ΔP G, i of the activ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i bus or the change amount ΔP l, i of the active power load of the i bus. When the change in the active power of the bus is regarded as the change in generation amount and the load change amount, the change amount is the same but the sign is reversed.

계통전체의 손실 변화량은 i 모선에서 ΔPG,i 또는 ΔPl,i 만큼 변화가 일어났을 때의 계통전체 손실 변화량을 말한다. 이러한 계통전체 손실 변화량은 전력조류계산에서 계통전체의 손실을 전부 감당하는 슬랙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i 모선에서 ΔPG,i 만큼 발전량을 증가시키고 전력조류계산을 수행하면, 슬랙모선은 계통에서 발생하는 변화량 전부를 감당해야 한다. 따라서, 슬랙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은 변화한 i 모선의 발전량인 ΔPG,i만큼을 기존의 발전량에서 감소해야 하고, 계통전체의 손실인 ΔPloss 만큼을 추가로 감당해야 한다. 이것은 결국 슬랙모선의 발전량 변화량(ΔPslack)과 같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서 최종적인 식을 수학식 3에 나타내었다.The loss change of the whole system refers to the change of the whole system loss when the change occurs by ΔP G, i or ΔP l, i in the i bus. This system-wide loss change can be calculated from the amount of effective power generation of the slack bus that covers the entire system loss in 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If the power generation is increased by ΔP G, i at the i bus and the power flow calculation is performed, the slack bus must bear all the changes in the system. Therefore, the effectiv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slack bus must be reduced from the existing generation amount by ΔP G, i, which is the generation of the changed i bus, and must be additionally handled by ΔP loss , the loss of the entire system. This is in turn equal to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lack bus (ΔP slack ). According to this process, the final equation is shown in Equation 3.

Figure 112018001553399-pat00006
Figure 112018001553399-pat00006

ΔPl,i은 i 발전모선의 단위부하 만큼의 유효전력 부하 변화량을 말한다. ΔPslack은 i 발전모선의 단위부하 공급에 필요한 슬랙모선의 발전량을 말한다. 이러한 수학식 3을 변형하여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ΔP l, i i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effective power load by the unit load of the i generation bus. ΔP slack is the amount of slack bus power required to supply unit load of power bus. Equation 3 may be modified and expressed as Equation 4.

Figure 112018001553399-pat00007
Figure 112018001553399-pat00007

여기서, Pl,i는 i 발전모선의 부하를 미소단위만큼 가변한 후 변화된 i 모선의 유효전력 부하량을 나타낸다. Pl,base는 i 발전모선의 부하를 미소단위만큼 가변하기 전, i 모선의 유효전력 부하량을 나타낸다. Pslack,i는 i 발전모선의 단위부하 가변후, 슬랙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을 나타낸다. Pslack,base는 i 발전모선의 단위부하 가변전, 슬랙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을 나타낸다. Here, P l, i represents the active power load of the i bus that is changed after varying the load of the i power generation bus by a small unit. P l, base represents the active power load of the i bus before changing the load of the i generation bus by a small unit. P slack, i represents the effectiv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slack bus after the unit load of i generation bus is variable. P slack, base represents the activ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unit load variable electric power of the i power generation bus and the slack bus.

이때, ΔPl,i는 송전손실계수(TLF) 계산을 위해 계통에 인위적으로 가하는 변화량이므로, 설정값이고, ΔPslack은 ΔPl,i에 의해 발생한다. ΔPslack은 Pslack,i와 Pslack,base에 의해 계산되고, Pslack,i와 Pslack,base는 전력조류계산을 통해 계산된다.At this time, ΔP l, i is a change amount artificially applied to the grid for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and thus ΔP slack is generated by ΔP l, i . ΔP slack is calculated by P slack, i and P slack, base, P slack, i and P slack, base is calculated by the power flow computation.

이처럼, 전력조류계산을 이용하여 송전손실계수(TLF)를 계산하는 경우, 임의(

Figure 112018001553399-pat00008
)모선의 단위부하 변동에 따른 변화를 슬랙모선의 발전기가 전부 감당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송전손실계수(TLF)는 슬랙모선에 따른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나게 된다. 슬랙모선에서 단위부하가 변동하는 경우, 슬랙모선의 발전기가 변동한 단위부하에 손실없이 전력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슬랙모선의 송전손실계수(TLF)는 항상 1이다. 일반적으로, 부하집중지역에서 기준발전기에 비해 송전손실이 작은 발전기는 송전손실계수가 1보다 크고, 발전집중지역에 있어 기준발전기에 비해 송전손실이 큰 발전기는 송전손실계수가 1보다 작다.As described above, when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using 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Figure 112018001553399-pat00008
The generators of the Slack busbar are responsible for all the changes caused by the change in the unit load of the busbar. Because of this characteristic,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is expressed as a relative value along the slack bus. If the unit load in the slack bus fluctuates,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of the slack bus is always 1 because the generator of the slack bus can be supplied without loss in the fluctuating unit load. In general, a generator having a smaller transmission loss than a reference generator in a load intensive region has a larger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han 1, and a generator having a larger transmission loss than a reference generator in a power generation concentrated region has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of less than one.

송전손실계수(TLF)가 기준모선(슬랙모선)에 대한 상대적인 값이기 때문에, 기준모선의 위치에 따라 송전손실계수(TLF)의 값이 변하게 된다. 현재 전력거래소에서 송전손실계수는 발전소의 주변압기 고압측을 기준으로 산정하며, 기준모선은 보령화력 3~6호기와 제주화력으로 설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준모선(슬랙모선) 역시, 이러한 설정을 따른다.Since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is relative to the reference bus (slack bus), the value of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chang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bus. The transmission loss factor of the current power exchange is calculated based on the high pressure of the surrounding pressure of the power plant, and the reference buses are set to Boryeong Thermal Power Plants 3 ~ 6 and Jeju Thermal Power. Reference bus (slack bus) in this specification also follows this setting.

전술한 내용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 구성요소 모델링 및 빅데이터 처리를 통한 송전손실계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through power system component modeling and big data proc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손실계수(TLF)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송전손실계수(TLF)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추출 및 분류 과정을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스드 션트커패시터(Fixed Shunt Capacitor) 및 스위치드 션트 커패시터(Switched Shunt Capacitor) 모델링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설비 모델링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모델링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 Winding Transformer 모델링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 Winding Transformer 모델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providing apparatus of FIG. FIG. 3 illustrates a data extraction and class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llustrates modeling of a fixed shunt capacitor and a switched shunt capac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FACTS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facility mode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HVDC (High Voltage Direct current) mode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diagrams illustrating 2 Winding Transformer mode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3 Winding Transformer mode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송전손실계수(TLF) 제공 장치(100)는 데이터 변환부(101), 계통구성 모델링부(103), 전력조류 계산부(105), 송전손실계수(TLF) 계산부(107) 및 출력부(10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계하여 송전손실계수(TLF)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도 2와 같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100 calculates a data converter 101, a system configuration modeling unit 103, a power current calculation unit 105, and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The unit 107 and the output unit 109 is included.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these compon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alculate and provide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변환부(101)는 전력 계통 데이터를 입력(S101)받는다. 이때, 전력 계통 데이터는 송전손실계수(TLF)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력거래소의 엔지니어링을 위한 전력 시스템 시뮬레이터(Power system simulator for engineering, 이하, 'PSS/E'라 통칭함) 계통 데이터가 사용된다. 전력 계통 데이터는 모선 정보, 발전기 정보, 선로 정보 및 변압기 정보 등을 포함한다.1 and 2, the data converter 101 receives power system data (S101). At this time, the power system data is used for the power system simulator for engineering of the power exchan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SS / E') system data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 Power system data includes bus information, generator information, line information and transformer information.

PSS/E 소프트웨어 툴은 Siemens PTI(Power Technologies International)사에서 개발한 전력계통해석 프로그램이다. PSS/E 소프트웨어 툴은 정적(steady state) 그리고 동적(dynamic state) 조건에서 송전망 및 발전력 평가 등 전력 계통 특성을 모의, 해석 및 최적화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툴로서, 전체 전력 계통을 대략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SS / E software tool is a power system analysis program developed by Siemens Power Technologies International. The PSS / E software tool is a software tool for simulating, interpreting, and optimizing power system characteristics, such as grid and power generation evaluation, in both steady and dynamic conditions. It can approximate the entire power system.

PSS/E 계통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전력 조류 로(Power Flow Raw) 데이터 형식으로 되어있다. 이 형식의 데이터는 PSS/E의 입력에 대한 모든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PSS/E가 지원하는 모든 구성요소를 모델링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이다. PSS/E에서는 전력 조류 로(Power Flow Raw) 데이터 형식으로 데이터를 입력받고 전력조류계산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포맷의 전력 조류(Power Flow)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IEEE 형식의 데이터는 IEEE에 의해 표준화된 전력조류계산 데이터의 구성 및 서식을 따르고 있다. PSS/E는 로(Raw)데이터가 입력된 상태에서 IEEE 형식에 맞추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일부 모델의 경우 미리 값을 계산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IEEE 형식을 사용하면 PSS/E가 지원하는 모든 구성요소를 모델링할 필요가 없고, 일부 구성요소의 경우 이미 PSS/E에서 계산된 결과를 이용하므로 모델링이 간소화 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따라서, PSS/E의 IEEE 포맷 전력 조류 데이터가 입력 데이터로 사용된다.PSS / E system data is typically in the form of Power Flow Raw data. This type of data holds all the data for the input of the PSS / E. However, in order to utilize it, it is inefficient because all components supported by PSS / E must be modeled. PSS / E receives data in Power Flow Raw data format, performs power flow calculation, and then converts the result into Power Flow data format i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format. Can be stored. IEEE format data follows the configuration and format of the power flow calculation data standardized by the IEEE. PSS / E calculates and provides values in advance for some models in order to store data in accordance with IEEE format while raw data is input. Therefore, if the IEEE format is used, it is not necessary to model all the components supported by the PSS / E, and some components use the results already calculated in the PSS / E, so that modeling can be simplified and efficient. Therefore, IEEE format power flow data of PSS / E is used as input data.

데이터 변환부(101)는 S101 단계에서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송전손실계수(TLF) 계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다(S103). The data conversion unit 101 extracts data necessary for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from the data input in step S101 (S103).

도 3의 (a)와 같이, PSS/E IEEE 포맷 전력 조류(Power Flow) 데이터는 Area Number, Zone Number, Rate A, Rate B, Rate C 등과 같이 송전손실계수 계산에 필요 없는 데이터들을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a) of FIG. 3, the PSS / E IEEE format power flow data includes data that is not necessary for calculating a transmission loss factor such as an area number, a zone number, a rate a, a rate b, a rate c, and the like. .

따라서, 데이터 변환부(101)는 장치(100)의 저장 공간을 줄이고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송전손실계수(TLF) 계산에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한다(S103). 추출된 데이터는 상용프로그램인 매트랩(MATLAB)으로 개발된 송전손실계수(TLF) 계산부(107)에서 입력 및 처리가 쉽도록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분류한다(S105). 이때, 데이터 형식에 따라 문자와 숫자로 분류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를 위해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BUS 데이터와 BRANCH 데이터로 구분한다. 즉, 데이터 변환부(101)는 추출한 데이터를 이러한 분류 기준에 따라 버스 데이터(BUS DATA), 브랜치 데이터(BRANCH DATA), 버스 네임 데이터(BUS NAME DATA)의 세개의 파일로 분류한다. 그리고 분류한 파일을 매트랩(MATLAB)에서 입력받기 쉽도록 텍스트 파일(txt) 형식으로 저장한다(S107). Therefore, the data converter 101 extracts only data necessary for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in order to reduce the storage space of the apparatus 100 and improve the speed (S103). The extracted data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data for easy input and processing by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calculation unit 107 developed by a commercial program MATLAB (S105). At this time, they are classified into letters and numbers according to the data format, and classified into BUS data and BRANCH data according to the type of data for efficient data processing. That is, the data converter 101 classifies the extracted data into three files of bus data, bus data, branch data, and bus name data. The classified file is stored in a text file (txt) format so that the classified file can be easily input from the matlab (S107).

PSS/E IEEE 포맷 전력 조류(Power Flow) 데이터는 그 형식이 DAT 파일 형식으로 매트랩(MATLAB)에서 데이터를 입력받기가 까다롭기 때문이다. 이러한 데이터 변환부(101)는 PSS/E 데이터를 읽어오는데 효과적인 상용프로그램인 Visual Studio C++로 개발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This is because PSS / E IEEE format Power Flow data is difficult to receive data from MATLAB in DAT file format. The data conversion unit 101 is developed by Visual Studio C ++, which is a commercial program effective for reading PSS / E data,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programming languages may be used.

이렇게 하면, 장치(100)의 저장 공간을 줄이고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storage space of the device 100 can be reduced and the speed can be improved.

한편, PSS/E 데이터로 전력조류계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PSS/E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력계통 구성요소들을 P, Q, V, δ, Y의 형식으로 모델링해야 한다. 송전손실계수(TLF)의 계산은 전력조류계산이 수렴한 계통데이터에 미소의 변화만을 준 후 전력조류계산을 다시 수행하여 계산된다. 따라서, PSS/E와 완전히 동일하게 모델링 할 수 있어도 이미 수렴한 결과 데이터인 PSS/E IEEE 포맷 전력 조류(Power Flow) 데이터에 미소변화만을 주어 다시 조류계산을 수행하기 때문에 계산 결과가 거의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력계통 구성요소들을 모델링하는 모든 과정을 PSS/E와 동일하게 하는 것은 오히려 불필요한 계산을 추가하여 계산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erform power flow calculation with PSS / E data, power system components must be modeled in the form of P, Q, V, δ, and Y in the same manner as PSS / E. The calculation of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is calculated by giving a small change to the system data converged by 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and performing 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again. Therefore, even if the model can be modeled exactly the same as the PSS / E, the calculation results are hardly changed since only a small change is given to the PSS / E IEEE format power flow data, which is already converged result data. Therefore, making all processes of power system components the same as PSS / E can slow down the computation by adding unnecessary calculations.

계통구성 모델링부(103)는 송전손실계수 계산을 위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전력조류계산을 매트랩(MATLAB)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력계통의 구성요소들을 모델링한다(S109). 이때, 전력계통 구성요소들을 모델링함에 있어 송전손실계수 계산이라는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계산과정을 간략화 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방법을 통해 전력계통 구성요소들을 모델링한다. The system configuration modeling unit 103 models the components of the power system so that 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to be performed for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calculation can be performed in a matlab environment (S109). In this case, in order to model the power system components, power system components are modeled through an efficient method so as to simplify the calculation process while achieving the purpose of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실제 계통에 대한 전력조류계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실제 계통에 있는 모든 구성요소들을 모델링해야 한다. 전력거래소에서는 PSS/E로 전력계통 데이터를 구성할 때, 실제 계통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PSS/E에서 해석할 수 있는 형태로 모델링하였다. 따라서, 장치(100)는 전력거래소의 PSS/E 데이터를 입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계통구성 모델링부(103)는 실제 계통 구성요소들을 전부 모델링 할 필요 없이, PSS/E 데이터에서 고려하고 있는 구성요소만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모델링 할 수 있다. 이때, 구성요소의 모델링 방법은 다양하지만, 이미 검증된 계통해석 프로그램인 PSS/E와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PSS/E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요소를 모델링한다. 구체적인 모델링은 도 4, 5, 6과 같다.In order to perform power flow calculations for a real system, all components in the real system must be modeled. When constructing power system data with PSS / E, the power exchange modeled various components of the actual system in a form that can be interpreted in PSS / E. Therefore, since the device 100 uses the PSS / E data of the power exchange as an input, the system modeling unit 103 does not need to model all the actual system components, but only the components considered in the PSS / E data. Modeling can be limited. At this time, the modeling method of the components are various, but the components are modeled in the same way as the PSS / E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with the PSS / E which is a proven system analysis program. Specific modeling is the same as FIG. 4, 5, 6.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픽스드 션트 커패시터(Fixed Shunt Capacitor), 스위치드 션트 커패시터(Switched Shunt Capacitor) 모델링을 나타냈다. First, referring to FIG. 4, modeling of a fixed shunt capacitor and a switched shunt capacitor is illustrated.

전력계통에서 픽스드 션트커패시터(Fixed Shunt Capacitor)와 스위치드 션트 커패시터(Switched Shunt Capacitor)는 도 4의 (a)와 같이, 주로 병렬로 연결되어 역률을 개선한다. 픽스드 션트커패시터(Fixed Shunt Capacitor)의 경우, 연결된 커패시터(Capacitor)의 용량이 일정한 반면, 스위치드 션트 커패시터(Switched Shunt Capacitor)는 커패시터(Capacitor)의 용량이 모선의 전압에 따라 변한다. PSS/E에서는 두 션트 커패시터(Shunt Capacitor) 모두 계통의 모선에 병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모델링 되어있다. 따라서, 픽스드 션트커패시터(Fixed Shunt Capacitor), 스위치드 션트 커패시터(Switched Shunt Capacitor)는 도 4의 (b)와 같은 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모선의 어드미턴스(ys,i)로 모델링한다.In the power system, a fixed shunt capacitor and a switched shunt capacitor are mainly connected in parallel to improve power factor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a fixed shunt capacitor, the capacity of the connected capacitor is constant, whereas in a switched shunt capacitor, the capacity of the capacitor varies with the voltage of the bus. In PSS / E, both shunt capacitors are modeled as being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bus bar of the system. Accordingly, the fixed shunt capacitor and the switched shunt capacitor may be represented in the form as shown in FIG. 4B, which is modeled as the admittance of the bus (y s, i ).

ys,i를 i 모선의 션트 커패시터(Shunt Capacitor) 어드미턴스, Yii를 Y 버스 매트릭스(Bus Matrix)의 i 번째 대각성분이라 하면, 수식은 아래 5 및 6과 같다. If y s, i is the shunt capacitor admittance of the i bus, and Y ii is the i-th diagonal component of the Y bus matrix, the equations are as follows.

Figure 112018001553399-pat00009
Figure 112018001553399-pat00009

여기서, Gs,i는 i 모선의 션트 커패시터(Shunt Capacitor)의 컨덕턴스이고, j는 허수브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Bs,i는 i 모선의 션트 커패시터(Shunt Capacitor)의 서셉턴스이다.Here, G s, i is the conductance of the shunt capacitor of the i bus, j is the symbol representing the imaginary power, and B s, i is the susceptance of the shunt capacitor of the i bus.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0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0

여기서, yii는 i 모선의 자기(Self) 어드미턴스이다. Where y ii is the self admittance of the i busbar.

스위치드 션트 커패시터(Switched Shunt Capacitor)의 경우, PSS/E 데이터에서는 계통에 최종적으로 투입된 용량데이터를 제공한다. 송전손실계수(TLF)의 계산시 전체 계통에 미소변화만 있으므로, 스위치드 션트 커패시터(Switched Shunt Capacitor)의 투입용량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계통구성 모델링부(103)는 스위치드 션트 커패시터(Switched Shunt Capacitor)를 최종 용량데이터가 고정된 형태의 픽스드 션트 커패시터(Fixed Shunt Capacitor)로 모델링한다.In the case of switched shunt capacitors, the PSS / E data provides the last input capacity data into the system. The calculation of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has only a small change in the whole system, so the input capacity of the switched shunt capacitor is hardly changed. Accordingly, the system modeling unit 103 models the switched shunt capacitor as a fixed shunt capacitor having a fixed final capacitance data.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설비의 모델링을 나타냈다. Next, referring to FIG. 5, modeling of a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FACTS) facility is illustrated.

실제 계통에 대한 전력거래소의 PSS/E 데이터는 FACTS 설비를 전부 SVC(Static Var Compensator) 또는 STATCON(Static Condenser)으로 모델링한다. 두 설비(SVC, STATCON)는 도 5의 (a)와 같이, 설비 용량의 제한치 내에서 모선에 무효전력을 공급하여 모선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션트 커패시터(Shunt Capacitor)와는 달리 모선의 어드미턴스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계통구성 모델링부(103)는 도 5와 같이 무효전력만을 소비하는 부하(Qi)로 FACTS 설비를 모델링 할 수 있다. 도 5의 (a)는 PSS/E 상에서의 FACTS 설비를 나타낸다. 도 5의 (b)는 도 5 (a)의 FACTS 설비가 공급하는 무료전력을 부하로 모델링 한 것이다.The PSS / E data of the power exchange for the actual system models all of the FACTS facilities as either Static Var Compensator (SVC) or Static Condenser (STATCON). As shown in (a) of FIG. 5, the two equipments SVC and STATCON supply the reactive power to the bus within the limit of the capacity of the equipment to keep the voltage of the bus constant. In addition, unlike the shunt capacitor (Shunt Capacitor) does not change the admittance of the bus. Therefore, the systemic modeling unit 103 may model the FACTS facility as a load Q i that consumes only reactive power as shown in FIG. 5. 5 (a) shows a FACTS facility on PSS / E. Figure 5 (b) is modeled as a load of the free power supplied by the FACTS facility of Figure 5 (a).

송전손실계수(TLF)의 계산시 전체 계통에 미소변화만 있으므로, 모선의 전압이 거의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FACTS 설비가 공급하는 무효전력량은 거의 변하지 않으므로, 계통구성 모델링부(103)는 FACTS 설비를 고정된 값을 가진 부하로 모델링한다. PSS/E의 IEEE 포맷 전력 조류(Format Power Flow) 데이터는 FACTS 설비가 공급하는 무효전력량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해당 모선의 부하에 무효전력량을 더한 값을 저장한다. IEEE 포맷 전력 조류(Format Power Flow) 데이터가 이미 무효전력량을 산출하여 그 값을 제공하므로 무효전력량을 결정하기 위한 상세한 모델링을 할 필요는 없다.When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loss factor (TLF), there is only a small change in the whole system, so that the voltage of the bus remains almost unchanged. Therefore, since the amount of reactive power supplied by the FACTS facility is hardly changed, the systemic modeling unit 103 models the FACTS facility as a load having a fixed value. The IEEE Format Power Flow data of the PSS / E does not distinguish the reactive power supplied by the FACTS facility, and stores the value of the reactive power added to the load of the bus. Since IEEE Format Power Flow data already calculates the reactive power amount and provides the value, detailed modeling for determining the reactive power amount is not necessary.

도 6을 참조하면,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모델링을 나타냈다.Referring to FIG. 6, 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modeling is illustrated.

PSS/E 전력계통 데이터에서는 모선에서 HVDC라인으로 송전하는 유효전력량을 제어하여 항상 동일한 양의 유효전력을 송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의 (a)와 같이 송전단에서 송전되는 유효전력량과 수전단에서 수전되는 유효전력량이 일정하다. 또한, 송전손실계수(TLF)의 계산 시 전체 계통에 미소변화만 있으므로 HVDC의 출입에서 나타나는 무효전력량도 그 값이 거의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계통구성 모델링부(103)는 HVDC를 PSS/E의 IEEE 포맷 전력 조류(Format Power Flow)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가상부하로 모델링한다. 여기서, 가상부하는 도 6의 (b)와 같이 송전모선에서 DC 라인으로 나가는 조류를 소비하는 부하와 DC 라인으로부터 들어오는 조류를 수전모선에 공급하는 네거티브 부하로 모델링된다.In the PSS / E power system data, the active power transmitted from the bus to the HVDC line is controlled to always transmit the same amount of active power. Therefore, as shown in (a) of FIG. 6, the amount of active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stage and the amount of active power received from the power receiver are constant. In addition, since there is only a small change in the entire system when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the amount of reactive power appearing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HVDC is hardly changed. Accordingly, the systemic modeling unit 103 models the HVDC as a virtual load that receives the IEEE Format Power Flow data of the PSS / E. Here, the virtual load is modeled as a load that consumes algae exiting the DC line from the power transmission bus and a negative load supplying the algae coming from the DC line to the power receiving bus, as shown in FIG.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1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1

여기서, PDC,i는 i 모선에서 DC라인으로 나가는 유효전력이고, Pij는 i 모선에서 j 모선으로 전력을 송전하는 HVDC의 i 모선 가상부하 유효전력이다.Here, P DC, i is the active power outgoing from the i bus to the DC line, P ij is the i-bus virtual load active power of the HVDC transmitting power from the i bus to j bus.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2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2

여기서, PDC,j는 DC라인에서 j 모선으로 들어오는 유효전력이고, Pji는 i 모선에서 j 모선으로 전력을 송전하는 HVDC의 j 모선 가상부하 유효전력이다.Here, P DC, j is the active power coming into the j bus from the DC line, P ji is the j bus virtual load active power of the HVDC transmitting power from the i bus to j bus.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3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3

여기서, QDC,i는 i 모선에서 DC라인으로 나가는 무효전력이고, Qij는 i 모선에서 j 모선으로 전력을 송전하는 HVDC의 i 모선 가상부하 무효전력이다.Here, Q DC, i is reactive power outgoing from the i bus to the DC line, and Q ij is the i-bus virtual load reactive power of the HVDC transmitting power from the i bus to the j bus.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4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4

여기서, QDC,i는 DC 라인에서 j 모선으로 들어오는 무효전력이고, Qji는 i 모선에서 j 모선으로 전력을 송전하는 HVDC의 j 모선 가상부하 무효전력이다.Here, Q DC, i is reactive power coming into the j bus from the DC line, and Q ji is the j bus virtual load reactive power of the HVDC transmitting power from the i bus to the j bus.

송전손실계수(TLF)의 계산시 전체 계통에 미소변화만 있으므로 HVDC를 통해 흐르는 조류 또한 거의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HVDC의 등가모델인 두 부하의 크기는 송전손실계수(TLF) 계산시 일정하다. HVDC 또한 FACTS 설비와 마찬가지로 PSS/E의 IEEE 포맷 전력 조류(Format Power Flow) 데이터를 사용할 경우, 두 가상의 부하는 각 모선의 부하에 더해져서 제공된다. PSS/E의 IEEE 포맷 전력 조류(Format Power Flow) 데이터는 이미 HVDC에 흐르는 조류값을 산정하여 제공되기 때문에 Rectifier, Inverter 등을 고려한 상세한 모델링을 할 필요는 없다.Algae flowing through the HVDC also hardly change, since there is only a small change in the overall system when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Therefore, the magnitudes of the two loads, the equivalent model of HVDC, are constant when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HVDC, as with the FACTS facility, uses the PSS / E's IEEE Format Power Flow data to provide two virtual loads in addition to each bus's load. Since IEEE Format Power Flow data of PSS / E is already provided by calculating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HVDC, detailed modeling considering Rectifier, Inverter, etc. is not necessary.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2 Winding Transformer 모델링을 나타낸다. PSS/E의 2 Winding Transformer 데이터는 Transformer의 등가 임피던스(어드미턴스)와 1차 측, 2차 측 Transformer의 Turn Ratio의 정보를 포함하며, 이를 도 7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7 and 8, 2 Winding Transformer modeling is shown. The 2 Winding Transformer data of the PSS / 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equivalent impedance (admittance) of the Transformer and the Turn Ratio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transformers, which can be expressed as shown in FIG. 7.

yij를 Transformer의 등가 어드미턴스, aij를 Turn Ratio, Vi와 Vj를 i 모선과 j 모선의 전압이라 하면 전류 Iij와 Iji는 다음과 같다.If y ij is the equivalent admittance of the transformer, a ij is the Turn Ratio, and V i and V j are the voltages of the i bus and the j bus, the currents I ij and I ji are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5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5

수학식 11의 우변 좌측 행렬은 Y Bus Matrix를 나타낸다. 따라서, 2 Winding Transformer는 도 8과 같이 2개의 션트 커패시터(Shunt Capacitor)와 1개의 선로 어드미턴스로 등가화 할 수 있다.The right side left matrix of Equation 11 represents a Y Bus Matrix. Accordingly, the 2 Winding Transformer may be equivalent to two shunt capacitors and one line admittance as shown in FIG. 8.

등가화한 어드미턴스를 y'로 나타내면 그 값은 다음과 같다.The equivalent admittance is represented by y '.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6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6

마지막으로, 도 9를 참조하면, 3 Winding Transformer 모델링을 나타낸다. PSS/E에서는 3 Winding Transformer를 가상의 모선인 Star Point Bus를 도입하여 2 Winding Transformer 3개로 모델링 하였다. PSS/E 데이터는 Star Point Bus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Star Point Bus는 3개의 2 Winding Transfomer의 2차 측 부하모선으로 모델링한다.Finally, referring to FIG. 9, 3 Winding Transformer modeling is shown. In PSS / E, 3 Winding Transformer was modeled as 3 2 Winding Transformers by adopting a virtual point star point bus. PSS / E data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Star Point Bus. The Star Point Bus is modeled as the secondary side load bus of three 2 Winding Transfomers.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력조류 계산부(105)는 S109 단계에서의 구성요소 모델링을 적용한 전력조류계산을 수행한다. Referring back to FIGS. 1 and 2, the power flow calculator 105 performs power flow calculation by applying component modeling in operation S109.

전력조류계산은 P, Q, V, δ, Y만을 이용한 계산이다. 도 4 부터 도 9까지 전력계통 구성요소를 P, Q, V, δ, Y의 요소로 변환시키고 있음을 나타낸다. Power current calculation is calculated using only P, Q, V, δ, and Y. 4 to 9, the power system components are converted into elements of P, Q, V, δ, and Y.

전력조류계산부(105)는 전력조류계산을 통하여, Pslack을 산출한다(S111, S113). 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unit 105 calculates P slack through 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S111 and S113).

이때, Pslack은 임의의 발전모선의 단위부하 가변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변화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력조류계산부(105)는 계통 데이터에 포함된 모든 발전모선에 대해 순차적으로 단위부하만큼의 유효전력 부하 변화량(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7
)을 증가시킨다(S111). 이때, 단위부하의 유효전력 변화량은 PSS/E 데이터의 부하 단위가 MW임을 고려하여 1MW의 부하 증가로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P slack includes a change that occurs due to the variable unit load of the power generation bus. Accordingly, 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unit 105 sequentially changes the effective power load by the unit load for all power generation buses included in the system data.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7
Increase (S111). At this tim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effective power of the unit load may be set to increase the load of 1MW considering that the load unit of the PSS / E data is MW.

전력조류계산부(105)는 S111 단계에서 단위부하 가변후, 전력조류계산을 통하여 Pslack을 계산한다(S113). 여기서, Pslack은 수학식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가(S111)한 ΔPl,i에 의해 발생한다. 그리고 ΔPslack은 Pslack,i와 Pslack,base에 의해 계산되므로, 전력조류계산부(105)는 Pslack,i(단위 부하 가변후)와 Pslack,base(단위부하 가변전)를 계산한다.The power flow calculator 105 calculates the P slack through the power flow calculation after the unit load is varied in step S111 (S113). Here, P slack is generated by ΔP l, i increased (S111), as described in Equation 4. Since ΔP slack is calculated by P slack, i and P slack, base , the power flow calculator 105 calculates P slack, i (after unit load variable) and P slack, base (before unit load variable). .

이때,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조류계산부(105)는 Full AC 전력조류계산 기법을 사용하고, 전력조류계산의 해법으로는 뉴튼-랍슨(Newton-Raphson)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뉴튼-랍슨(Newton-Raphson) 방법은 수렴성이 좋아 대규모 계통해석에 이용된다. 뉴튼-랍슨(Newton-Raphson) 방법을 이용하면 자코비안(Jacobian) 행렬과 관련된 연산 속도에 의해 송전손실계수 계산 프로그램의 속도가 결정된다. 상용프로그램 중 하나인 매트랩(MATLAB)은 행렬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언어를 사용하며, 역행렬을 구하는 함수나 AX=B 형태의 행렬 방정식을 푸는 함수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함수들을 사용하면 자코비안(Jacobian) 행렬과 관련된 연산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력조류계산부(105)는 매트랩(MATLAB)을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unit 105 may use the Full AC power current calculation method, and may use the Newton-Raphson method as a solution of 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Here, the Newton-Raphson method is used for large scale systematic analysis because of its good convergence. Using the Newton-Raphson method, the speed of the transmission loss factor calculation program is determined by the computational speed associated with the Jacobian matrix. One of the commercial programs, MATLAB, uses a matrix-based language and provides functions for inverse matrix solving and AX = B matrix equations. Using these functions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calculations related to Jacobian matrices, so that the power flow calculator 105 can perform operations using MATLAB.

또한, 전력조류계산부(105)는 송전손실계수 계산의 효율성과 프로그래밍의 간편성, 송전손실계수 간의 비교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Pslack,base 및 슬랙모선을 가장 먼저 연산한다. Pslack,base는 미소부하의 변동이 없는 경우의 슬랙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이다. Pslack,i는 i가 변할 때마다 전력조류계산을 통해 매번 계산되어야 하지만 Pslack,base은 i에 관계 없이 항상 같은 값을 갖는다. 따라서 Pslack,base를 i번째마다 다시 계산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한번의 계산 후 그 값을 저장하여 사용하였다. Pslack,base의 계산 시점은 슬랙모선의 송전손실계수가 항상 1인 점을 이용하였다. 슬랙모선을 i=1로 두면, i=1일때의 송전손실계수의 결과가 1이라는 사실을 알기 때문에 Pslack,i를 계산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대신 i=1일 때, 어떤 모선에서도 미소부하 변동을 주지 않고 Pslack,base를 계산한다면, i=2 부터 송전손실계수 계산에 필요한 Pslack,base를 구하기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 코딩을 할 필요가 없어 송전손실계수 계산의 효율성 및 프로그래밍의 간편성 증대된다. 또한, 송전손실계수의 기준이 되는 모선의 이름, PSS/E 모선 번호, 송전손실계수(=1)에 대한 정보들을 가장 먼저 결과로서 출력해주기 때문에 송전손실계수 간의 비교 용이성이 증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unit 105 calculates the P slack, the base and the slack bus first in consideration of the efficiency of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calculation, the simplicity of programming, the ease of comparison between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P slack, base is the amount of active power generation of the slack bus when there is no fluctuation of micro load. P slack, i should be calculated every time by changing the current i, but P slack, base always has the same value regardless of i. Therefore , it is inefficient to recalculate P slack, base every i-th, so the value is stored and used after one calculation. The calculation point of P slack, base is that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of Slack bus is always 1. If we set the slack bus to be i = 1, it is meaningless to calculate P slack, i since we know that the result of the transmission loss factor at i = 1 is 1. Instead, when i = 1, if P slack, base is calculated without any load change on any bus, there is no need to program coding to get P slack, base for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loss factor from i = 2.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loss factor calculation and the simplicity of programming are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information about the name of the bus, PSS / E bus number, and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 1), which is the basis of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is outputted first as a result, the ease of comparison between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s is increased.

전력조류계산의 수렴조건은 송전손실계수가 슬랙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에 의해 결정됨을 고려하여 종료조건을 전압과 위상각의 편차가 아닌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편차를 사용하며, 다음 수학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convergence condition of 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takes into account that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i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active power generation of the slack bus. Therefore, the termination condition is used as the deviation of the active power and the reactive power, not the deviation of the voltage and phase angle. Can be.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8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8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9
의 값은 전력조류계산의 정확성과 수렴성 및 속도를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결정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Figure 112018001553399-pat00020
값은 10-7으로 설정하였다.
Figure 112018001553399-pat00019
The value of is determined experimentally taking into account the accuracy, convergence and speed of 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2018001553399-pat00020
The value was set to 10 −7 .

송전손실계수(TLF) 계산부(107)는 계산(S113)된 슬랙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Pslack,i)을 기초로 임의의(i) 발전모선의 송전손실계수(TLF)를 계산한다(S115).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calculation unit 107 calculates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of an arbitrary (i) power generation bus based on the calculated effective power generation amount P slack, i of the Slack bus (S113) ( S115).

출력부(109)는 모선 별로 송전손실계수(TLF)를 화면에 출력한다(S117).The output unit 109 outputs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for each bus line on the screen (S117).

송전손실계수(TLF) 계산부(107)는 모선의 인덱스(i)를 1 증가시킨다(i +1)(S119). 송전손실계수(TLF) 계산부(107)는 증가시킨 인덱스(i)가 S101 단계에서 입력된 PSS/E IEEE 포맷 계통 데이터에 포함된 전체 발전모선의 개수보다 작은지 판단한다(S121). 작으면, S111 단계부터 다시 시작한다. 작지 않으면, 출력부(109)에게 S115 단계에서 산출된 송전손실계수(TLF) 계산 결과를 출력한다.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calculation unit 107 increases the index i of the bus bar by one (i + 1) (S119).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calculation unit 107 determines whether the increased index i is smaller than the total number of power generation buses included in the PSS / E IEEE format system data input in step S101 (S121). If small, it starts again from step S111. If not small, the output unit 109 outputs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calculation result calculated in step S115.

그러면, 출력부(109)는 모선 인덱스 별로 송전손실계수(TLF) 계산결과를 엑셀 형식의 파일로 저장한다(S123). 즉, 모선 이름, PSS/E 발전모선 번호 및 송전손실계수(TLF)를 모선 인덱스 별로 엑셀 형식의 파일로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109)는 송전손실계수(TLF) 계산부(107)로부터 제공되는 송전손실계수(TLF)의 최종결과를 PSS/E 발전모선번호, 발전모선이름, 송전손실계수(TLF)의 순서대로 엑셀(Excel) 형식의 파일인‘result_TLF.csv’로 저장할 수 있다.Then, the output unit 109 stores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calculation result for each bus index in an Excel format file (S123). That is, the bus name, PSS / E power generation bus number, and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may be generated and stored in an Excel format file for each bus index.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utput unit 109 transmits the final result of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provided from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calculation unit 107 PSS / E power generation bus number, power generation bus name, power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can be saved as 'result_TLF.csv', an Excel file.

또한, 출력부(109)는 계산 과정 중에, 예를들면, S115 단계, S121 단계 이후, 바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까지의 계산 진행 과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09)는 모선 이름, 모선 인덱스, 송전손실계수(TLF) 산출 진행률, 전력조류계산 결과 및 송전손실계수를 포함하는 송전손실계수(TLF) 계산 정보를 모선 인덱스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put unit 109 may output the calculation progress up to the present through the user interface, for example, immediately after the steps S115 and S121 during the calculation process. At this time, the output unit 109 sequentially displays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calcul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bus name, the bus index,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calculation progress rate, 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result, and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bus index. Can be marked on.

여기서, 송전손실계수(TLF) 산출 진행률은 현재 모선 인덱스와 송전손실계수(TLF) 계산 대상인 발전 모선의 개수의 비율로 계산된다. 즉, 현재 모선의 순서를 총 송전손실계수(TLF) 계산 모선의 개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Here,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calculation progress rate is calculated as the ratio of the current bus index and the number of power generation buses to be calculated for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That is, the current bus order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total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by the number of buses.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손실계수(TLF)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1에서 설명한 송전손실계수(TLF)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다.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configuration of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TLF) providing apparatus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0을 참고하면, 송전손실계수(TLF) 제공 장치(200)는 메모리(201), 저장 장치(203), 입력 장치(205), 출력 장치(207)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09)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로 구성되고, 지정된 장소에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Referring to FIG. 10, the apparatus 200 for transmitting power loss coefficient (TLF) provides a memory 201, a storage device 203, an input device 205, an output device 207, and at least one processor 209. It is composed of the hardware included, the program is stored in the specified place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the hardware.

프로세서(209)는 메모리(20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프로그램은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및/ 또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고, 프로세서(209)는 메모리(201) 등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본 발명을 실행한다.The processor 209 executes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201. The program includes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configuration and / or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and the processor 209 may be combined with hardware such as the memory 201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Run

저장 장치(203)는 프로세서(209)의 연산 결과를 저장한다. 예를들면, 엑셀 파일 형식의 송전손실계수(TLF) 계산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device 203 stores the operation result of the processor 209. For example, you can store the results of the TTL calculation in Excel file format.

입력 장치(205)는 프로세서(209)와 연결되어,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수단이다. 출력 장치(207)는 프로세서(209)와 연결되어,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들을 화면에 출력한다. 예를들면, 출력 장치(207)는 송전손실계수 계산을 위한 슬랙모선의 발전량, 송전손실계수 등을 화면에 출력한다.The input device 205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209 and is a means for inputting data of a us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The output device 207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209 to output data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on the screen. For example, the output device 207 outputs the generation amount of the slack bus,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and the like for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on the scree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only implemented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Claims (1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송전손실계수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송전손실계수 제공 방법으로서,
PSS/E(Power System Simulator for Engineering)를 통해 산출되고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포맷인 전력 조류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력 조류 데이터를 버스 데이터(BUS DATA), 브랜치 데이터(BRANCH DATA) 및 버스 네임 데이터(BUS NAME DATA)로 분류하는 단계,
분류한 데이터를 텍스트(txt)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기초로, 전력계통의 구성요소를 PSS/E에 따른 구성요소로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발전모선 중에서 임의의 발전모선에 대하여 미소 단위부하 만큼 유효전력 부하량을 가변하는 단계,
전력조류계산을 수행하여, 상기 가변된 유효전력 부하를 공급하는데 필요하고 상기 임의의 발전모선의 유효전력 부하의 가변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슬랙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발전모선의 단위부하 유효전력의 변화량 및 상기 슬랙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임의의 발전모선의 송전손실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송전손실계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의 발전모선의 인덱스가 증가할때마다 순차적으로 단위부하의 유효전력을 1MW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구성요소 모델링은,
고정된 용량을 가지는 어드미턴스 형태로 모델링된 스위치드 션트 커패시터(Switched Shunt Capacitor)와 픽스드 션트 커패시터(Fixed Shunt Capacitor), 무효전력만 소비하는 부하로 모델링된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설비, 그리고 PSS/E의 전력 조류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가상부하로 모델링된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전손실계수 제공 방법.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providing method performed in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providing apparatus opera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Receiving power flow data calculated through PSS / E (Power System Simulator for Engineering) and in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format;
Classifying the power flow data into bus data, branch data, and bus name data;
Convert the categorized data into a text (txt) file format,
Modeling a component of a power system as a component according to the PSS / E based on the data converted into the text file format;
Varying an effective power load by a minute unit load with respect to an arbitrary power generation bus among a plurality of power generation buses included in the converted data,
Calculating an amount of change in the effectiv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slack bus required for supplying the variable effective power load and generated due to the change in the effective power load of the arbitrary power generation bus,
Calculating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of the arbitrary power generation bus using the change amount of the unit load effective power of the arbitrary power generation bus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effective power generation power of the slack bus, and
Outputting the power loss factor through a user interface;
The variable step,
Each time the index of the arbitrary power generation bus increases, the effective power of the unit load is sequentially increased by 1MW,
The component modeling,
Switched Shunt Capacitors and Fixed Shunt Capacitors Modeled as Admittance with Fixed Capacitance,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FACTS) Modeled as Reactive Power-Only Load, and PSS /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modeled as a virtual load that takes the power flow data of E as an inpu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모델링하는 단계는,
스위치드 션트 커패시터(Switched Shunt Capacitor)를 최종 용량 데이터가 고정된 형태의 픽스드 션트 커패시터(Fixed Shunt Capacitor)로 모델링하는, 송전손실계수 제공 방법.
In claim 1,
The modeling step,
A method of providing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for modeling a switched shunt capacitor as a fixed shunt capacitor having a fixed final capacity data.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모델링하는 단계는,
2 Winding Transformer를 PSS/E의 전력 조류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2개의 션트 커패시터(Shunt Capacitor)와 1개의 선로 어드미턴스로 모델링하는, 송전손실계수 제공 방법.
In claim 1,
The modeling step,
2 Power transmission loss factor providing method for modeling Winding Transformer with two shunt capacitors and one line admittance that input power flow data of PSS / E.
제1항에서,
상기 모델링하는 단계는,
가상의 모선인 Star Point Bus를 이용하여 2 Winding Transformer 3개로 모델링된 3 Winding Transformer를 PSS/E의 전력 조류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어드미턴스로 모델링하는, 송전손실계수 제공 방법.
In claim 1,
The modeling step,
A method of providing a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which models a 3 Winding Transformer modeled as 3 2 Winding Transformers using an imaginary busbar as an admittance using PSS / E power flow data.
삭제delete PSS/E(Power System Simulator for Engineering)를 통해 산출되고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포맷인 전력 조류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전력 계통의 발전모선의 송전손실계수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전력 조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송전손실계수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력 조류 데이터를 버스 데이터(BUS DATA), 브랜치 데이터(BRANCH DATA) 및 버스 네임 데이터(BUS NAME DATA)로 분류한 후, 분류한 데이터를 텍스트(txt)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며,
상기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기초로, 전력계통의 구성요소를 고정된 용량을 가지는 어드미턴스 형태로 모델링된 스위치드 션트 커패시터(Switched Shunt Capacitor)와 픽스드 션트 커패시터(Fixed Shunt Capacitor), 무효전력만 소비하는 부하로 모델링된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설비, 그리고 PSS/E의 전력 조류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가상부하로 모델링된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PSS/E에 따른 구성요소로 모델링하고,
상기 모델링을 기초로,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발전모선 중에서 임의의 발전모선의 유효전력부하를 상기 임의의 발전모선의 인덱스가 증가할때마다 순차적으로 1MW만큼 증가시킨 후, 전력조류계산을 수행하고,
상기 가변된 유효전력부하를 공급하는데 필요하고 상기 유효전력부하의 가변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슬랙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의 변화량을 산출하며,
상기 임의의 발전모선의 단위부하 유효전력의 변화량 및 상기 슬랙모선의 유효전력 발전량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임의의 발전모선의 송전손실계수를 계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송전손실계수 제공 장치.



Input unit that receives power flow data, which is calculated through PSS / E (Power System Simulator for Engineering) and is in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format,
Output section for outputting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of the power generation bus of the power system,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for calculating and outputting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based on the power current data; and
At least one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The program,
The power current data is classified into bus data, branch data, and bus name data, and then the classified data is converted into a text file format.
Based on the data converted into the text file format, only a switched shunt capacitor, a fixed shunt capacitor, and a reactive power modeled in the form of an admittance form of a component of a power system with a fixed capacity According to the PSS / 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FACTS) modeled as a consuming load, and 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modeled as a virtual load that inputs power flow data of the PSS / E. Model it as a component,
Based on the modeling, the effective power load of any power generation bus among the plurality of power generation buses included in the converted data is sequentially increased by 1 MW every time the index of the power generation bus is increased, and then the power current calculation Then,
Calculat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effectiv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slack bus that is required to supply the variable active power load and is generated due to the change of the active power load,
The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of the arbitrary power generation bus is calculated using the change amount of the unit load effective power of the arbitrary power generation bus and the change of the effectiv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slack bus, and the instructions are outputted through a user interface. Including, transmission loss coefficient providing apparatu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01584A 2018-01-05 2018-01-0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mission loss factor based on power system component modeling and big data processing KR1020206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584A KR102020654B1 (en) 2018-01-05 2018-01-0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mission loss factor based on power system component modeling and big data proces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584A KR102020654B1 (en) 2018-01-05 2018-01-0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mission loss factor based on power system component modeling and big data proces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127A KR20190088127A (en) 2019-07-26
KR102020654B1 true KR102020654B1 (en) 2019-09-10

Family

ID=6746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584A KR102020654B1 (en) 2018-01-05 2018-01-0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mission loss factor based on power system component modeling and big data proces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65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393A (en) * 2020-10-12 2022-04-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system usage charge for peer to peer energy trad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051B1 (en) * 2019-12-12 2023-11-08 한국전력공사 Method for modeling real time frequency and voltage variations due to network topology reconfigur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316990B1 (en) * 2020-07-07 2021-10-26 한국지역난방공사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electric power distribution using big dat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174A (en) * 2003-09-17 2005-03-22 박종배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on of marginal loss factors for application to two way bidding pool(twbp)
KR101221083B1 (en) * 2011-05-25 2013-01-11 주식회사 파워이십일 Method for assume condition of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1545143B1 (en) * 2013-11-22 2015-08-19 한국전기연구원 Auto Generation Control Method based on maximum power transmiss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393A (en) * 2020-10-12 2022-04-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system usage charge for peer to peer energy trading
KR102574493B1 (en) * 2020-10-12 2023-09-0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system usage charge for peer to peer energy tra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127A (en) 201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ntoya et al. Dynamic active and reactive power compensation in distribution networks with batteries: A day-ahead economic dispatch approach
US20150051744A1 (en) Linear Optimal Power Flow System and Method
Hu et al. Cost-benefit analyses of active distribution network management, Part II: Investment reduction analysis
Chen et al. An interval optimization based day-ahead scheduling scheme for renewable energy management in smart distribution systems
US20160043548A1 (en) Rolling stochastic optimization based operation of distributed energy systems with energy storage systems and renewable energy resources
Tan et al. An efficient method for estimating capability curve of virtual power plant
KR1020206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mission loss factor based on power system component modeling and big data processing
Safdarian et al. A new formulation for power system reliability assessment with AC constraints
Bendato et al. Definition and on-field validation of a microgrid energy management system to manage load and renewables uncertainties and system operator requirements
Holttinen et al. Steps for a complete wind integration study
Arabali et al. Optimum sizing and siting of renewable-energy-based DG units in distribution systems
Wiest et al. Efficient integration of (n− 1)-security into probabilistic network expansion planning
Mokhtari et al. Optimal coordination of thyristor controlled series compensation and transmission expansion planning: Distributionally robust optimization approach
Tosatto et al. HVDC loss factors in the Nordic power market
KR1019838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mission loss factor using reduction
Sampath et al. Unit commitment with AC power flow constraints for a hybrid transmission grid
Baradar et al. A stochastic SOCP optimal power flow with wind power uncertainty
Valencia Expansion planning of joint medium-and low-voltage three-phase distribution networks considering the optimal integration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Huang et al. Distribution network expansion planning considering distributed generation using probabilistic voltage constraints
KR101983806B1 (en) Method for providing transmission loss factor of reference point, modeling method of system data of the reference point and apparatus thereof
Dragičevič et al. Modelling different scenarios of virtual power plant operating possibilities
Golder Photovoltaic generator modeling for large scale distribution system studies
Holttinen et al. Recommendations for wind integration studies
Meyer-Huebner et al. Dynamic optimal power flow in ac networks with multi-terminal HVDC and energy storage
Zare et al. A bi-Level polyhedral-based MILP model for expansion planning of active distribution networks incorporating distributed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