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341B1 - System for realizing score and replaying sound sourc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realizing score and replaying sound sourc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341B1
KR102020341B1 KR1020150162008A KR20150162008A KR102020341B1 KR 102020341 B1 KR102020341 B1 KR 102020341B1 KR 1020150162008 A KR1020150162008 A KR 1020150162008A KR 20150162008 A KR20150162008 A KR 20150162008A KR 102020341 B1 KR102020341 B1 KR 102020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sheet music
main server
user terminal
fi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0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58504A (en
Inventor
김준호
황정빈
김동삼
박종원
윤창호
Original Assignee
(주)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스 filed Critical (주)주스
Priority to KR1020150162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341B1/en
Publication of KR20170058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5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34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4Transposing; Transcrib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악보 제공 서비스 업체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악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악보와 관련하여 이조나 세퍼레이트와 같은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악보와 기능을 메인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와; 메인 서버에 의해 요청된 악보와 기능에 따라 해당 기능이 구현된 악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메인 서버로부터 제공된 악보 정보를 악보로 변환하거나 음성 관련 파일을 음성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악보 편집 및 제공 모듈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이조 또는 세퍼레이트 기능을 적용한 악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설정 값에 따른 맞춤형 자동화 악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 score implementation and sound source reprodu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eet music implementation and sound source reproducing method includes: selecting a sheet music by accessing a homepage of a sheet music providing service company by a user terminal; Selecting a function such as ear or separate in relation to the selected sheet music; Requesting the selected sheet music and functions to the main server; Providing sheet music information on which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sheet music and the function requested by the main server to the user terminal; And converting the sheet music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in server by the user terminal into the sheet music or playing back a speech-related file as a spee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the sheet music information to which the user selects a two-part or separate function using the sheet music editing and providing modu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vide a customized automated sheet music according to the user set value.

Description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realizing score and replaying sound source, and method thereof}System for realizing score and reproducing sound source and method thereof {System for realizing score and replaying sound source, and method}

본 발명은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설정 값에 따른 맞춤형 자동화 악보를 제공할 수 있는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et music implementation and sound source reproduction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eet music implementation and sound source playback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roviding customized automated sheet music according to user set values.

일반적으로 악보는 전체를 볼 수 있는 총보와, 총보를 구성하는 악기에 관한 파트보의 2가지로 크게 구분된다. In general, the score is divided into two types: a full-length bullet and a part-beam regarding the musical instruments constituting the bullet.

종래에는 악보를 구성할 때에도 총보를 작업한 뒤 악기에 관한 파트보를 손수 작업해야만 했다. 또는 총보 콘텐츠는 있으나 파트보 콘텐츠가 없는 경우( 이러한 경우는 악보 콘텐츠 시장에서 약 70%를 차지함), 사용자는 다시 손수 파트보를 음 하나씩 찍어서 만들어야 했다.Conventionally, even when constructing a sheet music, it was necessary to work a partbo on a musical instrument after the bulletin. Or if there is bulletin content but no partbo content (in this case, about 70% of the score content market), the user had to make a hand-made partbo again.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의 음역에 맞는 악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손수 다시 악보를 사보해야 했다. 그리고 사용자들이 대중음악을 접함에 있어 노래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연주할 수 있는 악기에 맞추어 연주하는 경우, 보컬 부분을 악기에 맞게 음역을 바꾸거나 조성을 설정해야 한다. 이는 인터넷 등에서 제공되는 악보가 이미지 파일 형태이기 때문에 추가적 기능을 설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JPG나 PDF 파일의 형태로 설정된 콘텐츠는 이미지를 바탕으로 하는 파일 형식이기 때문에 사용자 설정 값에 따른 편집이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해당 콘텐츠의 음원을 제공할 수 없다. 즉, JPG나 PDF 파일과 함께 Mp3 파일을 제공할 수는 있지만, 사용자 요구에 따른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서는 제약이 따른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in order to provide a sheet music suitable for a user's range, the sheet music had to be bought again. And when users aren't just singing when they're in contact with popular music, they'll have to change the pitch or set the composition of their vocals to the instrument they can play. This is because the sheet music provided on the Internet is in the form of an image file, and thus additional functions cannot be set. In general, content set in the form of a JPG or PDF file is a file format based on an image, and thus editing is not possible according to a user setting value. Accordingly, a user cannot provide a sound source of the content.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Mp3 files along with JPG or PDF files,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providing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user requirements.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7037호(특허문헌 1)에는 악보에 대한 이미지(악보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악보에 존재하는 기호들에 대한 이미지(기호 이미지) 및 악보 라인들을 추출하는 추출부와; 기호 이미지들 상에 복수의 인식라인들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인식라인들을 따라서 상기 기호 이미지들의 픽셀값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픽셀값들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기호들의 의미를 인식하는 기호 인식부와; 상기 추출된 악보라인들의 위치 및 상기 인식된 기호들의 의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악보에 대한 연주 정보를 생성하는 연주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연주 정보에 따라 상기 악보를 음악으로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고, 악보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악보에 따른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악보 이미지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47037 (Patent Document 1) includes an extraction unit for analyzing an image (music score image) for a score and extracting an image (symbol image) and score lines for symbols existing in the score. ; A symbol recognition unit configured to set a plurality of recognition lines on symbol images, measure pixel values of the symbol images along the plurality of recognition lines, and recognize meanings of the symbols by using the measured change of the pixel values. Wow; A performance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performance information on the score using at least one of the positions of the extracted score lines and the meanings of the recognized symbols; And a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the sheet music as music according to the generated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music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sheet music image" capable of analyzing the image of the sheet music and playing the music according to the sheet music is disclosed. .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6719호(특허문헌 2)에는 음색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한된 용량을 갖는 음색 데이터 메모리와; 악곡을 나타내는 악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악보 데이터 메모리와; 상기 악곡의 악음들을 발생하기 위해 상기 음색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음색 데이터와 상기 악보 데이터 메모리와 저장되어 있는 악보 데이터로부터 나온 발음 파라미터들로 설정되는 음원; 및 상기 음원이 상기 악보 데이터와 상기 음색 데이터에 의해 표현되는 상기 악곡의 악음들을 합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된 악보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발음 파라미터들로 상기 음원을 설정하는 연주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음색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와, 악보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가 각각 작은 기억 용량을 가지더라도 다양한 음색으로 악곡을 재생할 수 있는 "악곡 재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Further,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05-0046719 (Patent Document 2) includes a tone data memory having a limited capacity for storing tone data; A sheet music data memory for storing sheet music data representing a piece of music; A sound source set with tone data stored in the tone data memory and pronunciation parameters derived from the note data memory and the stored note data to generate music notes of the tune; And a performance controller for setting the sound source with the pronunciation parameters in accordance with the stored sheet music data so that the sound source synthesizes the musical notes of the musical piece represented by the sheet music data and the tone data. Disclosed is a "music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producing music with various tones even when the memory for storing and the memory for storing the musical score data each have a small storage capacity.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는 악보에 존재하는 기호들에 대한 이미지(기호 이미지) 및 악보 라인들을 추출하여 연주 정보를 생성하고, 연주 정보에 따라 악보를 음악으로 재생함으로써, 악보 이미지를 통해 악보에 적힌 음악의 음정 및 박자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사용자 설정 값에 따라 맞춤형 자동화 악보를 제공하지는 못한다.However,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by extracting the image (symbol image) and the score line for the symbols present in the sheet music to generate the performance information, by reproducing the sheet music as the music in accordance with the performance information, through the score image While it's easy to understand the pitch and time of the written music, it doesn't provide customized automated scores based on user settings.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의 경우는 음색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와, 악보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가 각각 작은 기억 용량을 가지더라도 다양한 음색으로 악곡을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마찬가지로 사용자 설정 값에 따라 맞춤형 자동화 악보를 제공하지는 못한다.Further,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although the memory for storing the tone data and the memory for storing the score data each have the advantage that music can be reproduced in various tones, but user setting is similar. It does not provide customized automated sheet music for value.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7037호(2012.05.11.)Publication No. 10-2012-0047037 (2012.05.11.)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6719호(2005.05.18.)Publication No. 10-2005-0046719 (2005.05.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악보 편집 및 제공 모듈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이조 또는 세퍼레이트 기능을 적용한 악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설정 값에 따른 맞춤형 자동화 악보를 제공할 수 있는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sheet music editing and providing module to provide sheet music information to which the user selects the duo or separate function, to customize the customized sheet music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valu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eet music implementation and a sound source reproduc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that can be provid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sic score implementation and sound source re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원하는 악보를 구현 또는 입수하기 위해, 관련 사이트에 접속하여 악보 구현 또는 입수에 필요한 정보나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와;A user terminal which accesses a related site and inputs information or commands necessary for implementing or obtaining sheet music in order to implement or obtain sheet music desired by a user;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나 명령을 처리하고,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기능이 구현된 악보를 제공하는 메인 서버; 및A main server that processes information or command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sheet music on which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user request is implemented; And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과 관련된 음악 데이터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메인 서버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할 때, 이를 메인 서버로 제공하는 파일 서버를 포함하며,It stores the music data files related to the musical score implementation and sound source playback, and when providing a service by the main server, includes a file server that provides it to the main server,

상기 메인 서버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기능이 구현된 악보를 제공하되, 사용자 설정값에 따른 고객맞춤형 악보를 제공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The main server provides a sheet music in which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user request is implemented, and has a feature of providing a customized sheet music according to a user set value.

여기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나 명령에 따라 "xml"을 파싱(parsing)하고, 이조나 세퍼레이트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며, 악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컴퓨터 언어를 악보로 변환하기 위한 중간 과정으로서의"xml" 파일 및 "midi"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Here, the main server parses the "xm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r command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implements functions such as Izo and separate, and converts the computer language to the sheet music so that the sheet music can be provided. An "xml" file and a "midi" file ar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s an intermediate process.

또한, 상기 메인 서버에는 악보 제공 서비스를 위한 하나의 툴(tool)로서 악보 편집 및 제공 모듈이 탑재된다.In addition, the main server is equipped with a sheet music editing and providing module as a tool for sheet music providing service.

또한, 바람직하게는 악보와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와, 상기 메인 서버에 의한 xml 파일 및 midi 파일의 생성과 관련된 데이터와, 음악 데이터의 URL 주소 정보와, 고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related to musical scores, data related to generation of xml files and midi files by the main server, URL address information of music data, and a database (DB) for storing customer information. It may include.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방법은,In addition, the music score implementation and sound source re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악보 제공 서비스 업체의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와;a) accessing a homepage of a music providing service company by a user terminal;

b)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상기 악보 제공 서비스 업체의 홈페이지 화면의 메뉴 바에서 악보 제공 관련 메뉴를 선택하여 클릭하는 단계와; b) selecting and clicking a music score providing menu on a menu bar of the homepage screen of the music score providing service company displayed on the screen by a user terminal;

c)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화면에 열린 악보 제공 관련 창에서 제공받고자 하는 악보를 선택하는 단계와;c) selecting a music score to be provided from a music score-related window opened on a screen by a user terminal;

d)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선택된 악보와 관련하여 이조나 세퍼레이트와 같은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와; d) selecting, by the user terminal, a function such as ear or separate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sheet music;

e) 상기 악보와 기능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악보와 기능을 상기 메인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와; e) when the music score and the function selection are completed, requesting the music score and the function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to the main server;

f) 상기 메인 서버에 의해 상기 요청된 악보와 기능에 따라 해당 기능이 구현된 악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f) providing, by the main server, sheet music information on which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requested sheet music and the func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g)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제공된 악보 정보를 악보로 변환하거나 음성 관련 파일을 음성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g) converting the sheet music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in server by the user terminal to the sheet music or reproducing a speech-related file as a voice.

여기서,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메인 서버에 의해 편집이 완료된 악보 정보를 웹 기반의 악보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Here, in the step f), the music information edited by the main server is converted into web-based music data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악보 편집 및 제공 모듈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이조 또는 세퍼레이트 기능을 적용한 악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설정 값에 따른 맞춤형 자동화 악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the sheet music information to which the user selects a two-part or separate function using the sheet music editing and providing modu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vide a customized automated sheet music according to the user set valu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측과 메인 서버 측 간의 악보 구현 관련 동작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Music XML 플레이어의 작동에 의한 xml 파싱, 파트보 구현, 이조의 각 과정을 코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Music XML 플레이어의 작동에 의한 악기 변환 및 마디 선택의 각 과정을 코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채용되는 Music XML 플레이어의 작동에 의한 음원 재생의 과정을 코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방법에 따라 파트보 구현, 이조, 악기 변환, 마디 선택 등의 과정을 거쳐 구현된 악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sic score and sound source playbac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on of the music implement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side and the main server side of the music implementation and sound source playba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implementing a music score and sound source reproduc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each process of xml parsing, partbo implementation, and duplex by operation of the Music XML player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each process of musical instrument conversion and node selection by code of the operation of the Music XML player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producing a sound source by an operation of a music XML player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heet music implemented through a process of implementing a sheet music, a pairing, a musical instrument change, a node selection,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music score and sound source reprodu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module”, “devic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sic score and sound source playbac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와, 메인 서버(120) 및 파일 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sheet music realization and sound source reproduc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10, a main server 120, and a file server 130.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가 원하는 악보를 구현 또는 입수하기 위해, 관련 사이트(예컨대, 악보 제공 서비스 업체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악보 구현 또는 입수에 필요한 정보나 명령을 입력한다. 즉, 사용자는 원하는 악보를 구현하거나 입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식으로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나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10)에는 후술하는 메인 서버(120)로부터 제공되는 악보 정보를 받아 악보로 구현해 내기 위한 일종의 앱(application)으로서악보 가시화 라이브러리와, 음성 관련 파일을 받아 음원으로 재생해내기 위한 일종의 앱으로서 음원 재생 라이브러리가 탑재된다. 이와 같은 앱은 악보 제공 서비스 업체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관련 사이트에 직접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The user terminal 110 accesses a relevant site (for example, a homepage of a music providing service company) and inputs information or commands necessary for implementing or obtaining sheet music in order to implement or obtain sheet music desired by a user. In other words, the user inputs the necessary information or command by accessing the site using his terminal in a manner of generally accessing the site through the Internet in order to implement or obtain the desired sheet music. This user terminal 110 is a kind of application (application) for receiving the sheet music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in server 120 to be described later as a sheet music visualization library and a kind of sound for receiving the sound-related files to play as a sound source A sound source playback library is mounted as an app. Such an app may be provided from a music service provider, or the user may directly download and access the related site.

이때, 사용자 단말기(110)로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 PC(111)나 스마트폰(112), 노트북 컴퓨터(113) 등과 같이 유/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어떤 정보나 명령을 입력하고, 그와 관련한 해당 결과물을 출력(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10 is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such as a general desktop PC 111, smart phone 112, notebook computer 113, etc. to input some information or commands, and the corresponding results Any device that can output (display) can be used.

메인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정보나 명령을 처리하고,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기능(예를 들면, 이조 기능, 세퍼레이트 기능 등)이 구현된 악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메인 서버(120)에는 악보 제공 서비스를 위한 하나의 툴(tool)로서 악보 편집 및 제공 모듈이 탑재된다. 또한, 이러한 메인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정보나 명령에 따라 "xml"을 파싱(parsing)하고, 이조나 세퍼레이트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며, 악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컴퓨터 언어를 악보로 변환하기 위한 중간 과정으로서의 "xml" 파일 및 "midi"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또한, 이와 같은 메인 서버(12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기능이 구현된 악보를 제공하되, 사용자 설정값에 따른 고객맞춤형 악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main server 120 processes the information or command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10, and provides a sheet music in which a function (for example, a duplex function, a separate function, etc.) corresponding to a user request is implemented. The main server 120 is equipped with a sheet music editing and providing module as a tool for the sheet music providing service. In addition, the main server 120 parses the "xm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r command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10, implements functions such as Izo or separate, computer language to provide music scores Generates an "xml" file and a "midi" file as intermediate processes for converting the score into a score,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user terminal 110. In addition, the main server 120 may provide a sheet music in which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user request is implemented, and may provide customized sheet music according to a user set value.

파일 서버(130)는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과 관련된 음악 데이터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메인 서버(120)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할 때, 이를 메인 서버(120)로 제공한다. 이와 같은 파일 서버(130)는 경우에 따라서는 메인 서버(12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메인 서버(120)가 파일 서버(130)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le server 130 stores music data files related to the music notation and sound source reproduction. When the file server 130 provides a service by the main server 120, the file server 130 provides the music data files to the main server 120. The file server 130 may be integrated with the main server 120 in some cases. That is, the main server 120 may be configured to serve as a function of the file server 130.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100)은 악보와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와, 상기 메인 서버(120)에 의한 xml 파일 및 midi 파일의 생성과 관련된 데이터와, 음악 데이터의 URL 주소 정보와, 고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preferably, the sheet music implementation and sound source reproduc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related to the sheet music, the xml file and the midi file by the main server 120. The database may further include a database (DB) 121 that stores data, URL address information of music data, and customer information.

도 2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측과 메인 서버 측 간의 악보 구현 관련 동작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musical instrument implementation and a music server implementation related operation between a user terminal side and a main server side of the sheet music implementation and sound source re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 측에 이조, 세퍼레이트 등의 기능이 입력되면, 메인 서버 측에서는 해당 xml 파일을 불러와서 xml 파싱을 하고, 이조 및 세퍼레이트 등의 기능을 구현한다. 또한, 이와 같은 xml 파싱과 이조, 세퍼레이트 등의 기능 구현을 바탕으로 악보 구현과 관련된 Vexflow json(일종의 악보 정보임)을 출력함과 함께 음성(음원) 재생과 관련된 Midi 파일을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Vexflow json과 Midi 파일은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되고, 사용자 단말기 측에서는 Vexflow json과 Midi 파일을 각각 전송받아, Vexflow json을 악보로 변환하고 Midi 파일을 바탕으로 음성(음원)을 재생한다.Referring to FIG. 2, when a function such as Izo and a separate is input to the user terminal, the main server side loads the corresponding xml file to perform xml parsing and implements functions such as Izo and separate. In addition, based on the xml parsing and the implementation of functions such as Izo and Separation, it outputs Vexflow json (a kind of sheet music information) related to sheet music implementation and outputs Midi file related to sound (sound source) playback. The output Vexflow json and Midi files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receives Vexflow json and Midi files, respectively, and converts the Vexflow json into a score and plays a voice (sound source) based on the Midi file.

그러면,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 및 동작 메커니즘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을 이용한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Next, the music score implementation and sound source playback method using the music score implementation and sound source re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chanism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implementing a music score and sound source reproduc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방법에 따라, 먼저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 악보 제공 서비스 업체의 홈페이지에 접속한다(단계 S301). 즉,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 예를 들면 데스크 탑 PC(111)나 스마트폰(112)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악보 제공 서비스 업체의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3,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of implementing sheet music and reproducing a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10 first accesses the homepage of a music providing service company (step S301). That is, the user accesses the homepage of the music providing service company through the Internet using his terminal, for example, the desktop PC 111 or the smartphone 112.

이후,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악보 제공 서비스 업체의 홈페이지 화면의 메뉴 바에서 악보 제공 관련 메뉴를 선택하여 클릭한다(단계 S302). 이때, 악보 제공 서비스 업체의 홈페이지가 회원에 한해서 악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는 기존 회원일 경우에는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곧바로 입력하여 진행하고, 비회원일 경우에는 회원에 가입한 뒤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진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user terminal 110 selects and clicks the music score providing menu on the menu bar of the homepage screen of the music score providing service company displayed on the screen (step S302). At this time, if the homepage of the music providing service provider is configured to provide sheet music only to the members, the user enters the ID and password immediately if the member is an existing member. After registering, enter your ID and password and proceed.

이렇게 하여 악보 제공 관련 메뉴를 선택하여 클릭함에 따라 새로운 창(화면)이 열리면,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 화면에 열린 악보 제공 관련 창에서 제공 받고자 하는 악보를 선택한다(단계 S303). 이때, 화면에는 곡의 제목을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창 또는 다른 방식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찾도록 하는 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에 표시된 입력창에 해당 내용을 기재해 넣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즉, 제공받고자 하는) 악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a new window (screen) is opened by selecting and clicking the music score providing menu, the music score to be provided is selected from the music score providing window opened on the screen by the user terminal 110 (step S303). In this case,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title of a song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r an input window for searching for a desired song by a user may be displayed. The user can select the sheet music desired by the user (ie, to be provided) by filling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the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user's terminal.

이상에 의해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악보를 선택한 후,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 상기 선택된 악보와 관련하여 이조나 세퍼레이트와 같은 기능을 선택한다(단계 S304). 그런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 선택된 악보와 기능을 상기 메인 서버(120)로 요청한다(단계 S305). 그러면, 메인 서버(120)에 의해 상기 요청된 악보와 기능에 따라 해당 기능이 구현된 악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한다(단계 S306). 즉,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이조(음의 높낮이 조절), 세퍼레이트(예컨대, 총보에 대한 파트보)와 같은 기능을 버튼을 클릭하면 메인 서버(120)에서는 해당되는 MusicXML을 파일 서버(130)에서 읽어온다. 이때,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본 발명에 채용된 악보 편집 및 제공 모듈에 따른 코드로 나타내어 보면 다음과 같다.After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sheet music through his terminal, the user terminal 110 selects a function such as pairing or separate in relation to the selected sheet music (step S304). Then, the music score and function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110 is requested to the main server 120 (step S305). Then, the main server 120 provides the sheet music information in which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requested sheet music and the function to the user terminal 110 (step S306). That is, when a user clicks a button such as two-tone (adjustment of pitch) and a separate (eg, part-bo for general bulletin) through his terminal, the main server 120 sends the corresponding MusicXML to the file server 130. Read it. At this time, such a series of processes are shown in the code according to the sheet music editing and provision module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import music21import music21

s = music21.converter.parseURL(MusicXML 파일 경로)s = music21.converter.parseURL (MusicXML file path)

다음에, 읽어온 파일에 기능을 적용시킨다. 이것을 또한 코드로 나타내어 보면 다음과 같다.Next, apply the function to the read file. This is also coded as follows:

s.flat.transpose('이조 정도')s.flat.transpose ('tillion degree')

s = s.parts[원하는 파트번호]s = s.parts [desired part number]

이후 메인 서버(110)에 의해 편집이 완료된 악보 정보를 웹 기반의 악보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한다.Thereafter, the sheet music information edited by the main server 110 is converted into sheet music data based on the web,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이를 코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Here is the code:

data = music21.vexflow.toMusic21j.fromObject(s, mode='json')data = music21.vexflow.toMusic21j.fromObject (s, mode = 'json')

return HttpResponse(data)return HttpResponse (data)

이상에 의해 해당 기능이 구현된 악보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되면,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 메인 서버(120)로부터 제공된 악보 정보를 악보로 변환하거나 음성 관련 파일을 음성으로 재생한다(단계 S307). 이때,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music21j를 이용하여 제공받은 json을 canvas로 변환한다.When the sheet music information implement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e sheet music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in server 120 by the user terminal 110 is converted into sheet music or a voice related file is reproduced by voice ( Step S307). At this time, the user converts the json provided by using music21j to the canvas through his terminal.

이를 코드로 나타내보면 다음과 같다.Here is the code:

require(['music21'], function() {require (['music21'], function () {

var pickleIn = 'json 내용';var pickleIn = 'json content';

var jpc = new music21.fromPython.Converter();var jpc = new music21.fromPython.Converter ();

streamObj = jpc.run(pickleIn);streamObj = jpc.run (pickleIn);

streamObj.renderOptions.events.resize = "reflow";streamObj.renderOptions.events.resize = "reflow";

streamObj.appendNewCanvas();streamObj.appendNewCanvas ();

});});

이때, 음성의 경우 메인 서버(120)에서는 midi 파일로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기(110)에서는 "midijs library"를 이용하여 재생한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voice, the main server 120 outputs a midi file, and the user terminal 110 reproduces the file using “midijs library”.

이를 코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Here is the code:

s.write('midi', '파일이름')s.write ('midi', 'filename')

<a href="#" onClick="MIDIjs.play('파일경로);">재생</a><a href="#" onClick="MIDIjs.play('Filepath);"> Play </a>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채용되는 Music XML 플레이어의 작동에 의해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의 각 처리 과정을 코드로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4는 xml 파싱, 파트보 구현, 이조의 각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악기 변환 및 마디 선택의 각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음원 재생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s 4 to 6 show the processing of music notation and sound source reprodu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Music XML player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de, Figure 4 shows each process of xml parsing, partbo implementation, two groups 5 is a diagram illustrating each process of instrument change and measure selection,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ound source reproduction.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 이조, 세퍼레이트 등의 기능이 입력되면, 메인 서버(120)에서는 해당 xml 파일을 파일 서버(130)로부터 불러와서 xml 파싱을 하고, 이조 및 세퍼레이트(파트보) 등의 기능을 구현한다. 이에 대해 각 부분 별로 부연 설명해 보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4, as described above, when a function such as dual, separate, or the like is input by the user terminal 110, the main server 120 retrieves the corresponding xml file from the file server 130 and parses the xml. It implements functions such as izo and separate (partbo). Thi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for each part.

< Xml 파싱(parsing) ><Xml parsing>

도 4의 (A)에서와 같이, 메인 서버(120)는 xml 파일을 불러와서 "DB에서 xml 정보 가져오기", "xml의 url 주소 참조", "xml 내용 읽기", "score 객체로 파싱", "악보로 그릴 xml 파일 생성", "음원 재생할 midi 파일 생성" 등과 같은 파싱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4A, the main server 120 loads an xml file and retrieves "xml information from DB", "reference url address of xml", "read xml contents", and "parse into score object". Parsing tasks include creating an xml file for drawing music and creating a midi file to play music.

< 파트보 구현 ><Partbo implementation>

도 4의 (B)를 참조하면, 악보 객체는 Part 객체의 배열로 이루어져 있어서 배열의 각 원소가 각 파트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메인 서버(120)는 입력받은 값에 해당하는 악보 객체에서 파트보로 구현하기 원하는 부분 또는 악기에 대한 정보만 남겨 midi 파일 및 xml 파일 형식으로 출력해낸다.Referring to Fig. 4B, the music score object is composed of an array of Part objects, and each element of the array has information of each part. Therefore, the main server 120 outputs only the information about the part or the musical instrument to be implemented as a partbo in the sheet mus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nput value, in midi file and xml file format.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악보 가시화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파트보 xml을 악보로 표현하고, 음원 재생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파트보 음원을 재생한다.Then, the user terminal 110 expresses the part music xml as the music score using the music score visualization library, and reproduces the part music sound source using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library.

< 이조 ><Izo>

도 4의 (C)를 참조하면, 메인 서버(120)에 의해 입력받은 값에 해당하는 악보 객체에서 악보 객체 내부에 정의된 모든 음표 객체의 음 높이 값을 일괄 수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C, in the sheet mus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value input by the main server 120, the pitch values of all the note objects defined inside the sheet music object may be collectively modified.

사용자 입력에 맞게 수정이 완료되면, 메인 서버(120)는 xml, midi 파일을 출력해 내고, 사용자 단말기(110)는 악보 가시화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악보를 구현하고, 음원 재생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음원을 재생한다.When the modifica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he main server 120 outputs xml, midi files, the user terminal 110 implements the score using the music score visualization library, and plays the sound source using the sound source playback library do.

< 악기 변환 ><Instrument Conversion>

도 5의 (A)를 참조하면, 악보 객체는 내부적으로 파트 객체의 배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파트 객체 내부에는 악기정보를 담고 있는 악기(Instrument) 객체가 있다. Referring to FIG. 5A, the sheet music object is internally composed of an array of part objects, and inside the part object, there is an instrument object containing instrument information.

메인 서버(120)는 해당 객체의 악기정보를 입력받은 악기(예컨대, 바이올린, 플롯 등)의 값으로 변환 후, xml 파일, midi 파일을 출력해내고, 사용자 단말기(110)는 악보 가시화, 음원 재생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악보를 구현하고 음원을 재생한다.The main server 120 converts the instrument information of the object into the value of the received instrument (for example, violin, plot, etc.), and then outputs an xml file and a midi file, and the user terminal 110 visualizes the score and reproduces the sound source. Use the library to implement the score and play the sound source.

< 마디 선택 ><Select node>

도 5의 (B)를 참조하면, 메인 서버(120)는 새로운 악보 객체를 생성하고 기존의 악보 객체로부터 입력받은 마디에 해당하는 정보를 새로운 악보 객체에 넣는다. 그리고 선택된 마디로만 이루어진 악보 객체를 xml, midi 파일로 출력해내고, 사용자 단말기(110)는 악보 가시화, 음원 재생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악보를 구현하고 음원을 재생한다.Referring to FIG. 5B, the main server 120 creates a new sheet music object and inser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ode received from the existing sheet music object into the new sheet music object. The music object is composed of only the selected node and outputs the xml and midi files, and the user terminal 110 implements the music using the music visualization and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library and plays the sound source.

< 음원 재생 ><Sound source playback>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서버(120)는 파일 서버(130)에서 xml 파일을 읽어와서 악보 객체를 생성한다.Referring to FIG. 6, the main server 120 reads an xml file from the file server 130 and generates a music score object.

그리고 생성된 악보 객체를 악보편집 모듈을 이용하여 midi 파일 형식으로 출력해낸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음원 재생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출력된 midi 파일을 음원으로 재생해낸다.The created score object is then output to the midi file format using the score editing module. Then, the user terminal 110 reproduces the output midi file using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library as a sound source.

도 7은 이상과 같은 Xml 파싱, 파트보 구현, 이조, 악기 변환, 마디 선택 등의 과정을 거쳐 구현된 악보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sic score implemented through the process of parsing Xml, implementing partbo, lysing, instrument conversion, and node selec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된 악보는 일반 악보와 거의 유사하다. 다만, 악보에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이 구현(파트보, 이조 등이 구현)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이와 같이 기능이 구현된 악보, 즉 사용자 설정 값에 따른 맞춤형 자동화 악보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악보를 쉽게 입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sheet music implemented is almost similar to the normal sheet music.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user's selected features are implemented in the score (Partbo, Izo, etc.).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asily obtain the sheet music he / she wants by implementing the sheet music having the function, that is, the customized automated sheet music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value.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악보 편집 및 제공 모듈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이조 또는 세퍼레이트 기능을 적용한 악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설정 값에 따른 맞춤형 자동화 악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eet music embodying and sound source reproduc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sheet music information to which a user selects a two-part or separate function by using a sheet music editing and providing module, thereby customizing automated sheet music according to user setting values. There is an advantage to provide.

또한, 서비스 제공 업체 측면에서는 기존에 JPG나 PDF 파일 형태로 제공되던 악보 제공 방식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선택한 이조 또는 세퍼레이트 기능을 적용한 악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 및 상승시켜 매출 증대와 수익 상승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될 것이다.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side provides the music information applied by user's choice of two or separate functions, which is not provided in the JPG or PDF file format. Will be able to reap the effect.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and appl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f-explanatory Therefore, the tru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사용자 단말기 120: 메인 서버
121: 데이터베이스 130: 파일 서버
110: user terminal 120: main server
121: Database 130: File Server

Claims (13)

사용자가 원하는 악보를 구현 또는 입수하기 위해, 관련 사이트에 접속하여 악보 구현 또는 입수에 필요한 정보나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나 명령을 처리하고,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기능이 구현된 악보를 제공하는 메인 서버; 및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과 관련된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메인 서버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할 때, 이를 메인 서버로 제공하는 파일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서버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기능이 구현된 악보를 제공하되, 악보에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이 구현된 고객맞춤형 악보를 제공하고,
상기 메인 서버는 기능 구현으로서의 파트보 구현에 있어서 입력받은 값에 해당하는 악보 객체에서 파트보로 구현하기 위한 부분 또는 악기에 대한 정보만 남겨 midi 파일 및 xml 파일 형식으로 출력하고,
상기 메인 서버는 기능 구현으로서의 이조 구현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에 의해 입력받은 값에 해당하는 악보 객체에서 악보 객체 내부에 정의된 모든 음표 객체의 음 높이 값을 일괄 수정하고, 사용자 입력에 맞게 수정이 완료되면, xml 파일, midi 파일을 출력하며,
상기 메인 서버는 기능 구현으로서의 악기 변환에 있어서, 해당 객체의 악기정보를 입력받은 악기의 값으로 변환 후, xml 파일, midi 파일을 출력하고,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나 명령에 따라 "xml"을 파싱(parsing)하고, 이조나 세퍼레이트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며, 악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컴퓨터 언어를 악보로 변환하기 위한 중간 과정으로서의 "xml" 파일 및 "midi"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
A user terminal which accesses a related site and inputs information or commands necessary for implementing or obtaining sheet music in order to implement or obtain sheet music desired by a user;
A main server that processes information or command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sheet music on which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user request is implemented; And
It stores files related to the music notation and sound source playback, and includes a file server for providing a service to the main server, when providing the service by the main server,
The main server provides a sheet music in which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user request is implemented, and provides a customized sheet music in which a function selected by a user is implemented in the sheet music,
The main server outputs in the format of midi file and xml file leaving only information on the part or instrument for implementing as a partbo in the sheet mus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nput value in the partbo implementation as a function implementation.
The main server is a dual-implementation as a function implementation, in the mus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value input by the main server to modify the pitch value of all the note objects defined inside the music object in a batch, and to modify according to the user input When done, it prints out an xml file, a midi file,
In the instrument conversion as a function implementation, the main server converts the instrument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the value of the received instrument, and outputs an xml file and a midi file,
The main server parses the "xm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r command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implements functions such as Izo or separate, and converts the computer language into sheet music so that the sheet music can be provided. A music score implementation and sound source reproducing system for generating an " xml " file and a " midi " file a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에는 악보 제공 서비스를 위한 하나의 툴(tool)로서 악보 편집 및 제공 모듈이 탑재되어 있는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heet music implementation and sound source reproducing system, wherein the main server is equipped with a sheet music editing and providing module as a tool for sheet music providing ser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악보 정보를 받아 악보로 구현해 내기 위한 일종의 앱(application)으로서 악보 가시화 라이브러리와, 음성 관련 파일을 받아 음원으로 재생해내기 위한 일종의 앱으로서 음원 재생 라이브러리가 탑재되는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sheet music visualization library as an application for receiving sheet music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in server and implemented as sheet music, and a sound source playing library as a kind of app for receiving voice-related files and playing them as a sound source. Sheet music implementation and sound source playback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악보와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와, 상기 메인 서버에 의한 xml 파일 및 midi 파일의 생성과 관련된 데이터와, 음악 데이터의 URL 주소 정보와, 고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를 더 포함하는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Music score implementation further comprising a database (DB) storing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related to the score, data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xml files and midi files by the main server, URL address information of the music data, and customer information; Sound source playback system.
a)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악보 제공 서비스 업체의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와;
b)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상기 악보 제공 서비스 업체의 홈페이지 화면의 메뉴 바에서 악보 제공 관련 메뉴를 선택하여 클릭하는 단계와;
c)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화면에 열린 악보 제공 관련 창에서 제공받고자 하는 악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d)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선택된 악보와 관련하여 이조나 세퍼레이트와 같은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와;
e) 상기 악보와 기능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악보와 기능을 메인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와;
f) 상기 메인 서버에 의해 상기 요청된 악보와 기능에 따라 해당 기능이 구현된 악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g)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제공된 악보 정보를 악보로 변환하거나 음성 관련 파일을 음성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는 기능 구현으로서의 파트보 구현에 있어서 입력받은 값에 해당하는 악보 객체에서 파트보로 구현하기 위한 부분 또는 악기에 대한 정보만 남겨 midi 파일 및 xml 파일 형식으로 출력하고,
상기 메인 서버는 기능 구현으로서의 이조 구현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에 의해 입력받은 값에 해당하는 악보 객체에서 악보 객체 내부에 정의된 모든 음표 객체의 음 높이 값을 일괄 수정하고, 사용자 입력에 맞게 수정이 완료되면, xml 파일, midi 파일을 출력하며,
상기 메인 서버는 기능 구현으로서의 악기 변환에 있어서, 해당 객체의 악기정보를 입력받은 악기의 값으로 변환 후, xml 파일, midi 파일을 출력하고,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나 명령에 따라 "xml"을 파싱(parsing)하고, 이조나 세퍼레이트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며, 악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컴퓨터 언어를 악보로 변환하기 위한 중간 과정으로서의 "xml" 파일 및 "midi"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방법.
a) accessing a homepage of a music providing service company by a user terminal;
b) selecting and clicking a music score providing menu on a menu bar of the homepage screen of the music score providing service company displayed on the screen by a user terminal;
c) selecting a music score to be provided from a music score-related window opened on a screen by a user terminal;
d) selecting, by the user terminal, a function such as ear or separate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sheet music;
e) when the music score and the function selection are completed, requesting the music score and the function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to the main server;
f) providing, by the main server, sheet music information on which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requested sheet music and the func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g) converting, by the user terminal, the sheet music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in server into sheet music or playing back a speech-related file as speech;
The main server outputs in the format of midi file and xml file leaving only information on the part or instrument for implementing as a partbo in the sheet mus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nput value in the partbo implementation as a function implementation.
The main server is a dual-implementation as a function implementation, in the mus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value input by the main server to modify the pitch value of all the note objects defined inside the music object in a batch, and to modify according to the user input When done, it prints out an xml file, a midi file,
In the instrument conversion as a function implementation, the main server converts the instrument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the value of the received instrument, and outputs an xml file and a midi file,
The main server parses the "xm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r command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implements functions such as Izo or separate, and converts the computer language into sheet music so that the sheet music can be provided. A music playing and sound source reproduc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generate a "xml" file and a "midi" file as the user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62008A 2015-11-18 2015-11-18 System for realizing score and replaying sound source, and method thereof Active KR1020203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008A KR102020341B1 (en) 2015-11-18 2015-11-18 System for realizing score and replaying sound sour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008A KR102020341B1 (en) 2015-11-18 2015-11-18 System for realizing score and replaying sound sourc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504A KR20170058504A (en) 2017-05-29
KR102020341B1 true KR102020341B1 (en) 2019-09-11

Family

ID=5905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008A Active KR102020341B1 (en) 2015-11-18 2015-11-18 System for realizing score and replaying sound sourc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34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589B1 (en) 2023-06-01 2023-11-22 윤부한 Music Reproducing Method Using Musical Scale And Music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516B1 (en) * 2019-11-13 2021-09-23 서미현 Cloud-based digital sheet music applications written to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053B1 (en) * 2005-03-25 2006-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igital music information automatic generation function and digital music information automatic generation method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617B1 (en) 1999-08-05 2005-07-22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Music reproducing apparatus, music reproducing method, machine readable medium containing the method, and telephone terminal device
KR20050013351A (en) * 2003-07-28 2005-02-04 주식회사파이소프트 Offer System For Score Using Internet And Method Thereof
KR20060076638A (en) * 2004-12-29 200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ΜΙDI file synthesiz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90001769A (en) * 2007-05-18 2009-01-09 이성만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eet music data over the Internet and a storage medium storing sheet data editing program sources
KR20090023912A (en) * 2007-09-03 2009-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usic data processing system
KR20120034950A (en) * 2010-10-04 2012-04-13 (주)비이소프트 Service method for editing and printing provide the music through internet
KR20120047037A (en) 2010-11-03 2012-05-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using score im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053B1 (en) * 2005-03-25 2006-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igital music information automatic generation function and digital music information automatic generation method us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589B1 (en) 2023-06-01 2023-11-22 윤부한 Music Reproducing Method Using Musical Scale And Music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504A (en) 201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39959B2 (en) Automated music composition and generation system employing virtual musical instrument libraries for producing notes contained in the digital pieces of automatically composed music
KR100361680B1 (en) On demand contents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S87127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text to speech synthesis
US83522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xt to speech synthesis
US83967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catenation of words in text to speech synthesis
US8583418B2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ng language and natural language strings for text to speech synthesis
US83559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xt normalization for text to speech synthesis
US201101533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ndering text synchronized audio
US201000823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rate of speech and speech preferences for text to speech synthesis
JP2018537727A5 (en)
JP2007242013A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calling content management instructions (calling content management instructions)
US8145497B2 (en) Media interface for converting voice to text
KR100724868B1 (en) Speech synthesi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arious speech synthesis functions by controlling a plurality of synthesizers
US83407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processing digital content based on text-to-speech conversion
KR102020341B1 (en) System for realizing score and replaying sound source, and method thereof
JP5034599B2 (en) Music introduction sentence generation device, narration addition device, and program
US9293124B2 (en) Tempo-adaptive pattern velocity synthesis
CN116956826A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140044003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created contents playing service
WO2023005193A1 (en) Subtitle display method and device
KR101427666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usic score editing service
JP2020204683A (en) Electronic publication audio-visual system, audio-visual electronic publication creation program, and program for user terminal
JP7048141B1 (en) Programs, file generation methods,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JP2009086597A (en) Text-to-speech convers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US20160212242A1 (en) Specification and deployment of media resou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4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9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4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8043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90730

Appeal identifier: 2018101001884

Request date: 201804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88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430

Effective date: 2019073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9073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80430

Decision date: 20190730

Appeal identifier: 2018101001884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4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31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