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392B1 - Slope checking road - Google Patents

Slope checking ro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392B1
KR102020392B1 KR1020190041759A KR20190041759A KR102020392B1 KR 102020392 B1 KR102020392 B1 KR 102020392B1 KR 1020190041759 A KR1020190041759 A KR 1020190041759A KR 20190041759 A KR20190041759 A KR 20190041759A KR 102020392 B1 KR102020392 B1 KR 102020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pillar
coupled
main pillar
si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7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인규
Original Assignee
누리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누리이앤씨(주) filed Critical 누리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190041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3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3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lope checking road, which is used for checking a slope of a road. The slope checking road includes: a side surface support unit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a plurality of footholds and spaced apart from the slope to be installed along the slope; a main pillar coupled to the side surface support unit and inserted into the slope to be fixed thereto; an auxiliary bracket coupled and fixed to the main pillar at a lower portion of the side surface support unit; and at least one auxiliary pillar inserted into the auxiliary bracket and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lope. The auxiliary bracket comprises: a first body having a first penetration hole into which the main pillar is inser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body rotationally coupled to one side surface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body and having a second penetration hole into which the auxiliary pillar is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escription

비탈면 점검로{Slope checking road}Slope checking road}

본 발명은 비탈면 점검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의 비탈면을 점검하기 위하여 설치함에 있어 기존의 비탈면 점검로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비탈면 점검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ope check ro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ope check road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more robust than the existing slope check road in the installation to check the slope of the road.

도로가 비탈면 등에 시공되거나 도로를 내기 위해 산을 절토하여 시공하는 경우 그 경사면 또는 절토부인 비탈면에, 낙석이나 붕괴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계단형태의 점검로를 설치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When roads are constructed on slopes, or when the mountain is cut to make a road, it is mandatory to install stairway inspection paths on the slopes or cut slopes to check the condition to prevent falling or collapse accidents. It is.

이와 같은 대부분의 점검로는 일반적으로 내딛는 발판부분을 미끄러지지 않도록 논-슬립 처리하고, 난간 및 기둥은 비탈면의 경사도에 맞게 맞춤 제작하게 되는데, 고정방식으로 용접 또는 볼팅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In most of these inspections, non-slip treatment is generally performed to prevent slipping of the scaffolding, and handrails and columns are custom-mad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lope, which is installed using a welding method or a bolting method. .

그러나, 이러한 점검로는 비탈면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계상의 어려움이 있고, 또한 시공 및 제작기간이 길어지는 단점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9060호(2007.11.27. 공개) 등에는 다양한 비탈면 점검로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비탈면 점검로의 경우 비탈면 상에 기둥들을 일정 간격으로 삽입하여 설치하고 있으나, 비바람이 강하게 불거나 태풍이 지나가는 경우 등에 비탈면에 고정되는 힘이 약하여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보다 견고하게 비탈면 경사로를 비탈면 상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However, such a check has a design difficulty because it must be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and also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period becomes longer.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79060 (published on November 27, 2007) and the like disclose various structures of slope check road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lope check road, the pillars are inserted and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lope, but when the wind is strongly blown or a typhoon passes, the force fixed to the slope is weak so that an accident may occur, thus making the slope more stable. It is necessary to install on the slop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로의 비탈면을 점검하기 위하여 설치함에 있어 기존의 비탈면 점검로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비탈면 점검로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ope check road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more robust than the existing slope check road in the installation to check the slope of the road.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탈면을 점검하는데 이용되는 비탈면 점검로는, 복수의 발판들의 양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비탈면 상에 이격되어 상기 비탈면을 따라 설치되는 측면지지부, 상기 측면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비탈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주기둥, 상기 측면지지부의 하부에서 상기 주기둥에 결합 고정되는 보조브라켓 및 상기 보조브라켓에 삽입되어 상기 비탈면에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기둥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기 주기둥이 삽입되는 제 1 관통홀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조기둥이 삽입되는 제 2 관통홀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몸체를 구비할 수 있다.Slope surface inspection path used to check the slope of the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caffolding, the side spaced apart on the slope is installed along the slope A support pillar, a main pillar coupl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lope, an auxiliary bracket coupled to the main pillar at the lower side of the side support portion, and at least one auxiliary insert inserted into the auxiliary bracket and fixed to the slope A pillar may be provided. The auxiliary bracket may b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and the first body in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into which the main pilla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n which the auxiliary pillar is inserted. The hole may have a second bod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측면지지부가 설치되는 방향과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몸체의 일 측면 또는 양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결합되는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제 2 몸체가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is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ide support portion is installed horizontally, the central axi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upled The second body can rotate.

상기 제 2 몸체가 상기 제 1 몸체의 일 측면에서 회전하여 상기 보조기둥이 상기 비탈면에 수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비탈면에 삽입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may be inserted into the inclined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clined surface by rotating the auxiliary pillar in one side of the first body.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마주보는 면에 결합되는 회전결합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몸체 또는 상기 제 2 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결합수단과 결합될 수 있다.The auxiliary bracket further includes a rotation coupling means coupled to a surface fac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coupling means such that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is rotatable. .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2 몸체가 결합되는 면 이외의 면에 상기 제 1 관통홀까지 수평방향으로 고정용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기둥이 상기 제 1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 관통홀에 고정수단이 삽입되어 상기 주기둥을 압박하여 상기 주기둥과 상기 제 1 몸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rst body has a through hole for fix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first through hole in a surface other than the surface to which the second body is coupled, and the fixing in the state that the main pillar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 fix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 pressing the main pillar to fix the main pillar and the first body.

상기 보조기둥은 상단이 구부러져 있을 수 있다.The auxiliary pillar may be bent at the top.

상기 비탈면 점검로는, 상기 주기둥과 상기 측면지지부의 결합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측면지지부의 하부에 상기 주기둥을 결합시키는 주기둥연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slope check may further include a main column connecting portion for coupling the main colum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support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angle of the main pillar and the side support is adjusted.

상기 주기둥연결부는, 양 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상기 주기둥이 삽입 결합되어 상기 주기둥이 상기 측면지지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비탈면에 삽입될 수 있다.The main pillar connecting portion has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ide support portion, and the main pillar is inserted and coupled between the protrusions so that the main pillar is perpendicular to the road in the state where the main pillar is coupl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 It can be inserted into the slope.

상기 주기둥은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면에 수직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기둥과 상기 측면지지부 사이의 결합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각도고정수단이 삽입되어 상기 주기둥을 압박하여 상기 주기둥과 상기 주기둥연결부가 결합 고정될 수 있다.The main pillar has a groov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coupled to the protrusion, and the angle fix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protrusion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angle between the main pillar and the side support is adjusted. The periodic pillar may be pressed to fix the periodic pillar and the periodic pillar connection por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점검로는 주기둥이 비탈면에 삽입되어 비탈면 점검로를 비탈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주기둥에 결합된 보조브라켓에 삽입된 보조기둥이 비탈면에 삽입됨으로써 종래의 비탈면 점검로에 비하여 보다 견고하게 비탈면에 비탈면 점검로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기둥은 도로와 수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비탈면에 삽입되고 상기 보조기둥은 상기 비탈면과 수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비탈면 상에 고정이 가능하여 본 발명의 비탈면 경사로가 상기 비탈면 상에 강한 고정력을 가지면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브라켓 중 상기 주기둥이 삽입되는 제 1 몸체와 상기 보조기둥이 삽입되는 제 2 몸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주기둥이 결합된 비탈면의 주변에 보조기둥을 설치하기 어려운 상태에 있더라도 상기 제 2 몸체를 회전시켜 상기 보조기둥이 삽입될 수 있는 위치의 비탈면 상에 상기 보조기둥을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lope check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slope slope and the slope check path is fixed to the slope and at the same time the auxiliary pillar inserted in the auxiliary bracket coupled to the slope is inserted into the slo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lope check road can be installed more firmly on the slope than the slope check road. For example, the main pillar is inserted into the slop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ad and the auxiliary pillar is inse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ope to be perpendicular to the slope, thereby fixing on the slope in different directions. The slope of the slope can be combined with a strong fixing force on the slop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is inserted into the main pillar of the auxiliary bracket and the second pillar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bracket,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auxiliary pillar around the slope of the slope coupled to the main pillar Even if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pillar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osition where the auxiliary pillar can be inserted by rotating the second body.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경사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조브라켓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보조브라켓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보조브라켓에 주기둥 및 보조기둥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주기둥연결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경사로의 측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side view of a slope sl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uxiliary bracket of Figure 1;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auxiliary bracket of FIG. 1.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n pillar and an auxiliary pillar ar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bracket of FIG. 1.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main column connecting portion of FIG.
6 is a side view of a slope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경사로(100)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slope slop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경사로(100)는 도로(10)의 비탈면(20)을 점검하기 위하여 비탈면(20) 상에 설치되는 구조물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비탈면 경사로의 구조는 도로 주변의 비탈면 뿐 아니라 경사각을 가지고 있는 다양한 경사면에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점검로를 만드는 모든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lop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a structure installed on the slope 20 to check the slope 20 of the road 10.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slope sl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ll cases to make the inspection road that can pass through the various slopes having the inclination angle as well as the slope around the road.

비탈면 경사로(100)는 측면지지부(110), 주기둥(150), 적어도 하나의 보조기둥(160) 및 보조브라켓(140)을 구비할 수 있고, 주기둥연결부(1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inclined slope 100 may include a side support part 110, a main pillar 150, at least one auxiliary pillar 160, and an auxiliary bracket 140, and may further include a periodic connecting portion 130. .

측면지지부(110)는 비탈면(20) 상에 이격되어 비탈면(20)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발판들(120)의 양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측면지지부(110)는 비탈면(20)의 경사각을 따라 비탈면(20) 상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side support part 110 may be spaced apart on the slope 20 and may be installed along the slope 20, and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caffolds 120. That is, the side support part 110 may be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lope 20 alo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lope 20.

주기둥(150)은 측면지지부(110)와 결합되고 비탈면(2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주기둥(150)은 측면지지부(110)의 하부에 결합될 수도 있고, 측면지지부(110)를 관통하여 결합되거나 측면지지부(110)의 측면에 결합되는 기둥일 수도 있다.The main pillar 150 may be coupled to the side support part 110 and inserted and fixed to the slope 20. The main pillar 15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support 110, or may be a column coupled through the side support 110 or coupled to the side of the side support 110.

보조브라켓(140)은 측면지지부(110)와 비탈면(20) 사이에서 주기둥(15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기둥(160)은 보조브라켓(140)에 삽입되어 비탈면(2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보조기둥(160)은 주기둥(150)이 비탈면(20)에 삽입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비탈면(2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보조브라켓(140)은 주기둥(150)이 삽입되는 제 1 몸체(143) 및 보조기둥(160)이 삽입되는 제 2 몸체(145)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몸체(145)가 제 1 몸체(1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주기둥(150)의 결합방향과 보조기둥(160)의 결합방향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보조브라켓(140)의 구조에 대하여는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auxiliary bracket 140 may be fixed to the main pillar 150 between the side support 110 and the slope 20. At least one auxiliary pillar 160 may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bracket 140 to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inclined surface 20. The auxiliary pillar 160 may be inserted into the inclined surface 20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in which the main pillar 150 is inserted into the inclined surface 20. That is, the auxiliary bracket 140 may be formed of a first body 143 into which the main pillar 150 is inserted and a second body 145 into which the auxiliary pillar 160 is inserted, and the second body 145 is formed of a second body 145. By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143,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main pillar 150 and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auxiliary pillar 160 may be different. The structure of the auxiliary bracket 1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주기둥연결부(130)는 주기둥(140)과 측면지지부(110)의 결합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측면지지부(110)의 하부에 주기둥(14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지지부(110)가 비탈면(20)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고 비탈면(20)과 평행하게 설치된 경우, 주기둥연결부(130)에 의하여 주기둥(140)이 도로(10)에 수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면지지부(1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주기둥연결부(130)의 구조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main pillar connection unit 130 may allow the main pillar 140 to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support 110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ngle between the main pillar 140 and the side support 110 is adjusted. For example, when the side support 110 has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inclined surface 20 and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inclined surface 20, the periodic pillar 140 is perpendicular to the road 10 by the periodic pillar connecting portion 130. It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support portion 110 in the orthogonal direction.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of the pillar connecting portion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below.

도 2는 도 1의 보조브라켓(14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보조브라켓(14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보조브라켓(140)에 주기둥(150) 및 보조기둥(160)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auxiliary bracket 140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uxiliary bracket 140 of FIG. 1, and FIG. 4 is an auxiliary bracket of FIG. 1. It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pillar 150 and the auxiliary pillar 160 is inserted into 140.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보조브라켓(140)은 제 1 몸체(143) 및 제 2 몸체(145)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몸체(143)에는 주기둥(150)이 삽입되는 제 1 관통홀(H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관통홀(H1)은 주기둥(1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주기둥(15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둥(150)은 제 1 관통홀(H1)에 삽입되어 억지끼움됨으로써 제 1 몸체(143)가 주기둥(15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몸체(143) 중 제 2 몸체(145)가 결합되는 면 이외의 면에 제 1 관통홀(H1)까지 수평방향으로 고정용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관통홀에 고정수단(149)이 삽입되어 주기둥(150)과 제 1 몸체(143)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주기둥(150)이 제 1 관통홀(H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 관통홀에 고정수단(149)이 삽입되어 고정수단(149)이 주기둥(150)을 압박함으로써 주기둥(150)이 제 1 몸체(143)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주기둥(150)이 제 1 몸체(143)와 결합되는 방법이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주기둥(150)이 제 1 몸체(143)에 결합될 수 있다.1 to 4, the auxiliary bracket 140 may include a first body 143 and a second body 145. A first through hole H1 into which the main pillar 150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body 143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through hole H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ain pillar 150 so that the main pillar 150 may be inserted therein. For example, the main pillar 15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H1 to be fit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body 143 may be coupled to the main pillar 150.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S. 2 to 4, a fixing hole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up to the first through hole H1 on a surface other than a surface to which the second body 145 is coupled among the first bodies 143. The fixing means 149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through hole to fix the main pillar 150 and the first body 143. In this case, the fixing means 149 is inserted into the fixing through-hole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pillar 150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hole H1, and the fixing means 149 presses the main pillar 150. The pillar 15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143. However, the method in which the main pillar 150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143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ain pillar 15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143 by various other methods. have.

제 2 몸체(145)는 제 1 몸체(143)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보조기둥(160)이 삽입되는 제 2 관통홀(H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몸체(145)는 측면지지부(110)가 설치되는 방향과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 1 몸체(143)의 일 측면 또는 양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상하방향이 측면지지부(110)가 설치되는 방향인 경우, 제 2 몸체(145)는 도 3의 상하방향과 수평으로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제 1 몸체(143)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145 may b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143,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into which the auxiliary pillar 160 is inserted may be vertically formed. have. The second body 145 may be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143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ide support 110 is installed. For example, whe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FIG. 3 is a direction in which the side support part 110 is installed, the second body 145 is one of the first body 143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FIG. 3. It can be coupled to one or both sides.

제 1 몸체(143)와 제 2 몸체(145)가 결합되는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제 2 몸체(145)가 회전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몸체(143)와 제 2 몸체(145)가 결합되는 방향(도 4의 좌우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제 2 몸체(145)가 화살표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제 2 몸체(145) 각각이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만 회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주기둥(150)이 비탈면(20)에 삽입 고정되고 제 2 몸체(145)가 회전한 상태에서 보조기둥(160)이 제 2 관통홀(H2)을 통해 비탈면(20)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비탈면 점검로(100)가 비탈면(2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몸체(145)가 회전하여 보조기둥(160)이 비탈면(20)에 수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비탈면(20)에 삽입 고정되는 경우, 보다 견고하게 비탈면 점검로(100)가 비탈면(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주기둥(150)이 결합된 비탈면(20)의 양 측면에 보조기둥(160)이 삽입될 수 없는 상황인 경우, 제 2 몸체(145)를 회전시켜 보조기둥(160)이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서 보조기둥(160)이 비탈면(20)에 삽입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서 비탈면 점검로(100)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제 2 몸체(145)의 제 2 관통홀(H2)에 와이어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보조기둥(160)을 연결한 후 보조기둥(160)을 비탈면(20)에 삽입 고정시킴으로써, 원하는 위치의 비탈면(20)에 보조기둥(160)을 결합시켜 비탈면 점검로(100)를 보다 강하게 비탈면(20)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보조기둥(160)은 상단이 구부러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보조기둥(160)이 비탈면(20)에 삽입된 이후 보조기둥(160)이 제 2 관통홀(H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145 may rotate arou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ody 143 and the second body 145 are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body 145 is rotated as shown by an arrow with the central axis as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ody 143 and the second body 145 are coupled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 4). Can be. However, each of the second bodies 145 does not have to rotate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4, but may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such, the main pillar 15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slope 20 and the auxiliary pillar 16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slope 20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H2 while the second body 145 is rotated. The slope check road 100 may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slope 20. In addition, when the second body 145 is rotated and the auxiliary pillar 16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slope 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ope 20 perpendicularly, the slope surface check passage 100 more firmly slopes ( 20). 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pillars 160 cannot be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sloped surface 20 to which the main pillar 150 is coupled, the auxiliary pillars 160 may be inserted by rotating the second body 145. Since the auxiliary pillar 160 is inserted into the slope 20 at a position, the slope check path 100 may be firmly installed in various situations. Alternatively, one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H2) of the second body 145 and the auxiliary pole 16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and then the auxiliary pole 16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lope 20. By doing so, the auxiliary pillar 160 may be coupled to the inclined surface 20 at a desired position, and the inclined surface check passage 100 may be more strongly coupled to the inclined surface 20. In addition, the auxiliary pillar 16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upper end is bent to prevent the auxiliary pillar 16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H2 after the auxiliary pillar 160 is inserted into the slope 20.

보조브라켓(140)은 제 1 몸체(143)와 제 2 몸체(145)가 마주보는 면에 결합되는 회전결합수단(147)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제 1 몸체(143) 또는 제 2 몸체(145)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결합수단(147)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몸체(43)와 제 2 몸체(145)가 마주보는 면 각각에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에 기둥형상의 회전결합수단(147)이 결합되어 제 1 몸체(143)와 제 2 몸체(145)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 1 몸체(143)와 제 2 몸체(145)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법이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 1 몸체(143)와 제 2 몸체(145)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auxiliary bracket 14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coupling means 147 coupled to a surface of the first body 143 and the second body 145 facing the first body 143 and the first body 143 or the second body ( 145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coupling means 147 to be rotatab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 to 4, a hole is formed in each of the surfaces of the first body 43 and the second body 145 facing each other, and the column-shaped rotary coupling means 147 is formed in the hole. ) May be coupled so that the first body 143 and the second body 145 are rotatable. However, the method in which the first body 143 and the second body 145 are rotatably coupl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ase, and the first body 143 and the second body by using various other methods. 145 may be coupled to be rotatable.

도 5는 도 1의 주기둥연결부(13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main column connecting portion 130 of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주기둥연결부(130)는 양 측면에 돌출부(1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지지부(1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주기둥연결부(130)가 측면지지부(110)의 하부에 결합된 경우 돌출부(135)가 측면지지부(11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35)들 사이에 주기둥(150)이 삽입 결합됨으로써 주기둥(150)과 측면지지부(110)의 결합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주기둥(150)이 측면지지부(1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주기둥(150)이 도로(1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비탈면(20)이 삽입되도록 주기둥(150)이 일정한 결합 각도를 가지고 돌출부(135)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둥(150)은 돌출부(135)와 결합되는 면에 수직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돌출부(135)에 형성된 관통홀에 각도고정수단(137)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주기둥(150)과 측면지지부(110) 사이의 결합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돌출부(135)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에 각도고정수단(137)이 삽입되어 주기둥(150)을 압박하여 주기둥(150)과 주기둥연결부(130)가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주기둥연결부(130)가 도 5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기둥(150)과 측면지지부(110)의 결합 각도를 조절하면서 주기둥(150)과 측면지지부(110)를 결합시킬 수 있다면 주기둥연결부(130)는 다른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1 to 5, the main pillar connecting portion 130 has protrusions 135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support 110. That is, when the main pillar connecting portion 13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support 110, the protrusion 135 may protrude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side support 110. In addition, the main pillar 150 is inserted and coupled between the protrusions 135, so that the main pillar 150 is positioned below the side support portion 110 in a state in which a coupling angle between the main pillar 150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110 is adjusted. Can be combined. In this case, the main pillar 150 may be coupled to the protrusion 135 to have a constant coupling angle so that the slope 20 is insert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ad 10. For example, the main pillar 150 may have a groov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coupled to the protrusion 135, and the angle fixing means 137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protrusion 135. . That is, the angle fixing means 137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protrusion 135 in the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ngle between the main pillar 150 and the side support 110 is adjusted to press the main pillar 150. The pillar 150 and the main column connection unit 130 may be fixedly coupled. However, the main pillar connecting portion 13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of Figure 5, while adjusting the coupling angle of the main pillar 150 and the side support 110, the main pillar 150 and the side support 110 If it can be coupled to the main column connecting unit 130 may have a variety of other structures.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경사로(600)의 측면도이다.6 is a side view of a slope slope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비탈면 경사로(600)는 도 1의 비탈면 경사로(100)와 유사하게 측면지지부(110), 주기둥(150), 적어도 하나의 보조기둥(160) 및 보조브라켓(140)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도 6의 비탈면 경사로(600)는 도 1의 비탈면 경사로(100)의 주기둥연결부(130)에 대응하는 구성없이 주기둥(150)이 측면지지부(110)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있다. 즉, 비탈면 경사로(600)는 측면지지부(110)에 형성된 관통홀에 주기둥(150)이 삽입되고, 주기둥(150)은 보조브라켓(140)의 제 1 관통홀(H1)에 삽입된 상태에서 비탈면(2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기둥(150)이 주기둥연결부(130)없이 측면지지부(110)에 결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측면지지부(110), 주기둥(150), 적어도 하나의 보조기둥(160) 및 보조브라켓(140)이 결합되는 구조는 도 1과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도 1의 설명으로 대체한다.1 to 6, the inclined slope 600 is similar to the inclined slope 100 of FIG. 1, including a side support 110, a main pillar 150, at least one auxiliary pillar 160, and an auxiliary bracket ( 140). However, the slope slope 600 of FIG. 6 is coupled to the pillar pillar 150 is inserted into the side support portion 110 without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pillar pillar connecting portion 130 of the slope slope 100 of FIG. That is, in the slope 600, the main pillar 15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ide support part 110, and the main pillar 150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H1 of the auxiliary bracket 140. In the inclined surface 20 can be inserted and fixed. A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main pillar 150 is coupled to the side support 110 without the main pillar connecting portion 130, the side support 110, the main pillar 150, the at least one auxiliary pillar 160, and the auxiliary brackets. Since the structure in which the 140 is coupled is the same as in FIG. 1,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FIG. 1.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9)

도로의 비탈면을 점검하는데 이용되는 비탈면 점검로에 있어서,
복수의 발판들의 양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비탈면 상에 이격되어 상기 비탈면을 따라 설치되는 측면지지부;
상기 측면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비탈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주기둥;
상기 측면지지부의 하부에서 상기 주기둥에 결합 고정되는 보조브라켓; 및
상기 보조브라켓에 삽입되어 상기 비탈면에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기 주기둥이 삽입되는 제 1 관통홀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조기둥이 삽입되는 제 2 관통홀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점검로.
In the slope check road used to check the slope of the road,
Side support portion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caffolds and spaced apart from the slope to be installed along the slope;
A main pillar coupled to the side support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clined surface;
An auxiliary bracket coupled to the main pillar at the bottom of the side support; And
Inserted into the auxiliary bracket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auxiliary pillar is fixed to the slope,
The auxiliary bracket,
A first body in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into which the main pillar is inserted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second body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into which the auxiliary pillar is inserted in a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측면지지부가 설치되는 방향과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몸체의 일 측면 또는 양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결합되는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제 2 몸체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점검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body,
It is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ide support is installed, the second body is rotated arou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coupled as a central axis By slope check which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가 상기 제 1 몸체의 일 측면에서 회전하여 상기 보조기둥이 상기 비탈면에 수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비탈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점검로.
The method of claim 1,
A slope check roa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body is rot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the auxiliary pillar is inserted into the slop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o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마주보는 면에 결합되는 회전결합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몸체 또는 상기 제 2 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결합수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점검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bracket,
It further comprises a rotation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 slope check road,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rotary coupling means so that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is rota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2 몸체가 결합되는 면 이외의 면에 상기 제 1 관통홀까지 수평방향으로 고정용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기둥이 상기 제 1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 관통홀에 고정수단이 삽입되어 상기 주기둥을 압박하여 상기 주기둥과 상기 제 1 몸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점검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body,
Fixing through-holes ar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first through-hole in a surface other than the surface to which the second body is coupled,
Fix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fixing through-hole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pillar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hole is pressed slope to check the main pillar and the first body characterized in that fixing the main pillar and the first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둥은,
상단이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점검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pillar,
The slope check road,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is b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 점검로는,
상기 주기둥과 상기 측면지지부의 결합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측면지지부의 하부에 상기 주기둥을 결합시키는 주기둥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점검로.
According to claim 1, The slope check road,
Slope surface check road further comprises a main column connecting portion for coupling the main colum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support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angle of the main column and the side suppo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둥연결부는,
양 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상기 주기둥이 삽입 결합되어 상기 주기둥이 상기 측면지지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비탈면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점검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ain column connection portion,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ar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ide support, and the main pillar is inserted and coupl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s so that the main pillar is inserted into the slop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oad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pillar is coupled to the side support. By slope check which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둥은,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면에 수직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기둥과 상기 측면지지부 사이의 결합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각도고정수단이 삽입되어 상기 주기둥을 압박하여 상기 주기둥과 상기 주기둥연결부가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점검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eriodic pillar,
Grooves ar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fix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protrusion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ngle between the main pillar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is adjusted to press the main pillar to be fixed to the main pillar and the main column connecting portion With slope check done.
KR1020190041759A 2019-04-10 2019-04-10 Slope checking road KR1020203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759A KR102020392B1 (en) 2019-04-10 2019-04-10 Slope checking ro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759A KR102020392B1 (en) 2019-04-10 2019-04-10 Slope checking ro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392B1 true KR102020392B1 (en) 2019-09-10

Family

ID=6795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759A KR102020392B1 (en) 2019-04-10 2019-04-10 Slope checking ro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39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297A (en) * 2003-07-15 2005-01-21 이기재 Check road structure of cutting the ground part of road
KR101283014B1 (en) * 2013-05-02 2013-07-05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Apparatus for supporting footing pieces and footway-bridge having the same
KR101452952B1 (en) * 2014-04-04 2014-11-04 (주)엠제이버클 Angle adjustment apparatus for parasol and parasol
KR101557735B1 (en) * 2014-11-24 2015-10-06 (주) 유창스틸산업 Ground anchor for reinforcing guard rail brac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297A (en) * 2003-07-15 2005-01-21 이기재 Check road structure of cutting the ground part of road
KR101283014B1 (en) * 2013-05-02 2013-07-05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Apparatus for supporting footing pieces and footway-bridge having the same
KR101452952B1 (en) * 2014-04-04 2014-11-04 (주)엠제이버클 Angle adjustment apparatus for parasol and parasol
KR101557735B1 (en) * 2014-11-24 2015-10-06 (주) 유창스틸산업 Ground anchor for reinforcing guard rail brac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528B1 (en) Articulated shock-absorbing fence
KR100941698B1 (en) Hinge for fence
KR101807668B1 (en) Handrail pole of deck road and bar connecting structure connected thereby
KR101848014B1 (en) Guardrail column fixing apparatus for deck road system and Guardrail column structure using it
KR102088599B1 (en) Railing structure for adjustable angle
KR101351367B1 (en) Bracket assembly and pillar with the same
JP6021604B2 (en) Temporary scaffolding and its assembly method
KR102020392B1 (en) Slope checking road
KR101515371B1 (en) Deck framework fixing apparatus for deckrod
KR20180088224A (en) Beam connecting apparatus for deck road system
KR101006536B1 (en) Apparatus for fixing sign board
JP3806519B2 (en) Protective fence mounting structure
JP6420954B2 (en) Support legs for double floor and double floor equipment
JP6889630B2 (en) Temporary scaffolding incorporating stairway opening handrails and staircase opening handrails
KR20220007553A (en) Preceding handrail
KR101758449B1 (en) Extruding safety guardrail for level adjusting
KR101099637B1 (en) Handrail support assembly
KR101932012B1 (en) A Balustrade Post of which Posture Can Be Easily Adjusted, Balustrade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890550B1 (en) Rail
JP6313553B2 (en) Mounting method for temporary roofing for roof and temporary roofing for roof
JPH0782716A (en) Protection fence, and joint therefor
KR102275722B1 (en) Rotatable bracket
KR102638725B1 (en) Angle Adjustable Handrail Assembly
KR102599522B1 (en) Free angle fence using transverse connecto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4945423B2 (en) Vehicle detector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