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590B1 -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 및 m2m 서비스 플랫폼 - Google Patents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 및 m2m 서비스 플랫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0590B1 KR102020590B1 KR1020130027707A KR20130027707A KR102020590B1 KR 102020590 B1 KR102020590 B1 KR 102020590B1 KR 1020130027707 A KR1020130027707 A KR 1020130027707A KR 20130027707 A KR20130027707 A KR 20130027707A KR 102020590 B1 KR102020590 B1 KR 1020205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ass
- data
- gateway
- service platform
- lower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6—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network management agents or mobile agent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은, M2M 서비스 플랫폼이 M2M 게이트웨이에 상기 M2M 게이트웨이의 하위 디바이스 중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M2M 게이트웨이 별로 상기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M2M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M2M 네트워크 환경에서 M2M 디바이스와 M2M 서비스 플랫폼 간의 자원 상태 불일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M2M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M2M(Machine-to-Machine)은 방송통신망을 이용하여 사람이나 지능화된 기기에게 사물정보를 제공하거나, 사람이나 지능화된 기기가 사물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을 의미한다. M2M은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지능통신(O2N : Object to Object Intelligent Network)란 이름으로도 불린다.
과거 1990년대 전·후반의 M2M 통신은 단순한 P2P(Point-to-Point) 연결을 위한 일대일 혹은 일대 다수의 통신을 의미하였다면, 궁극적으로 M2M 통신에서 지향하고자 하는 것은 위치인식, 상황인식, 증강현실 도입 등으로 개인 혹은 상황에 맞춤적으로 인간의 제어없이 또는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동작하면서 보다 향상된 M2M 통신 서비스의 품질과 안정성을 목표로 한다.
M2M 네트워크 통신은 종래의 u-City, u-Health, u-교통, u-환경 사업 등을 통해 사회 현안 해결, 재난 및 재해 방지, 에너지 절감 등에 기여할 수 있는 필수적인 인프라로 활용될 수 있다. 현재 대표적으로 원격검침, 건물·시설물 관리, 자판기 관리, 실내 조명 조절 서비스, 교통정보·차량관제, 긴급출동, 화재 경보기, 방범 경보 장치, 자판기, 텔레매틱스, 무선 결재 분야 서비스 등 매우 다양한 서비스가 M2M 서비스로서 제공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맥박계, 심전도계 등의 의료기기에 적용되어 원격 진료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e-Health 분야에서의 적용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M2M 통신은 사물장치간의 통신으로 기존의 사람 중심 H2H(Human-to-Human) 통신과는 여러 특징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특성의 차이에서부터 기술적으로 필요한 기술이 달라질 수 있고 M2M 통신을 이용하는 활용 분야에 따라서도 필요한 특성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현재 대표적으로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 Institute)를 포함한 세계 각국의 표준화 그룹에서는 성공적인 M2M 통신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도 1은 ESTI 표준 문서들 중 ETSI TS(Technical Specification) 102 690[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M2M); Functional architecture] 의 제 4 장에서 규정하는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도메인과 네트워크 도메인을 포함하는 M2M 서비스를 위한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ETSI TS(Technical Specification) 102 690을 포함하여 ETSI에서 진행되는 표준화 작업의 내용을 “ETSI 표준”이라고 한다.
도1을 참조하면, M2M 디바이스들(10, 10')은 인간의 입력 및 개입이 없거나 이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통신하는 단말기기로서, 요청에 의해 혹은 자동적으로 자신이 보유한 데이터를 송출 및 전달하는 모든 종류의 디바이스를 일컫는다.
상기 ETSI 표준에서는, M2M 디바이스(10')가 액세스 네트워크(40)에 직접 접속하는 경우에 M2M 디바이스(10')의 M2M 서비스 케이퍼빌리티(M2M Service Capability)(11)를 이용하여 M2M 디바이스의 M2M 애플리케이션(M2M Application)인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DA, 12)을 실행하는 것으로 규정되고 있다. 또한, M2M 디바이스(10)가 M2M 게이트웨이(30)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40)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M2M 게이트웨이(30)의 M2M 서비스 케이퍼빌리티(M2M Service Capability)(31)를 이용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M2M 지역 네트워크(M2M Area Network)(20)는 M2M 디바이스(10)와 M2M 게이트웨이(30) 간의 연결을 제공한다. M2M 지역 네트워크(20)의 예로는 IEEE 802.15.x, Zigbee, Bluetooth, IETF ROLL, ISA100.11a 등과 같은 개인 영역 네트워크(Personal Area Network; 이하에서 “PAN”이라고도 한다)이나 무선 로컬 지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이하에서 “WLAN”이라고도 한다), PLC, M-BUS, Wireless M-BSU, KNX와 같은 LAN을 포함할 수 있다.
M2M 게이트웨이(30)는 M2M 서비스 케이퍼빌리티(31)를 이용하여 M2M 게이트웨이(30)의 M2M 애플리케이션인 게이트웨이 애플리케이션(GA, 32)를 실행하는 게이트웨이이며, M2M 디바이스(10)와 액세스 네트워크(40) 사이에서 프록시(Proxy) 역할을 수행한다.
액세스 네트워크(40)는 M2M 디바이스(10') 내지 M2M 게이트웨이(30)가 코어 네트워크(50)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이다. 액세스 네트워크(40)의 예로는 xDSL, HFC, FTTH, PLC, Satellite망, GERAN, UTRAN, eUTRAN, Wireless LAN, WiMAX(WiBro) 등이 있다.
코어 네트워크(50)는 IP 연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 및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 기능, 다른 네트워크와의 상호 연결, 로밍(Roaming) 기능 등을 제공하는 네트워크이다. 코어 네트워크(50)의 예로는 3GPP CN, ETSI TISPAN CN, 3GPP2 CN, IMS 등이 있다.
네트워크 도메인의 M2M 서비스 케이퍼빌리티(60)는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서비스 케이퍼빌리티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M2M 서비스 케이퍼빌리티들을 사용하여, 하위 네트워크 계층의 특성들을 고려하지 않고도 최적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게 된다.
네트워크 도메인의 M2M 애플리케이션인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NA, 70)은 M2M 서비스 로직을 실행하고 M2M 시스템에서 제공하는데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M2M 서비스 케이퍼빌리티들을 이용한다.
또한 상기 ETSI 표준에 따르면 네트워크 도메인에 있는 M2M 서비스 케이퍼빌리티들을 나타내는 계층을 네트워크 서비스 케이퍼빌리티 계층(Network Service Capability Layer; 이하 “NSCL”이라 함), 게이트웨이의 M2M 서비스 케이퍼빌리티들을 나타내는 계층을 게이트웨이 서비스 케이퍼빌리티 계층(Gateway Service Capability Layer; 이하 “GSCL”이라 함), M2M 디바이스의 M2M 서비스 케이퍼빌리티들을 나타내는 계층을 디바이스 서비스 케이퍼빌리티 계층(Device Service Capability Layer; 이하 “DSCL”이라 함)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상기 NSCL, GSCL 및 DSCL을 총칭하여 서비스 케이퍼빌리티 계층(Service Capability Layer; 이하 “SCL”이라 함)이라고 한다. 여기서 NSCL은 각각의 M2M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자에 의해 각각의 서비스 별로 개별적으로 구축되는 플랫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M2M 서비스 플랫폼"이라고도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M2M 아키텍처에 따른 M2M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을 참조하면, 전체 M2M 시스템은 복수의 M2M 디바이스(101-1, ….,101-n, 102-1,....102-m,....)가 자신이 속한 M2M 게이트웨이(201, 202,....)를 통해 M2M 서비스 플랫폼(301)(또는 NSCL)로 연결되고, M2M 서비스 플랫폼(301)은 M2M 응용 서비스 및/또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401)으로 연결된다. M2M 서비스 플랫폼(301)에 연결된 복수의 M2M 게이트웨이(201, 202,...) 각각은 하위 디바이스로서의 복수의 M2M 디바이스(101-1, ….,101-n; 102-1,....102-m;....)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M2M 시스템의 경우, M2M 응용 및/또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401)에서 관리하고 있는 디바이스와, M2M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는 자원의 상태 정보가 상호 일치하여야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M2M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M2M 서비스나 디바이스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무선 M2M 디바이스의 경우 그 기능이나 상태 변경이 감지되면 M2M 게이트웨이로 이를 통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통지는 M2M 서비스 플랫폼에 전달되어야 M2M 응용(application)과 M2M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반영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황에서 특히 다량의 M2M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M2M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M2M 디바이스의 이벤트 메시지가 유실될 가능성이 있고, M2M 게이트웨이나 M2M 서비스 플랫폼에서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처리 과정에서 데이터가 유실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 유실에 의해 M2M 응용 및/또는 M2M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과 M2M 디바이스 간에 M2M 디바이스의 자원의 불일치가 일어날 가능성이 많다. M2M 응용 서비스 운용자나 네트워크 운용자가 실시간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실시간으로 M2M 디바이스의 상태를 파악하여 조치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황에서의 종래의 M2M 응용서비스나 M2M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자원 상태의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M2M 디바이스의 상태정보를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을 이용하여 조회하거나 주기적으로 모든 M2M 디바이스로 상태 정보를 폴링(polling)하여 자원의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M2M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M2M 네트워크 환경에서 빈번한 상태 정보를 조회하는 경우, 특히 무선 M2M 디바이스의 경우에는 배터리 소모가 많아지기 때문에 디바이스의 라이프타임이 줄어들게 되고, 과다한 운용 유지 메시지가 발생하기 때문에 M2M 게이트웨이와 M2M 서비스 플랫폼에서 M2M 데이터 처리시 유실될 가능성이 보다 높아져서 자원 상태의 불일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게 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특히 무선 M2M 네트워크 환경에서 무선 M2M 디바이스의 배터리 문제, M2M 데이터나 운용 메시지 유실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M2M 디바이스와 M2M 서비스 플랫폼, M2M 응용 서비스, M2M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간 자원 상태의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M2M 네트워크 환경에서 디바이스와 서버(M2M 서비스 플랫폼이나 M2M 응용 및/또는 디바이스 관리시스템) 간 자원 상태의 불일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은, M2M 서비스 플랫폼이 M2M 게이트웨이에 상기 M2M 게이트웨이의 하위 디바이스 중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M2M 게이트웨이 별로 상기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위 디바이스의 데이터 발생 주기 별로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등급을 분류하고, 동일한 등급에 속한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위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측정 시간을 기초로 상기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위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측정 시간과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하여 최근 저장된 데이터의 측정 시간의 시간 간격이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임시 등급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최근 측정 데이터를 검색하는 현재 시간과 상기 최근 저장된 데이터의 측정 시간의 시간 간격이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위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 중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가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정보 파일에는 상기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은 상기 상태 정보 파일을 파싱하여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자원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M2M 서비스 플랫폼은, M2M 게이트웨이의 하위 디바이스의 데이터 발생 주기 별로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분류 등급 관리부; 및 상기 하위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측정 데이터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M2M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 중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이벤트 요청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 요청 처리부는, 상기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 파일을 전송하도록 상기 M2M 게이트웨이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2M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상기 상태 정보 파일을 파싱하여 상기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파일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 분류 등급 관리부는, 상기 하위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측정 시간과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하여 최근 저장된 데이터의 측정 시간의 시간 간격이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임시 등급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일실시예에 따른 M2M 게이트웨이는, M2M 서비스 플랫폼으로부터 전송된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로 상기 하위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이벤트 요청 처리부; 및 상기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M2M 네트워크 환경의 서버(M2M 서비스 플랫폼이나 M2M 응용 및/또는 디바이스 관리시스템)에서 M2M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측정되는 주기를 기준으로 디바이스 분류 등급을 관리하여 M2M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수집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M2M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그 M2M 디바이스가 하위 디바이스로 속한 해당 게이트웨이로 디바이스 상태정보를 요청하고, 그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에서 관리되는 디바이스 자원 상태를 일치시킴으로써 디바이스와 서버 간의 자원 상태 불일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M2M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상 배터리를 사용하는 M2M 디바이스(특히 무선 M2M 디바이스)의 경우 상태 관리를 위한 메시지 교환을 최소로 할 수 있어 M2M 디바이스의 라이프 타임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도메인과 네트워크 도메인을 포함하는 M2M 서비스를 위한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M2M 아키텍처에 따른 M2M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디바이스 상태 정보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서비스 플랫폼에서 디바이스의 자원상태 관리를 위한 관리객체 구조 및 관리 리소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트리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서비스 플랫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M2M 서비스 플랫폼에 의해 측정 데이터 주기별로 M2M 디바이스의 등급을 분류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M2M 서비스 플랫폼에서 M2M 디바이스로부터 측정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M2M 아키텍처에 따른 M2M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디바이스 상태 정보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서비스 플랫폼에서 디바이스의 자원상태 관리를 위한 관리객체 구조 및 관리 리소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트리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서비스 플랫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M2M 서비스 플랫폼에 의해 측정 데이터 주기별로 M2M 디바이스의 등급을 분류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M2M 서비스 플랫폼에서 M2M 디바이스로부터 측정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여기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디바이스 상태 정보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M2M 서비스 플랫폼(301)은 많은 수의 다양한 M2M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M2M 데이터의 보고 또는 측정 주기를 기반으로 M2M 디바이스들에 대한 디바이스 분류 등급을 관리한다. 이 경우 상기 M2M 서비스 플랫폼(30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M2M 게이트웨이별로 게이트웨이에 속한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분류 등급을 관리하기 위해 각각의 M2M 게이트웨이에 대한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를 생성한다.
단계 S31에서 상기 M2M 서비스 플랫폼(301)은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M2M 디바이스 중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보고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보고되고 있지 않은 하위 디바이스(들)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그 하위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후 단계 S32에서 상기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들)이 속하는 M2M 게이트웨이(200)로 상기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가 포함된다.
단계 S33 및 단계 S34에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M2M 게이트웨이(200)는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들)(1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 또는 조회하고, 상기 요청 또는 조회에 대한 응답으로서 M2M 디바이스(100)는 자신의 상태 정보를 M2M 게이트웨이(200)에 전송한다.
단계 S35에서 상기 M2M 게이트웨이(200)는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들)(100)로부터 응답받은 상태 정보를 파일 형태로 작성하고, 이후 단계 S36 에서 M2M 서비스 플랫폼(301)으로 상기 상태 정보 파일을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한다. 상기 단계 S36에서 전송되는 상태 정보 파일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파일명: upload_gscl1_날짜
D1;Op:nor;battery:high;temp_sensor:nor;temp:10;hum_sensor:nor;hum:50;
D2;Op:abnor;battery:low;motion_sensor:fault;motion:-;
….
여기서 각 디바이스(D1, D2 ….)는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들을 나타내며, gscl1은 상기 하위 디바이스가 속하는 M2M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이고, 각 디바이스(D1, D2,…)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식별자(Op) 및 상태 정보[정상: nor, 비정상: abnor], 배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식별자(battery)및 상태 정보(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high, low), 각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센서 및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온도 센서: temp_sensor, 모션 센서: motio_sensor, 습도 센서: hum_sensor] 및 센싱된 값 등을 나타낸다.
이후 단계 S37에서 각각의 M2M 게이트웨이로부터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파일을 전송받은 M2M 서비스 플랫폼(301)은 상기 상태 정보 파일을 파싱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내용을 기초로 비정상 M2M 디바이스에 대한 자원 상태 정보의 변경을 M2M 응용 및/또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통지하여 네트워크 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서비스 플랫폼에서 디바이스의 자원상태 관리를 위한 관리객체 구조 및 관리 리소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현재의 ETSI 표준에서 규정된 바에 따르면 M2M 네트워크에 RESTful 구조 형식을 적용하여 M2M 애플리케이션(DA, GA 또는 NA)과 M2M SCL들이 서로 어떻게 정보를 교환하는지에 대해 규정되어 있다. 여기서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란 로이 티 필딩(Roy T. Fielding)에 의해 제안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럴 스타일(soferware architectural style)을 일컫는 것으로 주로 웹에서 데이터 접근에 이용되는 방법이다. 이러한 RESTful 웹 서비스는 리소스 URI를 알면 서버/클라이언트 종류에 상관없이 HTTP 프로토콜만으로 접근 가능한 특성을 갖는다. ETSI 표준에서는 RESTful 구조를 이용하여 유일하게 정의된 리소스들의 표현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ETSI 표준에서는 SCL에 위치하는 리소스들에 대한 명세(specification)도 정의하고 있는데, SCL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와 데이터는 트리 구조의 자원으로 구성되고 표현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관리 객체는 상술한 바와 같은 ETSI 표준에 따르도록 구성되는데, 여기서 타원형 및 사각형 도형은 관리 객체 노드를 나타내고 도형 내에 표시된 <x>는 해당 관리 객체 노드가 생성될 때 고유의 명칭이 부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sclBase 리소스는 호스팅 SCL(Service Capability Layer)를 나타내는 최상위 루트 리소스이며, scls 리소스는 <scl> 리소스의 집합을 나타내는 컬렉션 리소스(collection resource)이다. 여기서 호스팅 SCL은 상기 ETSI 표준에 따라 주소가 지정된 리소스(Master/original Resouce) 가 상주해야 하는 SCL을 가리키며, <scl> 리소스는 호스팅 SCL에 등록되어 상호 작용하는 원격 SCL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리소스이다.
subscriptions 리소스는 <subscription> 리소스의 집합을 나타내는 컬렉션 리소스이며, <subscription> 리소스는 특정 리소스에 대한 통지(notification)를 수신하기 위한 가입(subscription) 정보를 저장하는 리소스이다.
mgmtObjs 리소스는 <mgmtObj> 리소스의 집합을 나타내는 컬렉션 리소스이며, <mgmtObj> 리소스는 원격 M2M 객체관리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리소스로서 서버(즉, M2M 서비스 플랫폼 또는 NSCL)에서만 생성되고 관리되는 리소스이다. <mgmtCmd> 리소스는 RESTful 구조가 아닌 리소스의 관리 명령을 처리하기 위한 리소스로서, 이 역시 서버에서만 생성되고 관리되는 리소스이다.
notificationChannels 리소스는 <notificationChannel> 리소스의 집합을 나타내는 컬렉션 리소스이며, <notificationChannel> 리소스는 비동기 통지(asynchronous notification)를 수신하기 위해 서버 기능이 없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사용되는 리소스이다. 위해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리소스이다.
attachedDevices 리소스는 <attachedDevice> 리소스의 집합을 나타내는 컬렉션 리소스이며, <attachedDevice> 리소스는 M2M 게이트웨이(또는 GSCL)를 통해 서버로 접속되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리소스로서, 이 리소스들은 서버에서만 생성되고 관리된다.
“attribute” 는 리소스 표현 정보와 연관된 성질을 제공하는 메타 데이터로서, 상기 속성을 가진 리소스에 대한 접속 권한을 위한 식별자를 나타내는 accessRightID, 상기 속성을 가진 리소시의 생성시간을 나타내는 creationTime, 상기 속성을 가진 리소스의 마지막 수정 시간을 나타내는 lastModified 속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리소스 및 기타 다른 리소스의 정의 및 구조에 대해서는 상술한 ETSI 표준에 규정되어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트리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에 따르면,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데이터의 주기별 등급 분류는 mgmtObjs 리소스 아래 디바이스 등급 분류 프로세스에 의해 classifiedGrade로 생성될 수 있으며, 각 classifiedGrade 리소스 아래에는 각 측정 주기 등급에 해당되는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가 deviceList로서 등록된다.
classfiedGrade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개수, 예를 들어 10개까지 등록 가능할 수 있으며 M2M 게이트웨이 단위로 생성 및 관리된다. 디바이스 등급 분류 리소스인 classifiedGrade 리소스와 deviceList 리소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의 측정 주기별로 동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서비스 플랫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M2M 서비스 플랫폼(또는 NSCL)(301)는 NREM(Network Remote Entity Management)부(510), SNMP부(521), NGC부(522), 기타 서비스 케이퍼빌리티부(5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NREM부(510)는 관리 객체(MO: Managed Object) 데이터, ETSI 표준의 <mgmtObj> 리소스 관리 등의 메시지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NREM부(510)는 이벤트 요청 처리부(511), 디바이스 분류 등급 관리부(512), 측정 데이터 모니터링부(513) 및 파일 처리부(5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 요청 처리부(511)는 M2M 디바이스로 이벤트를 요청하거나 또는 M2M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이벤트를 처리하는데, 여기서 이벤트는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하위 디바이스가 속한 특정 게이트웨이로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처리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요청 처리부(510)는 후술하는 디바이스 분류 등급 관리부(512)가 관리하는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 중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를 생성하고 M2M 게이트웨이(201, 202,…)에 해당 디바이스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디바이스 분류 등급 관리부(512)는 데이터 발생 주기 별로 M2M 디바이스에 대한 등급을 분류하고 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주기적으로 상기 디바이스 등급 관리부(512)는 M2M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면 동일한 디바이스에서 최근에 발생된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측정 주기를 산출하고 현재의 특정 데이터 분류 등급에 근접한 분류 등급에 매핑시켜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를 생성한다.
초기에 측정 주기 분류 등급은, 예를 들어 1시간, 1일, 1주일, 1달 등과 같이 임의의 분류 등급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M2M 디바이스의 측정 데이터 주기가 벗어나면 임시 분류 등급을 산정하고 추후 동일한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데이터의 측정 시간차가 주기적으로 임계치(디바이스 분류 등급을 생성하는 단위로서 임의로 정해질 수 있음)를 초과하면 해당되는 측정 주기로 디바이스 분류 등급이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분류 등급은 측정 데이터 주기를 기반으로 동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 분류 등급은 게이트웨이당 예를 들어 10개와 같이 제한을 두고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너무 많은 수의 디바이스 분류 등급이 부여되면 M2M 서비스 플랫폼의 관리 부담이 증가되고 관리 프로세스가 복잡하게 되어 M2M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측정 데이터 모니터링부(513)는 상기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측정 데이터 모니터링부(513)에 의한 모니터링 결과 정상적으로 측정되지 않는 하위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분류 등급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도록 상기 이벤트 요청 처리부(511)에 지시한다.
상기 파일 처리부(514)는 M2M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받은 비정상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에 관한 파일을 파싱하여 측정된 디바이스 상태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관련 리소스를 갱신하도록 한다.
도 5a에서 NGC(Network Generic Communication)부(522)는 M2M 케이트웨이(201, 202…)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블록을 나타내며, 이는 상기 ETSI 표준에 규정되어 있다.
또한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부(521)는 M2M 디바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리 객체를 검색하는 GET, 변경하는 SET, 통지 정보를 전송하는 TRAP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다.
기타 서비스 케이퍼빌리티부(521)는 M2M 서비스 플랫폼에서 지원되어야 할 보안 기능, 연결성, 주소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들 기능 블럭들은 상술한 ETSI 표준에 규정되어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NA/디바이스 관리 시스템(500)은 서버에 상주하는 일종의 응용(application)으로서 특정의 서비스 로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M2M 서비스 플랫폼의 일부일 수도 있으나, 다른 네트워크 운용자에 의해 별도로 구축되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M2M 게이트웨이는 GA(gateway application) 및 GSCL(200)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GA는 게이트웨이에 상주하는 응용으로서 특정의 서비스 로직을 수행한다.
GSCL(200)는 GREM(Gateway Remote Entity Management)부(530), GGC부(533), SNMP부(534) 및 기타 서비스 케이퍼빌리티부(5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GREM부(530)는 M2M 게이트웨이에서 수행하는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벤트 요청 처리부(531) 및 파일 생성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요청 처리부(531)은 M2M 서비스 플랫폼으로부터 M2M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는 경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의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비정상 디바이스에 대해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처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파일 생성부(5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M2M 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할 비정상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파일을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GGC부(533)는 NSCL과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블럭이고, 상기 SNMP부(534)는 M2M 디바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며, 기타 서비스 케이빌리티부(535)는 GSCL(200)에서 지원되어야 할 보안 기능, 연결성, 주소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블럭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M2M 서비스 플랫폼에 의해 측정 데이터 주기별로 M2M 디바이스의 등급을 분류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601에서 M2M 서비스 플랫폼이 M2M 디바이스(또는 M2M 게이트웨이로부터)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이벤트가 M2M 디바이스의 측정 데이터의 보고에 해당되는 이벤트인지를, 즉 이벤트 정보에 측정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602).
단계 S602에서 이벤트 정보에 측정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측정 데이터가 이벤트 정보에 포함될 때까지 계속하여 모니터링한다.
단계 S602에서 이벤트 정보에 측정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서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현재의 디바이스 분류 등급을 나타내는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를 조회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를 전송한 디바이스에 대한 분류 등급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603 및 S604).
단계 S604에서 상기 측정 데이터를 전송한 디바이스가 특정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최근 데이터를 조회한다(단계 S605). 다음 단계 S606에서 해당 디바이스의 현재 측정된 데이터의 측정 시간과 최근 데이터의 측정 시간의 시간 간격을 추출하고, 상기 시간 간격을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한다(단계 S607). 단계 S607에서의 임계치는 디바이스 분류 등급 내의 주기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수치로서 임의로 정해진 값이다.
단계 S607에서 상기 시간 간격이 임계치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M2M 서비스 플랫폼에서 관리하는 관련 리소스에 현재 측정된 데이터를 반영함으로써 리소스 트리를 갱신한다(단계 S608). 갱신되는 리소스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sclBase>/scls/<scl>/applications/<application>/containers/<container>/contentInstances/<contentInstance>/<content>
여기서 <container> 리소스는 인스턴스 객체를 위한 컨테이너(일종의 저장소)를 나타내고, <contentInstance> 리소스는 컨테이너에 있는 데이터 인스턴스를 나타내며, 현재 측정된 데이터는 <content> 리소스에 반영된다.
한편 단계 S604에 대해서 측정 데이터를 전송한 디바이스에 대한 분류 등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임시 등급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609), 해당 디바이스가 임시 등급에 존재하는 디바이스이면 상기 임시 등급에 해당 디바이스의 측정 시간을 기록하고(단계 S610), 현재의 측정 데이터를 관리하는 리소스 트리를 갱신한다(단계 S608).
단계 S609에서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임시 등급이 존재하지 않거나, 단계 S607에서 시간 간격이 임계치보다 크면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새로운 임시 등급을 생성하고(단계 S611), 해당 디바이스의 측정된 데이터를 새로 생성된 임시 등급에 대한 리소스 트리로서 기록한다(단계 S608).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M2M 서비스 플랫폼에서 M2M 디바이스로부터 측정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701에서 M2M 서비스 플랫폼은 M2M 디바이스에 대한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에서 특정 디바이스를 추출하여, 추출된 디바이스에 대한 최근 데이터를 검색한다(단계 S702).
이후, 상기 추출된 디바이스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하여 상기 추출된 디바이스에 대한 최근 측정 데이터의 검색을 수행하는 현재 시간과 상기 최근 측정 데이터의 측정 시간의 시간 간격을 분류 등급 측정 주기와 비교하여 그 차이가 임의의 임계치보다 큰지를 비교한다(단계 S703).
단계 S703에서 분류등급 측정 주기와 상기 시간 간격의 차이가 임의의 임계치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추출된 디바이스에서는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측정되고 있다고 판단하고(단계 S704), 단계 S705에서 상기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에 모니터링할 다른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모니터링할 다른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단계 S701 이하의 절차를 반복한다.
단계 S703에서 분류등급 측정 주기와 상기 시간 간격의 차이가 임의의 임계치보다 크다면 해당 디바이스가 비정상적 측정 디바이스라고 판단하여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에 등록하고(단계 S706), 단계 S705 이후의 절차를 반복한다.
이후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디바이스에 대하여 측정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한 이후에 단계 S707에서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에 등록된 디바이스들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여,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가 존재하면 상기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디바이스(들)가 속한 게이트웨이에 비정상이라고 판단된 디바이스(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한다(단계 S708).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디바이스들 각각에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디바이스들에 대해 M2M 게이트웨이로 한번에 상태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과다한 운용 유지 메시지 발생에 따른 M2M 게이트웨이와 M2M 서비스 플랫폼에서 M2M 데이터 유실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301: M2M 서비스 플랫폼 또는 NSCL
500: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510: NREM 부
511: 이벤트 요청 처리부
512: 디바이스 분류 등급 관리부
513: 측정 데이터 모니터링부
514: 파일 처리부
522: NGC부
530: GREM부
533: GGC부
500: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510: NREM 부
511: 이벤트 요청 처리부
512: 디바이스 분류 등급 관리부
513: 측정 데이터 모니터링부
514: 파일 처리부
522: NGC부
530: GREM부
533: GGC부
Claims (16)
- M2M 서비스 플랫폼이 M2M 게이트웨이 별로 M2M 게이트웨이에 속한 하위 디바이스들의 데이터 발생 주기를 기반으로 M2M 디바이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M2M 서비스 플랫폼이 상기 M2M 게이트웨이에 상기 M2M 게이트웨이의 하위 디바이스들 중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M2M 서비스 플랫폼이 상기 M2M 게이트웨이 별로 상기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2M 디바이스 리스트는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측정 시간을 기초로 상기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위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측정 시간과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하여 최근 저장된 데이터의 측정 시간의 시간 간격이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임시 등급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최근 측정 데이터를 검색하는 현재 시간과 상기 최근 측정 데이터의 측정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이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위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 중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가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파일에는 상기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 - M2M 서비스 플랫폼이 M2M 게이트웨이에 상기 M2M 게이트웨이의 하위 디바이스들 중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M2M 서비스 플랫폼이 상기 M2M 게이트웨이 별로 상기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 파일을 파싱(parsing)하여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자원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 - M2M 게이트웨이의 하위 디바이스의 데이터 발생 주기 별로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분류 등급 관리부; 및
상기 하위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측정 데이터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서비스 플랫폼.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별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 중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이벤트 요청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서비스 플랫폼.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요청 처리부는, 상기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 파일을 전송하도록 상기 M2M 게이트웨이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서비스 플랫폼.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M2M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상기 상태 정보 파일을 파싱하여 상기 등급별 비정상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파일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서비스 플랫폼.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분류 등급 관리부는, 상기 하위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측정 시간과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하여 최근 저장된 데이터의 측정 시간의 시간 간격이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위 디바이스에 대한 임시 등급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서비스 플랫폼.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7707A KR102020590B1 (ko) | 2013-03-15 | 2013-03-15 |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 및 m2m 서비스 플랫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7707A KR102020590B1 (ko) | 2013-03-15 | 2013-03-15 |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 및 m2m 서비스 플랫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3817A KR20140113817A (ko) | 2014-09-25 |
KR102020590B1 true KR102020590B1 (ko) | 2019-09-16 |
Family
ID=5175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7707A KR102020590B1 (ko) | 2013-03-15 | 2013-03-15 |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 및 m2m 서비스 플랫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059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1347B1 (ko) * | 2016-12-01 | 2020-04-16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IoT 기기의 보안 강화를 위한 BLE 통신 기반의 스캔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6765B1 (ko) * | 2006-02-13 | 2012-09-28 | 주식회사 케이티 |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정보 수집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6815A (ko) * | 2000-07-13 | 2002-01-26 | 윤종용 | 가전 기기의 관리 장치 및 방법 |
KR100936130B1 (ko) * | 2008-05-20 | 2010-01-12 |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
-
2013
- 2013-03-15 KR KR1020130027707A patent/KR1020205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6765B1 (ko) * | 2006-02-13 | 2012-09-28 | 주식회사 케이티 |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플랫폼의 정보 수집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3817A (ko) | 2014-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012645A1 (en) | Federated learning in o-ran | |
US20200228420A1 (en) | Sharable storage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data analytics | |
KR102182167B1 (ko) | M2m 서비스 설정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40099663A (ko) | M2m 네트워크의 리소스 관리 방법 및 리소스 관리 장치 | |
Lamaazi et al. | Challenges of the internet of things: IPv6 and network management | |
US10567326B2 (en) | Interworking of social media service and machine to machine service | |
US1103236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 |
US2019020852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 Management During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 |
KR20140104097A (ko) | M2m 시스템에서 디바이스간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EP3146766B1 (en) | Managing effects of a scheduled outage of mains power | |
US11671514B2 (en) | Service layer message templat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 |
CN113557707A (zh) | 设备注册机制 | |
KR102020590B1 (ko) | M2m 디바이스 관리 방법 및 m2m 서비스 플랫폼 | |
WO2022012764A1 (en) | Packet flow descriptor provisioning | |
Ojanperä et al. | Cognitive network management framework and approach for video streaming optimiz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 |
EP3148133B1 (en) | Loa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ication messages | |
US20220021741A1 (en) | Electronic device subscription | |
KR20160036690A (ko) | 다중 M2M/IoT 디바이스들과 연계된 M2M/IoT 디바이스를 취급하기 위한 멀티 링크 메카니즘 | |
US11924309B2 (en) | Managing resource state notifications | |
WO2023109905A1 (zh) | 一种数字孪生网络构建方法及网元 | |
US20230281262A1 (en) | Provision of Network Access Information for a Computing Device | |
CN108259211B (zh) | 一种设备管理方法及装置 | |
KR101566642B1 (ko) | M2m기반 사무실관리 게이트웨이 시스템 | |
Guolei et al. | A Method of Multiple Nodes Sensed Dynamically for Intelligent Domestic Internet of Things | |
CN115967945A (zh) | 网络监控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